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13075B1 - Drone available for thrust vector contro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rone available for thrust vector contro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13075B1 KR102713075B1 KR1020240041644A KR20240041644A KR102713075B1 KR 102713075 B1 KR102713075 B1 KR 102713075B1 KR 1020240041644 A KR1020240041644 A KR 1020240041644A KR 20240041644 A KR20240041644 A KR 20240041644A KR 102713075 B1 KR102713075 B1 KR 1027130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drone
- thrust
- vertical
- thrust vec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20—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64U30/29—Constructional aspects of rotors or rotor support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96—Rotors with variable spatial positions relative to the UAV body
- B64U30/297—Tilting ro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40—Empennages, e.g. V-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60—Intended control result
- G05D1/65—Following a desired speed profile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60—Intended control result
- G05D1/652—Take-off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60—Intended control result
- G05D1/654—Lan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109/00—Types of controlled vehicles
- G05D2109/20—Aircraft, e.g. drones
- G05D2109/22—Aircraft, e.g. drones with fixed wings
- G05D2109/23—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Short take-off and landing [STOL, STOVL]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드론의 순항 속도를 높일 수 있는 드론이 제공된다. 상기 드론은, 비행기 동체, 상기 비행기 동체를 가로방향으로 상기 비행기 동체의 양측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고정익, 한쌍의 상기 고정익의 전단 및 후단에 배치되며 추력 벡터 제어에 따라 추력 벡터를 변화시키는 4개의 추력 장치, 및 상기 비행기 동체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하로 회동되는 수평미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rone capable of increasing a cruising speed of the drone is provided. The drone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airplane fuselage, a pair of fixed wings formed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airplane fuselage in a transverse direction, four thrust devices arrang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pair of fixed wings and changing a thrust vector according to thrust vector control, and a horizontal stabilizer arranged at the rear of the airplane fuselage and rotating up and down.
Description
본 발명은 드론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익이 설치된 45°추력형 쿼드로터 드론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rone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45° thrust quadrotor drone with fixed wings.
특히, 본 발명은 추력 벡터를 변화시켜 이착륙 및 순항 시 목적에 따른 추력의 이용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드론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maximizing the utilization rate of thrust according to the purpose during takeoff, landing, and cruising by changing the thrust vector.
수직 이착륙(VTOL: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드론은 수직 이착륙 및 수평 비행이 가능한 드론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수직 이착륙 드론은 군사 분야에서 무인 정찰기, 무인 공격기, 무인 수송기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drones are drones that can take off and land vertically and fly horizontally, and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drones can be used in the military as unmanned reconnaissance aircraft, unmanned attack aircraft, and unmanned transport aircraft.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항공기나 헬리콥터와 달리 제한된 공간에서도 이착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활주로가 부족하고 산악이 많은 지형에서는 고정익 드론보다는 수직 이착륙 드론을 개발하여 운용이 적합하다. 수직 이착륙 드론은 민간 분야에서도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택배 배송, 촬영, 영상 촬영, 재난 구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Sinc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is possibl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take off and land in limited spaces, unlike existing airplanes or helicopters. In a country like ours where there are not enough runways and the terrain is mountainous, it is more appropriate to develop and operate a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drone than a fixed-wing dron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drones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the private sector. They ar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delivery, filming, video recording, and disaster relief.
이러한 수직 이착륙 드론의 유형으로는 먼저 하이브리드형(Lift Cruise) 드론이 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형 드론은 가장 일반적인 VTOL 드론으로, 쿼드로터 드론과 고정익(Fixed-wing) 드론을 혼합한 형태이다. 드론이 이착륙할 때는 4개의 수직방향 모터(혹은 엔진)를 이용하여 쿼드로터 드론처럼 비행하고, 순항할 때는 수평 방향으로 모터(혹은 엔진)를 이용하여 고정익 드론처럼 비행한다. 드론이 순항할 때는 고정익(Fixed-wing)에 의해서 양력이 발생하므로 수직방향 추력장치(모터 혹은 엔진)는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The first type of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drone is a hybrid (Lift Cruise) drone. A hybrid drone is the most common VTOL drone, and is a hybrid of a quad-rotor drone and a fixed-wing drone. When the drone takes off and lands, it flies like a quad-rotor drone using four vertical motors (or engines), and when cruising, it flies like a fixed-wing drone using the horizontal motors (or engines). When the drone cruises, the lift is generated by the fixed wing, so the vertical thrust device (motor or engine) does not need to be used.
이러한 하이브리드형 드론의 장점으로는 구조가 간단하고, 제어하기 쉬운점을 들 수 있다. 수직 이착륙↔순항(수평비행) 조건에서도 충분한 양력을 확보할 수 있다. 현존하는 기술들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어서 기술성숙도가 높다. 따라서 개발/양산 비용이 저렴하다.The advantages of this hybrid drone include simple structure and easy control. Sufficient lift can be secured even unde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 cruising (horizontal flight) conditions. The technology is highly mature because it can fully utilize existing technologies. Therefore, the development/mass production costs are low.
단점으로는 목적이 다른 추력장치를 드론에 설치해야 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즉, 드론이 이착륙할 때는 수평방향 추력 장치가 필요없고 드론이 순항할 때는 수직방향 추력 장치가 필요없지만, 드론 기체에 모든 추력장치가 존재해야 한다.A disadvantage is that the drone must have thrusters for different purposes installed. That is, the horizontal thruster is not needed when the drone is taking off and landing, and the vertical thruster is not needed when the drone is cruising, but all the thrusters must be present on the drone body.
특히, 드론이 고속으로 순항할 때 수직방향 추력장치(모터 + 프로펠러)는 오히려 유체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drone is cruising at high speed, the vertical thrust device (motor + propeller) can actually act as fluid resistance.
다음으로 테일 시터형(tail sitter) 드론을 들 수 있다. 테일 시터형 드론은 특별한 유형의 VTOL(Vertical Take-Off and Landing) 드론으로, 수직으로 이착륙할 수 있다. 이 유형의 드론은 일반적으로 '꼬리 앉은' 방식으로 착륙하고 이륙하는 것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즉, 드론이 수직으로 서 있으면서 프로펠러가 위를 향해 있다.Next up is the tail sitter drone. Tail sitter drones are a special type of VTOL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drone that can take off and land vertically. This type of drone gets its name from the fact that it usually lands and takes off in a "tail-sitting" manner. That is, the drone is upright with the propeller pointing upwards.
이러한 테일 시터형 드론의 주요 장점중 하나는 헬리콥터와 같이 수직으로 이착륙할 수 있으면서, 고속으로 비행할 수 있는 고정익 비행기의 특성을 결합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잡하거나 협소한 공간에서의 이착륙이 가능하며, 또한 긴 거리를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One of the main advantages of these tail-sitter drones is that they combine the characteristics of a fixed-wing aircraft, which can take off and land vertically like a helicopter, while also being able to fly at high speeds. This allows them to take off and land in tight or confined spaces, and also to travel long distances quickly.
단점으로는 수평 비행과 이착륙 사이의 천이 구간에서 드론을 제어하기가 상당히 어렵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를 위해 고도 조정, 속도 조절 등 복잡한 제어 알고리즘이 필요하다.The downside is that it is quite difficult to control the drone during the transition between horizontal flight and takeoff and landing, which requires complex control algorithms such as altitude adjustment and speed control.
다음으로 틸트 로터형(tilt rotor) 드론을 들 수 있다. 틸트 로터형 드론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프로펠러 또는 로터가 회전하는 축이 기울어질 수 있는 특징을 가진 드론이다. 이러한 기능은 드론이 수직 이착륙(VTOL)과 고속 전진 비행 사이를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게 해준다. Next up are tilt rotor drones. Tilt rotor drones, as the name suggests, are drones that have a feature where the axis on which the propeller or rotor rotates can tilt. This feature allows the drone to seamlessly transition betwe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nd high-speed forward flight.
틸트 로터 드론은 프로펠러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수직으로 이착륙하는 헬리콥터 모드와, 전진 비행을 위한 고정익 비행기 모드 사이를 전환한다. 이러한 틸트 로터 드론의 장점으로는 이착륙 공간이 제한된 곳에서도 운용할 수 있으면서도, 고정익 비행기처럼 높은 속도와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로 긴 거리를 비행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Tilt-rotor drones change between a helicopter mode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nd a fixed-wing airplane mode for forward flight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propellers. The advantages of these tilt-rotor drones include the ability to operate in areas with limited takeoff and landing space, while flying long distances at high speeds and with efficient energy consumption like fixed-wing aircraft.
단점으로는 모터(엔진) + 프로펠러의 각도를 조정하는 메커니즘이 복잡하고, 이착륙 모드와 전진 비행 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과정에서의 안정성 유지는 높은 수준의 제어 기술을 요구한다.As a disadvantage, the mechanism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motor (engine) + propeller is complex, and maintaining stability during the process of switching between takeoff and landing mode and forward flight mode requires a high level of control technology.
다음으로 45°추력형을 들 수 있는데, 이중 45°추력형#1 드론을 들 수 있다. 45°추력형#1 드론은“FIXAR 007”이라는 모델이다. 고정익과 동체를 중심으로 전방에 추력장치 2개(좌/우), 후방에 추력장치 2개(좌/우)가 장착된다.Next, we have the 45° thrust type, among which we have the 45° thrust type #1 drone. The 45° thrust type #1 drone is a model called “FIXAR 007”. It is equipped with two thrust devices (left/right) in the front and two thrust devices (left/right) in the rear, centered on the fixed wing and the fuselage.
