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13894B1 - Golf Club Head and Golf Club Set - Google Patents
Golf Club Head and Golf Club S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13894B1 KR102713894B1 KR1020240027486A KR20240027486A KR102713894B1 KR 102713894 B1 KR102713894 B1 KR 102713894B1 KR 1020240027486 A KR1020240027486 A KR 1020240027486A KR 20240027486 A KR20240027486 A KR 20240027486A KR 102713894 B1 KR102713894 B1 KR 1027138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golf club
- club head
- head
-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05—Club se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3—Heads with special sole configu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66—Heads wood-typ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G 를 낮추어 스윗 스팟을 낮추고 MOI 도 증대시킬 수 있는 골프 클럽 헤드 및 골프 클럽 세트를 제공하는 것으로 일실시예에서, 크라운, 솔과 중공 내부를 포함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솔 내면에 연결되는 무게부 및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게부는 상기 페이스부에 인접 배치되는 무게바와 상기 무게바로부터 페이스부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무게 레일을 포함하는 제 1 무게부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olf club head and a golf club set capable of lowering CG to lower the sweet spot and increasing MOI, and in one embodiment, provides a golf club head including a body including a crown, a sole and a hollow interior, a weight portion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sole of the body, and a face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wherein the weight portion includes a first weight portion including a weight bar disposed adjacent to the face portion and a plurality of weight rails extending in an opposite direction from the face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골프 클럽 헤드와 이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세트에 대한 것으로, 초심자 및 중급자에게 사용이 용이한 골프 클럽 헤드 및 골프 클럽 세트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club head and a golf club set including the same, and relates to a golf club head and a golf club set that are easy to use for beginners and intermediate players.
골프에서 공을 자유자재로 컨트롤할 수 있는 상급자, 프로와는 달리 골프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아마추어 골퍼들은 헤드 페이스로 공을 가격할 때 스윗 스폿을 정확하게 맞추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Unlike advanced golfers and professionals who can freely control the ball in golf, amateur golfers, who make up the majority of the golf population, often fail to accurately hit the sweet spot when striking the ball with the head face.
스윗 스폿을 맞추지 못하는 경우에 공이 잘 뜨지 않거나 공을 클럽에 맞게 멀리 보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초심자 혹은 중급자에게 사용이 용이한 클럽 헤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If you miss the sweet spot, the ball will not fly well or you will not be able to send the ball far enough to hit the club. This is why there is a need for a club head that is easy to use for beginners or intermediate players.
골프 클럽 헤드에서 CG(center of Gravity)의 위치와 MOI(Moment of Inertia) 수치에 의해서 관용성이 결정되나, 클럽 헤드는 제한된 헤드 크기를 가지며, 두께를 변경하는 것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조정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Forgiveness is determined by the location of the CG (center of gravity) and the MOI (moment of inertia) value on the golf club head, but the club head has a limited head size and there are limits to changing the thickness, so adjustments are inevitably limited.
특허문헌 1 에는 낮은 전방 CG를 갖기 위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CG 가 전방에 위치하며, 낮아지는 경우에 스윗 스팟의 위치가 낮아져서 공을 띄우는 것은 유리할 수 있으나, MOI 가 작아져서 관용성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특허문헌 1) US 8926448 B (Patent Document 1) US 8926448 B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게 중심을 낮추어 스윗 스팟을 낮추고, 관성 모멘트를 증대시킬 수 있는 골프 클럽 헤드 및 골프 클럽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limitations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and aims to provide a golf club head and a golf club set capable of lowering the center of gravity, lowering the sweet spot, and increasing the moment of inertia.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골프 클럽 헤드 및 골프 클럽 세트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golf club head and golf club set.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크라운, 솔과 중공 내부를 포함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솔 내면에 연결되는 무게부 및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게부는 상기 페이스부에 인접 배치되는 무게바와 상기 무게바로부터 페이스부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무게 레일을 포함하는 제 1 무게부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provides a golf club head including a body including a crown, a sole and a hollow interior, a weight portion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sole of the body, and a face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wherein the weight portion includes a first weight portion including a weight bar disposed adjacent to the face portion and a plurality of weight rails extending in an opposite direction from the face portion.
일실시예에서, 상기 무게바와 상기 페이스부 사이에는 상기 페이스부를 상기 바디에 연결시키는 용접 심이 배치되어, 상기 무게바는 상기 페이스부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weld seam is disposed between the weight bar and the face portion, connecting the face portion to the body, so that the weight bar can be disposed apart from the face portion.
일실시예에서, 상기 무게부는 상기 솔의 후방에 연결되는 제 2 무게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게 레일은 제 1 무게 레일과 제 2 무게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무게 레일은 상기 힐 사이드와 토우 사이드를 연결하는 제 2 방향에서 상기 바디의 중앙보다 상기 토우 사이드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무게 레일은 상기 바디의 중앙보다 상기 힐 사이드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및 2 무게 레일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eight portion includes a second weight portion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sole, the weight rail includes a first weight rail and a second weight rail, the first weight rail is disposed further from the toe side than the center of the body in a second direction connecting the heel side and the toe side, and the second weight rail is disposed further from the heel side than the center of the body,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can be spaced apart in the first direction.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무게 레일과 상기 제 2 무게 레일의 상기 제 2 방향에서의 이격 거리는 상기 헤드의 제 2 방향 길이의 10 ~ 50% 사이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weight rail and the second weight rail i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between 10 and 50% of the length of the head in the second direction.
