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0696B1 - System for providing alarm screen setting servic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alarm screen setting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0696B1
KR102710696B1 KR1020220018391A KR20220018391A KR102710696B1 KR 102710696 B1 KR102710696 B1 KR 102710696B1 KR 1020220018391 A KR1020220018391 A KR 1020220018391A KR 20220018391 A KR20220018391 A KR 20220018391A KR 102710696 B1 KR102710696 B1 KR 102710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nft
content
user terminal
se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3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21464A (en
Inventor
서민교
Original Assignee
서민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민교 filed Critical 서민교
Priority to KR1020220018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0696B1/en
Publication of KR20230121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4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0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069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 또는 전자지갑(Wallet)에 보관된 NFT와 연동된 NFT 콘텐츠를 알람의 배경화면으로 설정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에서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에 엑세스권을 허용하거나 전자지갑을 등록하는 등록부, 사용자 단말에서 알람을 설정하는 경우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 또는 전자지갑에 보관된 NFT와 연동된 NFT 콘텐츠를 선택하도록 하는 선택부, 사용자 단말에서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 또는 NFT 콘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저장 콘텐츠 또는 NFT 콘텐츠가 알람이 울리는 화면의 배경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는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 system for setting an alarm background screen is provided, and includes a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user terminal for setting a previously saved storage content or an NFT content linked to an NFT stored in an electronic wallet as an alarm background screen, a registration unit for allowing access to the previously saved storage content or registering an electronic wallet in the user terminal,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the previously saved storage content or the NFT content linked to the NFT stored in the electronic wallet when setting an alarm in the user terminal, and a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previously saved storage content or the NFT content to be output as the background screen of a screen on which an alarm sounds when the previously saved storage content or the NFT content is selected in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ALARM SCREEN SETTING SERVICE}{SYSTEM FOR PROVIDING ALARM SCREEN SETTING SERVICE}

본 발명은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에서 등록한 전자지갑 내 NFT와 대응하는 NFT 콘텐츠나 외장 메모리 또는 내장 메모리에 저장된 저장 콘텐츠를 알람의 배경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n alarm background screen setting service, and provides a platform that can set NFT content corresponding to an NFT in an electronic wallet registered in a user terminal or storage content stored in an external memory or internal memory as an alarm background screen.

현대 사회에서 모바일 기기는 필수불가결의 존재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모바일 기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기기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알람은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 중 하나이며, 이러한 수요에 맞추어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알람 앱들이 출시되고 있다. 모바일 알람 해제 방식의 전통적인 방법은 화면 내 해제 버튼을 누르는 것이었으나, 최근에는 기상 미션(Wake-Up Task)이라 하여 수학문제 풀기, 인증사진 찍기, 기기 흔들기 등과 같은 일종의 과업을 수행해야 알람이 해제되는 기상 미션 기반 알람 해제 방법들이 새로 등장하고 있다. 기상 과업은 사용자에게 의도적으로 신체적, 인지적 부하를 가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가 느끼는 부담을 최소화하여 사용하기 쉽고 편하게 만드는 HCI 분야의 일반적인 원칙과 상반된다. 일반적으로는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 사용을 중단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흥미롭게도 많은 사용자들이 기상 과업이 주는 불편함을 기꺼이 감수하고 있으며, 심지어는 이 불편함을 일부러 느끼기 위해 매일 아침을 기상 과업과 함께 시작하고 있다. In modern society, mobile devices are indispensable. In fact, most people have mobile devices and use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devices. In particular, alarms are one of the most used functions by users, and various types of mobile alarm apps are being released to meet this demand. The traditional method of disabling mobile alarms was to press the disabling button on the screen, but recently, new alarm disabling methods based on wake-up tasks have emerged, such as solving math problems, taking authentication photos, and shaking the device. Wake-up tasks are designed to intentionally impose physical and cognitive loads on users. This runs counter to the general principle of the HCI field, which minimizes the burden felt by users and makes them easy and convenient to use. Generally, it is expected that users will stop using the device if they feel uncomfortable, but interestingly, many users are willing to endure the inconvenience of wake-up tasks and even start their mornings with wake-up tasks to intentionally feel this inconvenience.

이때, 동기부여를 주기 위하여 저장된 콘텐츠를 알람시간에 출력해주거나 날씨 및 교통상황에 맞게 알람시간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7-0029667호(2017년03월16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5-0085756호(2015년07월24일 공개)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를 선택받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설정된 기상 알람 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된 기상 알람 데이터의 기상 시간 데이터에 기반하여, 기상 시간의 기 설정된 시간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내의 콘텐츠를 출력하는 구성과, 사용자의 이동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시간부터 이동 경로의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기설정된 데이터 수집 주기 간격으로 사용자의 위치 및 시간을 체크하고, 사용자의 위치 및 목적지에 상응하는 기상정보를 수집하여 기상상황별 평균 이동시간을 산출한 후, 알람시간을 조정하여 기상 상태에 따라서 능동적으로 알람시간을 조정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a method of outputting stored content at the alarm time to provide motivation 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alarm time according to weather and traffic conditions has been studied and developed. In relation to this, prior ar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7-0029667 (published on March 16, 2017)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5-0085756 (published on July 24, 2015) disclose a configuration in which at least one category is selected from a user terminal, weather alarm data set in the user terminal is extrac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based on the weather time data of the extracted weather alarm data, content within at least one category is output before a preset time of the weather time, and a configuration in which user movement path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user's location and time are checked at preset data collection intervals from the alarm time set by the user until arrival at the destination of the movement path, weath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location and destination is collected, an average movement time according to weather conditions is calculated, and then the alarm time is adjusted to actively adjust the alarm time according to the weather conditions.

