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14857B1 - Transparent mask for easy face recognition with real-tim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function - Google Patents
Transparent mask for easy face recognition with real-tim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14857B1 KR102714857B1 KR1020220020122A KR20220020122A KR102714857B1 KR 102714857 B1 KR102714857 B1 KR 102714857B1 KR 1020220020122 A KR1020220020122 A KR 1020220020122A KR 20220020122 A KR20220020122 A KR 20220020122A KR 102714857 B1 KR102714857 B1 KR 1027148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k
- face
- air
- filter
- transpar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41D13/1169—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using adhesiv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6—Indicators or warning devices, e.g. of low pressure, contamin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6—Thermosensitive pai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2—Radiation-absorbing pain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41D2500/52—Synthetic resins or rubbers in sheet form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41D2500/54—Synthetic resins or rubbers in coated form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사, 미세먼지, 세균 및 바이러스나 비말 등을 필터링하며, 상대방의 얼굴 인식이 가능하도록 코와 입 등이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보이는 투명한 보건용 안면 마스크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마스크 착용자의 발열상태를 시각적으로 인식이 용이하고, 장시간 마스크를 착용함에 있어서 마스크의 필터링 성능이 습기에 의하여 저하되지 않고, 호흡에 있어서 흡입저항이 증가하지 않도록 들숨과 날숨의 공기 흐름에 대하여 서로 다른 공기 채널과 공기 흐름 제어부를 구비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마스크 착용을 할 수 있는 마스크와 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parent health face mask that filters out yellow dust, fine dust, bacteria, viruses, droplets, etc., and in which the nose and mouth, etc. are easily visible so as to enable recognition of the face of the other party, wherein the fever status of the mask wearer can be easily recognized in real time, and the filtering performance of the mask is not reduced by moisture when the mask is worn for a long time, and the inhalation resistance is not increased when breathing, so as to provide a mask and its structure that enable more stable mask wearing by having different air channels and air flow control units for the air flows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시간 체온 측정 및 안면 인식이 가능한 투명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흡기를 통해서 미세먼지, 분진 및 비말 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안면 마스크에 있어서 코와 입 등의 얼굴 인식이 용이하도록 해당 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되고,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감염 등에 의하여 발열의 상태를 실시간 측정 가능하며, 체온 변화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mask capable of real-tim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and facial recogni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mask in which the nose and mouth, etc. are formed transparently to facilitate facial recognition in a face mask that blocks the inflow of fine dust, dirt, and droplets through the respiratory system, and which can measure the state of fever in real time due to infection with viruses or bacteria, etc., and easily check body temperature changes from the outside.
황사, 먼지, 미세먼지 및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호흡기를 통하여 체내에 유입되어서 다양한 질환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면 마스크를 사용하게 된다. 마스크의 기본 기능은 필터기능으로써,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를 사용하여 목표로 하는 이물질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걸러낸다. 공기 특정 이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미세하게 직조된 망을 통과시키거나 정전 현상을 발생시켜서 특정 물질에 집진 시키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다. 또한, 공기의 흐름을 이용한 싸이클론 현상을 통해서 미세먼지가 가지는 자중을 활용하여 해당 물질을 공기와 분리시키는 방식도 존재한다. 다양한 분리 방식이 존재하지만 각각의 방식에 따라서 그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구성이 요구된다. Face masks are used to prevent various diseases caused by yellow dust, dust, fine dust, bacteria, and viruses from entering the body through the respiratory system. The basic function of the mask is a filter, which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target foreign substances.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separating specific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such as passing them through a finely woven mesh or generating an electrostatic phenomenon to collect dust on a specific substance. 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separating the substance from the air by utilizing the self-weight of fine dust through a cyclone phenomenon using the flow of air. Although there are various separation methods, additional configuration is required to implement such a function depending on the method.
공기 중에 존재하는 유익한 요소들은 호흡기를 통해서 체내로 유입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적정 수준의 습기는 코나 목의 점막의 건조함을 막아 주는 요소이므로, 호흡에 있어서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대부분의 마스크에서 필요로 하는 필터기능은 메쉬 형태의 여러 겹의 막 형태를 가지되 각각의 막의 촘촘함이나 사용한 재질에 따라서 필터링하고자 하는 대상이나 그 크기가 결정된다. 또한, 공지된 필터의 성능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그러나 장시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터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즉, 호흡을 하면서 체열을 포함하여 코와 입을 통해서 습기가 필터에 부착되고, 결국은 그러한 습기가 필터의 간극을 더 조밀하게 하고, 호흡시 공기 저항을 증가시켜, 일정 시간 마스크를 사용하면 호흡곤란 또는 필요한 산소의 부족에 따른 답답함과 같은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습기가 필터의 메쉬에 맺히는 현상은 들숨과 날숨의 온도차이가 메쉬의 근처에서 발생함에 따라 가중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마스크의 구조에서는 마스크의 구조 자체의 재질이 필터소재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필터 소재 자체가 안면에 면접촉이 일어나고 실제 호흡에 따른 필터기능으로써 공기를 통과시키는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더욱이 들숨의 상태는 공기를 외부에서 마스크 내부로 유입하는 과정으로 필터가 안면에 밀착되면서 실제 필터링에 사용되는 필터의 표면적이 더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초기 사용시 필터의 재질은 친수성 소재가 아닌 소수성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습기 자체에는 강하여 호흡에 무리가 없는 편이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피부와의 접촉에 있어서도 얼굴의 3차원적인 유연한 곡면을 따라서 접촉이 되지 않은 상태로써, 호흡시에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얼굴과 필터간의 계면에서의 접촉하지 않고 들떠 있는 곳을 통해서 공기가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실질적인 마스크의 기본적인 기능에 있어서도 그 효과를 상실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Beneficial elements in the air must enter the body through the respiratory system. For example, an appropriate level of moisture is a factor that prevents the mucous membranes of the nose and throat from drying out, so it can be considered necessary for breathing. The filter function required by most masks is in the form of multiple layers of mesh membranes, but the target to be filtered or its size is determined by the tightness of each membrane or the material used.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standardized methods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known filters.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lter function deteriorates when used for a long time. That is, when breathing, moisture, including body heat, is attached to the filter through the nose and mouth, and eventually such moisture makes the gap in the filter tighter and increases air resistance when breathing, so that when using the mask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you feel discomfort such as difficulty breathing or a feeling of stuffiness due to a lack of necessary oxygen. This phenomenon of moisture condensing on the mesh of the filter can be aggravated a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halation and exhalation occurs near the mesh. In addition, in the structure of most masks, since the material of the mask structure itself uses filter material, the surface area of the filter material itself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ace, and the surface area that allows air to pass through the filter function according to actual breathing is relatively reduced. Furthermore, the state of inhalation is a process of bringing air from the outside into the mask, and as the filter adheres to the face, the surface area of the filter used for actual filtering is further reduced. In addition, when initially used, the material of the filter is hydrophobic rather than hydrophilic, so it is strong against moisture itself and is not difficult to breathe, but problems occur over time. In terms of contact with the skin, since it does not contact along the three-dimensional flexible curve of the face, there is a problem that air is drawn in through the floating part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face and the filte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lter during breathing, and the problem of losing its effectiveness in terms of the basic function of the actual mask also occurs.
