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3521B1 - 인공 지능을 이용한 청각 보조 기기 - Google Patents

인공 지능을 이용한 청각 보조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3521B1
KR102713521B1 KR1020230161247A KR20230161247A KR102713521B1 KR 102713521 B1 KR102713521 B1 KR 102713521B1 KR 1020230161247 A KR1020230161247 A KR 1020230161247A KR 20230161247 A KR20230161247 A KR 20230161247A KR 102713521 B1 KR102713521 B1 KR 102713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mode
signal
signals
artificial intellige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1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힐링사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힐링사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힐링사운드
Priority to KR1020230161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3521B1/ko
Priority to PCT/KR2023/018841 priority patent/WO202511026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3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35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7General system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61F11/12External moun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 G10K11/1782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the input signals only
    • G10K11/17823Reference signals, e.g. ambient acoustic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08Communication systems, e.g. where useful sound is kept and noise is cancelled
    • G10K2210/1081Earphones, e.g. for telephones, ear protectors or headse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23Estimation of noise, e.g. on error sign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38Neur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개의 이어플러그 본체들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이어플러그 본체들 각각은 주변 소리의 음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주변 소리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와, 소리의 전기적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스피커와, 상기 주변 소리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소리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소리 신호에 대한 인공지능 분석을 수행하여 음성 신호와 음성 신호가 아닌 비음성 신호를 구분하여 분리하는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듈과, 상기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듈로부터 분리되어서 출력되는 상기 음성 신호의 음량을 높이고 상기 비음성 신호의 음량을 낮춘 출력 소리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피커로 전달하는 출력 소리 신호 생성 모듈을 구비하는 청각 보조 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인공 지능을 이용한 청각 보조 기기 {HEARING AID USING ARTIFICIAL INTELLIGIECE}
본 발명은 치과 등 소음이 심한 환경 등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청각 보조 기기에 관한 것이다.
환자를 치료함에 있어서 안락하고 편안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사항이다. 병을 어떠한 방식으로 치료하느냐에 따라 조용한 환경이 환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는 반면, 치과 분야에서는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날카롭고 고주파의 소음이 환자에게 불쾌감이나 공포감을 조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고주파 소음에 노출된 환자를 보호할만한 대책은 미흡한 상황이다.
치과 등의 의료 분야 외에도, 군부대 및 건설 현장 등의 소음이 심한 산업 분야에서 작업자의 청력 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 작업자는 주로 차폐성 귀마개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이는 소음뿐만 아니라 시설 내 경보음, 다른 작업자의 음성도 차단하기 때문에, 의사 소통에 문제를 발생시키고, 나아가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청각장애인에게 더욱 심각하다.
한편, 능동소음제어(ACTIVE NOISE CONTROL) 기술이란 헤드폰이나 이어폰에 별도로 부착되어 있는 마이크를 통해 주변의 소음을 수신하고, 그 소음을 상쇄시키는 상쇄간섭을 노이즈캔슬링 회로에서 발생시켜서 소음을 차단하는 기술이다. 종래에는 능동소음제어 기술을 헤드폰이나 이어폰에 구비시켜서, 멀티미디어 감상에 사용될 뿐이며, 다른 환경에서 다양하게 적용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크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39441호 (2017.05.24.)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 외과 등의 의료 분야, 군부대 및 건설 현장 등의 산업 분야와 같이 소음이 심한 환경에서 소음을 제거하면서 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청각 보조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두 개의 이어플러그 본체들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이어플러그 본체들 각각은 주변 소리의 음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주변 소리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와, 소리의 전기적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스피커와, 상기 주변 소리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소리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소리 신호에 대한 인공지능 분석을 수행하여 음성 신호와 음성 신호가 아닌 비음성 신호를 구분하여 분리하는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듈과, 상기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듈로부터 분리되어서 출력되는 상기 음성 신호의 음량을 높이고 상기 비음성 신호의 음량을 낮춘 출력 소리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피커로 전달하는 출력 소리 신호 생성 모듈을 구비하는 청각 보조 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공지능 소리 분석을 이용하여 주변 소리 신호에서 음성 신호와 비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각각 처리하여, 음성 신호의 음량은 높이고 비음성 신호의 음량은 낮춤으로써, 치과와 같이 소음인 심한 상황에서도 대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보조 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각 보조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청각 보조 기기에서 이어플러그 본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청각 보조 기기의 세 가지 작동 모드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보조 기기가 도 1에는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 보조 기기(100)는 두 개의 이어플러그(earplug)(110)들과, 두 개의 이어플러그(110)들을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연결하는 목걸이 수단(190)을 포함한다. 청각 보조 기기(100)는 주변 소음을 집중적으로 제거하거나, 소음이 심한 상황에서 대화를 용이하게 하거나, 외부기기가 제공하는 소리 정보를 들을 수 있도록 작동한다.
