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1649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1649B1
KR102721649B1 KR1020160178576A KR20160178576A KR102721649B1 KR 102721649 B1 KR102721649 B1 KR 102721649B1 KR 1020160178576 A KR1020160178576 A KR 1020160178576A KR 20160178576 A KR20160178576 A KR 20160178576A KR 102721649 B1 KR102721649 B1 KR 102721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hole
washing machine
top cover
upper flan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4479A (ko
Inventor
강희진
김점갑
김정환
박지웅
원용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8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1649B1/ko
Priority to CN201780087347.6A priority patent/CN110337510B/zh
Priority to PCT/KR2017/012743 priority patent/WO2018117418A2/ko
Priority to EP17882901.6A priority patent/EP3543389B1/en
Priority to US16/473,067 priority patent/US11384474B2/en
Publication of KR20180074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1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164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탑 커버와 캐비닛의 결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캐비닛의 상측에 결합되는 핀부재를 포함하고 핀부재는 캐비닛의 상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핀부재를 통과하는 탑 커버의 관통 홀이 핀부재를 통과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탑 커버가 상측으로 힘을 받아 캐비닛의 상측으로 이동 될 시 핀부재의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구간에 관통 홀이 걸려 탑 커버가 소정 거리 이상으로 캐비닛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핀부재와 캐비닛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핀부재가 결합되는 캐비닛의 상부 플랜지 하측으로 측면 결합되는 고정 브래킷을 포함하여 고정 브래킷의 고정 홈에 핀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핀부재를 캐비닛에 고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탑 커버의 결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 행정을 수행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방식에 따라 세탁조의 하부에 작은 날개가 붙은 회전날개가 회전할 때 생기는 수류가 세탁물에 충격을 주어 세탁하는 펄세이터 방식, 세탁조의 중앙에 날개가 붙어있는 큰 교반 날개가 규칙적으로 방향이 반전되면서 수류를 형성하여 세탁하는 에지테이터 방식, 드럼 내에 세탁물을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낙차에 따른 충격과 세제의 세정력으로 세탁하는 드럼 방식으로 구분된다.
펄세이터 방식의 경우 세탁기의 도어를 포함하는 상측 커버가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는데 세탁기 운전 시 이상 회전에 의해 세탁기 상측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 상측 커버가 이탈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세탁기에 충격 또는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측 커버가 캐비닛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측 커버를 지지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상측에 배치되는 핀부재와 상기 핀부재가 관통되는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상측에 결합되는 탑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재는 상기 캐비닛과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탑 커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결합부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의 상단부에서 절곡되는 상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랜지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 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통 홀은 상기 탑 커버가 상기 상부 플랜지와 결합될 시 제 1위치에 위치하고, 이탈방지부는 상기 관통 홀이 상기 제 1위치에서 이탈될 시 상기 탑 커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관통 홀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상부 플랜지에 대한 상기 이탈방지부의 경사 각도는 35도 이하이다.
또한 상기 결합 홀에 삽입된 상기 결합부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상부 플랜지 하측에서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고정 브래킷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브래킷은 일측으로 절개되는 고정 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홈은 상기 캐비닛의 측면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하 방향으로 스크류 체결되도록 마련되는 보조 결합 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핀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이 상기 결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 브래킷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속부의 어느 일측의 직경은 상기 결합부의 어느 일측의 직경보다 대응되거나 크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핀부재는 상기 관통 홀이 상기 핀부재를 통과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에서 상기 캐비닛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핀부재는 상기 상부 플랜지의 전방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 브래킷의 전면측에 마련되고, 상기 탑 커버와 후크 결합하는 후크 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과 상기 탑 커버를 스크류 결합시키는 스크류 결합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이탈방지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변을 가지는 장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통 홀은 상기 제 1위치에서 이탈될 시 상기 이탈방지부의 적어도 일측과 접하는 제 2위치까지 상승 가능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적어도 일측은 상기 관통 홀이 제2위치에 위치할 시 상기 관통 홀이 상기 제 1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관통 홀을 가압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상측에 결합되는 탑 커버와 상기 탑 커버가 상기 캐비닛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탑 커버 내측에 마련되는 관통 홀을 관통하고, 상기 관통 홀이 안착되는 제 1지점과 상기 제 1지점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 2지점을 포함하는 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재는 상기 제 1지점과 상기 제 2지점 사이의 수평거리를 이탈방지거리로 정의할 때, 상기 탑 커버가 상기 캐비닛에서 이탈될 시 상기 관통 홀이 상기 이탈방지거리 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제 2지점이 상기 제 1지점에 대해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의 상단부에서 절곡되는 상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재는 절곡부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플랜지과 결합된 상기 결합부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상부 브래킷 하측에서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고정 브래킷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핀부재는 상기 관통 홀이 상기 핀부재를 통과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제 2지점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의 수평 방향에 대해 상기 절곡부가 절곡되는 각도는 35도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상단부에서 절곡되는 상부 플랜지를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 커버와 상기 탑 커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상부 플랜지에 결합되는 핀부재와 상기 상부 플렌지와 결합된 상기 핀부재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상부 플랜지 하측에서 상기 핀부재와 결합되는 고정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기 캐비닛의 측면 방향으로 상기 핀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캐비닛의 측면 방향으로 절개되는 고정 홈과 상기 상부 플랜지와 결합되도록 상기 캐비닛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 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의 측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 전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상측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B-B'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고정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관통홀이 핀부재를 통과하기 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관통 홀이 핀부재를 이탈하기 시작할 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관통 홀이 팬부재를 이탈할 시 제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상측', '상방', '하측', '하방'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상하방향, 즉 도 1에서 세탁기의 도어가 배치되는 측이 상측 그 아래를 하측으로 기재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전방', '후방', '전면측', '후면측'은 도 1에서 세탁기의 앞측을 전방이라 기재하고 그 반대편을 후방이라 기재한다.
