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14461B1 -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14461B1 KR102714461B1 KR1020190114739A KR20190114739A KR102714461B1 KR 102714461 B1 KR102714461 B1 KR 102714461B1 KR 1020190114739 A KR1020190114739 A KR 1020190114739A KR 20190114739 A KR20190114739 A KR 20190114739A KR 102714461 B1 KR102714461 B1 KR 1027144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condensate
- fluid
- vehicle
- c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7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4 vap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수 비산 현상을 방지하고, 공조 케이스 내부의 응축수 배수가 원활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를 향하여 유체를 유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케이스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드레인부; 및 상기 공기 토출구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에 포함된 공기는 통과시키고,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일부 응축수는 충돌시켜 상기 드레인부로 안내하는 응축수 필터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which prevents condensate scattering and facilitates condensate drainage inside an air conditioner case, and comprises: a case part having an air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front; a driving part arranged inside the case part and causing fluid to flow toward the air discharge port; a drain part arrang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se part and discharging condensate contained in the fluid; and a condensate filter part arranged between the air discharge port and the driving part and allowing air contained in the fluid to pass and causing some of the condensate contained in the fluid to collide and guide it to the drain p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승합차와 같은 대형 차량에는 차량의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어 1열의 탑승 공간에 대한 냉난방을 수행하는 메인 공조장치 외에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가 추가 설치될 수 있다.In large vehicles such as passenger cars, an overhead type air conditioner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addition to the main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to cool and heat the passenger space in the first row.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실 천장에 설치되어 2열 또는 3열의 탑승 공간에 차가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의 루프 패널 등에 고정되는 공조케이스, 및 공조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증발기, 송풍팬 등을 포함할 수 있다.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vehicle and can supply cool air to the passenger space of two or three rows. To this end,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may include an air conditioner case fixed to a roof panel of the vehicle, and an evaporator, a blower fan, etc. placed within the air conditioner cas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는 작동시 상기 증발기는 그 내부에 차가운 냉매가 순환되기 때문에, 외부 공기와의 열교환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 주위에는 응축수가 발생한다. 이러한 응축수는 상기 증발기를 타고 중력방향으로 흘러내리거나 송풍되는 바람에 의해 공조케이스 하부로 낙하한 후, 공조케이스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응축수 드레인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 하면과 증발기 사이의 높이 차이가 적으며, 배수를 위한 경사각이 적은 구조적인 특성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s configured, since cold refrigerant circulates inside the evaporator during operation, condensate is generated around the evaporator during the heat exchange process with the outside air. This condensate flows down the evaporator in the direction of gravity or falls to the bottom of the air conditioner case by the blown wind, and is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densate drain portion formed at the bottom of the air conditioner case. At this time, the vehicle air conditioner ha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small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bottom of the air conditioner case and the evaporator, and a small angle of inclination for drainage.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증발기에 맺혀 있는 응축수 또는 공조케이스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응축수가 송풍되는 바람에 섞여 비산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비산된 응축수가 공기 토출구를 통해 차실 내로 토출되어,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In these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s, condensate formed in the evaporator or at the bottom of the air conditioner case may be mixed with the blown air and dispersed,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dispersed condensate may be discharged into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causing discomfort to the passengers.
