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0286B1 -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0286B1
KR102720286B1 KR1020217010375A KR20217010375A KR102720286B1 KR 102720286 B1 KR102720286 B1 KR 102720286B1 KR 1020217010375 A KR1020217010375 A KR 1020217010375A KR 20217010375 A KR20217010375 A KR 20217010375A KR 102720286 B1 KR102720286 B1 KR 102720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ceryl ether
ether
mass
containing product
glycery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5960A (ko
Inventor
야스히로 츠시마
히로시 스즈키
가즈야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ublication of KR20210065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0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028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ingredients stabilising the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4Oxygen or sulfur attached to an aliphatic side-chain of a carbocycl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6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 cycloaliph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1/00Disinfectants; Antimicrobial compounds or mixtur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을, 0.10 ㎪ 이상 10 ㎪ 이하의 감압 환경하에서 수증기에 60 분 이상 600 분 이하 접촉시키는 탈취 공정과,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에 d-α-토코페롤을 포함하는 산화 방지제를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100 질량부에 대해 0.05 ∼ 0.30 질량부 첨가하는 첨가 공정을 포함하는,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특정한 글리세릴에테르 및 d-α-토코페롤을 포함하는 산화 방지제를 특정량으로 포함하는,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
본 발명은, 보존시의 산화 열화나 시간 경과적 분해 그리고 불쾌한 악취의 발생을 충분히 방지하여, 장기에 걸쳐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나 세정제 등에는, 방부 등의 목적으로 항균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항균제로서 가장 사용되고 있는 것은 파라벤류이다. 그러나, 파라벤류는 피부 자극성이 높아 안전성이 낮기 때문에 사용 농도 범위가 제한된다는 결점을 갖고, 그 때문에 화장료에 있어서는, 파라벤류의 사용 농도가 1 % 이하로 제한되어 있다. 또 최근에는, 파라벤류에 대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어, 파라벤류를 배합하지 않은 화장료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래서, 알칸디올류나 알킬글리세릴에테르류 등의 디올 화합물이나, 이들 디올 화합물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한 화합물을 항균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 3). 이들 화합물은, 항균제로서 양호한 성능을 가지면서, 파라벤류와 비교하여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어, 화장료에 있어서는 파라벤류 대신에 방부제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7087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01601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61651호
상기의 디올 화합물류 중에서도, 헥실글리세릴에테르 및 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는, 그 화학 구조에 의해 항균 활성이 높은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고온 환경하에서 장기 보존을 실시하면, 이들 글리세릴에테르는 비교적 분자량이 작기 때문에 산화 열화나 시간 경과적 분해를 특히 발생시키기 쉽고, 그 결과 악취의 원인이 되는 저분자 성분이 증가해 가는 등 장기의 품질 안정성에 과제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 산화 열화나 시간 경과적 분해는 헥실글리세릴에테르 및 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에 있어서 특히 현저한 것으로,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 및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등에 있어서, 보존시의 산화 열화나 시간 경과적 분해를 충분히 방지하는 것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황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존시의 산화 열화나 시간 경과적 분해 그리고 불쾌한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여, 장기에 걸쳐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어 이루어지는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을, 0.10 ㎪ 이상 10 ㎪ 이하의 감압 환경하에서 수증기에 60 분 이상 600 분 이하 접촉시키는 탈취 공정과,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에 d-α-토코페롤을 포함하는 산화 방지제를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100 질량부에 대해 0.05 ∼ 0.30 질량부 첨가하는 첨가 공정을 포함하는,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해, 보존시의 산화 열화나 시간 경과적 분해 그리고 불쾌한 악취의 발생을 충분히 방지하여, 장기에 걸쳐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을, 0.10 ㎪ 이상 10 ㎪ 이하의 감압 환경하에서 수증기에 60 분 이상 600 분 이하 접촉시키는 탈취 공정과,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에 d-α-토코페롤을 포함하는 산화 방지제를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100 질량부에 대해 0.05 ∼ 0.30 질량부 첨가하는 첨가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탈취 공정 및 첨가 공정이 장기에 걸친 품질 유지를 위해서 필수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및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각각 공지된 어느 방법을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헥산올과 글리세린을 탈수 축합 반응시키는 방법, 헥실클로라이드나 헥실브로마이드와 글리세린을 탈염산 반응시키는 방법, 헥산올과 1-클로로-2,3-프로판디올을 탈염산 반응시키는 방법, 헥산올과 에피클로로하이드린을 반응시킨 후, 얻어진 헥실글리시딜에테르를 가수 분해하는 방법, 헥산올과 글리시돌을 반응시키는 방법, 헥산올과 알릴클로라이드를 탈염산 반응시킨 후, 과산화수소 등으로 산화시켜, 얻어진 헥실글리시딜에테르를 가수 분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글리세린을 사용하는 반응에 있어서는, 글리세린을 저급 지방산으로 부분적으로 에스테르화한 것을 사용하여 상기의 반응을 실시하고, 반응 종료 후에 비누화하여 지방산을 제거하는 방법이나, 글리세린의 부분 케탈화물을 사용하여 상기의 반응을 실시하고, 반응 종료 후에 케탈을 떼어내는 방법을 실시하면, 순도가 높은 것이 얻어진다.