다만, 상술한 구성 중 전자는 동기를 주기 위한 콘텐츠를 출력하기 때문에 알람화면 자체가 콘텐츠로 변경되는 구성일 뿐 알람의 배경화면을 변경하는 구성이 아니다. 후자의 경우에도 알람시간을 조정해주는 구성일 뿐 알람의 배경화면을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이 아니다. 최근 NFT의 열풍으로 다양한 그림, 사진, 작품 및 이미지에 대한 사용권 또는 저작권이 NFT로 발행되어 거래되고 있는데, NFT를 샀다고 할지라도 NFT 콘텐츠 자체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NFT로 표상되는 메타데이터만을 가지고 있을 뿐이기 때문에 이용할 곳이 없어 사용가치가 아닌 투자가치만을 가진 증권에 가까운 성격을 띄게 되었다. 이에, 알람을 설정할 때 배경화면을 사용자가 원하는 저장 콘텐츠 또는 전자지갑과 연동시켜 NFT에 대응하는 NFT 콘텐츠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배경화면으로 알람을 세팅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However, among the above-mentioned configurations, the former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alarm screen itself changes to content because it outputs content for motivation, and it is not a configuration that changes the alarm background. Even in the latter case, it is a configuration that only adjusts the alarm time, and it is not a configuration that can change the alarm background. Recently, with the NFT craze, the usage rights or copyrights for various paintings, photos, works, and images are issued as NFTs and traded. However, even if you buy an NFT, you do not have the NFT content itself, but only the metadata represented by the NFT, so there is no place to use it, and it has a nature close to a security with only investment value, not usability value. Therefore, when setting an alarm,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platform is required that allows the user to change the background to the NF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T by linking the background with the desired saved content or electronic wallet,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set the alarm with the desired backgrou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전자지갑에 연동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전자지갑에 연동된 경우 전자지갑 내 NFT가 있다면 NFT가 발행된 목적물인 NFT 콘텐츠를 알람 배경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NFT 콘텐츠가 알람사운드 및 알람해제미션까지 설정된 경우에는 설정된 알람사운드 및 알람해제미션으로 알람이 울리고 해제되도록 설정하며, 전자지갑이 추가되지 않은 경우 내장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저장 콘텐츠를 이용하여 알람의 배경화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NFT 콘텐츠가 알람으로 출력된 후 전자지갑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NFT의 잔존 유무를 확인하고, NFT가 전자지갑에 남아있지 않다면 기본알람모드로 전환하는,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larm background setting service system that checks whether an application is linked to an electronic wallet when a user terminal executes an application, and if linked to an electronic wallet, if there is an NFT in the electronic wallet, the NFT content, which is the object for which the NFT was issued, can be set as an alarm background, and if the NFT content is set to have an alarm sound and an alarm release mission, the alarm is set to sound and be released with the set alarm sound and alarm release mission, and if an electronic wallet is not added, the alarm background can be set using the stored content stored in an internal or external memory, and after the NFT content is output as an alarm, the electronic wallet is checked in real time to check whether the NFT remains, and if the NFT does not remain in the electronic wallet, the system switches to the basic alarm mode.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 또는 전자지갑(Wallet)에 보관된 NFT와 연동된 NFT 콘텐츠를 알람의 배경화면으로 설정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에서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에 엑세스권을 허용하거나 전자지갑을 등록하는 등록부, 사용자 단말에서 알람을 설정하는 경우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 또는 전자지갑에 보관된 NFT와 연동된 NFT 콘텐츠를 선택하도록 하는 선택부, 사용자 단말에서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 또는 NFT 콘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저장 콘텐츠 또는 NFT 콘텐츠가 알람이 울리는 화면의 배경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는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task,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user terminal that sets a previously stored storage content or an NFT content linked to an NFT stored in an electronic wallet as an alarm background, a registration unit that allows access to the previously stored storage content or registers an electronic wallet in the user terminal, a selection unit that selects the previously stored storage content or the NFT content linked to the NFT stored in the electronic wallet when setting an alarm in the user terminal, and a setting unit that sets the previously stored storage content or the NFT content to be output as the background of a screen on which an alarm sounds when the previously stored storage content or the NFT content is selected in the user terminal.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전자지갑에 연동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전자지갑에 연동된 경우 전자지갑 내 NFT가 있다면 NFT가 발행된 목적물인 NFT 콘텐츠를 알람 배경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NFT 콘텐츠가 알람사운드 및 알람해제미션까지 설정된 경우에는 설정된 알람사운드 및 알람해제미션으로 알람이 울리고 해제되도록 설정하며, 전자지갑이 추가되지 않은 경우 내장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저장 콘텐츠를 이용하여 알람의 배경화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NFT 콘텐츠가 알람으로 출력된 후 전자지갑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NFT의 잔존 유무를 확인하고, NFT가 전자지갑에 남아있지 않다면 기본알람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an application is executed on a user terminal, after checking whether it is linked to an electronic wallet, if there is an NFT in the electronic wallet, the NFT content for which the NFT was issued can be set as an alarm background screen, and if the NFT content is set to an alarm sound and an alarm release mission, the alarm is set to sound and be released with the set alarm sound and alarm release mission, and if the electronic wallet is not added, the alarm background screen can be set using the stored content stored in the built-in or external memory, and after the NFT content is output as an alarm, the electronic wallet can be checked in real time to check whether the NFT remains, and if the NFT does not remain in the electronic wallet, it can be switched to the basic alarm mo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FIG. 1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n alarm background screen setting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setup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ure 1.
FIGS. 3 and 4 are drawing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alarm background screen setting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n alarm background screen setting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assigned similar drawing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Also,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should be understood to mean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and the lik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in a meaning close to or at the numerical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are used to prevent unscrupulous infringers from unfairly using the disclosure in which exact or absolute numerical values are mentioned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step of doing ~" or "step of ~"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mean "step for ~."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par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In addition, one unit may be realized by using two or more pieces of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piece of hardware. Meanwhile, the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the 'par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Accordingly, as an example, the 'part' include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Additionally,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implemented to regenerate one or more CPUs within the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in this specification may instead be performed by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Similarly,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by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terminal and mapping or matching may be interpreted to mean mapping or matching the terminal's unique number or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terminal's identifying dat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FIG. 1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n alarm background setting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n alarm background setting service providing system (1) may includ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However, since the alarm background setting service providing system (1) of FIG. 1 is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FIG. 1.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via a network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can be connected to a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via a network (200). And, the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an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via the network (200). In addition,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can be connected to the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via the network (200).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a network means a connection structure that enable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each node, such as multiple terminals and servers, and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the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telephone networks, and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 networks.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3G, 4G, 5G,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Long Term Evolution),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Fi, the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Near-Field Communication)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and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the singular and the plural, and it will be obvious that even if the term at least one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can exist in the singular or the plural and can mean the singular or the plural. In addition, it will be said that whether each component is provided in the singular or the plural may chang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알람을 설정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알람을 설정할 때 배경화면을 기 저장된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의 저장 콘텐츠로 설정하거나, 전자지갑을 등록한 경우 전자지갑 내 NFT가 있는 경우에는 NFT와 대응하는 NFT 콘텐츠를 배경화면으로 설저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저장 콘텐츠 및 NFT 콘텐츠는, 이미지, 사진, 동영상, 영상, 그림 등과 같은 배경화면 외에도, 알람사운드 및 알람해제미션과 같은 저작물도 포함할 수 있는 콘텐츠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전자지갑 내에 저작권자 단말(400)로부터 구매한 NFT를 저장하는 단말일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마다 전자지갑과 연동되어 전자지갑 내 NFT와 대응하는 NFT 콘텐츠를 이용하여 알람배경화면을 설저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 사용자 단말(100)은, 알람을 해제한 후 NFT가 전자지갑 내 아직도 남아있는지를 확인한 후 NFT가 매매 또는 양도 등으로 전자지갑 내에 없다면 기본알람모드로 전환하는 단말일 수 있다.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of a user who sets an alarm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an alarm background setting service.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server that sets the background as a stored content of a pre-stored internal memory or external memory when setting an alarm, or sets an NFT content corresponding to an NFT as a background if an electronic wallet is registered and there is an NFT in the electronic wallet. At this time, the stored content and NFT content may be content that may include, in addition to backgrounds such as images, photos, videos, images, pictures, etc., copyrighted works such as alarm sounds and alarm release missions.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stores an NFT purchased from a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in the electronic wallet, and may be a terminal that sets an alarm background screen using an NFT content corresponding to an NFT in the electronic wallet by being linked with the electronic wallet whenever an application is executed.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checks whether the NFT still remains in the electronic wallet after disabling the alarm, and if the NFT is not in the electronic wallet due to sale or transfer, etc., switches to the basic alarm mode.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via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otebook, desktop, laptop, etc.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t this tim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via a network.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include,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such as a navigation, a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a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a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a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a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a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a smart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and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로부터 알람배경화면, 알람사운드, 알람해제미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모두를 수신하여 저작권을 검증한 후 NFT를 발행하여 거래소에서 거래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물론,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직접 NFT 발행 및 거래를 담당하지 않고 각 사용자 단말(100)의 전자지갑을 확인하여 NFT로 표상되는 NFT 콘텐츠만을 수신하여 제공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알람을 설정하는 경우 전자지갑의 등록 유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저장 콘텐츠만 사용할 것인지 또는 NFT 콘텐츠를 사용할 것인지의 옵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알람이 사용자 단말(100)에서 해제되었고 NFT 콘텐츠를 알람배경화면 등으로 설정해놓은 경우에는 전자지갑 내 NFT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NFT가 매매 등으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본알람모드로 전환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n alarm background screen setting service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In addition, the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receives at least one or all of an alarm background screen, an alarm sound, and an alarm release mission from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verifies the copyright, issues an NFT and allows it to be traded on an exchange. Of course, the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does not directly take charge of issuing and trading NFTs, but verifies the electronic wallet of each user terminal (100) and receives and provides only the NFT content represented by the NFT. The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n option of using only the storage content stored in the built-in memory or external memory of the user terminal (100) or using the NFT conten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electronic wallet is registered when setting an alarm on the user terminal (100). In addition, the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checks whether an NFT exists in the electronic wallet when the alarm is released o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NFT content is set as an alarm background screen, etc., and then switches to the basic alarm mode if the NFT does not exist due to a transaction, etc.

