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5286B1 - 샐러드 용기 - Google Patents

샐러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5286B1
KR102715286B1 KR1020230017719A KR20230017719A KR102715286B1 KR 102715286 B1 KR102715286 B1 KR 102715286B1 KR 1020230017719 A KR1020230017719 A KR 1020230017719A KR 20230017719 A KR20230017719 A KR 20230017719A KR 102715286 B1 KR102715286 B1 KR 102715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andle
container body
lid
fastening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7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125107A (ko
Inventor
김병태
Original Assignee
김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태 filed Critical 김병태
Priority to KR1020230017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5286B1/ko
Publication of KR20240125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25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5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528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6Separate rigid or semi-rigid trays or cups joined together, e.g. separate trays connected by single foil closure or crimped together
    • B65D21/0208Separate rigid or semi-rigid trays or cups joined together, e.g. separate trays connected by single foil closure or crimped together by bonding, adhesive, hook and loop-type fastene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샐러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로 볼록한 뚜껑이 결합되는 용기본체 내부에 트레이가 삽입되고, 상기 용기본체 하단에 보조용기가 결합되어 다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와 뚜껑, 보조용기의 체결부에서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하여 용기본체를 밀봉하며 결합하는 손잡이가 더 설치되어 이동이 용이할 뿐 아니라 밀폐력이 향상된 샐러드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샐러드 용기{A salad container}
본 발명은 샐러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로 볼록한 뚜껑이 결합되는 용기본체 내부에 트레이가 삽입되고, 상기 용기본체 하단에 보조용기가 결합되어 다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와 뚜껑, 보조용기의 체결부에서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하여 용기본체를 밀봉하며 결합하는 손잡이가 더 설치되어 운반이나 휴대가 용이할 뿐 아니라 밀폐력이 향상된 샐러드 용기에 관한 것이다.
1인 가구와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인해 현대인의 생활 소비패턴이 집에서 요리를 직접 해먹기 보다 외부에서 사오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일회용 플라스틱 포장용기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다.
일회용 플라스틱 포장용기 사용량의 급증에 따라 플라스틱 폐기물에 의한 쓰레기처리비용이 늘어나 지자체와 정부에서 재정부담이 가중되고, 환경파괴가 문제되고 있어 일회용 용기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다회용 용기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그런데 일회용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포장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다회용 용기가 필요하므로 부피가 커져 운반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특히 샐러드나 치킨, 튀김 등과 같이 소스나 드레싱, 양념(이하 소스라 통칭함)이 포함된 식품의 경우 다회용 용기에 소스용기가 별도로 없으면 포장된 일회용 소스용기를 이용하게 되고, 포장된 일회용 소스용기는 크기가 작아서 깨끗하게 씻어서 분리배출하기 번거롭고 재활용을 하지 않고 그대로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
소스를 담은 별도의 소스용기는 포장용기 내부에 음식물과 함께 수납하거나 또는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포장용기 상부에 임시로 고정하여 포장하게 되는데 소스용기가 고정되지 않으면 쏟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소스용기의 상부 개방 부위에 합성수지필름을 열접착하여 실링 포장하거나 캡(뚜껑)을 씌워 밀폐 포장함으로써 내용물이 외부로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소스가 있는 음식을 포장하는 것은 밀봉을 위해 이중 포장을 하게 되므로 포장하는 과정이 번거롭고 더 많은 쓰레기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음식을 담아 보관하는 식품용기 중 다층으로 적층하는 용기인 찬합은 음식물을 여러 층으로 담아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게 만든 그릇으로 3층 내지 5층으로 차곡차곡 쌓아서 음식물을 보관하면서도 운반이나 휴대가 용이하도록 한다. 