드론이 지상에 착륙했을 때, 4개 추력의 방향이 모두 지상을 기준으로 대각선(약 45도) 방향을 향하고 있다. 드론이 이륙할 때는 기울어진 추력 벡터 때문에 드론이 수직이 아닌 약간 기울어져(약 45°)로 상승하지만, 드론이 공중에 상승한 직후부터는 추력을 제어하여 추력 벡터가 지상과 수직이 되도록 하여 상승한다.When the drone lands on the ground, all four thrust directions are oriented diagonally (approximately 45 degrees) relative to the ground. When the drone takes off, the drone rises slightly tilted (approximately 45 degrees) rather than vertically due to the tilted thrust vector, but immediately after the drone rises into the air, the thrust is controlled so that the thrust vector become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rises.
일반적으로 드론이 순항할 때는 추력 벡터가 비행 방향과 45°가 되고, 드론 동체와 연결된 고정익의 시위선(chord line)은 비행 방향과 평행하다. 즉, 추력벡터는 기울어져 있지만, 고정익은 드론 진행방향과 정방향에 위치한다. 드론의 비행속도가 증가할수록 고정익은 드론 동체에 추가적인 양력을 제공한다. Normally, when a drone is cruising, the thrust vector is 45° to the flight direction, and the chord line of the fixed wing connected to the drone body is parallel to the flight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thrust vector is tilted, but the fixed wing is loc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drone. As the drone's flight speed increases, the fixed wing provides additional lift to the drone body.
또한, 착륙은 이륙과 동일하며, 기본적으로 FIXAR 007는 잘 알려진 쿼드로터 드론과 동일한 형태로 비행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FIXAR 007 드론은 기존 쿼드로터 드론과는 달리 별도의 고정익이 있으므로 순항 중에 더 많은 양력을 얻을 수 있다. 즉, 쿼드로터 드론에 고정익을 추가로 설치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FIXAR 007 드론은 기존 쿼드로터 드론 대비 더 오랫동안 비행할 수 있다.Also, the landing is the same as the takeoff, and basically, the FIXAR 007 can be seen as flying in the same way as the well-known quadrotor drones. However, the FIXAR 007 drone has a separate fixed wing, unlike the existing quadrotor drones, so it can obtain more lift during the cruis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as a quadrotor drone with an additional fixed wing installed. For this reason, the FIXAR 007 drone can fly longer than the existing quadrotor drones.
이러한 45°추력형#1 드론의 장점으로는 수평방향 추력장치와 수직방향 추력장치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추력장치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An advantage of this 45° thrust type #1 drone is that the number of thrust devices can be reduced because there are no separate horizontal and vertical thrust devices.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추력 제어가 쉽다. 기본적으로 이착륙↔순항 모드 전환에 관계없이 항상 양력을 유지할 수 있다. 즉, 고정익은 드론 기체에 양력을 추가하여 추력의 부담을 덜어줄 뿐, 고정익이 양력의 100%를 전담하지 않는다. 따라서 비행 안전성이 높다. 상업적으로 성공한 쿼드로터 드론과 부품을 공유할 수 있으므로 제조 단가가 저렴하다.In addition,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thrust control is easy. Basically, it can always maintain lift regardless of the transition from takeoff and landing to cruise mode. In other words, the fixed wing only adds lift to the drone body to reduce the burden of thrust, and the fixed wing does not take charge of 100% of the lift. Therefore, the flight safety is high.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because parts can be shared with commercially successful quadrotor drones.
단점으로는 드론 순항시, 추력의 일부만 전진 비행에 사용하므로 속도가 다소 낮을 수 있다. 초기 이륙시, 드론 기체가 45°방향(추력 방향)으로 날아갈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The disadvantage is that when the drone is cruising, only a portion of the thrust is used for forward flight, so the speed may be somewhat low. When initially taking off, the drone body may fly in a 45° direction (thrust direction).
다음으로 45°추력형#2 드론을 들 수 있다. 45°추력형#2 드론으로는 BAE社에서 개발한 STRIX VTOL 드론을 들 수 있다. 앞단에서 설명한 FIXAR 007과 유사한 형태로 볼 수 있지만, 상당한 기술적 차이가 존재한다. Next, we can look at the 45° thrust type #2 drone. The 45° thrust type #2 drone is the STRIX VTOL drone developed by BAE. It can be seen as having a similar form to the FIXAR 007 described above, but there are significant technical differences.
STRIX 드론은 추력장치가 앞쪽 고정익에 2개, 뒤쪽 고정익에 2개가 있다. 드론이 지상에 있을 때(착륙 시), 앞쪽/뒤쪽 고정익과 추력장치는 지상을 기준으로 약 45°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The STRIX drone has two thrusters on the front fixed wing and two on the rear fixed wing. When the drone is on the ground (landing), the front/rear fixed wings and thrusters are tilted at approximately 45° to the ground.
추력 장치가 약 45도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앞쪽과 뒤쪽의 추력장치를 제어하여 드론을 이륙시킬 수 있다. 이륙할 때 추력 제어를 통해 STRIX 드론의 앞쪽을 위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때 뒷바퀴는 지면에 닿은 상태로 유지한다. 드론이 지상과 수직방향으로 똑바로 서면, 모든 추력장치의 추력을 증가시켜 위로 상승하게 된다.Since the thrust devices are tilted at about 45 degrees, the front and rear thrust devices can be controlled to take off the drone. When taking off, the front of the STRIX drone can be lifted up through the thrust control. At this time, the rear wheels are kept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the drone is upright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the ground, the thrust of all the thrust devices is increased to rise upward.
드론이 순항할 때는 추력벡터와 고정익의 시위선(chord line)의 방향이 진행방향과 동일하다. 즉, FIXAR 007과는 달리 추력벡터, 고정익 시위선, 비행방향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순항할 때 드론이 얻는 양력은 고정익이 100% 담당하고 있다. 착륙은 이륙과 동일하다.When the drone is cruising, the thrust vector and the chord line of the fixed wing ar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travel. In other words, unlike FIXAR 007, the thrust vector, fixed wing chord line, and flight direction are all aligned in the same direction. Therefore, the lift that the drone gains when cruising is 100% handled by the fixed wing. Landing is the same as takeoff.
기본적으로 STRIX 드론은 고정익 드론과 동일한 형태로 비행한다고 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테일 시터형 드론도 고정익 드론과 동일한 형태로 비행한다. 즉, 테일 시터(Tail-Sitter)형 드론은 추력벡터, 고정익 시위선, 비행방향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정렬한다. 다만, 추력벡터가 지상과 수직이 되도록 드론의 꼬리 부분이 지상면에 가깝도록 이착륙하고, 45°추력형은 추력벡터, 고정익 시위선, 비행방향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정렬하고, 추력벡터가 지상과 약 45°가 되도록 이착륙을 하는 것이다.Basically, the STRIX drone can be seen as flying in the same way as a fixed-wing drone. The tail-sitter drone described above also flies in the same way as a fixed-wing drone. That is, the tail-sitter drone's thrust vector, fixed-wing chord line, and flight direction are all aligned in the same direction. However, the drone takes off and lands with its tail close to the ground so that the thrust vector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45° thrust type takes off and lands with the thrust vector, fixed-wing chord line, and flight direction all align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thrust vector is approximately 45° to the ground.
이러한 45°추력형#2 드론의 장점으로는 수평방향 추력장치와 수직방향 추력장치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추력장치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드론이 순항할 때, 추력벡터, 고정익 시위선, 비행방향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순항 시 비행 속도가 빠르다. The advantage of this 45° thrust type #2 drone is that the number of thrust devices can be reduced because there are no separate horizontal thrust devices and vertical thrust devices. When the drone cruises, the thrust vector, fixed wing chord line, and flight direction are all aligned in the same direction. Therefore, the flight speed is fast during cruise.
단점으로는 드론의 추력 제어가 상대적으로 어렵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만약 이륙시, 추력을 완전히 드론 기체를 상승하는 데만 사용하려면 드론 기수를 90°가 될 때까지 상승시켜야 한다. 그러면 드론 기체는 로켓 발사처럼 꼿꼿이 서게 된다.The disadvantage is that it is relatively difficult to control the drone's thrust. If you want to use the thrust entirely to lift the drone during takeoff, you have to raise the drone's nose to 90 degrees. Then, the drone will stand upright like a rocket launch.
하지만, 이렇게 제어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 왜냐하면, 드론의 초기 추력 벡터가 약 45°이기 때문에 뒷바퀴를 지상에 고정한 채 앞쪽 기수만 들어올리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부연하면, 추력벡터가 약 45°이므로, 드론이 전진하려는 힘도 동시에 생긴다. However, controlling it like this is difficult. This is because the initial thrust vector of the drone is about 45°, so it is difficult to lift only the front nose while keeping the rear wheels fixed on the ground. In other words, since the thrust vector is about 45°, the force that makes the drone move forward is also generated at the same time.
만약 추력 제어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드론이 이륙할 때 지상을 기준으로 45도 방향으로 날아갈 가능성이 크다. 이것은 이러한 이륙 방식은 많은 공간을 요구한다. 즉, 초기 이륙 시 정밀한 추력 제어를 통해 드론을 꼿꼿이 세울 수만 있다면 높은 공간 효율성을 얻을 수 있지만, 단순한 추력 제어를 적용하면 이륙 시 약 45도로 비행하므로 공간 효율성이 낮다. If the thrust control is not done properly, the drone will likely fly at a 45-degree angle relative to the ground when taking off. This takes up a lot of space. In other words, if you can keep the drone upright through precise thrust control during the initial takeoff, you can achieve high space efficiency, but if you simply apply thrust control, it will fly at about a 45-degree angle when taking off, so it is not space efficient.
