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1082B1 - 배터리재료 추잔액에서 조제 탄산 리튬을 회수해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재료 추잔액에서 조제 탄산 리튬을 회수해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1082B1
KR102711082B1 KR1020210125166A KR20210125166A KR102711082B1 KR 102711082 B1 KR102711082 B1 KR 102711082B1 KR 1020210125166 A KR1020210125166 A KR 1020210125166A KR 20210125166 A KR20210125166 A KR 20210125166A KR 102711082 B1 KR102711082 B1 KR 102711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battery material
carbonate
lithium carbonate
recove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0396A (ko
Inventor
옌페이 펑
슈아이 타오
팡링 장
궈넝 뤼
광화 탕
량 양
칭산 루어
Original Assignee
취저우 화여우 리소시스 리사이클링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저지앙 후아유 코발트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취저우 화여우 리소시스 리사이클링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저지앙 후아유 코발트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취저우 화여우 리소시스 리사이클링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40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1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108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15/00Lithium compounds
    • C01D15/08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5/00Sulfates or sulfit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5/02Preparation of sulfates from alkali metal salts and sulfuric acid or bisulfates; Preparation of bi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6/00Obtaining alkali,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22B26/10Obtaining alkali metals
    • C22B26/12Obtaining lith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재료 추잔액(raffinate)에서 조제(crude) 탄산 리튬을 회수해 제조하는 방법을 공개한다. 본 발명은 지르코늄 기반 불소제거제를 이용해 배터리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추잔액 중에 진입하게 되는 불소를 제거하고, 증발과 분리를 통해 황산나트륨 제품을 얻고, 순환 모액을 증발하고 탄산염을 첨가해 리튬을 침강시키고, 리튬을 침강시키는 과정에서는 리튬침강전 액체를 멀티드롭 분산하여 첨가하는 방식을 이용해 탄산 리튬 제품 중의 나트륨 함유량을 줄인다. 본 발명은 공정 과정이 짧고, 제품에 불순물이 적고, 리튬 침강 모액의 내부 순환 이용을 구현하고 생산원가가 낮은 등 특징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이 제조하는 탄산 리튬-나트륨 함유량은 0.1wt%보다 적고, 탄산 리튬의 주요 함량이 98.50wt%보다 높고, 불소 함유량이 0.020wt%보다 낮고, 각 지표가 인더스트리얼 그레이드(industrial grade) 탄산 리튬의 수준 요구를 만족시킨다.

Description

배터리재료 추잔액에서 조제 탄산 리튬을 회수해 제조하는 방법 {METHOD FOR RECOVERING AND MANUFACTURING CRUDE LITHIUM CARBONATE FROM THE BATTERY METERIAL RAFFINATE}
본 발명은 습식 야금 기술분야에 속하고, 상세하게는, 저-리튬 고-나트륨의 배터리재료 추잔액(raffinate)에서 저원가로 저-나트륨 저-불소의 조제(crude) 탄산 리튬을 제조하여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년간 국가는 신에너지산업을 전력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리튬 이온 배터리는 가장 각광받는 이차 배터리로서, 양호한 발전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현재는 동력 배터리가 폐기되는 시기에 놓여져 있고, 대량의 폐기 배터리가 시장에 유입하게 되고, 배터리 중의 니켈, 코발트, 망간, 리튬 등 유가금속의 회수는 한정된 자원을 회수해 순환 이용하고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큰 계획이다.
고온건식법이 오염이 많고 자원이용율이 낮은 등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배터리재료 중의 니켈, 코발트, 망간 등 유가금속은 통상적으로 침출, 추출 등의 습식 공법으로 회수해 이용한다. 경금속인 리튬은 추출을 통해 회수하기 어렵지만, 리튬 금속이 탄산염과 결합하면 침전이 형성되는 특성에 의해, 탄산염을 첨가함으로써, 잔액 중의 리튬 금속을 회수해 추출할 수 있다.
폐기된 리튬 이온 동력 배터리 중의 리튬 함유량은 5%~7%이고, 미리 처리와 침출 및 추출을 거쳐 코발트, 니켈과 망간을 회수한 후에 최종적으로 추출 잔액 중에 진입하는 리튬의 함유량이 아주 적고, 나트륨의 함유량이 아주 높고, 나트륨과 리튬의 비율이 높아 무려 18~22:1에 달하여 저-리튬 고-나트륨 함유량의 추출 잔액을 직접 탄산염 리튬 침강 공법에 이용할 수 없다.