일실시예에서, 상기 무게바와 상기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은 솔에 가까울수록 폭이 넓어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eight bar and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may have a wider width as they get closer to the sole.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무게부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중앙에 걸쳐서 배치되며, 나사에 의해서 교체 가능한 중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weight portion may be positioned centrally in the first direction and may include a weight body that is replaceable by a screw.
일실시예에서, 상기 무게바는 전방 경사면과 후방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경사면이 수직 방향과 이루는 제 1 각은 상기 후방 경사면이 수직 방향과 이루는 제 2 각보다 작아서, 상기 전방 경사면이 상기 후방 경사면보다 급경사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eight bar includes a front inclined surface and a rear inclined surface, and a first angle formed by the front inclin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is smaller than a second angle formed by the rear inclin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ront inclined surface can be formed at a steeper angle than the rear inclined surface.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은 상기 제 2 무게부까지 연장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의 최대 폭은 상기 무게바의 최대 폭보다 작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extend to the second weight portion, and a maximum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may be less than a maximum width of the weight bar.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은 상기 솔의 후방으로부터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할 수 있으며, 상기 바디는 상기 중공 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무게부의 상기 제 2 방향 양측에서 페이스부를 향하는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홈부에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can extend to a position spaced from the rear of the sole, the body includes a recessed port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toward the face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second direction of the second weight portion based on the hollow interior, and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can be formed at least partially in the recessed portion.
일실시예에서, 상기 무게바는 상기 힐 사이드에서 상기 토우 사이드로 갈수록 상기 제 1 방향에서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 1 무게부의 중량은 40 ~ 80g 사이이거나 헤드 전체 중량의 18~32% 사이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eight bar may have a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that increases from the heel side to the toe side, and the weight of the first weight portion may be between 40 and 80 g or between 18 and 32% of the total weight of the head.
일실시에에서, 상기 무게바의 제 1 방향 양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며, 상기 솔의 내부로 돌출 형성되는 한쌍의 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부는 상기 상기 돌부와 상기 제 2 무게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eight bar includes a pair of protrusions extending rearwardly from the first end portions of the weight bar and protruding into the interior of the sole, and the groove portion can be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and the second weight portion.
본 발명은 로프트각이 다른 복수의 헤드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세트로, 상기 헤드는 상술한 골프 클럽 헤드 형상을 가지되, 상기 헤드에서 제 1 무게부 중량은 로프트각이 커짐에 따라서 커지며, 상기 헤드에서 상기 로프트각이 커짐에 따라서, 상기 무게바의 두께가 증가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club set including a plurality of heads having different loft angles, wherein the heads have the golf club head shape described above, and the weight of the first weight portion in the head increases as the loft angle increases, and the thickness of the weight bar in the head can increase as the loft angle increases.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공을 쉽게 띄울 수 있으면서도 관용성이 증대되며, 제작도 용이한 골프 클럽 헤드 및 골프 클럽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golf club head and a golf club set that can easily lift a ball while increasing tolerance and are easy to manufacture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도 1a, 1b 는 골프 클럽 헤드의 수직 단면도와 수평 단면도이다.
도 2a, 2b 는 다른 골프 클럼 헤드의 수직 단면도와 수평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4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의 측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도 5 의 A-A' 선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6 의 B-B' 선의 단면도이다.
도 9 은 도 6 의 C-C' 선의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6 의 D-D' 선의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E-E' 선의 단면도이다. Figures 1a and 1b are vertical and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s of a golf club head.
Figures 2a and 2b are vertical and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s of different golf club heads.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golf club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olf club hea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of a golf club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of a golf club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5.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BB' of Figure 6.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CC' of Figure 6.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DD' of Figure 6.
FIG. 11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a golf club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EE' of Figure 11.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easily propose other regressive inventions or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changing, or deleting other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but this will also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eans not only that these components ar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at they are 'indirectly connected' with other components in between. Also, when a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도 1a 및 1b 에는 골프 클럽 헤드의 수직 단면도와 수평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제 1 방향(X)은 전후 방향으로, 페이스부(30)에서 공을 타격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제 2 방향(Y)은 페이스부(30)의 토우 사이드와 힐 사이드를 연결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제 3 방향(Z)은 높이 방향으로 연직 방향을 의미한다. Figures 1a and 1b illustrate vertical and horizontal cross-sections of a golf club hea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rection (X) refers to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which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ll is struck by the face portion (30), the second direction (Y) refers to the direction connecting the toe side and the heel side of the face portion (30), and the third direction (Z) refers to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height direction.
골프 클럽, 예를 들면 페어웨이 우드, 유틸리티, 하이브리드의 경우에는 전후 방향(X)에서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헤드(10)를 포함한다. 헤드(10)는 도시되지 않은 샤프트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된 그립을 잡고 휘둘러 헤드(10)로 공을 치게 된다. Golf clubs, such as fairway woods, utilities, and hybrids, include a head (10) that is formed convexly rearward in the front-back direction (X). The head (10) is connected to a shaft (not shown), and a user holds a grip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haft and swings it to hit a ball with the head (10).
헤드(10)는 바디(20)와 페이스부(30)를 포함하며, 바디(20)와 페이스부(30)가 결합되어 헤드(10)를 형성한다. 바디(20)에는 넥부(60)가 형성되어, 샤프트가 넥부(60)를 통하여 헤드(10)와 결합한다. The head (10) includes a body (20) and a face portion (30), and the body (20) and the face portion (30) are combined to form the head (10). A neck portion (60) is formed in the body (20), and a shaft is combined with the head (10) through the neck portion (60).