본 발명에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응축수의 비산을 방지하고 응축수의 배수가 원활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that prevents condensate from flying and allows smooth drainage of condensat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i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전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를 향하여 유체를 유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케이스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부 내부의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드레인부; 및 상기 공기 토출구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에 포함된 공기는 통과시키고,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일부 응축수는 충돌시켜 상기 드레인부로 안내하는 응축수 필터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part having an air outlet formed at the front; a driving part arranged inside the case part and causing a fluid to flow toward the air outlet; a drain part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se part and discharging condensate inside the case part; and a condensate filter part arranged between the air outlet and the driving part and allowing air contained in the fluid to pass and guiding some of the condensate contained in the fluid to the drain part by colliding with i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전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를 향하여 유체를 이송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케이스부 전방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에서 토출된 유체 중에 공기와 응축수를 분리하여, 공기는 일방향으로 토출하고, 응축수는 포집하여 다른 일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베플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air conditioner comprises: a case part having an air outlet formed at the front; a driving part arranged inside the case part to transfer fluid toward the air outlet; and a baffle part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case part to separate air and condensate from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discharge the air in one direction, and collect and discharge the condensate in the other direction.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부 내부의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드레인부; 및 상기 공기 토출구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에 포함된 공기는 통과시키고,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일부 응축수는 충돌시켜 상기 드레인부로 안내하는 응축수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rain portion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portion to discharge condensate inside the case portion; and a condensate filter portion arranged between the air discharge port and the driving portion to allow air contained in the fluid to pass and guide some of the condensate contained in the fluid to the drain portion by colliding with it.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구동부가 배치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진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제3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ase part may include a first body in which the driving part is arranged, a second body extending forward from the first body and slanting upward as it goes forward, and a third body extending forward from the second body in which an air discharge port is formed.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와 상기 공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blower and an evaporator disposed between the blower and the air outlet.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발기는 유체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vaporator may be arrang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증발기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rain portion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evaporator.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필터부는, 상기 케이스부 내부의 유체의 유동 방향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메쉬망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densate filter unit may include a mesh net arranged to face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inside the case unit.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쉬망은 유체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sh network may be arrang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쉬망은 상기 증발기와 상기 드레인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sh net may be plac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drain portion.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플부는 상기 공기 토출구에서 토출된 유체와 충돌하는 충돌면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affle portion may include a collision surface that collides with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ort.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플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연결되고 내부면에 상기 충돌면을 포함하는 베플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면 중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충돌면에 충돌된 유체 중에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공기 토출부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충돌면에 충돌된 유체 중에 응축수를 포집하여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affle part may include a baffle body connected to the case part and including the collision surface on an inner surface, an air discharge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in the fluid that has collided with the collision surface, and a condensate discharge part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body to collect and discharge condensate in the fluid that has collided with the collision surface.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배출부는, 중앙으로 갈수록 햐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복수의 경사면과, 복수의 경사면의 중앙에 형성된 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s arranged to slope downward as they go toward the center, and a discharge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s.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 하면과 증발기 사이의 높이 차가 적고, 배수를 위한 경사각이 적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응축수가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공조 케이스 내부의 응축수 배수를 원활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condensate from flying away and facilitating drainage of condensate in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and the evaporator is small and the angle of inclination for drainage is small.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응축수 필터부를 통해 응축수를 1차적으로 필터링 한 후 베플부를 통해 잔여 응축수를 포집하여 배출시킴으로써, 응축수의 비산 방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preventing condensate from flying by first filtering condensate through a condensate filter unit and then capturing and discharging the remaining condensate through a baffle unit.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베플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저면도이다.Figures 1 and 2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vel portion.
Figure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bottom view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between the embodiments can be selectively combined or substituted for u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that can b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explicitly and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and terms that are common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can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evant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may also include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nd when it is described as “A and/or at least one (or more) of B, C”,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ll combinations that can be combined with A, B, C.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describing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nature, order, or sequence of the component.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include not only cases where the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cases where the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y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arranged “above or below” each component, above or below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the case where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formed or arranged between the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above or below,” it can include the meaning of the downward direction as well as the up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이하 “공조장치”라고 함)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공조장치는 차량의 천정에 설치되는 오버헤드 타입의 공조장치로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공조장치는 차실과 연결되는 여러 종류의 공조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차량용 엔진 공기 정화 장치, 차량용 캐빈 공기 정화 장치, 건물 공조 장치, 클린룸용 공기 정화 장치, 그 밖의 필터를 통한 공기 정화가 요구되는 각종 공기 정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a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ir condition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Here, the air conditioning device may be exemplified as an overhead type air conditioning devic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vehic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air conditioning device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air conditioning devices connected to a vehicle interior, and further may be applied to a vehicle engine air purification device, a vehicle cabin air purification device, a building air conditioning device, an air purification device for a clean room, and various other air purification devices requiring air purification through a filter.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정면도이다.FIG. 1 and FIG. 2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는 케이스부(110), 구동부(120), 드레인부(130) 및 응축수 필터부(1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includes a case part (110), a driving part (120), a drain part (130), and a condensate filter part (140).
