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18414B1 - Metaverse Service Apparatus with Blockchain Technolog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etaverse Service Apparatus with Blockchain Technology and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18414B1 KR102718414B1 KR1020220005592A KR20220005592A KR102718414B1 KR 102718414 B1 KR102718414 B1 KR 102718414B1 KR 1020220005592 A KR1020220005592 A KR 1020220005592A KR 20220005592 A KR20220005592 A KR 20220005592A KR 102718414 B1 KR102718414 B1 KR 1027184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averse
- data
- service
- virtual
- copy dat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60 hair shi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Network services using third party service provid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2—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 for e-comme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기술이 적용된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기술이 적용된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단말장치에서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가상 상품을 판매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제공한 메타버스의 서비스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임의의 가상 상품을 구매할 때 가상 상품의 원본 데이터에 대한 사본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본 데이터에 링크되는 링크 정보 및 소유권에 대한 계약 정보를 NFT 형태로 생성하여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노드에 저장 및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verse service device to which blockchain technology is applied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device.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to which blockchain technology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that provides a metaverse service screen for selling virtual goods in response to a service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device, and a control unit that creates copy data for original data of a virtual good when a user of a user terminal device purchases any virtual good on the provided metaverse service screen, and creates link information linked to the copy data and contract information on ownership in the form of an NFT to store and manage the same in a node forming a blockchain.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록체인기술이 적용된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블록체인 기술을 융합한 메타버스 상에서의 상거래 시스템에서 거래를 위한 가상 상품의 데이터 자체가 아닌 대상 데이터(예: 사본 데이터 등)와 소유권을 블록체인으로 구현한 독립적인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여 위조 및 변조가 불가능한 상태로 영구히 보존 가능하도록 하는 NFT(Non-Fungible Token) 개념을 메타버스 거래 시스템에서 구현하는 블록체인기술이 적용된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verse service device to which blockchain technology is applied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averse service device to which blockchain technology is applied,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device, which implements the NFT (Non-Fungible Token) concept in a metaverse transaction system, which stores, in a metaverse transaction system that integrates blockchain technology, not the data of a virtual product for transaction itself but the target data (e.g., copy data, etc.) and the ownership as independent data implemented by blockchain so that forgery and alteration are impossible and can be permanently preserved.
블록체인 기반 메타버스에서는 투명한 경제 체제를 만들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가상세계 내 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상세계 자산을 다른 사용자에게 판매할 경우 이력이 모두 기록되고 모두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 사용자가 가상세계 내 마켓플레이스에서 중개인 없이 직접 개인 대 개인으로 거래할 수 있어 중간 수수료가 없고 신뢰를 바탕으로 경제체제가 만들어진다. 기존에 존재하는 상품, 자산이거나 가상세계에서 새로 탄생한 자산은 희소성에 따라 가치가 매겨진다. 이러한 희소성이 가장 빛을 발하는 공간이 메타버스이다.A transparent economic system can be created in a blockchain-based metaverse. This is because ownership of virtual world assets can be proven through blockchain technology. When virtual world assets are sold to other users, the history is recorded and can be verified by everyone. Users around the world can trade directly with each other in a virtual world marketplace without intermediaries, so there are no intermediary fees and an economic system is created based on trust. Existing products and assets or newly created virtual world assets are valued according to their scarcity. The space where this scarcity shines the most is the metaverse.
최근 주목받는 대체불가능한토큰(NFT)은 이러한 희소성으로 가치가 오르고 증명되고 있다. 블록체인과 NFT는 메타버스 경제활동을 뒷받침하는 핵심이다. 데이터 위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은 아바타와 3D 캐릭터가 익명으로 활동하는 가상세계에서 신뢰를 가져오고, NFT로 탄생한 아이템, 여러 자산은 실제 가치를 매길 수 있기 때문이다.Non-fungible tokens (NFTs) that have recently been gaining attention are proving their value due to their scarcity. Blockchain and NFTs are the core of supporting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metaverse. Blockchain,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falsify data, brings trust in the virtual world where avatars and 3D characters operate anonymously, and items and various assets created as NFTs can be valued in real terms.
그런데, 메타버스 상에서의 자산 관리, 특히 권리 주장 및 소유권 증빙은 통상적인 상거래 및 개인 거래의 개념으로 해소하기 어렵다. 이는 복제된 디지털 데이터와 원본 데이터가 완전히 동일한 데이터라는 점에서 데이터 자체의 독립적인 고유 식별이 불가능하다는 가상 현실 내의 오브젝트(이하, '가상상품'이라 함)가 지닌 한계에서 온다.However, asset management in the metaverse, especially rights claims and ownership verification, are difficult to resolve with the concepts of conventional commercial transactions and personal transactions. This comes from the limitations of objects in virtual real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virtual goods”), which cannot be independently and uniquely identified as data themselves, as the replicated digital data and the original data are completely identical data.
NFT는 완벽하지 않다. 지금까지 등장한 NFT 거래소에 등장한 모든 데이터 및 저작물들이 공정한 절차로 매매가 진행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그 예를 들 수 있다. 가령, 누군가가 제작된 저작물에 대한 NFT를 제3자가 원작자에게 알리지 않은 채로 발행한 후 거래소에 등록 및 매매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즉, NFT가 생성된 모든 데이터에 대한 소유권은 원작자의 저작권과 상충되는 법적 이슈가 발생할 여지가 존재한다는 점이다.NFTs are not perfect. For example, not all data and works that have appeared on NFT exchanges so far have been traded through fair procedures. For example, it is possible for a third party to issue an NFT for a work that someone has created without notifying the original creator and then register and trade it on an exchange. In other word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ownership of all data for which an NFT is created may conflict with the original creator's copyright, which could lead to legal issues.
구현하고자 하는 메타버스의 1차적인 목표는 판매 및 원작자(이하 '기업 고객')와 소비자 고객 간에 공정한 거래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를 확립하는 것으로, 위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기업 고객이 메타버스에 등록하고자 하는 모든 가상 상품에 대해서 블록체인 등록이 필수 선행이 될 수 있도록 고지하고, 소비자 고객들에게 상품에 대한 권리가 침해되지 않도록 관리하여 해당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하는 것이다.The primary goal of the metaverse to be implemented is to establish a platform service for fair transactions between sellers and original creato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rporate customers") and consumer customers. In order to minimize the above problems, corporate customers must notify that blockchain registration is a prerequisite for all virtual products they wish to register in the metaverse, and manage it so that consumer customers' rights to the products are not violated, so that the above problems do not occur.
또한 NFT 내에는 가상 상품에 대한 원본 데이터가 포함되지는 않으며, 해당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주소와 해당 파일에 대한 정보만 기록될 뿐, 원 데이터는 네트워크망에 연결된 특정 서버에 올라가 있으므로 언제든지 삭제 및 변조되기 쉽다. 즉, 소유권을 주장할 대상 데이터 자체에 대한 보호는 불가능하다.In addition, NFTs do not contain the original data for virtual goods, and only the address for accessing the data and information about the file are recorded. The original data is uploaded to a specific server connected to the network, so it can be easily deleted or modified at any time. In other words, it is impossible to protect the data itself to claim ownership.
