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6813B1 -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6813B1
KR102716813B1 KR1020190031456A KR20190031456A KR102716813B1 KR 102716813 B1 KR102716813 B1 KR 102716813B1 KR 1020190031456 A KR1020190031456 A KR 1020190031456A KR 20190031456 A KR20190031456 A KR 20190031456A KR 102716813 B1 KR102716813 B1 KR 102716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radle
purification system
tower
air purif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887A (ko
Inventor
강지영
강성 이 데이비드
전종건
정해융
곽대영
박소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1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6813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6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681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에는, 바닥에 놓이고 상면을 가지는 크래들; 및 상기 크래들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놓일 수 있고, 측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로 긴 형상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두 개의 타워 공청기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타워 공청기를 이동하며 스스로 선택하여 공기청정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Air purify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air purifying system}
본 발명은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 이해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 등을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정하여진 설계에 따라 미리 정해진 규격 및 크기로 제작되어 시장에 공급된다. 소비자는 자신이 원하는 크기 및 용량에 맞는 공기청정기를 구매한다.
소비자는, 자기의 주거환경에서 다수의 구획되는 실내공간의 존재, 및 비정형적인 실내공간이 형상으로 인하여, 자신의 주거환경에 적합한 공기청정기를 구매하기가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WO200400108248A2 modular air purification system에는 모듈화된 공기청정기를 구현한다. 본 기술은 공기청정기의 설치환경에 대응하여 필터부재 등을 모듈화하여 증설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개시하지만, 이는 전문가만이 행할 수 있고 일반사용자는 불가능하다.
WO200400108248A2 modular air pur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상기 배경하에서 제안되는 것으로서, 단일의 공기청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소비자가 직접 자기의 주거환경에 맞도록 공기청정시스템을 만들고,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실내공간의 크기, 형상, 및 구획되는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 및 방법으로 공기청정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복잡한 형상의 실내공간에 대해서도, 해당하는 복잡한 공간에 대한 최적의 공기청정운전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에는, 바닥에 놓이고 상면을 가지는 크래들; 및 상기 크래들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놓일 수 있고, 측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로 긴 형상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두 개의 타워 공청기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타워 공청기를 이동하며 스스로 선택하여 공기청정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타워 공청기는 서로 협력하여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하여, 실내공간에 적합한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은, 공기청정기능이 제공되는 크래들 공청기이고, 상기 크래들 공청기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타워 공청기는 서로 협력하여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하여, 공기청정시스템의 성능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크래들의 전방에 대한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크래들 공청기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타워 공청기 중의 적어도 두 개는 서로 통신을 수행하여, 기기 간의 협력에 의한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면 중의 적어도 일부분은 전방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기 타워 공청기를 크래들에 안착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타워 공청기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자기가 놓이는 공간의 지도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가 마련되어, 공기청정시스템이 놓이는 실내공간의 공간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공간에 적합하도록 공기청정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타워 공청기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디스플레이가 제공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제공되는 기기 자체만을 위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 1 디스플레이모드; 공기청정시스템 전체를 위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 2 디스플레이모드;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모드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모드가 함께 디스플레이 되는 제 3 디스플레이모드 중의 어느 하나의 모드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어느 공청기를 보더라도 공기청정시스템의 전체 및 해당하는 공기청정기의 동장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실내공간의 지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실내공간의 경계선정보, 공기청정시스템이 놓이는 자기위치정보, 및 송풍되는 청정공기의 유동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공기청정시스템의 동작상태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타워 공청기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제공되어, 타워 공청기의 충전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타워 공청기의 상부에는 회전가능한 손잡이가 제공되어, 편리하게 타워 공청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에는, 공기청정시스템이 놓이는 공간의 지도정보를 획득하는 것; 및 상기 지도정보와 상기 공기청정시스템의 자원을 이용하여 지도정보에 적합한 공기청정시스템의 공간운전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공간에 적합한 공기청정시스템의 운전조건을 파악하고, 가장 바람직한 조건으로 공기청정시스템을 운전할 수 있다.