케이스부(110)는 외관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부(110) 내부 에는 구동부(120)가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부(110)는 전방에 공기 토출구(110h)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110)의 다른 일측에 공기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The case part (110) forms the exterior. At this time, a driving part (120) is arranged inside the case part (110). An air discharge port (110h) is formed at the front of the case part (110), and an air intake port (not shown)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case part (110).
상기 케이스부(110)는 상기 흡입구(미도시)를 통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상기 구동부(120)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냉각된 후에 상기 공기 토출구(110h)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토출구(110h)는 차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흡입구(미도시) 및 공기 토출구(110h)에는 그릴 구조체가 결합할 수 있다.The case part (110) can have air drawn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intake port (not shown), and the drawn air can be cool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the driving part (120) and then discharged to the exterior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110h). At this time, the air discharge port (110h) can be connected to the vehicle interior. In addition, a grill structure can be combined with the air intake port (not shown) and the air discharge port (110h).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부(110)는 제1바디(111), 제2바디(112) 및 제3바디(1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case part (110) may be composed of a first body (111), a second body (112), and a third body (113).
제1바디(111)는 상기 구동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바디(111)의 후방에는 송풍기(121)가 배치되고, 제1바디(111)의 전방에는 증발기(12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바디(111)는 수평 방향으로의 길이가 수직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ody (111) may have the above driving unit (120) placed thereon. At this time, a blower (121) may be placed at the rear of the first body (111), and an evaporator (122) may be placed at the front of the first body (111). At this time, the first body (11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2바디(112)는 상기 제1바디(111)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바디(112)는 전방으로 갈수로 상향 경사질 수 있다. The second body (112) can be extended forward from the first body (111). At this time, the second body (112) can be inclined upward so as to go forward.
제3바디(113)는 상기 제2바디(112)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3바디(113)는 전단에 공기 토출구(211)가 형성될 수 있다. The third body (113) may extend forward from the second body (112). At this time, the third body (113) may have an air discharge port (211) formed at the front end.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천장형 차량용 공조장치(Roof HVAC)로서, 제2바디(112)의 경사각이 비교적 적고, 제1바디(111)와 제3바디(1113)의 하면의 높이차가 크지 않아, 제1바디(111)의 하면에 고여있던 응축수가 비산하는 경우가 발생한다.In this way,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of-typ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Roof HVAC), and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second body (112) is relatively small, and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body (111) and the third body (1113) is not large, so that condensate collec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11) may fly away.
구동부(120)는 상기 케이스부(11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부(120)는 유체를 냉각하여 상기 공기 토출구(111)를 향해 이송시킨다. 상기 구동부(120)는 송풍기(121) 및 증발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20) is placed inside the case unit (110). The driving unit (120) cools the fluid and transports it toward the air discharge port (111). The driving unit (120) may include a blower (121) and an evaporator (122).
상기 송풍기(221)는 상기 케이스부(110) 내부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above blower (221) can be placed on the rear side inside the case part (110).
상기 송풍기(221)는 팬모터(미도시)와 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221)는 외부전원(미도시)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팬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팬(미도시)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기(221)는 팬(미도시)의 회전에 의해 공기 흡입구(미도시)에서 인입된 공기를 공기 토출구(111)를 향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The above blower (221) may include a fan motor (not shown) and a fan (not shown). The blower (221) may receive electricity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and rotate the fan (not shown) by driving the fan motor (not shown). The blower (221) may transfer air drawn in from an air intake port (not shown) toward an air discharge port (111) by the rotation of the fan (not shown).
