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8511B1 - Pad liner for brak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ad liner for brak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8511B1
KR102718511B1 KR1020190086812A KR20190086812A KR102718511B1 KR 102718511 B1 KR102718511 B1 KR 102718511B1 KR 1020190086812 A KR1020190086812 A KR 1020190086812A KR 20190086812 A KR20190086812 A KR 20190086812A KR 102718511 B1 KR102718511 B1 KR 102718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eturn
main body
pad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8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9789A (en
Inventor
장홍석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6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8511B1/en
Publication of KR20210009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7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8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851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3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 F16D65/0974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acting on or in the vicinity of the pad rim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brake disc axis
    • F16D65/0977Springs made from sheet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4Attachment of linings
    • F16D2069/0425Attachment method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는: 토크멤버와 접촉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와 연결되며, 토크멤버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부와; 삽입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브레이크 패드가 접촉되며, 브레이크 패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와; 제1가이드부에서 삽입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되고, 브레이크 패드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본체부에서 삽입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연장형성되고, 회전되면서 탄성변형되며, 탄성력으로 브레이크 패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부와; 삽입부에서 리턴부 측으로 돌출되고, 리턴부의 회전경로 상에 위치되며, 리턴부의 소성변형을 방지하는 소성변형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invention is disclosed for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The disclosed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ain body par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a torque member; an insertion part that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and into which a part of the torque member is inserted; a first guide part that extends to one side from the insertion part, comes into contact with a brake pad, and guides movement of the brake pad; a support part that extends from the first guide part to be ben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sertion part and supports the brake pad; a return part that is formed to be extended from the main body part to be inclined toward the insertion part,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rotated, and returns the brake pa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elastic force; and a plastic deformation prevention part that protrudes from the insertion part toward the return part, is located on a rotational path of the return part, and prevents plastic deformation of the return part.

Description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PAD LINER FOR BRAKING APPARATUS}PAD LINER FOR BRAKING APPARATUS

본 발명은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성변형이 방지되는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which prevents plastic deformation.

일반적으로,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 장치의 캘리퍼(CALIPER)는 페달 가압시 브레이크 디스크와 밀착되어 제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In general, the caliper of a brake device for braking is made up of multiple parts that come into contact with the brake disc when the pedal is pressed to provide braking power.

브레이크 캘리퍼 중에서 패드 라이너에는 탄성력으로 브레이크 패드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리턴부가 구비된다. 그러나, 패드 라이너의 리턴부는 운송되거나 조립되는 과정에서 소성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Among brake calipers, pad liners are provided with a return section that returns the brake pa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elastic force. However, the return section of the pad liner has a problem of plastic deformation during transportation or assembl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8600호(2016.06.01. 등록, 발명의 명칭 : 드래그가 축소되는 브레이크 캘리퍼용 패드 라이너)에 게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blish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28600 (registered on June 1, 2016, title of the invention: Pad liner for brake caliper with reduced dra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소성변형이 방지되는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response to the above-mentioned need,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that prevents plastic deforma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는: 토크멤버와 접촉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토크멤버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브레이크 패드가 접촉되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 상기 제1가이드부에서 상기 삽입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삽입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연장형성되고, 회전되면서 탄성변형되며, 탄성력으로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부; 및 상기 삽입부에서 상기 리턴부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리턴부의 회전경로 상에 위치되며, 상기 리턴부와 접촉되어 상기 리턴부의 소성변형을 방지하는 소성변형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ain body par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a torque member; an insertion part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and into which a part of the torque member is inserted; a first guide part that extends to one side from the insertion part, comes into contact with a brake pad, and guides movement of the brake pad; a support part that extends from the first guide part to be ben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sertion part and supports the brake pad; a return part that is formed to be extended from the main body part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part, is elastically deformed while rotating, and returns the brake pa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elastic force; and a plastic deformation prevention part that protrudes from the insertion part toward the return part, is located on a rotational path of the return par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turn part, and prevents plastic deformation of the return part.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토크멤버와 접촉되는 본체판; 및 상기 본체판에서 한 쌍이 이격되어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는 본체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par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ain body plat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orque member; and a main body extension part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plate and extends to one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insertion part.

