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19652B1 - flow drain for bathroom - Google Patents
flow drain for bathroo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19652B1 KR102719652B1 KR1020240015502A KR20240015502A KR102719652B1 KR 102719652 B1 KR102719652 B1 KR 102719652B1 KR 1020240015502 A KR1020240015502 A KR 1020240015502A KR 20240015502 A KR20240015502 A KR 20240015502A KR 102719652 B1 KR102719652 B1 KR 1027196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hroom
- drain
- upper frame
- sewage
- mention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13872 defe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81 foam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0 easy-to-clea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은, 욕실의 바닥콘크리트 슬라브 상측에 마련되어 하수를 수집하여 배출하는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으로서, 상기 바닥콘크리트 슬라브 상측에 마련되고, 측면에 하수 유입구와 하수 배출구가 이격되게 마련되는 드레인 본체; 상기 드레인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욕실 바닥하수가 상기 드레인 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수 유입홀이 마련되는 상부기틀부; 및 상기 상부기틀부와의 결합시에 상기 하수 유입홀이 형성된 상기 상부기틀부의 상부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된 부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기틀부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며, 상기 하수 유입홀과 연통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반려동물 배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욕실 바닥에 매립되는 플로우 드레인의 상부기틀부에 반려동물 배변판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즉 반려동물의 대소변을 청결하게 뒷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욕실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 bathroom flow drain is disclosed. The bathroom flow d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hroom flow drain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a concrete floor slab of a bathroom to collect and discharge sewag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drain body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crete floor slab and having a sewage inlet and a sewage outle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ide; an upper frame part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drain body and having a sewage inlet hole formed therein so that bathroom floor sewage can flow into the drain body; and a pet litter plate detachably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part so that a portion is formed that is at least partially spac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part where the sewage inlet hole is formed when coupled with the upper frame part,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so as to be communicated with the sewage inlet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tructure in which a pet litter plat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frame part of a flow drain buried in a bathroom floor, that is, by integrally forming a structure in the bathroom that can cleanly dispose of a pet's urine and feces,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애완견과 같은 반려동물이 실내에서 배변, 배뇨활동을 한 후 사용자가 더욱 청결하고 편리하게 뒷처리를 실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hroom flow drain that enables a user to more cleanly and conveniently clean up after a pet, such as a pet dog, defecates or urinates indoors.
근래에는 1인 가구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반려동물을 입양하는 가정이 많아졌다. 이러한 반려동물은 동물의 습성, 또는 반복적인 교육이나 훈련을 통해 배변패드에서 배변활동을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Recently,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has been increasing, and the number of households adopting pets has increased. These pets are encouraged to defecate on pee pads through animal habits or repeated education or training.
이러한 배변패드는 상대적으로 작은 체적과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애완동물의 배변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흡수성 직물 재질을 사용한 일회용 배변패드로 제작되고 있다.These pee pads are made of disposable pee pads made of absorbent fabric material that can effectively absorb pet excrement while having a relatively small volume and thin thickness.
이와 같이 현재 대중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패드는 일회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장기간 사용에 따른 소모품 비용부담의 증가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커다란 단점 또한 갖고 있다.Pet pee pad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have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to use as they are disposable, but they also have the major disadvantage of inevitably increasing the cost of consumables due to long-term us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반려동물의 대소변을 청결하게 뒷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욕실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반려동물의 대소변이 접촉되는 구성을 영구적으로 반복 사용 가능하게 적용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주기적인 비용 발생을 월등히 저감할 수 있는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ims to provide a bathroom flow drain that can improve user convenience by forming a structure that can cleanly dispose of pet urine and feces integrally in a bathroom, and can significantly reduce periodic cost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by permanently applying a structur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pet urine and feces so that it can be reused repeatedl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욕실의 바닥콘크리트 슬라브 상측에 마련되어 욕실하수를 수집하여 배출하는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으로서, 상기 바닥콘크리트 슬라브 상측에 마련되고, 측면에 하수 유입구와 하수 배출구가 이격되게 마련되는 드레인 본체; 상기 드레인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욕실 바닥하수가 상기 드레인 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수 유입홀이 마련되는 상부기틀부; 및 상기 상부기틀부와의 결합시에 상기 하수 유입홀이 형성된 상기 상부기틀부의 상부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된 부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기틀부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며, 상기 하수 유입홀과 연통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반려동물 배변판을 포함하는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throom flow drain is provided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bathroom sewage, the bathroom flow drain comprising: a drain body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loor concrete slab of the bathroom and having a sewage inlet and a sewage outle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ide; an upper frame part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drain body and having a sewage inlet hole formed therein so that bathroom floor sewage can flow into the drain body; and a pet waste plate which is detachably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part so that a portion is formed that is at least partially spaced apart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part where the sewage inlet hole is formed when coupled with the upper frame part, and has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so a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sewage inlet hole.
