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8405B1 - Plug connector - Google Patents

Plug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8405B1
KR102718405B1 KR1020190023447A KR20190023447A KR102718405B1 KR 102718405 B1 KR102718405 B1 KR 102718405B1 KR 1020190023447 A KR1020190023447 A KR 1020190023447A KR 20190023447 A KR20190023447 A KR 20190023447A KR 102718405 B1 KR102718405 B1 KR 102718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or
plug
extension
wall portion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4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04726A (en
Inventor
정승호
Original Assignee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3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8405B1/en
Priority to JP2020026940A priority patent/JP7561499B2/en
Priority to CN202020205952.8U priority patent/CN211605467U/en
Publication of KR20200104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7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8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840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소켓 커넥터(20)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10)가 제공된다.
플러그 커넥터(10)는, 기저부(110)와, 기저부(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내지 제4 벽부(120, 130, 140, 150)를 포함하는 몰드부(100); 및 제1 벽부(120)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연장부(220)와, 제1 연장부(22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기저부(1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연장부(230)를 포함하는 제1 아암부(210)를 갖는 제1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고, 제2 연장부(230)는, 제1 연장부(220)의 일단으로부터 기저부(110)의 하면에 도달하기까지, 플러그 커넥터(10)의 외측 방향을 향하는 경사부를 이루며 연장되며, 제2 연장부(23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벽부(120)에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장부는 노출되어 있다.
A plug connector (10) is provided that is coupled to a socket connector (20).
The plug connector (10) comprises a mold portion (100) including a base portion (110) and first to fourth wall portions (120, 130, 140, 150)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10); And a first plug terminal having a first arm portion (210) including a first extension portion (220) extending along an upper surface of a first wall portion (120),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230)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20) and protruding from a lower surface of a base portion (110), wherein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0) extends from on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2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10) while forming an inclined portion facing outwardly of the plug connector (1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0) is embedded in the first wall portion (120),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is exposed.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PLUG CONNECTOR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g connecto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g connector including a power terminal.

일반적으로, 기판들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솔더링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기판과 연결되는 두 개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상기 두 개의 커넥터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커넥터 중 하나는 플러그 커넥터이며, 나머지 하나는 소켓 커넥터이다. 소켓 커넥터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몰드부에 단자를 배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In general, when substrates are interconnected, two connectors are used, which are connected to each substrate by a method such as soldering, and the two connector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one of the two connectors is a plug connector, and the other is a socket connector. The socket connector is also called a receptacle connector. These plug connectors and socket connectors can be formed by arranging terminals in a mold part. The plug connector and socket connector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전자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도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커넥터가 소형화 및 저배화됨에 따라, 커넥터의 몰드부가 쉽게 파손되어 뭉개짐 등이 발생하거나, 원치 않는 납오름(solder wick)이 발생하거나, 원하는 정도의 단자 지지력이 발휘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As electronic devices become smaller, connectors are also required to be smaller and have a lower profile. However, as connectors become smaller and have a lower profile, problems arise, such as the mold part of the connector being easily damaged and crushed, unwanted solder wicks occurring, or the terminal support strength not being as strong as desir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강도 및 실장성이 개선되고, 실장시에 틈새를 통한 납오름(solder wick)이 최소화되고, 몰드부의 파손이 최소화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ug connector in which strength and mountability are improved, solder wick through a gap during mounting is minimized, and damage to a mold portion is minimiz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의하면, 소켓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로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2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1 벽부와 대향하는 제3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2 벽부와 대향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및 제1 아암부를 포함하는 제1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부는, 상기 제1 벽부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저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기저부의 하면에 도달하기까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측면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이루며 연장되며, 상기 제2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벽부에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장부는 노출되어 있는 플러그 커넥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g connector coupled to a socket connector comprises a mold portion including a base portion, a first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 second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intersecting the first wall portion, a third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intersecting the second wall portion and facing the first wall portion, and a fourth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intersecting the first and third wall portions and facing the second wall portion; And a plug connector including a first plug terminal including a first arm portion, wherein the first arm portion includes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along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ll portion,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protru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wherein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s from on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forms an inclined portion inclined in a lateral outer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is embedded in the first wall portion,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is expo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기저부의 하면에 평행하게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실장부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that protrudes outwardly of the plug connector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플러그 단자의 종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면은 원의 일부이다.Preferably, when viewed in cross-section of the first plug termin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is a portion of a circle.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플러그 단자의 종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면은 하방이 뚫린 ㄷ자 형상이다.Preferably, when viewed in cross-section of the first plug termin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has a ㄷ shape with the lower end open.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플러그 단자의 종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벽부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가지며, 상기 내측면과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는 5~40도이다.Preferably, when viewed in cross-section of the first plug termin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the first wall portion has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and an angle formed by the inner surface and the cross-sec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is 5 to 40 degrees.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아암부는, 상기 제1 연장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1 벽부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연장부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first arm portion further includes a thir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wall por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벽부와 상기 제4 벽부의 어느 일방 또는 양방 상에, 상기 제1 플러그 단자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복수의 제2 플러그 단자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device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second plug terminal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first plug terminal on one or both of the second wall portion and the fourth wall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플러그 단자는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플러그 단자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한다.Preferably, the first plug terminal inputs and outputs a power electrical signal,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lug terminals input and output a data electrical sig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플러그 단자는,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에 걸쳐 배치되는 제2 아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아암부는, 상기 기저부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실장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first plug terminal further includes a second arm portion arranged across the first wall portion and the second wall portion, and the second arm portion includes a second mounting portion extending along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플러그 단자는,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4 벽부에 걸쳐 배치되는 제3 아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아암부는, 상기 기저부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실장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first plug terminal further includes a third arm portion arranged across the first wall portion and the fourth wall portion, and the third arm portion includes a third mounting portion extending along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연장부의 하단부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3 연장부는 제1 절곡부를 통해 상기 제1 아암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3 연장부는 제2 절곡부를 통해 상기 제2 아암부와 연결되어 있다.Preferably, a cut-out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extension portion, and when the plug connector is viewed from above, the third extens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arm portion through the first bend portion, and the third extens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arm portion through the second bend por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에서 단자 지지력이 강화된다. 단자 지지력이 높다 함은 실장 후에 몰드부로부터 플러그 단자가 잘 분리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되고 서로 결합된 후에, 하나의 커넥터를 발거(즉, 커넥터끼리 분리)하는 경우에 전원 단자가 이탈되는 문제 또한, 이러한 몰드와 단자의 지지력/부착력의 강화에 의해 완화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support force of a plug connector is strengthened. High terminal support force means that the plug terminal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mold part after mounting. When a plug connector and a socket connector are mounted on a board and coupled to each other, and one connector is removed (i.e., the connector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problem of the power terminal being detached can also be alleviated by strengthening the support force/adhesion force of the mold and the terminal.

또한, 납오름(solder wick)이 방지된다. 실장부는 기판에 납땜(soldering)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실장되는데, 이러한 납땜 과정에서 좁은 틈으로 액체가 침투하는 현상, 즉, 삼투압에 의해 액체 상태의 땜남이 실장부를 타고 올라갈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예컨대, 제3 연장부(240)가 몰드부 내에 매립되어 있으며 노출되어 있지는 않은 구조이므로,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납오름의 가능성은 작아진다. In addition, solder wick is prevented. The mounting portion is mounted by being attached to the substrate by soldering, and during this soldering process, there is a concern that liquid may penetrate into a narrow gap, that is, that the liquid solder may rise up the mounting portion due to osmotic pressure. However, i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third extension portion (240) is embedded in the mold portion and is not exposed, so the possibility of solder wick is reduced compared to when it is exposed.

또한, 제1 몰드부(100)를 인서트 몰딩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몰드와 단자 사이의 틈을 없애고 그에 의해서도 납오름의 가능성은 한층 더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first mold part (100) by insert molding, the gap between the mold and the terminal can be eliminated, thereby further reducing the possibility of soldering.