찬합의 구조는 각 층의 용기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하여 다층으로 적층하고 그 외면에 구비된 락수단을 이용해 고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찬합은 단순히 음식물을 적층 보관하는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피크닉을 가거나 도시락을 싸서 야외에서 취식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하고 그 사용범위가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보관시 자리만 차지할 뿐 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찬합은 층과 층 사이가 밀봉이 되지 않아 운반시 음식물이 쏟아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KR 20-0476613 (등록번호) 2015.03.09. KR 10-1900441 (등록번호) 2018.09.13. KR 10-2351533 (등록번호) 2022.01.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위로 볼록한 뚜껑이 결합되는 용기본체 내부에 트레이가 삽입되고, 상기 용기본체 하단에 보조용기가 결합되어 다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와 뚜껑, 보조용기의 체결부에서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하여 용기본체를 밀봉하며 결합하는 손잡이가 더 설치되어 운반이나 휴대가 간편할 뿐 아니라 밀폐력이 향상된 샐러드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뚜껑이 결합된 용기본체와, 보조용기를 슬라이드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용기본체와 뚜껑, 보조용기의 체결부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을 따라 손잡이가 이동되며 탈착가능하므로 분리와 결합이 용이한 샐러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용기본체의 제1체결부 내측에 제1결합돌기와, 보조용기의 제3체결부 내측에 제2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의 상단과 하단에 제1,2결합돌기와 맞물리는 제3,4결합돌기를 형성하여 뚜껑과 용기본체, 보조용기와 손잡이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는 샐러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용기본체와 뚜껑, 보조용기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서 개방된 공간이 좌측 및 우측에 대각선 방향으로 엇갈리게 구비하여 보조용기의 슬라이드홈에서 손잡이의 하단을 분리하여도 손잡이 상단이 뚜껑의 슬라이드홈에 결합된 상태가 되어 손잡이의 분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손잡이를 이용해 용기본체로부터 뚜껑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샐러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손잡이의 양끝단이 용기본체와 뚜껑, 보조용기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삽입되고, 중간부가 용기본체에 보조용기가 슬라이드 결합되는 용기본체결합부에 형성된 손잡이결합홈에 끼워지며 손잡이를 잡아주므로 고정력을 높이는 샐러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용기본체에 삽입되는 트레이의 소스통삽입편에 소스통을 삽입하고, 상기 소스통에 별도로 뚜껑을 구비하여 소스통을 따로 이용가능하며, 소스가 포함된 음식을 포장할 때도 일회용 용기를 줄일 수 있는 샐러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스통에 별도로 뚜껑을 구비하지 않고 용기본체를 덮는 뚜껑에 소스통에 대응하는 소스통고정편을 형성하여 용기본체와 소스통을 한 번에 덮을 수 있는 샐러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에서 둘레를 따라 외부측으로 절곡형성된 제1체결부(111)와, 측벽(112)에서 폭이 좁아지도록 단턱(112a)이 형성된 용기본체(110)와; 하단에서 둘레를 따라 상기 제1체결부(111)에 대응하도록 제2체결부(121)가 절곡형성되고, 위로 볼록한 뚜껑(120)과; 기 용기본체(110)에 삽입되고 단턱(112a)에 안착되며, 공간을 분리하는 칸막이(131)가 형성되는 트레이(130)와; 상기 트레이(130)에 삽입되는 소스통(140)과;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단에서 슬라이드 결합되는 보조용기(150)와; 상기 용기본체(110)와 뚜껑(120)를 밀봉하고, 상기 뚜껑(120)과 보조용기(150)를 연결하는 손잡이(160); 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110)의 제1체결부(111)와, 상기 뚜껑(120)의 제2체결부(121)에는 손잡이(160)의 제1결합부(161)가 삽입되고 슬라이드되며 이동하는 제1슬라이드홈(111a) 및 제2슬라이드홈(121a)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용기(150) 하단에 돌출되는 제3체결부(151)에는 손잡이(160)의 제2결합부(162)가 삽입되고 슬라이드되며 이동하는 제3슬라이드홈(151a)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용기본체(110)의 제1체결부(111) 내측에는 제1결합돌기(111b)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용기(150)의 제3체결부(151) 내측에는 제2결합돌기(151b)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160)의 제1결합부(161) 외측에는 제1결합돌기(111b)와 맞물리는 제3결합돌기(161a)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60)의 제2결합부(162) 외측에는 제2결합돌기(151b)와 맞물리는 제4결합돌기(162a)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체결부(111)와 제2체결부(121)는 제1슬라이드홈(111a) 및 제2슬라이드홈(121a)에서 손잡이(160)의 제1결합부(161)가 탈착되는 공간인 제1개방부(111c)와 제2개방부(121c)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3체결부(151)는 제3슬라이드홈(151a)에서 손잡이(160)의 제2결합부(162)가 탈착되는 공간인 제3개방부(151c)가 형성되되, 상기 제1개방부(111c), 제2개방부(121c)가 좌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3개방부(151c)가 우측에 형성되어 서로 엇갈리게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용기본체(110)에 삽입되는 트레이(130)는 상기 소스통(140)이 삽입되는 소스통삽입편(132)이 형성되고, 상기 소스통(140)은 탈착가능한 소스통뚜껑(141)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뚜껑(120)에는 소스통(14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소스통고정편(123)이 내측면 