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10221B1 - Acoustic resonator - Google Patents
Acoustic reson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10221B1 KR102710221B1 KR1020220018713A KR20220018713A KR102710221B1 KR 102710221 B1 KR102710221 B1 KR 102710221B1 KR 1020220018713 A KR1020220018713 A KR 1020220018713A KR 20220018713 A KR20220018713 A KR 20220018713A KR 102710221 B1 KR102710221 B1 KR 1027102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cavity
- piezoelectric layer
- acoustic resonator
- substr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element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2007—Details of bulk acoustic wave devices
- H03H9/02015—Characteristics of piezoelectric layers, e.g. cutting angl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element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17—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 H03H9/171—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implemented with thin-film techniques, i.e. of the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캐비티를 포함하는 기판, 기판의 상부에 형성된 제1 전극, 제1 전극의 일면에 형성된 압전층 및 압전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2 전극을 포함하되, 제1 전극, 압전층 및 제2 전극은 제1 캐비티의 일단 내지 타단에 대응되는 중첩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전극의 일단이 중첩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서 종단되고, 제1 전극의 종단과 중첩되게 압전층의 일부가 제거된 식각 영역이 형성되고, 기판은, 식각 영역의 일부와 가상의 수직선상에서 중첩되는 제2 캐비티를 더 포함하는 음향 공진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 전극 간의 기생 정전용량에 따른 저항 증가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품질인자 Q 값이 증가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coustic resonator including a substrate including a first cavity, a first electrod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a piezoelectric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layer, wherein the first electrode, the piezoelectr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include an overlapping region corresponding to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vity, one end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tes in a region outside the overlapping region, an etched region is formed in which a part of the piezoelectric layer is removed and overlaps with the end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ubstrate further includes a second cavity overlapping a part of the etched region on an imaginary vertical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blem of increased resistance due to parasitic capacitance between the two electrodes can be solved, thereby increasing a quality factor Q value.
Description
본 발명은 RF(Radio Frequency) 통신에 사용되는 음향 공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에어 브리지 구조를 통해 향상된 Q 값을 갖는 박막 벌크 음향 공진기(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oustic resonator used in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 having an improved Q value through an improved air bridge structure.
무선이동통신기술은 한정된 주파수 대역에서 효율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RF(Radio Frequency) 부품을 요구한다. 특히, RF 부품 중 필터는 이동통신기술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 중 하나로서,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 중에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신호를 선택하거나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를 필터링함으로써 고품질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requires various RF (Radio Frequency) components that can efficiently transmit information in a limited frequency band. In particular, filters among RF components are one of the core components used i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enabling high-quality communication by selecting the signal that the user needs among multiple frequency bands or filtering the signal to be transmitted.
현재 무선통신용 RF 필터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유전체 필터와 표면탄성파(Surface Acoustic wave, SAW) 필터이다. 유전체 필터는 높은 유전율, 저삽입 손실, 높은 온도에서의 안정성, 내진동, 내충격에 강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유전체 필터는 최근의 기술 발전 동향인 소형화 및 마이크로파 집적회로(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MMIC)화에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SAW 필터는 유전체 필터에 비해 소형이면서 신호처리가 용이하고 회로가 단순하며, 반도체 공정을 이용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SAW 필터는 유전체 필터에 비해 통과 대역 내의 사이드 리젝션(Side Rejection)이 높아 고품위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SAW 필터 공정에는 자외선(UV)을 사용하여 노광을 하는 공정이 포함되므로 인터디지털 트랜스듀서(Interdigital Transducer, IDT)의 선폭이 0.5㎛ 정도가 한계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SAW 필터를 이용하여 초고주파(2.5㎓ 이상) 대역을 커버하기는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SAW 필터를 이용하여 반도체기판에서 이루어지는 MMIC 구조와 단일칩을 구성하는 데는 근본적인 어려움이 따른다.Currently, the most widely used RF filters for wireless communication are dielectric filters and surface acoustic wave (SAW) filters. Dielectric filters have the advantages of high permittivity, low insertion loss, high temperature stability, vibration resistance, and shock resistance. However, dielectric filters have limitations in miniaturization and 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MMIC) development, which are recent technological development trends. In addition, SAW filters have the advantages of being compact, easy to process signals, simple circuits, and mass-producible by using semiconductor processes compared to dielectric filters. In addition, SAW filters have the advantage of high-quality information exchange due to high side rejection within the passband compared to dielectric filters. However, since the SAW filter process includes a process of exposing using ultraviolet (UV),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ine width of the interdigital transducer (IDT) is limited to about 0.5 ㎛.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cover the ultra-high frequency (over 2.5 GHz) band using a SAW filter, and there are fundamental difficulties in forming a single chip with an MMIC structure made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using a SAW filter.
위와 같은 한계 및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기존 반도체(Si, GaAs)기판에 다른 능동소자들과 함께 집적된 주파수 제어회로를 완전히 MMIC 화할 수 있는 박막 벌크 음향 공진기(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 필터가 제안되었다.To overcome the above limitations and problems, a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 filter has been proposed that can completely MMIC the frequency control circuit integrated with other active elements on a conventional semiconductor (Si, GaAs) substrate.
FBAR는 박막(thin film) 소자로 저가격, 소형이면서 고품질(High Q)계수의 특성이 가능하므로 각종 주파수 대역(9백㎒∼10㎓)의 무선통신기기, 군용 레이더 등에 사용 가능하다. 또한, 유전체 필터 및 집중 정수(LC) 필터보다 수백분의 1 크기로 소형화가 가능하고, SAW 필터보다 삽입손실이 매우 작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FBAR는 안정성이 높고 고품질계수를 요구하는 MMIC에 가장 적합한 소자로 평가된다.FBAR is a thin film device that can be used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military radars of various frequency bands (900 MHz to 10 GHz) because it is low-cost, small, and has high Q coefficient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can be miniaturized to a size several hundredths of that of dielectric filters and lumped constant (LC) filters,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having much lower insertion loss than SAW filters. Therefore, FBAR is evaluated as the most suitable device for MMIC that requires high stability and high Q coefficient.
FBAR 필터는 반도체 기판인 실리콘(Si)이나 갈륨비소(GaAs)에 압전유전체 물질인 산화아연(ZnO), 질화알루미늄(AlN) 등이 RF 스퍼터링 방법으로 증착되므로, 압전 특성으로 인한 공진을 유발한다. 즉, FBAR는 양 전극 사이의 압전박막의 증착, 및 체적파(Bulk Acoustic Wave) 유발을 통해 공진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FBAR filter induces resonance due to piezoelectric properties by depositing piezoelectric materials such as zinc oxide (ZnO) and aluminum nitride (AlN)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such as silicon (Si) or gallium arsenide (GaAs) using RF sputtering. In other words, FBAR can generate resonance through the deposition of a piezoelectric film between two electrodes and the induction of bulk acoustic waves.
FBAR 구조는 지금까지 다양한 형태로 연구되어 왔다. 멤브레인형 FBAR 구조에서, 기판 위에 실리콘산화막(SiO2)이 증착되고, 이방성 에칭(Isotropic Etching)에 의해 기판 반대면에 형성된 공동부(Cavity)를 통해 멤브레인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실리콘산화막 상부로 하부 전극이 형성되고, 이 하부 전극층 상부로 압전물질을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Magnetron Sputtering)방법으로 증착하여 압전층을 형성하며, 압전층 상부로 상부 전극을 형성하고 있다.The FBAR structure has been studied in various forms so far. In the membrane-type FBAR structure, a silicon oxide film (SiO 2 ) is deposited on a substrate, and a membrane layer is formed through a cavity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bstrate by isotropic etching. Then, a lower electrode is formed on top of the silicon oxide film, and a piezoelectric material is deposited on top of the lower electrode layer by RF magnetron sputtering to form a piezoelectric layer, and an upper electrode is formed on top of the piezoelectric layer.
위와 같은 멤브레인형 FBAR는 캐비티(cavity, 空洞)에 의해 기판 유전손실이 적으며, 전력손실이 작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멤브레인형 FBAR는 실리콘 기판의 방향성에 의하여 소자가 차지하는 면적이 크며, 후속 패키징 공정 시 구조적 안정성이 낮아 파손에 의한 수율 저하가 문제점이 되고 있었다. 따라서, 최근 멤브레인에 의한 손실을 줄이고 소자 제조공정을 단순화 하기 위해 에어갭(Air Gap)형과 브래그 리플렉터(Bragg Reflector)형 BAW 공진기, 즉 SBAR(Solidly mounted BAR)가 등장했다.The membrane type FBAR as above has the advantage of low substrate dielectric loss due to the cavity and low power loss. However, the membrane type FBAR has a large area occupied by the device due to the directionality of the silicon substrate, and the structural stability is low during the subsequent packaging process, so there is a problem of reduced yield due to breakage.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loss due to the membrane and simplify the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air gap type and Bragg Reflector type BAW resonators, namely SBAR (Solidly mounted BAR), have recently appeared.
브레그 리플렉터형 SBAR는 기판상에 탄성 임피던스 차가 큰 물질을 격층으로 증착하여 반사층을 구성하고 하부 전극, 압전층 및 상부 전극을 차례로 적층한 구조로써, 압전층을 통과한 탄성파에너지가 기판 방향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반사층에서 모두 반사되어 효율적인 공진을 발생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브레그 리플렉터형 FBAR는 구조적으로 견고하며, 휨에 의한 stress가 없지만 전반사를 위한 두께가 4층 이상의 반사층을 정확하게 형성하기가 어려우며, 제작을 위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The Bragg reflector-type SBAR is a structure in which a material with a large elastic impedance difference is deposited in layers on a substrate to form a reflection layer, and a lower electrode, a piezoelectric layer, and an upper electrode are sequentially laminated, so that elastic wave energy passing through the piezoelectric layer is not transmitted toward the substrate but is entirely reflected by the reflection layer, thereby generating efficient resonance. This Bragg reflector-type FBAR is structurally solid and has no stress due to bending, but has the disadvantages of being difficult to accurately form a reflection layer with a thickness of four or more layers for total reflection, and requiring a lot of time and cost for manufacturing.
한편, 반사층 대신에 에어갭을 이용하여 기판과 공진부를 격리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박막 벌크 음향 공진기는 실리콘 기판 표면을 이방성 에칭하여 희생층을 구현하고 CMP로 표면연마를 한 후, 절연층, 하부 전극, 압전층, 및 상부전극을 차례로 증착하고 비아홀을 통하여 희생층을 제거, 에어갭을 형성하여 FBAR를 구현한다.Meanwhile, a conventional thin-film bulk acoustic resonator having a structure that isolates the substrate and the resonant section using an air gap instead of a reflective layer implements a sacrificial layer by anisotropically etching the surface of a silicon substrate, and then sequentially deposits an insulating layer, a lower electrode, a piezoelectric layer, and an upper electrode after surface polishing using CMP, and then removes the sacrificial layer through a via hole to form an air gap to implement an FBAR.
