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5729B1 - 골프용 볼마커 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골프용 볼마커 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5729B1
KR102715729B1 KR1020220094497A KR20220094497A KR102715729B1 KR 102715729 B1 KR102715729 B1 KR 102715729B1 KR 1020220094497 A KR1020220094497 A KR 1020220094497A KR 20220094497 A KR20220094497 A KR 20220094497A KR 102715729 B1 KR102715729 B1 KR 102715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hole
knob
tooth
shoel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16563A (ko
Inventor
윤광호
하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혜성
주식회사 스핀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혜성, 주식회사 스핀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혜성
Priority to KR1020220094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5729B1/ko
Publication of KR20240016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5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57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01Golf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 A63B57/207Golf ball position marke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30Markers
    • A63B57/353Golf ball position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끈 권취장치가 설치된 신발에 별도의 볼마커 부착장치를 구비할 필요없이 골프용 볼마커를 부착할 수 있고 간편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신발끈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발끈 권취장치는, 노브의 외부캡에 캡중심공을 형성시키고 노브플레이트의 상면이 캡중심공을 하측에서 막아 바닥면을 이루어 캡중심공에 자석안착홈이 형성되도록 하며, 자석안착홈에 볼마커자석을 안착시킨다.

Description

골프용 볼마커 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권취장치{SHOELACE WINDING DEVICE HAVING ATTACHMENT STRUCTURE OF GOLF BALL MARK}
본 발명은 골프용 볼마커 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 경기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볼마커를 신발에 부착하여 휴대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된 것으로서, 볼마커의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조를 개량한 신발끈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프 경기 중에 사용되는 볼마커(Ball marker)는 그린에 올려진 골프공을 대신 표시하여 다른 경기자의 플레이에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해 사용한다.
필드를 이동하는 중이나, 볼이 그린에 안착하기 전에는 볼마커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통상 골퍼 플레이어는 경기 중 볼마커를 주머니에 넣어 보관하거나, 클립형태로 이루어진 볼마커 홀더를 모자나 버클에 장착한 후, 볼마커를 부착하여 보관한다.
그러나, 볼마커를 주머니에 보관하는 경우, 경기과정에서 주머니의 볼마커를 찾기 위해 주머니를 뒤지거나 다른 물품과 섞여 경기에 대한 집중력을 잃을 수 있고, 볼마커 홀더를 모자나 버클에 장착하여 볼마커를 휴대하는 경우는 클립형태인 볼마커 홀더 자체가 모자, 버클 등에서 빠져 분실되는 위험이 있다.
이에,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9113호에서는 도 1과 같이 자석(2)을 구비한 볼마커 홀더(1)를 신발에 신발끈(4)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볼마커(5)를 자석(2)에 부착하여 휴대할 수 있는 구성이 제안되었다.
그 경우, 골프 플레이어는 볼마커(5)를 보다 안정감 있게 휴대하고 다닐 수 있고 볼마커 사용 시에도 그린의 바닥면으로부터 가까이 위치한 볼 마커(5)를 손쉽게 떼어내어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근래 도 2와 같이 신발끈 권취장치(7)가 개발되어 다양한 신발(8)에 적용되고 골프화 등에도 많이 채용됨에 따라, 신발끈 권취장치(7)와 도 1의 볼마커 홀더(1)가 각각 신발에 설치되는 경우, 미관상 좋지 못하고 돌출된 물품이 신발에 복수개 구비됨으로써 설치 및 사용과정에서 불편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경기를 위해, 신발끈 권취장치가 설치된 신발에 별도의 볼마커 부착장치를 구비할 필요없이, 볼마커를 부착하여 경기 중 휴대할 수 있고 간편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신발끈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프용 볼마커를 부착가능하도록 구성한 신발끈 권취장치의 제작 시, 조립과정 등에서의 작업이 보다 용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신발끈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권취장치는,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측벽과 