하단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용기본체(110)의 제1체결부(111)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슬라이드홈(111a)과, 상기 뚜껑(120)의 제2체결부(121)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슬라이드홈(121a)으로 손잡이(160)의 제1결합부(161)가 삽입되되, 상기 제1체결부(111) 외측면과 제2체결부(121) 외측면이 결합된 두께가 제1결합부(161) 내측 폭과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손잡이(160)는 제1결합부(161)가 제1슬라이드홈(111a) 및 제2슬라이드홈(121a)에 삽입되고, 제2결합부(162)가 제3슬라이드홈(151a)에 삽입되되, 중간부가 보조용기(150)가 용기본체(110)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용기본체결합부(152)에 형성된 손잡이결합홈(152a)에 끼워지며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샐러드 용기는 위로 볼록한 뚜껑이 결합되는 용기본체 내부에 공간을 분리하는 트레이가 삽입되고, 상기 용기본체 하단에 보조용기가 결합되어 다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와 뚜껑, 보조용기의 체결부에서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하여 용기본체를 밀봉하며 결합하는 손잡이가 더 설치되어 운반이나 휴대가 간편할 뿐 아니라 밀폐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뚜껑이 결합된 용기본체와, 보조용기를 슬라이드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용기본체와 뚜껑, 보조용기의 체결부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을 따라 손잡이가 이동되며 탈착가능하므로 분리와 결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용기본체의 제1체결부 내측에 제1결합돌기와 보조용기의 제3체결부 내측에 제2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의 상단과 하단에 제1,2결합돌기와 맞물리는 제3,4결합돌기를 형성하여 뚜껑과 용기본체, 보조용기, 손잡이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용기본체와 뚜껑, 보조용기의 체결부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서 개방된 공간인 개방부가 좌측과 우측에 대각선 방향으로 엇갈리게 구비하여 보조용기의 슬라이드홈에서 손잡이 하단을 분리하여도 손잡이 상단이 용기본체와 뚜껑의 슬라이드홈에 결합된 상태가 되어 손잡이의 분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손잡이를 이용해 용기본체에서 뚜껑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손잡이의 양끝단이 용기본체와 뚜껑, 보조용기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삽입되고, 중간부가 용기본체에 보조용기가 슬라이드 결합되는 용기본체결합부에 형성된 손잡이결합홈에 끼워지며 손잡이를 잡아주므로 고정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용기본체에 삽입되는 트레이의 소스통삽입편에 소스통을 삽입하고, 소스통에 별도로 뚜껑을 구비하여 소스통을 따로 이용가능하며, 소스가 포함된 음식을 포장할 때도 일회용 용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소스통에 별도로 뚜껑을 구비하지 않고 용기본체를 덮는 뚜껑에 소스통에 대응하는 소스통고정편을 형성하여 용기본체와 소스통을 한 번에 덮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샐러드 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샐러드 용기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샐러드 용기에서 뚜껑의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샐러드 용기에서 용기본체의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샐러드 용기에서 보조용기의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샐러드 용기에서 손잡이의 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샐러드 용기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샐러드 용기에서 손잡이를 용기본체와 뚜껑의 슬라이드홈으로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샐러드 용기에서 손잡이 하단을 보조용기의 개방부로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샐러드 용기에서 뚜껑과 소스통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샐러드를 비롯해 소스가 포함된 여러 종의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샐러드 용기(100)로,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서 둘레를 따라 외부측으로 절곡형성된 제1체결부(111)와, 측벽(112)에서 폭이 좁아지도록 단턱(112a)이 형성된 용기본체(110)와,
하단에서 둘레를 따라 상기 제1체결부(111)에 대응하도록 제2체결부(121)가 절곡형성되고, 위로 볼록한 뚜껑(120)과,
상기 용기본체(110)에 삽입되고, 단턱(112a)에 안착되며, 공간을 분리하는 칸막이(131)가 형성되는 트레이(130)와,
상기 트레이(130)에 삽입되는 소스통(140)과,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단에서 슬라이드 결합되는 보조용기(150)와,
상기 용기본체(110)와 뚜껑(120)을 밀봉하고, 상기 뚜껑(120)과 보조용기(150)를 연결하는 손잡이(16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본체(110)는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저장공간이 형성되도록 측벽(112)과 바닥면(114)이 구비되되, 측벽(112)이 하향경사져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내부로 트레이(130)가 삽입되고, 상부에서 뚜껑(120)이 결합되며, 하부에서 보조용기(150)가 결합되어 여러 종류의 음식물이 서로 섞이지 않는 상태로 보관이 가능한 다단의 식품용기로 형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10)는 사각형이나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본체(110)의 형태에 따라 트레이(130), 뚜껑(120), 보조용기(150)의 형태도 대응되게 구비된다.