여기서,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connect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via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otebook, desktop, laptop, etc.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은,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알람배경화면, 알람사운드 및 알람해제미션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업로드한 후 NFT를 발급받는 단말일 수 있다. 저작권자 단말(400)은 NFT를 거래소 또는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NFT의 사용권 또는 저작권을 구매하는 경우 그 구매대금을 정산받는 단말일 수 있다. At least one copyright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that uploads at least one of an alarm background screen, an alarm sound, and an alarm release mission to a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an alarm background screen setting service and then receives an NFT. The copyright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that registers an NFT with an exchange or a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receives a settlement of the purchase price when a user terminal (100) purchases the right to use or copyright of the NFT.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connect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via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otebook, desktop, laptop, etc.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t this time,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that can connect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via a network.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may include, for exampl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s, smartphones, smartpads, tablet PCs, etc., a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that ensure portability and mobility.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and FIGS.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alarm background screen setting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2를 참조하면,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부(310), 선택부(320), 설정부(330), 해제미션관리부(340), 시계위치설정부(350), 실시간NFT확인부(360), 저작권보호부(370), 동기화부(380), 다중출력부(390), NFT발행부(39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include a registration unit (310), a selection unit (320), a setting unit (330), a release mission management unit (340), a clock position setting unit (350), a real-time NFT confirmation unit (360), a copyright protection unit (370), a synchronization unit (380), a multi-output unit (390), and an NFT issuance unit (39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로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은,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When the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other server (not shown)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it transmits an alarm background setting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the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may install or open the alarm background setting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In addition, the service program may be driven 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by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a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enables the use of a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 and means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described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and includes, for example, Netscape, Explorer, Chrome, etc. Additionally, the application refers to an application on a terminal, and includes, for example, an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phone).

도 2를 참조하면, 등록부(31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에 엑세스권을 허용하거나 전자지갑을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 또는 전자지갑(Wallet)에 보관된 NFT와 연동된 NFT 콘텐츠를 알람의 배경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registration unit (310) can grant access to pre-stored storage content or register an electronic wallet in the user terminal (100). The user terminal (100) can set pre-stored storage content or NFT content linked to an NFT stored in an electronic wallet (Wallet) as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alarm.

선택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알람을 설정하는 경우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 또는 전자지갑에 보관된 NFT와 연동된 NFT 콘텐츠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는 사용자 단말(100)의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이고, 전자지갑에 보관된 NFT와 연동된 NFT 콘텐츠는, NFT가 발행된 근거 및 목적물인 콘텐츠일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사용자 단말(100)의 계정으로 로그인되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사진, 영상, 그림, 동영상, 영상 등일 수 있고, 후자의 경우 예를 들어 모나리자 NFT가 발행되었고, NFT는 만 개의 조각(픽셀)으로 나뉘어 판매되었다고 가정하면, 1 픽셀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NFT 콘텐츠일 수 있다. NFT 콘텐츠의 경우 저작권이므로 사용권(실시권)과 저작권 자체, 즉 7 가지의 권리가 붙어나오는 전체를 이전받은 경우에는 저작물 그 자체일 수 있다. 사용권의 경우 저작권자의 이용허락에 갈음하는 것이므로 저작권자로부터 이용허락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나 그 계약 기간에 제한이 존재하여 사용기간이 제한될 수 있다. The selection unit (320) may select pre-stored storage content or NFT content linked to an NFT stored in an electronic wallet when setting an alarm in the user terminal (100). At this time, the pre-stored storage content is content stored in the built-in memory or external memory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NFT content linked to the NFT stored in the electronic wallet may be content that is the basis and purpose of issuing the NFT. The external memory may include a cloud platform that is logged in with an account of the user terminal (100). In the former case, it may be a photo, video, drawing, moving image, video, etc., and in the latter case, for example, if the Mona Lisa NFT was issued and the NFT was divided into ten thousand pieces (pixels) and sold,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one pixel may be the NFT content. In the case of the NFT content, since it is a copyright, if the entirety of the usage right (implementation right) and the copyright itself, that is, the seven rights, is transferred, it may be the copyrighted work itself. In the case of a license, it is a substitute for the copyright holder's permission to use, so it can be used without receiving permission from the copyright holder, but there is a limit to the contract period, so the period of use may be limited.

또, NFT 콘텐츠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시각 저작물 이외에도, 알람사운드 및 알람해제미션과 같이 음악저작물 또는 콘텐츠저작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닝 알람이 울리는 경우 알람화면과 함께 알람음악이 출력되고, 알람을 해제하는 방법, 예를 들어 Snooze 버튼이 함께 출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NFT 콘텐츠는, 알람배경화면 뿐만 아니라 알람사운드 및 알람해제미션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이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저작권자 단말(400)은, 3 가지 종류의 콘텐츠(알람배경화면, 알람사운드 및 알람해제미션)를 하나의 패키지로 NFT 콘텐츠로 제작할 수도 있지만 이를 유닛화하여 각각을 NFT를 발행할 수 있는 NFT 콘텐츠로 제작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각각의 유닛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권에 대응하는 NFT를 구매할 수도 있고, 전체를 하나의 패키지로 이용하도록 3 개가 한 묶음으로 된 NFT를 구매할 수도 있다. NFT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타데이터만이 기재된 데이터일 뿐이고 콘텐츠 자체는 아니므로, 선택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NFT를 보유하고 있는지를 확인한 후(정당권리자 확인), 이에 대응하는 NFT 콘텐츠를 연동시켜 알람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NFT content may include, in addition to visual works corresponding to images, musical works or content works such as alarm sounds and alarm release missions. For example, when a morning alarm rings, alarm music is output together with the alarm screen, and a method for releasing the alarm, such as a Snooze button, is output together. In this way, the NFT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not only an alarm background screen, but also a user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alarm sound and the alarm release mission. The copyright terminal (400) may produce three types of content (alarm background screen, alarm sound, and alarm release mission) as one package as NFT content, but may also produce them as units and produce each as NFT content that can issue an NFT. The user terminal (100) may purchase an NFT corresponding to the usage right so that only each unit can be used, or may purchase an NFT of three in a bundle so that the entirety can be used as one package. As described above, NFT is only data containing metadata and not content itself, so the selection unit (320) can check whether the user terminal (100) holds an NFT (verification of the rightful owner) and then link the corresponding NFT content so that it can be used for alarms.

설정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 또는 NFT 콘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저장 콘텐츠 또는 NFT 콘텐츠가 알람이 울리는 화면의 배경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The setting unit (330) can set the saved content or NFT content to be output as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screen where the alarm sounds when the saved content or NFT content is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해제미션관리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저장 콘텐츠 또는 NFT 콘텐츠를 설정한 후, 알람해제미션을 등록하는 경우, 알람해제미션이 입력 또는 감지되기 이전까지는 알람을 해제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알람해제미션은, 불편한 상호작용(Inconvenient Interaction)에 관한 실증적 사례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 사용을 위해 미소를 짓거나 운동을 해야 하는 디자인과 같이, 일시적으로는 불편함을 주는 디자인일지라도 장기적인 보상이 있고 긍정적 피드백이 적절하게 제공된다면 사용자가 그러한 불편함을 감수할 수 있다. 불편한 상호작용이 행동 변화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는데, 불편한 상호작용을 위한 4 가지 원칙이 이하와 같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람해제미션을 제작하는 저작권자 단말(400)로 이하의 원칙에 맞는 알람해제미션을 제공할 것을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첫째, 일시적으로는 불편함을 주지만 장기적인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어야 할 수 있다. 둘째, 일상에서 매일 해야 하는 일일 때 적합하다. 셋째, 필요성과 어려움 사이의 균형을 잘 맞춰져야 할 수 있다. 넷째, 알람해제미션 수행 시 즉각적으로 긍정적인 피드백이 제공돼야 할 수 있다. The release mission management unit (340) can set the alarm not to be released until the alarm release mission is input or detected when registering the alarm release mission after setting the stored content or NFT content in the user terminal (100). The alarm release mission can be viewed as an empirical case of inconvenient interaction. For example, even if it is a design that temporarily causes inconvenience, such as a design that requires smiling or exercising to use a home appliance, if there is a long-term reward and positive feedback is appropriately provided, the user can tolerate such inconvenience. Inconvenient interaction can be used in the field of behavior change, and there can be four principles for inconvenient interaction as follows. Accordingly, it can be provided as a guideline to provide an alarm release mission that complies with the following principles to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that produces the alarm release mission. First, it can be temporarily inconvenient but can bring long-term benefits. Second, it can be suitable for daily tasks. Third, it can be well balanced between necessity and difficulty. Fourth, positive feedback may need to be provided immediately when the alarm release mission is performed.

