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2000B1 - Rainwater storage linked to boundary stone - Google Patents

Rainwater storage linked to boundary st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2000B1
KR102712000B1 KR1020210119164A KR20210119164A KR102712000B1 KR 102712000 B1 KR102712000 B1 KR 102712000B1 KR 1020210119164 A KR1020210119164 A KR 1020210119164A KR 20210119164 A KR20210119164 A KR 20210119164A KR 102712000 B1 KR102712000 B1 KR 102712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bed
rainwater
boundary stone
bed boundary
n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1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36388A (en
Inventor
강준석
조준영
김재경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19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2000B1/en
Publication of KR20230036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3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2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200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adapted to be used with ker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3Naturals or landscape retention bodies, e.g. pon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단의 경계부를 따라 설치되고,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화단 경계석; 상기 화단 경계석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입수구; 및 상기 화단 경계석의 하측에 형성되는 빗물 저류조를 포함하고, 상기 화단 경계석의 내부에 중공부가 마련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해 입수된 빗물은 상기 중공부를 경유하여 상기 빗물 저류조로 집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storage facility connected to a flower bed boundary stone, comprising: a flower bed boundary stone installed along the boundary of a flower bed and protruding upward from the ground; an inle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and a rainwater storage tank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wherein a hollow portion is provided inside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and rainwater collected through the inlet portion passes through the hollow portion and is collected into the rainwater storage tank.

Description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RAINWATER STORAGE LINKED TO BOUNDARY STONE}Rainwater storage facility linked to flower bed boundary stone {RAINWATER STORAGE LINKED TO BOUNDARY STONE}

본 발명은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retention facility connected to a flower bed boundary stone.

빗물저류시설은 관거 및 하수도에서 수용할 수 있는 통수량을 초과하는 빗물을 지하에 저장하여 빗물의 직접 유출량을 저감하거나 유출 시간을 지연시키는 시설이다. 빗물저류시설은 물 부족과 침수피해에 대비하기 위해 비가 올 때 빗물을 모아서 생활용수, 청소용수, 소방용수, 조경용수 등으로 사용하고 가뭄 시에는 하천으로 방류함으로서 홍수피해와 가뭄피해를 줄일 수 있다. Rainwater storage facilities are facilities that store rainwater that exceeds the capacity of pipes and sewers underground to reduce the direct runoff of rainwater or delay the runoff time. Rainwater storage facilities collect rainwater when it rains to use it for domestic water, cleaning water, firefighting water, and landscaping water, and release it into rivers during droughts, thereby reducing flood damage and drought damage.

기존의 빗물저류시설은 단순한 형태의 배럴(barrel)로 구성되어 있다. 빗물이용시설 설치관리 가이드북에 따른 운영현황 비교 분석을 참고하면 빗물이용시설의 80% 이상은 조경용, 청소용, 화장실용수로 사용된다. 하지만, 집수시설과 이용시설 간의 거리가 멀어 그 이용 실효성이 낮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Existing rainwater storage facilities are composed of simple barrels.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perating status according to the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y installation and management guidebook, more than 80% of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are used for landscaping, cleaning, and toilet use. However, the distance between the collection facility and the utilization facility is far, so the effectiveness of utilization is evaluated as low.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빗물이용시설을 조금 더 유용하고, 이용시설에서 근접한 형태로 설계된,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을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Accordingl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ducted a long period of research and trial and error on a rainwater storage facility connected to a flower bed boundary stone, designed to be a little more useful and closer to the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y, and finally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빗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inwater storage facility connected to a flower bed boundary stone that can efficiently use rainwater.

본 발명의 목적은 토목, 조경, 그린인프라 분야에서 다각도로 사용할 수 있는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inwater retention facility linked to a flower bed boundary stone tha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in the fields of civil engineering, landscaping, and green infrastructure.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Meanwhile, other unspecified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dditionally considered within a range tha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its effec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화단의 경계부를 따라 설치되고,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화단 경계석; 상기 화단 경계석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입수구; 및 상기 화단 경계석의 하측에 형성되는 빗물 저류조를 포함하고, 상기 화단 경계석의 내부에 중공부가 마련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해 입수된 빗물은 상기 중공부를 경유하여 상기 빗물 저류조로 집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ainwater storage facility connected to a flower bed boundary stone is provided, including: a flower bed boundary stone installed along a boundary of a flower bed and protruding upward from the ground; an inle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and a rainwater storage tank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wherein a hollow portion is provided inside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and rainwater collected through the inlet portion is collected into the rainwater storage tank via the hollow portion.

