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21481B1 -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panel vibration typ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panel vibration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21481B1 KR102721481B1 KR1020230078487A KR20230078487A KR102721481B1 KR 102721481 B1 KR102721481 B1 KR 102721481B1 KR 1020230078487 A KR1020230078487 A KR 1020230078487A KR 20230078487 A KR20230078487 A KR 20230078487A KR 102721481 B1 KR102721481 B1 KR 1027214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generating
- sound
- cover bottom
- display panel
- display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04R9/027—Air gaps using a magnetic flui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2—Aspects regarding the stray flux internal or external to the magnetic circuit, e.g. shielding, shape of magnetic circuit, flux compensation co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표시패널을 직접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형태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인 커버버텀에 형성된 지지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삽입시켜 고정하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외곽부와 표시장치 지지구조인 커버버텀 사이에 반사음 방지용 밀봉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지지홀 사이의 간극(S)을 통한 음향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반사음 방지용 밀봉부재를 상이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이중 밀봉부로 형성하고, 그 이중 밀봉부의 재료(탄성계수) 및 높이를 최적화함으로써, 음향누설을 방지하면서도 밀봉부재의 커버버텀 접촉에 따른 소음(Noise)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display device that directly vibrates a display panel to generate sound, wherein a sound-generating actuator is inserted and fixed into a support hole formed in a cover bottom, which is a support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and a reflection-preventing seal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an outer portion of the sound-generating actuator and the cover bottom, which is a support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thereby preventing sound leakage through a gap (S) between the sound-generating actuator and the support hole. In particular, by forming the reflection-preventing sealing member as a double sealing member having different elastic coefficients and optimizing the material (elastic coefficient) and height of the double sealing member, sound leakage can be prevented while also preventing noise due to contact of the sealing member with the cover bottom.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패널을 직접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형태의 표시 장치와 그를 위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isplay device that generates sound by directly vibrating a display panel, and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sound-generating actuator therefor.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이에 적용할 수 있는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As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laptop computers develop, the demand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s applicable to these devices is increasing.
평판 표시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등이 연구되고 있다.Flat panel display devices being studied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plasma display panels,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s,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s.
이러한 표시장치 중 액정 표시장치(LCD)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그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물질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화소 영역의 양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의 배열 상태가 조절되고 그에 따라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Among these display devic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is a device that includes an array substrate including thin film transistors, an upper substrate equipped with color filters and/or black matrices, and a liquid crystal material layer formed therebetween, and in which the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 layer is controlled according to an electric field applied between the two electrodes of a pixel area, and thus the light transmittance is controlled, thereby displaying an image.
이러한 액정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은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제공하는 표시 영역(active area, AA)과 상기 표시영역(AA)의 주변 영역인 비표시 영역(non-active area, NA)으로 정의되며, 표시 패널은 통상 박막 트랜지스터 등이 형성되어 화소영역이 정의되는 어레이기판인 제1기판과, 블랙매트릭스 및/또는 칼라필터층 등이 형성된 상부 기판으로서의 제2기판이 합착되어 제조된다.The display panel of such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defined by a display area (active area, AA) that provides images to the user and a non-display area (non-active area, NA)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AA). The display panel is manufactured by bonding a first substrate, which is an array substrate on which thin film transistors, etc. are formed to define pixel areas, and a second substrate as an upper substrate on which a black matrix and/or color filter layer, etc. are formed.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어레이기판 또는 제1기판은 다시,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과,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을 포함하며, 각각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의하여 하나의 화소영역(Pixel; P)이 정의된다. 하나의 화소영역(P) 내에는 1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며, 각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또는 소스 전극은 각각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An array substrate or a first substrate on which a thin film transistor is formed again includes a plurality of gate lines (GL)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data lines (DL)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one pixel area (Pixel; P) is defined by each gate line and each data line. One or more thin film transistors are formed within one pixel area (P), and a gate or source electrode of each thin film transistor can be connected to a gate line and a data line, respectively.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 중에서 액정 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요소를 갖지 못하는 소자이므로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배면에 LED와 같은 광원을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이 마련되어 액정 패널 전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서 비로소 식별 가능한 화상이 구현된다.Among these flat panel displays, liquid crystal displays are devices that do not have their own light-emitting elements, so they require a separate light source. Accordingly, a backlight unit equipped with a light source such as an LED is provided on the back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front of the liquid crystal panel, thereby realizing a discernible image.
한편, 최근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스스로 발광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함으로써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 등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Meanwhile,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s, which have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as display devices, have the advantages of fast response speed, large luminous efficiency, brightness, and viewing angle by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that emit light on their own.
이러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유기발광다이오드가 포함된 서브픽셀을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고 스캔 신호에 의해 선택된 서브픽셀들의 밝기를 데이터의 계조에 따라 제어한다. 또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자발광 소자로서, 소비전력이 낮고, 고속의 응답 속도, 높은 발광 효율, 높은 휘도 및 광시야각을 가지고 있다.These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s arrange subpixels contain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in a matrix form and control the brightness of subpixels selected by a scan signal according to the gradation of the data. In addition, th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s are self-luminous elements and have low power consumption, high-speed response speed, high luminance efficiency, high brightness, and a wide viewing angle.
한편, 이러한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완제품 개념의 세트 장치가 있으며, 이러한 세트장치의 예로는 TV, 컴퓨터 모니터, 광고판 등이 있을 수 있다.Meanwhile, there is a set device that is a finished product concept that includes such a display device, and examples of such a set device may include a TV, a computer monitor, a billboard, etc.
이러한 표시장치 또는 세트장치에는 표시되는 영상과 관련된 음향을 발생시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같은 음향 출력 장치가 포함된다.These display devices or set devices include sound output devices such as speakers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sound related to the displayed images.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 생산업체는 표시패널 또는 표시장치만을 생산하였고, 스피커를 생산하는 별도의 업체에서 완성된 표시장치에 스피커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최종적으로 영상 및 소리가 출력되는 세트장치를 구현하고 있었다.Typically, manufacturers of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only produced display panels or display devices, and had a separate company that produced speakers assemble speakers into the completed display devices, ultimately implementing a set device that outputs images and sounds.
도 1은 종래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스피커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speaker included in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표시 장치(1) 또는 세트장치에서 스피커(2)는 표시 패널의 후면 또는 하단부에 구비되고 있다.As shown in Fig. 1, in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1) or set device, a speaker (2) is provided at the rear or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이 경우 스피커(2)를 통해 발생된 소리의 진행 방향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패널의 전면이 아닌 후면 또는 표시패널의 아래쪽이 되기 때문에 표시 장치(1)의 전방에서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 방향으로 소리가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한다는 문제가 있었다.In this case, the direction of propagation of the sound generated through the speaker (2) is not 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 where the image is displayed, but the rear or bottom of the display panel, so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ound did not propagate toward the viewer watching the image from the front of the display device (1), thereby disturbing the viewer's immersion.
또한, 스피커(2)를 통해 발생된 소리가 표시패널의 후면 또는 표시패널의 아래쪽으로 진행할 경우에는 벽 또는 바닥에서 반사되는 소리와의 간섭으로 인해서 음질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ound quality deteriorated due to interference with sound reflected from the wall or floor when the sound generated through the speaker (2) proceeded to the rear or bottom of the display panel.
또한, 종래의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스피커는 발생된 음향의 진행방향이 표시장치 관찰자 방향이 아닌 쪽으로 향하게 되어 음향의 회절 현상 등에 의하여 소리의 정위감(定位感)이 떨어질 뿐 아니라, TV 등과 같은 세트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피커가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세트장치의 디자인 및 공간 배치 상에 일정한 제약이 된다는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speakers included in conventional display devices have the problem that the direction of sound generated is directed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direction of the viewer of the display device, so not only is the sense of sound localization reduced due to sound diffraction phenomena, but when configuring a set device such as a TV, the speakers occupy a certain space, which places certain restrictions on the design and spatial arrangement of the set device.
따라서, 표시 장치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음질을 개선하고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According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technologies that can improve the sound quality of sound output from display devices and not disturb the viewer's immersion.
이러한 요구에 의하여, 최근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을 직접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In response to these demands, technology has recently been developed to generate sound by directly vibrating the display panel of a display device.
이러한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장치에서는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가 표시장치의 후면 지지구조인 커버 버텀 등에 형성된 지지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 때 커버 버텀에 형성된 지지홀을 통하여 발생된 음향이 누설됨으로써 음향 발생 특성이 나빠지고, 누설된 음향이 후면 벽에서 반사되어 반사음이 시청자가 있는 전방으로 출력됨으로써 음향 간섭에 의한 음질 약화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In such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evices,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it is inserted and fixed into a support hole formed in a cover bottom, which is a rear support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In this case, the sound generated through the support hole formed in the cover bottom may leak, thereby deteriorating the sound gener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leaked sound may be reflected from the rear wall and the reflected sound may be output in the front where the viewer is, thereby causing a phenomenon in which sound quality is weakened due to sound interferenc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시패널을 직접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이 가능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on that generates sound by directly vibrating a display panel constituting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에 형성된 지지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삽입시켜 고정함으로써, 우수한 음향 발생 성능을 가지면서도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having excellent sound generation performance while reducing thickness by inserting and fixing a sound generation actuator into a support hole formed in a support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when configur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on device.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에 형성된 지지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삽입시켜 고정하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의 내면과 표시장치 지지구조인 커버버텀의 후면(외면) 사이에 반사음 방지용 밀봉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지지홀을 통한 음향 누설을 방지하여 음향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sound output characteristics by inserting and fixing a sound generating actuator into a support hole formed in a support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and arranging a sealing member for preventing reflection soun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ortion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rear surface (outer surface) of a cover bottom, which is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thereby preventing sound leakage through the support hole.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술한 반사음 방지용 밀봉부재를 상이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이중 밀봉부로 형성하고, 그 이중 밀봉부의 재료(탄성계수) 및 높이를 최적화함으로써, 음향누설을 방지하면서도 밀봉부재의 커버버텀 접촉에 따른 소음(Noise)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sound leakage and noise due to contact of the sealing member with the cover bottom by forming the aforementioned sound-preventing sealing member into a double sealing member having different elastic moduli and optimizing the material (elastic modulus) and height of the double sealing memb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로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적어도 후면을 커버하여 지지하는 커버버텀과,상기 커버버텀에 구비된 지지홀에 삽입되고,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및 일측은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커버버텀의 외면에 접촉되는 환상형상의 밀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which may include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 cover bottom for covering and supporting at least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 sound generating actuator inserted into a support hole provided in the cover bottom and for vibrating the display panel to generate sound, and an annular sealing member having one side in contact with an outer portion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other side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cover bottom.
이 때, 밀봉부재는 상기 일측에 배치되고 제1탄성계수를 가지는 제1밀봉부와, 상기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탄성계수와 상이한 제2 탄성계수를 가지는 제2 밀봉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al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sealing portion arranged on one side and having a first elastic coefficient, and a second sealing portion arranged on the other side and having a second elastic coefficient different from the first elastic coefficient.
또는, 밀봉부재는 상기 일측에 배치되고 제1높이를 가지는 제1밀봉부와, 상기 제1 밀봉부에서 연장되고 제2 높이를 가지는 제2 밀봉부를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al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sealing portion disposed on the one side and having a first height, and a second seal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sealing portion and having a second height.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는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커버버텀 사이에 배치되어 에어갭 공간을 형성하는 배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wo or more sound generating actuators may be provided, and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affle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bottom to form an air gap space.
표시패널은 자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The display panel may be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including a self-luminous element.
