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12643B1 - Beam hollow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Beam hollow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12643B1 KR102712643B1 KR1020240035847A KR20240035847A KR102712643B1 KR 102712643 B1 KR102712643 B1 KR 102712643B1 KR 1020240035847 A KR1020240035847 A KR 1020240035847A KR 20240035847 A KR20240035847 A KR 20240035847A KR 102712643 B1 KR102712643 B1 KR 1027126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ing bars
- main body
- hollow tube
- hollow
- pair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보 중공 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케이블이 배설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 강성 및 지지력을 제공하는 한 쌍 이상의 제1 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철근은 보 내부 및 천장 슬래브의 주 철근과 연결되는 구성을 마련하여, 보 내부에 설치되어 케이블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중공을 제공하고, 본체 주변에 설치되는 철근을 보 및 천장 슬래브에 설치되는 주 철근과 연결해서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내부에 설치된 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A hollow tub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mprising: a body having a hollow space formed therein through which a cable is routed; and at least one pair of first reinforcing bar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body to provide rigidity and support to the body; wherein the first reinforcing bars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main reinforcing bars of the inside of the beam and a ceiling slab, thereby providing a hollow space in which cables, etc. can be installed when installed inside the beam; and reinforcing bars installed around the body are connected to main reinforcing bars installed in the beam and the ceiling slab to enhance support and safely protect cables installed in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 중공 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케이블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중공을 제공하는 보 중공 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tube for a dam, and more specifically, to a hollow tube for a dam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dam and provides a hollow space for installing a cable or the like insid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공장 또는 대형 빌딩 등 각종 건축물에는 전원 공급, 통신선 연결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통신이나 전력케이블, 전화선 또는 공용선 등 다양한 케이블들이 설치된다. In various buildings such as factories or large buildings, various cables such as communication or power cables, telephone lines, or public lines are installed to supply power, connect communication lines, or supply fluids.
일반적으로, 상기한 케이블들은 케이블 트레이나 케이블 덕트, 전선관 등을 이용해서 천장 슬래브의 하부에 배설된다. Typically, the above cables are laid underneath the ceiling slab using cable trays, cable ducts, conduits, etc.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각종 케이블들이 설치된 상태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통행자의 불편을 해소하며, 각종 케이블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The above cable tray has the function of making the appearance of various cables installed more attractive, relieving inconvenience to passersby, and preventing various cables from becoming tangled.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건축물에 적용되는 케이블 트레이와 케이블 덕트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and 2 below disclose cable tray and cable duct configurations applicable to buildings.
한편, 지하 주차장이나 물류 창고와 같이 미관을 크게 고려하지 않은 장소에는 케이블 트레이나 찬넬 없이 보 사이에 설치되는 중공 관 내부에 설치되기도 한다. Meanwhile, in places where aesthetics are not greatly considered, such as underground parking lots or warehouses, it is sometimes installed inside hollow pipes installed between beams without cable trays or channels.
예를 들어,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중공 관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For example, Fig. 1 is a drawing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ollow tube is installed according to conventional technology.
종래기술에 따른 중공 관(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 슬래브(2)의 하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A hollow tube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nstalled in a state exposed to the lower part of a ceiling slab (2), as shown in Fig. 1.
이러한 중공 관(1)은 천장 슬래브(2)에 부분적으로 설치되는 보(3) 사이에 배치되어 보(3)에 의해 고정된다. These hollow tubes (1) are placed between beams (3) that are partially installed on the ceiling slab (2) and are fixed by the beams (3).
이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나 덕트 없이 중공 관(1)을 설치하는 경우, 차량이나 물품의 이송 과정에서 간섭을 회피해야 한다. In this way, when installing a hollow pipe (1) without a cable tray or duct, interference must be avoided during the transport of vehicles or goods.
이로 인해, 중공 관(1)을 설치하기 위한 높이만큼 층고가 높아짐에 따라, 건축물 시공시 최대로 확보할 수 있는 층 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Due to this, the maximum number of floors that can be secured during construction of a building may be adversely affected as the floor height increases by the height required to install the hollow pipe (1).