상기 화단 경계석은 콘크리트 및 지오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flower bed boundary stone can be formed from materials including concrete and geotextile.

상기 화단 경계석의 중공부에 설치되어 빗물 내 함유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flower bed boundary stone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section installed in the hollow spac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rainwater.

상기 필터부는 상하로 신축 가능할 수 있다. The above filter part can be expanded vertically.

상기 필터부는, 상기 중공부 내에 위치하는 제1 네트; 및 상기 제1 네트 하측에 결합되는 제2 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filter portion may include a first net positioned within the hollow portion; and a second net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first net.

상기 제2 네트의 횡단면적은 하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net may become smaller as it goes downward.

상기 빗물 저류조에서 상기 화단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빗물 저류조에 집수된 빗물을 상기 화단 측으로 이동시키는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rainwater storage tank may further include a pipe extending toward the flower bed to move rainwater collected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toward the flower bed.

상기 화단 경계석은 상기 화단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The above flower bed boundary stones can be installed on each side of the flower bed.

상기 화단의 측부에 건축물이 설치되고, 상기 건축물로부터 유출되는 빗물이 상기 입수구로 입수되고, 상기 빗물 저류조의 부피는 상기 건축물의 대지면적에 0.08을 곱하여 결정될 수 있다.A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above flower bed, rainwater flowing out of the structure is collected into the inlet, and the volume of the rainwater retention tank can be determined by multiplying the site area of the structure by 0.08.

본 발명에 따른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에 의하면 빗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ainwater retention facility connected to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ainwater can be used efficiently.

본 발명에 따른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에 의하면 기존에 비해 집수량 및 저류량이 증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rainwater retention facility connected to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collection amount and storage amount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existing ones.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Meanwhile, it is added that even if an effect is not explicitly mentioned herein, the effect and its provisional effect described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eated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의 물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에 필터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신축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Figure 1 is a drawing showing a rainwater retention facility connected to a flower bed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rawing showing the flow of water in a rainwater retention facility connected to a flower bed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ter unit is installed in a rainwater retention facility connected to a flower bed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rawing showing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nd FIG. 6 are drawings show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a filte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ttached drawings are provided for reference only to help understand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functions that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rainwater retention facility connected to a flower bed boundary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drawing number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의 물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drawing showing a rainwater retention facility connected to a flower bed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rawing showing the flow of water in a rainwater retention facility connected to a flower bed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은 화단(10) 주변부에 설치되어 빗물을 저류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은 화단 경계석(100), 입수구(200), 빗물 저류조(300)를 포함할 수 있다.A rainwater storage facility connected to a flower bed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round a flower bed (10) to store rainwater. Referring to FIGS. 1 and 2, a rainwater storage facility connected to a flower bed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a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an inlet (200), and a rainwater storage tank (300).

화단 경계석(100)은 화단(10)의 경계부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화단(10)은 흙과 나무, 꽃 등의 식물(1)을 포함할 수 있다. 화단(10)은 도로나 인도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화단(10)은 도로나 인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화단(10)의 경계부는 화단(10)의 가장자리로서, 도로나 인도에서 화단(10)이 구분되는 지점이라 할 수 있다. 화단 경계석(100)은 화단(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A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may be installed along the boundary of a flower bed (10). The flower bed (10) may include soil and plants (1) such as trees and flowers. The flower bed (10) may be installed on a road or sidewalk. The flower bed (10) may be formed long along the length of the road or sidewalk. The boundary of the flower bed (10) may be the edge of the flower bed (10) and may be referred to as the point where the flower bed (10) is separated from the road or sidewalk.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may be installed long and continuously along the length of the flower bed (10).

화단 경계석(100)은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화단 경계석(100)이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면, 돌출된 만큼 내부의 빗물 수용량이 증대될 수 있다. 화단 경계석(100)은 화단(10)보다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화단(10)이 화단 경계석(10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ground. I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protrudes upward from the ground, the amount of rainwater that can be absorbed inside may increase.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flower bed (10). In this case, the flower bed (10) may be protected by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또한, 화단 경계석(100)은 화단(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화단 경계석(100)이 화단(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경우, 화단(10)은 양측의 화단 경계석(100) 사이에 위치하고, 상측으로 돌출된 화단 경계석(1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 경우, 화단(10)이 화단 경계석(10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s (100) can be installed on each side of the flower bed (10). When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s (100) are installed on each side of the flower bed (10), the flower bed (10) can be surrounded by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s (100) positioned between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s (100) on both sides and protruding upward. In this case, the flower bed (10) can be protected by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s (100).

