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7846B1 - 액세스 유형별 거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지원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액세스 유형별 거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지원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7846B1
KR102717846B1 KR1020237007816A KR20237007816A KR102717846B1 KR 102717846 B1 KR102717846 B1 KR 102717846B1 KR 1020237007816 A KR1020237007816 A KR 1020237007816A KR 20237007816 A KR20237007816 A KR 20237007816A KR 102717846 B1 KR102717846 B1 KR 102717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ssai
terminal
access type
rejected
acc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7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0374A (ko
Inventor
랄리스 쿠마르
쿠스타브 로이
아리짓 센
데니스 에선 하쉬미
마흐무드 왓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50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0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7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784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6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traf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6De-registration or det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세스 유형별로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단일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지원 정보(S-NSSAI: 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에 대한 거부된 NSSAI를 유지하기 위한 단말에서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거부된 S-NSSAI(들) 정보 및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S-NSSAI에 대한 원인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등록 수락, 등록 거부 또는 설정 업데이트 명령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수신된 S-NSSAI(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부된 S-NSSAI(들)이 적용 가능한 액세스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액세스 유형별로 상기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S-NSSAI에 대하여 거부된 NSSAI의 저장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세스 유형별 거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지원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액세스 유형별로 거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지원 정보(NSSAI: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를 유지하기 위한 단말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액세스 유형별로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단일 NSSAI (S-NSSAI: Single NSSAI)에 대하여 거부된 NSSAI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5G 이동통신 기술은 높은 전송률과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넓은 주파수 대역을 정의하고 있으며, 3.5 GHz와 같은 "Sub 6 GHz" 대역 뿐만 아니라 28 GHz 및 39 GHz를 비롯하여 초고주파(mmWave)로 지칭되는 "Above 6 GHz" 대역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5G 이동통신 기술보다 50배 빠른 전송률 및 5G 이동통신 기술의 10분의 1 수준인 초저지연(ultra-low latency)을 달성하기 위하여 테라헤르츠 대역(예를 들어, 95 GHz 내지 3 THz 대역)에서 6G 이동통신 기술(Beyond 5G 시스템이라고 함)을 구현하는 것이 고려되어 왔다
5G 이동통신 기술의 개발 초기에는 서비스들을 지원하고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s), 및 mMTC(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와 관련된 성능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하여, 다음에 관한 표준화가 진행되었다: mmWave에서 전파 경로 손실을 완화하고 전파 전송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빔포밍 및 대규모 MIMO, mmWave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슬롯 포맷들의 동적 운용을 위한 숫자학(numerology)(예: 여러 부반송파 간격들의 운용) 지원, 다중 빔 전송 및 광대역 지원을 위한 초기 접속 기술, 부분 대역폭(BWP: BandWidth Part) 정의 및 운용,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코드 및 제어 정보의 신뢰성 높은 전송을 위한 폴라(polar) 코드와 같은 새로운 채널 코딩 방법들, L2 전처리, 특정 서비스에 특화된 전용 네트워크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현재는 5G 이동통신 기술이 지원할 서비스 측면에서 초기 5G 이동통신 기술의 개선 및 성능 향상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다음과 같은 기술들에 대한 물리 계층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차량이 전송하는 차량의 위치 및 상태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자율주행차의 주행 판단을 돕고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V2X(Vehicle-to-Everything), 비면허 대역들(unlicensed bands)에서 다양한 규제 관련 요구사항을 준수하는 시스템 운영을 목표로 하는 NR-U(New Radio Unlicensed), NR 단말의 절전, 지상망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위성 직접 통신인 NTN(Non-Terrestrial Network), 및 측위(positioning).
또한, 다음과 같은 기술들에 관한 무선 인터페이스 아키텍처/프로토콜의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다른 산업과의 연동 및 융합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무선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를 통합 지원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 확장을 위한 노드를 제공하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조건부 핸드오버 및 DAPS(Dual Active Protocol Stack) 핸드오버를 포함한 이동성 향상, 및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한 2단계 랜덤 액세스(NR용 2단계 RACH). 또한, 다음에 관한 시스템 아키텍처/서비스의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NFV(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및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 기술을 결합하기 위한 5G 기본 아키텍처(예: 서비스 기반 아키텍처 또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및 단말 위치 기반의 서비스들을 제공받기 위한 MEC(Mobile Edge Computing).
5G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됨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커넥티드(connected) 장치들이 통신망들에 연결될 것이며, 이에 따라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 향상과 커넥티드 장치들의 통합 운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관련된 새로운 연구가 예정되어 있다: AR(Augmented Reality), VR(Virtual Reality), MR(Mixed Reality) 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XR(eXtended Reality),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을 활용한 5G 성능 향상 및 복잡도 감소, AI 서비스 지원, 메타버스 서비스 지원, 및 드론 통신.
또한, 이러한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은 다음 기술들에 대한 개발의 기반이 될 것이다: 6G 이동통신 기술의 테라헤르츠 대역 커버리지 제공을 위한 새로운 파형; FD-MIMO(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 대형 안테나 등의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 테라헤르츠 대역 신호의 커버리지 향상을 위한 메타물질 기반 렌즈 및 안테나; OAM(Orbital Angular Momentum) 및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를 이용한 고차원 공간 다중화 기술; 6G 이동통신 기술의 주파수 효율을 높이고 시스템 네트워크를 개선하기 위한 전이중(full-duplex) 기술; 설계 단계부터 인공위성과 AI를 활용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구현하고 종단간(end-to-end) AI 지원 기능을 내재화하기 위한 AI 기반 통신 기술; 및 초고성능 통신과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단말 운용 능력의 한계를 뛰어넘는 복잡도 수준의 서비스 구현을 위한 차세대 분산 컴퓨팅 기술.