물론, 탈 중앙화로 서버-클라이언트 구조를 벗어나 그리드 컴퓨팅 기술의 활용이 가능하고, 소비자 고객 층이 확보될수록 보안이 견고해지는 블록체인 기술의 도입은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때문에 기존의 전통적인 온라인 상거래 서비스 구조에 블록체인 기술을 섞은 하이브리드 형태의 서비스 구조를 도입하여 발전시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Of course, decentralization allows for the use of grid computing technology, and the introduc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which enhances security as the consumer customer base is secured, is attractive. Therefore, the need to introduce and develop a hybrid service structure that mixes blockchain technology with the existing traditional online commerce service structure is being rais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블록체인 기술을 융합한 메타버스 상에서의 상거래 시스템에서 거래를 위한 가상 상품의 데이터 자체가 아닌 대상 데이터와 소유권을 블록체인으로 구현한 독립적인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여 위조 및 변조가 불가능한 상태로 영구히 보존 가능하도록 하는 NFT 개념을 메타버스 거래 시스템에서 구현하는 블록체인기술이 적용된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averse service devic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that implements the NFT concept in a metaverse transaction system, which stores the target data and ownership, not the data of a virtual product for transaction, in an independent data form implemented in a blockchain, so that forgery and tampering are impossible and can be permanently preserved in a state where they cannot be altered, in a transaction system on a metaverse that integrates blockchain technolog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기술이 적용된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단말장치에서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가상 상품을 판매하는 메타버스(Metaverse)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공한 메타버스의 서비스 화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임의의 가상 상품을 구매할 때 상기 가상 상품의 원본 데이터에 대한 사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본 데이터에 링크되는 주소 정보 및 소유권에 대한 계약 정보를 NFT(Non-Funible Token) 형태로 생성하여 블록체인(Block chain)을 형성하는 노드(node)에 저장 및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metaverse service device to which blockchain technology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that provides a metaverse service screen for selling virtual goods in response to a service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device, and a control unit that creates copy data for original data of a virtual good when a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purchases any virtual good on the provided metaverse service screen, and creates address information and contract information on ownership linked to the copy data in the form of an NFT (Non-Funible Token) and stores and manages the same in a node forming a blockcha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상 상품에 대한 실물 배송 요청이 있는 경우 배송이 이루어진 실물 상품에 대한 상기 소유권의 증명을 미수행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unit may not perform the proof of ownership for the physical product to which delivery has been made if there is a request for physical delivery of the virtual product from the us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 정보로서 상기 가상 상품과 관련한 이미지의 원본 데이터에 접근 가능한 주소 정보, 파일 시스템 정보 및 매매 정보를 상기 NFT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unit can generate address information, file system information, and transaction information that can access the original data of the image related to the virtual product as the link information in the form of the NFT.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T 형태로 생성시 상기 가상 상품과 관련한 사본 데이터 및 고유키를 생성해 상기 원본 데이터에 매칭하여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의 소유권 증명시 상기 주소 정보를 통해 상기 사본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unit generates copy data and a unique key related to the virtual product when it is created in the form of the NFT and manages them by matching them with the original data, and can access the copy data through the address information when proving the user's ownership.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본 데이터가 훼손되었다고 판단될 때 상기 원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훼손된 사본 데이터를 복구시킬 수 있다.The above control unit can recover the damaged copy data using the original data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py data has been damag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기술이 적용된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의 구동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사용자 단말장치에서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가상 상품을 판매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제공한 메타버스의 서비스 화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임의의 가상 상품을 구매할 때 상기 가상 상품의 원본 데이터에 대한 사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본 데이터에 링크되는 주소 정보 및 소유권에 대한 계약 정보를 NFT 형태로 생성하여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노드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method for operating a metaverse service device to which blockchain technology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providing, by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a metaverse service screen for selling virtual goods in response to a service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device, and a step of creating, by a control unit, a copy data of original data of a virtual good when a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purchases any virtual good on the provided metaverse service screen, and creating address information and contract information on ownership linked to the copy data in the form of an NFT and storing and managing the same in a node forming a blockchain.
상기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상 상품에 대한 실물 배송 요청이 있는 경우 배송이 이루어진 실물 상품에 대한 상기 소유권의 증명을 미수행할 수 있다.The above storage and management step may not perform the proof of ownership for the physical product to which delivery has been made if there is a request for physical delivery of the virtual product from the user.
상기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링크 정보로서 상기 가상 상품과 관련한 이미지의 원본 데이터에 접근 가능한 주소 정보, 파일 시스템 정보 및 매매 정보를 상기 NFT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The above storage and management step can generate address information, file system information, and transaction information that can access the original data of the image related to the virtual product as the link information in the form of the NFT.
상기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NFT 형태로 생성시 상기 가상 상품과 관련한 사본 데이터 및 고유키를 생성해 상기 원본 데이터에 매칭하여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의 소유권 증명시 상기 주소 정보를 통해 상기 사본 데이터에 접속할 수 있다.The above storage and management step generates copy data and a unique key related to the virtual product when created in the form of the NFT and manages them by matching them to the original data, and when the user proves ownership, the copy data can be accessed through the address information.
상기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사본 데이터가 훼손되었다고 판단될 때 상기 원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훼손된 사본 데이터를 복구시킬 수 있다.The above storage and management step can recover the damaged copy data using the original data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py data has been damag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거래되는 가상 상품의 원본 데이터가 복제 및 배포된다고 하더라도 소유권에 대한 계약 정보는 NFT 형태로 저장되므로 해당 가상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이하 '소비자 고객')는 해당 소유권을 보호 및 증빙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original data of the virtual product being traded is copied and distributed, the contract information on ownership is stored in the form of an NFT, so that the purchas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sumer customer”) who purchased the virtual product can protect and prove the ownership.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기술을 적용한 메타버스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메타버스 서비스장치의 블록체인 기술 융합형 서비스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의 메타버스 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7은 도 1의 메타버스 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ure 1 is a drawing showing a metaverse service system applying blockchain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5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blockchain technology convergence service system of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of Figure 1.
Figure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of Figure 1, and
Figure 7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of Figure 1.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기술을 적용한 메타버스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 is a drawing showing a metaverse service system applying blockchain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기술을 적용한 메타버스 서비스 시스템(이하, 메타버스 서비스 시스템)(90)은 사용자 단말장치(100), 통신망(110),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 및 서드파티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1, a metaverse service system (hereinafter, “metaverse service system”) (90) applying blockchain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art or all of a user terminal device (100), a communication network (110), a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and a third-party device (130).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서드파티장치(1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메타버스 서비스 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1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some or all” means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a third-party device (130), may be omitted to configure the metaverse service system (90), or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configuring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may be integrated into a network device (e.g., a wireless switching device, etc.) configur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and is explained as including all in order to help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도 1의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블록체인 기술이 융합된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 손목 등에 착용하는 웨어러블장치, 나아가 스마트TV 등을 포함한다.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various types of devices that access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of Fig. 1 and use the metaverse service integrated with blockchain technology.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 smartphone, a wearable device worn on the wrist, and even a smart TV.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메타버스 화면상에서 상품을 구매하거나 온라인상에서 활용하기 위한 콘텐츠를 구매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상품 등을 판매하는 판매자 단말장치와 해당 상품을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의 서비스에 접속하여 구매하는 구매자 단말장치를 포함한다.The user terminal device (100) connects to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and performs operations such as purchasing products on the metaverse screen or purchasing content for use online.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ller terminal device that sells products, etc., and a buyer terminal device that connects to the service of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and purchases the products.