화단 경계석(100)은 반(半) 암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박스(박스형 컬버트(culvert))의 절반으로서 그 종단면이 'ㄷ'자일 수 있다. 화단 경계석(100)의 내부에는 중공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 화단 경계석(100)은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중공부(110) 역시 지면보다 높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화단 경계석(100)의 빗물 수용량이 증대될 수 있다.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may be formed in a semi-culvert shape. That is, it may be half of a box (box-shaped culvert) and its cross section may be in the shape of the letter 'ㄷ'. A hollow part (1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Since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protrudes upward from the ground, the hollow part (110) may also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ground. Accordingly, the rainwater capacity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may be increased.

화단 경계석(100)은 콘크리트 및 토목섬유(geosynthetics)를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토목섬유는 지오텍스타일(geotextile), 지오그리드(geogrid), 지오컴포지트(geocomposite), 지오멤브레인(geomembra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오텍스타일은 십자형태로 교차한 행태의 섬유모양을 가지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오그리드는 격자모양으로 이루어져 구멍이 있으며, 폴리프로필렌, PV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오컴포지트는 여러 섬유가 복합된 것으로 복합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오멤브레인은 시트 형태로 형성되며 PVC, HDPE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including concrete and geosynthetics. The geosynthetics may include geotextile, geogrid, geocomposite, geomembrane, etc. The geotextile has a fiber shape that intersects in a cross shape and may be made of polypropylene or polyester. The geogrid has a grid shape and has holes and may be made of polypropylene or PVC. The geocomposite is a composite material in which various fibers are combined. The geomembrane is formed in a sheet shape and may be made of PVC or HDPE.

예를 들어, 화단 경계석(100)은 콘크리트 및 지오텍스타일(geotextile)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오텍스타일은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보강하고, 침식에 대한 저항성을 높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lower bed border stone (100) can be formed of a material including concrete and geotextile. The geotextile can reinforc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ncrete and increase resistance to erosion.

입수구(200)는 빗물(우수)이 유입되기 위한 구멍 또는 통로로서, 화단 경계석(10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입수구(200)는 지면과 닿도록 화단 경계석(100)의 외측면의 최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입수구(200)는 화단 경계석(100)의 중공부(11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입수구(200)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입수구(200)는 화단 경계석(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let (200) is a hole or passage for rainwater (rainwater) to flow in, and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The inlet (200) may be formed at the lowest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so as to touch the ground. The inlet (200) may open the hollow portion (110)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The inlet (200) may be formed in a square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inlet (200) may be formed in multiple pla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빗물(W)은 지면(G)을 따라 흐르다가 입수구(200)로 유입될 수 있다. 입수구(200)로 유입된 빗물(W)은 화단 경계석(100)의 중공부(110)를 경유하여 지하로 유입될 수 있다.Rainwater (W) can flow along the ground (G) and then flow into the inlet (200). Rainwater (W) flowing into the inlet (200) can flow underground through the hollow portion (110)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빗물 저류조(300)는 화단 경계석(100)의 하측에 위치하여 빗물을 수용할 수 있다. 빗물 저류조(300)는 화단 경계석(100) 하측의 지하에 설치될 수 있다. 빗물 저류조(300)는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빗물 저류조(300)는 화단 경계석(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빗물 저류조(300)는 복수로 형성되어 화단 경계석(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빗물 저류조(300)는 화단 경계석(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화단 경계석(100)에 구비된 복수의 입수구(200)는 하나의 빗물 저류조(300)로 연결될 수 있다.A rainwater storage tank (300) is located below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and can receive rainwater. The rainwater storage tank (300) can be installed underground below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The rainwater storage tank (300) can be formed in a square box shape. The rainwater storage tank (300) can b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The rainwater storage tanks (300) can be formed in multiple number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Alternatively, the rainwater storage tanks (300) can be installed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In this case, multiple inlets (200) provided in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can be connected to one rainwater storage tank (300).

화단 경계석(100)이 화단(10)의 양측에 설치되는 경우, 빗물 저류조(300) 역시 화단(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양측에 각각 설치된 빗물 저류조(300)의 높이는 지면의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When flower bed boundary stones (10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lower bed (10), rainwater storage tanks (300) can also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lower bed (10). The heights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s (300) installed on both side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ground.