중국 특허공개번호가 CN108002410B인 발명은 테일 워터에서 회수한 리튬을 저함유량으로 추출하고 테일 워터를 추출하는 순환이용방법을 공개하였는 데, 해당 발명은 테일 워터의 리튬 추출 및 산업 폐수 순환이용기술에 관한 것이다. 해당 특허는 추출 잔액에 칼슘을 첨가하고, 불소를 제거하고, 결정을 증발시키고, 리튬을 침전하고 침강해 리튬 회수를 실현한다. 해당 특허는, 불소제거제가 칼슘을 선택하고 불소를 제거하는 불소 제거의 효율이 낮고, 불소 제거의 찌거기 수량이 많고, 인 제거 공법이 존재하지 않고(추출 잔액 중에 함유된 인이 비교적 많음), 먼저 결정을 형성해 불순물을 제거한 후, 이어서, 리튬을 침강시키는 공법을 선정하여 황산나트륨 중의 불순물이 많은 편이고, 탄산 리튬 제품 중의 나트륨 함유량이 많고, 주요 함량이 낮은 편인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저-리튬 고-나트륨의 배터리재료 추잔액(raffinate)에서 저-나트륨 저-불소의조제(crude) 탄산 리튬울 제조해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해 리튬 침강 효율을 향상하고, 리튬 추출의 생산원가를 효과적으로 줄여 배터리재료 추잔액 중 리늄의 순환 이용을 실현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에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기술방안을 이용하여 배터리재료 추잔액에서 조제 탄산 리튬을 회수해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해당 방법은,
1) 배터리재료 추잔액에 지르코늄 기반 불소제거제를 첨가해 불소를 제거하여 불소 함유량이 3mg/L보다 적은 불소제거 후의 액체를 얻는 불소제거단계;
2) 불소제거 후의 액체에 대해 인 제거제를 통해 인 제거를 진행하고, 얻은 찌꺼기는 교반, 세척, 압출과 여과를 거친 후 폐기하는 인 제거 단계;
3) 인을 제거한 후의 액체에 액체 보조재를 첨가하여 중금속을 침강하고, 중금속을 침전시킨 후, 압출 여과와 분리를 통해 중금속 침강 모액과 중금속 침강 찌꺼기를 얻는 중금속을 침강 하는 단계;
4) 중금속 침강 모액에 산성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산성까지 조절하고, 잔존 탄산기를 제거한 후에 알칼리성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중성까지 조절하는 산성-알칼리성 조절 단계;
5) 산성-알칼리성 조절 후의 배터리재료 추잔액을 이중효과 순환 증발을 통해 황산나트륨을 석출해 내는 동시에, 리튬 농도를 향상시키는 증발 농축 단계;
6) 단계 5)에서 얻은 농축 모액에 탄산염을 첨가하고 리튬 침강을 진행하고, 여과와 분리를 거친 후에 조제 탄산 리튬 제품을 얻는 리튬 침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재료 추잔액에서, Li 함유량은 0.5~5g/L이고, 나트륨 함유량은 30~80g/L이고, 중금속 함유량은 0.5~2g/L이고, 불소 함유량은 50~150mg/L이고, 인 함유량은 30~60mg/L이다.
더 나아가, 단계 1)에서, 상기 지르코늄 기반 불소제거제는 흡착 상한에 도달한 후, 재생 순환을 진행해 이용한다.
삭제
더 나아가, 단계 2)에서, 중금속 침강 찌거기는 침출공법을 통해 유가금속을 회수한다.
삭제
더 나아가, 단계 1)에서, 상기 지르코늄 기반 불소제거제의 주요 함량은 ZrO2+TIO2≥33wt%이다.
더 나아가, 단계 2)에서, 상기 인 제거제는 황산철, 수산화 칼슘, 황산알루미늄 중 1개 또는 다수 개의 혼합물을 이용하고, 질량 농도를 10%~30%로 배합한 후에 사용하고, 인 제거제 용액의 첨가 질량은 배터리재료 추잔액 질량의 0.01%~0.02%이고, 인을 제거하는 pH는 3~10이고, 온도는 상온이고, 반응시간은 10~90min이다.
더 나아가, 단계 3)에서, 상기 액체 보조재는 탄산기를 함유하는 리튬 침강 모액이고, 리튬 침강 모액과 인 제거 후 액체의 첨가 비율은 1/5~1:1이고, 반응 온도는 50℃~70℃이고, 반응시간은 50~120min이고, 반응 pH는 8.5~13이다.