예를 들어, 가구 등을 판매하는 가구 업체의 판매자 단말장치는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제품을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제품 등록 과정에서 제품의 이미지, 또는 3D 모델링 영상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제품 구매는 실제 제품의 오프라인 배송과 연계되도록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지만, 가상의 공간에서 가구 콘텐츠를 구매하는 것에 한정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반면, 구매자 단말장치는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가상 콘텐츠를 구매할 수 있지만, 실제 제품과 연계하여 배송을 신청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For example, a seller terminal of a furniture company selling furniture, etc., can connect to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and register a product. During this product registration process, an image of the product, a 3D modeling image, etc., can be provided. Of course, such product purchases can be provided as a service linked to offline delivery of actual products, but may be limited to purchasing furniture content in a virtual spac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specifically limited to any one form. On the other hand, a buyer terminal can connect to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to purchase virtual content, but can use the service in various ways, such as requesting delivery in connection with an actual product.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에서 구매한 가상 제품 및/또는 실제 제품과 관련하여 소유권 증빙을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실물 배송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현장에서 소유권자의 확인이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소유권 증빙은 생략될 수 있다. 다만, 메타버스 가상의 공간에서 가상 제품을 구매한 경우에는 위조 및 변조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소유권자의 증빙을 필요로 하므로 이의 경우에는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의 요청에 따라 증빙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performs an operation for proof of ownership in relation to the virtual product and/or the actual product purchased from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For example, in the case of physical delivery, since the owner is confirmed on site, separate proof of ownership can be omitted. However, in the case of purchasing a virtual product in a metaverse virtual space, since there is a possibility of forgery and alteration, proof of ownership is required, and in this case, an operation for proof can be performed at the request of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sive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includes bot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or example,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network may be used or linked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Here, the wired network includes an Internet network such as a cable network or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CDMA, WCDMA, GSM, EPC (Evolved Packet Core), LTE (Long Term Evolution), Wibro, etc. Of course,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for example, in a cloud computing network under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a 5G network, etc. For example, if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i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n access point within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can connect to a telephone exchange, etc., but if it i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ata can be processed by connecting to an SGSN or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operated by a communication company, or data can be processed by connecting to various relays such as a BTS (Base Transsive Station), NodeB, or e-NodeB.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장치(10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 포인트는 사용자 단말장치(100) 등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may include an access point. The access point here includes a small base station such as a femto or pico base station that is installed in many buildings. The femto or pico base station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ximum number of user terminal devices (100)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mall base station. Of course, the access point may includ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and Wi-Fi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s (100). The access point may use TCP/IP or RTSP (Real-Time Streaming Protoc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Here,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in various standards such as Bluetooth, Zigbee, infrared, RF (Radio Frequency) such as UHF (Ultra High Frequency) and VHF (Very High Frequency) in addition to Wi-Fi, and ultra-wideband communication (UWB). Accordingly, the access point can extract the location of the data packet, designate the best communication path for the extracted location, and transmit the data packet along the designated communication path to the next device, such as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The access point can share multiple lines in a general network environment, and includes, for example, a router, a repeater, and a repeater.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는 블록체인기술을 융합한 메타버스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며,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거래하기 위한 가상 상품의 데이터 자체가 아닌 대상 데이터 또는 사본 데이터와 소유권을 블록체인으로 구현한 독립적인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여 위조 및 변조가 불가능한 상태로 영구히 보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NFT 개념을 메타버스 거래 시스템에 구현한다. 이의 활용을 통해 거래되는 가상 상품의 원본 데이터가 복제 및 배포된다고 하더라도 소유권에 대한 계약 정보는 NFT 형태로 저장되므로 해당 가상 상품을 구매한 구매자는 해당 소유권을 보호 및 증빙이 가능해진다.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provides a metaverse service that combines blockchain technology to a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implements the NFT concept in the metaverse transaction system so that the data of the virtual product to be traded in the metaverse service, rather than the target data or copy data and ownership, can be stored as an independent data form implemented in blockchain so that forgery and tampering cannot be prevented and permanently preserved. Through this utilization, even if the original data of the virtual product traded is copied and distributed, the contract information on ownership is stored in the form of an NFT, so that the purchaser who purchased the virtual product can protect and prove the ownership.
이를 통해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는 메타버스 상에서의 자산 관리, 특히 권리 주장 및 소유권 증빙은 통상적인 상거래 및 개인 거래의 개념으로 해소하기 어려운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제된 디지털 데이터와 원본 데이터가 완전히 동일한 데이터라는 점에서 데이터 자체의 독립적인 고유 식별이 불가능하다는 가상 현실 내의 오브젝트 즉 가상 상품이 지닌 한계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고 볼 수 있다.Through this,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can improve the problem of asset management on the metaverse, especially rights claim and ownership proof, which are difficult to solve with the concept of conventional commercial transactions and personal transactions. In other words, the limitation of virtual goods, i.e. objects in virtual reality, is that independent unique identification of the data itself is impossible because the replicated digital data and the original data are completely identical data,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as solving this problem.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는 가상 상품을 거래하기 위한 판매자 단말장치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가상 상품을 등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의 과정에서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는 판매자 단말장치에서 등록하는 가상 상품의 원저작자 등을 입증하기 위한 다양한 부가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주민번호나 전화번호, 또 구매자가 설정한 비밀번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는 메타버스 서비스를 이용해 가상 제품을 구매하는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장치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령, 구매자 단말장치에서 가상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 이와 관련되는 데이터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 및 관리하며, 나아가 NFT의 형태로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노드들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여기서,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노드는 가령,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나, 통신망(11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 그리고 서드파티장치(130) 등이 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n operation of registering a virtual product in response to a service request from a seller terminal device for trading virtual products. In this process,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may perform various additional operations to verify the original author of the virtual product registered by the seller terminal device, and representative examples thereof may include a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a phone number, or a password set by the buyer. In addition,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provides a service in response to a service request from a buyer terminal device of a buyer who purchases a virtual product using the metaverse service. For example, when a virtual product is purchased from a buyer terminal device, data related thereto is stored and managed based on a blockchain, and further stored and managed in nodes forming a blockchain in the form of an NFT. Here, the nodes forming the blockchain may be,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of FIG. 1, a network device forming a communication network (110), a third-party device (130), etc.