내부공간의 저부에 형성된 걸림니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중앙에 상하방향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둘레의 외주면에 신발끈이 감기는 권취홈이 형성되며, 상기 권취홈의 하측에서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제1래칫부가 설치되고, 상부에 결합니가 형성되는 권취휠과, 상기 권취휠의 상기 관통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둘레에 상기 제1래칫부와 물림되는 제2래칫부를 구비하고, 하단부에 상기 걸림니와 걸리는 물림니가 구비된 승강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승강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승 시 상기 결합니와 분리되고 하강 시 상기 결합니와 결합되어 신발끈을 조이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조임니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재의 회전은 허용하되 상하이동방향으로 구속되어 함께 승강작동하도록 상기 승강부재와 결합된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외부캡과, 상기 외부캡의 내부 저면에 결합되는 노브플레이트와, 상기 외부캡의 중심부에 캡중심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노브플레이트의 상면이 상기 캡중심공을 하측에서 막아 바닥면을 이루어 상기 캡중심공에 형성된 자석안착홈과, 상기 자석안착홈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볼마커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권취장치는, 상기 노브플레이트의 중심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하향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의 중심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단부를 상기 하향돌기에 끼워 서로 물림결합되는 상향돌기가 설치되되, 상기 노브플레이트는 상기 하향돌기의 중심부를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는 노브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향돌기의 상단에 색상표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노브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도록 조립 시, 상기 캡중심공과 상기 노브관통공을 통해 작업자가 상기 색상표지를 보면서 상기 하향돌기에 상기 상향돌기를 끼우는 조립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권취장치에서 상기 제2래칫부는, 상기 승강부재의 둘레에 복수개의 래칫날개가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상기 래칫날개의 자유단에 상기 제1래칫부의 래칫이빨과 물리는 래칫날개이빨이 구비되며, 상기 권취휠의 하단부가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상을 이루어 그 내주면에 상기 제1래칫부가 설치되고, 상기 원통형상의 하단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패인 조립안내홈이 각 상기 래칫날개이빨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관통홀에 삽입하여 상기 권취휠과 조립 시, 각 상기 래칫날개이빨을 대응하는 상기 조립안내홈에 각각 넣어 맞춘 상태에서 상기 래칫날개이빨이 상기 제1래칫부의 래칫이빨을 타고 넘는 방향으로 상기 승강부재를 회전시켜 조립할 수 있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권취장치는, 상기 조립안내홈이 패여 있는 높이가, 상기 래칫날개이빨의 높이의 20~60%로 형성됨으로써, 각 상기 래칫날개이빨을 대응하는 상기 조립안내홈에 각각 넣어 맞춘 상태에서 상기 래칫날개이빨의 일부만 상기 조립안내홈에 진입한 상태가 되도록 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권취장치는, 상기 자석안착홈이, 상기 캡중심공의 상부 둘레를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한 진입안내부와, 상기 캡중심공의 하부 둘레에서 상기 볼마커자석의 외주면에 밀착하도록 환형으로 설치되고 내경이 상기 볼마커자석의 직경보다 1~2mm만큼 작아 상기 볼마커자석의 압입 시 탄성변형으로 상기 볼마커자석의 둘레면에 압착하게 되는 환형이빨부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권취장치는, 노브에 볼마커자석을 고정 설치하여 볼마커가 부착될 수 있어, 골프 경기 중, 간편한 보관 및 사용이 가능하고, 신발에 별도의 볼마커 부착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미관상 양호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별도의 볼마커 부착장치의 설치에 따른 신발의 착용감 저하, 신발에 복수의 돌출물이 설치됨에 따른 사용상, 설치상의 불편 등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권취장치는, 노브의 자석안착홈을 형성하기 위해 노브의 외부캡에 캡중심공을 형성시키고, 노브플레이트에는 하향돌기의 중심부를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는 노브관통공이 형성된 구성을 가지며, 승강부재의 상향돌기의 상단에 색상표지가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신발끈 권취장치는 그것의 제작을 위한 조립 작업 시, 노브가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과정에서 캡중심공과 노브관통공을 통해 작업자가 색상표지를 관찰할 수 있어, 노브의 하향돌기에 승강부재의 상향돌기를 정확히 끼우는 조립작업이 원활하고 안정감 있게 진행되도록 돕는다.