예를 들어, 모바일 알람으로 기상하는 일은 건강한 기상 습관 혹은 생활 리듬과 같은 장기적인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침대에서의 기상은 매일 일어나는 일이므로 두 번째 원칙도 충족된다. 나아가 다양한 종류의 알람해제미션이 존재하고 그 난이도를 조절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사용 시 이점과 어려움 사이의 균형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알람을 통한 기상은 그 날의 중요한 일정 및 작업과 관련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인지적 부하 기반 알람해제미션의 알람해제미션 완료 시간이 감소하거나 신체적 부하 기반 알람해제미션의 알람해제미션 완료 시간이 증가하는 경우에 주 사용 알람해제미션을 교체해 주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For example, waking up to a mobile alarm can provide long-term benefits, such as healthy waking-up habits or a healthy circadian rhythm. In addition, waking up from bed is a daily occurrence, so the second principle is also satisfied. Furthermore, since there are various types of wake-up missions and their difficulties can be adjusted, users can adjust the balance between the benefits and difficulties when using them. Finally, waking up by an alarm can provide immediate feedback to users because it is related to important schedules and tasks for that day. Therefore, it may be effective to replace the primary wake-up mission when the wake-up mission completion time of a cognitive load-based wake-up mission decreases or the wake-up mission completion time of a physical load-based wake-up mission increases.

시계위치설정부(35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저장 콘텐츠 또는 NFT 콘텐츠를 알람의 배경화면으로 지정한 경우, 알람의 시계 아이콘 또는 시간을 알리는 텍스트가 배경화면의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가리지 않는 위치에 설정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는 원룸에 혼자사는 직장인이고 사용자 A의 가족 및 반려동물은 모두 다른 지역에 산다. 이때, 사용자 A가 혼자 잠에서 깨어나기란 어려운 일인데 사용자 A는 자신의 갤러리(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있는 가족 및 반려동물 사진을 알람배경화면으로 지정했다고 가정하자. 알람화면은 기본적으로 시계 형상 아이콘 또는 시각에 대응하는 텍스트가 출력되는 것이 대부분인데, 자신이 좋아하는 반려동물인 진돗개를 가리거나 아버지 또는 어머니를 가리는 등으로 시계나 텍스트가 출력된다면 잠결에 잘 보이지 않아 끄고 잘 가능성이 높고 일어나야 할 동기유발이 잘 되지 않는다. The clock position setting unit (350) can automatically use at least on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to set the alarm clock icon or the text indicating the time in a location that does not cover at least one object on the background screen when the user terminal (100) designates the stored content or NFT content as the alarm background screen. For example, user A is an office worker who lives alone in a studio apartment, and user A's family and pet all live in different areas.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for user A to wake up alone, so let's assume that user A has designated family and pet photos in his gallery (internal memory or external memory) as the alarm background screen. The alarm screen basically displays a clock-shaped icon or text corresponding to the time. However, if the clock or text is displayed by covering the Jindo dog, which is the user's favorite pet, or covering the father or mother, the user is likely to turn it off and sleep, and there is little motivation to wake up.

또는, 사용자 B는 미술작품 NFT 중에서, 한국 수묵 산수화 대표 작가인 류재춘 화백의 월하 2021 NFT 에디션 200 개 중 1 개를 역경매 방식인 더치옥션으로 0.014BTC(비트코인, 약 100만원)에 거래를 하고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사용자 B가 작품이 너무 맘에 들어 알람배경화면으로 해놓았는데, 알람배경화면 모두를 시계나 시각 텍스트가 가로막고 있다면 아침에 깨어날 때마다 멋진 수묵 산수화를 볼 수 없다. 이에, 시계형상의 아이콘이 그림을 가리지 않도록 배치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각 객체를 구별하는 실시간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딥러닝, 예를 들어 YOLO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며 정확도도 우수한 YOLOv3과 YOLOv4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만약 가족의 얼굴을 가리거나 수묵화의 그림 자체를 가리는 경우 이를 피하여 시계나 시각 텍스트를 배치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얼굴을 인식한 후 얼굴이 가리지 않게 시계의 크기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그림 자체를 가리지 않게 전경이나 피사체 외의 배경에 위치하도록 하되, 배경이 흰색이라면 시계를 검정색 텍스트로, 배경이 검은색이라면 흰색 텍스트로 대비가 되는 색상을 골라 위치시킬 수도 있다.Or, let's say that User B owns one of the 200 Wolha 2021 NFT editions by Jae-chun Ryu, a representative Korean sumi-e landscape painter, by trading it for 0.014 BTC (about 1 million won) through a Dutch auction, a reverse auction method. In this case, if User B likes the artwork so much that he sets it as his alarm wallpaper, but the entire alarm wallpaper is covered by a clock or visual text, he will not be able to see the beautiful sumi-e landscape painting every time he wakes up in the morn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rrange the clock-shaped icon so that it does not cover the painting. At this time, deep learning, such as YOLO, can be used to extract each object in real time. The YOLOv3 and YOLOv4 algorithms, which are capable of real-time processing and have excellent accuracy, can be used. If the family's face is covered or the sumi-e painting itself is covered, the clock or visual text can be arranged to avoid this. In the former case, after recognizing a face, the size or position of the watch can be adjusted so that it does not obscure the face, and in the latter case, it can be positioned in the foreground or background other than the subject so as not to obscure the picture itself. If the background is white, the watch can be positioned in black text, and if the background is black, the watch can be positioned in white text with a contrasting color.

YOLO(You Only Look Once)는 하나의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twork)이 이미지를 한번 보는 것으로 객체의 위치검출(Localization)과 분류(Classification)를 동시에 수행하여 실시간 처리에 최적화된 딥러닝 알고리즘이다. 이 알고리즘은 계속 수정되고 발전해오면서 여러 형태로 존재하며, YOLOv3와 YOLOv4는 가장 최근에 공개된 모델이다. 객체 검출 알고리즘의 구조는 Backbone, Neck, Head(Dense Prediction)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Backbone은 특징지도(Feature Map) 추출을 위해 이용되는 이미 학습된 네트워크이고, Neck은 Backbone의 다른 단계에서 다른 특징지도를 추출하기 위해 Backbone과 Head 사이에 존재하는 계층(Layer)이며, Head는 실제로 객체검출을 담당하는 부분이다. YOLO (You Only Look Once) is a deep learning algorithm optimized for real-time processing that performs object localization and classification simultaneously with a singl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looking at an image. This algorithm has been continuously modified and developed and exists in various forms, with YOLOv3 and YOLOv4 being the most recently published models. The structure of the object detection algorithm consists of three parts: Backbone, Neck, and Head (Dense Prediction). Backbone is a pre-trained network used to extract feature maps, Neck is a layer between Backbone and Head to extract different feature maps at different stages of Backbone, and Head is the part that actually performs object detection.

YOLOv3는 darknet53을 Backbone으로 적용하고 FPN(Feature Pyramid Network)을 Neck으로 사용하며, Head는 경계상자에 객체가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점수와 그 객체가 어떤 클래스(Class)인지 분류하기 위한 클래스별 확률을 동시에 예측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YOLOv4는 최신 딥러닝 기술을 접목하여 YOLOv3를 개선한 모델이며, CSPdarknet53을 Backbone에 적용하고, SPP(Spatial Pyramid Pooling)과 PAN(Path Aggregation Network)을 Neck으로 사용하며, Head는 YOLOv3의 구조를 가진다.YOLOv3 applies darknet53 as the backbone, uses FPN (Feature Pyramid Network) as the neck, and the head is structured to simultaneously predict the score for determining whether an object is in the bounding box and the class-specific probability for classifying which class the object is. YOLOv4 is an improved model of YOLOv3 by incorporating the latest deep learning technology, and applies CSPdarknet53 as the backbone, uses SPP (Spatial Pyramid Pooling) and PAN (Path Aggregation Network) as the neck, and the head has the structure of YOLOv3.

