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4945B1 -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4945B1
KR102714945B1 KR1020180149944A KR20180149944A KR102714945B1 KR 102714945 B1 KR102714945 B1 KR 102714945B1 KR 1020180149944 A KR1020180149944 A KR 1020180149944A KR 20180149944 A KR20180149944 A KR 20180149944A KR 102714945 B1 KR102714945 B1 KR 102714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insertion groove
battery
support member
bus b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9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3792A (en
Inventor
최현철
김혜진
최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149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4945B1/en
Publication of KR20200063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7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4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494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복수의 배터리 셀이 적층되는 배터리 셀 적층체; 및 배터리 셀 적층체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결합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 케이싱을 포함한다.A battery module is disclos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module comprises: a battery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a casing configured to surround the battery cell stack and having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to which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of an electrode lead of a battery cell and a bus bar can be inserted.

Description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방법{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결합시 서로 밀착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battery module in which electrode leads and a bus bar can be tightly joined to each other when combine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종래 이차 전지로서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수소이온 전지가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전 및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 이차 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As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increase,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an energy source is rapidly increasing. Nickel-cadmium batteries or hydrogen-ion batteries have been used as secondary batteries in the past, but recently,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being widely used because they have almost no memory effect compared to nickel-based secondary batteries, can be freely charged and discharged, have a very low self-discharge rate, and have a high energy density.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케이스를 구비한다.Thes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mainly use lithium oxide and carbon material as positive and negative active materials, respectively.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es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each coated with the positive and negative active materials, are arranged with a separator between them, and an outer material, i.e., a battery case, that seals and stores the electrode assembly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로 이루어지며,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을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리튬 이온 전지(Lithium Ion Battery, LIB), 리튬 폴리머 전지(Polymer Lithium Ion Battery, PLIB) 등으로 나누어진다. 통상, 이들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 시트(sheet), 메시(mesh), 필름(film), 호일(foil) 등의 집전체에 양극 또는 음극 활물질을 도포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Lithium secondary batteries consist of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and electrolyte interposed between them, and are divided into lithium ion batteries (LIBs), lithium polymer batteries (PLIBs), etc., depending on which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are used. Typically, the electrodes of thes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formed by applying a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o a current collector such as an aluminum or copper sheet, mesh, film, or foil, and then drying it.

종래 기술의 경우, 전극 리드와 버스바를 용접으로 결합할 때 전극 리드와 버스바가 밀착되지 않아서 약하게 용접되거나,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용접부가 밀려서 용접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conventional technology, when joining electrode leads and bus bars by weld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ode leads and bus bars are not in close contact, resulting in weak welding, or the welding joint of the electrode leads and bus bars is pushed, resulting in welding defects.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8-0078776호(공개일자:2018년07월10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78776 (Publication Date: July 10, 2018)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결합시 전극 리드와 버스바가 서로 밀착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n which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are combined.

또한,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용접시 용접부의 밀림이 방지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modu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prevent the welding part from slipping during welding of electrode leads and bus bar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배터리 셀이 적층되는 배터리 셀 적층체; 및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결합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 케이싱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module may be provided, including a battery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a casing provided to surround the battery cell stack and having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to which a support member supporting a connection between an electrode lead of the battery cell and a bus bar can be inserted.

또한,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는 용접으로 결합되며,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의 용접부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의 용접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are joined by welding, and in order to prevent the welding portion of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from slipping, the support member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when welding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그리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케이싱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And, the insertion grooves can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asing, respectively.

또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케이싱의 단부의 테두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on the edge of an end of the casing.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를 구동하는 동력원을 포함할 수 있다.And, 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an insertion par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a power source coupled to the insertion part and driving the insertion part.

또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삽입홈을 채우는 마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upport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plug member that fills the insertion groove after the support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지지부재가 케이싱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단계;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 버스바가 결합되는 단계; 및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can be provided, including a step of inserting a support member into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a casing; a step of connecting an electrode lead of a battery cell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and a bus bar; and a step of separating the support member from the insertion groove.