이들 중에서도, 저렴하고, 공업적으로 제조하기 쉬운 점에서, 헥산올과 에피클로로하이드린을 반응시킨 후, 얻어진 헥실글리시딜에테르를 가수 분해하는 방법이,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바람직하다. 동일한 이유로, 시클로헥산올과 에피클로로하이드린을 반응시킨 후, 얻어진 시클로헥실글리시딜에테르를 가수 분해하는 방법이,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및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은, 어느 방법으로 제조해도, 원하는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나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이외의 불순물이나 부생성물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불순물이나 부생성물로서, 예를 들어, 헥산올이나 글리세린 등의 원료의 잔여물이나, 폴리글리세릴에테르류 등의 중합물, 불쾌한 악취의 원인이 되는 미량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불순물이나 부생성물 중에서도, 불쾌한 악취의 원인이 되는 미량 성분의 제거가 가장 어렵다. 화장료에 배합하는 경우,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에 불쾌한 악취가 있어도, 향료 등으로 악취를 마스킹함으로써 문제 없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기는 하지만, 최근에는 무향료의 화장료도 많아, 글리세릴에테르에 있어서도 불쾌한 악취의 원인이 되는 미량 성분을 제거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지고, 본 발명의 탈취 공정 및/또는 산화 방지제의 첨가 공정에 제공되기 전의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및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를 각각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및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이라고 칭한다. 상기와 같이,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및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은 불순물이나 부생성물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매우 미량이기 때문에, 탈취 공정에 의해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및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의 질량은 거의 변화하지 않는 점에서, 여기에서는 탈취 공정의 전후에서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의 질량은 동일하다고 간주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로서,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장기의 품질 안정성 및 항균성의 관점에서는,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또는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과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중,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과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의 양 성분의 배합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와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를 질량비 10 : 90 ∼ 90 : 10 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3 : 67 ∼ 67 : 33 으로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및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와 유사한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알킬기의 탄소수가 상이한 글리세릴에테르, 디알킬글리세릴에테르, 트리알킬글리세릴에테르, 알킬글리세릴에스테르나, 이들의 화합물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한 화합물, 나아가서는 그 밖의 다가 알코올의 알킬에테르 화합물 등이 있고, 이들의 화합물류 중에도 항균제로서의 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그 밖의 화합물은, 화장료에 배합했을 때에 항균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실용성이 부족하다. 또 이들의 유사한 화합물은 대부분의 경우, 고온 환경하 등에서 장기 보존을 실시하였다고 해도 안정성이 높아 산화 열화나 시간 경과적 분해를 발생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보존시의 산화 열화나 시간 경과적 분해 그리고 불쾌한 악취의 발생과 같은 과제는 인식되어 있지 않고, 또 이들의 과제에 대한 대책의 필요성도 부족하다.
본 발명의 탈취 공정은,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에 대하여, 0.10 ㎪ 이상 10 ㎪ 이하의 감압 환경하에서 수증기에 60 분 이상 600 분 이하 접촉시키는 탈취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으로, 이로써 불순물이나 부생성물 등의 불쾌한 악취나 산화 열화 등의 원인이 되는 미량 성분을 제거한다. 이 때 감압 환경하에서 수증기에 접촉시키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감압 환경의 압력이 이 범위를 유지하는 조건하에서 수증기를 투입하고,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과 접촉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감압 환경의 압력은, 0.10 ㎪ 이상 10 ㎪ 이하이면 장기에 걸쳐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을 얻을 수 있지만, 특히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품질의 안정성 및 생산성 그리고 수율의 관점에서는, 압력 조건을 0.50 ㎪ 이상 7.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 5.0 ㎪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감압 환경의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60 ℃ 이상 16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0 ℃ 이상 140 ℃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 이상 130 ℃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증기에 접촉시키는 시간은, 60 분 이상 600 분 이하로 함으로써 장기에 걸쳐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을 높은 생산성 그리고 수율로 얻을 수 있지만, 특히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품질의 안정성 및 생산성의 관점에서는, 접촉시키는 시간을 60 분 이상 300 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 분 이상 180 분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감압 환경의 압력을 이 범위로 유지하는 조건하에서 수증기를 투입할 때의 수증기의 투입량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장기의 품질 안정성 및 생산성 그리고 수율의 관점에서는,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100 질량부에 대해 1 시간당 0.1 ∼ 50 질량부 투입하여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0.5 ∼ 30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1 ∼ 10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탈취 공정 전체에서는, 얻어지는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장기의 품질 안정성 및 생산성 그리고 수율의 관점에서, 감압 환경하에서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1 ∼ 50 질량부의 수증기를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3 ∼ 20 질량부의 수증기를 접촉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 15 질량부의 수증기를 접촉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수증기를 투입하여 접촉시킬 때에,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질소 등의 수증기 이외의 기체를 동시에 투입해도 된다.
