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12603B1 - Cleaner station - Google Patents
Cleaner st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12603B1 KR102712603B1 KR1020220083343A KR20220083343A KR102712603B1 KR 102712603 B1 KR102712603 B1 KR 102712603B1 KR 1020220083343 A KR1020220083343 A KR 1020220083343A KR 20220083343 A KR20220083343 A KR 20220083343A KR 102712603 B1 KR102712603 B1 KR 1027126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 unit
- capturing
- cleaner
- collec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9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070 germi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XSQUKJJJFZCRTK-UHFFFAOYSA-N Urea Chemical compound NC(N)=O XSQUKJJJFZCRT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70 easy-to-clea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TJMJGYZQZDUJJ-UHFFFAOYSA-N phencyclidine Chemical class C1CCCCN1C1(C=2C=CC=CC=2)CCCCC1 JTJMJGYZQZDUJ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02 carb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95—Suction cleaners or attachments adapted to collect dust or waste from power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47L9/108—Dust compression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obo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포집하기 위해 청소기와 결합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먼지 수용 공간의 크기가 고정된 통(桶) 형태의 제1 포집부 또는, 상기 먼지 수용 공간의 크기가 가변되는 봉투 형태의 제2 포집부 중의 어느 하나를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형태의 포집부를 선호하는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station that is coupled with a cleaner to collect dust inside a dust bin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combine and use either a first collecting unit in the form of a barrel having a fixed size of a dust receiving space or a second collecting unit in the form of an envelope having a variable size of the dust receiving space, to the cleaner station.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satisfy various preferences of users who prefer collecting units of different typ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소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포집하기 위해 청소기와 결합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station coupled with a vacuum cleaner to capture dust inside a vacuum cleaner dust bin.
스틱 청소기(이하, '청소기'라 지칭함)는 집진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의 용량이 작아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Stick vacuum clean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vacuum cleaners”) have a small dustbin capacity that stores collected dust, which is inconvenient for users to have to empty the dustbin every time.
이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먼지통의 먼지를 제거하지 않도록 집진 모터의 흡입력을 통해 먼지통의 먼지를 흡입하여 포집하도록 구성된 청소기 스테이션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Accordingly, the use of vacuum cleaner stations configured to suck up and capture dust in a dust bin through the suction power of a dust collecting motor so that users do not have to manually remove dust from the dust bin is expanding.
이러한 청소기 스테이션은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집진 모터와 포집한 먼지를 수용하는 먼지 봉투 형태의 포집부를 포함하며 청소기 또는 청소기의 먼지통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These cleaner stations include a housing, a dust collecting motor arranged inside the housing, and a dust collecting part in the form of a dust bag for receiving the collected dust, and are configured to be combined with a cleaner or a dust bin of a cleaner.
청소기 스테이션은 청소기의 먼지통을 자동으로 비울 수 있다는 점에서 편리하고 청소기 스테이션에 포함된 먼지 봉투는 대부분 청소기에 구비된 먼지통 대비 큰 부피를 가지므로 먼지를 처리해야 하는 주기가 길게 되는 장점이 있다.The vacuum cleaner station is convenient in that it can automatically empty the vacuum cleaner's dust bin, and the dust bag included in the vacuum cleaner station is larger than the dust bin equipped with most vacuum cleaners, so it has the advantage of extending the cycle of having to deal with dust.
한편, 먼지 봉투 형태 형태의 포집부는, 구성이 단순하고 따로 먼지를 제거하거나 그 내부를 세척할 필요 없이 먼지 봉투 통째로 쓰레기통에 버릴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 면에서 장점이 있다. Meanwhile, the dust bag-shaped collection unit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thrown away in the trash can as a whole without having to remove the dust separately or clean the inside, so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for users.
하지만, 먼지 봉투는 내부의 세척이 불가하므로 주기적으로 구매 및 교환되어야 하므로 비용 면에서 부담을 느끼는 사용자가 있을 수 있다.However, since the dust bag cannot be washed on the inside, it must be purchased and replaced periodically, which may be a burden on some users due to the cost.
이와 관련하여, 선행특허문헌으로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10595692호를 제시한다.In this regard, US Patent Publication No. 10595692 is presented as a prior art patent document.
상기 선행특허문헌에는, 로봇 청소기와 도킹하는 배출 스테이션으로서 통(桶 ,bin) 형태의 포집부를 갖는 배출 스테이션의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다. The above prior art patent document discloses an embodiment of a discharge station having a bin-shaped collecting portion as a discharge station that docks with a robot cleaner.
'통' 형태의 포집부는, 먼지 봉투와는 달리 내부 세척이 용이하여 수용된 먼지만 제거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tong' shaped collecting par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clean internally, unlike a dust bag, so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as long as the collected dust is removed.
하지만, 별도로 수행되어야 하는 작업인 먼지의 제거 및 세척을 번거롭게 느끼는 사용자가 있을 수 있다.However, some users may find dust removal and cleaning, which are separate tasks, cumbersome.
이처럼, 포집부의 형태가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고정되는 경우에, 각각 상이한 사용자들의 선호도를 만족시키기 어렵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form of the capture unit is fixed to one type, it becomes difficult to satisfy the preferences of different user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로 다른 형태의 포집부를 선호하는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is to provide a cleaning station configured to satisfy the diverse preferences of users who prefer different types of collecting units.
본 발명의 과제는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specific cont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청소기의 먼지통과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 상기 집진 모터에 의해 상기 먼지통 내부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를 수집하는 먼지 수용 공간이 마련된 포집부;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포집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포집부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챔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coupled to a dust bin of a cleaner; a dust collecting moto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generating a suction force to suck up dust inside the dust bin; a dust collecting unit having a dust receiving space for collecting dust sucked in from inside the dust bin by the dust collecting motor; and a chamber unit disposed in the housing and forming a dust receiving space so that the dust collecting unit can be detachably coupled.
상기 챔버부에 결합되는 상기 포집부는, 상기 먼지 수용 공간의 크기가 고정된 통(桶) 형태이고 먼지 분리 수단으로 싸이클론이 포함된 제1 포집부와 상기 먼지 수용 공간의 크기가 가변되며 먼지 분리 수단으로 통기성 재질의 먼지 봉투가 포함된 제2 포집부가 호환될 수 있다.The collecting unit coupled to the chamber unit may be a first collecting unit having a fixed dust receiving space in the form of a barrel and including a cyclone as a dust separation means, and a second collecting unit having a variable dust receiving space in the form of a barrel and including a dust bag made of breathable material as a dust separation means.
상기 챔버부는, 상기 포집부 수용 공간의 외관을 형성하는 챔버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chamber portion may include a chamber body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capturing portion receiving space.
상기 챔버부는, 상기 챔버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포집부의 적어도 일부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챔버 바디의 하면과 상기 제2 포집부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mber portion may include a rail portion that is arrang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hamber body and supports the second capturing portion by fit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apturing portion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chamber body and the second capturing portion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포집부 수용 공간은, 전방 단부의 단면적이 후방 단부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capturing portion receiving space can be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ront end is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ar end.
상기 챔버 바디의 전방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 커버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The front of the chamber body can be opened or closed by a housing cover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제2 포집부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레일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rail portion may include a rail body that forms a space in which the second capturing portion slides.
상기 레일부는, 상기 레일 바디의 전방에서 상기 하우징 커버와 간섭되는 제1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포집부 또는 상기 제2 포집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하우징 커버와의 간섭이 회피되는 제2 위치로 이동되는 간섭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rail portion may include an interference protrusion that is positioned at a first position that interferes with the housing cover at the front of the rail body and moves to a second position where interference with the housing cover is avoided by contact with the first capturing portion or the second capturing portion.
상기 레일부는, 상기 간섭 돌기와 결합되며, 상기 간섭 돌기의 위치 이동을 안내하는 돌기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rail portion may include a projection guide that is coupled with the interference projection and guides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interference projection.
상기 챔버부는, 상기 챔버 바디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포집부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링하는 프리필터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mber section may include a filter mounting section, which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body and to which a pre-filter module for filtering air passing through the capturing section is detachably coupled.
상기 챔버부는, 일측이 상기 프리필터 모듈에 의해 눌려져 상기 제1 포집부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필터 감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hamber portion may include a filter detection protrusion having one side pressed by the pre-filter module and moved in a direction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first capturing portion.
상기 프리필터 모듈은, 필터 케이스,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필터 및, 상기 필터 케이스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누름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prefilter module may include a filter case, a filter accommodated inside the filter case, and a pressing projection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of the filter case.
상기 필터 감지돌기는, 돌기 바디 및 상기 돌기 바디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필터 장착부에 상기 프리필터 모듈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누름돌기와 접촉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filter detection protrusion may include a protrusion body and a catch that is formed protruding on an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body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essing protrusion when the prefilter module is coupled to the filter mounting portion.
상기 챔버부는, 상기 챔버 바디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포집부에 수집된 먼지를 압축하는 압축 회전부를 회전시키기 위해 동력을 생성하는 압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mber portion may include a compression driving unit that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body and generates power to rotate a compression rotating unit that compresses dust collected in the first collecting unit.
상기 제1 포집부는, 상기 압축 회전부와 결합되어 상기 압축 구동부로부터 상기 압축 회전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first capturing unit may include a transmission gear coupled to the compression rotating unit to transmit power from the compression driving unit to the compression rotating unit.
상기 압축 구동부는, 상기 포집부 수용 공간의 외측에 배치되는 압축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ompression driving unit may include a compression motor arranged outside the capturing unit receiving space.
상기 압축 구동부는, 상기 포집부 수용 공간의 외측에서 상기 압축 모터에 축 연결되며 상기 전달 기어와 기어 물림되는 구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ompression drive unit may include a drive gear that is axially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motor outside the capturing unit receiving space and is gear-meshed with the transmission gear.
상기 챔버 바디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전달 기어간의 기어 물림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 기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포집부 수용 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노출시키는 기어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A gear passage hole may b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body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driving gear toward the inside of the collecting portion receiving space so as to enable gear meshing between the driving gear and the transmission gear.
상기 압축 구동부는, 상기 기어 통과홀을 실링하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챔버 바디의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ompression drive unit may include a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drive gear and the chamber body to seal the gear passage ho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압축 모터의 회전 방향 전환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clean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detects a change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mpression motor.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압축 모터의 회전 방향 전환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챔버부에 결합된 상기 포집부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unit can determine the type of the capturing unit coupled to the chamber unit based on whether a change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mpression motor is detected within a preset time.
상기 챔버부는, 상기 챔버 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며 개방된 단면이 후방-하향 경사를 갖는 공기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hamber portion may include an air inlet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hamber body and having an open cross-section having a rearward-downward slope.
상기 챔버부는, 상기 공기 유입구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포집부 수용 공간을 향해 자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된 살균모듈이 장착되는 살균모듈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mber section may include a sterilizing module mounting section, which is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the air inlet and is equipped with a sterilizing module configured to irradiate ultraviolet light toward the capturing section receiving space.
상기 제1 포집부는, 상기 먼지 수용 공간의 외관을 형성하는 포집부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first capturing unit may include a capturing unit body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dust receiving space.
상기 제1 포집부는, 상기 포집부 바디의 개방된 상측을 덮는 바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first capturing unit may include a body cover covering the open upper side of the capturing unit body.
상기 바디 커버는, 상기 레일부에 삽입되는 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body cover may have a rib formed to protrude and be inserted into the rail portion.
상기 바디 커버는, 상면의 일부 영역에 후방-하향의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body cover may have a rearward-facing slope formed i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제1 포집부가 상기 챔버 바디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공기 유입구와 대향하도록 위치되는 먼지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above-mentioned slope, a dust inlet can be formed so as to be positioned opposite the air inlet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captur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body.
상기 제2 포집부는, 통기성 재질로 이루어진 먼지 봉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ollecting unit may include a dust bag made of a breathable material.
상기 제2 포집부는, 상기 먼지 봉투의 상측 외부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포집부 수용 공간의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며, 먼지 유입구가 형성된 외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llecting unit may include an outer plate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outer side of the dust bag, is fitted into the rail portion and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collecting unit receiving space, and has a dust inlet formed therein.
상기 제2 포집부는, 상기 외부 플레이트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레일부의 일면에 접촉되어 상기 외부 플레이트가 상기 공기 유입구를 향해 상승된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apturing portion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that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plate and has a lower end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rail portion to support the outer plate in a state where it is raised toward the air inle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먼지 수용 공간의 크기가 고정된 통(桶) 형태의 제1 포집부 또는, 상기 먼지 수용 공간의 크기가 가변되는 봉투 형태의 제2 포집부 중의 어느 하나를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형태의 포집부를 선호하는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combine either a first collecting unit in the form of a barrel having a fixed size of a dust-receiving space or a second collecting unit in the form of an envelope having a variable size of a dust-receiving space to a cleaner station and use it,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satisfy various preferences of users who prefer collecting units of different types.
본 발명의 효과는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specific contents for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청소기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소기의 먼지통 하측 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소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소기 스테이션의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소기 스테이션의 고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어가 먼지 통과 홀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어가 먼지 통과 홀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소기와 커버 개방 유닛의 관계를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소기 스테이션의 구성간 배치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챔버부 및 챔버부에 결합 가능한 형태의 포집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챔버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챔버부의 측면 상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챔버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챔버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 구동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C-C'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간섭 돌기의 이동 및 이에 따른 하우징 커버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프리필터 모듈을 구성 단위로 분리하여 전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5의 "B"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프리필터 모듈의 장착 여부에 따른 필터 감지돌기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D-D'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포집부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포집부의 관련 구성들을 분리하여 전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싸이클론의 먼지 분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도 23의 X-X'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기어와 전달 기어의 확대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기어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포집부가 챔버 바디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포집부가 챔버 바디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먼지 집진과 관련된 공기의 유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포집부의 관련 구성들을 분리하여 전개한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포집부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포집부가 챔버 바디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포집부가 챔버 바디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먼지 집진과 관련된 공기의 유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어 통과홀을 실링하는 실링부재의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rawing of the vacuum cleaner of Figure 1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FIG. 3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lower surface of a dust bin of a vacuum clean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coupling part of a cleaner sta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ixed unit of a cleaner sta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where the door closes the dust passage hole.
Figure 8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where the door has its dust passage hole open.
FIG. 9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cleaner and a cover opening uni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s of the cleaner sta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amber portion and a capturing portion that can be coupled to the chamber por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hamber section viewed from the sid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side of the chamber por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drawing of the chamber section viewed from the fron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hamber por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pression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ure 15.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17.
FIG. 19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an interference protrusion and the resulting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housing cov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drawing showing the pre-filter module divided into component units and develop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ure 15, and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filter detection protrusion depending on whether a pre-filter module is mounted.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21.
Fig. 2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apturing uni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is a drawing showing the related components of the first capturing unit separated and develop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5 is a drawing showing a dust separation process of a cyclon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 23.
Figure 27 is an enlarged view of the drive gear and the transmission gea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iving gear as viewed from below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capturing portion is inserted into a chamber bod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0 is a drawing showing the flow path of air related to dust collection when the first collecting unit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bod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1 is a drawing showing the related components of the second capturing unit separated and develop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2 is a cross-sectional view from the side of the second capturing uni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capturing unit is inserted into a chamber bod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4 is a drawing showing the flow path of air related to dust collection when the second collecting unit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bod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sealing member that seals a gear passage ho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청소기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소기의 먼지통 하측 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소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cleaner of FIG. 1 from a different angle, FIG. 3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lower side of a dust bin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clea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3)은 청소기(200)와 청소기 스테이션(30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4, a cleaner system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leaner (200) and a cleaner station (300).
청소기 시스템(3)은 청소기 스테이션(300)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300)에는 청소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측면에는 청소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300)은 청소기(200)의 먼지통(220)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The cleaner system (3) may include a cleaner station (300). A cleaner (200) may be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300). A cleaner (200) may be coupled to a side of the cleaner station (300). The cleaner station (300) may remove dust from a dust bin (220) of the cleaner (200).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청소기(20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s follows.
청소기(20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200)는 핸디형 청소기나, 스틱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200) may mean a vacuum cleaner that is manually operated by a user. For example, the vacuum cleaner (200) may mean a handheld vacuum cleaner or a stick vacuum cleaner.
청소기(200)는 청소기 스테이션(300)에 거치될 수 있다. 청소기(200)는 청소기 스테이션(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청소기(200)는 청소기 스테이션(3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cleaner (200) can be mounted on the cleaner station (300). The cleaner (200) can be supported by the cleaner station (300). The cleaner (200) can be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30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면 위에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의 바닥면(하측 면)을 놓았을 때를 기준으로 청소기(200)의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of the vacuum cleaner (200) can be defined based on the time when the bottom surface (lower surface) of the dust bin (220) and the battery housing (230) are placed on the ground.
이때, 전방이란 흡입 모터(214)를 기준으로 흡입부(212)가 배치되는 방향이고, 후방이란 흡입 모터(214)를 기준으로 핸들(216)이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흡입 모터(214)에서 흡입부(212)를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배치되는 방향을 우측이라 부를 수 있고, 왼쪽에 배치되는 방향을 좌측이라 부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면 위에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의 바닥면(하측 면)을 놓았을 때를 기준으로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측 및 하측을 정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ront may refe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unit (212) is arranged based on the suction motor (214), and the rear may refe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216) is arranged based on the suction motor (214). In addition, when looking at the suction unit (212) from the suction motor (214),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arranged on the right may be referred to as the right, and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arranged on the left may be referred to as the left.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sides may be defined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when the bottom surface (lower surface) of the dust bin (220) and the battery housing (230) are placed on the ground.
청소기(200)는 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0)는 본체 하우징(211), 흡입부(212), 먼지 분리부(213), 흡입 모터(214), 공기 배출 커버(215), 핸들(216) 및 조작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200) may include a main body (210). The main body (210) may include a main body housing (211), a suction unit (212), a dust separation unit (213), a suction motor (214), an air discharge cover (215), a handle (216), and an operating unit (218).
본체 하우징(211)은 청소기(20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본체 하우징(211)은 흡입 모터(214)와 필터(미도시)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211)은 원통에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housing (211) can form the exterior of the cleaner (200). The main body housing (211) can provide a space that can accommodate a suction motor (214) and a filter (not shown) inside. The main body housing (211) can be configured in a shape similar to a cylinder.
흡입부(212)는 본체 하우징(2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흡입부(212)는 내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212)는 연장관(250)과 결합될 수 있다. 흡입부(212)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이하, '흡입 유로'라고 부를 수 있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suction part (212) may protrude outwardly from the main body housing (211). For example, the suction part (21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interior. The suction part (212) may be combined with an extension pipe (250). The suction part (212) may provide a path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uction path')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may flow.
먼지 분리부(213)는 흡입부(212)와 연통될 수 있다. 먼지 분리부(213)는 흡입부(212)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다. 먼지 분리부(213) 내부의 공간은 먼지통(220) 내부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The dust separation unit (213) can be communicated with the suction unit (212).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can separate dust suck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suction unit (212). The space inside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can be communicated with the space inside the dust bin (220).
예를 들어, 먼지 분리부(213)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싸이클론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먼지 분리부(213) 내부의 공간은 상기 흡입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부(21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먼지 분리부(213)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먼지 분리부(213)의 내부 공간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cyclone unit capable of separating dust by cyclone flow. In addition, the space inside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ath. Accordingly, the air and dust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212) flow spirally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Accordingly, a cyclone flow may occur in the inner spac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먼지 분리부(213)는 흡입부(212)와 연통되며, 흡입부(212)를 통해 본체(210)의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분리하기 위해, 원심력을 이용하는 집진기의 원리를 적용한 구성이다.The dust separation unit (213) is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212) and is configured to apply the principle of a dust collector that utilizes centrifugal force to separate dust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210) through the suction unit (212).
먼지 분리부(213)는 싸이클론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재차 분리하는 2차 싸이클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먼지 분리부의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2차 싸이클론은 싸이클론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2차 싸이클론은 병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싸이클론에서 배출된 공기는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로 나뉘어 통과될 수 있다.The dust separation unit (213) may further include a secondary cyclone that separates dust again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yclone. At this time, the secondary cyclone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cyclone so that the siz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is minimized. The secondary cyclone may include a plurality of cyclone bodies arranged in parallel.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yclone may be divided and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cyclone bodies.
이때, 2차 싸이클론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싸이클론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과 2차 싸이클론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하 방향으로 동축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먼지 분리부(213)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으로 통칭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xis of the cyclone flow of the secondary cyclone may als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axis of the cyclone flow of the cyclone and the axis of the cyclone flow of the secondary cyclone may form a coaxial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ch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axis of the cyclone flow of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흡입 모터(214)는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흡입 모터(214)는 본체 하우징(21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흡입 모터(214)는 회전에 의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흡입 모터(214)는 원통 형태와 유사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suction motor (214) can generate a suction force to suck in air. The suction motor (214) can be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housing (211). The suction motor (214) can generate a suction force by rotation. For example, the suction motor (214) can be provided in a similar cylindrical shape.
공기 배출 커버(215)는 본체 하우징(211)의 축 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215)에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 배출 커버(215)에는 헤파(HEPA) 필터가 수용될 수 있다. The air exhaust cover (215) may be placed on one axial 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211). The air exhaust cover (215) may accommodate a filter for filtering air. For example, the air exhaust cover (215) may accommodate a HEPA filter.
공기 배출 커버(215)에는 흡입 모터(214)의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An air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air sucked in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214) may be formed in the air discharge cover (215).
공기 배출 커버(215)에는 유동 가이드가 배치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는 공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A flow guide may be arranged in the air discharge cover (215). The flow guide may guide the flow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핸들(216)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핸들(216)은 흡입 모터(21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핸들(216)은 원기둥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핸들(216)은 구부러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216)은 본체 하우징(211) 또는 흡입 모터(214) 또는 먼지 분리부(213)와 소정 각도를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The handle (216) can be gripped by the user. The handle (216) can b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uction motor (214). For example, the handle (216) can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cylinder. Alternatively, the handle (216) can be formed in a curved cylinder shape. The handle (216) can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housing (211), the suction motor (214), or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핸들(216)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기둥 형태로 형성된 파지부(216a), 파지부(216a)의 길이 방향(축 방향)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흡입 모터(214)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부(216b) 및 파지부(216a)의 길이 방향(축 방향) 타측 단부에 연결되고, 먼지통(220)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제2 연장부(216c)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216) may include a grip portion (216a) formed in a pillar shape so that the user can hold it, a first extension portion (216b) connected to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xial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216a) and formed to extend toward the suction motor (214),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216c) connected to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xial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216a) and formed to extend toward the dust bin (220).
핸들(216)의 상면은 청소기(200)의 상면의 일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핸들(216)을 파지하는 경우 청소기(200)의 일 구성이 사용자의 팔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216) may form a portion of the outer appearan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er (200). This may prevent a component of the cleaner (200)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user's arm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216).
제1 연장부(216b)는 파지부(216a)에서 본체 하우징(211) 또는 흡입 모터(214)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216b)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16b) may extend from the grip portion (216a) toward the main body housing (211) or the suction motor (214).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16b)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2 연장부(216c)는 파지부에서 먼지통(22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216c)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16c) may extend from the breaker portion toward the dust bin (220).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16c)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조작부(218)는 핸들(216)에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218)는 핸들(216)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218)를 통하여 청소기(200)의 동작이나 정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The operating unit (218) may be placed on the handle (216). The operating unit (218) may be placed on an inclined surface formed in the upper area of the handle (216). The user may input an operation or stop command for the cleaner (200) through the operating unit (218).
청소기(200)는 먼지통(22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220)은 먼지 분리부(213)와 연통될 수 있다. 먼지통(220)은 먼지 분리부(213)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200) may include a dust bin (220). The dust bin (220) may be connected to a dust separation unit (213). The dust bin (220) may stor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먼지통(220)은 먼지통 본체(221), 배출 커버(222), 먼지통 압축 레버(223) 및 압축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bin (220) may include a dustbin body (221), a discharge cover (222), a dustbin compression lever (223), and a compressor (not shown).
먼지통 본체(221)는 먼지 분리부(213)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통 본체(221)는 원통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dustbin body (221) can provide a space for storing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For example, the dustbin body (221) can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cylinder.
먼지통 본체(221)의 하측 면(바닥면)은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먼지통 본체(221)의 하측 면(바닥면)에는 하면 연장부(221a)가 형성될 수 있다. 하면 연장부(221a)는 먼지통 본체(221)의 하측 면 일부를 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bottom surface) of the dustbin body (221) may be partially open. In addition, a lower extension portion (221a)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bottom surface) of the dustbin body (221). The lower extension portion (221a) may be formed to block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bin body (221).
먼지통(220)은 배출 커버(22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커버(222)는 먼지통(220)의 하측 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ustbin (220) may include a discharge cover (222). The discharge cover (222) may be plac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bin (220).
배출 커버(222)는 먼지통 본체(22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 커버(222)는 하방으로 개구되는 먼지통(220)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The discharge cover (222)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one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stbin body (221). Specifically, the discharge cover (222) may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lower part of the dustbin (220) that opens downward.
배출 커버(222)는 커버 본체(222a) 및 힌지부(222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본체(222a)는 먼지통 본체(221)의 하측 면 일부를 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본체(222a)는 힌지부(222b)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힌지부(222b)는 배터리 하우징(23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힌지부(222b)에는 토션스프링(222d)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커버(222)가 먼지통 본체(221)에서 분리될 경우, 토션스프링(222d)의 탄성력에 의하여, 커버 본체(222a)는 먼지통 본체(221)에서 힌지부(222b)를 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The discharge cover (222) may include a cover body (222a) and a hinge part (222b). The cover body (222a) may be formed to block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bin body (221). The cover body (222a) may rotate downward based on the hinge part (222b). The hinge part (222b)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battery housing (230). A torsion spring (222d) may be provided in the hinge part (222b). Therefore, when the discharge cover (222) is separated from the dustbin body (221), the cover body (222a) may be supported in a state in which it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about the hinge part (222b) as an axis in the dustbin body (22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222d).