상기 증발기(122)는 상기 송풍기(121)와 상기 공기 토출구(1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증발기(122)는 상기 송풍기(221)의 의해 이송되는 유체의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The above evaporator (122) may be placed between the blower (121) and the air discharge port (111). That is, the evaporator (122) may be placed on the path of the fluid transported by the blower (221).
상기 증발기(122)는 상기 유체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증발기(122)는 상기 케이스부(110) 내에 상단이 후단보다 전방에 배치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증발기(122)는 종래의 공조장치에 탑재된 증발기와 비교하여, 상기 케이스부(110)의 하면과 간격이 좁게 형성된다.The above evaporator (122) may be arrang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For example, the evaporator (122) may be arranged at an angle so that the upper end is positioned forward of the rear end within the case portion (110). In this case, the evaporator (122) is formed with a narrow gap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portion (110) compared to an evaporator mounted in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상기 증발기(122)는 접촉하는 공기를 냉매의 증발 잠열에 의해 냉각시킬 수 있다.The above evaporator (122) can cool the air it comes into contact with by the latent heat of vaporization of the refrigerant.
상기 드레인부(130)는 상기 케이스부(110)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부(130)는 상기 케이스부(110)의 하면에 고인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above drain part (130)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case part (110). The above drain part (130) can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condensed water collec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part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드레인부(130)는 상기 제1바디(111)와 상기 제2바디(11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drain portion (130) can be formed between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2).
상기 응축수 필터부(140)는 상기 증발기(122)를 통과한 유체를 통과시킨다. 이때, 상기 응축수 필터부(140)는 포함된 공기는 통과시키고,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일부 응축수는 충돌시켜 상기 드레인부(130)로 안내한다.The above condensate filter unit (140) passes the fl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122). At this time, the condensate filter unit (140) passes the contained air and collides some of the condensate contained in the fluid and guides it to the drain unit (130).
상기 응축수 필터부(140)는 상기 토출구(111)와 상기 구동부(120)의 사이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증발기(122)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부(130)의 후방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The above condensate filter unit (140) is placed between the discharge port (111) and the driving unit (120). More specifically, it may be placed in front of the evaporator (122) and adjacent to the rear of the drain unit (130).
상기 응축수 필터부(140)는 상기 케이스부(100) 내부에 설치되는 메쉬망(1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쉬망(141)은 유체의 유동 방향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쉬망(141)은 상단이 하단보다 전방에 배치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The above condensate filter unit (140) may include a mesh net (141) installed inside the case unit (100). At this time, the mesh net (141) may be arranged to face the direction of flow of the fluid. In addition, the mesh net (141)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upper end is positioned forward of the lower en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 하면과 증발기 사이의 높이 차가 적고, 배수를 위한 경사각이 적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응축수가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응축수 배수를 원활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condensate from flying away and facilitating condensate drainage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and the evaporator is small and the angle of inclination for drainage is small.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에 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n air conditio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베플부의 단면도이다.FIG. 4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affle portion.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구성과 같은 부호를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기능과 형상을 가지는 동일 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Here, components having the same symbols as those shown in Figures 1 to 3 are identical members with the same function and shape, so repetitive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공조장치는, 베플부(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air conditioning device includes a baffle part (200).
상기 베플부(200)는 상기 케이스부(110) 전방에 연결된다. 상기 베플부(200)는 상기 공기 토출구(110h)에서 토출된 유체 중에 공기와 응축수를 분리한다. 이때, 상기 베플부(200)는 상기 유체 중에 공기는 일방향으로 토출하고, 응축수는 포집하여 다른 일방향으로 배출한다.The baffle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case part (110). The baffle part (200) separates air and condensate from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ort (110h). At this time, the baffle part (200) discharges air from the fluid in one direction and collects condensate and discharges it in the other direction.