상기 공간운전을 결정한 다음에, 상기 공기청정시스템에 제공되는 적어도 두 개의 공기청정기가 협력하여 운전하는 공기청정기별 운전정보가 결정되는 것;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공기청정기가 개별적으로 운전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의 공기청정기가 개별 운전에 의한 최적의 협력운전조건을 알아내고, 그에 따라서 개별 공기청정기가 운전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공기청정시스템에는, 바닥에 놓이고 상면을 가지고 좌우로 긴 크래들; 상기 상면이 함몰되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홈; 및 상기 크래들의 안착홈에 놓이고 상하로 긴 타워 공청기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로 길게 마련되는 타워 공청기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홈은 상기 상면의 좌우에 각각 제공되어, 두 개의 타워 공청기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상면 중의 적어도 일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제공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타워 공청기를 안착시킬 수 있고, 타워 공청기의 취급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 크래들은 공기청정을 위하여, 필터; 및 팬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크래들이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함으로써, 공기청정시스템의 공기청정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크래들에는, 후면에 제공되는 흡입구; 및 전면에 제공되는 토출구가 포함되어,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서 크래들 전방 바닥면에 대한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좌식문화 생활자에 대한 만족감을 크게 수 있다.
상기 크래들과 상기 타워 공청기는 서로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기기 간에 서로 협력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타워 공청기는 서로 연동되는 두 개가 제공됨으로써, 실내에서 구획되는 각 공간에 대응하여 타워 공청기를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홈의 내부에는 전등이 제공되어, 어두운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타워 공청기를 취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청정기의 분리 및 단일운전이 가능하고, 운반이 편리하기 때문에, 소비자 자신의 주거환경에 대응하여 편리하고 다양하게 공기청정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 공기청정기의 복합운전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실내공간의 크기 및 구획구조에 대응하여 최고의 공기청정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공간의 지도정보를 파악하고 그에 대응하는 공기청정을 수행할 수 있어서, 실내공간 별로 최선의 공기청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공기청정기의 복합 운전시에 설치 공간에 대응한 공기청정기의 협력운전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공간에 대한 최적의 공기청정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상기 타워 공청기의 안착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2는 크래들 공청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의 단면도.
도 5는 타워 공청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타워 공청기의 상부의 확대도.
도 7은 공기청정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크래들의 디스플레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타워 공청기의 디스플레이를 보이는 도면.
도 10은 공기청정시스템의 시스템 블럭도.
도 11은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2 및 도 13은 상기 타워 공청기에 대한 에너지 공급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2는 안착홈의 중심부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상기 타워 공청기의 부분 배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내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공기청정기는 공청기라고 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에는, 독립적인 운전이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공기청정기(2)(3)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공기청정기(2)(3)를 안착시킬 수 있는 크래들(1)이 포함된다.
상기 크래들(1)은 공기청정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크래들 공청기(1)라고 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 공청기는 공기청정기의 기능이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크래들 공청기는, 공청기의 기능이 부여되는 경우와 부여되지 않는 경우를 함께 이름하여, 크래들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공기청정기(2)(3)는, 상기 크래들 공청기(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길게 타워 형상으로서, 서 있을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공기청정기(2)(3)는 타워공청기라고 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 공청기(1)는 정면을 기준으로 좌우로 긴 평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타워 공청기로는, 상기 크래들 공청기(1)의 좌측에 놓이는 제 1 타워 공청기(2), 및 상기 크래들 공청기(1)의 우측에 놓이는 제 2 타워 공청기(3)가 제공될 수 있다. 그 이상의 타워 공청기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타워 공청기에서 토출되는 청정공기간의 간섭에 의한 토출방향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두 개의 좌우 한 쌍의 타워 공청기(2)(3)가 바람직하게 제안될 수 있다.