한편,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면 전원 단자 부근에서 몰드면이 전원 단자에 닿을 확률 및 횟수가 줄어들며 그에 따른 몰드의 쓸림, 뭉개짐(burr 등)이 줄어든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ability and number of times the mold surface touches the power terminal near the power terminal are reduced, and thus, wear and tear (burrs, etc.) of the mold are reduced.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exemplified above, and further diverse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 및 소켓 커넥터(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a의 사시도에서 제1 몰드부(100)를 제외한 경우에 단자(200, 300)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 2a의 좌측 하단(제1 벽부(120) 부근)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4b는 도 4a에서 제1 몰드부(100)를 제외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제3 벽부(140) 부근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b는 도 5a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제3 벽부(140) 부근에서의 플러그 커넥터(10) 및 소켓 커넥터(20)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제3 벽부(140) 근방에서 (제1 아암부(210)의) 제1 연장부(220) 및 제2 연장부(230) 등과 (제1 몰드부(100)의) 제3 벽부(140) 사이의 단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b의 단면과 관련하여 플러그 커넥터(10)과 소켓 커넥터(20)가 결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drawing showing a plug connector (10) and a socket connecto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2b and 2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rawing showing the arrangement of terminals (200, 300) in the perspective view of FIG. 2a, excluding the first mold portion (100).
Fig. 4a is an enlarged drawing of the lower left portion (near the first wall portion (120)) of Fig. 2a, and Fig. 4b is a drawing showing Fig. 4a excluding the first mold portion (100).
Fig. 5a is a drawing showing the vicinity of the third wall (140) of the plug connector (10), and Fig. 5b is a drawing showing the AA' cross-section of Fig. 5a.
Figures 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portion of a plug connector (10) and a socket connector (20) near the third wall portion (140).
FIGS. 7A and 7B are drawings showing the step between the first extension (220) and the second extension (230) (of the first arm portion (210)) and the third wall portion (140) (of the first mold portion (100)) near the third wall portion (140).
FIG. 8 is a drawing showing a case where a plug connector (10) and a socket connector (20) are coupled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 of FIG. 5b.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e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includes both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the other component, or where there are other intervening components.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or "directly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indicates that there are no other intervening components.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or "on" another componen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on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with other intervening components. In contras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on" or "directly above" another component, it indicates that there are no intervening components. 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and the like may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one component and another component,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elements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elements depicted in a drawing are flipped,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another element may end up being "above" the other element.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both the above and below directions. The elem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direc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includes the plural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as used herei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component referred to below may also be a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a meaning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all not be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 및 소켓 커넥터(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 is a drawing showing a plug connector (10) and a socket connecto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상부에는 플러그 커넥터(1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의 하부에는 소켓 커넥터(20)가 도시되어 있다.A plug connector (10) is illustrated in the upper part of Fig. 1, and a socket connector (20) is illustrated in the lower part of Fig. 1.

플러그 커넥터(10)는 제1 몰드부(100), 제1 플러그 단자(200), 제2 플러그 단자(300) 등을 포함한다.The plug connector (10) includes a first mold portion (100), a first plug terminal (200), a second plug terminal (300), etc.

도 1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10)에서는 구조 확인의 편의상 제1 플러그 단자(200) 및 제2 플러그 단자(300)가 상방을 향하고 있으나, 실제 결합시에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10)를 (도 2c와 같이) 상하 반전하여 제1 플러그 단자(200) 및 제2 플러그 단자(300)가 하방을 향하도록 한 후에, 도 1의 하단에 도시된 소켓 커넥터(20)에 결합한다.In the plug connector (10) shown in Fig. 1, for the convenience of structural confirmation, the first plug terminal (200) and the second plug terminal (300) are facing upward. However, when actually coupled, the plug connector (10) shown in Fig. 1 is flipped upside down (as shown in Fig. 2c) so that the first plug terminal (200) and the second plug terminal (300) face downward, and then coupled to the socket connector (20) shown at the bottom of Fig. 1.

이러한 결합을 위한 소켓 커넥터(2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ocket connector (20) for this combination is described as follows.

소켓 커넥터(20)는 예를 들어, 제2 몰드부(400),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cket connector (20) may include, for example, a second mold portion (400), a first socket terminal (500), and a second socket terminal (600).

제2 몰드부(400)는 제1 몰드부(100)를 수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몰드부(100)는 제2 몰드부(40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mold portion (400) may have a shape that accommodates the first mold portion (100). For example, the first mold portion (100) may have a shape that is inserted into a space defined by the second mold portion (400).

제2 몰드부(400)는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mold part (400) may be formed of an insulator including resin and epox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는 제2 몰드부(400)의 벽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소켓 단자(500) 및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가 제2 몰드부(400)의 벽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and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may be arranged on the wall portion of the second mold portion (400).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socket terminals (500) and a plurality of second socket terminals (600) may be arranged on the wall portion of the second mold portion (400).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and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예를 들어,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는 구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and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including copper or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0)가 소켓 커넥터(20)에 체결될 때, 제1 플러그 단자(200) 및 제2 플러그 단자(300)는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plug connector (10) is connected to the socket connector (20), the first plug terminal (200) and the second plug terminal (30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and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예를 들어, 제1 플러그 단자(200)는 제1 소켓 단자(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플러그 단자(300)는 제2 소켓 단자(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러그 단자(200)가 전원 단자인 경우에, 제1 소켓 단자(500)는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러그 단자(300)가 신호 단자인 경우에, 제2 소켓 단자(600)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plug terminal (20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and the second plug terminal (30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For example, when the first plug terminal (200) is a power terminal,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can input and output a power electric signal. For example, when the second plug terminal (300) is a signal terminal,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can input and output a data electric signal.

소켓 커넥터(20)는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가 체결되는 예시적인 소켓 커넥터일 수 있다. 소켓 커넥터(20)는 예를 들어, 제2 몰드부(400),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cket connector (20) may be an exemplary socket connector to which a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connected. The socket connector (20) may include, for example, a second mold portion (400), a first socket terminal (500), and a second socket terminal (600).

제2 몰드부(400)는 제1 몰드부(100)를 수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몰드부(100)는 제2 몰드부(40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mold portion (400) may have a shape that accommodates the first mold portion (100). For example, the first mold portion (100) may have a shape that is inserted into a space defined by the second mold portion (400).

제2 몰드부(400)는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mold part (400) may be formed of an insulator including resin and epox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는 제2 몰드부(400)의 벽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소켓 단자(500) 및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가 제2 몰드부(400)의 벽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and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may be arranged on the wall portion of the second mold portion (400).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socket terminals (500) and a plurality of second socket terminals (600) may be arranged on the wall portion of the second mold portion (400).

도 1의 소켓 커넥터(20)에서 양단의 각각의 제1 소켓 단자(500)는 플라스틱 하우징(제2 몰드부(400))을 덮고 있다. 즉, 플라스틱 하우징이 제1 소켓 단자(500)를 덮고 있는 부분은 없고 제1 소켓 단자(500)가 플라스틱 하우징을 덮으며 제1 소켓 단자(500)는 노출되어 있다. 종래예로서 제1 소켓 단자(500)의 일부(예컨대, 소켓 커넥터(20)의 모서리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가 플라스틱 하우징으로 덮여있는 경우가 있는데, 본 발명은 그에 비해 제1 소켓 단자(500)의 금속이 전체적으로 커버하고 있으므로 하우징 크랙을 방지하고 더 용이한 결합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In the socket connector (20) of Fig. 1, each of the first socket terminals (500) at both ends covers a plastic housing (second mold part (400)). That is, there is no part where the plastic housing covers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and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covers the plastic housing, and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is exposed. In the conventional example, a part of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for example, a part corresponding to a corner of the socket connector (20)) is covered with a plastic housing, but in contrast,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housing cracks and enables an easier coupling operation because the metal of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covers the entirety.

한편, 일예로, 제2 플러그 단자(300) 및 제2 소켓 단자(600)로서 신호 단자는 0.3A의 전류를 허용하는 32개의 PIN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1 플러그 단자(200) 및 제1 소켓 단자(500)로서 전원 단자는 5A의 전류를 허용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제1 몰드부(100) 및/또는 소켓 커넥터(20)의 제2 몰드부(400)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LCP(Liquid Crystal Polymer)일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제1 플러그 단자(200) 및 제2 플러그 단자(300) 및/또는 소켓 커넥터(20)의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구리 합금에 금도금(니켈 언더 레이어)을 한 것일 수 있다.Meanwhile, as an example, the signal terminals as the second plug terminal (300) and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may be configured with 32 PINs that allow a current of 0.3 A, and the power terminals as the first plug terminal (200) and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may allow a current of 5 A. The first molded portion (100) of the plug connector (10) and/or the second molded portion (400) of the socket connector (20) are preferab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may be, for example, LCP (Liquid Crystal Polymer). The first plug terminal (200) and the second plug terminal (300) of the plug connector (10) and/or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and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of the socket connector (20) are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may be, for example, a copper alloy plated with gold (nickel under layer).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FIGS. 2a, 2b and 2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에서, 플러그 커넥터(10)는 제1 몰드부(100), 제1 플러그 단자(200) 및 제2 플러그 단자(300)를 포함한다.In Fig. 2a, the plug connector (10) includes a first mold portion (100), a first plug terminal (200), and a second plug terminal (300).