더 나아가, 단계 4)에서, 이용하는 산성 용액은 95wt%~98%wt의 황산 용액이고, 이용하는 알칼리성 용액은 30wt%~32wt%의 액체 수산화 나트륨이고, 산성 조절 pH 는 3~6이고, 알칼리성 조절 pH는 6~9이다.
더 나아가, 단계 5)에서, 증발 농축비는 3~10배이고, 증발 모액의 리튬 농도는 10~20g/L이고, 나트륨 농도는 90~125 g/L이다.
더 나아가, 단계 6)에서, 선택하는 탄산염은 탄산나트륨이고, 질량 농도는25%~32%이고, 리튬을 침강하는 과정에서 이용하는 멀티드롭 분산 방식은 농축 모액(즉, 리튬침강전 액체)을 첨가하고, 리튬 침강 온도는 80℃보다 높고, 리튬 침강 시간은 0.5~3h이고, 순수 알칼리 첨가량은 이론량의 1.05~1.15배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기술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은 최초로 배터리재료에서 리튬을 추출하는 과정에 지르코늄 기반 불소제거제를 사용하고, 불소 제거율이 높다.
본 발명은 선택하는 리튬 추출 과정이 짧고, 인 제거제는 철 기반,칼슘 기반, 알루미늄 기반의 1개 또는 다수 개의 혼합물을 선택해 사용하고, 인 제거율이 높다.
본 발명은 배터리재료 추잔액(raffinate)의 저-리튬 고-나트륨 특성에 근거해, 먼저 순환 증발로 황산나트륨을 생산하는 동시에, 원료의 리튬 농도를 향상시키고, 이어서, 탄산염을 이용해 리튬을 침강시키는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배터리재료 추잔액 중 금속 리튬의 일회성 회수율을 대폭 향상시키고, 배터리재료 추잔액 중 금속 리튬의 회수 원가를 낮춘다.
본 발명은 농축 모액의 첨가과정에서 멀티드롭 분산을 이용해 첨가함으로써, 황산나트륨 시스템 중에서 나트륨이 탄산 리튬 제품을 감싸는 확률을 효과적으로 낮추고, 생산된 인더스트리얼 그레이드(industrial grade) 탄산 리튬 제품 중의 나트륨 함유량이 0.1wt%보다 낮다.
본 발명은 리튬 침강 모액 중에 탄산기를 함유하는 특성을 이용해 배터리재료 추잔액 중의 중금속을 침강함으로써, 리튬 침강 모액의 탄산기 순환 이용을 실현하는 동시에, 중금속을 침강하는 보조재의 사용량을 줄인다.
본 발명이 제조하는 탄산 리튬-나트륨의 함유량은 0.1wt%보다 적고, 탄산 리튬의 질량 함유량의 비율이 98.50wt%보다 높고, 불소 함유량이 0.020wt%보다 적고, 각 지표는 인더스트리얼 그레이드 탄산 리튬의 수준 요구를 만족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배터리재료 추잔액(raffinate)에서 리튬을 회수하는 공정흐름도이다.
이하, 도면과 결합하고 구체 실시방식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진일보 설명한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상기 실시예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도울 뿐이며, 본 발명을 상세하게 한정하는 것으로 보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상온 조건에서, 통상적으로 배터리재료 추잔액(raffinate)에 3wt%의 불소제거제를 첨가하고, 교반을 진행하고, 불소 제거 pH를 4.5로 제어하고, 0.5h 반응시킨 후에 불소를 제거한 슬러리를 압출해 여과하고, 불소를 함유한 불소제거제는 0.5mol/L의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통해 재생되어 불소를 제거하고, 재생된 후의 불소제거제는 배터리재료 추잔액 슬러리화 후에 불소 제거 공정단계로 리턴되는 것을 통해 순환 사용되며; 압출해 여과하고 분리해 얻은 불소 제거 후 액체에 질량 농도가 15%인 인 제거제 용액을 첨가하고, pH를 3.99로 제어하고, 인 제거 시간은 30min으로 인 제거 작업을 진행하고, 인을 제거한 슬러리는 압출과 여과를 통해 분리한다. 인을 제거하고 압출해 여과한 후의 액체에 리튬 침강 모액(인 제거 후 액체와 리튬 침강 모액의 질량비는 3:1)을 첨가해 pH를 10.0까지 조절하고, 온도는 60℃이고, 60min 반응시킨 후에 침강된 중금속 슬러리를 압출해 여과하고, 침출을 통해 니켈을 함유한 중금속 찌꺼기를 회수한다.