또한, 기존의 마스크를 착용하는 시점이나 시간은 일시적인 상황에 따라서 착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경우에 따라서 일상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통상적인 대화 중에도 마스크를 착용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호 대화에 있어서 불편함이나 상대방의 표정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마스크의 재질을 투명한 소재를 사용하여 코와 입이 상대방에게 잘 보이도록 하는 제품이 등장을 하였다. 대부분 코와 입이 잘 보이는 투명재질로 만들고 마스크의 일측에 별도의 필터를 배치하게 된다. 내부에는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 등을 통해서 통상의 투명재질에서 발생하는 김서림 문제를 해결하기도 하고, 별도의 김서림 방지 필름을 부착하기도 한다. 그러나 전면의 코와 입 주변부를 투명 소재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호흡에 필요한 필터링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턱이나 측면에 필터들을 배치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설치되는 경우, 대부분 필터부의 크기나 보조기구 등에 의하여 무게가 증가하여 마스크의 전체 무게를 증가시키게 된다. 증가된 무게는 착용감을 저하시키고 증가된 무게를 지탱하기 위하여 보다 견고한 부착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체크벨브 형태로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마스크 사용자의 비말을 포함하는 공기 배출이 이루어져, 바이러스 등의 감염예방에 문제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존재한다. In addition, the timing and time of wearing existing masks were mostly temporary situations, but in some cases, there are situations where continuous use is required in daily life, and masks are worn even during normal conversations. In such cases, inconvenience occurs in mutual conversations or problems arise in accurately recognizing the other person's facial expressions. To solve this problem, products that use transparent materials to make the nose and mouth visible to the other person have appeared. Most of them are made of transparent materials that make the nose and mouth visible and have separate filters placed on one side of the mask. The inside is coated to prevent fogging, etc. to solve the fogging problem that occurs with conventional transparent materials, and a separate anti-fogging film is attached. However, since transparent materials are used around the nose and mouth on the front, when components are installed to place filters on the chin or side to supplement the filtering function necessary for breathing, the weight increases due to the size of the filter part or auxiliary devices, increasing the overall weight of the mask. The increased weight reduces the feeling of wearing, and a more sturdy attachment method is needed to support the increased weight. In some cases, air containing the mask user's droplets may be discharg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lter in the form of a check valve, which may cause problems in preventing infection with viruses and other substance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황사, 미세먼지 및 세균이나 비말 및 바이러스 등을 필터링하며, 상대방의 얼굴 인식이 가능하도록 코와 입 등이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보이는 투명한 보건용 안면 마스크에 있어서, 장시간 착용함에 있어서 마스크의 필터링 성능이 습기에 의하여 저하되지 않고, 착용중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발열상태를 시각적 방법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인식이 가능한 보건용 안면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마스크의 제조방법과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이는 일 예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ask and a structure for providing a transparent health face mask that filters at least yellow dust, fine dust, bacteria, droplets, viruses, etc., and in which the nose and mouth, etc. are easily visually visible so as to enable recognition of the face of the other party, wherein the filtering performance of the mask is not reduced by moisture when worn for a long time, and the health face mask can recognize the fever status of the wearer in real time by various methods including a visual method while wor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는 호흡기를 통해서 미세먼지, 분진 및 비말 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보건용 안면 마스크에 있어서 코와 입 등의 얼굴 인식이 용이하도록 해당 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고 얼굴의 윤곽을 따라 형성된 마스크 전면부와,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소정의 크기의 홀이 형성된 공기중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를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두개의 필터 수용부와, 상기 필터 수용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두개의 필터와, 상기 필터 수용부는 상기 마스크 내로 유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가 서로 다른 필터를 통해서 유입과 배출이 되도록 하는 일방향 공기 흐름 제어부를 가지고,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적어도 일측의 가장 자리에는 상기 마스크 착용자의 얼굴에 상기 마스크를 고정하기 위한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의 내측 일측에 배치되고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감염 등에 의하여 인체 특히 머리의 발열 상태를 실시간 측정을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싱부와, 상기 온도 센싱부의 센싱된 온도가 설정된 범위에 있는 경우 시각적으로 변화되는 온도 표시부와,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가장자리에는 사용자의 얼굴 윤곽을 따라 접촉되고 하이드로젤, 점착제, 폴리에틸렌폼, 아크릴 폼 또는 고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로 구성된 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건용 투명 안면 마스크가 제공된다.An examp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lth face mask for blocking the inflow of fine dust, dust, and droplets through the respiratory organ, wherein the front of the mask is formed along the contour of the face, such that the nose and mouth ar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 easy facial recognition, at least two filter receiving portions for accommodating filters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each filter having a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of the mask, at least two filters disposed in the filter receiving portions, and the filter receiving portion has a unidirectional airflow control portion for allowing air flowing into and exhausting air to flow in and out through different filters, and at least one edge of the front of the mask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portion for fixing the mask to the face of the wearer of the mask, and at least one temperature sensing portion disposed on one inner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for measuring in real time the fever state of the human body, particularly the head, due to infection with a virus or bacteria, and a temperature display portion that visually changes when the sensed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sensing portion is within a set range, and an edge of the front of the mask that comes into contact along the contour of the user's face and includes hydrogel, A transparent face mask for health purposes is provided, comprising a contact portion made of one or more of adhesive, polyethylene foam, acrylic foam, or rubber.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마스크를 사용자의 안면 착용자의 귀, 머리 등에 신축성 있도록 걸어서 고정하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적어도 일부가 탄성부로 이루어진 밴드이거나, 얼굴의 특정 부위에 점착되어 상기 마스크가 이탈되지 않도록 표면에 점착성분을 가지는 접착부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필터는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설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에이트 수지, 폴리스틸렌 수지, 폴리아크릴산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마스크 전면부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스티렌(ABS), 결정성 폴리에틸렌(APET),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SA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투명 고분자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마스크의 일 표면에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살리실레이트계, 시아노아크릴계, 옥사닐이드계, 힌더드아민계, 및 금속착염계 광안정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UV 차단 또는 흡수물질을 포함하는 보호막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내측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 습기, 김서림 방지를 위한 소수성 표면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nsion part may be a band at least partially made of elastic parts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to elastically hang the mask on the wearer's face, such as the ear or head, or an adhesive part having an adhesive component on the surface to prevent the mask from coming off by being adhered to a specific part of the face, and the filter may be ma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mide resin, polysulfone resin, polyurethane resin, polyvinylidene difluoride resin,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olystyrene resin, polyacrylic acid resin, and mixtures thereof, and the front part of the mask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polymer fil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onitrile-butadiene styrene (ABS), crystalline polyethylene (APET), styrene acrylonitrile butadiene (SA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polyethylene, and one surface of the mask may be coated with a benzophenone-based, benzotriazole-based, salicylate-based, cyanoacrylic-based, oxanilide-based, A protective film comprising at least one UV-blocking or absorbing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indered amine-based and metal complex salt-based light stabilizers may be formed, and a hydrophobic surface coating layer for preventing moisture and fogging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sk.
상기 기재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서, 실내외의 다양한 신체 활동에 있어서 장시간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는 상황에서 인체가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발열이 일어난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이 될 수 있도록 접촉방식으로 체온의 변화를 감지하고 설정된 온도의 영역내에서의 특정한 표시를 하여 실시간으로 타인이 본 마스크 착용자의 발열상태를 별도의 측정이나 장치 없이 착용한 마스크의 일 부분에서 용이하게 인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투명 마스크의 특성상 상대적으로 필터의 표면적이 작아서 호흡이 어렵거나, 장시간 사용에 따른 착용자의 호흡과정에서 발생하는 습기나 온도차이 등에 의하여 필터의 성능이 저하되어 호흡이 곤란하거나, 산소 부족에 의한 불편함, 건강문제 등이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고, 얼굴 인식이 용이한 투명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함에 있어서 상기한 불편함 들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situations where a health mask must be worn for a long time during various indoor and outdoor physical activities depending on various situations, the state in which the body temperature is generated due to various factors can be continuously observed by detecting changes in body temperature by contact and displaying a specific mark within a set temperature range, so that others can easily recognize the state of the fever of the mask wearer in real time without a separate measurement or device from a part of the mask worn.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ransparent masks, the surface area of the filter is relatively small, making it difficult to breathe, or problems such as difficulty in breathing due to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being reduced by moisture or temperature differences generated during the breathing process of the wearer due to long-term use, discomfort due to lack of oxygen, health problems, etc. can be prevented, and the above-mentioned inconveniences when wearing a transparent mask with easy facial recognition for a long time can be resolved.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전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설명과 도면의 내용을 참작하여 유추할 수 있는 모든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nd may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by referr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contents of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마스크 착용 상태의 얼굴 옆모습과 주요 기능부의 위치를 나타내고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공기 채널의 필터의 형태 및 필터 수용부와 들숨에 의한 공기의 흐름과 평면 및 투영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공기 채널의 필터와 필터 수용부의 측면으로써 뒤쪽에서 보여지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공기 채널의 일방향 공기 흐름 제어부에서 열린상태와 닫힌 상태의 공기 유동의 형태를 단면과 사시도 형태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공기 채널의 필터와 필터 수용부의 단면으로써 들숨에 의하여 일방향 공기 흐름제어부의 박막이 열려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과 필터와 필터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공기 채널의 필터 형상과 필터 및 일방향 공기 흐름 제어부의 박막이 날숨에 의하여 열려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흐르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공기 채널의 필터 형상과 필터 및 일방향 공기 흐름 제어부의 박막이 날숨에 의하여 열려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흐르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와 온도 센싱부 및 온도 표시부의 대략적인 예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1 is a drawing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ide view of the face and the locations of major functional parts while wearing a transparent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ir flow.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shape of a filter of a first air chann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ter receiving portion, and a flow of air by inhalation, in plan and projection form.
FIG. 3 is a schematic drawing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lter and a filter receiving portion of a first air chann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rear.
