[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1834B1 -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 - Google Patents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1834B1
KR102721834B1 KR1020240038125A KR20240038125A KR102721834B1 KR 102721834 B1 KR102721834 B1 KR 102721834B1 KR 1020240038125 A KR1020240038125 A KR 1020240038125A KR 20240038125 A KR20240038125 A KR 20240038125A KR 102721834 B1 KR102721834 B1 KR 102721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joining
support
groove
finishing mater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38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진
이남웅
Original Assignee
(주)위드웍스에이앤이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드웍스에이앤이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위드웍스에이앤이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40038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1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1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18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04C3/07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at least partly of bent or otherwise deformed strip- or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8Arched girders or portal frames
    • E04C3/40Arched girders or portal frame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 E04C2003/041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being built up from several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52H- or I-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65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square- or rectangular-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면과 저면은 비정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측면 끼움 결합공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 상기 측판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측판의 상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상면 끼움 결합공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판; 상기 측판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측판의 저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저면 끼움 결합공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저면판; 및 상기 측판과 상판 및 저면판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양측에는 측면 끼움 결합공에 결합되는 측면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상면 끼움 결합공과 저면 끼움 결합공에 결합되는 상면 결합돌기와 저면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모서리 부분에는 곡면지게 모서리 홈이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의 내부 지지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Twist beam for irregular use}
본 발명은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정형으로 형성되는 지붕 등의 건축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은 정형화된 건축구조물에 비해 비정형 건축구조물의 수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 데, 이는 비정형 건축구조물의 문화적, 기술적 상징성, 건설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의 발전과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의 도입, 그리고 시공기술의 발전에 크게 기인하고 있다.
이러한 비정형 건축구조물의 비율은 전 세계적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데, 1990년대 초반에는 약 10% 이었던 비정형 건축구조물의 비율이 2000년 후반에 들어서는 약 25%로 많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고, 향후 이러 한 비정형 건축구조물의 비율은 점점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비정형 건축구조물은 설계상 어려움과 제작 및 시공상의 높은 공사비용이 소요되어 건축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비정형 건축구조물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을 형성한 후 조립과정에서 많은 오차가 발생함에 따라, 작업시간과 비용이 증가하고, 일정 부분의 형태가 변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159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규모나 비정형 곡률의 정도에 관계없이 상판과 저면판을 비정형으로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는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측판, 상판, 저면판 및 내부 지지판을 결합구조로 구성하여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할 수 있는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인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은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면과 저면은 비정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측면 끼움 결합공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 상기 측판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측판의 상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상면 끼움 결합공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판; 상기 측판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측판의 저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저면 끼움 결합공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저면판; 및 상기 측판과 상판 및 저면판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양측에는 측면 끼움 결합공에 결합되는 측면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상면 끼움 결합공과 저면 끼움 결합공에 결합되는 상면 결합돌기와 저면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모서리 부분에는 곡면지게 모서리 홈이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의 내부 지지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지지판의 상면 결합돌기는 상판의 상면 끼움 결합공에 돌출될 수 있도록 연장형성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마감재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재 결합홈에는 외장 마감재가 끼움 결합되되, 상기 외장 마감재는 중공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하부에 상기 마감재 결합홈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외장 마감재 결합홈이 30 ~ 90°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 지지판과 외장 마감재의 연결부분에 상기 내부 지지판과 교차되게 마감재 결합구가 더 장착되고, 상기 마감재 결합구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는 상기 상판에 밀착되는 상판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상기 마감재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구 하부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외장 마감재와 끼움 결합을 위한 결합구 상부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판의 상면과 저면에 간격을 두고 위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결합홈과 대응하는 상기 상판과 저면판에는 위치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과 상판 및 저면판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상기 내부 지지판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방향 보강용 판재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되, 상기 방향 보강용 판재는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이 교차하는 부분에 배치되면서 상기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지지판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지지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 관통공의 