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6417B1 - 단열기능을 갖는 해수 및 빗물유입방지용 미서기창호 - Google Patents

단열기능을 갖는 해수 및 빗물유입방지용 미서기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6417B1
KR102716417B1 KR1020220010075A KR20220010075A KR102716417B1 KR 102716417 B1 KR102716417 B1 KR 102716417B1 KR 1020220010075 A KR1020220010075 A KR 1020220010075A KR 20220010075 A KR20220010075 A KR 20220010075A KR 102716417 B1 KR102716417 B1 KR 102716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il
window
door
lower horizon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4049A (ko
Inventor
권오수
송지범
박익종
Original Assignee
새론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론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새론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0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6417B1/ko
Publication of KR20230114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6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64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4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지역 및 폭우로 빗물이 유입될 수 있는 건축물의 미서기창호에 있어 창틀프레임의 하부수평프레임 높이를 실외측과 실내측이 서로 차이를 갖는 단차를 형성하여 빗물 또는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단열기능을 갖도록 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제1프레임의 실외측도어레일 및 실외측레일홈 보다 제2프레임의 실내측도어레일 및 실내측레일홈이 더 높게 형성된 창틀프레임의 하부수평프레임과; 하부수평프레임의 미들프레임과 실내측도어레일 사이의 실내측레일홈을 분할하여 제2프레임을 연결한 C형단열부재와; 창문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의 상 하부수평바와 좌우수직바의 일측 요홈부에 방풍과 단열기능을 갖도록 설치된 커버부재와;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서로 대향되며 일측 외면에 마감단열바가 각각 설치되고, 서로 대향되는 측면에 핀모헤어가 설치된 좌우수직바으로 이루어진 고리살부;를 포함하는 단열기능을 갖는 해수 및 빗물유입방지용 미서기창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열기능을 갖는 해수 및 빗물유입방지용 미서기창호{Miseogi window for preventing inflow of seawater and rainwater with insulation function}
본 발명은 해안지역 및 폭우로 빗물이 유입될 수 있는 건축물의 미서기창호에 있어 창틀프레임을 구성하는 하부수평프레임의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높이를 실외측보다 실내측이 높게 단차를 형성하여 빗물 또는 해수가 건물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단열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미서기창호의 창틀프레임의 하부수평프레임 측의 실외측도어레일 보다 실내측도어내일이 더 높게 형성되도록 하여 폭우시 유입되는 빗물과 태풍시 파도에 의해 유입되는 해수가 내측에서 외측으로 오버플로우 되도록 하는 동시에 실외측도어레일과 실내축도어레일의 하단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홀을 통하여 신속하게 빗물 또는 해수가 자연배출되도록 하고, 더불어 하부수평프레임의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단차에 의해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함으로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단열기능을 갖는 해수 및 빗물유입방지용 미서기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닷가(해안가)에 위치한 아파트, 빌딩, 가정집 등의 건축물 창호는 통상적으로 단창 또는 이중창으로 이루어져 방풍 및 단열기능을 구비하도록하고 있다.