다음으로, 글리세릴에테르에 d-α-토코페롤을 포함하는 산화 방지제를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100 질량부에 대해 0.05 ∼ 0.30 질량부 첨가하는 첨가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산화 방지제로서, d-α-토코페롤을 포함하는 산화 방지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산화 방지제로서, d-α-토코페롤에 유사한 산화 방지제만을 첨가한 경우, 예를 들어, dl-α-토코페롤 (합성 토코페롤) 이나 아세트산 d-α-토코페롤만을 첨가한 경우에는, 장기의 품질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실용성의 면에서 과제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d-α-토코페롤 이외의 산화 방지제 (예를 들어, dl-α-토코페롤, 아세트산 d-α-토코페롤이나 그 밖의 공지된 산화 방지제) 를 병용해도 되지만, 장기의 품질 안정성의 면에서는,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 중의 산화 방지제 전체량 중 d-α-토코페롤이 50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질량% (산화 방지제가 d-α-토코페롤만으로 이루어진다)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산화 방지제의 첨가량은,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100 질량부에 대해 0.05 ∼ 0.30 질량부임으로써, 장기의 품질 안정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이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인 경우, 장기의 품질 안정성 및 항균성의 관점에서, 산화 방지제의 첨가량은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100 질량부에 대해 0.10 ∼ 0.30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5 ∼ 0.25 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이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인 경우, 장기의 품질 안정성 및 항균성의 관점에서, 산화 방지제의 첨가량은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100 질량부에 대해 0.05 ∼ 0.20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7 ∼ 0.15 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탈취 공정과 첨가 공정을 필수적인 공정으로서 포함하는 방법으로, 탈취 공정을 실시한 후에 첨가 공정을 실시해도 되고, 또 첨가 공정을 실시한 후에 탈취 공정을 실시해도 되는데, 본 발명의 효과의 관점에서는, 탈취 공정을 실시한 후에 첨가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탈취 공정 및 첨가 공정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그 밖의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은,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고, 50 ℃ 에서 15 분 가열 조건에서의 고상 마이크로 추출 - GC/FID 법에 의해 측정되는 전체 면적값이 글리세릴에테르 1 g 당 0 이상 80,000 미만인 글리세릴에테르와, d-α-토코페롤을 포함하는 산화 방지제를 함유하고, 글리세릴에테르 100 질량부에 대한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이 0.05 ∼ 0.30 질량부인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이다. 여기서, 고상 마이크로 추출 - GC/FID 법에 의해 측정되는 전체 면적값이란,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산출되는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에 있어서는, 고상 마이크로 추출 - GC/FID 법에 의해 측정되는 전체 면적값이 글리세릴에테르 1 g 당 0 이상 80,000 미만인 글리세릴에테르를 포함함으로써, 보존시의 산화 열화나 시간 경과적 분해 그리고 불쾌한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장기에 걸쳐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글리세릴에테르로는, 장기의 품질 안정성 및 항균성의 관점에서는, 본 발명의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이,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또는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와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의 혼합물 중 어느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만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장기의 품질 안정성 및 항균성의 관점에서는, 글리세릴에테르의 고상 마이크로 추출 - GC/FID 법에 의해 측정되는 전체 면적값은, 글리세릴에테르 1 g 당 0 이상 70,0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 이상 60,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 이상 60,000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 이상 50,0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글리세릴에테르의 고상 마이크로 추출 - GC/FID 법에 의해 측정되는 전체 면적값을 이 범위로 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감압 환경하에서 수증기에 접촉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은, d-α-토코페롤을 포함하는 산화 방지제를 글리세릴에테르 100 질량부에 대해 0.05 ∼ 0.30 질량부 함유한다. 산화 방지제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d-α-토코페롤 이외의 산화 방지제 (예를 들어, dl-α-토코페롤, 아세트산 d-α-토코페롤이나 그 밖의 공지된 산화 방지제) 를 병용해도 되지만, 장기의 품질 안정성의 면에서는,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 중의 산화 방지제 전체량 중 d-α-토코페롤이 50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질량% (산화 방지제가 d-α-토코페롤만으로 이루어진다)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장기의 품질 안정성 및 항균성의 관점에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릴에테르가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경우,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100 질량부에 대해 0.10 ∼ 0.3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 ∼ 0.25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글리세릴에테르가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경우, 장기의 품질 안정성 및 항균성으로부터,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100 질량부에 대해 0.05 ∼ 0.20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 ∼ 0.15 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은, 이용시의 색상 및 제조시 그리고 보존시의 관리의 관점에서, 하젠 색수 (APHA) 가 10 ∼ 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젠 색수 (APHA) 란, 일본 유 (油) 화학회의 기준 유지 분석 시험법 II. C. 1. 