배출 커버(222)는 후크 결합을 통해 먼지통(220)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배출 커버(222)는 결합 레버(222c)를 통해 먼지통(2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결합 레버(222c)는 먼지통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레버(222c)는 먼지통(220)의 전방 측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외력 인가 시, 결합 레버(222c)는 커버 본체(222a)와 먼지통 본체(221)의 후크 결합을 해제시키도록 커버 본체(222a)에서 연장 형성된 후크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The discharge cover (222) can be coupled with the dust bin (220) through a hook connection. Meanwhile, the discharge cover (222) can be separated from the dust bin (220) through a coupling lever (222c). The coupling lever (222c) can be arranged at the front of the dust bin. Specifically, the coupling lever (222c) can be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dust bin (22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coupling lever (222c) can elastically deform a hook extended from the cover body (222a) to release the hook connection between the cover body (222a) and the dust bin body (221).
배출 커버(222)가 닫혀있는 경우, 먼지통(220)의 하측 면은 배출 커버(222) 및 하면 연장부(221a)에 의하여 막힐(실링될) 수 있다.When the discharge cover (222) is closed,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bin (220) can be blocked (sealed) by the discharge cover (222) and the lower extension (221a).
먼지통(220)은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먼지통 압축 레버(223)는 먼지통(220) 또는 먼지 분리부(211)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 압축 레버(223)는 먼지통(220) 또는 먼지 분리부(213)의 외부에 상하로 이동하게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 압축 레버(223)는 압축자(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외력에 의해 먼지통 압축 레버(223)가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압축자(미도시)도 같이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압축자(미도시)와 먼지통 압축 레버(223)는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통 압축 레버(223)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 부재는 먼지통 압축 레버(223)와 압축자(미도시)를 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dustbin (220) may include a dustbin compression lever (223) (see FIG. 2). The dustbin compression lever (223) may be arranged outside the dustbin (220) or the dust separation unit (211). The dustbin compression lever (223) may be arranged to move up and down outside the dustbin (220) or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The dustbin compression lever (223) may be connected to a compressor (not shown). When the dustbin compression lever (223) moves downward by an external force, the compressor (not shown) may also move downward. Through this, convenience for the user may be provided. The compressor (not shown) and the dustbin compression lever (223) may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an elastic member (not shown). Specifically, when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ustbin compression lever (223) is removed, the elastic member may move the dustbin compression lever (223) and the compressor (not shown) upward.
압축자(미도시)는 먼지통 본체(2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자는 먼지통 본체(221)의 내부 공간을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축자는 먼지통 본체(221)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압축자는 먼지통 본체(221) 내의 먼지를 하방으로 압축할 수 있다. 또한, 배출 커버(222)가 먼지통 본체(221)로부터 분리되어 먼지통(220)의 하부가 개방되는 경우, 압축자는 먼지통(22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먼지통(220) 내의 잔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먼지통(220)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청소기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먼지통(220)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잔여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A compressor (not shown) may be placed inside the dustbin body (221). The compressor may mov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dustbin body (221). Specifically, the compressor may move up and down inside the dustbin body (221). Through this, the compressor may compress dust inside the dustbin body (221) downward. In addition, when the discharge cover (222) is separated from the dustbin body (221) and the lower part of the dustbin (220) is opened, the compressor may move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of the dustbin (22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residual dust inside the dustbin (220). Through this, the suction power of the vacuum cleaner may be improved by preventing residual dust from remaining inside the dustbin (220). In addition, by preventing residual dust from remaining inside the dustbin (220), an unpleasant odor caused by residual substances may be eliminated.
청소기(200)는 배터리 하우징(23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30)에는 배터리(240)가 수용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30)은 핸들(21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 하우징(230)은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30)의 후면은 핸들(216)과 연결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200) may include a battery housing (230). The battery housing (230) may accommodate a battery (240). The battery housing (230) may be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of the handle (216). For example, the battery housing (23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with an open bottom. The rear side of the battery housing (230) may be connected to the handle (216).
배터리 하우징(230)은 하방으로 개방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20)의 수용부를 통하여 배터리(240)가 탈착될 수 있다.The battery housing (230)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that opens downward. The battery (240) may be removed through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battery housing (220).
청소기(200)는 배터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200) may include a battery (240).
예를 들어, 배터리(240)는 청소기(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240)는 배터리 하우징(2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240)는 배터리 하우징(230)의 하방에서 배터리 하우징(2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기(200)의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attery (2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leaner (200). The battery (2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attery housing (230). For example, the battery (240) may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battery housing (230)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housing (230). With this configuration, the portability of the cleaner (200) may be improved.
이와는 달리, 배터리(240)는 배터리 하우징(230) 내부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240)의 하면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Alternatively, the battery (240) may be integrally provided inside the battery housing (230). In this case,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24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배터리(240)는 청소기(200)의 흡입 모터(21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240)는 핸들(216)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40)는 먼지통(2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The battery (240) can supply power to the suction motor (214) of the vacuum cleaner (200). The battery (240) can b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handle (216). The battery (240) can be placed at the rear of the dust bin (220).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240)가 배터리 하우징(230)에 결합된 경우, 배터리(240)의 하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청소기(200)를 바닥에 내려 놓을 때 배터리(240)가 바닥에 놓일 수 있으므로, 배터리(240)를 배터리 하우징(230)에서 바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40)의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배터리(240)의 외부 공기와 직접 접촉하므로, 배터리(240)의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battery (240) is coupled to the battery housing (230),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24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Since the battery (240) may be placed on the floor when the vacuum cleaner (200) is placed on the floor, the battery (240) may be immediately separated from the battery housing (230). In addition,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24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external air of the battery (240),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battery (240) may be improved.
한편, 배터리(240)가 배터리 하우징(230)에 일체로 고정되는 경우에는, 배터리(240)와 배터리 하우징(230)의 착탈을 위한 구조를 줄일 수 있으므로, 청소기(200)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고, 경량화가 가능하다.Meanwhile, when the battery (240) is integrally fixed to the battery housing (230), the structur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battery (240) and the battery housing (230) can be reduced, so the overall size of the vacuum cleaner (200) can be reduced and its weight can be reduced.
청소기(200)는 연장관(25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250)은 청소 모듈(260)과 연통될 수 있다. 연장관(250)은 본체(210)와 연통될 수 있다. 연장관(250)은 본체(210)의 흡입부(214)와 연통될 수 있다. 연장관(250)은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leaner (200) may include an extension pipe (250). The extension pipe (250) may be communicated with a cleaning module (260). The extension pipe (250) may be communicated with a main body (210). The extension pipe (250) may be communicated with a suction portion (214) of the main body (210). The extension pipe (250) may be formed in a long cylindrical shape.
본체(210)는 연장관(250)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210)는 연장관(250)을 통해 청소 모듈(260)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210)는 흡입 모터(214)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연장관(250)을 통해 청소 모듈(260)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210)에는 청소 모듈(260)과, 연장관(250)을 통해 외부의 먼지가 유입될 수 있다.The main body (210) can be connected to an extension pipe (250). The main body (210) can be connected to a cleaning module (260) through the extension pipe (250). The main body (210) can generate suction force through a suction motor (214) and provide suction force to the cleaning module (260) through the extension pipe (250). External dust can be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210) through the cleaning module (260) and the extension pipe (250).
청소기(200)는 청소 모듈(260)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 모듈(260)은 연장관(250)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는 청소기(200)의 본체(210)에서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청소 모듈(260)과 연장관(250)을 지나 청소기(200)의 본체(210)로 유입될 수 있다.The cleaner (200) may include a cleaning module (260). The cleaning module (260) may be connected to an extension pipe (250). Accordingly, external air may be drawn into the main body (210) of the cleaner (200) through the cleaning module (260) and the extension pipe (250)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in the main body (210) of the cleaner (200).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내의 먼지는 중력에 의하여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포집부(500)로 포집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먼지통(220) 내의 먼지는 청소기 스테이션(300) 내부에 배치된 집진 모터(391)의 흡입력에 의하여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포집부(500)로 포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청소기 먼지통 안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먼지통을 비우게 되는 경우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Dust in the dust bin (220) of the cleaner (200) can be collected by gravity into the collection unit (500) of the cleaner station (300). At the same time, dust in the dust bin (220) can be collected by the collection unit (500) of the cleaner station (300) by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391) arranged inside the cleaner station (300). Through this, dust in the dust bin of the cleaner can be removed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by the user, thereby providing user convenience. In addition,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having to empty the dust bin every time can be eliminated. In addition, dust can be prevented from flying when the dust bin is emptied.
청소기(200)는 하우징(31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200)의 본체(210)는 결합부(320)에 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은 결합부(320)의 결합면(321)에 결합될 수 있다. 먼지통 본체(221)의 외주면은 먼지통 가이드면(322)에 결합될 수 있다. 흡입부(212)는 결합부(320)의 흡입부 가이드면(326)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먼지통(220)의 중심축은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연장관(250)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cleaner (200) can 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housing (310). Specifically, the main body (210) of the cleaner (200) can be mounted on the coupling part (320). More specifically, the dustbin (220) and the battery housing (230) of the cleaner (200) can be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321) of the coupling part (320).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bin main body (221) can be coupled to the dustbin guide surface (322). The suction part (212) can be coupled to the suction part guide surface (326) of the coupling part (320).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entral axis of the dustbin (220) can be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and the extension pipe (250) can be arranged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이하에서는, 본 발명 실시예의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Below, the configuration of the cleaning station (30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도 4를 참조하면, 청소기 스테이션(300)에는 청소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측면에는 청소기(200)의 본체가 결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측면에는 청소기(200)의 먼지통(220)이 결합되되 배출 커버(222)가 배치된 일측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배출 커버(222)가 개방되면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내부로 먼지통(220)의 먼지가 포집되어 제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cleaner (200) may be coupled to a cleaner station (300). Specifically, a main body of a cleaner (200) may be coupled to a side of the cleaner station (300). More specifically, a dust bin (220) of the cleaner (200) may be coupled to a side of the cleaner station (300), and may be coupled through one side where a discharge cover (222) is disposed. Accordingly, when the discharge cover (222) is opened, dust in the dust bin (220) may be captured and removed inside the cleaner station (300).
청소기 스테이션(300)은 하우징(3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3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벽면을 포함하는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310)은 사각 기둥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300) may include a housing (310). The housing (310) may form an exterior of the cleaner station (300). Specifically, the housing (310) may be formed in a pillar shape including at least one outer wall surface. As an example, the housing (310)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square pillar.
하우징(310)은 내부에 포집부(500) 및 먼지 흡입 모듈(39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310) may have a space formed therein that can accommodate a capture unit (500) and a dust suction module (390).
하우징(310)은 바닥면(311), 외벽면(312) 및 상부면(31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310)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311), an outer wall surface (312), and an upper surface (313).
바닥면(311)은 먼지 흡입 모듈(390)의 중력 방향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바닥면(311)은 먼지 흡입 모듈(390)의 집진 모터(391)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311) can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dust suction module (390) in the gravity direction. That is, the bottom surface (311) can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391) of the dust suction module (390).
이때, 바닥면(311)은 지면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바닥면(311)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은 물론, 지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집진 모터(39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청소기(200)가 결합된 경우에도 전체적인 무게의 균형을 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311) can be placed toward the ground. The bottom surface (311) can be placed parallel to the ground, but can also be placed at a certain angle with the ground. With this configuration, the dust collection motor (391) can be stably supported, and even when the vacuum cleaner (200) is combin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verall weight can be balanced.
한편, 실시예에 따라 바닥면(311)은 청소기 스테이션(300)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지면지지부(31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지면지지부(311a)는 바닥면(311)에서 연장 형성된 판 형태일 수 있고, 바닥면(311)에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지면 방향을 따라 돌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311) may further include a ground support member (311a) that increases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prevent the cleaner station (300) from falling over and maintain balance. For example, the ground support member (311a) may be in the form of a plate extended from the bottom surface (311), and one or more frames may be formed to protrude and extend along the ground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311).
외벽면(312)은 중력 방향을 따라 형성된 면을 의미할 수 있고, 바닥면(311)과 연결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벽면(312)은 바닥면(311)과 수직하게 연결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다른 실시예로, 외벽면(312)은 바닥면(311)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outer wall surface (312) may mean a surface formed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may mean a surface connected to the floor surface (311). For example, the outer wall surface (312) may mean a surfac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floor surface (311). In another embodiment, the outer wall surface (312)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311).
외벽면(312)은 적어도 하나의 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외벽면(312)은 제1 외벽면(312a), 제2 외벽면(312b), 제3 외벽면(312c) 및 제4 외벽면(312d)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uter wall surface (312)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surface. For example, the outer wall surface (312) may include a first outer wall surface (312a), a second outer wall surface (312b), a third outer wall surface (312c), and a fourth outer wall surface (312d).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1 외벽면(312a)은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정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정면이라 함은,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청소기(200)가 노출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벽면(312a)은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정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312a) may be placed on the front side of the cleaner station (300). Here, the front side may mean the surface on which the cleaner (200) is exposed when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300). Accordingly,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312a) may form the appearance of the front side of the cleaner station (300).
한편, 본 실시예의 이해를 위하여 방향에 대하여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understand this embodiment, the direction is defined as follows. In this embodiment, the direction can be defined when the cleaner (200) is connected to the cleaner station (300).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300)에 결합되었을 때,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부를 수 있다.When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300), the direction in which the cleaner (2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station (300) can be called the front.
다른 관점에서,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300)에 결합되었을 때, 청소기(200)의 흡입 모터(214)가 배치된 방향을 전방이라고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 스테이션(300)에서 흡입 모터(214)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부를 수 있다.From another perspective, when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300),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motor (214) of the cleaner (200) is positioned can be called the front.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motor (214) is positioned in the cleaner station (300) can be called the rear.
그리고,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을 기준으로 정면과 마주보는 방향의 면을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후면이라고 부를 수 있다. 따라서, 후면은 제2 외벽면(312b)이 형성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And, based on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310), the surface facing the front can be called the rear side of the cleaner station (300). Accordingly, the rear side can mea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312b) is formed.
그리고,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정면을 바라보았을 때 좌측의 면을 좌면이라 부를 수 있고, 우측의 면을 우면이라 부를 수 있다. 따라서, 좌면은 제3 외벽면(312c)이 형성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우면은 제4 외벽면(312d)이 형성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And, when looking at the front based on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310), the left side may be called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may be called the right side. Accordingly, the left side may mea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hird outer wall surface (312c) is formed, and the right side may mea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urth outer wall surface (312d) is formed.
제1 외벽면(312a)은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물론, 전체적으로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부분에 곡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312a)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or may be formed in an entirely curved shape, or may be formed to include a curved surface in a portion.
제1 외벽면(312a)에는 결합부(3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청소기(200)는 청소기 스테이션(300)에 결합될 수 있고, 청소기 스테이션(3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결합부(3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A coupling part (320) may be arranged on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312a).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leaner (200) may be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300) and supported by the cleaner station (300).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part (32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제1 외벽면(312a)에는 청소기(200)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청소 모듈(260)을 거치하는 구조가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t is also possible to add a structure to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312a) to accommodate various types of cleaning modules (260) used in the vacuum cleaner (200).
본 실시예에서 제2 외벽면(312b)은 제1 외벽면(312a)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즉, 제2 외벽면(312b)은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외벽면(312b)은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후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312b) may be a surface facing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312a). That is,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312b) may be placed at the rear of the cleaner station (300).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312b)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rear of the cleaner station (300).
본 실시예에서 제3 외벽면(312c) 및 제4 외벽면(312d)은 제1 외벽면(312a)과 제2 외벽면(312b)을 연결시키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3 외벽면(312c)이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좌면에 배치되고, 제4 외벽면(312d)이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3 외벽면(312c)이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우면에 배치되고, 제4 외벽면(312d)이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좌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third outer wall surface (312c) and the fourth outer wall surface (312d) may refer to surfaces connecting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312a) and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312b). At this time, the third outer wall surface (312c) may be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cleaner station (300), and the fourth outer wall surface (312d) may be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cleaner station (300). Alternatively, the third outer wall surface (312c) may be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cleaner station (300), and the fourth outer wall surface (312d) may be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cleaner station (300).
제3 외벽면(312c) 또는 제4 외벽면(312d)은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물론, 전체적으로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부분에 곡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third outer wall surface (312c) or the fourth outer wall surface (312d)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or may be formed in an entirely curved shape, or may be formed by including a curved surface in a portion.
한편, 제3 외벽면(312c) 또는 제4 외벽면(312d)에는 청소기(200)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청소 모듈(290)을 거치하는 구조가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t is also possible to add a structure for mounting various types of cleaning modules (290) used in the cleaner (200) to the third outer wall surface (312c) or the fourth outer wall surface (312d).
상부면(313)은 청소기 스테이션의 상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부면(313)은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중력 방향 가장 상측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313) may form the upper exterior of the cleaner station. That is, the upper surface (313) may mean a surface that is positioned at the uppermost sid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n the cleaner station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상측 및 하측이라 함은 청소기 스테이션(300)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중력 방향(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의미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sides may mean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when the cleaner station (300) is installed on the ground.
이때, 상부면(313)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은 물론, 지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313)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ground, but may also be arranged at a certain angle with the ground.
상부면(313)에는 표시부(53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표시부(530)에는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상태, 청소기(20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그 외에 청소 진행 상황, 청소 구역에 대한 지도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A display unit (530) may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313).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530) may display the status of the cleaner station (300) and the status of the cleaner (200), and may also display information such as the cleaning progress status and a map of the cleaning area.
한편, 실시예에 따라 상부면(313)은 외벽면(312)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부면(313)이 분리되면, 외벽면(312)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는 청소기(200)에서 분리된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고, 분리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단자(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313)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outer wall surface (312). At this time, when the upper surface (313) is detached, the internal space surrounded by the outer wall surface (312) may accommodate a battery detached from the cleaner (200), and a terminal (not shown) capable of charging the detached battery may be provid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소기 스테이션의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coupling part of a cleaner sta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청소기 스테이션(300)은 청소기(20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320)는 제1 외벽면(312a)에 배치되고, 청소기(200)의 먼지통(220)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320)에는 먼지통(220)과 함께 청소기(200)의 본체(210)와 배터리 하우징(230)도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leaner station (300) may include a coupling part (320) for coupling the cleaner (200). Specifically, the coupling part (320) is arranged on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312a), and the dust bin (220) of the cleaner (200) may be coupled thereto. The main body (210) and the battery housing (230) of the cleaner (200) may also be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320) together with the dust bin (220).
결합부(320)는 결합면(321)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면(321)은 하우징(3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면(321)은 제1 외벽면(312a)에서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홈 형태로 형성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결합면(321)은 제1 외벽면(312a)과 단을 이루어 형성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320) may include a coupling surface (321). The coupling surface (321) may be arrang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310). For example, the coupling surface (321) may refer to a surface formed in a concave groove shape toward the inside of the cleaner station (300) on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312a). In other words, the coupling surface (321) may refer to a surface formed by forming a single unit with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312a).
결합면(321)에는 청소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면(321)은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의 하측 면과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하측 면은 사용자가 청소기(200)를 사용하거나 지면에 놓았을 때, 지면을 향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A vacuum cleaner (200)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321). For example, the coupling surface (321)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bin (220) and the battery housing (230) of the vacuum cleaner (200). Here, the lower surface may mean a surface facing the ground when a user uses the vacuum cleaner (200) or places it on the ground.
일 예로, 결합면(321)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가 결합면(321)에 결합될 경우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ngle formed by the joining surface (321) with the ground may be a right angle. Through this, the space of the cleaner station (300) can be minimized when the cleaner (200) is joined to the joining surface (321).
다른 예로, 결합면(321)은 지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가 결합면(321)에 결합될 경우 청소기 스테이션(3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joining surface (321)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rough this, when the cleaner (200) is joined to the joining surface (321), the cleaner station (300) may be stably supported.
결합면(321)에는 하우징(310)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 가능하도록 먼지 통과 홀(321a)이 형성될 수 있다. 먼지 통과 홀(321a)은 먼지통(220)의 먼지가 포집부(500)로 유입되도록 먼지통(220)의 형태에 대응하여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먼지 통과 홀(321a)은 먼지통(220)의 배출 커버(222)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지 통과 홀(321a)은 후술할 유로부(380)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8 참조).A dust passage hole (321a)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surface (321) to allow air from outside the housing (310) to flow into the inside. The dust passage hole (321a) may be formed in a hol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ust bin (220) so that dust from the dust bin (220) may flow into the collection unit (500). The dust passage hole (321a)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scharge cover (222) of the dust bin (220). The dust passage hole (321a)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a flow path (380) to be described later (see FIG. 8).
결합부(320)는 먼지통 가이드면(32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 가이드면(322)은 제1 외벽면(312a)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 가이드면(322)은 제1 외벽면(312a)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먼지통 가이드면(322)는 결합면(321)과 연결될 수 있다. The coupling portion (320) may include a dustbin guide surface (322). The dustbin guide surface (322) may be arranged on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312a). The dustbin guide surface (32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312a). In addition, the dustbin guide surface (322) may be connected to the coupling surface (321).
먼지통 가이드면(322)은 먼지통(220)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 가이드면(322)에는 먼지통(220)의 전방 외측면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가 결합면(321)에 결합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dustbin guide surface (322) can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bin (220). The front outer surface of the dustbin (220) can be coupled to the dustbin guide surface (322). Through this, the convenience of coupling the vacuum cleaner (200) to the coupling surface (321) can be provided.
한편, 먼지통 가이드면(322)에는 돌기 이동 홀(322a)이 형성될 수 있고, 돌기 이동 홀(322a)을 따라 후술할 푸쉬 돌기(351)가 직선 이동될 수 있다(도 9 참조). 또한, 먼지통 가이드면(322)의 중력 방향 하측에는 후술할 커버 개방 유닛(350)의 기어 등이 수용되는 기어 박스(35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먼지통 가이드면(322)과 하측 면과 기어 박스(355)의 상측 면 사이에는 푸쉬 돌기(351)가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공간(322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공간(322b)은 바이패스 홀(322c)을 통하여 제1 유로(381)와 연통될 수 있다. 즉, 돌기 이동 홀(322a), 가이드 공간(322b), 바이패스 홀(322c) 및 제1 유로(381)는 하나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먼지통(220)이 결합부(3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집진 모터(391)가 작동되면, 상기 유로를 통하여 먼지통(220)과 먼지통 가이드면(322)에 잔존하는 먼지 등을 흡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Meanwhile, a projection moving hole (322a) may be formed in the dustbin guide surface (322), and a push projection (35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linearly moved along the projection moving hole (322a) (see FIG. 9). In addition, a gear box (355) that accommodates a gear of a cover opening unit (3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dustbin guide surface (322) in the gravity direction. At this time, a guide space (322b), in which the push projection (351) may be moved, may be formed between the dustbin guide surface (322),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gear box (355). In addition, the guide space (322b) may be communicated with the first flow path (381) through the bypass hole (322c). That is, the protrusion movement hole (322a), the guide space (322b), the bypass hole (322c), and the first flow path (381) can form one flow path.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ust collector motor (391) is operated while the dust bin (2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32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ust remaining in the dust bin (220) and the dust bin guide surface (322) can be sucked in through the flow path.
결합부(320)는 가이드 돌기(3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323)는 결합면(321)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323)는 결합면(321)에서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323)는 서로 이격되어 2개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되는 2개의 가이드 돌기(323) 사이의 거리는 청소기(200)의 배터리 하우징(230)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가 결합면(321)에 결합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320) may include a guide protrusion (323). The guide protrusion (323) may be arranged on the coupling surface (321). The guide protrusion (323)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coupling surface (321). The guide protrusions (323) may be arranged two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guide protrusions (323)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battery housing (230) of the cleaner (200). Through this, the convenience of coupling the cleaner (200) to the coupling surface (321) may be provided.
결합부(320)는 결합부 측벽(324)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 측벽(324)은 결합면(321)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벽면을 의미할 수 있고, 결합면(321)과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결합부 측벽(324)은 제1 외벽면(312a)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 측벽(324)은 먼지통 가이드면(322)과 연결되는 면을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320) may include a coupling part side wall (324). The coupling part side wall (324) may refer to a wall surfac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surface (321) and may b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coupling surface (321). The coupling part side wall (324)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312a). In addition, the coupling part side wall (324) may form a surface connected to the dustbin guide surface (322). Through this, the vacuum cleaner (200) may be stably accommodated.
결합부(320)는 결합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센서는 청소기(200)가 결합부(320)에 결합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coupling unit (320) may include a coupling sensor. The coupling sensor may detect whether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320).
결합 센서는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결합 센서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 센서는 가이드 돌기(323)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200)의 배터리 하우징(230) 또는 배터리(240)가 한 쌍의 가이드 돌기(323) 사이에 결합되면, 결합 센서를 접촉하게 되고, 결합 센서는 청소기(200)가 결합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The coupling sensor may also include a contact sensor. For example, the coupling sensor may include a micro switch. In this case, the coupling sensor may be placed on the guide protrusion (323). Accordingly, when the battery housing (230) or the battery (240) of the cleaner (200) is coupled between a pair of guide protrusions (323), the coupling sensor comes into contact, and the coupling sensor can detect that the cleaner (200) is coupled.
한편, 결합 센서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결합 센서는 적외선 센서부(IR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 센서는 결합부 측벽(324)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또는 본체(210)가 결합부 측벽(324)을 지나 결합면(321)에 도달하면, 결합 센서는 먼지통(220) 또는 본체(210)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upling sensor may also include a non-contact sensor. For example, the coupling sensor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IR sensor). In this case, the coupling sensor may be placed on the coupling side wall (324). Accordingly, when the dust bin (220) or the main body (210) of the cleaner (200) passes the coupling side wall (324) and reaches the coupling surface (321), the coupling sensor may detect the presence of the dust bin (220) or the main body (210).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 센서는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또는 배터리 하우징(230)과 대향할 수 있다. When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300), the coupling sensor may face the dust bin (220) or battery housing (230) of the cleaner (200).