상기 타워 공청기(2)(3)의 상부에는 손잡이(22)(32)가 제공되고,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를 잡고 상기 타워 공청기의 본체(21)(31)를 이동하거나 취급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본체(21)(31)의 힌지구조에 의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2)(32)는 회전이 가능하게 제공되어,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손잡이가 본체의 측면에 지지되어 공기토출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타워 공청기(2)(3)는 상기 크래들 공청기(1)에 자리잡고 놓일 수 있다.
상기 타워 공청기(2)(3)는 상하로 길게 타워형상으로 제공되므로 전도의 우려가 있다. 상기 타워 공청기(2)(3)는 소비자가 자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충전 및 보관을 위하여 편하게 정하여진 위치에 자리잡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두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타워 공청기(2)(3)는 상기 크래들 공청기(1)의 미리 정하여진 위치에 견고하게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와 도 3은 상기 타워 공청기의 안착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2는 크래들 공청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크래들 공청기(1)는 전방에서 볼 때는 좌우로 길게 제공된다. 상기 크래들 공청기(1)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전방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제공되는 경사면(15)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크래들 공정기(1)의 상면은 뒤에서 앞으로 올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 공청기(1)의 상면이 아래쪽으로 함몰되어 안착홈(13)(14)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이(13)(14)은 상기 크래들 공청기(1) 상면의 좌우에 각각 하나씩 상기 타워 공청기(2)(3)의 하면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13)(14)의 바닥에는 상기 타워 공청기(2)(3)의 베이스(21)가 놓일 수 있다. 상기 안착홈 내부의 바닥면은 상기 타워 공청기(2)(3)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편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에 원호형상의 홈(미도시)이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에 상기 장홈과 대응되는 원호형상의 돌기(미도시)가 마련되어, 상기 타워 공청기의 설치위치가 더 정확하게 안내될 수도 있다. 상기 설치위치는, 상기 타워 공청기와 상기 안착홈의 전후좌우 모든 방향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타워 공청기의 전방과 그에 대응하는 안착홈의 전방이 서로 일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타워 공청기의 안착홈에 대한 설치방향 및 상기 타워 공청기 간의 설치방향이 정확하게 설정됨으로써, 공청기에서 토출되는 청정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타워 공청기(2)(3)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홈(13)(14)은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제공된다. 상기 안착홈(13)(14)의 후면부는 가장 높은 벽으로 제공되어 전방에서 가하여지는 외력에 견딜 수 있다. 상기 안착홈(13)(14)의 측면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벽 높이가 낮아지기 때문에, 상기 타워 공청기(2)(3)의 측방으로부터의 외력에 견딜 수 있다.
상기 안착홈의 전면부는 높이가 없게 제공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타워 공청기(2)(3)를 전면부를 통하여 상기 안착홈(13)(14)에 놓을 수 있다. 상기 안착홈의 전면부는 높이가 없게 제공되어, 사용자가 상기 타워 공청기(2)(3)를 꺼낼 때에도 안착홈의 전면부를 통하여 편리하게 꺼낼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타워 공청기(2)(3)를 상기 안착홈에 정확하게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 테두리를 둘러서 제 1 전등(17)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13)(14)의 경사각을 사용자에게 지시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홈(13)(14)의 상면 테두리를 둘러서 제 2 전등(18)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 1, 2 전등(17)(18)을 비교하여, 상기 안착홈(13)(14)의 높이를 짐작할 뿐만 아니라, 상기 안착홈(13)(14)의 바닥면을 보고서 정확한 곳에 상기 타워 공청기(2)(3)를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타워 공청기(2)(3)가 상기 안착홈(13)(14)에 놓이면, 상기 타워 공청기(2)(3)는 하벽(12)의 편평한 상면 및 후벽(11)의 앞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타워 공청기(2)(3)는 상기 안착홈(13)(14)의 측벽에도 지지되어 전도가 방지될 수 있다. 실시예의 공기청정시스템에서 상기 크래들 공청기(1)은 좌우로 길기 때문에, 사용자의 접근은 전방접근이 후방접근보다 훨씬 많다. 따라서, 외력에 의한 상기 타워 공청기(2)(3)의 전도는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13)(13)은 상기 타워 공청기(2)(3)의 전도방지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기능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첫째,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유무선으로 상기 타워 공청기(2)(3)와 상기 크래들 공청기(1) 간의 유무선 충전, 둘째, 두 개 이상의 공청기가 서로 복합운전하여 최적의 협력운전수행, 셋째, 공청기(1)(2)(3) 간의 안정된 통신기능확보가 그것이다. 상기 기능에 대한 설명은 뒤에 더 상세하게 제시한다.