상기 반려동물 배변판은,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는 배변판 본체; 및 상기 상부기틀부의 상부면을 마주보는 상기 배변판 본체의 하부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기틀부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pet litter plate may include a litter plate body in which the through hole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ower portion of the litter plate body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portion and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portion.
상기 배변판 본체의 상부면은 상기 관통홀을 향해 하향되게 구배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defecation plate body may be formed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through hole.
상기 상부기틀부에 상기 반려동물 배변판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돌기간 사이영역은 상기 하수 유입홀과 상기 관통홀에 각각 연통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pet litter plate is coupled to the upper frame, the regions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can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wage inflow hole and the through hole.
상기 복수의 돌기 또는 상기 복수의 돌기간 사이영역은 각각 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or the regions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상기 배변판 본체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복수의 돌기간 사이영역과 연통하도록 복수의 배수홀이 이격 형성될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drain plate body, a plurality of drain holes can be formed spaced apart so as to penetr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of and communicate with the regions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상기 배변판 본체의 상부면과 상기 복수의 배수홀의 연결부위에는 각각, 상기 복수의 배수홀의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An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at the upper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toilet plate body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above-mentioned plurality of drain holes so as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above-mentioned plurality of drain holes.
상기 반려동물 배변판은 일정이상으로 접거나 펼침 가능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bove pet litter box may be made of rubber or silicone material that can be folded or unfolded to a certain extent.
상기 반려동물 배변판은 (200mm * n), (200mm * m)의 가로, 세로 크기를 갖거나, (300mm * r), (300mm * s)의 가로, 세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상부기틀부의 상측부는 상기 반려동물 배변판이 전체적으로 안착 가능한 가로, 세로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은 2 또는 3, 상기 m은 2 또는 3, 상기 r과 s는 2)The above pet litter box has a horizontal and vertical size of (200 mm * n), (200 mm * m), or a horizontal and vertical size of (300 mm * r), (300 mm * s), and the upper part of the upper frame part can be formed to have a horizontal and vertical size in which the pet litter box can be completely settled. (Here, n is 2 or 3, m is 2 or 3, and r and s are 2.)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에 의하면, 욕실 바닥에 매립되는 플로우 드레인의 상부기틀부에 반려동물 배변판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즉 반려동물의 대소변을 청결하게 뒷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욕실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bathroom flow d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structure in which a pet waste plat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base of the flow drain buried in the bathroom floor, that is, by forming a structure that can cleanly dispose of pet urine and feces as an integral part of the bathroom,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또한, 반려동물 배변판이 반영구적으로 반복 사용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소모품인 직물재질의 배변판 사용에 따른 주기적인 비용 발생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et litter box is designed to be reusable semi-permanently, the periodic costs associated with using consumable fabric litter boxes can be drastically reduced.