5. APHA 법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값으로, 측정 대상의 색상을 수치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한 글리세릴에테르 및 특정한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에 있어서, 색상에 의해 장기의 품질 안정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조성물인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하젠 색수가 10 미만이면, 색상에 의해 장기의 품질 안정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조성물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고, 또 하젠 색수가 50 을 초과하면 이용시의 색상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나 항균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효과에서는, 하젠 색수가 10 ∼ 30 인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하젠 색수가 10 ∼ 20 인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용매 등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데, 장기의 안정성 그리고 수송의 간편성 등의 관점에서는,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글리세릴에테르 및 산화 방지제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은, 예를 들어, 화장료나 세정제에 항균제로서 배합 또는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을 0.10 ∼ 10 질량부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0.20 ∼ 5.0 질량% 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0 ∼ 3.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0.50 ∼ 2.0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10 질량% 를 초과하면, 배합량에 알맞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나 침전이나 분리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배합량이 0.10 질량% 보다 적으면, 항균제로서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샴푸나 린스 등의 토일리트리 제품도 포함되고, 예를 들어, 화장수, 화장액, 유액, 크림, 세안 폼, 클렌징 밀크, 클렌징 로션, 양모제, 헤어 리퀴드, 세팅 로션, 헤어 블리치, 컬러 린스, 퍼머넌트 웨이브액, 립스틱, 팩, 파운데이션, 오드콜로뉴,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선 스크린, 방취제, 향수, 클렌징 오일 및 화장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어느 용도에 있어서도,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산화 열화나 시간 경과적 분해 그리고 불쾌한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여, 장기에 걸쳐 화장료 조성물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 예시한 화장료 조성물에는, 일부의 화장수와 같이 대부분 물로 구성된 것이나, 화장 오일과 같이 거의 유용성 성분으로 구성된 것, 유액이나 크림과 같이 물과 유용성 성분으로 구성된 것이 있다. 본 발명은, 대부분 물로 구성된 화장료 조성물, 또는 대부분 유용성 성분으로 구성된 화장료 조성물이라도 효과를 발휘하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유효하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물과 유용성 성분의 양방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이 0.5 질량% 이상이고 유용성 성분이 0.5 질량%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항균제는 다른 항균제와 비교하여 양호한 항균성 및 장기 안정성이 얻어지고, 물이 1 질량% 이상이고 유용성 성분이 1 질량%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다른 항균제와 비교하여 보다 양호한 항균성이 얻어지고, 물이 5 질량% 이상이고 유용성 성분이 5 질량%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다른 항균제와 비교하여 더욱 양호한 항균성이 얻어지며, W/O 또는 O/W 의 에멀션의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다른 항균제와 비교하여 가장 양호한 항균성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의 물 및 유용성 성분의 농도의 상한은, 통상적으로 각각 99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각각 95 질량% 이다.
상기에 기재된 유용성 성분이란, 물에 대한 용해도가 1 g/100 ㎖ 미만인 성분이다. 물에 대한 용해도가 작은 성분이 배합된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항균제로서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유용성 성분 중에서도 바람직한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 8 이상의 고급 알코올, 탄소수 10 이상의 지방산, 탄소수 8 이상의 지방산 에스테르, 탄소수 10 이상의 탄화수소, 천연 유지, 합성 유지, 천연 왁스, 동점도 1 ㎟/s 이상의 실리콘 화합물, 탄소수 3 이상의 옥시알킬렌기 1 종 또는 2 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이상의 폴리알킬렌글리콜계 화합물, HLB 10 이하의 논이온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탄소수 8 이상의 고급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옥틸알코올, 데실알코올,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이소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헥사데실알코올, 옥틸도데칸올, 데실테트라데칸올, 테트라데실옥타데칸올, 도데실헥사데칸올, 헥실데칸올, 베헤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0 이상의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어,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베헨산, 운데실렌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8 이상의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카프르산세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팔미트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올레산데실,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에틸헥산산세틸, 이소노난산옥틸,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프탈산디에틸, 이소프탈산디에틸, 아디프산디이소스테아릴, 세바크산디이소프로필, 디스테아르산글리콜, 디에틸헥산산네오펜틸글리콜, 옥시스테아르산옥틸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0 이상의 탄화수소로는, 예를 들어,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유동 파라핀, 바셀린, 스쿠알란, 스쿠알렌,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미네랄 오일,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수소 첨가 폴리데센, 폴리데센 등을 들 수 있다.