상기 크래들 공청기(1)의 구성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상기 크래들 공청기(1)의 하측부 테두리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무선 송수신부(111)(112)(113)가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크래들 공청기(1)에는 두 개의 무선 송수신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다섯 개의 무선 송수신부는 무선신호를 송신한 후 수신하여 실시예의 공기청정시스템이 놓이는 실내공간의 공간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의 신호는 적외선, 레이저, 고주파, 및/또는 초광대역마이크로파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캐리어광의 주파수에 따라서 상기 무선 송수신부의 수는 줄거나 늘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후방 두 개의 무선 송수신부에서 레이저 신호를 스캔하여 실내공간을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크래들 공청기(1)에 공기청정기능이 탑재되는 경우에는, 상기 크래들 공청기의 후면부에 흡입부(121)가 제공되고, 상기 크래들 공청기의 전면부에 토출부(125)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B-B'의 단면도로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크래들 공청기의 공청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크래들 공청기(1)의 후벽에 제공되는 흡입부(121), 및 상기 크래들 공청기(1)의 전면에 제공되는 토출부(125)가 포함된다. 상기 크래들 공청기(1)의 내부 공간에는 적어도 필터부재와 팬이 제공되어, 상기 흡입부(121)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토출부(125)를 통하여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필터부재로는, 제 1 필터(122) 및 제 2 필터(123)가 공기흐름의 순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122)는 상기 제 2 필터(123)보다 거름메쉬가 큰 필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 공청기(1)는 바닥면에 근접하여 작동하는 기기로서, 실내바닥의 비교적 큰 먼지가 많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필터(122)를 통하여 큰 먼지를 미리 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124)은 상기 필터(122)(123)의 하류측에 마련되어 공기유동의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토출부(125)는 상기 흡입부(121)보다 작게 제공되어 송풍되는 청정공기의 유속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크래들 공청기(1)의 영향을 받는 바닥면에서의 먼지를 제거하여 좌식문화에 익숙한 사용자가 느끼는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상기 타워 공청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은 상기 타워 공청기의 상부의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타워 공청기(2)(3)는 대략 상하로 긴 원통으로 제공되고, 하단부에는 안착을 위한 베이스(2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타워 공청기(2)(3)의 외벽(27)의 아래쪽에는 다수의 홀을 가지는 흡입그릴(22)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타워 공청기(2)(3)의 내부 공간에는, 아래에서 윗쪽으로 갈수록, 필터(23), 팬하우징(25)에 의해서 지지되는 팬(24), 송풍방향을 조절하는 에어가이드(26)가 놓일 수 있다. 상기 팬(24)에 의해서 제공되는 음압에 의해서, 필터(23)를 통과하는 청정공기가 상기 에어가이드(26)에서 풍향이 조절된 상태로 송풍될 수 있다.
