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17402B1 - Supplying device of nosework toy for pet - Google Patents
Supplying device of nosework toy for p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17402B1 KR102717402B1 KR1020210129364A KR20210129364A KR102717402B1 KR 102717402 B1 KR102717402 B1 KR 102717402B1 KR 1020210129364 A KR1020210129364 A KR 1020210129364A KR 20210129364 A KR20210129364 A KR 20210129364A KR 102717402 B1 KR102717402 B1 KR 1027174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sework
- toy
- cover
- discharge unit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786 sensory perception of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36 olfact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707 sensory perception of soun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6776 visual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1—Electronic trai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ogs or ca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rds (AREA)
- Toys (AREA)
Abstract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노즈워크 장난감이 반려동물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는, 설정시간에 따라 제어유닛에 의한 배출유닛이 동작되어 노즈워크 장난감이 수납된 본체의 하면을 개방함으로써 노즈워크 장난감을 외부로 배출하여 이를 반려동물에게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A nosework toy supply device for a pet is provided that can automatically provide a nosework toy to a pet at a set time. The nosework toy supply device has a feature in that a discharge unit is operated by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 set time to open the lower surface of a main body in which a nosework toy is stored, thereby discharging the nosework toy to the outside and providing it to the pe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노즈워크 장난감이 반려동물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sework toy supply device for a p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sework toy supply device for a pet that can automatically supply a nosework toy to a pet at a set time.
반려동물, 특히 반려견은 그 후각이 인간의 최대 1만 배까지 뛰어나 감각의 대부분을 후각에 의존하고 있다. 이로 인해, 반려견의 후각활동을 위한 훈련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 하며, 대표적인 훈련방법으로는 반려견과의 산책 등이 있었다. Pets, especially dogs, have a sense of smell that is up to 10,000 times better than humans, and they rely on smell for most of their senses. Because of this, training for the olfactory function of dogs is essential, and typical training methods include walking with dogs.
최근, 반려견을 키우는 1인 가구의 증가 또는 미세먼지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전술된 반려견과의 산책을 통한 후각활동의 훈련이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차선책으로 실내에서 후각활동의 훈련을 지원할 수 있는 노즈워크 장난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Recently, due to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raising companion dogs or the increase in fine dust, it has become difficult to train the sense of smell through walking with companion dogs as mentioned above. Accordingly, interest in nosework toys that can support the training of sense of smell indoors as an alternative is increasing.
노즈워크 장난감이란, 용기 등에 사료를 넣어두고 반려견이 냄새를 맡고 다가가 용기를 움직이면 사료가 점진적으로 방출되는 장난감이다. 이러한 노즈워크 장난감으로 반려견은 후각으로 냄새를 파악하고 위치를 찾는 등 후각활동을 통한 훈련을 수행하여 반려견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자존감을 높여 줄 수 있다. Nosework toys are toys that contain food in a container, etc., and gradually release food when the dog smells it, approaches it, and moves the container. With these nosework toys, dogs can train themselves through olfactory activities such as identifying smells and finding locations, which can relieve stress and increase self-esteem.
이러한 노즈워크 장난감에 관련된 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2153610호에는 먹이 배출 기능을 갖는 애완동물용 장난감이 개시되어 있다. Regarding technology related to such nosework toys, Patent Publication No. 10-2153610 discloses a pet toy with a food dispensing function.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먹이가 들어있는 장난감을 반려견에게 적절한 시기에 제공해야 하는 행위가 필요하여 사용자, 즉 반려견을 키우는 사람이 반려견 주변에 항시 존재해야 한다. However, these conventional technologies require the user, i.e. the person raising the dog, to be around the dog at all times because they require the act of providing the dog with a toy containing food at an appropriate time.
이에, 종래기술에 따른 애완동물용 장난감은 사용자의 부재 시에 적절한 시기에 장난감을 반려견에게 제공하지 못하게 되어 반려견의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Accordingly, conventional pet toys have a problem in that they cannot provide the toy to the dog at an appropriate time when the user is absent, which increases the dog's stress.
본 발명은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노즈워크 장난감이 반려동물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nosework toy supply device for a pet that can automatically provide a nosework toy to the pet at a set ti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서로 결합된 전면커버, 백커버,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내부공간에 수납된 하나 이상의 노즈워크 장난감; 상기 하부커버의 내측에 결합된 배출유닛; 및 설정시간에 상기 배출유닛과 상기 하부커버 간 결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배출유닛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본체의 하면을 개방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A nosework toy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formed of a front cover, a back cover,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which form an internal space and are joined to each other; one or more nosework toys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a discharge unit joined 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cover;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discharge unit and the lower cover is released at a set time, thereby open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이러한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는, 제어유닛의 제어에 따라 배출유닛에 의해 본체의 하면이 개방되었을 때, 개방된 하면을 통해 내부에 수납된 노즈워크 장난감이 배출되어 반려동물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is nosework toy supply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opened by the discharge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nosework toy stored inside is discharged through the opened lower surface and provided to the pet.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따라 본체의 하부커를 개방시켜 내부에 수납된 노즈워크 장난감이 외부로 배출되어 반려동물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The nosework toy supply device for a p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n the lower cover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a time set by the user so that the nosework toy stored insid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provided to the pet.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의 부재시에도 적절한 시기에 반려동물에게 노즈워크 장난감을 제공함으로써, 반려동물의 후각, 시각 또는 청각의 자극을 통한 다양한 감각훈련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반려동물의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help relieve stress in a pet by providing a nosework toy to the pet at an appropriate time even in the absence of the user, thereby enabling various sensory training through stimulation of the pet's sense of smell, sight, or hearing.