상기 용기본체(110)는 상부가 개방되되, 상단에서 뚜껑(120)과 결합되어 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제1체결부(111)가 형성되고, 측벽(112)에는 트레이(130)가 안착될 단턱(112a)이 형성되며, 하단 양측에는 보조용기(150)가 슬라이드 결합될 보조용기결합부(113)가 외부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부(111)는 U자 형태로 절곡되며, 용기본체(110)의 측벽(112)으로부터 이격된 외측면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면에 제1슬라이드홈(111a)과 개방부(111c)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10)에서 트레이(130)가 고정결합될 단턱(112a) 하부로는 음식물이 담기게 되고, 상기 트레이(130)가 단턱(112a)에 안착되면 트레이(130)가 용기본체(110)에 담긴 음식을 덮는 덮개 역할을 하게 되므로 용기본체(110)의 바닥면(114)으로부터 트레이바닥면(134) 하부까지 음식을 담을 수 있게 되며, 상기 트레이바닥면(134) 하부와 트레이바닥면(134) 상부는 분리된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130)는 트레이바닥면(134) 둘레를 따라 하부로 고정편(133)이 돌출형성되어 단턱(112a)에 안착되고, 상기 단턱(112a)으로부터 상부측으로 고정편(133)의 높이만큼 이격된 공간을 더 형성하여 용기본체(110)의 바닥면(114)과 트레이바닥면(134) 사이에서 최대한 공간을 활용하여 음식을 담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용기본체(110)에 삽입되는 트레이(130)는 내측에서 공간을 분리하여 다른 종류의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칸막이(131)가 구비되고, 상기 칸막이(131) 중심에 소스통(140)이 삽입되는 소스통삽입편(132)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본체(110)에 두 가지 이상의 음식을 담고 소스까지 담아서 샐러드를 포함한 도시락을 포장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단에서 둘레를 따라 외부측으로 U자형태로 절곡형성된 제1체결부(111)에는 외측면에 제1슬라이드홈(111a)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120)의 하단에서 제1체결부(111)에 대응되도록 둘레를 따라 외부측으로 절곡형성된 제2체결부(121)에는 상기 제1슬라이드홈(111a)에 대응하는 제2슬라이드홈(121a)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160)의 상단부가 제1슬라이드홈(111a)과 제2슬라이드홈(121a)을 관통하여 삽입고정된다.
상기 제1슬라이드홈(111a)과 제2슬라이드홈(121a)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160)의 상단부가 삽입되고 내측에서 이동이 원활하도록 손잡이(160) 상단부 두께보다 넓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체결부(111) 외측면과 제2체결부(121) 외측면이 결합된 두께가 상기 손잡이(160)의 상단부 즉, 제1결합부(161) 내측 폭과 동일하게 구비되어 제1체결부(111)과 제2체결부(121)가 제1결합부(161) 내측에서 맞물리며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뚜껑(120)은 용기본체(110)와 결합시 도 3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30)의 둘레를 따라 돌출된 측면 상단에 맞물리지 않게 일정간격 이격되되 볼록한 상단과 제2체결부(121)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된 트레이(130)가 홈부(122)와 거의 맞닿도록 하며, 상기 용기본체(110)의 제1체결부(111) 외주면을 따라 용기본체(110)에 결합되어 용기본체(110)에 안착된 트레이(130)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트레이(130)는 뚜껑(120)의 결합에 의해 용기본체(110)에서 고정되며, 상기 트레이(130) 중심부에 형성된 소스통삽입편(132)으로 삽입되는 소스통(140)은 소스통뚜껑(141)을 따로 구비하여 소스통(140)을 따로 사용할 수 있고, 소스통(140)에서 소스가 세어나오지 않도록 밀봉한다.
한편, 상기 보조용기(150)의 하단에는 둘레를 따라 하부측으로 돌출형성된 제3체결부(151)가 형성되며, 상기 제3체결부(151)에는 손잡이(160)의 하단부가 삽입되고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3슬라이드홈(151a)이 형성된다. 상기 제3체결부(151)는 보조용기바닥면(154)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사용자가 보조용기바닥면(154)과 제3체결부(151)를 잡고 제3슬라이드홈(151a)에 삽입된 손잡이(160)의 하단부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160) 상단부는 제1슬라이드홈(111a) 및 제2슬라이드홈(121a)에 삽입되는 제1결합부(161)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60) 하단부는 제3슬라이드홈(151a)에 삽입되는 제2결합부(162)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160)는 상단부의 제1결합부(161)가 제1슬라이드홈(111a)과 제2슬라이드홈(121a)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며 이동하여 상기 용기본체(110)와 뚜껑(120)을 밀봉 결합하고, 하단부의 제2결합부(162)가 제3슬라이드홈(151a)으로 삽입 고정되어 용기본체(110)와 뚜껑(120), 보조용기(150)를 단단하게 결합함과 동시에 손잡이 역할을 하여 운반이 간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60)는 제1결합부(161)가 용기본체(110)와 뚜껑(120)의 제1슬라이드홈(111a)과 제2슬라이드홈(121a)에 삽입되고, 제2결합부(162)가 보조용기(150)의 제3슬라이드홈(151a)에 삽입되며, 중간부가 용기본체(110)에 보조용기(150)가 슬라이드 결합되는 용기본체결합부(152)에 형성된 손잡이결합홈(152a)에 끼워지며 손잡이(160)를 잡아줄 뿐만 아니라 용기본체(110)와 뚜껑(120), 보조용기(150)가 결합된 고정력을 높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160)는 용기본체(110)에 뚜껑(120)과 보조용기(1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결합부(161)가 제1슬라이드홈(111a)과 제2슬라이드홈(121a)에 삽입되고, 제2결합부(162)가 제3슬라이드홈(151a)에 삽입된 후 용기본체결합부(152)의 중간쯤으로 이동해 용기본체결합부(152)의 손잡이결합홈(152a)에 끼워지며 용기본체(110)와 뚜껑(120) 그리고 보조용기(150) 사이에서 팽팽하게 당겨지며 서로를 단단하게 고정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110)의 제1체결부(111) 내측에는 제1결합돌기(111b)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용기(150)의 제3체결부(151) 내측에는 제2결합돌기(151b)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160)의 제1결합부(161)에는 제1결합돌기(111b)와 맞물리는 제3결합돌기(161a)가 돌출형성되고, 제2결합부(162)에는 제2결합돌기(151b)와 맞물리는 제4결합돌기(162a)가 돌출형성된다.
