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09436B1 -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 Google Patents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09436B1 KR102709436B1 KR1020210170540A KR20210170540A KR102709436B1 KR 102709436 B1 KR102709436 B1 KR 102709436B1 KR 1020210170540 A KR1020210170540 A KR 1020210170540A KR 20210170540 A KR20210170540 A KR 20210170540A KR 102709436 B1 KR102709436 B1 KR 1027094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uit
- storage body
- box
- support wall
- right stor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1000220225 Mal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6623 Fragaria ves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9088 Fragaria x ananass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363 Fragaria x ananas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20324 Py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6 app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5 fruits and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7 pea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3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e.g.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의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져 대상물의 보관 내지 수용이 허용되고, 대상물의 저부를 안착시키거나 대상물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양방향 분할형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대응하게 개구되며, 과일 형상으로 구성되되, 케이스(3)의 내장이 가능하도록 과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 및 좌보관체와 우보관체의 대응 단부를 서로 구속하는 연결대(30)로 이루어짐에 따라 연결대(30)가 보유한 자체 휨성에 의해 좌보관체와 우보관체를 설정 범위 내에서 선회시켜 서로 치합되게 하거나 양분되게 하며, 과일 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1); 본체 상단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2); 및 과일을 지지하는 과일 지지벽(3-2)과 상기 과일 지지벽(3-2)의 테두리로부터 제1 측방향으로 연장된 측벽(3-3)을 포함하며,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의 내부에 각각 개재되고 과일의 개별 수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과일 지지벽(3-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홀(3-1)이 천공되는 한 쌍의 케이스(3)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3)의 측벽(3-3)은 내부에 나선형 스프링(S)을 내장하고 있는 나선형 자바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공의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져 대상물의 보관 내지 수용이 허용되고, 대상물의 저부를 안착시키거나 대상물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양방향 분할형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대응하게 개구되며, 과일 형상으로 구성되되, 케이스(3)의 내장이 가능하도록 과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 및 좌보관체와 우보관체의 대응 단부를 서로 구속하는 연결대(30)로 이루어짐에 따라 연결대(30)가 보유한 자체 휨성에 의해 좌보관체와 우보관체를 설정 범위 내에서 선회시켜 서로 치합되게 하거나 양분되게 하며, 과일 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1); 본체 상단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2); 및 과일을 지지하는 과일 지지벽(3-2)과 상기 과일 지지벽(3-2)의 테두리로부터 제1 측방향으로 연장된 측벽(3-3)을 포함하며,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의 내부에 각각 개재되고 과일의 개별 수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과일 지지벽(3-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홀(3-1)이 천공되는 한 쌍의 케이스(3)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3)의 측벽(3-3)은 내부에 나선형 스프링(S)을 내장하고 있는 나선형 자바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과 또는 배와 같은 과일은 박스에 낱개로 구비되어 별도의 포장없이 박스채 운반할 수 있도록 편의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과일용 박스는 과일의 안전한 이송을 목적으로 내부 바닥면에 완충제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과일을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에 미달된다.
한편, 과일용 박스에 관련하는 기술 중 일례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3360호 "고정패드의 지지력을 강화시킨 과일포장박스"가 게재되어 있으며, 위 기술은 박스에 보관될 과일의 저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고정패드를 박스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하고, 고정패드 위에 과일을 안착시킴으로써 과일의 파손을 예방하는 기술이다.
예컨대 위 종래기술은 고정패드를 통해 과일의 저부를 보호할 수는 있으나 과일의 상단부는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더불어 과일박스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가 박스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어 운반이 불편하고 외관미가 떨어지는 문제점들이 발생하였다.