상기 외벽(27)의 상단부에는 손잡이(22)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타워 공청기(2)(3)를 쉽게 들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에어가이드(26)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28)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8)에는, 타워 공청기(2)(3) 그 자체만을 위한 제 1 디스플레이모드, 공기청정시스템 전체를 위한 제 2 디스플레이모드, 또는 제 1 디스플레이모드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모드가 섞여서 사용되는 제 3 디스플레이모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타워 공청기(2)(3)의 상단 테두리에는 무선 송수신부(281)가 다섯 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타워 공청기(2)(3)의 무선 송수신부(281)는 상기 크래들 공청기(1)의 무선 송수신부(111)(112)(113)와 같은 구성, 같은 기능, 및 같은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281)는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이 놓이는 실내공간을 지도정보로서 알아낼 수 있는 것은 이미 설명한 바가 있다.
상기 크래들 공청기(1) 및 상기 타워 공청기(2)(3)에 의해서 파악된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실시예의 공기청정시스템을 운전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시스템에 제공되는, 상기 크래들 공청기(1) 및 상기 타워 공청기(2)(3)를 함께 협력시켜서, 상기 실내공간에 대하여 공청기의 운전 시에 최적의 협업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지도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활용함으로써 이용자는 공기청정시스템의 운전상태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크래들 공청기(1)에는 상기 타워 공청기(2)(3)가 안착된다. 상기 경사면(15)에는 디스플레이(152)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52)는 현재 실시예의 공기청정시스템 전체의 운전을 보여주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모드가 수행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52)에는, 상기 지도정보에 근거하는 실내공간이 경계선정보(154), 자기위치정보(153), 및 풍향과 풍량과 풍속과 오염도 등을 표시하는 유동정보(155)가 표시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경계선정보(154)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에 의해서 파악되는 지도정보에 의한 실내공간의 경계선을 나타낸다.
상기 자기위치정보(153)는, 현재 공기청정시스템이 놓이는 위치, 더 정확하게는 크래들이 놓이는 위치를, 지도정보 상에서 상기 경계선정보(154)와 함께 파악하여, 상기 경계선정보(154)와 함께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유동정보(155)는, 현재상태에 대응하여 선정된 운전상태에 따라서 실시예의 공기청정시스템이 운전될 때, 송풍되는 청정공기의 풍향/풍량/풍속/오염도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풍향은 화살표의 방향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풍량은 화살표의 굵기를 이용할 수 있고, 풍속은 화살표의 길이로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오염도는 화살표의 색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7에서는 경계선정보(154)에 따라서 실내공간이 오목한 공간을 청정공기가 돌아서 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52)의 앞쪽에는 각각의 타워 공청기(2)(3)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154)(157)가 마련될 수 있다.
도 8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8을 참조하여 협업운전을 설명한다.
상기 협업운전은,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청정공기의 토출방향을 설명하는 것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1 타워 공청기(2)는 좌측으로 청정공기를 송풍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타워 공청기(3)는 전방으로 청정공기를 송풍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송풍방향에 따르면, 공기청정시스템이 위치하는 전방공간만이 아니라, 상기 공기청정시스템으로부터 좌측의 넓은 공간에 대하여 청정공기를 송풍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 1 타워 공청기(2)는 풍량을 크게 하여 더 멀리 청정공기를 송풍하는 것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현재 상태에 대응하여 선정된 상기 협업운전에 의해서, 공기청정시스템이 놓이는 실내공간을 스스로 파악하고, 적어도 두개의 공청기를 사용하여 최선의 공청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실내공간의 구조를 알 필요도 없다. 여기서, 상기 협업운전은, 복수의 공청기를 단순히 함께 운전하는 복합운전과는 명확히 구분되는 것을 위의 실시형태를 통하여 알 수 있다.
도 9는 상기 타워 공청기의 디스플레이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현재 상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모드가 구현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8)는 타워 공청기 자신의 운전상태를 다양하게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중의 어느 하나의 버튼으로서 상기 '공간학습'이라는 표시부는, 현재 타워 공청기가 놓이는 곳의 실내공간에 대한 지도정보 파악을 지시하는 버튼이다.