그러나 해안가 건축물은 태풍과 장마때에는 파도가 높아 직접적으로 창호에 부딪쳐 해수가 실내로 유입되고 있으며, 해수가 유입된 후에는 도어레일과 도어레일 사이에서 넘쳐나게 되나 도어레일 하부에 형성된 배수홀로 해수가 신속하게 배수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잔류된 해수는 외부에서 반복해서 부딪치는 유입해수의 압력에 의해 내측도어 하부수평바와 창틀프레임 하부수평프레임 사이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04328호(공개일자 2021년08월25일)의 계단식 구조의 하부프레임으로 수밀성을 향상시킨 창틀의 배수구조(이하 "선행기술" 이라한다)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실내측벽과, 실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실외측벽과, 실내측벽과 실외측벽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되고 상부로는 창문이 슬라이딩하게 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의 배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실내측 바닥면이 실외측 바닥면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고, 실내측 바닥면의 상면에는 실내측 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외측 바닥면의 상면에는 실외측 레일받침대가 형성되어 있고, 실내측과 실외측에는 실내측벽과 실외측벽이 각각 형성되어 구성된 프레임 본체;
판상(板狀)의 플레이트 상면에 실외측 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플레이트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실외측 바닥면에 형성된 실외측 레일받침대의 상부에 얹혀져서 실외측 레일받침대 사이에 형성된 실외측 레일홈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덮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실외측벽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통해 실외측 바닥면에 고인 빗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된 계단식 구조의 하부프레임으로 수밀성을 향상시킨 창틀의 배수구조가 개시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창틀의 하부프레임에서 실외측에 형성된 레일홈을 실내측에 형성된 레일홈보다 깊게 형성하여, 실외측 레일홈에 고인 빗물을 즉시 배출시켜 실내측 레일홈으로 빗물이 유입되지 못하게 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고, 실외측 레일홈의 상부에는 덮개판을 덮어서 하부프레임의 실외측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모기나 날파리 및 먼지나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는, 계단식 구조의 하부프레임으로 수밀성을 향상시킨 창틀의 배수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모기나 날파리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실외측레일받침대(113)에 덮개판(12)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실외측레일(122)과 실내측레일(112)의 높이가 동일하고 덮개판(12)의 플레이트(121) 높이와 실내측레일홈(112a)의 바닥면의 높이가 동일한 관계로 파도에 의해 실외측레일로 유입된 해수가 잔류된 상태에서 뒤이어 부딪치는 파도에 의해 유입된 해수가 실외측레인에 잔류된 해수에 압력을 가하게 됨으로 해수는 실내측레일로 유입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선행기술의 하부프레임구조는 해안 건축물창호에 설치시 태풍에 의해 파도가 실외측도어와 실외측레일로 부딪치면서 해수가 유입된 상태에서 연속된 파도가 실외측도어와 실외측레일로 부딪치면 유입되는 해수는 잔류된 해수와 부딪치면서 압력이 발생되어 실내측레일을 통하여 실내측도어 내측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실외측레일로 유입된 해수가 덮개판에 의해 방해를 받게됨으로 실외측 배수구멍으로 원활하게 배수되지 못하게 됨으로 파도가 연속하여 부딪칠때 덮개판위에 잔류된 해수가 실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촉매제 역할을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실외측레일이 형성된 덮개판이 실외측레일 받침대에 결합된 후 시간이 경과하면 덮개판의 양측 이음부에 먼지와 슬러지가 쌓여 틈이 없어지므로 빗물, 해수 등이 덮개판 위에 고여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실내측레일홈으로 역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0432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창틀프레임의 하부수평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프레임의 실외측도어레일 및 실외측레일홈 보다 제2프레임의 미들프레임과 실내측도어레일 및 실내측레일홈을 더 높게 형성하여 파도가 실외측도어와 실외측도어레일에 부딪쳐 실외측레일홈으로 해수가 유입된 후 제2프레임의 단차와 미들프레임에 차단되어 실내측레일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실외측레일홈으로 유입된 해수는 실외측도어레일과 실외측프레임, 방충망레일을 통하여 오버플로우되는 동시에 하단에 형성된 배수홀을 통하여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해수유입을 차단하는 목적을 가지며,