또한, 상부기틀의 안착홈 내벽과 반려동물 배변판의 가장자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부기틀의 안착홈의 바닥면과 반려동물 배변판의 하면 사이에 배수유로 기능을 하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소변 뿐만 아니라 욕실 사용시의 욕실 바닥하수가 원활히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gap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upper frame's mounting groove and the edge of the pet litter plate, and by forming a space that functions as a drainage channel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rame's mounting groov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et litter plate, not only the pet's urine but also the bathroom floor drain when using the bathroom can be smoothly dr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의 반려동물 배변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의 반려동물 배변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의 반려동물 배변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의 반려동물 배변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throom flow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throom flow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throom flow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4 is a drawing showing a pet litter plate of a bathroom flow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rawing showing the state of use of a bathroom flow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rawing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pet litter plate of a bathroom flow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pet litter plate of a bathroom flow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pet litter plate of a bathroom flow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은, 애완견과 같은 반려동물이 실내에서 배변, 배뇨활동을 한 후 사용자가 더욱 청결하고 편리하게 뒷처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편의 구조를 제공하며, 반복 사용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주기적인 비용발생을 저감하여 경제적인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A bathroom flow drai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venient structure so that a user can more conveniently and cleanly clean up after a companion animal, such as a pet dog, defecates or urinates indoors, and is formed in a form that can be reused, thereby reducing periodic costs and providing economic benefits.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1000)은 욕실의 바닥콘크리트 슬라브(10) 상측에 마련되어 욕실하수를 수집하여 배출하는 것으로서, 그 하부는 바닥콘크리트 슬라브(10) 상부면에 접촉하는 상태로 바닥콘크리트 슬라브(10) 상측에 타설되는 기포 콘크리트층(20)에 매립되게 설치되며, 수집된 하수는 입상배수관(미도시)으로 유도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bathroom flow drain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a floor concrete slab (10) of a bathroom to collect and discharge bathroom sewage. The lower part of the drain is installed embedded in a foam concrete layer (20) poured on the upper side of the floor concrete slab (10) in a state of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concrete slab (10), and the collected sewage is guided to a vertical drain pipe (not show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1000)은 드레인 본체(100), 상부기틀부(200), 반려동물 배변판(4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a bathroom flow drain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ain body (100), an upper base part (200), and a pet litter plate (400).
먼저, 드레인 본체(100)는 욕실의 바닥콘크리트 슬라브(10) 상측에 타설되는 기포 콘크리트층(20)에 매립 설치되며, 욕실하수가 유입되도록 측면에 하수 유입구(110)와 유입된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하수 배출구(120)가 이격되게 마련된다.First, the drain body (100) is installed embedded in the foamed concrete layer (20) pour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throom floor concrete slab (10), and a sewage inlet (110) is provided on the side to allow bathroom sewage to flow in and a sewage outlet (120) for discharging the introduced sewage is provid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예를 들어, 드레인 본체(100)는 상측이 개구된 용기 구조로 이루어지고 하수 유입구(110)와 하수 배출구(120)는 용기의 둘레방향을 따라 동일하거나 상이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ain body (100) may be formed as a container structure with an open upper side, and the sewage inlet (110) and the sewage outlet (12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equal or differen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기틀부(200)는 드레인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욕실로부터 배수되는 욕실 바닥하수가 드레인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수 유입홀(211)이 마련된다. 이러한 상부기틀부(200)는 상부기틀(210)과 상부기틀 체결부(2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upper frame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drain body (100), and a sewage inflow hole (211) is provided so that bathroom floor sewage drained from the bathroom flows into the drain body (100). This upper frame part (200) includes an upper frame (210) and an upper frame fastening part (220).
상부기틀(210)은 욕실 바닥하수를 드레인 본체(100) 내로 유입시키도록 하수 유입홀(211)이 형성된다. 상부기틀(210)은 취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바닥하수 봉수트랩부(240)를 체결하는 바닥봉수 체결부(213)를 갖는다.The upper frame (210) is formed with a sewage inflow hole (211) to allow bathroom floor sewage to flow into the drain body (100). The upper frame (210) has a floor sewage sealing fastening part (213) for fastening a floor sewage sealing trap part (240) that prevents backflow of odor.
상부기틀(210)은 상부기틀 체결부(220)에 체결되며, 예를 들어 나사 결합 구조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외통(241)과 내통(242) 등으로 구성된 바닥하수 봉수트랩부(240)가 결합된다. The upper frame (210) is fastened to the upper frame fastening part (220), and can be fastened, for example, through a screw-joining structure, and a floor sewage trap part (240) composed of an outer tube (241) and an inner tube (242) is faste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부기틀(210)의 상측에 반려동물 배변판(400)이 안착되는 상태로 결합되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기틀(210)에는 반려동물 배변판(400)이 안착되도록 안착홈(215)이 형성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t litter plate (400)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210) and is joined, and as shown in FIG. 1, a mounting groove (215) is formed in the upper frame (210) so that the pet litter plate (400) is mounted.
상부기틀 체결부(220)는 드레인 본체(100)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드레인 본체와 결합된다.The upper frame fastening part (220) is connected to the drain body (100) by being inserted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drain body.