과일용 박스의 또 다른 일례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294호 "과일 포장 박스"가 게재되어 있으며, 과일 포장 박스는 박스의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고, 접혀져서 세워지도록 구성되어 박스의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을 이루는 한 쌍의 제1 측벽판과, 바닥판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고, 접혀져서 세워지도록 구성되어 박스의 마주보는 다른 한 쌍의 측벽을 이루는 한 쌍의 제2 측벽판과, 한 쌍의 제1 측벽판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위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박스의 양측에 한 쌍의 손잡이끈이 포함되어 있지만, 위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3360호 "고정패드의 지지력을 강화시킨 과일포장박스"와 마찬가지로 박스의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과일의 상단부를 보호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여전히 외관미의 문제를 해소할 수는 없었다.
또한, 위 종래기술들에 있어서는, 박스 안 또는 박스 안 과일 지지대에 과일을 놓고 운반할 수는 있으나 박스 안 또는 박스 안 과일 지지대에 놓인 과일의 상부면을 지지할 수 없어 박스 운반 중 조금만 충격이 가해져도 과일이 박스 안에서 이동하면서 서로 부딪혀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위와 같은 이유로 다양한 과일을 수납하여 간편하게 운반하되 포장이 완료된 박스의 외관이 수려하면서도, 박스 내에 수납된 과일의 이동 및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과일을 양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과일용 박스가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다양한 과일을 수납하여 간편하게 운반하되 포장이 완료된 박스의 외관이 수려하면서도, 박스 내에 수납된 과일의 이동 및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과일을 양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과일의 전체를 감싸 과일의 전체 면을 보호하되 과일에 공기가 통하지 않는 면적을 최소화하는 과일용 박스가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다양한 과일을 수납하여 간편하게 운반하되 포장이 완료된 박스의 외관이 수려하면서도, 박스 내에 수납된 과일의 이동 및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과일을 양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과일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다양한 과일을 수납하여 간편하게 운반하되 포장이 완료된 박스의 외관이 수려하면서도, 박스 내에 수납된 과일의 이동 및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과일을 양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과일의 전체를 감싸 과일의 전체 면을 보호하되 과일에 공기가 통하지 않는 면적을 최소화하는 과일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이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1)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중공의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져 대상물의 보관 내지 수용이 허용되고, 대상물의 저부를 안착시키거나 대상물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양방향 분할형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대응하게 개구되며, 과일 형상으로 구성되되, 케이스(3)의 내장이 가능하도록 과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 및 좌보관체와 우보관체의 대응 단부를 서로 구속하는 연결대(30)로 이루어짐에 따라 연결대(30)가 보유한 자체 휨성에 의해 좌보관체와 우보관체를 설정 범위 내에서 선회시켜 서로 치합되게 하거나 양분되게 하며, 과일 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1); 본체 상단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2); 및 과일을 지지하는 과일 지지벽(3-2)과 상기 과일 지지벽(3-2)의 테두리로부터 제1 측방향으로 연장된 측벽(3-3)을 포함하며,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의 내부에 각각 개재되고 과일의 개별 수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과일 지지벽(3-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홀(3-1)이 천공되는 한 쌍의 케이스(3)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3)의 측벽(3-3)은 내부에 나선형 스프링(S)을 내장하고 있는 나선형 자바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3)는 상기 인입홀(3-1)에 인접하는 과일 지지벽(3-2)의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측방향으로 함몰되어 있는 사다리꼴 단면의 함몰부(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는, 상기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공기 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는, 상기 함몰부(3-4)는 저면에 형성된 개방부(3-4h)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는, 과일(4)을 집어 넣어 상기 함몰부(3-4)에 과일(4)의 일부분이 수용되게 하여 과일(4)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볼펜 내의 코일 스프링의 재료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재료 직경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의 스프링 코일로 구성된 그물망 형태의 과일 보호망(3-5)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과일 보호망(3-5)은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를 가진다.
