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13445B1 - 음굴절 광학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Google Patents
음굴절 광학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13445B1 KR102713445B1 KR1020210188589A KR20210188589A KR102713445B1 KR 102713445 B1 KR102713445 B1 KR 102713445B1 KR 1020210188589 A KR1020210188589 A KR 1020210188589A KR 20210188589 A KR20210188589 A KR 20210188589A KR 102713445 B1 KR102713445 B1 KR 1027134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element
- optical
- virtual image
- image light
- augmented realit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5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9 length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86 nano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10 reflec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25 retin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7/010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holographic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2—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raction only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74—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holograph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내지 도 4는 선행 기술 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기술에 기초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200)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는 측면도이고, 도 3은 사시도이고, 도 4는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200)의 가로 방향의 아이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200)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대한 등가 광학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음굴절 광학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300)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은 사시도, 도 8은 정면도, 도 9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음굴절 광학 소자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광학 장치(300)의 아이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광학 장치(300)의 평면도에 대한 등가 광학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음굴절 상수에 따른 음굴절 현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 및 도 14는 음굴절 상수에 따른 시야각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장치(400)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광학 장치(500)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300, 400, 500...음굴절 광학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10...광학 수단
20...제1 광학 소자
30...화상 출사부
31...디스플레이부
32...콜리메이터
40...동공
50...제2 광학 소자
60...회절 소자
70...광학 소자
Claims (14)
- 음굴절 광학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로서,
가상 영상을 표시하고 가상 영상에 상응하는 화상광인 가상 영상 화상광을 출사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출사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시준하여 평행광으로 출사하는 콜리메이터를 포함하는 화상 출사부;
상기 화상 출사부로부터 출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을 제2 광학 소자로 전달하는 제1 광학 소자;
상기 제1 광학 소자로부터 전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사용자의 눈의 동공을 향해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가상 영상을 제공하며, 실제 세계의 사물로부터 출사한 실제 사물 화상광을 투과시켜 사용자의 눈의 동공으로 전달하는 제2 광학 소자; 및
상기 제1 광학 소자 및 제2 광학 소자가 배치되며, 실제 사물로부터 출사된 실제 사물 화상광을 투과시켜 사용자의 눈의 동공을 향해 전달하는 광학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학 소자는, 양의 굴절률을 갖는 빛의 굴절 방향과 출사면의 법선에 대해 대칭되는 방향으로 가상 영상 화상광을 굴절시키되, 사용자가 광학 수단을 바라볼 때 가로 방향으로 가상 영상 화상광을 굴절시키는 음굴절 광학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소자는 상기 광학 수단의 내부에 매립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학 수단은 상기 제2 광학 소자를 통해 전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과 실제 사물 화상광이 사용자의 동공을 향해 출사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며 실제 사물 화상광이 입사하는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화상 출사부에서 출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은 상기 광학 수단의 제1 면 또는 제2 면에서 전반사된 후 제1 광학 소자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소자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행렬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광학 모듈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소자는 입사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반사시켜 출사하는 반사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 소자는, 상기 제1 광학 소자와 사용자의 눈의 동공 사이에서 광학 수단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학 수단은 상기 제2 광학 소자를 통해 전달되는 가상 영상 화상광과 실제 사물 화상광이 사용자의 동공을 향해 출사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며 실제 사물 화상광이 입사하는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제2 광학 소자는 상기 광학 수단의 제1 면의 안쪽 면 또는 바깥쪽 면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 광학 소자와 상기 광학 수단의 제2 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의 눈의 동공에서 관찰되는 가로 방향의 아이박스의 길이를 d2라고 할 때, 상기 콜리메이터의 가로 방향의 길이(d1)는 d1 = d2+2ABS(y1-y2)tan(FOV/2)의 수식에 의해 계산(여기에서, FOV는 시야각, y1은 콜리메이터에서 제1 광학 소자까지의 거리, y2는 제1 광학 소자에서 동공까지의 거리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소자는 회절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소자는 반사형 회절 소자 또는 투과형 회절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소자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Holographic Optical Element, HO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소자는 단일 평면으로 형성된 회절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음굴절 광학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로서,