이에 상기 용기본체(110)와 결합된 뚜껑(120)의 제1슬라이드홈(111a) 및 제2슬라이드홈(121a)으로 삽입된 손잡이(160)의 제1결합부(161)가 용기본체(110)와 뚜껑(120)의 제1체결부(111)와 제2체결부(121)를 누르면서 결합시키게 되므로 손잡이(160)가 뚜껑(120)과 용기본체(110)를 동시에 결합하고 밀봉시켜 밀폐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제1체결부(111)와 제2체결부(121)가 결합된 두께는 제1결합부(161)의 내측폭과 동일하여 꽉 맞물리게 되되, 상기 제1결합부(161) 외측의 제3결합돌기(161a)가 용기본체(110)의 제1체결부(111) 내측에 돌출된 제1결합돌기(111b)와 맞물리며 제1슬라이드홈(111a)과 제2슬라이드홈(121a) 사이에서 이동하며 제1체결부(111)와 제2체결부(121) 사이를 더욱 밀접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이에 제1체결부(111)와 제2체결부(121)가 밀봉되며 상기 용기본체(110)가 밀폐된다.
한편, 상기 제1체결부(111)와 제2체결부(121)는 제1슬라이드홈(111a) 및 제2슬라이드홈(121a)에서 상기 손잡이(160)의 제1결합부(161)가 탈착되도록 제1결합부(161)의 크기보다 크게 개방된 제1개방부(111c)와 제2개방부(121c)가 형성되고, 상기 제3체결부(151)는 제3슬라이드홈(151a)에서 손잡이(160)의 제2결합부(162)가 탈착되도록 제2결합부(162)의 크기보다 크게 개방된 제3개방부(151c)가 형성되되, 상기 제1개방부(111c), 제2개방부(121c)가 좌측에 형성되고 제3개방부(151c)가 우측에 형성되어 서로 엇갈리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제1개방부(111c), 제2개방부(121c)와는 대각선 방향에 제3개방부(151c)가 형성되어 상기 제1개방부(111c) 및 제2개방부(121c)로 손잡이(160)의 제1결합부(161)가 삽입되면, 제1결합부(161)가 제1슬라이드홈(111a) 및 제2슬라이드홈(121a)을 따라 이동하며 용기본체(110)와 뚜껑(120)을 밀봉한 후 끝단에서 제1결합부(161)의 반대측에 구비된 제2결합부(162)가 제3개방부(151c)를 통해 삽입되어 제3슬라이드홈(151a)에서 고정되어 뚜껑(120)과 보조용기(150)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110)의 제1체결부(111)에 형성된 제1슬라이드홈(111a)과, 상기 뚜껑(120)의 제2체결부(121)에 형성된 제2슬라이드홈(121a)에서 좌측에 형성된 제1개방부(111c), 제2개방부(121c)와, 보조용기(150)의 제3체결부(151)에 형성된 제3슬라이드홈(151a)에서 우측에 형성된 제3개방부(151c)가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엇갈리게 구비됨으로 상기 용기본체(110)의 제1개방부(111c)와 상기 뚜껑(120)의 제2개방부(121c)를 통해 손잡이(160)의 제1결합부(161)를 결합하면 상기 손잡이(160)의 제1결합부(161)는 제1슬라이드홈(111a)과 제2슬라이드홈(121a)에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고, 제2결합부(162)는 분리된 상태가 되며, 상기 손잡이(160)를 제1슬라이드홈(111a)과 제2슬라이드홈(121a)의 우측까지 끌고간 상태에서 제2결합부(162)를 보조용기(150)의 제3슬라이드홈(151a)의 우측에 형성된 제3개방부(151c)를 통해 삽입시켜 보조용기(150)와 결합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160)의 제1결합부(161)가 제1개방부(111c)와 제2개방부(121c)를 통해 용기본체(110)와 뚜껑(120)으로부터 분리되면 손잡이(160)의 제2결합부(162)가 보조용기(150)의 제3체결부(151)의 제3슬라이드홈(151a)에 결합된 상태로 두거나, 상기 손잡이(160)의 제2결합부(162)가 제3개방부(151c)를 통해 보조용기(150)의 제3체결부(151)에서 분리되면 손잡이(160)의 제1결합부(161)를 용기본체(110)와 뚜껑(120)에 결합된 상태로 두어 손잡이(16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조용기(150)의 제3체결부(151)의 제3슬라이드홈(151a)에 손잡이(160)의 제2결합부(162)가 분리된 상태에서 손잡이(160)의 제1결합부(161)만 용기본체(110)와 뚜껑(120)에 결합된 상태가 되면 손잡이(160)의 분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손잡이(160)를 제1개방부(111c)와 제2개방부(121c)에서 위로 잡아당겨 밀봉한 부분에 공기를 넣어 용기본체(110)에서 뚜껑(120)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용기(150)는 용기본체결합부(152)가 상단 양측에서 상부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결합부(152)가 상향경사지고 상부에서 구부러져 고리형태로 이루어진다. 