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20322B1 - Location track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e thereof - Google Patents
Location track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e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20322B1 KR102720322B1 KR1020220078629A KR20220078629A KR102720322B1 KR 102720322 B1 KR102720322 B1 KR 102720322B1 KR 1020220078629 A KR1020220078629 A KR 1020220078629A KR 20220078629 A KR20220078629 A KR 20220078629A KR 102720322 B1 KR102720322 B1 KR 1027203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server
- user terminal
- location information
- wor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29 di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개시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서버가 사용자의 직전 위치정보 및 현재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벡터를 획득하는 단계, 서버가 현재 날짜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안전선을 획득하는 단계, 서버가 현재 날짜에 기초하여 밀물시의 미리 정해진 밀물속력을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 현재시각, 사용자의 이동벡터, 안전선, 및 밀물 속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알림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알림모드를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된 알림모드에 대응되는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operating method of the loca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step in which a user terminal periodically transmits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to a server, a step in which the server obtains the user's movement vector based on the user's previous location information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 step in which the server obtains a predetermined safety line based on the current date, a step in which the server obtains a predetermined high tide speed at high tide based on the current date, a step in whic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notification modes is selected based 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e current time, the user's movement vector, the safety line, and the high tide speed, a step in which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selected notification mode, and a step in which the user terminal outputs a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notification mode.
Description
본 개시는 위치추적시스템 및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추적시스템은 사용자가 안전지역으로 갈 시간 및 안전지역의 방향을 알려주는 시스템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position tracking system and an operating method of the position tracking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tracking system is a system that informs a user of the time to go to a safe area and the direction of the safe area.
우리나라 서해의 갯벌이 약 1400km에 이르고 있으며 광범위한 부분에서 관광 및 어로 활동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해양수산부통계에 따르면, 현재 갯벌 작업으로 삶을 영위하는 어촌민이 약5만여명으로 추산되고 관광객은 10만여명으로 추산되고 계속 증가하고 있는 상태이다.The tidal flats of the West Sea of our country are about 1,400 km long, and the number of people engaged in tourism and fishing activities is increasing in a wide area. In particular, according to statistics from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the number of fishermen who make a living from tidal flat work is estimated at about 50,000, and the number of tourists is estimated at about 100,000, and the number is continuously increasing.
레저활동의 증가 및 수산자원의 고갈로, 근거리 보다는 점점 더 먼 곳으로 관광 및 채취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의 상승으로 안개 등이 자주 발생하여 가시거리가 짧아 해안사고의 위험성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서해는 연평균 약 100일 정도에 걸쳐 안개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Due to the increase in leisure activities and the depletion of fishery resources, tourism and fishing operations are increasingly being conducted in farther and farther places than nearby areas. In addition, due to the rise in water temperature caused by climate change, fog frequently occurs, reducing visibility and increasing the risk of coastal accidents. For example, fog occurs on average for about 100 days per year in the West Sea.
이에, 최근 언론에서 기사화되는 사건 사고를 보면, 갯벌에서 해산물 채취하는 관광객 또는 작업자가 먼 곳에서 작업이나 관광에 몰두하다가 물이 들어오는 것을 알지 못하거나, 안개를 만나거나 육지 쪽의 방향을 제대로 분별하지 못해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갯벌은 이동하기가 쉽지 않아 관광객 또는 작업자는 나무썰매와 같은 밀판이나 도보로 이동하여 시간당 1∼1.5km/h내외의 속력으로 이동하는 반면, 밀물의 속력은 10~15km/h이므로, 작업자 또는 관광객이 뒤늦게 물이 들어오는 것을 발견하여도 이미 늦은 경우가 있다. 특히, 어민들의 노령화 등으로 작업자의 위기상황 발생 확률이 높고 위급상황 발생 시, 사망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매년 약50건의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중 약 20여건 정도가 인명에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Accordingly, looking at recent incidents and accidents reported in the media, there are frequent cases where tourists or workers harvesting seafood in the tidal flats are so absorbed in their work or sightseeing that they do not notice the incoming tide, encounter fog, or are unable to properly discern the direction toward the land, resulting in accidents. In addition, the tidal flats are not easy to move around, so tourists or workers move on wooden sleds or on foot, moving at a speed of about 1 to 1.5 km/h per hour, while the speed of the high tide is 10 to 15 km/h, so even if workers or tourists discover the incoming tide late, it is often too late. In particular, due to the aging of fishermen, the probability of workers being in a crisis situation is high, an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t will lead to a fatal accident. In fact, about 50 accidents occur every year, and about 20 of them result in loss of life.
이와 같이 갯벌에서의 위험성은 높아지고 있지만, 관광객 및 작업자 안전을 위한 장비는 전무한 상태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갯벌에서 위험상황을 미리 알려주는 장비에 대한 개발이 있기는 하였으나, 그 정확도가 낮아서, 사용자들이 그 장비를 믿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갯벌에서 일하시는 작업자들은 작업시간이 충분히 보장되는 것이 생산량의 증대 측면에서 중요하지만, 기존의 장비들은 안전을 너무 중시한 나머지 지나치게 알림을 일찍 울리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작업자가 작업시간을 충분히 보장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작업자들은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 아예 이러한 장비의 알림을 무시하고, 자신의 경험을 믿으면서 작업을 더 하는 경우가 있었다. 즉, 기계를 믿다가 손해를 보았다는 생각 때문에 사용자가 기계를 신뢰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관광객 및 작업자의 인명피해의 예방을 위한 정확한 장비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As such, although the risk in the tidal flats is increasing, there seems to be no equipment for the safety of tourists and workers. In addition, although there has been development of equipment that warns of dangerous situations in the tidal flats in advance, the accuracy is low, and users sometimes do not trust the equipment. For workers working in the tidal flats, it is important to ensure sufficient working hours in order to increase productivity, but existing equipment sometimes sounds alarms too early due to excessive emphasis on safety. As a result, there were cases where workers did not receive sufficient working hours, and in order to maintain productivity, workers sometimes ignored the alarms from the equipment and worked more, relying on their own experience. In other words, there were cases where users did not trust the machines because they felt that they had suffered losses because they trusted the machine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ccurate equipment to prevent casualties among tourists and workers is urgently needed.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은 쌍방향 통신을 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고,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서버가 사용자의 직전 위치정보 및 현재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벡터를 획득하는 단계, 서버가 현재 날짜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안전선을 획득하는 단계, 서버가 현재 날짜에 기초하여 밀물시의 미리 정해진 밀물속력을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 현재시각, 사용자의 이동벡터, 안전선, 및 밀물 속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알림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알림모드를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된 알림모드에 대응되는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서버가 알림모드로써, 대피알림모드를 선택한 경우, 안전선 중 일 지점에 고정되어 위치한 비컨의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탈출벡터를 획득하는 단계, 이동벡터와 탈출벡터 사이의 각도가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각도 이상인 경우, 서버가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가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user terminal and a server that perform two-way communication, and an operating method of the position tracking system includes a step in which the user terminal periodically transmits the user's posi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a step in which the server obtains the user's movement vector based on the user's previous position information and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 step in which the server obtains a safety line determined in advance based on a current date, a step in which the server obtains a tide speed determined in advance at high tide based on the current date, a step in whic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notification modes is selected based on the user's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the current time, the user's movement vector, the safety line, and the tide speed, a step in which the selected notification mod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 step in which the user terminal outputs a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notification mode, a step in which, when the server selects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as the notification mode, the step in which the server obtains an escape vector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a beacon fixedly positioned at a point among the safety lines and the user's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 step in which the server transmits a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when an angle between the movement vector and the escape vect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threshold angle determined in advance, and a step in which the user terminal outputs the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방법의 복수의 알림모드는 작업안전모드, 작업마무리모드, 및 대피알림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작업안전모드는 현재시각이 작업에 아무런 제한이 없는 시간에 포함됨을 나타내고, 작업마무리모드는 작업을 중단하거나, 안전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작업을 해야하는 시간임을 나타내며, 대피알림모드는 즉각 작업을 중지하고 안전지역으로 이동해야함을 나타낸다.A plurality of notification modes of an operating method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 at least one of a work safety mode, a work completion mode, and an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wherein the work safety mode indicates that the current time is within a time period in which there is no restriction on work, the work completion mode indicates that it is time to stop work or move to a safe area while working, and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indicates that work should be stopped immediately and moved to a safe area.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방법의 복수의 알림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서버는 현재시각이 현재 날짜의 만조시각부터 간조시각까지에 포함되는 경우, 작업안전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서버는 현재시각이 간조시각이후이고, 다음 만조시각이전이며, 현재 위치정보와 안전선의 최소거리가 임계거리 이하인 경우, 작업마무리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서버는 현재시각이 간조시각이후이고, 다음 만조시각이전이며, 현재 위치정보와 안전선의 최소거리가 임계거리 초과인 경우, 대피알림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된 알림모드에 대응되는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현재시각이 간조시각과 동일한 경우, 서버가 밀물시작시각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가 미리 결정된 작업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서버가 비작업영역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서버가 대피알림모드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가 안전선에 도달하기 전까지, 작업안전모드, 및 작업마무리모드를 선택하지 않고, 밀물시작시각신호는 밀물이 시작되는 시각에 출력되는 신호이며, 이동방향수정신호는 사용자의 이동방향이 위험지역으로 향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비작업영역신호는 사용자의 위치가 작업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님을 나타낸다.The step of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notification modes of the operating method of the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the step of the server selecting a work safety mode if the current time is included in the high tide time to the low tide time of the current date, the step of the server selecting a work completion mode if the current time is after the low tide time and before the next high tide time and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afety line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distance, and the step of the server selecting an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if the current time is after the low tide time and before the next high tide time and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afety line exceeds the threshold distance, and the step of the user terminal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notification mode includes the step of the server transmitting a high tide start time signal to the user terminal if the current time is the same as the low tide time, and the step of the server transmitting a non-work area signal to the user terminal i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not included in a predetermined work area, and if the server selects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before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reaches the safety line, When the work safety mode and work finish mode are not selected, the high tide start time signal is a signal output at the time the high tide starts, the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indicates that the user's movement direction is heading toward a danger zone, and the non-work area signal indicates that the user's location is not an area where work is possibl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방법의 서버는 임계거리를 a*D-b 미터로 결정하고, a는 밀물속력에 반비례하는 미리 결정된 수이며, b는 해안선과 사용자의 안전 거리에 비례하는 미리 결정된 상수이며, D는 사용자가 안전선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최대 거리이다.The server of the operating method of the position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termines the threshold distance as a*D-b meters, where a is a predetermined number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ide speed, b is a predetermined constant proportional to the safe distance of the user from the shoreline, and D is the maximum distance the user can be from the safe lin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서버가 작업마무리모드를 선택한 경우, 이동벡터와 탈출벡터 사이의 각도가 미리 정해진 제 2 임계각도 이상인 경우, 서버가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가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임계각도는 제 2 임계각도보다 작다.An operating method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step of the server transmitting a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a user terminal when an angle between a movement vector and an escape vect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threshold angle when the server selects a work finishing mode, and a step of the user terminal outputting the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wherein the first threshold angle is smaller than the second threshold angl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은 제 1 비컨 및 제 2 비컨을 포함하고, 제 1 비컨 및 제 2 비컨 사이의 거리(L)는 k*D이하이고, 여기서 k는 미리 정해진 상수이고, D는 사용자가 안전선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최대 거리이다.A position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first beacon and a second beacon, and a distance (L) between the first beacon and the second beacon is k*D or less, where k is a predetermined constant and D is a maximum distance that a user can be away from a safety lin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방법의 탈출벡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 1 비컨의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제 1 탈출벡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 2 비컨의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제 2 탈출벡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서버가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이동벡터와 제 1 탈출벡터 사이의 각도가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각도 이상이고, 이동벡터와 제 2 탈출벡터 사이의 각도가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각도 이상인 경우, 서버가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step of obtaining an escape vector of the operating method of the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the step of obtaining a first escape vector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a first beacon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step of obtaining a second escape vector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a second beacon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step of transmitting a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by the server to the user terminal