두 개의 이어플러그(earplug)(110)들 각각은 사용자의 두 귀에 각각 끼워져서 사용된다. 두 개의 이어플러그(110)들 각각은 이어플러그 본체(120)와, 이어플러그 본체(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어캡(earcap)(180)을 구비한다.
이어플러그 본체(120)는 기둥 형상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121)를 구비한다. 연장부(121)에 목걸이 수단(190)이 결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어플러그 본체(120)는 작동을 위해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재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를 구비한다. 이어플러그 본체(120)에 구비되는 이차전지의 충전은 목걸이 수단(190)이 제거된 상태에서 수행된다.
도 3에는 이어플러그 본체(120)의 구성이 블록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어플러그(120)는 청각 보조 기기(도 1 및 도 2의 100)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122)와, 주변 소리의 음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주변 소리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130)와, 소리의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귀로 들을 수 있도록 음파로 변환하는 스피커(140)와, 외부기기(A)와 통신하는 통신부(145)와, 이어플러그 본체(120)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구비한다.
조작부(122)는 청각 보조 기기(도 1 및 도 2의 100)를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조작부(122)를 이용하여 청각 보조 기기(도 1 및 도 2의 100)의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부(12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 플러그 본체(120)의 외부에 버튼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조작부(122)에 의한 작동 모드 선택 신호는 제어부(150)로 전송된다.
마이크(130)는 주변 소리의 음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주변 소리 신호를 생성한다. 마이크(130)는 통상적인 마이크로폰의 구성을 포함한다. 주변 소리는 사람의 목소리인 음성과, 음성이 아닌 비음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주변 소리는 소음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30)에서 생성된 주변 소리 신호는 제어부(150)로 전달된다.
스피커(140)는 제어부(150)로부터 전달되는 소리의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귀로 들을 수 있도록 음파로 변환한다. 스피커(140)는 통상적인 스피커의 구성을 포함한다.
통신부(145)는 청각 보조 기기(도 1 및 도 2의 100)를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기기(A)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통신부(145)는 제어부(150)와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통신부(145)는 외부기기(A)로부터 음원과 같은 소리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부(145)가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어부(150)는 이어플러그 본체(120)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도 4에는 제어부(150)의 구성이 블록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청각 보조 기기(도 1 및 도 2의 100)의 작동 모드를 확인하는 작동 모드 확인부(152)와, 마이크(도 3의 130)로부터 출력되는 주변 소리 신호로부터 소음을 제거하는 소음 제거 모듈(155)과, 마이크(도 3의 130)로부터 출력되는 주변 소리 신호에 대한 인공지능 분석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듈(160)과,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듈(160)로부터 분리되어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음량 및 잡음 신호의 음량을 각각 조절하여 출력 소리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소리 신호 생성 모듈(165)을 구비한다.
작동 모드 확인부(152)는 청각 보조 기기(도 1 및 도 2의 100)의 작동 모드를 확인한다. 작동 모드 확인부(152)는 조작부(도 3의 122)가 출력하는 작동 모드 선택 신호를 확인함으로써, 청각 보조 기기(도 1 및 도 2의 100)의 작동 모드를 확인한다. 도 5는 청각 보조 기기(도 1 및 도 2의 100)의 세 가지 작동 모드를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청각 보조 기기(도 1 및 도 2의 100)는 집중 소음 제거 모드(M1), 대화 지원 모드(M2) 및 외부기기 연결 모드(M3)의 세 가지 작동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작동 모드로 작동한다. 집중 소음 제거 모드(M1)과 대화 지원 모드(M2)는 상호 스위칭되어서 변경될 수 있다. 외부기기 연결 모드(M3)는 블루투스 연결을 이용하며, 외부기기 연결 모드(M3) 내에서 집중 소음 제거 모드(M1)와 대화 진원 모드(M2)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작동할 수 있다.