FIG. 4 is a schematic drawing showing the form of air flow in open and closed states in a one-way air flow control unit of a first air chann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ross-sectional and perspective views.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lter and a filter receiving portion of a first air chann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membrane of a one-way air flow control portion is opened by inhalation to allow air to flow inward, and a schematic drawing of the filter and the filter housin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ilter shape of a second air chann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mbrane of the filter and the one-way air flow control unit being opened by exhalation so that the air inside flows to the outside.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ilter shape of a second air chann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hin film of the filter and the one-way air flow control unit being opened by exhalation so that the air inside flows to the outside.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ugh example of an extension section, a temperature sensing section, and a temperature display s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has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In the following example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terms used in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following exampl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specify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s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는 호흡기를 통해서 미세먼지, 분진 및 비말 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보건용 안면 마스크에 있어서 코와 입 등의 얼굴 인식이 용이하도록 해당 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고 가장자리가 얼굴의 윤곽을 따라 형성되고 코와 입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마스크 전면부,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소정의 크기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를 수용하는 필터 수용부, 상기 필터의 수용부 인근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마스크 전면부 내측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서로 다른 필터의 영역을 통과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공기 채널, 상기 필터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채널에 있어서 공기 유동을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일방향 공기 흐름 제어부,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적어도 일측의 가장 자리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얼굴에 상기 마스크를 고정하기 위하여 대칭된 위치에 있는 적어도 두개의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내측의 일측에 머리의 발열 상태를 실시간 측정을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싱부, 상기 온도 센싱부의 센싱된 온도가 설정된 범위에 있는 경우 시각적으로 변화되는 온도 표시부,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사용자의 얼굴 윤곽을 따라 접촉되도록 하이드로젤, 점착제, 폴리에틸렌폼, 아크릴 폼 또는 고무, 실리콘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로 구성된 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건용 투명 안면 마스크를 제시한다.An examp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lth face mask that blocks the inflow of fine dust, dust, and droplets through the respiratory organ, comprising: a front part of the mask in which the nose and mouth, etc. ar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 easy facial recognition, the edges are formed along the contour of the face, and the nose and mouth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at least one filt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ront part of the mask; a filter receiving par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ront part of the mask and having a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formed to receive the filter; at least two air channels disposed near the receiving part of the filter so that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front part of the mask and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pass through different filter regions; a unidirectional air flow control par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lter and controlling air flow in the air channel to flow in one direction; at least two extension parts disposed at an edge of at least one side of the front part of the mask and having symmetrical positions to fix the mask to the face; at least one temperature sensing part for measuring the fever state of the head in real time on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extension part; A transparent face mask for health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mperature display section that changes visually when the sensed temperature is within a set range, and a contact section made of one or more materials including hydrogel, adhesive, polyethylene foam, acrylic foam, rubber, or silicone so as to come into contact along the contour of the user's face along the edge of the front part of the mask.
일 예시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서로 반대 방향의 공기 유동에 대하여 상기 제어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분리 배치되어 상기 마스크 전면부 내측으로의 공기 유입시와 배출시의 기능이 구분이 될 수 있다. 상기한 서로 다른 공기의 유동에 대하여 동일한 하나의 필터에 대하여 기구적으로 분리된 공기 채널을 따라서 유동이 일어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공기 흐름 채널을 구비하여 착용자의 호흡에 의하여 날숨과 들숨에 의하여 각각 채널이 열려져서 일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갖도록 한다. In one example, the filters may be separately arranged in front or behind the control unit for airflow in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 functions of air intake and exhaust into the front of the mask can be distinguished.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flow of different airflows to occur along mechanically separated air channels for the same single filter. Preferably, at least two airflow channels are provided so that the channels are opened by the wearer's exhalation and inhalation to allow airflow in one direction.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마스크를 사용자의 안면 착용자의 귀, 머리 등에 신축성 있도록 걸어서 상기 마스크 전면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길이 조정이 가능하며, 적어도 일부가 탄성부로 이루어진 밴드이거나, 얼굴의 특정 부위에 점착되어 상기 마스크가 이탈되지 않도록 표면에 점착성분을 가지는 점착부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밴드를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일측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nsion part can be adjusted in length to elastically hang the mask on the wearer's face, ears, head, etc., and fix the front part of the mask, and may be a band at least partially made of elastic parts, or may be composed of an adhesive part having an adhesive component on the surface so that the mask is adhered to a specific part of the face and does not come off,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part for connecting the band to one side of the front part of the mask.
상기 필터는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설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에이트 수지, 폴리스틸렌 수지, 폴리아크릴산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마스크 전면부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스티렌(ABS), 결정성 폴리에틸렌(APET),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SA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투명 고분자 필름, 키토산, 투명 실리콘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마스크의 일 표면에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살리실레이트계, 시아노아크릴계, 옥사닐이드계, 힌더드아민계, 및 금속착염계 광안정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UV 차단 또는 흡수물질을 포함하는 보호막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내측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 습기, 김서림 방지를 위한 소수성 표면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filter may be composed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mide resin, polysulfone resin, polyurethane resin, polyvinylidene difluoride resin,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olystyrene resin, polyacrylic acid resin, and mixtures thereof, and the front part of the mask may be composed of a transparent polymer film, chitosan, a transparent silicone material, etc.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onitrile-butadiene styrene (ABS), crystalline polyethylene (APET), styrene acrylonitrile butadiene (SA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polyethylene, and a protective film including one or more UV-blocking or absorbing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nzophenone-based, benzotriazole-based, salicylate-based, cyanoacrylic-based, oxanilide-based, hindered amine-based, and metal complex salt-based light stabilizers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sk, and moisture and fogging prevention may be provid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art of the mask. A hydrophobic surface coating layer can be formed.
상기 연장부는 얼굴에서 안면 근육이나 턱관절 등의 움직임이 최소화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상기 연장부의 위치는 눈과 귀의 연장선 상에서의 중간부근 지점이 바람직하다. 이 부분은 통상적으로 비접촉식 체온 측정을 함에 있어서 용이한 위치이기도 하다. 상기 연장부의 일측에는 목, 머리 및 귀에 걸이를 걸기 위한 홀이나 돌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연장부의 내측에는 피부에 임시적으로 부착이 될 수 있는 점착성분으로 된 점착부를 형성하여 별도의 걸이 없이 상기 마스크가 안면에 대하여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한 격한 운동이나 노래를 하거나 강연 등 입의 움직임이 큰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밴드나 끈을 사용하여 보조적인 고정을 시킬 수 있다. 통상적인 대화나 턱의 움직임에는 해당 위치에서의 상기 점착부에서의 접착력으로 상기 마스크를 안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연장부의 내측에는 상기한 온도 센싱부가 배치될 수 있는 바, 실시간 안면과 지속적으로 접촉이 되어 있고, 안면 근육이나 관절의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서 발열에 의한 체온의 변화를 용이하게 센싱을 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부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어 좌뇌와 우뇌 간의 발열이 상이한 경우가 존재함으로 발열의 수준을 보다 정확하게 관찰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온도를 센싱하기 위해서는 감열화학 셀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피부에 접촉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체온에 따라서 발열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를 할 수 있게 한다. 예시적으로 36.5℃ 내지 37℃에서는 녹색이나 청색표시, 37.1℃ 내지 37.5℃에서는 노란색이나 주황색, 37.5℃이상에서는 적색 등과 같이 통상적으로 위험신호를 나타내는 3가지의 색으로 발열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바이러스 등에 의한 감염이나 독감 등 전염성이 있는 질환의 경우 발열, 기침, 인후통, 두통, 근육통 및 위장계통의 메스꺼움, 구토 및 설사와 같은 증상들이 대략적인 순서를 따라 발현이 되는 경우가 존재함으로 초기에 발열에 의한 변화를 실시간으로 인지하여 다중 시설이나 대화 중의 상대방의 발열상태를 용이하게 관찰을 할 수 있게 한다. 즉,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및 전파를 방지하게 위해서 다중 시설인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요양시설, 병원, 각종 행사장, 전시장, 공항 및 대중교통 등의 사용에 있어서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가 되는 상황에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별도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을 피부에 부착하는 것도 번잡스러운 일이 된다. 따라서 마스크를 착용하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마스크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체온측정 수단에 의하여 자가진단 또는 근거리의 타인이 용이하게 발열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다루었으나, 신체의 이상현상 및 병변, 기타 바이러스나 세균과 같이 병원체에 의하여 나타나는 변화를 센싱하고 이를 표시하는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과 응용이 가능하다.The above extension is preferably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movement of facial muscles or jaw joints, etc. on the face is minimized.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is preferably at a point near the middle of the extension line between the eyes and ears. This part is also a position that is usually easy to use for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One side of the extension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hole or a protrusion for hanging a hook on the neck, head, and ears. An adhesive part made of an adhesive component that can be temporarily attached to the skin may b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extension so that the mask can be fixedly installed on the face without a separate hook. In this case, when the mouth moves significantly, such as during strenuous exercise, singing, or lecturing, a band or string may be additionally used for auxiliary fixation. In normal conversation or jaw movement, the mask can be fixed to the face by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part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may be arranged on the inner side of the above-mentioned extension, so that it is in continuous contact with the face in real time, and can easily sense the change in body temperature due to fever in a place where the movement of facial muscles or joints is relatively low. Preferably, it is arranged on each side of the above-mentioned extension, so that there is a case where the fever is different between the left and right brain, so that the level of fever can be observed more accurately. A thermosensitive chemical cell can be used to sense the temperature. This can visually display the fever status according to the body temperatur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contacting the skin. For example, the fever status can be visually displayed in three colors that typically indicate a danger signal, such as green or blue at 36.5℃ to 37℃, yellow or orange at 37.1℃ to 37.5℃, and red at 37.5℃ or higher.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infections caused by viruses or contagious diseases such as influenza, symptoms such as fever, cough, sore throat, headache, muscle pain, and nausea, vomiting, and diarrhea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re usually expressed in a rough order, so that changes due to fever can be recognized in real time at an early stage, making it easy to observe the fever status of a person in a multi-purpose facility or a conversation partner. In other words, in a situation where wearing a mask is mandatory in multi-purpose facilities such as daycare centers, kindergartens, schools, nursing homes, hospitals, various event halls, exhibition halls, airports, and public transportation in order to prevent infection and transmission by viruses, it is also cumbersome for users to attach a separate means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to their skin. Therefore, in general situations where masks are worn, it is desirable to easily check the fever status by self-diagnosis or by others in close proximity using a means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mask. This embodiment deals with visually displaying changes in temperature, but it can be modified and applied to various embodiments that sense and display changes caused by pathogens such as abnormalities and lesions of the body, other viruses, or bacteria.