상기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센터폴, 상기 센터폴 주위를 둘러싸고 상기 마그네트 내측에 배치되는 보빈, 및 보빈에 권취되어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sound generating actuator may include a magnet, a plate supporting the magnet, a center pole, a bobbin surrounding the center pole and arranged inside the magnet, and a coil wound around the bobbin and to which a current is applied.
또는, 상기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센터폴, 상기 센터폴 및 마그네트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보빈, 및 보빈에 권취되어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may include a magnet, a plate supporting the magnet, a center pole, a bobbin arranged to surround the center pole and the magnet, and a coil wound around the bobbin and energized with current.
또한, 상기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는 상기 표시패널에 접촉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을 상기 표시패널에 접착시키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may further include a bobbin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isplay panel and an adhesive member that adheres the bobbin to the display panel.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는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의 측면 일부를 둘러싸는 몰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몰드 커버의 내면 일부와 상기 커버버텀의 후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outer portion of the above sound generating actuator includes a mold cover surrounding a portion of a side surface of a lower plate of the abov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sealing member can be disposed between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old cover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bottom.
또는,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는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와 일체로 연장되는 확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확경부와 상기 커버버텀의 후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outer portion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may include an enlarged portion that extends integrally with the lower plate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sealing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bottom.
표시장치는 상기 커버버텀과 결합되어 상기 표시패널의 측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안착하는 프레임 형상의 미들캐비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rame-shaped middle cabinet that is coupled with the cover bottom to support a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secure an edge of the display panel.
이하 설명할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에 형성된 지지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삽입시켜 고정함으로써, 우수한 음향 발생 성능을 가지면서도 표시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hen configur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evice, by inserting and fixing a sound generating actuator into a support hole formed in a support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while having excellent sound generating performance.
또한,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에 형성된 지지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삽입시켜 고정하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의 내면과 표시장치 지지구조의 외면 사이에 반사음 방지용 밀봉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지지홀 사이의 간극(S)을 통한 음향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inserting and fixing a sound generating actuator into a support hole formed in a support structure of a display device and arranging a sealing member for preventing reflection soun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ortion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sound leakage through the gap (S) between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support hole.
특히, 반사음 방지용 밀봉부재를 상이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이중 밀봉부로 형성하고, 그 이중 밀봉부의 재료(탄성계수) 및 높이를 최적화함으로써, 음향누설을 방지하면서도 밀봉부재의 커버버텀 접촉에 따른 소음(Noise)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by forming the sound-proofing sealing member into a double sealing member having different elastic moduli and optimizing the material (elastic modulus) and height of the double sealing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sound leakage while also preventing noise due to the sealing member's contact with the cover bottom.
도 1은 종래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스피커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개략도면으로서, 도 2A는 평면도, 도 2B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2가지 타입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인 커버 버텀에 결합되는 여러 형태를 예시한다.
도 6a은 커버버텀에 고정하기 위한 연장부가 형성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그러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인 커버버텀에 형성된 지지홀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의 후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6b의 I-I' 절단선 및 II-II' 절단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측면과 커버 버텀 지지홀 사이의 간극(S) 및 그를 통한 음향 누설 현상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누설 음향이 후면벽에서 반사되어 전방으로 향하는 반사음향 및 그에 의한 음향 특성 저하 현상을 도시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9b는 몰드 커버를 이용하여 외곽부를 형성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밀봉부재의 세부구성을 도시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1b는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요크)를 확장한 확경부로 외곽부를 형성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진동판으로서의 표시패널과 커버 버텀사이에 음향 전달용 에어갭을 형성하기 위하여,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의 지지구조 중 하나인 미들캐비닛 사이에 형성되는 배플부의 여러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밀봉부재를 사용한 경우의 음향 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speaker included in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FIG. 2 is a schematic drawing of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wherein FIG. 2A is a plan view and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wo types of sound-generating actuators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sound-generating actuator that can be used in this embodiment vibrates a display panel to generate sound.
Figure 5 illustrates several configurations in which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is coupled to the cover bottom, which is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Fig. 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 generating actuator having an extension formed for fixing to a cover bottom, and Fig. 6b is a rear view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inserted and fixed into a support hole formed in a cover bottom, which is a support structure of a display device.
FIGS.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s II' and II-II' of FIG. 6b, respectively, showing a gap (S)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cover bottom support hole and sound leakage therethrough.
Figure 8 illustrates the phenomenon in which the leakage sound of Figure 7 is reflected from the rear wall and becomes a forward-facing reflected sound, and the resulting degradation of acoustic characteristics.
FIG. 9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 generating actuator having an outer portion formed using a mold cover.
Figure 10 illustrate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aling member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 generating actuator having an outer portion formed by expanding a lower plate (yoke) of the actuator.
Figure 12 illustrates several examples of baffle parts formed between a display panel and a middle cabinet, which is one of the support structures of the display panel, to form an air gap for sound transmission between the display panel as a diaphragm and the cover bottom.
Figure 13 is a graph showing acoustic output characteristics when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sequence, or numb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or that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도 2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개략도면으로서, 도 2A는 평면도, 도 2B는 단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drawing of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wherein FIG. 2A is a plan view and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00)과, 그 표시패널의 일면에 접촉되어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illustrated in FIG. 2, a display device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comprises a display panel (100) that displays an image, and a sound generating actuator (200)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vibrates the display panel to generate sound.
도 4 등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는 마그네트와,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센터폴과, 상기 센터폴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음향발생용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이 권취된 보빈을 포함하며, 상기 보빈의 선단부가 상기 표시패널의 일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 4, the sound-generating actuator (200) includes a magnet, a plate supporting the magnet, a center pole formed to protrude in the central area of the plate, and a bobbin wound with a coil to which a current for sound generation is applied and arranged to surround the center pole, and the tip of the bobbin is arranged to contact on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후면 또는 측면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 등은 그 지지구조에 고정된다.Additionally, as illustrated in FIG. 2B,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support structure that supports at least one of the rear or side surfaces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lower plate or the like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is fixed to the support structure.
지지구조는 표시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커버버텀(300)을 포함하며, 표시패널의 측면을 둘러싸면서 상기 커버버텀과 결합되고 표시패널의 일측 가장자리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미들 캐비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structure includes a cover bottom (300) arranged on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may further include a middle cabinet (500) that surrounds the side of the display panel, is coupled with the cover bottom, and receives and supports one edge of the display panel.
지지구조를 구성하는 커버버텀(Cover Bottom)은 표시장치의 후면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판상 부재일 수 있다.The cover bottom constituting the support structure may be a plate-shaped member made of metal or plastic material extending across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커버버텀(300)은 그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레이트 버텀(Plate Bottom), 백커버(Back Cover),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메탈 프레임(Metal Frame), 메탈 샤시(Metal Chassis), 샤시 베이스(Chassis Base), m-샤시 등 다른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표시장치의 후방 기저부에 배치되는 모든 형태의 프레임 또는 판상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cover bottom (300)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at term, and may be used in other expressions such as plate bottom, back cover, base frame, metal frame, metal chassis, chassis base, m-chassis, etc., and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ll forms of frames or plate-shaped structures arranged at the rear base of the display device a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본 명세서에서 "표시장치"라는 용어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 유기발광 표시모듈(OLED Module)과 같은 협의의 표시장치는 물론, 그러한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와 같은 모바일 전자장치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 또는 세트 장치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display device" is used as a concept that includes not only a narrow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module (LCM)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module (OLED module) that include a display panel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but also a set electronic device or set device such as a mobi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notebook computer, television, computer monitor, smartphone, or electronic pad that includes such LCM, OLED module, etc.
즉, 본 명세서에서의 표시장치는 LCM, OLED 모듈과 같은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물론, 그를 포함하는 응용제품인 세트 장치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That is, the display device in this specification is used to mean not only a narrow display device such as an LCM or OLED module, but also a set device that is an application product including the display device.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표시패널과 그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는 LCM, OLED 모듈을 협의의 "표시장치"로 표현하고, 그러한 LCM, OLED 모듈을 포함하는 완제품으로서의 전자장치를 "세트장치"로 구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협의의 표시장치는 액정(LCD) 또는 유기발광(OLED) 표시패널과 그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인 소스 PCB를 포함하며, 세트장치는 소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트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세트 제어부인 세트 PCB를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However, in some cases, an LCM, OLED module, which is composed of a display panel and its driving unit, may be expressed as a "display device" in the narrow sense, and an electronic device as a finished product including such an LCM, OLED module may be expressed as a "set device". For example, a display device in the narrow sense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panel and a source PCB, which is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and a set device may be a concept that further includes a set PCB, which is a set control uni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rce PCB and controls the entire set device.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표시패널(100)은 액정표시패널, 유기전계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패널, 플라즈마 표시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은 모든 형태의 표시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에 의하여 직접 진동됨으로써 음파를 발생할 수 있는 한 특정한 표시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isplay panel (100) used in this embodiment may be any type of display panel, including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panel, an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display panel as long as it can generate sound waves by being directly vibrated by a sound generating actuator (200).
더 구체적으로, 표시패널이 액정 표시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그 교차 영역에 정의되는 픽셀(Pixel)과,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그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물질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display panel i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rray substrate including a plurality of gate lines and data lines and pixels defined in their intersection areas, thin film transistors as switching elements for controlling light transmittance in each pixel, an upper substrate having a color filter and/or a black matrix, and a liquid crystal material layer formed therebetween.
또한, 표시패널이 유기전계발광(OLED) 표시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그 교차 영역에 정의되는 픽셀(Pixel)과, 각 픽셀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어레이 기판 상의 유기 발광 소자(OLED)층, 및 유기 발광 소자층을 덮도록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 또는 엔캡슐레이션(Encap.) 기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상기 유기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panel i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OLED) display panel,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rray substrate including a plurality of gate lines and data lines and pixels defined in their intersection areas, and thin film transistors which are elements for selectively applying voltage to each pixel, an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OLED) layer on the array substrate, and an encapsulation substrate or encapsulation (Encap.) substrate arranged on the array substrate so as to cover th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layer. The encapsulation substrate protects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layer from external impact and prevents moisture from penetrating th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layer.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표시패널은 그 형태에 제한은 없으나, 아래와 같은 이유로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인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form of the display panel used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ut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us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for the following reasons.
구체적으로, 액정 표시 패널의 경우 적층되는 레이어가 많고, 별도의 광원이 배치된 간접 광원 방식의 백라이트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에 의하여 직접 진동되는 경우 액정재료의 방향성이 흔들리고 그에 따라 화상의 일그러짐이 발생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since there are many layers to be laminated and a backlight of an indirect light source with a separate light source must be provided, if it is directly vibrated by a sound-generating actuator (200), the directionality of the liquid crystal material may be shaken and image distortion may occur accordingly.
반면, 유기 발광(OLED) 표시 패널의 유기 발광 소자는 자발광 소자에 해당하여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고, 편광 레이어(POL), 글래스 레이어, 인캡슐레이션 레이어(Encap.)등의 여러 레이어가 하나의 패널로 합지되어 있기 때문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에 의하여 직접 진동되더라도 유기발광층의 발광특성에 영향이 거의 없어서 화상의 일그러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OLED) display panel corresponds to a self-luminous element and therefore does not require a separate light source, and since several layers such as a polarizing layer (POL), a glass layer, and an encapsulation layer (Encap.) are laminated into a single panel, even if it is directly vibrated by the sound-generating actuator (200), the light-emitting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are hardly affected, so that image distortion does not occur. 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in the present embodiment.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표시패널은 일반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표시패널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since the display panel used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general structur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isplay panel is omitted.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지지구조인 커버버텀(300) 또는 미들캐비닛(500)과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발생된 음파를 전달시키는 공간인 에어갭 공간(A/G)을 형성하기 위한 배플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baffle portion (400) for forming an air gap space (A/G) that is a space for transmitting generated sound waves, which is arranged between the support structure, the cover bottom (300) or the middle cabinet (500), and the display panel.