상기 정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 정보로만 제공된다. 위의 내용 중 어느 것도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선행 기술로 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어떠한 결정도, 어떠한 주장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대용량 데이터 트래픽, 사용자당 데이터 전송률의 증가, 연결된 모바일 장치 수의 대폭 증가, 및 모바일 장치의 데이터 속도 요구사항 증가에 따른 저-지연을 지원해야 한다. 5G 기술은 모바일 장치에서 계속 증가하는 데이터 속도 요구사항을 실현하기 위해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개념을 활용한다. 특히,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네트워크 서비스 공급자 네트워크들을 통해 전용 연결 서비스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5G 개념이다. 5G는 슬라이스 선택을 지원하기 위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지원 정보(NSSAI: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개념을 도입한다. NSSAI는 단일 NSSAI(S-NSSAI)들의 목록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UE: User Equipment)의 예시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말(101)은 임의의 액세스 유형을 통해 네트워크(103)와 연결될 수 있다. 액세스 유형은 3GPP 액세스 또는 비-3GPP(N3GPP: non-3GPP) 액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도 1에는 하나의 단말만 도시되어 있지만, 하나보다 많은 단말들이 네트워크(103)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03)는 단말(101)들과의 연결 설정을 위한 3GPP 액세스 또는 비-3GPP 액세스를 통해 접속될 수 있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 개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101)은 5G에서 거부된 NSSAI인 활성화 디폴트 EPS 베어러에서 NSSAI를 수신한다. 단말(101)은 접속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으로부터 거부의 원인 및 유효성과 함께 하나 이상의 거부된 S-NSSAI를 얻을 수 있다. S-NSSAI는 다음의 경우 거부될 수 있다:
- 전체 PLMN에 대하여; 또는
- 현재 등록 영역에 대하여.
단말(101)이 액세스 유형에 관계없이 PLMN에서 RM-등록된(RM-REGISTERED) 상태로 남아 있는 동안, 단말(101)은 거부된 S-NSSAI가 삭제될 때까지 전체 PLMN에 대하여 거부된 S-NSSAI에 등록을 재시도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네트워크(103) 내의 네트워크 개체들 중 하나인 NSACF(Network Slice Admission Control Function)는 NSAC(Network Slice Admission Control)가 적용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대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당 등록된 단말들의 수와 네트워크 슬라이스당 PDU(Protocol Data Unit) 세션들의 수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한다. 또한, NSACF는 NSACF가 적용되는 S-NSSAI에 대하여 어떤 액세스 유형(즉, 3GPP 액세스 유형, 비-3GPP 액세스 유형, 또는 둘 다)이 지정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로 설정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액세스 유형에 관계없이 거부된 NSSAI를 고려하는 단말(101)을 묘사하는 흐름도(200)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1)이 액세스 유형에 관계없이 PLMN에서 RM-등록된 상태로 남아 있는 동안, 단말(101)은 거부된 S-NSSAI가 삭제될 때까지 전체 PLMN에 대하여 거부된 S-NSSAI에 등록을 재시도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현재 시나리오에서, 단계 2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GPP 액세스 유형을 통해 단말(101)과 3GPP PLMN-A(203) 사이에는 S-NSSAI-A에 대한 진행 중의 PDU 세션이 있다.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 단말(101)이 비-3GPP(201) 액세스를 통해 PLMN-A와 연결하기를 원하면, 단말(101)은 단계 207에서 S-NSSAI-A로서 요청된 NSSAI와 함께 등록 요청을 전송한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101)은 단계 2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3GPP 액세스에 대하여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S-NSSAI가 이용 가능하지 않음"을 수신한다. 그런 다음 단말(101)은 S-NSSAI-A를 거부 목록(즉,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에 대한 거부 NSSAI)에 넣는다. 본 실시예에서 거부 목록은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에 대한 거부 NSSAI를 나타낸다. 따라서, 단계 211에서 단말(101)은 S-NSSAI-A를 거부 목록에 넣음으로써 단말(101)은 진행 중인 PDU 세션을 연결 해제한다. 즉, S-NSSAI-A가 거부 NSSAI 목록에 있으므로 PDU-A를 연결 해제한다. 특히, 단말(101)은 3GPP 액세스의 진행 중인 PDU 세션을 중단하고 S-NSSAI-A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액세스에서 PDU 세션을 요청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는 단계 2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3GPP 액세스에서 진행 중인 서비스의 중단을 야기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동일한 상황이 비-3GPP 액세스에서 반대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다음과 같은 메커니즘을 제공해야 하는 단말을 위한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 어떤 액세스에 대하여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S-NSSAI가 이용 가능하지 않음"이 거부되는지 식별,
- 각 액세스 유형의 S-NSSAI 목록 저장 처리,
- 저장을 기반으로 수행할 작업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이러한 현재 시나리오에서, 단계 2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GPP 액세스 유형을 통해 단말(101)과 3GPP PLMN-A(203) 사이에는 S-NSSAI-A에 대한 진행 중의 PDU 세션이 있다.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 단말(101)이 비-3GPP(201) 액세스를 통해 PLMN-A와 연결하기를 원하면, 단말(101)은 단계 207에서 S-NSSAI-A로서 요청된 NSSAI와 함께 등록 요청을 전송한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101)은 단계 2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3GPP 액세스에 대하여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S-NSSAI가 이용 가능하지 않음"을 수신한다. 그런 다음 단말(101)은 S-NSSAI-A를 거부 목록(즉,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에 대한 거부 NSSAI)에 넣는다. 본 실시예에서 거부 목록은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에 대한 거부 NSSAI를 나타낸다. 따라서, 단계 211에서 단말(101)은 S-NSSAI-A를 거부 목록에 넣음으로써 단말(101)은 진행 중인 PDU 세션을 연결 해제한다. 즉, S-NSSAI-A가 거부 NSSAI 목록에 있으므로 PDU-A를 연결 해제한다. 특히, 단말(101)은 3GPP 액세스의 진행 중인 PDU 세션을 중단하고 S-NSSAI-A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액세스에서 PDU 세션을 요청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는 단계 2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3GPP 액세스에서 진행 중인 서비스의 중단을 야기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동일한 상황이 비-3GPP 액세스에서 반대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이 부분에서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개념들의 선택을 단순화된 형식으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부분은 본 발명의 핵심 또는 본질적인 개념들을 확인하기 위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것도 아니다.