빗물(W)은 지면(G)을 따라 이동하여 화단 경계석(100)의 입수구(200)로 유입되어 화단 경계석(100)의 중공부(110)를 경유하여 빗물 저류조(300)로 집수될 수 있다. 빗물 저류조(300)에 의하면 지면(G) 상의 우수량이 많더라도 지상이 침수되지 않을 수 있다.Rainwater (W) can move along the ground (G) and flow into the inlet (200)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and be collected in a rainwater storage tank (300) via the hollow space (110)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According to the rainwater storage tank (300), even if the amount of rainwater on the ground (G) is large, the grou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flooded.

한편, 지면(G)은 화단 경계석(100) 측으로 하향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경사각은 2°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사진 지면에 의하면, 빗물(W)의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Meanwhile, the ground (G) may have a downward slope toward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The slope angle may be 2° or more. With such a sloped ground, the movement of rainwater (W) may be facilitated.

화단(10)의 측부에는 건축물(B)이 설치될 수 있다. 빗물(W)이 건축물(B)로 낙하하면, 빗물(W)은 건축물(B) 옥상으로부터 소정의 경로를 통해 건축물(B)에서 외부로 유출되며, 이렇게 유출된 빗물(W)은 화단 경계석(100)의 입수구(200)로 유입되어 빗물 저류조(300)로 집수될 수 있다. A building (B)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a flower bed (10). When rainwater (W) falls onto the building (B), the rainwater (W) flows out from the roof of the building (B) to the outside through a predetermined path, and the rainwater (W) thus flowed out flows into the inlet (200)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and can be collected in a rainwater storage tank (300).

빗물 저류조(300)의 부피는 건축물(B)의 대지면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빗물 저류조(300)의 부피(m3)는 건축물(B)의 대지면적(m2)에 0.08(m)을 곱하여 결정될 수 있다. 0.08의 수치는 SWMM Optimization 모델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The volume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300)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and area of the building (B). For example, the volume (m 3 )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300) can be determined by multiplying the land area (m 2 ) of the building (B) by 0.08 (m). The value of 0.08 can be calculated by the SWMM Optimization model.

화단(10)의 일측에 건축물(B)이 설치되고, 화단(10)의 반대측에 도로나 인도가 설치될 수 있다. 화단 경계석(100)이 화단(10)의 양측에 설치되는 경우, 한 쪽의 화단 경계석(100)은 건축물(B)로부터 유출되는 빗물을 수용하고, 다른 쪽의 화단 경계석(100)은 도로나 인도에서 유출되는 빗물을 수용할 수 있다.A building (B)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a flower bed (10), and a road or sidewalk may be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lower bed (10). When flower bed boundary stones (10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lower bed (10),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on one side can receive rainwater flowing out from the building (B), and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on the other side can receive rainwater flowing out from the road or sidewal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은 파이프(40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400)에 의하면 빗물 저류조(300)의 통수능이 향상될 수 있다.A rainwater retention facility connected to a flower bed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ipe (400). According to the pipe (400), the water permeability of the rainwater retention tank (300) may be improved.

파이프(400)는 빗물 저류조(300)에서 화단(10) 측으로 연장되어 빗물 저류조(300)에 집수된 빗물을 화단(1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파이프(400)는 빗물 저류조(300)의 화단(10)과 인접한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파이프(400)의 일단은 빗물 저류조(300)에 위치하고, 타단은 화단(10)(화단(10) 아래의 지반)에 위치할 수 있다.The pipe (400) can extend from the rainwater storage tank (300) toward the flower bed (10) and move rainwater collected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300) toward the flower bed (10). The pipe (400) can be connected to a side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300) adjacent to the flower bed (10). One end of the pipe (400) can be located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300), and the other end can be located in the flower bed (10) (ground under the flower bed (10)).

강우가 발생하여 빗물이 빗물 저류조(300)로 집수되는 경우, 빗물 저류조(300)에 기준치 이상의 빗물이 집수되면 상기 기준치를 초과하는 빗물은 파이프(400)를 통해 화단(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빗물은 화단(10)의 식물(1)에 공급될 수 있다.When rainfall occurs and rainwater is collected in a rainwater storage tank (300), if rainwater exceeding a standard amount is collected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300), the rainwater exceeding the standard amount can be moved to the flower bed (10) through a pipe (400). This rainwater can be supplied to the plants (1) in the flower bed (10).