즉, 에어갭 공간(A/G)의 가장자리에서 표시패널을 커버버텀에 밀봉 결합함으로써, 에어갭 공간이 사방 밀봉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밀봉된 에어갭 공간을 배플구조로 표현할 수 있다.That is, by sealingly bonding the display panel to the cover bottom at the edge of the air gap space (A/G), the air gap space can be defined as a region sealed on all sides, and such sealed air gap space can be expressed as a baffle structure.
배플부(400)는 커버버텀 또는 미들캐비닛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되 표시패널의 저면과 접착되는 접착부(412)와 상기 접착부 외곽에 배치되어 에어갭 공간(A/G)의 밀봉성을 더 제공하는 실링부(4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affle part (4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dhesive part (412) that is arranged at the edge of the cover bottom or middle cabinet and is adher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a sealing part (414) that is arranged at the outer edge of the adhesive part and provides further sealing of the air gap space (A/G).
이 때, 접착부(412)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 Tape)일 수 있으며, 도 12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할 바와 같이, 접착부(412)의 높이보다 실링부(414)의 높이를 더 크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adhesive portion (412) may be a double-side tape, and 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 12,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height of the sealing portion (414)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adhesive portion (412).
도 3은 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2가지 타입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wo types of sound-generating actuators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는 영구자석인 마그네트(220)와, 그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210, 210')와, 플레이트의 중앙영역에 돌출되는 센터폴(230)과, 상기 센터폴(230) 주위에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보빈(250)과, 보빈 외곽에 권취되어 음향발생을 위한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2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200) used in this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gnet (220), which is a permanent magnet, a plate (210, 210') supporting the magnet, a center pole (230) protruding from the central area of the plate, a bobbin (250) arranged to surround the center pole (230), and a coil (260)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and to which current for sound generation is applied.
한편,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는 마그네트가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구조와, 마그네트가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구조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both a first structure in which the magnet is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coil and a second structure in which the magnet is arranged on the inside of the coil.
도 3A는 마그네트가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구조로서 다이나믹 타입 또는 외자형으로 표현될 수 있다.Figure 3A is a first structure in which a magnet is placed on the outside of a coil, and can be expressed as a dynamic type or an external type.
이러한 제1구조에 의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는 하부 플레이트(210)가 커버버텀(300)에 형성되는 지지홀(310)에 고정되며, 하부 플레이트의 외곽에 환상 형태의 영구자석인 마그네트(220)가 배치된다. In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by this first structure, the lower plate (210) is fixed to a support hole (310) formed in the cover bottom (300), and a magnet (220), which is a permanent magnet in the shape of a ring, is plac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마그네트(220)의 상부에는 상부 플레이트(210')가 배치되고, 상부 플레이트의 외곽에는 상부 플레이트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외부 프레임(240)이 배치된다.An upper plate (210')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gnet (220), and an external frame (240) protruding from the upper plate is placed on the outer part of the upper plate.
한편, 하부 플레이트(210)의 중앙영역에는 센터폴(230)이 돌출되어 배치되며, 센터폴(230)의 주위를 감싸는 보빈(250)이 배치된다.Meanwhile, a center pole (230) is positioned protrudingly in the central area of the lower plate (210), and a bobbin (250) is positioned to wrap around the center pole (230).
보빈(250)의 하측부 주위에는 코일(260)이 권취되어 있으며, 이 코일에 음향발생용 전류가 인가된다.A coil (260) is wound around the lower part of the bobbin (250), and a current for generating sound is applied to this coil.
한편, 보빈의 상측 일부와 외부 프레임(240)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 damper (270) may be plac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bobbin and the outer frame (240).
하부 플레이트(210)와 상부 플레이트(210')는 마그네트(220)을 지지하면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를 커버버텀(300)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하부 플레이트(21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210) 상에 링 형상으로 구비된 마그네트(220)가 구비되고, 마그네트 상에 상부 플레이트(210)가 구비된다. The lower plate (210) and the upper plate (210') are configured to support the magnet (220) and fix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200) to the cover bottom (300). As shown in FIG. 3A, the lower plate (210) is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and a magnet (220) provided in a ring shape on the lower plate (210) is provided, and the upper plate (210) is provided on the magnet.
그리고, 하부 플레이트(210) 및 상부 플레이트(210)가 커버버텀(300)에 결합됨에 따라, 하부 플레이트(210)와 상부 플레이트(210') 사이에 위치한 마그네트(220)가 고정 지지될 수 있다.And, as the lower plate (210) and the upper plate (210) are coupled to the cover bottom (300), the magnet (220) located between the lower plate (210) and the upper plate (210') can be fixedly supported.
플레이트는 철(Fe)과 같이 자성을 지닌 물질로 이루질 수 있다. 플레이트는 그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크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The plate may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such as iron (Fe). The plate is not limited to that term and may be expressed by other terms, such as yoke.
한편, 센터폴(230)과 하부 플레이트(21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enter pole (230) and the lower plate (210) may be formed integrally.
보빈(250)은 종이 또는 알루미늄 시트 등으로 형성되는 환상 구조물로서, 보빈의 하측 일정 영역 주위에 코일(260)이 권취된다. 이러한 보빈과 코일을 합하여 보이스 코일로 표현할 수 있다.The bobbin (250) is an annular structure formed of paper or aluminum sheet, etc., and a coil (260) is wound around a certain area on the lower side of the bobbin. The bobbin and coil can be combined to form a voice coil.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며, 마그네트(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부 자기장이 있기 때문에, 플레밍의 법칙에 따라 보빈 전체가 센터폴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상측으로 이동한다.When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a 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coil, and because there is an external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magnet (220), the entire bobbin moves upward while being guided by the center pole according to Fleming's law.
한편, 보빈(250)의 선단부는 표시패널(100)의 후면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전류 인가 및 비인가 상태에 따라 표시패널을 진동시키게 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된다.Meanwhile, since the tip of the bobbin (25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the display panel vibrates depending on whether current is applied or not, and sound waves are generated by this vibration.
마그네트(220)는 바륨 훼라이트등 소결(燒結) 자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재질은 산화 제2철 (Fe2O3), 탄산바륨 (BaCO3). 자력 성분이 개선된 스트론튬 훼라이트, 알루미늄(Al), 니켈(Ni), 코발트(Co) 의 합금 주조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agnet (220) can use a sintered magnet such as barium ferrite, and the material can be iron (Fe2O3), barium carbonate (BaCO3), strontium ferrite with improved magnetic properties, aluminum (Al), nickel (Ni), cobalt (Co) alloy cast magnet,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보빈(250)의 상측 일부와 외부 프레임(240)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되며, 댐퍼(220)는 주름진 구조로 구비되어 보빈의 상하 운동에 따라서 수축 및 이완하면서 상기 보빈의 상하 진동을 조절한다. 즉, 댐퍼(270)가 보빈(250)과 외부 프레임(240)에 각각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보빈의 상하 진동은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제한되고, 구체적으로 보빈(270)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높이 이하로 진동할 경우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이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Meanwhile, a damper (270) is arrang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bobbin (250) and the outer frame (240), and the damper (220) is provided with a wrinkled structure so as to contract and relax according to the up-and-down movement of the bobbin, thereby controlling the up-and-down vibration of the bobbin. That is, since the damper (270)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bobbin (250) and the outer frame (240), the up-and-down vibration of the bobbin is limi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damper (270), and specifically, when the bobbin (270) vibrates above a certain height or below a certain height, the bobbin can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damper (270).
이러한 댐퍼는 에지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These dampers may be referred to by other terms, such as edge.
한편, 도 3B는 마그네트가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구조로서 마이크로 타입 또는 내자형으로 표현될 수 있다.Meanwhile, Fig. 3B is a first structure in which a magnet is placed on the inside of the coil and can be expressed as a micro type or an inner magnetic type.
이러한 제2구조에 의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는 하부 플레이트(210)가 커버버텀(300)에 형성되는 지지홀(310)에 고정되며, 하부 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 마그네트(220)가 배치되며, 마그네트 상부에 센터폴이 연장 형성된다. In this second structure sound generating actuator, the lower plate (210) is fixed to a support hole (310) formed in the cover bottom (300), a magnet (220) is plac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lower plate, and a center pole is extended and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gnet.
상부 플레이트(210')는 하부 플레이트의 외곽 주변에 돌출형성되며, 상부 플레이트 외측에는 외부 프레임(240)가 배치된다.The upper plate (210') is formed to protrude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plate, and an external frame (240) is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plate.
마그네트(220)와 센터폴(23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보빈(250)이 배치되며, 보빈 외곽에는 코일(260)이 권취된다.A bobbin (250) is arranged to surround the magnet (220) and the center pole (230), and a coil (260) is wound around the outside of the bobbin.
또한, 외부 프레임(240)과 보빈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된다.Additionally, a damper (270) is placed between the outer frame (240) and the bobbin.
이러한 제2방식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는 마그네트가 외측에 배치되는 제1방식에 비하여 누설자속이 작고 전체적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나, 큰 전류 입력에 의한 자속 감소 현상이 생길 수 있고 제조가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This second type of sound-generating actuator has a smaller leakage flux and can be made smaller overall than the first type in which the magnet is placed on the outside, but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flux may decrease due to a large current input and that manufacturing is difficult.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방식 또는 제2방식에 의한 액츄에이터 모두가 사용될 수 있으며, 편의상 아래에서는 제1방식에 의한 구조를 대표하여 설명한다.In this embodiment, both the first type and the second type actuators can be used, and for convenience, the first type structure is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structure below.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는 도 3에 도시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류 인가에 따라 표시패널을 상하로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할 수 있는 한 다른 종류의 액츄에이터가 사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used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ype illustrated in FIG. 3, and other types of actuators may be used as long as they can generate sound by vibrating the display panel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current.
도 4는 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하는 상태를 도시한다.Figure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sound-generating actuator that can be used in this embodiment vibrates a display panel to generate sound.
도 4A는 전류가 인가된 상태로서, 마그네트의 하면과 연결된 센터폴이 N극이 되고, 마그네트의 상면과 연결된 상부 플레이트가 S극이 되어, 코일 사이에 외부 자기장이 형성된다.Figure 4A shows a state in which current is applied, the center pol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gnet becomes the N pole, and the upper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 becomes the S pole, so that an external magnet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coils.
이 상태에서 음향 발생용 전류가 코일에 인가되면 코일 주위에 인가 자기장이 생성되는데 인가 자기장과 외부 자기장에 의하여 보빈을 상측으로 이동하는 힘이 발생된다.In this state, when a current for sound generation is applied to the coil, an applied magnetic field is generated around the coil, and a force is generated to move the bobbin upward due to the applied magnetic field and the external magnetic field.
따라서, 도 4A와 같이 보빈이 상측으로 이동하고 보빈의 선단부에 접촉되어 있는 표시패널이 상측으로 진동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4A, the bobbin moves upward and the display panel in contact with the tip of the bobbin vibrates upward.
이 상태에서 전류 인가가 중지되거나 반대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도 4B와 같이, 유사한 원리에 따라 보빈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되고, 따라서 표시패널이 하측으로 진동한다.In this state, when the current application is stopped or a curr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applied, a force is generated to move the bobbin downward according to a similar principle as in Fig. 4B, and thus the display panel vibrates downward.