또한 도 1에서의 세탁기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측의 왼쪽을 '좌측면', 오른쪽을 '우측면'으로 기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일 실시예와 같이 보조 세탁공간을포함하는 세탁기뿐만 아니라 보조 세탁공간을 포함하지 않는 일반 세탁기에도 적용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11)와, 고정조(1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12)와, 회전조(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캐비닛(10)의 상부에는 회전조(12)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24)가 형성된다. 개구(24)는 캐비닛(10)의 상부에 설치된 탑 커버(100)의 도어(10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고정조(11)는 현가장치(15)에 의해 캐비닛(10)에 지지될 수 있다.
고정조(11)의 상부에는 고정조(11)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7)이 설치된다. 급수관(17)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고, 급수관(17)의 타측은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된다. 급수관(17)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6)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고정조(11)의 내부로 공급된다. 급수관(17)에는 급수밸브(18)가 설치되어 물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회전조(12)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그 측면에는 다수의 탈수공(13)이 형성된다. 회전조(12)의 상부에는 고속 회전 시에 회전조(12)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밸런서(14)가 장착될 수 있다.
고정조(11)의 하측 외부에는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5)와, 모터(25)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절환장치(26)가 설치된다.
회전조(12)에는 중공형 탈수축(29)이 결합되고, 탈수축(29)의 중공부에 설치되는 세탁축(27)은 세탁축결합부(28)를 통해 펄세이터(50)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25)는 동력절환장치(26)의 승강 동작에 따라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에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동력절환장치(26)는 동력절환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30)와, 액추에이터(30)의 동작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로드부(31)와, 로드부(31)와 연결되어 로드부(31)의 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클러치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조(12)의 바닥에는 고정조(12)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도록 배수구(20)가 형성되고, 배수구(20)에는 제 1 배수관(21)이 연결된다. 제 1 배수관(21)에는 배수를 단속하는 배수밸브(22)가 설치될 수 있다. 배수밸브(22)의 출구는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2 배수관(34)에 연결될 수 있다.
개구(24)에는 상방으로 개구(24)를 전반적으로 커버하는 탑 커버(100)와 탑 커버(100)의 도어(101)와 도어(101) 하측에 마련되는 보조세탁유닛(110) 마련된다. 도어(101)는 탑 커버(100)의 중심측에 마련되는 개구에 마련되고, 탑 커버(100)의 개구 및 캐비닛(10)의 개구(24)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도어(101)에는 도어(101)가 개구(24)를 폐쇄하는 상태에서도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10)은 보조세탁공간(110a)을 구비하여 별도의 손세탁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조세탁공간(110a)은 고정조와 회전조에 의해 형성되는 메인세탁공간(11a)과 분리되어 세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110a)은 공간이 분리되어 있어서, 각각의 공간에서 독립적으로 세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110a)에서의 세탁은 별도로 진행할 수도 있고,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다.