또한 연장부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과 자성체를 배치하거나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진 자석이 배치 되어 상기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자력에 의하여 두개의 연장부가 부착이 되어서 외부로부터 오염을 막고,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magnet and a magnetic body ar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or magnets with different polarities are arranged, so that when the mask is not in use, the two extensions are attached by magnetic force,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from the outside and facilitating storage.
통상적으로 피부와의 접촉면은 의료용 하이드로 겔 등을 사용하여 피부와의 부작용없이 지속적인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온도 센싱부와 점착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마스크 전면부를 안면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갖게 할 수 있게 된다. 투명한 재질의 마스크 전면부를 통해서 온도 센싱부의 온도가 구간별 설정된 온도구간에서는 특정한 색상을 나타내도록 구성이 될 수 있다. 온도에 따른 색상의 변화를 표시하는 방법이나 물질로는 감온 잉크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예시와 같이 적어도 3가지의 온도 분포에 따라서 서로 다른 색이 나타나도록 이온안료, 바인더 수지, 유기용매 등을 주원료로 하여 소정의 배합에 따라서 서로 다른 온도의 범주에서 서로 다른 색이 발현되도록 조성비를 다르게 한 것을 분리하여 각각 배치하거나, 동심원을 그리며 분리배치 되거나, 혼합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Typically,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skin can be maintained in continuous contact without side effects with the skin by using medical hydrogel, etc.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sensing part and the adhesive part can be configured as an integrated unit so that the function of fixing the front part of the mask to the face can be simultaneously provided. The front part of the mask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sensing part displays a specific color in a temperature range set for each section. A thermosensitive ink composition can be used as a method or material for indicating a change in color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as in the example above, ionic pigments, binder resins, organic solvents, etc. as main ingredients can be separated and arranged separately, or arranged separately in a concentric circle, or arranged in a mixed form so that different colors are expressed in different temperature categori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ixing ratio so that different colors appear according to at least three temperature distributions.
상기한 서로 다른 공기 흐름을 위한 두개의 채널은 내부의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상기 일방향 공기흐름 제어부에 설치될 수 있는 박막이 용이하게 열리고 공기의 흐름이나 압력의 변화가 없는 경우는 고유의 탄성력에 의하여 최초의 형상을 복원하여 공기의 흐름이 제어될 수 있다. 들숨의 경우는 해당 시점에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제1 채널의 입구의 박막이 내부 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하여 외부의 공기가 용이하게 들어와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마스크 전면부와 얼굴과의 이격된 사이로 공기 흐름이 발생하고 최종 코나 입으로 공기가 흐르게 된다. 이 때에 제2 채널의 박막은 내부의 압력이 낮고 외부의 대기압이 높은 상태로 해당 박막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는 제1 채널을 통해서 유입이 된다. 반대로 날숨의 경우에는 내부의 공기압이 높아지면서 제1채널의 박막은 고유 탄성력에 의하여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제2 채널의 박막이 열리게 된다. 따라서 열려진 제2채널을 통해 날숨은 필터를 거쳐서 상기 열려진 박막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이 된다. 이로써 들숨과 날숨에 있어서 공기의 흐름은 각각 서로 다른 공기 채널을 통하여 유입과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일방향으로 공기가 흐름으로 인해서 해당 필터의 주변 온도는 변화가 작아서 습기나 이슬 맺힘이 생기는 것이 억제가 되어서 필터의 기능을 장시간 유지하게 된다. 날숨의 경우는 감염자인 경우는 날숨에 비말과 함께 바이러스가 함께 배출될 위험이 존재함으로 비말을 필터링해 주는 등 두 채널의 필터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도록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two channels for the above-mentioned different airflows are easily opened by the membrane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one-way airflow control unit by the internal airflow, and when there is no change in the airflow or pressure, the membrane restores its original shape by its own elasticity, so that the airflow can be controlled. In the case of inhalation, when the internal pressure decreases at that time, the membrane at the entrance of the first channel generates a moment in the direction of the inside, so that the outside air easily enters, passes through the filter, and airflow occurs between the front part of the mask and the face, and finally the air flows to the nose or mouth. At this time, the membrane of the second channel maintains a closed state while the internal pressure is low and the external atmospheric pressure is high. Therefore,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channel.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xhalation, when the internal air pressure increases, the membrane of the first channel maintains a closed state by its own elasticity, and the membrane of the second channel opens. Therefore, the exhaled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 through the opened membrane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ed second channel. In this way, the airflow during inhalation and exhalation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through different air channels, respectively. Since the air flows in one direction, the surrounding temperature of the filter changes little, so moisture or dew formation is suppressed, and the filter function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In the case of exhalation, there is a risk that the virus will be discharged together with droplets in the exhalation of an infected person, so the filters of the two channels can be arranged to have different functions, such as filtering droplets.
이하 도면 1 내지 8도를 사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을 한다.A more detailed explanation is provided using drawings 1 to 8 below.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로서 호흡기를 통해서 미세먼지, 분진 및 비말 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보건용 안면 마스크에 있어서 코와 입 등의 얼굴 인식이 용이하도록 해당 부분이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 마스크(100)로써 가장자리가 얼굴의 윤곽을 따라 형성되고 코와 입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마스크 전면부(110)와, 상기 마스크 전면부(1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중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150)와 상기 마스크 전면부(1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소정의 크기의 홀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필터를 수용하는 필터 수용부(120)와, 상기 필터 수용부(1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마스크 전면부 내측으로 유입되는 외부 흡입(Breathing intake, 이하 BI라 함)공기와 호흡에 따라 외부로 배출(Breathing out, 이하 BO라 함)되는 공기가 서로 다른 필터 영역을 통해서 유동이 되도록 일방향 공기 흐름 제어부(160)를 가지고, 상기 일방향 공기 흐름 제어부는 호흡시에 발생하는 상기 마스크 전면부 내측의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제어되는 개략적인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측면에서 바라보는 마스크에 있어서 연장부(330)의 위치와 상기 연장부 영역에 돌기부(400), 온도센싱부(320) 및 온도 표시부(31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외부 흡입 공기는 제1 공기 채널(130)과 제2 공기 채널(230)의 위치가 대략적으로 나타나 있다.1 and 2 are illustratio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sk (100) in which the nose and mouth, etc. ar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relevant parts are easily recognized as a face in a health face mask that blocks the inflow of fine dust, dust, and droplets through the respiratory organ, the mask having a front part (110) of the mask in which the edges are formed along the contour of the face and the nose and mouth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filter (150) for filtering at least one foreign substance in the air, which is arranged on one side of the front part (110) of the mask, a filter receiving part (120)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of a predetermined size are formed and which receives the filter, and a one-way air flow control part (160) arranged in the filter receiving part (120) so that the external intake (Breathing intake, hereinafter referred to as BI) air that is drawn into the front part of the mask and the air tha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breathing (Breathing out, hereinafter referred to as BO) flow through different filter areas, the one-way air flow control part having The airflow control section shows a schematic feature controlled by the airflow inside the front part of the mask that occurs during breathing. In the mask viewed from the side,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section (330) and the protrusion section (400), temperature sensing section (320), and temperature display section (310) are arranged in the extension section area. The above-mentioned external intake air roughly shows the positions of the first air channel (130) and the second air channel (230).