첫째, 다양한 과일을 수납하여 간편하게 운반하되 포장이 완료된 박스의 외관이 수려하면서도, 박스 내에 수납된 과일의 이동 및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과일을 양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과일용 박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다양한 과일을 수납하여 간편하게 운반하되 포장이 완료된 박스의 외관이 수려하면서도, 박스 내에 수납된 과일의 이동 및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과일을 양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과일의 전체를 감싸 과일의 전체 면을 보호하되 과일에 공기가 통하지 않는 면적을 최소화하는 과일용 박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벨크로를 이용하여 좌우 본체간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벨크로를 이용하여 좌우 본체간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전개도.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B-B'선 단면도.
도 13은 과일을 집어 넣어 과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볼펜 내의 코일 스프링의 재료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재료 직경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의 스프링 코일로 구성된 그물망 형태의 과일 보호망과 과일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인입홀에 인접하는 과일 지지벽의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측방향으로 함몰되어 있는 사다리꼴 단면의 함몰부에 과일이 과일 보호망에 끼워져 배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15는 한 쌍의 케이스의 함몰부들이 인접하여 대향되게 배치되고 이들 함몰부의 사이에서 과일이 과일 보호망에 끼워져 과일이 함몰부들에 의해 지지되면서 과일 보호망에 의해 보호되게 배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벨크로를 이용하여 좌우 본체간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벨크로를 이용하여 좌우 본체간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전개도.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B-B'선 단면도.
도 13은 과일을 집어 넣어 과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볼펜 내의 코일 스프링의 재료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재료 직경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의 스프링 코일로 구성된 그물망 형태의 과일 보호망과 과일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인입홀에 인접하는 과일 지지벽의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측방향으로 함몰되어 있는 사다리꼴 단면의 함몰부에 과일이 과일 보호망에 끼워져 배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15는 한 쌍의 케이스의 함몰부들이 인접하여 대향되게 배치되고 이들 함몰부의 사이에서 과일이 과일 보호망에 끼워져 과일이 함몰부들에 의해 지지되면서 과일 보호망에 의해 보호되게 배치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과일을 안정적으로 보관 및 휴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과일 포장용기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대상 과일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부 식별력은 물론 미려한 시각 미를 부여할 뿐 아니라 과일의 안정적인 지지와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제반 구성이 채택됨에 따라 기존 대비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1)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이 언급하는 대상물은 과일을 비롯하여 야채 등 모든 농산물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전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보관박스(100)는 다양한 종류의 대상물을 보관 내지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대상물의 저부를 안착시키거나 대상물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양방향 분할형으로 형성된다.
위 휴대용 보관박스(100)는 플라스틱이나 종이류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 가능하지만 대상물을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의 내구성과 제작단가 및 사용 후 처리가 용이한 하드보드지(hardboard) 또는 골판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휴대용 보관박스(100)는 상단이 개방되어 대상물을 수용하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일방형 박스의 형상과는 달리 사과 내지 딸기와 같은 과일 형상으로 제작하여 운반 시 외관 미를 향상시켰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100)는 하드보드지(hardboard) 또는 골판지로 이루어지고 중공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대상물을 수용하는 과일 형상의 본체(1)와, 본체 상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유도하는 손잡이(2)와, 본체의 내부에 개재되고 과일의 개별 수용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홀(3-1)이 천공되는 케이스(3)로 구성된다.
예컨대 도면에서 위 손잡이(2)는 좌우로 양분된 한 쌍의 본체(1) 중 어느 하나의 본체에 끼움 설치되어 있으나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체의 양 측 모두 설치되어 사용자가 양팔로 잡거나 하나로 모아 잡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위 케이스(3)는 인입홀(3-1)마다 과일의 개별 수용을 위한 수용함(3-a)이 일대일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용함으로 인해 수용 대상 과일은 보다 안정적으로 보관 내지 수용 가능하여 소비자 니즈를 충족할 수 있으며, 과일을 보관박스로부터 인출하여 별도 보관할 경우 수용함에 의해 또 다른 보관수단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체(1)는 사과 내지 딸기와 같이 과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에 삽입되는 케이스(3) 역시 본체의 내부면적과 대응하는 형태로 제공되어 상호 맞춤식 결합이 이루어진다. 위 본체(1)는 대상물의 저부를 수용하는 좌보관체(10)와, 대상물의 상부를 커버하는 우보관체(20)로 구분 형성되고, 위 좌보관체와 우보관체가 서로 마주하는 면의 단부를 서로 구속되게 하는 연결대(30)로 이루어진다.