도 1은 본 발명의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배출유닛과 하부커버 간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제어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노즈워크 장난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drawing showing a nosework toy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osework toy suppl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osework toy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joint structure between the discharge unit and the lower cover of Figure 2.
Figure 5 is a drawing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ure 2.
FIG. 6 is a drawing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nosework toy of FIG. 2.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general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ir function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s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legal or technical interpretation, an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some terms may b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These terms may be interpreted as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and if there is no specific definition of a term, it may be interpreted based on the overall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and common technical knowledge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 요소를 모두 도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or symbols described in each drawing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represent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bers or symbols are used in different embodiments to describe them. That is, even if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all depicted in multiple drawings, the multiple drawings do not mean one embodiment.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to distinguish between components. These ordinals ar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limited manner due to the use of these ordinals. For example, the order of use or arrangement of components combined with these ordinal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limited manner by their numbers. If necessary, each ordinal number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성,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comprise" or "comprises"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characteristic,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haracteristic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but also an indirect connection through another medium. In addition,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there is a specific description to the contrary.
도 1은 본 발명의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drawing showing a nosework toy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100)는 강아지 등과 같은 반려동물(A)이 위치하는 공간, 예컨대 집 내부의 벽 등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nosework toy suppl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ly placed in a space where a companion animal (A), such as a dog, is located, for example, a wall inside a house.
이러한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100)의 내부에는 반려동물(A)을 위한 하나 이상의 노즈워크 장난감이 수납될 수 있다.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설정신호 또는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전송된 설정신호에 기초하여 설정된 시간에 상기 노즈워크 장난감을 외부, 즉 공간 내로 배출함으로써 반려동물(A)에게 노즈워크 장난감을 공급할 수 있다. One or more nosework toys for a companion animal (A) can be stored inside the nosework toy supply device (100). The nosework toy supply device (100) can supply a nosework toy to the companion animal (A) by discharging the nosework toy to the outside, i.e., into space, at a set time based on a setting signal input by a user or a setting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user terminal (200).
여기서, 사용자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의 장치일 수 있으며, 기 설치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100)에 접속하여 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Here,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a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carried by the user, and may be connected to the nosework toy supply device (100) through a pre-installed application to control its operation.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100) 내부에 수납된 노즈워크 장난감(10)은 반려동물(A)의 후각활동이 가능한 놀이기구로 실리콘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외피가 구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반려동물(A)의 사료나 간식 등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외피에는 하나 이상의 홀(15)이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수납된 사료나 간식이 상기 홀(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nose work toy (10) stored inside the nose work toy supply device (100) is a plaything that enables the olfactory activity of the companion animal (A). The outer shell is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silicone, and a space is formed inside so that food or snacks for the companion animal (A) can be stored. In addition, one or more holes (15) are formed in the outer shell so that the food or snacks stored insid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s (15).
이에,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100)로부터 노즈워크 장난감(10)이 배출되면, 반려동물(A)은 후각 등을 통해 노즈워크 장난감(10)을 찾고, 이를 여러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통해 내부에서 배출되는 사료나 간식 등을 취식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a nose work toy (10) is discharged from a nose work toy supply device (100), the pet (A) can find the nose work toy (10) through the sense of smell, etc., and ingest food or snacks discharged inside through movements of moving it in various direction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osework toy suppl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100)는 4개의 커버들(110, 120, 130, 140)이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노즈워크 장난감(10),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노즈워크 장난감(10)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어하는 제어유닛(150) 및 배출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nosework toy supply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main body in which four covers (110, 120, 130, 140) are combined to form an internal space, one or more nosework toys (10) arrang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a control unit (150) arrang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to control the nosework toys (1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discharge unit (160).
본체의 4개의 커버들(110, 120, 130, 140)은 공간 내 벽에 결합되는 백커버(120), 상기 백커버(120)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커버(110), 서로 결합된 전면커버(110)와 백커버(120)의 상부에 배치되어 본체의 상면을 차폐시키는 상부커버(130) 및 서로 결합된 전면커버(110)와 백커버(120)의 하부에 배치되어 본체의 하면을 차폐시키는 하부커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our covers (110, 120, 130, 140) of the main body may include a back cover (120) that is coupled to a wall within a space, a front cover (110) that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back cover (120), an upper cover (130) that is positioned above the front cover (110) and back cover (120)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shiel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lower cover (140) that is positioned below the front cover (110) and back cover (120)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shiel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백커버(120)는 나사 등을 통해 벽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백커버(120)의 내측에는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백커버(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격벽(12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back cover (120) can be fixed and connected to a wall using screws or the like. One or more partition walls (121) can b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back cover (120)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ck cover (120).
이러한 격벽(121)은 백커버(120)의 내측 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할 수 있으며, 구획된 각 영역에는 후술될 브라켓(180) 및 하나 이상의 노즈워크 장난감(10)이 배치될 수 있다. These partition walls (121) can divide the inner space of the back cover (120) into multiple sections, and a bracket (180) and one or more nosework toys (1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placed in each of the divided sections.