또한 실외측도어레일 및 실외측레일홈이 형성된 제1프레임보다 실내측도어레일 및 실내측레일홈이 형성된 제2프레임을 더 높게 형성하여 실외측레인홈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바람이 더 높게 형성된 제2프레임의 미들프레임 모헤어와 실내측도어레일에서 차단하고, 미들프레임과 실내측도어레일 사이의 실내측레일홈를 분할하여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C형단열재로 연결하여 제2프레임을 구성함으로써 실외측에서 실내측으로 전달되는 냉기 및 열기를 차단하여 방풍과 단열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단열기능을 갖는 해수 및 빗물유입방지용 미서기창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어가 설치되는 창틀프레임과 창문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미서기창호에 있어서,
제1프레임의 실외측도어레일 및 실외측레일홈보다 제2프레임의 실내측도어레일 및 실내측레일홈이 더 높게 형성된 창틀프레임의 하부수평프레임과;
하부수평프레임의 미들프레임과 실내측도어레일 사이의 실내측레일홈을 분할하여 제2프레임을 연결한 C형단열재와;
창문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의 상하부수평바와 좌우수직바의 일측 요홈부에 방풍과 단열기능을 갖도록 설치된 커버부재와;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서로 대향되며 일측 외면에 마감단열바가 각각 설치되고, 서로 대향되는 측면에 핀모헤어가 설치된 좌우수직바로 이루어진 고리살부;를 포함하는 단열기능을 갖는 해수유입방지용 미서기창호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하단 내면 양측에 모헤어설치홈이 형성되고 양측 날개부 저면에 가스켓설치홈이 형성되어 가스켓을 설치하였으며 고리살을 제외한 상하손잡이살 내부에 U자형 단열재를 삽입하여 레일양측 실외측레일홈 또는 실내측레일홈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단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리살부를 형성하는 좌우수직바 외면에는 손잡이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상면에 형성된 방충망레일, 실외측프레임, 실외측도어레일, 미들프레임, 실내측도어레일 하단에는 복수의 배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창틀프레임을 형성하는 하부수평프레임은 방충망레일 보다 실외측프레임 및 실외측도어레일이 더 높게 형성되고, 상기 실외측프레임 및 실외측도어레일 보다 미들프레임과 실내측도어레일이 높게 형성되며, 미들프레임과 실내측도어레일 보다 실내측프레임이 더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의 실외측 제1프레임에 형성된 실외측도어레일 및 실외측레일홈 보다 제2프레임에 형성된 미들프레임과 실내측도어레일 및 실내측레일홈이 더 높게 형성하여 파도가 실외측도어와 실외측도어레일에 부딪쳐 해수가 유입시 내측에서 외측으로 오버플로우되도록 하여 해수 또는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며,
또한 실외측도어레일 및 실외측레일홈 보다 실내측도어레일 및 실내측레일홈를 더 높게 형성함으로써, 실외측레인홈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바람을 일측에 더 높게 형성된 미들프레임에서 1차 차단하고, 2차로 미들프레임에 설치된 모헤어와 실내측도어레일 및 가스켓에서 차단하여 기밀을 유지함으로 방풍효과를 가지며,
또한 미들프레임과 실내측도어레일 사이의 실내측레일홈을 분할구성하여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C형단열재로 제2프레임을 연결함으로써 실외측에서 실내측으로 전달되는 냉기 또는 열기를 차단하여 단열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미서기창호에 있어서 창틀프레임의 하부수평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도2는 본 발명의 단창 미서기 창호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3a,3b는 본 발명의 단창 미서기창호로서 창틀프레임의 하부수평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며,
도4는 본 발명의 단창 미서기 창호에 있어서 창틀프레임의 상하부수평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상하수평바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단창미서기 창호에 있어서 창틀틀프레림의 좌우수직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좌우수직바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단창 미서기창호에 있어서 창틀프레임의 하부수평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하부수평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7a는 본 발명의 창틀프레임의 상부수평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상부수평바 결합상태 발췌단면도이며,
도7b는 본 발명의 창틀프레임의 하부수평프레임과 호차가 설치된 도어프레임의 하부수평바 결합상태 발췌단면도이고,
도7c는 본 발명의 창틀프레임의 우측수직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우측수직바 결합상태 발췌단면도이며,
도8은 본 발명의 도어프레임의 고리살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어의 우측 수직바와 좌측수직바가 크리센트로 결합상태의 발췌단면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2중창 미서기창호로서 창틀프레임의 하부수평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며,
도10은 본 발명의 2중창 미서기창호로서 창틀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2중창 미서기창호로서 창틀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수직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단창 미서기창호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단창 미서기창호로서 창틀프레임의 하부수평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2는 미서기창호을 나타낸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은 단창 미서기창호, 2중창 미서기창호 등의 모든 미서기창호에 해당된다.