상부기틀 체결부(220)는 드레인 본체(100)의 상측에 삽입되고 상부기틀(210)에 체결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부기틀 결합부(221)를 갖는다.The upper frame fastening part (220) is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drain body (100) and has an upper frame joining part (221) that is fastened to the upper frame (210) to enable height adjustment.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려동물 배변판(400)은 상부기틀부(200)와의 결합시에 하수 유입홀(211)이 형성된 상부기틀부(200)의 상부면, 구체적으로 하수 유입홀(211)이 형성된 상부기틀(210)의 상부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된 부분이 형성되도록 상부기틀부(200)의 상부기틀(210)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된다.As shown in FIGS. 2 to 4, the pet litter box (400)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210) of the upper frame (200) so that, when combined with the upper frame (200), a portion is formed that is at least partially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200) where the sewage inflow hole (211) is formed,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210) where the sewage inflow hole (211) is formed.
또한, 반려동물 배변판(400)에는 상부기틀(210)의 하수 유입홀(211)과 연통 가능하도록 관통홀(4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애완견과 같은 반려동물이 반려동물 배변판(400) 위로 이동하여 배뇨, 배변활동을 할때 예를 들어 소변은 관통홀(411)과, 반려동물 배변판(400)과 상부기틀(210)의 상부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영역(일종의 배수홈)을 통해 하수 유입홀(211) 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411) is formed in the pet litter plate (400) so a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sewage inlet hole (211) of the upper frame (210). Therefore, when a pet, such as a dog, moves over the pet litter plate (400) to urinate or defecate, for example, urine can be guided toward the sewage inlet hole (211) through the through hole (411) and the spaced area (a type of drainage groove) between the pet litter plate (4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210).
사용자는 반려동물 배변판(400) 상의 반려동물 대변을 처리하고자, 상부기틀(210)로부터 반려동물 배변판(400)을 분리하여 대변을 별도로 처리한후 반려동물 배변판(400)을 세척후 상부기틀에 재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To dispose of pet feces on the pet litter box (400), the user can separate the pet litter box (400) from the upper frame (210), dispose of the feces separately, wash the pet litter box (400), and then reattach it to the upper frame for use.
반려동물 배변판(400)은 일정이상으로 접거나 펼침 가능하고, 표면 세척이 용이하며 방수 가능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반려동물 배변판(400)의 표면에 뭍은 반려동물의 대변, 소변을 쉽게 세척하여 청결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The pet litter box (400) can be folded or unfolded to a certain degree, is easy to clean on the surface, and is made of waterproof rubber or silicone.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wash off the pet's feces and urine on the surface of the pet litter box (400) to maintain a clean state.
또한, 도 1,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려동물 배변판(400)은 현재 욕실 바닥타일의 대략 수배 정도의 큰 단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반려동물 배변판(400)이 큰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반려동물은 반려동물 배변판 외측으로의 대/소변 누설없이 반려동물 배변판(400) 내에서 배변, 배뇨활동을 충분히 소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pet litter box (400) is formed to have a large cross-sectional area that is approximately several times larger than the current bathroom floor tiles, and by forming the pet litter box (400) to have a large size in this way, the pet can sufficiently defecate and urinate within the pet litter box (400) without leakage of urine/feces outside the pet litter box.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반려동물 배변판(400)은 (200mm * n), (200mm * m)의 가로, 세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n은 2 또는 3, m은 2 또는 3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t litter box (400) may have a width and height size of (200 mm * n) and (200 mm * m). Here, n may be 2 or 3, and m may be 2 or 3.
따라서, 일반적인 욕실 바닥타일의 가로, 세로 크기가 200mm*200mm이라고 가정할 경우 반려동물 배변판(400)은 일반적인 욕실 바닥타일의 대략 4 ~ 9배 정도의 가로, 세로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refore, assuming that the width and height of a typical bathroom floor tile is 200 mm x 200 mm, the pet litter box (400) can have a width and height size that is approximately 4 to 9 times that of a typical bathroom floor tile.
이외에, 반려동물 배변판(400)은 (300mm * r), (300mm * s)의 가로, 세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r은 2, s는 2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et litter box (400) may have a width and height size of (300 mm * r) and (300 mm * s). Here, r may be 2 and s may be 2.
따라서, 일반적인 욕실 바닥타일의 가로, 세로 크기가 300mm*300mm이라고 가정할 경우 반려동물 배변판(400)은 일반적인 욕실 바닥타일의 대략 4배 정도의 가로, 세로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refore, assuming that the width and height of a typical bathroom floor tile is 300 mm x 300 mm, the pet litter box (400) can have a width and height size that is approximately four times that of a typical bathroom floor tile.