화단 경계석(100)이 화단(10)의 양측에 설치되는 경우, 빗물 저류조(300) 역시 화단(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파이프(400) 역시 각각의 빗물 저류조(300)에 설치될 수 있다. 양측에 각각 설치된 파이프(400)는 화단(10) 측으로 내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When flower bed boundary stones (10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lower bed (10), rainwater storage tanks (300) are also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lower bed (10), and pipes (400) can also be installed in each rainwater storage tank (300). The pipes (400) installed on both sides can be installed so as to face inward toward the flower bed (1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에 필터부(50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5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500)의 신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ter unit (500) is installed in a rainwater storage facility connected to a flower bed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rawing showing a filter uni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and 6 are drawings show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a filter uni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은 필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rainwater storage facility connected to a flower bed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lter unit (500).

필터부(500)는 화단 경계석(100)의 중공부(110)에 설치되어 빗물 내 함유된 이물질(쓰레기, 협잡물 등)을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부(500)는 그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빗물이 화단 경계석(100)의 중공부(110)를 경유할 때 필터부(500)를 통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빗물에 함유된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The filter part (500) is installed in the hollow part (110)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and can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trash, foreign substances, etc.) contained in rainwater. The filter part (500) can be formed in a mesh structure. When rainwater passes through the hollow part (110)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it can pass through the filter part (500), and thu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ainwater can be filtered out.

필터부(500)는 화단 경계석(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500)는 복수로 형성되어 화단 경계석(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500) can be arrang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The filter unit (500) can be formed in multiple numbers and arrang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필터부(500)는 프레임(F), 유입망(N1) 및 거름망(N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F)은 필터부(500)의 전체적인 틀을 제공하고, 유입망(N1)은 프레임(F)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빗물이 유입망(N1)을 통해 필터부(500) 내부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 거름망(N2)은 유입망(N1)에 비해 촘촘하게 형성되어 빗물 내 이물질을 거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필터부(500)의 적어도 일면은 거름망(N2)으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유입망(N1)은 필터부(500)의 상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름망(N2)은 필터부(500)의 하단(또는 최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500) may include a frame (F), an inlet net (N1), and a strainer (N2). The frame (F) provides an overall frame of the filter unit (500), and the inlet net (N1) is formed to surround the frame (F) so that rainwater can flow into the filter unit (500) through the inlet net (N1). The strainer (N2) is formed more densely than the inlet net (N1) so as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rainwater.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lter unit (500) is formed of the strainer net (N2), and for example, the inlet net (N1) may be formed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500). For example, the strainer net (N2)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r the lowest surface) of the filter unit (500).

필터부(500)의 적어도 일면은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으며, 필터부(500)의 적어도 일면이 개방되어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 필터부(500)는 개폐를 조절하기 위한 체결유닛(530)을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side of the filter unit (500) can open and close the internal space, and at least one side of the filter unit (500) can be opened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The filter unit (500) can include a fastening unit (530)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도 4를 참조하면, 필터부(500)는 복수의 층으로 구획될 수 있다. 필터부(500)는 하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지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500)는 프레임(F), 유입망(N1) 및 거름망(N2)을 포함하되, 거름망(N2)은 복수로 형성되고 서로 다른 층을 구획할 수 있다. 복수의 거름망(N2)의 구멍 크기는 하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to FIG. 4, the filter unit (50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ayers. The filter unit (500) may include at least one layer whos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smaller as it goes downward. The filter unit (500) includes a frame (F), an inlet net (N1), and a strainer net (N2), but the strainer nets (N2) may be formed in multiple numbers and may divide different layers. The hole sizes of the multiple strainer nets (N2) may become smaller as they go downwar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필터부(500)가 복수의 층으로 구획되는 경우, 이물질은 각 층에서 필터링될 수 있다. 필터부(500)의 각 층마다 이물질이 독립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각 층의 적어도 일면은 개폐될 수 있다. 또는, 필터부(500)의 각 층마다 쌓인 이물질이 일괄 배출될 수 있도록, 필터부(500)의 일면이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필터부(500)의 A면 전체가 개폐될 수 있다. When the filter unit (500) is divided into multiple layers, foreign substances can be filtered in each layer. At least one side of each layer can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foreign substances can be discharged independently in each layer of the filter unit (500). Alternatively, one side of the filter unit (500) can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each layer of the filter unit (500) can be discharged all at once. For example, in FIG. 4, the entire side A of the filter unit (500) can be opened and closed.