이와 같이, 코일로의 전류 인가 방향과 크기에 따라서, 표시패널이 상하로 진동하게 되며, 이러한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되는 것이다.In this way, depending on the direction and size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the display panel vibrates up and down, and sound waves are generated by this vibration.
도 5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인 커버 버텀에 결합되는 여러 형태를 예시한다.Figure 5 illustrates several configurations in which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is coupled to the cover bottom, which is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표시장치에서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가 표시패널을 직접 진동시키고 그에 따라 음향을 발생시키는 원리이다.In the display device to which this embodiment is applied, the principle is that a sound generating actuator (200) directly vibrates the display panel and generates sound accordingly.
따라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는 보빈 또는 보이스 코일을 이동에 의하여 그에 접착된 표시패널을 진동시켜야 하므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본체는 표시장치의 후방 지지구조인 커버 버텀에 고정될 필요가 있다.Therefore, since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must vibrate the display panel attached to it by moving the bobbin or voice coil, the body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needs to be fixed to the cover bottom, which is the rear support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도 5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커버버텀에 고정하는 여러가지 방식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 5a는 같이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커버버텀 내면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이고, 도 5b는 커버버텀에 지지홀을 형성하고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그 지지홀에 삽입시켜 고정하는 방식을 도시한다.FIG. 5 illustrates various methods of fixing a sound-generating actuator to a cover bottom. FIG. 5a illustrates a method of directly attaching a sound-generating actuator to the inner surface of a cover bottom, and FIG. 5b illustrates a method of forming a support hole in the cover bottom and inserting and fixing a sound-generating actuator into the support hole.
도 5a에서는 커버버텀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의 후면을 접착부재(290)로 커버버텀(300)의 내면에 접착 고정하는 방식이다. In Fig. 5a, the rear surface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200) is adhered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bottom (300) using an adhesive member (290)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cover bottom.
한편, 도 5b는 커버버텀(300)에 지지홀(310)을 형성하고 그 지지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측면 일부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이다.Meanwhile, Fig. 5b is a method of forming a support hole (310) in a cover bottom (300) and inserting and fixing a part of the side of a sound generating actuator into the support hole.
물론, 위의 2가지 경우 모두에서 표시장치의 가장자리 영역에서는 미들캐비닛(500) 또는 커버버텀의 상면과 표시패널(100) 사이에 배플부(400)가 구비되어 밀봉영역인 에어갭 공간을 형성한다.Of course, in both of the above two cases, a baffle part (400)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middle cabinet (500) or cover bottom and the display panel (100) in the edge area of the display device to form an air gap space, which is a sealed area.
이 때, 도 5a 방식에서는 표시장치와 커버버텀 사이의 공간인 에어갭 공간의 거리가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높이 이상인 G1으로 비교적 크게 되는 반면, 도 5b 방식에서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일부가 커버버텀의 지지홀에 삽입되기 때문에 표시장치와 커버버텀 사이의 에어갭 공간의 거리가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높이보다 작은 G2가 된다.At this time, in the Fig. 5a method, the distance of the air gap sp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cover bottom becomes relatively large, G1, which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whereas in the Fig. 5b method, since a part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hole of the cover bottom, the distance of the air gap sp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cover bottom becomes G2, which i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따라서, 도 5b의 방식이 표시장치의 두께를 더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최근 표시장치의 두께를 얇게하는 박형화 트랜드에 더 적합하다.Therefore, since the method of Fig. 5b can mak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smaller, it is more suitable for the recent trend of thinning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는 도 5b와 같이 표시장치의 후면 지지구조인 커버버텀에 지지홀을 형성하고, 그 지지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삽입 고정하는 방식을 채택한다.Accordingly, in 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is adopted in which a support hole is formed in a cover bottom, which is a rear support structure of a display device, as shown in FIG. 5b, and a sound generating actuator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upport hole.
한편, 위와 같이 표시장치의 커버버텀에 지지홀을 형성하고 그 지지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삽입 고정하는 방식에서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직경보다 지지홀의 직경이 커짐으로 인하여, 그 사이 간극을 통한 음향 누설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고로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Meanwhile, in the method of forming a support hole in the cover bottom of the display device as described above and inserting and fixing a sound generating actuator into the support hole, since the diameter of the support hole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sound leakage may occur through the gap therebetween, an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도 6a은 커버버텀에 고정하기 위한 연장부가 형성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그러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인 커버버텀에 형성된 지지홀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의 후면도이다. 또한,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6b의 I-I' 절단선 및 II-II' 절단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측면과 커버 버텀 지지홀 사이의 간극(S) 및 그를 통한 음향 누설 현상을 도시한다.Fig. 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 generating actuator having an extension formed for fixing to a cover bottom, and Fig. 6b is a rear view showing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inserted and fixed into a support hole formed in a cover bottom, which is a support structure of a display device. In addition, Figs.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I-I' and II-II' lines of Fig. 6b, respectively, showing a gap (S) between a side surface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cover bottom support hole, and a sound leakage phenomenon therethrough.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버텀(300)에는 지지홀(310)이 관통 형성되며,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200)의 하부플레이트(210)와 마그네트(220) 및 상부 플레이트(210') 중 하나 이상이 그 지지홀 내부에 수용되도록 삽입된다.As shown in Fig. 6, a support hole (310) is formed through the cover bottom (300), and at least one of the lower plate (210), magnet (220), and upper plate (210')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200) is inserted to be accommodated within the support hole.
이 때,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210)의 저면에는 하부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12)가 더 형성되며, 이러한 연장부(212)가 커버버텀(310)의 저면에 고정됨으로써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를 커버버텀에 장착할 수 있다.At this time, an extension part (212) that extends outwardly from the lower plate (210)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is furth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by fixing this extension part (212)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bottom (310),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200) can be mounted on the cover bottom.
즉, 도 6a와 같이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를 커버버텀에 고정함에 있어서, 커버버텀의 후면에 나사홀을 형성하고, 하부 플레이트의 연장부(212)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고정볼트(320) 또는 나사를 커버버텀의 나사홀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방식이다.That is, in fixing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to the cover bottom as shown in Fig. 6a, a screw hole is formed on the rear of the cover bottom, and a fixing bolt (320) or screw is fastened to the screw hole of the cover bottom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extension portion (212) of the lower plate to fix it.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커버버텀의 지지홀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액츄에이터의 직경 D1보다 지지홀(310)의 직경 D2가 더 커야 한다.Since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must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hole of the cover bottom, the diameter D2 of the support hole (310) must be larger than the diameter D1 of the actuator.
한편,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는 수십 KHz 이상으로 강하게 진동하여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지지홀의 내측과 부딪힐 수 있고, 그 과정에서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Meanwhile, the sound-generating actuator must vibrate strongly at a frequency of tens of kilohertz or more, which may cause it to collide with the inside of the support hole, potentially generating unnecessary noise.
또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보빈 주위에 권취되는 코일(260)을 외부의 음향발생 제어부와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배선(도 7의 262)이 외부에서 진입할 수 있는 공간도 필요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connect the coil (260) wound around the bobbin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to an external sound generating control unit, a space is also required through which a connecting wire (262 in FIG. 7) can enter from the outside.
따라서, 커버버텀의 지지홀의 직경 D2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직경 D1보다 일정크기 이상으로 커야 하며, 따라서 도 6b 및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측면과 커버 버텀 지지홀 사이의 간극(S)이 존재하게 된다.Accordingly, the diameter D2 of the support hole of the cover bottom must be a certain size or larger than the diameter D1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refore, a gap (S) exists between the side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cover bottom support hole, as shown in FIGS. 6b and 7b.
즉, 도 7a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의 연장부(210)는 좌우 또는 상하 양측으로만 연장 형성되기 때문에, 연장부가 형성되지 않는 모든 방향에서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커버 버텀 지지홀 사이의 간극(S)이 형성된다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7a, since the extension (210) of the lower plate is formed to extend only in th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directions, a gap (S) is formed between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cover bottom support hole in all directions in which the extension is not formed.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의 진동에 의한 음향 발생 및 전달 특성이 우수하기 위해서는 에어갭 공간(A/G)의 밀폐성이 좋아야 하는데, 이러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측면과 커버 버텀 지지홀 사이의 간극(S)에 의하여 에어갭 공간(A/G)의 밀봉성이 약화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have excellent sound generation and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due to vibration of the display panel, the air gap space (A/G) must have good sealing properties. However, the sealing properties of the air gap space (A/G) are weakened by the gap (S) between the side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cover bottom support hole.
즉, 도 7b와 같이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측면과 커버 버텀 지지홀 사이의 간극(S)을 통하여 에어겝 공간에서 발생된 음향 중 일부가 누설되는 현상이 발생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7b, a phenomenon occurs in which some of the sound generated in the air gap space leaks through the gap (S) between the side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cover bottom support hole.
이와 같은 음향 누설에 따라서 에어갭 공간 내부의 음압이 감소하여 음향 출력이 감소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누설된 음향에 의한 반사음향에 따른 간섭 등에 의하여 음질역시 저하될 수 있다.Due to such sound leakage, not only may the sound pressure inside the air gap space decrease, which may reduce sound output, but sound quality may also deteriorate due to interference caused by reflected sound from the leaked sound.
도 8은 도 7의 누설 음향이 후면벽에서 반사되어 전방으로 향하는 반사음향 및 그에 의한 음향 특성 저하 현상을 도시한다.Figure 8 illustrates the phenomenon in which the leakage sound of Figure 7 is reflected from the rear wall and becomes a forward-facing reflected sound, and the resulting degradation of acoustic characteristics.
도 8과 같이,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측면과 커버 버텀 지지홀 사이의 간극(S)을 통하여 누설된 음향은 표시장치(TV 등)가 설치되는 후면 벽(Wall)에서 반사되어 전방 시청자 방향으로 향하게 되며, 이러한 음향을 반사음향으로 표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sound leaked through the gap (S) between the side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cover bottom support hole is reflected from the rear wall (Wall) where the display device (TV, etc.) is installed and directed toward the front viewer, and this sound can be expressed as reflected sound.
이러한 반사음향은 원래 발생된 정상음향의 위상과 달라지거나 정상음향과 간섭을 일으켜서, 전체적인 음향 출력 특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These reflected sounds change in phase from the original normal sound or interfere with the normal sound, which causes a deterioration in the overall sound output characteristics.
이와 같이, 표시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커버버텀에 형성된 지지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삽입 고정시키는 방식이 유리하지만, 이 경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측면과 커버 버텀 지지홀 사이의 간극(S)에 의하여 음향 출력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는 것이다.In this way, in order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it is advantageous to insert and fix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into a support hole formed in the cover bottom, but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ound output characteristics are deteriorated due to the gap (S) between the side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cover bottom support hole.
따라서, 도 9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후방부분에 직경이 확장된 외곽부를 형성하고, 그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 내면과 커버 버텀 외면(후면) 사이에 반사음 누설 방지를 위한 밀봉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단점들을 보완하는 구조를 제시한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s of FIG. 9 and below, a structure is proposed that complements the shortcoming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n outer portion with an expanded diameter at the rear portion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arranging a sealing member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ortion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outer surface (rear) of the cover bottom to prevent leakage of reflected sound.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9b는 몰드 커버를 이용하여 외곽부를 형성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다.FIG. 9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 generating actuator having an outer portion formed using a mold cov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패널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00)과, 표시패널의 적어도 후면을 커버하여 지지하는 지지구조로서의 커버버텀(300)과, 커버버텀에 구비된 지지홀(310)에 삽입되고, 선단부가 상기 표시패널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600)와,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와 상기 커버버텀의 외면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isplay panel (100) that displays an image, a cover bottom (300) as a support structure that covers and supports at least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 sound generating actuator (600) that is inserted into a support hole (310) provided in the cover bottom and is arranged so that a front end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to vibrate the display panel and generate sound, and a sealing member (700) that is arranged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an outer surface of the cover bottom.