상기 베플부(200)는 상기 공기 토출구(211)에서 토출된 유체와 충돌하는 충돌면(20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플부(200)는 상기 충돌면(201)을 포함하는 플레이트(Plate) 또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Housing) 형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baffle part (200) may include a collision surface (201) that collides with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ort (211). At this time, the baffle part (200) may be in the shape of a plate including the collision surface (201) or a housing having a space ins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베플부(200)는 베플 몸체(210), 공기 토출부(220) 및 응축수 배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baffle part (200) may include a baffle body (210), an air discharge part (220), and a condensate discharge part (230).
상기 베플 몸체(210)는 상기 케이스부(110)의 전방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베플 몸체(210)는 하우징(Housing)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베플 몸체(210)의 내부면 중에 상기 공기 토출구(110h)에 마주하는 일면에 상기 충돌면(20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baffle body (210)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case part (110). The baffle body (210) may have a housing shape. At this time, the collision surface (201)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ffle body (210) facing the air discharge port (110h).
상기 공기 토출부(220)는 상기 베플 몸체(210)의 내부면 중에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공기 토출부(220)는 상기 충돌면(201)에 충돌된 유체 중에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토출부(220)는 상기 베플 몸체(2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air discharge unit (2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ffle body (210). The air discharge unit (220) can discharge air out of the fluid that has collided with the collision surface (201). At this time, the air discharge unit (220) can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ffle body (210).
상기 응축수 배출부(230)는 상기 베플 몸체(2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배출부(230)는 상기 충돌면(201)에 충돌된 유체 중에 응축수를 포집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The above condensate discharge unit (230) may b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affle body (210). The above condensate discharge unit (230) may collect and discharge condensate from the fluid that has collided with the collision surface (201).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응축수 배출부(230)는 복수의 경사면(231)과, 배출홀(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경사면(231)은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232)은 상기 복수의 경사면(231)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6,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2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s (231) and a discharge hole (232). The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s (231) may be arranged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center. The discharge hole (232)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s (231).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에 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n air conditio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저면도이다.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bottom view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도 1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구성과 같은 부호를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기능과 형상을 가지는 동일 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Here, components having the same symbols as those shown in FIGS. 1 to 6 are identical members with the same function and shape, so repetitive descriptions ar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는 상기 응축수 필터부(140)와 상기 베플부(200)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condensate filter unit (140) and the baffle unit (200) at the same time.
상기 응축수 필터부(140)는 상기 증발기(122)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122)를 통과한 유체를 통과시킨다. 이때, 상기 응축수 필터부(140)는 유체에 포함된 공기는 통과시키고,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일부 응축수는 충돌시켜 상기 드레인부(130)로 안내한다.The above condensate filter unit (14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evaporator (122) and passes the fl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122). At this time, the condensate filter unit (140) passes the air contained in the fluid and guides some of the condensate contained in the fluid to the drain unit (130) by colliding with it.
이때, 상기 응축수 필터부(140)를 통과하여 상기 공기 토출구(110h)로 토출되는 유체에는 미량의 응축수가 남아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공기 토출구(110h)로 토출된 유체는 상기 베플부(200)의 충돌면(201)에 충돌하여, 남아있는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 배출부(230)에 의해 포집되어 배출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small amount of condensate may remain in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110h) after passing through the condensate filter unit (140). Then,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110h) collides with the collision surface (201) of the baffle unit (200), and the remaining condensate may be captured and discharged by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230).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는 응축수 필터부를 통해 응축수를 1차적으로 필터링 한 후 베플부를 통해 잔여 응축수를 포집하여 배출시킴으로써, 응축수의 비산 방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air cond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preventing condensate from flying by first filtering condensate through a condensate filter section and then capturing and discharging the remaining condensate through a baffle section.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110: 케이스부
110h: 토출구
120: 구동부
121: 송풍기
122: 증발기
130: 드레인부
140: 응축수 필터부
200: 베플부
210: 베플 몸체
220: 공기 토출부
230: 응축수 배출부110: Case section
110h: outlet
120: Drive Unit
121: Blower
122: Evaporator
130: Drain section
140: Condensate filter section
200: Bepplebu
210: Beple body
220: Air discharge part
230: Condensate drain
Claims (13)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를 향하여 유체를 유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케이스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부 내부의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드레인부; 및
상기 공기 토출구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에 포함된 공기는 통과시키고,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일부 응축수는 충돌시켜 상기 드레인부로 안내하는 응축수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구동부가 배치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진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제3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와 상기 공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의 출구 상부는 격벽으로 차단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격벽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증발기는 유체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되 전단이 상기 격벽에 설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Case part with an air outlet formed on the front;
A driving unit arranged inside the case and causing fluid to flow toward the air outlet;
A drain part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case part to discharge condensate inside the case part; and
A condensate filter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air outlet and the driving unit, allowing air contained in the fluid to pass through and colliding some of the condensate contained in the fluid to guide it to the drain unit.