제1 몰드부(100)는 기저부(110) 및 제1 내지 제4 벽부(120, 130, 140, 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벽부(120, 130, 140, 150)는 기저부(110)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mold portion (100) may include a base portion (110) and first to fourth wall portions (120, 130, 140, 150). The first to fourth wall portions (120, 130, 140, 150) may each have a shape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10).

구체적으로, 제1 벽부(120)는 기저부(110) 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벽부(130)는 기저부(110) 상에서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벽부(140)는 기저부(110) 상에서 제1 벽부(120)와 대향될 수 있다. 제4 벽부(150)는 기저부(110) 상에서 제2 벽부(130)와 대향될 수 있다. 이 때, 제2 벽부(130)는 제1 벽부(120)의 일측 및 제3 벽부(140)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4 벽부(150)는 제1 벽부(120)의 타측 및 제3 벽부(14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부(110) 및 제1 내지 제4 벽부(120, 130, 140, 150)는 서로 연결되어 제1 몰드부(100)를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wall portion (120) may extend in a first direction (X) on the base portion (110). The second wall portion (130) may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Y)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X) on the base portion (110). The third wall portion (140) may be opposed to the first wall portion (120) on the base portion (110). The fourth wall portion (150) may be opposed to the second wall portion (130) on the base portion (110). At this time, the second wall portion (13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wall portion (120) and one side of the third wall portion (140). In addition, the fourth wall portion (15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wall portion (120) and the other side of the third wall portion (140). Accordingly, the base portion (110) and the first to fourth wall portions (120, 130, 140, 15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first mold portion (100).

제1 내지 제4 벽부(120, 130, 140, 150)는, 플러그 커넥터(10)가 소켓 커넥터(도 1의 20)에 체결되는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벽부(120, 130, 140, 150)는 기저부(110)의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부(110)의 상면의 중앙부 상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공간에 소켓 커넥터(도 1의 20)의 일부가 삽입되어,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도 1의 20)가 체결될 수 있다.The first to fourth wall portions (120, 130, 140, 150) can define a space in which a plug connector (10) is connected to a socket connector (20 of FIG. 1). For example, the first to fourth wall portions (120, 130, 140, 150) can be formed along an edge of an upper surface of a base portion (110). Accordingly, a space can be formed on the center of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10), and a part of a socket connector (20 of FIG. 1) can be inserted into this space, so that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socket connector (20 of FIG. 1) can be connected.

제1 몰드부(100)는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mold portion (100) may be formed of an insulator including resin and epox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플러그 단자(200)는 제1 몰드부(100)의 제1 벽부(120) 및/또는 제3 벽부(1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제1 벽부(120) 상에 배치되는 제1 플러그 단자(2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단, 제3 벽부(140) 상에 배치되는 다른 제2 플러그 단자(200)도 방향만 대칭일 뿐 동일한 구조일 수도 있다.The first plug terminal (200) may be placed on the first wall portion (120) and/or the third wall portion (140) of the first mold portion (10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first plug terminal (200) placed on the first wall portion (120). However, the other second plug terminal (200) placed on the third wall portion (140) may also have the same structure, but only with a symmetrical direction.

도 2b는 도 2a와 동일하나, 부품간의 명확한 구별 및 시인성을 고려하여 음영 및 컬러를 표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b is the same as Figure 2a, but is a drawing that displays shading and color to ensure clear distinction and visibility between parts.

도 2c는 도 2a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10)를 상하 반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 2c is a drawing showing the plug connector (10) shown in Fig. 2a upside down.

도면 좌측 하단에는 제1 플러그 단자(200)가 기판에 3개소에서 실장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고, 도면 우측 상단에는 다른 제1 플러그 단자(200)가 기판에 3개소에서 실장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종래예에 비해 실장부의 개소가 많은 점도 본 발명의 일특징이다. 이는 PCB 기판과의 부착력을 강화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The lower left side of the drawing shows that the first plug terminal (200) is mounted on the board at three locations, and the upper right side of the drawing shows that another first plug terminal (200) is mounted on the board at three location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number of locations of the mounting portion is greater than in the exemplary conventional example. This helps to strengthen the adhesive strength with the PCB board.

도 3은 도 2a의 사시도에서 제1 몰드부(100)를 제외한 경우에 단자(200, 300)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 drawing showing the arrangement of terminals (200, 300) in the perspective view of FIG. 2a, excluding the first mold portion (100).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단에 각각 1개씩의 제1 플러그 단자(200)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복수(예컨대 32개)의 제2 플러그 단자(300)가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one first plug terminal (200) is arranged at each end, and a plurality (e.g., 32) second plug terminals (300) are arranged between them.

제1 플러그 단자(200)는 일예로 전원 단자일 수 있으며, 제2 플러그 단자(300)는 일예로 신호 단자일 수 있다.The first plug terminal (200) may be, for example, a power terminal, and the second plug terminal (300) may be, for example, a signal terminal.

도 4a는 도 2a의 좌측 하단(제1 벽부(120) 부근)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4b는 도 4a에서 제1 몰드부(100)를 제외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a is an enlarged drawing of the lower left portion (near the first wall portion (120)) of Fig. 2a, and Fig. 4b is a drawing showing Fig. 4a excluding the first mold portion (100).

도 4a에는 제1 몰드부(100) 중, 제1 벽부(120)가 나타나 있으며, 기저부(110)의 일부, 제2 벽부(130)의 일부, 제4 벽부(150)의 일부가 나타나 있다.In Fig. 4a, among the first mold portion (100), the first wall portion (120) is shown, and a part of the base portion (110), a part of the second wall portion (130), and a part of the fourth wall portion (150) are shown.

도 2a, 도 2c, 도 3에 대한 설명에서는 간략히 제1 플러그 단자(200)라 표시하였으나, 도 4a, 도 4b와 같이, 세부적으로 제1 플러그 단자(200)는 서로 연결된 제1 아암부(210), 제2 아암부(250), 제3 아암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하나의 금속판이 절단 및 절곡되어 제1 아암부(210), 제2 아암부(250), 제3 아암부(260)가 서로 연결된 채로 형성된 제1 플러그 단자(200)를 얻을 수 있다. 단, 이는 일예이고, 복수의 아암부(210, 250, 260)끼리는 하나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실시예도 필요에 따라서는 가능할 것이다.In the description of FIGS. 2A, 2C, and 3, the first plug terminal (200) is briefly indicated, but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first plug terminal (200) may include a first arm portion (210), a second arm portion (250), and a third arm portion (260)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a first plug terminal (200) may be obtained by cutting and bending a single metal plate so that the first arm portion (210), the second arm portion (250), and the third arm portion (260) are formed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However, this is an example, and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arm portions (210, 250, 260)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may also be possible, if necessary.

제1 플러그 단자(200)의 제1 아암부(210)는 제1 몰드부(100)의 제1 벽부(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아암부(210)는 제1 연장부(220), 제2 연장부(230) 및 제3 연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rm portion (210) of the first plug terminal (200) may be placed on the first wall portion (120) of the first mold portion (100). The first arm portion (210)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ortion (220), a second extension portion (230), and a third extension portion (240).

제1 아암부(210)의 제1 연장부(220)는 제1 벽부(120)의 상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장부(220)는 제1 벽부(120)의 상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장부(220)는 제1 벽부(120)의 상면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The first extension (220) of the first arm (210) may exten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ll (120). For example, the first extension (220) may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ll (120). Accordingly, the first extension (220) may cover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ll (120).

