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09278B1 -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09278B1 KR102709278B1 KR1020210187560A KR20210187560A KR102709278B1 KR 102709278 B1 KR102709278 B1 KR 102709278B1 KR 1020210187560 A KR1020210187560 A KR 1020210187560A KR 20210187560 A KR20210187560 A KR 20210187560A KR 102709278 B1 KR102709278 B1 KR 1027092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continuously variable
- variable transmission
- gear ratio
- pulle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01—Infinitely variable gea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27—Drive off, accelerating from standsti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Preparing for stopp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172—Preventing, or responsive to skidding of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38—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of gearing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44—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dependent on machine speed, e.g. the vehicle spe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6—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signals from the main clutch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74—Inputs being a function of engine parame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0—Preventing gear creeping ; Transmission control during standstill, e.g. hill hold contro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04—Vehicle sto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74—Inputs being a function of engine parameters
- F16H2059/743—Inputs being a function of engine parameters using engine performance or power for control of gea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2061/6604—Special control features generally applicable to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를 검출하는 차량 속도 검출부, 및 상기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정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정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터레인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차량의 2단 출발을 구현하는 터레인 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control device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that detects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stopped using the speed information, and operates in a terrain mode that implements a second-gear star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terrain switch when the vehicle is determined to be stopp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일반적으로 차량에 이용되는 연속 가변 변속기(CV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는 무단 변속 벨트 기구와 전후진 제어 기구로 구성된다.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VT) commonly used in vehicles consists of a continuously variable speed belt mechanism and a forward/reverse control mechanism.
무단 변속 벨트 기구는 엔진의 회전 동력이 구동 풀리(프라이머리 풀리)로 입력되어 종동 풀리(세컨더리 풀리)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프라이머 풀리와 세컨더리 풀리의 반경을 가변함으로써 무단 변속이 수행된다.In a continuously variable speed belt mechanism, the rotational power of the engine is input to the driving pulley (primary pulley) and output through the driven pulley (secondary pulley). At this time, continuously variable speed is performed by varying the radius of the primary pulley and secondary pulley.
그리고 전후진 제어기구는 싱글 또는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이 유성기어셋트를 제어하는 다수의 마찰요소로 구성되어 상기 마찰요소의 제어에 따라 회전 동력을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전환한다.And the forward/reverse control mechanism is composed of a single or double pinion planetary gear set and a plurality of friction elements that control the planetary gear set, and converts the rotational power into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friction elements.
전후진 제어기구는 단순히 전진 및 후진 제어만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동력 성능과 연비 개선을 위하여 전진 2속 및 후진 1속으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orward/reverse control mechanism may be configured to simply perform forward and reverse control, bu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control in two forward speeds and one reverse speed to improve power performance and fuel efficiency.
한편, 최근 차량에는 다양한 기능의 드라이브 모드가 옵션으로 적용되고 있다. 드라이브 모드는 스포츠 모드(Sports mode), 컴포트 (Comport mode), 에코 모드(Echo mode), 스마트 모드, 4륜 구동 전환 모드, 및 EV 모드(Electric Vehicle Mode), 터레인 모드(Terrain Mode) 등을 포함한다.Meanwhile, various drive modes with various functions are applied as options in recent vehicles. Drive modes include Sports mode, Comfort mode, Echo mode, Smart mode, 4-wheel drive switching mode, Electric Vehicle mode, and Terrain mode.
터레인 모드(Terrain Mode)의 경우, 눈, 모래, 진흙 등으로 덮인 도로 노면 상태를 고려한 차량의 변속 상태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통상 다단 변속기에 적용된다.Terrain Mode is used to control the vehicle's gear shifting status by considering road surface conditions such as snow, sand, and mud, and is usually applied to multi-speed transmissions.