물론,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기틀부(200)의 상측부, 즉 반려동물 배변판(400)이 안착되는 상부기틀(210) 또한 반려동물 배변판(400)이 전체적으로 안착 가능하도록 충분한 가로, 세로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Of course,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upper part of the upper frame (200), that is, the upper frame (210) on which the pet litter box (400) is mounted, is also made to have sufficient width and height so that the pet litter box (400) can be mounted as a whole.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려동물 배변판(400)은 배변판 본체(410)와 복수의 돌기(4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and FIG. 5, the pet litter plate (400) includes a litter plate body (410)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430).
배변판 본체(410)는 판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기틀(210)의 하수 유입홀(211)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홀(411)이 형성된다.The main body of the toilet plate (410) is formed in a plate-like shape, and a through hole (41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wage inflow hole (211) of the upper frame (210).
전술한 바와 같이, 반려동물 배변판(400), 구체적으로 배변판 본체(410)는 (200mm * n), (200mm * m)의 가로, 세로 크기를 갖거나, (300mm * r), (300mm * s)의 가로, 세로 크기를 가질 수 있는데, 상부기틀(210)의 안착홈(215)의 가로, 세로 크기는 배변판 본체보다 일정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et litter box (400), specifically the litter box body (410), may have a width and height size of (200 mm * n), (200 mm * m), or a width and height size of (300 mm * r), (300 mm * s),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and height size of the fixing groove (215) of the upper frame (210) be a certain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litter box body.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변판 본체(410)가 상부기틀(210)의 안착홈(215) 내에 안착된 상태에서, 배변판 본체(410)의 가장자리와 상부기틀(210)의 안착홈(215)을 형성하는 내벽 사이에는 일정이상의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3, when the defecation plate body (410) is seated within the seating groove (215) of the upper frame (210), a gap of a certain size or greater can be formed between the edge of the defecation plate body (410) and the inner wall forming the seating groove (215) of the upper frame (210).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려동물이 반려동물 배변판(400)에서 배뇨 활동을 진행하면, 소변과 욕실 바닥하수는 이러한 간극을 통해 안착홈(215) 내측으로 유입되며, 안착홈(215) 내로 유입된 소변은 후술하는 복수의 돌기(430)간 사이영역을 따라 하수 유입홀(211) 측으로 유동한 후 배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to 5, when a pet urinates on a pet litter plate (400), urine and bathroom floor drainage flows into the settling groove (215) through the gap, and urine flowing into the settling groove (215) flows toward the sewage inflow hole (211) along the area between a plurality of protrusions (430) described below and can then be discharged.
돌기(430)는 상부기틀부(200)의 상부면, 즉 상부기틀(210)의 안착홈(215)의 바닥면을 마주보는 배변판 본체(410)의 하부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돌출 형성된다.The protrusions (430) are formed in multiple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ower part of the toilet plate body (410)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ase part (200),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215) of the upper base (210).
도 3,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기틀(210)의 안착홈(215) 상부에 반려동물 배변판(400)이 안착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배변판 본체(410)의 가장자리는 안착홈(215)을 형성하는 내벽으로부터 일정이상의 간극이 형성되고, 돌기(430)의 하부면은 상부기틀부(200)의 상부면, 즉 안착홈(215)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 and FIG. 5, when the pet litter plate (400)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groove (215) of the upper frame (210), as described above, a gap of a certain size or greater is formed between the edge of the litter plate body (410) and the inner wall forming the fixing groove (215),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430) is made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part (200), i.e.,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215).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변판 본체(410)의 상부면은 관통홀(411)을 향해 하향되게 구배지도록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배변판 본체(410)의 상부면 상의 반려동물 소변은 배변판 본체(410)의 경사진 상부면을 따라 관통홀(411) 측으로 이동한 후, 낙하하여 하수 유입홀(211) 측으로 유동한다.As shown in FIG. 5,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tter plate body (410) is formed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through hole (411), and accordingly, pet uri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tter plate body (410) moves toward the through hole (411) along the inclined upper surface of the litter plate body (410) and then falls to flow toward the sewage inflow hole (211).