예컨대, 백커버(120)의 내측에는 서로 이격되어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격벽(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한쌍의 격벽(121)에 의해 백커버(120)의 내측면은 3개의 영역이 구획될 수 있다. 이러한 3개의 영역 중 중앙영역에는 브라켓(180)이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앙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즉 중앙영역의 좌/우측 각각의 영역에는 한 쌍의 노즈워크 장난감(10)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a pair of partition walls (121) may b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back cover (120) and formed in a parallel direction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cover (120) may be divided into three regions by this pair of partition walls (121). A bracket (180) may be combined and placed in the central region among these three regions. In addition, a pair of nosework toys (10) may be placed in each of the regions remaining except for the central region, that is, the left and right regions of the central region.
전면커버(110)는 백커버(12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전면커버(110)와 백커버(1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본체의 내부공간에는 브라켓(180), 제어유닛(150), 배출유닛(160) 및 노즈워크 장난감(10)이 배치될 수 있다. The front cover (110) can be combined with the front of the back cover (120). A bracket (180), a control unit (150), a discharge unit (160), and a nose work toy (10) can be plac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formed by combining the front cover (110) and the back cover (120).
전면커버(110)의 일면, 예컨대 전방에는 소정 크기로 개구된 윈도우(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윈도우(111)에는 후술될 제어유닛(150)의 일부 구성, 예컨대 제어유닛(150)의 표시부, 촬영부 또는 입력부가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A window (111) having a predetermined siz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cover (110), for example, the front. A part of the control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a display unit, a photographing unit, or an input unit of the control unit (150), may be inserted into this window (111) and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전면커버(110)의 일면에는 윈도우(111)를 외부로부터 차폐시켜 상기 윈도우(1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제어유닛(150)을 보호하는 보호커버(115)가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rotective cover (115) may be combined and arranged on one side of the front cover (110) to shield the window (111) from the outside and protect the control unit (150)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ndow (111).
보호커버(115)에는 제어유닛(150)의 입력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커버(115)는 윈도우(111)에 의해 노출된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ective cover (115) may be formed with one or more openings that can expose the input portion of the control unit (150). The protective cover (115)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portion exposed by the window (111).
상부커버(130)는 본체의 상부, 즉 서로 결합된 전면커버(110)와 백커버(1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커버(130)의 일측은 백커버(120)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측은 전면커버(110)의 상단에 접촉되어 본체의 상면을 차폐시킬 수 있다. The upper cover (130) can b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hat is, o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cover (110) and the back cover (120)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One side of the upper cover (13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ck cover (120), and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front cover (110) to shiel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이러한 상부커버(130)는 외력에 의해 차폐가 해제되어 본체의 상면을 개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부커버(130)에 의해 본체의 상면이 차폐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상부커버(130)의 타측에 외력이 인가되면, 상부커버(130)의 타측은 백커버(120)의 상단에 결합된 일측을 기준으로 일방향, 예컨대 본체의 상방으로 회전됨으로써 본체의 상면을 개방할 수 있다. This upper cover (130) can be released from the shield by an external force to ope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For exampl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cover (130) from the outside while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shielded by the upper cover (130), the other side of the upper cover (130) can rotate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upward of the main body, based on the one sid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ack cover (120), thereby open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이렇게 상부커버(130)에 의해 본체의 상면에 개방되면, 사용자는 개방된 상면을 통해 새로운 노즈워크 장난감(10)을 내부공간, 즉 백커버(120)의 격벽(121)에 의해 구획된 영역에 삽입할 수 있다.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opened in this way by the upper cover (130), the user can insert a new nosework toy (10) through the opened upper surface into the internal space, i.e., the area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121) of the back cover (120).
하부커버(140)는 본체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커버(140)의 일측은 백커버(120)의 하단에 결합되고, 타측은 후술될 배출유닛(160)과 결합되어 전면커버(110)의 하단에 접촉됨으로써 본체의 하면을 차폐시킬 수 있다. The lower cover (140) can b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One side of the lower cover (14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ack cover (120),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discharge unit (160) described later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front cover (110), thereby shiel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이러한 하부커버(140)는 제어유닛(150)에 의한 배출유닛(160)의 동작에 따라 본체의 하면을 개방시킬 수 있다. 예컨대, 하부커버(140)에 의해 본체의 하면이 차폐된 상태, 즉 하부커버(140)의 타측이 배출유닛(16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어유닛(150)에 의해 배출유닛(160)이 동작되어 상기 배출유닛(160)과 하부커버(140) 간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하부커버(140)의 타측은 백커버(120)의 하단에 결합된 일측을 기준으로 일방향, 예컨대 본체의 하방으로 회전되어 본체의 하면을 개방할 수 있다. The lower cover (140) can ope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160) by the control unit (150).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shielded by the lower cover (140),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other side of the lower cover (140) is coupled to the discharge unit (160), the discharge unit (160) can be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150)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discharge unit (160) and the lower cover (140) can be released. Accordingly, the other side of the lower cover (140) can be rotated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downward of the main body, based on one sid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ack cover (120), to ope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이렇게 하부커버(140)에 의해 본체의 하면이 개방되면, 본체 내에 수납되어 있던 하나 이상의 노즈워크 장난감(10)은 개방된 본체의 하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opened by the lower cover (140) in this way, one or more nosework toys (10) stored inside the main body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ed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브라켓(180)은 본체 내부공간에서 백커버(120)의 중앙영역에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180)의 전면부에는 제어유닛(150)이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80)의 전면부 하단에는 상기 제어유닛(150)의 제어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어 하부커버(140)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는 배출유닛(160)이 배치될 수 있다. The bracket (180) can be arranged and connected to the central area of the back cover (120)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A control unit (150) can b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bracket (180). An exhaust unit (160) can be arranged at the lower part of the front of the bracket (180)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0) to selectively open the lower cover (140).