블록체인은 블록에 데이터를 담아 체인 형태로 연결, 수많은 컴퓨터에 동시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이다. 공공 거래 장부나 분산 거래장부라고도 부른다.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 주며, 거래 때마다 모든 거래 참여자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나 변조를 할 수 없도록 돼 있다. 블록체인은 거래 즉 트랜잭션이 있을 때 블록체인으로 연결되어 있는 노드들의 합의 등을 통해 위조나 변조에 대응하며 합의가 있을 때 데이터를 수정하는 등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블록체인의 출발은 데이터를 한곳에서 처리하는 중앙 방식이 아니라 다수의 노드에서 처리하는 분산 방식이며, 이의 과정에서 다수의 노드들과의 합의를 통해 데이터의 수정 등을 진행함으로써 하나의 노드에서 해킹 등에 의한 위변조 시도가 있다하더라도 이를 방지할 수 있다.Blockchain is a distributed data storage technology that stores data in blocks, links them in a chain form, and replicates and stores them on numerous computers simultaneously. It is also called a public transaction ledger or distributed transaction ledger. Instead of storing transaction records on a centralized server, it sends transaction details to all users participating in the transaction, and all transaction participants share information and compare it for each transaction, preventing data falsification or modification. When there is a transaction, the blockchain responds to falsification or modification through agreements among nodes connected to the blockchain, and when there is an agreement, data can be modified. The origin of blockchain is not a centralized method that processes data in one place, but a distributed method that processes data in multiple nodes, and in the process, data modifications, etc. are carried out through agreements with multiple nodes, so even if there is an attempt at falsification or modification through hacking or other means in a single node, it can be prevented.
또한, NFT는 교환과 복제가 불가능하여 저마다 고유성과 희소성을 지니는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이다. 물론 토큰 기술은 종래에도 많이 사용되었던 바 크게 다르지 않다.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디지털 토큰으로 각 토큰은 저마다 고유한 인식값을 부여함으로써 서로 대체할 수 없는 가치와 특성을 지니게 되어 교환과 복제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는 메타버스 화면에서 구매자가 가상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NFT의 형태로 처리하고, 해당 NFT 형태의 데이터는 블록체인으로 저장 및 관리한다고 볼 수 있다.In addition, NFT is a blockchain-based token that cannot be exchanged or duplicated, and thus has uniqueness and scarcity. Of course, token technology has been widely used in the past, so it is not much different. With digital tokens that apply blockchain technology, each token is given a unique recognition value, so it has value and characteristics that cannot be replaced with each other, and thus cannot be exchanged or duplicated. It can be seen that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information about a purchaser purchasing a virtual product on the metaverse screen in the form of an NFT, and stores and manages the data in the form of the corresponding NFT in the blockchain.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NFT 구조상 블록체인에는 실제 원본 데이터(예: 이미지, 모델링 등)가 들어 있지 않고, 원본 데이터를 가리키는 주소 정보와 파일 시스템 정보(예: 파일명, 생성일, 사이즈, 제작자명 등), 매매 정보가 들어가 있다. 또한,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는 원본 데이터의 보호를 위하여 특정 상품의 판매시 원본 데이터의 사본을 만들고 해당 사본에 고유키를 추가하여 블록체인 정보에서 원본 데이터가 아닌 고유키를 가진 사본 데이터를 가리키고 관리한다. 이를 통해 원본 데이터와 고유키를 가진 사본 데이터 둘 다 문제가 생기지 않는 한 충분히 관리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가령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는 3D 가구를 거래할 경우 고유키를 가진 사본 3D 모델링 데이터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원본이 존재하는 한 복구 과정을 통하여 소비자 고객의 소유권 등의 권리를 유지한다.Above a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FT structure does not contain actual original data (e.g., images, modeling, etc.) in the blockchain, but rather contains address information pointing to the original data, file system information (e.g., file name, creation date, size, creator name, etc.), and transaction inform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protect the original data,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creates a copy of the original data when selling a specific product, adds a unique key to the copy, and manages and points to the copy data with the unique key, not the original data, in the blockchain information. Through this, both the original data and the copy data with the unique key can be sufficiently managed as long as no problems occur. Through this, for example, when trading 3D furniture,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maintains the rights of the consumer customer, such as ownership, through a recovery process as long as the original exists, even if a problem occurs in the copy 3D modeling data with the unique key.
NFT에서는 다른 사람이 원저작자보다 먼저 NFT 등록을 할 경우 원저작자는 저작권 및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다는 것과, 원본 데이터가 서버에 등록되어 있을 때 해당 파일에 문제가 생기면 소유권 증명 자체는 문제가 없으나, 증명 대상이 존재하지 않거나 본래의 가치가 훼손된 상태가 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음을 앞서 지적한 바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의 NFT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을 수정하여 자체 NFT를 구현하였다. 가상 제품의 원본 데이터를 그대로 두고 사본 데이터를 만들어 이를 NFT에 활용하며,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다. 즉 기업 고객이 가상 상품을 판매하고 소비자 고객이 가상 상품을 구매하게 되면 소비자 고객이 해당 가상 상품의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다. 블록체인 기술 중 NFT 개념을 적용한다.As previously pointed out, in NFT, if someone else registers an NFT before the original author, the original author cannot claim copyright and ownership, and if there is a problem with the file when the original data is registered on the server, there is no problem with proving ownership itself, but the subject of proof may not exist or the original value may be damag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such problems, the problematic part of the existing NFT was modified to implement its own NFT. The original data of the virtual product is left as is, copy data is created, and this is utilized for the NFT, and blockchain technology is applied. In other words, when a corporate customer sells a virtual product and a consumer customer purchases the virtual product, blockchain technology is applied so that the consumer customer can prove the ownership of the virtual product. The concept of NFT among blockchain technologies is applied.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비스 시스템(90)은 메타버스에서 구매한 상품이 가상 상품의 획득뿐 아니라 실물 배송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다만, 소유권 증명이 실물 상품에 대하여 크게 효력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상 상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실물 배송은 도 1의 서드파티장치(130)에서 담당할 수 있다.Above all, the metaverse service system (9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deliver a product purchased in the metaverse in addition to acquiring a virtual product. However, since the proof of ownership is not very effective for a real produc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virtual products. In addition, the real delivery can be handled by the third party device (130) of Fig. 1.
서드파티장치(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 1의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에 연계하여 동작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 대표적으로, 실물 배송에 관계되는 배송 업체의 서버나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서드파티장치(130)는 메타버스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 즉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로 제공하는 개발업체의 서버나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를 운영하는 서비스 업체의 관리자가 소유하는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party device (130) includes various devices that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of FIG. 1 to provide a metavers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server or computer of a delivery company related to physical delivery. In addition, the third-party device (130) may include a server or computer of a developer that develops a platform for a metaverse service, that is, a program, and provides it to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computer owned by an administrator of a service company that operates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메타버스 서비스장치의 블록체인 기술 융합형 서비스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s 2 to 5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blockchain technology convergence service system of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of Figure 1.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메타버스 상의 상거래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는 무엇들이 존재하고, 이들 정보가 어디에 사용되는지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기본적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을 사용하는 소비자 고객의 정보는 구매한 가상 상품에 대하여 권한이나 식별을 위해 임의적인 추가나 변동은 발생하면 안되는 주요한 고유 정보이다. 이 고유 정보는 가상 상품에 대한 소유 권한의 개념이 아닌 자가 증빙 개념이며, 소유 권한을 규정하기 위한 기본 전제이다. 즉, 이들 정보는 메타버스 상의 상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소유권 및 매매 정보를 정의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법적 권익 보호를 위해서 해당 데이터는 서버 즉 도 1의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상에서 반드시 관리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리 받아야 하는 정보는 기업 고객의 정보와 기업 고객의 데이터 저작권 정보, 제품 정보, 소비자 고객 정보 등이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5, it is necessary to first define what data is needed for transactions on the metaverse and where this information is used. Basically, the information of consumer customers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is key unique information that should not be arbitrarily added or changed for the purpose of authority or identification of the purchased virtual goods. This unique information is not a concept of ownership rights for virtual goods, but a concept of self-verification, and is a basic premise for defining ownership rights. In other words, since this information is used to define ownership and transaction information for conducting transactions on the metaverse, the data must be managed on the server, i.e.,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of FIG. 1, in order to protect legal rights. This information that must be managed includes corporate customer information, corporate customer data copyright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consumer customer information, etc.