또한, 상기 리턴부는 한 쌍으로 상기 본체판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삽입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tur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main body plate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또한, 상기 리턴부는, 상기 본체판에서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본체판의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리턴판부; 및 상기 리턴판부에서 상기 삽입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리턴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eturn por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return plate portion that is formed to extend forward of the main body plat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return inclined portion that extends inclinedly from the return plate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본체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본체연장부의 전방으로 구부러지게 연장되는 제1삽입판부; 상기 제1삽입판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가이드부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측부의 반대측에 상기 소성변형방지부가 상기 리턴부 측으로 돌출되는 제2삽입판부; 및 상기 제2삽입판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삽입판부의 후방으로 구부러지게 연장되어 상기 제1삽입판부와 마주보며, 상기 제1가이드부와 연결되는 제3삽입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sertion par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irst insertion plate part that extends from an end of the main body extension part to be bent forward of the main body extension part; a second insertion plate part that extends from an end of the first insertion plate part to b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part and has the plastic deformation prevention part protruding toward the return par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acing side; and a third insertion plate part that extends from an end of the second insertion plate part to be bent rearward of the second insertion plate part, faces the first insertion plate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art.

또한,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3삽입판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제1가이드판부; 및 상기 제1가이드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판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이탈을 제한하는 제1가이드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guide por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irst guide plate portion extending to one side from the third insertion plate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a first guide stopper portion formed on the first guide plate portion and protruding forward of the first guide plate portion to limit detachment of the brake pad.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가이드판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가이드판부의 전방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는 지지판부; 및 상기 지지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크멤버에 밀착되는 압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upport member that extends from an end of the first guide plate member to be bent forward of the first guide plate member; and a compression member that is formed on the support member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rque member.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가이드판부의 마주보는 측부의 반대측면에서 상기 제1가이드판부의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제1삽입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irst insertion guide member that extends downwardly from an opposite side of the facing side of the first guide plate member to the first guide plate member.

또한, 상기 지지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가 접촉되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second guide portion extending to one side from the support portion, contacting the brake pad, and guiding movement of the brake pad.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지지판부의 단부에서 상기 지지판부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가이드판부; 및 상기 제2가이드판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가이드판부의 전방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는 제2가이드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guide por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econd guide plate portion that extends downward from an end of the support plate portion; and a second guide extension portion that extends from an end of the second guide plate portion to be bent forward of the second guide plate portion.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가이드판부의 마주보는 측부의 반대측면에서 상기 제2가이드판부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삽입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guide portion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second insertion guide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rear of the second guide plate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acing side of the second guide plate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는 리턴부의 회전경로 상에 위치되며, 리턴부와 접촉되어 리턴부의 소성변형을 방지하는 소성변형방지부를 통해 리턴부가 소성변형되어 리턴력이 증대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시 브레이크 페달에 작용하는 힘이 증대되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on the rotational path of the return portion, and has a plastic deformation prevention portion that contacts the return portion and prevents plastic deformation of the return portion, thereby increasing the return force by causing the return portion to be plastically deformed, thereby preventing the force applied to the brake pedal from increasing and the performance from being deteriorated when the brake pedal is operated.

또한, 본 발명은 리턴부가 한 쌍으로 본체부의 본체판에서 서로 이격되어 삽입부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리턴부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이 브레이크 디스크와 동일선 상에 위치될 수 있어, 700도 이상까지 온도가 올라가는 브레이크 디스크에 의해 리턴부가 열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eturn por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main body plate of the main body and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as a pair,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return portions can b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brake disc, thereby having the effect of minimizing thermal deformation of the return portion due to the brake disc, the temperature of which rises to 700 degrees or higher.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에 토크멤버에 밀착되는 압박부가 구비됨으로써,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의 변형이 감소될 수 있음은 물론, 드래그 현상 및 노이즈가 줄여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deformation of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as well as reducing drag phenomenon and noise, by providing a compression member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a torque member on a support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의 평면도이다.
도 7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의 리턴부가 소성변형방지부에 접촉되어 소성변형이 방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A' 부분의 확대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rak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rak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of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of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and 8 are drawings showing that the return portion of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a plastic deformation prevention portion to prevent plastic deforma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brak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AA' portion of Figure 9.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depicted in the drawing and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the sake of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ir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의 평면도이고, 도 7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의 리턴부가 소성변형방지부에 접촉되어 소성변형이 방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A' 부분의 확대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of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of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and 8 are drawings illustrating a return portion of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plastic deformation is prevented by contacting a plastic deformation preventing portion, FIG.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A' of FIG. 9.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100)는 본체부(110), 삽입부(120), 제1가이드부(130), 지지부(140), 리턴부(150) 및 소성변형방지부(160)를 포함한다. 이러한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100)는 금속재질을 포함하고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5, a pad liner (100) for a brak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110), an insertion portion (120), a first guide portion (130), a support portion (140), a return portion (150), and a plastic deformation prevention portion (160). This pad liner (100) for a brake device includes a metal material and can be integrally molded.