보조세탁유닛(110)은 도어(100)의 내측에서 그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10)은 도어(100)의 회동축과 일치되도록 동일한 축을 가지게 마련될 수 있다.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120a)으로의 급수를 위해 급수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장치(160)는 급수관(162), 메인급수관(164), 보조급수관(166)과 전환유닛(168)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162)은 일단이 급수밸브(18)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162)은 급수밸브(18)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전환유닛(168)으로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메인세탁공간(11a)으로 급수를 위해 메인급수관(164)이 마련될 수 있다. 메인급수관(164)은 일단은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10)의 보조세탁공간(110a)으로의 급수를 위해 보조급수관(166)이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급수관(166)은 일단은 보조급수구(6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
전환유닛(168)은 급수관(162)으로부터 전달되는 세탁수를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로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즉, 전환유닛(168)의 제어를 통해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세탁공간으로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보조세탁유닛(110)을 불포함할 수 있다. 즉 캐비닛(10)의 상측에는 탑 커버(100)가 배치되고 탑커버(100)에 마련되는 도어(101)를 개방할 경우 바로 개구(24)와 탑 커버(100)의 개구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세탁물을 회전조(12)에 투하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는 보조세탁유닛(100)의 배치 유무와 관계없이 후술할 핀부재(200)에 의해 탑 커버(100)의 이탈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탑 커버(100)가 캐비닛(10)의 상측에 결합되는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 전면측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상측의 배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탑 커버(100)는 상측에 개구(24)를 가지는 캐비닛(10)의 상부를 커버하여 도어(101)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구(24)를 개방시킬 수 있다.
캐비닛(10)은 캐비닛(10)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절곡되는 상부 플랜지(19)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커버(100)는 상부 플랜지(19)의 상측에 안착되어 캐비닛(10)과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19)의 전면측에는 탑 커버(100)의 전방부와 결합되는 후크 결합부재(210)가 마련될 수 있다. 후크 결합부재(210)는 상측으로 벤딩되는 후크(211)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후크(211)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 플랜지(19)의 상측으로 소정 간격 향하는 제 1면(211a)와 제 1면(211a)에서 벤딩되어 다시 하측으로 소정 간격 향하게 마련되는 제 2면(2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면(211a)과 제 2면(211b)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점점 이격되게 배치되어 후크(211)는 상측을 향하는 삼각형 형상의 측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탑 커버(100)는 탑 커버(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후크(211)와 후크 결합되는 후크 홀(102)을 포함할 수 있다. 탑 커버(100)가 상부 플랜지(19)와 대응되게 배치될 시 후크 홀(102)은 후크(211)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탑 커버(100)의 조립 시 탑 커버(100)를 상부 플랜지(19)와 대응되게 배치시키고 상하 방향으로 가압할 시 상측으로 향하는 후크(211)는 후크 홀(102)을 관통하면서 후크 홀(102)과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즉, 후크 홀(110)는 제 1면(211a)과 제 2면(211b)의 하측의 이격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의 넓이보다 작은 넓이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후크(211)가 후크 홀(102)을 관통할 시 제 1면(211a)과 제 2면(211b)의 하측 사이를 가압하면서 탄성을 가하고 이 후 후크 홀(102)과 제 1면(211a) 또는 제 2면(211b)이 제자리로 탄성 복귀되면서 후크 홀(102)와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플랜지(19)의 전면측에는 탑 커버(100)와 상부 플랜지(19)가 결합될 때 탑 커버(100)가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탑 커버(100)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재(220)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220)는 상부 플랜지(19)의 전면측뿐만 아니라 측면 또는 후면측에도 상부 플랜지(19)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220)는 상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마련되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탑 커버(100)의 하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홈(103)과 결합하여 탑 커버(100)가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220)는 가이드부재(220)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그 지름이 줄어드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므로 사용자가 탑 커버(10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용이하게 가이드부재(220)와 가이드 홈(103)를 결합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재(220)에 따라 사용자는 후크부재(211)를 용이하게 후크 홀(102)과 결합시킬 수 있다.
즉, 탑 커버(100)의 전방측은 상부 플랜지(19)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후크결합부재(210)에 의해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커버(100)의 후방측은 탑 커버(100)와 캐비닛(10)의 배면에 형성되는 스크류 결합부재(23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탑 커버(100)의 전방부가 후크 결합부재(210)와 결합된 뒤, 탑 커버(100)와 캐비닛(1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탑 커버(100) 배면과 캐비닛(10)의 배면에 스크류 결합부재(230)가 배치될 수 있다.
스크류 결합부재(230)는 탑 커버(100)의 배면과 캐비닛(10)의 배면 사이에 연장되는 스크류 브래킷(231)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브래킷(2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탑 커버(100)의 후면에서 캐비닛(10)의 배면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크류 결합부재(230)는 탑 커버(100)와 별개의 구성으로 탑 커버(100)의 배면과 캐비닛(10)의 배면 사이에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스크류 브래킷(231)은 캐비닛(10)의 배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스크류 결합이 가능하도록 스크류 결합 홀(23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결합 홀(232)에 스크류 부재가 결합되어 탑 커버(100)의 후방부는 스크류 결합부재(230)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스크류 브래킷(231)이 탑 커버(100)와 별도의 부재로 마련되는 경우 스크류 결합 홀(232)은 탑 커버(100)의 배면과 캐비닛(10)의 배면에 각각 대응되도록 2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커버(100)의 전방부는 후크 결합부재(210)와 결합되고 탑 커버(100)의 후방부는 스크류 결합부재(230)와 결합되어 탑 커버(100)는 전방과 후방이 각각 캐비닛(10)과 결합될 수 있다.