또한,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may include a step of being joined by welding.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부가 동력원에 결합되어 구동되면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it may include a step of inserting the insertion part of the support member into the insertion groove while being driven by being coupled to a power source.

또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된 후 마개부재가 삽입홈을 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filling the insertion groove with a plug member after the support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이 제공될 수 있고, 또한, 전술한 배터리 모듈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이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battery module can be provided, and further, a battery pack including a battery module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method can be provided.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가 제공될 수 있고, 또한, 전술한 배터리 모듈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가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battery module can be provided, and further, a vehicle including a battery module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method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케이싱에 형성된 삽입홈에 지지부재가 삽입되어 전극 리드와 버스바를 지지하므로,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결합시 전극 리드와 버스바가 서로 밀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upport member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a casing to support an electrode lead and a bus bar, there is an effect in which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are combined.

또한, 지지부재에 의해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용접시 용접부의 밀림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welding joint from sliding when welding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by the support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측에서 케이싱의 삽입홈을 바라본 부분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측에서 케이싱의 삽입홈을 바라본 부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동력원에 결합된 삽입부가 케이싱의 삽입홈에 삽입된 모습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동력원에 결합된 삽입부가 케이싱의 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마개부재가 삽입홈을 채우고 있는 모습의 정면도이다.
FIG. 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view of the insertion groove of the casing viewed from the upper side of Figure 1.
Figure 3 is a partial view of the insertion groove of the casing viewed from the lower side of Figure 1.
FIG. 4 is a front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insertion part coupled to a power source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of a casing.
FIG. 5 is a front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insertion portion coupled to a power source is separated from an insertion groove of a casing.
FIG. 6 is a front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plug member filling the insertion groov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ccording to preferred embodiment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their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bu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that conform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ed example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each component or a specific part of the component is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Therefore,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If it is judg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The term 'joint' or 'connection' as used herein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one member and another member are directly joined or directly connected, but also cases where one member is indirectly joined or in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member through a connecting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측에서 케이싱의 삽입홈을 바라본 부분도이며, 도 3은 도 1의 하측에서 케이싱의 삽입홈을 바라본 부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동력원에 결합된 삽입부가 케이싱의 삽입홈에 삽입된 모습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동력원에 결합된 삽입부가 케이싱의 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지지부재의 삽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삽입홈의 부분만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view looking at the insertion groove of the casing from the upper side of FIG. 1, FIG. 3 is a partial view looking at the insertion groove of the casing from the lower side of FIG. 1,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sertion portion coupled to a power source in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casing, and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sertion portion coupled to a power source in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of the casing. In FIGS. 4 and 5, only a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is illustrated in a cross-sectional view in order to explain the insertion process of the support member.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은, 배터리 셀 적층체(100)와, 케이싱(2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battery modul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cell stack (100) and a casing (200).

배터리 셀 적층체(100)는 복수의 배터리 셀(110)이 적층된다. 여기서, 배터리 셀(110)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배터리 셀(110)은 다양한 방식으로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셀 적층체(100)에는 전극 리드(111)가 구비되는 배터리 셀(110)이 복수로 마련된다. 배터리 셀(110)에 구비되는 전극 리드(111)는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기기에 연결되는 일종의 단자로서 전도성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전극 리드(111)는 양극 전극 리드와 음극 전극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양극 전극 리드와 음극 전극 리드는 배터리 셀(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양극 전극 리드와 음극 전극 리드가 배터리 셀(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될 수도 있다. 전극 리드(111)는 버스바(300)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 셀(110)은 양극판-세퍼레이터-음극판의 순서로 배열되는 단위 셀(Unit Cell) 또는 양극판-세퍼레이터-음극판-세퍼레이터-양극판-세퍼레이터-음극판의 순서로 배열된 바이 셀(Bi-Cell)을 전지 용량에 맞게 복수개 적층시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battery cell stack (100)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0). Here, the battery cells (110) may have various structures, and furthermore,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0) may be stack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he battery cell stack (1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0) provided with electrode leads (111). The electrode leads (111) provided in the battery cells (110) are a type of terminal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electrode leads (111)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lead and a negative electrode lead. The positive electrode lead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may be arrang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cells (110), or the positive electrode lead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may be position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cells (110). The electrode leads (111) may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bus bar (300). The battery cell (11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cells arranged in the order of positive plate-separator-negative plate or bi-cells arranged in the order of positive plate-separator-negative plate-separator-positive plate-separator-negative plate are stacked according to the battery capacity.