헤드(10)는 다양하게 설계가 가능한데, 헤드(10)의 두께를 위치별로 조정하여 헤드(10)의 무게 중심(CG, Center of Gravity)을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통상 무게 중심(CG)에 의해서 스윗 스폿의 위치가 정해져서, 무게 중심이 낮아지면 스윗 스폿이 내려가게 되며, 이는 사용자가 공을 띄우기가 쉬워지게 된다. 무게 중심(CG)를 낮추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헤드(10)의 바디(20)에서 상부와 하부의 두께를 변경시키거나, 바디(20) 하부의 솔(21)의 구조를 변경시킴으로써, 헤드(10)의 무게 중심(CG)를 변경시킬 수 있다. 다만, 헤드(10)의 두께 변경만으로는 무게 중심(CG)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도 1a, 1b 에 도시되어 있듯이, 바디(20)의 솔(21)의 내측에 무게부(50)를 구비하게 하여 무게 중심(CG)을 낮추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The head (10)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an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center of gravity (CG) of the head (10)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head (10) by location. Normally, the location of the sweet spot is determined by the center of gravity (CG), and when the center of gravity is lowered, the sweet spot goes down, which makes it easier for the user to lift the ball. In order to lower the center of gravity (CG), specifically, the thickness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ody (20) of the head (10) can be changed, or the structure of the sole (21)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20) can be changed, thereby changing the center of gravity (CG) of the head (10). However, since it may be difficult to change the loca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CG) by only changing the thickness of the head (10), as shown in FIGS. 1a and 1b, a method of lowering the center of gravity (CG) by providing a weight part (50) on the inside of the sole (21) of the body (20) can be considered.
한편, 헤드(10) 설계에서, 무게 중심(CG)과 함께 중요한 것이 관성 모멘트(MOI, Moment Of Inertia)이다. 관성 모멘트(MOI)가 증가하면, 정타가 아니더라도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관용성이 증가된다. 통상 무게 중심이 페이스부(30)에 인접하면 관용성이 감소하며, 멀어지면 관용성이 증가한다. Meanwhile, in the design of the head (10), the moment of inertia (MOI) is important along with the center of gravity (CG). As the moment of inertia (MOI) increases, even if it is not a straight shot, the shaking can be minimized, thereby increasing the tolerance. Normally, when the center of gravity is close to the face (30), the tolerance decreases, and when it is farther away, the tolerance increases.
도 1a, 1b 에서는 관성 모멘트(MOI)를 증대시키면서 무게 중심(CG)을 낮추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제 1 방향(X)에서 후방쪽에 위치하는 추가 무게부(40)를 중심으로 솔(21)의 내측면에 무게부(50)를 배치하여 무게 중심을 낮추면서도 관성 모멘트(MOI)를 증대시키는 구조이다. In FIGS. 1a and 1b, a structure is disclosed for lowering the center of gravity (CG) while increasing the moment of inertia (MOI). This structure lowers the center of gravity while increasing the moment of inertia (MOI) by arranging a weight (5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ole (21) centered on an additional weight (40) located rearward in the first direction (X).
스윗 스폿(SS)은 무게 중심(CG)을 지나며 페이스면(31)에 수직한 선(L)이 페이스면(31)과 교차하는 지점에 형성되므로, 도 1a, 1b 의 경우에 무게 중심(CG)이 낮아지기는 하지만, 무게 중심(CG)이 후방에 형성되기 때문에, 페이스면(31)에 형성되는 스윗 스폿(SS)의 위치가 무게 중심(CG)으로부터 상승되는 거리가 커져서 헤드(10)로 공을 타격할 때 공을 띄우기가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Since the sweet spot (SS) is formed at the point where the line (L) perpendicular to the face surface (31)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gravity (CG) intersects the face surface (31), in the case of FIGS. 1a and 1b, although the center of gravity (CG) is lowered, since the center of gravity (CG) is formed at the re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istance that the sweet spot (SS) formed on the face surface (31) rises from the center of gravity (CG) increases, making it difficult to lift the ball when hitting the ball with the head (10).
한편, 도 2a, 2b 에는 다른 골프 클럽 헤드의 수평 단면도 및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S. 2a and 2b illustrate horizontal and vertical cross-sectional views of different golf club heads.
도 2a, 2b의 골프 클럽 헤드(10)는 무게부(50)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a, 1b 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골프 클럽 헤드(10)는 스윗 스폿(SS)의 위치를 낮추도록 무게 중심(CG)을 페이스부(30)에 인접한 위치에서 아래에 배치되게 무게부(22)가 무게바(51)를 포함한다. 무게바(51)는 힐 사이드(39)에서 토우 사이드(38) 방향인 제 2 방향(Y)으로 연장하며, 페이스부(30)와 바디(20)의 용접을 위한 소정 거리를 두고 바디(20)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The golf club head (10) of FIGS. 2a and 2b has the same shape as FIGS. 1a and 1b except for the shape of the weight portion (50). The golf club head (10) includes a weight bar (51) as the weight portion (22)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CG) is positioned lower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ace portion (30) to lower the position of the sweet spot (SS). The weight bar (51) extends in a second direction (Y) from the heel side (39) toward the toe side (38), and is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dy (2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welding the face portion (30) and the body (20).