또한, 건축물에 시공되는 보(3)를 기준으로 중공 관(1)을 배치해야 함에 따라, 중공 관(1)의 설치 위치가 제한되고, 설계 작업시 난이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hollow pipe (1) must be placed based on the beam (3) constructed in the building,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hollow pipe (1) was limited and the difficulty level increased during design work.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케이블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중공을 제공하는 보 중공 관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 hollow tube for a dam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dam and provides a hollow space in which cables, etc. can be installed insid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 및 천장 슬래브에 설치되는 주 철근과 연결되어 지지력을 향상시켜 내부에 설치된 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보 중공 관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low beam tub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safely protect cables installed inside by improving the supporting force by being connected to main reinforcing bars installed in beams and ceiling slab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설치 환경에 따라 변형이 가능한 보 중공 관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low tube having a simple structure, being easy to manufacture, and being capable of being deform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 중공 관은 내부에 케이블이 배설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 강성 및 지지력을 제공하는 한 쌍 이상의 제1 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철근은 보 내부 및 천장 슬래브의 주 철근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the hollow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 hollow space formed therein through which a cable is routed, and at least one pair of first reinforcing bar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to provide rigidity and support to the main body, and the first reinforcing bar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connected to the main reinforcing bars of the inside of the beam and the ceiling slab.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 중공 관의 제조방법은 (a) 판 형상의 자재를 복수의 접이선을 따라 절곡해서 통체 형상의 본체를 성형하는 단계, (b) 상기 본체의 외측에 한 쌍 이상의 제1 철근을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본체의 외측에 한 쌍 이상의 제2 철근을 결합하고, 상기 제1 철근과 제2 철근을 서로 연결 또는 접합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및 제2 철근을 보 내부 및 천장 슬래브의 주 철근과 결속하고, 보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보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hollow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a step of forming a body in a cylindrical shape by folding a plate-shaped material along a plurality of folding lines, (b) a step of joining one or more pairs of first reinforcing bars to the outside of the body, (c) a step of joining one or more pairs of second reinforcing bars to the outside of the body and connecting or joining the first reinforcing bars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s to each other, and (d) a step of constructing the beam by joining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to the inside of the beam and the main reinforcing bars of the ceiling slab and arranging the beam at a position where the beam is to be install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 중공 관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보 내부에 설치되어 케이블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중공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hollow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have the effect of providing a hollow space inside the tube into which cables, etc. can be installed.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주변에 설치되는 철근을 보 및 천장 슬래브에 설치되는 주 철근과 연결해서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내부에 설치된 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bearing capacity by 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s installed around the main body to the main reinforcing bars installed in the beam and ceiling slab and safely protecting the cables installed inside is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설치 환경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s of being easy to manufacture because it is composed of a simple structure and being capable of being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are obtain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 주차장이나 물류센터 등의 건축물 등에 적용하는 경우, 통행로 등을 고려해서 설계된 보 내부에 보 중공 관을 배치하여 케이블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건축물의 층고를 줄여 최대 시공할 있는 층수를 늘릴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pplied to buildings such as underground parking lots or logistics center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installation space of cables by arranging hollow tubes inside beam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passageways, etc., is obtained, thereby reducing the floor height of the building and increasing the maximum number of floors that can be construct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중공 관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 중공 관의 사사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 중공 관의 분해 사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체의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 중공 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 중공 관의 제조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 Figure 1 is a drawing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ollow tube is installed according to conventional technology.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low tub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hollow tube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n expanded view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ure 2.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low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rocess diagram explaining step-by-step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hollow tub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 중공 관 및 그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hollow tub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 중공 관의 사사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 중공 관의 분해 사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체의 전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low tub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llow tube illustrated in FIG. 2, and FIG.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main body illustrated in FIG. 2.