결합 센서는 청소기(200)의 배터리(24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과 함께 청소기(200)가 결합되었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The coupling sensor can be a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acuum cleaner (200) is coupled along with power being supplied to the battery (240) of the vacuum cleaner (200).
결합부(320)는 흡입부 가이드면(326)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 가이드면(326)는 제1 외벽면(312a)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부 가이드면(326)는 먼지통 가이드면(322)와 연결될 수 있다. 흡입부 가이드면(326)에는 흡입부(212)가 결합될 수 있다. 흡입부 가이드면(326)의 형상은 흡입부(21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320) may include a suction portion guide surface (326). The suction portion guide surface (326) may be arranged on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312a). The suction portion guide surface (326) may be connected to the dustbin guide surface (322). The suction portion (212) may be coupled to the suction portion guide surface (326). The shape of the suction portion guide surface (326)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ction portion (212).
결합부(320)는 고정부재 출입홀(3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 출입홀(327)은 고정부재(331)가 출입 가능하도록 결합부 측벽(324)을 따라 장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joint (320) may further include a fixed member entry/exit hole (327). The fixed member entry/exit hole (327)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along the side wall (324) of the joint so that the fixed member (331) can enter/exit.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청소기(200)를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결합부(320)에 결합시키는 경우, 먼지통 가이드면(322), 가이드 돌기(323) 및 흡입부 가이드면(326)에 의해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안정적으로 결합부(3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이 결합면(321)에 결합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a user attaches the cleaner (200) to the attachment portion (320) of the cleaner station (300), the main body (210) of the cleaner (200) can be stably placed on the attachment portion (320) by the dustbin guide surface (322), the guide protrusion (323), and the suction portion guide surface (326). Through this, the convenience of attaching the dustbin (220) and the battery housing (230) of the cleaner (200) to the attachment portion (321) can be provided.
한편, 청소기 스테이션(300)은 충전 단자(3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단자(328)는 결합부(320)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단자(328)는 결합부(320)에 결합되는 청소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충전 단자(328)는 결합부(320)에 결합되는 청소기(200)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Meanwhile, the cleaner station (300)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terminal (328). The charging terminal (328) may be placed in the coupling portion (320). The charging terminal (328)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leaner (200)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320). The charging terminal (328) may supply power to the battery of the cleaner (200)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320).
또한, 청소기 스테이션(300)은 측면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도어는 하우징(310)에 배치될 수 있다. 측면 도어는 포집부(500)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포집부(500)를 청소기 스테이션(300)으로부터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Additionally, the cleaner station (300) may further include a side door. The side door may be positioned in the housing (310). The side door may selectively expose the capture unit (500) to the outside. This allows the user to easily remove the capture unit (500) from the cleaner station (30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소기 스테이션의 고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ixed unit of a cleaner sta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300)은 고정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유닛(330)은 결합부 측벽(324)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유닛(330)은 결합면(321)의 이면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유닛(330)은 결합면(321)에 결합되는 청소기(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유닛(330)은 결합면(321)에 결합되는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cleaner station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xing unit (330). The fixing unit (330) may be disposed on a side wall (324) of a coupling portion. In addition, the fixing unit (330) may be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of a coupling surface (321). The fixing unit (330) may fix a cleaner (200)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321). Specifically, the fixing unit (330) may fix a dust bin (220) and a battery housing (230) of the cleaner (200)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321).
고정 유닛(330)은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31)와, 고정부재(331)를 구동시키는 고정부 모터(5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유닛(330)은 고정부 모터(580)의 동력을 고정부재(331)에 전달하는 고정부 링크(3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xed unit (330) may include a fixed member (331) that fixes the dust bin (220) and the battery housing (230) of the vacuum cleaner (200), and a fixed member motor (580) that drives the fixed member (331). In addition, the fixed unit (330) may further include a fixed member link (335) that transmits the power of the fixed member motor (580) to the fixed member (331).
고정부재(331)는 결합부 측벽(324)에 배치되고, 먼지통(220)을 고정시키도록 결합부 측벽(324)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331)는 고정부재 출입홀(327)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The fixed member (331) is arranged on the side wall (324) of the joint portion and may be provided to reciprocate on the side wall (324) of the joint portion to fix the dust bin (220). Specifically, the fixed member (331)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xed member access hole (327).
고정부재(331)는 결합부(320)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재(331)는 결합면(321)을 중심으로 2개가 대칭적으로 쌍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The fixed members (331) can be arranged on each side of the joint (320). For example, two fixed members (331) can be arranged symmetrically in pairs around the joint surface (321).
고정부 모터(580)는 고정부재(331)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fixed member motor (580) can provide power to move the fixed member (331).
고정부 링크(335)는 고정부 모터(580)의 회전력을 고정부재(331)의 왕복 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The fixed part link (335) can convert the rotational power of the fixed part motor (580) into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fixed part (331).
고정 실러(336)는 청소기(200)가 결합될 경우, 먼지통(220)을 기밀하도록 먼지통 가이드면(322)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기(200)의 먼지통(220)이 결합되면, 청소기(200)의 자중에 의하여 고정 실러(336)를 가압할 수 있고, 먼지통(220)과 먼지통 가이드면(322)이 밀봉될 수 있다.The fixed sealer (336) can be placed on the dustbin guide surface (322) to seal the dustbin (220) when the cleaner (200) is combined.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ustbin (220) of the cleaner (200) is combined, the fixed sealer (336) can be pressurized by the weight of the cleaner (200), and the dustbin (220) and the dustbin guide surface (322) can be sealed.
고정 실러(336)는 고정부재(331)의 가상의 연장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고정부 모터(580)가 작동되어 고정부재(331)가 먼지통(220)을 가압하면, 먼지통(220)의 동일한 높이 상의 둘레를 밀봉할 수 있다. The fixed sealer (336) can be placed on an imaginary extension of the fixed member (331).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fixed member motor (580) is operated and the fixed member (331) pressurizes the dust bin (220), the circumference of the dust bin (220) at the same height can be sealed.
실시예에 따라, 고정 실러(336)는 후술할 커버 개방 유닛(350)의 배치에 대응하여 꺾인 선 형태로 먼지통 가이드면(3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xed sealer (336) may be placed on the dustbin guide surface (322) in a bent line shape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cover opening unit (350) described later.
따라서, 결합부(320)에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배치되는 경우, 고정 유닛(330)은 청소기(200)의 본체(2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센서(325)에서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결합부(320)와 결합됨을 감지하는 경우, 고정부 모터(580)는 고정부재(331)를 이동시켜 청소기(200)의 본체(210)를 고정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main body (210) of the cleaner (200) is placed in the coupling portion (320), the fixing unit (330) can fix the main body (210) of the cleaner (200). Specifically, when the coupling sensor (325) detects that the main body (210) of the cleaner (200) is coupled with the coupling portion (320) of the cleaner station (300), the fixing portion motor (580) can move the fixing member (331) to fix the main body (210) of the cleaner (200).
이를 통해, 먼지통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청소기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먼지통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잔여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This can improve the suction power of the vacuum cleaner by preventing residual dust from remaining in the dust bin. In addition, it can eliminate the unpleasant odor caused by residual dust by preventing residual dust from remaining in the dust bin.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청소기와 도어 유닛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은, 도어가 먼지 통과 홀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어가 먼지 통과 홀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7 and FIG. 8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cleaner and a door unit in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rawing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oor closes a dust passage hole, and FIG. 8 is a drawing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oor opens a dust passage hole.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300)은 도어 유닛(3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유닛(340)은 먼지 통과 홀(321a)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cleaner station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oor unit (340). The door unit (340)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 dust passage hole (321a).
도어 유닛(340)은 도어(341), 도어 모터(342) 및 도어 암(34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oor unit (340) may include a door (341), a door motor (342), and a door arm (343).
도어(341)는 결합면(321)에 힌지 결합되고, 먼지 통과 홀(321a)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341)는 도어 본체(341a)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341)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joining surface (321) and can open and close the dust passage hole (321a). The door (341) may include a door body (341a).
도어 본체(341a)는 먼지 통과 홀(321a)을 막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 본체(341a)는 원판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door body (341a) may be formed in a shape capable of blocking the dust passage hole (321a). For example, the door body (341a)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circular plate.
도어 본체(341a)가 먼지 통과 홀(321a)을 막고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도어 본체(341a)의 상측에는 힌지부가 배치되고, 도어 본체(341a)의 하측에는 암 결합부(341b)가 배치될 수 있다.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body (341a) blocks the dust passage hole (321a), a hinge part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body (341a), and a female coupling part (341b) may be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door body (341a).
도어 본체(341a)는 먼지 통과 홀(321a)을 기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 본체(341a)에서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외부에 노출되는 외측면은 먼지 통과 홀(321a)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내부에 배치된 내측면은 먼지 통과 홀(321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외측면와 내측면 사이에는 단차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내측면에는 힌지부와 암 결합부(341b)를 연결시키고, 도어 본체(341a)의 지지력 강화를 위한 보강 리브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door body (341a)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can seal the dust passage hole (321a). For example,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body (341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station (300)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dust passage hole (321a), and the inner surface disposed inside the cleaner station (300)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dust passage hole (321a). In addition, a step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Meanwhile, at least one reinforcing rib may be formed protrudingly on the inner surface to connect the hinge portion and the arm joint portion (341b) and to strengthen the supporting force of the door body (341a).
힌지부는 도어(341)를 결합면(321)에 힌지 결합시키는 수단일 수 있다. 힌지부는 도어 본체(341a)의 상측 단부에 배치되고, 결합면(321)과 결합될 수 있다.The hinge portion may be a means for hinge-connecting the door (341) to the joining surface (321). The hinge portion may be arranged at the upper end of the door body (341a) and may be connected to the joining surface (321).
암 결합부(341b)는 도어 암(34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단일 수 있다. 암 결합부(341b)는 도어 본체(341a)의 하측에 배치되고, 도어 본체(341a)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어 암(34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arm coupling part (341b) may be a means by which the door arm (343) is rotatably coupled. The arm coupling part (341b) is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door body (341a),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door body (341a), and the door arm (343) may be rotatably coupled.
이와 같은 구성으로, 도어(341)가 먼지 통과 홀(321a)을 닫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 암(343)이 도어 본체(341a)를 당기면, 힌지부를 축으로 도어 본체(341a)가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내측을 향하여 회전 이동하고, 먼지 통과 홀(321a)이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먼지 통과 홀(321a)이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 암(343)이 도어 본체(341a)를 밀면, 힌지부(341b)를 축으로 도어 본체(341a)가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외측을 향하여 회전 이동하고, 먼지 통과 홀(321a)이 막힐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oor arm (343) pulls the door body (341a) while the door (341) is closing the dust passage hole (321a), the door body (341a) rotates about the hinge part to move toward the inside of the cleaner station (300), and the dust passage hole (321a) can be open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arm (343) pushes the door body (341a) while the dust passage hole (321a) is open, the door body (341a) rotates about the hinge part (341b) to move toward the outside of the cleaner station (300), and the dust passage hole (321a) can be blocked.
한편,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300)에 결합되고 배출 커버(220)가 먼지통 본체(21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도어(341)는 배출 커버(220)와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341)의 회전에 따라 배출 커버(220)는 도어(341)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300) and the discharge cover (220) is separated from the dustbin body (210), the door (341)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discharge cover (220). And, as the door (341) rotates, the discharge cover (220) can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door (341).
도어 모터(342)는 도어(341)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모터(342)는 도어 암(343)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정방향이라 함은, 도어 암(343)이 도어(341)를 당기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암(343)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먼지 통과 홀(321a)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역방향이라 함은, 도어 암(343)이 도어(341)를 미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암(343)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먼지 통과 홀(321a)이 적어도 일부 폐쇄될 수 있다. 정방향은 역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The door motor (342) can provide power to rotate the door (341). Specifically, the door motor (342) can rotate the door arm (343)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Here, the forward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arm (343) pulls the door (341). Accordingly, when the door arm (343) rotates in a forward direction, the dust passage hole (321a) can be opened. In addition, the reverse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arm (343) pushes the door (341). Accordingly, when the door arm (343) rotates in a reverse direction, the dust passage hole (321a) can be at least partially closed. The forward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verse direction.
도어 암(343)은 도어(341)와 도어 모터(342)를 연결시키고, 도어 모터(342)에서 발생한 동력을 이용하여 도어(341)를 개폐시킬 수 있다. The door arm (343) connects the door (341) and the door motor (342), and can open and close the door (341) using power generated from the door motor (342).
일 예로, 도어 암(343)은 제1 도어 암(343a)과 제2 도어 암(34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 암(343a)의 일측 단부는 도어 모터(342)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도어 암(343a)은 도어 모터(342)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 도어 암(343a)의 타측 단부는 제2 도어 암(343b)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도어 암(343a)은 도어 모터(342)로부터 전달된 힘을 제2 도어 암(343b)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도어 암(343b)의 일측 단부는 제1 도어 암(343a)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도어 암(343b)의 타측 단부는 도어(341)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도어 암(343b)은 도어(341)를 밀거나 당겨 먼지 통과 홀(321a)을 개폐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door arm (343) may include a first door arm (343a) and a second door arm (343b). One end of the first door arm (343a) may be coupled with a door motor (342). The first door arm (343a) may be rotated by the power of the door motor (342). The other end of the first door arm (343a) may be rotatably coupled with a second door arm (343b). The first door arm (343a) may transmit power transmitted from the door motor (342) to the second door arm (343b). One end of the second door arm (343b) may be coupled with the first door arm (343a).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oor arm (343b) may be coupled with the door (341). The second door arm (343b) can open or close the dust passage hole (321a) by pushing or pulling the door (341).
도어 유닛(340)은 청소기(200)의 배출 커버(222)가 열리는 경우 같이 열릴 수 있다. 또한, 도어 유닛(340)이 닫히면, 청소기(200)의 배출 커버(222)가 이와 연동하여 같이 닫힐 수 있다.The door unit (340) can be opened together with the discharge cover (222) of the cleaner (200) when it is opened. Additionally, when the door unit (340) is closed, the discharge cover (222) of the cleaner (200) can be closed together with it.
청소기(200)의 먼지통(220)의 먼지가 제거되는 경우, 도어 모터(342)는 도어(341)를 회전시킴으로써 배출 커버(222)를 먼지통 본체(221)에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모터(342)는 도어(341)를 회전시킴으로써 도어(341)를 힌지부(341b)를 기준으로 회전시키고, 힌지부(341b)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도어(141)는 배출 커버(222)를 먼지통 본체(221)를 향하여 밀 수 있다. When the dust in the dust bin (220) of the vacuum cleaner (200) is removed, the door motor (342) can connect the discharge cover (222) to the dust bin body (221) by rotating the door (341). Specifically, the door motor (342) rotates the door (341) by rotating the door (341) relative to the hinge part (341b), and the door (141) that rotates relative to the hinge part (341b) can push the discharge cover (222) toward the dust bin body (221).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소기와 커버 개방 유닛의 관계를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9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cleaner and a cover opening uni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300)은 커버 개방 유닛(35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개방 유닛(350)은 결합부(320)에 배치되고, 청소기(200)의 배출 커버(222)를 개방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cleaner station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ver opening unit (350). The cover opening unit (350) is disposed at the coupling portion (320) and may open the discharge cover (222) of the cleaner (200).
커버 개방 유닛(350)은 푸쉬 돌기(351), 커버 개방 모터(352), 커버 개방 기어(353) 및 기어 박스(35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opening unit (350) may include a push projection (351), a cover opening motor (352), a cover opening gear (353), and a gear box (355).
푸쉬 돌기(351)는 청소기(200) 결합 시, 결합 레버(222c)를 가압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The push lug (351) can be moved to pressurize the coupling lever (222c) when the vacuum cleaner (200) is coupled.
푸쉬 돌기(351)는 먼지통 가이드면(322)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통 가이드면(322)에는 돌기 이동 홀이 형성될 수 있고, 푸쉬 돌기(351)가 돌기 이동 홀을 통과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The push projection (351) can be placed on the dustbin guide surface (322). Specifically, a projection moving hole can be formed on the dustbin guide surface (322), and the push projection (351) can pass through the projection moving hole and be exposed to the outside.
푸쉬 돌기(351)는 청소기(200)가 결합될 경우, 결합 레버(222c)를 누를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결합 레버(222c)는 돌기 이동 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레버(222c)는 푸쉬 돌기(351)의 이동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push projection (351) can be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coupling lever (222c) can be pressed when the cleaner (200) is coupled. That is, the coupling lever (222c) can be positioned on the projection moving hole. In addition, the coupling lever (222c) can be positioned on the moving area of the push projection (351).
푸쉬 돌기(351)는 결합 레버(222c)를 가압하도록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푸쉬 돌기(351)는 기어 박스(355)에 결합되어 직선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푸쉬 돌기(351)는 커버 개방 기어(353)와 결합되어, 커버 개방 기어(353)의 이동에 의하여 함께 이동될 수 있다.The push projection (351) can move linearly back and forth to pressurize the coupling lever (222c). Specifically, the push projection (351) can be coupled to a gear box (355) so that the linear movement can be guided. The push projection (351) can be coupled to a cover opening gear (353) so that it can move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cover opening gear (353).
커버 개방 모터(352)는 푸쉬 돌기(351)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개방 모터(352)는 모터 샤프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정방향이라 함은, 푸쉬 돌기(351)가 결합 레버(222c)를 누르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역방향이라 함은, 결합 레버(222c)를 누른 푸쉬 돌기(35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정방향은 역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The cover opening motor (352) can provide power to move the push projection (351). Specifically, the cover opening motor (352) can rotate the motor shaft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Here, the forward direction may mea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ush projection (351) presses the engaging lever (222c). In addition, the reverse direction may mea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ush projection (351) that has pressed the engaging lever (222c)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forward direction may be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everse direction.
커버 개방 기어(353)는 커버 개방 모터(352)와 결합되고, 커버 개방 모터(352)의 동력을 이용하여 푸쉬 돌기(351)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개방 기어(353)는 기어 박스(355)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커버 개방 기어(353)의 구동기어(353a)는 커버 개방 모터(352)의 모터 샤프트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커버 개방 기어(353)의 피동기어(353b)는 푸쉬 돌기(351)와 결합되어 푸쉬 돌기(35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피동기어(353b)는 렉 기어 형태로 구비되어 구동기어(353a)와 치합되고, 구동기어(353a)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The cover opening gear (353) is coupled with the cover opening motor (352) and can move the push projection (351) using the power of the cover opening motor (352). Specifically, the cover opening gear (353)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gear box (355). The driving gear (353a) of the cover opening gear (353) can be coupled with the motor shaft of the cover opening motor (352) to receive power. The driven gear (353b) of the cover opening gear (353) can be coupled with the push projection (351) to move the push projection (351). For example, the driven gear (353b)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ack gear to mesh with the driving gear (353a) and can receive power from the driving gear (353a).
이때, 배출 커버(222)에는 토션스프링(222d)이 구비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222d)의 탄성력에 의하여 배출 커버(222)는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될 수 있고, 회전된 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커버(222)는 개방될 수 있고, 먼지 통과 홀(321a)과 먼지통(220)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cover (222) may be equipped with a torsion spring (222d). The discharge cover (222) may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222d), and may be supported at the rotated position. Accordingly, the discharge cover (222) may be opened, and may communicate the dust passage hole (321a) and the inside of the dust bin (220).
기어 박스(355)는 하우징(310)의 내부에 구비되고, 결합부(320)의 중력 방향 하측에 배치되며, 커버 개방 기어(353)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The gear box (355)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310) and is positioned below the gravity direction of the coupling part (320), and the cover opening gear (353) can be accommodated inside.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 개방 유닛(350)에 의하여 사용자가 별도로 청소기의 배출 커버(222)를 열지 않고도 먼지통(220)을 개방시킬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open the dust bin (220) without separately opening the discharge cover (222) of the vacuum cleaner by using the cover opening unit (350),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또한,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배출 커버(222)가 열리므로,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cover (222) is opened while the cleaner (200) is connected to the cleaner station (300),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dust from flying.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소기 스테이션의 구성간 배치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0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s of the cleaner sta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커버 개방 유닛(350)은 결합부(320)의 하측에 배치되고, 결합부(320)와 커버 개방 유닛(350)의 후측으로 유로부(380)가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10, the cover opening unit (350) described above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upling part (320), and the flow path part (380) is positioned on the rear side of the coupling part (320) and the cover opening unit (350).
이하부터는, 결합부(320)에서부터 포집부(500)까지 이어지는 유로를 제1 유로(381)라고 지칭한다. 먼지가 수집되는 포집부(500)는 제1 유로(381)의 하단부에 연결, 배치된다.Hereinafter, the path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art (320) to the collecting part (500) is referred to as the first path (381). The collecting part (500) where dust is collected is connected and plac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path (381).
청소기 스테이션(300)은, 챔버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300) may further include a chamber section (360).
챔버부(360)는 하우징(310)에 배치되며 포집부(500)가 수용되도록 포집부 수용 공간(360a)이 형성된다.The chamber part (360) is placed in the housing (310), and a capturing part receiving space (360a) is formed to receive the capturing part (500).
이때, 포집부(500)는 챔버부(36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챔버부(360)는, 하우징(31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일 수도 있고, 하우징(3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챔버부(360)의 자세한 세부 구조에 대해서는 도 11 이하에서 설명한다.At this time, the capturing unit (500) may be detachably provided in the chamber unit (360). The chamber unit (360)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provided in the housing (310), or may be configured to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310).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hamber unit (360) is described in FIG. 11 and below.
청소기 스테이션(300)은 유로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300) may include a euro section (380).
유로부(380)는 청소기(200)의 먼지통(220)을 빠져나온 공기와 이물질이 유동하는 통로로 정의된다. 유로부(380)는 먼지통(220)과 포집부(500)를 연결하는 제1 유로(381) 및 포집부(500)와 집진 모터(391)를 연결하는 제2 유로(38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ow path (380) is defin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and foreign substances that have exited the dust bin (220) of the vacuum cleaner (200) flow. The flow path (380) may include a first flow path (381) connecting the dust bin (220) and the collecting unit (500) and a second flow path (382) connecting the collecting unit (500) and the dust collecting motor (391).
제1 유로(381)는 결합면(321)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로(381)는 청소기(200)의 먼지통(220)과 포집부(500)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도록 형성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로(381)는 구조물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로(381)는 중공형 관의 내부 공간일 수 있다.The first flow path (381) may be arranged at the rear side of the coupling surface (321). The first flow path (381) may refer to a space formed between the dust bin (220) of the cleaner (200) and the collecting unit (500) to allow air to flow. For example, the first flow path (381) may be a space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a structure. For example, the first flow path (381) may be an internal space of a hollow tube.
제1 유로(381)는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300)에 결합되어 먼지 통과 홀(321a)이 개방되면, 먼지통(22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1 영역(381a) 및 상기 제1 영역(381a)과 포집부(500)를 연통시키는 제2 영역(381b)을 포함할 수 있다.(도 8 참조)The first euro (381) may include a first region (381a)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dust bin (220) when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300) and the dust passage hole (321a) is opened, and a second region (381b) that communicates the first region (381a) and the collecting unit (500). (See FIG. 8)
따라서, 집진 모터(391)가 작동되면, 제1 유로(381)를 통해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내의 먼지가 포집부(500)로 유동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dust collecting motor (391) is operated, dust in the dust bin (220) of the cleaner (200) can flow to the collecting unit (500) through the first duct (381).
제2 유로(382)는 포집부(500)와 먼지 흡입 모듈(390)을 연결할 수 있다. 즉, 포집부(500)를 통과하면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제2 유로(382)를 통하여 집진 모터(391)로 안내될 수 있다.The second flow path (382) can connect the collection unit (500) and the dust suction module (390). That is, the air from which dust is separ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llection unit (500) can be guided to the dust collection motor (391)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382).
제2 유로(382)는 포집부(500)와 먼지 흡입 모듈(390)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도록 형성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유로(382)는 구조물에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assage (382) may refer to a space formed between the capture unit (500) and the dust suction module (390) to allow air to flow. The second passage (382) may be formed surrounded by a structure.
포집부(500)가 제1 포집부(510)인 실시예에서, 제2 유로(382)의 일부 영역은 제1 포집부(5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부 영역은 배출 유로(518)로 지칭될 수 있다. 배출 유로(518)는 포집부 바디(511)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도 24, 26 참조)In an embodiment where the capturing unit (500) is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a portion of the second flow path (382)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The portion may be referred to as a discharge flow path (518). The discharge flow path (518) may be arrang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pturing unit body (511). (See FIGS. 24 and 26)
청소기 스테이션(300)은 먼지 흡입 모듈(390)을 포함할 수 있다.The vacuum station (300) may include a dust suction module (390).
도 10을 다시 참조하면, 먼지 흡입 모듈(390)은 집진 모터(391)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 모터(391)는 포집부(5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집진 모터(391)는 유로부(380)에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내부에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이 제공된다.Referring back to FIG. 10, the dust suction module (390) may include a dust collecting motor (391). The dust collecting motor (391) may be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collecting unit (500). The dust collecting motor (391) may generate a suction force in the duct unit (380). Through this, a suction force capable of sucking dust into the dust bin (220) of the cleaner (200) is provided.
먼지 흡입 모듈(390)은 헤파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파 필터는 집진 모터(391)의 후단(공기 유동 경로 기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310)의 외부로 깨끗한 공기가 빠져나가게 된다.The dust suction module (390) may further include a HEPA filter (not shown). The HEPA filter may be placed at the rear end (based on the air flow path)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391). As a result, clean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310).