상기 공간학습이 수행되면, 무선 송수신부(281)를 이용하여 실내공간을 파악하여 지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청정공기를 송풍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공간학습에 의한 운전은 상기 협력운전에서만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단독운전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계선 정보(154)를 참조할 때 타워 공청기 자신이 단독으로 놓이는 위치가 코너부이면, 상기 코너부의 안쪽 90도만을 회전하면서 청정공기를 송풍할 수도 있다.
현재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28)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모드로서 자신의 운전상태만을 표시하고 있다. 현재 상태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28)의 어느 일 영역에 상기 경계선정보(154) 또는 상기 유동정보(155)를 디스플레이 한다면, 그 디스플레이모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모드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모드가 혼용되는 제 3 디스플레이모드라고 할 수 있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시스템 블럭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3 공청기의 상세 구성, 상기 제 3 공청기의 통신부(450)로 연결되는 제 1 공청기(480), 상기 제 3 공청기 또는 상기 제 1 공청기와 연결되는 제 2 공청기(470)가 도시된다. 상기 제 3 공청기는 상기 크래들 공청기(1)로 예시할 수 있고, 상기 제 1, 2 공청기는 각각 제 1, 2 타워 공청기(2)(3)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제 3 공청기에는 실내공간의 지도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주변공간결정부(410)가 제공된다. 상기 주변공간결정부(410)에는, 무선 송수신부(411)와 맵핑부(41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411)는 상기 크래들 공청기에 설치되는 무선 송수신부(111)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맵핑부(412)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411)로부터 송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실내공간의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맵핑 프로세서가 포함되는 블럭일 수 있다.
상기 맵핑부(412)로부터 제공되는 지도정보를 활용하여 현재 실내공간에 대한 운전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공간운전결정부(420)는 지도정보를 활용하여 현재 실내공간에 대한 공청운전의 전체적인 방향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현재 공청기가 실내공간의 90도의 코너에 놓여 있으면, 상기 공간운전결정부(420)는 90도의 폭으로만 공청기의 청정바람이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메모리(460)에 미리 저장되는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제 1, 2, 3 공청기의 운전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400)에는 제 1, 2, 3 공청기 제어모듈(401)(402)(403)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2, 3 공청기 제어모듈(401)(402)(403)은 각 제어모듈과 연관되는 공청기의 위치와 설치조건을 확인하여 공청기의 운전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는 상기 경계선정보(154) 및 상기 자기위치정보(153)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공간운전결정부(420)는 현재의 위치에서는 전방 및 우방으로 청정공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방향의 기준은, 상기 크래들 공청기(1) 자신이 바라보는 전방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공기청정시스템에는 세 개의 공청기가 모듈화되어 있고, 각 공청기의 협력운전을 위한 공청기별 운전조건은 각 제어부(401)(402)(403)에서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크래들 공청기(1)는 자신은 공청운전을 하지 않고, 자신이 바라보는 전방을 기준으로 할 때, 제 1 타워공청기(2)은 완전히 우측으로만 송풍하고, 제 2 타워 공청기(3)는 전방으로만 송풍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크래들 공청기가 운전되지 않는 것은, 직근 전방에 사용자가 없으므로 바닥면에 대한 공기청정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공청기의 운전조건이 결정되면, 상기 제 3 공청기의 제어부는 공청부(430)에 신호를 보내서 제 3 공청기 자신이 구동할 수 있다. 제 3 공청기는, 상기 제 1 공청기 및 상기 제 2 공청기로 통신부(450)를 통하여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공청부(430)에는 팬구동부(432) 및 부가구동부(431)가 놓일 수 있다. 