The above case part,
A first body in which the above driving unit is arranged,
A second body extending forward from the first body and slanting upward as it goes forward,
It includes a third body extending forward from the second body and forming an air outlet,
The above driving part,
With a blower,
Including an evaporator arranged between the blower and the air outlet,
The upper part of the outlet of the above first body is blocked by a bulkhead, and the above second body slopes upward as it goes for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bulkhead.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 which the evaporator is arrang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flow of the fluid, and the front end is installed on the bulkhead.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를 향하여 유체를 이송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케이스부 전방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에서 토출된 유체 중에 공기와 응축수를 분리하여, 공기는 일방향으로 토출하고, 응축수는 포집하여 다른 일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베플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구동부가 배치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진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제3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와 상기 공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의 출구 상부는 격벽으로 차단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격벽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증발기는 유체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되 전단이 상기 격벽에 설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Case part with an air outlet formed on the front;
A driving unit positioned inside the case to transfer fluid toward the air outlet; and
It includes a baffle part that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case part and separates air and condensate from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ort, discharges the air in one direction and collects the condensate and discharges it in the other direction.
The above case part,
A first body in which the above driving unit is arranged,
A second body extending forward from the first body and slanting upward as it goes forward,
It includes a third body extending forward from the second body and forming an air outlet,
The above driving part,
With a blower,
Including an evaporator arranged between the blower and the air outlet,
The upper part of the outlet of the above first body is blocked by a bulkhead, and the above second body slopes upward as it goes for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bulkhead.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 which the evaporator is arrang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flow of the fluid, and the front end is installed on the bulkhead.
상기 케이스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부 내부의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드레인부; 및
상기 공기 토출구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에 포함된 공기는 통과시키고,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일부 응축수는 충돌시켜 상기 드레인부로 안내하는 응축수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In the second paragraph,
A drain part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case part to discharge condensate inside the case part; and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condensate filter section arranged between the air outlet and the driving section, the condensate filter section allowing air contained in the fluid to pass through and colliding with some of the condensate contained in the fluid to guide it to the drain section.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증발기의 전방에 배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In clause 1 or 3,
A vehicle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above drain portion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above evaporator.
상기 응축수 필터부는,
상기 케이스부 내부의 유체의 유동 방향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메쉬망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In clause 1 or 3,
The above condensate filter section,
A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 mesh net arranged so as to face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inside the case.
상기 메쉬망은 유체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차량용 공조장치.In Article 8,
A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the above mesh net is arrang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fluid flow.
상기 메쉬망은 상기 증발기와 상기 드레인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In Article 8,
A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in which the above mesh net is placed between the above evaporator and the above drain section.
상기 베플부는 상기 공기 토출구에서 토출된 유체와 충돌하는 충돌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In the second paragraph,
A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the above-mentioned baffle portion includes a collision surface that collides with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ort.