연속 가변 변속기의 경우, 터레인 모드 적용시 기어 1단 출발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변속비 제어가 제한적이다.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gear ratio control is limited because the terrain mode requires the 1st gear to start first.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연속 가변 변속기가 적용된 차량의 터레인 모드 동작시, 안정적인 차량의 접지 상태 확보를 위해 기어 2단 출발이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im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at prevents vehicle slippage by enabling a second gear start to secure a stable grounding state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to which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s applied is operated in terrain mo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장치는, 차량의 속도 정보를 검출하는 차량 속도 검출부; 및 상기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정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정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터레인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연속 가변 변속기의 풀리 기어비를 변경하여 차량의 2단 출발을 구현하는 터레인 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trol device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that detects speed information of a vehicle;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stopped using the speed information,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stopped, operates in a terrain mode to change a pulley gear ratio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terrain switch to implement a second-stage start of the vehic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레인 모드로 동작시, 상기 차량의 주차용 기어의 잠금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차량의 엔진과 상기 연속 가변 변속기의 연결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unit, when operating in the terrain mode, can perform lock control of the parking gear of the vehicle and control disconnection of the engine of the vehicle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레인 모드로 동작시, 상기 주차용 기어의 잠금 상태 및 상기 엔진과 상기 연속 가변 변속기의 연결 해제 상태에서, 1단 풀리 기어비를 2단 풀리 기어비로 변경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unit can change the first pulley gear ratio to the second pulley gear ratio when operating in the terrain mode, in a locked state of the parking gear and a disconnected state of the engine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레인 모드로 동작시, 상기 2단 풀리 기어비로 변경이 완료되면, 상기 주차용 기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엔진과 상기 연속 가변 변속기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The above control unit, when operating in the terrain mode, can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parking gear and control the connection between the engine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hen the change to the two-stage pulley gear ratio is completed.
상기 차량의 액셀 페달값을 검출하는 액셀 페달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셀 페달값을 더욱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정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ccelerator pedal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n accelerator pedal value of the vehicle, and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stopp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accelerator pedal value.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차량의 2단 출발을 구현하기 위해 풀리 기어비 변경 신호를 출력하는 기어비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ear ratio output unit that outputs a pulley gear ratio change signal to implement a two-stage start of the vehic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상기 차량의 2단 출발에 따라 발생하는 구동풀리 속도를 검출하는 구동풀리 속도 검출부; 및 상기 차량의 2단 출발에 따라 발생하는 종동풀리 속도를 검출하는 종동풀리 속도를 검출하는 종동풀리 속도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pulley speed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driving pulley speed that occurs due to a second-stage start of the vehicle; and a driven pulley speed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driven pulley speed that occurs due to a second-stage start of the vehic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방법은, 차량의 속도 정보를 검출하는 차속 검출 단계; 및 상기 속도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정차가 확인되고, 터레인 스위치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차량의 2단 출발을 구현하는 터레인 모드로 동작하는 제1 터레인 모드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ontrol method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ncludes a vehicle speed detection step of detecting speed information of a vehicle; and a first terrain mode determination step of confirming that the vehicle is stopped based on the speed information and operating in a terrain mode that implements a second-gear start of the vehicle depending on whether a terrain switch is operated.
상기 터레인 모드 동작시, 상기 차량의 주차용 기어의 잠금을 수행하는 제1 주차 잠금 단계; 상기 주차용 기어의 잠금 상태에서 클러치 제어를 통해 상기 차량의 엔진과 연속 가변 변속기의 연결을 해제하는 제1 클러치 해제 단계; 및 상기 연속 가변 변속기의 풀리 기어비를 2단 풀리 기어비로 변경하는 제1 기어비 변경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terrain mode opera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arking lock step for locking the parking gear of the vehicle; a first clutch release step for disengaging the engine of the vehicle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rough clutch control in the locked state of the parking gear; and a first gear ratio change step for changing the pulley gear ratio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o a two-stage pulley gear ratio.