종래의 세탁기의 탑 커버의 경우 탑 커버의 전방부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스크류 결합을 통해 탑 커버와 캐비닛을 결합하였다. 스크류 결합에 의할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후크 결합되는 것 보다 더 탑 커버와 캐비닛과의 결합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으나, 스크류 체결 구조가 전방 또는 상방 측에 노출되어 세탁기의 심미감을 저해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탑 커버가 플라스틱 사출이 아닌 금속부재로 형성되는 경우, 금속부재로 형성되는 탑 커버의 전방부에 스크류 결합을 위한 스크류 결합 홀을 형성하는 것이 제조 공정 상 어려워 세탁기의 제조성을 떨어트리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의 세탁기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에서 회피되는 세탁기의 배면 측은 스크류 결합이 체결되고 사용자의 시선 상에 마련되는 세탁기의 전면 측은 탑 커버의 내측에서 탑 커버와 캐비닛을 결합시키는 후크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이 체결되었다.
이 때, 상술한 방법의 탑 커버 결합 방식의 경우, 세탁기의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거나, 세탁조 내부에서의 이상 진동으로 세탁기의 상측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 탑 커버와 캐비닛의 후크 결합에서 후크가 이탈되어 탑 커버가 캐비닛의 상측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1)는 탑 커버(100)가 캐비닛(10) 상측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비닛(10)의 상측에 마련되는 핀부재(200)를 추가로 포함하여, 핀부재(200)에 의해 탑 커버(100)가 캐비닛(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탑 커버(100)의 이탈은 방지하는 핀부재(200)와 상부 플랜지(19)에 핀부재(200)를 고정시키는 고정 브래킷(3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B-B'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핀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고정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부재(200)는 캐비닛(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핀부재(200)는 상부 플랜지(19)에 삽입되어 캐비닛(10)에 지지될 수 있다.
상부 플랜지(19)는 핀부재(2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홀(19a)을 포함하여 핀부재(200)가 상부 플랜지(19)에 삽입될 수 있다. 핀부재(200)는 대략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탑 커버(100) 내측에 배치되는 관통 홀(104)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관통 홀(104)은 후크 홀(102)과 가이드 홀(103)과 동일하게 탑 커버(100)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어, 자세하게는 탑 커버(100)의 하단부에서 절곡되어 수평하게 연장되는 플랜지 형태에 마련되어 탑 커버(100)가 캐비닛(10)과 결합될 시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탑 커버(100)와 캐비닛(10)이 결합될 시, 1차적으로 관통 홀(104)이 핀부재(200)를 통과하면서 탑 커버(100)가 상부 플랜지(19) 상측에 배치되고 이 후 상술한 바와 같이 후크 결합부재(210)와 스크류 결합부재(230)에 의해 탑 커버(100)가 캐비닛(10)과 결합될 수 있다.
관통 홀(104)은 이하에서 설명할 핀부재(200)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이탈방지부()를 통과하여 상부 플랜지(19)와 마주하고 상부 플랜지(19)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위치(A)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부재(200)는 상부 플랜지(19)의 결합 홀(19a)에 삽입되는 결합부(201)와 결합부(201)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관통 홀(104)의 제 1위치(A)와 대응되게 위치하는 관통부(202)와 관통부(202)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핀부재(200)가 캐비닛(10)의 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핀부재(200)를 절곡시키는 절곡부(203)와 절곡부(203)에서 캐비닛(10)의 전방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이탈방지부(204)와 이탈방지부(204)에서 다시 상향으로 절곡되어 캐비닛(10)의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부(20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201)의 하측으로 연결되고 후술한 고정 브래킷(300)과 결합부(201)와 결합 시 고정 브래킷(300)을 구속하는 구속부(2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19)의 결합 홀(19a)에 삽입되는 핀부재(200) 중 일부 구간일 수 있다. 결합부(201)는 결합부(201) 하측으로 연장되는 구속부(26)와 함께 결합 홀(19a)에 삽입되어 상부 플랜지(19)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201)와 구속부(206)는 결합 홀(19a)에 삽입되기 위해 결합 홀(19a)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거나 결합 홀(19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201)의 일측에는 후술할 고정 브래킷(300)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면(201a)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면(201a)은 한 쌍으로 마련되고 캐비닛(10)의 측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201)의 고정면(201a)에 의해 결합부(201)의 적어도 어느 일부의 직경은 구속부(206)의 적어도 어느 일부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면(201a)보다 구속부(206)의 외주면이 더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어 후술할 고정 브래킷(300)이 하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하술한다.