실시간NFT확인부(36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전자지갑을 등록하고, NFT 콘텐츠로 알람의 배경화면을 설정한 경우, 알람이 울리는 시각 이후 전자지갑 내 NFT 콘텐츠에 대응하는 NFT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NFT가 매도되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 지정된 기본알람으로 배경화면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지갑계정을 이용하여 NFT를 매매하거나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한다.The real-time NFT verification unit (360) can check whether an NFT corresponding to the NFT content exists in the electronic wallet after the alarm sounds when an electronic wallet is registered i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background of the alarm is set as NFT content, and if the NFT is sold and does not exist, the background mode can be changed to the default alarm specified. The following describes a method of buying or selling or verifying an NFT using each wallet account.

저작권자 단말(400)에서 NFT를 등록(NFT가 저작물을 기반으로 발행된 것을 전제)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메타마스크(Metamask) 지갑계정을 가져와서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 지갑계정을 이용해서 NFT을 지갑에 저장 및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에 회원가입페이지를 누르면 메타마스크에서 지갑계정을 가져와 회원가입 폼(Form)에 들어간다. 사용자는 이메일, 이름, 비밀번호를 작성해서 회원가입 버튼을 누르면 MongoDB에 등록이 된다. 가입한 계정으로 로그인 후 NFT을 등록할 수 있다. NFT 등록 과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칠 수 있다.In order to register an NFT in the copyright terminal (400) (assuming that the NFT is issued based on a work), for example, a Metamask wallet account can be imported and automatically registered. The NFT can be stored and registered in the wallet using this wallet account. When the member registration page of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icked, a wallet account is imported from Metamask and the member registration form is entered. The user enters an email, name, and password and clicks the member registration button to register in MongoDB. After logging in with the registered account, the NFT can be registered. The NFT registration process can be done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저작권자 단말(400)에서 NFT을 등록하고자 한다면, ① 저작권자 단말(400)은 UploadProductUI를 통해 NFT에 대한 정보를 작성한 후 등록 버튼을 눌러 MyNFT.sol에 ResigsterUniqueToken 함수를 요청할 수 있다. ② MyNFT.sol은 트랜잭션(Transaction)을 통해 블록체인에 토큰을 등록한 후 저작권자 단말(400)가 판매를 원하는 NFT에 대한 정보를 CeateAuction 함수를 통해 블록체인에 Auction을 등록할 수 있다. ③ 등록이 완료된 Auction은 MongoDB의 저작물에 토큰 이외의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If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wishes to register an NFT, ①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can write information about the NFT through UploadProductUI and then press the register button to request the ResigsterUniqueToken function in MyNFT.sol. ② MyNFT.sol can register a token in the blockchain through a transaction and then register an auction for the NFT that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wishes to sell through the SetAuction function. ③ The Auction, once registered, can store information other than tokens in the copyrighted work of MongoDB.

NFT 구매 과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① 사용자 단말(100)은 구매를 원하는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고 결제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② 사용자 단말(100)의 메타마스크 지갑계정에서 해당 상품의 가격만큼 판매자 지갑계정으로 이더를 송금할 수 있다. ③ Auctions.sol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구매하고자 하는 저작물의 Contract Address로 GAS를 보내 토큰 소유권 이전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④ ApproveTransfer 함수를 통해 소유권 이전이 완료되면 해당 NFT에 대한 토큰의 소유권이 사용자 단말(100)로 바뀌면서 상품에 대한 거래가 종료된다. ⑤ 메타마스크에서 거래가 완료된 저작물의 정보를 SuccessBuy 함수로 UserManager에 전달하고 MongoDB에 저장하여, 사용자 단말(100)은 MyHistory Page에서 해당 거래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The NFT purchase process goes through the following steps. ① The user terminal (100) can put the product it wants to purchase in the shopping cart and click the payment button. ② The user terminal (100) can transfer Ether equivalent to the price of the product from the MetaMask wallet account to the seller wallet account. ③ In Auctions.sol, the user terminal (100) can send GAS to the Contract Address of the work it wants to purchase to request approval for the transfer of token ownership. ④ When the transfer of ownership is completed through the ApproveTransfer function, the ownership of the token for the NFT changes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transaction for the product is completed. ⑤ The information on the work for which the transaction was completed in MetaMask is transferred to the UserManager through the SuccessBuy function and stored in MongoDB, so that the user terminal (100) can check the transaction details on the MyHistory Page.

NFT 거래는 예를 들어, 프론트엔드, 백엔드, MongoDB로 구성되어 있는 dApp이다. 프론트엔드에는 React를 사용해 웹 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고, Node.js를 이용해 웹 서버를 구동할 수 있다. 백엔드에는 블록체인, Truffle, Ganache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이더리움 플랫폼을 사용하고 스마트 컨트랙트는 Solidity로 작성할 수 있다. Truffle을 통해 EVM에 스마트 컨트랙트를 배포해주고, 많은 양의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업로드 하게 되면 GAS 소모량이 높아지므로 사용자 정보와 NFT의 정보를 따로 MongoDB에 저장할 수 있다. 웹 서버와 블록체인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Web3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다. NFT trading is a dApp consisting of a front-end, a back-end, and MongoDB, for example. The front-end can use React to create web pages, and Node.js to run a web server. The back-end can include blockchain, Truffle, and Ganache. The blockchain uses the Ethereum platform, and smart contracts can be written in Solidity. Smart contracts are deployed to EVM through Truffle, and when a large amount of data is uploaded to the blockchain network, GAS consumption increases, so user information and NFT information can be stored separately in MongoDB. The Web3 library can be used to interact with the web server and the blockchain.

Solidity 언어를 이용하여 백엔드에 해당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작성할 수 있다. 업로드한 저작물의 ERC721 토큰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MyNFT 컨트랙트, 저작물 업로드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Auctions 컨트랙트를 사용할 수 있다. MyNFT 컨트랙트에서는 Unique한 토큰을 생성한 후 등록해주는 RegisterUniqueToken 함수가 사용되며, 토큰의 값과 Metamask 지갑 주소를 인자값으로 받아 ERC721의 Mint 함수를 통해 새로운 토큰을 등록해준다. Auctions 컨트랙트에서는 업로드 w저작물에 대한 정보들을 관리하는 Auction 구조체를 사용하며, Auction 구조체의 Active 변수와 Finalize 변수를 통해 등록된 Auction의 판매 여부와 활성화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해당 컨트랙트에는 새로운 Auction을 생성하는 CeateAuction 함수와 Auction 구매를 완료하는 FinalizeAuction 함수 등이 사용될 수 있다.You can write a smart contract corresponding to the backend using the Solidity language. You can use the MyNFT contract, which provides services related to the ERC721 token of the uploaded work, and the Auctions contract, which provides services related to uploading works. The MyNFT contract uses the RegisterUniqueToken function, which creates a unique token and registers it. It receives the token value and the Metamask wallet address as arguments and registers a new token through the Mint function of ERC721. The Auctions contract uses the Auction structure, which manages information about the uploaded work, and you can determine whether the registered Auction is sold and activated through the Active and Finalize variables of the Auction structure. The contract can use the SetateAuction function, which creates a new Auction, and the FinalizeAuction function, which completes the Auction purchase.

FinalizeAuction 함수에서는 구매하고자 하는 Auction에 대해 컨트랙트 내부에서만 호출 가능한 ApproveandTransfer 함수를 사용하여 구매자의 지갑계정을 승인하고 토큰을 전달한 후 해당 Auction에 대한 구매를 마무리 할 수 있다. 앞서 작성된 컨트랙트들은 Node.js 환경에서 Truffle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배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배포를 통해 생성된 2개의 Contract Address를 Config.js 파일에 입력하여 컨트랙트 설정을 마무리 할 수 있다. 데이터들은 MongoDB를 통해 관리되며 JSON 형식으로 데이터들이 입출력될 수 있다.In the FinalizeAuction function, you can use the ApproveandTransfer function, which can only be called inside the contract, to approve the buyer's wallet account, transfer the token, and complete the purchase for the Auction. The contracts written above can be deployed and used on the blockchain network through Truffle in a Node.js environment. You can finalize the contract settings by entering the two Contract Addresses generated through deployment into the Config.js file. Data is managed through MongoDB and can be input/output in JSON format.