제어유닛(150)은 브라켓(180)의 전면에 결합되어 일부가 전면커버(110)의 윈도우(111)를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제어유닛(150)은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설정신호에 기초하여 하부커버(140)와 결합되어 있는 배출유닛(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5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bracket (180) and a portion of it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ndow (111) of the front cover (110). The control unit (15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160) coupled to the lower cover (140) based on a setting signal provided by a user.
도 5는 도 2의 제어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5 is a drawing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ure 2.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유닛(150)은 표시부(151), 시간설정부(152), 촬영부(154), 배출제어부(153) 및 통신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어유닛(150)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control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 time setting unit (152), a photographing unit (154), an emission control unit (153), and a communication unit (155).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a user's input.
여기서, 제어유닛(150)의 표시부(151), 촬영부(154) 및 입력부는 전면커버(110)의 윈도우(1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Here, the display unit (151), shooting unit (154) and input unit of the control unit (15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ndow (111) of the front cover (110).
표시부(151)는 시간설정부(152)에서 생성된 설정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51)는 설정시간에 따른 시간의 흐름을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can display the set time generated in the time setting unit (152).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1) can display the flow of time according to the set time.
시간설정부(152)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설정신호에 기초하여 설정시간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설정시간은 표시부(151) 및 배출제어부(153)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설정시간은 통신부(155)를 통해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The time setting unit (152) can generate a setting time based on a setting signal provided by a user. The generated setting time can be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discharge control unit (153). In addition, the setting time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5).
여기서, 설정시간은 배출유닛(160)의 동작을 제어하여 본체 내부의 노즈워크 장난감이 외부로 배출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시간은 특정 범위의 분(minute) 또는 시(hour)의 단위를 갖는 시간으로 설정되거나 특정 시간대의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Here, the set time may mean the time at which the nose work toy inside the main body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160). This set time may be set as a time having a unit of a specific range of minutes or hours, or as a time in a specific time zone.
예컨대, 설정시간은 0~24범위 중 하나의 시 단위로 설정되거나 또는 0~60 범위 중 하나의 분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설정시간은 특정 시간대를 나타내는 시, 분, 초의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t time can be set in units of hours from 0 to 24, or in units of minutes from 0 to 60. Additionally, the set time can be set in units of hours, minutes, and seconds representing a specific time zone.
또한, 시간설정부(152)는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신호 또는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전송된 설정신호에 기초하여 설정시간을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ime setting unit (152) can generate a setting time based on a setting signal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or a setting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배출제어부(153)는 시간설정부(152)의 설정시간에 기초하여 배출유닛(160)과 하부커버(140) 간 결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배출유닛(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discharge control unit (153)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160)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discharge unit (160) and the lower cover (140) is released based on the set time of the time setting unit (152).
예컨대, 시간설정부(152)에서 특정 범위를 갖는 제1설정시간이 설정되면, 배출제어부(153)는 제1설정시간을 초 단위 또는 분 단위로 카운트다운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제어부(153)는 카운트다운되는 제1설정시간이 0이 되는 시점에 배출유닛(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first set time having a specific range is set in the time setting unit (152), the discharge control unit (153) can count down the first set time in units of seconds or minutes. Then, the discharge control unit (153)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160) when the first set time being counted down becomes 0.
여기서, 카운트다운되는 제1설정시간은 표시부(151)를 통해 외부로 표시되고 통신부(155)를 통해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set time being counted down can be displayed externally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5).
또한, 시간설정부(152)에서 특정 시간대를 갖는 제2설정시간이 설정되면, 배출제어부(153)는 현재 시간이 제2설정시간이 되는 시점에 배출유닛(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시간은 표시부(151)를 통해 외부로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second set time having a specific time zone is set in the time setting unit (152), the discharge control unit (153)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160) at the time when the current time becomes the second set time. Here, the current time can be displayed externally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촬영부(154)는 전면커버(1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전면커버(110)의 전방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154)는 촬영영상을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amera unit (154)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cover (110) and can capture the front area of the front cover (110). The camera unit (154) can transmit the captured image to the user terminal (200).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된 촬영영상을 통해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100)의 주변 상황 또는 반려동물(A)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반려동물(A)의 또는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100)가 배치된 공간 내 발생될 수 있는 긴급상황에 대하여 초기 대응을 할 수 있다. The user can identify the surroundings of the nosework toy supply device (100) or the condition of the pet (A) through the captured video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ly, the user can respond initially to an emergency situation that may occur in the space where the pet (A) or the nosework toy supply device (100) is placed.