본체부(110)는 토크멤버(10)와 접촉된다. 본체부(110)는 본체판(111)과 본체연장부(112)를 포함한다. 본체판(111)은 토크멤버(10)와 접촉되며, 본체연장부(112)는 본체판(111)에서 한 쌍이 이격되어 일측으로 연장되고 삽입부(120)와 연결된다. 본체연장부(112)는 본체부(110)에서 한 쌍이 이격되어 하측으로(도 2, 도 3 기준) 연장되며, 토크멤버(10)와 접촉된다. The main body (110) is in contact with the torque member (10). The main body (110) includes a main body plate (111) and a main body extension (112). The main body plate (111) is in contact with the torque member (10), and the main body extension (112) is a pair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plate (111) and extends to one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insertion part (120). The main body extension (112) is a pair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110) and extends downward (based on FIGS. 2 and 3) and is in contact with the torque member (10).

삽입부(120)는 본체부(110)와 연결되며, 토크멤버(10)의 토크멤버 돌기(11)가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삽입부(120)는 'ㄷ'자 형상으로 토크멤버(10)의 토크멤버 돌기(11)가 삽입된다(도 3 참조). 즉, 토크멤버(10)의 토크멤버 돌기(11)가 삽입부(120)에 끼움결합된다. 이와 같이, 토크멤버(10)의 토크멤버 돌기(11)가 끼움결합됨으로써, 본체부(110)는 토크멤버(10)에 밀착될 수 있다. The insertion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110), and the torque member protrusion (11) of the torque member (10) is inserted. Specifically, the insertion part (120) has a 'ㄷ' shape and the torque member protrusion (11) of the torque member (10) is inserted (see FIG. 3). That is, the torque member protrusion (11) of the torque member (10)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part (120). In this way, by fitting the torque member protrusion (11) of the torque member (10), the main body part (110)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torque member (10).

제1가이드부(130)는 삽입부(120)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브레이크 패드(20)가 접촉되며, 브레이크 패드(2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브레이크 패드(20)는 패드지지부(21)와 패드마찰부(22)를 포함한다. 패드지지부(21)는 패드지지부본체(21a)와 패드돌기부(21b)를 구비한다. 패드지지부본체(21a)는 실린더(40)와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다. 패드돌기부(21b)는 패드지지부본체(21a)의 양측단부에서 연장되어 제1가이드부(130)에 삽입된다. 패드마찰부(22)는 패드지지부(21)에 부착되고 브레이크 디스크(30)와 접촉되어 마찰을 제공한다. The first guide portion (130) extends from the insertion portion (120) to one sid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rake pad (20),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brake pad (20). Specifically, the brake pad (20) includes a pad support portion (21) and a pad friction portion (22). The pad support portion (21) has a pad support portion body (21a) and a pad protrusion portion (21b). The pad support portion body (21a) is coupled with the cylinder (40) and can move. The pad protrusion portion (21b) extends from both ends of the pad support portion body (21a)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portion (130). The pad friction portion (22) is attached to the pad support portion (21)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rake disc (30) to provide friction.

지지부(140)는 제1가이드부(130)에서 삽입부(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되고, 브레이크 패드(20)를 지지한다. 지지부(140)는 제1가이드부(130)의 하단부에서(도 5 기준) 브레이크 패드(20) 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되어 브레이크 패드(20)의 이동시 브레이크 패드(20)를 지지한다(도 5 참조). The support member (140) extends from the first guide member (130) in a direction similar to that of the insertion member (120) and supports the brake pad (20). The support member (140)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member (130) in a direction similar to that of the insertion member (120) and supports the brake pad (20) when the brake pad (20) moves (see FIG. 5).

리턴부(150)는 삽입부(120)의 서로 마주보는 측부에서 삽입부(120) 방향으로 연장되고, 회전되면서 탄성변형되며, 탄성력으로 브레이크 패드(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The return portion (150) extends from the opposite sides of the insert portion (120) toward the insert portion (120), is elastically deformed while rotating, and returns the brake pad (20) to its original position with elastic force.

리턴부(150)는 브레이크 패드(2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리턴부(150)는 한 쌍으로 본체부(110)의 본체판(111)에서 서로 이격되어 삽입부(120)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리턴부(150)는 본체판(111)에서 서로 이격되며, 하측으로(도 3, 도 4 기준) 연장된다. 리턴부(150)가 소정거리로 이격되면서 리턴부(150) 사이에 이격공간(180)이 형성된다. 이때, 이격공간(180)은 브레이크 디스크(30)와 동일선 상에 위치된다(도 6 참조). 이로 인해, 700도 이상까지 온도가 올라가는 브레이크 디스크(30)에 의해 리턴부(150)가 열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100)의 고유 주파수를 이격시켜 노이즈 튜닝 인자로 사용할 수 있다. The return portion (150) provides elasticity to the brake pad (20). The return portions (15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main body plate (111) of the main body (110) and extend toward the insertion portion (120) as a pair. Specifically, the return portions (15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main body plate (111) and extend downward (based on FIGS. 3 and 4). As the return portions (150)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pace (180) is formed between the return portions (150). At this time, the space (180)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brake disc (30) (see FIG. 6).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rmal deformation of the return portion (150) by the brake disc (30) whose temperature rises to 700 degrees or higher. Furthermore,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pad liner (100) for the brake device can be spaced apart and used as a noise tuning factor.