도 9의 실시예에서의 표시패널(100)과, 커버버텀(300) 및 그에 형성되는 지지홀(310)은 앞선 도 2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구조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embodiment of Fig. 9, the display panel (100), the cover bottom (300) and the support hole (310) formed therein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structure described in the previous Figs. 2 to 8, so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to avoid duplication.
음향발생 액츄에이터(600)는 지지홀에 삽입되는 하부 플레이트(610)와, 하부 플레이트상에 배치되는 마그네트(620)와, 하부 플레이트 중앙에 배치되는 센터폴(630)과, 센터폴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선단부는 표시패널(100)에 접촉되는 보빈(650)과, 보빈의 외곽에 권취된 코일(6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보빈(650)과 코일(660)을 보이스 코일로 표현할 수 있다.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6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plate (610) inserted into a support hole, a magnet (620) arranged on the lower plate, a center pole (630) arrang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a bobbin (650) arranged to surround the center pole and having a tip end in contact with a display panel (100), and a coil (660)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At this time, the bobbin (650) and the coil (660) may be expressed as a voice coil.
또한, 도 9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는 도 9와 같은 외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가 액츄에이터의 가운데 배치되는 내자형 또는 마이크로 타입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sound-generating actuator used in the embodiment of Fig. 9 is not limited to the external type as in Fig. 9, and may also be applied to the internal type or micro type in which the magnet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actuator as described above.
더 세부적인 음향발생 액츄에이터(600)의 구성 및 동작 원리는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대응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ng principle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600) correspond to those described in FIGS. 3 and 4, so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to avoid duplication.
한편, 보빈(650)의 선단부에는 보빈을 표시패널(100)에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부재(68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착부재는 양면 접착 테이프(Double side Tap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an adhesive member (680) for adhering the bobbin to the display panel (100) may be placed at the tip of the bobbin (650), and this adhesive member may be composed of a double-sided adhesive tape, etc.
또한, 접착부재 이외에 보빈의 선단에 1 이상의 플레이트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플레이트는 접착부재(68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전달 플레이트는 보빈의 이동에 따른 진동력을 표시패널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adhesive member, one or more plates may be arranged at the tip of the bobbin, and these plates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adhesive member (680). The vibration transmission plate functions to transmit vibration force resulting from the movement of the bobbin to the display panel.
이러한, 진동전달 플레이트는 플라스틱, 금속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보빈 및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기 위하여 금속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se vibration-transmitting plates can be made of plastic, metal, etc., but are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to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the bobbin and sound-generating actuator.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600)의 후방부에 하부 플레이트(610)의 직경보다 더 확장된 영역으로 정의되는 외곽부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는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한 확경부로 구성할 수도 있고, 하부 플레이트 측면을 둘러싸도록 인서트 몰딩 등에 의하여 사출성형되는 별도의 몰드 커버(690)로 구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outer portion defined as an area that is expanded more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plate (610) is further form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600). The outer portion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may be formed as an expanded portion that is integrally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lower plate, or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old cover (690) that is injection-molded by insert molding or the like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plate.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로서 하부 플레이트 등의 액츄에이터 측면 구조를 둘러싸도록 사출성형되는 별도의 몰드 커버(690)가 사용된 예를 도시한다.The embodiment of FIG. 9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separate mold cover (690) is used that is injection-molded to surround the actuator side structure, such as the lower plate, as the outer portion of the sound-generating actuator.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몰드 커버(690)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최후방 구조물인 하부 플레이트(610) 또는 요크의 적어도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하부 플레이트 또는 요크를 일정 금형에 삽입한 후 플라스틱 또는 레진을 투입하여 사출성형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9b, the mold cover (690) is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side surface of the lower plate (610) or yoke, which is the rearmost structure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can be manufactured by inserting the lower plate or yoke into a certain mold and then injecting plastic or resin into it and performing injection molding.
이 때, 몰드 커버(690)는 하부 플레이트와 마그네트 등의 측면을 덮도록 제작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부 플레이트의 후면까지 커버할 수도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mold cover (690) is manufactured to cover the sides of the lower plate and the magnet, and in some cases, it may als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plate.
이러한 몰드 커버(69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의 일부를 둘러싸는 구조물인 한 그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몰드 플레이트, 몰드구조물 등 액츄에이터 지지부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mold cover (690) is not limited to the term as long as it is a structure surrounding a part of the actuator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expressed by other terms such as a mold plate, a mold structure, an actuator support member, etc.
몰드 커버(690)는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 측면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확경부(692)와, 확경부의 양측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부(692)를 포함하며, 연장부(892)에는 고정볼트(320)가 관통되는 관통홀(696)이 형성되어 있다.The mold cover (690) can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and includes an expanded portion (692) extending diametrically from the lower plate side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an extension portion (692) extending integrally from both sides of the expanded portion, and a through hole (696) through which a fixing bolt (320) passes is formed in the extended portion (892).
즉,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몰드 커버(690)가 사용되며, 더 구체적으로 몰드커버(690)의 확경부(694)의 내면과 커버버텀(300)의 후면 사이에 밀봉부재(700)가 배치되고, 몰드커버의 연장부(612)에 형성된 관통홀(696)을 관통하는 고정볼트(320)에 의하여 커버버텀과 결합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FIG. 9, a mold cover (690) is used to form the outer portion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more specifically, a sealing member (700) is plac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expanded portion (694) of the mold cover (69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bottom (30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cover bottom by a fixing bolt (320) that penetrates a through hole (696) formed in an extended portion (612) of the mold cover.
도 9의 실시예에 의한 몰드 커버(690)를 포함하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고정하는 방식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fixing an acoustic generating actuator including a mold cover (69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9 is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우선, 펨너트(330)가 커버버텀에 형성되는 펨너트 고정홀에 일측이 압입된 후 선단부가 코팅됨으로써 커버버텀에 고정된다. First, a femnut (330) is fixed to the cover bottom by having one side pressed into a femnut fixing hole formed in the cover bottom and then having the tip coated.
한편, 액츄에이터의 몰드 커버(690)의 연장부(692)에도 관통홀(69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통홀을 펨너트(330)의 나사홀에 정렬한 후 고정볼트(320)를 조임으로써 음향발생 액츄에이터(600)가 커버버텀과 고정결합되는 것이다.Meanwhile, since a through hole (696) is formed in the extension (692) of the mold cover (690) of the actuator,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600) is fixedly connected to the cover bottom by aligning the through hole with the screw hole of the fem nut (330) and then tightening the fixing bolt (320).
이러한 펨너트(Pem Nut; 330)는 셀프 클린칭 너트(self clinching nut)로 표현되기도 하며, 이를 사용하게 되면, 고정볼트(320)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 아니라, 커버버텀이 얇아서 고정볼트를 커버버텀에 직접 나사결합하는 경우 고정력이 충분치 않은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se Pem nuts (Pem Nut; 330) are also referred to as self-clinching nuts, and their use has the advantage of not only reducing the length of the fixing bolt (320), but also solving the problem of insufficient fixing force when the fixing bolt is directly screwed to the cover bottom because the cover bottom is thin.
즉, 펨너트(330)가 없는 경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600)의 외곽부인 몰드 커버(690)의 관통홀을 통과한 고정볼트를 커버버텀에 형성되는 나사홀에 직접 나사결합시켜 고정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커버버텀의 두께가 크면 결합에 문제가 없지만, 커버버텀의 두께가 얇은 경우 결합력이 충분치 않은 문제가 생긴다.That is, in the absence of a fem nut (330), the fixing bol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mold cover (690), which is the outer part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600), must be directly screwed into the screw hole formed in the cover bottom to secure it. In this case, if the thickness of the cover bottom is large,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connection, but if the thickness of the cover bottom is thin, there is a problem with insufficient connection strength.
따라서, 위와 같이 펨너트(330)를 미리 커버버텀에 압입/코킹 방식으로 고정시킨 후, 그 펨너트에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를 나사 결합시키게 되면, 커버버텀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도 충분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f the fem nut (330) is first fixed to the cover bottom by press-fitting/caulking as above and the outer part of the actuator is screw-connected to the fem nut, sufficient bonding strength can be secured even when the cover bottom is thin.
한편,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를 구성하는 몰드커버(690)의 내면, 더 구체적으로는 몰드커버의 확경부(694)와 커버버텀 표면 사이에 밀봉부재(700)가 배치된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FIG. 9, a sealing member (700) is placed on the inner surface of a mold cover (690) forming the outer portion of a sound-generating actuator, more specifically, between an enlarged portion (694) of the mold cover and the cover bottom surface.
이러한 밀봉부재(700)는 일종의 환상 오링(O-ring) 형태의 실링부재일 수 있으며, 밀봉부재(700)의 일측은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 즉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몰드 커버의 확경부(694) 내면에 접촉 또는 부착되고, 타측은 커버버텀의 외면에 접촉됨으로써, 밀봉부재 내측의 액츄에이터 공간을 밀폐시킨다.This sealing member (700) may be a sealing member in the form of a kind of annular O-ring, and one side of the sealing member (700) is in contact with or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FIG. 9, the inner surface of the expanded portion (694) of the mold cover, and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bottom, thereby sealing the actuator space inside the sealing member.
따라서, 도 6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커버버텀의 지지홀(310) 사이의 간극(S)을 통한 음향 누설 및 그로 인한 반사음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as described in FIGS. 6 to 8, sound leakage through the gap (S) between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support hole (310) of the cover bottom and resulting reflected sound can be prevented.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밀봉부재(700)의 재료 선택이 중요해지는데. 밀봉부재(700)의 재료로서 탄성계수가 낮은 무른 재질로만 형성하는 경우에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커버버텀 지지홀 사이의 간극(S)을 통하여 누설된 음향의 음압에 의하여 밀봉부재(700)가 변형됨으로써 음향이 일부 새어나올 가능성이 있다.For this purpose,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the sealing member (700) becomes important. If the sealing member (700) is formed only with a soft material having a low elastic modulu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ome sound may leak out due to the sealing member (700) being deformed by the sound pressure leaking through the gap (S) between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cover bottom support hole.
즉, 밀봉부재(700)를 무른 단일 재료로만 형성하는 경우, 발생된 음향의 음압이 크게 되면 밀봉부재가 변형됨으로써, 밀봉부재와 커버버텀 표면 사이를 통하여 음향이 새어나와, 결과적으로 휘바람 소리, 떨리는 소리 등과 같은 이상음이 발생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sealing member (700) is formed only of a soft single material, if the sound pressure of the generated sound becomes large, the sealing member may be deformed, causing the sound to leak between the sealing member and the cover bottom surface, resulting in the generation of abnormal sounds such as a whistling sound or a shaking sound.