구현에서, 본 발명은 액세스 유형별로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단일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지원 정보(S-NSSAI: 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에 대한 거부된 NSSAI를 유지하기 위한 단말에서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거부된 S-NSSAI(들) 정보 및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S-NSSAI에 대한 원인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등록 수락, 등록 거부 또는 설정 업데이트 명령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수신된 S-NSSAI(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거부된 S-NSSAI(들)이 적용 가능한 액세스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액세스 유형별로 상기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S-NSSAI에 대하여 거부된 NSSAI의 저장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저장된 거부 NSSAI를 기반으로 동작들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점들 및 특징들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도면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들만을 도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추가적인 구체성 및 세부사항과 함께 설명될 것이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하기 전에, 이 특허 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 및 구문들의 정의를 설명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포함하다" 및 "가지다"라는 용어들 및 그 파생어들은 제한 없이 포함함을 의미한다. "또는"이라는 용어는 "및/또는"이라는 의미를 포함한다. "무엇에 관련된"이라는 구문과 그 파생어들은 무엇을 포함하다, 무엇 안에 포함되다, 무엇에 상호 연결되다, 무엇을 함유하다, 무엇 내에 들어있다, 무엇에 또는 무엇과 연결하다, 무엇에 또는 무엇과 결합하다, 무엇과 통신할 수 있다, 무엇에 협력하다, 무엇을 끼워 넣다, 무엇을 나란히 놓다, 무엇에 근사하다, 무엇에 또는 무엇과 경계를 이루다, 무엇을 가지다, 무엇의 특징을 가지다 등을 의미한다. "컨트롤러"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어떤 장치, 시스템 또는 그것들의 일부를 의미한다. 그러한 컨트롤러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특정 컨트롤러에 관련된 기능은 국부적이거나 또는 원격으로, 중앙 집중되거나 또는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지원될 수 있으며, 각각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로 형성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구현된다. 용어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은 적절한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에서 구현하기 위해 조정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명령어 세트들, 절차들, 기능들, 객체들, 클래스(class)들, 인스턴스(instance)들, 관련 데이터 또는 그 일부를 나타낸다. 구문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소스 코드, 오브젝트 코드, 및 실행 코드를 비롯하여, 모든 형식의 컴퓨터 코드를 포함한다. 구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CD(compact disc), DVD(digital video disc),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매체를 포함한다.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일시적인 전기 또는 다른 신호들을 전송하는 유선, 무선, 광학, 또는 다른 통신 링크를 배제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매체 및 예를 들어 재기록이 가능한 광 디스크 또는 소거 가능 메모리 장치와 같이 데이터가 저장되고 나중에 덮어 쓸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용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이 본 특허 문서 전체에 걸쳐 제공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대부분의 경우에, 그렇지 않더라도 많은 경우에, 상기 정의들이 그러한 단어들과 구문들의 이후 사용에 뿐만 아니라 이전의 사용에도 적용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 특허에서 다루는 절차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메커니즘을 제공해야 하는 단말을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어떤 액세스에 대하여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S-NSSAI가 이용 가능하지 않음"이 거부되는지 식별, 각 액세스 유형의 S-NSSAI 목록 저장 처리, 저장을 기반으로 수행할 작업들. 이 특허에서 다루는 절차들은 전술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이점들에 대한 보다 충분한 이해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의 예시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액세스 유형에 관계없이 거부된 NSSAI를 고려하는 단말을 묘사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유형별로 거부된 NSSAI 목록을 유지하는 단말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묘사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유형별로 거부된 NSSAI를 유지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도면에 구성요소들이 간략히 도시되고 반드시 축척에 맞게 그려지지 않았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흐름도는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 가장 두드러진 단계들의 측면에서 방법을 도시한다. 또한, 장치의 구조적 측면에서, 장치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이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호로 표시될 수 있으며,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해하는 데에 적절한 특정 세부사항들만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세부사항들이 도면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설명되는 도 1 내지 도 6 및 이 특허 문헌에서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원리들이 적절히 마련된 어느 시스템이나 장치에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구현이 이하에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현재 공지 여부 또는 존재 여부에 관계없이 임의의 수의 기술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예시적인 설계 및 구현을 비롯하여 아래에 제시된 예시적인 구현, 도면, 및 기술들에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의 전체 범위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일부"는 "없음, 또는 하나, 또는 하나보다 많음, 또는 전부"로 정의된다. 