결합부(201)의 상측으로는 관통부(202)가 연장될 수 있다. 관통부(202)는 관통 홀(104)이 탑 커버(100)와 캐비닛(10)이 결합될 시 배치되는 제 1위치(A)와 대응되는 핀부재(200)의 일부 구간으로 볼 수 있다.
관통부(202)는 결합홀(19a)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부(202)는 핀부재(200)가 결합홀(19a) 내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스탑퍼 역할을 할 수 있다.
관통부(202)의 상측으로는 절곡부(203)가 마련될 수 있다. 절곡부(203)는 상향 연장되는 핀부재(200)를 캐비닛(10)의 전방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핀부재(200)의 일부 구간을 절곡시킬 수 있다.
절곡부(203)에 의해 캐비닛(10)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에는 이탈방지부(204)가 마련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204)는 결합부(201)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핀부재(200)의 일부 구간으로 관통 홀(104)이 핀부재(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이탈방지부(204)의 상측에는 결합부(201)의 연장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205)가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205)는 경사지게 연장되는 이탈방지부(204)의 상측단에서 캐비닛(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절곡되는 핀부재(200)의 일부구간일 수 있다.
가이드부(205)는 사용자가 탑 커버(100)를 캐비닛(10)과 결합시킬 시, 관통 홀(104)이 핀부재(200)를 통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사용자가 탑 커버(100)를 결합시키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탑 커버(100)를 상하 방향으로 캐비닛(10)과 결합시킬 수 있는데 핀부재(200)의 일단이 이탈방지부(204)와 같이 상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관통 홀(104)과 핀부재(200)가 탑 커버(100)와 캐비닛(10)과의 결합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결합되게 되어 사용자가 관통 홀(104)을 핀부재(200)에 통과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부(205)는 캐비닛(10)의 수직 상향방향으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관통 홀(104)을 핀부재(200)로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세탁기(1)는 결합 홈(19a)에 삽입된 결합부(201)를 지지하기 위해 상부 플랜지(19)의 하측으로는 결합부(201)를 고정시키는 고정 브래킷(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브래킷(300)은 장변(301)을 포함하는 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고정 브래킷(300)의 일측으로 절개되어 결합부(201)의 결합면(201a)과 결합되어 결합부(201)를 고정시키는 고정 홈(31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홈(310)은 고정 브래킷(300)의 일측으로 'ㄷ' 형상으로 절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고정 홈(310)의 양단에는 고정 면(311)이 형성되어 결합부(201)의 결합면(201a)이 고정 홈(310)에 삽입되면서 고정면(311)과 결합면(201a)이 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고정 브래킷(300)은 상부 플랜지(19)의 하측에서 캐비닛(10)의 측면 방향으로 결합부(201)와 결합될 수 있는데 고정 브래킷(300)의 일측으로 절개된 고정 홈(310)에 결합부(201)가 삽입되면서 고정 브래킷(300)이 결합부(201)를 상부 플랜지(19)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201) 하측으로 연장되는 구속부(206)는 고정 브래킷(300)과 결합부(201)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브래킷(300)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 브래킷(300)의 하측을 구속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고정 브래킷(300)을 상부 플랜지(19) 하측에 결합시키기 위해 고정 브래킷(300)에는 보조 결합 홀(320)이 마련될 수 있다. 보조 결합 홀(320)은 상부 플랜지(19)를 관통하여 상부 플랜지(19)와 고정 브래킷(300)을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는 스크류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브래킷(300)은 상부 플랜지(19)의 하측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고정 브래킷(300)에 의해 핀부재(200)를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핀부재와 대응되는 구성을 상부 플랜지(19)에 스크류 결합하는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핀부재(200)는 단순하게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 형상이 아니고 일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스크류 체결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핀부재(200)를 상부 플랜지(19)와 결합시키는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단순하게 고정 브래킷(300)을 캐비닛(10) 측면 방향으로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브래킷(300)은 장변(301)을 포함하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 고정 브래킷(300)이 상부 플랜지(19) 하측에 결합되는 경우, 상부 플랜지(19)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상부 플랜지(19)가 외력에 의해 충격을 받게 되어도 고정 브래킷(300)에 의해 강성이 향상되어 파손되지 않아 상부 플랜지(19)의 파손에 의해 탑 커버(100)와의 결합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탈방지부(204)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탈방지부(20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절곡부(203)에 의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핀부재(200)의 일부 구간이다.