이하에서는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각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Hereinafter, terms indicating directions such as 'left', 'right', 'front', 'rear', 'upper', and 'lower' are defined as indicating each direction based on the state depicted in each draw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 중공 관(1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케이블이 배설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본체(20) 및 본체(20)의 양측에 배치되어 본체(20)에 강성 및 지지력을 제공하는 한 쌍 이상의 제1 철근(30)을 포함한다. A hollow tube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0)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tube and has a hollow space formed therein through which a cable is routed, as shown in FIGS. 2 to 4, and one or more pairs of first reinforcing bars (30) that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20) to provide rigidity and support to the main body (20).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 중공 관(10)은 본체(20)의 상하측에 설치되어 본체(20)에 강성 및 지지력을 제공하는 한 쌍 이상의 제2 철근(40)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철근(30,40)은 보 내부 및 천장 슬래브에 설치되는 주 철근(도면 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low tube (10) includes one or more pairs of second reinforcing bars (40)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20) to provide rigidity and support to the main body (20), and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30, 40) can be connected to main reinforcing bars (not shown in the drawing) installed inside the beam and in the ceiling slab.
본체(20)는 보 내부에 설치 가능하도록, 보 내부에 형성되는 설치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body (20) can be formed in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space formed inside the vessel so that it can be installed inside the vessel.
예를 들어, 본체(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 형상인 통체로 마련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ain body (20) may be provided as a solid body having a square cross-section, as shown in FIG. 2.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20)는 단면이 원 형상이나, 삼각 또는 육각 등 다각 형상의 통체로 변경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the main body (20) may be changed to a cylinder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or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le or hexagon.
이러한 본체(20)의 외면에는 제1 및 제2 철근(30,40)을 설치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플랜지가 마련될 수 있다. A flange having a through hole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so that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30, 40) can be installed.
예를 들어, 본체(20)의 양측면에는 각각 한 쌍 이상의 제1 철근(30)이 관통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플랜지(21)가 마련될 수 있다. For example, a pair of first flanges (21) may be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main body (20), through which one or more pairs of first reinforcing bars (30) are connected through penetration.
그리고 본체(2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한 쌍 이상의 제2 철근(40)이 관통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플랜지(22)가 마련될 수 있다. And, a pair of second flanges (2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body (20), respectively, through which one or more pairs of second reinforcing bars (40) are connected through penetration.
제1 및 제2 플랜지(21,22)에는 각각 제1 및 제2 철근(30,40)이 관통 결합되는 관통공(23)이 형성될 수 있다. Through holes (23) through which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30, 40) are connected through can b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21, 22), respectively.
여기서, 도 2 내지 도 4에는 각 플랜지(21,22)에 각각 5쌍의 제1 및 제2 철근(30,40)이 결합되도록 5개의 관통공(23)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플랜지(21,22)에 형성되는 관통공(23)의 개수 및 간격과 제1 및 제2 철근(30,40)의 개수는 본체(20)의 길이, 보 중공 관(10)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Here, in FIGS. 2 to 4, five through holes (23) are illustrated so that five pairs of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30, 40) are connected to each flange (21, 2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through holes (23) formed in each flange (21, 22) and the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30, 40) may be variously chang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main body (20), the size of the load applied to the hollow tube (10), etc.
본체(20)는 강(steel)이나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알루미늄(Aluminum)과 같이 강성 및 내부식성을 갖는 금속 판재를 절곡해서 성형될 수 있다. The main body (20) can be formed by bending a metal plate having rigidity and corrosion resistance, such as steel, stainless steel, or aluminum.
예를 들어, 본체(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판재를 제조하고자 하는 본체(20)의 좌우 폭과 상하 높이를 갖도록 미리 설정된 위치에 표시되는 4개의 제1 접이선(24)을 따라 대략 90°만큼 절곡하고, 서로 맞닿는 판재의 양단을 용접 작업 등에 의해 접합해서 제조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ain body (20) can be manufactured by folding approximately 90° along four first folding lines (24) displayed at preset positions so as to have the left-right width and the up-down height of the main body (20) to be manufactured as a square-shaped plate, as shown in FIG. 3, and joining the two ends of the plates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welding or the like.