내부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내부 완충 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지지판의 전면과 배면에 간격을 두고 구 형상의 지지홈이 형성된 지지판 지지구가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 지지구와 저면판의 사이에는 전후방 지지구가 장착되되, 상기 전후방 지지구는 일단으로 저면판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밀착판이 장착되고, 타단에는 상기 지지판 지지구의 지지홈에 끼움 결합되는 구 형상의 결합돌기가 장착되며, 상기 밀착판과 결합돌기의 사이에는 내부에 스프링이 구비된 슬라이드 바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지지판과 내부 지지판의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으로 내부 완충수단이 장착되되, 상기 내부 완충수단은 측면과 상면으로 삽입홈이 형성되는 수직판, 상기 저면판에 밀착되고 상부에는 상기 수직판이 끼움 결합되는 수직판 지지홈이 형성되는 하부 완충부재, 상기 삽입홈에 연결구가 끼움 결합되고 끝단에는 구 형상의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완충돌기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은 건축물의 규모나 비정형 곡률의 정도에 관계없이 상판과 저면판을 비정형으로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작업비용과 작업기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은 측판, 상판, 저면판 및 내부 지지판을 결합구조로 구성하여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할 수 을 뿐만 아니라 정면상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강도와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을 구성하는 측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을 구성하는 상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을 구성하는 저면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을 구성하는 내부 지지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을 구성하는 내부 지지판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을 구성하는 외장 마감재와 마감재 결합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결합부분확대도.
도 10 내지 1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 내지 1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을 구성하는 측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을 구성하는 상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을 구성하는 저면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을 구성하는 내부 지지판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을 구성하는 내부 지지판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을 구성하는 외장 마감재와 마감재 결합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결합부분확대도이다.
본원발명인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10)은 다수개가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비정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붕 등의 건축물을 지탱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10)은 측판(20), 상판(30), 저면판(40), 내부 지지판(50)를 포함한다.
상기 측판(20)은 양측에 간격을 두고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측판(2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면과 저면은 비정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측면 끼움 결합공(2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즉, 상기 측판(2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는 플레이트의 상면 또는 저면 또는 상면과 저면을 비정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붕 등의 건축물과 대응되게 형성하고, 내부에는 상기 내부 지지판(50)과 결합 및 지지를 위해 간격을 두고 측면 끼움 결합공(21)을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10)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측판(20)은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동일 또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측판(20)의 상면과 저면에 간격을 두고 위치 결합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측판(20)은 상판(30) 및 저면판(40)과 지정된 위치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위치 결합홈(22)을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위치 결합홈(22)은 상판(30)과 저면판(40) 및 내부 지지판(50)과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측면 끼움 결합공(21)과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상판(30)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측판(20)의 상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3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측판(20)의 상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상면 끼움 결합공(3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즉, 상기 상판(3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상기 측판(20)의 상면과 대응되게 형성한 후 상기 측판(20) 및 내부 지지판(50)과 결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판(30)은 일측이 상기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10)의 우측에 배치되는 측판(20)의 상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고, 타측은 상기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측판(20)의 상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며, 상기 내부 지지판(50)과는 끼움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판(30)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 결합돌기(3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판(30)은 측판(20)과 지정된 위치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측판(20)의 위치 결합홈(22)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 결합돌기(32)를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위치 결합돌기(32)는 제조 및 위치 선정 등을 위해 상면 끼움 결합공(31)과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저면판(40)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측판(20)의 하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저면판(4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측판(20)의 저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저면 끼움 결합공(4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즉, 상기 저면판(4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상기 측판(20)의 저면과 대응되게 형성한 후 상기 측판(20) 및 내부 지지판(50)과 결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면판(40)은 일측이 상기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10)의 우측에 배치되는 측판(20)의 저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측판(20)의 저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며, 상기 내부 지지판(50)과는 끼움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저면판(40)은 양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 결합돌기(4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저면판(40)은 측판(20)과 지정된 위치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측판(20)의 위치 결합홈(22)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 결합돌기(42)를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위치 결합돌기(42)는 제조 및 위치 선정 등을 위해 저면 끼움 결합공(41)과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내부 지지판(50)은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공간(S)에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지지판(5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 형상으로 양측에 측면 끼움 결합공(21)에 결합되는 측면 결합돌기(51)가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상면 끼움 결합공(31)과 저면 끼움 결합공(41)에 결합되는 상면 결합돌기(52)와 저면 결합돌기(53)가 형성되며, 모서리 부분에는 곡면지게 모서리 홈(54)이 형성된다.