미서기창호(100)는 일반 건축물에서 가장 많이 설치되는 창호로서 유리창, 베란다 도어, 거실도어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거실외측 실외측벽에는 2중창 도어를 설치하고 거실내측에는 단창도어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례이며, 이의 미서기창호(100)는 적정한 기밀 등급을 갖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해안가 주택 및 건물에 설치된 미서기창호(100)에 단열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폭우시 빗물 또는 태풍에 의해 해수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수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미서기창호(100)는 도어가 설치되는 창틀프레임(110)과 창문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창틀프레임(110)과 도어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진 미서기창호(100)는, 제1프레임(112)의 실외측도어레일(132) 및 실외측레일홈(133) 보다 제2프레임(113)의 실내측도어레일(135) 및 실내측레일홈(136)가 더 높게 형성된 하부수평프레임(111)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11)의 미들프레임(134)과 실내측도어레일(135) 사이의 실내측레일홈(136)를 분할하여 제2프레임(113)을 연결한 C형단열부재(139)와;
창문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120)의 상부수평바(122 ) 및 하부수평바(121)와 좌측수직바(124)(124') 및 우측수직바(123)(123')의 일측 요홈부(147)에 방풍과 단열기능을 갖도록 설치된 커버부재(140)와;
상기 도어프레임(120)의 일측에서 서로 대향되며 일측 외면에 마감단열바(151)가 각각 설치되고, 서로 대향면에 핀모헤어(161')가 설치된 좌우수직바(124')(123')로 이루어진 고리살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40)는 내부에 호차(170)가 설치되고, 하단 내면 양측에 모헤어설치홈(160)이 형성되고 양측 날개(141) 저면 내측에 가스켓설치홈(142)이 형성되어 가스켓(143)을 설치함으로 실외측도어레일(132)과 실내측도어레일(135) 양측의 실외측레일홈(133) 및 실내측레일홈(136)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단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미서기창호(100)를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해안에 근접한 건축물은 폭우시 빗물이나 또는 태풍발생시 파도가 건물의 미서기창호(100)와 부딪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파도에 의해 유입된 해수는 창틀프레임(110)의 하부수평프레임(111)의 실외측레일홈(133)에 순간적으로 많은 량이 유입됨으로 그 압력에 의해 실내측레일홈(136)으로 유입되어 실내측프레임(137)으로 넘쳐 실내 거실바닥에 해수가 고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3a, 도3b 및 도9와 같이 미서기 창호(100)의 창틀프레임(110)을 구성하는 하부수평프레임(111)을 방충망프레임(130), 실외측프레임(131), 실외측도어레일(132)로 이루어진 제1프레임(112)과 미들프레임(134), 실내측도어레일(135), 실내측프레임(137)으로 이루어진 제2프레임(113)으로 구성하여 제1프레임(112) 보다 제2프레임(113)의 높이를 더 높게 형성하여 제1프레임(112)의 실외측레일홈(133)과 제2프레임(113)의 실내측레일홈(136) 사이에 일측이 더 높은 단차(a)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3a 및 도3b는 동일한 하부수평프레임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3b는 하부수평프레임(111)에 해수가 유입시 오버플로우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2)과 제2프레임(113)이 연결되는 위치에 단차(a)를 형성하고, 방충망레일과(130)과 실외측프레임(131) 및 실외측도어레일(132)간의 높이차이(b)를 형성하며, 실외측프레임(131) 및 실외측도어레일(132)과 미들프레림(134)의 높이차이(c)를 형성하고, 미들프레임(134)과 실내측프레임(137)의 높이차이(d)가 형성되도록 창틀프레임(110)의 하부수평프레임(111)을 형성함으로서, 장마시 폭우 또는 태풍에 의한 해수가 유입시 d→c→b의 순서로 오버플로우되어 빗물 또는 해수가 배출되는 동시에 실내외측레일홈(136)에 잔류된 빗물 또는 해수는 배수홀(162)을 통하여 배출된다.