includes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by the server to the user terminal when an angle between the movement vector and the first escape vect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threshold angle and when an angle between the movement vector and the second escape vect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angl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서버가 작업마무리모드를 선택한 경우, 이동벡터와 제 1 탈출벡터 사이의 각도가 미리 정해진 제 2 임계각도 이상이고, 이동벡터와 제 2 탈출벡터 사이의 각도가 미리 정해진 제 2 임계각도 이상인 경우, 서버가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가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임계각도는 제 2 임계각도보다 작다.An operating method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step of the server transmitting a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a user terminal when the server selects a work finishing mode, an angle between a movement vector and a first escape vect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threshold angle, and an angle between the movement vector and a second escape vect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threshold angle, and a step of the user terminal outputting a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wherein the first threshold angle is smaller than the second threshold angl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operating method of the position tracking system as described above can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하드웨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해안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hardware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3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method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4 is a drawing of a coastline viewed from above to explain the operation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8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method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9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ethod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and the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se embodiments are only provided to make the present disclosure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disclos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selected from the most widely used general term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disclosure, but they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engineers working in the relevant field, precedents,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etc.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s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terms and the overall cont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rather than simply the names of the terms.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specifies that they are singular. In addition, plural expressions include singular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specifies that they are plural.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When a part of a specification is said to "include" a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it excludes other components, but rather that it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Also, the term "part" us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software or hardware component, and the "part" performs certain functions. However, the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part" may be configured to b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the "part" include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attributes,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ality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프로세서" 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는, "프로세서" 는 주문형 반도체 (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프로세서" 는,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processor and a memory. The term "processor" should be construed broadly to include a general purpose process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icroprocessor,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 controller, a microcontroller, a state machine, and the like. In some environments, a "processor" may also refer to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 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nd the like. The term "processor" may also refer to a combination of processing devices, such as,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a DSP and a microprocess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icroprocessors,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microprocessors in conjunction with a DSP core, or any other such configuration.
용어 "메모리" 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 (RAM), 판독-전용 메모리 (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 (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 (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 (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The term "memory" should be interpreted broadly to include any electronic component capable of storing electronic information. The term memory may also refer to various types of processor-readable media,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only memory (ROM),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M (EEPROM), flash memory, magnetic or optical data storage, registers, etc. A memory is said to be in electronic communication with the processor if the processor can read information from and/or write information to the memory. Memory integrated in a processor is in electronic communication with the processor.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n embodiment is described in detail so that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위치추적시스템(100)은 서버(110) 및 사용자 단말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는 위치추적시스템의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고, 위치추적시스템의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는 장치이다. 서버(110)는 및 사용자 단말기(12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서버(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버(11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20)와 연결될 수 있다. 서버(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는 쌍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는 단방향 통신을 할 수도 있다. 서버(110)는 비컨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20)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110)와 비컨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버(110)는 비컨이 아닌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20)와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10)는 별도의 장치 없이 LTE, WIFI, BLUETOOTH, RF통신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20)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110)는 내륙 또는 해안가 근처의 관리실에 위치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10)는 관리실에 위치한 단말기, 또는 데이터 센터의 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location tracking system (100) may include a server (110) and a user terminal (120). The server (110) is a device in which various data of the location tracking system are stored and software of the location tracking system is installed. The server (110)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20). The user terminal (12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server (110). The server (11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20). The server (110) or the user terminal (120) may perform two-way communication. However, this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rver (110) or the user terminal (120) may also perform one-way communication. The server (110)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120) through a beacon. The server (110) and the beacon may be connected wired or wirelessly. The server (110)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120)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other than a beacon. In addition, the server (110)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120) using LTE, WIFI, BLUETOOTH, RF communication, etc. without a separate device. The server (110) may be located in a management office inland or near the coast.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rver (110) may include a terminal located in a management office, or a server in a data center.
서버(11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및 서버(110)가 미리 저장하고 있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위험에 처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20)에 송신할 수 있다.The server (110) can receive and store data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120). In addition, the server (110)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in danger based on the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20) and the data previously stored by the server (110), and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user terminal (120).
사용자 단말기(120)는 관광객, 또는 작업자에게 지급된 단말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소형이어서 쉽게 이동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는 위치추적시스템(100)의 전용 단말기일 수도 있으며, 범용 단말기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위치추적시스템(100)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PC, 태블릿,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의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출력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20)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하게 위험지역으로부터 안전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20) may be a terminal issued to a tourist or a worker. The user terminal (120) may be small and easily portable. The user terminal (20) may be a dedicated terminal of the location tracking system (100) or a general-purpose terminal. The user terminal (120) may include software of the location tracking system (100). The user terminal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C, a tablet, a smart phone, and a wearable device. The user terminal (120) may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110). The user terminal (120) may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using an output unit such as a speaker or a display. The user may safely move from a dangerous area to a safe area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ser terminal (120).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하드웨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hardware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위치추적시스템(100)에 포함된 서버(110) 및 사용자 단말기(120)는 프로세서(210) 및 메모리(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110) 및 사용자 단말기(120)는 메모리를 포함하지 않고 프로세서(210)만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출력 라인으로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서버(110) 및 사용자 단말기(120)의 각 부품은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erver (110) and the user terminal (120) included in the location tracking system (100) may include a processor (210) and a memory (220). The processor (210) may perform an operation based on a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22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rver (110) and the user terminal (120) may not include a memory and may include only the processor (210). The processor (210) may be set to output a preset signal to an output line for a preset period of time based on an input signal. Each component of the server (110) and the user terminal (120) may perform a preset operation according to the signal.
이하, 서버(110) 및 사용자 단말기(120)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Below, the operation of the server (110) and user terminal (1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method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사용자 단말기(120)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310)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 센서는 GPS, GLONASS, 갈릴레오, 베이더우, QZSS등과 같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정보는 GPS 좌표, 위도값, 또는 경도값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20) may perform a step (310) of periodically transmitting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The user terminal (120) may perform a step of periodically transmitting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The user terminal (120) may include a location sensor and may obtain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location sensor. The location sensor may support a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such as GPS, GLONASS, Galileo, BeiDou, QZSS, etc.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may be expressed as GPS coordinates, latitude values, or longitude values.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서버(110)는 적어도 두 개의 비컨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비컨은 해안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미리 정해진 시각에 특정 패턴의 신호를 서버(110)로 송신할 수 있다. 특정 패턴은 사용자 단말기(120)의 식별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서버(110)는 적어도 두 개의 비컨이 특정 패턴의 신호를 수신한 시각을 획득할 수 있다. 서버(110)는 적어도 두 개의 비컨이 특정 패턴의 신호를 수신한 시각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개의 비컨 각각과 사용자 단말기(120)의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왜냐하면 신호의 속력은 미리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서버(110)는 적어도 두개의 비컨 각각과 사용자 단말기(120)의 거리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20)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서버(110)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server (110) may obtain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without receiving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20). The server (110) may include at least two beacons. The at least two beacons may be arranged along the coastline. The user terminal (120) may transmit a signal of a specific pattern to the server (110) at a predetermined time. The specific pattern may correspon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20). The server (110) may obtain the time at which the at least two beacons received the signal of the specific pattern. The server (110) may obtain the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at least two beacons and the user terminal (120) based on the time at which the at least two beacons received the signal of the specific pattern. This is because the speed of the signal is predetermined. The server (110) may obta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20)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at least two beacons and the user terminal (120). That is, the server (110) can obtain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서버(110)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주기는 예를 들어 1초이상 1분이하일 수 있다. 주기는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안전모드에서의 주기는 작업마무리모드에서의 주기보다 길거나 같을 수 있다. 또한 작업마무리모드에서의 주기는 대피알림모드의 주기보다 길거나 같을 수 있다. The server (110) can periodically obtain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The period can be, for example, 1 second or more and 1 minute or less. The period can vary depending on the mode. For example, the period in the work safety mode can be longer than or equal to the period in the work finishing mode. In addition, the period in the work finishing mode can be longer than or equal to the period in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100)의 복수의 알림모드는 작업안전모드, 작업마무리모드, 및 대피알림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ple notification modes of the position tracking system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ork safety mode, a work completion mode, and an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작업안전모드는 현재시각이 작업에 아무런 제한이 없는 시간에 포함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작업마무리모드는 작업을 중단하거나, 안전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작업을 해야하는 시간임을 나타낼 수 있다. 대피알림모드는 즉각 작업을 중지하고 안전지역으로 이동해야함을 나타낼 수 있다. 복수의 알림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한다. 여기서 안전지역은 바다가 들어오지 않는 지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지역은 도 4 또는 도 5의 육지로 표시된 지역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전지역은 안전선(431, 530)에서 육지를 향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The work safety mode may indicate that the current time is included in a time when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work. In addition, the work finish mode may indicate that the work should be stopped or that the work should be done while moving to a safe area.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may indicate that the work should be stopped immediately and moved to a safe area. The process of selecting one of the multiple notification modes will be described later. Here, the safe area may mean an area where the sea does not enter. For example, the safe area may be an area indicated by land in FIG. 4 or FIG. 5. More specifically, the safe area may mean an area facing land from a safety line (431, 530).