집중 소음 제거 모드(M1)에서는 청각 보조 기기(도 1 및 도 2의 100)가 주변 소리에서 소음을 제거하도록 작동한다.
대화 지원 모드(M2)에서는 청각 보조 기기(도 1 및 도 2의 100)가 소음이 있는 상황에서 대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한다.
외부기기 연결 모드(M3)에서는 청각 보조 기기(도 1 및 도 2의 100)가 외부기기(A)로부터 전송되는 소리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작동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소음 제거 모듈(155)은 마이크(도 3의 130)로부터 출력되는 주변 소리 신호로부터 소음을 제거하여 소음 제거 소리 신호를 생성한다. 소음 제거 모듈(155)에서 생성된 소음 제거 소리 신호는 스피커(도 3의 140)로 전달되어서 음파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소음 제거 모듈(155)은 저역 필터(LPF : Low Pass Filter) 또는 노치 필터(Notch Filter)를 사용할 수 있다. 저역 필터(LPF)는 주변 소리 신호에서 저주파수 대역은 통과시키고 고주파수 대역은 막아서, 상대적으로 고주파 대역에 분포하는 고주파 소음을 저감하거나 차단한다. 노치 필터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성분만을 제거하는 필터이다. 소음 제거 모듈(155)이 제거하는 주파수 대역은 청각 보조 기기(도 1 및 도 2의 100)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청각 보조 기기(도 1 및 도 2의 100)가 치과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소음 제거 필터 모듈(155)은 약 3500Hz 이상의 고주파 대역을 막도록 설정되는 것 바람직하다. 소음 제거 모듈(155)은 청각 보조 기기(도 1 및 도 2의 100)가 집중 소음 제거 모드(도 5의 M1)로 작동하는 경우에 기능할 수 있다.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듈(160)은 마이크(도 3의 130)로부터 출력되는 주변 소리 신호에 대한 인공지능 분석을 수행하여, 음성 신호와 음성 신호가 아닌 비음성 신호를 구분하여 분리한다.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듈(160)에서 음성 신호를 제외한 비음성 신호는 잡음 신호로 인식된다.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듈(160)에 의해 분리된 음성 신호와 잡음 신호는 출력 소리 신호 생성 모듈(165)로 전달된다.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듈(160)은 주변 소리 신호에 대한 인공지능 분석을 수행하여 음성 신호와 잡음 신호를 분리하는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델(162)을 구비한다.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듈(160)은 청각 보조 기기(도 1 및 도 2의 100)가 집중 소음 제거 모드(도 5의 M1) 및 대화 지원 모드(도 5의 M2)로 작동하는 경우에 기능할 수 있다.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델(162)은 수집된 소리 데이터에 대한 딥러닝 학습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서, 치과에서 경우를 예를 들어서 학습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1 단계로서, 치과 병원에서 해당 진료 별 / 소리 발생 유형 별(석션, 핸드피스 소리, 아기 우는 소리 등) / 소속 과별(보존과, 소아치과 등 다른 진료 환경들)로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전 분류 및 태깅(tagging)을 시행한다(1 단계).
다음, 2 단계로서, 취합된 음성+음향 데이터가 혼재된 실제 현장의 데이터들을 대상으로 의료진의 음성만 분류한다. 이 때, 타임라인 상에서 시작 포인트와 종료 포인트를 구분하거나, 주파수 별로 구분해서 의료진의 음성이 태깅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의료진의 음성 분류의 경우, 의료진의 음성인지 아닌지를 구별한 후, 의료진의 음성을 텍스트로(sound to text) 변환하여, 문장 별로 선택하여 정리하고 이를 태깅하는 과정을 거친다. 소음별 분류의 경우, 소음인지 아닌지 구별한 후, 어떠한 종류의 치과 소음인지를 판별하여 태깅하는 과정을 거친다.
다음, 3 단계로서, 태깅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딥러닝 학습 알고리즘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소음 환경에서 음성 분별도 및 명료도 향상을 위해 합성 곱 신경회로망(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에 기반한 환경 소음 분별 알고리즘을 생성한다. 시간에 따른 Hz를 입력파형으로 이미지화 하고 이를 통해 음성 파형과 잡음 파형을 분류한다. 이를 통해, 다음 두 가지 기능에 사용된다.