세탁기(1)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회전조(12) 내부에서 세탁되는 포의 불균형적인 배치로 이상 회전이 발생되어 캐비닛(10) 상측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 탑 커버(100)가 상측 방향으로 힘을 받아 캐비닛(10)의 상측으로 이탈될 수 있는데. 이탈방지부(204)는 탑 커버(100)가 상측으로 이탈될 시 탑 커버(100)와 연동되어 상측으로 이탈되는 관통 홀(104)의 이동을 제한하여 탑 커버(100)가 캐비닛(100)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탑 커버(100)의 배면측은 스크류 결합부재(230)에 의해 탑 커버(100)와 캐비닛(10)이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반면, 탑 커버(100)의 전방측은 후크 결합부재(210)에 의해 캐비닛(10)과 결합되는데 탑 커버(100)가 상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후크(211)와 후크 홀(102)간의 후크 결합이 풀리면서 후크 홀(102)이 후크(211)에서 이탈되면서 탑 커버(100)의 전방부가 캐비닛(10)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탑 커버(100)의 전방부가 캐비닛(10)에 대해 상측으로 이탈되는 경우 관통 홀(104)의 이동을 소정의 거리로 제한하여 탑 커버(100)가 캐비닛(10)에서 완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탈방지부(204)는 절곡부(203)에서 대략 25도 내지 35도로 경사지게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 탑 커버(100)와 함께 관통 홀(104)이 제 1위치(A)에서 상측으로 이동될 경우 이탈방지부(204)의 외주면을 이루는 이탈방지면(204a)과 접하게 되어 이탈방지부(204)의 상단측의 제 2위치(B)까지 상승되는 것이 제한되고 중력에 의해 다시 하측으로 떨어져 제 1위치(A)로 복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관통 홀(104)은 이탈방지부(204)에 의해 제 1위치(A)와 제 2위치(B) 사이에서만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 2위치(B)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어 탑 커버(100)가 캐비닛(10)으로부터 완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위치(A)와 제 2위치(B)의 수평거리를 이탈방지거리(X)라고 정의할 때, 관통홀(104)은 이탈방지거리(X) 사이에서만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탑 커버(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탈방지부(204)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 소정의 거리로 형성되는 이탈방지거리(X)를 확보하여 관통 홀(104)이 핀부재(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절곡부(203)의 경사각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25도에서 35도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각도()가 25도 이하일 경우, 이탈방지거리(X)가 증가하여 관통 홀(104)이 핀부재(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나, 경사각도()가 너무 낮게 형성되어 관통 홀(104)이 핀부재(200)를 통과하는 것이 어려워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경사각도()가 35도 이상으로 마련될 경우 이탈방지거리(X)가 짧아져 관통 홀(104)이 이탈방지거리(X)를 벗어날 수 있어 관통 홀(104)이 핀부재(200)를 이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탑 커버(100)가 캐비닛(10)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각도()는 바람직하게 25도와 35도 사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핀부재(200)를 통과하는 관통 홀(104)과 관통 홀(104)이 핀부재(200) 상에서 이동되는 특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관통홀이 핀부재를 통과하기 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관통 홀이 핀부재를 이탈하기 시작할 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관통 홀이 팬부재를 이탈할 시 제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커버(100)가 캐비닛(10)에 결합될 시 탑 커버(100)는 상하 방향으로 캐비닛(1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1차적으로 캐비닛(10) 내측에 마련되는 관통 홀(104)을 핀부재(200)에 통과시킬 수 있다.
이 때, 관통 홀(104)을 용이하게 핀부재(200)에 통과시키기 위해 핀부재(200)의 상단에 마련되는 가이드부(205)를 통해 관통 홀(104)을 쉽게 핀부재(200) 측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205)를 통과한 관통 홀(104)은 이탈방지부(204)와 절곡부(203)를 거쳐 제 1지점(A)과 대응되는 관통부(202)에 배치될 수 있다. 관통 홀(104)이 관통부(202)에 배치될 시 탑 커버(100)의 전방부는 후크 결합부재(210)와 결합되고 탑 커버(100)의 후방부는 스크류 결합부재(230)와 결합될 수 있다.