침강된 중금속을 압출해 여과한 후의 액체에 98wt%의 황산을 첨가해 pH를 4.0까지 조절한 후, 32wt%의 액상 수산화 나트륨을 첨가해 pH를 7.0까지 조절하고, 산성-알칼리성 조절 후의 액체는 이중효과 순환 증발기를 통해 증발하고, 증발과정에서는 농축비를 4배로 제어하고, 증발 모액은 이론량의 1.1배에 의해, 30wt%의 탄산나트륨 용액을 첨가해 리튬을 침강시키고, 리튬 침강 온도는 80℃이고, 리튬 침강 시간은 2h이고, 모액은 멀티드롭 분산을 통해 리튬 침강 용기에 첨가한다. 산출된 탄산 리튬은 국가의 인더스트리얼 그레이드(industrial grade) 탄산 리튬 표준(GB/T11075-2013)에 도달한다.
표 1 배터리재료 추잔액 성분표
표 2 불소제거 인제거 압출 여과 후 액체의 성분표
표 3 탄산 리튬 성분표
표 4 황산나트륨 성분표
실시예 2
상온 조건에서, 통상적으로 배터리재료 추잔액에 5wt%의 불소제거제를 첨가하고, 교반을 진행하고, 불소 제거 pH를 5.0로 제어하고, 1h 반응시킨 후에 불소를 제거한 슬러리를 압출해 여과하고, 불소를 함유한 불소제거제는 1mol/L의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통해 재생되어 불소를 제거하고, 재생된 후의 불소제거제는 배터리재료 추잔액 슬러리화 후에 불소 제거 공정단계로 리턴되는 것을 통해 순환 사용되며; 압출해 여과하고 분리해 얻은 불소 제거 후 액체에 질량 농도가 10%인 인 제거제 용액을 첨가하고, pH를 4.12로 제어하고, 인 제거 시간은 50min으로 인 제거 작업을 진행하고, 인을 제거한 슬러리는 압출과 여과를 통해 분리한다. 인을 제거하고 압출해 여과한 후의 액체에 리튬 침강 모액(인 제거 후 액체와 리튬 침강 모액의 질량비는 3:1)을 첨가해 pH를 11.0까지 조절하고, 온도는 50℃이고, 90min 반응시킨 후에 침강된 중금속 슬러리를 압출해 여과하고, 침출을 통해 니켈을 함유한 중금속 찌꺼기를 회수한다.
침강된 중금속을 압출해 여과한 후의 액체에 98wt%의 황산을 첨가해 pH를 3.5까지 조절한 후, 32wt%의 액상 수산화 나트륨을 첨가해 pH를 7.5까지 조절하고, 산성-알칼리성 조절 후의 액체는 이중효과 순환 증발기를 통해 증발하고, 증발과정에서는 농축비를 5배로 제어하고, 증발 모액은 이론량의 1.05배에 의해, 28wt%의 탄산나트륨 용액을 첨가해 리튬을 침강시키고, 리튬 침강 온도는 85℃이고, 리튬 침강 시간은 1h이고, 모액은 멀티드롭 분산을 통해 리튬 침강 용기에 첨가한다. 산출된 탄산 리튬은 국가의 인더스트리얼 그레이드 탄산 리튬 표준(GB/T11075-2013)에 도달한다.
표 5 배터리재료 추잔액 성분표
표 6 불소제거 인제거 압출 여과 후 액체의 성분표
표 7 탄산 리튬 성분표
표 8 황산나트륨 성분표
상기 실시방식은 본 발명이 실시하는 일부 세부적인 내용을 설명하였지만,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는 이해하지 말아야 하며,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원리와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그에 대한 변화, 수정, 치환, 변형을 진행할 수 있다.