제1 아암부(210)의 제2 연장부(230)는, 제1 연장부(22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기저부(1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장부(230)의 일단(예컨대, 도 5b의 상측)은 제1 연장부(220)의 일단(예컨대, 도 5b의 좌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제2 연장부(230)의 타단(예컨대, 도 5b의 하측)은 기저부(1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부(230)의 일부는 제1 벽부(12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제1 아암부(210)의 제2 연장부(230)와 제1 연장부(220)는 커넥터 결합한 최종 상태에서 소켓 커넥터(20)의 제1 소켓 단자(500)의 하단 상면(도 1, 도 8 참조)에 접촉하여도 좋고, 또는 약간의 공차를 두어 접촉하지 않아도 좋다,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0) of the first arm portion (210)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20) and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10). For example, one end (e.g., the upper side in FIG. 5b)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0) may extend from one end (e.g., the left side in FIG. 5b)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20), and the other end (e.g., the lower side in FIG. 5b)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0) may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10). In addition, a part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0)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wall portion (120). The second extension part (230)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220) of the first arm part (210) of the plug connector (10) may contact the lower upper surface (see FIG. 1 and FIG. 8) of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of the socket connector (20) in the final state of the connector coupling, or may not contact with a slight tolerance.

도 4a, 도 4b에서는 제1 벽부(120) 부근만을 도시하였으나, 도 1에서와 같이 제3 벽부(140) 부근도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FIGS. 4a and 4b, only the vicinity of the first wall portion (120) is illustrated, but as in FIG. 1, the vicinity of the third wall portion (140) may also be formed symmetrically.

도 4a 및 도 4b에서, 제1 플러그 단자(200)의 제2 아암부(250)는 제1 몰드부(100)의 제1 벽부(120) 및 제2 벽부(130)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아암부(250)는 제2 벽부(130)의 상부를 감싸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In FIGS. 4A and 4B, the second arm portion (250) of the first plug terminal (200) may be positioned across the first wall portion (120) and the second wall portion (130) of the first mold portion (1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second arm portion (250) may have a shape that surrounds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wall portion (130).

제1 아암부(210)의 제2 연장부(230)는 하방에서 제1 실장부(230m)와 만난다. 이는 일체 형성되어 굴곡(벤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장부(230m) 아래에 도시된 부재는 기판에 실장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기판의 일부를 도시해 둔 것이다.The second extension (230) of the first arm (210) meets the first mounting portion (230m) from below. It is preferable that it be formed integrally and bent. The member illustrated below the first mounting portion (230m) is a part of the substrate, assuming that it is mounted on the substrate.

일실시예에서, 제2 아암부(250)는 제2 실장부(250m)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arm (250) may include a second mounting portion (250 m).

제2 실장부(250m)는 기저부(110)의 하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실장부(250m)는 납땜과 같은 방법으로 플러그 커넥터(10)를 기판(미도시) 등에 실장할 수 있다.The second mounting portion (250 m) can be extende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10).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50 m) can be used to mount a plug connector (10) on a substrate (not shown) or the like by a method such as soldering.

제1 플러그 단자(200)의 제3 아암부(260)는 제1 몰드부(100)의 제1 벽부(120) 및 제4 벽부(150)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제3 아암부(260)는 제4 벽부(150)의 상부를 감싸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The third arm portion (260) of the first plug terminal (200) may be arranged across the first wall portion (120) and the fourth wall portion (150) of the first mold portion (1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third arm portion (260) may have a shape that surrounds the upper portion of the fourth wall portion (150).

일실시예에서, 제3 아암부(260)는 제3 실장부(260m)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hird arm (260) may include a third mounting portion (260m).

제3 실장부(260m)는 기저부(110)의 하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3 실장부(260m)는 납땜과 같은 방법으로 플러그 커넥터(10)를 기판 등에 실장할 수 있다. The third mounting portion (260 m) can be extende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10). The third mounting portion (260 m) can be used to mount a plug connector (10) on a substrate or the like by a method such as soldering.

제2 실장부(250m), 제3 실장부(260m)의 아래에 도시된 부재는 기판에 실장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기판의 일부를 도시해 둔 것이다. 제2 플러그 단자의 실장부 아래에 도시된 부재도 마찬가지로 기판의 일부를 도시해 둔 것이다.The parts illustrated below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50 m) and the third mounting portion (260 m) are parts of a board, assuming that they are mounted on the board. The parts illustrated below the mounting portion of the second plug terminal are also parts of a board.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플러그 단자(200)는, 3개의 실장부를 구비하여 플러그 커넥터(10)가 기판 등과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4b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내지 제3 실장부(230m, 250m, 260m)가 기저부(110)의 하면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3개의 실장부를 포함하는 제1 플러그 단자(200)는, 플러그 커넥터가 기판 등과 실장되는 부분의 면적을 확장하여, 플러그 커넥터가 기판 등과 쉽게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first plug terminal (200) may have three mounting portions to prevent the plug connector (10)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a substrate, etc.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first to third mounting portions (230 m, 250 m, 260 m) may be expos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10). The first plug terminal (200) including three mounting portions may expand the area of a portion where the plug connector is mounted on a substrate, etc., thereby easily preventing the plug connector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substrate, etc.

제1 플러그 단자(200)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러그 단자(200)는 구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plug terminal (200)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the first plug terminal (2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including copp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실시예에서, 제1 플러그 단자(200)는 전원 단자일 수 있다. 즉, 제1 플러그 단자(200)는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여, 플러그 커넥터(10)가 실장되는 기판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플러그 단자(200)는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지 않을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plug terminal (200) may be a power terminal. That is, the first plug terminal (200) may input and output a power electric signal, thereby supplying power to a substrate or the like on which the plug connector (10) is mounted.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plug terminal (200) may not input and output a power electric signal.

제2 플러그 단자(300)는 제1 몰드부(100)의 제2 벽부(130) 및/또는 제4 벽부(1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플러그 단자(300)는 제1 플러그 단자(200)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The second plug terminal (300)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wall portion (130) and/or the fourth wall portion (150) of the first mold portion (100). However, the second plug terminal (300) may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first plug terminal (200).

제2 플러그 단자(300)는 제2 벽부(130) 및/또는 제4 벽부(150) 상에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등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제2 플러그 단자(300)는 제2 벽부(130) 및 제4 벽부(150)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econd plug terminals (300) may be arranged on the second wall portion (130) and/or the fourth wall portion (150).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 a plurality of second plug terminals (300) may be arranged across the second wall portion (130) and the fourth wall portion (150).

제2 플러그 단자(300)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러그 단자(300)는 구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plug terminal (300)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the second plug terminal (3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including copp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실시예에서, 제2 플러그 단자(300)는 신호 단자일 수 있다. 즉, 제2 플러그 단자(300)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여, 플러그 커넥터(10)가 실장되는 기판의 전기 소자 등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제2 플러그 단자(300)가 모두 동일한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복수의 제2 플러그 단자(300)는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plug terminal (300) may be a signal terminal. That is, the second plug terminal (300) may input and output a data electrical signal, thereby transmitting data to an electrical element of a board on which the plug connector (10) is mounted. However, not all of the plurality of second plug terminals (300) input and output the same data electrical signal, and, as necessary, the plurality of second plug terminals (300) may input and output different types of data electrical signals.

한편, 도 4b에서, 제3 연장부(240)의 하단부에는 절결부(240g)가 형성되어 있다. 일예로 당해 절결부(240g)는 상방이 좁고 하방이 넓은 평행사변형이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10)를 상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아암부(210)의 제3 연장부(240)는 제2 아암부(250)와 제1 절곡부(벤딩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제3 연장부(240)는 제3 아암부와 제2 절곡부(벤딩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도 4b의 예에서는 하나의 금속편을 절곡하여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상면에서 보아 ㄷ자 형상(도 3 참조)의 제1 플러그 단자(200)(즉, 제1 아암부(210), 제2 아암부(250), 제3 아암부(260))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제3 연장부(24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절결부(240g)는 도구(코어)를 넣어서 벤딩(절곡) 작업을 하는 데에 사용된다. 즉, 이 절결부(240g)가 없으면 제1 절곡부, 제2 절곡부 등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이러한 옆 방향으로의 벤딩 뿐만 아니라 아래쪽으로 벤딩을 하는 데에도 이 절결부(240g)가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in Fig. 4b, a cutout (240g)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extension (240). For example, the cutout (240g) is a parallelogram that is narrow at the top and wide at the bottom. In addition, when the plug connector (10) is viewed from the top, the third extension (240) of the first arm (2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arm (250) through the first bending portion (bending portion), and the third extension (240) is connected to the third arm (250) through the second bending portion (bending portion). In the example of Fig. 4b, a first plug terminal (200) (i.e., a first arm portion (210), a second arm portion (250), and a third arm portion (260)) having a T-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see Fig. 3) can be obtained by bending a single metal piece to form a first bend portion and a second bend portion. At this time, a cut portion (240g)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extension portion (240) is used to perform a bending operation by inserting a tool (core). That is, if this cut portion (240g) is not present, it may be difficult to form the first bend portion, the second bend portion, etc. In addition to such sideways bending, this cut portion (240g) can also be used for downward bending.