또한, 상부기틀부(200)에 반려동물 배변판(400)이 안착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복수의 돌기(430)간 사이영역은 하수 유입홀(211)과 관통홀(411)에 각각 연통되게 이루어진다.In addition, when the pet litter plate (400) is secured and connected to the upper base (200), the area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430) is connected to the sewage inflow hole (211) and the through hole (411), respectively.
따라서, 반려동물 배변판(400)과 안착홈(215)의 내벽 사이의 간극으로 유입된 반려동물 소변과 욕실 바닥하수는 복수의 돌기(430)간 사이영역을 따라 하수 유입홀(211)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한편, 상부기틀(210)의 안착홈(215)의 바닥면은 하수 유입홀(211)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복수의 돌기(430) 간 사이영역으로 유입된 소변은 하수 유입홀(211) 측으로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Accordingly, pet urine and bathroom floor sewage that flow into the gap between the pet litter plate (400) and the inner wall of the fixing groove (215) flow toward the sewage inflow hole (211) along the area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430). Meanwhile,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215) of the upper frame (210) is formed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sewage inflow hole (211), and thus, urine that flows into the area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430) can flow smoothly toward the sewage inflow hole (211).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돌기(430)간 사이 영역은, 반려동물 배변판(400)과 안착홈(215)의 내벽 사이의 간극으로 유입된 반려동물 소변이 상부기틀(210)이 하수 유입홀(211) 측으로 유동하도록 하기 위한 일종의 '배수홈'으로 기능할 수 있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430) can function as a kind of 'drainage groove' to allow pet urine flowing into the gap between the pet litter plate (400) and the inner wall of the fixing groove (215) to flow toward the sewage inflow hole (211) of the upper frame (210).
여기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430)는 각각 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기(430)간 사이영역은 각각 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돌기(430)간 사이영역으로 유입된 소변은 한층 신속하게 하수 유입홀(211) 측으로 유동할수 있으며, 사용자가 돌기(430) 부위를 세척솔 등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Here, as shown in Fig. 4, 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430)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In addition, each of the regions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430)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Accordingly, urine flowing into the region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430) can flow more quickly toward the sewage inflow hole (211),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wash the protrusion (430) area using a washing brush or the lik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변판 본체(410)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복수의 돌기(430)간 사이영역과 연통하도록 복수의 배수홀(413)이 이격되게 형성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6 to 8,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413)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rainage plate body (410) so as to penetr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of and communicate with the interspaces between a plurality of protrusions (430).
이 경우, 배변판 본체(410) 상부의 반려동물 소변은 복수의 배수홀(413)을 통해 낙하한 후 돌기(430)간 사이영역을 따라 하수 유입홀(211)로 유동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배변판 본체(410)의 상부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홀(411)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경사지지 않고 평평한 상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is case, pet urine on the upper part of the litter plate body (410) can fall through the multiple drainage holes (413) and then flow along the area between the protrusions (430) to the sewage inlet hole (211) and be discharged.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litter plate body (410) can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through hole (411) as described above, but can also be formed in a flat state without being inclined.
여기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변판 본체(410)의 상부면과 복수의 배수홀(413)의 연결부위에는 각각, 복수의 배수홀(413)의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경사면(415)이 형성될 수 있다.Here, as illustrated in Fig. 8, an inclined surface (415) may be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plate body (410) and the plurality of drain holes (413) so as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rain holes (413).