상기 제1 기어비 변경 단계 이후에, 상기 클러치 제어를 통해 상기 엔진과 상기 연속 가변 변속기를 연결하는 제1 클러치 연결 단계; 상기 클러치의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주차용 기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제1 잠금 해제 단계; 및 상기 제1 잠금 해제 단계 이후에, 상기 차량이 상기 2단 풀리 기어비로 출발하면, 상기 연속 가변 변속기의 종동풀리와 구동풀리의 속도를 모니터링하는 2단 동작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first gear ratio changing step,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lutch connecting step for connecting the engine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rough the clutch control; a first unlocking step for performing unlocking of the parking gear when the connection of the clutch is completed; and after the first unlocking step, a two-stage operation step for monitoring the speeds of the driven pulley and the driving pulley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hen the vehicle starts at the two-stage pulley gear ratio.
상기 제1 터레인 모드 판단 단계 이후에, 상기 터레인 모드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이 1단 풀리 기어비로 출발하면, 상기 차량에 상기 1단 풀리 기어비를 제공하는 연속 가변 변속기의 종동풀리와 구동풀리의 속도를 모니터링하는 1단 동작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first terrain mode determination step, if the vehicle is not operating in the terrain mode and the vehicle starts at a first pulley gear ratio,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operation step of monitoring the speeds of a driven pulley and a driving pulley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at provides the first pulley gear ratio to the vehicle.
상기 1단 동작 단계 이후에,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최대 기준 속도 미만 및 최소 기준 속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감속 판단 단계; 상기 차량의 속도가 상기 최대 기준 속도 미만 및 상기 최소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의 감속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터레인 스위치의 동작에 따른 터레인 모드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터레인 모드 판단 단계; 및 상기 제2 터레인 모드 판단 단계 이후에 상기 터레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액셀 페달값을 기초로 감속 여부를 판단하는 액셀 페달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first operation step,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deceleration determination step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peed of the vehicle is less than a preset maximum reference speed and greater than a preset minimum reference speed; a second terrain mode determination step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 deceleration state and whether the terrain mode oper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errain switch if the speed of the vehicle is less than the maximum reference speed and greater than the minimum reference speed; and an accelerator pedal determination step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decelerated based on an accelerator pedal value if the vehicle operates in the terrain mode after the second terrain mode determination step.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액셀 페달값을 기초로 차량의 감속 상태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터레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연속 가변 변속기의 풀리 기어비를 2단 풀리 기어비로 변경하는 제2 기어비 변경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gear ratio changing step of changing the pulley gear ratio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o a two-stage pulley gear ratio when the vehicle is operating in the terrain mode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is judged to be in a deceleration state based on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accelerator pedal value.
상기 차량의 속도를 기초로 정차 여부를 판단하는 정차 판단 단계; 상기 정차 판단 단계 이후에 상기 차량이 정차 상태인 경우, 2단 풀리 기어비 상태를 유지하는 2단 정지 단계; 및 상기 2단 정지 단계 이후에, 상기 터레인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터레인 모드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터레인 모드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op determination step for determining whether to stop based on the speed of the vehicle; a second stop step for maintaining a second pulley gear ratio state if the vehicle is stopped after the stop determination step; and a third terrain mode determination step for determining whether to operate in terrain mode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terrain switch after the second stop step.
상기 제3 터레인 모드 판단 단계 이후에, 상기 터레인 모드 미동작시, 상기 차량의 주차용 기어의 잠금을 수행하는 제2 주차 잠금 단계; 상기 주차용 기어의 잠금 상태에서 클러치 제어를 통해 상기 차량의 엔진과 연속 가변 변속기의 연결을 해제하는 제2 클러치 해제 단계; 및 상기 연속 가변 변속기의 풀리 기어비를 1단 풀리 기어비로 변경하는 제2 기어비 변경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third terrain mode determination step,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arking lock step for locking the parking gear of the vehicle when the terrain mode is not in operation; a second clutch release step for disengaging the engine of the vehicle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rough clutch control in the locked state of the parking gear; and a second gear ratio changing step for changing the pulley gear ratio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o a first-stage pulley gear ratio.