도 5a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제3 벽부(140) 부근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b는 도 5a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a is a drawing showing the vicinity of the third wall (140) of the plug connector (10), and Fig. 5b is a drawing showing the A-A' cross-section of Fig. 5a.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아암부(210)는 제1 연장부(220), 제2 연장부(230), 제3 연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rm portion (210)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ortion (220), a second extension portion (230), and a third extension portion (240).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플러그 단자(200)의 제1 아암부(210)의 A-A' 단면을 보면, 대략적으로 반원 형상의 제1 연장부(220)가 있고, 제1 연장부(220)의 일단에서 그 하방으로 제3 연장부(240)가 연장되어 있으며, 제1 연장부(220)의 타단에서 그 하방으로 제2 연장부(230)가 연장되어 있으며, 제2 연장부(230)는 저면 근방에서 절곡되어 실장부(230m)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b, when looking at the A-A' cross-section of the first arm portion (210) of the first plug terminal (200), there is a first extension portion (220) having a roughly semicircular shape, a third extension portion (240) extends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20), a second extension portion (230) extends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20),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0) is bent near the bottom to form a mounting portion (230m).

도 5b에 나타난 제1 플러그 단자(200)의 제1 아암부(210)의 단면에서 제1 아암부(210)는 제3 벽부(140)과 결합되어 있으며, 일부는 제3 벽부(140)에 가려져 있고 일부는 노출되어 있다. 예컨대, 도 5b에서 대략 반원 형상의 제1 연장부(220)는 그 외측이 노출되어 있고, 그 내측에는 제1 몰드부(100)의 일부인 제3 벽부(140)로 채워져 있다. 또한, 도 5b에서 제3 연장부(240)의 외측은 노출되어 있고, 그 내측은 제1 몰드부(100)의 일부인 제3 벽부(140)로 채워져 있다. 한편, 제2 연장부(230)는 외부에 노출되어 시인되는 부분이 없거나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In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arm portion (210) of the first plug terminal (200) shown in FIG. 5b, the first arm portion (210) is connected to the third wall portion (140), and a part of it is covered by the third wall portion (140) and a part of it is exposed. For example, in FIG. 5b, the outer sid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20) having a roughly semicircular shape is exposed, and the inner side thereof is filled with the third wall portion (140), which is a part of the first mold portion (100). In addition, in FIG. 5b, the outer side of the third extension portion (240) is exposed, and the inner side thereof is filled with the third wall portion (140), which is a part of the first mold portion (100). Meanwhile,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0) has no or almost no part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visible.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제1 아암부(210)는 제2 연장부(230)의 상단(제1 연장부(220)와 제2 연장부(230)가 만나는 부분)에서부터 제2 연장부(230)의 하단(제2 연장부(230)가 저면에서 절곡되는 부분)에 이르기까지 제3 벽부(140) 내에 파묻혀 있다. 도 5b에서, 제3 벽부(140)의 내벽 표면과 제2 연장부(230) 사이의 거리는 아래로 내려갈수록 멀어지는 구조이며, 상부의 어느 지점에서는 D1 만큼 떨어져 있고, 그보다 하부의 다른 어느 지점에서는 D2 만큼 떨어져 있음이 도시되어 있다(단, D2>D1). Referring to FIGS. 5A and 5B, the first arm portion (210), which is partially exposed, is embedded in the third wall portion (140)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0) (the portion where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20)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0) meet)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0)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0) is bent at the bottom). In FIG. 5B,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hird wall portion (140)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0) is structured to increase as it goes down, and is depicted as being separated by D1 at some point in the upper portion and by D2 at some other point in the lower portion (provided that D2>D1).

즉, 도 5b에 나타난 일예에서, 제1 플러그 단자(200)의 제1 아암부(210)의 제2 연장부(230)는 사선 방향으로 제1 몰드부(100)의 제3 벽부(140) 안으로 매립되는 구조이다. D1, D2의 두께에 따른 강도 및 충분한 실장부(230m) 길이 확보 등을 고려하여, 이 사선의 각도는 대략 5~40도, 바람직하게는 10~30도, 더 바람직하게는 15~20 정도일 수 있다.That i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b,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0) of the first arm portion (210) of the first plug terminal (200) is structured to be embedded in the third wall portion (140) of the first mold portion (100) in a diagonal direction. Considering the strength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D1 and D2 and securing a sufficient length of the mounting portion (230 m), the angle of this diagonal line may be approximately 5 to 40 degrees, preferably 10 to 30 degrees, and more preferably 15 to 20 degrees.

도 5a, 도 5b는 제3 벽부(140) 부근에서의 제1 플러그 단자(200)를 도시한 것이지만, 제1 벽부(120) 부근에서의 다른 제1 플러그 단자(20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FIG. 5a and FIG. 5b illustrate the first plug terminal (200) in the vicinity of the third wall portion (140), but the same can be applied to other first plug terminals (200)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wall portion (120).

이러한 구조에 따른 이점의 일예로는, 단자 지지력이 강화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단자 지지력이 높다 함은 실장 후에 제1 몰드부(100)로부터 제1 플러그 단자(200)가 잘 분리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플러그 커넥터(10) 및/또는 소켓 커넥터(20)가 기판에 실장되고 커넥터(10, 20)끼리 결합된 후에, 커넥터(10, 20)를 발거하는 경우에 전원 단자(예컨대, 제1 플러그 단자(200))가 이탈되는 문제 또한, 이러한 몰드와 단자의 지지력/부착력의 강화에 의해 완화될 수 있다. An example of an advantage according to this structure is that the terminal support force is strengthened. High terminal support force means that the first plug terminal (200)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first mold part (100) after mounting. When the plug connector (10) and/or the socket connector (20) are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the connectors (10,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problem of the power terminal (e.g., the first plug terminal (200)) being detached when the connectors (10, 20) are removed can also be alleviated by the strengthening of the support force/adhesion force of the mold and the terminal.

또한, 이러한 구조에 따른 이점의 다른 예로는, 납오름(solder wick)이 방지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5b에서 실장부(230m)는 기판에 납땜(soldering)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실장되는데, 이러한 납땜 과정에서 좁은 틈으로 액체가 침투하는 현상, 즉, 삼투압에 의해 액체 상태의 땜남이 실장부를 타고 올라갈 우려가 있다. 그러나 도 5b의 구조에서는 제1 아암부(210) 중 실장부(230m)로부터 연장되어 위로 올라가는 부분(예컨대, 제2 연장부(230))이 제1 몰드부(100)의 제3 벽부(140) 내에 매립되어 있으며 노출되어 있지는 않은 구조이므로,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납오름의 가능성은 작아진다. 그리고, 후술하겠으나 이러한 구조에 부가하여, 제3 벽부(140)(더 나아가서는 제1 몰드부(100))를 인서트 몰딩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3 벽부(140)와 제1 아암부(210) 사이의 틈을 없애고 그에 의해서도 납오름의 가능성은 한층 더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example of an advantage according to this structure is that solder wick is prevented. In Fig. 5b, the mounting portion (230m) is mounted by being attached to the substrate by soldering, and during this soldering process, there is a concern that liquid may penetrate into the narrow gap, that is, that the liquid solder may rise up the mounting portion due to osmosis. However, in the structure of Fig. 5b, a portion of the first arm portion (210) that extends upward from the mounting portion (230m) (e.g.,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0)) is embedded in the third wall portion (140) of the first mold portion (100) and is not exposed, so the possibility of solder wick is reduced compared to when it is exposed. In addition to this structure, as will be described later, by forming the third wall portion (140) (and furthermore, the first mold portion (100)) by insert molding, the gap between the third wall portion (140) and the first arm portion (210) is eliminated, and thereby the possibility of lead-up can be further reduced.

한편, 도 5b에서 제1 연장부(220)의 종단면은 아래가 뚫린 대략의 반원이지만, 다른 형상도 가능하며, 예컨대 제1 연장부(220)의 종단면은 아래가 뚫린 'ㄷ'자 형상일 수도 있다.Meanwhile, in Fig. 5b,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first extension (220) is roughly a semicircle with an open bottom, but other shapes are also possible, and for example,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first extension (220) may be a 'ㄷ' shape with an open bottom.