즉, 상기 내부 지지판(50)은 정면상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양측에는 측판(20)의 고정을 위한 측면 결합돌기(51)를 각각 형성하며, 상면과 저면에는 상판(30)과 저면판(40)의 고정을 위한 상면 결합돌기(52)와 저면 결합돌기(53)를 각각 형성하며, 모서리 부분에는 원활한 결합 및 분리를 위하여 모서리 홈(54)를 곡면지게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측면 결합돌기(51)와 상면 결합돌기(52) 및 저면 결합돌기(53)는 끼움 결합공(21, 31, 41)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상기 내부 지지판(50)의 중앙에는 중앙 관통공(57)이 형성되어, 결합 또는 분리시 또는 충격 흡수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 지지판(50)의 상부에는 외장 마감재(60)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내부 지지판(50)의 상면 결합돌기(52)는 상판(30)의 상면 끼움 결합공(31)에 돌출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마감재 결합홈(5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장 마감재(60)는 소정의 높이와 지름 또는 직경을 가지는 중공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하부에 상기 마감재 결합홈(55)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외장 마감재 결합홈(61)이 30° ~ 90°간격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내부 지지판(50)은 상부에 간격을 두고 마감재 결합홈(55)이 형성되는 상면 결합돌기(52)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외부 마감재(60)는 중공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하부에 간격을 두고 외장 마감재 결합홈(61)을 형성하여, 상기 상면 결합돌기(52)의 마감재 결합홈(55)에 외장 마감재(60)의 외장 마감재 결합홈(61)을 끼움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내부 지지판(50)과 외부 마감재(60)는 결합부분의 강도와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마감재 결합홈(55)과 외장 마감재 결합홈(61)의 연결부분이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 지지판(50)과 외장 마감재(60)의 연결 부분에 마감재 결합구(70)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마감재 결합구(70)는 내부 지지판(50)에 교차되게 결합된 후 상기 내부 지지판(50)과 함께 상기 외장 마감재(60)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 결합구(7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후 상기 상판(30)의 상부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하부 양측에는 상기 상판(30)에 밀착되는 상판 지지돌기(71)가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상기 마감재 결합홈(61)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구 하부 결합홈(72)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외장 마감재(80)와 끼움 결합되는 결합구 상부 결합홈(73)이 형성된다.
즉, 상기 마감재 결합구(70)는 상판(30)과 교차되게 배치한 후, 상기 상판(30)의 상면 끼움 결합공(31)에 결합구 하부 결합홈(72)을 끼움 결합하여 고정한 다음, 상기 상판(30)의 상면 끼움 결합공(31)과 상기 마감재 결합구(70)의 결합구 상부 결합홈(73)에 외장 마감재(60)의 마감재 결합홈(61)을 끼움 결합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10)은 도시된 도 10 내지 14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10의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10)은 측판(20)과 상판(30) 및 저면판(40)이 형성된 내부공간에 방향 보강용 판재(10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방향 보강용 판재(100)는 원활한 결합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내부 지지판(5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방향 보강용 판재(100)는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10)이 교차하는 부분에 배치되면서 상기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10)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어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11의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10)은 내부 지지판(50)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내부 완충 부재(110)가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내부 지지판(50)의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지지판 관통공(56)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 관통공(56)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내부 완충 부재(110)가 억지 끼움 결합되어,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11의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10)은 내부 지지판(50)의 전방과 후방으로 지지판 지지구(120)이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 지지구(120)에는 전후방 지지구(130)가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 지지구(120)는 일단이 내부 지지판(50)에 밀착되고 타측에는 구 형상의 지지홈(121)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지지판(50)의 전면과 배면에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후방 지지구(130)는 일단으로 저면판(4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밀착판(131)이 장착되고, 타단에는 상기 지지판 지지구(120)의 지지홈(121)에 끼움 결합되는 구 형상의 결합돌기(132)가 장착되며, 상기 밀착판(131)과 결합돌기(132)의 사이에는 내부에 스프링(134)이 구비된 슬라이드 바(133)가 장착된다.
