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1519B1 -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 - Google Patents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1519B1
KR102721519B1 KR1020240073305A KR20240073305A KR102721519B1 KR 102721519 B1 KR102721519 B1 KR 102721519B1 KR 1020240073305 A KR1020240073305 A KR 1020240073305A KR 20240073305 A KR20240073305 A KR 20240073305A KR 102721519 B1 KR102721519 B1 KR 102721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nerator
guide frame
guide
flame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7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균하
Original Assignee
(주)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씨티 filed Critical (주)이씨티
Priority to KR1020240073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1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1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151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2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a vertical, substantially cylindrical,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12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plastics, e.g. rub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5/00Blast-producing apparatus before the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소각실의 내부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노즐의 에어 유입단 내경보다 에어 토출단의 내경을 작게 형성하는 에어공급부와, 상기 소각실의 내부에 제1가이드프레임과 제2가이드프레임을 설치하여 화염을 소각실의 중앙으로 유도하는 화염유도부로 형성하되, 제1가이드프레임과 제2가이드프레임의 내측면에 메인경사홈과 가이드경사홈을 교호로 형성하므로 소각실로 각종 폐기물 등을 투입하여 연소시킬 때, 화염이 상승하면서 에어분사노즐의 분사압 상승으로 화염을 소각실의 중앙으로 유도함과 동시에 화염이 상승하면서 제1가이드프레임과 제2가이드프레임의 메인경사홈과 가이드경사홈을 거쳐 화염을 점진적으로 소각실의 중앙으로 이동하고 이로 인하여 에어와 연소가스 및 화염이 최적의 연소상태 유지하므로, 폐 플라스틱 등 각종 폐기물 등의 소각에 따른 완벽하고 효율적으로 연소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유해가스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완전 연소를 실현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힐 수 있다.