상기 제2 기어비 변경 단계 이후에, 상기 클러치 제어를 통해 상기 엔진과 상기 연속 가변 변속기를 연결하는 제2 클러치 연결 단계; 및 상기 클러치의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주차용 기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제2 잠금 해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second gear ratio changing step, the second clutch connecting step for connecting the engine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rough the clutch control; and when the connecting of the clutch is completed, the second unlocking step for performing unlocking of the parking gear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연속 가변 변속기가 적용된 차량의 터레인 모드 동작시, 안정적인 차량의 접지 상태 확보를 위해 기어 2단 출발이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vehicle to which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s applied operates in terrain mode, it is possible to start in the second gear to secure a stable grounding state of the vehicle, thereby preventing slipping of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방법의 제1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방법의 제2 순서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device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irst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ond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First, when adding reference symbo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symbol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thereto and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device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장치(100)는, 연속 가변 변속기(70)가 적용된 차량의 터레인 모드(Terrain Mode) 동작시, 안정적인 차량의 접지 상태 확보를 위해 기어 2단 출발이 가능하도록 하여 저마찰의 노면에서 차량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1, a control device (100)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vehicle to which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is applied operates in the terrain mode, the vehicle is allowed to start in the second gear to ensure a stable grounding state of the vehicle, thereby preventing the vehicle from slipping on a low-friction road surface.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장치(100)는, 액셀 페달 검출부(110), 차량 속도 검출부(120), 구동풀리 속도 검출부(130), 종동풀리 속도 검출부(140), 기어비 검출부(150), 제어부(160), 및 기어비 출력부(170)를 포함한다.A control device (100)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ncludes an accelerator pedal detection unit (110), a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120), a driving pulley speed detection unit (130), a driven pulley speed detection unit (140), a gear ratio detection unit (150), a control unit (160), and a gear ratio output unit (170).
액셀 페달 검출부(110)는, 차량의 페달각 센서(미도시)로부터 액셀 페달값을 수신할 수 있다. 액셀 페달 검출부(110)는 액셀 페달값으로부터 사용자의 주행 의도를 감지할 수 있다. 액셀 페달 검출부(110)는 감지된 액셀 페달값을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unit (110) can receive an accelerator pedal value from a pedal angle sensor (not shown) of the vehicle.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unit (110) can detect the user's driving intention from the accelerator pedal value. The accelerator pedal detection unit (110) can transmit the detected accelerator pedal value to the control unit (160).
차량 속도 검출부(120)는, 차량의 휠 스피드 센서(미도시)로부터 차량 속도 정보를 수신한다. 차량 속도 검출부(120)는 차량 속도 정보를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The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120) receives vehicle speed information from the vehicle's wheel speed sensor (not shown). The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120) can transmit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60).
구동풀리 속도 검출부(130)는, 연속 가변 변속기(70)의 구동풀리(74)의 속도 센서로부터 구동풀리 속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동풀리 속도 검출부(130)는 구동풀리 속도 정보를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The drive pulley speed detection unit (130) can receive drive pulley speed information from the speed sensor of the drive pulley (74)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The drive pulley speed detection unit (130) can transmit the drive pulley spe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60).
종동풀리 속도 검출부(140)는, 연속 가변 변속기(70)의 종동풀리(72)의 속도 센서로부터 종동풀리 속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종동풀리 속도 검출부(430)는 종동풀리 속도 정보를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The driven pulley speed detection unit (140) can receive driven pulley speed information from the speed sensor of the driven pulley (72)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The driven pulley speed detection unit (430) can transmit the driven pulley spe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60).
기어비 검출부(150)는, 기어비 출력부(170)로부터 출력되는 연속 가변 변속기(70)의 풀리 기어비를 수신할 수 있다. 기어비 검출부(150)는 연속 가변 변속기(70)의 풀리 기어비를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The gear ratio detection unit (150) can receive the pulley gear ratio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output from the gear ratio output unit (170). The gear ratio detection unit (150) can transmit the pulley gear ratio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to the control unit (160).