또한, 사용자는 촬영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특정 시간에 배출유닛(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럽트신호를 제어유닛(1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배출제어부(153)는 기존에 설정된 설정시간을 대신하여 인터럽트신호에 따른 특정 시간에 배출유닛(16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특정시간에 노즈워크 장난감(10)이 본체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can transmit an interrupt signal to the control unit (150) that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160) at a specific time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based on the captured image. Accordingly, the discharge control unit (153)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160) at a specific time according to the interrupt signal instead of the previously set time, thereby allowing the nosework toy (10) to be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at the specific time.
통신부(155)는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설정신호를 시간설정부(152)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인터럽트신호를 배출제어부(153)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5)는 촬영부(154)에 의한 촬영영상을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55) can transmit a setting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time setting unit (152) or transmit an interrupt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discharge control unit (153).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55) can transmit a captured image by the shooting unit (154) to the user terminal (200).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배출유닛(160)은 제어유닛(150)의 제어에 따라 움직임이 제어되어 본체로부터 하부커버(140)를 개방시킬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2, the discharge unit (160) can open the lower cover (140) from the main body by controlling the movement according to the control unit (150).
도 4는 도 2의 배출유닛과 하부커버 간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joint structure between the discharge unit and the lower cover of Figure 2.
도면을 참조하면, 배출유닛(160)은 솔레노이드밸브(163) 및 이에 연결된 후크결합부, 예컨대 제1후크결합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discharge unit (160) may include a solenoid valve (163) and a hook coupling part connected thereto, for example, a first hook coupling part (165).
솔레노이드밸브(163)는 일측이 제어유닛(150)에 연결되고 타측, 예컨대 플랜지가 제1후크결합부(165)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밸브(163)는 배출제어부(153)의 제어에 따라 설정시간에 그 동작이 제어되어 타측이 일방향, 예컨대 본체의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솔레노이드밸브(163)의 타측에 연결된 제1후크결합부(165)에는 하방의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The solenoid valve (163) may have one sid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50) and the other side, for example, a flange,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hook joint (165).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163) may be controlled at a set tim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discharge control unit (153), so that the other side may move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downward of the main body. Accordingly, downward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first hook joint (165)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olenoid valve (163).
제1후크결합부(165)는 일측이 솔레노이드밸브(163)에 연결되고, 타측이 하부커버(140)의 타측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2후크결합부(145)와 후크 결합되어 하부커버(140)에 의해 본체의 하면을 차폐시킬 수 있다. The first hook joint (165)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163) and the other side hook-joined with the second hook joint (145)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lower cover (140),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can be shielded by the lower cover (140).
이러한 제1후크결합부(165)는 솔레노이드밸브(163)의 동작에 따라 가해지는 하방의 압력으로 인해 일방향, 즉 본체의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후크결합부(165)와 제2후크결합부(145)의 결합이 해제되며, 이로 인해 하부커버(140)가 본체의 하면을 개방시킬 수 있다. This first hook coupling part (165) can move in one direction, i.e., downward of the main body, due to the downward pressure appl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163). Accordingly,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hook coupling part (165) and the second hook coupling part (145) is released, and as a result, the lower cover (140) can ope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또한, 배출유닛(160)에는 복수개의 탄성부재, 예컨대 솔레노이드밸브(163)의 타측 외주면에 결합된 제1스프링(164)과 제1후크결합부(165)의 일측 하부에 결합된 제2스프링(166) 각각의 탄성력에 의해 최초의 위치로 원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160)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each of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for example, a first spring (164)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solenoid valve (163) and a second spring (166)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first hook coupling portion (165).
예컨대, 배출제어부(153)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163)의 타측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제1스프링(164)이 압축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63)의 이동에 따라 제1후크결합부(165)가 이동되어 제2스프링(166)이 압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ther side of the solenoid valve (163) may be moved downward by the discharge control unit (153) to compress the first spring (164), and the first hook coupling unit (165) may be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olenoid valve (163) to compress the second spring (166).