종래 기술의 경우에, FBAR 구조에서 상하부 전극 사이에 압전층이 구성되고 이 압전층의 필요한 영역에만 상하부 전극이 설치됨으로써 피에조 효과가 이용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구조는 기계적인 anchor loss가 크고 이로 인해서 기계적 에너지 감소의 원인이 된다.In the case of the prior art, a piezoelectric layer i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in the FBAR structure, and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are installed only in the necessary area of the piezoelectric layer, thereby utilizing the piezoelectric effect.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prior art has a large mechanical anchor loss, which causes a decrease in mechanical energy.
상부 전극이나 하부 전극의 경우 acoustic impedance를 높이기 위해서 Mo, Ru, W 등이 사용된다. 필터의 주파수에 따라 전극 물질의 skin depth가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skin depth보다 매우 적은 두께의 전극이 사용되기 때문에 압전층의 공진점에서 충전(charge)되는 전하가 충분히 lead를 통해서 전달되지 못해서 공진점에서 품질 인자(Quality factor)가 감소하게 된다.For the upper or lower electrode, Mo, Ru, W, etc. are used to increase the acoustic impedance. The skin depth of the electrode materia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filter, and since an electrode with a thickness much smaller than the skin depth is generally used, the charge charged at the resonance point of the piezoelectric layer is not sufficiently transmitted through the lead, so the quality factor at the resonance point decreases.
반공진점에서 품질 인자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들 중 하나는 lateral 방향으로 빠져나가는 에너지를 최소화 하는 것이다.One way to improve the quality factor at the resonance point is to minimize the energy that escapes in the lateral direction.
품질 인자의 향상 외에도 박막화에 의한 전기적 저항의 증가의 최소화 및 전극 간의 위치 변화로 인해 품질 인자에 영향을 미치는 기생 임피던스 성분의 최소화 등 음향 공진기의 품질 개선을 위해 해결해야 될 과제가 산재하다.In addition to improving the quality factor, there are many challenges to be solved to improve the quality of acoustic resonators, such as minimizing the increase in electrical resistance due to thinning and minimizing parasitic impedance components that affect the quality factor due to changes in the positions between electrod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하부 전극의 변형을 통해 품질 인자가 개선된 음향 공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oustic resonator with improved quality factors through deformation of the lower electrod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양 전극 간에 발생하는 기생 임피던스의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음향 공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oustic resonator in which the influence of parasitic impedance occurring between two electrodes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양 전극 간 발생하는 전기장으로 인한 기판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음향 공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oustic resonator capable of reducing substrate loss due to an electric field generated between two electrodes.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acoustic resonator)는, 제1 캐비티를 포함하는 기판(substrate), 기판의 상부에 형성된 제1 전극, 제1 전극의 일면에 형성된 압전층 및 압전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2 전극을 포함하되, 제1 전극, 압전층 및 제2 전극은 제1 캐비티의 일단 내지 타단에 대응되는 중첩 영역(overlap area)을 포함하고, 제1 전극의 일단이 상기 중첩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서 종단되고, 제1 전극의 종단과 중첩되게 상기 압전층의 일부가 제거된 식각 영역이 형성되고, 기판은, 식각 영역과 중첩되게 제2 캐비티를 더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 acoustic resonator comprises: a substrate including a first cavity; a first electrod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a piezoelectric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layer, wherein the first electrode, the piezoelectr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include an overlap area corresponding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vity, one end of the first electrode terminates in an area outside the overlap area, and an etched area is formed in which a portion of the piezoelectric layer is removed to overlap with the end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ubstrate may be formed to further include a second cavity overlapping the etched area.
또한, 중첩 영역과 식각 영역 사이의 영역에서 제1 전극과 압전층 사이에 제3 캐비티가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third cavity can be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piezoelectric layer in the region between the overlapping region and the etching region.
또한, 제1 전극은, 제3 캐비티와 접하는 영역에서 두께가 증가하는 상승 프레임(raised frame)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electrode may be formed to include a raised frame whose thickness increases in a region in contact with the third cavity.
또한, 압전층은 상면 및 하면이 제2 예각(θ2)의 상향 경사면으로 시작하고, 상기 제2 전극과 접하는 상기 상면이 제3 예각(θ3)의 하향 경사면으로 중단되고, 상기 제3 캐비티와 접하는 상기 하면이 제1 예각(θ1)의 하향 경사면으로 중단되는 에어 브리지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iezoelectric layer can be formed to include an air bridge region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start with an upwardly inclined plane of a second acute angle (θ 2 ), the upp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is interrupted with a downwardly inclined plane of a third acute angle (θ 3 ), and the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hird cavity is interrupted with a downwardly inclined plane of a first acute angle (θ 1 ).
또한, 제1 예각(θ1), 제2 예각(θ2) 및 제3 예각(θ3)은 45° 이하에서 형성되고, 제3 예각(θ3)이 제1 예각(θ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cute angle (θ 1 ), the second acute angle (θ 2 ), and the third acute angle (θ 3 ) are formed at 45° or less, and the third acute angle (θ 3 ) is formed larger than the first acute angle (θ 1 ).
또한, 압전층은, 제3 예각(θ3)과 상기 제1 예각(θ1)의 차이만큼의 두께로 상기 식각 영역에서 종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iezoelectric layer can form a longitudinal section in the etched area with a thickness equal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acute angle (θ 3 ) and the first acute angle (θ 1 ).
또한, 압전층은 식각 영역을 사이에 두고 제1 파트 및 제2 파트로 구분되고, 제1 파트는 상기 제1 전극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iezoelectric layer may be divided into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with an etching region therebetween, the first part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part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또한, 제2 전극은 식각 영역 상에서 서로 이격된 상기 제1 파트 및 제2 파트의 경사진 종단면을 덮도록 V자 또는 U자 모양 또는 V자와 U자 모양에 준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electrode may be formed in a V- or U-shape or a shape similar to a V- or U-shape to cover the inclined cross-sections of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etching area.
또한, 제2 전극은 V자 또는 U자 모양 또는 V자와 U자 모양에 준하는 모양의 최저면이 상기 제3 캐비티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electrode may be formed so that its lower surface, which has a V- or U-shape or a shape similar to a V or U shape, is in contact with the third cavity.
또한, 제1 전극은 식각 영역과 중첩되는 위치에서 제1 예각(θ1)의 경사면으로 종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electrode may have a longitudinal section formed with an inclined plane having a first acute angle (θ 1 )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etching region.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전극의 변형을 통해 품질 인자가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quality factors can be improved through deformation of the lower electrode.
또한, 양 전극 간에 발생하는 기생 임피던스의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influence of parasitic impedance occurring between the two electrodes can be minimized.
또한, 양 전극 간 발생하는 전기장으로 인한 기판 손실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substrate loss caused by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between the two electrod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를 비교한 예시도이다
도 5는 양 극간 전기장으로 인한 기생 임피던스의 예시 회로도이다.
도 6은 기판의 유전손실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Q 값의 비교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Q 값 측정 시뮬레이션의 예시 뷰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Q 값 측정 시뮬레이션의 예시 뷰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Q 값 측정 시뮬레이션의 예시 뷰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Q 값 측정 시뮬레이션의 예시 뷰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Q 값 측정 시뮬레이션의 예시 뷰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Q 값 측정 시뮬레이션의 예시 뷰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Q 값 측정 시뮬레이션의 예시 뷰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comparing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 prior art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circuit diagram of parasitic impedance due to the electric field between the two poles.
Figure 6 is a comparative graph of the Q value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the dielectric loss of the substrate.
FIG. 7 is an example view of a simulation for measuring the Q value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ample view of a simulation for measuring the Q value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ample view of a simulation for measuring the Q value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ample view of a simulation for measuring the Q value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 example view of a simulation for measuring the Q value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xample view of a simulation for measuring the Q value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example view of a simulation for measuring the Q value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unconditionally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at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ppropriately define and use the concepts of various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manner, and further that these terms or words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That is,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specifically limit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se terms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possibilitie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Additio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a different meaning, and similarly, even if expressed in plural, may include a singular meaning.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ever a component is described as "including" another component, this may mean that the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any other component, rather than excluding any other component,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라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하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Furthermore,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existing within, or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mponent may be installed in direct connection with or in contact with the other component, may b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other component by a certain distance, and if it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other component by a certain distance, there may be a third component or means for fixing or connecting the component to the other component, and the description of this third component or means may be omitted.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third component or means is present.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Likewise,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such as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meaning.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rms “one side,” “the other side,” “one side,” “the other side,” “first,” “second,” etc., when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clearly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at the meaning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such ter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In addition, terms related to position, such as “upper,” “lower,” “left,” and “right,” if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dicate relative positions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in the corresponding drawings, and unless absolute positions are specified for these positions, these position-related terms should not be understood to refer to absolute positions.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In addition, in specifying the drawing symbols for each component in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component is given the same drawing symbol even if the component is shown in a different drawing, that is, the same reference symbol indicates the same compon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the size, position, connection relationship, etc.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scribed in an exaggerated, reduced, or omitted manner in order to sufficiently clearly convey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refore the proportions or scales may not be strict.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a configuration that is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known technology including a prior art, may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relevant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100)는 서로 다른 소재의 레이어의 적층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적층 방향에서 바라 본 복수의 레이어들은 다각형 구조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An acoustic resonato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by laminating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and a plurality of layers viewed in the lamination direction can have a polygonal structure shap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단면도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음향 공진기(100)는 기판(111), 기판(111) 상에 적층된 제1 전극(121), 제1 전극(121)의 일면에 적층된 압전층(131) 및 압전층(131)의 일면에 적층된 제2 전극(141)을 포함하고, 기판(111) 및 제1 전극(121) 사이에 적층된 제1 보호층(113)과 제2 전극의 일면에 적층된 제2 보호층(150)을 옵션으로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보호층(113) 및 제2 보호층(150)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음향 공진기(100)에서 생략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 an acoustic resonator (100) includes a substrate (111), a first electrode (121) laminated on the substrate (111), a piezoelectric layer (131)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121), and a second electrode (141)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and may be configured to optionally further include a first protective layer (113) laminated between the substrate (111) and the first electrode (121)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150)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Accordingly,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tective layer (113) and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50) may be omitted from the acoustic resonator (100).
음향 공진기(100)는 일정 방향성을 갖지 않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묘사된 음향 공진기(100)의 단면을 기준으로 수평(x축) 방향 및 수직(y축) 방향의 상부 또는 하부를 지칭하기로 한다. 예들 들어 도 1에서, 압전층(131)의 양측 면 중에서 제2 전극(141)과 접하는 면이 상면으로, 제1 전극(121)과 접하는 면이 하면으로 지칭되고, 제1 전극(121)은 하부 전극으로, 제2 전극(141)은 상부 전극으로 지칭될 수 있다.The acoustic resonator (100) does not have a certain directionality, but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the horizontal (x-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y-axis) direction are referred to based on the cross-section of the acoustic resonator (100) depicted in FIG. 1. For example, in FIG. 1, among the two sides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141) is referred to as the upper side,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121) is referred to as the lower side, and the first electrode (121) may be referred to as the lower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may be referred to as the upper electrod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묘사한다. 도 2를 기준으로 음향 공진기(1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Fig. 2 is an enlarged depiction of a portion of Fig. 1. The structure of the acoustic resonator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Fig. 2.