React와 Node.js가 프론트엔드에 해당된다. 프론트 서버를 돌리고 자바스크립트에서 스마트 컨트랙트에 접근해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Web3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다. CopyrightPage.js는 NFT을 MongoDB와 스마트 컨트랙트에 올리는 웹 페이지이다. MyNFT와 Auctions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기 위해 Web3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컨트랙트의 ABI와 Contract Address를 지정해준다. 소유권을 증명해주는 ERC721 토큰을 생성하는 함수를 통해 해당 토큰의 아이디 값을 123456789부터 999999999까지 중 하나의 숫자로 랜덤하게 생성할 수 있다. NFT에 대한 정보를 적은 후 업로드 버튼을 누르면 WatchTokenRegistered 함수에서 MyNFT 컨트랙트의 이벤트를 이용해 토큰이 등록되었는지 확인하고 등록이 되었으면 TransferToCA 함수로 넘어가 MyNFT 컨트랙트의 TransferFrom 함수를 사용해 해당 옥션의 토큰 ID를 Auction 컨트랙트에 넘겨준다. React and Node.js are the front-end. If you want to run a front-end server and access and use smart contracts in JavaScript, you can use the Web3 library. CopyrightPage.js is a web page that uploads NFTs to MongoDB and smart contracts. In order to use the MyNFT and Auctions smart contracts, the Web3 library is used to specify the contract's ABI and Contract Address. Through the function that creates an ERC721 token that proves ownership, the ID value of the token can be randomly generated as a number from 123456789 to 999999999. After wri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NFT and pressing the upload button, the WatchTokenRegistered function checks whether the token is registered using the MyNFT contract's event, and if registered, it goes to the TransferToCA function and uses the TransferFrom function of the MyNFT contract to pass the token ID of the auction to the Auction contract.

그 후에 CeateAuction 함수로 Auction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하면 MongoDB에 옥션에 대한 정보를 올려준다. 트랜잭션 판매중인 저작권 거래 NFT를 장바구니에 담아 구매를 진행하는 웹 페이지에서는, 장바구니에 담긴 NFT에 대해 구매 버튼을 누르면 FinalizeAuction 함수가 실행된다. 이 함수는 Web3 라이브러리의 SendTransaction 함수를 이용해 승인을 누르면 구매자의 메타마스크 계정 지갑에서 해당 저작권 거래 상품의 가격만큼 이더(ETH)가 빠져나가 판매자의 계정 지갑으로 이더를 송금할 수 있다. 그 후 승인을 누르면 Auction 컨트랙트의 FinalizeAuction 함수가 실행되어 해당 저작권 거래 NFT의 토큰을 구매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거래가 완료되면 저작권 거래 NFT의 Active 값이 False로 바뀌고 사용자의 장바구니에서 상품이 사라진다. 사용자의 구매 내역에 MongoDB를 통해 저작권 거래 NFT가 저장된다.After that, you can create an Auction with the CeateAuction function. When created, information about the auction is uploaded to MongoDB. On a web page where you can add a copyright transaction NFT being sold to your shopping cart and proceed with the purchase, the FinalizeAuction function is executed when you click the purchase button for the NFT in the shopping cart. This function uses the SendTransaction function of the Web3 library to withdraw Ether (ETH) equivalent to the price of the copyright transaction product from the buyer's Metamask account wallet and transfer the Ether to the seller's account wallet. After that, when you click Approve, the FinalizeAuction function of the Auction contract is executed to transfer the token of the copyright transaction NFT to the buyer. When the transaction is completed, the Active value of the copyright transaction NFT changes to False and the product disappears from the user's shopping cart. The copyright transaction NFT is stored in the user's purchase history through MongoDB.

저작권보호부(370)는, NFT 콘텐츠를 제작한 저작권자가 설정한 알람사운드 및 알람해제미션은, NFT 콘텐츠의 배경화면을 사용할 때에만 사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NFT 콘텐츠는 배경화면 이외에도 알람사운드 및 알람해제미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관성 및 정신적 각성(Mental Alertness)을 연구하는 전문가가 알람사운드와 배경화면을 함께 만들었다고 가정하자. 이때, 전문가인 저작권자는 자신의 알람사운드와 배경화면이 함께 사용되기를 원했다면, 해당 알람사운드는 해당 배경화면에 전용으로 사용되고 다른 배경화면과 유닛으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The copyright protection unit (370) may set the alarm sound and alarm release mission set by the copyright holder who created the NFT content to be used only when using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NFT content. At this time, the NFT content may include an alarm sound and an alarm release mission in addition to the background screen. For example, let's assume that an expert studying sleep inertia and mental alertness created an alarm sound and a background screen together. At this time, if the expert copyright holder wanted his alarm sound and background screen to be used together, he may set the alarm sound to be used exclusively for the background screen and not be combined with other background screens as a unit.

동기화부(38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전자지갑을 등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알람을 설정하는 설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마다 설정 애플리케이션과 전자지갑을 자동으로 동기화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ynchronization unit (380) can automatically synchronize the settings application and the electronic wallet whenever the settings application for setting an alarm is executed on the user terminal (100) when registering an electronic wallet on the user terminal (100).

다중출력부(39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IoT 기반으로 연동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서 출력되는 저장 콘텐츠 또는 NFT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캐스팅(Casting)하거나 N-스크린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장출근에 늦지 않기 위해 매일 아침 알람을 맞춰놓는 사용자 C가 자신이 좋아하는 사진인 D를 알람배경화면으로 설정해놓았다면,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D가 출력되면서 동시에 IoT로 연결된 TV가 턴 온되면서 화면에 사진 D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N-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은 꺼지고 그 다음부터 TV에서 출력되도록 캐스팅을 실시할 수도 있다. N 스크린과 캐스팅의 차이점은, N 스크린의 경우 동일한 화면을 두 개 이상의 단말(N 개의 스크린)에서 동시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고, 캐스팅의 경우에는 A 단말에서 출력되던 콘텐츠가 중간에 B 단말로 캐스팅된다면, 끊겼던 시점부터 다시 B 단말에서만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A 단말의 화면 및 알람 등은 꺼지게 된다.The multi-output unit (390) can cast the stored content or NFT content output from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0) to at least one display or output it as an N-screen when at least on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100) is linked based on IoT. For example, if user C, who sets an alarm every morning to not be late for work, sets his favorite photo D as the alarm background scree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0) can be implemented as an N-screen by simultaneously turning on the TV connected to IoT while displaying the photo D on the screen, or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0) can be turned off and casting can be performed so that it is output from the TV thereaft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N-screen and casting is that in the case of the N-screen, the same screen is outputt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terminals (N screens), while in the case of casting, if the content output from terminal A is cast to terminal B in the middle, it is outputted only on terminal B from the point where it was interrupted. At this time, the screen and alarm of terminal A are turned off.

NFT발행부(391)는,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에서 알람배경화면, 알람사운드 및 알람해제미션 중 적어도 하나를 업로드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알람배경화면, 알람사운드 및 알람해제미션의 저작권을 검증한 후 NFT를 발급하고 NFT 콘텐츠로 업로드할 수 있다. NFT를 발급할 때 저작권을 검증하지 않고, 즉 불법복제물에 기해 NFT를 발행하는 경우 불법복제물이 널리 퍼져나갈 수 있는 기회의 장을 열어주는 것이므로, NFT를 발행하기 전, 대상 콘텐츠가 타인의 저작물을 침해하는 저작물인지의 여부를 확인 및 검증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따라, 유사도를 기준으로 기 저장된 저작물 또는 기 업로드된 콘텐츠와 NFT를 발행받고자 하는 콘텐츠를 비교하여 동일성이 인정되는 경우 저작권자 단말(400)의 저작물에 기 등록된 저작권자의 출처표시를 강제삽입하여 NFT를 발행하도록 한다. 이렇게 발행된 NFT를 구매하는 사람들은 블록체인의 공유원장을 통하여 출처표시가 된 저작물 콘텐츠를 구매 및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동일성이 인정되는 불법복제물이라면 NFT를 발행하지 않고 저작권자에게 이를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NFT issuing unit (391) can verify the copyright of at least one alarm background screen, alarm sound, and alarm release mission when at least one of the alarm background screen, alarm sound, and alarm release mission is uploaded from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and then issue an NFT and upload it as NFT content. When issuing an NFT, if the copyright is not verified, that is, if an NFT is issued based on an illegal copy, it opens up an opportunity for the illegal copy to spread widel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firm and verify whether the target content is a work that infringes on another person's work before issuing the NFT. Accordingly, based on the similarity, the content for which an NFT is to be issued is compared with a previously stored work or a previously uploaded content, and if the same is recognized, the source indication of the copyright holder already registered in the work of th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is forcibly inserted to issue an NFT. People who purchase NFTs issued in this way will be able to purchase and use copyrighted content with a source indication through the blockchain's shared ledger. Alternatively, if it is an illegal copy whose identity is recognized,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copyright holder without issuing an NFT.