가상 영상을 표시하고 가상 영상에 상응하는 화상광인 가상 영상 화상광을 출사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출사하는 가상 영상 화상광을 시준하여 평행광으로 출사하는 콜리메이터를 포함하는 화상 출사부;
상기 화상 출사부로부터 출사된 가상 영상 화상광을 사용자의 눈의 동공으로 전달하고, 실제 세계의 사물로부터 출사한 실제 사물 화상광을 투과시켜 사용자의 눈의 동공으로 전달하는 광학 소자; 및
상기 광학 소자가 배치되며, 실제 사물로부터 출사된 실제 사물 화상광을 투과시켜 사용자의 눈의 동공을 향해 전달하는 광학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소자는, 양의 굴절률을 갖는 빛의 굴절 방향과 출사면의 법선에 대해 대칭되는 방향으로 가상 영상 화상광을 굴절시키되, 사용자가 광학 수단을 바라볼 때 가로 방향으로 가상 영상 화상광을 굴절시키는 음굴절 회절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8589A KR102713445B1 (ko) | 2021-12-27 | 2021-12-27 | 음굴절 광학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PCT/KR2022/015262 WO2023128167A1 (ko) | 2021-12-27 | 2022-10-11 | 음굴절 광학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8589A KR102713445B1 (ko) | 2021-12-27 | 2021-12-27 | 음굴절 광학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5423A KR20220005423A (ko) | 2022-01-13 |
KR102713445B1 true KR102713445B1 (ko) | 2024-10-04 |
Family
ID=79342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88589A Active KR102713445B1 (ko) | 2021-12-27 | 2021-12-27 | 음굴절 광학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713445B1 (ko) |
WO (1) | WO202312816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13445B1 (ko) * | 2021-12-27 | 2024-10-04 | 주식회사 레티널 | 음굴절 광학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KR102808515B1 (ko) * | 2022-01-25 | 2025-05-16 | 주식회사 레티널 | 편광 광학 소자를 이용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3985B1 (ko) * | 2013-04-26 | 2020-04-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단일 방향성의 빔을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증강 현실 영상 구현 방법 및 장치 |
US9335549B2 (en) * | 2014-03-19 | 2016-05-10 | Google Inc. | Imaging lightguide with holographic boundaries |
KR101699054B1 (ko) * | 2014-05-15 | 2017-01-23 | 이준희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광학 시스템 |
JP2018523147A (ja) * | 2015-05-08 | 2018-08-16 | ビ−エイイ− システムズ パブリック リミテッド カンパニ−BAE SYSTEMS plc | ディスプレイにおける、および、ディスプレイに関連する改良 |
KR101894556B1 (ko) | 2016-09-08 | 2018-10-04 | 주식회사 레티널 | 광학 장치 |
KR102184972B1 (ko) * | 2019-02-01 | 2020-12-01 | 주식회사 룩시드랩스 | 동공 중심간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
KR102099231B1 (ko) * | 2019-02-13 | 2020-04-08 | 주식회사 레티널 | 근접 거리의 증강 현실용 화상을 제공할 수 있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KR102192942B1 (ko) | 2019-09-18 | 2020-12-18 | 주식회사 레티널 | 광 효율을 개선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KR102563215B1 (ko) * | 2021-06-03 | 2023-08-03 | 주식회사 레티널 |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KR102713445B1 (ko) * | 2021-12-27 | 2024-10-04 | 주식회사 레티널 | 음굴절 광학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
2021
- 2021-12-27 KR KR1020210188589A patent/KR102713445B1/ko active Active
-
2022
- 2022-10-11 WO PCT/KR2022/015262 patent/WO202312816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5423A (ko) | 2022-01-13 |
WO2023128167A1 (ko) | 2023-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21486B2 (en) | AR headsets with improved pinhole mirror arrays | |
KR102192942B1 (ko) | 광 효율을 개선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
JP6994940B2 (ja) | 光結合を用いたヘッドマウント型画像装置 | |
US10007117B2 (en) | Imaging light guide with reflective turning array | |
US11598970B2 (en) | Imaging light guide with reflective turning array | |
JP6171740B2 (ja) | 光学デバイス及び画像表示装置 | |
KR102687259B1 (ko) | 내장 콜리메이터 및 음굴절 광학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
JP6670431B2 (ja) | 結像光学系およびスマートグラス | |
JP7357976B2 (ja) | 光効率を改善した拡張現実用光学装置 | |
KR102436597B1 (ko) | 직선 배치 광학 구조를 갖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및 광학 수단의 제조 방법 | |
JP2023543887A (ja) | 直線配置光学構造を有するコンパクト型拡張現実用光学装置及び光学手段の製造方法 | |
KR20210075918A (ko) | 굴절 공간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
KR102713445B1 (ko) | 음굴절 광학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
US20230044063A1 (en) | Ar headset with an improved displa | |
KR102248606B1 (ko) | 곡선 배치 반사 구조를 갖는 컴팩트형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
JP2018054782A (ja) | 光学素子および表示装置 | |
KR20210053249A (ko) | 고스트 이미지 차단 기능 및 광 시야각을 갖는 컴팩트형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
KR102728848B1 (ko) | 고스트 이미지 제거 기능을 갖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
KR102751385B1 (ko) | 편광판을 구비하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
KR102808516B1 (ko) | 회절 광학 소자를 이용한 아이박스 확장형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
KR102759341B1 (ko) | 확장된 아이박스를 갖는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
KR102774699B1 (ko) | 확장된 아이박스를 갖는 컴팩트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
KR102808897B1 (ko) | 편광을 이용하여 아이박스를 확장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
KR102310804B1 (ko) | 곡선 배치 반사 구조를 갖는 컴팩트형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
KR20210083218A (ko) | 곡선 배치 반사 구조를 갖는 컴팩트형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