천연 유지로는, 예를 들어, 아몬드유, 아보카도유, 시어 지방, 해바라기 종자유, 마카데미아 너트유, 라놀린, 환원 라놀린, 밍크유, 카카오 지방, 야자유, 팜유, 팜핵유, 수소 첨가 야자유, 수소 첨가 팜유, 수소 첨가 팜핵유, 동백유, 참기름, 피마자유, 올리브유, 대두유, 우지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유지로는, 예를 들어, 트리카프르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옥탄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리베헨산글리세릴,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글리세릴이나, 이들의 합성 유지나 상기의 천연 유지를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지방산 조성을 바꾼 에스테르 교환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천연 왁스로는, 예를 들어, 카나우바 왁스, 칸델릴라 왁스, 쌀겨 왁스, 밀랍 등을 들 수 있다.
동점도 1 ㎟/s 이상의 실리콘 화합물로는, 실리콘 (디메틸폴리실록산), 알킬 변성 실리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3 이상의 옥시알킬렌기 1 종 또는 2 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이상의 폴리알킬렌글리콜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폴리스티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알킬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알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폴리부틸렌글리콜의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HLB 10 이하의 논이온 계면 활성제로는, 글리세린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 소르비탄모노올레산에스테르, 소르비탄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라우릴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올레일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HLB 5 이하의 논이온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성분 (상기의 유용성 성분을 제외한다), 예를 들어, 계면 활성제, 증점제, 분체 (안료, 색소, 수지), 그 밖의 항균제, 향료, 보습제, 생리 활성 성분, 염류, 용매, 산화 방지제, 킬레이트제, 펄화제, 중화제, pH 조정제, 효소 등의 성분을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 및 용도에 따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아니온 계면 활성제, HLB 가 10 보다 큰 논이온 계면 활성제, 카티온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고, 아니온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고급 지방산염, 고급 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 황화올레핀염, 고급 알킬술폰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황산화 지방산염, 술폰화 지방산염, 인산에스테르염, 지방산 에스테르의 황산에스테르염, 글리세라이드황산에스테르염, 지방산 에스테르의 술폰산염, α-술포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아실화펩티드,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또는 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황산에스테르염, 술포숙신산에스테르,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벤조이미다졸술폰산염, 폴리옥시알킬렌술포숙신산염, N-아실-N-메틸타우린의 염, N-아실글루타민산 또는 그 염, 아실옥시에탄술폰산염, 알콕시에탄술폰산염, N-아실-β-알라닌 또는 그 염, N-아실-N-카르복시에틸타우린 또는 그 염, N-아실-N-카르복시메틸글리신 또는 그 염, 아실락트산염, N-아실사르코신염, 및 알킬 또는 알케닐아미노카르복시메틸황산염 등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HLB 가 10 보다 큰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의 부가 형태는, 랜덤상, 블록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폴리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 폴리프로필렌글리콜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카티온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알킬(알케닐)트리메틸암모늄염, 디알킬(알케닐)디메틸암모늄염, 알킬(알케닐) 4 급 암모늄염, 에테르기 혹은 에스테르기 혹은 아미드기를 함유하는 모노 혹은 디알킬(알케닐) 4 급 암모늄염, 알킬(알케닐)피리디늄염, 알킬(알케닐)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알케닐)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알케닐)모르폴리늄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알케닐)아민, 알킬(알케닐)아민염, 폴리아민 지방산 유도체, 아밀알코올 지방산 유도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등을 들 수 있다.
