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7477B1 -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 - Google Patents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7477B1
KR102717477B1 KR1020180130079A KR20180130079A KR102717477B1 KR 102717477 B1 KR102717477 B1 KR 102717477B1 KR 1020180130079 A KR1020180130079 A KR 1020180130079A KR 20180130079 A KR20180130079 A KR 20180130079A KR 102717477 B1 KR102717477 B1 KR 102717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mesh
extinguishing device
adjustment unit
blo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3093A (ko
Inventor
요스케 스즈키
노리오 사카타
타케시 츠치다
지로 오타가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카시와 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카시와 테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카시와 테크
Publication of KR20190053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7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747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화재 발생 상황에 따라서, 적절한 소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1)는, 포말 용액 공급 장치에서 포말 용액 배관(14)을 거쳐서 공급되는 포말 용액을 방사하는 방사 노즐(13)과, 방사 노즐(13)에서 방사된 포말 용액을 통과시켜 포말을 발생시키는 발포 메시(12)와, 방사 노즐(13)에서 방사되는 포말 용액의 방사 압력, 및, 발포 메시(12)에서 포말을 발생시킬 때 사용되는 공기 공급량 중의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켜 발포 배율을 조정 가능한 조정부(1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HIGH-EXPANSION FOAM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예컨대, 선박 등에 설치되는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선박 기관실이나 화물 공간 등, 폐쇄된 공간 내에서 발생한 화재에 대해서, 고정식 가스 소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고정식 가스 소화 장치의 소화 약제로는, 할론(대체 할론 포함)이나 탄산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가 이용되고 있다.
할론은 냉각 효과와 화학적인 작용에 의해 소화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지만, 소화제 자체가 화재의 열에 의해 분해됨으로써 불화 수소 등의 산성 가스를 발생하기 때문에, 환경적인 관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또한, 탄산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는 실내의 산소 농도를 저하시켜서 화재를 진화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실내에 사람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고, 안정성을 개량할 여지가 있었다.
따라서, 고정식 가스 소화 장치를 대체하는 안정성이 높은 소화 장치로서,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 장치는, 예컨대, 계면 활성제나 물(담수 또는 해수)을 포함하는 포말 용액(발포제)을, 체적이 200 ∼ 1000 배 정도가 되도록 발포시킨 포말로 화염을 감싸 연소 공기를 차단하고(질식 효과), 또한, 포말이 갖고 있는 수분의 비열에 의해 냉각함으로써 소화를 달성하는 것이다.
예컨대, 특허 문헌 1에는, 포말 용액을 방사하는 방사 노즐과, 방사 노즐에서 방사된 포말 용액을 발포시키기 위한 발포 메시를 구비하고, 고팽창 포말을 방출하는 구성의 발포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에 이용되는 발포기로는, 종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몸통부(동체)와, 해당 몸통부의 선단에 설치된 대략 원추 형상 발포 메시와, 해당 몸통부에 연결되고, 발포 네트를 향해서 포말 용액을 방사하는 방사 노즐을 구비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12-024354호
그런데, 종래의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에서는, 각각의 발포기마다, 발포 배율(공급된 포말 용액의 체적에 대한 발포 후의 고팽창 포말의 체적의 비율)이 기본적으로 일정하였다. 또한, 소화 대상이 되는 공간에 발포기를 설치할 때에는, 해당 소화 대상 공간에 아무 것도 놓여져 있지 않은 상태를 상정하여, 공간 전체를 포말로 채우는데 필요한 대수의 발포기를 설치하였다.
여기에서,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는, 그 소화 원리상, 입체적인 화재(소화 대상 공간 내의 화염 높이가, 바닥면 등의 낮은 위치에만 있지 않은 화재)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빨리 소화 대상 공간 내 전체에 포말을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팽창 포말의 발포 배율을 높이면 방출되는 포말의 체적은 커지게 되므로, 소화 대상 공간을 메우는 속도는 빨라지게 되지만, 포말이 갖고 있는 단위 용적당 수분량은 감소하기 때문에 내열성은 낮아진다. 내열성이 저하하게 되면 화재의 열에 의해 포말이 파괴되어 화염을 포말로 감쌀 수 없게 된다. 반대로, 발포 배율을 저하시키면 포말의 강도는 높아지지만, 용적 내를 포말로 메울 때 시간이 걸려 소화에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화재 피해가 커지게 된다.
