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9651B1 -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9651B1
KR102719651B1 KR1020230009830A KR20230009830A KR102719651B1 KR 102719651 B1 KR102719651 B1 KR 102719651B1 KR 1020230009830 A KR1020230009830 A KR 1020230009830A KR 20230009830 A KR20230009830 A KR 20230009830A KR 102719651 B1 KR102719651 B1 KR 102719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support
riding
parts
right safety
p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9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117709A (ko
Inventor
이금주
정필동
Original Assignee
강릉영동대학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대원포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영동대학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대원포티스 filed Critical 강릉영동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009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9651B1/ko
Publication of KR20240117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17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9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96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09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2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reinforcing fibres, e.g. carbon, polyamide fib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는,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동기기와 복수개의 기계적 관절을 구비하여, 상하, 좌우 및 전후의 승마 패턴을 기계적 운동으로 발생시키는 구동부에 의해 승마운동을 구현시키며, 기승자가 앉는 안장부가 구비된 몸체부(20); 상기 베이스부(10)의 좌우 양측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양측 전후방 고정부(31,32); 하부부위가 상기 양측 전후방 고정부(31,32)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부(20)의 양측면에 직립설치되는 한쌍의 좌우측 안전 지지부(40);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 중간부위를 서로 연결하는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 일측단부가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의 전방인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부위에 각각 고정되며, 타측단부가 상기 안장부에 탑승된 기승자가 착용한 승마복의 전방 상부 좌우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전방 안전띠(60); 일측단부가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의 후방인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부위에 각각 고정되며, 타측단부가 상기 안장부에 탑승된 기승자가 착용한 승마복의 후방 상부 좌우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후방 안전띠(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Posture Retention Apparatus for Riding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스스로 자세 유지가 불가능한 장애인 등을 승마 운동의 재활운동이 가능하도록 승마 운동기에서 승마자세를 유지하여 안전하게 승마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마 운동기는 종래 특정계층에 국한되어 특정한 장소에서만 즐길 수 있었던 승마를 누구나 쉽게 이용하면서 승마운동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운동기구이다.
이러한 승마운동기는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 및 요동치는 몸체에 이용자가 올라타 전후, 상하 및 좌우로 요동하는 운동기구의 메커니즘을 통해 몸의 균형과 신체감각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승마운동기는 단순히 승강 및 요동 운동을 통해 이용자에게 말을 탄 느낌을 전달하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는바, 실제 승마운동기에 올라탄 이용자, 즉 기승자의 균형에 대한 고려는 미흡한 점이 많으며, 특히 장애인 등 혼자 스스로 체간의 균형을 잡지 못하는 사용자의 경우 잘못된 자세로 승마 운동기를 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승마운동기를 탑승한 기승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안전벨트를 이용한 승마운동기가 개발된 바 있으며, 이는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2684호(고안의 명칭: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가 개시된 바 있고, 이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상기 승마형 운동기구는 몸체(30)에 설치된 안전벨트(34)에 의해 착석부(36)에 착석한 기승자가 낙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안전벨트(34)에 의한 안전장치는 스스로 탑승 및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일반인에게 사용하여 낙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뇌성 마비나 발달 장애를 가진 중증 장애인나 재활운동을 필요로 하는 환자 등 스스로 승마 자세를 유지하기가 어려운 기승자의 재활 승마시에는 안전장치로의 기능을 수행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스스로 승마 자세를 유지하기가 어려운 기승자의 재활 승마시 안전장치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스로 승마 자세를 유지하기가 어려운 기승자의 재활 승마시 안전장치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는,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동기기와 복수개의 기계적 관절을 구비하여, 상하, 좌우 및 전후의 승마 패턴을 기계적 운동으로 발생시키는 구동부에 의해 승마운동을 구현시키며, 기승자가 앉는 안장부가 구비된 몸체부(20); 상기 베이스부(10)의 좌우 양측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양측 