따라서, "없음", "하나", "하나보다 많음", "하나보다 많지만 전부는 아님", 또는 "모두"라는 용어들은 모두 "일부"의 정의에 속한다. "일부 실시예"라는 용어는 실시예가 없거나 하나의 실시예이거나 여러 실시예들이거나 모든 실시예들을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라는 용어는 "실시예 없음, 또는 하나의 실시예, 또는 하나보다 많은 실시예들, 또는 모든 실시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구조는 일부 실시예 및 이들의 특정 특징들과 요소들을 설명하고 가르치기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사상 및 범위를 한정, 제한, 또는 축소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함하다", "구비하다", "가지다", "구성되다", 및 이들의 문법적 변형들과 같은 용어들은 정확한 한정이나 제한을 명시하지 않으며,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 특징들이나 요소들의 추가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은 "포함해야 한다" 또는 "포함할 필요가 있다"라는 한정적 표현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열거된 특징들 및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제외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특징 또는 요소가 오로지 한 번만 사용되도록 한정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이는 "하나 이상의 특징" 또는 "하나 이상의 요소" 또는 "적어도 하나의 특징" 또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특징 또는 요소라는 용어의 사용은 "하나 이상의 ... 가 필요하다" 또는 "하나 이상의 요소가 요구된다"와 같은 한정적 표현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해당 특징 또는 요소가 없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 특히 기술적 및/또는 과학적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액세스 유형별 거부된 NSSAI 목록 및 액세스 유형별로 또는 액세스 유형에 관계없이 적용될 NSACF 액세스 제어를 유지할 수 있는 단말에서의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단말(101)은 유형별로 다른 거부된 NSSAI 목록을 유지할 수 있어서 진행 중인 서비스들의 불연속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고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S-NSSAI가 이용 가능하지 않음"으로 인해 거부된 S-NSSAI에 대한 특정 NSSAI를 포함하는 향후 서비스들의 사용을 방해하는 것을 극복할 수 있다. NSACF는 액세스 유형별 카운트를 유지하거나 모든 액세스 유형들의 카운트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101)은 NSACF에 의해 적용되는 방법이 액세스 유형별 카운트를 적용할지 아니면 모든 액세스 유형들의 카운트를 유지할지 알지 못한다. 따라서 단말 측에서는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액세스 유형별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SACF가 액세스 유형별 카운트를 적용하고 임계값에 도달한 후 이를 거부하면 문제가 없다(단말도 액세스 유형별 카운트를 유지하고 있다). 다른 방법에서, 모든 액세스 유형들의 카운트가 최대값에 도달할 때 NSACF가 거부하면 단말이 액세스 유형별 카운트를 유지하여도 해가 없다. 이는 현재 액세스 유형에 대하여 최대값에 도달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말(101)은 네트워크에 의해 적용되는 방법(즉, NSACF 네트워크 기능)에 관계없이 올바른 결과를 산출할 수 있도록 액세스 유형별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에 대하여 거부된 NSSAI를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진행 중인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하여 등록된 단말들의 최대 수에 도달하고("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S-NSSAI가 이용 가능하지 않음"이라고도 함), 이러한 거부 원인으로 비-3GPP 액세스 유형에 대하여 S-NSSAI-A가 거부되면, 단말은 S-NSSAI-A를 비-3GPP 액세스 유형에 대해서만 거부된 NSSAI 목록에 넣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는 3GPP 액세스에서 S-NSSAI-A의 진행 중인 또는 향후의 서비스를 방해해서는 안되며, 또는 S-NSSAI-A가 3GPP 액세스의 거부된 NSSAI 목록에 없는 경우 3GPP 액세스의 요청된 NSSAI 목록에 S-NSSAI-A를 추가하는 것을 방해해서는 안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유형별로 거부된 NSSAI 목록을 유지하는 단말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묘사하는 흐름도(300)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흐름도(300)는 비-3GPP PLMN-A(201), 단말(101), 및 3GPP PLMN-A(203)를 포함한다. 참조 번호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전체에 걸쳐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1)은 초기에 3GPP PLMN-A(203)와 연결(즉, 등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단말(101)이 3GPP 액세스를 통해 PLMN-A에 등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단말(101)은 휴대폰, 스마트 워치, 태블릿, 및 비-3GPP PLMN-A(201) 및 3GPP PLMN-A(203)와 같은 임의의 비-3GPP 또는 임의의 3GPP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기타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시된 3GPP PLMN-A(203)는 각각 4G 및 5G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PP PLMN-A(203)는 MME(Mobility Management Function)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3GPP PLMN-A(203)는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단계 301에서 S-NSSAI-A를 사용하는 PDU 세션 PDU-A는 단말(101)과 3GPP PLMN-A(203) 사이에 3GPP 액세스 유형으로 설정된 것으로 간주된다.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 단말(101)이 비-3GPP 액세스 유형을 통해 비-3GPP PLMN-A(201)와 연결을 원하는 경우, 단말(101)은 단계 303에서 S-NSSAI-A로서 요청된 NSSAI와 함께 등록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305 단계에서 응답으로 단말(101)은 비-3GPP PLMN-A(201)로부터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를 수신한다. NAS 메시지는 거부된 S-NSSAI(들) 정보 및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S-NSSAI에 대한 원인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등록 수락, 등록 거부 또는 설정 업데이트 명령(CONFIGURATION UPDATE COMMAND)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3GPP(Non-3GPP) 액세스 유형에 대하여 S-NSSAI-A가 거부되고 거부 원인이 진행 중인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하여 등록된 단말들의 최대 수에 도달함("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S-NSSAI가 이용 가능하지 않음"이라고도 함)인 경우, 거부 원인(일반적으로 거부 원인은 본 실시예에서 표시(indication)로 간주되어야 함)은 비-3GPP 액세스를 통해 등록 수락, 등록 거부 또는 단말 설정 업데이트와 같은 NAS 메시지로 단말에 의해 수신된다.
단계 305 이후에, 단계 307 단계에서 단말(101)은 거부된 S-NSSAI(들)이 적용될 수 있는 액세스 유형을 결정한다. 액세스 유형은 단계 305에서 수신된 S-NSSAI(들) 정보로부터 결정된다. 액세스 유형의 결정을 위한 구현에서 단말(101)은 NAS 메시지가 수신되는 액세스 유형을 식별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NAS 메시지에는 거부된 S-NSSAI(들) 및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S-NSSAI에 대한 원인이 포함된다. 식별 후, 단말(101)은 거부된 S-NSSAI(들)을 대응하는 식별된 액세스 유형에 연관시킨다. 즉, 액세스 유형에 대하여 거부된 S-NSSAI(들) 및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S-NSSAI에 대한 원인 또는 이유를 연관시킨다.