먼저, 의료진의 음성과 치과 치료의 다양한 잡음을 분류할 수 있는 알고리즘 개발에 활용된다.
다음, 음성 활동 검출(voice activity detection)의 키 솔루션(key solution)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잔류 합성 곱 신경망(Residual CNN)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잔류 학습 방식은 특정 층에 잔류 연결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계산량의 증가와 기울기의 소실/폭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함으로써 깊은 신경망 구조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이에 합성 곱 신경망과 잔류 학습 방식을 결합한 잔류 합성 곱 신경망을 적용하여 소음을 식별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출력 소리 신호 생성 모듈(165)은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듈(160)로부터 분리되어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음량 및 잡음 신호의 음량을 각각 조절하여 출력 소리 신호를 생성한다. 출력 소리 신호 생성 모듈(165)은 음성 신호 음량은 높이고, 잡음 신호의 음량은 낮추어서 출력한다. 출력 소리 신호 생성 모듈(165)에서 생성된 출력 소리 신호는 스피커(도 3의 140)로 전달되어서 음파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듈(160)은 청각 보조 기기(도 1 및 도 2의 100)가 대화 지원 모드(도 5의 M2)로 작동하는 경우에 기능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소음이 심한 주변 상황에서도 소음은 작게 들리고 음성은 크게 들리게 되어서, 대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어캡(earcap)(180)은 이어플러그 본체(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어캡(180)은 사용자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크기의 것이 교체되어서 사용될 수 있다. 이어캡(180)은 이어폰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목걸이 수단(190)은 두 개의 이어플러그(110)들을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연결한다. 목걸이 수단(190)은 이어플러그 본체(120)에 결합되는 두 개의 결합부(192)들과, 두 개의 결합부(192)들을 연결하는 연결 줄(196)을 구비한다.
두 개의 결합부(192)들 각각은 두 개의 이어플러그 본체(120)들 각각에 하나 씩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부(192)는 대체로 링 형태로서, 이어플러그 본체(120)의 연장부(121)를 감싸서 이어플러그 본체(120)에 결합된다. 결합부(192)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연결 줄(196)은 두 개의 결합부(192)들을 연결한다. 연결 줄(196)이 사용자의 목에 걸리게 된다.
이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청각 보조 기기(100)를 작동 모드에 따른 작용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청각 보조 기기(100)는 집중 소음 제거 모드(M1), 대화 지원 모드(M2) 및 외부기기 연결 모드(M3)의 세 가지 작동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작동 모드로 작동한다.
먼저, 집중 소음 제거 모드(M1)에 대해 설명한다. 집중 소음 제거 모드(M1)는 작동 모드 확인부(152)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122)가 출력하는 집중 소음 제거 모드 선택 신호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집중 소음 제거 모드(M1)에서는 소음 제거 모듈(155)이 작동하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차단하도록 기능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집중 소음 제거 모드(M1)에서는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듈(160) 및 출력 소리 신호 생성 모듈(165)도 함께 작동한다. 집중 소음 제거 모드(M1)는 주변 소음에 매우 심하여, 소음을 집중적으로 차단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다음, 대화 지원 모드(M2)에 대해 설명한다. 대화 지원 모드(M2)는 작동 모드 확인부(152)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122)가 출력하는 대화 지원 모드 선택 신호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대화 지원 모드(M2)에서는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듈(160)이 작동하여 주변 소리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와 잡음 신호가 분리되고, 출력 소리 신호 생성 모듈(165)이 작동하여 음성 신호의 음량은 높아지고 잡음 신호의 음량은 낮아짐으로써 수행된다. 대화 지원 모드(M2)는 소음이 심한 주변 상황에서 원활한 대화가 요구될 때 유용하다.