배터리 셀 적층체(100)는 각각의 배터리 셀(110)을 수납하는 카트리지(미도시)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카트리지(미도시)는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배터리 셀(11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된 복수의 카트리지들(미도시)이 적층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들(미도시)이 적층된 카트리지 조립체에는 커넥터 요소 또는 단자 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 요소는, 예를 들어, 배터리 셀(110)의 전압 또는 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미도시) 등에 연결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전기적 연결 부품 내지 연결 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단자 요소는 배터리 셀(110)에 연결되는 메인 단자로서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를 포함하며, 단자 요소는 터미널 볼트가 구비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셀(11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battery cell stack (1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artridges (not shown) that accommodate each battery cell (110). Each cartridge (not shown)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of plastic, and a plurality of cartridges (not shown) having a storage portion formed therein that can accommodate the battery cell (110) may be stacked. A cartridg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cartridges (not shown) are stacked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or element or a terminal element. The connector element may include various forms of electrical connection parts or connection members for connection to, for example, a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not shown) that can provide data on the voltage or temperature of the battery cell (110). In addition, the terminal element is a main terminal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110) and includes a positive terminal and a negative terminal, and the terminal element may be provided with a terminal bolt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Meanwhile, the battery cell (110) may have various shapes.

케이싱(200)에는 배터리 셀 적층체(100) 또는, 배터리 셀 적층체(100)가 수납된 카트리지 조립체가 수납될 수 있다. 케이싱(200)은 배터리 셀 적층체(100) 또는 복수의 카트리지 조립체들의 전체를 둘러싸며 이에 의해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배터리 셀 적층체(100) 또는 카트리지 조립체를 보호한다.A battery cell stack (100) or a cartridge assembly containing a battery cell stack (100) can be stored in a casing (200). The casing (200) surrounds the entire battery cell stack (100) or a plurality of cartridge assemblies, thereby protecting the battery cell stack (100) or the cartridge assembly from external vibrations or shocks.

케이싱(200)은 배터리 셀 적층체(100) 또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셀 적층체(100) 또는 카트리지 조립체가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케이싱(200)도 이에 대응되도록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케이싱(200)은 예를 들어, 금속 재질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제조될 수 있고 또는 플라스틱 사출물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케이싱(200)은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또는 분리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케이싱(200)에는 전술한 커넥터 요소 또는 단자 요소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관통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넥터 요소 또는 단자 요소는 외부의 소정 부품 내지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기적 연결이 케이싱(200)에 의해 방해되지 않도록 케이싱(200)에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casing (20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or the cartridge assembly. For example, if the battery cell stack (100) or the cartridge assembly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the casing (200) may also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corresponding thereto. The casing (200) may be manufactured by, for example, bending a metal plate or may be manufactured by a plastic injection molding. In addition, the casing (200) may be manufactured as an integral part or as a separate part. A penetration portion (not shown) through which the aforementioned connector element or terminal elemen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in the casing (200). That is, the connector element or the terminal elemen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external component or member, and a penetration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casing (200) so that such electrical connection is not hindered by the casing (200).