여기서, 본체(20)의 각 외면 중앙부에는 각각 한 쌍의 제1 및 제2 플랜지(21,22)가 형성됨에 따라, 각 제1 접이선(24) 사이에는 각 플랜지(21,22)를 형성하기 위한 3개의 제2 접이선(25)이 형성될 수 있다. Here, as a pair of first and second flanges (21, 22) ar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each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three second folding lines (25) can be formed between each first folding line (24) to form each flange (21, 22).
3개의 제2 접이선(25) 중에서 양측에 배치되는 2개의 제2 접이선(25)은 본체(20)를 기준으로 외측 및 내측으로 각각 대략 90°만큼 절곡 성형되고, 중앙의 제2 접이선(25)은 대략 360°만큼 절곡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Among the three second folding lines (25), the two second folding lines (25) arranged on both sides are formed to be bent approximately 90° toward the outside and insid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0), and the second folding line (25) in the center can be formed to be bent approximately 360°.
제1 철근(30)은 본체(20)의 양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배치되고, 제2 철근(40)은 본체(20)의 양측에 본체(20)의 폭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reinforcing bar (30) can be arranged vertically along the up-down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2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40) can be arranged horizontally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20).
제1 및 제2 철근(30,40)은 각각 본체(20)의 좌우 방향 폭과, 상하 방향 높이보다 긴 길이로 마련되고, 본체(20)의 외측에 설치되어 대략 사각 틀 형상을 이룰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30, 40) are each provided with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height in the up-down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 and can b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0) to form an approximately square frame shape.
이와 같이 사각 틀 형상으로 이루는 제1 및 제2 철근(30,40)은 철사 등의 고정부재, 또는 클램프나 커플러 등의 연결수단을 이용해서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고, 보 중공 관(10) 및 보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30, 40) formed in a square frame shape like this are firmly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 fixing member such as a wire, or a connecting means such as a clamp or coupler, and can provide a supporting force for supporting the hollow tube (10) and the beam.
물론, 제1 및 제2 철근(30,40)은 서로 접촉되는 부위를 용접 작업 등에 의해 견고하게 접합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30, 40) can be firmly joined to each other at the contact points by welding or the like.
그래서 제1 및 제2 철근(30,40)은 본체(20)의 상하단 및 양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보 내부 및 천장 슬래브에 설치되는 주 철근과 연결될 수 있다.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30, 40) extend out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both ends of the main body (2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main reinforcing bars installed inside the beam and in the ceiling slab.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본체(20)의 양측과 상하측에 각각 한 쌍 이상의 제1 및 제2 철근(30,40)을 수직 및 수평으로 배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one or more pairs of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30, 40) are arrang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on both sides and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단면이 사각 형상인 본체(20)를 다이아몬드 형상이 되도록 약 45°만큼 일측으로 회전시킨 상태로 배치하거나, 단면이 다각 형상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20)의 외측에 한 쌍 이상의 제1 및 제2 철근(30,40)을 본체(20)의 외면과 대응되는 경사를 갖도록 배치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to place a main body (20) having a square cross-section rotated to one side by about 45° to form a diamond shape, or to place one or more pairs of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30, 40) on the outside of a main body (20) having a polygonal or cylindrical cross-section so as to have an inclin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양측과 상하측에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3 철근을 추가 설치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to additionally install a plurality of third reinforcing ba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on both sides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예를 들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 중공 관의 사시도이다. For example,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low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 중공 관(10)은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 보 중공 관의 구성과 동일하고, 다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의 전단과 후단에는 각각 한 쌍의 연결 플랜지(26)가 본체(20)의 외측을 향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연결 플랜지(26)에는 본체(20)의 길이 방향, 즉 전후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제3 철근(50)이 관통 결합되는 복수의 관통공(23)이 형성될 수 있다. A hollow tube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hollow tu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except that, as shown in FIG. 4, a pair of connecting flanges (26) may be formed by bend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0) at each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main body (20).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3) may be formed in the pair of connecting flanges (26),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third reinforcing bars (50) installed horizont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 i.e., the front-back direction, penetrate and are connec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의 전후단에 연결 플랜지를 마련해서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3 철근을 추가 설치해서 본체의 길이 방향 강성 및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the longitudinal rigidity and support capacity of the main body by providing connecting flanges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main body and additionally installing a third reinforcing ba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한편, 본체(20)는 보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거나, 보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보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본체(20)를 연결해서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main body (20) may be form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eam, or, if the length of the beam is long,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main bodies (20)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beam.