무게바(51)는 제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전후 방향의 폭이 작아지게 경사면(51a, 51b)을 가지며, 상면(51c)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For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the weight bar (51) has an inclined surface (51a, 51b) whose wid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becomes small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the upper surface (51c) can be formed flat.
이러한 무게바(51)의 경우에 무게 중심(CG)을 전방으로 가져와 페이스면에 수직한 선(L)이 무게 중심(CG)을 지나 페이스면과 교차하는 스윗 스폿(SS)의 위치가 무게 중심(CG)과 높이 차이가 작아질 수 있으나, 전방으로 무게를 집중하기 위하여는 무게바(51)의 높이가 높아져 무게 중심(CG)의 위치 자체가 도 1a, 1b 보다 올라갈 수 있으며, 무게 중심(CG)이 전면으로 이동되어 관성 모멘트(MOI)가 작아진다. 따라서, 공을 띄우는 데는 유리할 수 있으나, 관용성이 감소되어 초중급자가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In the case of such a weight bar (51), the center of gravity (CG) can be brought forwar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weet spot (SS) where the line (L) perpendicular to the face surface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gravity (CG) and intersects the face surface can have a smaller height difference from the center of gravity (CG), but in order to concentrate the weight forward, the height of the weight bar (51) must be increas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CG) itself can be higher than in FIGS. 1a and 1b, and the center of gravity (CG) moves to the front so that the moment of inertia (MOI) decreases. Therefore, although it can be advantageous in launching the bal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olerance is reduced and it is not suitable for use by beginners and intermediate players.
본 발명은 무게 중심(CG)을 페이스면에 인접시켜 스윗 스폿(SS)의 위치를 낮추면서도 관성 모멘트(MOI)를 증대시켜 관용성을 증대시키며, 제작도 용이한 골프 클럽 헤드(10)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olf club head (10) that is easy to manufacture and increases forgiveness by increasing the moment of inertia (MOI) while lowering the sweet spot (SS) location by bringing the center of gravity (CG) close to the face surface.
도 3 내지 도 10 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10)가 도시되어 있다. FIGS. 3 to 10 illustrate a golf club head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3 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 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 내지 10 에는 도 5 또는 도 6 의 A-A' 선 ~ D-D'선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Specifically, FIG. 3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of a golf club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olf club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 side view of a golf club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a plan view of a golf club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 to 10 illustrat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A-A' to D-D' of FIG. 5 or FIG. 6.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10)는 도 1 및 도 2 의 골프 클럽 헤드(10)와 외형적인 면에서는 차이가 없다. 도 3 내지 도 6 에서 보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10)는 바디(20)와 바디(20)의 전면에 연결되는 페이스부(30)를 포함하며, 바디(20)는 바닥의 솔(21), 상부의 크라운(22), 넥부(60) 및 중공 내부(25)를 포함하며, 페이스부(30)는 페이스면(31), 토우 사이드(38) 및 힐 사이드(39)를 포함한다. A golf club head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difference in appearance from the golf club head (10) of FIGS. 1 and 2. As shown in FIGS. 3 to 6, a golf club head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20) and a face portion (30)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body (20). The body (20) includes a sole (21) at the bottom, a crown (22) at the top, a neck portion (60), and a hollow interior (25), and the face portion (30) includes a face surface (31), a toe side (38), and a heel side (39).
바디(20)는 유선형의 형상을 가지게 형성되므로, 바디(20)에 추가 형성되는 구성은 바디(20)의 중공 내부(25)로 돌출되는 돌부(23)에 삽입된다. 이 실시예에서, 바디(20)의 내면에는 돌부(23)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돌부(23)는 바디(20)의 후방 하부에는 추가 무게부(40)가 장착되기 위한 제 1 돌부(23a) 및 장식물 혹은 가이드를 삽입하기 위한 제 2 돌부(23b)를 포함한다. Since the body (20) is formed to have a streamlined shape, a configuration additionally formed on the body (20) is inserted into a protrusion (23) protruding into the hollow interior (25) of the body (20). In this embodiment, a protrusion (23)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20). Specifically, the protrusion (23) includes a first protrusion (23a) for mounting an additional weight (40) on the lower rear surface of the body (20) and a second protrusion (23b) for inserting a decoration or guide.
바디(20)는 솔부(21)의 내면에 배치되는 무게부(50)와 솔부(21)의 외면에서 변경가능하게 장착되는 추가 무게부(40)를 포함한다. 무게부(50)는 상기 헤드(20)의 솔부(21)에 추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솔부(21)와 동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솔부(21)에 장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body (20) includes a weight part (50)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ole part (21) and an additional weight part (40) changeably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ole part (21). The weight part (50) is a configuration additionally formed on the sole part (21) of the head (20),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ame material as the sole part (2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with a structure mounted on the sole part (21).
추가 무게부(40)는 중량체(41)와 상기 중량체(41)를 상기 바디(20)에 장착하기 위한 볼트(42) 및 와셔(43)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중량체(41)를 변경하여 원하는 무게로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게 한다. The additional weight part (40) includes a weight body (41) and a bolt (42) and a washer (43) for mounting the weight body (41) to the body (20), and allows the user to change the weight body (41) to customize it to a desired weight.
무게부(50)는 상기 제 2 방향(Y)으로 연장하는 무게바(51)와 상기 무게바(51)로부터 제 1 방향(X) 후방으로 연장하는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52, 53)을 포함한다.The weight unit (50) includes a weight bar (51)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Y) and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52, 53) extending rearwardly in the first direction (X) from the weight bar (51).