또한, 순항과 이착륙시, 추력 제어를 잘못하면 양력을 잃어버릴 수 있다. 왜냐하면, 프로펠러의 힘이 항상 기체를 상승시키는 데만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제조 단가가 비싸다.Also, during cruising and takeoff and landing, if the thrust control is not done properly, lift can be lost, because the propeller power is not always used to lift the aircraft. Also, it is relatively expensive to manufacture.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드론의 순항 속도를 높일 수 있는 드론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above background technology,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dron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increasing the cruising speed of the drone.
또한, 본 발명은 추력 벡터를 변화시켜 이착륙 및 순항 시 목적에 따른 추력의 이용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드론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on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maximizing the utilization of thrust according to the purpose during takeoff, landing, and cruising by changing the thrust vector.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드론의 순항 속도를 높일 수 있는 드론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task,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one capable of increasing the cruising speed of the drone.
상기 드론은, The above drone,
비행기 동체;airplane fuselage;
상기 비행기 동체를 가로방향으로 상기 비행기 동체의 양측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고정익;A pair of fixed wings formed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aircraft fuselag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aircraft fuselage;
한쌍의 상기 고정익의 전단 및 후단에 배치되며 추력 벡터 제어에 따라 추력 벡터를 변화시키는 4개의 추력 장치; 및Four thrust devices arrang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a pair of fixed wings and changing the thrust vector according to thrust vector control; and
상기 비행기 동체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하로 회동되는 수평미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horizontal stabilizer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aircraft fuselage and rotating up and down.
또한, 상기 드론은, 4개의 상기 추력 장치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 관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one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irst link joint and a second link joint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four thrust devices.
또한, 상기 제 1 링크 관절은 상기 비행기 동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한쌍의 상기 고정익 중 제 1 고정익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link joi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on the first fixed wing among the pair of fixed wings at a certain interval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aircraft fuselage.
또한, 상기 제 2 링크 관절은 상기 비행기 동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한쌍의 상기 고정익중 제 2 고정익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link joi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on the second fixed wing among the pair of fixed wings at a certain interval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aircraft fuselage.
또한, 상기 제 1 링크 관절 및 상기 제 2 링크 관절은 4절 링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link joint and the second link joint are characterized by having a four-section link form.
이때, 상기 제 1 링크 관절은, 상기 제 1 고정익에 고정 결합되는 제 1-1 베이스 링크; 상기 제 1-1 베이스 링크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4개의 상기 추력 장치중 제 1-1 추력 장치가 고정 결합되는 제 1-2 세로 링크; 상기 제 1-1 베이스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4개의 상기 추력 장치중 제 2-1 추력 장치가 고정 결합되는 제 1-3 세로 링크; 및 상기 제 1-2 세로 링크와 상기 제 1-3 세로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4 가로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link join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1-1 base link fixedly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wing; a 1-2 vertical link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1-1 base link and to which the 1-1 thrust device among the four thrust devices is fixedly connected; a 1-3 vertical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1-1 base link and to which the 2-1 thrust device among the four thrust devices is fixedly connected; and a 1-4 horizontal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1-2 vertical link and the 1-3 vertical link.
또한, 상기 제 2 링크 관절은, 상기 제 2 고정익에 고정 결합되는 제 2-1 베이스 링크; 상기 제 2-1 베이스 링크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4개의 상기 추력 장치중 제 1-2 추력 장치가 고정 결합되는 제 2-2 세로 링크; 상기 제 2-1 베이스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4개의 상기 추력 장치중 제 2-2 추력 장치가 고정 결합되는 제 2-3 세로 링크; 및 상기 제 2-2 세로 링크와 상기 제 2-3 세로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4 가로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link join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2-1 base link fixedly connected to the second fixed wing; a 2-2 vertical link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2-1 base link and to which the 1-2 thrust device of the four thrust devices is fixedly connected; a 2-3 vertical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2-1 base link and to which the 2-2 thrust device of the four thrust devices is fixedly connected; and a 2-4 horizontal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2-2 vertical link and the 2-3 vertical link.
또한, 상기 제 1-3 세로 링크 및 상기 제 2-3 세로 링크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벌어진 역 "ㄷ"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1st-3rd vertical links and the 2nd-3rd vertical links are characterized by having an inverted “ㄷ” shape that widens as it goes outward.
또한, 상기 수평미익은, 상기 제 1-3 세로 링크와 제 상기 2-3 세로 링크 사이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fi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between the 1-3 vertical link and the 2-3 vertical link.
또한, 상기 제 1-4 가로 링크 및 상기 제 2-4 가로 링크에는 가로 이동을 위해 각각 구동팔이 조인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1st to 4th horizontal links and the 2nd to 4th horizontal links are characterized in that driving arms are jointly connected to each other for horizontal movement.
또한, 상기 드론이 이착륙하는 경우, 상기 드론의 추진력을 벡터로 나타내는 추력 벡터가 지상과 수직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 1-4 가로 링크 및 상기 제 2-4 가로 링크가 상기 구동팔에 의해 상기 드론의 후방쪽인 각각 상기 제 1-3 세로 링크 및 상기 제 2-3 세로 링크쪽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드론의 전방쪽인 각각 상기 제 1-2 세로 링크 및 상기 제 2-2 세로 링크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drone takes off and lands, the 1-4th horizontal link and the 2-4th horizontal link are moved by the driving arm toward the 1-3rd vertical link and the 2-3rd vertical link, respectively, toward the rear of the drone or toward the 1-2nd vertical link and the 2-2nd vertical link, respectively, toward the front of the drone so that the thrust vector representing the propulsion force of the drone becomes closer to the ground and vertical.
또한, 상기 드론이 상승한 이후 비행하는 경우, 상기 드론의 추진력을 벡터로 나타내는 추력 벡터가 상기 제 1 고정익 및 상기 제 2 고정익과 나란히 되도록 상기 제 1-4 가로 링크 및 상기 제 2-4 가로 링크가 상기 구동팔에 의해 각각 상기 제 1-2 세로 링크 및 상기 제 2-2 세로 링크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drone flies after ascending, the thrust vector representing the propulsion force of the drone as a vector is parallel to the first fixed wing and the second fixed wing, and the 1-4th horizontal link and the 2-4th horizontal link are respectively moved by the driving arm toward the 1-2nd vertical link and the 2-2nd vertical link.
또한, 상기 드론이 이륙하는 경우, 상기 제 1-3 세로 링크 및 상기 제 2-3 세로 링크는 각각 상기 제 1-1 베이스 링크 및 상기 제 2-1 베이스 링크와 제 1 일정각(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drone takes off, the 1-3rd vertical link and the 2-3rd vertical link are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constant angle (α°) is formed with the 1-1st base link and the 2-1st base link, respectively.
또한, 상기 드론이 상승한 이후 비행하는 경우, 경우, 상기 제 1-3 세로 링크 및 상기 제 2-3 세로 링크는 각각 상기 제 1-1 베이스 링크 및 상기 제 2-1 베이스 링크와 제 2 일정각(β°)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drone flies after ascending, the 1-3rd vertical link and the 2-3rd vertical link are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constant angle (β°) is formed with the 1-1st base link and the 2-1st base link,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제 1 일정각(α°)이 상기 제 2 일정각(β°)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stant angle (α°) is larger than the second constant angle (β°).
또한, 상기 제 1-1 베이스 링크 및 상기 제 2-1 베이스 링크의 양단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receiving portion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1-1 base link and the 2-1 base link.
이때, 상기 수용부는 제 1-3 세로 링크 및 제 2-3 세로 링크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receiving por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 shape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1st-3rd vertical links and the 2nd-3rd vertical links.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a) 드론이 이륙 명령, 착륙 명령 및 비행 명령 중 하나를 전송받는 단계; 및 (b) 상기 이륙 명령, 착륙 명령 및 비행 명령 중 하나에 기반하여 추력 벡터 제어에 따라 추력 벡터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a drone, including: (a) a step of transmitting one of a takeoff command, a landing command, and a flight command to the drone; and (b) a step of changing a thrust vector according to thrust vector control based on one of the takeoff command, the landing command, and the flight command.
본 발명에 따르면, 조종사의 목적에 따라 추력벡터를 변화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ust vector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ilot's purpos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기존 FIXAR 007(고정익이 설치된 45° 추력형 FPV(First Person View) 쿼드로터 드론)에 비하여 속도가 빠르고, 이륙 시 많은 공간을 필요하지 않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FIXAR 007은 45° 방향으로 이륙한다.In addition, other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at it is faster and does not require much space during takeoff compared to the existing FIXAR 007 (a 45° thrust FPV (First Person View) quadrotor drone with fixed wings). Generally, the FIXAR 007 takes off in a 45°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추력 벡터 제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비행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light time can be increased because thrust vector control can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상업적으로 성공한 쿼드로터 드론(레이싱 드론 혹은 항공 촬영 드론)과 부품을 공유할 수 있어서 제조 단가가 저렴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because parts can be shared with commercially successful quadrotor drones (racing drones or aerial photography dron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력 벡터 제어가 가능한 드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론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론의 이륙시 동작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드론의 비행시 동작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one capable of thrust vector contro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drone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takeoff operation of the drone illustrated in Figure 1.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flight operation of the drone illustrated in Figure 1.