위의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상품의 매매 이력, 기업 고객과 소비자 고객 간의 매매 이력 등을 블록체인으로 연동하게 되면, 소비자 고객의 권리와 제공받을 데이터 정보, 원작자(또는 기업)의 권익을 동시에 보호할 수 있는 안전한 메타버스 상거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if the transaction history of virtual goods, transaction history between corporate customers and consumer customers, etc. are linked to the blockchain, a safe metaverse transaction environment can be created that simultaneously protects the rights of consumer customers, the data information to be provided, and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original creator (or company).
거래 명세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데이터는 크게 가상 상품 개제 정보, 가상 상품 매매 정보로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가상 상품 개제 정보는 각 가상 상품 거래에 대한 블록체인의 최초 블록이며, 가상 상품의 저작권 및 최초 판매 권한을 보유한 기업 고객만이 등록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가상 상품 개제 정보 블록 하위로 기업 고객으로부터 가상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의 구매 이력과, 구매한 가상 상품을 소비자 고객이 다른 소비자 고객과 매매하는 이력을 하위 블록체인으로 연결한다.The data that constitutes the transaction specification blockchai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virtual product introduction information and virtual product transaction information. Virtual product introduction information is the first block of the blockchain for each virtual product transaction, and only corporate customers who have the copyright and first sale rights for the virtual product can register it. The purchase history of consumers who purchased virtual products from corporate customers and the history of consumer customers trading purchased virtual products with other consumer customers are connected to the lower blockchain.
가상 상품 개제 정보의 구조는 모든 가상 상품 매매 정보 블록의 최상단에 존재하는 블록이며, 매매가 아닌 원 저작권(예: 제품 정보)을 보호하기 위한 블록이다. 해당 블록에는 판매 대상이 되는 데이터의 정보(예: 원작자(기업 또는 판매자) 정보, 원본 데이터 식별자 등)가 포함된다.The structure of the virtual product introduction information is a block that exists at the top of all virtual product transaction information blocks, and is a block for protecting original copyrights (e.g. product information) rather than transactions. The block includes information on the data being sold (e.g. original author (company or seller) information, original data identifier, etc.).
가상 상품 매매 정보의 구조는 기존의 블록체인 데이터 구조를 승계하며, 메타버스 상거래를 위한 데이터(예: 판매자, 구매자, 매매 대상 식별자, 가격, 거래일시)와 위조 방지 데이터를 포함하여 암호화 및 압축 후 거래 이력 블록체인에 적용한다.The structure of virtual goods trading information inherits the existing blockchain data structure, and includes data for metaverse trading (e.g. seller, buyer, trading target identifier, price, transaction date and time) and anti-forgery data, and applies it to the transaction history blockchain after encryption and compression.
서비스 제공 중 거래 명세 블록체인을 원활히 유지하기 위해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노드 간의 리소스 소모는 필수적이나, 일반 유저들의 노드에 수많은 블록체인 데이터를 유지시키기란 무리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구매자 유저의 노드가 상시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하나의 동일한 블록체인 DB 원칙에 위배된다. 때문에, 상시 블록체인을 기록 및 유지하기 위한 슈퍼 노드의 개념이 필요하다.In order to smoothly maintain the transaction specification blockchain during service provision, resource consumption between user nodes using the service is essential, bu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large amount of blockchain data on the nodes of general users. In addition, since the nodes of general purchase users are not always active, it violates the principle of a single identical blockchain DB. Therefore, the concept of a super node is necessary to record and maintain the blockchain at all times.
플랫폼을 제작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와, 플랫폼 내에 제품 판매 및 홍보를 위해 입점하는 판매자(예: 기업 및 개인 판매자)는 슈퍼 노드의 역할을 수행할 의무가 있으며, 슈퍼 노드 간에는 하나의 동일한 블록체인 DB 유지를 위한 동기화가 수시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 생성된 아이템의 소유권 이전(예: 일반 사용자들 간의 거래)에 대한 추적이 가능하도록 블록체인 데이터를 유지하여야 한다.Service providers who create platforms and provide services, and sellers (e.g., corporate and individual sellers) who enter the platform to sell and promote products, are obligated to act as super nodes, and synchronization is performed regularly between super nodes to maintain a single, identical blockchain DB. In addition, blockchain data must be maintained to enable tracking of ownership transfers of created items (e.g., transactions between general users).
반면, 일반 소비자 노드의 경우 모든 블록체인 데이터를 소지할 필요가 없을뿐더러, 본인의 상품 매매 이력에 대한 접근 외에 추가적인 권한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품의 소유권 이전 이력을 추적하기 위해 모든 데이터를 유지하여야 하는 블록체인과 달리, 사용자 입장에서는 본인의 소유권이 말소된 상황에서 해당 제품의 정보를 상시 보유할 이유가 없다. 고로, 일반 소비자는 전체 블록체인 데이터를 소지하지 아니하며, 블록체인 내 본인의 정보를 추적할 수 있는 인덱싱(indexing) 정보와 공개키만 보유하고 있으면 된다.On the other hand, for general consumer nodes, there is no need to possess all blockchain data, and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dditional authority other than access to the history of one's own product purchases. In addition, unlike blockchains that must maintain all data to track the history of product ownership transfers, users have no reason to constantly retain information about a product in a situation where their ownership has been canceled. Therefore, general consumers do not possess all blockchain data, and only need to possess indexing information and public keys that can track their own information within the blockchain.
슈퍼 노드를 유지하는 판매자 사용자는 물리적인 서비스 리소스(resource)를 유지하기 위해 비용을 들여야 하는 대신, 서비스 내에 등록된 모든 블록체인 데이터를 보유하므로, 해당 데이터를 활용한 시장 동향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Instead of having to pay for maintaining physical service resources, merchant users who maintain super nodes can collect market trend information by utilizing all blockchain data registered within the service.
블록체인 데이터에는 '누가' 판매하는 '어떠한 제품을' '언제', '누구에게' 판매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담겨져 있으나, 이 데이터를 유효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서비스 클라우드 서버와 직접적으로 연동하고 권한을 인계받고, 블록체인을 유지하는 슈퍼 노드(예: 기업 사용자)는 해당 자료를 활용해 소비자 고객의 충성도를 확보 및 유지하고 맞춤형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한 단계 앞설 수 있을 것이다.Blockchain data contains information about 'who' sells 'what product', 'when', and 'to whom', but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is data, super nodes (e.g. corporate users) that directly connect with the service cloud server that holds the service data, take over authority, and maintain the blockchain can utilize the data to secure and maintain consumer loyalty and go one step ahead in providing customized, high-quality services.