상기 무게바(51)와 상기 페이스부(30) 사이에는 상기 페이스부(30)를 상기 바디(20)에 연결시키는 용접 심(W)이 배치되어, 상기 무게바(51)는 상기 페이스부(30)로부터 제 4 거리(l4)로 이격 배치된다. 무게바(51)는 용접이 가능한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 4 거리(l4)는 수㎜ 범위여서, 페이스부(30)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welding seam (W) is arranged between the weight bar (51) and the face portion (30) to connect the face portion (30) to the body (20), so that the weight bar (51) is arranged at a fourth distance (l4) from the face portion (30). The weight bar (51) is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welding is possible, and since the fourth distance (l4) is in the range of several millimeters, it is preferable to arrange it close to the face portion (30).
도 8 에서 보이듯이, 무게바(51)는 페이스부(30)를 향하는 제 1 경사면(51a)과 반대편의 제 2 경사면(51b) 및 상면(51c)을 포함하며, 힐 사이드로부터 토우 사이드로 갈수록 바디(20)의 중공 내부(25) 공간이 커지므로, 무게바(51)의 제 1 방향 폭도 함께 커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weight bar (51) includes a first inclined surface (51a) facing the face portion (30), a second inclined surface (51b) on the opposite side, and an upper surface (51c), and as the hollow inner space (25) of the body (20) increases from the heel side to the toe side, the first direction width of the weight bar (51) can also increase.
또한, 제 1 경사면(51a)과 제 2 경사면(51b)는 연직 방향에 대하여 제 1 및 제 2 각(α1, α2)으로 경사져 솔(21)에 가까울수록 무게바(51)의 폭이 넓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 1 경사면(51a)과 연직 방향이 이루는 제 1 각(α1)이 제 2 경사면(51b)과 연직 방향이 이루는 제 2 각(α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전체적으로 무게바(51)가 페이스부(30) 쪽으로 쏠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작 용이성을 위하여 제 1 및 제 2 경사면(51a, 51b)은 모이는 구조로 형성된다. 제 1, 2 경사면(51a, 51b)과 상기 상면(51c)의 경계는 라운드 처리되어 무게바(51)는 전체적으로 절곡부를 가지지 않게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first inclined plane (51a) and the second inclined plane (51b)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of the weight bar (51) becomes wider as it gets closer to the sole (21) by being inclined at first and second angles (α1, α2)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angle (α1) form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plane (51a) and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second angle (α2) formed between the second inclined plane (51b) and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rough this, the weight bar (51) may be formed to be biased toward the face portion (30) as a whole. In this case as well, for ease of manufacturing,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planes (51a, 51b) are formed to have a converging structure. The boundari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planes (51a, 51b) and the upper surface (51c) are rounded so that the weight bar (51) is formed without having a bent portion as a whole.
도 7 에서 보이듯이, 제 1 무게 레일(52)은 바디(20)의 제 2 방향(Y) 중앙을 기준으로 토우 사이드 쪽에서 상기 제 1 방향(X)으로 연장하며, 제 2 무게 레일(53)은 바디(20)의 제 2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힐 사이드 쪽에서 상기 제 1 방향(X)으로 연장한다. As shown in Fig. 7, the first weight rail (52)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X) from the to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econd direction (Y) of the body (20), and the second weight rail (53)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X) from the heel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econd direction of the body (20).
상기 제 1 무게 레일(52)과 상기 제 2 무게 레일(53)은 제 2 방향(Y)에서 제 1 거리(l1)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무게 헤드(52, 53)는 각각 중공 내부(25)의 힐 사이드 및 토우 사이드 단부로부터 제 2 거리(l2) 및 제 3 거리(l3)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first weight rail (52) and the second weight rail (53)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first distance (l1) in the second direction (Y), and the first and second weight heads (52, 53)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eel side and toe side ends of the hollow interior (25) by a second distance (l2) and a third distance (l3), respectively.
상기 제 1 거리(l1)는 헤드(10)의 제 2 방향(Y)에서의 거리의 10~50% 사이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 거리(l1)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52, 53)에 의해서 뒤로 이동되는 무게 중심(CG) 대비 증가되는 관성 모멘트(MOI)가 작아져서 관용성 및 띄워치기에 불리하며, 50%를 초과하는 경우에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52, 53)이 중공 내부(25)의 힐 사이드 및 토우 사이드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제 2 거리(l2) 및 제 3 거리(l3)가 작아지므로 양 사이드의 공간이 작아져, 헤드(10)가 공을 타격할 때 발생하는 타구음이 나빠져 사용자의 만족도가 떨어질 수 있다. The above first distance (l1) may be between 10% and 50% of the distance in the second direction (Y) of the head (10), and when the first distance (l1) is less than 10%, the moment of inertia (MOI) increased relative to the center of gravity (CG) moved backward by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52, 53) becomes small, which is disadvantageous for tolerance and launcher, and when it exceeds 50%, the second distance (l2) and the third distance (l3) at which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52, 53) are spaced from the heel side and toe side ends of the hollow interior (25) become small, so that the space on both sides becomes small, and the hitting sound generated when the head (10) hits the ball becomes worse, which may lower user satisfaction.