케이싱(200)에는 배터리 셀(110)의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의 결합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10)이 형성된다. 케이싱(200)에는 버스바(300)가 결합되어 있으며, 배터리 셀(110)의 전극 리드(111)가 절곡되어 버스바(300)에 접촉되고 용접으로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가 결합될 수 있다.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는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다만, 용접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의 결합 방식이 용접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의 용접시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가 밀착되지 않으면 약한 용접에 의해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가 쉽게 떨어질 가능성이 있고, 또한,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의 용접부(600)가 밀려서 용접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즉,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의 용접부(600)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의 용접시 지지부재(400, 도 4 참조)가 삽입홈(210)에 삽입되어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를 지지한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삽입홈(210)은 케이싱(2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400)는 케이싱(200)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삽입홈(210)에 각각 삽입되어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의 용접부(600)의 상측과 하측 모두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의 용접부(600)에 최대한 근접한 위치에서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삽입홈(210)은 케이싱(200)의 단부의 테두리부(220)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10)은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10)은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케이싱(200)의 상측과 하측 각각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재(400)는 삽입부(410)와, 동력원(420)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410)는 삽입홈(210)에 삽입되어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를 지지한다. 삽입부(41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력원(420)은 삽입부(410)에 결합되어 삽입부(410)를 구동한다. 동력원(420)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종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동력원(420)이 실린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삽입부(410)는 동력원(420)에 결합되어 삽입홈(210)에 삽입되고 삽입홈(21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동력원(420)에 의해 삽입부(410)가 삽입홈(210)에 삽입되어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를 지지한 상태에서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가 용접된다. 이에 의해,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가 서로 밀착될 수 있고, 또한, 용접시 용접부(600)의 밀림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용접이 완료되면 동력원(420)에 의해 삽입부(410)가 삽입홈(210)으로부터 분리된다. 지지부재(400)는 배터리 모듈(1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일종의 지그일 수 있다.An insertion groove (210) is formed in the casing (200) into which a support member (400) that supports the connection of the electrode lead (111) of the battery cell (110) and the bus bar (300) can be inserted. The bus bar (300) is connected to the casing (200), and the electrode lead (111) of the battery cell (110) is ben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bus bar (300), and the electrode lead (111) and the bus bar (300) can be connected by welding. The electrode lead (111) and the bus bar (300) can be connected by laser welding or the like, but the welding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electrode lead (111) and the bus bar (300) is not limited to welding. When welding the electrode lead (111) and the bus bar (300), if the electrode lead (111) and the bus bar (300) are not in close contac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lectrode lead (111) and the bus bar (300) may easily fall off due to weak welding, and also, the welding part (600) of the electrode lead (111) and the bus bar (300) may be pushed, resulting in a welding defect. To prevent this, that is, to prevent the welding part (600) of the electrode lead (111) and the bus bar (300) from being pushed,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welding the electrode lead (111) and the bus bar (300), a support member (400, see FIG. 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0) to support the electrode lead (111) and the bus bar (300). Here,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insertion groove (2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asing (200), respectively. That is, the support member (40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210)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asing (200), respectively, so as to support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welded portion (600) of the electrode lead (111) and the bus bar (300). In addition, the insertion grooves (210) may be formed on the edge portion (220) of the end of the casing (200) so as to support the electrode lead (111) and the bus bar (300) at a position as close as possible to the welded portion (600) of the electrode lead (111) and the bus bar (300). The insertion grooves (210) may be formed in various numbers. The insertion grooves (210) may be one or more, and a plurality may be formed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asing (200) as shown in FIGS. 2 and 3.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support member (400) may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410) and a power source (420). The insertion portion (4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0) to support the electrode lead (111) and the bus bar (300). The insertion portion (41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nd may be formed in a pin shape, for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ower source (420) is coupled to the insertion portion (410) to drive the insertion portion (410). The power source (420)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and may include, for example, various cylinders. However, the power source (420) is not limited to a cylinder. Here, the insertion portion (410) may be coupled to the power source (420)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0) and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210). The insertion portion (4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0) by the power source (420) and the electrode lead (111) and the bus bar (300) are welded while supporting the electrode lead (111) and the bus bar (300). As a result, the electrode lead (111) and the bus bar (30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further,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welding portion (600) from being pushed during welding. Then, when the welding is completed, the insertion portion (410)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210) by the power source (420). The support member (400) may be a type of jig separated from the battery module (10).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battery modul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지지부재(400)의 동력원(420)에 의해 지지부재(400)의 삽입부(410)가 케이싱(200)에 형성된 삽입홈(210)에 삽입된다. 여기서, 지지부재(400)는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가 밀착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400)에 의해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가 지지된 상태에서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가 용접되며 이에 의해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의 용접시 용접부(600)의 밀림이 방지될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410) of the support member (4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0) formed in the casing (200) by the power source (420) of the support member (400). Here, the support member (400) can support the electrode lead (111) and the bus bar (300) so that they can be in close contact. The electrode lead (111) and the bus bar (300) are welded while the electrode lead (111) and the bus bar (300)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400), and thereby, the welding portion (6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shed when welding the electrode lead (111) and the bus bar (300).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마개부재가 삽입홈을 채우고 있는 모습의 정면도이다.FIG. 6 is a front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plug member filling the insertion groov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battery module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parts common to those described in the battery modul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given abov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마개부재(50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lug member (500).