즉, 상기 전후방 지지구(130)는 스프링(134)이 구비된 슬라이드 바(133)의 일단에 밀착판(131)을 장착하고, 타단에는 결합돌기(132)를 장착하여, 상기 내부 지지판(50)을 지지하면서도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12 및 13의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10)은 상기 내부 지지판(50)과 내부 지지판(50)의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S)으로 내부 완충수단(140)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10)은 내부 지지판(50)과 함께 측판(20)과 상판(30) 및 저면판(4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S)에 내부 완충수단(140)을 장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부 완충수단(140)은 측면과 상면으로 삽입홈(142)이 형성되는 수직판(141), 상기 저면판(40)에 밀착되고 상부에는 상기 수직판(141)이 끼움 결합되는 수직판 지지홈(144)이 형성되는 하부 완충부재(143), 상기 삽입홈(142)에 연결구(146)가 끼움 결합되고 끝단에는 구 형상의 지지돌기(147)가 형성되는 완충돌기(145)로 구성된다.
즉, 상기 내부 완충수단(140)은 저면판(40)에 하부 완충부재(143)를 장착한 후, 상기 하부 완충부재(143)의 수직판 지지홈(144)에 수직판(141)의 삽입홈(142)에 수직판(141)을 장착한 다음, 상기 수직판(141)의 삽입홈(142)에 연결구(146)와 지지돌기(147)가 형성된 완충돌기(145)를 끼움 결합하여,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 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10)의 조립을 위하여 수직 지그(200)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 결합홈(210)을 형성한 후, 상기 수직 지그(200)의 위치 결합홈(210)에 내부에 비정형 위치홈(230)이 형성된 위치 지그(22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 지그(220)의 비정형 위치홈(230)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측판(20)의 저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저면 끼움 결합공(4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저면판(4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10)의 형상에 맞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 형상으로 양측에 측면 끼움 결합공(21)에 결합되는 측면 결합돌기(51)가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상면 끼움 결합공(31)과 저면 끼움 결합공(41)에 결합되는 상면 결합돌기(52)와 저면 결합돌기(53)가 형성되며, 모서리 부분에는 곡면지게 모서리 홈(54)이 형성되는 내부 지지판(50)을 복수개수 형성한다.
다음으로, 복수개의 내부 지지판(50) 양측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면과 저면은 비정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측면 끼움 결합공(2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측판(20)을 양측에 각각 결합한다.