도 10 에서 보이듯이,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52, 53)은 상기 무게바(51)와 유사하게 솔(21)에 가까울수록 제 2 방향 폭이 넓어지게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바디(20)의 제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52, 53)는 각각 제 1 경사면(52a, 53a)과 제 2 경사면(52b, 53b) 및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52a, 52b, 53a, 53b) 사이의 상면(52c, 53c)을 포함한다. 이 , 상기 제 1 경사면(52a, 53a)과 수직 방향이 이루는 각(β1)과 제 2 경사면(52b, 53b)과 수직 방향이 이루는 각(β2)은 비슷하게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52, 53)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direction width increases the closer they are to the sole (21), similar to the weight bar (51). By being configured in this way, the manufacturability of the body (20) can be improved.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52, 53) each include a first inclined surface (52a, 53a), a second inclined surface (52b, 53b), and an upper surface (52c, 53c)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52a, 52b, 53a, 53b). In this case, the angle (β1) form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52a, 53a) and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angle (β2) formed betwee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2b, 53b) and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configured similarly.
상기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52, 53)은 상기 추가 무게부(40)까지 연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52, 53)은 상기 무게바(51)로부터 상기 추가 무게부(40)를 장착하기 위한 제 1 돌부(23a)와 제 2 돌부(23b) 사이의 홈부(24)까지 연장한다. 즉,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52, 53)의 일부가 상기 홈부(24)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제 2 돌부(23b)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돌부(23a)까지 연장할 수 있으며, 무게부(40, 50)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52, 53) extend to the additional weight portion (40). Specifically,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52, 53) extend from the weight bar (51) to a groove (24)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23a) and the second protrusion (23b) for mounting the additional weight portion (40). That is, a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52, 53) is configured to be located in the groove (24). If the second protrusion (23b) is not present, it may extend to the first protrusion (23a)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weight portions (40, 50) are connected.
도 9 및 도 10 에서 보이듯이, 상기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52, 53)의 최대 폭은 상기 무게바(51)의 최대 폭보다 작게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52, 53)의 높이(l6)가 상기 무게바(51)의 높이(l5)보다 작게 구성되어, 무게바(51)에 의한 무게가 상기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52, 53)에 의한 무게보다 크게 구성된다. 즉, 무게부(50)의 재질이 동일하므로,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52, 53)의 부피가 상기 무게바(51)의 부피보다 작게 구성되어, 무게부(50)에 의한 전체적인 추가 중량을 페이스부(30)에 인접한 무게바(51)쪽으로 쏠리게 하여 무게 중심(CG)의 위지가 전방으로 위치하게 한다.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maximum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52, 53)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weight bar (51), and the height (l6) of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52, 53)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height (l5) of the weight bar (51), so that the weight by the weight bar (51) is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weight by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52, 53). That is, since the material of the weight portion (50) is the same, the volume of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52, 53)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weight bar (51), so that the overall additional weight by the weight portion (50) is concentrated toward the weight bar (51) adjacent to the face portion (30), so that the loca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CG) is positioned forward.
이 실시예에서는 무게바(51)만으로 무게를 증가시키는 경우에 도 2a, 2b와 같이 무게 중심(CG)이 상승되지 않도록, 무게바(51)에 추가하여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52, 53)을 가짐으로써, 무게바(51)의 높이가 높아져 무게 중심(CG)이 올라가지 않게 하면서도 관성 모멘트(MOI)를 증대시켜 관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the center of gravity (CG) from rising as shown in FIGS. 2a and 2b when increasing the weight only with the weight bar (51),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52, 53) ar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weight bar (51), so that the height of the weight bar (51) is increased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CG) does not rise, while increasing the moment of inertia (MOI) and securing tolerance.
본 발명은 상술한 골프 클럽 헤드(10)를 복수 개 가지는 골프 클럽 세트를 포함한다. 무게부(50)의 중량은 클럽 번호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클럽 번호가 커질수록, 즉, 페이스면(31)이 수직 방향과 이루는 각이 커질수록 중량을 증대될 수 있으며, 그 중량을 40~80g 사이이거나, 헤드(10) 전체 중량의 18~32% 범위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olf club set having a plurality of the golf club heads (10) described above. The weight of the weight portion (50) may vary depending on the club number, and as the club number increases, i.e., as the angle formed by the face surface (31) with the vertical direction increases, the weight may increase, and the weight may be between 40 and 80 g, or within a range of 18 to 32% of the total weight of the head (10).
도 11 및 도 12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의 수평 단면도 및 도 11 의 E-E' 선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 의 실시에는 도 3 내지 10 의 헤드와 전체적이 헤드(10) 형상은 유사하나, 서로 다른 로프트각을 가져서 무게부(50)에 의해서 추가되는 중량이 증가되어 무게부(50)의 형상에 변화가 있으므로,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FIGS. 11 and 12 illustrate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a golf club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11. The embodiments of FIGS. 11 and 12 have a similar overall head (10) shape to the heads of FIGS. 3 to 10, but have different loft angles, so that the weight added by the weight portion (50) increases and the shape of the weight portion (50) changes. Therefore,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is.
도 11 및 도 12 의 헤드와 도 3 내지 10 의 헤드는 하나의 골프 클럽 세트에 들어가며 번호가 다른 골프 클럽 헤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내지 10 의 헤드는 2번 유틸리티일 수 있으며, 도 11 및 도 12 는 5번 유틸리티일 수 있다. The heads of FIGS. 11 and 12 and the heads of FIGS. 3 to 10 may be golf club heads with different numbers that fit into one set of golf clubs. For example, the heads of FIGS. 3 to 10 may be No. 2 utilities, and those of FIGS. 11 and 12 may be No. 5 utilities.