도 6a 및 도 6b는 제3 벽부(140) 부근에서의 플러그 커넥터(10) 및 소켓 커넥터(20)의 일부 단면도이다.Figures 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portion of a plug connector (10) and a socket connector (20) near the third wall portion (140).

도 6a는 제2 플러그 단자(300)(예컨대, 신호 단자) 근방에서의 단면 및 제2 소켓 단자(600)(예컨대, 신호 단자) 근방에서의 단면을 나타낸다.FIG. 6a shows a cross-section near a second plug terminal (300) (e.g., a signal terminal) and a cross-section near a second socket terminal (600) (e.g., a signal terminal).

도 6b는 제1 플러그 단자(200)(예컨대, 전원 단자) 근방에서의 단면 및 제1 소켓 단자(500)(예컨대, 신호 단자) 근방에서의 단면을 나타낸다.Figure 6b shows a cross-section near the first plug terminal (200) (e.g., power terminal) and a cross-section near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e.g., signal terminal).

도 6a 및 도 6b의 단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몰드부(100)는 제1 플러그 단자(200) 및 제2 플러그 단자(3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있으며, 제2 몰드부(400)는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있다. 이때 제1 몰드부(100) 및/또는 제2 몰드부(400)는 인서트 몰딩(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인서트 몰딩으로 형성하는 경우의 이점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예컨대, 납오름이 방지되는 것을 들 수 있으며, 특히 도 5b와 관련하여 전술한 제2 연장부(230)의 사선 하강 구조(즉, 점진적으로 D2>D1인 구조)에 의하면 이러한 납오름은 더욱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사선 하강 구조의 장점은 단지 납오름 방지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품(커넥터) 발거시 전원 단자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 등도 포함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the cross sections of FIGS. 6A and 6B, the first mold portion (100)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lug terminal (200) and the second plug terminal (300), and the second mold portion (400)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and the second socket terminal (600). At this time, the first mold portion (100) and/or the second mold portion (400) may be formed by insert molding (insert forming). There are various advantages of forming by insert molding, but for example, lead creep can be prevented, and in particular, with the diagonal lowering structure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3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B (i.e., the structure where D2>D1 is gradually increased), such lead creep can be prevented more reliably. Of course, the advantages of the diagonal lowering structure are not limited to preventing lead from coming off, and may also include preventing the power terminal from coming off when the product (connector) is removed and reinforcing the supporting force.

도 7a 및 도 7b는 제3 벽부(140) 근방에서 (제1 아암부(210)의) 제1 연장부(220) 및 제2 연장부(230) 등과 (제1 몰드부(100)의) 제3 벽부(140) 사이의 단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S. 7A and 7B are drawings showing the step between the first extension (220) and the second extension (230) (of the first arm portion (210)) and the third wall portion (140) (of the first mold portion (100)) near the third wall portion (140).

도 7b는 도 7a의 플러그 커넥터(10)에서 사각형으로 표시한 부분(제3 벽부(140) 부근)을 확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Fig. 7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near the third wall portion (140)) indicated by a square in the plug connector (10) of Fig. 7a.

도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아암부(210)와 제3 벽부(140)의 노출부가 접하는 부분이 있다. 제1 아암부(210)는 예로 금속 재질이고, 제3 벽부(140)는 일예로 플라스틱 재질이다. 도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아암부(210)가 노출된 부분 중 특히 제1 연장부(220)에 있어서, 제1 연장부(220)의 상방면은 인접한 제3 벽부(140)의 상방면에 비하여 더 높게 위치하여 있다. 도 7b에는 제1 아암부(210) 중 예시적으로 선정된 3개소가 E1, E2, E3로 표시되어 있는데, E1 지점은 제1 연장부(220)에 해당하는 부분이며, E2 지점은 대략적으로 제1 연장부(220)와 제3 연장부(240)가 만나는 부분이며, E3 지점은 대략적으로 제3 연장부(240)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E1, E2, E3 지점에서, 제3 벽부(140)의 노출면에 비해 제1 아암부(210)의 노출면(즉, 제1 연장부(220)의 노출면)이 더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사 E1, E2, E3 지점 중에서 일부는 제3 벽부(140)의 노출면과 제1 아암부(210)의 노출면(즉, 제1 연장부(220)의 노출면)이 같은 높이에서 연속되는 면을 형성하더라도 E1, E2, E3 지점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는 제3 벽부(140)의 노출면에 비해 제1 아암부(210)의 노출면(즉, 제1 연장부(220)의 노출면)이 더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적어도 제1 연장부(220)는 전부 또는 일부는 인접하는 제3 벽부(140)의 면에 비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도 7b에서 E1은 인접한 제3 벽부(140)에 비해 돌출되어 있고, E2은 인접한 제3 벽부(140)에 비해 돌출되어 있으나 그 돌출량이 E1 보다는 적고, E3는 인접한 제3 벽부(140)와 거의 동일한 면이거나 또는 미세하게 안쪽으로 들어가 있다.As shown in Fig. 7b, there is a portion where the first arm portion (210) and the third wall portion (140) are exposed. The first arm portion (210) is made of,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and the third wall portion (140) is made of, for example, a plastic material. As shown in Fig. 7b, among the portions where the first arm portion (210) is exposed, particularly i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20),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2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adjacent third wall portion (140). In Fig. 7b, three locations selected as examples among the first arm portion (210) are indicated as E1, E2, and E3. The point E1 corresponds to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20), the point E2 corresponds roughly to the portion where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20) and the third extension portion (240) meet, and the point E3 corresponds roughly to the third extension portion (240). At the points E1, E2, and E3, it is preferable that the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arm portion (210) (i.e., the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20)) protrudes further outward than the exposed surface of the third wall portion (140). Even if, among points E1, E2, and E3, the exposed surface of the third wall portion (140) and the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arm portion (210) (i.e., the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20)) form continuous surfaces at the same height,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points E1, E2, and E3, the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arm portion (210) (i.e., the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20)) protrudes further outward than the exposed surface of the third wall portion (140).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all or part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20) protrudes outward compared to the surface of the adjacent third wall portion (140). For example, in Fig. 7b, E1 protrudes compared to the adjacent third wall portion (140), E2 protrudes compared to the adjacent third wall portion (140), but the protrusion amount is less than that of E1, and E3 is almost the same surface as the adjacent third wall portion (140) or is slightly recessed inward.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대물(즉, 소켓 커넥터(20))과 체결되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E1, E2로 표시된 부분에서 금속부끼리 선(先)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connected to a counterpart (i.e., a socket connector (20)), it is possible for the metal parts to make preliminary contact, especially at the parts indicated by E1 and E2.

만약 본 발명과 같은 구조가 아니라 E1 지점에서 제3 벽부(140)의 노출면과 E1 지점의 노출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라고 가정해 보면, 소켓 커넥터(20)의 제1 소켓 단자(500)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제1 플러그 단자(200)가 아니라) 제1 플러그 단자(200)에 인접한 제3 벽부(140)(즉, 제1 몰드부(100))에 먼저 접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부재 사이의 강도 차이에 기인하여 마모의 문제가 발생한다(후술의 도 8 참조). If it is assumed that the exposed surface of the third wall portion (140) at point E1 and the exposed surface of point E1 are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of the socket connector (20) may first contact the third wall portion (140) (i.e., the first mold portion (100)) adjacent to the first plug terminal (200) of the plug connector (10) (not the first plug terminal (200)). In this case, a wear problem occurs due to a difference in strength between the members (see FIG. 8 described below).

그러나,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면 E1 지점에서 제3 벽부(140)의 노출면이 E1 지점의 노출면보다 더 외부로 돌출해 있으므로, 몰드면(즉, 제3 벽부(140)의 노출면)이 금속(즉, 소켓 커넥터(20)의 제1 소켓 단자(500))에 닿을 확률 및 횟수가 줄어들며 그에 따른 몰드의 쓸림, 뭉개짐(burr 등)이 줄어든다. However,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xposed surface of the third wall portion (140) at point E1 protrudes further outward than the exposed surface of point E1, the probability and number of times that the mold surface (i.e., the exposed surface of the third wall portion (140)) touches the metal (i.e.,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of the socket connector (20)) are reduced, and thus, wear and tear (burrs, etc.) of the mold are reduced.