발포 배율이 낮은 포말을 방출하는 발포기를 다수 설치하면 충전에 걸리는 시간(공간을 포말로 메울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는 있지만, 발포기에 포말 용액을 공급하는 부대 설비의 용량이 커지게 되어 경제성이 나빠지게 된다.
또한, 예컨대, 소화 대상이 되는 공간에, 많은 틈새를 갖는 복잡한 형상의 물체가 놓여진 경우, 해당 틈새 중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고팽창 포말은 점성이 높기 때문에 틈새로 들어가기 어렵고, 소화에 시간이 걸릴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를 상정하여, 유동성이 높아 틈새로 들어가기 쉬운 포말(발포 배율이 낮은 포말)을 발생하도록 미리 설정할 수도 있지만, 그 경우, 소정 시간에 발생하는 포말의 체적이 작아지게 되므로, 소화 대상 공간에 물건이 놓여 있지 않은 상황에서의 화재에 대해서는 불리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상황에 따라서, 적절한 소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는, 포말 용액 공급 장치에서 포말 용액 배관을 거쳐서 공급되는 포말 용액을 방사하는 방사 노즐과, 상기 방사 노즐에서 방사된 포말 용액을 통과시켜 포말을 발생시키는 발포 메시와, 상기 방사 노즐에서 방사되는 포말 용액의 방사 압력, 및 상기 발포 메시에서 포말을 발생시킬 때 사용되는 공기 공급량 중의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켜 발포 배율을 조정 가능한 조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포말 용액 배관을 통과하는 포말 용액의 유량을 조정 가능한 유량 조정 밸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포말 용액 배관을 통과하는 포말 용액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구비하고, 상기 유량계에 의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정부가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포 메시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서 상기 발포 메시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로를 구성하는 송풍 덕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송풍 덕트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조정 가능한 기류 조정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송풍기의 출력을 조정 가능한 인버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또한, 본 발명의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 덕트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유속을 측정하는 기류 측정기를 구비하며, 상기 기류 측정기에 의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정부가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포 메시는, 상기 송풍 덕트에 형성된 개구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방사 노즐은, 상기 송풍 덕트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발생 상황에 따라서, 적절한 소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발포기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1)를 나타내며, 본 예의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1)는, 인사이드 에어 방식 발포기(10)를 구비하고 있다.
발포기(10), 통 형상 몸통부(11)와, 몸통부(11)의 선단 개구에 설치된 발포 메시(12)와, 몸통부(11)의 내측에 배치된 방사 노즐(13)을 구비하고 있다.
몸통부(11)는, 본 예에서는 원통 형상이다. 몸통부(11)는, 발포 메시(12)와 방사 노즐(13)을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몸통부(11)는, 예컨대, 단면이 다각형 또는 타원형 통 형상으로 하여도 좋고, 통 형상이 아니라도 좋다. 몸통부(11)에는, 구조물에 발포기(10)를 부착하기 위한 브래킷을 설치하고, 이 브래킷을 거쳐서, 예컨대, 선박의 기관실, 펌프실, 화물 공간 내의 벽면이나 천장 등에 발포기(10)를 부착할 수 있다.
발포 메시(12)는, 원통 형상 몸통부(11)의 일방측 단부의 개구를 덮도록, 몸통부(11)에 대해서 부착되어 있다. 발포 메시(12)는, 방사 노즐(13)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방사 노즐(13)에서 방사된 포말 용액을 통과시켜 포말을 발생시킨다. 본 예에 있어서, 발포 메시(12)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금속제 펀칭 플레이트를 원추 형상으로 형성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발포 메시(12)는, 방사 노즐(13)에서 방사된 포말 용액을 통과시켜 포말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재질이나 형상 등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철망 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발포 메시(12)는, 예컨대, 몸통부(11)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고, 힌지를 거쳐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발포기(10)는, 적어도 발포 메시(12)가 소화 대상 공간으로 노출한 상태로 설치된다. 달리 말하자면, 발포기(10)는, 발포 메시(12)에서 형성된 포말이 소화 대상 공간을 향해서 방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소화 대상 공간으로는, 예컨대, 선박의 기관실이나 화물 공간이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해양 구조물이나 육상 건축물 등 구획된 공간에도 채용 가능하다.