따라서, 배변판 본체(410) 상부의 반려동물 소변은 더욱 원활하게 배수홀(413) 내측으로 유동한 후 돌기(430)간 사이영역으로 낙하하여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pet urine on the upper part of the litter box body (410) can flow more smoothly into the drain hole (413) and then fall into the area between the protrusions (430) and be discharged.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ct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illustrated and described. Rath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numer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바닥콘크리트 슬라브 20: 기포 콘크리트층
1000: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 100: 드레인 본체
110: 하수 유입구 120: 하수 배출구
200: 상부기틀부 210: 상부기틀
211: 하수 유입홀 213: 바닥봉수 체결부
215: 안착홈 220: 상부기틀 체결부
221: 상부기틀 결합부 240: 바닥하수 봉수트랩부
400: 반려동물 배변판 410: 배변판 본체
411: 관통홀 413: 배수홀
415: 경사면 430: 돌기10: Floor concrete slab 20: Foamed concrete layer
1000: Bathroom Flow Drain 100: Drain Body
110: Sewer inlet 120: Sewer outlet
200: Upper frame 210: Upper frame
211: Sewage inlet hole 213: Floor sealing joint
215: Fixing groove 220: Upper frame fastening part
221: Upper frame joint 240: Floor drain trap
400: Pet litter box 410: litter box body
411: Through hole 413: Drain hole
415: slope 430: bump
Claims (9)
상기 바닥콘크리트 슬라브 상측에 마련되고, 측면에 하수 유입구와 하수 배출구가 이격되게 마련되는 드레인 본체;
상기 드레인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욕실 바닥하수가 상기 드레인 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수 유입홀이 마련되며, 그 상측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상부기틀부; 및
상기 상부기틀부의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태로 상기 상부기틀부와 결합되며, 상기 상부기틀부와의 결합시에 상기 하수 유입홀이 형성된 상기 상부기틀부의 상부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된 부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기틀부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며, 상기 하수 유입홀과 연통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반려동물 배변판을 포함하고,
상기 반려동물 배변판은,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는 배변판 본체; 및
상기 상부기틀부의 상부면을 마주보는 상기 배변판 본체의 하부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기틀부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기틀부에 상기 반려동물 배변판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돌기간 사이영역은 상기 하수 유입홀과 상기 관통홀에 각각 연통되게 이루어지며,
상기 배변판 본체가 상기 안착홈 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변판 본체의 가장자리와 상기 안착홈을 형성하는 내벽 사이에는 일정이상의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의 하부면은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에 접촉되고,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은 상기 하수 유입홀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배변판 본체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복수의 돌기간 사이영역과 연통하도록 복수의 배수홀이 이격 형성되며,
상기 반려동물 배변판과 상기 안착홈의 내벽 사이의 간극으로 유입된 반려동물 소변과 욕실 바닥하수는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과 상기 복수의 돌기간 사이영역을 따라 상기 하수 유입홀 측으로 유동하고,
상기 배변판 본체 상부의 반려동물 소변은 상기 복수의 배수홀을 통해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으로 낙하한 후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과 상기 복수의 돌기간 사이영역을 따라 상기 하수 유입홀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A bathroom flow drain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throom floor concrete slab to collect and discharge bathroom sewage.
A drain body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above floor concrete slab, with a sewage inlet and a sewage outlet spaced apart on the side;
An upper base part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drain body and has a sewage inflow hole provided so that bathroom floor sewage flows into the drain body, and a fix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part thereof; and
It includes a pet litter box that is joined to the upper frame part in a state where it is seated in the seat groove of the upper frame part, and is detachably seated on the upper frame part so that a portion is formed that is at least partially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part where the sewage inlet hole is formed when combined with the upper frame part, and has a through hole formed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sewage inlet hole.
The above pet litter box is,
The main body of the defecation plate in which the above through hole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ower part of the above-mentioned toilet plate body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upper frame part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upper frame part,
In a state where the pet litter plate is attached to the upper frame, the regions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wage inflow hole and the through hole.
When the above-mentioned toilet plate body is seated within the above-mentioned fixing groove, a gap of a certain size or greater is formed between the edge of the above-mentioned toilet plate body and the inner wall forming the above-mentioned fixing groove, and the low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fixing gro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settling groove is formed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sewage inflow hole,
In the above-mentioned drain plate body, a plurality of drain holes are formed spaced apart so as to penetr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communicate with the regions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Pet urine and bathroom floor sewage that flows into the gap between the pet litter plate and the inner wall of the mounting groove flows toward the sewage inflow hole along the area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 bathroom flow drain characterized in that pet urine on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plate body falls through the plurality of drainage hole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and then flows along the area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to the sewage inlet hole.
상기 배변판 본체의 상부면은 상기 관통홀을 향해 하향되게 구배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In the first paragraph,
A bathroom flow dr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toilet plate body is formed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above-mentioned through hole.
상기 복수의 돌기 또는 상기 복수의 돌기간 사이영역은 각각 직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In the first paragraph,
A bathroom flow drain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or the areas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상기 배변판 본체의 상부면과 상기 복수의 배수홀의 연결부위에는 각각, 상기 복수의 배수홀의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In the first paragraph,
A bathroom flow drain characterized in that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toilet plate body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above-mentioned plurality of drain holes so as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above-mentioned plurality of drain holes.