도 6은 도 1의 메타버스 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Figure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of Figure 1.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600), 제어부(610), 메타버스 서비스부(620) 및 저장부(6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6,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art or all of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a control unit (610), a metaverse service unit (620), and a storage unit (630).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6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가 구성되거나 메타버스 서비스부(6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6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some or all” means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the storage unit (630), may be omitted to configure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or some components, such as the metaverse service unit (620), may be integrated into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control unit (610), and in order to help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it is described as including all.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는 도 1의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서드파티장치(130)와 각각 통신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메타버스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며, 구매자의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통해 가상 제품의 구매 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처리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는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변/복조, 먹싱/디먹싱, 인코딩/디코딩, 해상도를 변환하는 스케일링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third-party device (13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of Fig. 1, respectively. It provides a metaverse service screen according to a service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in the case of a purchaser, if there is a purchase request for a virtual product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t performs an operation for processing it.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se operation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can perform operations such as modulation/demodulation, muxing/demuxing, encoding/decoding, and scaling to convert the resolution, which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further explanation is omitted.
제어부(610)는 도 6의 통신 인터페이스부(600), 메타버스 서비스부(620) 및 저장부(6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대표적으로 제어부(610)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메타버스 서비스부(620)를 제어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해 그에 따라 메타버스 서비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10)는 메타버스의 가상 화면상에서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소지하는 구매자가 가상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 이의 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메타버스 서비스부(620)와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10) is responsible for the overall control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metaverse service unit (620), and storage unit (630) of Fig. 6. For example, when there is a service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of Fig. 1, the control unit (610) can control the metaverse service unit (620) to execute a program and provide a metaverse service screen accordingly. In addition, when a purchaser holding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purchases a virtual product on the virtual screen of the metaverse, the control unit (610) can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metaverse service unit (620) to process data thereof.
다시 말해, 제어부(610)는 메타버스 서비스부(620)를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를 생성하여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의 과정에서 제어부(610)는 메타버스 서비스부(620)의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으로 NFT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하여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노드, 가령 도 1의 서드파티장치(130) 등으로 데이터를 공유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를 제어한다.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610) executes the metaverse service unit (620) to generate an N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erforms an operation for storing and managing it based on a blockchain. In this process, the control unit (610) may share data with a node forming a blockchain, such as a third-party device (130) of FIG. 1, to store and manage NFT data based on a blockchain at the request of the metaverse service unit (620), and control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for this purpose.
메타버스 서비스부(620)는 가상 제품이나 가상 제품과 연계하여 실물 제품을 판매하기 위한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통상 메타버스는 가상의 공간에 서비스에 접속하는 사용자를 대표하는 아이콘 등이 현실에서와 같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가상의 매장에 서비스에 접속한 고객들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구업체에서 가구를 판매하고자 할 때, 서비스에 제품을 등록한 경우, 해당 제품에 어떠한 고객들이 관람하고 있는지 아이콘 등을 통해 그 모습을 확인할 수도 있다. 메타버스 서비스부(620)는 이와 같이 기존과 같은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metaverse service department (620) provides a metaverse service for selling virtual products or real products in connection with virtual products. Typically, the metaverse provides a service by allowing users who access the service in a virtual space to participate in the same way as in reality through icons representing the user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heck where customers who access the service are located in a virtual store. For example, when a furniture company wants to sell furniture and registers the product in the service, it is possible to check which customers are viewing the product through icons, etc. The metaverse service department (620) provides a metaverse service similar to the existing one.
또한, 메타버스 서비스부(620)는 오프라인과 연계하여 메타버스 화면에서 판매되는 제품에 대한 실물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또는 단순히 가상 공간에서 가상 제품만을 판매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자의 경우에는 실물 배송을 통해 소유권 증빙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위변조 문제를 걱정할 필요가 없지만, 후자의 경우와 같이 가상 제품을 판매하고 이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위변조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가상 제품의 판매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소유권을 증빙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the metaverse service department (620) can provide a service to enable physical delivery of products sold on the metaverse screen in conjunction with offline, or simply provide a service to sell only virtual products in a virtual space. In the former case, there is no need to worry about forgery because proof of ownership can be achieved through physical delivery, but in the latter case, when selling virtual products and processing their data, the forgery issue needs to be considered. In this regard, when selling virtual products, it is necessary to prove ownership.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비스부(620)는 가상 제품의 판매가 있는 경우, NFT 형태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이때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블록체인 기반으로 NFT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한다. 무엇보다 메타버스 서비스부(620)는 기존의 NFT에서 제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상 제품의 이미지나 모델링 데이터와 같은 원본 데이터는 도 1의 DB(120a) 등에 그대로 유지하면서 판매가 있는 경우 해당 제품의 원본 데이터를 이용해 사본 데이터를 만들고, 그에 매칭되는 고유키를 생성하여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 및 관리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본 데이터의 훼손이 있는 경우에는 원본 데이터를 통해 복구시키며, 또 원본 데이터의 훼손시에는 사본 데이터로 복구시킨다. 이를 통해 가상 제품의 이미지나 모델링 데이터의 훼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 metaverse service unit (6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stores and manages data in the form of an NFT when a virtual product is sold, and at this time, applies blockchain technology to store and manage the data in the form of an NFT based on a blockchain. Above all, in order to solve problems that may arise in existing NFTs, the metaverse service unit (620) maintains original data such as images or modeling data of virtual products as they are in the DB (120a) of FIG. 1, and when there is a sale, creates copy data using the original data of the relevant product, and creates a unique key matching it to store and manage it based on a blockchain. Accordingly, when the copy data is damaged, it is restored using the original data, and when the original data is damaged, it is restored using the copy data. Through this, the problem of damage to images or modeling data of virtual products can be solved.
NFT에는 판매되는 가상 제품에 대한 사본 데이터에 접속할 수 있는 즉 가리키는 주소정보와, 파일 시스템 정보, 그리고 매매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소유권 증빙이 필요할 때 즉 트랜잭션이 발생할 때 NFT를 통해 각 노드의 사본 데이터 등에 접속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소유권 증빙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고유키를 가진 사본 데이터에 문제가 발행했다고 판단될 때 가령 고유키를 통해 원본 데이터에 접속하여 원본 데이터를 통해 사본 데이터를 복구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NFTs can include address information that can access copy data for virtual products being sold, file system information, and transaction information. Therefore, when proof of ownership is required, that is, when a transaction occurs, the copy data of each node can be accessed through the NFT, and the proof of ownership oper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this process. In this proces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problem has occurred in the copy data with the unique key, for example, the original data can be accessed through the unique key and the copy data can be restored through the original data.
저장부(630)는 제어부(6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유형의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정보나 데이터는 실무상 혼용되므로 그 용어의 개념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영상처리에서 압축 데이터는 화소 데이터와 해당 화소 데이터가 어떠한 형태로 압축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인코딩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용어를 구분할 필요가 있지만, 통상적으로는 혼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두 용어를 특별히 구분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용어를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The storage unit (630)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r data proces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10). Here, since the terms information and data are used interchangeably in practice, the concepts of the terms will not be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in image processing, compressed data may include pixel data and encoding information that can determine the form in which the pixel data is compressed. In such cases, the terms need to be distinguished, but they are usually used interchangeably.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two terms, so the terms will not be specifically limited.