도 2를 참조하면, E1(미도시) 내지 E2 범위의 폭을 갖는 제1 골(first trench)이 기판(11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골은 제1 캐비티(112a)로 작용한다. E3 내지 E4(미도시) 범위의 폭을 갖는 제2 골(second trench)이 기판(111) 내에 제1 골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골은 제2 캐비티(112b)로 작용한다. 제1 캐비티(112a) 및 제2 캐비티(112b)는 서로 같은 높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캐비티(112b)는 제1 캐비티(112a) 대비 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2, a first trench having a width ranging from E 1 (not shown) to E 2 may be formed in a substrate (111). The first trench acts as a first cavity (112a). A second trench having a width ranging from E 3 to E 4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substrate (111)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rench. The second trench acts as a second cavity (112b). The first cavity (112a) and the second cavity (112b)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avity (112b) is formed to have a smaller area than the first cavity (112a).
제1 전극(121) 또는 제1 보호층(113)이 제1 캐비티(112a) 및 제2 캐비티(112b)가 형성된 기판(111)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21) 또는 제1 보호층(113)은 제1 골 및 제2 골의 바닥을 채우지 않고, 제1 캐비티(112a) 및 제2 캐비티(112b)의 공간 상에 현수될 수 있다. 제1 보호층(113)이 기판(111)의 일면에 형성되는 경우, 제1 전극(121)이 제1 보호층(113)의 일면에 형성된다.The first electrode (121) or the first protective layer (113)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11) on which the first cavity (112a) and the second cavity (112b) are formed. The first electrode (121) or the first protective layer (113) may be suspended over the space of the first cavity (112a) and the second cavity (112b) without filling the bottom of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When the first protective layer (113)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11), the first electrode (121)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protective layer (113).
제1 전극(121), 압전층(131) 및 제2 전극(141)의 일부 영역은 제1 캐비티(112a) 상에 위치하는데, 일단(E1) 내지 타단(E2)의 폭을 갖는 제1 캐비티(112a) 상의 제1 전극(121), 압전층(131) 및 제2 전극(141)의 영역을 중첩 영역(overlap area)이라 칭한다. 즉 제1 전극(121), 압전층(131) 및 제2 전극(141)은 중첩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Some areas of the first electrode (121), the piezoelectric layer (13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are positioned on the first cavity (112a), and the area of the first electrode (121), the piezoelectric layer (131), and the second electrode ( 141 ) on the first cavity (112a) having a width from one end (E 1 ) to the other end (E 2 ) is referred to as an overlap area. That is, the first electrode (121), the piezoelectric layer (13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can be formed to include the overlap area.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1 전극(121), 수평방향으로 살펴보면, 제1 전극(121), 압전층(131) 및 제2 전극(141)은 중첩 영역의 일단(E1)에 이어지는 제1 외측 영역(미도시), 중첩 영역 및 중첩 영역의 타단(E2)에 이어지는 제2 외측 영역으로 구분된다.Referring again to FIG. 2, the first electrode (121), when viewed horizontally, the first electrode (121), the piezoelectric layer (13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are divided into a first outer region (not shown) connected to one end (E 1 ) of the overlapping region, and a second outer region connected to the other end (E 2 ) of the overlapping region and the overlapping region.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제1 전극(121)은 중첩 영역과 이격된 위치, 즉 제2 외측 영역에서 종단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압전층(131)도 수평 방향으로 제1 전극(121)과 동일한 위치에서 중단될 수 있다. 그리고 중단된 압전층(131)에서 일정 폭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압전층 제2 파트(132)가 다시 재개될 수 있다. 압전층(131)은 식각을 통해 제1 파트 및 제2 파트(132)로 구분될 수 있다. 압전층(131)의 일부가 식각을 통해 제거된 부위를 식각 영역이라 칭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first electrode (121) may be formed to terminat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verlapping region, i.e., at the second outer region. And the piezoelectric layer (131) may also be interrupt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irst electrode (12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part (132) of the piezoelectric layer may be restarted at a point spaced apart by a certain width from the interrupted piezoelectric layer (131). The piezoelectric layer (131) may be divided into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132) through etching. The portion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where a portion is removed through etching is called an etching region.
식각 영역은 U자, V자 또는 이에 준하는 모양으로 압전층(131)의 일부가 제거된 영영을 지칭한다. 식각 영역의 일측에서는, 제1 전극(121)의 종단과 중첩되게 압전층이 중단되고, 식각 영역의 타측에서는 압전층이 재개된다. 식각 영역은 식각에 의해 압전층이 제거된 영역에 해당한다. 실제로 식각 영역에는 제2 전극(141)이 위치한다. 제2 전극이 높이 차를 갖고, 경사지게 형성시킬 의도에서 식각 영역이 형성된다.The etched area refers to an area where a portion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is removed in a U-shape, a V-shape, or a similar shape. On one side of the etched area, the piezoelectric layer is interrupted to overlap with the end of the first electrode (121),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etched area, the piezoelectric layer is resumed. The etched area corresponds to an area where the piezoelectric layer is removed by etching. In fact, the second electrode (141) is positioned in the etched area. The etched area is formed with the intention of forming the second electrode with a height difference and an incline.
제1 전극(121)의 종단면은 제1 예각(θ1)의 경사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21) 상에 희생층이 적층 및 제거되는 과정에서 제1 전극(121)의 에지가 깨지는 형상인 크랙 방지를 위해 제1 전극(121)은 그 종단면과 수평면과의 사이 각이 제1 예각(θ1), 예를 들어 45도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5도 내외의 예각이 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12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loped surface having a first acute angle (θ 1 ). In order to prevent cracks, which are shapes in which the edge of the first electrode (121) is broken during the process of laminating and removing a sacrificial layer on the first electrode (121), the first electrode (12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angle between its cross-section and the horizontal plane becomes the first acute angle (θ 1 ), for example, 45 degrees or less, and most preferably, about 15 degrees or less.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압전층(131)은 수직 방향으로는 제1 전극(121)과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는 제2 외측 영역, 즉 제1 캐비티(112a)의 타단(E2)과 제1 전극(121)의 종단면 사이의 영역에, 제3 캐비티(122)를 갖는 에어 브리지(air bridge)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영역에서 제1 전극(121)의 일면에 희생층이 적층되고, 희생층이 없는 제1 전극(121)의 일면 및 희생층의 일면에 일정 높이의 압전층(131)이 형성되고, 희생층이 제거되면 희생층에 해당하는 영역이 제3 캐비티(122)가 된다.Referring back to FIG. 2, the piezoelectric layer (131) may be formed to include an air bridge region having a third cavity (122)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2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ond outer region, that is, between the other end (E 2 ) of the first cavity (112a) and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12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some regions, a sacrificial layer is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121), and a piezoelectric layer (131) of a certain height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121) without the sacrificial layer and one surface of the sacrificial layer, and when the sacrificial layer is removed,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acrificial layer becomes the third cavity (122).
제1 전극(121)은 일부 영역에서 두께가 증가하는 상승 프레임(raised frame)(123)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승 프레임(raised frame)(123)은 인접된 타 영역과 비교하여 제1 전극(121)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 영역이다.The first electrode (121) may be formed to include a raised frame (123) whose thickness increases in some areas. The raised frame (123) is an area where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121) is formed thicker compared to adjacent areas.
제1 전극(121)의 상승 프레임(123)은 제3 캐비티(122)와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3 캐비티(122)는 상승 프레임(123)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두께(a)와 비교하여, 상승 프레임(123)의 영향으로 더 좁아진 두께(b)로 형성될 수 있다.The rising frame (123) of the first electrode (121) may be formed to overlap with the third cavity (122). Referring to FIG. 2, the third cavity (122)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b) that is narrower due to the influence of the rising frame (123) compared to the thickness (a) in the case where the rising frame (123) does not exist.
제3 캐비티(122)는, 도 2에 표시된 시점에서 종점까지 형성되고, 더 나아가 종점을 지나 제2 전극(141)과 기판(111) 사이 또는 제2 전극(141)과 제1 보호층(113) 사이의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제3 캐비티(122)는 제1 전극(121)의 종단면에 접하면서 식각 영역과 중첩되고, 기판(111)과 압전층(13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실험에 의하면 제3 캐비티(122)의 시점이 제1 캐비티(112a)의 타단(E2)과 가까워질수록, 즉 제3 캐비티(122)가 확장될수록 Q 값이 향상될 수 있다.The third cavity (122) may be formed from the point indicated in FIG. 2 to the end point, and may further extend beyond the end point to the area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141) and the substrate (111) or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141) and the first protective layer (113). That is, the third cavity (122) may overlap with the etching area while contacting the end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121) and may be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111) and the piezoelectric layer (131). According to a simulation experiment, the closer the point of the third cavity (122) gets to the other end (E 2 ) of the first cavity (112a), that is, the more the third cavity (122) extends, the higher the Q value may be.
상술한 바와 같이 압전층(131)은 일부 영역에서 식각 영역에 의해 중단되어, 제3 캐비티(122)가 존재하는 압전층 제1 파트(131) 및 제1 전극(121)과 접하지 않는 압전층 제2 파트(132)로 서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iezoelectric layer (131) may be formed by being interrupted by an etching region in some areas, and thus divided into a first part (131) of the piezoelectric layer in which a third cavity (122) exists and a second part (132) of the piezoelectric layer tha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121).
압전층(131)은 식각 영역에 의한 종단면이 제1 전극(121)의 종단면과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종점에서 제1 전극(121)은 종단되고, 압전층(131)은 중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압전층(131)이 끝나는 면, 즉 종단면은 압전층 제2 파트(132)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중단된 것으로(stopped) 표현되었고, 제1 전극(121)이 끝나는 면, 즉 종단면은 압전층 제2 파트(132)의 하부에 제1 전극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종단된 것으로(terminated) 표현되었다.The piezoelectric layer (13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cross-section by the etching area overlaps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121).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electrode (121) may be terminated at the end point, and the piezoelectric layer (131) may be formed such that it is interrupted. Referring to FIG. 1, the end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that is, the end surface, is expressed as being stopped in that the second part (132) of the piezoelectric layer exists, and the end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121), that is, the end surface, is expressed as being terminated in that the first electrode does not exist under the second part (132) of the piezoelectric layer.
압전층(131)의 제3 캐비티(122)를 구체적으로 묘사하면, 압전층(131)은 상면 및 하면이 제2 예각(θ2)의 상향 경사면으로 시작하고, 제2 전극과 접하는 상면이 제3 예각(θ3)의 하향 경사면으로 종단되고, 제3 캐비티(122)와 접하는 하면이 제1 예각(θ1)의 하향 경사면으로 종단되는 에어 브리지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describing the third cavity (122)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the piezoelectric layer (131) can be formed to include an air bridge region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start with an upward slope of a second acute angle (θ 2 ), the upp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ends with a downward slope of a third acute angle (θ 3 ), and the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hird cavity (122) ends with a downward slope of a first acute angle (θ 1 ).