도 2에서 제1 공기 채널(130)의 단면 구조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 바, 지그재그로 접혀진 필터(150)가 수납되는 필터 수용부(120)와 다수개의 유연성 박막(165)으로 이루어진 일방향 공기 흐름 제어부(160)가진다. 들숨에 의한 흡입력에 의하여 박막들(165)이 내측으로 밴딩이 되어서 열려진 틈을 따라서 제1 공기 채널이 형성되어서 BI유로가 만들어진다. 상기한 박막(165)는 공기의 유동이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일방향 공기 흐름 제어가 용이하도록 박막의 자중이나 고유의 소정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1 공기 채널이 닫혀진 상태가 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진다. 즉, 들숨에 의한 공기 유동이 발생하고 마스크 전면부(110)의 내부의 공기압이 낮아지게 되는 경우에만 상기한 박막(165)들이 밴딩이 되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이 된다. 반대로 날숨에 의하여 상기 마스크 전면부 내측의 공기 유동이 발생하고 압력이 높아지거나 지는 경우 또는 공기 유동이 없는 경우에는 닫혀 있게 된다.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first air channel (130) shown in FIG. 2 is characterized by a filter receiving portion (120) in which a zigzag-folded filter (150) is accommodated, and a one-way air flow control portion (160) formed of a plurality of flexible thin films (165). The thin films (165) are bent inward by the suction force due to inhalation, and a first air channel is formed along the opened gap, thereby creating a BI path. The thin films (165) are controlled so that the first air channel is closed by their own weight or inherent elastic force when there is no air flow, so that the one-way air flow control is easy. That is, only when air flow due to inhalation occurs and the air pressure inside the front part (110) of the mask is lowered, the thin films (165) are bent, allowing outside air to flow inside. Conversely, when airflow inside the front part of the mask occurs due to exhalation and the pressure increases or decreases, or when there is no airflow, it remains closed.
도 3 내지 도 5는 제1 공기 채널(130)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상기한 유연상 박막이 들숨에 의하여 열리고 닫힘의 상태를 나타난 도면이다. 도면과 같이 제1 공기 채널은 측면에서 볼 때에 공기 유로가 얼굴 뒷부분에서 유입이 되도록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이 되어 있다. 대화나 바람이 불어와도 외부의 공기 중의 이물질이나 비말 등이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다수의 박막(165)들을 지지하는 지지부(170)이 상기 마스크 전면부와 일체적으로 또는 모듈 형태로 배치가 되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마스크 전면부와 같은 재질로 금형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제1 필터(150)과 필터의 형태를 유지하는 제1 필터형상지지부(180)와 일체형으로 만들어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유연성 박막은 도4 또는 도 5와 같이 밴딩되는 방향을 동일하지만 90도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다. 마스크 착용자의 들숨에 의하여 외부의 공기 압력이 낮아짐과 동시에 상기한 박막이 내측으로 벤딩이 되면서 서로 가장자리가 접촉하여 공기 채널이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가 되는 개략적인 모습이 도 5에 표현이 되어 있다. FIGS. 3 to 5 schematically illustrate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air channel (130) and illustrate the state in which the flexible membrane described above opens and closes by inhalation.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first air channel is formed so that the air path faces rearward when viewed from the side so that it can be introduced from the back of the face. This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or droplets in the external air from being directly introduced even when a conversation or wind blows. A support member (170) supporting a plurality of membranes (165) is arranged integrally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mask or in a module form. Preferably, it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mask by a mold using the same material as the front surface of the mask. In another embodiment, it can be arranged integrally with the first filter (150) and the first filter-shaped support member (180) that maintains the shape of the filter. The flexible membrane described above can be arranged so that the bending direction is the same as that of FIG. 4 or FIG. 5, but rotated 90 degree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how the external air pressure decreases as the mask wearer breathes in, causing the above-mentioned thin film to bend inward and their edges to contact each other, thereby changing the air channel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is shown in Figure 5.
도 6 내지 도 7은 제2 공기 채널(230)을 구성하기 위한 제2 필터(250)의 대략적인 형태와 상기 필터(250)의 외형을 지지하기 위한 제2 형상지지부(280)와 일방향 공기 흐름 제어부의 배치 관계를 간략하게 그린 도면이다. 제2 공기 채널은 마스크 착용자가 날숨 작용에 의하여 마스크 전면부 내측의 공기 압력이 높아 지거나, 공기의 유동이 상기 박막 방향으로 발생하게 될 때에 상기 박막은 고유의 탄성력에 의하여 펴 있는 상태에서 외측 방향으로 벤딩이 발생하면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이 되도록 한다. 즉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이동은 하지만 외부의 공기가 내측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상기한 박막이 공기의 흐름을 일방향으로 제어를 하게 된다. 이로써 제2 공기 채널은 착용자의 호흡에 의한 날숨으로 열기와 습기 및 호흡한 공기가 외부로 나가도록 하게 된다. 상기한 설명과 같이 박막은 동일한 벤딩 방향을 유지하면서 90도 회전하여 설치될 수 있다.FIGS. 6 and 7 are schematic drawings of the general shape of the second filter (250) for forming the second air channel (230) and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second shape support member (280) for supporting the outer shape of the filter (250) and the one-way air flow control member. When the air pressure inside the front of the mask increases due to the exhalation of the mask wearer or the air flow occurs in the direction of the thin film, the second air channel causes the thin film to bend outward while in an unfolded state due to its own elasticity, thereby allowing the air insid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other words, the air inside moves to the outside, but the thin film controls the air flow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outside air cannot flow in. As a result, the second air channel allows the heat, moisture, and breathed ai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due to the exhalation of the wearer. As described above, the thin film can be installed by rotating 90 degrees while maintaining the same bending direction.
상기한 제1, 2 공기 채널을 구성하는 요소에서 상기한 필터들은 주요 기능이 상이하므로 기능에 최적화된 필터의 구조와 성능을 가지도록 각각 구성이 될 수 있다. 예컨데 제1 공기 채널의 필터는 통상의 부직포 필터로 3~4중으로 순차적으로 이물질의 크기나 형태, 집진이나 필터링 방식에 의하여 다양하게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1회용 보건용 마스크의 필터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추가적으로 활성탄과 같은 냄새 필터링을 추가 하거나 다른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 더욱이 필터의 형상에 대하여 외력이 가해지거나 피부에 접촉되지 않는 구조적 특성을 가지므로 다양한 필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2 공기 채널은 공기의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기능이 필요없이 비말이나 습기 등이 집적적으로 외부로 배출이 되지 않도록 필터링하는 기능 중심으로 필터의 특성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통상 유입되는 공기는 습기가 낮고, 배출되는 공기는 습기를 더 많이 가지는 특성이 있으므로 습기를 용이하게 흡습하고 자연 건조되어 외부로 직접적인 비말이 유출되지 않도록 설계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구조적 특징은 도 5 및 도 6에서 필터(150, 250)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접혀져 있어서 전체적으로 호흡에 필요한 공기가 필터를 통과할 때의 기본적인 저항에 따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그림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적인 마스크에서 통상적으로 필터가 불투명한 특성을 가지므로 이를 전면에서 볼 때에 최소한으로 얼굴을 가리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형태가 바람직하다.Among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air channels, the filters described above have different main functions, and therefore can be configured to have a structure and performance of a filter optimized for the function. For example, the filter of the first air channel can be configured to implement the function of a filt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hat is drawn in from the outside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size or shape of the foreign substances, dust collection or filtering method, in 3 to 4 layers as a normal non-woven filter. This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a filter of a normal disposable health mask, and additionally, odor filtering such as activated carbon can be added or other functionality can be provided. Furthermore, since the shape of the filter has a structural characteristic that does not apply external force or come into contact with the skin, various filter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he second air channel can be used by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to focus on the function of filtering so that droplets or moisture are not collectiv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the function of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Since the air being inhaled usually has low moisture content and the air being exhaled usually has more moisture content, it is possible to design a filter that easily absorbs moisture and dries naturally so that droplets do not directly leak out to the outside. The structural feature of the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folded in a zigzag shape like the filter (150, 250) in FIGS. 5 and 6, so that it is preferably configured in a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basic resistance when the air required for breathing passes through the filter as a whole. Since the filter usually has an opaque characteristic in the overall mask, such a shape is preferable in order to cover the face to a minimum when viewed from the front.