도 5를 참조하면, 필터부(500)는 신축 가능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500)는 폴딩(folding)되어 축소될 수 있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500)는 언폴딩(unfolding)되어 신장할 수 있다. 필터부(500)가 폴딩되면 프레임(F), 유입망(N1), 거름망(N2)이 거의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필터부(500)는 납작해지고, 언폴딩되면 필터부(500)는 상하 방향으로 길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F) 역시 폴딩(folding) 또는 벤딩(bending)이 가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filter unit (500) may be elastic. As shown in FIG. 5(a), the filter unit (500) may be folded and contracted, and as shown in FIG. 5(b), the filter unit (500) may be unfolded and expanded. When the filter unit (500) is folded, the frame (F), the inlet net (N1), and the strainer net (N2) are positioned almost on the same plane, and the filter unit (500) becomes flat, and when unfolded, the filter unit (500) may be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frame (F) may also be folded or bent.

폴딩 가능한 필터부(500)는 이동, 보관, 유지관리 등의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A foldable filter unit (500) may be advantageous in terms of movement, storage, maintenance, etc.

필터부(500)는 제1 네트(net)(510)와 제2 네트(net)(5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500)는 제1 네트(510)와 제2 네트(520)로 구획되고, 제1 네트(510)와 제2 네트(520) 각각은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500) may include a first net (510) and a second net (520). As shown in FIG. 4, the filter unit (500) is divided into a first net (510) and a second net (520), and each of the first net (510) and the second net (520) can accommodate foreign substances.

제1 네트(510)는 화단 경계석(100)의 중공부(110)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네트(510)는 사각형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네트(510)는 복수로 형성되어 화단 경계석(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net (510) may be positioned in the hollow portion (110)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The first net (510) may be formed in a square box shape. The first net (510) may be formed in multiples and arrang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제1 네트(510)는 프레임(F), 유입망(N1), 거름망(N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F)은 직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거름망(N2)은 제1 네트(510)의 최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 외의 망은 유입망(N1)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제1 네트(510)의 적어도 일면은 개폐 가능할 수 있다. 제1 네트(510)의 적어도 일면이 개방되면, 내부에 포집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510)의 측면은 개폐가 가능할 수 있다. The first net (510) may include a frame (F), an inlet net (N1), and a strainer net (N2). The frame (F)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column shape. The strainer net (N2) may be located at the lowermost surface of the first net (510). Other nets may serve as the inlet net (N1). Meanwhile,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net (510) may be openable. Whe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net (510) is opened, foreign substances captured inside may be easily discharged. For example, the side of the first net (510) may be openable.

제2 네트(520)는 제1 네트(51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네트(520)는 화단 경계석(100)의 중공부(110) 및/또는 빗물 저류조(3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네트(520)는 제1 네트(510)의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네트(520)의 횡단면적은 하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제2 네트(520)의 종단면적은 역사다리꼴일 수 있다. The second net (52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net (510). The second net (520) may be located in the hollow part (110)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100) and/or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300). The second net (520) may exten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net (510).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net (520) may become smaller as it goes lower.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net (520) may be an inverse trapezoid.

제2 네트(520)는 프레임(F), 유입망(N1), 거름망(N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F)은 하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지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거름망(N2)은 제2 네트(520)의 최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 외의 망은 유입망(N1)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제2 네트(520)의 적어도 일면은 개폐 가능할 수 있다. 제2 네트(520)의 적어도 일면이 개방되면, 내부에 포집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네트(520)의 측면은 개폐가 가능할 수 있다. The second net (520) may include a frame (F), an inlet net (N1), and a strainer net (N2). The frame (F) may be formed in a square pillar shape with a cross-sectional area that decreases toward the bottom. The strainer net (N2) may be located at the lowest surface of the second net (520). Other nets may function as the inlet net (N1). Meanwhile, at least one side of the second net (520) may be openable. When at least one side of the second net (520) is opened, foreign substances captured inside may be easily discharged. For example, the side of the second net (520) may be openable.

제1 네트(510) 및/또는 제2 네트(520)는 상하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네트(520)는 폴딩-언폴딩 방식으로 신축할 수 있다. 제2 네트(520)는 폴딩(folding)되어 축소될 수 있고, 언폴딩(unfolding)되어 신장할 수 있다. The first net (510) and/or the second net (520) can be stretch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e second net (520) can be stretched in a folding-unfolding manner. The second net (520) can be folded to shrink and unfolded to expand.