서버(110)는 사용자의 직전 위치정보 및 현재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벡터를 획득하는 단계(320)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32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4를 참조한다.The server (110) can perform a step (320) of obtaining a user's movement vector based on the user's previous location information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explain step (320), reference is made to FIG. 4.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해안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FIG. 4 is a drawing of a coastline viewed from above to explain the operation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의 직전 위치정보(411) 및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412)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10)는 주기적으로 획득된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벡터(420)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412)에서 직전 위치정보(411)를 빼서 사용자의 이동벡터(420)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벡터(420)의 크기는 사용자의 이동속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동벡터(420)의 방향은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의 이동속력을 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의 이동속력에 기초하여 대표 이동속력을 획득할 수 있다. 대표 이동속력은 사용자의 이동속력의 평균, 최대값, 및 최소값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대표 이동속력은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표 이동속력을 사용자마다 같게 결정될 수 있다.The server (110) can periodically receive the user's lo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20). The server (110) can obtain the user's previous location information (411) and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412). The server (110) can obtain the user's movement vector (420) based on the user's location obtained periodically. The server (110) can obtain the user's movement vector (420) by subtracting the previous location information (411) from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412). The size of the movement vector (420) can indicate the user's moving speed. Additionally,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vector (420) can indicate the user's moving direction. The server (110) can periodically obtain the user's moving speed. The server (110) can obtain a representative moving speed based on the user's moving speed. The representative moving speed can indicate one of the averag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user's moving speed. The representative moving speed can be different for each us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representative movement speed can be determined equally for each user.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10)는 현재 날짜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안전선을 획득하는 단계(330)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미리 정해진 안전선은 만조시의 해안선(431)일 수 있다. 만조시의 해안선은 날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서버(110)는 현재 날짜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만조시의 해안선(431)을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110)는 날짜가 다르더라도 같은 만조시의 해안선(431)을 획득할 수도 있다. 만조시의 해안선(431) 해당 지역에서 측량작업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만조시의 해안선(431) 대신 가상 해안선을 안전선으로써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Referring back to FIG. 3, the server (110) may perform a step (330) of obtaining a predefined safety line based on the current date. Referring to FIG. 4, the predefined safety line may be a coastline (431) at high tide. The coastline at high tide may vary depending on the date. Therefore, the server (110) may obtain a predefined coastline (431) at high tid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dat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rver (110) may obtain the same coastline (431) at high tide even if the date is different. The coastline (431) at high tide may be obtained through a surveying operation in the corresponding area. Hereinafter, a process of obtaining a virtual coastline as a safety line instead of the coastline (431) at high tide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서버(110)는 만조시의 해안선(431)이 아닌 직선의 가상 해안선(530)을 안전선으로써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110)는 기준점(510)을 획득할 수 있다. 기준점(510)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미리 정해진 가상의 위치일 수 있다. 기준점(510)은 미리 정해진 가상의 위치로써, 만조시의 해안선과 간조시의 해안선 사이의 선에 설계자에 의하여 선택된 위치일 수 있다. 사이의 선은 만조시의 해안선과 간조시의 해안선과 접하지 않을 수 있다. The server (110) may also use a straight virtual coastline (530) instead of the coastline (431) at high tide as a safety line. For example, the server (110) may obtain a reference point (510). The reference point (510) may be the user's current location or a predetermined virtual location. The reference point (510) may be a predetermined virtual location, and may be a location selected by a designer on a line between the coastline at high tide and the coastline at low tide. The line in between may not be in contact with the coastline at high tide and the coastline at low tide.
서버(110)는 기준점(510)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반경을 가지는 원(520)을 그릴 수 있다. 미리 정해진 반경은 만조시의 해안선과 간조시의 해안선의 거리의 최대값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의 최대값의 1배 이상 1.5배이하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서버(110)는 원(520)과 만조시의 해안선(431)의 교점(531, 532)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교점(531, 532)을 잇는 가상 해안선(530)을 안전선으로써 이용할 수 있다. 서버(110)는 이와 같은 과정을 미리 수행해서 적어도 하나의 가상의 해안선(530, 540)을 획득한 후 메모리에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가장 가까운 가상의 해안선(530)을 안전선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가상 해안선을 이용하는 경우, 이후의 처리 과정이 간소화되어 서버의 부담이 줄어들 수 있다. The server (110) can draw a circle (520)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510). The predetermined radius can be obtained based on the maximum valu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coastline at high tide and the coastline at low tide. For example, it can be determined as a value that is 1 to 1.5 times the maximum value of the distance. The server (110) can obtain the intersection (531, 532) of the circle (520) and the coastline (431) at high tide. In addition, the server (110) can use the virtual coastline (530) connecting the intersections (531, 532) as a safety line. The server (110) can perform this process in advance to obtain at least one virtual coastline (530, 540) and then store it in advance in the memory. In addition, the server (110) can obtain the virtual coastline (530) closest to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s a safety line. When the virtual coastline is used, the subsequent process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burden on the server can be reduced.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10)는 현재 날짜에 기초하여 밀물시의 미리 정해진 밀물속력을 획득하는 단계(340)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110)는 관리자에 의하여 미리 측정된 밀물속력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는 서버(110)는 관리자에 의하여 설정된 밀물속력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밀물속력은 현재 날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110)는 날짜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 밀물속력을 획득할 수 있다. 밀물속력은 밀물의 최대 속력을 의미할 수 있다. 밀물속력은 지면에 평행한 방향의 밀물의 속력일 수 있다. 밀물속력은 지역마다 다르므로, 측정된 값을 이용해야할 수 있다. 밀물속력은 위치추적시스템이 설치된 지역에서 경험이 많은 사람의 조언을 반영하여 측정된 값일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3, the server (110) may perform a step (340) of obtaining a predetermined high tide speed based on the current date. The server (110) may store a high tide speed measured in advance by an administrator. Or, the server (110) may store a high tide speed set by an administrator. The high tide speed may vary depending on the current dat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rver (110) may obtain a high tide speed that does not vary depending on the date. The high tide speed may mean the maximum speed of the high tide. The high tide speed may be the speed of the high tid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Since the high tide speed varies depending on the region, a measured value may need to be used. The high tide speed may be a value measured by reflecting the advice of an experienced person in an area where a location tracking system is installed.
서버(11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 현재시각, 사용자의 이동벡터, 안전선, 및 밀물 속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알림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350)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11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 현재시각, 사용자의 이동벡터, 안전선, 및 밀물 속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알림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알림모드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대피알림시각을 설정할 수 있다. The server (110) can obtain a step (350) of select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notification modes based 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e current time, the user's movement vector, the safety line, and the high tide speed. In this way, the server (110) can selec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notification modes based 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e current time, the user's movement vector, the safety line, and the high tide speed, and can set an evacuation notification time more accurately according to the selected notification mode.
작업안전모드는 현재시각이 작업에 아무런 제한이 없는 시간에 포함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작업마무리모드는 작업을 중단하거나, 안전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작업을 해야하는 시간임을 나타낼 수 있다. 대피알림모드는 즉각 작업을 중지하고 안전지역으로 이동해야함을 나타낼 수 있다. 복수의 알림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8과 함께 설명한다.The work safety mode can indicate that the current time is within a time period in which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work. In addition, the work completion mode can indicate that it is time to stop the work or move to a safe area while working.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can indicate that the work should be stopped immediately and moved to a safe area. The process of selecting one of the multiple notification modes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 8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method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복수의 알림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350)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는 현재시각이 현재 날짜의 만조시각부터 간조시각까지에 포함되는 경우, 작업안전모드를 선택하는 단계(810)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110)는 날짜에 따른 만조시각 및 간조시각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서버(110)는 현재시각이 만조시각의 이후이고 간조시각의 이전인 경우, 복수의 알림모드 중 작업안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작업안전모드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20)는 별다른 알람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The step (350) of selecting one of the multiple notification modes may include the following process. If the current time is included in the high tide time to the low tide time of the current date, the server (110) may perform the step (810) of selecting the work safety mode. The server (110) may store the high tide time and the low tide time according to the date in advance. If the current time is after the high tide time and before the low tide time, the server (110) may select the work safety mode from the multiple notification modes. In the case of the work safety mode, the user terminal (120) may not output a separate alarm.