즉, 상기 내부 지지판(50)의 측면 결합돌기(51)에 맞춰 측판(20)의 측면 끼움 결합공(21)을 결합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저면판(40)의 저면 끼움 결합공(41)에 양측에 측판(20)이 결합된 내부 지지판(50)을 끼움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측판(20)과 내부 지지판(50)의 상부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측판(20)의 상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상면 끼움 결합공(3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판(30)을 결합하면,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10)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상이하게 진행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비정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붕 등의 건축물에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10)을 구성하는 상판(30)의 상부로 외장 마감재(60)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이때, 상기 내부 지지판(50)을 구성하는 상기 상면 결합돌기(52)는 상판(30)의 상면 끼움 결합공(31)에 돌출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마감재 결합홈(55)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지지판(50)의 마감재 결합홈(55)에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후 상기 상판(30)의 상부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하부 양측에는 상기 상판(30)에 밀착되는 상판 지지돌기(71)가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상기 마감재 결합홈(61)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구 하부 결합홈(72)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외장 마감재(80)와 끼움 결합되는 결합구 상부 결합홈(73)이 형성되는 마감재 결합구(70)를 끼움 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 지지판(50)의 상면 결합돌기(52)와 마감재 결합구(7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소정의 높이와 지름 또는 직경을 가지는 중공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하부에 상기 마감재 결합홈(55)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외장 마감재 결합홈(61)이 90°간격으로 형성되는 외장 마감재(60)를 각각 끼움 결합하면 조립은 완료되늰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
20 : 측판 21 : 측면 끼움 결합공
22 : 위치 결합홈
30 : 상판 31 : 상면 끼움 결합공
32 : 위치 결합돌기
40 : 저면판 41 : 저면 끼움 결합공
42 : 위치 결합돌기
50 : 내부 지지판 51 : 측면 결합돌기
52 : 상면 결합돌기 53 : 저면 결합돌기
54 : 모서리 홈 55 : 마감재 결합홈
56 : 지지판 관통공 57 : 중앙 관통공
60 : 외장 마감재 61 : 외장 마감재 결합홈
70 : 마감재 결합구 71 : 상판 지지돌기
72 : 결합구 하부 결합홈 73 : 결합구 상구 결합홈
100 : 방향 보강용 판재
110 : 내부 완충 부재
120 : 지지판 지지구 121 : 지지홈
130 : 전후방 지지구 131 : 밀착판
132 : 결합돌기 133 : 슬라이드 바
140 : 내부 완충수단 141 : 수직판
142 : 삽입홈 143 : 하부 완충부재
144 : 수직판 지지홈 145 : 완충돌기
146 : 연결구 147 : 지지돌기
200 : 수직 지그 210 : 위치 결합홈
220 : 위치 지그 230 : 비정형 위치홈

Claims (8)

  1.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면과 저면은 비정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측면 끼움 결합공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
    상기 측판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측판의 상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상면 끼움 결합공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판;
    상기 측판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측판의 저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저면 끼움 결합공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저면판; 및
    상기 측판과 상판 및 저면판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양측에는 측면 끼움 결합공에 결합되는 측면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상면 끼움 결합공과 저면 끼움 결합공에 결합되는 상면 결합돌기와 저면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모서리 부분에는 곡면지게 모서리 홈이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의 내부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지지판의 상면 결합돌기는 상판의 상면 끼움 결합공에 돌출될 수 있도록 연장형성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마감재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재 결합홈에는 중공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하부에 상기 마감재 결합홈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외장 마감재 결합홈이 30 ~ 90°간격으로 형성되는 외장 마감재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내부 지지판과 외장 마감재의 연결부분에는 상기 내부 지지판과 교차되게 마감재 결합구가 더 장착되고,
    상기 마감재 결합구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는 상기 상판에 밀착되는 상판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상기 마감재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구 하부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외장 마감재와 끼움 결합을 위한 결합구 상부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상면과 저면에 간격을 두고 위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결합홈과 대응하는 상기 상판과 저면판에는 위치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판과 상판 및 저면판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상기 내부 지지판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방향 보강용 판재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되,