위 연결대(30)는 자체 휨성에 의해 좌보관체와 우보관체를 설정 범위 내에서 선회시켜 서로 치합되게 하거나 양분되게 함으로써 휴대용 보관박스(100)의 개폐를 결정한다.
또한, 위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는 연결대(30)에 의해 서로 선회하여 상호 치합되는 면에 서로 대응하는 끼움면(A)과 요입면(B)이 형성되고, 끼움면과 요입면이 서로 결부되거나 분리되어 좌보관체와 우보관체의 개폐에 잠김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위 끼움면(A)과 요입면(B)은 본체의 단부 형상을 따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 또는 함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끼움면과 요입면을 다소 지그재그 형태로 제작하여 상호 맞닿는 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결합력을 증대시키거나 끼움면(A)과 요입면(B)이 서로 마주하는 면에 톱니 또는 돌부와 요부를 형성하여 상호 마찰에 의한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벨크로를 이용하여 좌우 본체간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끼움면(A)은 좌보관체(10) 또는 우보관체(20)의 해당 내주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특히 끼움면의 외면에 식별부(40)가 부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위 식별부(40)는 광고 이미지나 문구 등이 마킹되거나 스티커 타입으로 부착되어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가 서로 치합되어 내부가 밀폐되었을 때는 요입면(B)에 가려 숨겨져 있다가, 좌보관체와 우보관체를 벌려 개방하였을 때는 끼움면(A)이 외부로 노출되어 식별부에 적용된 광고 이미지나 문구 등이 보여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는 끼움면(A)과 요입면(B)이 서로 마주하는 면에 서로 대응하는 암수 밸크로(50)가 배치되어 밸크로(50)에 의해 결부되거나 분리된다. 다시 말해 위 암수 밸크로(50)는 각각 좌보관체와 우보관체가 중첩하는 경계 영역으로 고정 위치되는 링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벨크로를 이용하여 좌우 본체간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전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좌보관체(10)는 외부면 양측에 밴드 타입의 밸크로가 연장 형성되고, 우보관체(20)의 외부 정면에는 좌보관체의 밸크로와 이웃하는 밸크로가 부착된다.
위와 같은 구성의 휴대용 보관박스(100)는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 연결대(30)로부터 선회시켜 본체(1)의 내부공간을 외부로부터 완벽하게 밀폐시킨 상태에서 좌보관체(10)의 양측에 형성된 밴드 타입의 밸크로를 우보관체(20)의 정면으로 끌어당겨 우보관체의 정면에 형성된 밸크로에 부착시켜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휴대용 보관박스(100)는 본체를 구성함에 있어 보관하고자 하는 과일과 유사한 구조로 형성하여 외부 식별력과 함께 미려한 시각 미를 부여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본체를 좌보관체와 우보관체로 양분하여 형성함에 따라 손쉽게 열고 닫을 수 있으므로 사용상, 취급상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발휘하고, 또한, 과일의 개별 수용이 가능한 형태의 케이스를 좌·우보관체 내부에 개재함으로써 해당 과일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유동에 따른 품질 저하 또는 제품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좌·우보관체의 보다 확실한 결합을 위해 소정의 밸크로를 링 형상이나 띠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는, 중공의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져 대상물의 보관 내지 수용이 허용되고, 대상물의 저부를 안착시키거나 대상물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양방향 분할형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대응하게 개구되며, 과일 형상으로 구성되되, 케이스(3)의 내장이 가능하도록 과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 및 좌보관체와 우보관체의 대응 단부를 서로 구속하는 연결대(30)로 이루어짐에 따라 연결대(30)가 보유한 자체 휨성에 의해 좌보관체와 우보관체를 설정 범위 내에서 선회시켜 서로 치합되게 하거나 양분되게 하며, 과일 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1); 본체 상단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2); 및 과일을 지지하는 과일 지지벽(3-2)과 상기 과일 지지벽(3-2)의 테두리로부터 제1 측방향으로 연장된 측벽(3-3)을 포함하며,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의 내부에 각각 개재되고 과일의 개별 수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과일 지지벽(3-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홀(3-1)이 천공되는 한 쌍의 케이스(3)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3)의 측벽(3-3)은 내부에 나선형 스프링(S)을 내장하고 있는 나선형 자바라부로 구성된다.