사용자 단말기(120)는 작업안전모드라도 사용자 단말기(120)의 배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작업마무리모드에 해당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작업안전모드의 알림모드를 수신하였으나, 배터리 신호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인 경우, 알림모드를 작업마무리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작업마무리모드의 알림모드를 서버(110)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110)는 해당 사용자 단말기(120)의 알림모드를 작업마무리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알림모드는 사용자 단말기(120)마다 다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20) may output a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work completion mode even in the work safety mode if the battery of the user terminal (120) is below a threshold value. The user terminal (120) may receive the notification mode of the work safety mode, but if the battery signal is below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notification mode may be determined as the work completion mode. The user terminal (120) may transmit the notification mode of the work completion mode to the server (110). The server (110) may switch the notification mode of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20) to the work completion mode. The notification mode may be different for each user terminal (120).
또한 서버(110)는 현재시각이 간조시각이후이고, 다음 만조시각이전이며, 현재 위치정보와 안전선(431, 530)의 최소거리(910)가 임계거리 이하인 경우, 작업마무리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9와 함께 설명한다. 작업마무리모드인 경우,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기(120)와 통신 주기를 작업안전모드보다 빠르게 할 수 있다. 서버(110)는 작업안전모드보다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자주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주기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면서도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작업마무리모드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20)는 안전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작업할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소리 또는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가 안전지역에서 멀어지는 경우, 알림을 울려서, 사용자가 안전지역으로 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110) may perform a step of selecting a work completion mode when the current time is after the low tide time and before the next high tide time, and the minimum distance (910)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afety line (431, 53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distanc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In the work completion mode, the server (110) may make the communication cycle with the user terminal (120) faster than in the work safety mode. The server (110) may acquire the user's lo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20) more frequently than in the work safety mode. By changing the communication cycle in this way,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user terminal may be reduced while ensuring the user's safety. In addition, in the work completion mode, the user terminal (120) may output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user will work while moving to a safe area through sound or image. In addition, when the user's location moves away from the safe area, an alarm may be sounded to guide the user to move to the safe area.
사용자 단말기(120)는 작업마무리모드라도 사용자 단말기(120)의 배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대피알림모드에 해당하는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작업마무리모드의 알림모드를 수신하였으나, 배터리 신호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인 경우, 알림모드를 대피알림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대피알림모드의 알림모드를 서버(110)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110)는 해당 사용자 단말기(120)의 알림모드를 대피알림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알림모드는 사용자 단말기(120)마다 다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20) may output a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even in the work completion mode if the battery of the user terminal (120) is below a threshold value. The user terminal (120) may receive the notification mode of the work completion mode, but if the battery signal is below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notification mode may be determined as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The user terminal (120) may transmit the notification mode of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to the server (110). The server (110) may switch the notification mode of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20) to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The notification mode may be different for each user terminal (120).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9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ethod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서버(11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412)와 안전선(431, 530)의 최소거리(910)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미리 결정된 임계거리와 최소거리(910)를 비교할 수 있다. 임계거리는 미리 설정된 값으로써,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모든 사용자에 대하여 동일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다. The server (110) can obtain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412) and the minimum distance (910) of the safety line (431, 530). In addition, the server (110) can compare the predetermined threshold distance with the minimum distance (910). The threshold distance may be a preset value and may be stored in the memory. In addition, the server (110) may be the same for all users, but may be different for each user.
서버(110)는 임계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10)는 임계거리를 a*D-b 미터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a는 밀물속력에 반비례하는 미리 결정된 변수일 수 있다. a는 사용자의 대표이동속력에 비례하는 미리 결정된 상수 일 수 있다. 대표 이동속력은 사용자의 이동속력의 평균, 최대값, 및 최소값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대표 이동속력은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표 이동속력을 사용자마다 같게 결정될 수 있다. 서버(110)는 날짜별 밀물속력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서버(110)는 현재날짜에 기초하여 밀물속력을 선택할 수 있다. a는 (사용자의 대표이동속력)/(밀물의 이동속력)일 수 있다. 또한 a는 고정된 상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는 6/25이상 1/3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The server (110) may perform the following process to determine the critical distance. The server (110) may determine the critical distance as a*D-b meters. Here, a may be a predetermined variable tha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high tide speed. a may be a predetermined constant that is proportional to the user's representative moving speed. The representative moving speed may mean one of the averag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user's moving speed. The representative moving speed may be different for each us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epresentative moving speed may be determined to be the same for each user. The server (110) may store the high tide speed by date. The server (110) may select the high tide speed based on the current date. a may be (user's representative moving speed)/(high tide moving speed). In addition, a may be a fixed constant. For example, a may have a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6/25 and less than or equal to 1/3.
사용자 단말기(120)는 서버(110)에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기(120)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식별정보, 사용자의 나이, 및 이동속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획득할 수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의 나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이동속력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의 나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대표이동속력을 획득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20) can transmit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110). The server (110) can obtain at least one of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user's age, and the moving spe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20). The server (110) can store the moving spee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age in advance. The server (110) can obtain the user's representative moving spe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age.
b는 해안선과 사용자의 안전 거리에 비례하는 미리 결정된 상수일 수 있다. b는 100미터 이상 200미터이하일 수 있다. D는 사용자가 안전선(431, 530)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최대 거리(920)일 수 있다. 안전선(431, 530)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최대 거리(920)는 날짜 별로 만조시의 해안선과 간조시의 해안선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서버(110)는 안전선(431, 530)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최대 거리를 날짜별로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서버(110)는 현재 날짜에 기초하여 안전선(431, 530)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최대 거리(920)를 결정할 수 있다. b may be a predetermined constant proportional to the safety distance of the user from the coastline. b may be 100 meters or more and 200 meters or less. D may be a maximum distance (920) that the user may be away from the safety line (431, 530). The maximum distance (920) that the user may be away from the safety line (431, 530) may mean the distance between the coastline at high tide and the coastline at low tide on a date basis. The server (110) may store the maximum distance that the user may be away from the safety line (431, 530) on a date basis. The server (110) may determine the maximum distance (920) that the user may be away from the safety line (431, 530) based on the current date.
이상과 같이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안전선으로써, 만조시의 해안선(431)을 이용하는 것보다 가상의 해안선(530)을 사용하는 것이 서버(110)의 처리 능력을 적게 쓸 수 있다. 하지만 정확하게 탈출 시간 및 임계거리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만조시의 해안선(431)을 이용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In order to perform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using a virtual coastline (530) as a safety line rather than using the coastline (431) at high tide can use less processing power of the server (110). However, in order to obtain the escape time and critical distance accurately, it may be better to use the coastline (431) at high tide.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서버(110)는 현재시각이 간조시각이후이고, 다음 만조시각이전이며, 현재 위치정보와 안전선의 최소거리가 임계거리 초과인 경우, 대피알림모드를 선택하는 단계(830)를 수행할 수 있다. 대피알림모드인 경우,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기(120)와 통신 주기를 작업마무리모드보다 빠르거나 같게 할 수 있다. 서버(110)는 작업마무리모드보다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자주 또는 동일 수준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주기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면서도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대피알림모드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20)는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의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속력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사용자의 위치가 안전지역에서 멀어지고 있거나, 사용자의 이동속력이 임계 속력 이하인 경우, 사용자에게 빠르게 대피할 것을 나타내는 알림을 소리 또는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빠르게 안전지역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8, if the current time is after the low tide time and before the next high tide time, and if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afety line exceeds the threshold distance, the server (110) may perform the step (830) of selecting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In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the server (110) may make the communication cycle with the user terminal (120) faster or the same as that of the work completion mode. The server (110) may acquire the user's lo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20) more frequently or at the same level than in the work completion mode. By changing the communication cycle in this way,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user terminal may be reduced while ensuring the user's safety. In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the user terminal (120) may acquire the user's moving speed based on the change in the user's location over time. The user terminal (120) can output a notification through sound or image to the user to evacuate quickly when the user's location is moving away from the safe area or the user's moving speed is below the critical speed. Accordingly, the user can be guided to quickly move to the safe area.
사용자 단말기(120)가 선택된 알림모드에 대응되는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단계(370)는 다음과 같은 과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370) of the user terminal (120)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notification mode may include the following processes.
현재시각이 간조시각과 동일한 경우, 서버(110)는 밀물시작시각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밀물시작시각신호는 밀물이 시작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밀물시작시각신호는 밀물이 시작되는 시각에 출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 밀물시작시각신호는 작업마무리모드의 시작 시각에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듣고 밀물이 시작되었음을 알고 경각심을 가질 수 있다. If the current time is the same as the low tide time, the server (110) may perform a step of transmitting a high tide start time signal to the user terminal. The high tide start time signal may be a signal to inform the user that the high tide has started. The high tide start time signal may be a signal output at the time when the high tide starts. The high tide start time signal may be output at the start time of the work finishing mode. The user may hear this and know that the high tide has started, and may be alerted.