방사 노즐(13)은, 본 예에서는, 몸통부(11)의 내측에 유지되어 있지만, 발포 메시(12)에 포말 용액을 방사할 수 있기만 하면, 몸통부(1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예의 방사 노즐(13)은, 원통 형상 몸통부(11)의 중심 축선 상에 배치되어 있지만, 방사 노즐(13)의 위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방사 노즐(13)은, 1 대의 발포기(10)에 대해서 하나만으로도 좋고, 복수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방사 노즐(13)은, 선단의 방사구(13a)에서 발포 메시(12)의 내면을 향해서 포말 용액을 방사한다. 방사 노즐(13)에는, 포말 용액 공급 장치(도시 생략)에서 포말 용액 배관(14)을 거쳐서 포말 용액이 공급된다.
포말 용액 공급 장치는, 예컨대, 소화액과 물을 혼합하여 포말 용액을 제조하는 포말 용액 제조 설비와, 포말 용액 제조 설비에 각각 배관, 밸브, 및 펌프 등을 거쳐서 접속되는 소화액 탱크 및 물 탱크를 구비한다. 또한,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에 설치되는 경우, 해수를 끌어 올려 포말 용액 제조 설비로 밀어내기 위한 설비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발포 메시(12)에서 형성된 포말이 소화 대상 공간을 향해서 방출되도록 설치되기만 하면,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1)의 각종 구성은, 어떤 위치에 설치되어도 좋다.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1)는, 방사 노즐(13)에서 방사되는 포말 용액의 방사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발포기(10)에서 형성되는 고팽창 포말의 발포 배율을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발포 배율이라는 것은, 포말 용액 공급 장치에서 포말 용액 배관(14)을 거쳐서 공급되는 포말 용액의 체적이, 발포 메시(12)에서의 발포 후에 몇 배 팽창하였는지를 나타낸 것이며, 발포 배율(%) = (방출한 포말의 체적 / 발포 전의 포말 용액의 체적) × 100으로 표시된다.
본 예의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1)는, 발포기(10)에서의 발포 배율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부로서, 포말 용액 배관(14)을 통과하는 포말 용액의 유량을 조정 가능한 유량 조정 밸브(15)를 가지고 있다. 유량 조정 밸브(15)의 개방도를 변화시켜서 포말 용액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방사 노즐(13)에서 방사되는 포말 용액의 방사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방사 노즐(13)에서 방사되는 포말 용액의 방사 압력이 높아지면, 방사구(13a)에서 발포 메시(12)까지 포말 용액이 이동할 때 동반되는 공기량이 커지게 되어, 발포 메시(12)에서 대량의 공기와 포말 용액이 혼합되기 때문에, 발포 배율이 커지게 된다. 한편, 방사 압력이 낮아지면, 발포 배율이 작아지게 되어, 수분을 많이 포함한 유동성이 높은 포말이 형성된다.
본 예의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1)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소화를 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예컨대, 소화 대상 공간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적고, 바닥면에 있어서 액체 가연물이 넓은 연소 면적으로 평면적으로 연소하고 있는 경우(평면적인 화재의 경우), 발포 배율이 낮은 포말을 방출하여, 연소 유면을 포말로 덮음으로써, 단시간에 효과적인 소화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예컨대, 소화 대상 공간 내에 입체적인 설비 등이 배치되고, 그 상부에서 발화한 경우, 발포 배율이 높은 포말을 방출하여 단시간 내에 공간 전체를 포말로 메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공간 내의 높은 곳에 위치하는 화염을,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고팽창 포말로 감싸서 질식 소화할 수 있다.
또한, 소화 대상 공간 내가 화물 등에 의해 평면적으로도 입체적으로도 빽빽하게 충만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예컨대, 소화 대상 공간 내의 최상부에 설치한 발포기(10)에서, 우선 발포 배율이 낮은 포말을 방출하여 좁은 틈새에 단시간 포말을 공급하고, 이후에 발포 배율을 높인 포말로 전환하여 비교적 큰 공간을 효율적으로 포말로 메울 수 있어, 효과적으로 연소 공기의 공급 경로를 포말로 차단할 수 있어, 화재를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진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1)에 의하면, 화재 상황에 따라서 적절한 발포 배율의 포말을 공급함으로써, 높은 소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소화 대상 공간을 효율적으로 포말로 채운다는 관점에서, 발포기(10)는, 소화 대상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발포기(10)의 위치는 소화 대상 공간의 중간부 또는 하부라도 좋다.