특히 본 발명은 하부수평프레임(111)의 제1프레임(112)과 제2프레임(113)이 연결되는 부분에 단차(a)가 형성됨으로 해수의 유입과 바람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도3a, 도3b와 도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2)과 제2프레임(113)의 높낮이 차이에 의한 단차(a)를 형성함으로서 제1프레임(112)에 형성된 실외측프레임(131), 실외측도어레일(132)이 비하여 제2프레임(113)에 형성된 미들프레임(134), 실내측도어레일(135), 실내측프레임(137)의 높이차이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부수평프레임(111)의 높이차이는 방충망 < 실외측프레임 및 실외측도어레일 < 미들프레임 및 실내측도어레일 < 실내측프레임의 순서로 높이의 차이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도3a과 같이 단창 하부수평프레임(111)은 제2프레임(113)의 미들프레임(134)과 실내측도어레일(135) 사이의 실내측레일홈(136)을 2등분으로 분리하여 C형단열부재(139)로 연결하여 하부수평프레임(111)을 형성함으로써 하부수평프레임(111)의 제1프레임(112)을 통하여 전달되는 냉기 또는 열기가 제2프레임113)으로 전달되는 것을 C형단열부재(139)가 차단하므로 결국 외부의 냉기 또는 열기가 제1프레임(112)에 의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단창 미서기창호에 있어서 창틀프레임의 상하부수평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상하수직바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단창미서기창호에 있어서 창틀프레임의 좌우수직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좌우수직바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단창미서기창호에 있어서 창틀프레임의 하부수평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하부수평바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7a는 본 발명의 창틀프레임의 상부수평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상부수평바의 결합상태 발췌단면도이며, 도7b는 본 발명의 창틀프레임의 하부수평프레임과 호차를 갖는 도어프레임의 하부수평바 결합상태 발췌단면도이고, 도7c는 본 발명의 창틀프레임의 우측수직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우측수직바의 결합상태 발췌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어프레임(120)을 구성하는 좌우측수직바(123)(124)와 상하수평바(122)(121)의 상하 좌우에 형성된 요홈부(147)에는 레일홈부(146)를 갖는 커버부재(140)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부재(140)는 "
Figure 112022008789011-pat00001
"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도어프레임(120)의 사방에 형성된 요홈부(147)에 설치된다.
상기 커버부재(140)는 내측하단 양측벽에 모헤어설치홈(160)이 형성되고, 양측 날개(141) 저면 내측에는 가스켓(143)이 설치되는 가스켓홈(142)이 형성된다.
상기 가스켓홈(142)의 외측방향 날개(141) 단부에는 결합돌기(144)가 형성되어 도어프레임(120)을 형성하는 좌우수직바(124)(123)와 상하수평바(121)(122)에 형성된 결합홈(145)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재(140)의 내측하단 양측벽에 모헤어설치홈(160)에 설치된 모헤어(161)는 창틀프레임(110)의 하부수평프레임(111)에 형성된 실외측도어레일(132) 및 실내측도어레일(135)과 좌우수직프레임(114)(114')의 도어레일(138), 상부수평프레임(115)의 도어레일(138) 양측면과 대응됨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해풍과 바람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부재(140)의 하단 날개(141) 저면에는 가스켓홈(142)에 가스켓(143)이 설치되어 하부수평프레임(111)의 실외측도어레일(132) 및 실내측도어레일(135)과 좌우수직프레임(114)(114')의 도어레일(138), 상부수평프레임(115)의 도어레일(138) 양측부에 설치됨으로 폭우시 빗물 또는 태풍에 의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1차 차단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내부로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11)의 방충망레일(130)과 실외측프레임(131), 실외측도어레일(132), 미들프레임(134), 실내측도어레일135 )의 하단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배수홀(162)이 형성되어 유입된 빗물 또는 해수가 1차 상부로 오버플로우된 후 잔류된 빗물 또는 해수가 배수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6은 단창미서기 창호에 있어서 창틀프레임의 하부수평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하부수평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 발췌도로서, 도어프레임(120)의 하부수평바(121)의 하단 내측 중앙부에 형성된 요홈부(147)에 "
Figure 112022008789011-pat00002