또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가 미리 결정된 작업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서버(110)는 비작업영역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비작업영역신호는 사용자의 위치가 작업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님을 나타낼 수 있다. 비작업영역신호는 사용자가 안전한 작업영역이 아닌 곳에서 작업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작업영역은 관리자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서버(110)는 날씨별로 미리 결정된 작업영역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서버(110)는 현재 날씨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작업영역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작업영역은 파도가 높을수록 좁게 결정되고, 파도가 낮을수록 높게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안전한 작업영역 내에 있게 유도할 수 있다. 비작업영역신호는 모드에 상관없이 언제든 출력될 수 있는 신호일 수 있다. 비작업영역신호는 사용자가 안전선(431, 530)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최대 거리(920)(D)에 도달하였거나, 최대 거리 이상 이동한 경우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work area, the server (110) may perform a step of transmitting a non-work area signal to the user terminal. The non-work area signal may indicate that the user's location is not an area where work can be done. The non-work area signal may be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user is working in a place that is not a safe work area. The predetermined work area may be determined by an administrator. The server (110) may store the predetermined work areas according to the weather. The server (110) may automatically set the predetermined work area based on the current weather.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work area may be determined to be narrower as the waves are high, and may be determined to be higher as the waves are low. The position tracking system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guide the user to be within a safe work area. The non-work area signal may be a signal that may be output at any time regardless of the mode. A non-work area signal may be output when the user has reached the maximum distance (920) (D) from the safety line (431, 530) or has moved beyond the maximum distanc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에 따르면, 서버(110)는 대피알림모드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가 안전선에 도달하기 전까지, 작업안전모드, 및 작업마무리모드를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a loca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server (110) selects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the work safety mode and the work completion mode may not be selected until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reaches the safety line.
이동방향수정신호는 사용자의 이동방향이 위험지역으로 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이동방향수정신호는 작업마무리모드 및 대피알림모드에서 출력될 수 있는 신호일 수 있다. The direction correction signal may be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user's direction of movement is heading toward a danger zone. The direction correction signal may be a signal that can be output in the work completion mode and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10)는 선택된 알림모드를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360)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20)는 선택된 알림모드에 대응되는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단계(370)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알림모드에 대응되는 알림신호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알림모드에 대응되는 알림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알림신호는 현재 사용자가 취해야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신호는 영상, 소리로 출력될 수 있다. 알림신호는 사용자에게 경각심을 주기 위한 사이렌 또는 비프음을 포함할 수 있다. 알림신호는 주기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알림신호의 출력주기는 긴급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마무리모드 및 대피알림모드인 경우의 알림신호는 작업안전모드에서의 알림신호보다 자주 출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erver (110) may perform a step (360) of transmitting the selected notification mode to the user terminal.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20) may perform a step (370) of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notification mode. The user terminal (120) may store the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notification mode in advance. The user terminal (120) may select and output a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notification mode. The notification signal may include a message for explaining an action that the user should currently take. The notification signal may be output as a video or sound. The notification signal may include a siren or beep sound for alerting the user. The notification signal may be output periodically. The output cycle of the notification signal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vel of urgency.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signal in the work completion mode and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may be output more frequently than the notification signal in the work safety mode.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7을 참조하면, 단계(350)에서 서버(110)가 작업마무리모드를 선택한 경우, 이동벡터(420)와 탈출벡터(710) 사이의 각도(741)가 미리 정해진 제 2 임계각도 이상인 경우, 서버(110)가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탈출벡터(710)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한다. 제 2 임계각도는 작업마무리모드에서 사용되며, 제 1 임계각도는 대피알림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작업마무리모드에서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대피알림모드에서 단계(620)에 대응될 수 있다. 서버(110)는 작업마무리모드에서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주기가 대피알림모드에서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주기보다 느리거나 같을 수 있다. 즉, 서버(110)는 작업마무리모드보다 대피알림모드에서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20)로 자주 또는 동일한 주기로 송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f the server (110) selects the work finishing mode in step (350), if the angle (741) between the movement vector (420) and the escape vector (71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econd threshold angle, the server (110) may perform a step of transmitting a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escape vector (710)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threshold angle may be used in the work finishing mode, and the first threshold angle may be used in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in the work finishing mode may correspond to step (620) in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The cycle at which the server (110) transmits the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in the work finishing mode may be slower than or equal to the cycle at which the server (110) transmits the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in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That is, the server (110) can transmit a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20) more frequently or at the same cycle in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than in the work completion mode.
사용자 단말기(120)는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단계는 도 6의 대피알림모드에서의 단계(630)에 대응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작업마무리모드에서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출력하는 주기가 대피알림모드에서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출력하는 주기보다 느리거나 같을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20)는 작업마무리모드에서 대피알림모드에서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자주 또는 동일한 주기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 1 임계각도는 제 2 임계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제 1 임계각도는 약 10도이상 45도 이하이고, 제 2 임계각도는 45도 이상 90도이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위치추적시스템(100)은 작업마무리모드보다 대피알림모드에서 사용자가 안전지역으로 빠르게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20) may perform a step of outputting a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his step may correspond to the step (630) in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of FIG. 6. The user terminal (120) may output the direction correction signal in the work finishing mode at a cycle that is slower than or equal to the cycle of outputting the direction correction signal in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That is, the user terminal (120) may output the direction correction signal in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at a frequency or with the same cycle as the work finishing mode. In addition, the first critical angle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critical angle. The first critical angle may be about 10 degrees or more and 45 degrees or less, and the second critical angle may be about 45 degrees or more and 90 degrees or less. The position track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guide the user to move to a safe area faster in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than in the work finishing mod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서버(110)는 알림모드로써, 대피알림모드를 선택한 경우, 안전선 중 일 지점에 고정되어 위치한 비컨의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탈출벡터를 획득하는 단계(610)를 수행할 수 있다. 위치추적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비컨(731, 732, 733)을 포함할 수 있다. 비컨은 안전선 중 일지점에 고정되어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비컨은 안전선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안전선은 가상의 해안선(530, 540) 또는 만조시의 해안선(431)일 수 있다. 서버의 위치는 비컨의 위치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컨(731, 732, 733)은 사용자가 안전선으로 도달하기 위한 지점으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7, when the server (110) selects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as the notification mode, it may perform a step (610) of obtaining an escape vector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beacon fixedly positioned at a point among the safety lines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e location tracking system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beacon (731, 732, 733). The beacon may be fixedly positioned at a point among the safety line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eacon may be positioned near the safety line. As previously described, the safety line may be a virtual coastline (530, 540) or a coastline (431) at high tide. The location of the server may be the same as the location of the beac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beacons (731, 732, 733) may serve as a point for the user to reach the safety line.
서버(110)는 처리방법을 단순하게 하기 위하여 비컨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탈출벡터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10)는 안전선(530, 431)과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412)의 최소길이의 벡터(750)를 이용하여 탈출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이경우, 사용자에게 최소거리를 가지는 탈출벡터를 제공해줄 수 있으나, 계산이 다소 복잡해질 수 있다. 또한, 가상의 해안선(530)을 이용하는 경우, 실제 안전지역과 차이점이 있을 수도 있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412)는 계속적으로 변하므로 탈출벡터는 계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The server (110) may obtain an escape vector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to simplify the processing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rver (110) may determine an escape vector using the vector (750) of the minimum length of the safety line (530, 431) and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412). In this case, an escape vector having a minimum distanc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but the calculation may become somewhat complicated. In addition, when a virtual coastline (530) is used, there may be a difference from the actual safe area. Since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412) continuously changes, the escape vector may continuously change.
서버(110)는 처리방법을 단순하게 하기 위하여 비컨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탈출벡터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10)는 가상 해안선(530)과 만조시의 해안선(431)의 교점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와 가장 가까운 교점을 결정할 수 있다. 서버(110)는 가장 가까운 교점과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탈출벡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10)는 가장 가까운 교점의 좌표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412)를 차감하여 탈출벡터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412)는 계속적으로 변경되므로 탈출벡터는 계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The server (110) may obtain an escape vector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to simplify the processing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rver (110) may determine the closest intersection to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t the intersection of the virtual coastline (530) and the coastline (431) at high tide. The server (110) may obtain an escape vector based on the closest intersection and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e server (110) may obtain an escape vector by subtracting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412) from the coordinates of the closest intersection. Since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412) is continuously changed, the escape vector may be continuously changed.
이하에서 비컨이 있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복수의 비컨 중 적어도 하나의 비컨은 없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위치추적시스템은 비컨이 전혀 없이도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버(110)는 가상의 비컨의 위치를 결정한 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설명될 수 있다. 제 1 비컨 및 제 2 비컨 역시, 서버(110)는 위치정보를 결정하고 있을 뿐, 제 1 비컨 및 제 2 비컨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The following description is based on the presence of a beacon, but it may be implemented without at least one beacon among a plurality of beacons. The position tracking system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without a beacon at all, in which case the server (110)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a virtual beacon, and the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described. As for the first beacon and the second beacon, the server (110) may only determine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beacon and the second beacon may not exist.
서버(110)는 미리 결정된 비컨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가까운 비컨을 선택할 수 있다. 서버(110)는 가장 가까운 비컨의 위치정보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차감하여 탈출벡터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는 계속적으로 변화하므로 탈출벡터는 계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또한, 가장 가까운 비컨의 위치정보 역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탈출벡터는 계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만 변화할 뿐, 가장 가까운 비커의 위치정보는 한 번 결정된 후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The server (110) may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beacon. The server (110) may select the closest beacon based on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The server (110) may obtain an escape vector by subtracting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losest beacon. Since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continuously changes, the escape vector may continuously change. In addition, sinc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losest beacon may also change according to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e escape vector may continuously chang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ly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may chang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losest beacon may not change once determined.
비컨(731, 732, 733)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서버(110)는 복수의 비컨들(731, 732, 733) 중에서 적어도 2 개의 비컨을 선택할 수 있다. 서버(110)는 복수의 비컨들 중에서 가장 가까운 적어도 2개의 비컨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복수의 비컨들 중에서 미리 결정된 개수의 비컨을 선택할 수 있다. 서버(110)는 복수의 비컨 모두에 대하여 탈출벡터를 획득할 수 있다. 비컨을 이용하여 탈출벡터를 획득하는 경우, 단순 뺄셈으로 획득할 수 있으므로 처리가 단순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인 비컨에 기초하여 탈출벡터를 획득하므로 보다 확실한 탈출벡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 may be a plurality of beacons (731, 732, 733). The server (110) can select at least two beacons from among the plurality of beacons (731, 732, 733). The server (110) can select at least two closest beacons from among the plurality of beacons. In addition, the server (110) can select a predetermined number of beacons from among the plurality of beacons. The server (110) can obtain an escape vector for all of the plurality of beacons. When obtaining an escape vector using a beacon, the processing can be simple because it can be obtained by simple subtraction. In addition, since the escape vector is obtained based on a hardware beac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more reliable escape vector.