한편, 도 10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고정 유닛(330)과 도어 유닛(340)은 결합부(320)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이는 앞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10, the fixed unit (330) and the door unit (340) are positioned adjacent to the joint (320), as alread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청소기 스테이션(300)은 포집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300) may further include a capturing unit (500).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챔버부(360) 및 챔버부(360)에 결합 가능한 형태의 포집부(5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amber portion (360) and a capturing portion (500) that can be coupled to the chamber portion (36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포집부(500)는 챔버부(36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포집부(500)에는, 집진 모터(391)에 의해 먼지통(220) 내부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를 수집할 수 있도록 먼지 수용 공간이 마련된다.The collection unit (500)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hamber unit (360). A dust receiving space is provided in the collection unit (500) so as to collect dust sucked in from inside the dust bin (220) by the dust collecting motor (391).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집부(500)는, 먼지 수용 공간의 크기가 고정된 통(桶) 형태의 제1 포집부(510)일 수 있다. Meanwhile, the collecting uni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irst collecting unit (510) in the shape of a barrel with a fixed size of a dust receiving space.
제1 포집부(510)는 '통' 형태이므로 내부 세척이 용이하여 수용된 먼지만 제거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별도로 수행되어야 하는 작업인 먼지의 제거 및 세척은 사용자에게 번거롭게 느껴질 수 있다.The first collecting unit (510) has a 'barrel' shape, so it is easy to clean the inside,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used semi-permanently by simply removing the dust contained therein. However, removing and cleaning the dust, which are separate tasks, may be considered cumbersome to the user.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집부(500)는, 상기 먼지 수용 공간의 크기가 가변되는 봉투 형태의 제2 포집부(520)일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llecting uni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econd collecting unit (520) in the form of an envelope in which the size of the dust receiving space is variable.
제2 포집부(520)는 통상적으로 공기는 빠져나가되 먼지는 빠져나가지 못하는 통기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2 포집부(520)는 수용된 먼지가 제거되어도 내부의 세척이 불가하므로 주기적으로 구매 및 교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으나, 구성이 단순하고 따로 먼지를 제거하거나 그 내부를 세척할 필요 없이 제2 포집부(520) 통째로 쓰레기통에 버릴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 면에서 장점이 있다.The second collecting unit (520) is usually made of a breathable material that allows air to escape but not dust to escape. The second collecting unit (520) has the problem that it must be purchased and replaced periodically because the inside cannot be cleaned even if the dust contained in it is removed. However,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entire second collecting unit (520) can be thrown into a trash can without having to remove the dust separately or clean the inside, so it has the advantage of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300)은, 챔버부(360)에 상기 두가지 형태의 포집부(510, 520) 중 어느 것이 포집부 수용 공간(360a)에 수용되더라도 작동될 수 있다. 즉, 두가지 형태의 포집부(510, 520)는 호환 가능하다.The cleaner station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regardless of which of the two types of collecting units (510, 520) is accommodated in the collecting unit accommodation space (360a) of the chamber unit (360). That is, the two types of collecting units (510, 520) are compatible.
사용자는 상술한 각 포집부(510, 520)의 장단점과 자신의 기호를 고려하여 사용될 포집부(510, 520)를 선택할 수 있다.The user can select the capturing unit (510, 520) to be used by consider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capturing unit (510, 520) described above and his/her own preference.
호환성의 이점은 사용자의 기호 영역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포집부(510)를 선호하는 사용자가 제1 포집부(510)를 세척한 뒤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제2 포집부(520)를 대안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The benefits of compatibility are not limited to the user's preference area. For example,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that a user who prefers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can temporarily use the second capturing unit (520) as an alternative during the process of washing and drying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이하부터는, 서로 다른 형태의 포집부(510, 520)가 호환될 수 있도록 챔버부(360)에 구비되는 여러 특징들에 대해 설명한다.Below, various features provided in the chamber part (360) to enable different types of capturing parts (510, 520) to be compatible are described.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챔버부(360)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챔버부(360)의 측면 상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챔버부(360)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챔버부(36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 구동부(362)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hamber portion (360) viewed from the sid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nlarged upper side of a chamber portion (36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of a chamber portion (360) viewed from the fron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hamber portion (36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pression drive portion (362)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1을 다시 참조하면, 챔버부(360)는 챔버 바디(361)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again to FIG. 11, the chamber portion (360) may include a chamber body (361).
챔버 바디(361)는, 포집부 수용 공간(360a)의 외관을 형성한다. 포집부 수용 공간(360a)은 대략 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The chamber body (361) forms the outer appearance of the capturing portion receiving space (360a). The capturing portion receiving space (360a) may have an approximately hexahedral shape.
챔버 바디(361)의 일측은 개방될 수 있다. 챔버 바디(361)의 개방된 일측은 전방일 수 있다. 챔버 바디(361)의 개방된 일측은 하우징 커버(37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chamber body (361) may be open. The open side of the chamber body (361) may be forward. The open side of the chamber body (361) may be closed by a housing cover (370).
하우징 커버(370)의 일측은, 하우징(3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370)의 타측이 하우징(3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챔버 바디(361)의 일측이 개방된다. 반대로 하우징 커버(370)의 타측이 하우징(30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챔버 바디(361)의 일측이 폐쇄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housing cover (370) can b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300). Whe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cover (370)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housing (300), one side of the chamber body (361) is opened. Conversely, whe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cover (370) rotates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housing (300), one side of the chamber body (361) can be closed.
챔버 바디(361)가 형성하는 포집부 수용 공간(360a)은, 전방 단부의 단면적이 후방 단부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The capturing portion receiving space (360a) formed by the chamber body (361) can be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ront end is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ar end.
보다 구체적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챔버 바디(361)의 전방 상측 단부과 후방 상측 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평면(p1)은 후방-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2, a virtual plane (p1) connecting the front upper end and the rear upper end of the chamber body (361) may have a rearward-downward slope.
챔버 바디(361)의 전방 하측 단부와 후방 하측 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평면(p2)는 후방-상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A virtual plane (p2) connecting the front lower end and the rear lower end of the chamber body (361) may have a rearward-upward slope.
챔버 바디(361)의 상측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지고 하측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를 가지는 바, 포집부 수용 공간(360a)은 전방 단부가 후방 단부보다 단면적이 넓게 된다.The upper side of the chamber body (361) has a downward slope as it goes toward the rear, and the lower side has an upward slope as it goes toward the rear,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collecting portion receiving space (360a) has a wid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rear end.
이러한 구조를 통해, 고정된 형태의 제1 포집부(510)를 포집부 수용 공간(360a)에 쉽게 삽입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rough this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fixed-type first capturing unit (51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apturing unit receiving space (360a).
챔버 바디(361)에는, 공기 유입구(3621)가 마련될 수 있다. An air inlet (3621) may be provided in the chamber body (361).
공기 유입구(3621)는 제1 유로(38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통과시킨다. 공기 유입구(3621)는 챔버 바디(361)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또는, 공기 유입구(3621)는 챔버 바디(361)에 일체로 연결된 중공형 관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The air inlet (3621) passes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duct (381). The air inlet (3621)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body (361). Alternatively, the air inlet (3621)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a hollow tu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hamber body (361).
공기 유입구(3621)는 후술할 포집부(500)의 먼지 유입구와 상하로 중첩 배치된다. 즉, 제1 유로(381)를 통과한 공기와 먼지는 공기 유입구(3621) 및 먼지 유입구를 차례로 통과하여 포집부(500)의 먼지 수용 공간으로 유입된다.The air inlet (3621) is arranged to overlap vertically with the dust inlet of the collection unit (500) described later. That is, the air and dust pass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81) pass through the air inlet (3621) and the dust inlet in sequence and are introduced into the dust receiving space of the collection unit (500).
공기 유입구(3621)와 제1 유로(381)의 사이에는 유입구 실링부재(367)가 배치될 수 있다. 유입구 실링부재(367)는 공기 유입구(3621)와 제1 유로(381) 사이를 실링하여 공기와 먼지가 챔버 바디(361) 이외의 공간으로 새어나가지 못하게 한다. 유입구 실링부재(367)는 공기 유입구(3621)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An inlet sealing member (367) may be placed between the air inlet (3621) and the first flow path (381). The inlet sealing member (367) seals between the air inlet (3621) and the first flow path (381) to prevent air and dust from leaking out to a space other than the chamber body (361). The inlet sealing member (367) may be placed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perimeter of the air inlet (3621).
챔버 바디(36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 상측 단부에서 후방 상측 단부로 갈수록 대체로 하향되는 경사 구조를 갖는 바, 챔버 바디(361)의 상면 일부 영역에는 소정 각도로 후방-하향의 경사가 형성된 경사면이 포함될 수 있다. The chamber body (361) has a generally downward slope from the front upper end to the rear upper end as described above, and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body (361)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formed with a rearward downward slope at a predetermined angle.
챔버 바디(361)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3621) 또한 그 개방된 단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air inlet (3621)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hamber body (361) may also be formed so that its open cross-section slopes down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챔버 바디(361)에는, 공기 유출구(3622)가 마련될 수 있다.An air outlet (3622) may be provided in the chamber body (361).
공기 유출구(3622)는 포집부(500)를 지나면서 먼지가 필터링된 공기를 통과시킨다. 공기 유출구(3622)는 챔버 바디(361)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유출구(3622)는 후술할 필터 장착부(365)의 장착 벽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도 20 참조)The air outlet (3622) allows air that has been filtered of dust to pass through the collection unit (500). The air outlet (3622)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hamber body (361). The air outlet (3622)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ounting wall of the filter mounting unit (365) described later. (See FIG. 20)
공기 유출구(3622)는 먼지 흡입 모듈(390)에 연결된다. 즉, 공기 유출구(3622)를 통과한 공기는 먼지 흡입 모듈(390)을 거쳐 하우징의 외부로 최종 배출될 수 있다.The air outlet (3622) is connected to the dust suction module (390). That is, air passing through the air outlet (3622) can be fin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rough the dust suction module (390).
도 11과 도 15를 참조하면, 챔버부(360)는 압축 구동부(36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1 and 15, the chamber portion (360) may include a compression drive portion (362).
압축 구동부(362)는, 제1 포집부(510)에 수집된 먼지를 압축하는 압축 회전부(515)를 회전시키기 위해 동력을 생성하는 구성이다. 압축 회전부(515)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compression drive unit (362) is configured to generate power to rotate the compression rotation unit (515) that compresses the dust collected in the first collecting unit (510). The compression rotation unit (515) will be described later.
압축 구동부(362)는, 챔버 바디(36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축 구동부(362)는 챔버 바디(361)의 외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mpression driving unit (362) may be plac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body (361). More specifically, the compression driving unit (362) may be placed at the outer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body (361).
도 16을 더 참조하여 압축 구동부(362)의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further to Fig. 16,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mpression drive unit (362) is described as follows.
압축 구동부(362)는, 압축 모터(3622)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 모터(3622)는 포집부 수용 공간(360a)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압축 모터(3622)는 챔버 바디(36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mpression drive unit (362) may include a compression motor (3622). The compression motor (3622) may be placed outside the capturing unit receiving space (360a). That is, the compression motor (3622) may be placed outside the chamber body (361).
압축 모터(3622)는, 압축 회전부(515)가 회전하는 동력을 생성한다. 압축 모터(3622)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로 구비된다. 다시 말해, 압축 모터(3622)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사용된다.The compression motor (3622) generates power to rotate the compression rotation part (515). The compression motor (3622) is equipped with a motor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In other words, the compression motor (3622) is a motor capable of bidirectional rotation.
이와 같이, 압축 모터(3622)의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압축 모터(3622)는 싱크로노스 모터(synchronous motor)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싱크로노스 모터는, 모터 자체에 의해서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압축 모터(3622)의 일 방향 회전시 압축 모터(3622)에 가해지는 힘이 설정값 이상이 되면, 압축 모터(3622)의 회전이 타 방향으로 변환된다. In this way, in order to enable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compression motor (3622), a synchronous motor may be used as the compression motor (3622). This synchronous motor is configured to enable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by the motor itself, and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compression motor (3622) when the compression motor (3622) rotates in one direction exceeds a set value, the rotation of the compression motor (3622) is converted to the other direction.
이때, 압축 모터(3622)에 가해지는 힘은 후술할 회전판(5153)이 먼지를 가압함에 따라 발생되는 저항력(토크: torque)으로써, 상기 저항력이 설정된 값에 도달되면, 압축 모터(3622)의 회전 방향이 변환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force applied to the compression motor (3622) is a resistance force (torque) generated as the rotary plate (5153) described later pressurizes the dust, and when the resistance force reaches a set valu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mpression motor (3622) is configured to be changed.
이외의 싱크로노스 모터에 대한 기술은 모터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technology for other synchronous motors is generally known in the field of motor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압축 구동부(362)는, 구동 기어(36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ression drive unit (362) may further include a drive gear (3621).
구동 기어(3621)는, 압축 모터(3622)의 동력으로 회전된다. 이를 위해, 구동 기어(3621)는 압축 모터(3622)의 모터축과 연결될 수 있다. 구동 기어(3621)는 압축 모터(3622)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The drive gear (3621) is rotated by the power of the compression motor (3622). To this end, the drive gear (3621) may be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compression motor (3622). The drive gear (3621)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mpression motor (3622).
구동 기어(3621)는, 포집부 수용 공간(360a)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구동 기어(3621)는 챔버 바디(36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driving gear (3621) may be placed outside the capturing portion receiving space (360a). That is, the driving gear (3621) may be placed outside the chamber body (361).
이때, 챔버 바디(361)의 하면 일부 영역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구동 기어 수용부(3623)를 형성할 수 있다.(도 15 참조)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hamber body (361) may protrude upward to form a driving gear receiving portion (3623). (See FIG. 15)
챔버 바디(361)의 하부에는, 구동 기어(3621)의 적어도 일부를 포집부 수용 공간(360a)의 내측을 향하여 노출시키는 기어 통과홀(3623a)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어 통과홀(3623a)은 구동 기어 수용부(3623)의 측면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기어 통과홀(3623a)을 통해 구동 기어(3621)의 기어 이(3621c)가 노출될 수 있다.(도 15 참조)At the lower part of the chamber body (361), a gear passage hole (3623a) is formed to expose at least a part of the driving gear (3621) toward the inside of the collecting portion receiving space (360a). More specifically, the gear passage hole (3623a)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the side surface of the driving gear receiving portion (3623). The gear teeth (3621c) of the driving gear (3621) may be exposed through the gear passage hole (3623a). (See FIG. 15)
한편, 구동 기어(3621)와 압축 모터(3622)가 포집부 수용 공간(360a)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포집부 수용 공간(360a)이 주기적으로 개방되는 공간임을 고려할 때, 구동 기어(3621)와 압축 모터(3622)가 오염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Meanwhile, since the driving gear (3621) and the compression motor (3622) are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capturing unit receiving space (360a), considering that the capturing unit receiving space (360a) is a space that is periodically opene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riving gear (3621) and the compression motor (3622) from being exposed to contamination.
구동 기어(3621)는 회전 동력을 압축 회전부(515)에 전달할 수 있다.The drive gear (3621) can transmit rotational power to the compression rotation part (515).
압축 회전부(515)는 제1 포집부(510)의 먼지 수용 공간에 수집된 먼지를 압축하기 위해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을 포함한 개념이다. The compression rotation unit (515) is a concept including one or more components that rotate to compress dust collected in the dust receiving space of the first collecting unit (510).
자세한 세부 구조는 후술하겠지만, 압축 회전부(515)에 포함된 회전판(5153)이 회전하여 먼지를 모으는 동작을 한다. 회전판(5153)은 제1 포집부(510)의 일측에 고정 배치되어 있는 고정판(5152)과 가까워지도록 회전하면서 고정판(5152)과의 사이에 모인 먼지를 가압하여 압축시킬 수 있다.The detail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later, but the rotary plate (5153) included in the compression rotary part (515) rotates to collect dust. The rotary plate (5153) rotates to get closer to the fixed plate (5152) fixedly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llecting part (510), thereby pressurizing and compressing the dust collected between it and the fixed plate (5152).
제1 포집부(510)에는 전달 기어(514)가 포함될 수 있다.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may include a transmission gear (514).
전달 기어(514)는, 압축 회전부(515)와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압축 구동부(362)와 압축 회전부(515)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gear (514) is configured to be combined with the compression rotation unit (515) and is arranged between the compression driving unit (362) and the compression rotation unit (515) to transmit rotational power.
보다 구체적으로, 전달 기어(514)는 제1 포집부(510)의 하부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포집부(510)가 포집부 수용 공간(360a)으로 삽입되면, 전달 기어(514)의 기어 이(5142)는, 기어 통과홀(3623a)에 의해 노출된 구동 기어(3621)의 기어 이(3621c)와 서로 기어 물림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transmission gear (514) may be arranged on the lower outer side of the first capturing portion (510). When the first capturing portion (510) is inserted into the capturing portion receiving space (360a), the gear teeth (5142) of the transmission gear (514) may mesh with the gear teeth (3621c) of the driving gear (3621) exposed by the gear passage hole (3623a).
이로써, 압축 모터(3622)가 생성한 회전 동력은 구동 기어(3621)와 전달 기어(514)를 거쳐 압축 회전부(515)로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rotational power generated by the compression motor (3622) can be transmitted to the compression rotation part (515) through the drive gear (3621) and the transmission gear (514).
한편, 구동 기어(3621)가 구동 기어 수용부(3623)에 수용되고, 구동 기어 수용부(3623)는 포집부 수용 공간(360a)의 최하단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제1 포집부(510)를 수평으로 밀어넣는 동작만으로도 전달 기어(514)와 구동 기어(3621)를 쉽게 기어 물림시킬 수 있게 된다.Meanwhile, since the drive gear (3621) is accommodated in the drive gear receiving portion (3623), and the drive gear receiving portion (3623) is formed with a structure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lowest end surface of the capturing portion receiving space (360a), the user can easily engage the transmission gear (514) and the drive gear (3621) by simply pushing the first capturing portion (510) horizontally.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면, 챔버부(360)는 레일부(36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4 and 15, the chamber portion (360) may include a rail portion (363).
레일부(363)는, 챔버 바디(36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일부(363)는 챔버 바디(361)의 내측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rail part (363) may b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chamber body (361). More specifically, the rail part (363) may be placed o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chamber body (361).
레일부(363)는, 제2 포집부(520)의 적어도 일부가 끼움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제2 포집부(520)는 레일부(363)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제2 포집부(520)는 챔버 바디(361)의 하면과 이격된 상태 및 레일부(363)에 매달린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The rail portion (363) is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capturing portion (520) is fitted and connected, and the second capturing portion (520) can slide along the rail portion (363). The second capturing portion (520) can be support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hamber body (361) and in a state suspended from the rail portion (363).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포집부(520)는 먼지 수용 공간의 형태가 가변되는 봉투 타입의 포집부(500)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llecting unit (520) is an envelope-type collecting unit (500) in which the shape of the dust receiving space is variable.
이때, 제2 포집부(520)에 포함된 먼지 봉투(521)는 집진 모터(391)의 흡입 구동에 의해 팽창되고, 먼지 봉투(521)가 팽창되면서 형성되는 음압으로 제1 유로(381)로부터 먼지 봉투(521)의 내부까지 먼지가 유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ust bag (521) included in the second collecting unit (520) is expanded by the suction drive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391), and dust can be drawn into the interior of the dust bag (521) from the first flow path (381) by the negative pressure formed as the dust bag (521) is expan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포집부(520)의 일 구성인 먼지 봉투(521)는 통기성 재질로 구성된다. 즉, 일정 크기 이상의 먼지는 빠져나가지 못하되 공기는 빠져나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집진 모터(391)의 흡입 구동이 지속되는 한 먼지 봉투(521)의 내부로 먼지의 흡입도 지속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bag (521), which is a component of the second collecting unit (520), is made of a breathable material. That is, it is made of a material that prevents dust larger than a certain size from escaping, but allows air to escape. Accordingly, as long as the suction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391) continues, the suction of dust into the interior of the dust bag (521) also continues.
먼지 봉투(521)가 최대로 팽창된 상태에서 먼지 봉투(521)의 최하단과 챔버 바디(361)의 내부 하면에 이격 거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먼지를 흡입하는 힘이 저하된다. 따라서, 먼지 봉투(521)에 흡입력이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먼지 봉투(521)는 최대로 팽창된 상태에서도 챔버 바디(361)의 하면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re is no distance between the lowest end of the dust bag (521) and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chamber body (361) when the dust bag (521) is inflated to its maximum, the power to suck up dust is reduced. Therefore, in order to evenly transmit the suction power to the dust bag (521), it is preferable that the dust bag (521) be inflated to its maximum and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hamber body (36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포집부(520)를 챔버 바디(361)의 하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해주는 구조의 레일부(363)가 구비됨으로써, 제1 포집부(510)와 제2 포집부(520)간의 호환이 가능하게 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ail part (363) having a structure that supports the second capturing part (520) by separating i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hamber body (361) is provided, thereby enabling compatibility between the first capturing part (510) and the second capturing part (520).
레일부(363)는 레일 바디(3631)를 포함할 수 있다.The rail section (363) may include a rail body (3631).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레일 바디(3631)는, 제2 포집부(52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레일 바디(3631)는, 챔버 바디(361)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 바디(3631)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레일 바디(3631)는 좌우 대칭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3 to 15, the rail body (3631) can form a space in which the second capturing unit (520) slides. The rail body (3631) can be formed in a shape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chamber body (361). The rail body (3631) can b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The rail body (3631) can be formed in a left-right symmetrical structure.
레일 바디(3631)는, 챔버 바디(361)의 중심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90도 회전된 'U'자에 유사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레일 바디(3631)는, 좌측에 배치된 레일 바디(3631)를 기준으로 한글 자음 'ㄷ'자에 유사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rail body (3631) may be provided in a shape similar to a 'U' that is open toward the center of the chamber body (361) and rotated 90 degrees. From another perspective, the rail body (3631) may be provided in a shape similar to the Korean consonant 'ㄷ' with the rail body (3631) positioned on the left as the standard.
다만, 상술한 레일 바디(3631)의 형태는 예시이며, 레일 바디(3631)의 형태는 제2 포집부(520)를 챔버 바디(361) 상측에 지지할 수 있는 적절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However, the shape of the rail body (3631) described above is an example, and the shape of the rail body (3631) may be changed to an appropriate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second capturing portion (520) on the upper side of the chamber body (361).
챔버 바디(361) 상면에 배치되는 레일 바디(3631)의 상단면은, 챔버 바디(361) 상면과 마찬가지로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레일 바디(3631)의 하단면은, 지면과 나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13 참조)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body (3631)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body (361) may be configured as an inclined surface, simi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body (361). In contrast, the lower surface of the rail body (3631) may be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ground. (See FIG. 13)
이하에서는, 도 17과 도 18을 참조하여 레일부(363)의 세부 구성에 대해 더 설명한다.Below,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ail section (363) is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and 18.
도 17은, 도 15의 "A"부 확대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C-C' 단면도이다.Figure 17 is an enlarged view of section “A” of Figure 15, and Figure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ure 17.
도 15와 함께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레일부(363)는 간섭 돌기(36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7 and 18 along with FIG. 15, the rail portion (363)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간섭 돌기(3632)는, 레일 바디(3631)의 전방에서 하우징 커버(370)와 간섭되는 제1 위치(Position 1)에 배치될 수 있다.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can be placed at a first position (Position 1) that interferes with the housing cover (370) at the front of the rail body (3631).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위치는, 하우징 커버(370)가 챔버 바디(361)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는 것을 방해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position may mean a position where the housing cover (370) prevents the open side of the chamber body (361) from being closed.
다른 관점에서 제1 위치는, 제1 포집부(510) 또는 제2 포집부(520)가 포집부 수용 공간(360a)으로 삽입될 때, 제1 포집부(510)와 제2 포집부(520)에 포함된 일부 구성의 삽입 진행 경로를 차폐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From another perspective, the first position may mean a position that shields the insertion progression path of some components included in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and the second capturing unit (520) when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or the second capturing unit (520) is inserted into the capturing unit receiving space (360a).
여기서, 삽입 진행 경로를 차폐하는 일부 구성이란, 제1 포집부(510)의 경우에는 후술할 외부 플레이트(522)일 수 있다.(도 31 참조) 제2 포집부(520)의 경우에 상기 일부 구성은 바디 커버(516)에서 돌출 형성된 리브(5161c)일 수 있다.(도 23 참조)Here, some of the components that shield the insertion path may be, in the case of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an external plate (522) to be described later. (See FIG. 31) In the case of the second capturing unit (520),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ribs (5161c) protruding from the body cover (516). (See FIG. 23)
간섭 돌기(3632)는, 제1 포집부(510)(구체적으로는, 외부 플레이트(522)) 또는 제2 포집부(520)(구체적으로는, 리브(5161c))와의 접촉에 의해 하우징 커버(370)와의 간섭이 회피되는 제2 위치(Position 2)로 이동될 수 있다.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can be moved to a second position (Position 2) where interference with the housing cover (370) is avoided by contact with the first capturing portion (510) (specifically, the outer plate (522)) or the second capturing portion (520) (specifically, the rib (5161c)).
한편, 하우징 커버(370)에는 커버 돌기(37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cover protrusion (371) may be formed protrudingly on the housing cover (370).
커버 돌기(371)는, 하우징 커버(370)가 챔버 바디(361)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기 위해 회전할 때, 상술한 간섭 돌기(3632)와 서로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도 15 참조) 즉, 간섭 돌기(3632)가 하우징 커버(370)와 간섭된다는 의미는, 간섭 돌기(3632)와 커버 돌기(371)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의미한다.The cover protrusion (371) can be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forementioned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when the housing cover (370) rotates to close the open side of the chamber body (361). (See FIG. 15) That is, the meaning that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interferes with the housing cover (370) means that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and the cover protrusion (371)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레일부(363)는 돌기 가이드(36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ail section (363) may further include a projection guide (3633).