고리형태로 구부러진 용기본체결합부(152)는 용기본체(110)의 하단에 절곡형성된 ㄴ자 형태의 보조용기결합부(113)와 맞물려 슬라이드 이동되되, 용기본체결합부(152) 내측 또는 끝단에 스토퍼(미도시)를 돌출형성하여 보조용기결합부(113)가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용기본체결합부(152)에 형성된 손잡이결합홈(152a)과 동일한 크기의 홈을 보조용기결합부(113)에 형성하여 손잡이(160)를 삽입해 보조용기(150)가 용기본체(110)에서 더 이상 슬라이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용기(150)는 상단면에서 테두리가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용기본체바닥접합면(153)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바닥접합면(153)은 용기본체(110)의 바닥면(114)에 닿게 된다. 이에 용기본체(110) 하부에서 결합된 보조용기(150)에 담긴 음식은 용기본체(110)에 담긴 음식과 분리된 상태에서 밀폐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110)에 삽입되는 트레이(130)의 소스통삽입편(132)에 소스통(140)이 삽입되고, 상기 소스통(140)은 탈착가능한 소스통뚜껑(141)이 구비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통(140)에서 소스통뚜껑(141)이 구비되지 않고 상기 뚜껑(120)에 소스통(140)을 덮는 소스통고정편(123)이 하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소스통(140)을 고정함과 동시에 밀폐시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뚜껑(120)은 소스통(140)의 뚜껑을 따로 구비하지 않고도 소스통(140)을 비롯해 용기본체(110) 내부와, 상기 트레이(130)에 수용된 음식물들이 밀실하게 수용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뚜껑(120)은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부로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되되, 트레이(130)의 칸막이(131) 높이보다 높고 소스통(140)의 높이보다 높게 구비되며, 하향 돌출된 소스통고정편(123)에 소스통(140)이 결합되며 밀폐되도록 이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 조리가능한 소재를 이용하여 전자레인지 사용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샐러드 용기(100)는 위로 볼록한 뚜껑(120)이 결합되는 용기본체(110) 내부에 공간을 분리하는 트레이(130)가 삽입되고, 상기 용기본체(110) 하단에 보조용기(150)가 결합되어 다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110)의 제1체결부(111)와 뚜껑(120)의 제2체결부(121), 상기 보조용기(150)의 제3체결부(151)에서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하여 용기본체(110)를 밀봉하며 결합하는 손잡이(160)가 더 설치되어 운반이나 휴대가 간편할 뿐 아니라 밀폐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뚜껑(120)이 결합된 용기본체(110)와, 보조용기(150)를 슬라이드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용기본체(110)의 제1체결부(111)와, 뚜껑(120)의 제2체결부(121), 보조용기(150)의 제3체결부(151)에 형성된 제1슬라이드홈(111a), 제2슬라이드홈(121a), 제3슬라이드홈(151a)을 따라 손잡이(160)가 이동되며 탈착가능하므로 분리와 결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용기본체(110)의 제1체결부(111) 내측에 제1결합돌기(111b)와 보조용기(150)의 제3체결부(151) 내측에 제2결합돌기(151b)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160)의 상단 제1결합부(161)와 하단 제2결합부(162)에 제1,2결합돌기(111b, 151b)와 맞물리는 제3,4결합돌기(161a, 162a)를 형성하여 뚜껑(120)과 용기본체(110), 보조용기(150), 손잡이(16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용기본체(110)의 제1체결부(111)에 형성된 제1슬라이드홈(111a)과, 뚜껑(120)의 제2체결부(121)에 형성된 제2슬라이드홈(121a)에서 좌측에 형성된 제1개방부(111c), 제2개방부(121c)와, 보조용기(150)의 제3체결부(151)에 형성된 제3슬라이드홈(151a)에서 우측에 개방된 공간인 제3개방부(151c)가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엇갈리게 구비되어 제1슬라이드홈(111a)과 제2슬라이드홈(121a)에서 손잡이(160)의 제1결합부(161)를 분리하여도 제2결합부(162)가 보조용기(150)의 제3체결부(151)의 제3슬라이드홈(151a)에 결합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결합부(162)를 제3슬라이드홈(151a)에서 분리하여도 제1결합부(161)가 제1슬라이드홈(111a), 제2슬라이드홈(121a)에 결합된 상태가 되어 손잡이(160)의 분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손잡이(160)를 이용해 용기본체(110)에서 뚜껑(120)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손잡이(160)의 제1결합부(161)가 용기본체(110)와 뚜껑(120)의 제1슬라이드홈(111a)과 제2슬라이드홈(121a)에 삽입되고, 제2결합부(162)가 보조용기(150)의 