반면, 밀봉부재(700)의 재료로서 탄성계수가 높은 단단한 재료를 이용하게 되면, 전술한 음압에 의한 변형과 그에 따른 음향 누설은 방지될 수 있으나, 음향발생을 위하여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진동하는 경우 밀봉부재(700)의 선단과 커버버텀의 후면 사이의 단속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데 양 부재 모두 단단한 재질이므로 그러한 접촉에 의한 소음(노이즈)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On the other hand, if a hard material with a high elastic modulus i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sealing member (700), the deformation due to the aforementioned sound pressure and the resulting sound leakage can be prevented, but when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vibrates to generate sound, intermittent contact occurs between the tip of the sealing member (700) and the rear of the cover bottom, and since both members are made of hard material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noise may be generated due to such contact.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밀봉부재(700)는 2가지 상이한 재료로 구성되는 제1밀봉부(710) 및 제2밀봉부(7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s illustrated in FIG. 10, the sealing member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sealing portion (710) and a second sealing portion (720) made of two different materials.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밀봉부재의 세부구성을 도시한다.Figure 10 illustrate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aling member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과 같이, 밀봉부재(700)는 일정한 높이 L를 가지는 환상부재로서 밀봉부재의 전체 높이 L는 도 9a에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600)의 외곽부, 즉 몰드 커버(690)의 확경부(694)와 커버버텀(300)의 후면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As shown in FIG. 10, the sealing member (700) is an annular member having a constant height L, and the total height L of the sealing member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portion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600), that is, the expanded portion (694) of the mold cover (69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bottom (300) in FIG. 9a.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부재(700)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 내면에 접촉되고 제1탄성계수를 가지는 제1밀봉부(710)와, 제1밀봉부와 연장 형성되되 제1탄성계수보다 낮은 제2탄성계수를 가지는 제2밀봉부(7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0, the sealing member (7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sealing portion (710)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ortion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has a first elastic coefficient, and a second sealing portion (720) that is formed as an extension from the first sealing portion and has a second elastic coefficient lower than the first elastic coefficient.
제1밀봉부(710)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 내면에 접촉 또는 접착되고, 제2밀봉부(720)는 커버버텀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The first sealing portion (710) is positioned to contact or adher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ortion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second sealing portion (720) is positioned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bottom.
제1밀봉부(710)의 제1탄성계수는 약2Mpa 이상으로서, 제1밀봉부(710)는 금속, 플라스틱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료로 형성된다.The first elastic modulus of the first sealing portion (710) is approximately 2 MPa or more, and the first sealing portion (710) is formed of a relatively hard material such as metal or plastic.
반면, 제2밀봉부(720)의 제2탄성계수는 약0.5Mpa 이하로서, 제2밀봉부(720)는 실리콘, 고무, 부직포 등의 무른 재료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elastic modulus of the second sealing portion (720) is about 0.5 MPa or less, and the second sealing portion (720)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such as silicone, rubber, or non-woven fabric.
이와 같이, 밀봉부재를 상이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2가지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밀봉부재가 단일 재료인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전술한 문제, 즉 단단한 재질인 경우의 소음발생과, 무른 재질인 경우의 변형에 따른 음향 누설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by forming the sealing member with two materials having different elastic moduli, the aforementioned problems that may occur when the sealing member is made of a single material, namely, noise generation in the case of a hard material, and sound leakage due to deformation in the case of a soft material, can be prevented.
즉, 상기와 같은 2중 구조의 밀봉부재를 이용하면, 기본적으로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에 접착되는 제1밀봉부(710)가 단단한 재료이므로 음압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면서도, 커버버텀 후면과의 접촉부분에 배치되는 무른 재질의 제2밀봉부(720)가 진동시 발생되는 커버버텀 후면과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로 동작함으로써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by using the double-structured sealing member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ealing member (710) that is basically adhered to the outer part of the sound-generating actuator is made of a hard material, so deformation due to negative pressure is prevented, while the second sealing member (720) made of a soft material and placed at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bottom acts as a damper that absorbs the shock caused by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bottom during vibration, thereby preventing noise generation.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제1밀봉부(710) 및 제2밀봉부(720)의 높이를 각각 최적화할 수 있으며, 아래에서는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To maximize this effect, the heights of the first sealing portion (710) and the second sealing portion (720) can be optimized, and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우선,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른 재질의 제2밀봉부(720)의 높이 L2는 제2밀봉부의 재료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나, 약3mm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커버버텀과의 접촉에 따른 소음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한 재료에 따라서 제2밀봉부(720)의 높이 L2는 일정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First, as illustrated in Fig. 10b, the height L2 of the second sealing portion (720) made of a soft material can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second sealing portion, but can be set to about 3 mm or less. That is, the height L2 of the second sealing portion (720) can be set to a constant value depending on the material as long as it can block noise generation due to contact with the cover bottom.
한편, 단단한 재질의 제1밀봉부(710)의 높이 L1은 밀봉부재 전체의 높이 L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바, 전체 밀봉부재의 높이 L에서 일정한 값으로 정해지는 제2밀봉부재(720)의 높이 L2를 뺀 값으로 결정된다.Meanwhile, the height L1 of the first sealing member (710) made of a solid material can be variably set according to the height L of the entire sealing member, and is determined by subtracting the height L2 of the second sealing member (720), which is set to a constant value, from the height L of the entire sealing member.
예를 들어,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외곽부의 내면과 커버버텀 후면 사이의 거리가 10mm인 경우, 밀봉부재(700)의 전체 높이 L은 약10mm가 되고, 부직포 형태의 제2밀봉부(720)의 높이 L2가 1mm이면 제1밀봉부(710)의 높이 L1은 9mm가 되며, 실리콘 형태의 제2밀봉부(720)의 높이 L2가 2mm이면 제1밀봉부(710)의 높이 L1은 약8mm로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ortion of the sound-generating actuator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bottom is 10 mm, the overall height L of the sealing member (700) becomes approximately 10 mm, and if the height L2 of the second sealing member (720) in the form of non-woven fabric is 1 mm, the height L1 of the first sealing member (710) becomes 9 mm, and if the height L2 of the second sealing member (720) in the form of silicone is 2 mm, the height L1 of the first sealing member (710) can be determined to be approximately 8 mm.
이와 같이,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와 커버버텀 후면 사이에 밀봉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커버버텀 지지홀 사이의 간극(S)을 통한 음향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by arranging a sealing member between the outer portion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bottom, sound leakage through the gap (S) between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cover bottom support hole can be prevented.
더 나아가서, 그러한 밀봉부재를 상이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이중 밀봉부로 형성하고, 그 이중 밀봉부의 재료(탄성계수) 및 높이를 최적화함으로써, 음향누설을 방지하면서도 밀봉부재의 커버버텀 접촉에 따른 소음(Noise)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by forming such a sealing member into a double sealing member having different elastic moduli and optimizing the material (elastic modulus) and height of the double sealing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noise due to the cover bottom contact of the sealing member while preventing sound leakage.
한편, 밀봉부재 배치를 위하여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 9와 같이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외곽에 추가로 형성되는 별도의 몰드 커버(690)를 이용하게 되면, 하부 플레이트(요크)를 포함하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기본구조를 변경할 필요없이 본 발명에 의한 밀봉부재 장착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Meanwhile, when configuring the outer portion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for the purpose of arranging the sealing member, if a separate mold cover (690) additionally formed on the outer portion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s shown in FIG. 9 is us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eal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without having to change the basic structure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including the lower plate (yoke).
도 1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1b는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요크)를 확장한 확경부로 외곽부를 형성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다.FIG. 11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 generating actuator having an outer portion formed by expanding a lower plate (yoke) of the actuator.
전술한 바와 같이, 밀봉부재(700) 배치를 위하여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에는 커버버텀의 지지홀보다 큰 직경으로 확장되는 외곽부가 형성되어야 하며, 이러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 형성을 위한 방안으로 2가지를 고려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arrange the sealing member (700),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must have an outer portion that extends to a diameter larger than the support hole of the cover bottom, and two methods can be considered for forming the outer portion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도 11은 그 중 하나로서, 도 9와 같은 별도의 몰드 커버(690)를 사용하지 않고,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부품 중에서 하부 플레이트(610) 또는 요크와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확경부(614)를 형성하는 방식이다.Fig. 11 is one of them, and is a method of forming an expanded portion (614) that is integrally formed with a lower plate (610) or yoke among the parts of a sound generating actuator without using a separate mold cover (690) like Fig. 9.
즉,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610)을 제작할 때, 일반적인 원통형 또는 실린더 형상이 아니라 일측에는 직경이 나머지 부분의 직경보다 큰 환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그 직경이 커진 환상의 돌출부 영역을 확경부(614)로 표현할 수 있다.That is, when manufacturing the lower plate (610)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instead of a typical cylindrical or cylinder shape, an annular protrusi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rest of the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area of the annular protrusion with the larger diameter can be expressed as an enlarged portion (614).
이러한 확경부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를 구성하며, 그 확경부(614)와 커버버텀의 후면 사이에 밀봉부재(700)를 배치하는 것이다. This expansion member constitutes the outer portion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and a sealing member (700) is arranged between the expansion member (614)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bottom.
도 11b와 같이,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기본 직경을 D1이라 할 때, 확경부(614)의 직경은 D1보다 큰 D3로 형성되며, 이러한 확경부(614) 중 일부에는 액츄에이터 나사고정을 위한 연장부(612)가 연장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1b, when the basic diameter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is D1, the diameter of the expanded portion (614) is formed as D3, which is larger than D1, and an extension portion (612) for screw fixing the actuator is extended and formed on some of the expanded portions (614).
도 11a는 이러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커버버텀에 고정된 경우의 단면도로서, 도 9에서와 같이 커버버텀에 고정된 펨너트(1330)를 이용하여, 도 11b와 같은 구조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600)가 고정볼트(1320)에 의하여 커버버텀에 장착된다.FIG. 11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se where such a sound generating actuator is fixed to a cover bottom. As in FIG. 9, a sound generating actuator (600) having a structure like FIG. 11b is mounted to the cover bottom by a fixing bolt (1320) using a fem nut (1330) fixed to the cover bottom.
한편,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를 형성하는 확경부(614)의 내면과 커버버텀의 후면 사이에는 환상형태를 가지는 밀봉부재(700)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밀봉부재(7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중 구조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a sealing member (700) having an annular shape is plac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expanded portion (614)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bottom. This sealing member (700) may have a doubl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도 11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밀봉부재(700)의 세부 구성은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aling member (700) used in the embodiment of Fig. 11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Fig. 10, so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to avoid duplication.
한편, 밀봉부재(700) 배치를 위하여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 11과 같이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요크)를 직접 확장시켜 확경부를 구성하게 되면 별도의 몰드 커버 구조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하여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강성이 확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Meanwhile, when configuring the outer portion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for the purpose of arranging the sealing member (700), if the lower plate (yoke) of the actuator is directly expanded to form an expanded portion as shown in FIG. 11,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igidity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can be secured compared to the method of using a separate mold cover structure.
도 12는 진동판으로서의 표시패널과 커버 버텀사이에 음향 전달용 에어갭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의 지지구조 중 하나인 미들캐비닛 사이에 형성되는 배플부의 여러 예를 도시한다.Figure 12 illustrates several examples of baffle parts formed between a display panel and a middle cabinet, which is one of the support structures of the display panel, to form an air gap space for sound transmission between the display panel as a diaphragm and the cover bottom.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패널진동형 음향발생장치에서는 표시패널(100)과 지지구조(커버버텀; 300 등) 사이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에 의하여 패널이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인 에어갭 공간(A/G)을 확보하여야 한다. As illustrated in Fig. 2b, in the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air gap space (A/G), which is a space in which the panel can vibrate by a sound generating actuator (200), must be secur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support structure (cover bottom; 300, etc.).
또한, 표시패널이 진동할 때 음파를 발생할 수 있도록 표시패널 일측이 표시패널의 지지구조에 접합되어야 하며, 특히 발생된 음향이 표시장치의 측면 등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지 않아야 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must be attached to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display panel so that sound waves can be generated when the display panel vibrates, and in particular, the generated sound must not leak to the outside through the side of the display device, etc.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에서는 표시패널의 하면과 지지구조 사이에 일정한 배플부(400)를 형성한다.For this purpose,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certain baffle part (400)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support structure.