여기서, 서로 연결되는 본체(20) 사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철근(50)이 적용되는 경우, 제3 철근(50)을 이용해서 긴밀하게 연될할 수 있다. Here, when the third reinforcing bar (50) is applied as shown in Fig. 5, the main bodies (20)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tightly connected using the third reinforcing bar (50).
물론, 제3 철근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볼트와 너트 등의 연결부재를 이용해서 서로 연결되는 본체 사이를 긴밀하게 연결할 수도 있다. Of course, if the third reinforcing bar is not applied, the main bodies can be tightly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connecting members such as bolts and nuts.
다음, 도 6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 중공 관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ollow tub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 중공 관의 제조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Figure 6 is a process diagram explaining step-by-step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ollow tub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S10단계에서 금속 재질의 판재를 미리 설정된 위치의 각 제1 및 제2 접이선(24,25)을 따라 절곡시켜 본체(20)를 성형한다. In step S10 of Fig. 6, a metal plate is folded alo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olding lines (24, 25) at preset positions to form a main body (20).
그러면, 본체(20)는 단면이 사각 형상인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20)의 양측면 및 상하면에는 각각 제1 플랜지(21)와 제2 플랜지(22)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플랜지(21,22)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관통공(23)이 타공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n, the main body (20)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with a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a first flange (21) and a second flange (22) are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body (20), respectively. Here, one or more through holes (23) may b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21, 22) by a perforation method.
물론, 필요에 따라 본체(20)의 전단과 후단에는 각각 연결 플랜지(26)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Of course, if necessary, additional connecting flanges (26) may b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main body (20).
S12단계에서 본체(20)의 양측에 각각 한 쌍 이상의 제1 철근(30)을 결합한다. 각 제1 철근(30)은 각 제1 플랜지(21)에 형성되는 관통공(23)에 관통 결합됨에 따라 본체(20)의 양측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본체(20)의 상하단보다 상하측으로 돌출된다. In step S12, one or more pairs of first reinforcing bars (30) are connected to each side of the main body (20). Each first reinforcing bar (30) is vertically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20) by being connected through a through hole (23) formed in each first flange (21), and protrudes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body (20).
S14단계에서 본체(20)의 상하측에 각각 한 쌍 이상의 제2 철근(40)을 결합한다. 각 제2 철근(40)은 각 제2 플랜지(21)에 형성되는 관통공(23)에 관통 결합됨에 따라 본체(20)의 상하측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본체(20)의 양단보다 외측, 즉 좌측 및 우측으로 돌출된다. In step S14, one or more pairs of second reinforcing bars (40) ar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20). Each second reinforcing bar (40) is connected through a through hole (23) formed in each second flange (21), and is horizontally arrang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20), and protrudes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main body (20), that is, to the left and right.
이와 같이, 본체(20)의 외측에 배치된 제1 및 제2 철근(30,40)은 서로 연결되어 사각 틀 형상을 이루고, 제1 및 제2 철근(30,40)이 서로 접촉되는 부분은 연결 또는 접합된다. In this way,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30, 40)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quare frame shape, and the portions where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30, 4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re connected or joined.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조립된 보 중공 관(10)을 건축물의 천장 슬래브에서 보를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해서 보를 시공한다(S16). 이때, 제1 및 제2 철근(30,40)은 보 내부 및 천장 슬래브에 설치되는 주 철근과 결속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assembled hollow tube (10) is placed at the location where the beam is to be constructed on the ceiling slab of the building, and concrete is poured to construct the beam (S16).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30, 40) are tied to the main reinforcing bars installed inside the beam and on the ceiling slab.