따라서, 액세스 유형을 결정한 후, 단계 309에서 단말(101)은 액세스 유형별로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S-NSSAI에 대하여 거부된 NSSAI의 저장을 유지한다. S-NSSAI에 대하여 거부된 NSSAI의 저장을 유지하기 위한 구현에서, 단말(101)은 거부된 S-NSSAI(들)이 적용 가능한 액세스 유형을 식별한다. 식별 후, 단말(101)은 액세스 유형별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S-NSSAI에 대하여 거부된 NSSAI에 식별된 해당 액세스 유형과 함께 거부된 S-NSSAI(들)을 별도로 저장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엑세스 유형별로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이용할 수 없는 S-NSSAI에 대하여 거부된 NSSAI는 네트워크 슬라이싱 정보로서 저장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01)은 액세스 유형별로 거부된 NSSAI 목록을 유지한다. 따라서, 단말(101)은 S-NSSAI-A를 비-3GPP 액세스 유형에 대해서만 거부된 NSSAI 목록에 넣을 것이며, 이는 3GPP 액세스에서 S-NSSAI-A의 진행 중인 또는 향후의 서비스를 방해하거나 S-NSSAI-A가 3GPP 액세스의 거부된 NSSAI 목록에 없는 경우 3GPP 액세스의 요청된 NSSAI 목록에 S-NSSAI-A를 추가하는 것을 방해해서는 안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초기에 단계 301에서 S-NSSAI-A를 사용하는 PDU 세션 PDU-A는 단말(101)과 비-3GPP PLMN-A(201) 사이에 비-3GPP 액세스 유형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시나리오를 고려한다. 또한, 단말(101)이 3GPP 액세스 유형을 통해 3GPP PLMN-A(203)와 연결을 원하는 경우, 단말(101)은 단계 303에서 S-NSSAI-A로서 요청된 NSSAI와 함께 등록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305에서 응답으로 단말(101)은 3GPP PLMN-A(203)로부터 NAS 메시지를 수신한다. 따라서, 단말에서 수행되는 단계들 307 및 309는 동일하다. 그러나, 이 경우 유일한 변경 사항은 NAS 메시지가 3GPP 액세스를 통해 3GPP PLMN-A(203)로부터 수신되고 단말(101)은 이미 비-3GPP PLMN-A(201)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구현에서, 3GPP 액세스 유형에 대하여 S-NSSAI-A가 거부되고 거부 원인이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S-NSSAI가 이용 가능하지 않음"인 경우, 거부 원인(일반적으로 거부 원인은 본 실시예에서 표시(indication)로 간주되어야 함)은 비-3GPP 액세스를 통해 등록 수락, 등록 거부 또는 단말 설정 업데이트와 같은 NAS 메시지로 단말에 의해 수신된다. 따라서, 단말(101)은 S-NSSAI-A를 3GPP 액세스 유형에 대해서만 거부된 NSSAI 목록에 넣을 것이며, 이는 비-3GPP 액세스에서 S-NSSAI-A의 진행 중인 또는 향후의 서비스를 방해하거나 S-NSSAI-A가 비-3GPP 액세스의 거부된 NSSAI 목록에 없는 경우 비-3GPP 액세스의 요청된 NSSAI 목록에 S-NSSAI-A를 추가하는 것을 방해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진행 중인 서비스들의 불연속성을 극복하고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S-NSSAI가 이용 가능하지 않음"으로 인해 거부된 S-NSSAI에 대한 특정 NSSAI를 포함하는 향후 서비스들의 사용을 방해하는 것을 극복하기 위해 단말(101)은 유형별로 다른 거부된 NSSAI 목록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목록은 "3GPP 액세스에 대하여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에 의해 거부된 NSSAI" 또는 "비-3GPP 액세스에 대하여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에 의해 거부된 NSSAI" 또는 3GPP 액세스 유형에 대하여 거부된 NSSAI 목록 또는 비-3GPP 액세스에 대하여 거부된 NSSAI 등으로 지칭될 수 있지만, 적용의 의미는 동일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3GPP 액세스 유형에 대하여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이용할 수 없는 S-NSSAI에 대한 거부된 NSSAI를 포함하는 목록을 제1 목록이라고 할 수 있고, 비-3GPP 액세스 유형에 대하여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이용할 수 없는 S-NSSAI에 대한 거부된 NSSAI를 포함하는 목록을 제2 목록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목록은 단지 예일 뿐이지만 일반적으로 단말(101)은 어떤 액세스에 대하여 거부된 슬라이스를 추적할 것이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311에서 단말(101)은 저장된 거부 NSSAI에 기초하여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한다. 구현에서, 단말(101)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현재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또는 단말의 현재 등록 영역에 대한 각각의 액세스 유형에 대하여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S-NSSAI에 대한 거부된 NSSAI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조건은 단말의 전환,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포함된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의 제거, 현재 SNPN(Stand-alone Non-Public Network)의 SNPN 식별자를 가진 가입자 데이터 목록의 업데이트, 또는 거부된 S-NSSAI(들)의 제거 중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특히, 단말(101)은 액세스 유형별로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에 의해 거부된 NSSAI에 거부 S-NSSAI(들)을 추가할 것이고 다음과 같은 조건들이 충족될 때까지 거부 NSSAI가 수신된 각각의 액세스 유형을 통해 현재 PLMN에서 이 S-NSSAI를 사용하려고 시도하지 않을 것이다: 단말의 스위칭 오프, USIM이 포함된 UICC의 제거, 현재 SNPN의 SNPN 식별자를 가진 "가입자 데이터 목록"의 항목 업데이트, 또는 타이머 T3526이 만료될 때 거부 S-NSSAI(들)의 제거. 예를 들어, 거부된 NSSAI가 "비-3GPP 액세스에 대한 거부된 NSSAI 목록"에 존재하고 "3GPP 액세스에 대한 거부된 NSSAI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S-NSSAI-A인 경우, 단말(101)은 비-3GPP 액세스를 통한 등록 절차의 일부로서 요청된 NSSAI에 S-NSSAI-A를 포함하지 않을 것이지만, 단말(101)은 3GPP 액세스를 통해 S-NSSAI-A에 액세스하도록 허용(즉,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거부된 NSSAI가 "3GPP 액세스에 대한 거부된 NSSAI 목록"에 존재하고 "비-3GPP 액세스에 대한 거부된 NSSAI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S-NSSAI-A인 경우, 단말(101)은 3GPP 액세스를 통한 등록 절차의 일부로서 요청된 NSSAI에 S-NSSAI-A를 포함하지 않을 것이지만, 단말(101)은 비-3GPP 액세스를 통해 S-NSSAI-A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된다.