상기한 서로 다른 공기 흐름을 위한 두개의 채널(130, 230)은 내부의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상기 일방향 공기흐름 제어부(160, 260)에 설치될 수 있는 박막이 용이하게 열리고 공기의 흐름이나 압력의 변화가 없는 경우는 고유의 탄성력에 의하여 최초의 형상을 복원하여 공기의 흐름이 제어될 수 있다. 들숨의 경우는 해당 시점에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제1 채널의 입구의 박막이 내부 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하여 외부의 공기가 용이하게 들어와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마스크 전면부와 얼굴과의 이격된 사이로 공기 흐름이 발생하고 최종 코나 입으로 공기가 흐르게 된다. 이 때에 제2 채널의 박막은 내부의 압력이 낮고 외부의 대기압이 높은 상태로 해당 박막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는 제1 채널을 통해서 유입이 된다. 반대로 날숨의 경우에는 내부의 공기압이 높아지면서 제1채널의 박막은 고유 탄성력에 의하여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제2 채널의 박막이 열리게 된다. 따라서 열려진 제2채널을 통해 날숨은 필터를 거쳐서 상기 열려진 박막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이 된다. 이로써 들숨과 날숨에 있어서 공기의 흐름은 각각 서로 다른 공기 채널을 통하여 유입과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일방향으로 공기가 흐름으로 인해서 해당 필터의 주변 온도는 변화가 작아서 습기나 이슬 맺힘이 생기는 것이 억제가 되어서 필터의 기능을 장시간 유지하게 된다. 날숨의 경우는 감염자인 경우는 날숨에 비말과 함께 바이러스가 함께 배출될 위험이 존재함으로 비말을 필터링해 주는 등 두 채널의 필터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도록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서로 다른 기능의 예시에는 공기 유입부에서는 외부 공기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고, 공기 배출이 되는 날숨이 지나가는 곳에서는 마스크 착용자의 신체 내부에서의 이상현상을 각각 분리하여 센싱을 하고 이를 다양한 형태로 표시를 하도록 구성이 될 수 있다. The two channels (130, 230) for the above-mentioned different air flows can be easily opened by the membrane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one-way air flow control unit (160, 260) by the internal air flow, and when there is no change in the air flow or pressure, the original shape can be restored by the inherent elasticity to control the air flow. In the case of inhalation, when the internal pressure is lowered at that time, the membrane at the entrance of the first channel generates a moment in the direction of the inside, so that the outside air easily enters and passes through the filter, and air flow occurs between the front part of the mask and the face, and finally the air flows to the nose or mouth. At this time, the membrane of the second channel maintains the closed state while the internal pressure is low and the external atmospheric pressure is high. Therefore,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channel.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xhalation, when the internal air pressure increases, the membrane of the first channel maintains the closed state by the inherent elasticity, and the membrane of the second channel opens. Therefore, exhaled air passes through the open second channel, passes through the filter, and passes through the open membran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a result, the air flow in inhalation and exhalation is respectively introduced and discharged through different air channels. Since the air flows in one direction, the surrounding temperature of the filter changes little, so that moisture or dew formation is suppressed, and the filter function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In the case of exhalation, there is a risk that viruses may be discharged together with droplets in the exhalation of an infected person, so the filters of the two channels can be arranged and used to have different functions, such as filtering droplets. As an example of different functions, the state of the outside air can be sensed at the air inlet, and the abnormality inside the body of the mask wearer can be sensed separately at the exhalation where the air is discharged, and this can be displayed in various forms.
일 예시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서로 반대 방향의 공기 유동에 대하여 상기 제어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분리 배치되어 상기 마스크 전면부 내측으로의 공기 유입시와 배출시의 기능이 구분이 될 수 있다. 상기한 서로 다른 공기의 유동에 대하여 동일한 하나의 필터에 대하여 기구적으로 분리된 공기 채널을 따라서 유동이 일어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공기 흐름 채널을 구비하여 착용자의 호흡에 의하여 날숨과 들숨에 의하여 각각 채널이 열려져서 일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갖도록 한다. In one example, the filters may be separately arranged in front or behind the control unit for airflow in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 functions of air intake and exhaust into the front of the mask can be distinguished.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flow of different airflows to occur along mechanically separated air channels for the same single filter. Preferably, at least two airflow channels are provided so that the channels are opened by the wearer's exhalation and inhalation to allow airflow in one direction.
상기 필터들은 상황에 따라 필요한 필터 대상의 크기나 이물질의 특성 등에 따라서 부직포 형태로 다수의 서로 크기와 성능이 다른 것을 겹쳐서 형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들의 소재는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설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에이트 수지, 폴리스틸렌 수지, 폴리아크릴산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 전면부(110)를 구성하는 소재는 투명한 특성을 가지는 소재를 기반으로 하며 용도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투명도를 달리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소재의 종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스티렌(ABS), 결정성 폴리에틸렌(APET),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SA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투명 고분자 필름, 키토산, 투명 실리콘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above filters can be formed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filters having different sizes and performances in the form of non-woven fabric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ilter target required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substanc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material of these filters can be composed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mide resin, polysulfone resin, polyurethane resin, polyvinylidene difluoride resin,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olystyrene resin, polyacrylic acid resin, and mixtures thereof. In addition,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front part of the mask (110) is based on a material having transparent characteristics and can be manufactured with partially different transparency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The types of these materials can be composed of a transparent polymer fil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onitrile-butadiene styrene (ABS), crystalline polyethylene (APET), styrene acrylonitrile butadiene (SA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polyethylene, chitosan, a transparent silicone material, etc.
상기 마스크의 일 표면에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살리실레이트계, 시아노아크릴계, 옥사닐이드계, 힌더드아민계, 및 금속착염계 광안정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UV 차단 또는 흡수물질을 포함하는 보호막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내측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 습기, 김서림 방지를 위한 소수성 표면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A protective film including one or more UV blocking or absorbing substanc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nzophenone-based, benzotriazole-based, salicylate-based, cyanoacrylic-based, oxanilide-based, hindered amine-based, and metal complex salt-based light stabilizers can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sk, and a hydrophobic surface coating layer for preventing moisture and fogging can b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sk.
도 8은 상기 마스크 전면부(110)의 적어도 일측의 가장 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마스크 착용자의 얼굴에 상기 마스크(100)를 고정하기 위한 포함되는 적어도 두개의 연장부(330)에 있어서 일 단면도와 그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는 체온의 변화를 센싱하고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온도센싱부(320)와 온도 표시부(310)의 단면의 대략적인 형상을 나타난 것이다. 실시예에서 배치된 위치는 얼굴(900)에서 안면 근육이나 턱관절 등의 움직임이 최소화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써 이는 얼굴내에서 근육이나 관절 등의 움직임에 의하여 온도측정이나 마스크의 고정에 유동이 생기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연장부(330)의 위치는 눈과 귀의 연장선 상에서의 중간부근 지점이 바람직하다. 이 부분은 통상적으로 비접촉식 체온 측정을 함에 있어서 용이한 위치이기도 하다.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t least two extensions (330) arranged at least on one side edge of the front face (110) of the mask to fix the mask (100) to the face of the wearer of the mask, and a cross-sectional rough shape of a temperature sensing unit (320) and a temperature display unit (310) that can be included therein to sense and visually display a change in body temperature. In the embodiment, the positions are arranged at positions where movement of facial muscles or jaw joints, etc. on the face (900) is minimized, which is to minimize problems that occur in temperature measurement or fixing of the mask due to movement of muscles or joints, etc. in the face.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330) is preferably a point near the middle of the extension line of the eyes and ears. This part is also a position that is usually easy to use for non-contact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또한 상기한 연장부(330)의 내측에는 상기한 온도 센싱부(320)가 배치될 수 있는 바, 실시간 안면과 지속적으로 접촉이 되어 있고, 안면 근육이나 관절의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서 발열에 의한 체온의 변화를 용이하게 센싱을 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부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어 좌뇌와 우뇌 간의 발열이 상이한 경우가 존재함으로 발열의 수준을 보다 정확하게 관찰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온도센싱과 표시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온도를 센싱하기 위해서는 감열화학 셀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피부에 접촉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체온에 따라서 발열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를 할 수 있게 한다. 예시적으로 36.5℃ 내지 37℃에서는 녹색이나 청색표시, 37.1℃ 내지 37.5℃에서는 노란색이나 주황색, 37.5℃ 이상에서는 적색 등과 같이 통상적으로 위험신호를 나타내는 3가지의 색으로 발열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온도 표시부(310)를 도 8과 같이 동심원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시각적으로 상태가 좋지 않은 온도구간인 적색은 외각의 도우넛 형상으로 표시가 되고 상태가 안정적인 녹색이나 청색구간은 중앙부의 작은 원으로 표시되게 하여 대화 중에 상대방이 체온의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온도 센싱부(320)는 피부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하부는 피부와의 지속적인 접촉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한데, 이는 상기한 점착부(350)가 해당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바이러스 등에 의한 감염이나 독감 등 전염성이 있는 질환의 경우 발열, 기침, 인후통, 두통, 근육통 및 위장계통의 메스꺼움, 구토 및 설사와 같은 증상들이 대략적인 순서를 따라 발현이 되는 경우가 존재함으로 초기에 발열에 의한 변화를 실시간으로 인지하여 다중 시설이나 대화 중의 상대방의 발열상태를 용이하게 관찰을 할 수 있게 한다. 즉,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및 전파를 방지하게 위해서 다중 시설인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요양시설, 병원, 각종 행사장, 전시장, 공항 및 대중교통 등의 사용에 있어서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가 되는 상황에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별도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을 피부에 부착하는 것도 번잡스러운 일이 된다. 따라서 마스크를 착용하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마스크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체온측정 수단에 의하여 자가진단 또는 근거리의 타인이 용이하게 발열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20) may be placed on the inside of the above-mentioned extension (330), so that it is in continuous contact with the face in real time,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sense the change in body temperature due to heat generation in a place where the movement of facial muscles or joints is relatively low. Preferably, it is placed on each side of the above-mentioned extension, so that the heat generation level can be observed more accurately since there is a case where the heat genera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brains is different. Temperature sensing and display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as needed. A thermosensitive chemical cell can be used to sense the temperature. This can visually display the heat generation status according to the body temperatur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contacting the skin. For example, the temperature display unit (310) can be configured in a concentric circle shape as shown in FIG. 8 so that the heat generation status can be visually displayed in three colors that typically indicate a danger signal, such as green or blue at 36.5°C to 37°C, yellow or orange at 37.1°C to 37.5°C, and red at 37.5°C or higher. The red color, which is a temperature range with a poor visual condition, is indicated by a doughnut shape on the outside, and the green or blue color, which is a stable condition, is indicated by a small circle in the center, so that the other party can more easily check the body temperature condition during a conversation.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20) described above is positioned close to the skin, and a means for maintaining continuous contact with the skin is required at the bottom, and this can be positioned so that the adhesive unit (350) described above can have the corresponding function.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a contagious disease such as an infection by a virus or the flu, symptoms such as fever, cough, sore throat, headache, muscle pain, and nausea, vomiting, and diarrhea of the gastrointestinal system often occur in a rough order, so that changes due to fever can be recognized in real time at an early stage, so that the fever condition of the other party in a multi-facility or during a conversation can be easily observed. That is, in a situation where wearing a mask is mandatory in public facilities such as daycare centers, kindergartens, schools, nursing homes, hospitals, event venues, exhibition halls, airports, and public transportation in order to prevent infection and spread of viruses, it is cumbersome for users to attach a separate means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to their skin. Therefore, in general situations where a mask is worn, it is desirable to easily check for fever by self-diagnosis or by having others nearby easily check for fever using a means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mask.