제3슬라이드홈(151a)에 삽입되며, 중간부가 용기본체(110)에 보조용기(150)가 슬라이드 결합되기 위한 용기본체결합부(152)에 형성된 손잡이결합홈(152a)에 끼워지며 손잡이(160)를 잡아주므로 고정력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용기본체(110)에 삽입되는 트레이(130)의 소스통삽입편(132)에 소스통(140)을 삽입하고, 소스통(140)에 별도로 소스통뚜껑(141)을 구비하여 소스통(140)을 따로 이용가능하며, 소스가 포함된 음식을 포장할 때도 일회용 용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소스통(140)에 별도로 뚜껑을 구비하지 않고 용기본체(110)를 덮는 뚜껑(120)에 소스통(140) 상단에 대응하는 소스통고정편(123)을 형성하여 용기본체(110)와 소스통(140)을 한 번에 덮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100 : 샐러드 용기
110 : 용기본체 111 : 제1체결부
111a : 제1슬라이드홈 111b : 제1결합돌기
111c : 제1개방부 112 : 측벽
112a : 단턱 113 : 보조용기결합부
114 : 바닥면
120 : 뚜껑 121 : 제2체결부
121a : 제2슬라이드홈 121c : 제2개방부
122 : 홈부 123 : 소스통고정편
130 : 트레이 131 : 칸막이
132 : 소스통삽입편 133 : 고정편
134 : 트레이바닥면
140 : 소스통 141 : 소스통뚜껑
150 : 보조용기 151 : 제3체결부
151a : 제3슬라이드홈 151b : 제2결합돌기
151c : 제3개방부 152 : 용기본체결합부
152a : 손잡이결합홈 153 : 용기본체바닥접합면
154 : 보조용기바닥면
160 : 손잡이 161 : 제1결합부
161a : 제3결합돌기 162 : 제2결합부
162a : 제4결합돌기

Claims (7)

  1. 상단에서 둘레를 따라 외부측으로 절곡형성된 제1체결부(111)와, 측벽(112)에서 폭이 좁아지도록 단턱(112a)이 형성된 용기본체(110)와;
    하단에서 둘레를 따라 상기 제1체결부(111)에 대응하도록 제2체결부(121)가 절곡형성되고, 위로 볼록한 뚜껑(120)과;
    상기 용기본체(110)에 삽입되고 단턱(112a)에 안착되며, 공간을 분리하는 칸막이(131)가 형성되는 트레이(130)와;
    상기 트레이(130)에 삽입되는 소스통(140)과;
    상기 용기본체(110)의 하단에서 슬라이드 결합되는 보조용기(150)와;
    상기 용기본체(110)와 뚜껑(120)를 밀봉하고, 상기 뚜껑(120)과 보조용기(150)를 연결하는 손잡이(160);
    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110)의 제1체결부(111)와, 상기 뚜껑(120)의 제2체결부(121)에는 손잡이(160)의 제1결합부(161)가 삽입되고 슬라이드되며 이동하는 제1슬라이드홈(111a) 및 제2슬라이드홈(121a)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용기(150) 하단에 돌출되는 제3체결부(151)에는 손잡이(160)의 제2결합부(162)가 삽입되고 슬라이드되며 이동하는 제3슬라이드홈(151a)이 형성되는
    샐러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10)의 제1체결부(111) 내측에는 제1결합돌기(111b)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용기(150)의 제3체결부(151) 내측에는 제2결합돌기(151b)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160)의 제1결합부(161) 외측에는 제1결합돌기(111b)와 맞물리는 제3결합돌기(161a)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60)의 제2결합부(162) 외측에는 제2결합돌기(151b)와 맞물리는 제4결합돌기(162a)가 돌출형성되는
    샐러드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111)와 제2체결부(121)는 제1슬라이드홈(111a) 및 제2슬라이드홈(121a)에서 손잡이(160)의 제1결합부(161)가 탈착되는 공간인 제1개방부(111c)와 제2개방부(121c)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3체결부(151)는 제3슬라이드홈(151a)에서 손잡이(160)의 제2결합부(162)가 탈착되는 공간인 제3개방부(151c)가 형성되되,
    상기 제1개방부(111c), 제2개방부(121c)가 좌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3개방부(151c)가 우측에 형성되어 서로 엇갈리게 구비되는
    샐러드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10)에 삽입되는 트레이(130)는 상기 소스통(140)이 삽입되는 소스통삽입편(132)이 형성되고,
    상기 소스통(140)은 탈착가능한 소스통뚜껑(141)이 구비되는
    샐러드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20)에는 소스통(14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소스통고정편(123)이 내측면 하단으로 돌출형성되는
    샐러드 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10)의 제1체결부(111)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슬라이드홈(111a)과, 상기 뚜껑(120)의 제2체결부(121)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슬라이드홈(121a)으로 손잡이(160)의 제1결합부(161)가 삽입되되,