그러한 조립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자석안착홈에 볼마커 자석을 안착시켜 캡중심공과 노브관통공을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캡중심공과 노브관통공을 통해 신발끈 권취장치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도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권취장치는, 권취휠의 하단부가 관통홀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상을 이루어 그 내주면에 제1래칫부가 설치되고, 원통형상의 하단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패인 조립안내홈이 각 래칫날개이빨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권취장치는, 승강부재를 권취휠의 관통홀에 삽입하여 권취휠과 조립 시, 대응하는 조립안내홈에 각 래칫날개이빨을 각각 넣어 맞춘 상태에서 래칫날개이빨이 제1래칫부의 래칫이빨을 타고 넘는 방향으로 승강부재를 회전시켜 조립하는 과정을 실시할 수 있는 바, 승강부재를 권취휠의 원통형상인 관통홀 내로 단순히 밀어 넣는 종래의 조립작업과 비교할 때, 래칫날개이빨이 걸려 쉽게 조립되지 않는 등의 조립시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권취휠과 승강부재의 조립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 볼마커 홀더가 설치된 신발의 구성설명도
도 2는 종래 신발끈 권취장치가 설치된 신발의 일예를 도시하는 구성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장치가 분해된 상태에서 상면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장치가 분해된 상태에서 하면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장치가 조립된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장치의 제작을 위한 조립 시, 캡중심공과 노브관통공을 통해 작업자가 색상표지를 관찰하면서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장치에서 자석안착홈의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장치에서 권취휠에 조립안내홈이 설치된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설명도
도 9는 도 8의 조립안내홈에 승강부재의 래칫날개이빨이 끼워진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와이어를 풀어 낼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 단면구성을 도시하는 구성 및 작용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권취장치는, 내부공간(14)을 둘러싸는 측벽(11a)과 내부공간(14)의 저부에 형성된 걸림니(15)를 포함하는 하우징(10)과, 상기 내부공간(14)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중앙에 상하방향의 관통홀(21)이 형성되고 관통홀(21)의 둘레의 외주면에 신발끈(70)이 감기는 권취홈(23)이 형성되며 권취홈(23)의 하측에서 관통홀(21)의 내주면에 제1래칫부(26)가 설치되고 상부에 결합니(27)가 형성되는 권취휠(20)과, 상기 권취휠(20)의 관통홀(21)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둘레에 제1래칫부(26)와 물림되는 제2래칫부(36)를 구비하고 하단부에 걸림니(15)와 걸리는 물림니(35)가 구비된 승강부재(30)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승강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승 시 결합니(27)와 분리되고 하강 시 결합니(27)와 결합되어 신발끈(70)을 조이는 방향으로 권취휠(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조임니(47)를 구비하며 승강부재(30)의 회전은 허용하되 상하이동방향으로 구속되어 함께 승강작동하도록 승강부재(30)와 결합된 노브(4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신발끈 권취장치의 기초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14)을 둘러싸는 측벽(11a)과, 내부공간(14)의 저부에 형성된 걸림니(15)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은, 신발 등 제품에 부착되는 것으로 오목한 안착홈(14a)을 가진 베이스부(13)와, 그 베이스부(13)의 안착홈(14a)에 결합되어 내부공간(14)을 둘러싸고 측벽(11a)을 형성하는 원통측벽부(11)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니(15)는 베이스부(13)의 안착홈(14a)에서 바닥면에 설치되도록 하고, 하우징(10)의 상단 즉 원통측벽부(11)의 상단에는 권취휠(20)이 내부공간(14) 내에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승을 차단하는 구속부(17)가 형성되며, 구속부(17)는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환형의 구속돌기이다.
또한, 하우징(10)의 상단 즉 원통측벽부(11)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한돌부(18)가 형성되어 노브(40)가 하우징(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제한한다.
또한, 하우징(10)은 원통측벽부(11)와 베이스부(13)가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공간(14)으로 신발끈(70)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신발끈출입공(16)이 형성된다.
상기 원통측벽부(11)와 베이스부(13)는 조립의 편의상 분리된 것이고 일체화되어 하나의 하우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권취휠(20)은, 하우징(10)의 내부공간(14)에 위치하고, 중앙에 상하방향의 관통홀(21)이 형성되며, 외주면의 권취홈(23)에서 신발끈(70)을 감는다.
권취휠(20)의 상부에는 관통홀(21)을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결합니(27)가 형성되어 노브(40)의 조임니(47)와 물림될 수 있다.
상기 권취홈(23)은 권취휠(20)의 상부에서 관통홀(21)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0)의 한 쌍의 신발끈출입공(16)을 통해 출입하는 신발끈(70)를 감아 저장하는 부분이다. 권취홈(23)에는 신발끈(70)의 단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신발끈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권취휠(20)의 관통홀(21)의 하부에는 관통홀(21)의 내주면에 제1래칫부(26)가 설치된다.
관통홀(21)은, 권취홈(23)이 주변 둘레에 형성된 상부관통홀(21a)과, 상기 상부관통홀(21a)보다 큰 직경이고 둘레를 따라 제1래칫부(26)가 형성된 하부관통홀(21b)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권취휠(20)의 하단부가 관통홀(21)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상을 이루어 하부관통홀(21b)을 형성하는 것이고, 그 원통형상의 내주면에 제1래칫부(26)가 설치된다.