또한, 본 예에서는, 포말 용액 배관(14)을 통과하는 포말 용액의 유량을 측정 가능한 유량계(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유량계(16)에 의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유량 조정 밸브(15)의 개방도를 결정함으로써, 포말 용액 배관(14)을 통과하는 포말 용액의 유량 조정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화재 상황에 따라서 더욱 적절한 발포 배율의 포말을 발포기(10)에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유량계(16)에 의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유량 조정 밸브(15)의 개방도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제어 장치(17)가 설치되어 있으며, 자동적으로 발포 배율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사전에 유량 조정 밸브(15)의 개방도와, 방사 노즐(13)에서 방사되는 포말 용액의 방사 압력의 관계가 알려진 경우에는, 유량계(16)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또한, 화재의 범위는, 항상 일정하지 않고 시간과 함께 변화하지만, 본 발명의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1)에 의하면, 화재 상황에 맞추어 항상 발포 배율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그때의 화재 상황에 적절한 포말을 계속 공급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단시간에 소화할 수 있다.
도 2는, 아웃사이드 에어 방식 발포기(20)를 구비한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2)를 나타낸다. 또한, 도 1의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본 예의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2)는, 발포 메시(12)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21)와, 송풍기(21)에서 발포 메시(12)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로를 구성하는 통 형상 송풍 덕트(22)를 구비한다.
본 예에 있어서, 발포 메시(12)는, 원통 형상 송풍 덕트(22)의 선단 개구를 폐쇄하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송풍 덕트(22)의 측면에 개구를 형성하고, 그 개구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예에 있어서, 방사 노즐(13)은, 송풍 덕트(2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방사 노즐(13)의 위치 및 개수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송풍기(21) 및 송풍 덕트(22)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는, 통상의 환기 설비로 사용할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환기용으로 사용하는 송풍기(21) 및 송풍 덕트(22)를, 화재 발생 시에는,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2)에서의 포말 발포용 공기의 송풍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송풍 덕트(22)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조정 가능한 기류 조정부(23)를 갖는다. 기류 조정부(23)는, 송풍 덕트(22)의 내부에서, 송풍기(21)의 상류측에 배치된 댐퍼로 구성되어 있다. 기류 조정부(23)는, 발포 메시(12)에서 포말을 발생시킬 때 사용되는 공기 공급량을 변화시킴으로써 발포 배율을 조정 가능한 조정부로 기능한다. 기류 조정부(23)는, 제어 장치(24)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송풍 덕트(22)의 측면에, 흡기 또는 배기용 개구를 설치하고, 그 내측에 기류 조정부(23)를 배치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에는, 발포 메시(12) 측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고, 송풍 덕트(22)의 측면에 설치한 개구에서 환기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을 때에는 발포 메시(12)를 통하여 환기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여기에서, 종래에는, 예컨대, 발포 메시(12)를 통하여 환기를 행하는 경우, 풍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화재 발생 시 발포할 때 포말이 부서지기 쉬우므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을 때(평상시)의 환기량을 발포기의 발포량에 맞춰서 작게 설정해야 하므로, 환기 풍량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2)에 의하면, 풍량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환기 시에는 최대 풍량이 되도록 송풍기(21)를 운전하고, 화재 발생시에는 발포에 적합한 풍량까지 저하시키는 것 등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환기에 필요한 풍량에 대해서도, 상황에 의해 달라지기 때문에, 상황에 맞는 환기 풍량으로 수시 조절함으로써, 환기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송풍 덕트(22)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유속을 측정하는 기류 측정기(25)를 구비하며, 기류 측정기(25)에 의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기류 조정부(23)가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류 측정기(25)는, 송풍 덕트(22) 내부에서 송풍기(21)의 하류에 배치된 피토관(25a)과, 피토관(25a)에 접속된 차압계(25b)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류 측정기(25)에 의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기류 조정부(23)의 개방도를 조정하여 발포 메시(12)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정함으로써, 발포 메시(12)에서 포말을 발생시킬 때 사용되는 공기 공급량의 조정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화재 상황에 따라서 더욱 적절한 발포 배율의 포말을 