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a drone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Whe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fer to similar components.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could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could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ir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력 벡터 제어가 가능한 드론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drone capable of thrust vector contro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력 벡터 제어가 가능한 드론(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행기 동체(110), 비행기 동체(110)를 가로방향으로 비행기 동체(110)의 양측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고정익(120-1,120-2), 한쌍의 고정익(120-1,120-2)의 전단 및 후단에 배치되며 추력 벡터 제어에 따라 추력 벡터를 변화시키는 4개의 추력 장치(130-1,130-2,160-1,160-2), 비행기 동체(110)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하로 회동되는 수평미익(1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one (100) capable of thrust vector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dron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irplane fuselage (110), a pair of fixed wings (120-1, 120-2) formed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airplane fuselage (110) in a transverse direction, four thrust devices (130-1, 130-2, 160-1, 160-2) arrang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pair of fixed wings (120-1, 120-2) and changing thrust vectors according to thrust vector control, a horizontal stabilizer (170) arranged at the rear end of the airplane fuselage (110) and rotating up and down, etc.
한쌍의 고정익(120-1,120-2)에는 4개의 추력 장치(130-1,130-2,160-1,160-2)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링크 관절(141,142)이 구성된다. 부연하면, 제 1 링크 관절(141)은 제 1 고정익(120-1)에 결합되고, 제 2 링크 관절(142)는 제 2 고정익(120-2)에 결합된다. 또한, 제 1 링크 관절(141)과 제 2 링크 관절(142)은 비행기 동체(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각각 제 1 고정익(120-1) 및 제 2 고정익(120-2)에 위치된다. A pair of fixed wings (120-1, 120-2)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link joints (141, 142) for adjusting the angles of four thrust devices (130-1, 130-2, 160-1, 160-2). In detail, the first link joint (141) is coupled to the first fixed wing (120-1), and the second link joint (142) is coupled to the second fixed wing (120-2). In addition, the first link joint (141) and the second link joint (142) are positioned at a certain interval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aircraft fuselage (110) on the first fixed wing (120-1) and the second fixed wing (120-2), respectively.
일반적으로, 고정익(120-1,120-2)은 드론(100)이 순항시, 추력의 부담을 덜어줄 뿐, 고정익이 양력의 100%를 전담하지 않는다. 따라서 45°추력형 쿼드로터 드론의 비행 안전성이 높다고 말할 수 있다. In general, fixed wings (120-1, 120-2) only reduce the burden of thrust when the drone (100) is cruising, and the fixed wings do not take full responsibility for 100% of the lif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flight safety of a 45° thrust type quadrotor drone is high.
제 1 링크 관절(141)은 4절 링크 형태도 설계된다. 부연하면, 제 1 고정익(120-1)에 단단히 고정 결합되는 제 1-1 베이스 링크(141-1), 제 1-1 베이스 링크(141-1)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1-1 추력 장치(130-1)가 고정 결합되는 제 1-2 세로 링크(141-2), 제 1-1 베이스 링크(141-1)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2-1 추력 장치(160-1)가 고정 결합되는 제 1-3 세로 링크(141-3), 제 1-2 세로 링크(141-2)와 제 1-3 세로 링크(141-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4 가로 링크(14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irst link joint (141) is also designed in a four-section link form. In detai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1-1 base link (141-1) that is rigidly fixedly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wing (120-1), a 1-2 vertical link (141-2)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1-1 base link (141-1) and to which a 1-1 thrust device (130-1) is fixedly connected, a 1-3 vertical link (141-3)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1-1 base link (141-1) and to which a 2-1 thrust device (160-1) is fixedly connected, and a 1-4 horizontal link (141-4)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1-2 vertical link (141-2) and the 1-3 vertical link (141-3).
제 2 링크 관절(142)도 4절 링크 형태도 설계된다. 부연하면, 제 2 고정익(120-2)에 단단히 고정 결합되는 제 2-1 베이스 링크(142-1), 제 2-1 베이스 링크(142-1)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1-2 추력 장치(130-2)가 고정 결합되는 제 2-2 세로 링크(142-2), 제 2-1 베이스 링크(142-1)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2-2 추력 장치(160-2)가 고정 결합되는 제 2-3 세로 링크(142-3), 제 2-2 세로 링크(142-2)와 제 2-3 세로 링크(142-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4 가로 링크(14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link joint (142) is also designed in a four-section link form. In detai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2-1 base link (142-1) that is rigidly fixedly connected to the second fixed wing (120-2), a 2-2 vertical link (142-2)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2-1 base link (142-1) and to which a 1-2 thrust device (130-2) is fixedly connected, a 2-3 vertical link (142-3)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2-1 base link (142-1) and to which a 2-2 thrust device (160-2) is fixedly connected, and a 2-4 horizontal link (141-4)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2-2 vertical link (142-2) and the 2-3 vertical link (142-3).
링크들(141-1 내지 141-4, 142-1 내지 142-4)간에는 조인트(101)를 통해 연결된다.Links (141-1 to 141-4, 142-1 to 142-4) are connected through joints (101).
이들 링크들중 제 1-1 베이스 링크(141-1) 및 제 2-1 베이스 링크(142-1)의 양단에 수용부(102)가 형성된다. 수용부(102)는 "⊂"자 형상으로 각각 제 1-3 세로 링크(141-3) 및 제 2-3 세로 링크(142-3)의 상부에 조인트로 결합된다. 수용부(102)는 위아래로 제 1-3 세로 링크(141-3) 및 제 2-3 세로 링크(142-3)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mong these links, receiving portions (102)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1-1 base link (141-1) and the 2-1 base link (142-1). The receiving portions (102) are joint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1-3 vertical link (141-3) and the 2-3 vertical link (142-3) in a “⊂” shape, respectively. The receiving portions (102) perform the function of limiting the rotation angles of the 1-3 vertical link (141-3) and the 2-3 vertical link (142-3) up and down.
부연하면, 제 1-1 베이스 링크(141-1) 및 제 2-1 베이스 링크(142-1)의 양단에 수용부(102)는 모터에 의해 지속적으로 추력이 가해지고, 회전각도를 제한해야 하기 때문에 포크 형태('⊂ ')로 설계/제작해야 한다. 포크 형태로 설계하면 링크 회전각의 제한을 쉽게 가할 수 있다. 마치 자전거 휠이 장착되는 포크와 같이 원리이다.In detail, the receiving portions (102) at both ends of the 1-1 base link (141-1) and the 2-1 base link (142-1) must be designed/manufactured in a fork shape ('⊂ ') because the motor continuously applies thrust to them and the rotation angle must be limited. If designed in a fork shape, the link rotation angle can be easily limited. It is the same principle as a fork on which a bicycle wheel is mounted.
또한, 제 1-3 세로 링크(141-3)와 제 2-3 세로 링크(142-3)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벌어진 역 "ㄷ"자 형상을 갖는다. 제 1-3 세로 링크(141-3)와 제 2-3 세로 링크(142-3) 사이 상부에 상하 방향을 바꾸기 위한 수평미익(170)이 고정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1-3rd vertical link (141-3) and the 2-3rd vertical link (142-3) have an inverted "ㄷ" shape that widens outward. A horizontal fin (170) for changing the up-down direction is fixed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between the 1-3rd vertical link (141-3) and the 2-3rd vertical link (142-3).
제 1-4 가로 링크(141-4)와 제 2-4 가로 링크(142-4)에는 가로 이동을 위해 구동팔(150)이 설치된다. 즉, 제 1-4 가로 링크(141-4)와 제 2-4 가로 링크(142-4) 각각의 중간 부위에 구동팔(150)을 조인트 결합(즉, 힌지 결합)하여 제 1-4 가로 링크(141-4)와 제 2-4 가로 링크(142-4)를 앞쪽으로 또는 뒤쪽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세로 링크(141-2,141-3,142-2,142-3)가 수평인 베이스 링크(141-1,142-1)를 기준으로 90°에서 예각이 되거나 둔각이 될 수 있다. 즉, 추력 장치(130-1,130-2,160-1,160-2)의 각도가 조절된다. 따라서, 추력 장치에서 발생하는 추력 벡터를 변화시킬 수 있다. The 1-4 horizontal link (141-4) and the 2-4 horizontal link (142-4) are provided with a driving arm (150) for horizontal movement. That is, the driving arm (150) is jointly connected (i.e., hinge-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each of the 1-4 horizontal link (141-4) and the 2-4 horizontal link (142-4) to move the 1-4 horizontal link (141-4) and the 2-4 horizontal link (142-4)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ly, the vertical links (141-2, 141-3, 142-2, 142-3) can be made into an acute or obtuse angle at 9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base link (141-1, 142-1). That is, the angle of the thrust device (130-1, 130-2, 160-1, 160-2) is adjusted. Therefore, the thrust vector generated from the thrust device can be changed.
추력 벡터(thrust vector)는 드론의 추진력을 방향으로 나타낸 것으로, 추력 벡터(thrust Vector)를 제어함으로써 드론의 자세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수직 이착륙(VTOL: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드론은 수직 이착륙 및 수평 비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추력(Thrust Vector)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The thrust vector is a direction that represents the drone's propulsion force, and by controlling the thrust vector, the drone's attitude can be adjusted in the desired direction. In particula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drones require technology that can precisely control the thrust vector because they are capable of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nd horizontal flight.