양쪽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베타인, 술포베타인, 포스포베타인, 아미드아미노산, 이미다졸리늄베타인계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계면 활성제의 사용량은, 첨가하는 화장료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데, 화장료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0.1 ∼ 30 질량% 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 ∼ 2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증점제로는, 예를 들어,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 공중합체, 셀룰로오스 또는 그 유도체, 케라틴 및 콜라겐 또는 그들의 유도체, 알긴산칼슘, 풀루란, 한천, 젤라틴,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 크산탄 검, 카라기난, 하이메톡실펙틴, 로우메톡실펙틴, 구아 검, 아라비아 고무, 결정 셀룰로오스, 아라비노갈락탄, 카라야 검, 트래거캔스 검, 알긴산, 알부민, 카세인, 커들란, β-글루칸, 젤란 검, 덱스트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증점제의 사용량은, 첨가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데, 화장료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0.01 ∼ 10 질량% 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 8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분체로는, 예를 들어, 적색 201 호, 황색 4 호, 청색 1 호, 흑색 401 호 등의 색소, 황색 4 호 Al 레이크, 황색 203 호 Ba 레이크 등의 레이크 색소, 나일론 파우더, 실크 파우더, 실리콘 파우더, 셀룰로오스 파우더, 실리콘 엘라스토머 구상 분체, 폴리에틸렌 말 (末) 등의 고분자, 황 산화철, 적색 산화철, 산화크롬, 카본 블랙, 군청, 감청 등의 유색 안료, 산화아연, 산화티탄 등의 백색 안료, 탤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카올린 등의 체질 안료, 운모, 티탄 등의 펄 안료, 황산바륨,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규산마그네슘 등의 금속염, 실리카, 알루미나 등의 무기 분체, 벤토나이트, 스멕타이트, 질화붕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분체의 형상 (구상, 봉상, 침상, 판상, 부정형상, 인편상, 방추상 등) 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이들 분체의 사용량은, 첨가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데, 화장료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0.01 ∼ 10 질량% 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 5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보습제로는, 예를 들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데옥시리보핵산, 무코 다당류,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콜라겐, 엘라스틴, 키틴, 키토산, 가수분해 난각막 등의 생체 고분자, 아미노산, 락트산나트륨, 우레아,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베타인, 훼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보습제의 사용량은, 첨가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데, 화장료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0.1 ∼ 30 질량% 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 ∼ 2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용매로는, 예를 들어, 정제수,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글리세릴에테르의 품질 안정성의 향상 방법은, 탈취 처리된 헥실글리세릴에테르, 탈취 처리된 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탈취 처리된 글리세릴에테르에, 하젠 색수 (APHA) 가 10 ∼ 50 이 되도록 d-α-토코페롤을 첨가하는 방법이다. 색상에 따라 첨가량을 조정함으로써, 간편하게 장기의 품질 안정성이 우수한 글리세릴에테르를 조제할 수 있다. 또 첨가 전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기 때문에, 첨가 유무를 판단하기 쉽고, 품질 안정성의 향상 방법으로서 우수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등에 있어서 % 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질량 기준이다.
<글리세릴에테르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하는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및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를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합성예 1
헥산올 3.0 g 과 에피클로로하이드린 2.1 g 을 80 ℃ 에서 4 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중간체인 헥실글리시딜에테르를 얻은 후, 얻어진 헥실글리시딜에테르를 가수 분해함으로써,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2.7 g 을 얻었다.
합성예 2
시클로헥산올 3.2 g 과 에피클로로하이드린 2.1 g 을 80 ℃ 에서 4 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중간체인 시클로헥실글리시딜에테르를 얻은 후, 얻어진 시클로헥실글리시딜에테르를 가수 분해함으로써,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2.7 g 을 얻었다.
<탈취 공정>
합성예 1 및 합성예 2 에서 제조한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및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을 각각 플라스크에 2.7 g 취하고, 진공 펌프에 의해 감압하면서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100 질량부에 대해 3 질량부/h 의 유량으로 수증기를 투입함으로써, 110 ℃ 4 ㎪ 의 환경하에서 수증기를 접촉시키는 탈취 처리를 각각 표 1 또는 표 2 에 기재된 시간 실시함으로써 탈취 처리하였다. 또한 처리 시간 0 분이란, 탈취 처리를 실시하지 않았던 것을 나타낸다.
전체 면적값의 측정
탈취 처리 후의 글리세릴에테르 1 ∼ 12 각각에 대하여, 고상 마이크로 추출 - GC/FID 법에 의해 측정되는 전체 면적값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탈취 처리 후의 글리세릴에테르를 1.0 g 용기에 취하고, 50 ℃ 에서 15 분 가열함으로써 글리세릴에테르에 포함되는 불순물이나 부생성물을 DVB/PDMS (디비닐벤젠 분산/폴리디메틸실록산) 파이버에 흡착시켜, 이 파이버를 홀더에 세팅한 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명 : GC-2014, 제조자 : 주식회사 시마즈 제작소) 에 의해 하기 측정 조건에 의해 측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동 장치의 해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JIS K 0114 (2012) 의 절대 검량선법에 준거하여, 각 글리세릴에테르 이외의 성분에서 기인되는 전체 면적값을 산출하였다. 산출 결과를 표 1 및 표 2 에 기재한다.
[측정 조건]
칼럼 : InertCap (등록상표) PureWAX (길이 30 m, 막압 0.50 ㎛, 내경 0.25 ㎛)
캐리어 가스 : 헬륨
캐리어 유량 : 124.5 ㎖/min
주입구 온도 : 260 ℃
검출기 온도 : 260 ℃
Figure 112021040841127-pct00001
Figure 112021040841127-pct00002
<첨가 공정>
탈취 처리 후의 글리세릴에테르에, 표 3 또는 표 4 에 기재된 조건에서 산화 방지제를 각각 첨가하고,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 제조한 각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하젠 색수 (APHA) 를, 일본 유 화학회의 기준 유지 분석 시험법 II. C. 1. 5. APHA 법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에 기초하여 측정한 결과를 표 3 및 표 4 에 나타낸다.