    상기 제1체결부(111) 외측면과 제2체결부(121) 외측면이 결합된 두께가 제1결합부(161) 내측 폭과 동일한
    샐러드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60)는 제1결합부(161)가 제1슬라이드홈(111a) 및 제2슬라이드홈(121a)에 삽입되고, 제2결합부(162)가 제3슬라이드홈(151a)에 삽입되되,
    중간부가 보조용기(150)가 용기본체(110)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용기본체결합부(152)에 형성된 손잡이결합홈(152a)에 끼워지며 고정되는
    샐러드 용기.
KR1020230017719A 2023-02-10 2023-02-10 샐러드 용기 Active KR102715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7719A KR102715286B1 (ko) 2023-02-10 2023-02-10 샐러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7719A KR102715286B1 (ko) 2023-02-10 2023-02-10 샐러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5107A KR20240125107A (ko) 2024-08-19
KR102715286B1 true KR102715286B1 (ko) 2024-10-11

Family

ID=92567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7719A Active KR102715286B1 (ko) 2023-02-10 2023-02-10 샐러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52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507Y1 (ko) 2002-07-26 2002-12-31 강순자 보조식품 수납용기
KR200476613Y1 (ko) 2013-10-31 2015-03-18 현진제업주식회사 식품용기
KR102200048B1 (ko) 2020-02-07 2021-01-08 에코그린 (주) 적층이 용이한 음식물 저장용기
JP2022006814A (ja) 2020-06-25 2022-01-13 シーピー化成株式会社 包装用容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961B1 (ko) * 2009-12-02 2012-08-06 주식회사 유상 음식물 용기
KR20160048635A (ko) * 2015-07-10 2016-05-04 김영주 밀폐 용기
KR101900441B1 (ko) 2017-01-31 2018-09-20 (주)착한음식 식품 용기
KR20200053747A (ko) * 2018-11-09 2020-05-19 김진란 적층보관하기 위한 체결요소가 마련된 식품용기
KR102351533B1 (ko) 2020-07-31 2022-01-17 주식회사 대성실리콘 밀폐수단이 구비된 도시락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507Y1 (ko) 2002-07-26 2002-12-31 강순자 보조식품 수납용기
KR200476613Y1 (ko) 2013-10-31 2015-03-18 현진제업주식회사 식품용기
KR102200048B1 (ko) 2020-02-07 2021-01-08 에코그린 (주) 적층이 용이한 음식물 저장용기
JP2022006814A (ja) 2020-06-25 2022-01-13 シーピー化成株式会社 包装用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5107A (ko) 202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7123B2 (en) Container
CN101128367B (zh) 一种用于容器的盖和容器盖的系统
CA2662232C (en) Portable food dispenser
CA2396943C (en) Triple seal container with protrusion
US5607709A (en) Disposable microwavable food container
US20060254948A1 (en) Nestable containers with folding coverings
US20070119743A1 (en) Container
MX2014002901A (es) Recipiente con tapa resellable.
JPH10129742A (ja) 蓋付き容器
KR102715286B1 (ko) 샐러드 용기
KR20140055330A (ko) 용기
KR200417031Y1 (ko) 도시락
JP2019099157A (ja) 包装用容器
JP2003252359A (ja) 包装用密閉容器のための蓋体
JP2021172358A (ja) 惣菜用容器
JP7100345B2 (ja) 包装用容器
JP7100344B2 (ja) 包装用容器
JP7535767B2 (ja) 包装用容器
KR102467766B1 (ko) 다중 음식물 포장용기
KR20110007465U (ko) 개폐가 용이한 휴대용 용기
JP6920754B2 (ja) 包装用容器
JP6920753B2 (ja) 包装用容器
JP6899160B2 (ja) 包装用容器
JPH0713736U (ja) 組合せ容器
JP2022143891A (ja) 中皿付き食品用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2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