추가 예에서, 단말(101)이 3GPP 액세스를 통해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에 의해 거부된 NSSAI" 표시를 수신하면(예를 들어 3GPP 액세스를 통해 S-NSSAI-A와 관련된 임의의 활성화된 PDU 세션들이 있는 경우 S-NSSAI-A), 단말(101)은 해당 PDU 세션들을 해제할 것이다. 비-3GPP 액세스를 통해 S-NSSAI-A와 관련된 임의의 활성화된 PDU 세션들이 있는 경우, 단말은 이들을 통해 데이터를 계속 송수신할 것이며 이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
단말(101)이 비-3GPP 액세스를 통해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에 의해 거부된 NSSAI" 표시를 수신하면(예를 들어 비-3GPP 액세스를 통해 S-NSSAI-A와 관련된 임의의 활성화된 PDU 세션들이 있는 경우 S-NSSAI-A), 단말(101)은 해당 PDU 세션들을 해제할 것이다. 3GPP 액세스를 통해 S-NSSAI-A와 관련된 임의의 활성화된 PDU 세션들이 있는 경우, 단말은 이들을 통해 데이터를 계속 송수신할 것이며 이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
따라서, 단말(101)은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에 의해 거부된 NSSAI" 가 NAS 메시지를 이용하여 동일 액세스를 통해 단말에 제공될 때 이러한 원인 또는 표시가 각각의 액세스 유형(3GPP 액세스 또는 비-3GPP 액세스)에 대한 것임을 이해한다. 예를 들어, 3GPP 액세스를 통해 NAS 메시지에서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에 의해 거부된 NSSAI"가 수신되면 이는 3GPP 액세스에 적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에 의해 거부된 NSSAI"가 액세스에 적용 가능하다는 전용 표시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는 3GPP 액세스 또는 비-3GPP 액세스를 통해 NAS 메시지를 보낼 수 있고, 원인, 예를 들어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에 의해 거부된 NSSAI"를 표시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S-NSSAI ID, 예를 들어 S-NSSAI-A를 제공할 수 있고, 거부된 슬라이스를 액세스 유형, 즉 3GPP 액세스, 비-3GPP 액세스 또는 둘 모두에 대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311에서 PDU-A를 사용하는 진행 중인 서비스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단되지 않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유형별로 거부된 NSSAI를 유지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방법(400)은 단말(101)에서 구현된다. 또한, 방법(400)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또한, 간결함을 위해 여기에서는 방법(400)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401에서 단말(101)은 거부된 S-NSSAI(들) 정보 및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S-NSSAI에 대한 원인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등록 수락, 등록 거부 또는 설정 업데이트 명령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다. 일례로, 네트워크는 3GPP PLMAN-A(203) 및 비-3GPP PLMAN-A(201)와 같은 네트워크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01은 도 3의 단계 305에 대응한다.
이후, 단계 403에서 단말(101)은 수신한 S-NSSAI(들) 정보를 기반으로 거부된 S-NSSAI(들)이 적용 가능한 액세스 유형을 결정한다. 단계 403은 도 3의 단계 307에 대응한다.
이후, 단계 405에서 단말(101)은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액세스 유형별로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로 인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S-NSSAI에 대하여 거부된 NSSAI의 저장을 유지한다. 단계 405는 도 3의 단계 309에 대응한다.
405 단계 이후에 단말(101)은 저장된 거부 NSSAI에 기초하여 동작들을 수행한다. 다양한 동작들은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간결함을 위해 생략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NSACF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당 PDU 세션들의 현재 수가 그 네트워크에 의해 서빙되도록 허용된 PDU 세션들의 최대 수를 초과하지 않게 제어하도록(즉,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가진 PDU 세션들의 현재 수가 증가할 때, NSACF는 해당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당 PDU 세션들의 최대 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한다. 이 접근법의 문제점은 단말의 등록된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S-NSSAI-A별로 유지되지만 PDU 세션들은 액세스 유형에 걸쳐 등록된 두 슬라이스들의 누적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S-NSSAI-A는 3GPP 액세스에 등록되고 S-NSSAI-A는 비-3GPP 액세스 유형에 등록된다.
NSACF는 단말에 대하여 등록된 슬라이스를 2로 카운트한다.
PDU-1, PDU-2는 3GPP 액세스의 S-NSSAI-A를 통해 설정되고 PDU-3, PDU-4는 비-3GPP 액세스의 S-NSSAI-A를 통해 설정된다.