사용한 산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1) d-α-토코페롤 (제품명 : 토코페롤 100, 제조자 : 닛신 오일리오 그룹 (주))
(산화 방지제 2) dl-α-토코페롤 (제품명 : E 오일 1000, 제조자 : 리켄 비타민 (주))
(산화 방지제 3) 아세트산-d-α-토코페롤 (시약 특급 G, 제조자 : 도쿄 화성 공업 (주))
탈취성 시험
제조한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에 대하여, 각각 제조 직후 및 25 ℃/40 ℃/60 ℃ 의 어두운 곳에서 2 개월/4 개월 보존 후의 탈취성을 평가하였다. 탈취성의 평가 방법으로는, 시험관 7 명이, 어느 온도에서 보존한 샘플도 완전히 무취인 것을 10 점, 어느 온도에서 보존한 샘플도 강한 악취가 있는 것을 1 점으로 한 관능 평가에 의해 1 ∼ 10 점의 10 단계로 채점하고, 각 시험관의 채점 결과의 합계 점수를 산출하여, 합계 점수가 60 점 이상을 ◎, 45 점 이상 60 점 미만을 ○, 45 점 미만을 × 로 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 및 표 4 에 나타낸다.
안정성 시험
제조한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에 대하여, 각각 제조 직후 및 25 ℃/40 ℃/60 ℃ 의 어두운 곳에서 2 개월/4 개월 보존 후의 구조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구조 안정성의 평가 방법으로는, 각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에 대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명 : GC-2014, 제조자 : 주식회사 시마즈 제작소) 를 사용하여 GC/FID 법에 의해 측정하고, 또한 동 장치의 해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면적 백분율법에 의해 각 샘플의 글리세릴에테르에서 기인되는 피크 면적의 비율을 순도로서 산출하여, 25 ℃/40 ℃/60 ℃ 에서 보존 후의 샘플 중 가장 낮은 순도의 값이 99.5 % 이상을 ◎, 99.0 % 이상 99.5 % 미만을 ○, 99.0 % 미만을 × 로 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 및 표 4 에 나타낸다.
Figure 112021040841127-pct00003
Figure 112021040841127-pct00004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존시의 산화 열화나 시간 경과적 분해 그리고 불쾌한 악취의 발생을 충분히 방지하여, 장기에 걸쳐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을, 0.10 ㎪ 이상 10 ㎪ 이하의 감압 환경하에서 수증기에 60 분 이상 600 분 이하 접촉시키는 탈취 공정과,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에 d-α-토코페롤을 포함하는 산화 방지제를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100 질량부에 대해 0.05 ∼ 0.30 질량부 첨가하는 첨가 공정을 포함하는,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이,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또는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과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모노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모노시클로헥실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을, 0.10 ㎪ 이상 10 ㎪ 이하의 감압 환경하에서 수증기에 60 분 이상 600 분 이하 접촉시키는 탈취 공정과,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에 d-α-토코페롤을 포함하는 산화 방지제를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생성물 100 질량부에 대해 0.05 ∼ 0.30 질량부 첨가하는 첨가 공정과, 상기 첨가 공정에서 얻어진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을 화장료에 배합하는 배합 공정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0.1 ∼ 10 질량% 로 배합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7010375A 2018-09-25 2019-09-20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 Active KR102720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78640 2018-09-25
JPJP-P-2018-178640 2018-09-25
PCT/JP2019/036970 WO2020066893A1 (ja) 2018-09-25 2019-09-20 グリセリルエーテル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グリセリルエーテル含有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960A KR20210065960A (ko) 2021-06-04
KR102720286B1 true KR102720286B1 (ko) 2024-10-21

Family

ID=6995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375A Active KR102720286B1 (ko) 2018-09-25 2019-09-20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18668B2 (ko)
EP (1) EP3858326B1 (ko)
JP (1) JP7362640B2 (ko)
KR (1) KR102720286B1 (ko)
CN (1) CN112770719A (ko)
WO (1) WO20200668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22021215A2 (pt) * 2020-04-24 2022-12-0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ção de solvente, e, processo para inibir a geração de peróxido
JPWO2022014487A1 (ko) * 2020-07-16 2022-01-20
JP7702048B2 (ja) 2022-10-07 2025-07-02 株式会社Adeka バイオ由来分岐アルキルグリセリルエーテル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バイオ由来分岐アルキルグリセリルエーテル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0794A (en) * 1937-08-28 1938-12-20 Epstein Treatment of soya bean oil