도 6을 참조하면, 마개부재(500)는 지지부재(400)가 삽입홈(210)으로부터 분리된 후 삽입홈(210)을 채우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개부재(500)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케이싱(200)의 삽입홈(210)을 채워 케이싱(20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마개부재(50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면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plug member (500) may be provided to fill the insertion groove (210) after the support member (400)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210). The plug member (50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materials, and may be manufactured with a metal material so as to fill the insertion groove (210) of the casing (200) and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casing (200). However, the material of the plug member (5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aterials may be used as long as they have sufficient rigidity.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 제조방법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재(400)가 케이싱(200)에 형성된 삽입홈(210)에 삽입된다. 여기서, 지지부재(400)의 삽입부(410)가 동력원(420)에 결합되어 구동되면서 삽입홈(210)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재(400)의 삽입부(410)가 삽입홈(210)에 삽입되면 배터리 셀(110)의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가 지지부재(4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4, the support member (4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0) formed in the casing (200). Here, the insertion portion (410) of the support member (40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0) while being driven by being coupled to a power source (420). When the insertion portion (410) of the support member (4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0), the electrode lead (111) of the battery cell (110) and the bus bar (300) can be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400).

다음, 배터리 셀(110)의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가 지지부재(40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배터리 셀(110)의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가 결합된다. 여기서, 배터리 셀(110)의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는 각종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400)에 의해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가 지지되므로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300)의 용접부(600)에서의 밀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Next, the electrode lead (111) of the battery cell (110) and the bus bar (300) are joined while the electrode lead (111) of the battery cell (110) and the bus bar (300)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400). Here, the electrode lead (111) of the battery cell (110) and the bus bar (300) can be joined by various welding methods, and since the electrode lead (111) and the bus bar (300)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400), the phenomenon of slippage at the welded portion (600) of the electrode lead (111) and the bus bar (300) can be prevented.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재(400)의 삽입부(410)가 삽입홈(210)으로부터 분리된다. 즉, 동력원(420)이 삽입부(410)에 동력을 제공하여 삽입부(410)가 케이싱(200)의 삽입홈(21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Next, referring to FIG. 5, the insertion portion (410) of the support member (400)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210). That is, the power source (420) provides power to the insertion portion (410)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410)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210) of the casing (200).