전후방 고정부(31,32); 하부부위가 상기 양측 전후방 고정부(31,32)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부(20)의 양측면에 직립설치되는 한쌍의 좌우측 안전 지지부(40);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 중간부위를 서로 연결하는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 일측단부가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의 전방인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부위에 각각 고정되며, 타측단부가 상기 안장부에 탑승된 기승자가 착용한 승마복의 전방 상부 좌우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전방 안전띠(60); 일측단부가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의 후방인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부위에 각각 고정되며, 타측단부가 상기 안장부에 탑승된 기승자가 착용한 승마복의 후방 상부 좌우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후방 안전띠(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 전방부위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의 전방에 위치하는 좌우측 안전 지지부 전방연결부(80);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 후방부위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의 후방에 위치하는 좌우측 안전 지지부 후방연결부(90);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의 전방인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전방 풀리부(100);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의 후방인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후방 풀리부(110);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전방연결부(8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쌍의 전방고리부(120);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후방연결부(9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쌍의 후방고리부(1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한쌍의 전방 안전띠(60)는, 일측단부가 상기 전방고리부(120)에 각각 고정되며, 중간부위가 상기 전방 풀리부(100)에 각각 감기고, 타측단부가 상기 안장부에 탑승된 기승자가 착용한 승마복의 전방 상부 좌우양측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한쌍의 후방 안전띠(70)는, 일측단부가 상기 후방고리부(130)에 각각 고정되며, 중간부위가 상기 후방 풀리부(110)에 각각 감기고, 타측단부가 상기 안장부에 탑승된 기승자가 착용한 승마복의 후방 상부 좌우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인 형상이 "
Figure 112023009197779-pat00001
"자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는, 후부 하단이 양측 후방 고정부(32)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되는 후방결합부(41)와, 전부 하단이 양측 전방 고정부(31)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되는 전방결합부(42)와, 상기 후방결합부(41)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10)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후방 외측연장부(43)와, 상기 전방결합부(42)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10)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전방 외측연장부(44)와, 상기 후방 외측연장부(43)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부로 직립되되, 상기 몸체부(20)의 상기 안장부로부터 상기 안장부에 앉은 기승자의 머리보다 높게 직립되는 후방입설부(45)와, 상기 전방 외측연장부(44)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부로 직립되되, 상기 몸체부(20)의 상기 안장부로부터 상기 안장부에 앉은 기승자의 머리보다 높게 직립되는 전방입설부(46)와, 상기 후방입설부(45)와 상기 전방입설부(46)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입설부 연결부(4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한쌍의 전방 안전띠(60) 및 상기 한쌍의 후방 안전띠(70)는, 상기 몸체부(20)의 승마운동에 따른 상기 기승자의 승마자세가 유지시 완충될 수 있도록, 일정한 탄성으로 신축가능한 재료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쌍의 전방 안전띠(60) 및 상기 한쌍의 후방 안전띠(70)는, 상기 몸체부(20)의 승마운동에 따른 상기 기승자의 승마자세가 유지시 완충될 수 있도록, 일측단부에 인장스프링(61,71)으로 탄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전방입설부(46)가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상기 전방 외측연장부(44)의 외측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방입설부(46)의 하부와 연결되는 전방입설부 이격연장부(48)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방입설부 이격연장부(48)와 상기 전방입설부(46)의 하부부위를 보강하는 전방보강부(49a)가 더 구비되고, 상기 후방입설부(45)의 하부부위를 보강하는 후방보강부(49b)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는, 일반인 뿐만 아니라, 뇌성 마비나 발달 장애를 가진 중증 장애인이나 재활 운동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 등 스스로 승마 자세를 유지하기가 어려운 기승자의 재활 승마시에 안전장치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벨트를 이용한 승마운동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는, 베이스부(10); 몸체부(20); 양측 전후방 고정부(31,32); 좌우측 안전 지지부(40);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 전방 안전띠(60); 후방 안전띠(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10)는, 바닥에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에는 승마운동을 구현시키는 몸체부(20)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동기기와 복수개의 기계적 관절을 구비하여, 상하, 좌우 및 전후의 승마 패턴을 기계적 운동으로 발생시키는 구동부에 의해 승마운동을 구현시키며, 기승자가 앉는 안장부가 구비된다.