수직 이착륙 드론은 수직 이착륙을 위해 충분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기존의 헬리콥터와 같은 회전식 프로펠러 방식을 사용하거나 터보제트 엔진을 사용하는 등의 기술이 사용하지 않고, 추력 장치(130-1,130-2,160-1,160-2)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충분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서는 수직 이착륙과 수평 비행이 모두 가능한 구조를 띠고 있으며, 안정적인 비행을 위해 구조가 견조하다.A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drone requires technology that can generate sufficient propulsion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fficient propulsion can be generat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thrust device (130-1, 130-2, 160-1, 160-2) without using a technology such as using a rotary propeller method like a conventional helicopter or using a turbojet engine. 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can perform both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nd horizontal flight, and has a sturdy structure for stable flight.
제 1-1 추력 장치(130-1), 제 1-2 추력 장치(130-2), 제 2-1 추력 장치(160-1), 제 2-2 추력 장치(160-2)는 프로펠러와 이 프로펠러를 구동하는 추진 모터로 구성된다. 제 1-1 추력 장치(130-1)와 제 1-2 추력 장치(130-2)는 앞쪽 추력장치가 되고, 제 2-1 추력 장치(160-1)와 제 2-2 추력 장치(160-2)는 뒤쪽 추력장치가 된다.The first-first thrust device (130-1), the first-second thrust device (130-2), the second-first thrust device (160-1), and the second-second thrust device (160-2) are composed of propellers and propulsion motors that drive the propellers. The first-first thrust device (130-1) and the first-second thrust device (130-2) become front thrust devices, and the second-first thrust device (160-1) and the second-second thrust device (160-2) become rear thrust devices.
제 1 및 제 2 고정익(120-1,120-2)은 비행기 동체(110)와 착탈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물론, 볼팅 방식, 접착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fixed wings (120-1, 120-2) can be detachably assembled with the aircraft fuselage (110). Of course, a bolting method, an adhesive method, etc. can be used.
제 1 및 제 2 고정익(120-1,120-2), 비행기 동체(110), 수평미익(170)의 재질로는 카본, GF(Glass Fiber) 플라스틱, 플라스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링크들(141-1 내지 141-4, 142-1 내지 142-4)의 재질로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알루미늄, 카본, 알루미늄 합금 등이 될 수 있다.The materials for the first and second fixed wings (120-1, 120-2), the aircraft fuselage (110), and the horizontal stabilizer (170) may include carbon, GF (Glass Fiber) plastic, plastic, etc. In addition, the materials for the links (141-1 to 141-4, 142-1 to 142-4) may include engineering plastic, aluminum, carbon, aluminum alloy, etc.
드론이 이착륙하는 경우, 드론의 추진력을 벡터로 나타내는 추력 벡터가 지상과 수직에 가까워지도록 구동팔(150)을 이용하여 제 1-4 가로 링크(141-4) 및 제 2-4 가로 링크(142-4)를 각각 제 1-3 세로 링크(141-3) 및 제 2-3 세로 링크(142-3)쪽으로 최대한 밀어 이동되도록 한다. When the drone takes off and lands, the driving arm (150) is used to push the 1-4 horizontal link (141-4) and the 2-4 horizontal link (142-4) toward the 1-3 vertical link (141-3) and the 2-3 vertical link (142-3)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thrust vector representing the propulsion force of the drone becomes close to the vertical with respect to the ground.
이를 통해 추력 장치에서 생성되는 추력을 비행기 동체(110)의 상승에 집중할 수 있다. 즉, 드론의 상승에 집중할 수 있다.This allows the thrust generated by the thrust device to be focused on the rise of the aircraft fuselage (110), i.e., on the rise of the drone.
한편, 드론이 상승한 이후에는, 추력 벡터가 제 1 고정익 및 제 2 고정익(120-1,120-2)과 나란히 되도록 구동팔(150)을 이용하여 제 1-4 가로 링크(141-4) 및 제 2-4 가로 링크(142-4)를 각각 제 1-2 세로 링크(141-2) 및 2-2 세로 링크(142-2)쪽으로 최대한 밀어 이동되도록 한다. Meanwhile, after the drone rises, the driving arm (150) is used to push the 1-4 horizontal link (141-4) and the 2-4 horizontal link (142-4) toward the 1-2 vertical link (141-2) and the 2-2 vertical link (142-2)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thrust vector is aligned with the 1-1 and 2-2 fixed wings (120-1, 120-2).
이를 통해 추력 장치에 생성되는 추력을 비행기 동체(110)가 전진 기동에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드론의 양력은 고정익(120-1,120-2)으로부터 획득한다.Through this, the thrust generated by the thrust device can be used by the aircraft fuselage (110) for forward maneuver. At this time, the lift of the drone is obtained from the fixed wing (120-1, 120-2).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론(100)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드론(100)은, 센서계(210), 제어부(220), 모터(230), 구동부(240) 등의 회로 블럭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g. 2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drone (100) illustrated in Fig. 1. Referring to Fig. 2, the drone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circuit block diagrams of a sensor system (210), a control unit (220), a motor (230), a driving unit (240), etc.
센서계(210)는 드론의 고도를 측정하는 고도 센서, 드론의 안정화 자세를 측정하며 드론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 모션 스태빌라이제이션(stabilization) 센서, 영상을 촬영하는 광학 카메라, 열상 촬영을 위한 적외선 카메라, 드론과 목표물간의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LRF(Laser Range Finde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nsor system (210) may include an altitude sensor that measures the altitude of the drone, a gyro motion stabilization sensor that measures the stable attitude of the drone and the acceleration of the drone, an optical camera that takes images, an infrared camera for thermal imaging, and an LRF (Laser Range Finder) that accurately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drone and a target.
제어부(220)는 드론(100)에 구성되는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며, 데이터 및 신호를 주고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20)는 마이컴,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전자 회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0) controls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drone (100)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exchanging data and signals.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2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icrocomputer, a microprocessor, a memory, an electronic circuit, etc.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Secure Digital) 또는 XD(eXtreme Digital)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memory of card type (e.g., Secure Digital (SD) or eXtreme Digital (XD) memory, etc.),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 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a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 a magnetic memory, a magnetic disk, and an optical disk.
모터(230)는 프로펠러(미도시)와 연결되어 드론(100)의 비행을 가능하게 한다. 물론, 모터(230)는 다수개로 구성되며, 모터마다 프로펠러가 연결된다.The motor (230) is connected to a propeller (not shown) to enable the drone (100) to fly. Of course, the motor (230) is composed of multiple units, and a propeller is connected to each motor.
구동부(240)는 구동팔(150)을 가로방향으로 좌우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구동팔(150)의 일단이 모터(미도시)의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제 1-4 가로 링크(141-4) 및 제 2-4 가로 링크(142-4)에 조인트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The driving unit (240) performs the function of moving the driving arm (150) left and ri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is end, one end of the driving arm (150) is rotatably connected to a shaft of a motor (not shown),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1st-4th horizontal link (141-4) and the 2nd-4th horizontal link (142-4) as a joint.
물론, 이러한 연결을 위해 기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20), 센서계(210)의 일부 등은 비행기 동체(110) 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use gears for such connections. The control unit (220), part of the sensor system (210), etc. may be configured inside the aircraft fuselage (110).
물론, 이외에도 비행기 동체(110) 내부에 통신장치(미도시)가 구성되어 외부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장치는 주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으로는 IrDA(Infrared Data) 통신, ZigBee, 블루투쓰, LiFi(Light 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ntrol) 등이 사용될 수 있다.Of course, in addition, a communication device (not shown) is configured inside the aircraft fuselage (110)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e communication device mainly uses wireless communication to communicate. Wireless communication may use IrDA (Infrared Data) communication, ZigBee, Bluetooth, LiFi (Light 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NFC (Near Field Control), etc.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론의 이륙시 동작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드론이 이륙하는 경우, 드론의 추진력을 벡터로 나타내는 추력 벡터가 지상과 수직에 가까워지도록 구동팔(150)을 이용하여 제 1-4 가로 링크(141-4) 및 제 2-4 가로 링크(142-4)를 각각 제 1-3 세로 링크(141-3) 및 제 2-3 세로 링크(142-3)쪽으로 최대한 밀어 이동되도록 한다.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drone taking off as shown in Figure 1. Referring to Figure 3, when the drone takes off, the driving arm (150) is used to push the 1-4 horizontal link (141-4) and the 2-4 horizontal link (142-4) as much as possible toward the 1-3 vertical link (141-3) and the 2-3 vertical link (142-3) so that the thrust vector representing the propulsion force of the drone becomes close to the vertical with respect to the ground.
따라서, 제 1-3 세로 링크(141-3) 및 제 2-3 세로 링크(142-3)는 각각 제 1-1 베이스 링크(141-1) 및 제 2-1 베이스 링크(142-1)와 제 1 일정각(α°)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third vertical link (141-3) and the second-third vertical link (142-3) can form a first constant angle (α°) with the first-first base link (141-1) and the second-first base link (142-1), respectively.