저장부(630)는 가령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가상 제품의 구매가 있는 경우 제어부(610)의 제어하에 구매와 관련한 구매 정보 등을 저장부(63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후 메타버스 서비스부(620)의 요청에 따라 저장부(630)는 구매 정보를 출력하여 해당 정보를 이용해 NFT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virtual product is purchased from a user terminal device (100), the storage unit (630) can store purchas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urchase in the storage unit (6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10). Thereafter, at the request of the metaverse service unit (620), the storage unit (630) can output the purchase information and use the information to create an NFT.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6의 통신 인터페이스부(600), 제어부(610), 메타버스 서비스부(620) 및 저장부(6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control unit (610), metaverse service unit (620), and storage unit (630) of Fig. 6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other detailed information has been sufficiently explained above, so those contents will be used instea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통신 인터페이스부(600), 제어부(610), 메타버스 서비스부(620) 및 저장부(630)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하드웨어 모듈로 구성되지만, 각 모듈은 내부에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해당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집합이고, 각 모듈은 하드웨어로 형성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소프트웨어니 하드웨어니 하는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630)는 하드웨어인 스토리지(storage) 또는 메모리(memory)일 수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보를 저장(repository)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the control unit (610), the metaverse service unit (620), and the storage unit (630) of FIG. 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as hardware modules that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each module may store software for performing the above operations therein and execute the same. However, the software is a collection of software modules, and each module may be formed of hardware, so there will be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configuration, such as software or hardware.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630) may be hardware, such as storage or memory. However, since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information (repository) in a software manner, there will be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abov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6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 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의 동작 초기에 메타버스 서비스부(6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610) may include a CPU and a memory,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chip. The CPU may include a control circuit, an operation unit (ALU), a command interpretation unit, and a registry, and the memory may include a RAM. The control circuit may perform a control operation, the operation unit may perform an operation of binary bit information, and the command interpretation unit may include an interpreter or a compiler to convert a high-level language into machine language and vice versa, and the registry may be involved in software data storag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for example, at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of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a program stored in the metaverse service unit (620) may be copied and loaded into the memory, that is, the RAM, and then executed, thereby rapidly increasing the data operation processing speed.
도 7은 도 1의 메타버스 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of Figure 1.
설명의 편의상 도 7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가상 상품(예: 가구 등)을 판매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화면을 제공한다(S700). 물론 이에 앞서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판매자가 가상 상품을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가상 상품과 관련한 이미지나 3D 모델링 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referring to FIG. 7 together with FIG. 1,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averse service screen for selling virtual goods (e.g., furniture, etc.) in response to a service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device (100) (S700). Of course, before this, the sell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can perform a procedure for registering a virtual good. Images or 3D modeling data related to the virtual good can be registered.
또한,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는 제공한 메타버스의 서비스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임의의 가상 상품을 구매할 때 가상 상품의 원본 데이터(예: 이미지, 모델링 데이터 등)에 대한 사본 데이터에 링크되는 주소 정보 및 소유권에 대한 계약 정보를 NFT 형태로 생성하여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노드에 저장 및 관리한다(S710).In addition, when a user of a user terminal device (100) purchases any virtual product on the service screen of the provided metaverse,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generates address information and contract information on ownership linked to copy data for the original data (e.g., image, modeling data, etc.) of the virtual product in the form of an NFT and stores and manages it in a node forming a blockchain (S710).
다시 말해,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는 가상 상품의 구매가 있을 때 가상 상품의 원본 데이터를 복사하여 사본 데이터를 만들고 원본 데이터와 연계하여 사본 데이터를 저장하며, 블록체인기술에 사용하기 위해 생성되는 NFT에는 사본 데이터를 가리키는 주소정보 등을 생성하여 소유권 증빙이 있을 때 해당 주소정보를 통해 사본 데이터에 접속하여 해당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의 과정에서 원본 데이터 또는 사본 데이터의 훼손이 있는 경우 가령 사본 데이터가 훼손되었을 때 원본 데이터를 통해 복구시킴으로써 메타버스를 통한 상거래 시스템에서 안전한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a virtual product is purchased,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copies the original data of the virtual product to create copy data, stores the copy data in connection with the original data, and creates address information, etc. pointing to the copy data for the NFT created for use in blockchain technology, so that when there is proof of ownership, the copy data is accessed through the address information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n the process, if the original data or copy data is damaged, for example, when the copy data is damaged, it is restored through the original data, thereby enabling safe transactions in the transaction system through the metaverse.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메타버스 서비스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metaverse service device (120) of Fig. 1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other detailed information has been sufficiently explained above, so those contents will be used instead.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Meanwhile, even if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as one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uch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operated one or more times.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a program module that performs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combined in one or more hardware. The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may be easily inferr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stored in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non-transitory readable storage medium means a medium that semi-permanently stores data and can be read by a device, rather than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a register, cache, or memory.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programs can be stored and provided on a non-transitory 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a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or ROM.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Furthermore, such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사용자 단말장치 110: 통신망
120: 메타버스 서비스장치 130: 서드파티장치
600: 통신 인터페이스부 610: 제어부
620: 메타버스 서비스부 630: 저장부100: User terminal 110: Communication network
120: Metaverse service device 130: Third-party device
600: Communication interface section 610: Control section
620: Metaverse Service Department 630: Storage Department
Claims (10)
상기 제공한 메타버스의 서비스 화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임의의 가상 상품을 구매할 때 상기 가상 상품의 원본 데이터에 대한 사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사본 데이터에 링크하여 상기 원본 데이터에 접속 가능한 주소 정보 및 상기 가상 상품의 소유권에 대한 계약 정보를 NFT(Non-Fungible Token) 형태로 생성하여 블록체인(Block chain)을 형성하는 노드(node)에 저장 및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하는 주소 정보 및 계약 정보로서 상기 가상 상품과 관련한 이미지의 원본 데이터에 접근 가능한 주소 정보, 파일명이나 생성일 또는 사이즈에 관련되는 파일 시스템 정보, 및 매매 정보를 상기 NFT 형태로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T 형태로 생성시 상기 가상 상품과 관련한 사본 데이터 및 상기 사본 데이터에 매칭되는 고유키를 생성해 상기 원본 데이터에 매칭하여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의 소유권 증명시 상기 사본 데이터를 이용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본 데이터가 훼손되었다고 판단될 때 상기 고유키를 통해 상기 원본 데이터에 접속하여 상기 원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훼손된 사본 데이터를 복구시키는, 블록체인기술이 적용된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A communication interface section that provides a Metaverse service screen for selling virtual goods in response to a service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device; and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copy data for original data of the virtual product when a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purchases any virtual product on the service screen of the metaverse provided above, links the generated copy data to create address information that can access the original data and contract information on ownership of the virtual product in the form of an NFT (Non-Fungible Token), and stores and manages it in a node forming a blockchain; including,
The above control unit generates address information that can access the original data of the image related to the virtual product as the linking address information and contract information, file system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le name, creation date, or size, and transac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the NFT,
The above control unit generates copy data related to the virtual product and a unique key matching the copy data when generating in the form of the NFT, and manages them by matching them to the original data, and uses the copy data when proving the user's ownership.