상기 양측 전후방 고정부(31,32)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좌우 양측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양측 전후방 고정부(31,32)에는,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하부부위가 고정된다. 상기 양측 전후방 고정부(31,32)는 상기 베이스부(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측 전후방 고정부(31,32)는 상기 베이스부(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은 기승자 몸크기에 맞게 본 발명의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는, 하부부위가 상기 양측 전후방 고정부(31,32)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부(20)의 양측면에 직립설치되어 상기 몸체부(20)의 좌우 양측을 지지하여 기승자가 낙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는,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 중간부위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는 다수개로 되어도 무방하며, 도면에서는 3개로 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전방 안전띠(60)는, 일측단부가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의 전방인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부위에 각각 고정되며, 타측단부가 상기 안장부에 탑승된 기승자가 착용한 승마복의 전방 상부 좌우양측에 각각 고정되며,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 안전띠(70)는, 일측단부가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의 후방인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부위에 각각 고정되며, 타측단부가 상기 안장부에 탑승된 기승자가 착용한 승마복의 후방 상부 좌우양측에 각각 고정되며,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전방 안전띠(60)와 후방 안전띠에 의해 기승자가 착용한 승마복의 전방 좌우 및 후방 좌우를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몸체부(20)가 승마운동시에 기승자가 승마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낙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승자의 승마복 전후 양쪽 상부를 상부에서 하부로 설치되는 안전띠에 의해 기승자의 승마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게 되므로, 뇌성 마비나 발달 장애를 가진 중증 장애인나 재활 운동을 필요로 하는 환자 등 스스로 승마 자세를 유지하기가 어려운 기승자의 재활 승마시에 안전장치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방 안전띠(60)와 후방 안전띠(70)를 상부에서 하부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좌우측 안전 지지부 전방연결부(80), 좌우측 안전 지지부 후방연결부(90), 전방 풀리부(100), 후방 풀리부(110), 전방고리부(120) 및 후방고리부(13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전방연결부(80)는,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 전방부위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의 전방에 위치한다.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후방연결부(90)는,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 후방부위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의 후방에 위치한다.
상기 전방 풀리부(100)는,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의 전방인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 풀리부(110)는,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의 후방인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고리부(120)는,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전방연결부(8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고리부(130)는,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후방연결부(9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상기 전방 안전띠(60)를 설치할 때, 일측단부가 상기 전방고리부(120)에 각각 고정되도록 하고, 중간부위가 상기 전방 풀리부(100)에 각각 감기도록 하며, 타측단부가 상기 안장부에 탑승된 기승자가 착용한 승마복의 전방 상부 좌우양측에 각각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후방 안전띠(70)를 설치할 때에는, 일측단부가 상기 후방고리부(130)에 각각 고정되도록 하고, 중간부위가 상기 후방 풀리부(110)에 각각 감기도록 하며, 타측단부가 상기 안장부에 탑승된 기승자가 착용한 승마복의 후방 상부 좌우양측에 각각 고정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인 형상이 "
Figure 112023009197779-pat00002
"자형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는, 후방결합부(41)와, 전방결합부(42)와, 후방 외측연장부(43)와, 전방 외측연장부(44)와, 후방입설부(45)와, 전방입설부(46)와, 입설부 연결부(47)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결합부(41)는, 후부 하단이 양측 후방 고정부(32)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전방결합부(42)는, 전부 하단이 양측 전방 고정부(31)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후방 외측연장부(43)는, 상기 후방결합부(41)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10)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전방 외측연장부(44)는, 상기 전방결합부(42)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10)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후방입설부(45)는, 상기 후방 외측연장부(43)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부로 직립되되, 상기 몸체부(20)의 상기 안장부로부터 상기 안장부에 앉은 기승자의 머리보다 높게 직립된다.
상기 전방입설부(46)는, 상기 전방 외측연장부(44)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부로 직립되되, 상기 몸체부(20)의 상기 안장부로부터 상기 안장부에 앉은 기승자의 머리보다 높게 직립된다.
상기 입설부 연결부(47)는, 상기 후방입설부(45)와 상기 전방입설부(46)의 상단을 서로 연결한다.
아울러, 상기 한쌍의 전방 안전띠(60) 및 상기 한쌍의 후방 안전띠(70)는, 상기 몸체부(20)의 승마운동에 따른 상기 기승자의 승마자세가 유지시 완충될 수 있도록, 일정한 탄성으로 신축가능한 재료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한쌍의 전방 안전띠(60) 및 상기 한쌍의 후방 안전띠(70)가 일정한 탄성으로 신축가능한 재료가 되게 되면, 뇌성 마비나 발달 장애를 가진 중증 장애인나 재활 운동을 필요로 하는 환자 등 스스로 승마 자세를 유지하기가 어려운 기승자의 재활 승마시에 안전장치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한쌍의 전방 안전띠(60) 및 상기 한쌍의 후방 안전띠(70)는 기승자 체중의 1/4 내지 1/2의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전방 안전띠(60) 및 상기 한쌍의 후방 안전띠(70)의 탄성력이 기승자 체중의 1/4 미만이 되게 되면, 상기 몸체부(20)의 승마운동시 상기 한쌍의 전방 안전띠(60) 및 상기 한쌍의 후방 안전띠(70)의 탄성력이 너무 적어, 뇌성 마비나 발달 장애를 가진 중증 장애인나 재활운동을 필요로 하는 환자 등 스스로 승마 자세를 유지하기가 어려운 기승자의 재활 승마시에는 기승자의 승마자세 유지가 어렵게 되며 낙마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한쌍의 전방 안전띠(60) 및 상기 한쌍의 후방 안전띠(70)의 탄성력이 기승자 체중의 1/2을 초과하게 되면, 낙마방지에는 유리하나, 상기 몸체부(20)의 승마운동시에 기승자를 너무 큰 탄성력으로 붙들게 되므로, 승마운동효가가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한쌍의 전방 안전띠(60) 및 상기 한쌍의 후방 안전띠(70)는, 상기 몸체부(20)의 승마운동에 따른 상기 기승자의 승마자세가 유지시 완충될 수 있도록, 일측단부에 인장스프링(61,71)으로 탄지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승자는 안장부에 올라탔을 때, 기승자의 상체가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보다 전방으로 숙여지는 것이 많으므로,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는 기승자의 앞쪽인 전방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방입설부(46)가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상기 전방 외측연장부(44)의 외측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방입설부(46)의 하부와 연결되는 전방입설부 이격연장부(48)가 더 구비되어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는 기승자의 앞쪽인 전방이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는 하부에 힘이 많이 가해지므로, 하부의 강도를 보강하여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전방보강부(49a)와 후방보강부(49b)를 채택한다.