이를 통해 추력 장치에서 생성되는 추력을 비행기 동체(110)의 상승에 집중할 수 있다. 즉, 드론의 상승에 집중할 수 있다.This allows the thrust generated by the thrust device to be focused on the rise of the aircraft fuselage (110), i.e., on the rise of the drone.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드론의 비행시 동작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드론이 상승한 이후에는, 비행을 위해 추력 벡터가 제 1 고정익 및 제 2 고정익(120-1,120-2)과 나란히 되도록 구동팔(150)을 이용하여 제 1-4 가로 링크(141-4) 및 제 2-4 가로 링크(142-4)를 각각 제 1-2 세로 링크(141-2) 및 2-2 세로 링크(142-2)쪽으로 최대한 밀어 이동되도록 한다.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drone during flight illustrated in FIG. 1. Referring to FIG. 4, after the drone rises, the driving arm (150) is used to push the 1-4 horizontal link (141-4) and the 2-4 horizontal link (142-4) toward the 1-2 vertical link (141-2) and the 2-2 vertical link (142-2)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thrust vector is aligned with the 1-2 fixed wing and the 2-2 fixed wing (120-1, 120-2) for flight.
따라서, 제 1-3 세로 링크(141-3) 및 제 2-3 세로 링크(142-3)는 각각 제 1-1 베이스 링크(141-1) 및 제 2-1 베이스 링크(142-1)와 제 2 일정각(β°)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일정각(α°) > 제 2 일정각(β°)이 된다. Accordingly, the first-third vertical link (141-3) and the second-third vertical link (142-3) can form a second constant angle (β°) with the first-first base link (141-1) and the second-first base link (142-1),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first constant angle (α°) > the second constant angle (β°).
부연하면, 순항을 기준으로 베타각(β°)은 대략 약 90°정도가 된다. 그래야 순항 속도가 빨라지고, 고정익으로부터 충분한 양력을 얻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륙과 착륙시는 추력 제어를 통해 그 각도를 90°이상까지 증가시켜줘야 한다. 그래야 이착륙이 용이해 진다. 왜냐하면 수직 이착륙을 위해서는 속도를 줄여야 하고, 속도를 줄이면 고정익으로부터 획득하는 양력이 감소하고, 그렇기 때문에 각도를 증가시켜 프로펠러의 힘으로만 양력을 유지시켜야 하기 때문이다.In other words, the beta angle (β°) is approximately 90° based on cruising. This is because the cruising speed is fast and sufficient lift is obtained from the fixed wing. However, during takeoff and landing, the angle must be increased to more than 90° through thrust control. This makes takeoff and landing easier. This is because the speed must be reduced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nd if the speed is reduced, the lift obtained from the fixed wing decreases, so the angle must be increased to maintain lift only with the power of the propeller.
이를 통해 추력 장치에 생성되는 추력을 비행기 동체(110)가 전진 기동에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드론의 양력은 고정익(120-1,120-2)으로부터 획득한다.Through this, the thrust generated by the thrust device can be used by the aircraft fuselage (110) for forward maneuver. At this time, the lift of the drone is obtained from the fixed wing (120-1, 120-2).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조종사가 원격 통제기(미도시)를 통해 드론(100)에 이륙 명령을 전송한다(단계 S510). 원격 통제기(미도시)는 드론을 원격에서 작동하고 제어하는 장치로서 조이스틱, 버튼, 스위치, 마이크,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이 구성된다. 물론, 명령 입력은 음성이 될 수도 있다.FIG. 5 is a flow chart showing a drone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a pilot transmits a takeoff command to a drone (100) through 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step S510). The remote controller (not shown) is a device that remotely operates and controls a drone and is composed of a joystick, buttons, switches, microphones, speakers, displays, etc. Of course, the command input can also be voice.
이륙 명령이 드론에 전송됨에 따라, 드론의 추진력을 벡터로 나타내는 추력 벡터가 지상과 수직에 가까워지도록 제 1-4 가로 링크(141-4) 및 제 2-4 가로 링크(142-4)가 구동팔(150)에 의해 드론의 후방쪽인 각각 제 1-3 세로 링크(141-3) 및 제 2-3 세로 링크(142-3)쪽으로 최대한 이동시킨다(단계 S520). 이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3이다. 도 3에 대해서는 이전에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the takeoff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drone, the 1-4 horizontal link (141-4) and the 2-4 horizontal link (142-4) are moved as much as possible toward the 1-3 vertical link (141-3) and the 2-3 vertical link (142-3), respectively, toward the rear of the drone by the driving arm (150) so that the thrust vector representing the propulsion force of the drone becomes close to the vertical with respect to the ground (step S520). This is illustrated in FIG. 3. As FIG. 3 has been described previously,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후, 조종사는 원격 통제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고도까지 드론(100)이 상승하면 비행 명령을 드론(100)에 전송한다(단계 S530).Thereafter, the pilot uses a remote controller to transmit a flight command to the drone (100) when the drone (100) rises to a certain altitude (step S530).
비행 명령이 드론에 전송됨에 따라, 드론이 상승한 이후에는, 드론의 추진력을 벡터로 나타내는 추력 벡터가 제 1 고정익 및 제 2 고정익(120-1,120-2)과 나란히 되도록 제 1-4 가로 링크(141-4) 및 제 2-4 가로 링크(142-4)가 구동팔(150)에 의해 드론의 전방쪽인 각각 제 1-2 세로 링크(141-2) 및 제 2-2 세로 링크(142-2)쪽으로 최대한 이동시킨다(단계 S540).As the flight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drone, after the drone ascends, the first-fourth horizontal link (141-4) and the second-fourth horizontal link (142-4) are moved as much as possible toward the front of the drone, toward the first-second vertical link (141-2) and the second-second vertical link (142-2), respectively, by the driving arm (150) so that the thrust vector representing the propulsion force of the drone is aligned with the first and second fixed wings (120-1, 120-2) (step S540).
즉, 드론(100)이 이륙할 때, 추력 벡터가 수직에 가깝게 하고, 순항할 때는 비행속도와 비행시간 증대를 위하여 추력 벡터가 수평에 가깝게 하기 위함이다.That is, when the drone (100) takes off, the thrust vector is close to vertical, and when cruising, the thrust vector is close to horizontal to increase flight speed and flight time.
부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추력 벡터를 변화시켜 이착륙 및 순항시 목적에 따른 추력의 이용률을 극대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드론이 이착륙할 추력 벡터를 지상과 수직방향이 되도록 하고, 순항할 때는 추력 벡터를 고정익의 시위선과 평행하도록 제어한다. 시위선(Chord Line)은 날개의 앞전(Leading Edge)과 날개의 뒷전(Trailing Edge)사이를 이은 가상의 직선을 말한다In detail,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ximize the utilization rate of thrust according to the purpose during takeoff, landing, and cruising by changing the thrust vector. To this end, the thrust vector for takeoff and landing of the drone is controll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thrust vector is controlled to be parallel to the chord line of the fixed wing when cruising. The chord line refers to an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leading edge of the wing and the trailing edge of the wing.
도 5에서는 이륙 명령을 드론이 원격 제어기로부터 전송받은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착륙 명령의 경우에도, 단계 S510 내지 S540가 변경 적용될 수 있다. 부연하면, 착륙시에는 비행 상태에서 드론의 추진력을 벡터로 나타내는 추력 벡터가 지상과 수직에 가까워지도록 제 1-4 가로 링크(141-4) 및 제 2-4 가로 링크(142-4)가 구동팔(150)에 의해 드론의 전방쪽인 각각 제 1-2 세로 링크(141-2) 및 제 2-2 세로 링크(142-2)쪽으로 최대한 이동된다.In Fig. 5, the case where the drone receives a takeoff command from a remote controller is described, but even in the case of a landing command, steps S510 to S540 may be changed and applied. In detail, when landing, the 1-4 horizontal link (141-4) and the 2-4 horizontal link (142-4) are moved as much as possible toward the 1-2 vertical link (141-2) and the 2-2 vertical link (142-2), respectively, in front of the drone by the driving arm (150) so that the thrust vector representing the propulsion force of the drone in the flight state becomes close to the vertical with respect to the ground.
이후, 상기 드론의 추진력을 벡터로 나타내는 추력 벡터가 상기 제 1 고정익 및 상기 제 2 고정익(120-1,120-2)과 나란히 되도록 상기 제 1-4 가로 링크(141-4) 및 상기 제 2-4 가로 링크(142-4)가 드론의 후방쪽인 각각 상기 제 1-3 세로 링크(141-3) 및 상기 제 2-3 세로 링크(142-3)쪽으로 이동된다. Thereafter, the 1-4th horizontal link (141-4) and the 2-4th horizontal link (142-4) are moved toward the rear of the drone, toward the 1-3rd vertical link (141-3) and the 2-3rd vertical link (142-3), respectively, so that the thrust vector representing the propulsion force of the drone as a vector is parallel to the 1st fixed wing and the 2nd fixed wing (120-1, 120-2).
또한, 여기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세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ps of the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such as a microprocessor, a processor,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like,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 code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 블루레이 등과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 코드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반도체 기억 소자가 포함될 수 있다. The program (command) code recorded on the abov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Blu-rays,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command) codes such as ROMs (Read Only Memory), RAMs (Random Access Memory), and flash memories.