제2 네트(520)는 유입망(N1)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서브 프레임(SF)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프레임(SF)은 유입망(N1)을 횡방향으로 둘러싸는 폐쇄형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프레임(SF)은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서브 프레임(SF)은 상하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프레임(SF)은 제2 네트(520)가 폴딩될 때 유입망(N1)의 적어도 일부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econd net (520) may further include a sub-frame (SF) formed to surround the inflow net (N1). The sub-frame (SF) may be formed as a closed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inflow net (N1)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sub-frames (SF) may be formed in multiple numbers, and the multiple sub-frames (SF)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vertically. These sub-frames (SF) may serve to maintain the shap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inflow net (N1) when the second net (520) is folded.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네트(520)는 상측 폴딩되어 축소될 수 있고, 제2 네트(520)의 유입망(N1)은 서로 겹쳐지고, 복수의 서브 프레임(SF)은 거의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네트(520)는 하측 방향으로 언폴딩되어 확장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a), the second net (520) can be folded upward and reduced, the inflow networks (N1) of the second net (520) can overlap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sub-frames (SF) can be positioned on almost the same plan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b), the second net (520) can be unfolded downward and expanded.

제1 네트(510)와 제2 네트(520)는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510)와 제2 네트(520)는 서로 탈거된 후에 각각에 수용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제1 네트(510)와 제2 네트(520)는 서로 탈거된 후에 제1 네트(510)나 제2 네트(520)가 별도로 교체될 수 있다.The first net (510) and the second net (520) may be detachable. For example, after the first net (510) and the second net (520) are detached from each oth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each may be removed. In addition, after the first net (510) and the second net (520) are detached from each other, the first net (510) or the second net (520) may be replaced separately.

상술한 필터부(500)에 의하면 빗물 저류조(300)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빗물 저류조(300)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필터부(500)는 이물질 제거 후 재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일시적으로 많은 양의 빗물이 유입될 것을 대비하여 이물질 퇴적 관리가 필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lter unit (500) described above, since foreign substances do not flow into the rainwater storage tank (300), maintenance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300) is easy, and the filter unit (500) can be reused afte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Meanwhile, management of foreign substance accumulation may be necessary in preparation for a large amount of rainwater flowing in temporari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은 기존의 구도심이나 도시재생 지역에 설치될 수 있다. 즉, 기존 구도심 지역에는 구조물 재설치가 쉽지 않으므로 기존의 화단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단 경계석만 추가하여 빗물을 저장 및 이용할 수 있다. A rainwater storage facility connected to a flower bed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n existing old city center or an urban regeneration area. That is, since it is not easy to reinstall structures in an existing old city center area, rainwater can be stored and used by simply adding a flower bed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existing flower b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에 의하면, 빗물에 의한 지상 침수가 방지되고, 빗물이 화단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화단 주변의 건축물로 유입시켜 빗물을 활용할 수 있다. 화단 및 건축물은 빗물 저류조와 근접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빗물 이용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ainwater retention facility connected to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ound flooding due to rainwater is prevented, rainwater can be efficiently utilized in the flower bed, and rainwater can be utilized by flowing into a building around the flower bed as needed. Since the flower bed and the building are located close to the rainwater retention tank, the efficiency of rainwater utilization can be increas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은 화단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넓은 공간을 빗물저류시설로 활용할 수 있고 집수량도 증대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rainwater storage facility connected to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long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lower bed, a wide space can be utilized as the rainwater storage facility and the amount of water collected can also be increased.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and expression of the embodiments explicitly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is added once again tha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due to obvious changes or substitution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10: 화단
100: 화단 경계석
110: 중공부
200: 입수구
300: 빗물 저류조
400: 파이프
500: 필터부
510: 제1 네트
520: 제2 네트
F: 프레임
SF: 서브 프레임
N1: 유입망
N2: 거름망
B: 건축물
G: 지면
W: 빗물
10: Flower bed
100: Flower bed boundary stone
110: The Central Department
200: Inlet
300: Rainwater retention tank
400: Pipe
500: Filter section
510: 1st net
520: 2nd net
F: Frame
SF: Sub Frame
N1: Inflow network
N2: Strainer
B: Building
G: Ground
W: Rainwater

Claims (9)