발포기(20)에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기류 측정기(25)에 의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기류 조정부(23)의 개방도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제어 장치(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자동적으로 발포 배율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사전에 기류 조정부(23)의 개방도와, 발포 메시(12)로의 공기 공급량의 관계가 알려진 경우에는, 기류 측정기(25)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2)는, 앞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포말 용액의 유량 조정 밸브(15)의 개방도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방사 노즐(13)에서 방사되는 포말 용액의 방사 압력, 및 발포 메시(12)에서 포말을 발생시킬 때 사용되는 공기 공급량을 복합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발포 배율을 더욱 단시간에 더욱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아웃사이드 에어 방식 발포기(30)를 구비한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3)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송풍기(21)의 출력을 조정 가능한 인버터(31)를 갖는다. 인버터(31)는, 발포 메시(12)에서 포말을 발생시킬 때 사용되는 공기 공급량을 변화시킴으로써 발포 배율을 조정 가능한 조정부로 기능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인버터(31)는, 송풍기(21)의 모터(21a) 회전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류 측정기(25)에 의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송풍기(21)의 모터(21a) 회전수를 조정하여 발포 메시(21)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정함으로써, 발포 메시(12)에서 포말을 발생시킬 때 사용되는 공기 공급량의 조정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화재 상황에 따라서 더욱 적절한 발포 배율의 포말을 발포기(20)에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기류 측정기(25)에 의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송풍기(21)의 모터(21a) 회전수를 자동적으로 인버터(31)로 조정하도록 하면, 자동적으로 발포 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전에 송풍기(21)의 출력과, 발포 메시(12)로의 공기 공급량의 관계가 알려진 경우에는, 기류 측정기(25)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3)에 있어서도, 앞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포말 용액의 유량 조정 밸브(15)의 개방도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방사 노즐(13)에서 방사되는 포말 용액의 방사 압력, 및 발포 메시(12)에서 포말을 발생시킬 때 사용되는 공기 공급량을 복합적으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발포 배율을 더욱 단시간에 더욱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상, 도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의 기재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나타낸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2)에, 도 3에 나타낸 인버터(31)의 구성을 조합시켜도 좋으며, 이 경우, 발포 배율을 더욱 단시간에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포말 용액의 유량 및 발포 메시(21)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도 채용 가능하다.
1, 2, 3 :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
10 : 발포기
11 : 몸통부
12 : 발포 메시
13 : 방사 노즐
14 : 포말 용액 배관
15 : 유량 조정 밸브(조정부)
16 : 유량계
17 : 제어 장치
20 : 발포기
21 : 송풍기
21a : 모터
22 : 송풍 덕트
23 : 기류 조정부(조정부)
24 : 제어 장치
25 : 기류 측정기
25a : 피토관
25b : 차압계
30 : 발포기
31 : 인버터(조정부)

Claims (10)

  1. 포말 용액 공급 장치에서 포말 용액 배관을 거쳐서 공급되는, 소화액과 물을 혼합한 포말 용액을 방사하는 방사 노즐과,
    상기 방사 노즐에서 방사된 포말 용액을 통과시켜, 공기와 포말 용액을 혼합하여 포말을 발생시키는 발포 메시와,
    상기 방사 노즐에서 방사되는 포말 용액의 방사 압력, 및 상기 발포 메시에서 포말을 발생시킬 때 상기 발포 메시에 공급되는 공기 공급량 중의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켜 발포 배율을 조정 가능한 조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정부는, 상기 포말 용액 배관을 통과하는 포말 용액의 유량을 조정 가능한 유량 조정 밸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발포 배율을 크게 하는 경우, 상기 방사 압력을 높게 하고, 상기 발포 배율을 작게 하는 경우, 상기 방사 압력을 낮게 하는,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말 용액 배관을 통과하는 포말 용액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구비하며,
    상기 유량계에 의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정부가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포 메시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서 상기 발포 메시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로를 구성하는 송풍 덕트를 구비하는,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송풍 덕트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조정 가능한 기류 조정부를 갖는,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송풍기의 출력을 조정 가능한 인버터를 갖는,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송풍기의 출력을 조정 가능한 인버터를 갖는,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