상기 부가구동부(431)에는 상기 에어가이드(26)의 동작결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운전상태를 디스플레이부(440)를 통하여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40)의 모드는 상기 제 1, 2, 3, 디스플레이모드 중에서 미리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어느 한 공청기를 메인(실시예에서는 크래들 공청기)으로 하여 지시를 하고, 다른 두 공청기(실시예에서는 타워 공청기)가 지시를 따라서 구동을 하는 예를 보인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를 더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크래들 공청기(1)에 무선 송수신부(111)가 설치되기에 적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타워 공청기(2)(3)에 무선 송수신부(281)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의 정보는, 맵핑정보로써 가공되기 전이나 가공된 후에, 크래들 공청기(1)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간운전결정부(420) 및 각 공청기의 제어모듈(401)(402)(403) 중에 적어도 하나는, 타워 공청기 중의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모듈(401)(402)(403)은 자신이 속하는 공청기에만 제공되어 자기의 제어상태는 스스로 판단되고 운전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지도정보를 획득한다(S1). 상기 지도정보는 실내공간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상기 무선 송수신부 및 상기 맵핑부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지도정보와 상기 공기청정시스템의 자원을 활용하여 공간운전을 결정한다(S2). 상기 공간운전은, 상기 지도정보로 특정되는 공간에 대하여 현재 공기청정시스템이 해야 하는 운전조건을 결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코너에 놓인 상태라면 90도의 범위 내에서 송풍하는 것을 설명한 바가 있다. 나아가서, 실내공간이 정사각형이라면 코너에서 45도의 방향으로 송풍하여 전체 공간에 대해서는 가장 바람직하게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복합운전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복합운전은, 상기 공기청정시스템에 제공되는 적어도 두 개의 공청기가 단일체로 운전될 때의 최종 운전결과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복합운전의 결정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공청기가 상기 공간에 대하여 함께 운전하여 얻을 수 있는 공청기 운전의 결과론적인 합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에 모듈별 운전정보를 제공한다(S3). 이때에는 협력운전이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8의 경우에 제 1 타워 공청기는 좌측방향으로 청정공기를 송풍하고, 제 2 타워 공청기는 전방으로 청정공기를 송풍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의 경우에, 상기 협력운전에서 각 타워 공청기가 운전되는 경우와 달리, 상기 복합운전만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비스듬한 우측방향으로 모든 타워공청기가 함께 송풍하는 것이 최선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에는 각 모듈이 대응하여 공청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S4).
실시예의 경우에, 상기 모듈은 상기 크래들 공청기, 상기 제 1 타워 공청기, 및 상기 제 2 타워 공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상기 타워 공청기에 대한 에너지 공급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2는 안착홈의 중심부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상기 타워 공청기의 부분 배면도이다.
도 12에는, 상기 하벽(12)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안착홈(13)(14)에 마련되는 무선충전모듈(131)와, 상기 타워 공청기(2)(3)의 하면부에 마련되는 제 2 무선충전모듈(222)이 도시된다.
상기 무선충전모듈(131)(222)의 커플링 작용에 의해서 상기 타워 공청기(2)(3) 내부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타워 공청기의 하측 베이스의 상측에는 콘센트(221)가 수납되는 공간이 마련되어, 타워 공청기는 유선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타워 공청기(2)(3)는, 상기 크래들 공청기(1)에 놓인 상태에서는 무선충전이 되고, 상기 크래들 공청기(1)과 분리된 상태에서는 유선전원공급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타워 공청기는 어느 경우라도 에너지 공급에 대한 불편함이 없이 공청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공기청정기가 제공되는 단일의 공기청정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공기청정작용을 실내공간에 대응하여 수행할 수 있어서, 산업적인 적용이 크게 기대된다.