예를 들어, 서버(110)는 복수의 비컨들 중 2개의 비컨을 선택할 수 있다. 비컨(731)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412)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10)는 비컨(731)을 선택할 수 있다. 비컨(732) 및 비컨(733)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412)와 동일한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 비컨들이 있는 경우, 서버(110)는 사용자와 가장 가까이 위치한 비컨(731)과 가장 가까운 비컨을 선택할 수 있다. 서버(110)는 비컨(732) 및 비컨(733) 중 비컨(731)과 가장 가까운 비컨(732)을 선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rver (110) may select two beacons among the plurality of beacons. The beacon (731) may be located closest to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412). Therefore, the server (110) may select the beacon (731). The beacon (732) and the beacon (733) may be locat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412). When there are beacons located at the same distance, the server (110) may select the beacon (731) that is located closest to the user. The server (110) may select the beacon (732) that is closest to the beacon (731) among the beacons (732) and (733).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412)와 가장 가까운 비컨이 복수인 경우, 서버(110)는 사용자의 이동벡터(420)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412)로부터 비컨까지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가장 작은 비컨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412)로부터 비컨까지의 방향은 탈출벡터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412)와 가장 가까운 비컨이 복수이면서, 이동벡터(420)와 탈출벡터가 이루는 각도가 가장 작은 비컨이 복수인 경우, 서버(11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412)로부터 다음으로 가까운 비컨을 먼저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412)와 가장 가까운 복수의 비컨들 중 "다음으로 가까운 비컨"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비컨을 선택할 수 있다.If there are multiple beacons closest to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412), the server (110) can select the beacon having the smallest angle between the user's movement vector (420) and the direction from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412) to the beacon. Here, the direction from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412) to the beacon can mean the direction of the escape vector. If there are multiple beacons closest to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412) and multiple beacons having the smallest angle between the movement vector (420) and the escape vector, the server (110) can first select the beacon that is next closest to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412). In addition, the server (110) can select the beacon that is closest from the "next closest beacon" among the multiple beacons that are closest to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412).
비컨(731)에 대한 탈출벡터(710)를 획득하기 위하여 서버(110)는 비컨(731)의 위치정보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412)를 빼서 탈출벡터(710)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비컨(732)에 대한 탈출벡터(720)를 획득하기 위하여 서버(110)는 비컨(732)의 위치정보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412)를 빼서 탈출벡터(720)를 획득할 수 있다.In order to obtain an escape vector (710) for a beacon (731), the server (110) can obtain an escape vector (710) by subtracting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412)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731). In addition, in order to obtain an escape vector (720) for a beacon (732), the server (110) can obtain an escape vector (720) by subtracting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412)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732).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이동벡터(420)와 탈출벡터(710, 720) 사이의 각도가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각도 이상인 경우, 서버(110)는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20)로 송신하는 단계(620)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가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630)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사용자가 올바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돕기위한 메시지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사용자의 이동벡터 및 탈출벡터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벡터를 탈출벡터에 일치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110)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획득한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이동벡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서버(110)는 업데이트된 이동벡터와 탈출벡터 사이의 각도가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각도 이상인 경우, 서버(110)는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20)로 송신하는 단계(620)를 수행할 수 있다. 이동방향수정신호는 작업마무리모드 및 대피알림모드에서 출력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6, if the angle between the movement vector (420) and the escape vector (710, 72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threshold angle that is predetermined, the server (110) may perform step (620) of transmitting a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20). The user terminal may perform step (630) of outputting the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he user terminal (120) may output a message in the form of voice or image to help the user move in the correct direction. The user terminal (120) may display the user's movement vector and escape vector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may match his or her movement vector to the escape vector. As described above, the server (110) may periodically obtain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may update the movement vector based on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that is periodically obtained. If the angle between the updated movement vector and the escape vect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first threshold angle, the server (110) may perform a step (620) of transmitting a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20). The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may be output in the work completion mode and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또한, 사용자 단말기(120)는 특정 불빛을 따라 가라고 안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비컨들은 특정 색상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비컨에 포함된 발광소자는 특정 패턴으로 켜지고 꺼질 수 있다. 서버(110)는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20)로 송신한 후 비컨의 발광소자가 특정 패턴으로 켜지거나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20)는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출력할 때, 특정 패턴의 불빛을 따라 갈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20)의 안내에 따라 비컨의 발광소자가 발하는 불빛을 보고 방향을 잡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20) can be guided to follow a specific light. The beacon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include a light-emitting element of a specific color. The light-emitting element included in the beacon can be turned on and off in a specific pattern. The server (110) can control the light-emitting element of the beacon to turn on or off in a specific pattern after transmitting a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20).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20) can be guided to follow a specific pattern of light when outputting the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he user can determine the direction by looking at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emitting element of the beacon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user terminal (120).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20)는 비컨의 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물리적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20)는 비컨의 발광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버튼을 터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가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수신한 경우, 비컨의 발광소자를 발광하기 위한 버튼을 터치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비컨이 발광할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서버(110)에 송신할 수 있다.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비컨의 발광소자를 발광시킬 수 있다. 비컨의 발광소자는 특정 패턴으로 켜지거나 꺼지다가 사용자가 버튼을 누른 경우, 비컨의 발광소자는 켜진 채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위치추적시스템은 사용자가 갯벌을 탈출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으며, 갯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physical button for emitting light from a light-emitting element of a beacon.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terminal (120) may display a button for emitting light from a light-emitting element of a beacon on a touch display. When the user terminal (120) receives a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he button for emitting light from a light-emitting element of a beacon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display. The user terminal (120) may receive a user's input and transmit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beacon will emit light to the server (110). The server (110) may emit light from the light-emitting element of the beacon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20). The light-emitting element of the beacon may be turned on or off in a specific pattern,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the light-emitting element of the beacon may remain on. Therefore, the position tracking system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guide a user to an optimal route for escaping from a tidal flat, and prevent tidal flat accidents.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0은 도 7의 다음 주기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은 도 7의 다음 주기의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1020)를 나타낼 수 있다. 도 7의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412)는 도 10의 사용자의 이전 위치정보(1010)에 대응될 수 있다. 아래의 설명은 도 10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을 기준으로도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7과 도 10을 도시한 이유는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사용자의 이동벡터에 기초하여 작업마무리모드와 대피알림모드에서 서버(110)는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방향을 모니터링함을 보여주기 위함이다.Fig. 10 can represent the next cycle of Fig. 7. Fig. 10 can represent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1020) of the user of the next cycle of Fig. 7.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412) of the user of Fig. 7 can correspond to the previous location information (1010) of the user of Fig. 10.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based on Fig.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equally described based on Fig. 7. The reason for illustrating Figs. 7 and 10 is to show that the server (110) continuously monitors the user's direction in the work finishing mode and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based on the user's movement vector that continuously changes.
도 7의 다음 주기인 도 10에서, 서버(110)는 사용자의 위치정보(1010, 1020)에 기초하여 이동벡터(1030)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10)는 탈출벡터(710, 720)를 갱신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버(110)는 탈출벡터(710)를 갱신할 수도 있다. 갱신하는 과정은 탈출벡터를 생성하는 단계(610)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next cycle of FIG. 7, FIG. 10, the server (110) can obtain a movement vector (1030) based on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1010, 1020). The server (110) may not update the escape vector (710, 72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rver (110) may update the escape vector (710). Since the updating process has already been described in the step (610) of generating the escape vector,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단계(350)에서 서버(110)가 작업마무리모드를 선택한 경우, 이동벡터(1030)와 탈출벡터(710) 사이의 각도(1040)가 미리 정해진 제 2 임계각도 이상인 경우, 서버(110)가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 2 임계각도는 작업마무리모드에서 사용되며, 제 1 임계각도는 대피알림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작업마무리모드에서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대피알림모드에서 단계(620)에 대응될 수 있다. 서버(110)는 작업마무리모드에서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주기가 대피알림모드에서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주기보다 느리거나 같을 수 있다. 즉, 서버(110)는 작업마무리모드보다 대피알림모드에서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20)로 자주 또는 동일한 주기로 송신할 수 있다.In step (350), if the server (110) selects the work finishing mode, if the angle (1040) between the movement vector (1030) and the escape vector (71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econd threshold angle, the server (110) may perform a step of transmitting a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The second threshold angle may be used in the work finishing mode, and the first threshold angle may be used in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in the work finishing mode may correspond to step (620) in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The cycle of the server (110) transmitting the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in the work finishing mode may be slower than or equal to the cycle of transmitting the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in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That is, the server (110) can transmit a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20) more frequently or at the same cycle in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than in the work completion mode.