더 구체적으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주위의 일정한 구획(즉, 에어갭 공간)이 정의되고, 그 구획의 가장자리에는 표시패널의 하면과 미들캐비닛 또는 커버버텀의 상면 사이에서 배플부가 배치되며, 배플부(400)는 표시패널 저면과 표시장치의 지지구조 상면 사이에 접착되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412))와 접착부재 외곽에 더 배치되는 실링부(4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a certain section (i.e., an air gap space) is defined around the sound-generating actuator, and a baffle section is arranged at an edge of the section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iddle cabinet or cover bottom, and the baffle section (4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n adhesive member (412) such as a double-sided tape that is adher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and a sealing member (414) that is further arrang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dhesive member.
이 때, 배플부가 형성되는 구획은 표시패널의 외곽 4개 변으로 정의되는 전체 표시패널 영역일 수도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스 PCB가 배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rea where the baffle is formed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the entire display panel area defined by the four outer edges of the display panel, and may be defined as an area excluding the area where the source PCB is placed.
또한, 스테레오, 입체 음향 등의 구현을 위하여 2 이상의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배플부가 형성되는 구획이 2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wo or more sound generating actuators are provided to implement stereo, three-dimensional sound, etc., the section in which the baffle part is formed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sections.
도 2b와 같이, 표시장치의 지지구조는 표시패널의 후면 전체를 커버하는 커버버텀(300) 이외에, 커버버텀에 결합되고 표시패널의 일부를 안착하기 위한 미들캐비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b,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iddle cabinet (500) coupled to the cover bottom and for fixing a part of the display panel, in addition to a cover bottom (300) that covers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미들 캐비닛(500)은 표시패널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는 프레임 형태의 부재로서, 표시패널의 일부가 안착되는 수평지지부(502)와, 상기 수평지지부로부터 양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커버버텀의 측면 및 표시패널의 측면을 커버하는 수직지지부(504)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T자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middle cabinet (500) is a frame-shaped member form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display panel, and may have an overall T-shaped cross-section shape, including a horizontal support member (502) on which a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is fixed, and a vertical support member (504) that is formed by bending from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to both sides to cover the side of the cover bottom and the side of the display panel.
이러한 미들 캐비닛(500)은 표시장치 또는 세트장치의 측면 외관부를 구성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되지 않거나 커버버텀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se middle cabinets (500) constitute the side exterior of the display device or set device, and in some cases, may not be used o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ver bottom.
도 12a의 실시예에 의하면, 배플부(400)를 구성하는 접착부재(412)는 미들캐비닛(500)의 수평지지부 상면과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양면 테이프로서, 표시패널의 하면을 미들캐비닛에 접착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2a, the adhesive member (412) constituting the baffle portion (400) is a double-sided tape plac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of the middle cabinet (500) and the display panel, and has the function of adhesively fixing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to the middle cabinet.
또한, 배플부를 구성하는 실링부(414)는 접착부재의 외곽에 더 배치되고 접착부재의 두께 또는 높이보다 더 큰 두께 또는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ing portion (414) constituting the baffle portion be positioned further outside the adhesive member and have a thickness or height greater than the thickness or height of the adhesive member.
실링부(414)는 탄성이 큰 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부재(412)의 두께(t1)보다 더 큰 두께 t2를 가진다.The sealing portion (414)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highly elastic rubber, and as shown in FIG. 12a, has a thickness t2 greater than the thickness (t1) of the adhesive member (412).
즉, 도 12a와 같이 미들캐비닛(500)의 수평지지부(502) 상면의 내측 부분에 두께 t1을 가지는 양면 테이프인 접착부재(412)의 일면을 접착 배치하고, 접착부재의 외곽에 t1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지는 탄성재료의 실링부(414)를 배치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12a, one side of an adhesive member (412) that is a double-sided tape having a thickness of t1 is bonded and placed on the inner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502) of the middle cabinet (500), and a sealing member (414)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1 is plac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dhesive member.
그 상태에서, 표시패널(100)을 접착부재(412)의 타접착면에 부착시키면 더 큰 두께를 가지는 실링부(414)가 일정 정도 압박되면서 표시패널과 미들캐비닛이 접착된다. (도 12b)In that state, when the display panel (100) is attached to the other 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member (412), the sealing portion (414) having a larger thickness is pressed to a certain degree, thereby bonding the display panel and the middle cabinet. (Fig. 12b)
따라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주위의 에어갭 영역의 밀봉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the sealing property of the air gap region around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2b와 같이 미들캐비닛의 수평지지부(502)과 접착부재(412)의 두께만큼의 에어갭(A/G)이 형성되면서 표시패널(100)과 커버버텀(300)이 결합됨으로써, 표시패널이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부에서 발생된 음파가 표시장치의 측면을 따라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b, an air gap (A/G) as thick as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502) and the adhesive member (412) of the middle cabinet is formed, and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cover bottom (300) are joined together, thereby securing a vibration space in which the display panel can generate sound, and at the same time, preventing sound waves generated inside from leaking out to the outside along the side of the display device.
특히, 에어갭 공간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배플부(400)를 접착부재(412)와 실링부(414)의 이중구조로 하되 실링부의 두께를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에어갭 공간의 밀봉성을 더 향상시켜 음향의 유출을 더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the baffle part (400) placed at the edge of the air gap space has a double structure of an adhesive member (412) and a sealing part (414), but by forming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part larger, the sealing property of the air gap space is further improved, thereby having the effect of further blocking sound leakage.
본 명세서에서의 미들캐비닛(500)은 가이드 패널(Guide Panel), 플라스틱 샤시, p-샤시, 서포트 메인, 메인 서포트, 몰드 프레임 등 다른 표현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절곡부가 있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구조물로서 커버버텀에 연결되어 표시패널 및 배플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든 형태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iddle cabinet (500)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replaced with other expressions such as a guide panel, a plastic chassis, a p-chassis, a support main, a main support, a mold frame, etc.,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ypes of members that are connected to a cover bottom and used to support a display panel and a baffle portion as a structure having a square frame shape with a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folded portions.
이러한 미들캐비닛(500)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 같은 합성수지의 몰드재질로 이루어지고, 사출성형 방식을 통하여 제작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is middle cabinet (500) is made of a mold material of synthetic resin such as polycarbonate, and can be manufactured through injection mold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버텀과 표시패널 사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미들캐비닛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미들캐비닛은 반드시 필요한 구조는 아닐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 middle cabinet may be used to support the cover bottom and the display panel, but such a middle cabinet may not be a necessary structure.
즉, 도 12c와 같이, 미들캐비닛 없이 커버버텀(300)이 표시장치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표시패널 일측을 지지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커버버텀(300)의 일측에서 기저면으로부터 위로 돌출된 단차부(360)가 형성되고, 단차부(360)의 외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지지부(362)가 형성되는 커버버텀(300)이 제공된다.That is, as in Fig. 12c, the cover bottom (30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supports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while forming the side appearance of the display device without a middle cabinet, and in this case, a cover bottom (300) is provided in which a step portion (360) protruding upward from the base surfac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bottom (300), and a side support portion (362)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outer side of the step portion (360) is formed.
커버버텀(300)의 단차부(360)에는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 일부가 안착되어 접합되고, 커버버텀의 측면지지부(362)는 표시패널(100)의 측면을 둘러싸서 보호하며, 결과적으로 커버버텀이 표시장치의 측면 및 후면 전체의 외관부를 형성한다.A part of the edge of the display panel (100) is secured and joined to the step portion (360) of the cover bottom (300),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362) of the cover bottom surrounds and protects the side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as a result, the cover bottom forms the exterior portion of the entire side and rear of the display device.
이러한 구조에서 음향발생 등을 위한 배플부(400)를 구성하기 위하여, 양면 테이프 형태의 접착부재(412)가 커버버텀의 단차부(360)의 내측에 배치되고, 접착부재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실링부(414)가 접착부재의 외측에 배치된다.In order to form a baffle part (400) for sound generation, etc. in this structure, an adhesive member (412) in the form of a double-sided tape is placed on the inner side of the step part (360) of the cover bottom, and a sealing part (414)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adhesive member is placed on the outer side of the adhesive member.
이 상태에서 표시패널(100)이 커버버텀의 단차부(360)에 안착되어 접착부재(412)의 일면에 접착됨으로써 커버버텀과 결합되고, 그 때 실링부(414)가 압착되면서 음향 전달을 위한 에어갭 공간의 밀봉이 확보된다.In this state, the display panel (100) is secured to the step portion (360) of the cover bottom and is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adhesive member (412) to be combined with the cover bottom, and then the sealing portion (414) is pressed to secure the sealing of the air gap space for sound transmission.
도 12c의 실시예를 이용하면, 미들캐비닛과 같은 중간 지지구조가 없어지면서 구조가 간단해지고, 에어갭 공간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배플부(400)를 접착부재(412)와 실링부(414)의 이중구조로 하되 실링부의 두께를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표시패널이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부에서 발생된 음파가 표시장치의 측면을 따라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By using the embodiment of Fig. 12c, the structure is simplified by eliminating the intermediate support structure such as the middle cabinet, and the baffle part (400) arranged at the edge of the air gap space is made of a double structure of an adhesive member (412) and a sealing part (414), but by forming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part larger, a vibration space in which the display panel can generate sound can be secured, and at the same time, the sound waves generated inside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out to the outside along the side of the display device.
본 실시예에서 에어갭 공간의 두께, 즉 에어갭 공간에서의 표시패널과 커버버텀 사이의 거리(G3)는 약1.0~3.0mm로 정해질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의 진동정도 등에 따라 다른 범위로 정해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air gap space, i.e., the distance (G3)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bottom in the air gap space, may be set to about 1.0 to 3.0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et to a different range depending on the degree of vibration of the display panel, etc.
다만, 표시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필요가 존재하기 때문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에 의한 표시패널의 진동량과 출력해야 하는 음역대 및 출력량 등을 고려하되, 에어갭 공간의 두께(G3)는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갭 공간의 두께(G3)를 약2.0mm로 하는 것이 최적임을 확인하였다.However, since there is a need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it is desirable to minimize the thickness (G3) of the air gap space while considering the amount of vibration of the display panel by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the sound range to be output, and the output amount, and in this embod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thickness (G3) of the air gap space is optimally set to about 2.0 mm.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밀봉부재를 사용한 경우의 음향 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ure 13 is a graph showing acoustic output characteristics when a seal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도 13에서 점선은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밀봉부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주파수별 음향 출력량을 나타내며, 실선은 본 발명에 의한 밀봉부재를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다.In Fig. 13, the dotted line represents the sound output amount by frequency when the seal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used, as in Figs. 6 and 7, and the solid line represents the case when the seal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도 13의 점선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밀봉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커버버텀의 지지홀 사이의 간극(S)을 통한 누설 음향과 그의 반사음향에 의하여 특정한 음역대(약500~1000Hz)에서 음향 출력(음압)이 급격히 감소하는 딥(Dip.) 현상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he dotted line in Fig. 13, when the seal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used, it can be seen that a dip phenomenon occurs in which sound output (sound pressure) is rapidly reduced in a specific sound range (approximately 500 to 1000 Hz) due to sound leakage through the gap (S) between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support hole of the cover bottom and its reflected sound.