하부관통홀(21b)의 제1래칫부(26)는 둘레를 따라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래칫이빨을 포함하고, 제1래칫부(26)에 승강부재(30)의 제2래칫부(36)가 래칫결합되어 일방향으로의 회전만 허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부재(30)는, 관통홀(21)에 위치하여 권취휠(20)과 결합되고, 노브(40)와 결합되어 관통홀(21) 내에서 함께 승강운동하는 부분이다.
승강부재(30)는 하부에 제1래칫부(26)와 물림되어, 권취휠(20)에 대하여 일방향의 회전을 허용하고 타방향의 회전을 차단하는 제2래칫부(36)를 구비하고, 하단부에 하우징(10)의 걸림니(15)에 걸리는 물림니(35)가 구비되어 승강운동 시 승강부재(30)가 걸림니(15)에 걸림되거나 분리된다.
상기 제1래칫부(26)와 제2래칫부(36)의 물림구조는, 승강부재(30)에 대하여 권취휠(20)이, 신발끈(70)를 감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고, 신발끈(70)를 풀어내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은 차단하도록, 이빨의 경사방향이 설정된다.
상기 제2래칫부(36)는, 승강부재(30)의 둘레에 복수개의 래칫날개(36a)가 소용돌이 형상으로 고정되고, 각 래칫날개(36a)의 자유단에 제1래칫부(26)의 래칫이빨과 물려 래칫결합하는 래칫날개이빨(36b)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승강부재(30)가 하강하여 하우징(10)의 걸림니(15)에 걸려 정지된 상태에서 노브(40)가 권취휠(20)을 신발끈(70)이 감겨 들어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권취휠(20)은 승강부재(30)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제1래칫부(26)의 래칫이빨이 제2래칫부(36)의 래칫날개(36a)를 탄성변형시키면서 래칫날개이빨(36b)을 타고 넘어 회전할 수 있다.
승강부재(30)가 걸림니(15)에 걸린 상태에서 승강부재(30)에 대하여 위의 반대방향으로 권취휠(20)이 회전하려는 경우, 제1래칫부(26)의 래칫이빨이 제2래칫부(36)의 래칫날개이빨(36b)에 걸려 회전이 차단된다.
제1래칫부(26)의 각 래칫이빨이 하부관통홀(21b)의 높이만큼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래칫부(36)의 래칫이빨은 승강부재(30)의 승강운동 시, 제1래칫부(26)의 래칫이빨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물린 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제1래칫부(26)와 제2래칫부(36)가 승강부재(30)의 승강운동 시, 서로 분리되지 않으므로, 분리 및 결합에 따른 물림불량의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다.
승강부재(30)의 중심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단부를 노브(40)의 하향돌기(43b)에 끼워 서로 물림결합되기 위한 상향돌기(32)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부재(30)의 상향돌기(32)의 상단(32a)에 색상표지(32c)가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노브(40)가 하우징(10)의 상부를 덮도록 조립 시, 작업자가 색상표지(32c)를 보면서 정확한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브(40)는, 하우징(10)의 상부와 결합되어 승강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킬 수 있는 부분이다.
노브(40)는 원형 용기형상으로 하우징(10)의 상단을 덮는 구조로 결합되고, 하단에 제한턱이 형성되어 하우징(10)의 제한돌부(18)에 걸려 노브(40)가 상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승강이 가능하다.
상기 노브(40)는, 하우징(10)의 상부를 덮는 외부캡(41)과, 상기 외부캡(41)의 내부 저면에 결합되는 노브플레이트(43)와, 외부캡(41)의 중심부에 캡중심공(41a)을 형성시키고 노브플레이트(43)의 상면이 캡중심공(41a)을 하측에서 막아 바닥면을 이루어 캡중심공(41a)에 형성된 자석안착홈(45)과, 상기 자석안착홈(45)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볼마커자석(50)을 포함한다.
상기 노브플레이트(43)의 중심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하향돌기(43b)가 설치되고, 노브플레이트(43)는 하향돌기(43b)의 중심부를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는 노브관통공(43a)이 형성되다.