사용자 단말기(120)는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단계는 도 6의 대피알림모드에서의 단계(630)에 대응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작업마무리모드에서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출력하는 주기가 대피알림모드에서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출력하는 주기보다 느리거나 같을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20)는 작업마무리모드에서 대피알림모드에서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자주 또는 동일한 주기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 1 임계각도는 제 2 임계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제 1 임계각도는 약 10도이상 45도 이하이고, 제 2 임계각도는 45도 이상 90도이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위치추적시스템(100)은 작업마무리모드보다 대피알림모드에서 사용자가 안전지역으로 빠르게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안전이 보정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20) may perform a step of outputting a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his step may correspond to the step (630) in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of FIG. 6. The user terminal (120) may output the direction correction signal in the work finishing mode at a cycle that is slower than or equal to the cycle of outputting the direction correction signal in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That is, the user terminal (120) may output the direction correction signal in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at a frequency or with the same cycle as the work finishing mode. In addition, the first critical angle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critical angle. The first critical angle may be about 10 degrees or more and 45 degrees or less, and the second critical angle may be about 45 degrees or more and 90 degrees or less. The position track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guide the user to move to a safe area faster in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than in the work finishing mode. Therefore, the user's safety may be compensated.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위치추적시스템(100)은 제 1 비컨 및 제 2 비컨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비컨(731) 및 제 2 비컨(732) 사이의 거리(L)는 k*D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k는 미리 정해진 상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k는 2/(3)^(1/2)일 수 있다. D는 사용자가 안전선(431, 530)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최대 거리(920)일 수 있다. 안전선(431, 530)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최대 거리(920)는 날짜 별로 만조시의 해안선과 간조시의 해안선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서버(110)는 안전선(431, 530)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최대 거리를 날짜별로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서버(110)는 현재 날짜에 기초하여 안전선(431, 530)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최대 거리(920)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컨 사이의 거리가 특정 값 이하로 유지되므로, 사용자의 탈출 경로를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9, the position tracking system (100) may include a first beacon and a second beacon. The distance (L) between the first beacon (731) and the second beacon (732)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k*D. Here, k may be a predetermined constant. For example, k may be 2/(3)^(1/2). D may be a maximum distance (920) that a user may be separated from a safety line (431, 530). The maximum distance (920) that a user may be separated from a safety line (431, 530) may mean the distance between a coastline at high tide and a coastline at low tide for each date. The server (110) may store the maximum distance that a user may be separated from a safety line (431, 530) for each date. The server (110) can determine the maximum distance (920)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safety line (431, 530) based on the current date. In this way, since the distance between beacons is maintained below a certain value, the user's escape route can be accurately guided.
이하에서는 비컨이 적어도 두 개일 때를 설명한다. 비컨이 적어도 두 개일 때에 대하여 이미 설명한 바 있으며, 이미 설명한 내용은 일부 생략될 수 있다. 탈출벡터를 획득하는 단계(630)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Below, the case where there are at least two beacons is described. The case where there are at least two beacons has already been described, and some of the already described content may be omitted. The step (630) of obtaining an escape vector may further include the following process.
도 7을 참조하면, 서버(110)는 제 1 비컨(731)의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412)에 기초하여 제 1 탈출벡터(710)를 획득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는 제 2 비컨(732)의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412)에 기초하여 제 2 탈출벡터(720)를 획득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110)가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630)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벡터(420)와 제 1 탈출벡터(710) 사이의 각도(741)가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각도 이상이고, 이동벡터(420)와 제 2 탈출벡터(720) 사이의 각도(742)가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각도 이상인 경우, 서버(110)는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20)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각도(741)가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각도 미만이거나, 각도(742)가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각도 미만인 경우, 서버(110)는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20)로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server (110) may perform a step of obtaining a first escape vector (71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beacon (731) and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412). In addition, the server (110) may perform a step of obtaining a second escape vector (72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beacon (732) and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412). The step (630) of the server (110) transmitting a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the following process. If the angle (741) between the movement vector (420) and the first escape vector (7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threshold angle that is predetermined, and if the angle (742) between the movement vector (420) and the second escape vector (72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angle that is predetermined, the server (110) may perform a step of transmitting a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20). That is, if the angle (741)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angle that is predetermined, or if the angle (742)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angle that is predetermined, the server (110) may not transmit the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20).
또한 서버(110)는 작업마무리모드를 선택한 경우, 이동벡터(420)와 제 1 탈출벡터(710) 사이의 각도(741)가 미리 정해진 제 2 임계각도 이상이고, 이동벡터(420)와 제 2 탈출벡터(720) 사이의 각도(742)가 미리 정해진 제 2 임계각도 이상인 경우, 서버(110)는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각도(741)가 미리 정해진 제 2 임계각도 미만이거나, 각도(742)가 미리 정해진 제 2 임계각도 미만인 경우, 서버(110)는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20)로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임계각도는 제 2 임계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server (110) selects the work finishing mode, if the angle (741) between the movement vector (420) and the first escape vector (7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threshold angle, and if the angle (742) between the movement vector (420) and the second escape vector (72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threshold angle, the server (110) may perform a step of transmitting a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That is, if the angle (741)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hreshold angle or if the angle (742)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hreshold angle, the server (110) may not transmit the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20). The user terminal (120) may perform a step of outputting a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Here, the first threshold angle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threshold angle.
도 10을 참조하면, 서버(110)는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630)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벡터(1030)와 제 1 탈출벡터(710) 사이의 각도(1040)가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각도 이상이고, 이동벡터(1030)와 제 2 탈출벡터(720) 사이의 각도(1050)가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각도 이상인 경우, 서버(110)는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20)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각도(1040)가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각도 미만이거나, 각도(1050)가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각도 미만인 경우, 서버(110)는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20)로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step (630) of transmitting a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a user terminal by the server (110) may further include the following process. If the angle (1040) between the movement vector (1030) and the first escape vector (71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threshold angle that is predetermined, and if the angle (1050) between the movement vector (1030) and the second escape vector (72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angle that is predetermined, the server (110) may perform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20). That is, if the angle (1040)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angle that is predetermined, or if the angle (1050)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angle that is predetermined, the server (110) may not transmit the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20).
또한 서버(110)는 작업마무리모드를 선택한 경우, 이동벡터(1030)와 제 1 탈출벡터(710) 사이의 각도(1040)가 미리 정해진 제 2 임계각도 이상이고, 이동벡터(1030)와 제 2 탈출벡터(720) 사이의 각도(1050)가 미리 정해진 제 2 임계각도 이상인 경우, 서버(110)는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각도(1040)가 미리 정해진 제 2 임계각도 미만이거나, 각도(1050)가 미리 정해진 제 2 임계각도 미만인 경우, 서버(110)는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20)로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임계각도는 제 2 임계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server (110) selects the work finishing mode, if the angle (1040) between the movement vector (1030) and the first escape vector (7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threshold angle that is predetermined, and if the angle (1050) between the movement vector (1030) and the second escape vector (72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threshold angle that is predetermined, the server (110) may perform a step of transmitting a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That is, if the angle (104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hreshold angle that is predetermined, or if the angle (105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hreshold angle that is predetermined, the server (110) may not transmit the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20). The user terminal (120) may perform a step of outputting a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Here, the first threshold angle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threshold angle.
위에서는 제 1 탈출벡터(710)와 제 2 탈출벡터(720)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에서 위치추적시스템(100)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1020)에 기초하여 제 1 탈출벡터(710)와 제 2 탈출벡터(720)가 갱신한 후, 위와 같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is made for the case where the first escape vector (710) and the second escape vector (720) are not upd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Fig. 10, the location tracking system (100) can perform the above process after the first escape vector (710) and the second escape vector (720) are updated based 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1020).
서버(110)는 현재 날짜에 기초하여 만조 시각을 획득할 수 있다. 서버(110)는 만조 시각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가 안전선(431, 530)에서 바다쪽의 영역에 위치한 경우, 조난 신호 생성할 수 있다. 서버(110)는 만조 시각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가 안전영역에 있지 않은 경우, 조난 신호 생성할 수 있다.The server (110) can obtain the high tide time based on the current date. If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located in an area seaward of the safety line (431, 530) at the high tide time, the server (110) can generate a distress signal. If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not in the safety area at the high tide time, the server (110) can generate a distress signal.
서버(110)는 작업마무리모드 또는 대피알림모드임에도 불구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움직이지 않는 사용자가 있다면,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신호 발생할 수 있다. 즉, 서버(110)는 간조시각부터 만조시각 사이임에도 불구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움직이지 않는 사용자가 있다면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신호 발생할 수 있다. 서버(110)에서 발생한 알림에 기초하여 관리자는 경고방송을 하거나, 필요조치를 취할 수 있다.If a user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despite being in work completion mode or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the server (110) can generate a notification signal including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at is, if a user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despite being between low tide and high tide, the server (110) can generate a notification signal including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notification generated by the server (110), the manager can broadcast a warning or take necessary measures.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위치추적시스템은 정보처리를 빠르게 하여, 정확한 정보를 빠르게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안전지역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location tracking system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quickly process information, quickly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to the user, and guide the user to move to a safe area.
이제까지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e have looked at various embodiments so fa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odified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perspe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not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storage medium such as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a ROM, a floppy disk, a hard disk, etc.) and an optical reading medium (e.g., a CD-ROM, a DVD, etc.).
Claims (8)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직전 위치정보 및 현재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벡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현재 날짜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안전선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현재 날짜에 기초하여 밀물시의 미리 정해진 밀물속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 현재시각, 상기 사용자의 이동벡터, 상기 안전선, 및 밀물 속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알림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알림모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선택된 알림모드에 대응되는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알림모드로써, 대피알림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안전선 중 일 지점에 고정되어 위치한 비컨의 위치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탈출벡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동벡터와 탈출벡터 사이의 각도가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서버가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 방법.
In the operating method of a location tracking system including a user terminal and a server performing two-way communication,
A step in which the user terminal periodically transmits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A step in which the server obtains the user's movement vector based on the user's previous location information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 step in which the server obtains a pre-determined safety line based on the current date;
A step in which the server obtains a predetermined high tide speed at high tide based on the current date;
A step of select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notification modes based 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current time, the user's movement vector, the safety line, and the tide speed;
A step of transmitting the selected notification mode to the user terminal;
A step in which the user terminal outputs a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notification mode;
When the server selects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as the notification mode, a step of obtaining an escape vector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beacon fixedly positioned at one point of the safety line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 step of the server transmitting a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angle between the movement vector and the escape vect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threshold angle that is predetermined; and
A method of operating a position tracking system, comprising a step of the user terminal outputting the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상기 복수의 알림모드는 작업안전모드, 작업마무리모드, 및 상기 대피알림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안전모드는 상기 현재시각이 작업에 아무런 제한이 없는 시간에 포함됨을 나타내고,
상기 작업마무리모드는 작업을 중단하거나, 안전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작업을 해야하는 시간임을 나타내며,
상기 대피알림모드는 즉각 작업을 중지하고 안전지역으로 이동해야함을 나타내는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 방법.