Description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Incineration furnace combustion system for complete combustion}
본 발명은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소각로의 화염을 효율적으로 유도하여 완전 연소를 실현하도록 하는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증가와 산업의 발달로 음식물 쓰레기와 일반폐기물 및 산업폐기물의 발생량 또한 급증추세에 있으며, 이들로 인한 각종 공해가 사회문제로 크게 대두됨에 따라 이들 폐기물의 처리와 처리에 따른 법적 안전기준치를 마련하여 엄격히 규제하고 있으며, 아울러 학계와 업계에서는 그 처리수단과 방법들에 대해서 많은 고심과 더불어 꾸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폐기물의 처리방법으로는 매립ㆍ재생ㆍ소각 등의 방법들이 있으나, 전근대적인 매립방법은 매립지의 절대부족에 따른 한계성과 미분해 폐기물과 침출수에 의한 환경오염의 요인이 있으므로 거의 이용되고 있지 않는 방법이다.
따라서, 폐기물을 크게 감량시키면서 또한 폐열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소각방법이 현재의 주된 처리방법으로 선호되고 있으나 폐기물의 미연소 불완전 연소에 따른 환경유해가스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소각에 의해 발생되는 유해환경 오염가스로는 독극물로 분류되는 다이옥신ㆍ산화질소물(NOx)ㆍ황산화물(SOx)ㆍ탄화수소(CxHx) 등이 있다.
한편, 폐기물 소각방법의 처리수단인 소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캐스타블과 같은 내화재(Refractory Materials)로 둘러쌓인 소각로의 후단에 연소가스 등이 배출되는 덕트(Duct)와 싸이클론(Cyclone)과 같은 다단 집진시설 및 연돌이 설치되며, 상기 소각로의 후단에 바로 설치되어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덕트(duct)는 소각로의 단면적 보다 다소 작거나 훨씬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그러나 소각로는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집진장치의 흡기팬으로 강제흡입시켜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구성으로 버너의 화염이 소각실의 가장자리를 타고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소각실의 중앙 부분에서 불완전 연소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에어공급장치를 추가 설치하거나 기존 설비를 대폭 확장하여 토출압을 높히거나, 2차 연소실과 같은 재연소 장치와 집진장치를 다단으로 설치하여 완전연소를 유도하여 이들 유해 환경 오염가스의 연소 및 분진제거 효율을 다소 향상시킬 수도 있으나 유해 환경오염가스를 완전히 연소시키거나 제거하기에는 근원적으로 어려울 뿐 아니라 설비물 증설에 따른 설치공간과 설비비 및 유지비가 급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기술로는 특허 공개번호 제10-1999-0078857호(명칭: 소각로의 제1차 연소가스를 완전연소하기 위한 발열체를 갖는 제2차 연소장치)와 특허 공개번호 제10-2001-0097743호(명칭: 금속코일을 이용한 소각로 배출가스의 완전 연소방법 및 그 장치)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소각로의 소각실 화염을 효율적으로 유도하여 완전 연소를 실현하도록 하므로 유해가스의 발생을 억제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에너지 효율 향상시키도록 하는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은 소각실의 내부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노즐의 에어 유입단 내경보다 에어 토출단의 내경을 작게 형성하는 에어공급부와, 상기 소각실의 내부에 제1가이드프레임과 제2가이드프레임을 설치하여 화염을 소각실의 중앙으로 유도하는 화염유도부로 형성함을 기술적 구성상 기본 특징으로 하되, 제1가이드프레임과 제2가이드프레임의 내측면에 메인경사홈과 가이드경사홈을 교호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은 각종 폐기물 등을 소각실로 투입하여 연소시킬 때, 화염이 상승하면서 에어분사노즐의 분사압 상승으로 화염을 소각실의 중앙으로 유도함과 동시에 화염이 상승하면서 제1가이드프레임과 제2가이드프레임의 메인경사홈과 가이드경사홈을 거쳐 화염을 점진적으로 소각실의 중앙으로 유도하므로, 에어와 연소가스 및 화염이 최적의 연소상태 형성하므로, 폐 플라스틱 등 각종 폐기물 등의 소각에 따른 완전하고 효율적으로 연소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유해가스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완전 연소를 실현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을 적용한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의 제1, 2가이드프레임을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의 제1, 2가이드프레임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가 같다.
도 1 내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은 소각실(10)의 내부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노즐(111)의 에어 유입단 내경보다 에어 토출단의 내경을 작게 형성하는 에어공급부(110)와, 상기 소각실(10)의 내부에 제1가이드프레임(121)과 제2가이드프레임(122)을 설치하여 화염을 소각실(10)의 중앙으로 유도하는 화염유도부(120)로 구성한다.
상기 에어공급부(110)는 에어분사노즐(111)을 소각로(1)의 외벽을 관통시켜 형성하되 수평선상으로 다수개 순차적으로 형성하되 이와 같이 다수개의 에어분사노즐(111)을 상하로도 다수개 형성하여 충분하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에어분사노즐(111)의 에어 유입단 내경보다 에어 토출단의 내경을 작게 형성하여 토출압을 상승시키므로, 별도의 에어공급장치의 설치나 용량 확대 없이도 강한 토출압으로 에어를 소각로(1)의 소각실(10) 중앙으로 버너(20)의 화염을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에어분사노즐(111)의 유입단과 토출단의 내경 비율을 5 : 1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염유도부(120)는 소각실(10)의 내측면에 상하 2단으로 제1가이드프레임(121)과 제2가이드프레임(122)을 형성하되 내측면에 메인경사홈(123)과 가이드경사홈(124)을 교호로 형성하고 지지바(125)를 이용하여 소각로(1)의 하우징에 견고하게 결합한다.
또한, 제1가이드프레임(121)과 제2가이드프레임(122)의 외측면도 경사지게 형성하여 에어분사노즐(111)로부터 분사하는 토출에어를 소각실(20)의 중앙으로 유도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가이드프레임(121)과 제2가이드프레임(122)의 메인경사홈(123)과 가이드경사홈(124)을 동일 경사 선상으로 형성하되 제2가이드프레임(122)의 상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소각실(10)의 중앙 측으로 형성하여 버너(20)의 화염토출구(21)에서 분사하는 화염을 점진적으로 소각실(10)의 중앙으로 유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제1가이드프레임(121)과 제2가이드프레임(122)은 상하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되 제1가이드프레임(121)과 제2가이드프레임(122) 각각을 에어공급부(110)의 상하 에어분사노즐(11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화염을 중앙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제1가이드프레임(121)과 제2가이드프레임(122)의 내측면에 돌출시킨 단면에 형성한 가이드경사홈(124)은 상하로 하프 파이프 형상의 형상으로 형성하므로 버너(20)의 화염을 소각실(10)의 중앙으로 더욱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화염유도부(120)의 제1가이드프레임(121)과 제2가이드프레임(122)의 메인경사홈(123)과 가이드경사홈(124)에 의해 폐 플라스틱 등 각종 폐기물 등의 소각에 따른 유해가스를 완벽하고 효율적으로 연소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완전 연소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버너(20)를 작동시켜 소각로(1)의 소각실(10) 내로 화염토출구(21)에서 화염을 토출하도록 함과 동시에 하부에어분사부(30)에서 공기를 공급하면서 각종 폐기물 등을 소각실(10)로 투입하여 연소시킨다.
이때, 화염이 상승하면서 에어분사노즐(111)의 강한 분사압으로 화염을 소각실(10)의 중앙으로 유도함과 동시에 상승하면서 제1가이드프레임(121)과 제2가이드프레임(122)의 메인경사홈(123)과 가이드경사홈(124)을 거쳐 화염을 점진적으로 소각실(10)의 중앙으로 유도하므로 에어와 연소가스 및 화염 최적의 연소상태로 유도하는 것으로, 폐 플라스틱 등 각종 폐기물 등의 소각에 따른 완벽하고 효율적으로 연소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유해가스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완전 연소를 실현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힐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 또는 단계의 치환 등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소각로 10 : 소각실
20 : 버너 21 : 화염토출구
30 : 하부에어분사부 110 : 에어공급부
111 : 에어분사노즐 112 : 유입단
113 : 토출단 120 : 화염유도부
121 : 제1가이드프레임 122 : 제2가이드프레임
123 : 메인경사홈 124 : 가이드경사홈
125 : 지지바