상기 전방보강부(49a)는 상기 전방입설부 이격연장부(48)와 상기 전방입설부(46)의 하부부위를 보강하며, 후방보강부(49b)는 상기 후방입설부(45)의 하부부위를 보강한다.
상기 전방보강부(49a)는 상기 전방입설부 이격연장부(48) 및 상기 전방입설부(46)의 하부부위와 평행하게 이격되는 전방 평행보강봉과, 상기 전방 평행보강봉과 상기 전방입설부 이격연장부(48) 및 상기 전방입설부(46)의 하부부위를 사각형태로 연결하는 다수의 전방 평행보강봉 연결부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후방보강부(49b)는 상기 후방입설부(45)의 하부부위와 평행하게 이격되는 후방 평행보강봉과, 상기 후방 평행보강봉과 상기 후방입설부(45)의 하부부위를 사각형태로 연결하는 다수의 후방 평행보강봉 연결부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 베이스부
20 : 몸체부
31,32 : 양측 전후방 고정부
40 : 좌우측 안전 지지부
41 : 후방결합부
42 : 전방결합부
43 : 후방 외측연장부
44 : 전방 외측연장부
45 : 후방입설부
46 : 전방입설부
47 : 입설부 연결부
48 : 전방입설부 이격연장부
49a : 전방보강부
49b : 후방보강부
50 :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
60 : 전방 안전띠
61,71 : 인장스프링
70 : 후방 안전띠
80 : 좌우측 안전 지지부 전방연결부
90 : 좌우측 안전 지지부 후방연결부
100 : 전방 풀리부
110 : 후방 풀리부
120 : 전방고리부
130 : 후방고리부

Claims (8)

  1.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동기기와 복수개의 기계적 관절을 구비하여, 상하, 좌우 및 전후의 승마 패턴을 기계적 운동으로 발생시키는 구동부에 의해 승마운동을 구현시키며, 기승자가 앉는 안장부가 구비된 몸체부(20);
    상기 베이스부(10)의 좌우 양측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양측 전후방 고정부(31,32);
    하부부위가 상기 양측 전후방 고정부(31,32)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부(20)의 양측면에 직립설치되는 한쌍의 좌우측 안전 지지부(40);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 중간부위를 서로 연결하는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
    일측단부가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의 전방인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부위에 각각 고정되며, 타측단부가 상기 안장부에 탑승된 기승자가 착용한 승마복의 전방 상부 좌우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전방 안전띠(60);
    일측단부가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의 후방인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부위에 각각 고정되며, 타측단부가 상기 안장부에 탑승된 기승자가 착용한 승마복의 후방 상부 좌우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후방 안전띠(70);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 전방부위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의 전방에 위치하는 좌우측 안전 지지부 전방연결부(80);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 후방부위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의 후방에 위치하는 좌우측 안전 지지부 후방연결부(90);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의 전방인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전방 풀리부(100);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중간연결부(50)의 후방인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후방 풀리부(110);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전방연결부(8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쌍의 전방고리부(120);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 후방연결부(9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쌍의 후방고리부(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전방 안전띠(60)는, 일측단부가 상기 전방고리부(120)에 각각 고정되며, 중간부위가 상기 전방 풀리부(100)에 각각 감기고, 타측단부가 상기 안장부에 탑승된 기승자가 착용한 승마복의 전방 상부 좌우양측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한쌍의 후방 안전띠(70)는, 일측단부가 상기 후방고리부(130)에 각각 고정되며, 중간부위가 상기 후방 풀리부(110)에 각각 감기고, 타측단부가 상기 안장부에 탑승된 기승자가 착용한 승마복의 후방 상부 좌우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인 형상이 "
    Figure 112023009197779-pat00003
    "자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안전 지지부(40)는,
    후부 하단이 양측 후방 고정부(32)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되는 후방결합부(41)와,
    전부 하단이 양측 전방 고정부(31)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되는 전방결합부(42)와,
    상기 후방결합부(41)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10)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후방 외측연장부(43)와,
    상기 전방결합부(42)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10)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전방 외측연장부(44)와,