따라서, 설정된 PDU 세션들의 수는 S-NSSAI-A에 대하여 서로 다른 액세스를 통해 설정되더라도 4개이며, 이는 NSACF에 대하여 잘못된 카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앵커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는 PDU 세션 설정/해제 절차 동안에 네트워크 슬라이스 제어당 최대 PDU 세션 수에 대하여 NSACF로의 요청을 트리거할 때 액세스 유형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SACF는 액세스 유형별로 S-NSSAI마다 설정된 PDU 세션들의 수를 카운트하고 액세스 유형별로 3GPP 시스템에서 정확한 카운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NSACF는 액세스 유형별 카운트를 유지하거나 모든 액세스 유형들의 카운트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101)은 NSACF에 의해 적용되는 방법이 액세스 유형별 카운트를 적용할지 아니면 모든 액세스 유형들의 카운트를 유지할지 알지 못한다. 따라서, 단말 측에서는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액세스 유형별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SACF가 액세스 유형별 카운트를 적용하고 임계값에 도달한 후 이를 거부하는 경우 문제가 없다(단말도 액세스 유형별 카운트를 유지하고 있다). 다른 방법에서 모든 액세스 유형들의 카운트가 최대값에 도달할 때 NSACF가 거부하는 경우 단말이 액세스 유형별 카운트를 유지하는 경우에도 해가 없다. 이는 현재 액세스 유형에 대하여 최대값에 도달하였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말(101)은 네트워크에 의해 적용되는 방법(즉, NSACF 네트워크 기능)에 관계없이 올바른 결과를 산출할 수 있도록 액세스 유형별로 도달된 단말들의 최대 수에 대하여 거부된 NSSAI를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네트워크(500)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논의된 바와 같이 3GPP PLMN-A 및/또는 비-3GPP PLMN-A에 대응할 수 있다. 네트워크(5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502), 메모리부(504)(예를 들어, 스토리지), 및 통신부(506)(예를 들어, 통신기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500)는 C-RAN(Cloud-RAN), CU(Central Unit), 코어 네트워크(NW: core Network), DU(Distributed Unit) 또는 그 밖의 다른 가능한 네트워크(NW)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06)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02)는 단일 처리 장치 또는 다수의 장치들일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다수의 컴퓨팅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02)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 마이크로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 상태 기계, 논리 회로, 및/또는 동작 명령에 기반하여 신호를 조작하는 임의의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능력들 중에서, 프로세서(502)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 및 데이터를 가져와서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5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502)는 중앙 처리 장치(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Graphics Processing Unit), VPU(Visual Processing Unit)과 같은 그래픽 전용 처리 장치, 및/또는 NPU(Neural Processing Unit)와 같은 AI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502)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휘발성 메모리, 즉 메모리부(504)에 저장된 미리 정의된 운영 규칙 또는 인공 지능(AI) 모델에 따라 입력 데이터의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운영 규칙 또는 인공 지능 모델은 교육 또는 학습을 통해 제공된다.
메모리(504)는 예를 들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및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ROM(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비롯하여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의 구성은 단말(600)의 구성 중 일부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부" 또는 "모듈"을 포함하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6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602), 통신부(604)(예를 들어, 통신기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저장부(606)(예를 들어,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단말(600)은 복수의 셀룰러 네트워크들(3G, 4G, 5G 또는 pre-5G, 6G 네트워크 또는 임의의 미래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을 통해 통신하는 셀룰러 전화 또는 기타 장치와 같은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통신부(604)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602)는 단일 처리 장치 또는 다수의 장치들일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다수의 컴퓨팅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02)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 마이크로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 상태 기계, 논리 회로, 및/또는 동작 명령에 기반하여 신호를 조작하는 임의의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능력들 중에서, 프로세서(602)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 및 데이터를 가져와서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6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602)는 중앙 처리 장치(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Graphics Processing Unit), VPU(Visual Processing Unit)과 같은 그래픽 전용 처리 장치, 및/또는 NPU(Neural Processing Unit)와 같은 AI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602)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휘발성 메모리, 즉 저장부(606)에 저장된 미리 정의된 운영 규칙 또는 인공 지능(AI) 모델에 따라 입력 데이터의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운영 규칙 또는 인공 지능 모델은 교육 또는 학습을 통해 제공된다.
저장부(506)는 예를 들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및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ROM(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비롯하여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처리 회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에서 실행되고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관리 기능들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특정 용어가 사용되었지만, 이로 인해 발생하는 어떠한 한정도 의도되지 않았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을 구현하기 위하여 방법에 다양한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 및 전술한 설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설명된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이 단일의 기능적 구성요소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는, 특정 구성요소들을 다수의 기능적 구성요소들로 분할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들이 다른 실시예에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프로세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흐름도의 동작들은 도시된 순서대로 구현될 필요가 없거나, 모든 동작들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또한, 다른 동작들에 의존하지 않는 동작은 다른 동작들과 병행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범위는 이들 특정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제공되든 아니든, 구조, 치수 및 재료 사용의 차이와 같은 다양한 변형들이 가능하다. 실시예들의 범위는 적어도 다음 청구범위에 의해 주어진 만큼 넓다.
위에서 특정 실시예들을 통하여 이득들과 장점들 및 문제 해결책들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이득들, 장점들, 문제 해결책들, 및 이들을 발생시키거나 더 두드러지게 만들 수 있는 모든 구성요소들은 청구범위의 일부 또는 전체의 중요하거나 필요하거나 필수적인 특징 또는 구성요소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에게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제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2)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로부터, 제1 액세스 유형을 통해 거부된 제1 S-NSSAI(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와 상기 제1 S-NSSAI의 거부 원인이 최대 단말 개수 도달이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액세스 유형 별로 관리되며, 최대 단말 개수 도달로 인해 거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SAI를 저장하기 위한 NSSAI 리스트에 상기 제1 S-NSSAI를 저장하는 단계;
    제2 S-NSSAI가 특정 액세스 타입에 대해 저장된 상기 NSSAI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액세스 타입에서 상기 제2 S-NSSAI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NSSAI에 대한 상기 액세스 유형이 상기 제1 액세스 유형인 경우, 상기 단말은 현재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에서 상기 S-NSSAI를 사용하려고 시도하지 않고,
    상기 S-NSSAI에 대한 상기 액세스 유형이 제2 액세스 유형인 경우, 상기 단말은 현재 PLMN에서 상기 S-NSSAI를 사용하려고 시도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S-NSSAI에 대한 상기 액세스 유형이 상기 제1 액세스 유형인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전원이 꺼지거나,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들어있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가 제거되거나, 현재 SNPN(stand-alone non-public network)의 SNPN ID로 구성된 가입자 데이터 목록 항목이 업데이트 되거나, 상기 거부된 제1 S-NSSAI가 제거될 때 까지 현재 PLMN에서 상기 제1 S-NSSAI를 사용하려고 시도하지 않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AS 메시지는 등록 수락 메시지(registration accept message), 등록 거부 메시지(registration reject message), 또는 구성 업데이트 명령 메시지(configuration update command messag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S-NSSAI는 현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등록된 단말의 최대 개수 도달에 따른 원인으로 거부되는,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송수신기;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로부터, 제1 액세스 유형을 통해 거부된 제1 S-NSSAI(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와 상기 제1 S-NSSAI의 거부 원인이 최대 단말 개수 도달이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를 수신하고,