이후, 보 중공 관(10)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는 통신이나 전력케이블, 전화선 또는 공용선 등 다양한 케이블들이 설치된다. Afterwards, various cables such as communication or power cables, telephone lines, or public lines are installed in the hollow space formed inside the borehole tube (10).
이에 따라, 보 중공 관(10)은 내부에 설치된 케이블들의 외부를 차폐해서 안전하게 보호한다. Accordingly, the hollow tube (10) shields the outside of the cables installed inside and safely protects them.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보 내부에 설치되어 케이블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중공을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ollow space installed inside a hull into which cables, etc. can be installed.
그리고 본 발명은 본체 주변에 설치되는 철근을 보 및 천장 슬래브에 설치되는 주 철근과 연결해서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내부에 설치된 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upporting capacity by 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s installed around the main body to the main reinforcing bars installed in the beam and ceiling slab, and safely protect the cables installed inside.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설치 환경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is easy to manufacture, and can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지하 주차장이나 물류센터 등의 건축물 등에 적용하는 경우, 통행로 등을 고려해서 설계된 보 내부에 보 중공 관을 배치하여 케이블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건축물의 층고를 줄여 최대 시공할 있는 층수를 늘릴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buildings such as underground parking lots or logistics centers, the space for installing cables can be minimized by arranging hollow tubes inside beams designed with passageways in mind, thereby reducing the floor height of the building and increasing the maximum number of floors that can be constructed.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보 내부에 설치되어 케이블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중공을 제공하는 보 중공 관 및 그의 제조방법 기술에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to a hollow tube installed inside a dam and providing a hollow space in which cables, etc. can be installed, and a technology for manufacturing the same.
1: 중공 관 2: 천장 슬래브
3: 보
10: 보 중공 관
20: 본체
21: 제1 플랜지 22: 제2 플랜지
23: 관통공 24: 제1 접이선
25: 제2 접이선 26: 연결 플랜지
30: 제1 철근
40: 제2 철근
50: 제3 철근1: Hollow tube 2: Ceiling slab
3: See
10: Hollow tube
20: Body
21: Flange 1 22: Flange 2
23: Through hole 24: First fold line
25: Second fold line 26: Connecting flange
30: 1st reinforcing bar
40: Second reinforcing bar
50: Third reinforcing bar
Claims (6)
상기 본체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 강성 및 지지력을 제공하는 한 쌍 이상의 제1 철근 및
상기 본체의 상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에 강성 및 지지력을 제공하는 한 쌍 이상의 제2 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철근 및 제2 철근은 각각 보 내부 및 천장 슬래브의 주 철근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철근이 서로 접촉되는 부분은 연결수단을 이용해서 연결되거나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중공 관. A body having a hollow space formed inside through which cables are routed;
One or more pairs of first reinforcing bar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to provide rigidity and support to the main body; and
It includes one or more pairs of second reinforcing bar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to provide rigidity and support to the main body,
The abov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main reinforcing bars of the inside of the beam and the ceiling slab,
A hollow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connected or joined using a connecting means.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철근이 결합되는 제1 및 제2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철근이 관통 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중공 관. In the first paragraph,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bove body, first and second flanges are formed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are joined,
A hollow tube characterized in that a through hole is form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to allow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to penetrate and be connected thereto.
상기 본체의 전단과 후단에는 각각 한 쌍의 연결 플랜지가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해 절곡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 플랜지에는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3 철근이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중공 관. In the third paragraph,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above body, a pair of connecting flanges are formed by bend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above body,
A hollow tub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ird reinforcing bars are penetrated and conn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above pair of connecting flanges.
상기 본체는 판 형상의 자재를 복수의 접이선을 따라 절곡해서 통체 형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보 중공 관이 설치되는 보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되거나, 보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상기 본체를 연결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중공 관. In paragraph 4,
The above body is formed into a solid shape by folding a plate-shaped material along a plurality of folding lines.
A hollow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tube is provid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eam on which it is installed, or is configu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the above bodies so as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beam.