이에 따라, 노브(40)는 자석안착홈(45)에 자석이 안착되지 않은 시점에서, 캡중심공(41a)과 노브관통공(43a)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관찰할 수 있는 관찰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승강부재(30)와 릴부재가 하우징(10)의 내부공간(14)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우징(10)의 상단부를 덮도록 노브(40)를 조립 제작 시, 도 6과 같이, 캡중심공(41a)과 노브관통공(43a)을 통해 작업자가 승강부재(30)의 상향돌기(32)의 색상표지(32c)를 보면서 노브플레이트(43)의 하향돌기(43b)에 승강부재(30)의 상향돌기(32)가 정확히 끼워지는지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상향돌기(32)를 하향돌기(43b)에 끼우는 조립작업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한 조립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자석안착홈(45)에 후술하는 볼마커자석(50)을 안착시켜 캡중심공(41a)과 노브관통공(43a)을 폐쇄하는 것이므로, 신발끈 권취장치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도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노브(40)의 내부의 하면에는 승강운동 중 하강시 권취휠(20)의 결합니(27)와 결합되어 신발끈(70)을 감는 방향으로 권취휠(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조임니(47)가 형성되어 있다.
조임니(47)는 노브(40)의 내부의 하면에서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고, 권취휠(20)의 결합니(27)와 물리는 결합이 이루어지면 사용자가 노브(40)를 돌리는 회전력이 권취휠(20)에도 전달되어, 신발끈(70)을 조이는 방향으로 권취휠(20)을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노브(40)가 상승운동하면, 조임니(47)는 결합니(27)와 분리된다.
또한, 노브(40)는 승강부재(30)와 결합되어 승강부재(30)와 함께 승강작동할 수 있으나 승강부재(30)의 회전은 허용하도록 서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걸림홈과 걸림턱이 서로 걸림된 결합구조로 노브(40)와 승강부재(30)의 결합이 이루어져, 상하방향으로는 서로 구속되어 함께 승강하고, 회전방향으로는 서로 상대적인 회전을 허용한다.
상기 볼마커자석(50)은, 자석안착홈(45)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영구자석으로서 원판디스크의 형상이다.
볼마커자석(50)이 노브(40)에 고정설치됨으로써 노브(40)의 상면에 금속성의 볼마커(60)가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볼마커자석(50)은 자석안착홈(45)에 고정되기 위해,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접착수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조립작업과정에서 접착제를 바르는 등 추가 단계가 요구되어 작업과정을 번거롭게 한다.
이에 따라, 볼마커자석(50)을 단순히 압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자석안착홈(45)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의 (a) 및 (b)를 참고하면, 상기 자석안착홈(45)은, 캡중심공(41a)의 상부 둘레를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한 진입안내부(41b)와, 상기 캡중심공(41a)의 하부 둘레에서 볼마커자석(50)의 외주면에 밀착하도록 환형으로 설치되고 내경이 볼마커자석(50)의 직경보다 1~2mm만큼 작아 볼마커자석(50)의 압입 시 탄성변형으로 볼마커자석(50)의 둘레면에 압착하게 되는 환형이빨부(41c)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외부캡(41)은 합성수지재료를 사출하여 제작하므로 그 사출제작 시 위의 진입안내부(41b) 및 환형이빨부(41c)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고, 합성수지재의 탄성에 의해 환형이빨부(41c)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이에, 자석안착홈(45)은 압입되는 볼마커자석(50)을 경사진 진입안내부(41b)가 안내하고 환형이빨부(41c)에서는 내경보다 약간 큰 볼마커자석(50)의 강제 압입에 의해 환형이빨부(41c)의 각 이빨 끝단에서 탄성변형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볼마커자석(50)의 압입이 완료된 후에는 환형이빨부(41c)가 탄성변형으로 볼마커자석(50)의 둘레면에 압착된 상태가 되므로, 볼마커자석(50)을 강제 압입하는 작업에 의해 노브(40)에 볼마커자석(50)을 간편하고 신속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볼마커자석(50)의 직경 D는, 캡중심공(41a)의 내경 d1보다 크고 외경d2보다 작게 형성된다.
한편, 권취휠(20)과 승강부재(30)의 조립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원활히 할 수 있도록 권취휠(20)의 하단부에 복수개의 조립안내홈(28)이 형성된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조립안내홈(28)은 원통형상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측에서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패인 형태이고, 각 래칫날개이빨(36b)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개가 형성된다.