계속해서, 도 17과 도 18을 참조하면, 돌기 가이드(3633)는 간섭 돌기(3632)와 결합될 수 있다. 돌기 가이드(3633)는, 간섭 돌기(3632)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Continuing with reference to FIGS. 17 and 18, the protrusion guide (3633) can be combined with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The protrusion guide (3633) can guide the movement of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보다 구체적으로, 돌기 가이드(3633)는, 내부에 간섭 돌기(3632)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 내부에는 간섭 돌기(3632)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3632a)와 걸림결합되는 걸림턱(3662)이 형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projection guide (3633) has a space formed therein in which an interference projection (3632) is received, and a hook (3662) that engages with a hook (3632a) formed at an end of the interference projection (3632) can be formed inside the space.
후크(3632a)와 걸림턱(3662)이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간섭 돌기(3632)가 제1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간섭 돌기(3632)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후크(3632a)와 걸림턱(3662)의 접촉은 해제될 수 있다.(도 19 참조)The interference projection (3632) can be placed in the first position while the hook (3632a) and the catch (366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the interference projection (3632)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contact between the hook (3632a) and the catch (3662) can be released. (See FIG. 19)
레일부(363)는 복원부재(36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ail section (363) may further include a restoration member (3634).
도 18을 참조하면, 복원부재(3634)는 간섭 돌기(3632)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결합될 수 있다. 간섭 돌기(3632)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을 제1 이동 방향(md1)이라고 하고 제1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을 제2 이동 방향(md2)이라고 정의하자. 복원부재(3634)는 간섭 돌기(3632)에 제2 이동 방향을 향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고, 간섭 돌기(3632)는 복원부재(3634)에 의해 후크(3632a)와 걸림턱(3662)이 접촉될 때까지 제2 이동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the restoring member (3634) can be coupled to a space formed inside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Let us define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s the first moving direction (md1),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moving direction as the second moving direction (md2). The restoring member (3634) can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toward the second moving direction, and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can be moved in the second moving direction until the hook (3632a) and the catch (3662)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restoring member (3634).
도 19를 참조하여, 포집부(500)가 포집부 수용 공간(360a)에 삽입된 경우와 삽입되지 않은 경우의 간섭 돌기(3632)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9, the operation of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in the case where the capturing unit (500) is inserted and not inserted into the capturing unit receiving space (360a) is described.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간섭 돌기(3632)의 이동 및 이에 따른 하우징 커버(370)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9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and the resulting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housing cover (37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의 왼쪽 도면은, 간섭 돌기(3632)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로서 커버 돌기(371)와 간섭 돌기(3632)가 접촉된 상황을 나타낸다. 이때, 커버 돌기(371)가 간섭 돌기(3632)와 접촉함에 따라 간섭 돌기(3632)에 힘이 가해지는 방향과 간섭 돌기(3632)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은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The left drawing of Fig. 19 shows a situation in which the cover protrusion (371) and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is in the first position. At this time, the direction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as the cover protrusion (37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can form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힘은, 간섭 돌기(3632)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성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커버 돌기(371)가 누르는 힘에 의해서는 간섭 돌기(3632)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없고, 간섭 돌기(3632)가 하우징 커버(370)를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하므로, 챔버 바디(361)가 폐쇄될 수 없게 된다.The above force does not have a component in the direction of moving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cannot be achieved by the force pressing the cover protrusion (371), and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prevents the housing cover (370) from rotating any further, so that the chamber body (361) cannot be closed.
도 19의 오른쪽 도면은, 간섭 돌기(3632)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로서 커버 돌기(371)는 간섭 돌기(3632)와 접촉되지 않는다. 하우징 커버(370)는 챔버 바디(361)의 개방된 일측을 완전히 폐쇄할 때까지 회전 이동할 수 있다. The right drawing of Fig. 19 shows a case where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is i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cover protrusion (371)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The housing cover (370) can rotate until it completely closes the open side of the chamber body (361).
이때, 간섭 돌기(3632)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은, 제1 포집부(510) 또는 제2 포집부(520)이다. 제1 포집부(510) 또는 제2 포집부(520)가 포집부 수용 공간(360a)으로 삽입될 때, 제1 포집부(510) 또는 제2 포집부(520)의 일부 구성(5162a)이 간섭 돌기(3632)를 제2 위치로 밀어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apturing part (510) or the second capturing part (520) moves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first capturing part (510) or the second capturing part (520) is inserted into the capturing part receiving space (360a), a part of the configuration (5162a) of the first capturing part (510) or the second capturing part (520) can push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to the second position.
간섭 돌기(3632)에는, 포집부(500)의 일부 구성과 접촉되는 경사부(3632c)가 마련될 수 있다.The interference projection (3632) may be provided with an inclined portion (3632c)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a part of the capturing portion (500).
도 15를 참조하면, 챔버부(360)는 필터 장착부(3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chamber portion (360)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mounting portion (365).
필터 장착부(365)는 챔버 바디(36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장착부(365)는 포집부(500)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링하는 프리필터 모듈(47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 장착공간 및 상기 필터 장착공간을 둘러싸는 장착 벽을 포함한 의미할 수 있다.The filter mounting portion (365) may b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chamber body (361). The filter mounting portion (365) may mean a filter mounting space in which a pre-filter module (470) for filtering air passing through the capturing portion (500) is detachably coupled, and a mounting wall surrounding the filter mounting space.
이때, 상술한 공기 유출구(3622)는, 상기 장착 벽의 하단에 형성된다. 다른 관점에서, 공기 유출구(3622)는 필터 장착공간의 하단에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air outlet (3622) described abov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mounting wall. From another perspective, the air outlet (3622)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ilter mounting space.
필터 장착부(365)에 프리필터 모듈(470)이 결합된 상태라면, 포집부(500)를 빠져나와 공기 유출구(3622)로 향하는 공기는 프리필터 모듈(470)을 통과한 후 공기 유출구(3622)를 거쳐 먼지 흡입 모듈(390)로 이동하게 된다.If the pre-filter module (470) is combined with the filter mounting part (365), the air that exits the collection part (500) and heads toward the air outlet (3622) passes through the pre-filter module (470) and then through the air outlet (3622) to the dust suction module (390).
필터 장착부(365)에 프리필터 모듈(470)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라면, 포집부(500)를 빠져나온 공기는 그대로 공기 유출구(3622)를 통과하여 먼지 흡입 모듈(390)로 이동하게 된다.If the pre-filter module (470) is not attached to the filter mounting portion (365), the air that has exited the collection portion (500) passes through the air outlet (3622) and moves to the dust suction module (390).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프리필터 모듈(470)을 구성 단위로 분리하여 전개한 도면이다.Figure 20 is a drawing showing the pre-filter module (470) divided into component units and develop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을 참조하면, 프리필터 모듈(470)은, 필터 케이스(471,472)와 필터(473,47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the prefilter module (470) may include a filter case (471, 472) and a filter (473, 474).
필터 케이스(471,472)는, 케이스 상부(471)와 케이스 하부(472)로 구성될 수 있고, 케이스 상부(471)와 케이스 하부(472)는 힌지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힌지를 축으로 회전되면 케이스 내부의 공간이 개폐될 수 있다. The filter case (471, 472) may be composed of a case upper part (471) and a case lower part (472), and the case upper part (471) and the case lower part (472) may be connected via a hinge. When the hinge is rotated about an axis, the space inside the case may be opened and closed.
케이스 상부(471)에는 공기 유입구(4711)가 형성된다. An air inlet (4711)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se (471).
공기 유입구(4711)는 후술할 제1 포집부(510)의 배출 유로(518)의 형태와 대응하는 형태로 케이스 상부(47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포집부(510)의 배출 유로(518)를 빠져나온 공기는 공기 유입구(4711)를 통해 필터 케이스(471,47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포집부(520)의 먼지 봉투(521)를 빠져나온 공기는 공기 유입구(4711)를 통해 필터 케이스(471,47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air inlet (471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471)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scharge path (518) of the first collecting unit (510) to be described later. Air that has exited the discharge path (518) of the first collecting unit (5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lter case (471, 472) through the air inlet (4711). Air that has exited the dust bag (521) of the second collecting unit (520)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lter case (471, 472) through the air inlet (4711).
케이스 하부(472)에는 공기 유출구(4721)가 형성된다. An air outlet (4721)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ase (472).
공기 유출구(4721)는 케이스 하부(472)의 하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가 필터를 고르게 통과할 수 있도록 공기 유출구(4721)는 케이스 하부(472)의 하면 전체 영역에 분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air outlet (4721) may be formed by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lower surface (472). The air outlets (4721) may be arranged to be distributed over the entire lower surface area of the case lower surface (472) so that air can evenly pass through the filter.
케이스 상부(471)와 케이스 하부(47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473,474)가 수용될 수 있다. 필터(473,474)는 스폰지 재질의 제1 필터(473)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473,474)는 부직포 재질의 제2 필터(474)를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filter (473, 474) can be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case upper portion (471) and the case lower portion (472). The filter (473, 474) can include a first filter (473) made of sponge material. The filter (473, 474) can include a second filter (474) made of non-woven material.
필터 케이스(471,472)의 일측에는 누름돌기(47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A pressing projection (4712) may be formed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filter case (471, 472).
누름돌기(4712)는, 프리필터 모듈(470)이 필터 장착부(365)에 장착될 때, 후술할 필터 감지돌기(366)를 가압하는 구성이다. 누름돌기(4712)는 케이스 상부(471) 또는 케이스 하부(472)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도 22 참조)The pressing projection (4712) is configured to press the filter detection projection (366) described later when the prefilter module (470) is mounted o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365). The pressing projection (471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ib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case (471) or the lower part of the case (472). (See FIG. 22)
도 15를 참조하면, 챔버부(360)는 필터 감지돌기(3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chamber portion (360)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detection protrusion (366).
필터 감지돌기(366)는 챔버 바디(36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 감지돌기(366)는, 필터 장착부(365)의 장착 벽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filter detection protrusion (366) may be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chamber body (361). More specifically, the filter detection protrusion (366)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mounting wall of the filter mounting portion (365).
필터 감지돌기(366)의 일측은 프리필터 모듈(470)이 필터 장착부(365)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포집부 수용 공간(360a)을 향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filter detection protrusion (366)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of protruding toward the capture unit receiving space (360a) when the pre-filter module (470) is not coupled to the filter mounting portion (365).
이를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필터 감지돌기(366)에는 상기 일측을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압수단은 스프링 등의 탄성체일 수 있다.For this purpose, although not shown, a pressurizing means for apply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protruding the one side may be combined with the filter sensing protrusion (366). For example, the pressurizing means may be an elastic body such as a spring.
이처럼, 필터 감지돌기(366)의 일측이 포집부 수용 공간(360a)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경우, 제1 포집부(510)의 후방 일측과 필터 감지돌기(366)가 간섭되어, 제1 포집부(510)를 포집부 수용 공간(360a)에 완전히 삽입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one side of the filter detection protrusion (366) protrudes toward the capturing unit receiving space (360a), the rear side of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and the filter detection protrusion (366) interfere with each other, making it impossible to completely insert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into the capturing unit receiving space (360a).
이에 반해, 제2 포집부(520)는 먼지 봉투(521)가 완전히 팽창된 상태에서도 챔버 바디(361)의 하단에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필터 감지돌기(366)에 의해 제2 포집부(520)의 삽입이 방해받지는 않는다.In contrast, since the second collecting unit (520) is maintained spaced from the bottom of the chamber body (361) even when the dust bag (521) is fully inflated, the insertion of the second collecting unit (520) is not hindered by the filter detection protrusion (366).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프리필터 모듈(470)을 필터 장착부(365)에 장착하지 않고서는 제1 포집부(510)를 사용할 수 없다. 사용자가 프리필터 모듈(470)을 분리한 후 이를 잊은채로 제1 포집부(510)를 챔버 바디(361)에 삽입하는 경우 필터 감지돌기(366)에 걸려 완전히 삽입되지 않을 것이다. 사용자는, 프리필터 모듈(470)을 필터 장착부(365)에 장착한 이후에 다시 제1 포집부(510)를 챔버 바디(361)에 삽입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not use the first collecting unit (510) without mounting the pre-filter module (470) o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365). If the user forgets to remove the pre-filter module (470) and then inserts the first collecting unit (510) into the chamber body (361), it will not be fully inserted because it will be caught on the filter detection protrusion (366). After mounting the pre-filter module (470) o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365), the user can re-insert the first collecting unit (510) into the chamber body (361).
한편, 프리필터 모듈(470)이 필터 장착부(365)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필터 감지돌기(366)의 일측이 프리필터 모듈(470)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이때, 필터 감지돌기(366)는 제1 포집부(510)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pre-filter module (470) is coupled to the filter mounting portion (365), one side of the filter detection protrusion (366) can be pressed by the pre-filter module (470). At this time, the filter detection protrusion (366) can be moved in a direction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first capturing portion (510).
도 21은, 도 15의 "B"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프리필터 모듈(470)의 장착 여부에 따른 필터 감지돌기(366)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2는, 도 21의 D-D' 단면도이다.FIG. 21 is a drawing showing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15 to explain the movement of the filter detection protrusion (366) depending on whether the pre-filter module (470) is mounted, and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21.
도 21과 도 22를 참조하면, 필터 감지돌기(366)는, 돌기 바디(3661)와, 돌기 바디(3661)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366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돌기 바디(3661)의 내부에는 상술한 가압수단(미도시)이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1 and 22, the filter detection protrusion (366) may include a protrusion body (3661) and a catch (3662) protruding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body (3661). At this time, a space in which the pressurizing means (not shown) described above is arranged may be formed inside the protrusion body (3661).
도 21의 왼쪽 도면과 도 22의 왼쪽 도면을 참조하면, 필터 장착부(365)에 프리필터 모듈(470)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필터 감지돌기(366)는 포집부 수용 공간(360a)을 향해 일측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Referring to the left drawing of Fig. 21 and the left drawing of Fig. 22, a state in which a pre-filter module (470) is not mounted o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365) is shown. The filter detection protrusion (366) maintains a state in which one side protrudes toward the capturing portion receiving space (360a).
도 21의 오른쪽 도면은, 필터 장착부(365)에 프리필터 모듈(47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2의 오른쪽 도면과 함께 참조하면, 필터 감지돌기(366)는 누름돌기(4712)에 의해 걸림턱(3662)이 가압된다.The right drawing of Fig. 21 shows a state in which a pre-filter module (470) is mounted on a filter mounting portion (365). Referring to the right drawing of Fig. 22, the filter detection protrusion (366) is pressed against the catch (3662) by the pressing protrusion (4712).
이때, 도 22의 실시예와 같이 누름돌기(4712)는, 케이스 상부(471)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프리필터 모듈(470)이 필터 장착부(365)에 장착됨에 따라 누름돌기(4712)는 걸림턱(3662)과 접촉할 수 있고, 포집부 수용 공간(360a)을 침범하여 돌출된 상태인 필터 감지돌기(366)의 일측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in the embodiment of Fig. 22, the pressing projection (4712)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case (471). As the pre-filter module (470) is mounted o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365), the pressing projection (4712)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catch (3662) and press downward one side of the filter detection projection (366) that is in a protruding state by encroaching on the collecting portion receiving space (360a).
이로써, 제1 포집부(510)는 간섭없이 챔버 바디(361)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Thereby, the first capturing portion (510) can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hamber body (361) without interference.
한편, 상술한 필터 감지돌기(366)의 필요성은, 제1 포집부(510)와 제2 포집부(520)간의 먼지 분리 수단이 상이한 것과 연관된다.Meanwhile, the necessity of the filter detection protrusion (366) described above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dust separation means between the first collecting unit (510) and the second collecting unit (520) are different.
제1 포집부(510)의 먼지 분리 수단으로 메쉬망(5121)과 싸이클론(5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separation means of the first collection unit (510) may include a mesh net (5121) and a cyclone (513).
제2 포집부(520)의 먼지 분리 수단으로 통기성 재질의 먼지 봉투(5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llection unit (520) may include a dust bag (521) made of breathable material as a dust separation means.
제2 포집부(520)의 경우, 구조적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먼지는 먼지 봉투(521)를 통과할 수 없다. 먼지 봉투(521)는 그 자체로 프리필터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으므로 프리필터 모듈(470)의 장착은 사용자의 선택이며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In the case of the second collecting unit (520), dust larger than a certain size structurally cannot pass through the dust bag (521). Since the dust bag (521) can perform the function of a pre-filter by itself, installation of a pre-filter module (470) is optional and not required by the user.
다만, 제1 포집부(510)의 경우, 싸이클론(513)의 집진 작용을 통해 미세 먼지까지 대체로 분리가 가능하긴 하지만, 제1 포집부(510)의 먼지 봉투(521)와 같이 구조적으로 미세 먼지를 완전히 필터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first collecting unit (510), although it is possible to largely separate even fine dust through the dust collecting action of the cyclone (513), it is structurally impossible to completely filter fine dust like the dust bag (521) of the first collecting unit (510).
따라서, 집진 모터(391)에 미세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포집부(510)를 통과한 공기가 집진 모터(391)로 유입되는 경로에는 프리필터 모듈(470)이 반드시 배치되어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fine dust from entering the dust collecting motor (391), a pre-filter module (470) must be placed in the path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collecting unit (510) enters the dust collecting motor (391).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포집부(510)의 사용시 프리필터 모듈(470)의 미장착에 대한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효과가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drawing the user's attention to the non-installation of the pre-filter module (470) when using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리필터 모듈(470)의 장착 여부와 무관하게 제2 포집부(520)의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필터 구입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 of the second collecting unit (520) regardless of whether the pre-filter module (470) is mounted,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purchasing a filter depending on the user's choice.
도 13을 참조하면, 챔버부(360)는, 살균모듈 장착부(3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chamber portion (360) may further include a sterilization module mounting portion (364).
살균모듈 장착부(364)는, 챔버 바디(36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살균모듈 장착부(364)는 공기 유입구(3621)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살균모듈 장착부(364)는 챔버 바디(361)의 상면 일부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살균모듈 장착공간 및 상기 장착공간을 둘러싼 장착 벽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rilization module mounting portion (364) may be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hamber body (361). The sterilization module mounting portion (364) may be placed apart from the air inlet (3621). The sterilization module mounting portion (364) may include a sterilization module mounting space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body (361) upward and a mounting wall surrounding the mounting space.
살균모듈 장착부(364)에는, 포집부 수용 공간(360a)을 향해 자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되는 살균모듈(450)이 장착될 수 있다.A sterilizing module (450) equipped to irradiate ultraviolet light toward the capturing unit receiving space (360a) can be mounted on the sterilizing module mounting portion (364).
살균모듈(450)은, 포집부(500)에 포집된 먼지를 살균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살균모듈(450)은 살균 광을 방출하는 광원 및 광원의 하부에 배치되어 광원을 보호하는 보호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rilizing module (450) is a configuration provided to sterilize dust captured in the capturing unit (500). The sterilizing module (450) may include a light source that emits sterilizing light and a protective panel positioned below the light source to protect the light source.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과 보호 패널은 별도로 마련되는 하우징에 수용되는 형태로 살균모듈 장착부(364)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과 보호 패널은 살균모듈 장착공간에 직접 수용되는 형태로 살균모듈 장착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In a possible embodiment, the light source and the protection panel may be mounted on the sterilization module mounting portion (364) in a form accommodated in a separately provided housing. Alternatively, in a possible embodiment, the light source and the protection panel may be mounted on the sterilization module mounting space in a form accommodated directly in the sterilization module mounting space.
이처럼, 살균모듈(450)과 살균모듈 장착부(364)의 결합 형태는 살균모듈(450)의 광원이 포집부 수용 공간(360a)을 향해 살균 광을 방출하도록 배치되기만 한다면 그 배치 형태는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way, the combination form of the sterilizing module (450) and the sterilizing module mounting portion (364) is not limited to any one embodiment as long as the light source of the sterilizing module (450) is arranged to emit sterilizing light toward the collecting portion receiving space (360a).
여기서, 광원은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살균력을 가진 살균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이 방출하는 살균 광은 발광 다이오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파장을 가질 수 있다. Here, the light source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LED) capable of emitting germicidal light having germicidal power capable of killing bacteria. The germicidal light emitted by the light source may have a wavelength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일 예로, 광원은 UV-C 파장의 범위를 갖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UV-A(315nm~400nm), UV-B(280nm~315nm), UV-C(200nm~280nm)로 나뉘어지며, 이 중 UV-C 영역의 자외선 광은 미생물의 DNA 이중나선을 손상시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ght source may be a light-emitting diode that emits ultraviolet rays having a UV-C wavelength range. Ultraviolet rays are divided into UV-A (315 nm to 400 nm), UV-B (280 nm to 315 nm), and UV-C (200 nm to 280 nm) depending on their wavelength, and among these, ultraviolet light in the UV-C range can damage the double helix of the DNA of microorganisms and inhibit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또는 다른 일 예로, 광원은 405nm의 파장을 갖는 가시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405nm 파장을 갖는 청색광은 가시광선과 자외선의 경계부 영역의 파장을 가지며, 살균력이 입증되어 있다.Or, as another example, the light source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that emits visible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05 nm. Blue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05 nm has a wavelength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visible light and ultraviolet light and has been proven to have germicidal properties.
상기 보호 패널은, 광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광원과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보호 패널은 광원의 투과율이 최대가 되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보호 패널은 쿼츠(quartz)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쿼츠는 UV-C 영역의 자외선 광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above protective panel may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to prevent damage to the light source. At this time, the protective panel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that maximizes the light source's transmittance. For example, the protective panel may be made of quartz. Quartz is known to not interfere with the transmission of ultraviolet light in the UV-C reg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살균모듈(450) 및 살균모듈 장착부(364)를 구비함으로써 청소기(200)의 먼지통(220)으로부터 흡입되는 먼지가 포집부(500)에 장기간 저장되는 경우에도 청소기 스테이션(300)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terilization module (450) and a sterilization module mounting portion (364),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leaner station (300) can be hygienically managed even when dust sucked from the dust bin (220) of the cleaner (200) is stored in the collection portion (500) fo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살균모듈 장착부(364)가 챔버부(360)에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어느 종류의 포집부(500)를 선택하여도 살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sterilization module mounting portion (364) is placed in the chamber portion (36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sterilization function regardless of which type of capturing portion (500) is selected.
이하에서는, 제1 포집부(510)의 세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Below,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is described.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포집부(510)의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포집부(510)의 관련 구성들을 분리하여 전개한 도면이며,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싸이클론(513)의 먼지 분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6은, 도 23의 X-X' 단면도이다.FIG. 2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collecting unit (51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is a drawing showing related components of the first collecting unit (51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and developed, FIG. 25 is a drawing showing a dust separation process of a cyclone (513)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 23.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제1 포집부(510)는 포집부 바디(511), 포집부 내벽(512) 및 싸이클론(51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3 to 26,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may include a capturing unit body (511), a capturing unit inner wall (512), and a cyclone (513).
포집부 바디(511)는, 먼지 수용 공간의 외관을 형성한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포집부 바디(511)는 대체로 육면체인 형태일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포집부 바디(511)는 대체로 원기둥인 형태일 수 있다.The capture body (511) forms the outer appearance of the dust receiving space. In a possible embodiment, the capture body (511) may have a generally hexahedral shape. In another possible embodiment, the capture body (511) may have a generally cylindrical shape.
제1 포집부(510)는, 제1 포집부(510) 바디의 개방된 상측을 덮도록 구비되는 바디 커버(5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may further include a body cover (516) provided to cover the open upper side of the body of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바디 커버(516)의 형태는 레일부(363)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body cover (516) can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ail portion (363).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 커버(516)는 제1 커버부(5161)와 제2 커버부(5162)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ody cover (516) may include a first cover portion (5161) and a second cover portion (5162).
제1 커버부(5161)의 상면은 후방-하향의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포집부(510)의 후방은 상단까지의 높이가 낮고 전방은 상단까지의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ortion (5161) can be formed as a slope having a rearward-downward slope. Accordingly, the rear of the first capturing portion (510) can be formed to have a lower height to the top and the front can be formed to have a higher height to the top.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챔버 바디(361)가 형성하는 포집부 수용 공간(360a)은, 전방 단부의 단면적이 후방 단부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previously explained, the capturing portion receiving space (360a) formed by the chamber body (361) can be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ront end is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ar end.
즉, 포집부 수용 공간(360a)에 삽입이 시작되는 제1 포집부(510)의 후방은 높이가 낮고 제1 포집부(510)가 삽입되는 입구인 포집부 수용 공간(360a)의 전방 단부는 그 높이가 높은 바, 제1 포집부(510)가 포집부 수용 공간(360a)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다.That is, the rear end of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where insertion into the capturing unit receiving space (360a) begins has a low height, and the front end of the capturing unit receiving space (360a), which is the entrance into which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is inserted, has a high height, so that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apturing unit receiving space (360a).
제2 커버부(5162)는 제1 커버부(5161)의 좌우 양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커버부(5162)는 제1 커버부(5161)의 측면 하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커버부(5161)의 상면과 제2 커버부(5162)의 상면은 제1 커버부(5161)의 상면이 더 높은 위치에 있도록 단을 이룰 수 있다.The second cover part (5162) can be connected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cover part (5161). The second cover part (5162) can be formed in a form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over part (5161).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art (516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part (5162) can form a step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art (5161) is at a higher position.
제1 포집부(510)가 챔버 바디(36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커버부(5161)의 측면은 레일 바디(3631)의 측면과 대향하게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커버부(5161)의 좌우 측면은 좌우측 레일 바디(3631)의 측면과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다. 다른 관점에서, 제1 커버부(5161)는 좌우측 레일 바디(3631)의 사이에 배치된다.(도 29 참조)In a state where the first capturing portion (510)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body (361), the side of the first cover portion (5161) is positioned opposite the side of the rail body (3631). More specifically,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cover portion (5161) are positioned opposite the side of the left and right rail bodies (3631). From another perspective, the first cover portion (5161) is position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rail bodies (3631). (See FIG. 29)
제1 포집부(510)가 챔버 바디(36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커버부(5162)의 상면은 레일 바디(3631)의 하면과 대향하게 배치된다.With the first capturing part (510) inserted into the chamber body (361),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part (5162) is positioned opposite the lower surface of the rail body (3631).