In paragraph 1,
The above multiple notification modes include at least one of a work safety mode, a work completion mode, and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The above work safety mode indicates that the current time is included in the time when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work,
The above work finishing mode indicates the time when work must be stopped or moved to a safe area.
The abov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is a method of operation of a location tracking system that indicates that work must be stopped immediately and movement to a safe area.
상기 복수의 알림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는 상기 현재시각이 상기 현재 날짜의 만조시각부터 간조시각까지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작업안전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현재시각이 간조시각이후이고, 다음 만조시각이전이며, 상기 현재 위치정보와 상기 안전선의 최소거리가 임계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작업마무리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는 상기 현재시각이 간조시각이후이고, 다음 만조시각이전이며, 상기 현재 위치정보와 상기 안전선의 최소거리가 임계거리 초과인 경우, 상기 대피알림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선택된 알림모드에 대응되는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시각이 간조시각과 동일한 경우, 상기 서버가 밀물시작시각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가 미리 결정된 작업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버가 비작업영역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대피알림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안전선에 도달하기 전까지, 작업안전모드, 및 작업마무리모드를 선택하지 않고,
상기 밀물시작시각신호는 밀물이 시작되는 시각에 출력되는 신호이며,
상기 이동방향수정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방향이 위험지역으로 향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상기 비작업영역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작업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님을 나타내는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 방법.
In the second paragraph,
The step of selecting one of the above multiple notification modes is:
The above server selects the work safety mode when the current time is included in the high tide time to low tide time of the current date;
The above server selects the work completion mode when the current time is after the low tide time and before the next high tide time, and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afety lin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distance; and
The above server includes a step of selecting th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when the current time is after the low tide time and before the next high tide time, and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afety line exceeds the threshold distance.
The step of the above user terminal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notification mode is:
If the current time is the same as the low tide time, the server transmits a high tide start time signal to the user terminal; and
I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not included in a predetermined work area, the server includes a step of transmitting a non-work area signal to the user terminal,
If the above server selects the above evacuation notification mode, the work safety mode and work completion mode are not selected until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reaches the above safety line.
The above high tide start time signal is a signal output at the time when the high tide starts.
The above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indicates that the user's movement direction is heading toward a danger zone.
The above non-work area signal is a method of operation of a position tracking system that indicates that the user's location is not a workable area.
상기 서버는 상기 임계거리를 a*D-b 미터로 결정하고, 상기 a는 상기 밀물속력에 반비례하는 미리 결정된 수이며, b는 해안선과 상기 사용자의 안전 거리에 비례하는 미리 결정된 상수이며, 상기 D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안전선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최대 거리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 방법.
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server determines the threshold distance as a*Db meters, wherein a is a predetermined number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tide speed, b is a predetermined constant proportional to the safe distance of the user from the coastline, and D is the maximum distance the user can be from the safe line. A method of operating a positioning system.
상기 서버가 작업마무리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이동벡터와 상기 탈출벡터 사이의 각도가 미리 정해진 제 2 임계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서버가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임계각도는 상기 제 2 임계각도보다 작은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 방법.
In paragraph 4,
When the server selects the work completion mode, if the angle between the movement vector and the escape vect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threshold angle, the server transmits a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above user terminal includes a step of outputting the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A method of operating a position tracking system, wherein the first critical angle is smaller than the second critical angle.
상기 위치추적시스템은 제 1 비컨 및 제 2 비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비컨 및 상기 제 2 비컨 사이의 거리(L)는 k*D이하이고,
여기서 상기 k는 미리 정해진 상수이고, 상기 D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안전선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최대 거리인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 방법.
In paragraph 1,
The above position tracking system includes a first beacon and a second beacon, and the distance (L) between the first beacon and the second beacon is k*D or less,
A method of operating a position tracking system, wherein k is a predetermined constant and D is the maximum distance that the user can be away from the safety line.
상기 탈출벡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비컨의 위치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제 1 탈출벡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비컨의 위치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제 2 탈출벡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벡터와 상기 제 1 탈출벡터 사이의 각도가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각도 이상이고, 상기 이동벡터와 상기 제 2 탈출벡터 사이의 각도가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서버가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 방법.
In paragraph 6,
The step of obtaining the above escape vector is:
A step of obtaining a first escape vector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beacon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step of obtaining a second escape vector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beacon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e step of the above server transmitting a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is:
A method of operating a position tracking system, comprising a step of the server transmitting a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angle between the movement vector and the first escape vect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threshold angle and the angle between the movement vector and the second escape vect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threshold angle.
상기 서버가 작업마무리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이동벡터와 상기 제 1 탈출벡터 사이의 각도가 미리 정해진 제 2 임계각도 이상이고, 상기 이동벡터와 상기 제 2 탈출벡터 사이의 각도가 미리 정해진 제 2 임계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서버가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이동방향수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임계각도는 상기 제 2 임계각도보다 작은 위치추적시스템의 동작 방법.
In paragraph 7,
When the server selects the work finishing mode, if the angle between the movement vector and the first escape vect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threshold angle and if the angle between the movement vector and the second escape vect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threshold angle, the server transmits a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above user terminal includes a step of outputting the movement direction correction signal,
A method of operating a position tracking system, wherein the first critical angle is smaller than the second critical ang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8629A KR102720322B1 (en) | 2022-06-28 | 2022-06-28 | Location track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e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8629A KR102720322B1 (en) | 2022-06-28 | 2022-06-28 | Location track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e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1838A KR20240001838A (en) | 2024-01-04 |
KR102720322B1 true KR102720322B1 (en) | 2024-10-22 |
Family
ID=89542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8629A Active KR102720322B1 (en) | 2022-06-28 | 2022-06-28 | Location track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e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2032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30381B1 (en) * | 2024-03-26 | 2024-11-14 | 조상은 | Devices, methods and programs that provide safety services using tracking mode and crime prevention mod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9299B1 (en) | 2005-06-28 | 2011-06-07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Tid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
KR101368535B1 (en) | 2011-10-20 | 2014-03-06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map using mobile device |
JP2017126123A (en) | 2016-01-12 | 2017-07-20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Traffic jam prediction device and traffic jam forecast method |
KR101790551B1 (en) | 2017-06-08 | 2017-10-27 | (주)한국해양기상기술 | Method for determining a state of emergency on the sea and server using the same |
KR102347330B1 (en) | 2020-10-05 | 2022-01-07 | 윤원섭 | Safety management monitoring system using thermal imaging camera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4576B1 (en) * | 2004-03-04 | 2006-06-30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Loca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Region Segmentation |
KR20080032740A (en) * | 2006-10-10 | 2008-04-16 | (주)한국해양과학기술 | Tidal and tidal current forecast system and method for offshore construction management |
KR102116477B1 (en) * | 2014-04-07 | 2020-05-28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pedestrian,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
KR20180040247A (en) * | 2016-10-12 | 2018-04-20 | 송정순 | Administration of GPS position group |
-
2022
- 2022-06-28 KR KR1020220078629A patent/KR10272032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9299B1 (en) | 2005-06-28 | 2011-06-07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Tid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method |
KR101368535B1 (en) | 2011-10-20 | 2014-03-06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map using mobile device |
JP2017126123A (en) | 2016-01-12 | 2017-07-20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Traffic jam prediction device and traffic jam forecast method |
KR101790551B1 (en) | 2017-06-08 | 2017-10-27 | (주)한국해양기상기술 | Method for determining a state of emergency on the sea and server using the same |
KR102347330B1 (en) | 2020-10-05 | 2022-01-07 | 윤원섭 | Safety management monitoring system using thermal imaging camera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1838A (en) | 2024-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64807B2 (en) | Marine vessel display system having automatic selection of mode of operation | |
US9718530B2 (en) | Marine vessel display system | |
US10154401B2 (en) | Safety device utilizing a beacon | |
JP5419622B2 (en) | Ship display device | |
US11904985B2 (en) | Detection of derelict fishing gear | |
US8922363B2 (en) | Animal training apparatus for locating collar transceiver using GP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US11711672B2 (en) | Variable ping rate for a location tracker | |
US10863302B2 (en) | Defining a contextual geofence | |
US20150054981A1 (en) |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
KR102720322B1 (en) | Location track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e thereof | |
US10093400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a man overboard situation | |
US20180082203A1 (en) | Detection of operator likelihood of deviation from planned route | |
JP2018530975A (en) | Positioning system | |
EP3462424B1 (en) |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illumination, and storage medium | |
TWM554985U (en) | Display of nautical electronic navigation chart and safety warning system | |
Jothilingam et al. | IoT based border alert and secured system for fisherman | |
CN111754730B (en) | Alarm method caused by dangerous water area and wearable equipment | |
CA2880958C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0821346B2 (en) | Apparatus used for water spor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 |
JP2004249956A (en) | Waterfall rescue support device, waterfall rescue support system, and waterfall accident notification system | |
Mulla et al. | Border alert system for fishermen using gps system | |
CN114906295B (en) | Automatic rescue processing method, device, medium and terminal for preventing drowning in scenic spot | |
JP2020154746A (en) | Notification device, first roadside uni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notification method | |
JP3966311B2 (en) | Bath monitoring system, bath monitoring device and program | |
CN106767829A (en) | Open country swimming automatic naviga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