승강부재(30)의 제2래칫부(36)는, 승강부재(30)의 둘레에 복수개의 래칫날개(36a)가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래칫날개(36a)의 자유단에 제1래칫부(26)의 래칫이빨과 물리는 래칫날개이빨(36b)이 구비되어 있고, 권취휠(20)의 하단부에서는 관통홀(21)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상을 이루어 그 내주면에 제1래칫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승강부재(30)를 관통홀(21)에 삽입하여 권취휠(20)과 조립 시, 각 래칫날개이빨(36b)을 대응하는 조립안내홈(28)에 각각 넣어 맞춘 상태에서 래칫날개이빨(36b)이 제1래칫부(26)의 래칫이빨을 타고 넘는 방향으로 승강부재(30)를 회전시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승강부재(30)의 회전 시는 물림니(35)에 걸리는 도구를 이용하여 승강부재(30)를 돌릴 수 있다.
위의 구성은, 조립작업 시 단순히 승강부재(30)를 권취휠(20)의 원통형상인 관통홀(21) 내로 밀어 넣는 종래의 방식과 비교할 때, 래칫날개이빨(36b)이 원통형상의 테두리에 걸려 쉽게 조립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해소되는 이점이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조립안내홈(28)이 패여 있는 높이(h0)는, 래칫날개이빨(36b)의 높이(h1)의 20~60%로 형성됨으로써, 각 상기 래칫날개이빨(36b)을 대응하는 조립안내홈(28)에 각각 넣어 맞춘 상태에서 래칫날개이빨(36b)의 일부만 조립안내홈(28)에 진입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는, 래칫날개이빨(36b)의 본래의 역할은 릴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므로, 신발끈 권취장치의 작동과정에서 조립안내홈(28)과 래칫날개이빨(36b)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래칫날개이빨(36b)의 일부가 제1래칫부(26)의 래칫이빨에 여전히 물려 있도록 하여 릴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본래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권취장치의 작동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신발끈(70)을 감아들여 조이기 위해, 도 5와 같이, 사용자는 노브(40)를 눌러 하강시키고 노브(40)를 회전시킨다.
상기 노브(40)의 하강 시, 상하방향으로 구속된 승강부재(30)가 함께 하강하여 승강부재(30)의 물림니(35)가 하우징(10)의 걸림니(15)와 결합되어, 회전방향 특히 신발끈(70)을 감는 방향으로 승강부재(30)가 회전하는 것을 걸림니(15)가 차단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노브(40)의 하강으로, 노브(40)의 조임니(47)가 권취휠(20)의 결합니(27)와 물려 결합상태를 이룬다. 그 상태로, 사용자가 노브(40)를 신발끈(70)을 감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임니(47)와 결합니(27)의 물림으로 인해 노브(40)가 권취휠(20)을 강제 회전시키면서, 신발끈(70)을 권취홈(23)으로 감아 들이는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권취휠(20)의 제1래칫부(26)와 승강부재(30)의 제2래칫부(36)의 물림구조는, 승강부재(30)에 대하여 권취휠(20)이 신발끈(70)을 감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게 되므로, 하우징(10)의 걸림니(15)에 걸려 정지상태인 승강부재(30)에 대하여, 권취휠(20)의 제1래칫부(26)가 승강부재(30)의 제2래칫부(36)의 래칫날개(36a)를 탄성변형시키면서 타고 넘어, 권취휠(20)의 회전이 가능하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노브(40)가 권취휠(20)을 신발끈(70)이 풀려나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려 하거나, 신발끈(70)을 당기는 외력에 의해 신발끈(70)이 풀려나가는 방향으로 권취휠(20)이 회전하려 하는 경우, 하우징(10)의 걸림니(15)에 걸려 정지상태인 승강부재(30)에 대하여, 권취휠(20)의 제1래칫부(26)는 제2래칫부(36)에 걸려 회전이 차단되고, 신발끈(70)은 풀릴 수 없다.
따라서, 노브(40)와 승강부재(30)가 하강상태인 경우, 권취휠(20)이 신발끈(70)을 감아들여 조이는 방향으로의 회전만 가능하다.
한편, 신발끈(70)을 풀어내기 위해, 사용자는 도 10과 같이, 노브(40)를 잡고 상승시킨다.
상기 노브(40)의 상승 시, 승강부재(30)의 물림니(35)가 하우징(10)의 걸림니(15)와 분리되어 권취휠(20)이 신발끈(70)을 풀어내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허용된다.
즉, 승강부재(30)는 노브(40)와 상하방향으로 구속되어 함께 상승하여 하우징(10)의 걸림니(15)와는 분리되고, 노브(40)와는 회전방향에 대하여는 구속되어 있지 않다. 이 때, 노브(40)가 권취휠(20)과 함께 회전하여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신발끈(70)이 외력에 의해 외부로 당겨질 경우, 권취휠(20)로부터 자유롭게 풀려나갈 수 있다.