The above control unit is a metaverse service device to which blockchain technology is applied, which accesses the original data through the unique ke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py data has been damaged and uses the original data to restore the damaged copy data.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상 상품에 대한 실물 배송 요청이 있는 경우 배송이 이루어진 실물 상품에 대한 상기 소유권의 증명을 미수행하는 블록체인기술이 적용된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ontrol unit is a metaverse service device using blockchain technology that does not perform proof of ownership for the physical product that has been delivered when a request for physical delivery of the virtual product is made by the user.
제어부가, 상기 제공한 메타버스의 서비스 화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임의의 가상 상품을 구매할 때 상기 가상 상품의 원본 데이터에 대한 사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본 데이터에 링크하여 상기 원본 데이터에 접속 가능한 주소 정보 및 상기 가상 상품의 소유권에 대한 계약 정보를 NFT 형태로 생성하여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노드에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링크되는 주소 정보 및 계약 정보로서 상기 가상 상품과 관련한 이미지의 원본 데이터에 접근 가능한 주소 정보, 파일명이나 생성일 또는 사이즈에 관련되는 파일 시스템 정보, 및 매매 정보를 상기 NFT 형태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NFT 형태로 생성시 상기 가상 상품과 관련한 사본 데이터 및 상기 사본 데이터에 매칭되는 고유키를 생성해 상기 원본 데이터에 매칭하여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의 소유권 증명시 상기 사본 데이터를 이용하는 단계; 및
상기 사본 데이터가 훼손되었다고 판단될 때 상기 고유키를 통해 상기 원본 데이터에 접속하여 상기 원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훼손된 사본 데이터를 복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기술이 적용된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의 구동방법.A step in whic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section provides a metaverse service screen for selling virtual goods in response to a service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device; and
The control unit generates copy data for the original data of the virtual product when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purchases any virtual product on the service screen of the metaverse provided, and links to the copy data to generate address information that can access the original data and contract information on the ownership of the virtual product in the form of an NFT, and stores and manages them in a node forming a blockchain; including;
The above storage and management steps are:
A step of generating address information that can access the original data of the image related to the virtual product as the linked address information and contract information, file system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le name, creation date, or size, and transac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the NFT;
A step of generating copy data related to the virtual product in the form of the NFT and a unique key matching the copy data, managing them by matching them to the original data, and using the copy data when proving the user's ownership;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bove copy data has been damaged, a step of accessing the original data through the unique key and restoring the damaged copy data using the original data;
A method for operating a metaverse service device that includes blockchain technology.
상기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상 상품에 대한 실물 배송 요청이 있는 경우 배송이 이루어진 실물 상품에 대한 상기 소유권의 증명을 미수행하는 블록체인기술이 적용된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의 구동방법.In Article 6,
The above storage and management steps are:
A method of operating a metaverse service device using blockchain technology that does not perform proof of ownership of a physical product that has been delivered when a request for physical delivery of the virtual product is made by the u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10144840 | 2021-10-27 | ||
KR1020210144840 | 2021-10-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0425A KR20230060425A (en) | 2023-05-04 |
KR102718414B1 true KR102718414B1 (en) | 2024-10-16 |
Family
ID=86379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5592A Active KR102718414B1 (en) | 2021-10-27 | 2022-01-14 | Metaverse Service Apparatus with Blockchain Technolog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18414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515238A (en) * | 2013-02-19 | 2016-05-26 | アマゾ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Purchase of real and virtual products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21934A (en) * | 2006-02-20 | 2006-03-08 | 김창선 | Distributed Data Backup System |
KR20130131179A (en) | 2012-05-23 | 2013-12-03 |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 Cyber model house system using metaverse |
MX2018010048A (en) | 2016-02-23 | 2019-01-21 | Nchain Holdings Ltd | Universal tokenisation system for blockchain-based cryptocurrencies. |
KR20200103275A (en) * | 2019-02-25 | 2020-09-02 | 주식회사 호두잇 | Block-chain based sharing system of game resources |
KR20200115787A (en) * | 2019-03-26 | 2020-10-08 | 한국마필거래소 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massive data based on block chain |
KR20210037274A (en) * | 2019-09-27 | 2021-04-06 | 구대근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
KR20210086035A (en) | 2019-12-31 | 2021-07-08 | 주식회사 마일즈랩 | Method for proving original based on block chai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KR20210063284A (en) | 2021-05-12 | 2021-06-01 | 김권태 | Blockchain-based exhibition experience solution on Metaverse platform |
KR102322511B1 (en) | 2021-07-19 | 2021-11-08 | 주식회사 와이콘즈 | Managing method for code related to non-fungible token and apparatus therefor |
-
2022
- 2022-01-14 KR KR1020220005592A patent/KR10271841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515238A (en) * | 2013-02-19 | 2016-05-26 | アマゾ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Purchase of real and virtual produc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0425A (en) | 2023-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869444A1 (en) | Handling management device | |
US20210357893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ommerce in a distributed system with blockchain protocols and smart contracts | |
US20180349893A1 (en) | System for outputting product traceability code | |
Chen et al. | Bootstrapping a blockchain based ecosystem for big data exchange | |
US20160203572A1 (en) | Method to securely establish, affirm, and transfer ownership of artworks | |
US20220284447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authenticating physical products via near field communication tags and recording authentication transactions on a blockchain | |
KR20200062640A (en) | Method for managing artwork transaction inforamtion based on blockchain and node apparatus of blockchain | |
CN117670339A (en) | System and method for using digital assets | |
CN108537047B (en) |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information based on block chain | |
US20240330905A1 (en) | Nf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nft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 |
KR20210107471A (en) | Block chain system for transacting art work and managing information of art work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12085551A (en) | Transaction method based on block chain and related equipment | |
KR20240107059A (en) | Digital image transaction system using NFT and blockchain technologies | |
KR10220576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allet for Enhancing Security And keeping Crypto-currency | |
US20230394480A1 (en) | Method and Related Systems for Minting and Transacting Non-Fungible Enterprise Loyalty Tokens | |
US20230012276A1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centralized E-Commerce | |
US20240211847A1 (en) | Product Rights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ing Secure Tags and Cryptographic Tokens | |
US20240330902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graphics for cryptographic tokens | |
KR102718414B1 (en) | Metaverse Service Apparatus with Blockchain Technolog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Mell et al. | Non-Fungible Token Security | |
KR102528059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urchasing and selling NFT-based commodity content | |
WO2023144770A2 (en) |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virtual goods | |
TWM565363U (en) | Blockchain-based virtual currency integration system | |
Kresyanpol et al. | Application of blockchain technologies for preservation and dissemination of cultural heritage through NFT | |
US20240428230A1 (en) | Method and Systems for Licensing Motion Capture Files with NFTs via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while Using AI-Based Volumetric Data and Motion Capture Technology to Create and Distribute Body Expressive Emotes for Gaming Companies and Mo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6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