상기 연장부(330)의 일측에는 목, 머리 및 귀에 걸이를 걸기 위한 홀이나 돌기부(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연장부(330)의 내측에는 피부에 임시적으로 부착이 될 수 있는 점착성분으로 된 점착부(350)를 형성하여 별도의 걸이 없이 상기 마스크(100)가 안면에 대하여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한 격한 운동이나 노래를 하거나 강연 등 입의 움직임이 큰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밴드나 끈을 사용하여 보조적인 고정을 시킬 수 있다. 통상적인 대화나 턱의 움직임에는 해당 위치에서의 상기 점착부(350)에서의 접착력으로 상기 마스크(100)를 얼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마스크를 사용자의 안면 착용자의 귀, 머리 등에 신축성 있도록 걸어서 고정하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적어도 일부가 탄성부로 이루어진 밴드이거나, 얼굴의 특정 부위에 점착되어 상기 마스크가 이탈되지 않도록 표면에 점착성분을 가지는 점착부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점착부는 의료용 하이드로 젤과 같은 소재가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부(330)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과 자성체(미도시)를 배치하거나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진 자석이 배치 되어 상기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자력에 의하여 두개의 연장부(330)가 부착이 되어서 외부로부터 오염을 막고,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자성체는 도 8에 있어서 돌기부(400)의 일부재질을 적어도 하나는 자석으로 구성이 되는 경우에 상기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One side of the above extension (330)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hole or a protrusion (400) for hanging a hook on the neck, head, and ears. An adhesive part (350) made of an adhesive component that can be temporarily attached to the ski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extension (330) so that the mask (100) can be fixedly installed on the face without a separate hook. In this case, when the mouth moves significantly, such as during strenuous exercise, singing, or lecturing, a band or string may be additionally used for auxiliary fixation. In normal conversation or jaw movement, the mask (100) can be fixed to the face by the adhesive force at the adhesive part (350)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In addition, the extension part may be a band at least partially made of elastic parts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to elastically hang the mask on the wearer's face, such as the ear, head, etc., or may be composed of an adhesive part having an adhesive component on the surface to adhere to a specific part of the face and prevent the mask from coming off. The adhesive part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medical hydrogel. In addition, at least one magnet and a magnetic body (not shown) may b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part (330), or magnets with different polarities may be arranged so that when the mask is not in use, two extension parts (330) are attached by magnetic force to prevent contamination from the outside and facilitate storage. The magnetic body described above has the above-described effect when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of the protrusion part (400) in FIG. 8 is composed of a magnet.
통상적으로 피부와의 접촉면은 의료용 하이드로 겔 등을 사용하여 피부와의 부작용없이 지속적인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온도 센싱부(320)와 점착부(35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마스크 전면부(110)를 안면(90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갖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8의 예시에는 일부 분리하여 상기한 피부와의 접촉을 위한 점착기능이 물로 세척하는 등 재사용이 용이하도록 일정 두께를 별도로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한 재질의 마스크 전면부(110)를 통해서 온도 센싱부(320)의 온도가 구간별 설정된 온도구간에서는 특정한 색상을 나타내도록 구성이 될 수 있다. 온도에 따른 색상의 변화를 표시하는 방법이나 물질로는 감온 잉크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예시와 같이 적어도 3가지의 온도 분포에 따라서 서로 다른 색이 나타나도록 이온안료, 바인더 수지, 유기용매 등을 주원료로 하여 소정의 배합에 따라서 서로 다른 온도의 범주에서 서로 다른 색이 발현되도록 조성비를 다르게 한 것을 분리하여 각각 배치하거나, 동심원을 그리며 분리배치 되거나, 혼합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Typically,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skin can be maintained in continuous contact without side effects with the skin by using medical hydrogel, etc.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sensing part (320) and the adhesive part (350) are configured as an integral part so that they can simultaneously have the function of fixing the front part (110) of the mask to the face (900). In the example of Fig. 8,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function for contacting the skin described above be separated and have a certain thickness so that it can be easily reused, such as by washing with water. The temperature sensing part (320) can be configured to display a specific color in a temperature section set for each section through the transparent mask front part (110). As a method or material for indicating a change in color according to temperature, a thermosensitive ink composition can be used, and as in the example above, different colors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at least three temperature distributions. The composition can be made by separating and arranging the main ingredients, such as ionic pigments, binder resins, and organic solvents, so that different colors can be expressed in different temperature categori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ixing ratio, or by arranging them separately in a concentric circle, or in a mixed form.
상기 마스크 전면부(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사용자의 얼굴 윤곽을 따라 접촉되도록 하이드로 젤, 점착제, 폴리에틸렌폼, 아크릴 폼 또는 고무, 실리콘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로 구성된 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본적인 표준 내지는 평균적인 얼굴의 윤곽을 따라 마스크 전면부가 상기한 투명 재질로 구성이 되고,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한 접촉부를 구성하는 재질로 상기 마스크 전면부 보다 더 유연하도록 조직이 소프트하게 만들어진다. 즉, 서로 다른 연성, 유연성 등을 가진다. 상기한 마스크 전면부와 상기 접촉부는 상이한 물질적 특징이 상이하지만 이중 사출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제조가 될 수 있다.The front part of the mask (1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act part made of one or more materials including hydrogel, adhesive, polyethylene foam, acrylic foam, rubber, or silicone so as to come into contact along the contour of the user's face along the edge. The front part of the mask is configured of the above-mentioned transparent material along the contour of a basic standard or average face, and the part that directl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kin is made of a soft tissue so as to be more flexible than the front part of the mask with the material that constitutes the contact part. That is, they have different ductility, flexibility, etc. The front part of the mask and the contact part have different material characteristics, but can be manufactured as an integral part by double injection.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와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in this specification,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equivalent means to the embodiments are also incorporated in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100: 마스크 110: 마스크 전면부
120: 필터 수용부 130: 들숨, BI, (제1 공기 채널)
150: 제1 필터 160, 260: 일방향 공기 흐름 제어부
165, 265: 유연성 박막 170, 270: 박막 지지부
180: 제1 필터형상지지부 230: 날숨, BO, (제2 공기 채널)
250: 제2 필터 280: 제2 필터형상지지부
310: 온도 표시부 320: 온도 센싱부
330: 연장부 350: 점착부
400: 돌기부 900: 얼굴, 안면100: Mask 110: Front of mask
120: Filter receptacle 130: Inhalation, BI, (1st air channel)
150: 1st filter 160, 260: One-way air flow control unit
165, 265: Flexible membrane 170, 270: Membrane support
180: 1st filter-shaped support 230: exhalation, BO, (2nd air channel)
250: Second filter 280: Second filter shape support
310: Temperature display unit 320: Temperature sensing unit
330: Extension 350: Adhesive
400: protrusion 900: face, facial area
Claims (12)
상기 마스크 착용자의 코 및 입을 포함하는 얼굴 하부부위 인식이 가능하도록 상기 얼굴 하부부위에 대응되는 영역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 착용자의 얼굴의 윤곽에 대응되는 형성된 마스크 전면부;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일측에 소정의 크기의 홀 형태로 형성된 필터 수용부;
상기 필터 수용부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내부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 수용부와 연통되어 필터링된 상기 외부 공기를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내부로 흡입시키는 제1 공기 채널, 상기 마스크 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공기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공기가 상기 필터 수용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일방향 공기 흐름 제어부;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고, 상기 마스크 착용자의 체온를 측정하는 온도 센싱부; 및
상기 온도 센싱부가 측정한 체온이 기설정된 온도 범위에 해당하는 때에, 시각적 상태 변화가 유도되는 온도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기 채널은, 상기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개방된 흡입구, 및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내부로 배출되도록 개방된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구는, 상기 마스크 착용자의 입이 바라보는 방향을 전방으로 할 때에, 반대방향인 후방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일방향 공기 흐름 제어부는,
서로 인접 배치되어 상기 제1 공기 채널의 상기 흡입구를 폐쇄하되, 들숨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벤딩되면서 상기 제1 공기 채널의 상기 흡입구를 개방하는 다수의 제1 유연성 박막; 및
서로 인접 배치되어 상기 제2 공기 채널을 폐쇄하되, 상기 내부 공기의 가압에 의해 벤딩되면서 상기 제2 공기 채널을 개방하는 다수의 제2 유연성 박막;을 더 포함하는 보건용 투명 안면 마스크.