Claims (10)

  1. 배터리재료 추잔액에서 조제 탄산 리튬을 회수해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하의 단계,
    1) 배터리재료 추잔액에 지르코늄 기반 불소제거제를 첨가해 불소를 제거하여 불소 함유량이 3mg/L보다 적은 불소제거 후의 액체를 얻는, 불소제거단계;
    2) 불소제거 후의 액체에 대해 인 제거제를 통해 인 제거를 진행하고, 얻은 찌꺼기는 교반, 세척, 압출과 여과를 거친 후 폐기하는, 인 제거 단계;
    3) 인을 제거한 후의 액체에 액체 보조재를 첨가하여 중금속을 침강하고, 중금속을 침전시킨 후, 압출 여과와 분리를 통해 중금속 침강 모액과 중금속 침강 찌꺼기를 얻는, 중금속을 침강 하는 단계;
    4) 중금속 침강 모액에 산성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산성까지 조절하고, 잔존 탄산기를 제거한 후에 알칼리성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중성까지 조절하는, 산성-알칼리성 조절 단계;
    5) 산성-알칼리성 조절 후의 배터리재료 추잔액을 이중효과 순환 증발을 통해 황산나트륨을 석출해 내는 동시에, 리튬 농도를 향상시키는, 증발 농축 단계;
    6) 단계 5)에서 얻은 농축 모액에 탄산염을 첨가하고 리튬 침강을 진행하고, 여과와 분리를 거친 후에 조제 탄산 리튬 제품을 얻는 리튬 침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재료 추잔액에서, Li 함유량은 0.5~5g/L이고, 나트륨 함유량은 30~80g/L이고, 중금속 함유량은 0.5~2g/L이고, 불소 함유량은 50~150mg/L이고, 인 함유량은 30~60mg/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재료 추잔액에서 조제 탄산 리튬을 회수해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계 1)에서, 상기 지르코늄 기반 불소제거제는 흡착 상한에 도달한 후, 재생 순환을 진행해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재료 추잔액에서 조제 탄산 리튬을 회수해 제조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단계 1)에서, 상기 지르코늄 기반 불소제거제의 주요 함량은 ZrO2+TIO2≥33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재료 추잔액에서 조제 탄산 리튬을 회수해 제조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계 2)에서, 중금속 침강 찌꺼기는 침출 공법을 통해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재료 추잔액에서 조제 탄산 리튬을 회수해 제조하는 방법.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계 2)에서, 상기 인 제거제는 황산철, 수산화 칼슘과 황산알루미늄 중 하나 또는 다수 개의 혼합물이고, 질량 농도를 10%~30%로 배합한 후에 사용하고, 인 제거제 용액의 첨가 질량은 배터리재료 추잔액 질량의 0.01%~0.02%이고, 인 제거 pH는 3~10이고, 온도는 상온이고, 반응시간은 10~9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재료 추잔액에서 조제 탄산 리튬을 회수해 제조하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계 3)에서, 상기 액체 보조재는 탄산기를 함유하는 리튬 침강 모액이고, 리튬 침강 모액과 인 제거 후 액체의 첨가 비율은 1/5~1:1이고, 반응 온도는 50℃~70℃이고, 반응시간은 50~120min이고, 반응 pH는 8.5~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재료 추잔액에서 조제 탄산 리튬을 회수해 제조하는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계 4)에서, 이용하는 산성 용액은 95wt%~98wt%의 황산 용액이고, 이용하는 알칼리성 용액은 30wt%~32wt%의 액체 수산화 나트륨이고, 산성 조절 pH 는 3~6이고, 알칼리성 조절 pH는 6~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재료 추잔액에서 조제 탄산 리튬을 회수해 제조하는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계 5)에서, 증발 농축비는 3~10배이고, 증발 모액의 리튬 농도는 10~20g/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재료 추잔액에서 조제 탄산 리튬을 회수해 제조하는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계 6)에서, 선택된 탄산염은 탄산나트륨이고, 질량 농도는25%~32%이고, 리튬을 침강하는 과정에서 이용하는 멀티드롭 분산 방식은 농축 모액을 첨가하고, 리튬 침강 온도는 80℃보다 높고, 리튬 침강 시간은 0.5~3h이고, 순수 알칼리 첨가량은 이론량의 1.05~1.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재료 추잔액에서 조제 탄산 리튬을 회수해 제조하는 방법.