상기 베플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연결되고 내부면에 상기 충돌면을 포함하는 베플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면 중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충돌면에 충돌된 유체 중에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공기 토출부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충돌면에 충돌된 유체 중에 응축수를 포집하여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In Article 11,
The above beppe part,
A bevel body connected to the case portion and including the collision surface on the inner surface,
An air discharge unit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to discharge air out of the fluid that has collided with the collision surface;
A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condensate discharge unit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to collect and discharge condensate from fluid that has collided with the collision surface.
상기 응축수 배출부는,
중앙으로 갈수록 햐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복수의 경사면과,
복수의 경사면의 중앙에 형성된 배출홀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In Article 12,
The above condensate discharge section,
Multiple slopes arranged so that they slope downwards as they go toward the center,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comprising an exhaust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a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4739A KR102714461B1 (en) | 2019-09-18 | 2019-09-18 |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4739A KR102714461B1 (en) | 2019-09-18 | 2019-09-18 |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3242A KR20210033242A (en) | 2021-03-26 |
KR102714461B1 true KR102714461B1 (en) | 2024-10-11 |
Family
ID=7525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4739A Active KR102714461B1 (en) | 2019-09-18 | 2019-09-18 |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1446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503433B (en) * | 2022-10-09 | 2025-05-16 | 浙江极氪智能科技有限公司 | vehicl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43931A (en) * | 1999-06-02 | 2000-12-12 | Bosch Automotive Systems Corp | Vehicle air conditioning unit |
JP2018154168A (en) | 2017-03-16 | 2018-10-04 | 株式会社デンソー | Vehicle air condition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8009U (en) * | 1983-07-15 | 1985-02-07 | マツダ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air duct |
KR19990029206U (en) * | 1997-12-29 | 1999-07-15 | 정몽규 | Overhead air conditioning system |
KR100428339B1 (en) * | 2001-10-29 | 2004-04-2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ooling system for battery of electric vehicle |
JP5511232B2 (en) | 2009-06-18 | 2014-06-04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Inverter module and inverter-integrated electric compressor using the same |
-
2019
- 2019-09-18 KR KR1020190114739A patent/KR10271446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43931A (en) * | 1999-06-02 | 2000-12-12 | Bosch Automotive Systems Corp | Vehicle air conditioning unit |
JP2018154168A (en) | 2017-03-16 | 2018-10-04 | 株式会社デンソー | Vehicle air conditio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3242A (en) | 2021-03-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098495B2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RU2398695C1 (en) | Railway vehicle with cooler of components arranged in its under-body space | |
EP3045827B1 (en) | Air conditioner | |
EP1083068B1 (en) | Evaporator unit for small bus | |
US20110061414A1 (en) | Rooftop mounted air conditioner | |
US6698220B2 (en) |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 |
EP2851627A1 (en) | Floor-mounted air conditioner | |
WO2013037335A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rail vehicles | |
DE112012002674T5 (en) | Air conditioning for one vehicle | |
KR101345314B1 (en) | An assembly for ventilating and air-conditioning of a driving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 |
KR102714461B1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 |
JP2006525180A (en) | Evaporator air system for bus rooftop air conditioner | |
US20160052364A1 (en) | Vehicular air conditioner | |
CN107042742B (en) |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ventilation air to a ventilation device of a vehicle interior, and motor vehicle | |
US12011967B2 (en) | Heat exchanger module for a motor vehicle | |
JP6878552B2 (en) | Clean room equipment and air circulation unit | |
KR20040076652A (en) | Air-conditioning case | |
KR102694370B1 (en) |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CN217979138U (en) | Side wall air outlet device, air conditioning device and elevator car | |
JP2004338595A (en) | Air conditioning unit | |
DE102021116825B3 (en) |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heat exchanger device and support fan, motor vehicle with air conditioning system | |
CN214371213U (en) | Vertical air-cooled freezer windshield | |
CN213734518U (en) | Air inlet of automobile air conditioner | |
KR102583212B1 (en) | Overhead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 |
JPS58126214A (en) | Cooler for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4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9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30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