여기서, 프로그램 (명령) 코드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Her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 code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The above-mentioned hardware device can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100: 드론
101: 조인트 102: 수용부
110: 비행기 동체
120-1,120-2: 제 1 및 제 2 고정익
130-1,130-2: 제 1-1 및 제 1-2 추력 장치
141,142: 제 1 및 제 2 링크 관절
141-1: 제 1-1 베이스 링크 141-2: 제 1-2 세로 링크
141-3: 제 1-3 세로 링크 141-4: 제 1-4 가로 링크
142-1: 제 2-1 베이스 링크 142-2: 제 2-2 세로 링크
142-3: 제 2-3 세로 링크 142-4: 제 2-4 가로 링크
150: 구동팔
160-1,160-2: 제 2-1 및 제 2-2 추력 장치
170: 수평미익 210: 센서계
220: 제어부 230: 모터
240: 구동부 100: Drone
101: Joint 102: Receptacle
110: Airplane fuselage
120-1,120-2: 1st and 2nd fixed wing
130-1,130-2: No. 1-1 and No. 1-2 thrust devices
141,142: First and second link joints
141-1: 1st-1st base link 141-2: 1st-2nd vertical link
141-3: 1-3rd vertical link 141-4: 1-4th horizontal link
142-1: 2-1st base link 142-2: 2-2nd vertical link
142-3: 2-3rd vertical link 142-4: 2-4th horizontal link
150: Drive arm
160-1,160-2: 2-1 and 2-2 thrust units
170: Horizontal stabilizer 210: Sensor system
220: Control unit 230: Motor
240: Drive Unit
Claims (15)
상기 비행기 동체(110)를 가로방향으로 상기 비행기 동체(110)의 양측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고정익(120-1,120-2);
한쌍의 상기 고정익(120-1,120-2)의 전단 및 후단에 배치되며 추력 벡터 제어에 따라 추력 벡터를 변화시키는 4개의 추력 장치(130-1,130-2,160-1,160-2); 및
상기 비행기 동체(110)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하로 회동되는 수평미익(170);을 포함하며,
4개의 상기 추력 장치(130-1,130-2,160-1,160-2)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 관절(141,142);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링크 관절(141)은 상기 비행기 동체(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한쌍의 상기 고정익(120-1,120-2) 중 제 1 고정익(120-1)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링크 관절(142)은 상기 비행기 동체(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한쌍의 상기 고정익(120-1,120-2) 중 제 2 고정익(120-2)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벡터 제어가 가능한 드론.
Airplane fuselage (110);
A pair of fixed wings (120-1, 120-2) formed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aircraft fuselage (1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our thrust devices (130-1, 130-2, 160-1, 160-2) arrang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a pair of fixed wings (120-1, 120-2) and changing the thrust vector according to the thrust vector control; and
It includes a horizontal fin (170) that is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above-mentioned aircraft fuselage (110) and rotates up and down;
It includes a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joint (141, 142)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four above thrust devices (130-1, 130-2, 160-1, 160-2);
The above first link joint (141) is located on the first fixed wing (120-1) among the pair of fixed wings (120-1, 120-2) at a certain interval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aircraft fuselage (110).
A drone capable of thrust vector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link joint (142) is positioned on the second fixed wing (120-2) among the pair of fixed wings (120-1, 120-2) at a certain interval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aircraft fuselage (110).
상기 제 1 링크 관절(141) 및 상기 제 2 링크 관절(142)은 4절 링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벡터 제어가 가능한 드론.
In the first paragraph,
A drone capable of thrust vector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link joint (141) and the second link joint (142) are in the form of a four-section link.
상기 제 1 링크 관절(141)은,
상기 제 1 고정익(120-1)에 고정 결합되는 제 1-1 베이스 링크(141-1);
상기 제 1-1 베이스 링크(141-1)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4개의 상기 추력 장치(130-1,130-2,160-1,160-2)중 제 1-1 추력 장치(130-1)가 고정 결합되는 제 1-2 세로 링크(141-2);
상기 제 1-1 베이스 링크(141-1)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4개의 상기 추력 장치(130-1,130-2,160-1,160-2)중 제 2-1 추력 장치(160-1)가 고정 결합되는 제 1-3 세로 링크(141-3); 및
상기 제 1-2 세로 링크(141-2)와 상기 제 1-3 세로 링크(141-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4 가로 링크(14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벡터 제어가 가능한 드론.
In paragraph 4,
The above first link joint (141) is
A first-first base link (141-1) fixedly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wing (120-1);
A 1-2 vertical link (141-2)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bove 1-1 base link (141-1) and to which the 1-1 thrust device (130-1) of the four thrust devices (130-1, 130-2, 160-1, 160-2) is fixedly connected;
A 1-3 vertical link (141-3)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bove 1-1 base link (141-1) and to which the 2-1 thrust device (160-1) of the four thrust devices (130-1, 130-2, 160-1, 160-2) is fixedly connected; and
A drone capable of thrust vector control,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1-4 horizontal link (141-4) rotatably connected to the 1-2 vertical link (141-2) and the 1-3 vertical link (141-3).
상기 제 2 링크 관절(142)은,
상기 제 2 고정익(120-2)에 고정 결합되는 제 2-1 베이스 링크(142-1);
상기 제 2-1 베이스 링크(142-1)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4개의 상기 추력 장치(130-1,130-2,160-1,160-2)중 제 1-2 추력 장치(130-2)가 고정 결합되는 제 2-2 세로 링크(142-2);
상기 제 2-1 베이스 링크(142-1)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4개의 상기 추력 장치(130-1,130-2,160-1,160-2)중 제 2-2 추력 장치(160-2)가 고정 결합되는 제 2-3 세로 링크(142-3); 및
상기 제 2-2 세로 링크(142-2)와 상기 제 2-3 세로 링크(142-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4 가로 링크(14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벡터 제어가 가능한 드론.
In paragraph 5,
The above second link joint (142) is
A second-first base link (142-1) fixedly connected to the second fixed wing (120-2);
A 2-2 vertical link (142-2)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bove 2-1 base link (142-1) and to which the 1-2 thrust device (130-2) of the four thrust devices (130-1, 130-2, 160-1, 160-2) is fixedly connected;
A 2-3 vertical link (142-3)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bove 2-1 base link (142-1) and to which the 2-2 thrust device (160-2) among the four thrust devices (130-1, 130-2, 160-1, 160-2) is fixedly connected; and
A drone capable of thrust vector control,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2-4 horizontal link (141-4) rotatably connected to the 2-2 vertical link (142-2) and the 2-3 vertical link (142-3).
상기 제 1-3 세로 링크(141-3) 및 상기 제 2-3 세로 링크(142-3)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벌어진 역 "ㄷ"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벡터 제어가 가능한 드론.
In paragraph 6,
A drone capable of thrust vector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third vertical link (141-3) and the second-third vertical link (142-3) have an inverted “ㄷ” shape that widens toward the outside.
상기 수평미익(170)은, 상기 제 1-3 세로 링크(141-3)와 제 상기 2-3 세로 링크(142-3) 사이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벡터 제어가 가능한 드론.
In paragraph 6,
A drone capable of thrust vector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fin (170) is fixed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between the 1st-3rd vertical link (141-3) and the 2nd-3rd vertical link (142-3).
상기 제 1-4 가로 링크(141-4) 및 상기 제 2-4 가로 링크(142-4)에는 가로 이동을 위해 각각 구동팔(150)이 조인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벡터 제어가 가능한 드론.
In paragraph 6,
A drone capable of thrust vector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1st-4th horizontal link (141-4) and the 2nd-4th horizontal link (142-4) each have a drive arm (150) jointly connected for horizontal movement.
상기 드론이 이착륙하는 경우, 상기 드론의 추진력을 벡터로 나타내는 추력 벡터가 지상과 수직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 1-4 가로 링크(141-4) 및 상기 제 2-4 가로 링크(142-4)가 상기 구동팔(150)에 의해 상기 드론의 후방쪽인 각각 상기 제 1-3 세로 링크(141-3) 및 상기 제 2-3 세로 링크(142-3)쪽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드론의 전방쪽인 각각 상기 제 1-2 세로 링크(141-2) 및 상기 제 2-2 세로 링크(142-2)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벡터 제어가 가능한 드론.
In Article 9,
A drone capable of thrust vector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rone takes off and lands, the 1-4th horizontal link (141-4) and the 2-4th horizontal link (142-4) are moved by the driving arm (150) toward the 1-3rd vertical link (141-3) and the 2-3rd vertical link (142-3) respectively, which are toward the rear of the drone, or toward the 1-2nd vertical link (141-2) and the 2-2nd vertical link (142-2) respectively, which are toward the front of the drone, so that the thrust vector representing the propulsion force of the drone becomes close to the ground and vertical.
상기 드론이 상승한 이후 비행하는 경우, 상기 드론의 추진력을 벡터로 나타내는 추력 벡터가 상기 제 1 고정익 및 상기 제 2 고정익(120-1,120-2)과 나란히 되도록 상기 제 1-4 가로 링크(141-4) 및 상기 제 2-4 가로 링크(142-4)가 상기 구동팔(150)에 의해 각각 상기 제 1-2 세로 링크(141-2) 및 상기 제 2-2 세로 링크(142-2)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벡터 제어가 가능한 드론.
In Article 10,
A drone capable of thrust vector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rone flies after ascending, the thrust vector representing the propulsive force of the drone as a vector is parallel to the first fixed wing and the second fixed wing (120-1, 120-2), and the first-fourth horizontal link (141-4) and the second-fourth horizontal link (142-4) are moved toward the first-second vertical link (141-2) and the second-second vertical link (142-2), respectively, by the driving arm (150).