이어, 제1후크결합부(165)와 제2후크결합부(145)의 결합 해제에 따라 하부커버(140)가 개방되어 배출제어부(153)의 솔레노이드밸브(163) 제어가 해제되면, 압축되었던 제1스프링(164)과 제2스프링(166)이 원 상태로 복원됨으로써 솔레노이드밸브(163)와 제1후크결합부(165)는 원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Then, when the lower cover (140) is opened and the solenoid valve (163) of the exhaust control unit (153) is released due to the release of the first hook coupling portion (165) and the second hook coupling portion (145), the compressed first spring (164) and the second spring (166) ar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s, so that the solenoid valve (163) and the first hook coupling portion (165) can be mov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배출유닛(16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배출유닛(160)에 결합되어 본체 하면을 차폐하는 하부커버(140)가 상기 본체로부터 개방되도록 하여 본체 내부에 수납된 노즈워크 장난감(10)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nosework toy supply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160) at a time set by the user, thereby causing the lower cover (140) coupled to the discharge unit (160) and shiel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be opened from the main body, thereby allowing the nosework toy (10) stored inside the main body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에, 본 발명은 설정된 시간에 반려동물(A)에게 자동으로 노즈워크 장난감(10)을 제공하여 반려동물(A)의 후각, 시각 또는 청각의 자극을 통한 노즈워크 장난감(10)의 탐색을 유도하여 반려동물(A)에게 적절한 놀이 또는 훈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반려동물(A)의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ppropriate play or training to the pet (A) by automatically providing a nosework toy (10) to the pet (A) at a set time and inducing the pet (A) to explore the nosework toy (10) through olfactory, visual or auditory stimulation, thereby helping relieve stress in the pet (A).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osework toy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101)는 도 2에 도시된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100)와 대비하여 배출유닛(160) 및 이에 결합된 하부커버(141)의 차이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에, 동일부재에 대하여 동일부호로 표기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nosework toy supply device (101)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nosework toy supply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 2, except for the differences in the discharge unit (160) and the lower cover (141) coupled thereto. Accordingly, the same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본 실시예의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101)는 하부커버(141)가 본체 내부에 수납된 노즈워크 장난감(1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 내부에는 2개의 노즈워크 장난감(10)이 수납될 수 있으며, 하부커버(141)는 각 노즈워크 장난감(10)의 하부에 대응되도록 제1하부커버(143)와 제2하부커버(145)로 구성될 수 있다. The nosework toy supply device (101)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lower cover (141)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nosework toys (10) stored inside the main body. For example, two nosework toys (10) may be stor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 lower cover (141) may be configured with a first lower cover (143) and a second lower cover (145) so as to correspond to the lower portion of each nosework toy (10).
또한, 본 실시예의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100)는 제1하부커버(143)와 제2하부커버(145) 각각에 대응되는 2개의 배출유닛, 예컨대 제1하부커버(143)에 대응되는 제1배출유닛(161)과 제2하부커버(145)에 대응되는 제2배출유닛(162)이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osework toy supply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with two discharge uni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lower cover (143) and the second lower cover (145), for example, a first discharge unit (161)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wer cover (143) and a second discharge unit (16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wer cover (145).
여기서, 제1배출유닛(161)과 제2배출유닛(162) 각각은 제어유닛(150)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163)와 일측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63)에 연결되고 타측이 대응되는 각 하부커버에 연결된 제1후크결합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each of the first discharge unit (161) and the second discharge unit (162) may include a solenoid valve (163)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50) and a first hook coupling part (165)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163)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lower cover.
또한, 제1하부커버(143)와 제2하부커버(145) 각각의 타측 내면에는 이들 커버에 대응되는 배출유닛의 제1후크결합부(165)와 후크 결합되는 제2후크결합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하부커버(143)와 제2하부커버(145) 각각은 제1후크결합부(165)와 제2후크결합부(145)의 결합에 따라 본체의 하면을 차폐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hook-joining portion (145) that is hook-joined with the first hook-joining portion (165) of the discharge uni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lower cover (143) and the second lower cover (145)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each of the first lower cover (143) and the second lower cover (145). Accordingly, each of the first lower cover (143) and the second lower cover (145) may shiel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by the coupling of the first hook-joining portion (165) and the second hook-joining portion (145).
제1배출유닛(161)과 제2배출유닛(162) 각각은 제어유닛(150)의 배출제어부(153)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어 이들에 대응되어 결합된 제1하부커버(143)와 제2하부커버(145)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first discharge unit (161) and the second discharge unit (162) is controlled by the discharge control unit (153) of the control unit (150), and the first lower cover (143) and the second lower cover (145) coupled thereto can be selectively opened.
예컨대, 제어유닛(150)의 시간설정부(152)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된 복수개의 설정신호, 예컨대 2개의 설정신호에 따라 2개의 설정시간을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ime setting unit (152) of the control unit (150) can generate two set times according to multiple set signals, for example, two set signals, provided from a user or a user terminal (200).
또한, 배출제어부(153)는 생성된 2개의 설정시간 각각에 기초하여 해당 시간에 제1배출유닛(161) 및 제2배출유닛(162)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ission control unit (153)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emission unit (161) and the second emission unit (162) at each of the two generated set times.
이러한 배출제어부(153)에 의한 제1배출유닛(161) 및 제2배출유닛(162)의 동작제어에 따라 이들에 대응되어 결합되어 있던 제1하부커버(143) 및 제2하부커버(145)가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first discharge unit (161) and the second discharge unit (162) by the discharge control unit (153), the first lower cover (143) and the second lower cover (145) that were connected correspondingly to them can be selectively opened.