이하, 상술한 도 2의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of the above-described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examples. However, it will be obvious that the embodiment is onl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을 참조하면, (a) 사용자 단말(100)에서 알람을 설정할 때,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있는 저장 콘텐츠를 사용할 것인지 또는 전자지갑을 등록하여 전자지갑 내 NFT로 표상되는 NFT 콘텐츠를 이용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b) 사용자 단말(100)에서 알람시간을 설정하고, (a)와 같이 배경화면을 설정했다면, 알람해제미션을 설정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누즈(Snooze)가 많이 이용되지만 다양한 알람해제미션을 설정할 수 있고 이는 알람해제미션에 대한 NFT 콘텐츠의 사용권을 NFT로 구매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흔들기, 사진찍기, 걸음걷기 등 몸을 최대한 움직여 수면관성을 깨고 정신적 각성을 일으키기 위한 미션들이다. 다양한 창작자가 등장하는 경우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들이 등장할 수 있고 사용자는 원하는 알람해제미션을 NFT로 다운로드받아 이용허락을 받아 사용권을 획득한 후, 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 (c) 알람이 출력될 때 알람화면의 배경화면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한 배경화면이 출력되는데, (d) 알람화면이 배경화면의 그림을 가리지 않도록 시계모양 아이콘이나 텍스트를 그림을 피하도록, 피사체와 겹치는 곳이 없게 배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when setting an alarm on a user terminal (100), it is possible to select whether to use the stored content in the built-in memory or external memory, or to use the NFT content represented as an NFT in the electronic wallet by registering an electronic wallet. (b) If the alarm time is set o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background screen is set as in (a), an alarm release mission can be set. Recently, Snooze is widely used, but various alarm release missions can be set, and these can be used by purchasing the right to use NFT content for the alarm release mission with NFT. For example, missions are to break the sleep inertia and induce mental awakening by moving the body as much as possible, such as shaking the smartphone, taking a picture, and walking.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various methods can appear when various creators appear, and the user can download the desired alarm release mission as an NFT, obtain permission to use it, obtain the right to use it, and then use it. (c) When an alarm is output,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alarm screen is output as the background screen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100). (d) To prevent the alarm screen from covering the background screen image, a clock-shaped icon or text can be positioned to avoid overlapping with the subject.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not described in the alarm background setting service provision method of FIGS. 2 and 3 are identical to or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contents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alarm background setting service provision method of FIG. 1 above, and therefor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alarm background setting service providing system of FIG.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through FIG. 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as shown in FIG. 4 may be chang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도 4를 참조하면,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400)로부터 알람배경화면, 알람사운드 및 알람해제미션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고(S4100), 저작권을 검증한 후(S4200), NFT를 발행한다(S4300).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은 직접 NFT를 발급하고 저작물을 관리하지 않고, 외부의 연동 플랫폼에서 발급 및 유통되는 NFT를 각 개인(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 확인하고 NFT가 전자지갑 내 존재한다면, NFT로 표상되는 NFT 콘텐츠를 가져와 이를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es content corresponding to an alarm background screen, an alarm sound, and an alarm release mission from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400) (S4100), verifies the copyright (S4200), and then issues an NFT (S4300). Of course, as described above, the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irectly issue NFTs and manage copyrighted works, but verifies NFTs issued and distributed by an external linked platform with the electronic wallet of each individual (user), and if the NFT exists in the electronic wallet, it can retrieve the NFT content represented by the NFT and use it.

사용자 단말(100)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S4500), 전자지갑 또는 사이트와 연동하는 경우(S4600), 알람을 추가할 때(S4700), 옵션을 하나 더 넣어주게 된다. 즉 NFT 콘텐츠의 사용 옵션이다(S4800). 사용자 단말(100)에서 NFT 콘텐츠 전용 알람사운드를 설정했다면, 해당 NFT 콘텐츠(알람배경화면+알람사운드)를 출력하여 알람을 설정하고(S4920), 알람이 기 설정된 시각에 울리게 하고, 알람해제미션이 성공한 경우 해제를 시켜 알람을 완료한다(S4930). 이때, NFT가 아직 사용자 단말(100)의 전자지갑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S4950), 확인이 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에 디폴트로 설정된 기본알람모드로 전환되도록 하고(S4940), 확인이 되는 경우에는 계속하여 이 NFT 콘텐츠(알람배경화면+알람사운드)를 사용하여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할 수 있다.When downloading an application from a user terminal (100) (S4500), linking with an electronic wallet or site (S4600), and adding an alarm (S4700), one more option is added. That is, it is an option for using NFT content (S4800). If an alarm sound exclusive to NFT content is set in the user terminal (100), the corresponding NFT content (alarm background screen + alarm sound) is output to set an alarm (S4920), the alarm is set to sound at a preset time, and if the alarm release mission is successful, it is released to complete the alarm (S4930). At this time, it is checked whether the NFT still exists in the electronic wallet of the user terminal (100) (S4950), and if not confirmed, it is switched to the basic alarm mode set as default in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4940), and if confirmed, the alarm can be set to sound continuously using this NFT content (alarm background screen + alarm sound).

한편, 전자지갑을 연동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S4600), 알람을 추가할 때(S4710), 갤러리에서 저장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고르도록 하고(S4810), 기본 알람사운드 및 알람해제미션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S4910), 알람을 세팅하고, 알람이 기 설정된 시각에 울리게 하고, 알람해제미션이 성공한 경우 해제를 시켜 알람을 완료한다(S4940).Meanwhile, when an electronic wallet is not linked, the user terminal (100) (S4600) sets an alarm by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saved contents in the gallery (S4810) when adding an alarm (S4710), selecting a basic alarm sound and an alarm release mission (S4910), and making the alarm ring at a preset time, and completing the alarm by releasing it if the alarm release mission is successful (S4940).

상술한 단계들(S4100~S494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494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steps (S4100 to S4940)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4940) may be mutually changed, and some of the steps may be executed simultaneously or deleted.

이와 같은 도 4의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not described in the alarm background setting service provision method of Fig. 4 are identical to or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contents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alarm background setting service provision method through Figs. 1 to 3 above, and therefor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에 엑세스권을 허용하거나 전자지갑을 등록하고(S5100), 사용자 단말에서 알람을 설정하는 경우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 또는 전자지갑에 보관된 NFT와 연동된 NFT 콘텐츠를 선택한다(S5200).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n alarm background setting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a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allows access to pre-stored storage content in a user terminal or registers an electronic wallet (S5100), and when setting an alarm in a user terminal, selects pre-stored storage content or NFT content linked to an NFT stored in an electronic wallet (S5200).