이러한 본 발명의 단차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몰드부(100) 및/또는 제2 몰드부(400)를 형성할 때, 인서트 몰딩 방식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G 성형으로는 이러한 단차 형성 및 제3 벽부(140)와 제1 아암부(120)를 밀착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방전 성형도 고려해 볼 수 있겠으나 가공의 정밀도가 떨어져서 적용이 용이하지 않다. In order to form the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6A and 6B,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first mold part (100) and/or the second mold part (400) by insert molding. It is not easy to form the step and to bring the third wall part (140) and the first arm part (120)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using PG molding. Discharge molding can also be considered, but it is not easy to apply because the precision of processing is low.

부언하자면, 이러한 E1, E2, E3는 도 4a에서도 그 대응 개소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몰드부(100)(특히, 제1 벽부(120) 또는 제3 벽부(140) 등)는 제1 플러그 단자(200)에 대하여 인서트 몰딩을 행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러그 단자(200)에 대한 인서트 몰딩(인서트 성형)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본 발명의 커넥터의 크기가 작은 점을 고려할 때에 적절한 치수의 단차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se E1, E2, and E3 can also confirm their corresponding locations in Fig. 4a. The first mold portion (100) (particularly, the first wall portion (120) or the third wall portion (140), etc.) is formed by insert molding for the first plug terminal (200). If the insert molding (insert forming) method for the first plug terminal (200) is not used, it may be difficult to form a step of an appropriate size considering the small size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연장부(220)는 제1 벽부(120)(또는 제3 벽부(140))의 인접한 상면과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단차를 가지며, 단차는 제1 연장부(220)가 더 돌출되어 있도록 형성된다. 단차부는 예컨대, 도 7b의 E1, E2, E3 지점이다. The first extension (220) has a step at least in a portion of the adjacent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ll (120) (or the third wall (140)), and the step is formed so that the first extension (220) protrudes further. The step is, for example, points E1, E2, and E3 of Fig. 7b.

E1 및 그 근방 개소와 관련하여, 단차가 존재하는 구간은 제1 연장부(220)의 정점(頂點)에서부터 제1 연장부(220)와 제2 연장부(230)가 만나는 지점까지일 수 있다.With respect to E1 and its vicinity, the section where the step exists may be from the top of the first extension (220) to the point where the first extension (220) and the second extension (230) meet.

E2 및 그 근방 개소와 관련하여, 단차가 존재하는 구간은 제1 연장부(220)의 정점(頂點)에서부터 제1 연장부(220)와 제3 연장부(240)가 만나는 지점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ith respect to E2 and its vicinity, the section where the step exists may further include a section from the top of the first extension (220) to the point where the first extension (220) and the third extension (240) meet.

E3 및 그 근방 개소와 관련하여, 단차가 존재하는 구간은 제1 연장부(220)와 제3 연장부(240)가 만나는 지점인 제3 연장부(240)의 일단에서부터 제3 연장부(240)의 타단(즉, 제3 연장부(240)의 최하부)까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With respect to E3 and its vicinity, the section where the step exists may further include a section from one end of the third extension (240) where the first extension (220) and the third extension (240) meet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extension (240) (i.e., the lowest portion of the third extension (240)).

E3의 단차의 필요성보다는 E1, E2에서 단차의 필요성이 더 클 것이다. 또한, 결합할 때에 부딪힐 가능성을 감안하면 E1의 단차가 E2의 단차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The need for a step difference in E1 and E2 may be greater than that in E3. Also,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during joining, it may be desirable for the step difference in E1 to be greater than that in E2.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몰드면(즉, 제1 몰드부(100)의 제1 벽부(120) 또는 제3 벽부(140)의 노출면)이 금속(즉, 소켓 커넥터(20)의 제1 소켓 단자(500))에 닿을 확률 및 횟수가 줄어들며 그에 따른 몰드의 쓸림, 뭉개짐(burr 등)이 줄어든다.By this configuration, the probability and number of times that the mold surface (i.e., the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wall portion (120) or the third wall portion (140) of the first mold portion (1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etal (i.e.,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of the socket connector (20)) is reduced, and thus, wear and tear (burrs, etc.) of the mold are reduced.

압입 성형에서 본 발명과 같은 단차의 외형을 갖고 있다고 해도 본 발명과 같은 효과는 발휘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압입 구조는 몰드에 단자를 끼우는 것인데 이때 불가피하게 단자와 몰드 사이에 이격(간극)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외형상으로는 본 발명의 단차처럼 금속부의 단자가 더 돌출한 것처럼 보이더라도 실제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압력을 받으면 이격만큼 눌리므로 결합시에는 실제로 금속부가 몰드부에 비해 더 돌출해 있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단차는 적어도 제1 플러그 단자에 대해 인서트 성형임을 전제로 할 때에 그 효과(결합하는 과정에서 원치 않게 몰드와 금속이 접촉하여 몰드 부스러기가 생기는 것을 방지)가 발휘된다.Even if the step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in the case of press-fit molding,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xerted. The reason is that the press-fit structure is to insert a terminal into a mold, and at this time, a gap (or a distance) inevitably exists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mold. Therefore, even if the metal portion terminal appears to protrude more in appearance like the step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ality, when pressure is applied during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plug connector and the socket connector, it is pressed by the amount of the gap, so there is a very high possibility that the metal portion will not actually protrude more than the mold portion when combined. Therefore, the step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erts its effect (preventing unwanted contact between the mold and the metal during the combining process, thereby generating mold chips) at least when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plug terminal is insert molded.

참고로, 제2 플러그 단자(300)가 신호 단자인 경우에는 제2 플러그 단자(300)는 전술한 단차를 갖지 않아도 무방하다. 신호 단자로서의 제2 플러그 단자(200)와 제2 소켓 단자(500)는 주로 잠금(lock)의 역할을 하므로, 결합시의 마모 등의 문제에 있어서도 제1 플러그 단자(200)의 경우와는 다소 다를 수 있다.For reference, if the second plug terminal (300) is a signal terminal, the second plug terminal (300) does not need to have the aforementioned step. Since the second plug terminal (200) and the second socket terminal (500) as signal terminals mainly function as locks, problems such as wear during mating may be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plug terminal (200).

도 8은 도 5b의 단면과 관련하여 플러그 커넥터(10)과 소켓 커넥터(20)가 결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8 is a drawing showing a case where a plug connector (10) and a socket connector (20) are coupled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 of FIG. 5b.

도 5b에서는 제1 연장부(220)가 상방에 있고 실장부(230m)가 하방에 있었으나, 도 8에서는 도 5b의 부재를 상하 반전시켜 제1 연장부(220)가 하방을 향하고 실장부(230m)가 상방을 향한 채로 소켓 커넥터(20)에 결합되고 있다.In Fig. 5b, the first extension part (220) is at the top and the mounting part (230m) is at the bottom, but in Fig. 8, the member of Fig. 5b is flipped upside down so that the first extension part (220) faces downward and the mounting part (230m) faces upward, and is connected to the socket connector (20).

본 발명의 커넥터(10, 20)의 사이즈가 매우 작은 것을 고려하면, 플러그 커넥터(10)과 소켓 커넥터(20)가 처음부터 정위치에서 결합 시작하기보다는 도 8과 같이 약간 어긋난 위치에서 결합하기 시작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10)는 제2 플러그 단자(200)의 금속 부분과 제3 벽부(140)의 플라스틱 부분에 단차가 존재하고 금속 부분이 더 돌출해 있으므로, 도 8과 같은 경우라도 제3 벽부(140)의 플라스틱 부분이 먼저 소켓 커넥터(20)에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제2 플러그 단자(200)의 금속 부분(예컨대, 제1 연장부(220)의 노출부)이 먼저 소켓 커넥터(20)에 접촉한다. 따라서, 몰드의 쓸림, 뭉개짐(burr 등)의 발생이 저감되며, 자기 정렬(self alignment)도 어느 정도 가능해진다.Considering that the size of the connectors (10,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small, there will be many cases where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socket connector (20) start to mate at a slightly misaligned position as shown in FIG. 8 rather than starting to mate at the correct position from the beginning. In this case, since the plug connect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ep between the metal portion of the second plug terminal (200) and the plastic portion of the third wall portion (140) and the metal portion protrudes further, even in a case like FIG. 8, the plastic portion of the third wall portion (140) does not contact the socket connector (20) first, but the metal portion of the second plug terminal (200) (e.g., the exposed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20)) contacts the socket connector (20) first. Therefore, the occurrence of mold wear and burrs is reduced, and self-alignment is also possible to a certain extent.