Claims (5)

  1. 소각실(10)의 내부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노즐(111)의 에어 유입단 내경보다 에어 토출단의 내경을 작게 형성하는 에어공급부(110)와,
    상기 소각실(10)의 내부에 제1가이드프레임(121)과 제2가이드프레임(122)을 설치하여 화염을 소각실(10)의 중앙으로 유도하는 화염유도부(120)로 구성하되,
    상기 화염유도부(120)는 소각실(10)의 내측면에 상하 2단으로 제1가이드프레임(121)과 제2가이드프레임(122)을 형성하고 내측면에 메인경사홈(123)과 가이드경사홈(124)을 교호로 형성하고 지지바(125)를 이용하여 소각로(1)의 하우징에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부(110)는 에어분사노즐(111)을 소각로(1)의 외벽을 관통시켜 형성하되 수평선상으로 다수개 순차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에어분사노즐(111)을 상하로 다단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유도부(120)는 제1가이드프레임(121)과 제2가이드프레임(122)의 외측면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제1가이드프레임(121)과 제2가이드프레임(122)의 메인경사홈(123)과 가이드경사홈(124)을 동일 경사 선상으로 형성하되, 제1가이드프레임(121)과 제2가이드프레임(122) 각각을 에어공급부(110)의 상하 에어분사노즐(11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유도부(120)는 제1가이드프레임(121)과 제2가이드프레임(122)의 내측면에 가이드경사홈(124)을 돌출시켜 형성하되 경사 단면을 하프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
  5. 삭제
KR1020240073305A 2024-06-04 2024-06-04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 Active KR102721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73305A KR102721519B1 (ko) 2024-06-04 2024-06-04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73305A KR102721519B1 (ko) 2024-06-04 2024-06-04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21519B1 true KR102721519B1 (ko) 2024-10-24

Family

ID=93287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73305A Active KR102721519B1 (ko) 2024-06-04 2024-06-04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15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2427A (ja) * 1997-10-24 1999-05-21 Mitsubishi Materials Corp 焼却炉
KR101727627B1 (ko) * 2016-04-25 2017-05-02 최혁순 유해가스 재연소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2427A (ja) * 1997-10-24 1999-05-21 Mitsubishi Materials Corp 焼却炉
KR101727627B1 (ko) * 2016-04-25 2017-05-02 최혁순 유해가스 재연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627B1 (ko) 유해가스 재연소 장치
KR101748390B1 (ko) 어망 폐기물 소각용 소각기
KR102721519B1 (ko) 완전 연소를 위한 소각로의 연소시스템
KR101160055B1 (ko) 수평형연소기
JP2008057906A (ja) 低公害焼却処理装置
CN1301384C (zh) 生活垃圾焚烧处理工艺及垃圾焚烧炉
KR101160053B1 (ko) 수직형연소기
KR100249104B1 (ko) 산업폐기물 소각방법 및 그 장치
KR102077820B1 (ko) 연소효율이 향상된 수소 소각로
KR101191143B1 (ko) 가연성 폐자원 폐기물 연소장치
KR102198134B1 (ko) 수소 소각로의 연소부 구조
JP2001108221A (ja) 焼却炉
KR102750679B1 (ko) 다목적 소각연소기
JP3092470B2 (ja) 二回流式ごみ焼却炉
KR102492110B1 (ko) 폐플라스틱 하향식 소각시스템
KR0165921B1 (ko) 자연통풍식 소각로
CN214406067U (zh) 免能源空气压流燃烧立式高温焚化炉
CN2788032Y (zh) 高温炭化垃圾焚烧炉
KR100209768B1 (ko) 수냉식 소형소각로에서 세라믹을 사용하는 완전연소기
CN214745737U (zh) 一种焚烧炉
KR100477097B1 (ko) 폐기물 소각 장치
KR100704176B1 (ko) 재연소 소각보일러
KR200280836Y1 (ko) 고온 수증기 분해 연소기를 이용한 고형화 쓰레기 소각로
KR101138693B1 (ko) 연소가스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각 시스템
KR200280837Y1 (ko) 고온 수증기 분해 연소기를 이용한 액상 쓰레기 소각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6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