리턴부(150)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패드(20) 사이에 배치되고, 실린더(40)에 의해 제공된 브레이크 패드(20)에 대한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20)가 브레이크 디스크(30)로부터 이격되도록 유도한다. The return member (15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placed between the brake pads (20).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rake pads (20) by the cylinder (40) is removed, the elastic force causes the brake pads (20) to separate from the brake disc (30).

소성변형방지부(160)는 삽입부(120)에서 리턴부(150) 측으로 돌출되고, 리턴부(150)의 회전경로 상에 위치되며, 리턴부(150)와 접촉되어 리턴부(150)의 소성변형을 방지한다. 소성변형방지부(160)는 삽입부(120)에서 삽입부(12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리턴부(150)가 설정이상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The plastic deformation prevention part (160) protrudes from the insertion part (120) toward the return part (150), is located on the rotational path of the return part (15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turn part (150) to prevent plastic deformation of the return part (150). The plastic deformation prevention part (160) protrudes from the insertion part (120) toward the front of the insertion part (120) to prevent the return part (150) from being elastically deformed beyond a set value.

구체적으로,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100)를 운송하거나 조립할 때 리턴부(150)가 탄성변형되는 경우나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도면 미 도시)을 조작하여 브레이크 패드(20)의 가압에 의해 리턴부(150)가 탄성변형되는 경우 등 리턴부(150)가 탄성변형될 때, 리턴부(150)의 탄성영역에서 벗어나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리턴부(150)가 소성변형되어 리턴력이 증대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시 브레이크 페달에 작용하는 힘이 증대되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return portion (150) is elastically deformed during transport or assembly of the pad liner (100) for a brake device, or when the return portion (150)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pressure of the brake pad (20) by the driver operating the brake pedal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eturn portion (150) is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plastically by going out of the elastic region of the return portion (150). As a result, since the return portion (150) is plastically deformed and the return force is increased, the force applied to the brake pedal when operating the brake pedal is increased, and thus the performance is prevented from being degraded.

리턴부(150)는 리턴판부(151)와 리턴경사부(152)를 포함한다. 리턴판부(151)는 본체판(111)에서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본체판(111)의 전방으로 연장형성된다. 리턴경사부(152)는 리턴판부(151)에서 삽입부(120)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도 3과 같이, 리턴경사부(152)는 리턴판부(151)의 단부에서 소정각도로 삽입부(120)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return portion (150) includes a return plate portion (151) and a return slope portion (152). The return plate portion (151) is formed to extend forward of the main body plate (11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ain body plate (111). The return slope portion (152) extends from the return plate portion (151) in a slanted manner toward the insertion portion (120). As shown in Fig. 3, the return slope portion (152) is formed to be slanted toward the insertion portion (120)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end of the return plate portion (151).

리턴부(150)는 리턴알림부(153)를 더 포함한다. 리턴알림부(153)는 리턴경사부(152)의 단부에서 지지부(140)를 향해 구부러지게 형성된다. 즉, 리턴알림부(153)는 리턴경사부(152)의 단부에서 하방으로(도 3, 도 4 기준) 향해 구부리게 형성된다. 이러한 리턴알림부(153)는 패드마찰부(22)가 마모되면, 브레이크 디스크(30)에 접촉되어 소음을 발생시킴으로써 브레이크 패드(20)의 교체시기를 운전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브레이크 패드(20)의 교체시기를 인지할 수 있다. 더불어, 리턴알림부(153)는 지지부(140)를 향해 구부러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리턴경사부(152)가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될 때 저항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return portion (150) further includes a return notification portion (153). The return notification portion (153) is formed to be bent toward the support portion (140) from the end of the return slope portion (152). That is, the return notification portion (153) is formed to be bent downward (based on FIGS. 3 and 4) from the end of the return slope portion (152). When the pad friction portion (22) is worn, the return notification portion (153) contacts the brake disc (30) and generates noise, thereby notifying the driver of the time to replace the brake pad (20). As a result,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time to replace the brake pad (20). In addition, the return notification portion (153) has a shape bent toward the support portion (140), thereby reducing resistance when the return slope portion (152)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elastic force.