1: 크래들 공청기
2, 3: 타워 공청기
410: 주변 공간 결정부
420: 공간운전 결정부
450: 통신부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바닥에 놓이고 상면을 가지는 크래들; 및 상기 크래들의 상면에 놓일 수 있고, 상기 크래들의 상면에서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로 긴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크래들로부터 이동하여 크래들과 이격하는 위치에 놓일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타워 공청기가 포함되는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이고,
    공기청정시스템이 놓이는 공간의 지도정보를 획득하는 것;
    상기 지도정보와 상기 공기청정시스템의 자원을 이용하여 지도정보에 적합한 공기청정시스템의 공간운전을 결정하는 것;
    상기 공간운전을 결정한 다음에, 상기 공기청정시스템에 제공되는 적어도 두 개의 공기청정기가 협력하여 운전하는 공기청정기별 운전정보가 결정되는 것;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공기청정기가 개별적으로 운전되는 것이 포함되고,
    상기 공기청정기별 운전정보가 결정되는 것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공기청정기가 함께 운전하여 얻을 수 있는 결과인 복합운전을 결정하는 것, 및 상기 복합운전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공기청정기가 협력하는 협력운전을 결정하는 것을 수행하는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삭제
  13. 바닥에 놓이고 상면을 가지고 좌우로 긴 크래들;
    상기 상면이 함몰되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홈; 및
    상기 크래들의 안착홈에 놓이고 상하로 긴 타워 공청기가 포함되고,
    상기 크래들은,
    내부에 제공되는 팬; 상기 팬에 의해서 유동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 후면에 제공되는 흡입부; 및 전면에 제공되는 토출부가 포함되고,
    상기 팬은 상기 필터의 하류측에 마련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흡입부보다 작게 제공되어 송풍되는 청정공기의 유속을 크게 제공하여, 바닥면의 먼지를 원활히 제거할 수 있고.
    상기 토출부에 제공되어 공기가 토출되는 개구의 면적이, 상기 흡입부에 제공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개구의 면적보다 작은, 공기청정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상면의 좌우에 각각 제공되는 공기청정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중의 적어도 일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공기청정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과 상기 타워 공청기는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공기청정시스템.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 공청기는 서로 연동되는 두 개가 제공되는 공기청정시스템.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내부에는 전등이 제공되는 공기청정시스템.
KR1020190031456A 2019-03-19 2019-03-19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Active KR102716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456A KR102716813B1 (ko) 2019-03-19 2019-03-19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456A KR102716813B1 (ko) 2019-03-19 2019-03-19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887A KR20200111887A (ko) 2020-10-05
KR102716813B1 true KR102716813B1 (ko) 2024-10-16

Family

ID=7280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456A Active KR102716813B1 (ko) 2019-03-19 2019-03-19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6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223A (ko) * 2021-12-20 2023-06-28 주식회사 위니아 모듈형 에어케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7044B2 (ja) * 2013-10-29 2016-11-3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7044B2 (ja) * 1977-09-14 1985-08-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熱分解黒鉛塊の製造法
JPH0549021U (ja) * 1991-11-29 1993-06-29 株式会社東芝 空気清浄器のスタンド
KR20180074504A (ko) * 2016-12-23 201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앙 제어 하판
KR101972714B1 (ko) * 2018-11-19 2019-04-25 주식회사 에어텍 휴대용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7044B2 (ja) * 2013-10-29 2016-11-3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887A (ko) 202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20915B (zh) 空气净化系统及空气净化系统的控制方法
US11754302B2 (en) Portable air purifier
CN111714973B (zh) 空气净化系统
EP1788318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EP3712523B1 (en) Air purifying system
EP1640672A2 (en) Air purifying robo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90059729A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US11739960B2 (en) Air purifier and air purifying system
KR102716813B1 (ko)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CN210801440U (zh) 包括双向排出流路的空气净化器
KR102690438B1 (ko)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256184B1 (ko) 공기처리시스템
KR102658131B1 (ko)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CN112460681A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KR102635892B1 (ko) 공기청정시스템
KR20200112589A (ko)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시스템
KR102016255B1 (ko) 휴대용 공기정화기
CN213955437U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215175633U (zh) 空气净化器与冰箱一体机
CN213713280U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KR102308207B1 (ko) 지능형 공기청정기
CN214665048U (zh) 一种空气净化器主机
CN215175632U (zh) 空气净化器与冰箱一体机
CN222773399U (zh) 空调器
JP2006035220A (ja) 空気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1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3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1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8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