도 11 에서 보이듯이, 기본적인 무게부(50)의 구조는 제 2 방향(Y)으로 연장하는 무게바(51)와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52, 53)을포함한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다만, 무게부(50)에 의해서 추가되는 중량이 증가되도록 상기 무게바(51)의 높이(l5)가 도 3 내지 도 10 의 무게바(51)의 높이(l5, 도 9 참고)보다 크다. 다만,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52, 53)의 높이(l6)의 경우에 도 3 내지 도 10 의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52, 53)의 높이(l6, 도 9 참고)와 비슷하게 유지된다. As shown in Fig. 11, the structure of the basic weight portion (50) is the same in that it includes a weight bar (51)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Y) and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52, 53). However, the height (l5) of the weight bar (51) is greater than the height (l5, see Fig. 9) of the weight bar (51) of Figs. 3 to 10 so that the weight added by the weight portion (50) increases. However, the height (l6) of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52, 53) is maintained similarly to the height (l6, see Fig. 9) of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52, 53) of Figs. 3 to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클럽 번호가 증가됨에 따라서 증가되는 무게는 무게바(51)를 중심으로 증가된다. 즉, 클럽 번호가 증가될 때 무게 레일(52, 53)의 무게 증가보다 무게바(51)의 무게 증가가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번호가 커질수록 상대적으로 무게 중심(CG)이 전방으로 위치하여 공을 띄위기 쉽게 구성되며, 번호가 작아질수록 상대적으로 관성 모멘트(MOI)증가 비중이 커서 관용성이 증가되게 구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lub number increases, the weight increases centered on the weight bar (51). That is, when the club number increases, the weight increase of the weight bar (51) is configured to be greater than the weight increase of the weight rails (52, 53). Accordingly, as the number increases, the center of gravity (CG) is positioned relatively further forward, making it easy to lift the ball, and as the number decreases, the proportion of the increase in the moment of inertia (MOI) is relatively greater, so that tolerance can be configured to increase.
본 발명을 일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focusing o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modified forms.
10: 헤드 20: 바디
21: 솔 22: 크라운
23: 돌부 24: 홈부
25: 중공 내부 30; 페이스부
31: 페이스면 40: 추가 무게부
41: 중량체 42: 나사
50: 무게부 51: 무게바
52: 제 1 무게 레일 53: 제 2 무게 레일
60: 넥부10: Head 20: Body
21: Sol 22: Crown
23: Stone 24: Home
25: Hollow inside 30; Face
31: Face 40: Additional weight
41: Weight 42: Screw
50: Weight section 51: Weight bar
52: 1st weight rail 53: 2nd weight rail
60: Neck
Claims (15)
상기 바디의 솔 내면에 연결되는 무게부 및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게부는 상기 페이스부에 인접 배치되는 무게바와 상기 무게바로부터 전후 방향인 제 1 방향(X)에서 페이스부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무게 레일을 포함하는 제 1 무게부 및 상기 솔의 후방에 연결되는 제 2 무게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게 레일은 제 1 무게 레일과 제 2 무게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무게 레일은 힐 사이드와 토우 사이드를 연결하는 제 2 방향(Y)에서 상기 바디의 중앙보다 상기 토우 사이드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무게 레일은 상기 바디의 중앙보다 상기 힐 사이드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및 2 무게 레일은 상기 제 2 방향에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중공 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무게부의 상기 제 2 방향 양측에서 페이스부를 향하는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홈부에 형성되는
골프 클럽 헤드.The body including the crown, sole and hollow interior;
A weight part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ole of the above body and
Includes a face portion connected to the above body,
The weight portion includes a first weight portion including a weight bar arranged adjacent to the face portion and a plurality of weight rail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X)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from the weight ba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ace portion, and a second weight portion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sole,
The above weight rail includes a first weight rail and a second weight rail,
The first weight rail is arranged on the toe side side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body in the second direction (Y) connecting the heel side and the toe side, and the second weight rail is arranged on the heel side side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body,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are spaced apart in the second direction.
The above body includes a groove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toward the face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second weight portion based on the inside of the hollow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are formed at least partially in the groove portion.
Golf club head.
상기 무게바와 상기 페이스부 사이에는 상기 페이스부를 상기 바디에 연결시키는 용접 심이 배치되어, 상기 무게바는 상기 페이스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골프 클럽 헤드.In paragraph 1,
A golf club head having a welding seam disposed between the weight bar and the face portion to connect the face portion to the body, wherein the weight bar is disposed apart from the face portion.
상기 제 1 무게 레일과 상기 제 2 무게 레일의 상기 제 2 방향에서의 이격 거리는 상기 헤드의 제 2 방향 길이의 10 ~ 50% 사이인 골프 클럽 헤드.In the second paragraph,
A golf club head, wherein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weight rail and the second weight rail in the second direction is between 10 and 50% of the length of the head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무게바와 상기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은 솔에 가까울수록 폭이 넓어지는 골프 클럽 헤드. In paragraph 4,
A golf club head wherein the weight bar and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become wider as they get closer to the sole.
상기 제 2 무게부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중앙에 걸쳐서 배치되며, 나사에 의해서 교체 가능한 중량체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 In paragraph 5,
A golf club head including a weight body, wherein the second weight body is positioned centrally in the first direction and is replaceable by a screw.