제1 전극(121)의 종단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제1 예각(θ1), 압전층(131)과 에어 브리지 영역이 만나서 형성된 제2 예각(θ2) 및 압전층(131)의 종단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제3 예각(θ3)은 예각, 예를 들면 45° 이하의 각도에서 형성되고, 제3 예각(θ3)이 제1 예각(θ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제1 예각(θ1) 및 제2 예각(θ2)은 15°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론 제조 공정상의 오차 범위는 있을 수 있다.The first acute angle (θ 1 ) formed by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121) with the horizontal plane, the second acute angle (θ 2 ) formed by the meeting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and the air bridge region, and the third acute angle (θ 3 ) formed by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with the horizontal plane are formed at acute angles, for example, 45° or less, and the third acute angle (θ 3 ) is formed larger than the first acute angle (θ 1 ). In particular,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first acute angle (θ 1 ) and the second acute angle (θ 2 ) are formed at 15°. Of course, there may be an error range due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압전층(131)은, 제3 예각(θ3)과 제1 예각(θ1)의 차이만큼의 두께로 상기 종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piezoelectric layer (131) can form the longitudinal section with a thickness equal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acute angle (θ 3 ) and the first acute angle (θ 1 ).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압전층(131)의 상위 종단면과 하위 종단면이 이루는 사이 각은 제3 예각(θ3)의 엇각에서 제1 예각(θ1)을 뺀 값이므로, θ3 -θ1의 값이 된다.Referring again to Fig. 2,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ross-sections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is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first acute angle (θ 1 ) from the angle of the third acute angle (θ 3 ), and thus has a value of θ 3 -θ 1 .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음향 공진기(100)는 제2 전극(141)의 두께 확장을 통해 전극의 전기적 저항을 낮출 수 있어서 전체적인 전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전극(141)은 압전층(131)을 사이에 두고 제1 전극(121)과 쌍을 이루고 있으므로, 두께가 확장될 공간이 협소하다. 따라서 제1 전극(121)의 두께 확장 및 압전층(131)의 스트레스 감소 차원에서 압전층(131)을 2개의 파트로 이격하여 분리할 필요가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1 and 2, the acoustic resonator (100) can lower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electrode by expanding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141), thereby improving the overall conductivity. Since the second electrode (141) is paired with the first electrode (121) with the piezoelectric layer (131)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pace for the thickness to be expanded is narrow. Therefore, in order to exp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121) and reduce the stress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piezoelectric layer (131) into two parts.
압전층(131)의 식각, 즉 도 2에 묘사된 식각 영역을 통해 압전층(131)은 일부 영역에서 제거될 수 있다. 즉 압전층(131)의 일부 영역에서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골이 형성됨으로써, 압전층(131)은 실제 분리된 것은 아니나, 도 2에 묘사된 단면도 상에서 2개의 파트(131, 132)로 분리된 것처럼 묘사될 수 있다.Through the etching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i.e., the etching region depicted in FIG. 2, the piezoelectric layer (131) can be removed in some areas. That is, by forming a valley formed by an inclined surface in some areas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the piezoelectric layer (131) is not actually separated, but can be depicted as being separated into two parts (131, 132) in the cross-sectional view depicted in FIG. 2.
제2 전극(141)은 압전층(131)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압전층(131)의 형상에 따라 모양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제2 전극(141)은 압전층(131)의 식각 영역을 매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second electrode (141) is formed on the piezoelectric layer (131), its shape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That is, the second electrode (141) can be formed so as to cover the etching area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구체적으로 제2 전극(141)은 식각 영역에서 서로 이격된 압전층 제1 파트(131) 및 제2 파트(132)의 경사진 종단면을 덮도록 제1 전극(121) 방향으로 확장되게, 즉 그 단면의 모습이 V자 또는 U자 모양 또는 V자 또는 U자와 유사한 모양이 되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electrode (141)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121) so as to cover the inclined longitudinal surfaces of the first part (131) and the second part (132) of the piezoelectric lay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etching region, that is, to have a shape of the cross-section in the shape of a V or U or a shape similar to a V or U.
제2 전극(141)이 어디까지 확장될 수 있는가가 문제될 수 있다. 제2 전극(141)은 제1 전극(121)을 침범하지 않는 범위에서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극(121)은 제2 전극(141)이 확장되기 전에 종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21)이 종단된 경우라도, 기생 커패시턴스 등 노이즈 발생의 방지 차원에서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41)은 최소한의 간격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제1 전극(121) 상의 제3 캐비티(122)는 제1 전극(121)의 종점보다 더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극(141)은 V자 또는 U자 모양의 최저면이 제3 캐비티(122)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How far the second electrode (141) can extend may be an issue. The second electrode (141) may exten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encroach on the first electrode (121). 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121) may be formed to be terminated before the second electrode (141) is extended. Even when the first electrode (121) is terminated,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must maintain a minimum distanc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noise such as parasitic capacitance. Therefore, the third cavity (122) on the first electrode (121) may extend further than the end point of the first electrode (121). Accordingly, the second electrode (141) may be formed so that the lowest surface of the V or U shape is in contact with the third cavity (122).
상기 제3 캐비티(122)는 공기(air) 또는 유전체로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141)의 에어 브리지 영역 하부에 형성된 제4 캐비티(142)는 공기 또는 유전체로 채워질 수 있다. 제3 캐비티(122)는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41) 간의 기생 커패시턴스의 생성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The third cavity (122) may be filled with air or a dielectric. In addition, the fourth cavity (142) formed below the air bridge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141) may be filled with air or a dielectric. The third cavity (122) may have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parasitic capaci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41) 간의 극간 캐비티에 해당하는 제3 캐비티(122)는 인접한 매질과의 유전율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전기적 손실을 감소시키고, 공진기의 활성 영역(active area)에서만 공진기를 구동하여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 함으로써 Q 값이 증가하는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The third cavity (122), which corresponds to the inter-pole cavity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can reduce electrical loss because it has a difference in permittivity with the adjacent medium, and can increase the Q value by driving the resonator only in the active area of the resonator to minimize energy loss.
또한, 제1 보호층(113)이 기판(111)과 제1 전극(121) 사이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보호층(150)이 제2 전극(141)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first protective layer (113) may be selectively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111) and the first electrode (121),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15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141).
음향 공진기(100)는, 패드(pad)라고 불리는 제1 금속 패턴층 및 제2 금속 패턴층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음향 공진기(100)는, 제1 캐비티(112a)의 일단을 기준으로 중첩 영역의 외측의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41) 상에 각각 형성된 전도성의 금속 패턴층들을 더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패턴층들은 외부 구성 요소와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The acoustic resonator (10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irst metal pattern layer and a second metal pattern layer, which are referred to as pads. That is, the acoustic resonator (100) may be formed to further include conductive metal pattern layer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respectively on the outer side of the overlapping region based on one end of the first cavity (112a). The metal pattern layers serve to electrically connect with external components.
기판(111)은, 다양한 기판 소재 중에서, 반도체 기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특히 실리콘 웨이퍼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저항 실리콘기판(High-Resistivity Substrate)이 사용될 수 있다.The substrate (111) can be implemented using a semiconductor substrate among various substrate materials, and in particular, a silicon wafer can be used, and preferably, a high-resistivity silicon substrate can be used.
기판(111)의 일부 영역에 제1 캐비티(112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캐비티(112a)는 기판(111)의 일 면, 상부 표면의 일부 영역에서 도 1에 표시 되지 않은 일단(E1) 내지 타단(E2)에 걸쳐서 트렌치(trench)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캐비티(112a)는 희생층 형성 과정 또는 미리 형성된 제1 전극의 접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A first cavity (112a)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a substrate (111). That is, the first cavity (112a) may be formed in a trench shape from one end (E 1 ) to the other end (E 2 ) not shown in FIG. 1 in a portion of a portion of one 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1). The first cavity (112a) may be formed through a sacrificial layer formation process or bonding of a pre-formed first electrode.
제1 캐비티(112a)는 반사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의 배치 위치는 음향 공진기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도 1에서 묘사된 제1 캐비티(112a)를 참조하면, 중첩 영역을 구성하는 제1 전극(121), 압전층(131) 및 제2 전극(141)에 추가하여 제2 전극(141)의 변형된 구조는 일단(E1) 및 타단(E2)을 폭으로 하는 제1 캐비티(112a)와 상관 관계를 갖는다.The first cavity (112a) can act as a reflective element, and its arrangement position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e acoustic resonator. Referring to the first cavity (112a) depicted in Fig. 1, in addition to the first electrode (121), the piezoelectric layer (13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constituting the overlapping region, the modified structure of the second electrode (141) is related to the first cavity (112a) having one end (E 1 ) and the other end (E 2 ) as a width.
제1 캐비티(112a)는, 기판(111)의 일 면에 트렌치 영역이 형성된 후에, 트렌치 영역에 절연층이 형성되고, 절연층 상부에 희생층(sacrificial layer)이 증착된 후, 식각되어 평면화되고, 이후 희생층이 제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캐비티(112)의 공간 영역이 형성된 후 미리 형성된 제1 전극(121)이 상부에 접합될 수도 있다.The first cavity (112a) may be formed by forming a trench region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11), then forming an insulating layer in the trench region, depositing a sacrificial layer on top of the insulating layer, etching to make it planar, and then removing the sacrificial layer. In addition, a pre-formed first electrode (121) may be bonded to the upper portion after the space region of the first cavity (112) is formed.
희생층의 소재로 폴리실리콘이나 TEOS(Tetraethyl orthosilicate), PSG(Phophosilicate glass) 등 표면의 거칠기(roughness)가 우수하고 희생층의 형성과 제거가 용이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희생층으로 폴리실리콘이 채용될 수 있고, 이러한 폴리실리콘은 표면의 거칠기가 우수하고 희생층 형성 및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특히, 후속공정에서 건식 식각이 적용되어 제거될 수 있다.As a material for the sacrificial layer, a material having excellent surface roughness and easy formation and removal of the sacrificial layer, such as polysilicon, TEOS (Tetraethyl orthosilicate), or PSG (Phophosilicate glass), can be used. In one embodiment, polysilicon can be employed as the sacrificial layer, and such polysilicon not only has excellent surface roughness and easy formation and removal of the sacrificial layer, but can also be removed by applying dry etching in a subsequent process.
제1 캐비티(112a)의 중첩 영역의 희생층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희생층 및 기판(111)의 표면을 덮는 제1 보호층(113)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호층(113) 구현을 위해 기판(111) 상에 용이하게 성장할 수 있는 열산화막이 채용되거나, 화학기상증착 등의 통상의 증착공정을 이용한 산화막 또는 질화막이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sacrificial layer of the overlapping region of the first cavity (112a) is not removed, a first protective layer (113) covering the surface of the sacrificial layer and the substrate (111) can be selectively formed. To implement the first protective layer (113), a thermal oxide film that can be easily grown on the substrate (111) can be employed, or an oxide film or nitride film using a conventional deposition process such as chemical vapor deposition can be selectively employed.
제1 전극(121)은 기판(111)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전극(121)은, 제1 보호층(113)이 없는 경우, 제1 캐비티(112a) 상부에 현수되고, 기판(111)에서 제1 캐비티(112a)가 존재하지 않는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제1 캐비티(112a)를 덮고, 기판(111)의 일부 영역을 덮도록 형성된 제1 전극(121)이 묘사되어 있다. 특히 제1 전극(121)은 제1 캐비티(112a)의 타단(E2)을 기준으로 제1 캐비티(112)의 외측 영역에서 종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전극(121)의 종단면의 에지는 하향 경사면(downward slope)으로 마감 처리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21)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11). That is, the first electrode (121) may be formed to be suspended over the first cavity (112a) when there is no first protective layer (113) and to cover the entire area or a portion of the substrate (111) where the first cavity (112a) does not exist. FIG. 2 illustrates a first electrode (121) formed to cover the first cavity (112a) and a portion of the substrate (111). In particular, the first electrode (121) may be formed to terminate in an outer area of the first cavity (112) based on the other end (E 2 ) of the first cavity (112a). Referring to FIG. 1, the edge of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121) may be finished with a downward slope.