다음, 지지부재(400)의 삽입부(410)가 삽입홈(210)으로부터 분리된 후 마개부재(500)가 삽입홈(210)을 채울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케이싱(200)의 강성이 보완될 수 있다.Next, after the insertion portion (410) of the support member (400)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210), the plug member (500) can fill the insertion groove (210), thereby supplement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20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미도시)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배터리 모듈(10)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팩(미도시)은, 이러한 배터리 모듈(10) 이외에, 이러한 배터리 모듈(10)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 배터리 모듈(10)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장치, 이를테면 BMS, 전류 센서, 퓨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a battery pack (not show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battery modules (10)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battery pack (not shown) may further include, in addition to the battery module (10), a case for storing the battery module (10), various devices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module (10), such as a BMS, a current sensor, a fuse, etc.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미도시)는 전술한 배터리 모듈(10) 또는 배터리 팩(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팩(미도시)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10)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은, 상기 자동차(미도시),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전기를 사용하도록 마련되는 소정의 자동차(미도시)에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a vehicle (not show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battery module (10) or battery pack (not shown) described above, and the battery pack (not shown) may include the battery module (10). In addition, the battery module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vehicle (not shown), for example, a vehicle (not shown) that is designed to use electricity, such as an electric vehicle or a hybrid vehicle.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y means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atent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10 : 배터리 모듈 100 : 배터리 셀 적층체
110 : 배터리 셀 111 : 전극 리드
200 : 케이싱 210 : 삽입홈
220 : 테두리부 300 : 버스바
400 : 지지부재 410 : 삽입부
420 : 동력원 500 : 마개부재
10: Battery module 100: Battery cell stack
110: Battery cell 111: Electrode lead
200 : Casing 210 : Insertion groove
220 : Border 300 : Busbar
400 : Support member 410 : Insertion part
420 : Power source 500 : Plug material

Claims (14)

복수의 배터리 셀이 적층되는 배터리 셀 적층체; 및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결합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를 구동하는 동력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A battery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A casing is provided to surround the battery cell stack and has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to which a support member that supports the connection of the electrode lead of the battery cell and the bus bar can be inserted.
The above supporting member is,
An insertion part inserted into the above insertion groove; and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ower source coupled to the insertion part and driving the insertion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는 용접으로 결합되며,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의 용접부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의 용접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electrode leads and the above bus bar are joined by welding,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when welding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to prevent displacement of the welded portion of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케이싱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In the first paragraph,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asing,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케이싱의 단부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In the first paragraph,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end of the above casing.
삭제delete 복수의 배터리 셀이 적층되는 배터리 셀 적층체; 및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결합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삽입홈을 채우는 마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A battery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A casing is provided to surround the battery cell stack and has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to which a support member that supports the connection of the electrode lead of the battery cell and the bus bar can be inserted.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lug member that fills the insertion groove after the support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지지부재가 케이싱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단계;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와 버스바가 결합되는 단계; 및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방법.
A step in which a support member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a casing;
A step of connecting the electrode leads and the busbar of the battery cell supported by the above-mentioned support memb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comprising a step of separating the support member from the insertion groov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방법.
In Article 7,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tep of joining the electrode lead and the bus bar by weld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부가 동력원에 결합되어 구동되면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방법.
In Article 7,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tep of inserting the insertion part of the support member into the insertion groove while being driven by being coupled to a power sour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분리된 후 마개부재가 삽입홈을 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방법.
In Article 7,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tep of filling the insertion groove with a plug member after the support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A battery pack compris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claim 6.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A battery pack comprising a battery module manufactured by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0.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A vehicle compris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6.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A vehicle including a battery module manufactured by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0.
KR1020180149944A 2018-11-28 2018-11-28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ctive KR1027149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944A KR102714945B1 (en) 2018-11-28 2018-11-28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944A KR102714945B1 (en) 2018-11-28 2018-11-28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792A KR20200063792A (en) 2020-06-05
KR102714945B1 true KR102714945B1 (en) 2024-10-07

Family

ID=71089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944A Active KR102714945B1 (en) 2018-11-28 2018-11-28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4945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8031B2 (en) * 2011-12-14 2014-08-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Battery connector system
EP3109925B1 (en) * 2014-03-31 2022-05-11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KR101902290B1 (en) 2016-12-30 2018-09-2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Connecting structure of bus-bar assembly for sensing voltage of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792A (en)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8216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US11342621B2 (en) Battery pack
KR100905393B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US20220271404A1 (en) Method for producing battery module
KR102212449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N107710451B (en) Battery pack
KR102165328B1 (en) Battery pack
US20190379016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JP2019512863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190016353A (en) Battery cell fram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1296367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ntaining same
CN114930631B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vehicle
KR102716343B1 (en) Battery housing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714945B1 (en)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714029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210009184A (en)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18035B1 (en)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5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