다음, 외부기기 연결 모드(M3)에 대해 설명한다. 외부기기 연결 모드(M3)는 작동 모드 확인부(152)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122)가 출력하는 외부기기 연결 모드 선택 신호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외부기기 연결 모드(M3)에서는 통신부(145)에 의해 외부기기(A)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수행된다. 외부기기 연결 모드(M3)에서 외부기기(A)로부터 음원과 같은 소리 데이터를 전송 받아서 스피커(140)를 통해 출력된다. 외부기기 연결 모드(M3)는 사용자가 작업에 집중하거나, 치과 치료 중 심리적 안정을 취하기 위해 음악을 청취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또한, 외부기기 연결 모드(M3)에서는 집중 소음 제거 모드(M1)와 대화 지원 모드(M2)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서는 외부기기 연결 모드(M3)가 집중 소음 제거 모드(M1)가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과 환경을 예로 들면, 조용한 상태에서 음악을 감상하며 치과 공포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산업/작업 환경에서는 체감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청각 보조 기기 110: 이어 플러그
120: 이어 플러그 본체 121: 연장부
122: 조작부 130: 마이크
140: 스피커 150: 제어부
152: 작동 모드 확인부 155: 소음 제거 모듈
160: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듈 162: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델
165: 출력 신호 생서 모듈 170: 통신부
180: 이어캡 190: 목걸이 수단
192: 결합부 196: 연결 줄

Claims (10)

  1. 두 개의 이어플러그 본체들; 및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상기 두 개의 이어플러그 본체들을 연결하는 목걸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이어플러그 본체들 각각은 주변 소리의 음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주변 소리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와, 소리의 전기적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스피커와, 사용자가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와,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상기 주변 소리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소리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가 출력하는 작동 모드 선택 신호를 확인하는 작동 모드 확인부와, 상기 주변 소리 신호로부터 소음을 제거하여 소음 제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소음 제거 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전달하는 소음 제거 모듈과, 상기 주변 소리 신호에 대한 인공지능 분석을 수행하여 음성 신호와 음성 신호가 아닌 비음성 신호를 구분하여 분리하는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듈과, 상기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듈로부터 분리되어서 출력되는 상기 음성 신호의 음량을 높이고 상기 비음성 신호의 음량을 낮춘 출력 소리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피커로 전달하는 출력 소리 신호 생성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작동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서 집중 소음 제거 모드, 대화 지원 모드 및 외부기기 연결 모드 중 선택된 모드가 작동하며,
    상기 집중 소음 제거 모드에서는 상기 소음 제거 모듈, 상기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듈 및 상기 출력 소리 신호 생성 모듈이 작동하며,
    상기 대화 지원 모드에서는 상기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듈과 상기 출력 소리 신호 생성 모듈이 작동하며,
    상기 외부기기 연결 모드에서는 상기 통신부가 작동하여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음원을 전송받아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외부기기 연결 모드에서는 상기 집중 소음 제거 모드와 상기 대화 지원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추가로 선택되어서 함께 작동할 수 있으며,
    상기 집중 소음 제거 모드와 상기 대화 지원 모드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상호 스위칭되어서 변경되며,
    상기 목걸이 수단은 상기 두 개의 이어플러그 본체들 각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결합부들과, 상기 두 개의 결합부들을 연결하는 연결 줄을 구비하는,
    청각 보조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듈은 딥러닝 학습에 의해 생성되어서 상기 주변 소리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와 비음성 신호를 분리하는 인공지능 소리 분석 모델을 구비하는,
    청각 보조 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딥러닝 학습은 잔류 합성 곱 신경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청각 보조 기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제거 모듈은 저역 필터 또는 노치 필터를 구비하는,
    청각 보조 기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어플러그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어캡을 더 포함하는,
    청각 보조 기기.
