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16974B1 - 증강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증강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16974B1 KR102716974B1 KR1020180165566A KR20180165566A KR102716974B1 KR 102716974 B1 KR102716974 B1 KR 102716974B1 KR 1020180165566 A KR1020180165566 A KR 1020180165566A KR 20180165566 A KR20180165566 A KR 20180165566A KR 102716974 B1 KR102716974 B1 KR 1027169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electronic device
- input
- input event
- process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3416 aug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67 cellular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55 kinesth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2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augmented reality sce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증강 장치 및 서버 간의 통신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증강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a 및 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증강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이벤트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 및 증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증강 장치 사이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증강 장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8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사용하여 증강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사용하여 증강 장치에 의한 화면을 표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203 : 서버 301 : 프로세서
303 : 메모리 305 :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307 : 통신 모듈 309 : 카메라 모듈
311 : 센서 모듈
Claims (20)
-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증강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증강 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증강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대한 입력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입력 이벤트가 하나의 손가락이 하나의 영역을 터치하는 원 포인트 입력인지, 또는 두 개의 손가락이 하나의 영역을 터치하는 더블 포인트 입력인지 여부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이벤트가 상기 원 포인트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제 1 화면에 대한 제 1 입력 이벤트로 결정하고, 상기 원 포인트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이벤트가 상기 더블 포인트 입력인 경우, 상기 증강 장치로부터 생성된 가상 화면에 대응하는 제 2 화면에 대한 제 2 입력 이벤트로 결정하고, 상기 제 2 화면에 대한 상기 제 2 입력 이벤트가 감지될 때, 상기 제 2 화면을 기반으로, 상기 더블 포인트 입력에 대응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를 표시하고, 상기 제 2 화면을 기반으로 상기 표시된 커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와 관련된 세부 정보를 상기 제 1 화면을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 및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증강 장치와의 포지션을 확인하고,
상기 증강 장치로부터 생성되는 가상 화면의 표시 영역을 결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 중 제 1 뎁스에 해당하는 제 1 웹 페이지를 상기 제 2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 중 제 2 뎁스에 해당하는 제 2 웹 페이지를 상기 제 1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스크린샷 촬영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제 2 웹 페이지에 대응하는 스크린샷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크린샷 이미지를 다른 가상 화면에 대응하는 제 3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3 화면에 저장된 스크린샷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제 1 화면의 일 측면에 스크롤 바를 표시하고,
상기 스크롤 바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스크린샷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샷 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복제하고,
상기 복제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증강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생성된 제 1 웹 페이지를 상기 제 2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입력 이벤트가 쓰리 포인트 입력에 기반한 제 3 입력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1 화면과 상기 제 2 화면에 대한 통합적인 입력 이벤트임을 판단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이벤트는 상기 제 1 화면에 대한 제 1 입력 이벤트와 상기 제 2 화면에 대한 제 2 입력 이벤트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도록 하는 전자 장치. -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증강 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증강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대한 입력 이벤트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감지된 입력 이벤트가 하나의 손가락이 하나의 영역을 터치하는 원 포인트 입력인지, 또는 두 개의 손가락이 하나의 영역을 터치하는 더블 포인트 입력인지 여부를 분석하는 동작;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이벤트가 상기 원 포인트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제 1 화면에 대한 제 1 입력 이벤트로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1 입력 이벤트의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원 포인트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이벤트가 상기 더블 포인트 입력인 경우, 상기 증강 장치로부터 생성된 가상 화면에 대응하는 제 2 화면에 대한 제 2 입력 이벤트로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2 화면에 대한 상기 제 2 입력 이벤트가 감지될 때, 상기 제 2 화면을 기반으로, 상기 더블 포인트 입력에 대응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 2 화면을 기반으로 상기 표시된 커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동작;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와 관련된 세부 정보를 상기 제 1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장치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은,
카메라 모듈 및 센서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증강 장치와의 포지션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증강 장치로부터 생성되는 가상 화면의 표시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1 항에 있어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 중 제 1 뎁스에 해당하는 제 1 웹 페이지를 상기 제 2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 중 제 2 뎁스에 해당하는 제 2 웹 페이지를 상기 제 1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3 항에 있어서,
스크린샷 촬영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제 2 웹 페이지에 대응하는 스크린샷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스크린샷 이미지를 다른 가상 화면에 대응하는 제 3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화면에 저장된 스크린샷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제 1 화면의 일 측면에 스크롤 바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스크롤 바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 개의 스크린샷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샷 이미지를 선택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복제하는 동작;
상기 복제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증강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생성된 제 1 웹 페이지를 상기 제 2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삭제