제1 전극(121)은 제2 전극(141)과 전기적 신호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에 해당한다. 제1 전극(121)은 전도체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21) corresponds to the input terminal and output terminal of the electrical signal with the second electrode (141). The first electrode (121) can be implemen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제1 전극(121)은, 제1 보호층(113) 또는 기판(11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기판(111)의 제1 캐비티(112a) 영역에 희생층이 존재하는 경우 희생층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21) can be formed 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113) or the substrate (111). If a sacrificial layer exists in the first cavity (112a) region of the substrate (111), it can be formed on the sacrificial layer.
제1 전극(121)은 기판(111)의 일 면에 소정 물질이 증착된 후, 패터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21)의 소재로 금속과 같은 통상의 전도체,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Al), 텅스텐(W), 금(Au), 백금(Pt), 니켈(Ni), 티탄(Ti), 크롬(Cr), 팔라듐(Pd), 루세륨(Ru), 레니움(Rhenium (Re)) 및 몰리브덴(Mo)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전극(121)은 두께가 10 ~ 1000 nm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21) can be formed by patterning after a predetermined material is deposit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11). As a material of the first electrode (121), a common conductor such as a metal, preferably one of aluminum (Al), tungsten (W), gold (Au), platinum (Pt), nickel (Ni), titanium (Ti), chromium (Cr), palladium (Pd), rustium (Ru), rhenium (Rhenium (Re)), and molybdenum (Mo) can be used. The first electrode (121) can be formed with a thickness in the range of 10 to 1000 nm.
압전층(131)은, 제1 전극(121)의 양 표면 중에서 제1 전극(121)이 기판(111)과 접하는 표면의 반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21) 상에 형성되는 압전층(131)은 제1 전극(121)의 일부 영역을 덮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압전층(131)이 덮지 않아 노출된 제1 전극(121)의 일부 영역에 제1 금속 패턴층이 형성될 수 있다.The piezoelectric layer (131)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where the first electrode (121) is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111) among the two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121). The piezoelectric layer (131)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21) may be formed so as not to cover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121).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a first metal pattern layer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121) that is exposed because the piezoelectric layer (131) does not cover it.
또한, 제1 전극(121)이 종단됨에 따라서 압전층(131)도 중단되어 경사진 에지가 형성될 수 있다. 압전층(131)은 종단된 제1 전극(121)의 에지를 덮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the first electrode (121) is terminated, the piezoelectric layer (131) may also be interrupted to form a slanted edge. It is preferable that the piezoelectric layer (131) is formed so as not to cover the edge of the terminated first electrode (121).
압전층(131)은,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로 구성될 수 있는데, 소자의 이름을 따서 피에조층(piezoelectric layer)으로 불린다.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41) 사이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압전 물질로 인해 압전층(131)은 탄성파를 발생시킨다.The piezoelectric layer (131) may be composed of a piezoelectric element and is called a piezoelectric layer after the name of the element.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the piezoelectric layer (131) generates elastic waves due to the piezoelectric material.
압전층(131)은 제1 전극(121)의 양 표면 중에서 제1 전극(121)이 기판(111)과 접하는 표면의 반대 표면에 압전 물질이 증착된 후에 패터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압전층(131)을 구성하는 압전 물질로서 질화알루미늄(AIN) 또는 산화아연 (ZnO)이 사용될 수 있다. 증착방법은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RF Magnetron Sputtering) 방법, 에바포레이션(Evaporation)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압전층(131)은 그 두께가 5~500 nm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The piezoelectric layer (131) can be formed through patterning after a piezoelectric material is deposit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where the first electrode (1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bstrate (111) among the two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121). Aluminum nitride (AIN) or zinc oxide (ZnO) can be used as the piezoelectric material constituting the piezoelectric layer (131). The deposition method can be a RF magnetron sputtering method, an evaporation method, or the like. The piezoelectric layer (131) can be formed in a thickness range of 5 to 500 nm.
제2 전극(141)은 제1 전극(121)과 전기적 신호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에 해당한다. 제2 전극(141)은 전도체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141) corresponds to the input terminal and output terminal of the electrical signal with the first electrode (121). The second electrode (141) can be implemen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제2 전극(141)은 압전층(131)의 일 표면의 소정 영역에 전극용 금속막의 증착 및 패터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141)은 제1 전극(121)에 사용된 물질, 증착 방법 및 패터닝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141)은 그 두께가 5~1000nm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141) can be formed by depositing and patterning a metal film for an electrode on a predetermined area of one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The second electrode (141) can be formed by using the material, deposition method, and patterning method used for the first electrode (121). The second electrode (141) can be formed with a thickness in the range of 5 to 1000 nm.
제2 전극(141)의 소재로 금속과 같은 통상의 전도체,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Al), 텅스텐(W), 금(Au), 백금(Pt), 니켈(Ni), 티탄(Ti), 크롬(Cr), 팔라듐(Pd), 루세륨(Ru), 레니움(Rhenium (Re)) 및 몰리브덴(Mo)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As a material for the second electrode (141), a common conductor such as a metal, preferably one of aluminum (Al), tungsten (W), gold (Au), platinum (Pt), nickel (Ni), titanium (Ti), chromium (Cr), palladium (Pd), rustium (Ru), rhenium (Re) and molybdenum (Mo) can be used.
음향 공진기(100)에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41)을 통해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전기적 에너지의 일부가 압전 효과에 따른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되고, 기계적 에너지가 다시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압전층(131)의 두께에 따른 고유진동의 주파수에 대하여 공진이 발생한다.When an electrical signal is input to the acoustic resonator (100) through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a portion of the input electrical energy is converted into mechanical energy according to the piezoelectric effect, and in the process of the mechanical energy being converted back into electrical energy, resonance occurs at a frequency of natural vibration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100)는 제1 전극(121), 제2 전극(141) 및 압전층(131)이 공통으로 중첩되는 중첩 영역, 다른 말로 활성 영역(active area)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111)은, 활성 영역과 중첩되는, 제1 전극(121)과의 사이에 반사 영역에 해당하는 제1 캐비티(112a)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캐비티(112a)는 상부의 활성 영역과 중첩되면서, 제1 전극(121)과 기판(11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An acoustic reson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so that the first electrode (121), the second electrode (141), and the piezoelectric layer (131) have a common overlapping area, or in other words, an active area. In addition, the substrate (111) may be formed so as to have a first cavity (112a) corresponding to a reflection area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ubstrate (111), overlapping the active area. In other words, the first cavity (112a)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ubstrate (111) while overlapping the upper active area.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1 캐비티(112a)의 타단(E2)의 상부에 제2 전극(141)의 윙 영역 및 이에 의한 제4 캐비티(142)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캐비티(122)의 시점 부근에서 제3 캐비티(122)와 일부 중첩되게 폭 C의 제5 캐비티(14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캐비티(142) 및 제5 캐비티(143)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2, a wing region of a second electrode (141) and thereby a fourth cavity (142)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end (E 2 ) of the first cavity (112a). A fifth cavity (143) having a width C may be formed to partially overlap with the third cavity (122) near the starting point of the third cavity (122). In addition, the fourth cavity (142) and the fifth cavity (14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활성 영역은 제1 전극(121), 압전층(131) 및 제2 전극(141)이 공통으로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활성 영역의 일단(E1) 상부에 제2 전극(141)의 윙 영역(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타단(E2) 상부에 제2 전극(141)의 제2 에어 브리지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The active region may be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121), the piezoelectric layer (13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commonly overlap. A wing region (not shown) of the second electrode (141) may be formed on one end (E 1 ) of the active region, and a second air bridge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141) may be arranged on the other end (E 2 ).
제1 전극(121)이 중첩 영역, 즉 활성 영역을 벗어나 종단되면, 이에 대응하여 압전층(131)도 중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압전층(131)은 제1 전극(121)의 에지를 덮지 않는다.When the first electrode (121) is terminated beyond the overlapping region, i.e., the active region, the piezoelectric layer (131) can be formed to be interrupted accordingly. As a result, the piezoelectric layer (131) does not cover the edge of the first electrode (121).
활성 영역의 여러 기능 중에서, 활성 영역에서 발생된 열은 기판(111)으로 전달될 수 있다.Among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active region, heat generated in the active region can be transferred to the substrate (111).
모바일 통신이 발전할수록 사용 주파수 대역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필터의 크기가 점점 초소형화되고 그 두께도 박막화되고 있다. 박막화의 단점으로 구조 관련 기계적 문제점, 전도 관련 전기적 문제점 및 열전달 관련 열역학적 문제점이 지적되었다.As mobile communications develop, the frequency bands used are increasing, and accordingly, the size of filters is becoming increasingly miniaturized and their thickness is becoming thinner. The disadvantages of thinning include structural mechanical problems, electrical problems related to conduction, and thermodynamic problems related to heat transfer.
열역학적 문제점은 고주파를 처리하는 필터의 전극이 많은 전력 사용으로 전하량 급증에 따라 발열량이 많아지는 것이다. 그리고 전기적인 문제점은 옴의 법칙을 근거로 필터의 박막화에 따라 전극의 전기 저항이 증가하는 것이다.The thermodynamic problem is that the electrodes of the filter that handles high frequencies generate a lot of heat as the charge increases rapidly due to the use of a lot of power. And the electrical problem is that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electrodes increases as the filter becomes thinner based on Ohm's law.
전극의 전기적 손실 증가를 보완하는 방법으로서, 옴의 법칙에 근거하여, 전극의 두께를 보강하는 방법이 검토될 수 있다.As a method of compensating for the increase in electrical loss of the electrode, a method of reinforcing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can be considered based on Ohm's law.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제2 전극(141)은, 활성 영역, 즉 중첩 영역의 타단(E2)을 기준으로, 중첩 영역의 외측에 이어지는 에어 브리지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극(141)의 에어 브리지 영역은 압전층(131) 간에 제4 캐비티(142)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전극(141)의 에어 브리지 영역으로 인해 압전층(131)과 제2 전극(141) 사이에 제4 캐비티(142)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second electrode (141) may be formed to include an air bridge region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overlapping region based on the other end (E 2 ) of the active region, that is, the overlapping region. And the air bridge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141) may be formed to have a fourth cavity (142) between the piezoelectric layers (131). That is, the fourth cavity (142) may be formed between the piezoelectric layer (13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due to the air bridge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141).
제4 캐비티(142)도 제3 캐비티(122)와 마찬가지로 폐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캐비티(142)도 유전체 또는 공기로 충진될 수 있다.The fourth cavity (142) may also be formed as a closed type, similar to the third cavity (122). The fourth cavity (142) may also be filled with a dielectric or air.