배출제어부(153)에 의한 제1배출유닛(161)과 제2배출유닛(162)의 동작제어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first discharge unit (161) and the second discharge unit (162) by the discharge control unit (153)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한편, 시간설정부(152)에서 설정신호에 기초하여 서로 동일한 2개의 설정시간이 생성되면, 배출제어부(153)는 상기 설정시간에 제1배출유닛(161)과 제2배출유닛(162)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제1하부커버(143)와 제2하부커버(145)가 설정시간에 동시에 개방되어 본체 내부에 수납된 2개의 노즈워크 장난감(10)가 본체 외부로 함께 배출될 수 있다. Meanwhile, if two identical set times are generated based on the set signal in the time setting unit (152), the discharge control unit (153) can simultaneously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first discharge unit (161) and the second discharge unit (162) at the set times. Accordingly, the first lower cover (143) and the second lower cover (145) can be simultaneously opened at the set times, so that two nosework toys (10) stored inside the main body can be discharged together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또한, 시간설정부(152)에서 설정신호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2개의 설정시간이 생성되면, 배출제어부(153)는 각 설정시간에 따라 제1배출유닛(161)과 제2배출유닛(162)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제1하부커버(143)와 제2하부커버(145)가 각 설정시간에 순차적으로 개방되어 본체 내부에 수납된 2개의 노즈워크 장난감(10)는 본체 외부로 순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wo different set times are generated based on the set signal in the time setting unit (152), the discharge control unit (153) can sequential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discharge unit (161) and the second discharge unit (162) according to each set time. Accordingly, the first lower cover (143) and the second lower cover (145) can be sequentially opened at each set time, and the two nosework toys (10) stored inside the main body can be sequenti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또한, 시간설정부(152)에서 생성되는 설정시간은 특정 범위를 가지며 카운트다운되는 설정시간이거나 또는 특정 시간대를 갖는 설정시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t time generated in the time setting unit (152) may be a set time that has a specific range and is counted down, or a set time that has a specific time zon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100)는 복수로 설정된 시간에 따라 복수개의 배출유닛(161, 162)의 동작을 제어하여 각 배출유닛(161, 162)에 결합된 복수개의 하부커버(143, 145)가 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nosework toy supply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multiple discharge units (161, 162) according to multiple set times so that multiple lower covers (143, 145) coupled to each discharge unit (161, 162) can be selectively opened from the main body.
이에, 사용자가 장시간 부재하더라도 복수의 설정시간마다 반려동물(A)에게 자동으로 노즈워크 장난감(10)을 제공암으로써, 반려동물(A)의 후각, 시각 또는 청각의 자극을 통한 노즈워크 장난감(10)의 탐색을 유도하여 반려동물(A)에게 적절한 놀이 또는 훈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반려동물(A)의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Accordingly, even if the user is absent for a long time, the nose work toy (10) is automatically provided to the pet (A) at multiple set times, thereby inducing the pet (A) to explore the nose work toy (10) through olfactory, visual or auditory stimulation, thereby providing appropriate play or training to the pet (A), and thereby helping relieve the pet (A) of stress.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bove, 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components, etc.,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is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전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above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ir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100: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 110: 전면커버
120: 백커버 130: 상부커버
140: 하부커버 150: 제어유닛
160: 배출유닛 10: 노즈워크 장난감100: Nosework toy supply device 110: Front cover
120: Back cover 130: Top cover
140: Lower cover 150: Control unit
160: Ejection Unit 10: Nosework Toy
Claims (8)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납된 하나 이상의 노즈워크 장난감;
상기 하부커버의 내측에 결합된 배출유닛; 및
설정시간에 상기 배출유닛과 상기 하부커버 간 결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배출유닛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본체의 하면을 개방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노즈워크 장난감은 개방된 상기 본체의 하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반려동물에게 제공되고,
상기 백커버는 벽에 고정되고, 상기 백커버의 내측에는 소정 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백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백커버의 내측면을 3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한 쌍의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커버는 상기 백커버의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커버는 서로 결합된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백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며 상기 노즈워크 장난감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납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커버의 일측이 상기 백커버의 하단에 결합되고, 타측은 배출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전면커버의 하단에 접촉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를 개폐하며 상기 노즈워크 장난감이 상기 본체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한 쌍의 격벽이 형성하는 3개의 영역 중 중앙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3개의 영역 중 중앙영역을 제외한 좌/우측 영역에는 상기 노즈워크 장난감이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의 전면부에는 상기 제어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의 전면부 하단에는 상기 배출유닛이 배치되며,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제어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설정시간에 일 방향으로 이동되는 솔레노이드밸브; 및
일측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커버의 상부에 형성된 제2후크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후크결합부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제1후크결합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결합된 제1스프링; 및
상기 제1후크결합부에 결합된 제2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후크결합부와 상기 하부커버 간 결합이 해제된 후, 상기 제1스프링 및 제2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및 제1후크결합부가 원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3개의 영역 중 좌/우측 영역을 각각 개폐하는 제1 하부커버 및 제2 하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제1 하부커버를 개방하는 제1 배출유닛 및 상기 제2 하부커버를 개방하는 제2 배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유닛과 상기 제2 배출유닛은 상기 브라켓의 전면부 하단에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복수개의 설정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배출유닛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1 및 제2 하부커버에 의해 상기 본체의 하부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
A body composed of a front cover, a back cover, an upper cover, a lower cover, and a bracket that are joined together to form an internal space;
One or more nosework toys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above body;
A discharge unit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cover; and
A control unit is included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to relea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discharge unit and the lower cover at a set time, thereby open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above nosework toy is provided to the pet by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open body.
The above back cover is fixed to a wall, and a pair of partition walls ar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back cover, which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exten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ack cover, and divide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cover into three areas.
The above front cover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above back cover and forms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The upper cover is placed on top of the front cover and the back cover that are joined to each other, and opens and closes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llowing the nosework toy to be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One side of the lower cover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ck cover,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unit and contacts the lower side of the front cover, and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is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nose work toy is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The above bracket is attached to the central region among the three regions formed by the pair of partition walls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and the nosework toy is placed in the left/right regions of the three regions excluding the central region.
The control unit is arranged on the front side of the bracket, and the discharge unit is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bracket.