상기 드론이 이륙하는 경우, 상기 제 1-3 세로 링크(141-3) 및 상기 제 2-3 세로 링크(142-3)는 각각 상기 제 1-1 베이스 링크(141-1) 및 상기 제 2-1 베이스 링크(142-1)와 제 1 일정각(α°)이 형성되고,
상기 드론이 상승한 이후 비행하는 경우, 경우, 상기 제 1-3 세로 링크(141-3) 및 상기 제 2-3 세로 링크(142-3)는 각각 상기 제 1-1 베이스 링크(141-1) 및 상기 제 2-1 베이스 링크(142-1)와 제 2 일정각(β°)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벡터 제어가 가능한 드론.
In Article 11,
When the drone takes off, the first-third vertical link (141-3) and the second-third vertical link (142-3) form a first constant angle (α°) with the first-first base link (141-1) and the second-first base link (142-1), respectively.
A drone capable of thrust vector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rone is flying after ascending, the first-third vertical link (141-3) and the second-third vertical link (142-3) form a second constant angle (β°) with the first-first base link (141-1) and the second-first base link (142-1), respectively.
상기 제 1 일정각(α°)이 상기 제 2 일정각(β°)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벡터 제어가 가능한 드론.
In Article 12,
A drone capable of thrust vector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stant angle (α°) is greater than the second constant angle (β°).
상기 제 1-1 베이스 링크(141-1) 및 상기 제 2-1 베이스 링크(142-1)의 양단에 수용부(102)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02)는 제 1-3 세로 링크(141-3) 및 제 2-3 세로 링크(142-3)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벡터 제어가 가능한 드론.
In paragraph 6,
A drone capable of thrust vector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a receiving portion (102)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1-1 base link (141-1) and the 2-1 base link (142-1), and the receiving portion (102) has a “⊂” shape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1-3 vertical link (141-3) and the 2-3 vertical link (142-3).
(b) 상기 이륙 명령, 착륙 명령 및 비행 명령 중 하나에 기반하여 추력 벡터 제어에 따라 추력 벡터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드론은,
비행기 동체(110);
상기 비행기 동체(110)를 가로방향으로 상기 비행기 동체(110)의 양측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고정익(120-1,120-2);
한쌍의 상기 고정익(120-1,120-2)의 전단 및 후단에 배치되며 추력 벡터 제어에 따라 추력 벡터를 변화시키는 4개의 추력 장치(130-1,130-2,160-1,160-2); 및
상기 비행기 동체(110)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하로 회동되는 수평미익(170)을 포함하며,
4개의 상기 추력 장치(130-1,130-2,160-1,160-2)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 관절(141,142);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링크 관절(141)은 상기 비행기 동체(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한쌍의 상기 고정익(120-1,120-2) 중 제 1 고정익(120-1)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링크 관절(142)은 상기 비행기 동체(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한쌍의 상기 고정익(120-1,120-2) 중 제 2 고정익(120-2)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력 벡터 제어가 가능한 드론의 제어 방법.
(a) a step in which the drone (100) receives one of a takeoff command, a landing command, and a flight command; and
(b) a step of changing the thrust vector according to thrust vector control based on one of the takeoff command, landing command and flight command;
The above drone,
Airplane fuselage (110);
A pair of fixed wings (120-1, 120-2) formed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aircraft fuselage (1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our thrust devices (130-1, 130-2, 160-1, 160-2) arrang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a pair of fixed wings (120-1, 120-2) and changing the thrust vector according to the thrust vector control; and
It includes a horizontal fin (170) that is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above-mentioned aircraft fuselage (110) and rotates up and down.
It includes a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joint (141, 142)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four above thrust devices (130-1, 130-2, 160-1, 160-2);
The above first link joint (141) is located on the first fixed wing (120-1) among the pair of fixed wings (120-1, 120-2) at a certain interval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aircraft fuselage (110).
A method for controlling a drone capable of thrust vector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link joint (142) is positioned on the second fixed wing (120-2) among a pair of fixed wings (120-1, 120-2) at a constant interval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aircraft fuselage (1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41644A KR102713075B1 (en) | 2024-03-27 | 2024-03-27 | Drone available for thrust vector contro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41644A KR102713075B1 (en) | 2024-03-27 | 2024-03-27 | Drone available for thrust vector contro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13075B1 true KR102713075B1 (en) | 2024-10-04 |
Family
ID=93119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41644A Active KR102713075B1 (en) | 2024-03-27 | 2024-03-27 | Drone available for thrust vector contro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13075B1 (en) |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8862A (en) * | 2015-06-17 | 2016-12-27 | 이상현 | Multi rotor aerial vehicle |
WO2017172486A1 (en) * | 2016-03-28 | 2017-10-05 | Zipline International Inc. | Vision Based Calibration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
WO2018231738A1 (en) * | 2017-06-14 | 2018-12-20 | Sanmina Corporation | Tilt-rotor multicopters with variable pitch propellers |
WO2019084487A1 (en) * | 2017-10-27 | 2019-05-02 | Elroy Air, Inc. | Compound multi-copter aircraft |
KR20200093560A (en) * | 2017-11-03 | 2020-08-05 | 텍스트론 시스템즈 코포레이션 | VTOL aircraft with fixed and rotary wing configurations |
EP3725680A1 (en) * | 2019-04-15 | 2020-10-21 | Bell Textron Inc. | Multimodal unmanned aerial systems having tiltable wings |
US20200391863A1 (en) * | 2018-01-03 | 2020-12-17 | Aeronext Inc. | Flying vehicle and flying method therefor |
KR102317660B1 (en) | 2020-10-19 | 2021-10-26 | (주)에이엠시스템 | Drone with co-axial rotor structure |
US20210339860A1 (en) * | 2020-04-30 | 2021-11-04 | Volansi, Inc. | Modular fixed vtol with line replaceable units |
US20220236746A1 (en) * | 2019-05-16 | 2022-07-28 | Autonomous Devices Limited | Thrust vectoring for fluid borne vehicles |
US20220315213A1 (en) * | 2018-09-22 | 2022-10-06 | Aeronext Inc. | Aircraft |
KR20230167254A (en) * | 2022-05-31 | 2023-12-08 | 주식회사 케바드론 |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drone |
-
2024
- 2024-03-27 KR KR1020240041644A patent/KR10271307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8862A (en) * | 2015-06-17 | 2016-12-27 | 이상현 | Multi rotor aerial vehicle |
WO2017172486A1 (en) * | 2016-03-28 | 2017-10-05 | Zipline International Inc. | Vision Based Calibration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
WO2018231738A1 (en) * | 2017-06-14 | 2018-12-20 | Sanmina Corporation | Tilt-rotor multicopters with variable pitch propellers |
WO2019084487A1 (en) * | 2017-10-27 | 2019-05-02 | Elroy Air, Inc. | Compound multi-copter aircraft |
KR20200093560A (en) * | 2017-11-03 | 2020-08-05 | 텍스트론 시스템즈 코포레이션 | VTOL aircraft with fixed and rotary wing configurations |
US20200391863A1 (en) * | 2018-01-03 | 2020-12-17 | Aeronext Inc. | Flying vehicle and flying method therefor |
US20220315213A1 (en) * | 2018-09-22 | 2022-10-06 | Aeronext Inc. | Aircraft |
EP3725680A1 (en) * | 2019-04-15 | 2020-10-21 | Bell Textron Inc. | Multimodal unmanned aerial systems having tiltable wings |
US20220236746A1 (en) * | 2019-05-16 | 2022-07-28 | Autonomous Devices Limited | Thrust vectoring for fluid borne vehicles |
US20210339860A1 (en) * | 2020-04-30 | 2021-11-04 | Volansi, Inc. | Modular fixed vtol with line replaceable units |
KR102317660B1 (en) | 2020-10-19 | 2021-10-26 | (주)에이엠시스템 | Drone with co-axial rotor structure |
KR20230167254A (en) * | 2022-05-31 | 2023-12-08 | 주식회사 케바드론 |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dro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725680B1 (en) | Multimodal unmanned aerial systems having tiltable wings | |
US12271209B2 (en) | Tilt-wing aircraft | |
JP7607634B2 (en) | aircraft | |
US10144509B2 (en) | High performance VTOL aircraft | |
EP3188966B1 (en) | Tilt winged multi rotor | |
EP3121117B1 (en) | Control system and strategy for tail sitter | |
US7520466B2 (en) | Gyro-stabilized air vehicle | |
JP2023082107A (en) |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 |
EP3878736B1 (en) | Aircraft having convertible tailboom and landing gear systems | |
US20160244159A1 (en) | Controlled Take-Off And Flight System Using Thrust Differentials | |
US20130175404A1 (en) | Aircraft with fixed and tilting thrusters | |
TW201836925A (en) |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monolithic wing and twin-rotor propulsion/lift modules | |
KR102135285B1 (en) | Veryical takeoff and landing fixed wing unmanned aerial vehicle | |
US12043378B2 (en) | Controllable vectored thrust in propulsion assemblies | |
US11541987B2 (en) | Aircraft with foldable tail | |
JP2023528541A (en) |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 |
JP7577770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a drone having a multi-degree-of-freedom flight mode | |
KR102245397B1 (en) | Multi 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 |
Wang et al. | Design and control for rotor-fixed wing hybrid aircraft | |
KR102713075B1 (en) | Drone available for thrust vector contro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20200393851A1 (en) | Multi-rotor high performance descent method and system | |
KR20250065974A (en) | Multi-rotor drone with lift-adjustable fixed wings | |
WO2023152746A1 (en) | Aircraft and method of controlling aircraft | |
JP2025076967A (en) | Continuously rotating aircraft wing | |
HK40029322A (en) | Tilt-wing aircraf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3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3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