제4 캐비티(142)의 높이는 압전층(131) 두께의 1/2 이하일 수 있다. 제4 캐비티(142)의 가로방향 폭의 길이는 압전층(131)을 통해 유출되는 횡음향파(lateral acoustic wave) 파장의 1/4 이상일 수 있다.The height of the fourth cavity (142)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1/2 of the thickness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width of the fourth cavity (142) may be more than 1/4 of the wavelength of the lateral acoustic wave leaking through the piezoelectric layer (131).
제4 캐비티(142)는, 압전층(131)의 상부에 희생층이(sacrificial layer)이 증착된 후에 평면화 및 식각에 의해 패턴화되고, 나머지 희생층을 포함하는 압전층(131) 상에 제2 전극(141)이 적층되고, 이후 희생층이 제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압전층(131) 상부의 일부 영역에 공동부가 형성된 후 희생층이 증착될 수도 있다.The fourth cavity (142) can be formed by depositing a sacrificial layer on top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then patterning it by planarization and etching, stacking the second electrode (141) on the piezoelectric layer (131) including the remaining sacrificial layer, and then removing the sacrificial layer. In this case, a cavity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and then the sacrificial layer may be deposited.
여기서, 희생층의 소재로 폴리실리콘이나 TEOS(Tetraethyl orthosilicate), PSG(Phophosilicate glass) 등의 표면의 거칠기(roughness)가 우수하고 희생층의 형성과 제거가 용이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제4 캐비티(142)의 형성 과정은 제3 캐비티(12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Here, a material having excellent surface roughness and easy formation and removal of the sacrificial layer, such as polysilicon, TEOS (Tetraethyl orthosilicate), or PSG (Phophosilicate glass), can be used as the sacrificial layer material.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fourth cavity (142) can be applied equally to the third cavity (122).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100)는, 압전층(131)이 중단되어 제1 전극(121)이 노출된 영역에 압전층(131)의 중단에 의한 에지를 덮도록 형성된 전도성의 제1 금속 패턴층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 acoustic resonato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irst conductive metal pattern layer formed to cover an edge caused by an interruption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in an area where the piezoelectric layer (131) is interrupted and the first electrode (121) is expos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100)는, 제2 보호층(150)이 종단되어 제2 전극(141)이 노출된 영역에 형성된 제2 금속 패턴층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oustic resonato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econd metal pattern layer formed in an area where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50) is terminated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is expos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속 패턴층은 활성 영역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활성 영역 근접 배치를 통해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41)의 전기적 손실이 줄어들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al pattern layer can be arrang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active area. Through such arrangement close to the active area, electrical loss of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can be reduced.
금속 패턴층은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41)과 연결되는 외부 회로장치의 신호 라인이 연결되는 금속 패드에 해당한다. 금속 패턴층의 일단은 압전층(131)의 일단의 모양에 대응되게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metal pattern layer corresponds to a metal pad to which a signal line of an external circuit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is connected. One end of the metal pattern layer may be formed to have a uniform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one end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금속 패턴층은 활성 영역을 벗어난 위치에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패턴층을 형성하는 금속은, 금(Au), 구리(Cu), 알루미늄(Al), 알루미늄구리 합금(AlCu) 등을 포함한다. 금속 패턴층을 형성함으로써 Q 값이 향상될 수 있다.The metal pattern layer can be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at a location outside the active region. The metal forming the metal pattern layer includes gold (Au), copper (Cu), aluminum (Al), aluminum-copper alloy (AlCu), etc. By forming the metal pattern layer, the Q value can be improved.
압전층(131) 상에 적층되는 제2 전극(141)은 압전층(131)의 형상에 따라 제1 전극(121)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141)은 경사 각도에 따라 V자 또는 U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141)은 경사면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형상일 수 있으며, 두께가 증가하다가 움푹 파인 형태의 프레임(recessed frame)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second electrode (141) laminated on the piezoelectric layer (131)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first electrode (121)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The second electrode (141) may be formed in a V or U shape depending on the angle of inclination. The second electrode (141)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thickness increas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epending on the inclination, and may also include a recessed frame in which the thickness increases and then becomes recessed.
일부 영역에서 압전층(131)이 중단되고, 중단된 지점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압전층 제2 파트(132)가 형성될 수 있다. 압전층 제2 파트(132)는 압전층 제1 파트(131)와 달리 제1 보호층(113) 또는 기판(111) 상에 형성될 수 있다.In some areas, the piezoelectric layer (131) may be interrupted, and a second part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2) may be formed at a point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terrupted point. Unlike the first part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the second part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2) may be formed 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113) or the substrate (111).
활성 영역을 벗어난 위치에서 제2 전극(141)의 두께 증가를 통해, 두께가 보강된 전극의 저항이 감소함으로써 전류가 전극의 가장자리에 모여서 전극 리드(lead)로 흘러가기 때문에 Q 값이 증가 될 수 있다. 즉 제2 전극(141)의 두께 보강 영역에서 저항이 감소하므로 단위 시간당 전하의 흐름이 증가할 수 있다.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141) at a location outside the active area,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de with the increased thickness decreases, so that the current gathers at the edge of the electrode and flows to the electrode lead, which can increase the Q value. That is, since the resistance decreases in the area of the increased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141), the flow of charge per unit time can increase.
또한, 활성 영역(active area)에 집중되던 열이 기판(111)을 통해 외부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Additionally, heat concentrated in the active area can be transferr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bstrate (111).
그 밖에 제1 전극(121)의 두께 보강을 통해 활성 영역에서 발생하는 열이 기판으로 전달되어 열전달(heat transfer)이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by reinforcing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121), heat generated in the active area can be transferred to the substrate, thereby improving heat transfer.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음향 공진기(100)는 제2 보호층(15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보호층(150)은 제2 전극(141)이 압전층(131)과 접하는 표면의 반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acoustic resonator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protective layer (150).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50) may be formed on an opposite surface of the surface where the second electrode (141) contacts the piezoelectric layer (131).
제2 보호층(150)은 제1 전극(121), 압전층(131) 및 제2 전극(141)을 보호하기 위한 패시베이션(passivation)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보호층(150)은 일단의 에지가, 제2 전극(141)의 일단의 에지와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rotective layer (150) can perform a passivation function to protect the first electrode (121), the piezoelectric layer (13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50) can be formed so that one edge of the second protective layer matches the one edge of the second electrode (141).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100)의 기술적 특징은 제조방법에 의해 묘사될 수 있다. 음향 공진기(100)의 구체적 제조 공정은 전술한 바 있으므로 특징이 되는 점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acoustic resonator (100) can be describ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Since the specific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acoustic resonator (100)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features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제조방법(S100)의 흐름도이다.FIG. 3 is a flow chart of a method (S100) for manufacturing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함께 도 3을 참조하면, 음향 공진기의 제조방법(S100)을 구성하는 주요 과정이 묘사되어 있다. 음향 공진기의 제조방법(S100)은, 기판(111) 상의 일부 영역에 제1 캐비티(112a)의 제1 골(trench) 및 제2 캐비티(112b)의 제2 골이 형성되고, 제1 골 및 제2 골의 공간에 희생층이 형성되는 단계(S110), 제1 전극(121)의 상승 프레임(raised frame)(123) 형성 및 중첩 영역의 타단을 기준으로 중첩 영역의 외측에서 제1 전극(121)이 종단되게 형성되는 단계(S120), 제1 전극(121)의 일부 면, 종단면 및 기판(111) 상의 일부 면에 희생층이 형성되는 단계(S131), 제1 전극(121) 및 희생층을 덮는 압전층(131)이 형성되고, 압전층(131)의 일부 영역이 식각되는 단계(S140) 및 압전층(131) 상에 제2 전극(141)이 형성되는 단계(S1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ogether with FIG. 2, the main processes constituting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coustic resonator (S100) are depicte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coustic resonator (S100) includes a step (S110) in which a first trench of a first cavity (112a) and a second trench of a second cavity (112b) are formed in a portion of a substrate (111), and a sacrificial layer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trench and the second trench, a step (S120) in which a raised frame (123) of a first electrode (121) is formed and the first electrode (121) is formed to be terminated on the outside of the overlapping region based on the other end of the overlapping region, a step (S131) in which a sacrificial layer is formed on a portion of a surface, a longitudinal surface, and a portion of a surface on the substrate (111), a piezoelectric layer (131) covering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acrificial layer is formed, and a portion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is etched, and a second electrode (141) is formed on the piezoelectric layer (131).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step (S150).
제1 캐비티(112a) 및 제2 캐비티(112b)는 기판(111) 상의 일부 영역에 트렌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S110). 제1 캐비티(112a)는 일단(E1) 내지 타단(E2)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제2 캐비티(112b)는 일단(E3) 내지 타단(E4)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avity (112a) and the second cavity (112b) may be formed in a trench shape in a portion of the substrate (111) (S110). The first cavity (112a)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from one end (E 1 ) to the other end (E 2 ), and the second cavity (112b)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from one end (E 3 ) to the other end (E 4 ).
제1 전극(121)은 제1 캐비티(112a)를 포함하여, 기판(11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전극(121)은 제1 보호층(113)이 없는 경우, 기판(111)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고, 기판(111) 상에 제1 보호층(113)이 존재하는 경우, 제1 보호층(113)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21)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111), including the first cavity (112a). That is, the first electrode (12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1) when there is no first protective layer (113), and may be formed 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113) when there is a first protective layer (113) on the substrate (111).
제1 전극(121)은 제1 캐비티(112a)의 일단(E1) 내지 타단(E2)에 대응되는 중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극(121)은, 중첩 영역의 타단(E2)을 기준으로 중첩 영역의 외측에서 종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21) may include an overlapping region corresponding to one end (E 1 ) to the other end (E 2 ) of the first cavity (112a). 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121) may be formed to terminate on the outside of the overlapping region with the other end (E 2 ) of the overlapping region as the standard.
압전층(131)은 제1 전극(121)의 일면에 형성되되, 중첩 영역의 외측에서 중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압전층(131)은 상면 및 하면이 제2 예각(θ2)의 상향 경사면으로 시작하고, 제2 전극(141)과 접하는 상면이 제3 예각(θ3)의 하향 경사면으로 중단되고, 제3 캐비티(122)와 접하는 하면이 제2 예각(θ1)의 하향 경사면으로 중단되는 에어 브리지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iezoelectric layer (131)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121), but may be formed to be interrupted on the outside of the overlapping region. The piezoelectric layer (131) may be formed to include an air bridge region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start with an upward slope of a second acute angle (θ 2 ), the upp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141) is interrupted with a downward slope of a third acute angle (θ 3 ), and the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hird cavity (122) is interrupted with a downward slope of a second acute angle (θ 1 ).
여기서, 제1 예각(θ1), 제2 예각(θ2) 및 제3 예각(θ3)은 45° 이하에서 형성되고, 제3 예각(θ3)이 제1 예각(θ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rst acute angle (θ 1 ), the second acute angle (θ 2 ), and the third acute angle (θ 3 ) are formed at 45° or less, and the third acute angle (θ 3 ) is formed larger than the first acute angle (θ 1 ).