반면, 본 발명에 의한 밀봉부재를 사용하면, 도 13의 실선과 같이, 특정주파수에서의 음압감소(Dip 현상)가 방지되고,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음역대에서 균일한 음질 구현이 가능해짐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al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shown in the solid line of Fig. 13, a decrease in sound pressure (dip phenomenon) at a specific frequency is prevented, and as a result, uniform sound quality can be implemented across the entire sound range.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에 형성된 지지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삽입시켜 고정하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의 내면과 표시장치 지지구조의 외면 사이에 반사음 방지용 밀봉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지지홀 사이의 간극(S)을 통한 음향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configur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evice, a sound generating actuator is inserted and fixed into a support hole formed in a support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and a sealing member for preventing reflection sound is arrang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an outer portion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thereby preventing sound leakage through a gap (S) between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support hole.
특히, 반사음 방지용 밀봉부재를 상이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이중 밀봉부로 형성하고, 그 이중 밀봉부의 재료(탄성계수) 및 높이를 최적화함으로써, 음향누설을 방지하면서도 밀봉부재의 커버버텀 접촉에 따른 소음(Noise)을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by forming a sealing member for preventing reflection sound into a double sealing member having different elastic moduli and optimizing the material (elastic modulus) and height of the double sealing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sound leakage while also preventing noise due to the sealing member's contact with the cover bottom.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attached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such as combination, separation, substitution, and change of the configuration,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표시패널 200, 600 :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210, 610 : 하부 플레이트 220, 620 : 마그네트
230, 630 : 센터폴 240, 640 : 외부 프레임
250, 650 : 보빈 260, 660 : (보이스) 코일
300 : 커버버텀 310 : 지지홀
400 : 배플부 412 : 접착부
414 : 실링부 690 : 몰드 커버
614, 694 : 확경부 612, 692 : 연장부
320 : 고정볼트 330 : 펨너트
700 : 밀봉부재 710 : 제1밀봉부
720 : 제2밀봉부100 : Display panel 200, 600 : Sound generating actuator
210, 610 : Lower plate 220, 620 : Magnet
230, 630: Centerpole 240, 640: Outer frame
250, 650: Bobbin 260, 660: (Voice) Coil
300 : Cover Bottom 310 : Support Hole
400: Baffle part 412: Adhesive part
414 : Sealing part 690 : Mold cover
614, 694: Expansion section 612, 692: Extension section
320: Fixed bolt 330: Fem nut
700: Sealing member 710: First sealing member
720: Second Seal
Claims (12)
상기 표시패널의 적어도 후면을 커버하여 지지하는 커버버텀;
상기 커버버텀에 구비된 지지홀에 삽입되고,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일측은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커버버텀의 외면에 접촉되는 환상형상의 밀봉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센터폴, 상기 센터폴 주위를 둘러싸고 상기 마그네트 내측에 배치되는 보빈, 및 보빈에 권취되어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A display panel that displays images;
A cover bottom supporting and covering at least the rear surface of the above display panel;
A sound generating actuator inserted into a support hole provided in the above cover bottom and generating sound by vibrating the display panel;
An annular sealing member having one end in contact with the outer portion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other en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bottom;
Including,
The above sound generating actuator is a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magnet, a plate supporting the magnet, a center pole, a bobbin surrounding the center pole and arranged inside the magnet, and a coil wound around the bobbin and to which current is applied.
상기 표시패널의 적어도 후면을 커버하여 지지하는 커버버텀;
상기 커버버텀에 구비된 지지홀에 삽입되고,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일측은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커버버텀의 외면에 접촉되는 환상형상의 밀봉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일측에 배치되고 제1탄성계수를 가지는 제1밀봉부와, 상기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탄성계수와 상이한 제2 탄성계수를 가지는 제2 밀봉부를 포함하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A display panel that displays images;
A cover bottom supporting and covering at least the rear surface of the above display panel;
A sound generating actuator inserted into a support hole provided in the above cover bottom and generating sound by vibrating the display panel;
An annular sealing member having one end in contact with the outer portion of the sound generating actuator and the other en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bottom;
Including,
A panel vibration-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wherein the sealing member comprises a first sealing portion arranged on one side and having a first elastic coefficient, and a second sealing portion arranged on the other side and having a second elastic coefficient different from the first elastic coefficient.
상기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는 2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커버버텀 사이에 배치되어 에어갭 공간을 형성하는 배플부를 더 포함하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In paragraph 1 or 2,
The above sound generating actuators are provided in two or more units,
A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baffle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bottom to form an air gap space.
상기 표시패널은 자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패널인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In paragraph 1 or 2,
The above display panel is a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which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ncluding a self-luminous element.
상기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는 상기 표시패널에 접촉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을 상기 표시패널에 접착시키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In paragraph 1 or 2,
A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wherein the above sound generating actuator further includes a bobbin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isplay panel, and an adhesive member that adheres the bobbin to the display panel.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는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의 측면 일부를 둘러싸는 몰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몰드 커버의 내면 일부와 상기 커버버텀의 후면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In paragraph 1 or 2,
The outer portion of the above sound generating actuator includes a mold cover surrounding a portion of a side surface of the lower plate of the above sound generating actuator,
The above sealing member is a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arranged between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above mold cover and the rear surface of the above cover bottom.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외곽부는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와 일체로 연장되는 확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확경부와 상기 커버버텀의 후면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In paragraph 1 or 2,
The outer portion of the above sound generating actuator includes an enlarged portion that extends integrally with the lower plate of the above sound generating actuator,
The above sealing member is a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arranged between the expansion part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bottom.
상기 커버버텀과 결합되어 상기 표시패널의 측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안착하는 프레임 형상의 미들캐비닛을 더 포함하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In paragraph 1 or 2,
A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rame-shaped middle cabinet that supports the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secures the edge of the display panel while being combined with the cover bottom.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커버버텀 사이에는 1.0~3.0mm거리의 에어갭 공간이 형성되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In paragraph 1 or 2,
A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in which an air gap space of 1.0 to 3.0 mm is form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botto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8487A KR102721481B1 (en) | 2016-05-31 | 2023-06-19 |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panel vibration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7431A KR102546842B1 (en) | 2016-05-31 | 2016-05-31 |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panel vibration type |
KR1020230078487A KR102721481B1 (en) | 2016-05-31 | 2023-06-19 |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panel vibration typ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7431A Division KR102546842B1 (en) | 2016-03-28 | 2016-05-31 |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panel vibration ty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5899A KR20230095899A (en) | 2023-06-29 |
KR102721481B1 true KR102721481B1 (en) | 2024-10-24 |
Family
ID=604864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7431A Active KR102546842B1 (en) | 2016-03-28 | 2016-05-31 |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panel vibration type |
KR1020230078487A Active KR102721481B1 (en) | 2016-05-31 | 2023-06-19 |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panel vibration typ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7431A Active KR102546842B1 (en) | 2016-03-28 | 2016-05-31 |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panel vibration typ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2) | KR102546842B1 (en) |
CN (1) | CN107454512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05160B1 (en) * | 2017-12-26 | 2023-11-2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KR102455559B1 (en) * | 2017-12-26 | 2022-10-1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KR102455892B1 (en) * | 2017-12-29 | 2022-10-1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Electronic apparatus |
US10848874B2 (en) * | 2018-02-20 | 2020-11-24 | Google Llc | Panel audio loudspeaker electromagnetic actuator |
US10841704B2 (en) * | 2018-04-06 | 2020-11-17 | Google Llc | Distributed mode loudspeaker electromagnetic actuator with axially and radially magnetized circuit |
KR102548686B1 (en) | 2018-06-28 | 2023-06-2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KR102594577B1 (en) * | 2018-08-22 | 2023-10-2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KR102568284B1 (en) * | 2018-08-29 | 2023-08-1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KR102530589B1 (en) | 2018-09-20 | 2023-05-0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and compu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KR102080213B1 (en) | 2018-11-02 | 2020-04-1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KR102628489B1 (en) | 2018-11-15 | 2024-01-2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CN112771836B (en) * | 2018-11-16 | 2022-08-19 | 华为技术有限公司 | Mobile terminal |
KR102499876B1 (en) * | 2018-11-21 | 2023-02-1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and tiling display device |
KR102589247B1 (en) * | 2018-12-20 | 2023-10-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CN114927081B (en) * | 2018-12-31 | 2024-09-27 | 乐金显示有限公司 | Display device |
KR102668284B1 (en) * | 2019-02-01 | 2024-05-2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KR102668395B1 (en) * | 2019-03-15 | 2024-05-2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KR102708253B1 (en) | 2019-05-28 | 2024-09-2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KR102120888B1 (en) * | 2019-06-14 | 2020-06-09 | 부전전자 주식회사 | Suspension connection structure in panel vibration actuator and actuator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
CN110381425A (en) * | 2019-07-01 | 2019-10-25 | 联想(北京)有限公司 | A kind of electronic equipment |
KR102285870B1 (en) * | 2019-08-08 | 2021-08-06 | 주식회사 이엠텍 | Sound producing actuator |
KR102422063B1 (en) * | 2020-02-11 | 2022-07-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CN111726736B (en) * | 2020-06-29 | 2021-10-22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Exciters and Electronics |
KR102818986B1 (en) | 2020-08-06 | 2025-06-1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KR102505087B1 (en) * | 2021-01-15 | 2023-02-2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CN113864682B (en) * | 2021-09-28 | 2023-11-28 | 广东欣桐科技股份有限公司 | Sealing structure for displaying connection gap of lamp panel assembly |
KR20230100821A (en) | 2021-12-28 | 2023-07-0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KR20230102045A (en) | 2021-12-29 | 2023-07-0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Electronic apparatu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00223A (en) * | 2007-10-16 | 2009-05-07 | Kenwood Corp | Organic electro-luminescent panel speaker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A41484C2 (en) * | 1997-01-09 | 2001-09-17 | Нью Транзд'Юсез Лімітед | Loudspeaker |
JP2007300578A (en) * | 2006-05-08 | 2007-11-15 | Goto Denshi Kk |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US8879766B1 (en) * | 2011-10-03 | 2014-11-04 | Wei Zhang | Flat panel displaying and sounding system integrating flat panel display with flat panel sounding unit array |
CN203416417U (en) * | 2013-08-07 | 2014-01-29 | 浙江新嘉联电子股份有限公司 | Reliability testing apparatus |
CN203482271U (en) * | 2013-08-09 | 2014-03-12 |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 a mobile terminal |
KR102229137B1 (en) * | 2014-05-20 | 2021-03-1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
2016
- 2016-05-31 KR KR1020160067431A patent/KR102546842B1/en active Active
-
2017
- 2017-05-23 CN CN201710368161.XA patent/CN107454512B/en active Active
-
2023
- 2023-06-19 KR KR1020230078487A patent/KR10272148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00223A (en) * | 2007-10-16 | 2009-05-07 | Kenwood Corp | Organic electro-luminescent panel speak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5465A (en) | 2017-12-08 |
KR20230095899A (en) | 2023-06-29 |
CN107454512B (en) | 2020-07-07 |
CN107454512A (en) | 2017-12-08 |
KR102546842B1 (en) | 2023-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721481B1 (en) |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panel vibration type | |
US11736858B2 (en) |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 |
EP3229063B1 (en) | Double faced display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evice | |
US10142738B2 (en) | Panel vibration type sound-generating display device | |
JP6582019B2 (en) | Actuator fixing device and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on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1780302B1 (en) |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panel vibration type | |
KR101746496B1 (en) |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panel vibration type | |
JP2018007247A (en) |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 |
CN107454519A (en) | Pass through the display device of vibration panel sounding | |
KR101780297B1 (en) |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panel vibration type | |
KR20180135708A (en) | Display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61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60531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600674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