- 삭제
-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이벤트가 쓰리 포인트 입력에 기반한 제 3 입력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1 화면과 상기 제 2 화면에 대한 통합적인 입력 이벤트임을 판단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이벤트는 상기 제 1 화면에 대한 제 1 입력 이벤트와 상기 제 2 화면에 대한 제 2 입력 이벤트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5566A KR102716974B1 (ko) | 2018-12-19 | 2018-12-19 | 증강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US16/719,163 US20200201515A1 (en) | 2018-12-19 | 2019-12-18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ugmented reality device |
PCT/KR2019/018088 WO2020130667A1 (en) | 2018-12-19 | 2019-12-19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ugmented realit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5566A KR102716974B1 (ko) | 2018-12-19 | 2018-12-19 | 증강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6449A KR20200076449A (ko) | 2020-06-29 |
KR102716974B1 true KR102716974B1 (ko) | 2024-10-15 |
Family
ID=71096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5566A Active KR102716974B1 (ko) | 2018-12-19 | 2018-12-19 | 증강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00201515A1 (ko) |
KR (1) | KR102716974B1 (ko) |
WO (1) | WO202013066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036284B2 (en) | 2018-09-14 | 2021-06-15 | Apple Inc. | Tracking and drift correction |
US11379033B2 (en) * | 2019-09-26 | 2022-07-05 | Apple Inc. | Augmented devices |
US10817648B1 (en) | 2020-01-30 | 2020-10-27 | Leap Tool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t visualization using a single-page application |
US11194952B2 (en) * | 2020-01-30 | 2021-12-07 | Leap Tool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t visualization using a single-page application |
WO2022060518A1 (en) * | 2020-09-15 | 2022-03-24 | Carnelian Laboratories Llc | Head-mountable device and connector |
CN112306443A (zh) * | 2020-11-23 | 2021-02-02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信息展示方法和存储介质 |
CN114968423B (zh) * | 2021-02-19 | 2024-05-14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长页面截屏方法及电子设备 |
EP4521203A1 (en) | 2022-08-29 | 2025-03-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wearable device on basis of input by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400197B2 (ja) * | 2015-05-29 | 2018-10-03 | 京セラ株式会社 | ウェアラブル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23271A (ja) * | 1983-12-07 | 1985-07-01 | 株式会社ミヤナガ | 打撃穿孔方法 |
KR101087479B1 (ko) * | 2010-01-29 | 2011-11-25 | 주식회사 팬택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20140055880A (ko) * | 2012-11-01 | 2014-05-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상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
KR20160022147A (ko) * | 2014-08-19 | 2016-02-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글래스형 단말기 및 그들의 화면 공유를 통한 상호 연동방법 |
KR102243656B1 (ko) * | 2014-09-26 | 2021-04-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모바일 디바이스, hmd 및 시스템 |
CN105389149A (zh) * | 2015-11-03 | 2016-03-09 |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智能设备多屏幕运行实现方法及其系统 |
KR102471977B1 (ko) * | 2015-11-06 | 2022-11-3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복수의 전자장치 사이에서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US20170169594A1 (en) * | 2015-12-15 | 2017-06-15 | Le Holdings (Beijing) Co., Ltd.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video recommendation |
-
2018
- 2018-12-19 KR KR1020180165566A patent/KR102716974B1/ko active Active
-
2019
- 2019-12-18 US US16/719,163 patent/US2020020151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9-12-19 WO PCT/KR2019/018088 patent/WO202013066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400197B2 (ja) * | 2015-05-29 | 2018-10-03 | 京セラ株式会社 | ウェアラブル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201515A1 (en) | 2020-06-25 |
KR20200076449A (ko) | 2020-06-29 |
WO2020130667A1 (en) | 2020-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716974B1 (ko) | 증강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
EP3570144B1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vr/ar content | |
US10754546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 using input interface displayed via at least portion of content | |
KR102788907B1 (ko) | 증강 현실 환경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665643B1 (ko) | 아바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US11463486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virtual reality | |
KR102817054B1 (ko) |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전자장치 및 시스템 | |
US11334152B2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 executing method using sight-line information thereof | |
US20230074380A1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2753924B1 (ko) |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
KR20200085531A (ko) | 전자 장치, 전자 장치 보호 케이스 및 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 |
KR102436435B1 (ko) |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 |
KR102717796B1 (ko) |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102757109B1 (ko) |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210082910A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 |
KR102824359B1 (ko) | 전자 장치 및 비접촉 제스처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기능 운용 방법 | |
KR102719976B1 (ko) | 터치 입력에 기반한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US20220191403A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plurality of lens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KR102717134B1 (ko) | 증강 현실 모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US11431900B2 (en) |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 |
US11042223B2 (en) |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user's gesture | |
US11622097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oint of interest (POI) information in 360 video | |
KR20210121923A (ko) | 백 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KR20210131802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
KR20210012562A (ko) | 아바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2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0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