For transparent face masks for health purposes,
A front portion of the mask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line of the face of the mask wearer, where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ace, including the nose and mouth of the mask wearer, is formed with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enable recogni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ace;
A filter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form of a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on one side of the front of the mask;
A filter disposed in the above filter receptacle and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in external air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front part of the mask from the outside;
A first air channel communicating with the filter receptacle and drawing the filtered outside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front part of the mask, a second air channel formed in the front part of the mask and discharging the inside air of the front part of the mask to the outside, and a one-way air flow control unit blocking the inside ai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lter receptacle;
At least one temperature sensing unit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of the mask and measuring the body temperature of the wearer of the mask; and
A temperature display unit that induces a visual state change when the body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falls within a preset temperature range;
The first air channel includes an inlet open to allow the outside air to be sucked in, and an outlet open to allow the outside air sucked in through the inlet to be discharged into the interior of the front part of the mask.
The above suction port opens toward the rear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mouth of the mask wearer faces forward.
The above one-way air flow control unit,
A plurality of first flexible membrane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to close the inlet of the first air channel, but opening the inlet of the first air channel when bent by the suction force due to inhalation; and
A transparent face mask for health purposes,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flexible membrane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to close the second air channel, but opening the second air channel when bent by pressurization of the internal air.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양측의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상기 얼굴에 상기 마스크 전면부를 고정하는 2개의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보건용 투명 안면 마스크.
In the first paragraph,
A transparent face mask for health purposes, further comprising two extensions extending from each side edg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mask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fixing the front portion of the mask to the face.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마스크 전면부를 상기 얼굴에 접촉시키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보건용 투명 안면 마스크.
In the first paragraph,
A transparent face mask for health purposes, further comprising a contact portion arranged along the inner edg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mask and bringing the front portion of the mask into contact with the face.
상기 마스크 전면부는,
선택적 가시광 투과성을 가지고,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스티렌(ABS), 결정성 폴리에틸렌(APET),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SA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투명 고분자 필름, 키토산, 및 투명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건용 투명 안면 마스크.
In the first paragraph,
The front part of the above mask is,
A transparent face mask for health,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selectiv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and is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transparent polymer fil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onitrile-butadiene styrene (ABS), crystalline polyethylene (APET), styrene acrylonitrile butadiene (SA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polyethylene, chitosan, and a transparent silicone material.
상기 필터가 지그재그 방향으로 접히도록 고정하는 필터 형상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보건용 투명 안면 마스크.
In the first paragraph,
A transparent face mask for health purposes, further comprising a filter shape support member for fixing the filter so that it is folded in a zigzag direction.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살리실레이트계, 시아노아크릴계, 옥사닐이드계, 힌더드아민계, 및 금속착염계 광안정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UV 차단 또는 흡수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표면에 배치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는 보건용 투명 안면 마스크.
In the first paragraph,
A transparent face mask for health purposes, comprising at least one UV blocking or absorbing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nzophenone-based, benzotriazole-based, salicylate-based, cyanoacrylic-based, oxanilide-based, hindered amine-based, and metal complex salt-based light stabilizers, and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film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sk.
상기 마스크가 얼굴에서 탈거될 때에,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상기 연장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보건용 투명 안면 마스크.
In the second paragraph,
A transparent face mask for health purposes, wherein two facing extensions are magnetically attached when the mask is removed from the face.
상기 온도 센싱부는, 감열화학 셀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싱부와 상기 얼굴의 표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얼굴의 표면에 상기 온도 센싱부를 점착시키는 점착부;를 더 포함하는 보건용 투명 안면 마스크.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temperature sensing unit includes a thermosensitive chemical cell,
A transparent face mask for health purposes, further comprising an adhesive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temperature sensing portion and the surface of the face to adhere the temperature sensing portion to the surface of the face.
상기 온도 표시부는,
감온 잉크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체온에 따른 다수의 온도 영역을 구비하는 보건용 투명 안면 마스크.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temperature display section,
A transparent face mask for health purposes comprising a thermosensitive ink composi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temperature zones according to body temperature.
상기 마스크 전면부의 내면에 코팅되는, 습기 또는 김서림 방지를 위한 소수성 표면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보건용 투명 안면 마스크.
In the first paragraph,
A transparent face mask for health purposes, further comprising a hydrophobic surface coating layer co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sk to prevent moisture or fogging.
상기 접촉부는, 상기 마스크 전면부와 서로 다른 연성을 가지고,
상기 마스크 전면부와 상기 접촉부는 이중 사출에 의해 접합되는 보건용 투명 안면 마스크.
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contact portion has different ductility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mask,
A transparent face mask for health purposes, wherein the front part of the mask and the contact part are joined by double inj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0595 | 2021-02-16 | ||
KR20210020595 | 2021-02-1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7849A KR20220117849A (en) | 2022-08-24 |
KR102714857B1 true KR102714857B1 (en) | 2024-10-11 |
Family
ID=83111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20122A Active KR102714857B1 (en) | 2021-02-16 | 2022-02-16 | Transparent mask for easy face recognition with real-tim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14857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20983A (en) * | 2005-07-20 | 2007-02-01 | Showa Yakuhin Kako Kk | Face-worn covering implement |
KR102152341B1 (en) * | 2020-02-28 | 2020-09-04 | 주식회사 쉐마 | Mask and inhalation assembly of the mask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62697A (en) * | 2003-01-03 | 2004-07-09 | 신이슬 | Mask |
KR101681100B1 (en) | 2014-07-30 | 2016-11-30 | 박종진 | Film type transparent mask |
KR20200052218A (en) * | 2018-11-06 | 2020-05-14 | 주식회사 쉐마 | Exhaust valve, the mask having the exhaust valve, and wear unit of the Mask |
KR20200118776A (en) * | 2020-09-28 | 2020-10-16 | 정철종 | a mask with a built-in magnet |
KR20200141010A (en) * | 2020-11-02 | 2020-12-17 | 김연태 | Mask having zion structure corresponding temperature change of face |
-
2022
- 2022-02-16 KR KR1020220020122A patent/KR10271485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20983A (en) * | 2005-07-20 | 2007-02-01 | Showa Yakuhin Kako Kk | Face-worn covering implement |
KR102152341B1 (en) * | 2020-02-28 | 2020-09-04 | 주식회사 쉐마 | Mask and inhalation assembly of the mas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7849A (en) | 2022-08-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359041A1 (en) | Filter mask havine one or more malleable stiffening members | |
US5941244A (en) | Dustproof mask | |
US11110238B2 (en) | Resuscitator device | |
US11471711B2 (en) | Smart mask with a transparent mouth-covering portion and impellor- driven air filtration | |
JP2004508908A (en) | Ventilator with integrated filter element, exhalation valve and impactor element | |
CN105246552A (en) | Facemask having one or more nanofiber layers | |
JP2007524429A (en) | Biohazard mask suitable for consumer use | |
JP2012511987A (en) | Respiratory interface device with filtration media | |
US7294175B2 (en) | Personal inhalation filter | |
US20220362591A1 (en) | Nasal device with air filter | |
TW202315810A (en) | Breathable mask | |
KR102714857B1 (en) | Transparent mask for easy face recognition with real-tim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function | |
CN117959637A (en) | Nasal septum retainer for nasal mask | |
JP2022532433A (en) | Face mask | |
US20220057829A1 (en) | Wearable technology including ultra-thin led panels/screen | |
CN206252749U (en) | Nose cup with breather valve and the respiration filtering device including nose cup | |
CN206324275U (en) | A kind of general multifunctional respirator | |
TW202012016A (en) | Mask | |
CN106512253A (en) | Nose cover with breather valve and breathing filter device including nose cover | |
CN206508416U (en) | Wearable breathing equipment | |
CN104248071A (en) | Micro air current control module, use thereof and breathable mask made by using micro air current control module | |
WO2020071565A1 (en) | Nose mask | |
CN215841288U (en) | Active breathing type high-level protective mask | |
EP4178388B1 (en) | Individual protection filtering device aiming at safeguarding the respiratory tract and at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 |
KR102197239B1 (en) | Health band for human bod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