삽입부(120)는 제1삽입판부(121), 제2삽입판부(122) 및 제3삽입판부(123)를 포함한다. 제1삽입판부(121)는 본체연장부(112)의 단부에서 본체연장부(112)의 전방으로 구부러지게 연장된다. The insertion portion (120) includes a first insertion plate portion (121), a second insertion plate portion (122), and a third insertion plate portion (123). The first insertion plate portion (121) extends from the end of the main body extension portion (112) to be bent forward of the main body extension portion (112).

제2삽입판부(122)는 제1삽입판부(121)에서 제1가이드부(130)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측부의 반대측에 소성변형방지부(160)가 리턴부(150) 측으로 돌출된다. 이로써, 리턴부(150)가 설정이상 탄성변형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The second insertion plate part (122) extends from the first insertion plate part (121) in a curved manner toward the first guide part (130), and a plastic deformation prevention part (160) protrudes toward the return part (15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s facing each other. As a result, elastic deformation of the return part (150) beyond the set value can be restricted.

제3삽입판부(123)는 제2삽입판부(122)의 단부에서 제2삽입판부(122)의 후방으로 구부러지게 연장되어 제1삽입판부(121)와 마주보며, 제1가이드부(130)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1삽입판부(121), 제2삽입판부(122), 및 제3삽입판부(123)를 통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토크멤버(10)에서 돌출되는 토크멤버 돌기(11)가 삽입된다. The third insertion plate part (123) extends from the end of the second insertion plate part (122) to the rear of the second insertion plate part (122) so as to face the first insertion plate part (121)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art (130). A torque member protrusion (11) protruding from the torque member (10) is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insertion plate part (121), the second insertion plate part (122), and the third insertion plate part (123).

삽입부(120)는 이동제한판부(124)를 더 포함한다. 이동제한판부(124)는 토크멤버 돌기(11)에 접촉되어 토크멤버 돌기(11)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이로써, 토크멤버(10)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The insertion portion (120) further includes a movement-limiting plate portion (124). The movement-limiting plate portion (124) contacts the torque member protrusion (11) to limit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torque member protrusion (11). As a result,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torque member (10) can be limited.

제1가이드부(130)는 제1가이드판부(131)와 제1가이드스토퍼부(132)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판부(131)는 제3삽입판부(123)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지지부(140)와 연결된다. 제1가이드판부(131)는 제3삽입판부(123)의 단부에서 하측으로(도 3 기준) 연장되어 토크멤버(10)의 토크멤버홈부(12)에 접촉된다. The first guide part (130) includes a first guide plate part (131) and a first guide stopper part (132). The first guide plate part (131) extends from the third insertion plate part (123) to one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40). The first guide plate part (131) extends downward (based on FIG. 3) from the end of the third insertion plate part (123)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orque member home part (12) of the torque member (10).

제1가이드스토퍼부(132)는 제1가이드판부(131)에 형성되고, 제1가이드판부(13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브레이크 패드(20)의 이탈을 제한한다. 제1가이드스토퍼부(132)는 제1가이드판부(131)의 양측에 홀가공을 하여 제1가이드판부(131)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가이드판부(131)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패드돌기부(21b)가 제1가이드스토퍼부(132)에 걸려 이동이 제한됨은 물론, 제1가이드판부(131)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 first guide stopper portion (132) is formed on the first guide plate portion (131) and protrudes forward of the first guide plate portion (131) to limit the detachment of the brake pad (20). The first guide stopper portion (132) can protrude forward of the first guide plate portion (131) by forming holes on both sides of the first guide plate portion (131). As a result, the pad protrusion portion (21b) positioned close to the first guide plate portion (131) is caught on the first guide stopper portion (132) to limit its movement, and is also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guide plate portion (131).

지지부(140)는 지지판부(141), 압박부(142) 및 제1삽입가이드부(143)를 포함한다. 지지판부(141)는 제1가이드판부(131)의 단부에서 제1가이드판부(131)의 전방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된다. 지지판부(141)는 제1가이드판부(131)의 단부에서 하측으로(도 2, 도 3 기준) 연장되어 토크멤버(10)를 지지한다. The support member (140) includes a support plate member (141), a pressure member (142), and a first insertion guide member (143). The support plate member (141) is formed to extend from an end of the first guide plate member (131) to be bent forward of the first guide plate member (131). The support plate member (141) extends downward (based on FIGS. 2 and 3) from an end of the first guide plate member (131) to support the torque member (10).