화단의 경계부를 따라 설치되고,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화단 경계석;
상기 화단 경계석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입수구; 및
상기 화단 경계석의 하측에 형성되는 빗물 저류조를 포함하고,
상기 화단 경계석의 내부에 중공부가 마련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해 입수된 빗물은 상기 중공부를 경유하여 상기 빗물 저류조로 집수되고,
상기 화단 경계석의 중공부에 설치되어 빗물 내 함유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하로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
A flower bed boundary stone installed along the border of a flower bed and protruding upward from the ground;
A water inlet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and
Including a rainwater retention tank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A hollow space is provided inside the above flower bed boundary stone, and rainwater received through the above inlet is collected into the above rainwater storage tank via the above hollow space.
It further includes a filter section installed in the hollow part of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rainwater.
The above filter part is characterized by being expandable up and down.
Rainwater retention facility connected to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단 경계석은 콘크리트 및 지오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flower bed boundary ston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material including concrete and geotextile.
Rainwater retention facility connected to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중공부 내에 위치하는 제1 네트; 및
상기 제1 네트 하측에 결합되는 제2 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filter part,
a first net located within the above hollow portion; and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econd net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net;
Rainwater retention facility connected to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의 횡단면적은 하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
In paragraph 5,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net is characterized by decreasing toward the bottom.
Rainwater retention facility connected to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저류조에서 상기 화단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빗물 저류조에 집수된 빗물을 상기 화단 측으로 이동시키는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
In the first paragraph,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pipe extending from the rainwater storage tank toward the flower bed and moving the rainwater collected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toward the flower bed.
Rainwater retention facility connected to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단 경계석은 상기 화단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flower bed boundary stones are characterized by being installed on each side of the flower bed.
Rainwater retention facility connected to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단의 측부에 건축물이 설치되고,
상기 건축물로부터 유출되는 빗물이 상기 입수구로 입수되고,
상기 빗물 저류조의 부피는 상기 건축물의 대지면적에 0.08을 곱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
In the first paragraph,
A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above flower bed,
Rainwater flowing out from the above building enters the above inlet,
The volume of the above rainwater storage tank is determined by multiplying the land area of the above building by 0.08,
Rainwater retention facility connected to the flower bed boundary stone.
KR1020210119164A 2021-09-07 2021-09-07 Rainwater storage linked to boundary stone Active KR1027120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164A KR102712000B1 (en) 2021-09-07 2021-09-07 Rainwater storage linked to boundary st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164A KR102712000B1 (en) 2021-09-07 2021-09-07 Rainwater storage linked to boundary st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388A KR20230036388A (en) 2023-03-14
KR102712000B1 true KR102712000B1 (en) 2024-09-27

Family

ID=85502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164A Active KR102712000B1 (en) 2021-09-07 2021-09-07 Rainwater storage linked to boundary st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200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238Y1 (en) * 2005-05-23 2005-10-20 오산시 Rain drain eqipment
KR100991175B1 (en) * 2009-12-31 2010-11-01 (주)비포엔지니어링 Device for decreasing non-point pollutant of roa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579B1 (en) * 2015-11-23 2017-09-14 어스그린코리아(주) a manufacture method of easy boundary stone penetration of rainwater and storage and the boundary stone using the method
KR102374890B1 (en) * 2019-04-18 2022-03-16 한국섬유소재연구원 Three-Dimensional Geotextile Having Low-Elasticity And High Tensile-Strengt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238Y1 (en) * 2005-05-23 2005-10-20 오산시 Rain drain eqipment
KR100991175B1 (en) * 2009-12-31 2010-11-01 (주)비포엔지니어링 Device for decreasing non-point pollutant of ro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388A (en)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9579B1 (en) Curb inlet filter
US20040200767A1 (en) Curb-and-grate inlet filter
KR100952192B1 (en) Water pocket well for infiltrating a rainwater
US20090279954A1 (en) Debris and sediment reduction apparatus for water drainage systems
CN106245734A (en) The urban road rainwater-collecting improved, the system of regulating and storing conserving greenery patches
JP5791287B2 (en) Rainwater storage facility
CN110042724A (en) Collapsible Loess District road sponge facility rainwater catchment system and exhaust system
CN113175050A (en) Sponge urban rainwater collection and utilization system
KR101043661B1 (en) Underground type rainwater drainage device
KR101023537B1 (en) Rainwater Quality Improvement Treatment System
KR100834551B1 (en) Stormwater Reduction Device
CN204510423U (en) A kind of foldable roof drain pollutant interception
KR101510615B1 (en) Penetra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2712000B1 (en) Rainwater storage linked to boundary stone
KR102717856B1 (en) Rainwater storage linked to boundary stone in new town
KR101715196B1 (en) Unclogging Surface Filtering Elastic block
KR101374622B1 (en) A street tree box having function of sinking prevention
KR102076296B1 (en) Rain-water retaining system for vegetation penetration
US11585079B2 (en) Method to enhance solids and liquids flow through a stormwater containment volume
CN213446509U (en) Rainwater collecting and utilizing system for urban viaduct
CN212877006U (en) Water-saving municipal road rainwater irrigation system
DE10114053C2 (en) Road drainage system
KR100799733B1 (en) Storm water storage device
JP3157131B2 (en) Sludge / garbage runoff control type gutter structure
KR101196227B1 (en) Rainwater recycl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