  8.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덕트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유속을 측정하는 기류 측정기를 구비하며,
    상기 기류 측정기에 의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정부가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
  9.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메시는, 상기 송풍 덕트에 형성된 개구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방사 노즐은, 상기 송풍 덕트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발포 메시는, 상기 송풍 덕트에 형성된 개구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방사 노즐은, 상기 송풍 덕트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
KR1020180130079A 2017-11-09 2018-10-29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 Active KR102717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16481 2017-11-09
JP2017216481A JP6898647B2 (ja) 2017-11-09 2017-11-09 高膨張泡消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093A KR20190053093A (ko) 2019-05-17
KR102717477B1 true KR102717477B1 (ko) 2024-10-14

Family

ID=6644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079A Active KR102717477B1 (ko) 2017-11-09 2018-10-29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98647B2 (ko)
KR (1) KR102717477B1 (ko)
CN (1) CN10975869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4583A (ja) * 1999-08-19 2001-02-27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高発泡消火装置
JP2008136543A (ja) * 2006-11-30 2008-06-19 Nohmi Bosai Ltd 高膨張泡消火設備及びその発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834B2 (ja) * 1989-07-04 1996-02-28 日本ドライケミカル株式会社 泡消火剤調合装置
JPH0375760U (ko) * 1989-11-24 1991-07-30
JP2566192B2 (ja) * 1993-07-22 1996-12-25 日比谷総合設備株式会社 加圧式床吹出し空調装置の制御装置
CN101970058B (zh) * 2008-01-03 2012-08-29 海普洛有限责任公司 具有低端控制器的泡沫配量系统
JP2012024354A (ja) 2010-07-23 2012-02-09 Kashiwa Tec:Kk 発泡機
CN204767107U (zh) * 2015-04-14 2015-11-18 锺基强 可调整发泡倍率的灭火装置
CN206007847U (zh) * 2016-08-30 2017-03-15 大连保税区荣昌消防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自动平衡可调发泡倍数压缩空气泡沫发生器
CN106621147A (zh) * 2017-01-23 2017-05-10 中国民用航空飞行学院 一种发泡倍数可调的机载泡沫枪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4583A (ja) * 1999-08-19 2001-02-27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高発泡消火装置
JP2008136543A (ja) * 2006-11-30 2008-06-19 Nohmi Bosai Ltd 高膨張泡消火設備及びその発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093A (ko) 2019-05-17
JP6898647B2 (ja) 2021-07-07
JP2019084244A (ja) 2019-06-06
CN109758698A (zh)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26282C1 (ru) Способ пожаротушения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ES2405819T3 (es) Sistema supresor de incendio de extinción dual que usa emisores de alta velocidad y baja presión
US6637518B1 (e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US7975773B2 (en) High expansion foam fire-extinguishing system
JP2001501839A (ja) 定置の消火設備における液状消火剤噴出方法および装置
TWI488667B (zh) 具有多劑排放能力之雙模用劑排放系統
US20100212920A1 (en) Inert gas flooding fire suppression with water augmentation
JP2010017244A (ja) 高膨張泡消火設備
JP4768680B2 (ja) 高膨張泡消火設備
KR102717477B1 (ko) 고팽창 포말 소화 장치
JP4819740B2 (ja) 高膨張泡消火設備
RU138822U1 (ru)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 вертикальных резервуарах
CN106492377B (zh) 一种泡沫消防灭火装置及其应用
JP4805110B2 (ja) 高膨張泡消火設備及びその発泡方法
JPH06165837A (ja) 局所用高膨脹泡消火装置
JP2007252637A (ja) 消火システム
KR100907495B1 (ko) 소방 방재용 혼합물 및 혼합 살수장치가 포함된 살수 소방차
JP4182102B2 (ja) 消火設備
JP2019042236A (ja) コンテナ船用発泡器、コンテナ船用発泡器の設置方法、及びコンテナ船
JP2019072357A (ja) ハッチカバー用発泡器、ハッチカバー用発泡器の設置方法及び船舶
KR102641945B1 (ko) 소방헬기를 이용한 화재 공중 진화 장치
KR20220026365A (ko) 분무형 소화장치
JP7202073B2 (ja) 消火又は延焼防止装置および消火又は延焼防止装置の使用方法
JP2009082222A (ja) 消火剤噴出装置
JP2008012158A (ja) プール火災の消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6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0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