제1 커버부(5161)의 상면에는 투과 패널(5161b)이 배치될 수 있다.A transparent panel (5161b) may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ortion (5161).
투과 패널(5161b)은, 제1 포집부(510)가 챔버 바디(361)에 삽입된 경우, 살균모듈(450)이 배치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즉, 챔버 바디(361)에 제1 포집부(510)가 삽입되면 살균모듈(450)과 투과 패널(5161b)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다.The penetration panel (5161b)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sterilizing module (450) is positioned when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body (361). That is, when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body (361), the sterilizing module (450) and the penetration panel (5161b)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투과 패널(5161b)은, 살균모듈(450)에서 방출되는 살균 광이 포집부 바디(511)의 내부를 향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된다. 일 예로, 투과 패널(5161b)은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ransparent panel (5161b) is made of a material that allows the sterilizing light emitted from the sterilizing module (450) to be transmitted toward the inside of the collecting body (511). For example, the transparent panel (5161b) may be made of PMMA (Poly methyl methacrylate) material.
제1 커버부(5161)의 상면에는 제1 유로(381)로부터 공기와 함께 먼지가 유입되는 먼지 유입구(5161a)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 유입구(5161a)는 원형일 수 있다. 먼지 유입구(5161a)의 상측으로는 제1 유로(381)가 연결된다. 이로써, 집진 모터(391)의 흡입력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포집부 바디(511)로 유입될 수 있다. 먼지 유입구(5161a)는 후술할 제1 먼지 수용 공간(S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A dust inlet (5161a)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art (5161) through which dust is introduced together with air from the first flow path (381). For example, the dust inlet (5161a) may be circular. The first flow path (381)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dust inlet (5161a). Accordingly, air sucked in by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391)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llecting body (511). The dust inlet (5161a)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ust receiving space (S1) described later.
제1 포집부(510)가 챔버 바디(361)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먼지 유입구(5161a)와 챔버 바디(361)의 공기 유입구(3621)는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body (361), the dust inlet (5161a) and the air inlet (3621) of the chamber body (361) can b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이때, 먼지 유입구(5161a)는 후방-하향의 경사를 갖는 제1 커버부(5161)의 상면에 형성되므로, 먼지 유입구(5161a)의 단면 또한 후방-하향의 경사를 갖게 된다. 앞서, 공기 유입구(3621) 또한 그 단면이 후방-하향의 경사를 가지게 됨을 설명한 바 있다. 공기 유입구(3621)와 먼지 유입구(5161a)가 동일 방향의 경사를 가지므로 서로 이격 없이 실링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dust inlet (5161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art (5161) having a rearward-downward slope, the cross-section of the dust inlet (5161a) also has a rearward-downward slope. As described above, the cross-section of the air inlet (3621) also has a rearward-downward slope. Since the air inlet (3621) and the dust inlet (5161a) have slopes in the same direction, they can be seal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1 커버부(5161)의 내측 상면에는 먼지 유입구(5161a)를 개폐하는 유입 커버(5163)가 결합될 수 있다. 유입 커버(5163)는 먼지 유입구(5161a)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구성으로서 먼지 유입구(5161a)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먼지 유입구(5161a)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An inlet cover (5163) for opening and closing a dust inlet (5161a) can be coupled to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art (5161). The inlet cover (5163) is configured to close or open the dust inlet (5161a) and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ust inlet (5161a) and can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dust inlet (5161a).
유입 커버(5163)는 집진 모터(391)의 흡입력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즉, 유입 커버(5163)는 포집부 바디(511)의 내부 공간(구체적으로, 제1 먼지 수용 공간(S1))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The inlet cover (5163) can be open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391). That is, the inlet cover (5163) can be opened toward the internal space of the collecting body (511) (specifically, the first dust receiving space (S1)).
유입 커버(5163)는 집진 모터(391)가 구동하지 않을 때에는 먼지 유입구(5161a)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집진 모터(391)가 구동을 시작하면 먼지 유입구(5161a)를 개방할 수 있다.The inlet cover (5163) keeps the dust inlet (5161a) closed when the dust collecting motor (391) is not operating, and can open the dust inlet (5161a) when the dust collecting motor (391) starts operating.
이를 위해 유입 커버(5163)에는, 먼지 유입구(5161a)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인가하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원력 인가 수단은 예를 들어,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일 수 있다. To this end, the inlet cover (5163) may be provided with a means for applying a restor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dust inlet (5161a). The restoring force applying means may be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for example.
이러한 구성을 통해, 흡입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유입 커버(5163)는 먼지 유입구(5161a)를 항상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며, 제1 포집부(510)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악취, 오염, 세균 등이 제1 유로(381)로 퍼지는 것이 방지된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when no suction force is applied, the inlet cover (5163) always keeps the dust inlet (5161a) closed, thereby preventing any foul odor, contamination, bacteria, etc. that may occur inside the first collection unit (510) from spreading to the first flow path (381).
제1 커버부(5161)의 외측면에는 리브(5161c)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A rib (5161c) may be formed protruding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ortion (5161).
여기서, 상기 외측면은, 제1 커버부(5161)의 상면과 제2 커버부(5162)의 상면을 연결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outer surface may mean a surfac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art (516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part (5162).
리브(5161c)는, 제1 커버부(5161)의 외측면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리브는, 제2 커버부(5162)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브(5161c)는, 제1 포집부(510)가 챔버 바디(361)에 삽입됨에 따라 레일부(363)(구체적으로는, 레일 바디(3631))의 슬라이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 rib (5161c)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portion (5161). The rib may protrud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portion (5162). The rib (5161c) may be inserted into the sliding space of the rail portion (363) (specifically, the rail body (3631)) as the first capturing portion (510)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body (361).
제1 포집부(510)가 챔버 바디(361)에 삽입됨에 따라, 리브(5161c)는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있던 간섭 돌기(3632)를 제2 위치로 밀어낼 수 있다.(도 19 참조)As the first capturing portion (510)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body (361), the rib (5161c) can push the interference protrusion (3632) that wa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See FIG. 19)
제1 포집부(510)는, 제1 포집부(510) 바디의 개방된 하측을 덮도록 구비되는 하부 커버(5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apturing unit (510) may further include a lower cover (517) provided to cover the open lower side of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body.
하부 커버(517)의 모서리 일측에는 포집부 힌지(519)가 배치될 수 있다. 포집부 힌지(519)를 축으로 하부 커버(517)가 회전하면 포집부 바디(511)의 내부가 개방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포집부 바디(511)에 수집된 먼지를 바깥으로 배출시켜 제거할 수 있다.A capture hinge (519)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a corner of the lower cover (517). When the lower cover (517) rotates around the capture hinge (519), the interior of the capture body (511) may be opened. As a result, the user may remove dust collected in the capture body (511) by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포집부 바디(511)의 전면(또는 전방측)에는 손잡이(5111b)가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5111b)는 제1 포집부(510)를 챔버 바디(361)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구성이다. 사용자는 손잡이(5111b)를 잡고 제1 포집부(510)를 전방을 향해 잡아당겨 챔버 바디(361)로부터 제1 포집부(510)를 쉽게 인출할 수 있다.A handle (5111b) may be arranged on the front (or front side) of the capturing body (511). The handle (5111b) is configured to be held by a user so that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can be withdrawn to the outside of the chamber body (361). The user can easily withdraw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from the chamber body (361) by holding the handle (5111b) and pulling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forward.
포집부 바디(511)에는 사용자가 손잡이(5111b)를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핑거 홈(5111a)이 마련될 수 있다. 핑거 홈(5111a)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홈으로 형성된다. 핑거 홈(5111a)은 포집부 바디(511)가 제1 포집부(510)의 내부 공간을 향해 움푹 패인 형태로 형성된다. A finger groove (5111a) may be provided in the capturing body (511) so that the user can easily hold the handle (5111b). The finger groove (5111a) is formed as a groove that can fit the user's finger. The finger groove (5111a)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capturing body (511) is recessed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apturing body (510).
이러한 구성을 통해, 손잡이(5111b)는 포집부 바디(511)의 외측으로 과도하게 돌출 형성되지 않는다. 즉, 이러한 구성을 통해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handle (5111b) is not excessively formed to protrude outside the capturing body (511). That is, 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miniaturization of the cleaning station (300).
포집부 내벽(512)은, 포집부 바디(511)의 먼지 수용 공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포집부 내벽(512)은 포집부 바디(511)의 먼지 수용 공간을 두 개의 분리된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포집부 내벽(512)은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inner wall (512) of the collecting unit can be placed inside the dust receiving space of the collecting unit body (511). The inner wall (512) of the collecting unit can divide the dust receiving space of the collecting unit body (511) into two separate spaces. The inner wall (512) of the collecting unit can be plac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포집부 내벽(512)에는 메쉬망(5121)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쉬망(5121)은 포집부 내벽(512)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즉, 구분된 먼지 수용 공간의 어느 일측에서 다른 일측으로 공기가 유동할 때 메쉬망(5121)을 통과할 수 있다.The inner wall (512) of the collect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 mesh net (5121). For example, the mesh net (5121) may form a part of the inner wall (512) of the collecting unit. That is, when air flows from one side of the separated dust receiving space to the other side, it may pass through the mesh net (5121).
한편, 제1 포집부(510) 내부의 수용 공간은 포집부 내벽(512)에 의해 제1 먼지 수용 공간(S1)과 제2 먼지 수용 공간(S2)으로 구분된다.Meanwhile, the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first collecting unit (510) is divided into a first dust accommodation space (S1) and a second dust accommodation space (S2) by the inner wall (512) of the collecting unit.
제1 먼지 수용 공간(S1)에는 압축 회전부(515)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먼지 수용 공간(S2)에는 싸이클론(513)이 배치될 수 있다. 외부에서 제1 유로(38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제1 먼지 수용 공간(S1)으로 먼저 유입되고 메쉬망(5121)을 통과하여 제2 먼지 수용 공간(S2)으로 유동한다.A compression rotation unit (515)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ust receiving space (S1). A cyclone (513) may be arranged in the second dust receiving space (S2). Air sucked in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81) first flows into the first dust receiving space (S1) and then passes through the mesh net (5121) to flow into the second dust receiving space (S2).
이를 통해, 비교적 큰 먼지는 메쉬망(5121)에서 필터링될 수 있다. 필터링된 큰 먼지는 제1 먼지 수용 공간(S1)의 하측에 모여 저장된다.Through this, relatively large dust can be filtered out in the mesh net (5121). The filtered large dust is collected and stor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dust receiving space (S1).
싸이클론(513)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추 형태 또는 원기둥 형태의 싸이클론 바디가 적어도 두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yclones (513)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t least two cyclone bodies having a conical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may be provided.
도 25를 참조하면, 각각의 싸이클론 바디는, 메쉬망(5121)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배치되는 유입 바디(5131)를 포함한다. 각각의 싸이클론 바디는, 배출 유로(518)와 연결되는 유출 바디(5132)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5, each cyclone body includes an inlet body (5131) arranged to admit air passing through a mesh net (5121). Each cyclone body further includes an outlet body (5132) connected to an exhaust path (518).
배출 유로(518)는 집진 모터(391) 측으로 연결되는 유로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유로(382)의 일부를 구성하는 유로이다.The exhaust path (518) is a path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on motor (391) side and is a path that constitutes part of the second path (382) as described above.
배출 유로(518)에 가해지는 흡입력에 의해 유출 바디(5132)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며, 유입 바디(5131)에 싸이클론 유동이 생성된다. 이러한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 메쉬망(5121)을 통과한 공기로부터 미세 크기의 먼지가 여과될 수 있다.Air is sucked from the outlet body (5132) by the suction force applied to the discharge path (518), and a cyclone flow is generated in the inlet body (5131). By this cyclone flow, fine dust can be filtered from the air passing through the mesh net (5121).
제1 포집부(510)는, 압축 회전부(51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may include a compression rotating unit (515).
압축 회전부(515)는 제1 포집부(510)에 수집된 먼지를 압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다.The compression rotation unit (515) is configured to compress the dust collected in the first collection unit (510).
도 24와 도 26을 참조하면, 압축 회전부(515)는 포집부 바디(511)의 먼지 수용 공간 내부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축 회전부(515)는 포집부 바디(511)의 제1 수용 공간(S1) 내부에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24 and FIG. 26, the compression rotation unit (515) is positioned inside the dust receiving space of the collecting body (511). More specifically, the compression rotation unit (515) is positioned inside the first receiving space (S1) of the collecting body (511).
압축 회전부(515)는, 포집부 바디(511)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압축 회전부(515)는 제1 먼지 수용 공간(S1) 내부에 수집된 먼지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압축 회전부(515)는 제1 먼지 수용 공간(S1)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compression rotation unit (515) is arranged movably within the collecting unit body (511). The compression rotation unit (515) can move in a direction that compresses the dust collected within the first dust receiving space (S1).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ression rotation unit (515) can be arranged rotatably within the first dust receiving space (S1).
압축 회전부(515)는, 포집부 바디(511)의 내부(제1 먼지 수용 공간(S1))에서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축 회전부(515)는, 회전축 부재(5151), 고정판(5152) 및 회전판(5153)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pression rotation part (515) can rotate around an ax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collecting body (511) (the first dust receiving space (S1)). More specifically, the compression rotation part (515) can include a rotation shaft member (5151), a fixed plate (5152), and a rotating plate (5153).
회전축 부재(5151)는, 포집부 바디(511)의 내부 즉, 제1 먼지 수용 공간(S1)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 부재(5151)는 앞서 설명한 압축 모터(362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회전축 부재(5151)의 중심 축은 제1 먼지 수용 공간(S1)의 중심 축과 동축을 형성할 수 있다.The rotation shaft member (5151) can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collecting body (511), i.e., in the first dust receiving space (S1). The rotation shaft member (5151) can be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compression motor (3622) described above. The central axis of the rotation shaft member (5151) can form the same axis as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dust receiving space (S1).
회전축 부재(5151)의 하단부는 제1 먼지 수용 공간(S1)의 바닥면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회전축 부재(5151)의 상단부는 유입 커버(5163)의 개방을 방해하지 않도록 먼지 유입구(5161a)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도 30 참조)The lower part of the rotation shaft member (5151) can be suppor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dust receiving space (S1). The upper part of the rotation shaft member (5151)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dust inlet (5161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not to obstruct the opening of the inlet cover (5163). (See FIG. 30)
고정판(5152)은, 제1 포집부(510)의 내부에서 일측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판(5152)은 제1 먼지 수용 공간(S1)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되 제1 먼지 수용 공간(S1)을 형성하는 포집부 바디(511)의 내주면 일측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고정판(5152)은 사각 평판 형태일 수 있다. 고정판(5152)은 메쉬망(5121)과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xed plate (5152) may be fixedly arranged on one side inside the first collecting unit (510). More specifically, the fixed plate (5152) may b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first dust receiving space (S1) and may be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llecting unit body (511) forming the first dust receiving space (S1). The fixed plate (5152) may have a square flat plate shape. The fixed plate (5152) may be arrang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esh net (5121).
고정판(5152)은 제1 먼지 수용 공간(S1)을 완전히 또는 일정 부분 차폐하여, 회전판(5153)의 회전에 의해 밀려 이동하는 먼지를 회전판(5153)과 함께 압축시킬 수 있다.The fixed plate (5152) can completely or partially shield the first dust receiving space (S1) so as to compress dust push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plate (5153) together with the rotary plate (5153).
회전판(5153)은, 회전축 부재(5151)의 외주면에 연결 배치되며 회전축 부재(515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판(5153)은 제1 먼지 수용 공간(S1)을 구성하는 포집부 바디(511)의 내주면과 회전축 부재(5151)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할 수 있다.The rotary plate (5153) is connected to and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ry shaft member (5151) and can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ry shaft member (5151). More specifically, the rotary plate (5153) is arrang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ollecting body (511) forming the first dust receiving space (S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ry shaft member (5151) and can rotate.
회전판(5153)의 형태는 기본적으로 사각 평판 형태이되, 제1 먼지 수용 공간(S1)에 배치되는 다른 구성과의 간섭을 피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 커버(5163)가 먼지 유입구(5161a)를 개방할 때 유입 커버(5163)의 회전 반경에 간섭되지 않도록 회전판(5153)의 상측 단부에 절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도 30 참조)The shape of the turntable (5153) is basically a square plate shape, but can be modified to avoid interference with other configurations arranged in the first dust receiving space (S1). For example, a cut portion can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turntable (5153)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 radius of the inlet cover (5163) when the inlet cover (5163) opens the dust inlet (5161a). (See FIG. 30)
회전판(5153)은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모두 회전할 수 있다. 제1 먼지 수용 공간(S1)을 상측에서 바라본 상태(즉, 상부에서 제1 포집부(510)를 내려다 보는 상태)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 회전이 정방향 회전, 반시계 방향 회전이 역방향 회전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turntable (5153) can rotate in both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Clockwise rotation can be defined as forward rotation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can be defined as reverse rotation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first dust receiving space (S1) is viewed from above (i.e.,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llecting unit (510) is viewed from above).
회전판(5153)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판(5153)의 일면과 고정판(5152)의 일면이 만나 먼지를 압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회전판(5153)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판(5153)의 타면과 고정판(5152)의 타면이 만나 먼지를 압축할 수 있다. 즉, 압축된 먼지의 일부는 고정판(5152)의 일면 인근에, 나머지는 고정판(5152)의 타면 인근에 존재하게 된다.When the turntable (5153)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one side of the turntable (5153) and one side of the fixed plate (5152) meet to compress the dust. Similarly, when the turntable (5153)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other side of the turntable (5153) and the other side of the fixed plate (5152) meet to compress the dust. In other words, some of the compressed dust exists near one side of the fixed plate (5152), and the rest exists near the other side of the fixed plate (5152).
압축 회전부(515)는, 청소 부재(5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ression rotation part (515) may further include a cleaning member (5154).
도 24와 도 26을 참조하면, 청소 부재(5154)는 회전축 부재(5151)가 배치된 반대편에서 회전판(5153)의 단부에 결합된다. 즉, 회전판(5153)의 일측 단부는 회전축 부재(5151)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청소 부재(5154)와 결합된다.Referring to FIGS. 24 and 26, the cleaning member (5154) is coupled to an end of the rotary plate (5153) on the opposite side where the rotary shaft member (5151) is arranged. That is, one end of the rotary plate (5153) is coupled to the rotary shaft member (5151)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cleaning member (5154).
청소 부재(5154)는 메쉬망(5121)과 맞닿은 상태에서 회전판(5153)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청소 부재(5154)의 일측 가장자리가 메쉬망(5121)의 일면에 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cleaning member (5154) may be arrang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turntable (5153) while in contact with the mesh net (5121). More specifically, one edge of the cleaning member (5154) may be arranged to touch one surface of the mesh net (5121).
이를 통해, 청소 부재(5154)는 회전판(5153)과 함께 회전할 때 메쉬망(5121)을 긁으면서 회전할 수 있고, 메쉬망(5121)에 달라붙은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청소 부재(5154)는 예를 들어 고무 재질의 스크러버(scrubber)일 수 있다.Through this, the cleaning member (5154) can rotate while scraping the mesh net (5121) when rotating together with the turntable (5153), and foreign substances stuck to the mesh net (5121) can be removed. The cleaning member (5154) can be, for example, a scrubber made of rubber.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포집부(510)는 전달 기어(514)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may include a transmission gear (514).
전달 기어(514)는 제1 포집부(510)의 하부 커버(517)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포집부(510)가 포집부 수용 공간(360a)에 삽입되면, 전달 기어(514)와 구동 기어(3621)가 서로 기어 물림될 수 있고, 압축 모터(3622)의 회전 동력이 구동 기어(3621)와 전달 기어(514)를 거쳐 압축 회전부(515)에 전달될 수 있다.The transmission gear (514) can be coupled to the lower cover (517) of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When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is inserted into the capturing unit receiving space (360a), the transmission gear (514) and the driving gear (3621) can be meshed with each other, and the rotational power of the compression motor (3622) can be transmitted to the compression rotation unit (515) via the driving gear (3621) and the transmission gear (514).
도 24와 함께,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전달 기어(514)와 구동 기어(362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The transmission gear (514) and the drive gear (362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7 and 28, together with FIG. 24.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기어(3621)와 전달 기어(514)의 확대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기어(3621)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27 is an enlarged view of a drive gear (3621) and a transmission gear (514)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ve gear (3621) viewed from below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달 기어(514)는, 압축 회전부(515)의 회전축 부재(5151)와 연결될 수 있다. 전달 기어(514)의 하부 외둘레에는 구동 기어(3621)에 기어 물림되는 기어 이(5142)가 배치된다. 전달 기어(514)의 상부 중심에는 회전축 부재(5151)와 동축으로 연결되는 기어축(5141)이 배치된다.The transmission gear (514) can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member (5151) of the compression rotation part (515). A gear tooth (5142) that is engaged with the drive gear (3621) is arranged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transmission gear (514). A gear shaft (5141) that is coaxially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member (5151) is arranged on the upper center of the transmission gear (514).
기어축(5141)은 하부 커버(517)에 형성된 홀을 통해 포집부 바디(511)의 수용 공간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기어축(5141)은 회전축 부재(5151)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기어축(5141)의 외주면 지름의 크기가 회전축 부재(5151)의 외주면 지름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gear shaft (5141)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capture body (511)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lower cover (517). The gear shaft (5141) can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 hollow formed in the rotation shaft member (5151). That is, the siz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gear shaft (5141) can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rotation shaft member (5151).
기어축(5141)과 회전축 부재(5151)에는 같은 각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를 맞물리게 하는 기구적인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구적인 구조는 돌기와 홈 구조일 수 있다.A mechanical structure may be formed on the gear shaft (5141) and the rotary shaft member (5151) to mesh with each other so that they can rotate at the same angular velocity. For example, the mechanical structure may be a projection and groove structure.
구동 기어(3621)는, 기어바디(3621a), 축 연결부(3621b) 및 기어 이(3621c)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gear (3621) may include a gear body (3621a), a shaft connecting portion (3621b), and gear teeth (3621c).
기어바디(3621a)는 구동 기어(3621)의 외관을 형성한다. 기어바디(3621a)의 상부에는 전달 기어(514)의 기어 이(5142)와 기어 물림되는 기어 이(3621c)가 형성되어 배치된다. 기어바디(3621a)의 하측 둘레에는 돌기와 홈이 교번하여 연속하는 형태의 패턴(3621d)이 형성될 수 있다. The gear body (3621a) forms the outer appearance of the driving gear (3621). The gear teeth (5142) of the transmission gear (514) and the gear teeth (3621c) that mesh with each other are formed and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gear body (3621a). A pattern (3621d) in which projections and grooves alternate and are continuous can be formed on the lower periphery of the gear body (3621a).
기어 이(3621c)가 배치되는 기어바디(3621a)의 상부측 지름과, 패턴(3621d)이 형성되는 기어바디(3621a)의 하부측 지름은 그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The upper diameter of the gear body (3621a) on which the gear teeth (3621c) are arranged and the lower diameter of the gear body (3621a) on which the pattern (3621d) is formed may have different sizes.
기어바디(3621a)의 중심부에는 압축 모터(3622)의 모터축과 연결되는 축 연결부(3621b)가 형성된다. 축 연결부(3621b)는 기어바디(3621a)의 내부에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배치될 수 있다. 축 연결부(3621b)는 모터축이 삽입되도록 모터축과 대응되는 형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A shaft connection part (3621b)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compression motor (362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gear body (3621a). The shaft connection part (3621b) may be formed and arranged in a cylindrical shape inside the gear body (3621a). The shaft connection part (3621b) may have a hol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tor shaft so that the motor shaft can be inserted.
이로써, 압축 모터(3622)가 회전하면 구동 기어(3621)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compression motor (3622) rotates, the drive gear (3621) rotates along with it.
축 연결부(3621b)의 외주면에는 축 연결부(3621b)의 형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리브(3621e)가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ribs (3621e) may be radially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haft connecting portion (3621b) to support the shape of the shaft connecting portion (3621b).
구동 기어(3621)에 형성된 패턴(3621d)은, 서로 인접하는 돌기의 폭과 홈의 폭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패턴(3621d)에 형서된 돌기와 홈은, 형성된 폭의 크기에 따라 구별되는 상(Phase)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e pattern (3621d) formed on the driving gear (3621) can be formed so that the widths of adjacent projections and groov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projections and grooves formed on the pattern (3621d) can be defined as phases that ar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ormed width.
이때, 상기 패턴(3621d)의 상(Phase)이 배치되는 순서가 기어바디(3621a)의 둘레에 대한 제1 방향(d1) 및 상기 제1 방향(d1)과 반대 방향의 제2 방향(d2)에 대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rder in which the phases of the pattern (3621d) are arranged can be form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1)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ce of the gear body (3621a) and in the second direction (d2)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d1).
패턴(3621d)은 4개의 상(Phase)이 한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Phase와 제3 Phase는 돌기 형태로, 제2 Phase와 제4 Phase는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돌기와 홈이 교번 형성될 수 있다.The pattern (3621d) can be composed of a set of four phases. Here, the first and third phases can be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and the second and fourth phases can be formed in a groove shape. In other words, the protrusions and grooves can be formed alternately.
여기서, 제1 Phase 내지 제4 Phase의 폭은 모두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각 Phase는 상기 폭의 크기를 통해 구별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실시예를 예로 들면, 폭이 pt_d1(mm)인 돌기는 제1 Phase, 폭이 pt_d2(mm)인 홈은 제2 Phase, 폭이 pt_d3(mm)인 돌기는 제3 Phase, 폭이 pt_d4(mm)인 홈은 제4 Phase로 정의될 수 있다.Here, the widths of the first to fourth phases can all be formed to be different, and each phase can be distinguished through the size of the width.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8, a protrusion having a width of pt_d1 (mm) can be defined as the first phase, a groove having a width of pt_d2 (mm) can be defined as the second phase, a protrusion having a width of pt_d3 (mm) can be defined as the third phase, and a groove having a width of pt_d4 (mm) can be defined as the fourth phase.