    상기 방향 보강용 판재는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이 교차하는 부분에 배치되면서 상기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지지판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지지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 관통공의 내부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내부 완충 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지지판의 전면과 배면에 간격을 두고 구 형상의 지지홈이 형성된 지지판 지지구가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 지지구와 저면판의 사이에는 전후방 지지구가 장착되되,
    상기 전후방 지지구는 일단으로 저면판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밀착판이 장착되고, 타단에는 상기 지지판 지지구의 지지홈에 끼움 결합되는 구 형상의 결합돌기가 장착되며, 상기 밀착판과 결합돌기의 사이에는 내부에 스프링이 구비된 슬라이드 바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지지판과 내부 지지판의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으로 내부 완충수단이 장착되되,
    상기 내부 완충수단은 측면과 상면으로 삽입홈이 형성되는 수직판, 상기 저면판에 밀착되고 상부에는 상기 수직판이 끼움 결합되는 수직판 지지홈이 형성되는 하부 완충부재, 상기 삽입홈에 연결구가 끼움 결합되고 끝단에는 구 형상의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완충돌기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
KR1020240038125A 2024-03-19 2024-03-19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 Active KR102721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8125A KR102721834B1 (ko) 2024-03-19 2024-03-19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8125A KR102721834B1 (ko) 2024-03-19 2024-03-19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21834B1 true KR102721834B1 (ko) 2024-10-24

Family

ID=9328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8125A Active KR102721834B1 (ko) 2024-03-19 2024-03-19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18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590B1 (ko) 2007-02-28 2008-01-03 김승한 곡면패널 제조방법 및 곡면패널 제조장치
KR100994960B1 (ko) * 2010-07-28 2010-11-17 고재욱 강관 트러스교의 보강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강관 트러스교의 시공방법
KR101229194B1 (ko) * 2012-08-20 2013-02-01 디알비동일 주식회사 유자형 합성보 및 덮개부재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KR101289835B1 (ko) * 2012-11-02 2013-07-24 주식회사 쓰리디에스패밀리 빔 구조
KR101865376B1 (ko) * 2017-11-14 2018-06-07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일체형 다이아프램이 내장된 cft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cft기둥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590B1 (ko) 2007-02-28 2008-01-03 김승한 곡면패널 제조방법 및 곡면패널 제조장치
KR100994960B1 (ko) * 2010-07-28 2010-11-17 고재욱 강관 트러스교의 보강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강관 트러스교의 시공방법
KR101229194B1 (ko) * 2012-08-20 2013-02-01 디알비동일 주식회사 유자형 합성보 및 덮개부재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KR101289835B1 (ko) * 2012-11-02 2013-07-24 주식회사 쓰리디에스패밀리 빔 구조
KR101865376B1 (ko) * 2017-11-14 2018-06-07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일체형 다이아프램이 내장된 cft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cft기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0890B2 (en) Door frame 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door frame structure
KR101367626B1 (ko) Cft기둥용 내부 다이어프램 설치형 조립박스강관의 제작방법
KR101209662B1 (ko) 비정형 건축구조물의 곡면 외피를 시공하기 위한 철골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비정형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KR102270444B1 (ko) 측면 및 하부강판을 고정철물과 연결강봉을 이용하여 일체화시키는 강판 거푸집 보
KR102221604B1 (ko) 커튼월 및 이의 생산 방법
KR101865376B1 (ko) 일체형 다이아프램이 내장된 cft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cft기둥
KR102721834B1 (ko) 비정형용 트위스트 빔
KR20140032594A (ko) 기둥과 보의 접합부 구조
JP2012219437A (ja) 座屈拘束ブレース、これを用いた耐力フレーム及び座屈拘束ブレースの製造方法
KR102746460B1 (ko) 철골보 접합부용 수직 내다이어프램 및 연결 덧판 기능을 동시에 갖는 기둥 접합부 구조
KR101746345B1 (ko) 강도가 보강된 금속재 사각파이프 및 그 성형방법
CN212926539U (zh) 一种采用滑移连接套筒的超长屈曲约束支撑
KR101920280B1 (ko) 텐트하우스 트러스 구조물
KR102748703B1 (ko) 벽체 구조물용 프레임 결합구 및 이를 구비한 벽체 구조물
KR101849919B1 (ko) 방화문 보강 구조물
JP2010261219A (ja) 鋼管補剛ブレース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59247B1 (ko) 댐핑형 구조물
KR102338316B1 (ko) 프레임 결합구, 이를 포함하는 방음판 구조물 및 방음판 구조물의 시공방법
JP2009173109A (ja) 車両骨格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7047856B2 (ja) 四面溶接箱形断面柱の組立方法、スキンプレート部材、四面溶接箱形断面柱、および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柱
JPH10231561A (ja) 木質構造材の接合構造及び接合具
JP4994009B2 (ja) 鉄骨制振架構を有する建築物
KR101734087B1 (ko) 비정형 조립식 트러스 지붕 구조물 시스템
KR102809972B1 (ko) 건축용 전선보호관 간격 유지장치
CN216156869U (zh) 一种便于装配的十字建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3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