"형의 형상을 갖는 커버부재(140)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부재(140)는 내부의 레일홈부(143)에 호차(170)가 설치되어 하부수평프레임(111)의 실외측도어레일(132)과 실내측도어레일(135)을 따라 각각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11)의 실외측도어레일(132)과 실내측도어레일(137)은 "?"형으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레일에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창틀프레임(110)의 우측수직프레임((114), 좌측수직프레임(114'), 상부수평프레임(115)에 형성된 도어레일(138) 역시 ?형으로 이루어며 레일형상에서 개구된 부분이 실외측 방향으로 형성됨으로 이는 실외측에서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두어 차단시켜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 창틀프레임을 구성하는 상하수평프레임, 좌우수직프레임은 동일한 형상 모양으로서 각 레일의 갯수 역시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하부수평프레임(111)과 상부수평프레임(115), 우측수직프레임(114), 좌측수직프레임(114')의 레일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실외도어레일(132) 및 실내도어레일(135)와 도어레일(138)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의 창틀프레임(110)의 하부수평프레임(111)과 도어프레임(120)의 하부수평바(121)와 결합시 빗물 또는 해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7a, 도7b, 도7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창틀프레임(110)의 상부수평프레임(115)의 도어레일(138), 하부수평프레임(111)의 실외측도어레일(132) 및 실내측도어레일(135), 좌우수직프레임(114)(114')의 도어레일(138) 양측에 모헤어(161)가 대응밀착되고, 양측 레일홈부(146)에 가스켓(143)이 형성되어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서 미서기 창호(100)의 단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8은 본 발명의 도어프레임의 고리살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어의 우측 수직바와 좌측수직바가 크리센트로 결합상태의 발췌단면도로서, 상기 고리살부(150)는 도어프레임(120)을 닫았을때 잠금장치인 크리센트(148)가 설치된 좌측수직바(124')와 우측수직바(123') 구조를 총칭하여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리살부(150)를 구성하는 우측수직바(123')와 좌측수직바(124') 각 외면에는 손잡이홈부(149)가 형성되며, 우측수직바(123')와 좌측수직바(124') 단부외면에는 마감단열바(151)가 설치되어 외부에서 내부로 전달되는 냉기 및 열기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고리살부(150)의 우측수직바(123')와 좌측수직바(124')가 대응되는 면에는 복수의 모헤어설치홈(160)이 형성되어 핀모헤어(161')가 설치될 수 있도록하며, 고리살부(150)의 핀모헤어(161')는 도8과 같이 잠금장치인 크리센트(148)를 이용하여 잠그면 우측수직바(123')와 좌측수직바(124')가 서로 당겨지면서 핀모헤어(161')가 밀착됨으로 우측수직바(123')와 좌측수직바(124')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함으로서 단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9는 본 발명의 2중창 미서기창호로서 창틀프레임의 하부수평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며, 도10은 본 발명의 2중창 미서기창호로서 창틀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2중창 미서기창호로서 창틀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수직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도9 내지 도11은 상기 도2 내지 도8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다만 도9 내지 도11는 이중창으로서 창틀프레임(110)의 하부수평프레임(111)에 형성된 실외측도어레일(132)과 실내측도어레일(135)이 복수로 형성되고, 그외 좌우수직프레임(114)(114')과 상부수평프레임(115)에 형성된 도어레일(138)역시 복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110) 실외측 제1프레임(112) 보다 제2프레임(113)을 더 높게 형성하여 제1프레임(112)과 제2프레임(113)가 연결되는 부분에 단차(a)가 형성되도록 함으로 파도가 실외측프레임(131)과 실외측도어레일(132)에 부딪쳐 해수가 유입시 내측에서 외측으로 오버플로우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제1프레임(112)의 실외측레일홈(133)로 유입된 빗물 또는 해수가 마치 옹벽에 부딪치는 현상과 같이 단차(a)에 부딪쳐 미들프레임(134)으로 넘어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제1프레임으로 유입된 해수 또는 바람은 실외측레일홈(133)으로 유입된 후 단차와 미들프레임(134), 미들프레임 양측에 설치된 모헤어(161)에 의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수평프레임(111)은 방충망 < 실외측프레임 및 실외측도어레일 < 미들프레임 및 실내측도어레일 < 실내측프레임의 순서로 높이의 차이를 갖게 됨으로 제1프레임(112) 측으로 유입된 해수는 실외측도어레일(132) 및 실외측프레임(131) → 방충망(130)의 역방향으로 오버플로우되어 배출되고 실외측레일홈(133)에 잔류된 해수는 각각의 배수홀(162)를 통하여 배수된다.