압박부(142)는 지지판부(141)에 형성되고, 토크멤버(10)에 밀착된다. 압박부(142)는 압박홀부(142a), 압박밀착부(142b) 및 압박경사부(142c)를 포함한다. 압박홀부(142a)는 지지판부(141) 상에 형성된다. 압박밀착부(142b)는 지지판부(141)에서 연장되고, 압박홀부(142a)에 위치된다. The pressure part (142) is formed on the support plate part (141)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rque member (10). The pressure part (142) includes a pressure hole part (142a), a pressure close part (142b), and a pressure slope part (142c). The pressure hole part (142a) is formed on the support plate part (141). The pressure close part (142b) extends from the support plate part (141) and is located in the pressure hole part (142a).

압박경사부(142c)는 압박밀착부(142b)의 하단부에서(도 3, 도 5 기준) 제2가이드부(170) 측으로 연장된다. 압박경사부(142c)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탄성력에 의해 토크멤버(10)를 압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크멤버(10)의 토크멤버 본체(13)와 접촉되면서 탄성변형되지만,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토크멤버 본체(13)에 밀착되어 압박한다. The pressure slope (142c)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pressure contact portion (142b) toward the second guide portion (170) (based on FIGS. 3 and 5). The pressure slope (142c)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can compress the torque member (10) by elastic force. Specifically, it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orque member body (13) of the torque member (10), bu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elastic forc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rque member body (13) to compress it.

압박부(142)는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100)의 중앙부(O)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도 9, 도 10 참조). 삽입부(120)에 압박부(142)가 위치되는 종래의 기술과 대비하여 리턴부(150)의 회전지지점(A)이 하측에 위치된다. 이로 인해,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100)를 조립할 때 리턴부(150)가 회전되면서 탄성변형되는 경우나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도면 미 도시)을 조작하여 브레이크 패드(20)의 가압에 의해 리턴부(150)가 회전되면서 탄성변형되는 경우 등 리턴부(150)가 회전되면서 탄성변형될 때,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100)의 변형이 감소될 수 있음은 물론, 드래그 현상 및 노이즈가 줄여들 수 있다. The compression member (142) may be positioned at the central portion (O) of the pad liner (100) for a brake device (see FIGS. 9 and 10).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n which the compression member (142) is positioned at the insertion portion (120), the rotational support point (A) of the return member (150) is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Accordingly, when the return member (150) is elastically deformed while rotating when assembling the pad liner (100) for a brake device, or when the return member (150) is elastically deformed while rotating by the pressure of the brake pad (20) by the driver operating the brake pedal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deformation of the pad liner (100) for a brake device can be reduced, and the drag phenomenon and noise can be reduced.

제1삽입가이드부(143)는 제1가이드판부(131)의 마주보는 측부의 반대측면에서 제1가이드판부(131)의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가이드부(130) 및 제2가이드부(170)에 브레이크 패드(20)를 조립할 때, 브레이크 패드(20)가 제1가이드부(130) 및 제2가이드부(170) 측으로 용이하게 가이드되어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20)에 토크멤버 돌기(11)가 삽입되면, 토크멤버 돌기(11)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도 있다. The first insertion guide portion (143) is formed to extend downwardly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guide plate portion (131) so as to be inclined. Accordingly, when assembling the brake pad (20) to the first guide portion (130)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170), the brake pad (20) can be easily guided toward the first guide portion (130)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170) and assembled. In addition, when the torque member protrusion (1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20),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torque member protrusion (11) can be restricted.

제2가이드부(170)는 제2가이드판부(171), 제2가이드연장부(172) 및 제2삽입가이드부(173)를 포함한다. 제2가이드판부(171)는 지지판부(141)의 단부에서 상기 지지판부(141)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제2가이드판부(171)는 지지판부(141)의 단부에서 하측으로(도 2, 도 3 기준) 연장되어 토크멤버(10)의 토크멤버 본체(13)에 접촉된다. The second guide part (170) includes a second guide plate part (171), a second guide extension part (172), and a second insertion guide part (173). The second guide plate part (171)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an end of the support plate part (141) of the support plate part (141). The second guide plate part (171) extends downward (based on FIGS. 2 and 3) from the end of the support plate part (141)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orque member body (13) of the torque member (10).

제2가이드연장부(172)는 제2가이드판부(171)의 단부에서 제2가이드판부(171)의 전방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된다. 제2가이드연장부(172)는 토크멤버(10)의 토크멤버 본체(13)에 접촉되어 토크멤버(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토크멤버(1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extension (172)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end of the second guide plate (171) to the front of the second guide plate (171). The second guide extension (172) can guide the movement of the torque member (10) by contacting the torque member body (13) of the torque member (10) and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torque member (10).