도 8의 과정을 거친 후에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가 결합 완료된 상태를 상정해 보면, 일예로, 제1 연장부(220)만 소켓 커넥터(20)의 제1 소켓 단자(500)의 하단에 접촉하고 제2 연장부(230) 및 제3 연장부(240)는 제1 소켓 단자(500)의 좌우측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이는 일예이며, 결합 완료된 상태에서, 제1 연장부(220)와 소켓 커넥터(20)의 제1 소켓 단자(500)의 하단 사이에 미세한 공차를 둠으로써 접촉하지 않게 함으로써, 결합 완료된 상태에서 제1 연장부(220), 제2 연장부(230) 및 제3 연장부(240)가 제1 소켓 단자(500)에 접촉하지 않는 실시예도 가능하다,Assum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socket connector (20) are combined after the process of Fig. 8, for example, only the first extension part (220) may contac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of the socket connector (20),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230) and the third extension part (240) may not contac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Of course, this is an example, and in the combined state, by providing a small tolerance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220)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of the socket connector (20) so that they do not come into contact,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extension part (220), the second extension part (230), and the third extension part (240)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socket terminal (500) in the combined state is also possibl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플러그 커넥터
20: 소켓 커넥터
100: 제1 몰드부
110: 기저부
120, 130, 140, 150: 벽부
200: 제1 플러그 단자
210, 250, 260: 아암부
220, 230, 240: 연장부
230m: 제1 실장부
300: 제2 플러그 단자
E1, E2, E3: 단차
400: 제2 몰드부
500: 제1 소켓 단자
600: 제2 소켓 단자
10: Plug connector
20: Socket connector
100: 1st mold section
110: Base
120, 130, 140, 150: Wall
200: 1st plug terminal
210, 250, 260: Aambu
220, 230, 240: Extension
230m: 1st floor
300: 2nd plug terminal
E1, E2, E3: Step
400: 2nd mold section
500: 1st socket terminal
600: 2nd socket terminal

Claims (11)

소켓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로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2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1 벽부와 대향하는 제3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2 벽부와 대향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및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되며, 제1 아암부를 포함하는 제1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부는,
상기 제1 벽부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연장부의 양단 중 내측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저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기저부의 하면에 도달하기까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이루며 연장되며,
상기 제2 연장부의 경사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벽부에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장부는 노출되어 있는 플러그 커넥터.
As a plug connector that is coupled to a socket connector,
A mold portion including a base portion, a first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a second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and intersecting the first wall portion, a third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intersecting the second wall portion and facing the first wall portion, and a fourth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intersecting the first and third wall portions and facing the second wall portion; and
It is installed on the first wall portion and includes a first plug terminal including a first arm portion,
The above first arm portion,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ll portion,
Including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inner sid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and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s from on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forming an outwardly inclined slo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A plug connector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clined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is embedded in the first wall portion,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is ex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기저부의 하면에 평행하게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실장부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In the first paragraph,
A plug connector wherein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that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plug connector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플러그 단자의 종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면은 원의 일부인 플러그 커넥터.
In the first paragraph,
A plug connector, wherein when viewed in cross-section of the first plug termin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is a portion of a cir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플러그 단자의 종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면은 하방이 뚫린 ㄷ자 형상인 플러그 커넥터.
In the first paragraph,
A plug connector in which, when viewed in cross-section of the first plug termin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has a ㄷ shape with the lower end op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플러그 단자의 종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벽부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가지며, 상기 내측면과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는 5~40도인 플러그 커넥터.
In the first paragraph,
A plug connector in which, when viewed in cross-section of the first plug termin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the first wall portion has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and an angle formed by the inner surface and the cross-sec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is 5 to 40 degre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부는, 상기 제1 연장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1 벽부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In paragraph 5,
A plug connector wherein the first arm portion further includes a thir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wall por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벽부와 상기 제4 벽부의 어느 일방 또는 양방 상에, 상기 제1 플러그 단자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복수의 제2 플러그 단자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In the first paragraph,
A plug connector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plug terminal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first plug terminal on one or both of the second wall portion and the fourth wall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 단자는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플러그 단자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는 플러그 커넥터.
In Article 7,
A plug connector in which the first plug terminal inputs and outputs a power electric signal,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lug terminals input and output a data electric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 단자는,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에 걸쳐 배치되는 제2 아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아암부는, 상기 기저부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실장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In the first paragraph,
The first plug terminal further includes a second arm portion arranged across the first wall portion and the second wall portion,
A plug connector wherein the second arm portion includes a second mounting portion extending along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 단자는,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4 벽부에 걸쳐 배치되는 제3 아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아암부는, 상기 기저부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실장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In Article 9,
The first plug terminal further includes a third arm portion arranged across the first wall portion and the fourth wall portion,
A plug connector, wherein the third arm portion includes a third mounting portion extending along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 단자는,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에 걸쳐 배치되는 제2 아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아암부는, 상기 기저부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실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연장부의 하단부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3 연장부는 제1 절곡부를 통해 상기 제1 아암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3 연장부는 제2 절곡부를 통해 상기 제2 아암부와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 커넥터.
In Article 6,
The first plug terminal further includes a second arm portion arranged across the first wall portion and the second wall portion,
The second arm portion includes a second mount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 cut-out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third extension section.
A plug connector in which, when the plug connector is viewed from the top, the third extens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female portion through the first bend portion, and the third extens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female portion through the second bend portion.
KR1020190023447A 2019-02-27 2019-02-27 Plug connector Active KR1027184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447A KR102718405B1 (en) 2019-02-27 2019-02-27 Plug connector
JP2020026940A JP7561499B2 (en) 2019-02-27 2020-02-20 Plug Connector
CN202020205952.8U CN211605467U (en) 2019-02-27 2020-02-25 Plug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447A KR102718405B1 (en) 2019-02-27 2019-02-27 Plug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726A KR20200104726A (en) 2020-09-04
KR102718405B1 true KR102718405B1 (en) 2024-10-16

Family

ID=7228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447A Active KR102718405B1 (en) 2019-02-27 2019-02-27 Plug connect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561499B2 (en)
KR (1) KR102718405B1 (en)
CN (1) CN211605467U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622746B2 (en) 2020-08-24 2025-01-28 Agc株式会社 Radio wave absorber
KR102468256B1 (en) 2021-11-30 2022-11-21 재단법인 녹색에너지연구원 Vertical type photovoltaic system for agricultur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5468Y2 (en) * 1999-02-10 2000-07-1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JP2004192892A (en) 2002-12-10 2004-07-08 Kyocera Elco Corp Connector device
CN202855994U (en) 2012-09-29 2013-04-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Electric connector
JP5972855B2 (en) 2013-12-24 2016-08-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JP6034339B2 (en) 2014-07-29 2016-11-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JP6391517B2 (en) * 2015-03-30 2018-09-1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connector
JP6385875B2 (en) * 2015-04-01 2018-09-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JP2017162774A (en) * 2016-03-11 2017-09-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JP6751912B2 (en) 2016-12-27 2020-09-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Mounting brackets, connectors, and connecting devices
KR102638823B1 (en) * 2016-11-29 2024-02-21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Mounting bracket and plug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JP6681951B2 (en) 2018-08-08 2020-04-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40958A (en) 2020-09-03
JP7561499B2 (en) 2024-10-04
CN211605467U (en) 2020-09-29
KR20200104726A (en) 2020-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1537B2 (en) connector
US11978973B2 (en) Connector
JP7507567B2 (en) Plug Connector
US7377812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20289096A1 (en) Electrical connector
EP2568536A1 (en) Bending coaxial electric connector
JPH10189181A (en) Plug connector
WO2020059210A1 (en) Receptacle connector
KR102718405B1 (en) Plug connector
US20250112386A1 (en) Plug connector for board-to-boar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JP5203029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165739B1 (en) Hold down of connector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JP2012043587A (en) Contact and connector
CN222088880U (en) Electrical connector
CN222802140U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425715Y1 (en) Pin terminal for connector
KR102704316B1 (en) Electric connector
JP2006172738A (en) Plug connector, plug contact and assembly method of plug connector
KR102644059B1 (en) Electric connector
KR102644055B1 (en) Electric connector
KR102706995B1 (en) Electric connector
KR102704315B1 (en) Electric connector
CN222601493U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728096B1 (en) Electric connector
CN222530848U (en) Electric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9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6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