(a) 판 형상의 자재를 복수의 접이선을 따라 절곡해서 통체 형상의 본체를 성형하는 단계,
(b) 상기 본체의 외측에 한 쌍 이상의 제1 철근을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본체의 외측에 한 쌍 이상의 제2 철근을 결합하고, 상기 제1 철근과 제2 철근을 서로 연결 또는 접합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및 제2 철근을 보 내부 및 천장 슬래브의 주 철근과 결속하고, 보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보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중공 관의 제조방법.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hollow tub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to 5,
(a) a step of forming a solid body by folding a plate-shaped material along multiple folding lines;
(b) a step of joining one or more pairs of first reinforcing bars to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c) a step of joining one or more pairs of second reinforcing bar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connecting or joining the first reinforcing bars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s to each other; and
(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ollow beam tu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tep of constructing a beam by tying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to the main reinforcing bars of the inside of the beam and the ceiling slab and arranging them at a location where the beam is to be install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35847A KR102712643B1 (en) | 2024-03-14 | 2024-03-14 | Beam hollow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35847A KR102712643B1 (en) | 2024-03-14 | 2024-03-14 | Beam hollow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12643B1 true KR102712643B1 (en) | 2024-10-04 |
Family
ID=9311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35847A Active KR102712643B1 (en) | 2024-03-14 | 2024-03-14 | Beam hollow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12643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9183U (en) * | 1999-04-06 | 2000-11-06 | 안승한 | a built-up culvert |
KR102160808B1 (en) | 2020-03-30 | 2020-09-28 | (주)선진이엔지 | Ceiling mounted type cable duct to lay electric cable and telecommunication cable separately |
KR200493424Y1 (en) * | 2020-01-30 | 2021-03-25 | 삼화전기 주식회사 | Base Fixing Structure for Distribution Box |
KR102236025B1 (en) | 2020-05-26 | 2021-04-05 | 김송태 | Improved cable tray with hollow pin |
-
2024
- 2024-03-14 KR KR1020240035847A patent/KR10271264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9183U (en) * | 1999-04-06 | 2000-11-06 | 안승한 | a built-up culvert |
KR200493424Y1 (en) * | 2020-01-30 | 2021-03-25 | 삼화전기 주식회사 | Base Fixing Structure for Distribution Box |
KR102160808B1 (en) | 2020-03-30 | 2020-09-28 | (주)선진이엔지 | Ceiling mounted type cable duct to lay electric cable and telecommunication cable separately |
KR102236025B1 (en) | 2020-05-26 | 2021-04-05 | 김송태 | Improved cable tray with hollow pi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3931B1 (en) | A self assembly support beam structures and self assembly support beam structures installing method | |
KR102204901B1 (en) | Shear wall reinforced with steel plate | |
KR102119926B1 (en) | Cable tray | |
JP4729055B2 (en) | Unit building connection structure and unit building | |
JP6502125B2 (en) | Reinforced concrete perforated beam | |
KR102712643B1 (en) | Beam hollow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6291178B2 (en) | Column beam structure | |
JP2007170161A (en) | Deck plate with reinforcing truss | |
JP2003155794A (en) | Synthetic hollow floor plate | |
KR101136915B1 (en) | Bus duct cover | |
JP4854749B2 (en) | Floor structure and building for bus unit installation | |
JP6577863B2 (en) | Building | |
JP4898317B2 (en) | Seismic wall installation structure | |
JP5091624B2 (en) | Reinforced structure | |
KR20210006101A (en) | Bracket for truss structure | |
JP2925438B2 (en) | Overhang type unit building | |
JP7076101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synthetic slab | |
JP6072594B2 (en) | High rigidity beam | |
CN212295081U (en) | Assembly type building element for middle position of building wall | |
CN211057624U (en) | Temporary supporting device for suspension bridge front anchor chamber cover plate | |
JP7452176B2 (en) | Connection structure and cable support mechanism | |
JP4700178B2 (en) | Unit building | |
JP2003027727A (en) | Cable underfloor wiring method | |
JP2018123636A (en) | Building structure | |
JP2017002655A (en) | Flat slab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3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3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