제2삽입가이드부(173)는 제2가이드판부(171)의 마주보는 측부의 반대측면에서 제2가이드판부(171)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가이드부(130) 및 제2가이드부(170)에 브레이크 패드(20)를 조립할 때, 브레이크 패드(20)가 제1가이드부(130) 및 제2가이드부(170) 측으로 용이하게 가이드되어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20)에 토크멤버 돌기(11)가 삽입되면, 토크멤버 돌기(11)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도 있다. The second insertion guide portion (173)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rear of the second guide plate portion (171)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acing side of the second guide plate portion (171). Accordingly, when assembling the brake pad (20) to the first guide portion (130)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170), the brake pad (20) can be easily guided toward the first guide portion (130)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170) and assembled. In addition, when the torque member protrusion (1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20),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torque member protrusion (11) can be restrict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patent claims.

1 : 브레이크 장치 10 : 토크멤버
11 : 토크멤버 돌기 12 : 토크멤버홈부
13 : 토크멤버 본체 20 : 브레이크 패드
21 : 패드지지부 21a : 패드지지부본체
21b : 패드돌기부 22 : 패드마찰부
30 : 브레이크 디스크 40 : 피스톤
100 :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 110 : 본체부
111 : 본체판 112 : 본체연장부
120 : 삽입부 121 : 제1삽입판부
122 : 제2삽입판부 123 : 제3삽입판부
124 : 이동제한판부 130 : 제1가이드부
131 : 제1가이드판부 132 : 제1가이드스토퍼부
140 : 지지부 141 : 지지판부
142 : 압박부 142a : 압박홀부
142b : 압박밀착부 142c : 압박경사부
143 : 제1이동제한부 150 : 리턴부
151 : 리턴판부 152 : 리턴경사부
153 : 리턴알림부 160 : 소성변형방지부
170 : 제2가이드부 171 : 제2가이드판부
172 : 제2가이드연장부 173 : 제2삽입가이드부
180 : 이격공간
1: Brake device 10: Torque member
11: Talk member turning 12: Talk member home page
13: Torque member body 20: Brake pad
21: Pad support part 21a: Pad support part body
21b: Pad protrusion 22: Pad friction part
30 : Brake disc 40 : Piston
100: Pad liner for brake device 110: Body
111: Main body 112: Main body extension
120: Insert part 121: First insert plate part
122: 2nd insert plate 123: 3rd insert plate
124: Movement restriction board 130: 1st guide board
131: 1st guide plate part 132: 1st guide stopper part
140: Support part 141: Support board part
142: Compression part 142a: Compression hole part
142b: Compression fitting part 142c: Compression slope part
143: 1st movement restriction section 150: Return section
151: Return plate 152: Return slope
153: Return notification section 160: Plastic deformation prevention section
170: 2nd guide section 171: 2nd guide board section
172: Second guide extension part 173: Second insertion guide part
180 : Separation space

Claims (11)