제2 전극(141)은, 압전층(131)의 종단면을 따라 제1 전극(121) 방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141)의 일면에 옵션으로 제2 보호층(15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금속 패턴층은 제1 전극(121)이 노출된 영역에 형성되고, 제2 금속 패턴층은 제2 전극(141)이 노출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희생층이 제거됨으로써 희생층으로 매워졌던 공간에 캐비티가 형성된다.The second electrode (141)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toward the first electrode (121). A second protective layer (150) may optionall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141). The first metal pattern layer may be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first electrode (121) is exposed, and the second metal pattern layer may be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second electrode (141) is exposed. Finally, the sacrificial layer is removed, thereby forming a cavity in the space that was filled with the sacrificial layer.
도 4는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를 비교한 예시도이다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comparing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 prior art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전극(121)의 종단, 압전층(131)의 식각, 그리고 제2 전극(141) 및 제1 전극(121)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캐비티(112b), 제3 캐비티(122)의 형성은 일련의 인과관계에 기반한다.The termination of the first electrode (121), the etching of the piezoelectric layer (131), and the formation of the second cavity (112b) and the third cavity (122) form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141) and the first electrode (121) are based on a series of causal relationships.
도 4를 참조하면, #1 음향 공진기에서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41) 간의 전기장에 의해 기판(111) 내부에서 손실이 발생한다. 전기장에 의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2 음향 공진기와 같이 제1 전극(121)의 길이가 제1 캐비티(112a) 내측으로 축소되어 형성될 수 있다. #1 음향 공진기 및 #2 음향 공진기에서 제2 전극(141)은 에어 브리지 모양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4, in the #1 acoustic resonator, loss occurs inside the substrate (111) due to the electric fiel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In order to prevent loss due to the electric field, the length of the first electrode (121) may be formed to be reduced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cavity (112a), as in the #2 acoustic resonator. In the #1 acoustic resonator and the #2 acoustic resonator, the second electrode (141) is formed to include an air bridge shape.
압전층(131)을 통해서 횡 방향으로 진행하는 음향파로 인한 기계적인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3 음향 공진기와 같이 압전층을 일부 제거하고 제1 전극(121)이 수평 방향으로 다시 확장 설계하며, 박막화에 의한 전극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제2 전극(141)도 수직 방향으로 확장 설계될 수 있다. 전극의 박막화에 의한 전기 저항을 줄이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제2 전극(141)의 두께를 확장시키기 위해 압전층(131)이 식각될 수 있다.In order to minimize mechanical loss due to acoustic waves traveling laterally through the piezoelectric layer (131), a portion of the piezoelectric layer is removed, as in the #3 acoustic resonator, and the first electrode (121) is designed to expa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gain. In order to reduce loss of the electrode due to thinning, the second electrode (141) may also be designed to exp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order to reduce electrical resistance due to thinning of the electrode, the piezoelectric layer (131) may be etched to exp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141) in the vertical direction.
가까워진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41)과 전기장으로 인한 기판(111)에서 발생되는 손실이 문제될 수 있다. 식각 영역에 의해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41)이 근접하여 형성됨에 따라 #4 음향 공진기와 같이 양 극간의 기생 임피던스 및 기판(111)에 의한 손실을 줄이기 위해 극간 캐비티, 즉 에어 브리지 영역인 제3 캐비티(122), 및 기판(111) 상의 제2 캐비티(112b)가 형성될 수 있다.The loss occurring in the substrate (111) due to the electric field and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that are brought close together may be a problem. As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are formed close together by the etching region, a third cavity (122), which is an air bridge region between the two electrodes, and a second cavity (112b) on the substrate (111) may be formed to reduce the parasitic impedance between the two electrodes and the loss due to the substrate (111), as in the #4 acoustic resonator.
또한, 제3 캐비티(122)가 수평 방향에서 제1 캐비티(112a)에 가깝게 시작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hird cavity (122) may be initiated closer to the first cavity (112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5는 양 극간 전기장으로 인한 기생 임피던스의 예시 회로도이다.Figure 5 is an example circuit diagram of parasitic impedance due to the electric field between the two poles.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 묘사된 #4 음향 공진기의 등가회로가 묘사되어 있다. 압전층(131)이 식각된 영역에서 고저항 Si 기판(Si-wafer)(111)임에도 불구하고 제2 전극(141)에서 Si 기판(111)을 통해서 제1 전극(121)으로 전기장이 발생한다. 이러한 전기장은 도 5와 같이 기생 커패시턴스 및 저항으로 모델링 가능하며, 기생 저항 값은 기판(111)의 loss tan delta와 연관되며, 음향 공진기의 반공진 주파수에서 Q를 감소시킨다. 공기의 유전율이 Si-wafer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Q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4 음향 공진기와 같이 제2 캐비티(112b)를 기판 상에 형성시켜, 제2 전극(141) 및 제1 전극(121) 간에 발생하는 전기장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기판(111)에 의한 손실도 감소하고, Q 값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n equivalent circuit of the #4 acoustic resonator depicted in FIG. 4 is depicted. In the area where the piezoelectric layer (131) is etched, an electric field is generated from the second electrode (141) to the first electrode (121) through the Si substrate (111) despite the high-resistance Si substrate (Si-wafer) (111). This electric field can be modeled as a parasitic capacitance and resistance as shown in FIG. 5, and the parasitic resistance value is related to the loss tan delta of the substrate (111) and reduces Q at the anti-resonant frequency of the acoustic resonator. Since the permittivity of air is much lower than that of the Si-wafer, in order to prevent a decrease in Q, a second cavity (112b) is formed on the substrate, as in the #4 acoustic resonator, so that the electric field intensity generat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141) and the first electrode (121) can be reduced, the loss due to the substrate (111) can also be reduced, and the Q value can be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도 6은 기판의 유전손실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시뮬레이션 예에서 측정된 Q 값의 비교 그래프이다.Figure 6 is a comparative graph of measured Q values in a simulation example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the dielectric loss of the substrate.
도 6을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2, #3 및 #4 음향 공진기의 Q 값의 시뮬레이션 결과가 그래프로 묘사되어 있다. #4 음향 공진기의 시뮬레이션 예에서, 제2 캐비티(112b)의 영향으로 기판에 의한 손실이 적게 분포되고 따라서 가장 높은 Q 값을 나타낸다. 반면에 #3 음향 공진기의 시뮬레이션 예에서 제1 전극(121)의 수평 방향 확장 및 제2 전극(141)의 수직 방향 확장으로 인해 기판 손실이 증가하여 Q 값이 감소된다. 그리고 #2 음향 공진기의 시뮬레이션 예에서 제2 캐비티(112b) 및 제3 캐비티(122)의 수평 방향 확장을 통해 Q 값이 일정 범위에서 만회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simulation results of Q values of the acoustic resonators #2, #3, and #4 illustrated in FIG. 4 are depicted graphically. In the simulation example of the acoustic resonator #4, the substrate loss is less distribut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econd cavity (112b), and therefore the highest Q value is shown. On the other hand, in the simulation example of the acoustic resonator #3, the substrate loss increases due to the horizontal expansion of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vertical expansion of the second electrode (141), and thus the Q value decreases. In addition, in the simulation example of the acoustic resonator #2, the Q value can be recovered within a certain range through the horizontal expansion of the second cavity (112b) and the third cavity (122).
도 7 및 도 8은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41) 간의 극간 캐비티에 해당하는 기판(111) 상의 제2 캐비티(112b)의 유무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와 관련된 도면이다.FIG. 7 and FIG. 8 are drawings related to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econd cavity (112b) on the substrate (111) corresponding to the inter-pole cavity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Q 값 측정 시뮬레이션의 예시 뷰이다.FIG. 7 is an example view of a simulation for measuring the Q value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압전층(131) 및 제2 전극(141) 간에 형성된 제3 캐비티(122) 및 이에 연장되어 기판상에 형성된 캐비티(112b)를 포함하여 다른 조건이 모두 동일하고, 기판(111) 상에 제2 캐비티(112b)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의 시뮬레이션 예에서 Qp(normalized Q at anti-resonant frequency)의 값이 1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7, in a simulation example in which all other conditions are the same, including a third cavity (122) formed between a piezoelectric layer (131) and a second electrode (141) and a cavity (112b) formed on a substrate by extending thereto, and a second cavity (112b) is not included on the substrate (111), the value of Qp (normalized Q at anti-resonant frequency) is 1.
도 8을 참조하면, 압전층(131) 및 제2 전극(141) 간에 형성된 제3 캐비티(122) 및 이에 연장되어 기판상에 형성된 캐비티(112b)를 포함하여 다른 조건이 모두 동일하고, 기판(111) 상에 제2 캐비티(112b)를 포함하는 경우의 시뮬레이션 예에서 Qp(normalized Q at anti-resonant frequency)의 값은 1.18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8, in a simulation example in which all other conditions are the same, including a third cavity (122) formed between a piezoelectric layer (131) and a second electrode (141) and a cavity (112b) formed on a substrate by extending thereto, and a second cavity (112b) is included on a substrate (111), the value of Qp (normalized Q at anti-resonant frequency) is 1.18.
도 7 및 도 8의 결과를 종합하면,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41)간의 전기장 경로 상에 위치하는 기판(111)이 제2 캐비티(112b)를 포함하는 경우 Qp 값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판(111) 및 공기의 유전율과 전기 손실과의 관련성에 기인한다.In summary of the results of FIGS. 7 and 8,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substrate (111) located on the electric field path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includes the second cavity (112b),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Qp value. This result is du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mittivity of the substrate (111) and air and the electrical loss.
도 9 및 도 10은 제3 캐비티(122)에 형성된 제1 전극(121)의 상승 프레임(123)의 유무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와 관련된 도면이다.Figures 9 and 10 are drawings related to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rising frame (123) of the first electrode (121) formed in the third cavity (122).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Q 값 측정 시뮬레이션의 예시 뷰이다.FIG. 9 is an example view of a simulation for measuring the Q value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기판(111) 상에 형성된 제2 캐비티(112b)와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41) 간에 형성된 제3 캐비티(122)를 포함하여 다른 조건이 모두 동일하고, 제1 전극(121)이 제3 캐비티(122) 내에서 상승 프레임(123)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의 시뮬레이션 예에서 Qp(normalized Q at anti-resonant frequency)의 값이 1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9, in a simulation example where all other conditions are the same, including a second cavity (112b) formed on a substrate (111) and a third cavity (122)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and the first electrode (121) does not include a rising frame (123) within the third cavity (122), the value of Qp (normalized Q at anti-resonant frequency) is 1.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Q 값 측정 시뮬레이션의 예시 뷰이다.FIG. 10 is an example view of a simulation for measuring the Q value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기판(111) 상에 형성된 제2 캐비티(112b)와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41) 간에 형성된 제3 캐비티(122)를 포함하여 다른 조건이 모두 동일하고, 제1 전극(121)이 제3 캐비티(122) 내에서 상승 프레임(123)을 포함하는 경우의 시뮬레이션 예에서 Qp(normalized Q at anti-resonant frequency)의 값이 1.42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10, in a simulation example where all other conditions are the same, including a second cavity (112b) formed on a substrate (111) and a third cavity (122)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and the first electrode (121) includes a rising frame (123) within the third cavity (122), the value of Qp (normalized Q at anti-resonant frequency) is 1.42.