The above discharge unit,
A solenoid valve connected to the above control unit and moving in one direction at the set time; and
A first hook coupling part,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a second hook coupling par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over, and the coupling with the second hook coupling part is releas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olenoid valve;
A first spring coupled to the above solenoid valve; and
Including a second spring coupled to the first hook joint;
Aft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hook joint and the lower cover is released, the solenoid valve and the first hook joint are mov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and the second spring.
The above lower cover includes a first lower cover and a second lower cover that open and close the left and right areas of the three areas, respectively.
The above discharge unit includes a first discharge unit that opens the first lower cover and a second discharge unit that opens the second lower cover,
The above first discharge unit and the above second discharge unit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e lower front side of the bracket,
A nosework toy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units based on a plurality of set times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is selectively opened by the first and second lower covers.
상기 제어유닛은,
설정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시간을 생성하는 시간설정부; 및
상기 설정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배출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배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ontrol unit,
A time setting unit for generating the setting time based on a setting signal; and
A nosework toy supply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discharge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based on the set time.
상기 설정시간은 특정 범위의 시간 및 특정 시간대의 시간 중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In paragraph 4,
A nosework toy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setting time is set to one of a specific range of time and a specific time zone.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전면커버의 전방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촬영영상에 대응되어 전송된 인터럽트신호에 기초하여 특정 시간에 상기 배출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In paragraph 4,
The above control unit,
It further includes a camera unit that captures a front image of the front cover and transmits it to a user terminal.
The above emission control unit,
A nosework toy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at a specific time based on an interrupt signal transmitted in response to a captured image from the user terminal.
상기 노즈워크 장난감은,
내부공간에 사료 또는 간식이 저장되며, 상기 노즈워크 장난감의 움직임에 따라 외피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을 통해 사료 또는 간식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즈워크 장난감 공급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nosework toy is,
A nosework toy fee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eed or snacks are stored in an internal space and the feed or snack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one or more holes formed in the outer shel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nosework to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9364A KR102717402B1 (en) | 2021-09-30 | 2021-09-30 | Supplying device of nosework toy for p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9364A KR102717402B1 (en) | 2021-09-30 | 2021-09-30 | Supplying device of nosework toy for p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6411A KR20230046411A (en) | 2023-04-06 |
KR102717402B1 true KR102717402B1 (en) | 2024-10-14 |
Family
ID=8591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9364A Active KR102717402B1 (en) | 2021-09-30 | 2021-09-30 | Supplying device of nosework toy for p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17402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7483B1 (en) | 2016-07-28 | 2017-04-17 | 이영숙 | Pet food ejector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8611B1 (en) * | 2003-11-18 | 2005-12-22 | 주식회사 토기장이 | Plaything for a pet |
KR20060024592A (en) * | 2004-09-14 | 2006-03-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dust cover of the vacuum cleaner |
KR101612776B1 (en) * | 2013-12-24 | 2016-04-15 | 주식회사 볼레디 | Pet care system for animal companion |
KR20210062995A (en) * | 2019-11-22 | 2021-06-01 | 류문성 | Playing and training system for pet |
KR102153610B1 (en) | 2019-12-24 | 2020-09-08 | 김병현 | Plaything for a pet capable of feeding |
KR102354771B1 (en) * | 2019-12-26 | 2022-01-21 | 장정현 | Ball supplying apparatus for pet |
-
2021
- 2021-09-30 KR KR1020210129364A patent/KR10271740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7483B1 (en) | 2016-07-28 | 2017-04-17 | 이영숙 | Pet food ej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6411A (en) | 2023-0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01522B2 (en) | Domestic animal telephone | |
US8347823B1 (en) | Pet triggered programmable toy | |
US20180077904A1 (en) | Toy and App for Remotely Viewing and Playing with a Pet | |
US8633981B2 (en) | Wireless controlled pet toy dispenser with camera | |
TWI676157B (en) |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mart pet alert, and storage medium thereof | |
EP3586615B1 (en) | Interactive device for animals and method therefor | |
DE202015106404U1 (en) | Intelligent, interactive device for pets | |
US9675049B2 (en) | Pet amusement device | |
US11678643B2 (en) | Interactive intelligent pet feeding device | |
KR102027343B1 (en) | A pet training robot with improved a object discharging function | |
TWM507294U (en) | Animal interaction device | |
CN104871997A (en) | Pet interactive system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
KR20230088934A (en) | Companion Pet Caring Robot Equipped with Camera and Mike | |
KR102717402B1 (en) | Supplying device of nosework toy for pet | |
KR20210014376A (en) | Smart pet house | |
US7912500B2 (en)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 particular in the form of a mobile telephone | |
KR102701141B1 (en) | Smart mask for companion animal noise prevention | |
US9324244B1 (en) | Distributed multi-nodal operant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 |
US11523588B2 (en) | Device for directing a pet's gaze during video calling | |
KR102617425B1 (en) | animal training device using multimedia | |
US20220312735A1 (en) | Animal training device with position recognizing controller | |
KR102375228B1 (en) | Apparatus for throwing feed | |
KR102091333B1 (en) | Exercise apparatus for pet | |
RU218597U1 (en) | PET TRAINING DEVICE | |
KR102465109B1 (en) | Ball supplying apparatus for p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0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