토크멤버와 접촉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토크멤버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브레이크 패드가 접촉되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
상기 제1가이드부에서 상기 삽입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삽입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연장형성되고, 회전되면서 탄성변형되며, 탄성력으로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부; 및
상기 삽입부에서 상기 리턴부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리턴부의 회전경로 상에 위치되며, 상기 리턴부와 접촉되어 상기 리턴부의 소성변형을 방지하는 소성변형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토크멤버와 접촉되는 본체판; 및
상기 본체판에서 한 쌍이 이격되어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는 본체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턴부는 한 쌍으로 상기 본체판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삽입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리턴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판 상에 위치되는 이격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격공간은 브레이크 디스크와 동일선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
The main body par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alk member;
An insertion part connected to the above main body part and into which a part of the torque member is inserted;
A first guide portion extending to one side from the above insertion portion, contacting the brake pad,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brake pad;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guide portion to be ben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sert portion and supporting the brake pad;
A return part that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inclined from the main body part toward the insertion part, is elastically deformed while rotating, and returns the brake pad to its original position with elastic force; and
It includes a plastic deformation prevention part that protrudes from the insertion part toward the return part, is positioned on the rotational path of the return part,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turn part to prevent plastic deformation of the return part;
The above main body part,
A main body plate in contact with the above torque member; and
Including a pair of main body extension parts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plate and extending to one side and connected to the insertion part;
The above return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main body plate and extend toward the insertion portion as a pair,
It further includes a separation space formed between the above return parts and positioned on the main body plate,
The above gap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brake disc.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characterized b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부는,
상기 본체판에서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본체판의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리턴판부; 및
상기 리턴판부에서 상기 삽입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리턴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
In paragraph 1,
The above return part,
A return plate portion formed to extend forward of the main body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eturn slope portion extending obliquely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from the return plate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본체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본체연장부의 전방으로 구부러지게 연장되는 제1삽입판부;
상기 제1삽입판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가이드부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측부의 반대측에 상기 소성변형방지부가 상기 리턴부 측으로 돌출되는 제2삽입판부; 및
상기 제2삽입판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삽입판부의 후방으로 구부러지게 연장되어 상기 제1삽입판부와 마주보며, 상기 제1가이드부와 연결되는 제3삽입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
In paragraph 1,
The above insertion part,
A first insertion plate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main body extension portion to be bent forward of the main body extension portion;
A second insertion plate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insertion plate portion in a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portion and having the plastic deformation prevention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return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acing sides; and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hird insertion plate portion that extends from an end of the second insertion plate portion to be bent toward the rear of the second insertion plate portion, faces the first insertion plate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or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3삽입판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제1가이드판부; 및
상기 제1가이드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판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이탈을 제한하는 제1가이드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
In paragraph 5,
The above first guide section,
A first guide plate portion extending to one side from the third insertion plate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irst guide stopper portion formed on the first guide plate portion and protruding forward of the first guide plate portion to limit detachment of the brake pa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가이드판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가이드판부의 전방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는 지지판부; 및
상기 지지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크멤버에 밀착되는 압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
In paragraph 6,
The above support part,
A support plate portion formed to extend and bend forward from an end of the first guide plate portion; and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mpression member formed on the support plat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torque memb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가이드판부의 마주보는 측부의 반대측면에서 상기 제1가이드판부의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제1삽입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
In Article 7,
The above support part,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rst insertion guide portion that extends downwardly from an opposite side of the facing side of the first guide plate portion;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가 접촉되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
In Article 8,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guide portion extending to one side from the support portion, contacting the brake pad, and guiding movement of the brake pad.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지지판부의 단부에서 상기 지지판부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가이드판부; 및
상기 제2가이드판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가이드판부의 전방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는 제2가이드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
In Article 9,
The above second guide section,
A second guide plate portion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an end of the support plate portion; and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guide extension portion that extends and bends forward from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guide plate portio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가이드판부의 마주보는 측부의 반대측면에서 상기 제2가이드판부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삽입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
In Article 10,
The above second guide section,
A pad liner for a brak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insertion guide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rear of the second guide plate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acing side of the second guide plate portion.
KR1020190086812A 2019-07-18 2019-07-18 Pad liner for braking apparatus Active KR1027185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812A KR102718511B1 (en) 2019-07-18 2019-07-18 Pad liner for bra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812A KR102718511B1 (en) 2019-07-18 2019-07-18 Pad liner for brak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789A KR20210009789A (en) 2021-01-27
KR102718511B1 true KR102718511B1 (en) 2024-10-17

Family

ID=74238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812A Active KR102718511B1 (en) 2019-07-18 2019-07-18 Pad liner for brak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8511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3501A (en) * 2012-12-26 2014-07-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Caliper module for vehicle
KR20170010547A (en) * 2015-07-20 2017-02-01 주식회사 만도 Disc brake
KR20190021566A (en) * 2017-08-23 2019-03-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ad liner for cali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789A (en)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6679B1 (en) Pad liner for braking apparatus
CN209539867U (en) Gasket for brake apparatus pads
US20150369318A1 (en) Wear detection device for brake pad a disk brake
KR102775604B1 (en) Brake pad spring and disk brake system
US8657081B2 (en) Disc brake
KR20170010547A (en) Disc brake
KR102718511B1 (en) Pad liner for braking apparatus
JP7012161B2 (en) Disc brake
KR101908011B1 (en) Disc brake
KR20190021566A (en) Pad liner for caliper
JP2009156334A (en) Disk brake
KR102210465B1 (en) Pad liner for braking apparatus
KR20170030813A (en) Disc brake
KR20130003932A (en) Spring pad for caliper brake of vehicle
US12276310B2 (en) Brake apparatus for vehicle
JP6231322B2 (en) Vehicle disc brake
KR20150128273A (en) Disk brake
JP2006153139A (en) Disk brake and shim original plate for it
KR102576316B1 (en) Pad liner for braking apparatus
JP2007263276A (en) Shim plate mounting structure in disk brake
US4067418A (en) Noise reducing assemblies for disc brakes for vehicles
KR20230003899A (en) Brake apparatus for vehicle
JP2006207822A (en) Pad clip for disk brake
KR20230139254A (en) Pad liner for braking apparatus
US20230059238A1 (en) Pad spring and caliper brak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6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7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