상기 반려동물 배변판은 일정이상으로 접거나 펼침 가능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In the first paragraph,
A bathroom flow dr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pet litter box is made of rubber or silicone material that can be folded or unfolded to a certain extent.
상기 반려동물 배변판은 (200mm * n), (200mm * m)의 가로, 세로 크기를 갖거나, (300mm * r), (300mm * s)의 가로, 세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상부기틀부의 상측부는 상기 반려동물 배변판이 전체적으로 안착 가능한 가로, 세로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플로우 드레인.
(여기서, 상기 n은 2 또는 3, 상기 m은 2 또는 3, 상기 r과 s는 2)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pet litter plate has a horizontal and vertical size of (200 mm * n), (200 mm * m), or a horizontal and vertical size of (300 mm * r), (300 mm * s), and the upper part of the upper frame is formed to have a horizontal and vertical size in which the pet litter plate can be completely seated. A bathroom flow drain.
(Here, n is 2 or 3, m is 2 or 3, and r and s are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15502A KR102719652B1 (en) | 2024-02-01 | 2024-02-01 | flow drain for bathroo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15502A KR102719652B1 (en) | 2024-02-01 | 2024-02-01 | flow drain for bathroo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19652B1 true KR102719652B1 (en) | 2024-10-18 |
Family
ID=9329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15502A Active KR102719652B1 (en) | 2024-02-01 | 2024-02-01 | flow drain for bathroo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19652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96582A (en) * | 2009-02-24 | 2010-09-02 | 주식회사 청완 | Drainage device on floor having |
KR20170006867A (en) * | 2015-07-10 | 2017-01-18 | 송태광 | Floor drains |
KR20220057289A (en) * | 2020-10-29 | 2022-05-09 | 지태하 | Pet toilet |
KR20220131044A (en) * | 2021-03-19 | 2022-09-27 | 송현식 | Drainage plate |
KR20220140057A (en) | 2021-04-08 | 2022-10-18 | 주식회사 프로젝트챌린지 | Pet Defecation Pad and Pet Defecation Pad System comprising thereof |
-
2024
- 2024-02-01 KR KR1020240015502A patent/KR10271965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96582A (en) * | 2009-02-24 | 2010-09-02 | 주식회사 청완 | Drainage device on floor having |
KR20170006867A (en) * | 2015-07-10 | 2017-01-18 | 송태광 | Floor drains |
KR20220057289A (en) * | 2020-10-29 | 2022-05-09 | 지태하 | Pet toilet |
KR20220131044A (en) * | 2021-03-19 | 2022-09-27 | 송현식 | Drainage plate |
KR20220140057A (en) | 2021-04-08 | 2022-10-18 | 주식회사 프로젝트챌린지 | Pet Defecation Pad and Pet Defecation Pad System comprising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07737C2 (en) | Floor element of stall | |
EP1577452B2 (en) | Drainage channel | |
US20070068461A1 (en) | Toileting Device for a Domestic Animal | |
KR101954771B1 (en) | Defecation plate assembly | |
US6615765B1 (en) | Pet toilet | |
EP1010365B1 (en) | Sanitary device for the deposition of domestic animals excrements | |
US11272683B2 (en) | Arrangement for a puppy lavatory with discharge connected to the drain | |
JP5185067B2 (en) | Flush toilet | |
KR20190060730A (en) | Poop disposal apparatus for pets | |
KR102251074B1 (en) | Apparatus for washing toilet or toilet having the same | |
KR102719652B1 (en) | flow drain for bathroom | |
JP2010101117A5 (en) | ||
WO2007004863A1 (en) | Floor drain with removable stench-trap | |
US6085361A (en) | Sanitary toilet base band | |
JPH0423983Y2 (en) | ||
KR20210031342A (en) | Enclosed toilet for pet with portability | |
CA2219425A1 (en) | Floor protection and cleaning in male toilets | |
JPH04119880U (en) | Urine splash prevention device for urinals | |
KR101918037B1 (en) | Water-saving and sanitary drainage trenches for urinals | |
KR200371785Y1 (en) | pat toilet | |
KR102746837B1 (en) | pet defecation plate | |
KR101650682B1 (en) | The hygiene toilet that do not use water | |
JP2007222386A (en) | Step for urinal | |
JP2004313114A (en) | Toilet for pet utilizing artificial turf | |
KR102774022B1 (en) | Dog litter box assembly including marking rod for convenience of location chan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2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3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15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