    상기 후방 외측연장부(43)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부로 직립되되, 상기 몸체부(20)의 상기 안장부로부터 상기 안장부에 앉은 기승자의 머리보다 높게 직립되는 후방입설부(45)와,
    상기 전방 외측연장부(44)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부로 직립되되, 상기 몸체부(20)의 상기 안장부로부터 상기 안장부에 앉은 기승자의 머리보다 높게 직립되는 전방입설부(46)와,
    상기 후방입설부(45)와 상기 전방입설부(46)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입설부 연결부(4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전방 안전띠(60) 및 상기 한쌍의 후방 안전띠(70)는, 상기 몸체부(20)의 승마운동에 따른 상기 기승자의 승마자세가 유지시 완충될 수 있도록, 일정한 탄성으로 신축가능한 재료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전방 안전띠(60) 및 상기 한쌍의 후방 안전띠(70)는, 상기 몸체부(20)의 승마운동에 따른 상기 기승자의 승마자세가 유지시 완충될 수 있도록, 일측단부에 인장스프링(61,71)으로 탄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입설부(46)가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상기 전방 외측연장부(44)의 외측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방입설부(46)의 하부와 연결되는 전방입설부 이격연장부(48)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입설부 이격연장부(48)와 상기 전방입설부(46)의 하부부위를 보강하는 전방보강부(49a)가 더 구비되고,
    상기 후방입설부(45)의 하부부위를 보강하는 후방보강부(49b)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
KR1020230009830A 2023-01-26 2023-01-26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 Active KR102719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830A KR102719651B1 (ko) 2023-01-26 2023-01-26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830A KR102719651B1 (ko) 2023-01-26 2023-01-26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17709A KR20240117709A (ko) 2024-08-02
KR102719651B1 true KR102719651B1 (ko) 2024-10-18

Family

ID=92418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830A Active KR102719651B1 (ko) 2023-01-26 2023-01-26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96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72266A1 (en) * 2015-09-11 2017-03-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alance training device and balance training method
KR101786367B1 (ko) * 2016-07-19 2017-11-1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승마형 운동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72266A1 (en) * 2015-09-11 2017-03-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alance training device and balance training method
KR101786367B1 (ko) * 2016-07-19 2017-11-1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승마형 운동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17709A (ko) 2024-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9919B2 (en) Leg exerciser
US5328410A (en) Toy riding apparatus
US5306218A (en) Rowing exerciser
US5158518A (en) Exercise machine for lower extremeties
KR102169489B1 (ko) 자전거 운동기구
CN110947155A (zh) 普拉提器械
US4377281A (en) Pivoted weight supported frame exercise device
JP3853353B1 (ja) トレーニング椅子
KR102719651B1 (ko) 승마 운동기용 자세 유지장치
JP6851732B2 (ja) 歩行補助装置
FI97525C (sv) Anordning för gymnastik av rygg- och magmuskulaturen
CN2910284Y (zh) 仰卧起坐机
JP2008079722A (ja) 歩行訓練器具
SE453585B (sv) Kudde for fordonssete, speciellt for personer med mindre kroppsvikt, sasom barn
KR20210131123A (ko) 뱃살 운동기구
KR102700344B1 (ko) 안마의자의 사용자 맞춤형 안마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안마의자
US5529561A (en) Leg press
JP2022119022A (ja) 運動補助器具
KR101427046B1 (ko) 승마 운동 기구
KR101887967B1 (ko) 체형 교정장치
CN218607913U (zh) 辅助蹲起康复锻炼机
TWI880704B (zh) 深蹲復健裝置
GB2093779A (en) Cycle saddles
KR102714458B1 (ko) 재활 운동용 좌우 가변 회전 페달형 운동기구
JP2008113968A (ja) 健康運動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1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