한편, 골프 경기 중 볼마커(60)를 부착하여 보관하는 경우, 도 5와 같이, 신발끈 권취장치의 노브(40)에 볼마커자석(5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볼마커(60)를 노브(40)의 상면에 부착하여 도 10과 같이, 보관하고 필드를 이동하면서 골프 경기가 진행될 수 있다.
그린에서 볼마커(60)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골프 플레이어는 노브(40)의 볼마커자석(50)으로부터 볼마커(60)를 떼어내어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그린에 놓아 사용할 수 있다.
볼마커(60)가 신발의 신발끈 권취장치에 부착되는 것이므로, 그린 바닥에서 가까운 위치에서 볼마커(60)을 떼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골프화 등 신발에는 별도의 볼마커 부착장치가 설치될 필요가 없으므로, 하나의 돌출물인 신발끈 권취장치를 이용하여 볼마커(60)의 부착, 보관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하우징 11; 원통측벽부
11a; 측벽 13; 베이스부
14; 내부공간 14a; 안착홈
15; 걸림니 16; 신발끈출입공
17; 구속부 18; 제한돌부
20; 권취휠 21; 관통홀
21a; 상부관통홀 21b; 하부관통홀
23; 권취홈 26; 제1래칫부
27; 결합니 28; 조립안내홈
30; 승강부재 32; 상향돌기
32a; 상단 32c; 색상표지
35; 물림니 36; 제2래칫부
36a; 래칫날개 36b; 래칫날개이빨
40; 노브 41; 외부캡
41a; 캡중심공 41b; 진입안내부
41c; 환형이빨부 43; 노브플레이트
43a; 노브관통공 43b; 하향돌기
45; 자석안착홈 47; 조임니
50; 볼마커자석 60; 볼마커
70; 신발끈

Claims (5)

  1.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측벽과 내부공간의 저부에 형성된 걸림니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중앙에 상하방향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둘레의 외주면에 신발끈이 감기는 권취홈이 형성되며, 상기 권취홈의 하측에서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제1래칫부가 설치되고, 상부에 결합니가 형성되는 권취휠과,
    상기 권취휠의 상기 관통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둘레에 상기 제1래칫부와 물림되는 제2래칫부를 구비하고, 하단부에 상기 걸림니와 걸리는 물림니가 구비된 승강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승강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승 시 상기 결합니와 분리되고 하강 시 상기 결합니와 결합되어 신발끈을 조이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조임니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재의 회전은 허용하되 상하이동방향으로 구속되어 함께 승강작동하도록 상기 승강부재와 결합된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외부캡과, 상기 외부캡의 내부 저면에 결합되는 노브플레이트와, 상기 외부캡의 중심부에 캡중심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노브플레이트의 상면이 상기 캡중심공을 하측에서 막아 바닥면을 이루어 상기 캡중심공에 형성된 자석안착홈과, 상기 자석안착홈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볼마커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노브플레이트의 중심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하향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의 중심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단부를 상기 하향돌기에 끼워 서로 물림결합되는 상향돌기가 설치되되,
    상기 노브플레이트는 상기 하향돌기의 중심부를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는 노브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향돌기의 상단에 색상표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노브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도록 조립 시, 상기 캡중심공과 상기 노브관통공을 통해 작업자가 상기 색상표지를 보면서 상기 하향돌기에 상기 상향돌기를 끼우는 조립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권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래칫부는, 상기 승강부재의 둘레에 복수개의 래칫날개가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상기 래칫날개의 자유단에 상기 제1래칫부의 래칫이빨과 물리는 래칫날개이빨이 구비되며,
    상기 권취휠의 하단부가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상을 이루어 그 내주면에 상기 제1래칫부가 설치되고,
    상기 원통형상의 하단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패인 조립안내홈이 각 상기 래칫날개이빨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관통홀에 삽입하여 상기 권취휠과 조립 시, 각 상기 래칫날개이빨을 대응하는 상기 조립안내홈에 각각 넣어 맞춘 상태에서 상기 래칫날개이빨이 상기 제1래칫부의 래칫이빨을 타고 넘는 방향으로 상기 승강부재를 회전시켜 조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권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안내홈이 패여 있는 높이는, 상기 래칫날개이빨의 높이의 20~60%로 형성됨으로써, 각 상기 래칫날개이빨을 대응하는 상기 조립안내홈에 각각 넣어 맞춘 상태에서 상기 래칫날개이빨의 일부만 상기 조립안내홈에 진입한 상태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권취장치
  5.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측벽과 내부공간의 저부에 형성된 걸림니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중앙에 상하방향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둘레의 외주면에 신발끈이 감기는 권취홈이 형성되며, 상기 권취홈의 하측에서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에 제1래칫부가 설치되고, 상부에 결합니가 형성되는 권취휠과,