이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커버가 상측으로 힘을 받을 경우 탑 커버(10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관통 홀(104)도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탑 커버(100)의 후방부는 스크류 결합부재(230)에 의해 결합되어 일반적으로 탑 커버(100)의 전방부가 우선적으로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 홀(104)도 전방측이 더 상향 경사진 상태로 전체적으로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관통 홀(104)이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이탈방지부(204)의 이탈방지면(204a)과 접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관통 홀(204)의 어느 일측은 이탈방지면(204a) 상의 접점(204b)과 접하게 되고 이에 따라 관통 홀(204)이 접점(204b)보다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접점(204b)는 관통 홀(204)이 상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측으로 관통 홀(204)을 가압할 수 있다. 접접(204b)은 제 1지점(A)과 제 2지점(B) 사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면(204a) 상에 형성되어 관통 홀(204)이 제 2지점(B)보다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커버(100)의 전방 측뿐만 아니라 후방측이 상측으로 가압되어도 관통 홀(104)은 이탈방지부(204) 내에서만 이동될 수 있어 탑 커버(100)가 캐비닛(10)에서 완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탑 커버(100)의 후측이 상승되어도 관통 홀(104)은 이탈방지면(204a)과 접하게 마련될 수 있어 접점(204b)이 이탈방지면(204a)의 전방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관통 홀(104)이 더 상승할 경우 이탈방지면(204a)의 후방측과 관통 홀(104)이 접할 수 있어 이탈방지면(204a)의 후방측에 접점(204b)이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느 방향으로 관통 홀(104)이 상승하여도 이탈방지부(204)을 이탈할 수 없으며, 또는 이탈방지거리(X) 안에서만 관통 홀(104)이 이동될 수 있으며 관통 홀(104)은 제 2지점(B) 보다 상측으로 이동될 수 없어 탑 커버(100)가 캐비닛(10)에 대해 소정 거리 이동될 수는 있으나 관통 홀(104)의 이동이 핀부재(200)에 의해 제한되는 바 탑 커버(100)가 캐비닛(10)을 이탈할 수 없고 소정 거리 이동된 뒤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탑 커버(100)가 캐비닛(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세탁기 10 : 캐비닛
100: 탑 커버 101: 도어
102: 후크 홀 103: 가이드 홈
104: 관통 홀 200: 핀부재
201 : 결합부 202 : 관통부
203 : 절곡부 204 : 이탈방지부
205 : 가이드부 206: 구속부
300 : 고전브래킷 310 : 고정 홈
320 : 보조 결합 홀

Claims (20)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상측에 배치되는 핀부재; 및
    상기 핀부재가 관통되는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 상측에 결합되는 탑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재는,
    상기 캐비닛과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이탈방지부로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 홀을 통과하여 상기 탑 커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이탈방지부의 상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로서, 상기 관통 홀이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이탈방지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의 상단부에서 절곡되는 상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랜지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 홀을 포함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은 상기 탑 커버가 상기 상부 플랜지와 결합될 시 제 1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관통 홀이 상기 제 1위치에서 이탈될 시 상기 탑 커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관통 홀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게 마련되는 세탁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에 대한 상기 이탈방지부의 경사 각도는 35도 이하인 세탁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홀에 삽입된 상기 결합부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상부 플랜지 하측에서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고정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은 일측으로 절개되는 고정 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홈은 상기 캐비닛의 측면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세탁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하 방향으로 스크류 체결되도록 마련되는 보조 결합 홀을 포함하는 세탁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이 상기 결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 브래킷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속부의 어느 일측의 직경은 상기 결합부의 어느 일측의 직경보다 대응되거나 크게 마련되는 세탁기.
  9. 삭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는 상기 상부 플랜지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세탁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의 전면측에 마련되고, 상기 탑 커버와 후크 결합하는 후크 부재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과 상기 탑 커버를 스크류 결합시키는 스크류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이탈방지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변을 가지는 장공을 포함하는 세탁기.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은 상기 제 1위치에서 이탈될 시 상기 이탈방지부의 적어도 일측과 접하는 제 2위치까지 상승 가능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적어도 일측은 상기 관통 홀이 제 2위치에 위치할 시 상기 관통 홀이 상기 제 1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관통 홀을 가압하는 세탁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는,
    상기 관통 홀이 안착되는 제 1지점과,
    상기 제 1지점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 2지점과,
    상기 제 1지점과 상기 제 2지점 사이의 수평거리를 이탈방지거리로 정의할 때, 상기 탑 커버가 상기 캐비닛에서 이탈될 시 상기 관통 홀이 상기 이탈방지거리 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제 2지점이 상기 제 1지점에 대해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캐비닛의 상단부에서 절곡되는 상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절곡부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플랜지와 결합되는 세탁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과 결합된 상기 결합부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상부 플랜지 하측에서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고정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 2지점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세탁기.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수평 방향에 대해 상기 절곡부가 절곡되는 각도는 35도인 세탁기.