도 9, 10의 실시예가 도 1 내지 3의 실시예와 특징적으로 다른 점은, 케이스(3)의 측벽(3-3)이 내부에 나선형 스프링(S)을 내장하고 있는 나선형 자바라부로 구성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케이스(3)의 측벽(3-3)은 나선형 스프링(S)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자바라부가 신축할 수 있음으로써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를 서로 치합하였을 때 한 쌍의 케이스(3)의 서로 대향하는 인입홀(3-1)들 사이에 배치되는 과일(4)의 크기에 따라 신축하면서 과일(4)을 좌우의 양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어 운반 중 과일의 이동으로 인해 서로 부딪힘으로써 과일(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9, 10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1 내지 8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는 케이스(3)의 내장이 가능하도록 과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 본체에 삽입되는 케이스(3) 역시 본체의 내부면적과 대응하는 형태로 제공되어 상호 맞춤식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성, 위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는 서로 대응한 끼움면(A)과 요입면(B)에 의해 결부되거나 분리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 끼움면(A)과 요입면(B)이 서로 마주하는 면에 톱니 또는 돌부와 요부를 형성하여 상호 마찰에 의한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구성, 위 끼움면(A)은 좌보관체(10) 또는 우보관체(20)의 해당 내주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면서 확장된 일면으로 식별부(40)가 부가 형성되고, 위 식별부(40)에는 광고 이미지 내지 문구가 마킹되거나 스티커 타입으로 부착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 위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는 서로 대응하는 암수 밸크로(50)에 의해 결부되거나 분리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위 암수 밸크로(50)는 각각 좌보관체와 우보관체가 중첩하는 경계 영역으로 고정 위치되는 링 형상인 것을 포함하는 것 등의 구성 중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1, 12를 참조하면, 위 도 9, 10의 구성 외에, 상기 케이스(3)는 상기 인입홀(3-1)에 인접하는 과일 지지벽(3-2)의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측방향으로 함몰되어 있는 사다리꼴 단면의 함몰부(3-4)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사다리꼴 단면의 함몰부(3-4)에 의해 과일(4)은 한 쌍의 케이스(3)의 사다리꼴 단면의 함몰부(3-4)에 부분적으로 양측면이 수용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2의 실시예에 있어서, 위 도 9, 10의 구성과 함몰부(3-4)의 구성 외에, 본 발명의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는, 상기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공기 통로(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처럼 상기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본 발명의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의 안에 과일(4)이 수용된 상태에서 이동되거나 보관될 때 과일(4)의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실시예에 있어서, 위 도 9, 10의 구성과 함몰부(3-4)의 구성 및 상기 공기 통로의 구성 외에, 본 발명의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는, 상기 함몰부(3-4)는 저면에 형성된 개방부(3-4h)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함몰부(3-4)가 저면에 개방부(3-4h)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공기 통로와 연통하여 공기가 본 발명의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내를 거쳐 과일(4)에 도달하도록 유동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본 발명의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의 안에 과일(4)이 수용된 상태에서 이동되거나 보관될 때 과일(4)의 신선함을 더 잘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은 과일을 집어 넣어 과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볼펜 내의 코일 스프링의 재료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재료 직경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의 스프링 코일로 구성된 그물망 형태의 과일 보호망과 과일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인입홀에 