각 Phase의 배치 순서는 구동 기어(3621)의 기어바디(3621a)를 제1 회전 방향(rd1)으로 이동하면서 바라볼 때 1-2-3-4의 순서로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기어(3621)의 기어바디(3621a)를 제1 회전 방향(rd1)과 반대방향인 제2 회전 방향(rd2)으로 이동하면서 바라본다면 각 Phase는 4-3-2-1의 순서로 반복되게 된다.The arrangement order of each phase can be repeated in the order of 1-2-3-4 when looking at the gear body (3621a) of the driving gear (3621) while moving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rd1). Accordingly, when looking at the gear body (3621a) of the driving gear (3621) while moving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rd2) opposite to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rd1), each phase is repeated in the order of 4-3-2-1.
이처럼, 구동 기어(3621)에 형성된, 방향성을 띄는 패턴(3621d)의 배치를 통해, 후술할 제어부(700)는 구동 기어(3621)가 현재 제1 회전 방향(rd1)으로 회전 중인지 제2 회전 방향(rd2)으로 회전 중인지 감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directional pattern (3621d) formed on the driving gear (3621), the control unit (700) described later can detect whether the driving gear (3621) is currently rotating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rd1) or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rd2).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포집부(510)가 챔버 바디(361)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포집부(510)가 챔버 바디(361)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먼지 집진과 관련된 공기의 유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collecting unit (510) is inserted into a chamber body (361)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0 is a drawing showing a flow path of air related to dust collection in a state in which a first collecting unit (510) is inserted into a chamber body (361)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유로(381)를 통해 포집부 바디(511)의 제1 먼지 수용 공간(S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메쉬망(5121)을 통과하면서 큰 먼지가 분리되며, 큰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제2 먼지 수용 공간(S2)으로 유입된다.Air that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dust receiving space (S1) of the collecting body (511) through the first euro (381) passes through the mesh net (5121) and large dusts are separated, and the air from which large dusts are separated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dust receiving space (S2).
이후, 제2 먼지 수용 공간(S2)으로 유입된 공기는 싸이클론(513)을 통과하면서 미세한 먼지까지 분리되며, 미세한 먼지까지 분리된 공기는 포집부 바디(511)에 구비된 배출 유로(518)로 유입된다.Thereafter, air flowing into the second dust collection space (S2) passes through a cyclone (513) and is separated into even fine dust, and the air separated into even fine dust flows into the discharge path (518) provided in the collection body (511).
배출 유로(518)를 빠져나온 공기는 프리필터 모듈(470)을 거쳐 집진 모터(391)로 유동한다.Air exiting the exhaust pipe (518) flows through the pre-filter module (470) to the dust collection motor (391).
이하에서는, 제2 포집부(520)의 세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Below,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econd capturing unit (520) is described.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포집부(520)의 관련 구성들을 분리하여 전개한 도면이고,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포집부(520)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FIG. 31 is a drawing showing the related components of the second capturing unit (520) separated and develop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capturing unit (520) viewed from the sid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1과 도 32를 참조하면, 제2 포집부(520)는, 먼지 봉투(521), 외부 플레이트(522) 및 내부 플레이트(52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1 and 32, the second collecting unit (520) may include a dust bag (521), an outer plate (522), and an inner plate (523).
먼지 봉투(521)는, 청소기(200)로부터 흡입된 먼지를 수용하여 내부에 저장하는 구성이다.The dust bag (521) is configured to receive dust sucked from the vacuum cleaner (200) and store it inside.
먼지 봉투(521)는 집진 모터(391)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면 부피가 늘어나면서 먼지가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지 봉투(521)는, 통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지 봉투(521)는, 공기는 투과되지만 먼지와 같은 이물질은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 봉투(521)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부피가 늘어났을 때를 기준으로 육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dust bag (521) may be provided so that the volume increases and dust is accommodated inside when suct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dust collecting motor (391). To this end, the dust bag (521) may be made of a breathable material. More specifically, the dust bag (521)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allows air to pass through but does not allow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to pass through. For example, the dust bag (521) may be made of a non-woven material, and may have a hexahedral shape when the volume increases.
먼지 봉투(521)에는, 먼지 유입구(5212)가 형성된다. 먼지 유입구(5212)는, 먼지 봉투(521)의 상측에 먼지 봉투(521)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챔버 바디(361)의 공기 유입구(362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먼지를 먼지 봉투(521)의 내부로 안내하는 통로가 된다.A dust inlet (5212) is formed in the dust bag (521). The dust inlet (5212)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dust bag (521) on the upper side of the dust bag (521) and serves as a passage that guides air and dust flowing in from the air inlet (3621) of the chamber body (361) into the interior of the dust bag (521).
먼지 봉투(521)는, 광 투과홀(5211)을 포함할 수 있다. 광 투과홀(5211)은, 먼지 봉투(52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광 투과홀(5211)은 후술할 투과 패널(524)의 일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광 투과홀(5211)은 먼지 유입구(521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포집부(520)가 포집부 수용 공간(360a)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광 투과홀(5211)의 상측으로 살균모듈(4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살균 광이 투과 패널(524)을 통해 먼지 봉투(521)의 내부로 조사될 수 있다.The dust bag (521) may include a light transmitting hole (5211). The light transmitting hole (5211)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the dust bag (521). The light transmitting hole (521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one side of a transparent panel (524)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light transmitting hole (5211) may be arranged in front of the dust inlet (5212). When the second collecting unit (520) is fully inserted into the collecting unit receiving space (360a), the sterilizing module (450) may be arranged above the light transmitting hole (5211). As a result, sterilizing light may be irradiated into the interior of the dust bag (521) through the transparent panel (524).
외부 플레이트(522)는, 먼지 봉투(521)의 상측 외부에 결합될 수 있다. The outer plate (522) can be attached to the upper outer side of the dust bag (521).
외부 플레이트(522)는 사각 평판 형태의 플레이트 바디(52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plate (522) may include a plate body (5221)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플레이트 바디(5221)의 좌우측 단부의 일부는 레일 바디(3631)의 슬라이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플레이트 바디(5221)는 좌우측 단부가 레일 바디(3631)에 끼움 결합되며, 플레이트 바디(5221)의 일면은 레일 바디(3631)의 내측 하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플레이트 바디(5221)는 레일 바디(3631)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Part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plate body (5221) can be inserted into the sliding space of the rail body (3631). From another perspective,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plate body (5221) are fitted into the rail body (3631), and one side of the plate body (5221) can be supported by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rail body (3631).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plate body (5221) can be inserted into the rail body (3631) in a sliding manner.
플레이트 바디(5221)에는, 먼지 유입구(5222)가 형성된다. 먼지 유입구(5222)는, 챔버 바디(361)의 공기 유입구(362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먼지를 먼지 봉투(521)의 내부로 안내하는 통로가 된다.A dust inlet (5222) is formed in the plate body (5221). The dust inlet (5222) serves as a passage that guides air and dust flowing in from the air inlet (3621) of the chamber body (361) into the interior of the dust bag (521).
외부 플레이트(522)는 손잡이(52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plate (522) may include a handle (5223).
손잡이(5223)는 플레이트 바디(5221)의 전방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5223)는 플레이트 바디(522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5223)는 플레이트 바디(5221)로부터 수직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handle (5223) can be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plate body (5221). The handle (5223)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late body (5221). The handle (5223) can be formed by being vertically connected from the plate body (5221).
사용자는 손잡이(5223)를 파지하여 외부 플레이트(522)를 레일 바디(3631)에 밀어 넣을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5223)를 파지하여 외부 플레이트(522)를 레일 바디(3631)로부터 꺼낼 수 있다.The user can push the outer plate (522) into the rail body (3631) by grasping the handle (5223). The user can take the outer plate (522) out of the rail body (3631) by grasping the handle (5223).
외부 플레이트(522)는 연결부재(52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plate (522) may include a connecting member (5224).
연결부재(5224)는 먼지 유입구(522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5224)는 외부 플레이트(522)의 하면으로부터 하부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5224)는 먼지 봉투(521)를 통과하여 후술할 내부 플레이트(523)에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5224) may b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dust inlet (5222). The connecting member (5224)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plate (522)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connecting member (5224) may pass through the dust bag (521) and be coupled to the inner plate (523) described later.
외부 플레이트(522)는 지지부재(5225)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plate (522)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5225).
지지부재(5225)는 외부 플레이트(52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5225)는 외부 플레이트(522)의 하면으로부터 하부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5225) may be placed in front of the outer plate (522). The support member (5225)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plate (522) by a predetermined length.
지지부재(5225)는 리브 형태로 외부 플레이트(522)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되, 외부 플레이트(522)가 레일 바디(3631)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그 하단이 레일 바디(3631)의 하측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5225) is formed in a rib shape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uter plate (522), and when the outer plate (522) is inserted into the rail body (3631), its lower end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rail body (3631).
제2 포집부(520)는 포집부 수용 공간(360a)에 삽입됨에 따라 지지부재(5225)에 의해 전방이 들어올려진다. 즉, 제2 포집부(520)가 포집부 수용 공간(360a)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제2 포집부(520)는 후방-하향의 경사를 갖도록 기울어지게 된다.(도 34 참조)The second capturing unit (520) is lifted forward by the support member (5225) as it is inserted into the capturing unit receiving space (360a). That is, when the second capturing unit (52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apturing unit receiving space (360a), the second capturing unit (520) is tilted to have a rearward-downward slope. (See FIG. 34)
이러한 구성을 통해, 외부 플레이트(522)가 챔버 바디(361)의 공기 유입구(3621)를 향해 상승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outer plate (522) can be supported in an elevated state toward the air inlet (3621) of the chamber body (36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기 유입구(3621)의 개방된 단면은 후방-하향 경사를 갖는다. 이때, 제2 포집부(520) 또한 후방-하향의 경사를 갖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레일부(363)에 삽입되는 바, 공기 유입구(3621)와 먼지 유입구(5222)가 동일 방향의 경사를 가지므로 서로 이격 없이 실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 cross-section of the air inlet (3621) has a backward-downward slope. At this time, the second collecting member (520) is also inserted into the rail member (363) in a tilted state so as to have a backward-downward slope, so that the air inlet (3621) and the dust inlet (5222) have slopes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y can be seal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외부 플레이트(522)는, 광 투과홀(5226)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plate (522) may include a light transmitting hole (5226).
광 투과홀(5226)은 플레이트 바디(522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광 투과홀(5226)은 후술할 투과 패널(524)의 일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광 투과홀(5226)은 먼지 유입구(522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The light transmitting hole (5226)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the plate body (5221). The light transmitting hole (5226)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one side of the transparent panel (524)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light transmitting hole (5226) may be arranged in front of the dust inlet (5222).
제2 포집부(520)가 포집부 수용 공간(360a)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광 투과홀(5226)의 상측으로 살균모듈(4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살균 광이 투과 패널(524)을 통해 먼지 봉투(521)의 내부로 조사될 수 있다.With the second capturing unit (520) fully inserted into the capturing unit receiving space (360a), the sterilizing module (450) can be placed above the light transmitting hole (5226). As a result, sterilizing light can be irradiated into the interior of the dust bag (521) through the transmitting panel (524).
내부 플레이트(523)는, 먼지 봉투(521)의 상측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The inner plate (523) can be joined to the upper inner side of the dust bag (521).
내부 플레이트(523)는 사각 평판 형태의 플레이트 바디(5231)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plate (523) may include a plate body (5231)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플레이트 바디(5231)에는, 먼지 유입구(5232)가 형성된다. 먼지 유입구(5232)는, 챔버 바디(361)의 공기 유입구(362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먼지를 먼지 봉투(521)의 내부로 안내하는 통로가 된다.A dust inlet (5232) is formed in the plate body (5231). The dust inlet (5232) serves as a passage that guides air and dust flowing in from the air inlet (3621) of the chamber body (361) into the interior of the dust bag (521).
내부 플레이트(523)는 측벽(523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ner plate (523) may include a side wall (5233).
측벽(5233)은 먼지 봉투(52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유동 방향을 제한하고 안내하는 구성이다. 측벽(5233)은 먼지 유입구(523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측벽(5233)은 플레이트 바디(5231)의 내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벽(5233)은 먼지 봉투(521)의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 배치될 수 있다.The side wall (5233) is configured to limit and guide the direction of air flow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dust bag (521). The side wall (5233)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dust inlet (5232). The side wall (5233)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late body (5231). That is, the side wall (5233) may be arranged to extend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dust bag (521).
측벽(5233)은 먼지 유입구(5232)의 좌측과 우측에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측벽(5233)은 먼지 유입구(5232)로 유입된 공기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 side walls (5233) can be symmetrically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ust inlet (5232). Accordingly, the side walls (5233) can block air drawn into the dust inlet (5232) from flowing to the left or right.
한편, 후술할 유입 커버(525)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공기의 후측 유동 또한 차단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inlet cover (525) described later is open, the rearward flow of air can also be blocked.
결과적으로, 먼지 유입구(5232)로 유입된 공기는 전방 하향으로 유동하게 된다.As a result, air drawn into the dust inlet (5232) flows downwardly forward.
이러한 구성을 통해, 유입되는 먼지는 먼지 유입구(5232)의 전방으로 조사되는 살균 광에 효과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incoming dust can be effectively exposed to the germicidal light irradiated in front of the dust inlet (5232).
내부 플레이트(523)는 연결부재 삽입홈(5234)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plate (523) may include a connecting member insertion groove (5234).
연결부재 삽입홈(5234)은 먼지 유입구(523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 삽입홈(5234)은 플레이트 바디(5231)가 관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 삽입홈(5234)에는 외부 플레이트(522)의 연결부재(5224)가 삽입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groove (5234) may b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dust inlet (5232).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groove (5234)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plate body (5231) penetrates. The connecting member (5224) of the outer plate (522)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groove (5234).
내부 플레이트(523)는 유입관(5235)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plate (523) may include an inlet tube (5235).
유입관(5235)은 플레이트 바디(5231)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유입관(5235)은 먼지 유입구(5232)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유입관(5235)은 플레이트 바디(523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관(5235)의 개방된 단면은 후방-하향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The inlet pipe (5235)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body (5231). The inlet pipe (5235)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dust inlet (5232). The inlet pipe (5235)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late body (5231). The open cross section of the inlet pipe (5235) may have a rearward-downward slope.
유입관(5235)의 하측 단부는 후술할 유입 커버(525)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로써, 먼지 유입구(5232) 또한 폐쇄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inlet pipe (5235) can be closed by an inlet cover (525) to be described later. As a result, the dust inlet (5232) can also be closed.
내부 플레이트(523)는 유입 커버 고정부재(5236)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plate (523) may include an inlet cover fixing member (5236).
유입 커버 고정부재(5236)는 먼지 유입구(523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유입 커버 고정부재(5236)는 연결부재 삽입홈(5234)을 둘러싼 형태로 플레이트 바디(5231)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유입 커버 고정부재(5236)는 플레이트 바디(52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let cover fixing member (5236) may b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dust inlet (5232). The inlet cover fixing member (5236)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body (5231) in a form surrounding the connecting member insertion groove (5234). The inlet cover fixing member (5236)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late body (5231).
유입 커버 고정부재(5236)에는 유입 커버 삽입홈(5236a)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 커버(525)의 적어도 일부는 유입 커버 삽입홈(5236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유입 커버 삽입홈(5236a)은 후방 하향의 경사면을 갖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 커버(525)는 전방 상부에서 후방 하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An inflow cover fixing member (5236) may be formed with an inflow cover insertion groove (5236a). At least a portion of the inflow cover (525)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inflow cover insertion groove (5236a). The inflow cover insertion groove (5236a) may have a rearward downward slope and may exte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ccordingly, the inflow cover (525) may be inserted from the front upper portion to the rear downward portion.
내부 플레이트(523)에는, 투과 패널(524)이 결합될 수 있다.A transparent panel (524) can be combined with the inner plate (523).
투과 패널(524)은, 제2 포집부(520)가 챔버 바디(361)에 삽입된 경우, 살균모듈(450)이 배치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즉, 챔버 바디(361)에 제2 포집부(520)가 삽입되면 살균모듈(450)과 투과 패널(524)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다.The penetration panel (524)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sterilizing module (450) is positioned when the second capturing unit (520)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body (361). That is, when the second capturing unit (520)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body (361), the sterilizing module (450) and the penetration panel (524) are positioned opposite each other.
투과 패널(524)은, 살균모듈(450)에서 방출되는 살균 광이 포집부 바디(511)의 내부를 향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된다. 일 예로, 투과 패널(524)은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ransparent panel (524) is made of a material that allows the sterilizing light emitted from the sterilizing module (450) to be transmitted toward the inside of the collecting body (511). For example, the transparent panel (524) may be made of PMMA (Poly methyl methacrylate) material.
내부 플레이트(523)의 내측에는 먼지 유입구(5232)를 개폐하는 유입 커버(525)가 결합될 수 있다. 유입 커버(525)는 유입관(5235)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An inlet cover (525) that opens and closes a dust inlet (5232)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inner plate (523). The inlet cover (525) may be placed at the end of the inlet pipe (5235).
유입 커버(525)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 커버(525)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let cover (525)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the inlet cover (525)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유입 커버(525)는 집진 모터(391)의 흡입력에 의해 유입관(5235)의 일측을 개방할 수 있다. 즉, 유입 커버(525)는 먼지 봉투(521)의 내부 공간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The inlet cover (525) can open one side of the inlet pipe (5235) by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391). That is, the inlet cover (525) can be opened toward the internal space of the dust bag (521).
유입 커버(525)의 일측은 유입 커버 삽입홈(5236a)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inlet cover (525) can be inserted and connected into the inlet cover insertion groove (5236a).
유입 커버 삽입홈(5236a)은 큰 후방-하향 경사를 가지는 반면, 유입관(5235)의 개방된 단면은 이보다 작은 크기의 후방-하향 경사를 가지는 바, 유입 커버(525)는 유입 커버 삽입홈(5236a)에 삽입되면 그 형태가 일 지점에서 꺾인 형태로 변형되게 된다.The inlet cover insertion groove (5236a) has a large rearward-downward slope, while the open cross section of the inlet pipe (5235) has a smaller rearward-downward slope. Therefore, when the inlet cover (525) is inserted into the inlet cover insertion groove (5236a), its shape is deformed into a shape that is bent at one point.
이때, 유입 커버(525)는 꺾인 일 지점을 기준으로 다시 펼쳐지려는 방향을 향해 복원력이 가해진다. At this time, a restoring force is applied to the inlet cover (525)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to unfold again based on the bent point.
이러한 구성을 통해, 유입 커버(525)가 유입 커버 삽입홈(5236a)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입 커버(525)는 유입관(5235)에 밀착될 수 있다. 즉, 유입 커버(525)는 집진 모터(391)가 구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inlet cover (525)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inlet pipe (5235) while the inlet cover (525) is inserted into the inlet cover insertion groove (5236a). That is, the inlet cover (525) does not sag due to its own weight when the dust collection motor (391) is not driven.
유입 커버(525)는 집진 모터(391)가 구동하지 않을 때에는 먼지 유입구(5232)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집진 모터(391)가 구동을 시작하면 먼지 유입구(5232)를 개방할 수 있다.The inlet cover (525) keeps the dust inlet (5232) closed when the dust collection motor (391) is not operating, and can open the dust inlet (5232) when the dust collection motor (391) starts operating.
집진 모터(391)가 작동되면 유입 커버(525)는 먼지 봉투(521)의 내부 공간을 향해 변형되면서 유입관(5235)을 개방하고, 집진 모터(391)가 정지되면 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유입관(5235)을 폐쇄한다.When the dust collecting motor (391) operates, the inlet cover (525) is deformed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dust bag (521) to open the inlet pipe (5235), and when the dust collecting motor (391) stops, it is restored by elasticity to close the inlet pipe (5235).
따라서, 제2 포집부(520)가 청소기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된 때 먼지가 외부로 비산되거나, 날벌레 등이 탈출하거나, 악취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when the second collecting unit (520) is separated from the vacuum cleaner sta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dust from flying outside, flies from escaping, or bad smells from spreading.
또한, 제2 포집부(520)가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집진 모터(391)가 구동하지 않는 때에는 유입관(5235)을 폐쇄하고 있으므로 제1 유로(381)를 통해 먼지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let pipe (5235) is closed when the dust collecting motor (391) is not running even when the second collecting unit (520) is connected to the cleaner sta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dust or odor from flowing back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81).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포집부(520)가 챔버 바디(361)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포집부(520)가 챔버 바디(361)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먼지 집진과 관련된 공기의 유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collecting unit (520) is inserted into a chamber body (361)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4 is a drawing showing a flow path of air related to dust collection in a state in which a second collecting unit (520) is inserted into a chamber body (361)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집진 모터(391)의 흡입력에 의해 기류가 형성되면,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내부에서부터 유동하는,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제1 유로(381)를 통해 먼지 봉투(521)로 이동하며, 먼지 봉투(521)에 이물질만을 남기고 먼지 봉투(521)를 빠져나가게 된다.When an air current is formed by the suction power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391),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flowing from inside the dust bin (220) of the vacuum cleaner (200) moves to the dust bag (521)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81) and exits the dust bag (521) leaving only the foreign substances in the dust bag (521).
이때, 제1 유로(381)를 통해 유입되는 먼지는 측벽(5233)에 의해 좌우 방향 유동이 차단되고 유입 커버(525)에 의해 후측 방향 유동이 차단되는 바, 도 3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살균모듈(450)이 조사하는 살균 광을 향해 전방 하향 유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dust flowing in through the first urea (381) is blocked from flow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side wall (5233) and from flowing in the rear direction by the inlet cover (525), so that it flows downwardly forward toward the sterilizing light irradiated by the sterilizing module (450) as shown in the arrow direction in Fig. 34.
아울러, 먼지 봉투(521)를 빠져나온 공기는 프리필터 모듈(470)을 거쳐 집진 모터(391)로 유동한다.In addition, air that has escaped the dust bag (521) flows through the pre-filter module (470) to the dust collection motor (391).
한편, 집진 모터(391)가 구동하여 제2 포집부(520)에 공기 흐름이 형성될 때, 기어 통과홀(3623a)이 막힘없이 그대로 노출되는 바, 기어 통과홀(3623a)에도 흡입력이 가해지게 된다.(도 33의 점선 화살표 방향 참조)Meanwhile, when the dust collecting motor (391) is driven and an air flow is formed in the second collecting section (520), the gear passage hole (3623a) is exposed without blockage, so suction force is also applied to the gear passage hole (3623a). (Refer to the direction of the dotted arrow in Fig. 33)
이처럼, 기어 통과홀(3623a)을 통해 압축 모터(3622)에 직접 흡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압축 모터(3622)의 고장이 유발될 수 있다.In this way, if suction force is directly applied to the compression motor (3622) through the gear passage hole (3623a), a failure of the compression motor (3622) may occur.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어 통과홀(3623a)을 실링하는 실링부재(3623)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3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sealing member (3623) sealing a gear passage hole (3623a)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압축 구동부(362)는, 구동 기어(3621)와 챔버 바디(361)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재(36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ression drive unit (362)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member (3623) disposed between the drive gear (3621) and the chamber body (361).
실링부재(3623)는, 구동 기어(3621)의 기어바디(3621a) 외측 전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3623)는 구동 기어(3621)의 기어바디(3621a) 외측면과 챔버 바디(361)의 하부 외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aling member (3623) may be arrang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ear body (3621a) of the driving gear (3621). The sealing member (3623) may be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gear body (3621a) of the driving gear (3621) and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chamber body (361).
이처럼, 실링부재(3623)는 기어 통과홀(3623a)과 압축 모터(3622) 사이를 실링하여 압축 모터(3622)와 포집부 수용 공간(360a) 사이의 공기 흐름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ealing member (3623) can seal between the gear passage hole (3623a) and the compression motor (3622) to block the air flow between the compression motor (3622) and the collecting portion receiving space (360a).
실링부재(3623)는 챔버 바디(361)와 접촉하는 제1 실링부 및 기어바디(3621a)와 접촉하는 제2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부와 제2 실링부는 일측 단부에서 서로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서 이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3623) may include a first sealing portion that contacts the chamber body (361) and a second sealing portion that contacts the gear body (3621a). The first sealing portion and the second seal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one end and spaced apart at the other end.
이러한 구성을 통해, 집진 모터(391)에 의해 흡입력이 가해질수록 제1 실링부의 타측과 제2 실링부의 타측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실링부가 압축되게 된다. 따라서, 집진 모터(391)의 구동으로 실링력은 더욱 강화되며, 압축 모터(3622)에 직접 흡입력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as suction force is applied by the dust collecting motor (391),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eal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aling portion are compressed in a direction that brings them closer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sealing force is further strengthened by driving the dust collecting motor (391), and suction force is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applied to the compression motor (3622).
한편, 청소기 스테이션은 제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leaner sta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700).
제어부(700)는 청소기 스테이션의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제어부(700)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0)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cleaner station. The control unit (700) can b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제어부(70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rol unit (700) may include all types of devices capable of processing data, such as a processor. Here, the 'processor' may mean a data processing device built into hardware, which has a physically structured circuit to perform a function expressed by a code or command included in a program, for example. As an example of a data processing device built into hardware, a microprocess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processor core, a multiprocessor,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700)는 압축 모터(3622)의 회전 방향 전환을 감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700) can detect a chang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ompression motor (3622).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 모터(3622)는 일 방향 회전시 압축 모터(3622)에 가해지는 힘이 설정값 이상이 되면, 압축 모터(3622)의 회전이 타 방향으로 변환된다. 이때, 압축 모터(3622)에 가해지는 힘은 회전판(5153)이 먼지를 가압함에 따라 발생되는 저항력(토크: torque)으로써, 상기 저항력이 설정된 값에 도달되면, 압축 모터(3622)의 회전이 방향이 변환되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compression motor (3622) when rotating in one direction exceeds a set value, the rotation of the compression motor (3622) is changed to the other direction. At this time, the force applied to the compression motor (3622) is a resistance force (torque) generated as the rotating plate (5153) pressurizes the dust, and when the resistance force reaches the set value, the rotation of the compression motor (3622) is configured to change direction.