또한 실외측도어레일(132) 및 실외측레일홈(133) 보다 미들프레임(134), 실내측도어레일(135) 및 실내측레일홈(136)를 더 높게 형성함으로써, 실외측레일홈(136)를 통하여 유입되는 바람을 일측에 더 높게 형성된 미들프레임(134)에서 1차 차단하고, 2차로 미들프레임(134)에 설치된 모헤어(161)와 실내측도어레일(135) 및 가스켓(143)에서 차단하여 기밀을 유지함으로 방풍효과를 갖는다.
또한 미들프레임(134)과 실내측도어레일(135) 사이의 실내측레일홈(136)을 분할구성하여 폴리아미드로된 C형단열부재(139)로 제2프레임(113)을 연결함으로써 제1프레임(112)을 통하여 전달되는 냉기 또는 열이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C형단열부재(139)에 의해 제2프레임(113)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빗물 또는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고 냉기 또는 열과 바람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서 단열효율을 향상시켜 열관류율 기준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권리요지로 청구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단순 설계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이 당연할 것이다.
100:미서기창호 110:창틀프레임
111:하부 수평프레임 114:우측수직프레임
114':우측수직프레임 115:상부수평프레임
120:도어프레임 121:하부수평바
122:상부수평바 123,123':우측수직바
124,124':좌측수직바 112:제1프레임
113:제2프레임 130:방충망레일
131:실외측프레임 132:실외측도어레일
133:실외측레일홈 134:미들프레임
135:실내측도어레일 136:실내측도어레일홈
137:실내측프레임 138:도어레일
139:C형단열부재 140:커버부재
141:날개 142:가스켓홈
143:가스켓 144:결합돌기
145:결합홈 146:레일홈부
147:요홈부 148:크리센트
149:손잡이홈 150:고리살부
151:마감단열바 160:모헤어설치홈
161:모헤어 161':핀모헤어
162:배수홀 170:호차

Claims (6)

  1. 도어가 설치되는 창틀프레임(110)과 창문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미서기창호(100)는 창문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의 상하부수평바와 좌우수직바의 일측 요홈부(147)에 방풍과 단열기능을 갖도록 커버부재(140)가 설치되고, 하부수평프레임(111)의 미들프레임(134)과 실내측도어레일(135) 사이를 분할하여 제2프레임(113)을 C형 단열부재(139)로 연결하며,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서로 대향되며 일측 외면에 마감단열바((151)가 각각 설치되고 서로 대향되는 측면에 핀모헤어(161')가 설치된 좌우수직바으로 이루어진 고리살부(150)을 형성한 미서기창호(100)에 있어서,
    미서기창호(100)의 하부수평프레임(111)은 제1프레임(112)의 실외측도어레일 ((132) 및 실외측레일홈((133) 보다 제2프레임(113)의 실내측도어레일(135) 및 실내측레일홈(136)이 더 높게 형성하고, 제1프레임(112)과 제2프레임(113)이 연결되는 위치에 단차(a)를 형성하고, 방충망레일과(130)과 실외측프레임(131) 및 실외측도어레일(132) 간의 높이차이(b)를 형성하며, 실외측프레임(131) 및 실외측도어레일(132)과 미들프레림(134)의 높이차이(c)를 형성하고, 미들프레임(134)과 실내측프레임(137)의 높이차이(d)가 형성되도록 창틀프레임(110)의 하부수평프레임(111)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실외측레일홈(133) 및 실내측레일홈(136)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양측 날개부 저면의 가스켓설치홈(142)에 가스켓(143)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갖는 해수 및 빗물유입방지용 미서기창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20010075A 2022-01-24 2022-01-24 단열기능을 갖는 해수 및 빗물유입방지용 미서기창호 Active KR102716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075A KR102716417B1 (ko) 2022-01-24 2022-01-24 단열기능을 갖는 해수 및 빗물유입방지용 미서기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075A KR102716417B1 (ko) 2022-01-24 2022-01-24 단열기능을 갖는 해수 및 빗물유입방지용 미서기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049A KR20230114049A (ko) 2023-08-01