    상기 권취휠의 상기 관통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둘레에 상기 제1래칫부와 물림되는 제2래칫부를 구비하고, 하단부에 상기 걸림니와 걸리는 물림니가 구비된 승강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승강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승 시 상기 결합니와 분리되고 하강 시 상기 결합니와 결합되어 신발끈을 조이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조임니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부재의 회전은 허용하되 상하이동방향으로 구속되어 함께 승강작동하도록 상기 승강부재와 결합된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외부캡과, 상기 외부캡의 내부 저면에 결합되는 노브플레이트와, 상기 외부캡의 중심부에 캡중심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노브플레이트의 상면이 상기 캡중심공을 하측에서 막아 바닥면을 이루어 상기 캡중심공에 형성된 자석안착홈과, 상기 자석안착홈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볼마커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자석안착홈은,
    상기 캡중심공의 상부 둘레를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한 진입안내부와,
    상기 캡중심공의 하부 둘레에서 상기 볼마커자석의 외주면에 밀착하도록 환형으로 설치되고 내경이 상기 볼마커자석의 직경보다 1~2mm만큼 작아 상기 볼마커자석의 압입 시 탄성변형으로 상기 볼마커자석의 둘레면에 압착하게 되는 환형이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권취장치
KR1020220094497A 2022-07-29 2022-07-29 골프용 볼마커 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권취장치 Active KR102715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497A KR102715729B1 (ko) 2022-07-29 2022-07-29 골프용 볼마커 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497A KR102715729B1 (ko) 2022-07-29 2022-07-29 골프용 볼마커 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권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563A KR20240016563A (ko) 2024-02-06
KR102715729B1 true KR102715729B1 (ko) 2024-10-11

Family

ID=89858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497A Active KR102715729B1 (ko) 2022-07-29 2022-07-29 골프용 볼마커 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57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484B1 (ko) * 2016-09-12 2017-02-16 하영호 와이어 조임장치
KR101833680B1 (ko) * 2017-08-04 2018-02-28 김정곤 신발끈의 조임장치
KR102420535B1 (ko) * 2022-04-27 2022-07-13 (주)우리들처럼 탈착 가능한 골프 볼 마커를 구비한 골프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6814B2 (en) * 2013-07-10 2017-07-18 Boa Technology Inc. Closure devices including incremental release mechanisms and methods theref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484B1 (ko) * 2016-09-12 2017-02-16 하영호 와이어 조임장치
KR101833680B1 (ko) * 2017-08-04 2018-02-28 김정곤 신발끈의 조임장치
KR102420535B1 (ko) * 2022-04-27 2022-07-13 (주)우리들처럼 탈착 가능한 골프 볼 마커를 구비한 골프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563A (ko)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4329B2 (en) Wire tightening device
JP2019503738A (ja) ワイヤー締め装置
US8740716B1 (en) Golf ball ejection device
EP4179912A1 (en) Fastening device
JPH0793883B2 (ja) スポーツ靴用回転閉じ具
US2724884A (en) Fastening device
KR101707484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2715729B1 (ko) 골프용 볼마커 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권취장치
WO2021030365A3 (en) Pet leash control device
US11117031B1 (en) Golf pin ball tray
US20200270940A1 (en) Crank structure for a curtain
CN219537634U (zh) 一种按压式旋转系绳扣
KR20220159128A (ko) 와이어 조임장치
US8091719B2 (en) Container cap
US20110278387A1 (en) Cord Winding Device for Window Covering
KR20170010681A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2568570B1 (ko) 당김줄을 구비한 끈 조임장치
KR102201078B1 (ko) 견인줄에 의해 작동되는 와이어 조임장치
KR101857631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 티
KR10195677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 티
KR102738648B1 (ko) 와이어 조임장치
JP2005224586A (ja) 長さ調節可能ゴルフ用ティ
KR102774372B1 (ko) 골프용 볼마커 및 이의 제조 공정
JPH052452Y2 (ko)
US20190330918A1 (en) Magnetic blind cord safety manage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9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