그리고,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 또는 NFT 콘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저장 콘텐츠 또는 NFT 콘텐츠가 알람이 울리는 화면의 배경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설정한다(S5300).And, when the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selects the previously saved storage content or NFT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the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sets the storage content or NFT content to be output as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screen where the alarm sounds (S5300).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method for providing an alarm background setting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escribed through FIG. 5 can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computer-executable commands,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The computer-readable medium can be any available medium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can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The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by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ing information, such as computer-readable command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alarm background screen sett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that is installed by default in a terminal (which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operating system that is installed by default in the terminal), and can also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in a master terminal by a user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service. In this sense, the alarm background screen sett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a program) that is installed by default in a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a user, and can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terminal.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 또는 전자지갑(Wallet)에 보관된 NFT와 연동된 NFT 콘텐츠를 알람의 배경화면으로 설정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에 엑세스권을 허용하거나 상기 전자지갑을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알람을 설정하는 경우 상기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 또는 전자지갑에 보관된 NFT와 연동된 NFT 콘텐츠를 선택하도록 하는 선택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 또는 NFT 콘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저장 콘텐츠 또는 NFT 콘텐츠가 상기 알람이 울리는 화면의 배경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저장 콘텐츠 또는 NFT 콘텐츠를 알람의 배경화면으로 지정한 경우, 상기 알람의 시계 아이콘 또는 시간을 알리는 텍스트가 상기 배경화면의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가리지 않는 위치에 설정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지정하는 시계위치설정부를 포함하는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er terminals that set NFT content linked to previously saved storage content or NFT stored in an electronic wallet (Wallet) as the background of the alarm; and
A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registration unit that allows access to previously stored storage content or registers the electronic wallet in the user terminal, a selection unit that selects the previously stored storage content or NFT content linked to the NFT stored in the electronic wallet when setting an alarm in the user terminal, a setting unit that sets the previously stored storage content or NFT content to be output as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alarm when the previously stored storage content or NFT content is selected in the user terminal, and a clock position setting unit that automatically uses at least on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to set the clock icon or text indicating the time of the alarm to a position that does not cover at least one object in the background screen when the previously stored content or NFT content is designated as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alarm in the user terminal;
A system providing an alarm background screen setting service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이고,
상기 전자지갑에 보관된 NFT와 연동된 NFT 콘텐츠는, 상기 NFT가 발행된 근거 및 목적물인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above-mentioned pre-saved storage content is content stored in the built-in memory or external memory of the user terminal,
An alarm background setting service provi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NFT content linked to the NFT stored in the above electronic wallet is the content that is the basis and purpose for which the NFT was issu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메모리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계정으로 로그인되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external memory is,
An alarm background setting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loud platform that logs in with an account of the user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저장 콘텐츠 또는 NFT 콘텐츠를 설정한 후, 알람해제미션을 등록하는 경우, 상기 알람해제미션이 입력 또는 감지되기 이전까지는 상기 알람을 해제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해제미션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above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is,
When setting the storage content or NFT content on the user terminal and registering an alarm release mission, a release mission management unit that sets the alarm not to be released until the alarm release mission is input or detected;
A system providing a service for setting an alarm background screen that includes more.
삭제delete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 또는 전자지갑(Wallet)에 보관된 NFT와 연동된 NFT 콘텐츠를 알람의 배경화면으로 설정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에 엑세스권을 허용하거나 상기 전자지갑을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알람을 설정하는 경우 상기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 또는 전자지갑에 보관된 NFT와 연동된 NFT 콘텐츠를 선택하도록 하는 선택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기 저장된 저장 콘텐츠 또는 NFT 콘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저장 콘텐츠 또는 NFT 콘텐츠가 상기 알람이 울리는 화면의 배경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전자지갑을 등록하고, 상기 NFT 콘텐츠로 알람의 배경화면을 설정한 경우, 상기 알람이 울리는 시각 이후 상기 전자지갑 내 상기 NFT 콘텐츠에 대응하는 NFT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NFT가 매도되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 지정된 기본알람으로 상기 배경화면의 모드를 변경하는 실시간NFT확인부를 포함하는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er terminals that set NFT content linked to previously saved storage content or NFT stored in an electronic wallet (Wallet) as the background of the alarm; and
A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registration unit that allows access to pre-stored storage content or registers the electronic wallet in the user terminal, a selection unit that selects the pre-stored storage content or NFT content linked to the NFT stored in the electronic wallet when setting an alarm in the user terminal, a setting unit that sets the pre-stored storage content or NFT content to be output as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alarm when the user terminal selects the pre-stored storage content or NFT content, and a real-time NFT confirmation unit that, when registering the electronic wallet in the user terminal and setting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alarm as the NFT content, checks whether an NFT corresponding to the NFT content exists in the electronic wallet after the time when the alarm rings, and changes the mode of the background screen to a pre-specified default alarm if the NFT is sold and does not exist.
A system providing an alarm background screen setting service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FT 콘텐츠는 상기 배경화면 이외에도 알람사운드 및 알람해제미션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NFT 콘텐츠를 제작한 저작권자가 설정한 상기 알람사운드 및 알람해제미션은, 상기 NFT 콘텐츠의 배경화면을 사용할 때에만 사용되도록 설정되는 저작권보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above NFT content includes alarm sounds and alarm release missions in addition to the above wallpapers.
The above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is,
The above alarm sound and alarm release mission set by the copyright holder who created the above NFT content are copyright protected and set to be used only when using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above NFT content;
A system for providing an alarm background screen setting service,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전자지갑을 등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알람을 설정하는 설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마다 상기 설정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전자지갑을 자동으로 동기화하도록 하는 동기화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above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is,
When registering the electronic wallet in the user terminal, a synchronization unit that automatically synchronizes the settings application and the electronic wallet whenever the settings application for setting an alarm is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A system for providing an alarm background screen setting service,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IoT 기반으로 연동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서 출력되는 상기 저장 콘텐츠 또는 NFT 콘텐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캐스팅(Casting)하거나 N-스크린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다중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above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is,
When at least one display in the user terminal is linked based on IoT, a multi-output unit that casts the stored content or NFT content output from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at least one display or outputs it as an N-screen;
A system for providing an alarm background screen setting service,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자 단말에서 알람배경화면, 알람사운드 및 알람해제미션 중 적어도 하나를 업로드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람배경화면, 알람사운드 및 알람해제미션의 저작권을 검증한 후 NFT를 발급하고 NFT 콘텐츠로 업로드하는 NFT발행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배경화면 설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above setting service providing server is,
When at least one alarm background screen, alarm sound, and alarm release mission is uploaded from at least one copyright holder terminal, an NFT issuing unit that verifies the copyright of at least one alarm background screen, alarm sound, and alarm release mission, issues an NFT, and uploads it as NFT content;
A system for providing an alarm background screen setting service,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KR1020220018391A 2022-02-11 2022-02-11 System for providing alarm screen setting service Active KR1027106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391A KR102710696B1 (en) 2022-02-11 2022-02-11 System for providing alarm screen setting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391A KR102710696B1 (en) 2022-02-11 2022-02-11 System for providing alarm screen setting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464A KR20230121464A (en) 2023-08-18
KR102710696B1 true KR102710696B1 (en) 2024-09-25

Family

ID=87801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391A Active KR102710696B1 (en) 2022-02-11 2022-02-11 System for providing alarm screen setting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06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682459B2 (en) * 2023-10-24 2025-05-26 株式会社Decoo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260B1 (en) * 2021-08-06 2022-02-08 서용제 A system using a blockchain-based game car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7147A (en) * 2012-04-17 2013-10-25 주식회사 엘알인터네이비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screen service linkage
KR102149779B1 (en) * 2013-11-04 2020-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alarm providing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102041453B1 (en) * 2018-12-07 2019-1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data of mobile terminal
KR102131724B1 (en) * 2018-12-10 2020-07-08 주식회사 딜라이트룸 Method for controlling alarm of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determining alarm off mission of serv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260B1 (en) * 2021-08-06 2022-02-08 서용제 A system using a blockchain-based game c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464A (en) 2023-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457B1 (en) Content capture device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TWI556181B (en) Method, mobile comput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wireless communication-enabled promotions and commercial transactions
US201602755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content
US8655739B2 (en) Method and system for upselling to a user of a digital book lending library
CN107925725B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16028305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2216183A (en) Server devic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10783546B2 (en) Color and symbol coded display on a digital badge for communicating permission to approach and activate further digital content interaction
JP2019204431A (en) Computer program and method
US8380633B2 (en) Time-slicing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books
US10884454B2 (en) Line-of-sight device housing a first device and configured for display of content from a second device
US20210182899A1 (en) Credit data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node device, user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system
US20110313938A1 (en) Time-slicing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books
CN108205754B (en) Electronic pay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US2025015898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distribution of authenticated data with reduced hardware requirements
KR102710696B1 (en) System for providing alarm screen setting service
KR20230175156A (en) Advertisement matching method of advertisement matching management server
WO20180495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efficient generation and exchange of descriptive information with media data
US201301385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upselling to a user of a digital book lending library
CN112702375A (en) Information pushing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30096770A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providing virtual wearing service of jewerly design for design transaction based on block-chain
JP2012113355A (en) Advertisement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dvertisement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advertisement information provision program
TWI662494B (en) Advertisement animation playing system and advertisement animation playing method
US12277469B2 (en) Transparent housing with an embedded keepsake
JP2019169183A (en) Accounting service support device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