KR102716417B1 true KR102716417B1 (ko) 2024-10-15

Family

ID=8756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075A Active KR102716417B1 (ko) 2022-01-24 2022-01-24 단열기능을 갖는 해수 및 빗물유입방지용 미서기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64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52250B (zh) * 2023-10-12 2024-01-02 广东皇派定制家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推拉窗的滑轨结构、推拉窗以及推拉窗安装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479B1 (ko) * 2007-12-26 2009-06-03 안산건업 주식회사 물받이가 구비된 조립식 창틀용 프레임구조
KR102341813B1 (ko) * 2020-09-07 2021-12-22 새론테크 주식회사 단열 미서기창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683B1 (ko) * 2003-06-18 2005-11-29 동양제철화학 주식회사 발코니용 창틀
KR100614765B1 (ko) * 2004-09-20 2006-08-25 주식회사 하나로샤시 창문샤시
KR20210075682A (ko) * 2019-12-13 2021-06-23 이선중 미세먼지 방지창호 및 그 시공방법
KR20210104328A (ko) 2020-02-17 2021-08-25 김순석 계단식 구조의 하부프레임으로 수밀성을 향상시킨 창틀의 배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479B1 (ko) * 2007-12-26 2009-06-03 안산건업 주식회사 물받이가 구비된 조립식 창틀용 프레임구조
KR102341813B1 (ko) * 2020-09-07 2021-12-22 새론테크 주식회사 단열 미서기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049A (ko)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3085B2 (en) Curtain wall drain opening apparatus
KR101482298B1 (ko) 알루미늄과 피브이씨를 적용한 복합 미서기 이중창 시스템 창호
KR101762067B1 (ko) 블라인드가 일체형으로 내장된 이중창호.
AU2015200393B2 (en) Window/ door system with flat track having c-shaped roller supports
KR101670709B1 (ko) 조립성 및 차수력이 개선된 커튼월
KR102277890B1 (ko) 기밀성 및 수밀성과 방충기능을 갖는 단열 창호
KR101661892B1 (ko) 단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창호
KR101615721B1 (ko) 이중 방충망 창호
KR102716417B1 (ko) 단열기능을 갖는 해수 및 빗물유입방지용 미서기창호
KR101896771B1 (ko) 수밀 최적화 구조가 적용된 입면 분할 창호
KR102120158B1 (ko)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을 차단할 수 있는 창틀프레임의 방풍 및 배수구조
KR102034572B1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조립구조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KR200419514Y1 (ko) 이중 창호
KR20210104328A (ko) 계단식 구조의 하부프레임으로 수밀성을 향상시킨 창틀의 배수구조
JP2005105566A (ja) 複合サッシの下枠
EP2048318B1 (en) Assembly of a ventilation device and a rebate of a window
KR100831423B1 (ko) 방풍용 창호
JP2007092405A (ja) 二重窓の防露構造
KR102172592B1 (ko) 중연창의 중간바 배수구조
KR20130051327A (ko) 창호용 차수 판
KR102040442B1 (ko) 미세먼지 차단효과가 향상된 창틀
KR102439954B1 (ko) 물 유입 차단 및 단열 구조를 가진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
CN221096287U (zh) 一种推拉窗结构
KR101203940B1 (ko) 빗물 배수구조가 형성된 창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