KR1020230161247A 2023-11-20 2023-11-20 인공 지능을 이용한 청각 보조 기기 Active KR102713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1247A KR102713521B1 (ko) 2023-11-20 2023-11-20 인공 지능을 이용한 청각 보조 기기
PCT/KR2023/018841 WO2025110269A1 (ko) 2023-11-20 2023-11-22 인공 지능을 이용한 청각 보조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1247A KR102713521B1 (ko) 2023-11-20 2023-11-20 인공 지능을 이용한 청각 보조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13521B1 true KR102713521B1 (ko) 2024-10-07

Family

ID=93115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1247A Active KR102713521B1 (ko) 2023-11-20 2023-11-20 인공 지능을 이용한 청각 보조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713521B1 (ko)
WO (1) WO2025110269A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388A (ja) * 1993-02-05 1994-08-19 Sony Corp 補聴装置
JP2005537702A (ja) * 2002-07-12 2005-12-08 ヴェーデクス・アクティーセルスカプ 補聴器および音声の明瞭さを高める方法
KR20120011509A (ko) * 2010-07-29 2012-02-08 이동도 목걸이형 이어폰
KR20170025231A (ko) * 2015-08-28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39441B1 (ko) 2015-12-03 2017-05-24 전자부품연구원 능동 소음 제어형 청력보호 방법 및 그 장치
EP3288285A1 (en) * 2016-08-26 2018-02-28 Starkey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obust acoustic feedback cancellation
KR20190130533A (ko) * 2017-05-15 2019-11-22 한국전기연구원 음성 검출기를 구비한 보청기 및 그 방법
JP2019536327A (ja) * 2016-10-21 2019-12-12 ボーズ・コーポレーションBosecorporation 能動騒音低減を使用した聴覚支援の改善
US20210174778A1 (en) * 2015-10-26 2021-06-10 Staton Techiya Llc Biometric, physiological or environmental monitoring using a closed chamber
US20220369047A1 (en) * 2021-05-17 2022-11-17 Bose Corporation Wearable hearing assist device with artifact remediation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388A (ja) * 1993-02-05 1994-08-19 Sony Corp 補聴装置
JP2005537702A (ja) * 2002-07-12 2005-12-08 ヴェーデクス・アクティーセルスカプ 補聴器および音声の明瞭さを高める方法
KR20120011509A (ko) * 2010-07-29 2012-02-08 이동도 목걸이형 이어폰
KR20170025231A (ko) * 2015-08-28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10174778A1 (en) * 2015-10-26 2021-06-10 Staton Techiya Llc Biometric, physiological or environmental monitoring using a closed chamber
KR101739441B1 (ko) 2015-12-03 2017-05-24 전자부품연구원 능동 소음 제어형 청력보호 방법 및 그 장치
EP3288285A1 (en) * 2016-08-26 2018-02-28 Starkey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obust acoustic feedback cancellation
JP2019536327A (ja) * 2016-10-21 2019-12-12 ボーズ・コーポレーションBosecorporation 能動騒音低減を使用した聴覚支援の改善
KR20190130533A (ko) * 2017-05-15 2019-11-22 한국전기연구원 음성 검출기를 구비한 보청기 및 그 방법
US20220369047A1 (en) * 2021-05-17 2022-11-17 Bose Corporation Wearable hearing assist device with artifact remedi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5110269A1 (ko) 2025-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674B1 (ko) 보청기 기능의 능동 소음 제거 헤드셋 장치
US74867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oth bone conduction microphone
US9380374B2 (en) Hearing assistance systems configured to detect and provide protection to the user from harmful conditions
CN104871559B (zh) 双耳遥现
EP16409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a users voice from ambient sound
JP2004525572A (ja) イヤーマイクロホンの装置および方法
US9609423B2 (en) Noise abatement system for dental procedures
WO2016167878A1 (en) Hearing assistance systems configured to enhance wearer's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 individuals
US200701476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a user's voice from ambient sound
EP3618457B1 (en) A hearing device configured to utilize non-audio information to process audio signals
US9361906B2 (en) Method of treating an auditory disorder of a user by adding a compensation delay to input sound
WO2016167877A1 (en) Hearing assistance systems configured to detect and provide protection to the user harmful conditions
US12017010B2 (en) Soun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dental treatment
KR102713521B1 (ko) 인공 지능을 이용한 청각 보조 기기
WO2022010011A1 (ko) 소음 저감을 통한 치과용 환자 청력 보호 장치 및 방법
CN206042367U (zh) 一种多功能骨传导助听器
Bhowmik et al. Hear, now, and in the future: Transforming hearing aids into multipurpose devices
CN108370462A (zh) 骨传导波生成装置及方法、骨传导波生成装置用程序、以及骨传导波输出机
KR200426390Y1 (ko)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폰
KR102693818B1 (ko) 청각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93391B1 (ko) 청력보호용 소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Hosoi Cartilage Conduction Hearing Aids: the third pathway for sound transmission and its application
RU162103U1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ема/передачи звуковой волны при проведении занятий п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ю нарушенных психических функций в условиях шумовых помех
KR102239491B1 (ko) 치과용 진료 환경 조성 시스템 및 방법
Benesch et al. Interfacing the Tympan open-source hearing aid with an external computer for research on decreased sound toler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1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