    액세스 유형 별로 관리되며, 최대 단말 개수 도달로 인해 거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SSAI를 저장하기 위한 NSSAI 리스트에 상기 제1 S-NSSAI를 저장하며,
    제2 S-NSSAI가 특정 액세스 타입에 저장된 상기 NSSAI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액세스 타입에서 상기 제2 S-NSSAI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단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S-NSSAI에 대한 상기 액세스 유형이 상기 제1 액세스 유형인 경우, 상기 단말은 현재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에서 상기 S-NSSAI를 사용하려고 시도하지 않고,
    상기 S-NSSAI에 대한 상기 액세스 유형이 제2 액세스 유형인 경우, 상기 단말은 현재 PLMN에서 상기 S-NSSAI를 사용하려고 시도하는,
    단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S-NSSAI에 대한 상기 액세스 유형이 상기 제1 액세스 유형인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전원이 꺼지거나,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들어있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가 제거되거나, 현재 SNPN(stand-alone non-public network)의 SNPN ID로 구성된 가입자 데이터 목록 항목이 업데이트 되거나, 상기 거부된 제1 S-NSSAI가 제거될 때 까지 현재 PLMN에서 상기 제1 S-NSSAI를 사용하려고 시도하지 않는,
    단말.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NAS 메시지는 등록 수락 메시지(registration accept message), 등록 거부 메시지(registration reject message), 또는 구성 업데이트 명령 메시지(configuration update command messag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11. 삭제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S-NSSAI는 현재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등록된 단말의 최대 개수 도달에 따른 원인으로 거부되는,
    단말.
KR1020237007816A 2021-07-28 2022-07-27 액세스 유형별 거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지원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ctive KR102717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2141034003??? 2021-07-28
IN202141034003 2021-07-28
IN202141034003 2022-06-29
PCT/KR2022/011058 WO2023008910A1 (en) 2021-07-28 2022-07-27 System and methods for user equipment storing rejected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per access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374A KR20230050374A (ko) 2023-04-14
KR102717846B1 true KR102717846B1 (ko) 2024-10-15

Family

ID=85039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7816A Active KR102717846B1 (ko) 2021-07-28 2022-07-27 액세스 유형별 거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지원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2133157B2 (ko)
EP (1) EP4179787A4 (ko)
KR (1) KR102717846B1 (ko)
CN (1) CN116491170A (ko)
WO (1) WO20230089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36021A1 (en) * 2023-08-16 2025-02-20 Mediatek Singapore Pte. Ltd. Adding tracking area identities of current registration area in forbidden tracking area identity list after no slices available in wireless communica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12010A1 (en) 2020-01-03 2021-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th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41424B1 (en) * 2017-06-17 2022-05-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gistering a user equipment with a network sl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user equipment therefor
US20200413241A1 (en) * 2018-02-19 2020-12-3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erminal setting upd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0952094B2 (en) * 2018-04-09 2021-03-16 Mediatek Inc. AT commands for 5G QoS management
WO2020250005A1 (en) 2019-06-10 2020-12-17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enforcement of maximum number of user equipments per network sl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BR112021026454A2 (pt) * 2019-07-09 2022-02-15 Nec Corp Nó de rede, método para um nó de rede, equipamento de usuário e método para equipamento de usuário para controle de uso de fatia de rede
JP7342954B2 (ja) 2019-08-08 2023-09-12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方法、コアネットワークノード、及び無線端末
KR102593980B1 (ko) * 2020-05-25 2023-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밍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별 인증 실패 시 효율적인 plmn 선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12010A1 (en) 2020-01-03 2021-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th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C1-212182
3GPP S2-2104897
3GPP TS24.501 v17.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374A (ko) 2023-04-14
CN116491170A (zh) 2023-07-25
US20230031697A1 (en) 2023-02-02
WO2023008910A1 (en) 2023-02-02
EP4179787A1 (en) 2023-05-17
US12133157B2 (en) 2024-10-29
EP4179787A4 (en) 202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3306B2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alternative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3611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du session
US20230015471A1 (en) System and method to manage stored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US12342309B2 (en) Method and AMF apparatus for NSAC operation based on UE's actual usage
US202401377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ons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2564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registration of user equipment for disaster roaming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30172582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요청 절차를 처리하는 방법, ue 및 네트워크 장치
US202302396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 and priority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717846B1 (ko) 액세스 유형별 거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지원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501509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emporary slice deployment in 3gpp
US20240147567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inuity of modem service
US12335832B2 (en) Method and UE for selecting PLMN with disaster condition to receive disaster roaming service
US202303708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deregistration procedure of user equipment for disaster roaming service in wireless network
US20240397390A1 (en) Wireless network and methods for handling pdu session handover admission control in wireless network
US202300994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slice admission control for interworking with epc in wireless network
KR20230170098A (ko) 사용자 장치 루트 선택 정책 규칙을 재평가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19365A (ko) Nsacf에서 ma pdu 세션을 유지하는 무선 네트워크 및 방법
US202301251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PRIORITY OF VPLMN DUE TO MULTIPLE SoR SECURITY CHECK FAILURES
US2024033430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evaluating user-equipment route selection policy (ursp) rul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236636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user plane path management information of edge traffic for home-routed user equipment in mobile network system
US12376180B2 (en) Wireless network and methods to maintain MA PDU session at NSACF
US202500243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terminal configuration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0156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or security check failure during registration procedure in wireless network
US202402762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change of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500482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pemc switch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