인접하는 과일 지지벽의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측방향으로 함몰되어 있는 사다리꼴 단면의 함몰부에 과일이 과일 보호망에 끼워져 배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15는 한 쌍의 케이스의 함몰부들이 인접하여 대향되게 배치되고 이들 함몰부의 사이에서 과일이 과일 보호망에 끼워져 과일이 함몰부들에 의해 지지되면서 과일 보호망에 의해 보호되게 배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는, 도 9 내지 12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상기 구성들 외에, 과일(4)을 집어 넣어 상기 함몰부(3-4)에 과일(4)의 일부분이 수용되게 하여 과일(4)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볼펜 내의 코일 스프링의 재료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재료 직경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의 스프링 코일로 구성된 그물망 형태의 과일 보호망(3-5)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과일 보호망(3-5)은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개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과일 보호망(3-5)은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된 부분을 손으로 벌려서 과일(4)을 과일 보호망(3-5)의 안에 집어 넣을 수 있고, 과일 보호망(3-5)이 볼펜 내의 코일 스프링의 재료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재료 직경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의 스프링 코일로 구성된 그물망 형태이기 때문에 과일(4)을 과일 보호망(3-5)에 집어 넣어 상기 함몰부(3-4)에 과일(4)의 일부분이 수용되게 하여 과일(4)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프링 코일이 과일(45)에 접하는 면적이 최소화되어 과일(4)에 공기가 도달하는 면적이 넓어지고 그에 따라 본 발명의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의 안에 과일(4)이 수용된 상태에서 이동되거나 보관될 때 과일(4)의 신선함을 더 잘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펜은 국내에서 시판되는 볼펜 중 모나미 153 볼펜 0.7mm를 가리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보관박스 2. 손잡이
3. 케이스 3-1. 인입홀
3-2. 과일 지지벽 3-3. 측벽
3-4. 함몰부 3-4h. 개방부
3-5. 과일 보호망 4. 과일
10. 좌보관체 20. 우보관체
30. 연결대 40. 식별부
50,50-1. 암수 밸크로 S. 나선형 스프링
3. 케이스 3-1. 인입홀
3-2. 과일 지지벽 3-3. 측벽
3-4. 함몰부 3-4h. 개방부
3-5. 과일 보호망 4. 과일
10. 좌보관체 20. 우보관체
30. 연결대 40. 식별부
50,50-1. 암수 밸크로 S. 나선형 스프링
Claims (5)
- 케이스(3)의 내장이 가능하도록 과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 및 좌보관체와 우보관체의 대응 단부를 서로 구속하는 연결대(30)로 이루어짐에 따라 연결대(30)가 보유한 자체 휨성에 의해 좌보관체와 우보관체를 설정 범위 내에서 선회시켜 서로 치합되게 하거나 양분되게 하며, 과일 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1)와, 본체 상단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2); 및 과일을 지지하는 과일 지지벽(3-2)과 상기 과일 지지벽(3-2)의 테두리로부터 제1 측방향으로 연장된 측벽(3-3)을 포함하며,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의 내부에 각각 개재되고 과일의 개별 수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과일 지지벽(3-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홀(3-1)이 천공되는 한 쌍의 케이스(3)를 포함하는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케이스(3) 각각의 측벽(3-3)은 내부에 나선형 스프링(S)을 내장하고 있는 나선형 자바라부로 이루어져,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를 서로 치합하였을 때 한 쌍의 케이스(3)의 서로 대향하는 인입홀(3-1)들 사이에 배치되는 과일의 크기에 따라 신축하면서 과일을 좌우의 양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운반 중 과일의 이동으로 인해 서로 부딪힘으로써 과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3)는 상기 인입홀(3-1)에 인접하는 과일 지지벽(3-2)의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측방향으로 함몰되어 있는 사다리꼴 단면의 함몰부(3-4)와,