도 9 및 도 10의 결과를 종합하면, 제1 전극(121)이 상승 프레임(raised frame)(123)을 포함하는 경우 Qp 값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제1 전극(121)의 두께와 전기 손실과의 관련성에 기인한다.In summary of the results of FIGS. 9 and 10,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Qp value when the first electrode (121) includes a raised frame (123). This result is du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electrical loss.
도 11 내지 도 13은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41) 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의 경로에 중첩되게 기판(111)에 형성된 제2 캐비티(112b)의 폭에 따른 Zp 값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관련된 도면이다.Figures 11 to 13 are drawings related to simulation results of the Zp value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second cavity (112b) formed in the substrate (111) so as to overlap the path of the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Q 값 측정 시뮬레이션의 예시 뷰이다.FIG. 11 is an example view of a simulation for measuring the Q value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41) 간에 형성된 제3 캐비티(122)를 포함하여 다른 조건이 모두 동일하고, 제2 캐비티(112b)의 폭이 약 3 μm로 설정된 시뮬레이션 예에서 Zp(normalized impedance at anti-resonant frequency)의 값이 1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11, in a simulation example in which all other conditions are the same, including the third cavity (122)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and the width of the second cavity (112b) is set to about 3 μm, the value of Zp (normalized impedance at anti-resonant frequency) is 1.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Q 값 측정 시뮬레이션의 예시 뷰이다.FIG. 12 is an example view of a simulation for measuring the Q value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41) 간에 형성된 제3 캐비티(122)를 포함하여 다른 조건이 모두 동일하고, 제2 캐비티(112b)의 폭이 약 4 μm로 설정된 시뮬레이션 예에서 Zp(normalized impedance at anti-resonant frequency)의 값이 1.37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12, in a simulation example in which all other conditions are the same, including the third cavity (122)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and the width of the second cavity (112b) is set to about 4 μm, the value of Zp (normalized impedance at anti-resonant frequency) is 1.37.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Q 값 측정 시뮬레이션의 예시 뷰이다.FIG. 13 is an example view of a simulation for measuring the Q value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41) 간에 형성된 제3 캐비티(122)를 포함하여 다른 조건이 모두 동일하고, 제2 캐비티(112b)의 폭이 약 6.5 μm로 설정된 시뮬레이션 예에서 Zp(normalized impedance at anti-resonant frequency)의 값이 1.67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13, in a simulation example in which all other conditions are the same, including the third cavity (122)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41), and the width of the second cavity (112b) is set to about 6.5 μm, the value of Zp (normalized impedance at anti-resonant frequency) is 1.67.
따라서, 도 11 내지 도 13의 결과를 종합하면, 기판(111) 상에 형성된 제2 캐비티(112b)는 그 폭이 증가함에 따라 Zp 값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캐비티(112b)의 공간과 전기장의 세기와의 관련성에 기인한다.Therefore, by summarizing the results of FIGS. 11 to 13,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cavity (112b) formed on the substrate (111)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Zp value as its width increases. This result is du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of the cavity (112b) and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 fiel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 전극의 변형을 통해 품질 인자가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uality factor can be improved through deformation of the lower electrode.
또한, 양 전극 간에 발생하는 기생 임피던스의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influence of parasitic impedance occurring between the two electrodes can be minimized.
또한, 양 전극 간 발생하는 전기장으로 인한 기판 손실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substrate loss caused by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between the two electrodes.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Above, although some examples have been given and variou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description of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section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or equivalent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above description is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each claim of the claims.
100: 음향 공진기
111: 기판
112a: 제1 캐비티
112b: 제2 캐비티
113: 제1 보호층
121: 제1 전극
122: 제3 캐비티
131: 압전층(제1 파트)
132: 압전층 제2 파트
141: 제2 전극
142: 제4 캐비티
143: 제5 캐비티
150: 제2 보호층100: Acoustic resonator
111: Substrate
112a: Cavity 1
112b: Second cavity
113: 1st protective layer
121: First electrode
122: 3rd Cavity
131: Piezoelectric layer (Part 1)
132: Piezoelectric layer part 2
141: Second electrode
142: Cavity 4
143: Cavity 5
150: Second protective layer
Claims (10)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의 일면에 형성된 압전층; 및
상기 압전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2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 상기 압전층 및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캐비티의 일단 내지 타단에 대응되는 중첩 영역(overlap area)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의 일단이 상기 중첩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서 종단되고,
상기 제1 전극의 종단과 중첩되게 상기 압전층의 일부가 제거된 식각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식각 영역의 일부와 가상의 수직선상에서 중첩되는 제2 캐비티를 더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음향 공진기.A substrate including a first cavity;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bstrate;
A piezoelectric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and
Including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above piezoelectric layer,
The first electrode, the piezoelectric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include an overlap area corresponding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vity,
One end of the first electrode is terminated in an area outside the overlapping area,
An etched area is formed in which a portion of the piezoelectric layer is removed so as to overlap with the end of the first electrode,
The substrate is formed to further include a second cavity overlapping a portion of the etched area in an imaginary vertical line.
Acoustic resonator.
상기 중첩 영역과 상기 식각 영역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압전층 사이에 제3 캐비티가 존재하며, 상기 제3 캐비티는 상기 제2 캐비티를 벗어난 구간까지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진기.In claim 1,
A third cavity exist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piezoelectric layer in the region between the overlapping region and the etching reg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cavity extends to a section beyond the second cavity.
Acoustic resonator.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3 캐비티와 접하는 영역에서 두께가 증가하는 상승 프레임(raised frame)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음향 공진기.In claim 2,
The first electrode is formed to include a raised frame whose thickness increases in an area in contact with the third cavity.
Acoustic resonator.
상기 압전층은 상면 및 하면이 제2 예각(θ2)의 상향 경사면으로 시작하고, 상기 제2 전극과 접하는 상기 상면이 제3 예각(θ3)의 하향 경사면으로 중단되고, 상기 제3 캐비티와 접하는 상기 하면이 제1 예각(θ1)의 하향 경사면으로 중단되는 에어 브리지 영역을 포함하며, 상승 프레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음향 공진기.In claim 2,
The piezoelectric layer includes an air bridge region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start with an upward slope of a second acute angle (θ 2 ), the upp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is interrupted with a downward slope of a third acute angle (θ 3 ), and the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hird cavity is interrupted with a downward slope of a first acute angle (θ 1 ), and is formed to include a rising frame.
Acoustic resonator.
상기 제1 예각(θ1), 제2 예각(θ2) 및 제3 예각(θ3)은 45° 이하에서 형성되고, 제3 예각(θ3)이 제1 예각(θ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공진기.In claim 4,
The first acute angle (θ 1 ), the second acute angle (θ 2 ) and the third acute angle (θ 3 ) are formed at 45° or less, and the third acute angle (θ 3 ) is formed larger than the first acute angle (θ 1 ).
Acoustic resonator.
상기 압전층은,
상기 제3 예각(θ3)과 상기 제1 예각(θ1)의 차이로 인하여 점점 얇아져서 상기 식각 영역에서 중단되게 형성되는,
음향 공진기.In claim 4,
The above piezoelectric layer,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acute angle (θ 3 ) and the first acute angle (θ 1 ), it becomes thinner and is formed to be interrupted in the etching area.
Acoustic resonator.
상기 압전층은 상기 식각 영역을 사이에 두고 제1 파트 및 제2 파트로 구분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1 전극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기판 상부에 형성되는,
음향 공진기.In claim 2,
The above piezoelectric layer is divided into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with the etching region interposed between them,
The first part is formed on top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part is formed on top of the substrate.
Acoustic resonator.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식각 영역 상에서 서로 이격된 상기 제1 파트 및 제2 파트의 경사진 종단면을 덮도록 V자 또는 U자 모양 또는 V자와 U자 모양에 준하는 모양으로 형성되는,
음향 공진기.In claim 7,
The second electrode is formed in a V- or U-shape or a shape similar to a V- or U-shape so as to cover the inclined cross-sections of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etching area.
Acoustic resonator.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V자 또는 U자 모양 또는 V자와 U자 모양에 준하는 모양의 최저면이 상기 제3 캐비티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음향 공진기.In claim 8,
The second electrode is formed so that the lowest surface of the V- or U-shaped or similar shape to the V- or U-shaped shape is in contact with the third cavity.
Acoustic resonator.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식각 영역과 중첩되는 위치에서 제1 예각(θ1)의 경사면으로 종단면이 형성되는,
음향 공진기.In claim 1,
The first electrode has a cross-section formed with a slope of a first acute angle (θ 1 )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etching area.
Acoustic resonat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8713A KR102710221B1 (en) | 2022-02-14 | 2022-02-14 | Acoustic reson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8713A KR102710221B1 (en) | 2022-02-14 | 2022-02-14 | Acoustic reson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22267A KR20230122267A (en) | 2023-08-22 |
KR102710221B1 true KR102710221B1 (en) | 2024-09-26 |
Family
ID=8779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8713A Active KR102710221B1 (en) | 2022-02-14 | 2022-02-14 | Acoustic reson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10221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00119713A1 (en) | 2018-10-12 | 2020-04-16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
US20210184642A1 (en) | 2016-03-11 | 2021-06-17 | Akoustis, Inc. | Piezoelectric acoustic resonator manufactured with piezoelectric thin film transfer proces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0711B1 (en) | 2003-05-27 | 2005-03-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gap type FBAR fabrication method using poly-Silicon sacrificial layer and Etching-stop wall and FBAR fabricated by the same |
US11496108B2 (en) * | 2020-08-17 | 2022-11-08 | Akoustis, Inc. | RF BAW resonator filter architecture for 6.5GHz Wi-Fi 6E coexistence and other ultra-wideband applications |
-
2022
- 2022-02-14 KR KR1020220018713A patent/KR10271022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184642A1 (en) | 2016-03-11 | 2021-06-17 | Akoustis, Inc. | Piezoelectric acoustic resonator manufactured with piezoelectric thin film transfer process |
US20200119713A1 (en) | 2018-10-12 | 2020-04-16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22267A (en) | 2023-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010133B (en) |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ilter, and electronic apparatus | |
US7996984B2 (en) | Process for making a FBAR bandpass filter | |
KR100622955B1 (en) | Thin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US10784838B2 (en) | Air-gap type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9787282B2 (en) | Piezoelectric thin film resonator, filter and duplexer | |
KR102741160B1 (en) | Air-gap type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with arch type cavity | |
KR102579165B1 (en) | Air-gap type fbar | |
US12126325B2 (en) | Acoustic resonator | |
KR102338022B1 (en) | AIR-GAP TYPE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 |
US12334905B2 (en) | Acoustic resonator | |
KR102172638B1 (en) |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
KR102710221B1 (en) | Acoustic resonator | |
KR102717995B1 (en) | Air-gap type fbar | |
US11777467B2 (en) | Air-gap type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 |
KR102766930B1 (en) |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 |
KR102450602B1 (en) | Bulk-acoustic wave resonator | |
KR102636254B1 (en) | Acoustic resonator with improved mechanical, electrical, and thermodynamic properti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250090634A (en) |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 |
CN119452571A (en) | Stereo acoust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CN117639715A (en) | BAW resonator with dual-step oxide boundary ring structure | |
KR20220148456A (en) |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