상기 무게바는 전방 경사면과 후방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경사면이 수직 방향과 이루는 제 1 각은 상기 후방 경사면이 수직 방향과 이루는 제 2 각보다 작아서, 상기 전방 경사면이 상기 후방 경사면보다 급경사로 형성되는 골프 클럽 헤드. In paragraph 5,
A golf club head wherein the weight bar includes a front slope and a rear slope, and a first angle formed by the front slop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is smaller than a second angle formed by the rear slop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ront slope is formed at a steeper angle than the rear slope.
상기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은 상기 제 2 무게부까지 연장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의 최대 폭은 상기 무게바의 최대 폭보다 작은 골프 클럽 헤드. In paragraph 6,
The abov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extend to the second weight section,
A golf club head wherein the maximum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is small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weight bar.
상기 제 1 및 제 2 무게 레일은 상기 솔의 후방으로부터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하는 골프 클럽 헤드. In Article 8,
A golf club head wherein said first and second weight rails extend to a position spaced from the rear of said sole.
상기 무게바는 상기 힐 사이드에서 상기 토우 사이드로 갈수록 상기 제 1 방향에서의 길이가 길어지는 골프 클럽 헤드. In paragraph 7,
A golf club head in which the weight bar becomes longer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heel side to the toe side.
상기 제 1 무게부의 중량은 40 ~ 80g 사이 혹은 헤드 전체 중량의 18~32% 사이인 골프 클럽 헤드. In paragraph 7,
A golf club head wherein the weight of the first weight portion is between 40 and 80 g or between 18 and 32% of the total weight of the head.
상기 무게바의 제 1 방향 양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며, 상기 솔의 내부로 돌출 형성되는 한쌍의 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부는 상기 돌부와 상기 제 2 무게부 사이에 형성되는 골프 클럽 헤드. In the first paragraph,
It includes a pair of protrusions extending rearwardly from the first end of the weight bar and protruding into the interior of the sole.
A golf club head wherein the hom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 portion and the second weight portion.
상기 헤드는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9 항, 제 11 항 및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골프 클럽 헤드 형상을 가지되,
상기 헤드에서 제 1 무게부 중량은 로프트각이 커짐에 따라서 커지는 골프 클럽 세트.A set of golf clubs including multiple heads with different loft angles.
The above head has a golf club head shap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 to 9, 11 and 12,
A golf club set wherein the weight of the first weight portion in the above head increases as the loft angle increases.
상기 헤드에서 상기 로프트각이 커짐에 따라서, 상기 무게바의 두께가 증가되는 골프 클럽 세트.
In Article 14,
A golf club set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weight bar increases as the loft angle increases in the hea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27486A KR102713894B1 (en) | 2024-02-26 | 2024-02-26 | Golf Club Head and Golf Club S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27486A KR102713894B1 (en) | 2024-02-26 | 2024-02-26 | Golf Club Head and Golf Club Se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13894B1 true KR102713894B1 (en) | 2024-10-11 |
Family
ID=93118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27486A Active KR102713894B1 (en) | 2024-02-26 | 2024-02-26 | Golf Club Head and Golf Club S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13894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49479A (en) * | 2012-10-17 | 2014-04-25 |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 Golf club head |
KR20180108657A (en) * | 2016-01-11 | 2018-10-04 |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 Club head set and associated method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 values |
US20200206588A1 (en) * | 2017-08-25 | 2020-07-02 |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 Multicomponent weight system for a golf club head |
JP2020103586A (en) * | 2018-12-27 | 2020-07-09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Golf club head |
-
2024
- 2024-02-26 KR KR1020240027486A patent/KR10271389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49479A (en) * | 2012-10-17 | 2014-04-25 |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 Golf club head |
KR20180108657A (en) * | 2016-01-11 | 2018-10-04 |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 Club head set and associated method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 values |
US20200206588A1 (en) * | 2017-08-25 | 2020-07-02 |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 Multicomponent weight system for a golf club head |
JP2020103586A (en) * | 2018-12-27 | 2020-07-09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Golf club hea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10771B2 (en) | Iron-type golf club head with elevated weight bar and stress-relieving structures | |
US9993704B2 (en) | Striking face deflection structures in a golf club | |
US6217461B1 (en) | Golf club head | |
US7300361B2 (en) | Golf club head having a bridge member | |
US5906549A (en) | Golf club with different shaft orientations and method of making same | |
US8870681B2 (en) | Golf club head and golf club | |
US4836550A (en) | Club head for an iron-type golf club | |
US5695409A (en) | Golf club with opening at base of the head | |
US5082277A (en) | Golf putter | |
US20060217216A1 (en) | Fairway wood with titanium face member | |
US20010011044A1 (en) | Golf club head | |
US7150686B2 (en) | Golf club head | |
US20020103039A1 (en) | Golf club head with alignment channel | |
US20040204263A1 (en) | Iron-type golf club head | |
KR20130038397A (en) | Iron type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having weight containing and/or vibration damping insert members | |
JP2001204859A (en) | Golf club head | |
US20190366175A1 (en) | Golf club with interchangeable sole | |
KR20120100816A (en) | Golf club head and golf club using the same | |
US8371955B2 (en) | Wood-type golf club set | |
US11213724B2 (en) | Offset golf club head | |
KR102713894B1 (en) | Golf Club Head and Golf Club Set | |
US8678950B2 (en) | Multi-component golf club head | |
US10137336B2 (en) | Golf head club | |
US20060223653A1 (en) | Golf driver having titanium alloy head and flexible shaft | |
KR200249524Y1 (en) | Wood type golf club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2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2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