과일을 집어 넣은 상태에서 상기 함몰부(3-4)에 과일의 일부분이 수용되게 하여 과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합성수지재의 스프링 코일로 구성되고,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되는 그물망 형상의 과일 보호망(3-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보관체(10)와 우보관체(2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공기 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3-4)는 저면에 형성된 개방부(3-4h)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0540A KR102709436B1 (ko) | 2021-12-02 | 2021-12-02 |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0540A KR102709436B1 (ko) | 2021-12-02 | 2021-12-02 |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2764A KR20230082764A (ko) | 2023-06-09 |
KR102709436B1 true KR102709436B1 (ko) | 2024-09-25 |
Family
ID=86765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0540A Active KR102709436B1 (ko) | 2021-12-02 | 2021-12-02 |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09436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28245A (ja) * | 1998-10-20 | 2000-05-09 | Panefuri Kogyo Kk | 衝撃保護梱包材 |
US20110094917A1 (en) * | 2008-03-04 | 2011-04-28 | Soehnlen Daniel P | Egg packaging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6170U (ko) * | 1996-12-27 | 1998-09-25 | 김종목 | 개별형 과일 포장커버 |
KR200413360Y1 (ko) | 2005-12-23 | 2006-04-06 | (주)대성인쇄지기 | 고정패드의 지지력을 강화시킨 과일포장박스 |
KR101091104B1 (ko) * | 2009-03-13 | 2011-12-09 | (주)오비트 | 가스배출에 효율적인 통기공을 갖는 과실포장용 박스 |
KR200478294Y1 (ko) | 2015-01-08 | 2015-09-15 | 송한기 | 과일 포장 박스 |
KR20210022270A (ko) * | 2019-08-20 | 2021-03-03 | 하태진 |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
-
2021
- 2021-12-02 KR KR1020210170540A patent/KR10270943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28245A (ja) * | 1998-10-20 | 2000-05-09 | Panefuri Kogyo Kk | 衝撃保護梱包材 |
US20110094917A1 (en) * | 2008-03-04 | 2011-04-28 | Soehnlen Daniel P | Egg packag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2764A (ko) | 2023-06-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23087A (en) | Trash storage and disposal combination unit | |
US5417342A (en) | Packaging for fragile articles | |
US10220982B2 (en) | Food pouch | |
US6595687B2 (en) | Expandable storage and carrying case | |
US8079472B2 (en) | Deployable container for bottles or the like | |
ES2793823T3 (es) | Disposición de contenedores de envío de plástico | |
US6244439B1 (en) | Portable doll carousel | |
KR100430956B1 (ko) | 줄기가 긴 화훼용 포장구 | |
KR102709436B1 (ko) |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 |
KR20210022270A (ko) |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 |
US8307981B1 (en) | Electrode container having an insert for electrode removal | |
US20060175328A1 (en) | Collapsible container | |
KR200424470Y1 (ko) | 다용도 포장용기 | |
KR102183320B1 (ko) | 계란 포장상자 | |
KR200453692Y1 (ko) | 농산물 포장용기 | |
US11407551B2 (en) | Containe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tainer with a handle | |
US20100206943A1 (en) | Container for food, especially tostadas | |
KR20110033645A (ko) | 멀티 보관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 | |
JP3106715U (ja) | ゴルフボール容器 | |
KR20200018960A (ko) | 포장용 단열박스 | |
KR200473044Y1 (ko) | 포장 케이스 | |
KR200495229Y1 (ko) | 가방 | |
KR101536407B1 (ko) | 휴대용 구획 종이상자 | |
KR102244462B1 (ko) | 식품 포장상자 | |
KR200311971Y1 (ko) | 적재시 유동방지를 위한 과일 포장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9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