  20. 상단부에서 절곡되는 상부 플랜지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측에 배치되며, 관통 홀을 포함하는 탑 커버;
    상기 탑 커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상부 플랜지에 결합되는 핀부재; 및
    상기 상부 플랜지와 결합된 상기 핀부재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상부 플랜지 하측에서 상기 핀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캐비닛의 측면 방향으로 상기 핀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캐비닛의 측면 방향으로 절개되는 고정 홈과 상기 상부 플랜지와 결합되도록 상기 캐비닛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 홀을 포함하는 고정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핀부재는,
    상기 캐비닛과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이탈방지부로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 홀을 통과하여 상기 탑 커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이탈방지부의 상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로서, 상기 관통 홀이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이탈방지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20160178576A 2016-12-23 2016-12-23 세탁기 Active KR102721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576A KR102721649B1 (ko) 2016-12-23 2016-12-23 세탁기
CN201780087347.6A CN110337510B (zh) 2016-12-23 2017-11-10 洗衣机
PCT/KR2017/012743 WO2018117418A2 (ko) 2016-12-23 2017-11-10 세탁기
EP17882901.6A EP3543389B1 (en) 2016-12-23 2017-11-10 Washing machine
US16/473,067 US11384474B2 (en) 2016-12-23 2017-11-10 Washing machine having pin member with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576A KR102721649B1 (ko) 2016-12-23 2016-12-23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479A KR20180074479A (ko) 2018-07-03
KR102721649B1 true KR102721649B1 (ko) 2024-10-25

Family

ID=62627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576A Active KR102721649B1 (ko) 2016-12-23 2016-12-23 세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84474B2 (ko)
EP (1) EP3543389B1 (ko)
KR (1) KR102721649B1 (ko)
CN (1) CN110337510B (ko)
WO (1) WO201811741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15666S1 (en) * 2021-11-01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D1015657S1 (en) * 2021-11-01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DE102023101373A1 (de) 2023-01-20 2024-07-25 Miele & Cie. Kg Deckelvorrichtung für ein Gerätegehäuse eines Behandlungsgerätes und Behandlungsgerä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4549A (en) * 1995-04-26 1996-12-17 General Electric Company Front serviceable appliance cabinet
KR20020042168A (ko) * 2000-11-30 2002-06-05 구자홍 드럼세탁기의 상부덮개 고정용 홀더
DE60311480T2 (de) * 2002-09-13 2007-10-31 Lg Electronics Inc. Schrank für waschmaschine sowie entsprechende waschmaschine
KR20050081454A (ko) 2004-02-13 200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탑 플레이트 설치 구조
KR100671843B1 (ko) 2004-10-11 2007-01-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캐비넷 프론트 커버 결합구조
KR100908057B1 (ko) 2007-08-03 2009-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S2383258T3 (es) * 2010-02-09 2012-06-19 Miele & Cie. Kg Máquina para el tratamiento de la colada o máquina lavavajillas con una carcasa
US8215729B2 (en) * 2010-04-13 2012-07-10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cabinet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KR101780184B1 (ko) * 2011-02-24 2017-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2165595B1 (ko) 2013-11-22 202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318188B1 (ko) * 2014-02-11 2021-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2257624B1 (ko) * 2015-01-05 2021-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7418A3 (ko) 2018-08-16
EP3543389A4 (en) 2019-10-16
US20190330782A1 (en) 2019-10-31
CN110337510B (zh) 2022-05-17
EP3543389A2 (en) 2019-09-25
CN110337510A (zh) 2019-10-15
US11384474B2 (en) 2022-07-12
WO2018117418A2 (ko) 2018-06-28
KR20180074479A (ko) 2018-07-03
EP3543389B1 (en) 202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8756B2 (en) Gasket and a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EP1424429A1 (en) Washing machine with special cabinet construction
KR102721649B1 (ko) 세탁기
KR20150005060A (ko) 세탁기
EP3342917B1 (en) Laundry machine
KR20080037420A (ko) 드럼세탁기
EP3620568B1 (en) Washing machine
US8746019B2 (en) Tub with overflow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11540695B2 (en) Dishwash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improve drying performance
KR101962133B1 (ko) 탑로딩 세탁기
US20050257577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249139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CN108691141A (zh) 洗衣机
CN113355860A (zh) 洗涤物处理设备
KR10222929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20240035221A1 (en) Washing machine
KR10249138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8845041B2 (en) Washing machine
KR20120136801A (ko) 드럼세탁기
JP2023015563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229472B1 (ko) 세탁기
KR20160029517A (ko) 탑로드 타입 세탁기
KR20050047766A (ko) 드럼세탁기
KR20040006208A (ko) 세탁기의 렉 장착구조
KR20140073910A (ko) 드럼세탁기의 드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2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