JPH0680600A (ja) * 1992-09-02 1994-03-22 Kao Corp グリセリルエーテル化多価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
JPH1046024A (ja) * 1996-08-02 1998-02-17 Sakamoto Yakuhin Kogyo Kk ポリオキシプロピレンジグリセリルエーテルの品質改良法
JP4183850B2 (ja) * 1999-06-25 2008-11-19 花王株式会社 グリセリルエーテルの製造法
DE10028638A1 (de) 2000-06-09 2001-12-20 Schuelke & Mayr Gmbh Lagerstabile Zusammensetzungen von Glycerinmonoalkylethern
US7285284B2 (en) * 2000-09-08 2007-10-23 Kuhnau Stephen C Cosmetic composition, method of use and method of making
JP3914029B2 (ja) 2001-11-06 2007-05-16 株式会社日本触媒 安定化されたビニルピロリドン系重合体組成物
JP3977313B2 (ja) * 2003-10-17 2007-09-19 花王株式会社 グリセリルエーテルの製造方法
JP3993163B2 (ja) 2003-12-12 2007-10-17 花王株式会社 抗菌剤及び抗菌液体洗浄剤組成物
BRPI0514752B1 (pt) 2004-08-31 2016-12-13 Hercules Inc “processos para preparar composições com odor reduzido”
KR101268554B1 (ko) * 2005-04-28 2013-05-28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알칸디올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향장품
JP5025997B2 (ja) 2005-06-08 2012-09-12 株式会社Adeka 抗菌剤
JP5030422B2 (ja) 2005-12-14 2012-09-19 株式会社Adeka 抗菌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抗菌性組成物
JP4769626B2 (ja) 2006-04-28 2011-09-07 花王株式会社 グリセリルエーテルの精製方法
JP4769642B2 (ja) * 2006-06-12 2011-09-07 花王株式会社 グリセリルエーテルの精製方法
DE102007017851A1 (de) * 2007-04-16 2008-10-23 Schülke & Mayr GmbH Zusammensetzung auf Basis von Glycerinether/Polyol-Gemischen
DE102008011692A1 (de) * 2008-02-28 2009-09-10 Schülke & Mayr GmbH Wirkstoffkombination und deren Verwendung
JP2010100531A (ja) * 2008-10-21 2010-05-06 Sakamoto Yakuhin Kogyo Co Ltd ポリグリセリンアルキルエーテルとその製造方法
JP2011057647A (ja) * 2009-09-14 2011-03-24 Adeka Corp 化粧料
KR20160058182A (ko) * 2013-09-24 2016-05-24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음료, 식품 및 약학적 조성물을 위한 적색 안료
EP3111918B1 (en) * 2014-02-24 2019-08-14 Adeka Corporation Skin cosmetic composition, antibacterial agent for skin cosmetic, and method for enhancing antibacterial effect of diol compound
JP7490336B2 (ja) * 2017-02-03 2024-05-27 株式会社Adeka 化粧料の保存安定性を向上させ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62640B2 (ja) 2023-10-17
EP3858326A4 (en) 2022-07-06
CN112770719A (zh) 2021-05-07
KR20210065960A (ko) 2021-06-04
JPWO2020066893A1 (ja) 2021-08-30
EP3858326B1 (en) 2025-06-04
EP3858326A1 (en) 2021-08-04
US20210353515A1 (en) 2021-11-18
WO2020066893A1 (ja) 2020-04-02
US11918668B2 (en) 202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20286B1 (ko)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글리세릴에테르 함유 조성물
JP4747075B2 (ja) 化粧料および外用剤
EP3102292B1 (de) Kombinationen von kationischen haarbehandlungsmitteln mit dimethylaminopropylamiden von oxidaten natürlicher wachse und deren verwendung in kosmetischen zubereitungen, insbesondere haarpflegemitteln
KR102281376B1 (ko) 개인용 세정제 및 이를 위한 계면활성제 배합물
JP2015526465A (ja) 分枝ポリマー型乳化剤
JP2011057647A (ja) 化粧料
AU2007360091A1 (en) Deodorant compositions
KR20110102336A (ko) 휘발성물질과 테르펜 알콜을 함유한 개인위생조성물
JPH08337560A (ja) ポリオキシプロピレン脂肪酸アルカノールアミド化合物の混合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前記混合物含有化学剤
JPH0920740A (ja) ポリオキシプロピレン脂肪酸イソプロパノールアミド混合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前記混合物含有化学剤
JP4815166B2 (ja) 油性基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WO2021024274A1 (en) A personal care composition
EP0913390B1 (en) Nonionic surfactant
JP6407839B2 (ja) 化粧料の抗菌方法
JP6999288B2 (ja) 毛髪洗浄剤用組成物
JP2564561B2 (ja) 化粧品組成物
JP5192871B2 (ja) 洗浄剤組成物
JP4824517B2 (ja) 外用組成物
JP4129204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3889518B2 (ja) 非イオン性界面活性剤
JPH08268864A (ja) 化粧料
JP2004083438A (ja) クレンジング用の化粧料
EP4215246A1 (en) Personal care composition with low substituted hydroxypropyl cellulose
EP2512411B1 (en) Composition with enhanced hydration ability
CN119497606A (zh) 表面活性剂组合物和清洗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3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