즉, 압축 모터(3622)는 회전판(5153)과 연결되어 회전판(5153)이 먼지를 가압하는 경우에만 그 회전 방향의 전환이 발생한다.That is, the compression motor (3622) is connected to the turntable (5153) and the rotation direction is changed only when the turntable (5153) pressurizes dust.
제어부(700)는, 먼지 비움의 과정 어느 단계에서 압축 모터(362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ion motor (3622) at any stage of the dust emptying process.
가능한 실시예에서 압축 모터(3622)의 구동은, 청소기(200)가 결합부(320)에 결합됨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청소기(200)의 상기 결합과 관련된 정보는 결합부(320)의 일측에 배치된 결합 센서(325)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700)로 전달될 수 있다.In a possible embodiment, the driving of the compression motor (3622)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connection of the cleaner (200) to the coupling portion (320).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nection of the cleaner (200) may be detected by a coupling sensor (325) arrang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320)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portion (700).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압축 모터(3622)의 구동은, 집진 모터(391)의 구동 종료 후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nother possible embodiment, the driving of the compression motor (3622) may be performed after the driving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391) is terminated.
또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압축 모터(3622)의 구동은, 집진 모터(391)의 구동 이전과 이후에 각각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nother possible embodiment, the driving of the compression motor (3622) may b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driving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391).
제어부(700)는 압축 모터(3622)가 구동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압축 모터(3622)의 회전 방향이 전환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시간은, 회전판(5153)이 초기 위치에서 회전을 시작했을 때 고정판(5152)의 일면에 회전판(5153)이 맞닿을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 이상으로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야 한다.The control unit (700) can detect whether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mpression motor (3622) is changed within a preset time from the time when the compression motor (3622) starts to operate. The time should be set to be sufficiently longer than the time at which the rotation plate (5153) is expected to come into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fixed plate (5152) when the rotation plate (5153) starts to rotate from the initial position.
회전 방향 전환 감지는, 구동 기어(3621)에 형성된 패턴(3621d)의 배치 순서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압축 구동부(362)에는, 구동 기어(3621)에 인접하여 배치된 포토 인터럽터(Photo interrupter)(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Detection of rotation direction change can be accomplished by detecting the arrangement order of patterns (3621d) formed on the driving gear (3621). To this end, the compression driving unit (362)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photo interrupter (not shown) arranged adjacent to the driving gear (3621).
상기 포토 인터럽터가 감지한 패턴(3621d)의 상(Phase)이 1-2-3-4 의 배치 순서를 갖는다면, 압축 모터(3622)가 제1 방향으로 회전 중인 것이 된다. 상기 포토 인터럽터가 감지한 패턴(3621d)의 상(Phase)이 4-3-2-1의 배치 순서를 갖는다면, 압축 모터(3622)가 제2 방향으로 회전 중인 것이 된다.(도 28 참조)If the phase of the pattern (3621d) detected by the above photo interrupter has a layout order of 1-2-3-4, the compression motor (3622) is rotating in the first direction. If the phase of the pattern (3621d) detected by the above photo interrupter has a layout order of 4-3-2-1, the compression motor (3622) is rotating in the second direction. (See FIG. 28)
제어부(700)는, 현재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포집부(500)의 종류와 무관하게 압축 모터(3622)를 구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0) can drive the compression motor (3622) regardless of the type of capturing unit (500) currently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만일, 챔버 바디(361)에 제1 포집부(510)가 삽입된 상태라면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반드시 압축 모터(3622)의 회전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If the first capturing unit (510)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body (361),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mpression motor (3622) must be changed within the preset time.
만일, 챔버 바디(361)에 제2 포집부(520)가 삽입된 상태라면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압축 모터(3622)에 부하가 가해지지 않으므로 압축 모터(3622)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뿐, 회전 방향의 전환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If the second capturing unit (520)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body (361), no load is applied to the compression motor (3622) even after the preset time has elapsed, so the compression motor (3622) only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rotation direction does not change.
즉, 제어부(700)는, 압축 모터(3622)를 회전 구동시켜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압축 모터(3622)의 회전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지를 기초로 현재 청소기 스테이션(300)에 결합된 포집부(500)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700) can determine the type of the capturing unit (500) currently coupled to the cleaning station (300) based on whether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mpression motor (3622) is changed within a preset time by rotating the compression motor (3622).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Furthermore, such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3: 청소기 시스템
200: 청소기
220: 먼지통
300: 청소기 스테이션
310: 하우징
360: 챔버부
360a: 포집부 수용 공간 361: 챔버 바디
3621: 공기 유입구 3622: 공기 유출구
3623: 구동 기어 수용부 3623a: 기어 통과홀
362: 압축 구동부 3621: 구동 기어
3622: 압축 모터 3623: 실링부재
363: 레일부 3631: 레일 바디
3632: 간섭 돌기 3633: 돌기 가이드
364: 살균모듈 장착부 365: 필터 장착부
366: 필터 감지돌기 3661: 돌기 바디
3662: 걸림턱
370: 하우징 커버
371: 커버 돌기
391: 집진 모터
450: 살균 모듈
470: 프리필터 모듈
471, 472: 필터케이스 4712: 누름돌기
473, 474: 필터
500: 포집부
510: 제1 포집부
511: 포집부 바디 515: 압축 회전부
516: 바디 커버 5161: 제1 커버부
5161c: 리브 5162: 제2 커버부
520: 제2 포집부
521: 먼지 봉투 522: 외부 플레이트
5225: 지지부재 523: 내부 플레이트
700: 제어부3: Vacuum cleaner system
200: Vacuum cleaner
220: Dustbin
300: Vacuum cleaner station
310: Housing
360: Chamber
360a: Capturing compartment accommodating space 361: Chamber body
3621: Air inlet 3622: Air outlet
3623: Drive gear receiving portion 3623a: Gear passage hole
362: Compression drive unit 3621: Drive gear
3622: Compression motor 3623: Sealing member
363: Rail section 3631: Rail body
3632: Interference protrusion 3633: Protrusion guide
364: Sterilization module mounting part 365: Filter mounting part
366: Filter detection protrusion 3661: Protrusion body
3662: stumbling block
370: Housing Cover
371: Cover bump
391: Dust collector motor
450: Sterilization module
470: Prefilter module
471, 472: Filter case 4712: Push button
473, 474: Filter
500: Capture Unit
510: 1st capture unit
511: Capture body 515: Compression rotating part
516: Body cover 5161: First cover part
5161c: Rib 5162: Second cover
520: Second Capture Unit
521: Dust bag 522: Outer plate
5225: Support member 523: Inner plate
700: Control Unit
Claims (24)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
상기 집진 모터에 의해 상기 먼지통 내부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를 수집하는 먼지 수용 공간이 마련된 포집부;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포집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포집부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챔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부에 결합되는 상기 포집부는,
상기 먼지 수용 공간의 크기가 고정된 통(桶) 형태이고 먼지 분리 수단으로 싸이클론이 포함된 제1 포집부와 상기 먼지 수용 공간의 크기가 가변되며 먼지 분리 수단으로 통기성 재질의 먼지 봉투가 포함된 제2 포집부가 호환되고,
상기 챔버부는,
상기 포집부 수용 공간의 외관을 형성하는 챔버 바디; 및
상기 챔버 바디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포집부에 수집된 먼지를 압축하는 압축 회전부를 회전시키기 위해 동력을 생성하는 압축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부에 결합된 상기 포집부의 종류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압축 구동부의 회전 방향 전환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 housing that combines with the dust bin of a vacuum cleaner;
A dust collecting moto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generating a suction force to suck up dust inside the dust bin;
A dust collecting unit having a dust receiving space for collecting dust sucked in from inside the dust bin by the dust collecting motor; and
A chamber part is disposed in the housing and forms a space for receiving the capturing part so that the capturing part can be detachably combined;
The capturing part coupled to the above chamber part,
The first collecting unit, which has a fixed dust receiving space in the form of a barrel and includes a cyclone as a dust separation means, and the second collecting unit, which has a variable dust receiving space in the size and includes a dust bag made of breathable material as a dust separation means, are compatible.
The above chamber part,
A chamber body forming the exterior of the above-mentioned capturing portion receiving space; and
It comprises a compression driving unit which is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chamber body and generates power to rotate the compression rotating unit that compresses the dust collected in the first collecting unit;
A cleaner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ype of the capturing unit coupled to the chamber unit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a chang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ompression drive unit is detected within a preset time.
상기 포집부 수용 공간은,
전방 단부의 단면적이 후방 단부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paragraph 1,
The above capture unit accommodation space is,
A cleaner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ront end is formed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ar end.
상기 챔버 바디의 전방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 커버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며,
상기 챔버부는,
상기 챔버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포집부의 적어도 일부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챔버 바디의 하면과 상기 제2 포집부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레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제2 포집부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레일 바디;
상기 레일 바디의 전방에서 상기 하우징 커버와 간섭되는 제1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포집부 또는 상기 제2 포집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하우징 커버와의 간섭이 회피되는 제2 위치로 이동되는 간섭 돌기; 및
상기 간섭 돌기와 결합되며, 상기 간섭 돌기의 위치 이동을 안내하는 돌기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paragraph 1,
The front of the chamber body is opened or closed by a housing cover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The above chamber part,
It further includes a rail part which is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chamber body and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chamber body and the second capturing part by fitting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capturing part so that the second capturing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hamber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above rail section,
A rail body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second capturing section slides;
An interference projection positioned at a first position that interferes with the housing cover at the front of the rail body and moved to a second position where interference with the housing cover is avoided by contact with the first capturing portion or the second capturing portion; and
A cleaner station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rojection guide coupled with the above interference projection and guiding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interference projection.
상기 챔버부는,
상기 챔버 바디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포집부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링하는 프리필터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 장착부; 및
일측이 상기 프리필터 모듈에 의해 눌려져 상기 제1 포집부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필터 감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paragraph 1,
The above chamber part,
A filter mounting portion, which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body and to which a pre-filter module for filtering air passing through the capturing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and
A cleaner station further comprising a filter detection protrusion, one side of which is pressed by the pre-filter module and moves in a direction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first capturing unit.
상기 프리필터 모듈은,
필터 케이스;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필터; 및
상기 필터 케이스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누름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paragraph 4,
The above prefilter module,
filter case;
A filter accommodated inside the above filter case; and
A cleaner station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ressing projection formed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filter case.
상기 필터 감지돌기는,
돌기 바디; 및
상기 돌기 바디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필터 장착부에 상기 프리필터 모듈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누름돌기와 접촉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paragraph 5,
The above filter detection protrusion is,
protruding body; and
A cleaner station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atch that is formed protruding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body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essing projection when the pre-filter module is coupled to the filter mounting portion.
상기 제1 포집부는,
상기 압축 회전부와 결합되어 상기 압축 구동부로부터 상기 압축 회전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 구동부는,
상기 포집부 수용 공간의 외측에 배치되는 압축 모터; 및
상기 포집부 수용 공간의 외측에서 상기 압축 모터에 축 연결되며 상기 전달 기어와 기어 물림되는 구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 바디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전달 기어 간의 기어 물림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 기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포집부 수용 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노출시키는 기어 통과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paragraph 1,
The above first capturing unit,
A transmission gear coupled to the compression rotating part and transmitting power from the compression driving part to the compression rotating part;
The above compression drive unit,
A compression motor arranged outside the above-mentioned collecting compartment receiving space; and
A drive gear is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motor on the outside of the above-mentioned capturing portion receiving space and is gear-meshed with the above-mentioned transmission gear;
At the bottom of the above chamber body,
A cleaner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a gear passage hole is formed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driving gear toward the inside of the collecting portion receiving space so as to enable gear meshing between the driving gear and the transmission gear.
상기 압축 구동부는,
상기 기어 통과홀을 실링하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챔버 바디의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Article 7,
The above compression drive unit,
A cleaner station further comprising a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gear and the chamber body to seal the gear passage hole.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
상기 집진 모터에 의해 상기 먼지통 내부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를 수집하는 먼지 수용 공간이 마련된 포집부;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포집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포집부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챔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부에 결합되는 상기 포집부는,
상기 먼지 수용 공간의 크기가 고정된 통(桶) 형태이고 먼지 분리 수단으로 싸이클론이 포함된 제1 포집부와 상기 먼지 수용 공간의 크기가 가변되며 먼지 분리 수단으로 통기성 재질의 먼지 봉투가 포함된 제2 포집부가 호환되고,
상기 챔버부는,
상기 포집부 수용 공간의 외관을 형성하는 챔버 바디; 및
상기 챔버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포집부의 적어도 일부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챔버 바디의 하면과 상기 제2 포집부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포집부는,
상기 먼지 수용 공간의 외관을 형성하는 포집부 바디; 및
상기 포집부 바디의 개방된 상측을 덮는 바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커버는,
상기 레일부에 삽입되는 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 housing that combines with the dust bin of a vacuum cleaner;
A dust collecting moto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generating a suction force to suck up dust inside the dust bin;
A dust collecting unit having a dust receiving space for collecting dust sucked in from inside the dust bin by the dust collecting motor; and
A chamber part is disposed in the housing and forms a space for receiving the capturing part so that the capturing part can be detachably combined;
The capturing part coupled to the above chamber part,
The first collecting unit, which has a fixed dust receiving space in the form of a barrel and includes a cyclone as a dust separation means, and the second collecting unit, which has a variable dust receiving space in the size and includes a dust bag made of breathable material as a dust separation means, are compatible.
The above chamber part,
A chamber body forming the exterior of the above-mentioned capturing portion receiving space; and
A rail part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chamber body and supports the second capturing part by fitting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capturing part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chamber body and the second capturing part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above first capturing unit,
A collecting body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above dust receiving space; and
Including a body cover covering the open upper side of the above capturing body;
The above body cover,
A vacuum cleaner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a rib inserted into the above rail section is formed protrudingly.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
상기 집진 모터에 의해 상기 먼지통 내부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를 수집하는 먼지 수용 공간이 마련된 포집부;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포집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포집부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챔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부에 결합되는 상기 포집부는,
상기 먼지 수용 공간의 크기가 고정된 통(桶) 형태이고 먼지 분리 수단으로 싸이클론이 포함된 제1 포집부와 상기 먼지 수용 공간의 크기가 가변되며 먼지 분리 수단으로 통기성 재질의 먼지 봉투가 포함된 제2 포집부가 호환되고,
상기 챔버부는,
상기 포집부 수용 공간의 외관을 형성하는 챔버 바디;
상기 챔버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포집부의 적어도 일부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챔버 바디의 하면과 상기 제2 포집부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레일부; 및
상기 챔버 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며 개방된 단면이 후방-하향 경사를 갖는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포집부는,
상기 먼지 봉투의 상측 외부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포집부 수용 공간의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며, 먼지 유입구가 형성된 외부 플레이트; 및
상기 외부 플레이트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레일부의 일면에 접촉되어 상기 외부 플레이트가 상기 공기 유입구를 향해 상승된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 housing that combines with the dust bin of a vacuum cleaner;
A dust collecting moto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generating a suction force to suck up dust inside the dust bin;
A dust collecting unit having a dust receiving space for collecting dust sucked in from inside the dust bin by the dust collecting motor; and
A chamber part is disposed in the housing and forms a space for receiving the capturing part so that the capturing part can be detachably combined;
The capturing part coupled to the above chamber part,
The first collecting unit, which has a fixed dust receiving space in the form of a barrel and includes a cyclone as a dust separation means, and the second collecting unit, which has a variable dust receiving space in the size and includes a dust bag made of breathable material as a dust separation means, are compatible.
The above chamber part,
A chamber body forming the exterior of the above-mentioned capturing portion receiving space;
A rail part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chamber body and supporting the second capturing part by fitting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capturing part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chamber body and the second capturing part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 air inlet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hamber body and having an open cross-section having a rearward-downward slope;
The above second capturing unit,
An outer plate coupled to the upper outer side of the dust bag, fitted into the rail portion and slidab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llecting portion receiving space, and having a dust inlet formed therein; and
A cleaner station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upport member that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plate and has a lower end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rail portion to support the outer plate in a state where the outer plate is raised toward the air inlet.
상기 포집부 수용 공간은,
전방 단부의 단면적이 후방 단부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clause 9 or 10,
The above capture unit accommodation space is,
A cleaner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ront end is formed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ar end.
상기 챔버 바디의 전방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 커버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며,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제2 포집부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레일 바디;
상기 레일 바디의 전방에서 상기 하우징 커버와 간섭되는 제1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포집부 또는 상기 제2 포집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하우징 커버와의 간섭이 회피되는 제2 위치로 이동되는 간섭 돌기; 및
상기 간섭 돌기와 결합되며, 상기 간섭 돌기의 위치 이동을 안내하는 돌기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clause 9 or 10,
The front of the chamber body is opened or closed by a housing cover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The above rail section,
A rail body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second capturing section slides;
An interference projection positioned at a first position that interferes with the housing cover at the front of the rail body and moved to a second position where interference with the housing cover is avoided by contact with the first capturing portion or the second capturing portion; and
A cleaner station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rojection guide coupled with the above interference projection and guiding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above interference projection.
상기 챔버부는,
상기 챔버 바디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포집부를 통과한 공기를 필터링하는 프리필터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 장착부; 및
일측이 상기 프리필터 모듈에 의해 눌려져 상기 제1 포집부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필터 감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clause 9 or 10,
The above chamber part,
A filter mounting portion, which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body and to which a pre-filter module for filtering air passing through the capturing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and
A cleaner station further comprising a filter detection protrusion, one side of which is pressed by the pre-filter module and moves in a direction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first capturing unit.
상기 프리필터 모듈은,
필터 케이스;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필터; 및
상기 필터 케이스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누름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Article 13,
The above prefilter module,
filter case;
A filter accommodated inside the above filter case; and
A cleaner station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ressing projection formed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filter case.
상기 필터 감지돌기는,
돌기 바디; 및
상기 돌기 바디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필터 장착부에 상기 프리필터 모듈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누름돌기와 접촉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Article 14,
The above filter detection protrusion is,
protruding body; and
A cleaner station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atch that is formed protruding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body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essing projection when the pre-filter module is coupled to the filter mounting portion.
상기 챔버부는,
상기 챔버 바디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포집부에 수집된 먼지를 압축하는 압축 회전부를 회전시키기 위해 동력을 생성하는 압축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clause 9 or 10,
The above chamber part,
A cleaner station further comprising a compression driving unit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body and generating power to rotate a compression rotating unit that compresses dust collected in the first collecting unit.
상기 제1 포집부는,
상기 압축 회전부와 결합되어 상기 압축 구동부로부터 상기 압축 회전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 구동부는,
상기 포집부 수용 공간의 외측에 배치되는 압축 모터; 및
상기 포집부 수용 공간의 외측에서 상기 압축 모터에 축 연결되며 상기 전달 기어와 기어 물림되는 구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 바디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전달 기어 간의 기어 물림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 기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포집부 수용 공간의 내측을 향하여 노출시키는 기어 통과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Article 16,
The above first capturing unit,
A transmission gear coupled to the compression rotating part and transmitting power from the compression driving part to the compression rotating part;
The above compression drive unit,
A compression motor arranged outside the above-mentioned collecting compartment receiving space; and
A drive gear is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motor on the outside of the above-mentioned capturing portion receiving space and is gear-meshed with the above-mentioned transmission gear;
At the bottom of the above chamber body,
A cleaner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a gear passage hole is formed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driving gear toward the inside of the collecting portion receiving space so as to enable gear meshing between the driving gear and the transmission gear.
상기 압축 구동부는,
상기 기어 통과홀을 실링하도록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챔버 바디의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Article 17,
The above compression drive unit,
A cleaner station further comprising a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gear and the chamber body to seal the gear passage hole.
상기 압축 모터의 회전 방향 전환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Article 17,
A cleaner station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mpression motor.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압축 모터의 회전 방향 전환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챔버부에 결합된 상기 포집부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Article 19,
The above control unit,
A cleaning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ype of the capturing unit coupled to the chamber unit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a change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mpression motor is detected within a preset time.
상기 챔버부는,
상기 챔버 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며 개방된 단면이 후방-하향 경사를 갖는 공기 유입구; 및
상기 공기 유입구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포집부 수용 공간을 향해 자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된 살균모듈이 장착되는 살균모듈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Article 9,
The above chamber part,
An air inlet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hamber body and having an open cross-section having a rearward-downward slope; and
A cleaner station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sterilizing module mounting portion, which is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the air inlet and is equipped with a sterilizing module configured to irradiate ultraviolet light toward the collecting unit receiving space.
상기 챔버부는,
상기 챔버 바디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포집부에 수집된 먼지를 압축하는 압축 회전부를 회전시키기 위해 동력을 생성하는 압축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포집부는,
상기 포집부 바디의 하부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 회전부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 구동부로부터 상기 압축 회전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Article 21,
The above chamber part,
It further includes a compression driving unit which is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chamber body and generates power to rotate the compression rotating unit that compresses the dust collected in the first collecting unit;
The above first capturing unit,
A cleaner station further comprising a transmission gear disposed on the lower outer side of the capturing body and coupled to the compression rotating unit to transmit power from the compression driving unit to the compression rotating unit.
상기 바디 커버는,
상면의 일부 영역에 후방-하향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제1 포집부가 상기 챔버 바디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공기 유입구와 대향하도록 위치되는 먼지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Article 22,
The above body cover,
A backward-facing slope is formed in some areas of the upper surface,
On the above slope,
A cleaner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a dust inlet is formed so as to be positioned opposite the air inlet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llect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body.
상기 챔버부는,
상기 공기 유입구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포집부 수용 공간을 향해 자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된 살균모듈이 장착되는 살균모듈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Article 10,
The above chamber part,
A cleaner station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sterilizing module mounting portion, which is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the air inlet and is equipped with a sterilizing module configured to irradiate ultraviolet light toward the collecting unit receiving space.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8/574,533 US20240285138A1 (en) | 2021-07-09 | 2022-07-08 | Cleaner station |
EP22838037.4A EP4368085A4 (en) | 2021-07-09 | 2022-07-08 | VACUUM CLEANING STATION |
PCT/KR2022/009912 WO2023282685A1 (en) | 2021-07-09 | 2022-07-08 | Vacuum cleaner station |
TW111125810A TWI835196B (en) | 2021-07-09 | 2022-07-08 | Cleaner st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2163219881P | 2021-07-09 | 2021-07-09 | |
US63/219,881 | 2021-07-0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9839A KR20230009839A (en) | 2023-01-17 |
KR102712603B1 true KR102712603B1 (en) | 2024-10-04 |
Family
ID=8511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3343A Active KR102712603B1 (en) | 2021-07-09 | 2022-07-06 | Cleaner station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712603B1 (en) |
CN (2) | CN117956935A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5774B1 (en) * | 2005-07-22 | 2007-05-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obot Cleaner and Charging Station and Cleaning System |
KR100947361B1 (en) * | 2007-07-23 | 2010-03-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acuum cleaner |
JP2018500998A (en) | 2014-12-24 | 2018-01-18 | アイロボット コーポレイション | Discharge station |
KR102161708B1 (en) * | 2020-01-09 | 2020-10-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Statio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5692B1 (en) | 2004-11-05 | 2006-07-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luetooth communication function |
KR100871487B1 (en) * | 2006-05-23 | 2008-12-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ow to control the vacuum cleaner |
JP2021531108A (en) * | 2018-07-20 | 2021-11-18 | シャークニンジャ オペレーティング エルエルシー | Robot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
KR20210019940A (en) * | 2020-06-22 | 2021-02-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tation for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2022
- 2022-07-06 KR KR1020220083343A patent/KR102712603B1/en active Active
- 2022-07-08 CN CN202280048682.6A patent/CN117956935A/en active Pending
- 2022-07-08 CN CN202280047726.3A patent/CN117597055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5774B1 (en) * | 2005-07-22 | 2007-05-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obot Cleaner and Charging Station and Cleaning System |
KR100947361B1 (en) * | 2007-07-23 | 2010-03-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acuum cleaner |
JP2018500998A (en) | 2014-12-24 | 2018-01-18 | アイロボット コーポレイション | Discharge station |
KR102161708B1 (en) * | 2020-01-09 | 2020-10-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St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7597055A (en) | 2024-02-23 |
KR20230009844A (en) | 2023-01-17 |
KR20230009839A (en) | 2023-01-17 |
CN117956935A (en) | 2024-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065499A1 (en) |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US20240277197A1 (en) | Cleaner station and cleaner system | |
KR102712603B1 (en) | Cleaner station | |
KR102814501B1 (en) | Cleaner station and the dust collection method using the cleaner station | |
US20240423430A1 (en) | Clean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102830241B1 (en) | Cleaner station | |
KR102723505B1 (en) | Cleaner station | |
KR20250105351A (en) | Cleaner station | |
EP4368085A1 (en) | Vacuum cleaner station | |
US20240315510A1 (en) | Cleaner station | |
TWI857797B (en) | Cleaner station | |
US20240285137A1 (en) | Clean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102744658B1 (en) | Cleaner station | |
KR102787917B1 (en) | Cleaner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240082734A (en) | Cleaner station | |
CN120302916A (en) | Base station of dust collector | |
KR20250017652A (en) | Cleaner system | |
KR20240138847A (en) | Cleaner station | |
KR20240086275A (en) | Cleaner station and the dust collection method using the cleaner station | |
KR20230133655A (en) | Cleaner station | |
KR20240134578A (en) | Cleaner st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