KR1020210125166A 2021-07-19 2021-09-17 배터리재료 추잔액에서 조제 탄산 리튬을 회수해 제조하는 방법 Active KR102711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814246.2 2021-07-19
CN202110814246.2A CN113582206A (zh) 2021-07-19 2021-07-19 一种从电池料萃余液中回收制备粗制碳酸锂的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396A KR20220140396A (ko) 2022-10-18
KR102711082B1 true KR102711082B1 (ko) 2024-09-30

Family

ID=7824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166A Active KR102711082B1 (ko) 2021-07-19 2021-09-17 배터리재료 추잔액에서 조제 탄산 리튬을 회수해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711082B1 (ko)
CN (1) CN1135822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56425B (zh) * 2022-05-31 2024-07-02 昆山三一环保科技有限公司 废旧锂电池回收废水的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CN116130817A (zh) * 2022-12-30 2023-05-16 贵州中伟资源循环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回收处理电池料黑粉的方法
CN116443902B (zh) * 2023-03-30 2025-03-04 江苏威胜达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含锂废水提锂工艺
CN117327903A (zh) * 2023-10-09 2024-01-02 金驰能源材料有限公司 同步处理锂离子电池电极粉以及镍钴中间品的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2546A (ja) 2008-09-30 2010-04-15 Japan Organo Co Ltd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JP2012036419A (ja) 2010-08-03 2012-02-23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リン及び/又はフッ素の除去方法、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からの有価金属の回収方法
JP2012072464A (ja) 2010-09-29 2012-04-12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リチウムの回収方法
WO2021090571A1 (ja) 2019-11-08 2021-05-14 Dowaエコシステム株式会社 リチウムの分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635187U (zh) * 2013-10-16 2014-06-11 抚顺市禄通化工有限公司 一种高效反应釜
CN108002410B (zh) * 2016-10-31 2019-10-18 湖南金源新材料股份有限公司 从低含量萃取尾水中回收锂及萃取尾水的循环利用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2546A (ja) 2008-09-30 2010-04-15 Japan Organo Co Ltd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JP2012036419A (ja) 2010-08-03 2012-02-23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リン及び/又はフッ素の除去方法、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からの有価金属の回収方法
JP2012072464A (ja) 2010-09-29 2012-04-12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リチウムの回収方法
WO2021090571A1 (ja) 2019-11-08 2021-05-14 Dowaエコシステム株式会社 リチウムの分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582206A (zh) 2021-11-02
KR20220140396A (ko)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11082B1 (ko) 배터리재료 추잔액에서 조제 탄산 리튬을 회수해 제조하는 방법
CN109775678B (zh) 废旧磷酸铁锂电池中制备电池级磷酸铁和工业级磷酸锂的方法
CN111268701B (zh) 一种利用锂云母制备电池级氢氧化锂的方法
KR102558770B1 (ko) 배터리 레벨 Ni-Co-Mn 혼합액 및 배터리 레벨 Mn 용액의 제조방법
CN110541075B (zh) 一种钴酸锂正极材料回收再利用的方法
CN106340692B (zh) 一种清洁回收正极材料中锂的方法
CN113321194A (zh) 一种废旧磷酸铁锂粉末提锂后磷铁渣的回收方法
CN104445424A (zh) 一种含锰废液制取高纯硫酸锰的方法
CN115747521A (zh) 一种从废旧锂离子电池正极材料中回收制备碳酸锂的方法
CN113104897A (zh) 一种电池黑粉料分离镍钴锂锰制备电池级硫酸锰的方法
CN115818603B (zh) 一种含铜、铝、石墨的磷酸铁锂正极粉氧化提锂后渣制备电池级磷酸铁的方法
CN109110788A (zh) 一种盐湖卤水中锂镁资源综合利用的方法
CN110759364A (zh) 利用粗磷酸锂制备高纯碳酸锂的方法
CN116694933B (zh) 一种湿法回收镍钴锰酸锂废料的方法
CN118996154A (zh) 一种锂云母综合利用的方法
WO2025010585A1 (zh) 一种从红土镍矿中回收镍钴的方法
CN116425180A (zh) 一种膜法用于锂辉矿盐酸法生产电池级碳酸锂的方法
CN115072751B (zh) 一种磷酸铁锂电池再利用制备低氟含量碳酸锂的方法
CN111302401A (zh) 降低硫酸锰溶液中钙含量的方法
CN116946992B (zh) 一种从碳酸型盐湖卤水中制备磷酸锂的方法
CN114481222B (zh) 一种锌电解液深度除氯的方法
CN119330318A (zh) 利用盐湖卤水提锂母液联产电池级磷酸锂和硼酸的方法
CN119954184A (zh) 一种通过盐湖原卤提锂制备电池级碳酸锂的方法及装置
CN119240757A (zh) 一种电池级碳酸锂及其制备方法
CN117625996A (zh) 一种从磷酸铁锂电池正极废粉中回收锂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220929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