제어부(160)는, 터레인 스위치(10)의 동작 여부에 따라 터레인 모드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명령에 의해 터레인 스위치(10)가 턴 온 동작하는 경우, 터레인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터레인 모드는 눈길, 모래길, 또는 진흙길 등의 저마찰로 노면에서 차량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2단 출발을 구현하는 모드이다.The control unit (160) can determine whether the terrain mode is operated based on whether the terrain switch (10) is operated. If the terrain switch (10) is turned on by a user command, the control unit (160) can operate in the terrain mode. The terrain mode is a mode that implements a two-stage start of the vehicle to prevent the vehicle from slipping on a road surface with low friction such as a snowy road, a sandy road, or a muddy road.
제어부(160)는 차량 속도 검출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차량 속도가 0kph로서 차량의 정차가 확인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터레인 스위치(10)의 턴 온 동작이 감지되면 터레인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can operate in terrain mode when the vehicle speed received from the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120) is 0 kph and the vehicle is stopped, and the turn-on operation of the terrain switch (10) is detected according to a user command.
제어부(160)는 터레인 모드 동작시, 주차용 기어(PG)의 잠금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주차 액추에이터(30)를 제어하여 케이블(CB)을 당김으로써 주차용 기어(PG)의 잠금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트레인 모드 동작전 차량의 정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can lock the parking gear (PG) when the terrain mode is operated. The control unit (160) can control the parking actuator (30) to pull the cable (CB) so that the parking gear (PG) can be locked. Through this, the stationary state of the vehicle before the train mode operation can be maintained.
제어부(160)는 엔진(40)의 동력을 연속 가변 변속기(70)로 전달하는 클러치(60)를 디스인게이지(disengage) 제어하여 엔진(40)과 연속 가변 변속기(70)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즉, 클러치(60)는 토크 컨버터(50)와 연속 가변 변속기(70)의 연결을 해제한다.The control unit (160) can disengage the clutch (60) that transmits the power of the engine (40) to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to disconnect the engine (40)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That is, the clutch (60) disconnects the torque converter (50)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제어부(160)는 터레인 모드 동작에 따라 1단 타겟 풀리 기어비를 2단 풀리 기어비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변경된 2단 풀리 기어비를 기어비 출력부(170)를 통해 신호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풀리 구동부(80)는 2단 풀리 기어비에 따라 연속 가변 변속기(70)의 종동 풀리(72)와 구동 풀리(74)의 반경을 적절히 가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can change the first-stage target pulley gear ratio to the second-stage pulley gear ratio according to the terrain mode operation. The control unit (160) can output the changed second-stage pulley gear ratio as a signal through the gear ratio output unit (170). At this time, the pulley drive unit (80) can appropriately change the radius of the driven pulley (72) and the driving pulley (74)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according to the second-stage pulley gear ratio.
제어부(160)는 2단 풀리 기어비 변경이 완료되면, 클러치(60)를 인게이지(engage) 제어하여 엔진(40)과 연속 가변 변속기(70)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two-stage pulley gear ratio change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60) can engage the clutch (60) to connect the engine (40)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제어부(160)는 클러치(60)의 연결이 완료되면, 주차용 기어(PG)의 잠금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주차 액추에이터(30)를 제어하여 케이블(CB)을 풀어줌으로써 주차용 기어(PG)의 잠금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can perform unlocking of the parking gear (PG) when the connection of the clutch (60)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60) can perform unlocking of the parking gear (PG) by controlling the parking actuator (30) to release the cable (CB).
제어부(160)는 엔진(40)의 동력이 변환된 토크를 통해 연속 가변 변속기(70)가 2단 풀리 기어비로 동작하면, 연속 가변 변속기(70)의 종동 풀리(72와 구동 풀리(74)의 속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은 정차 상태에서 곧바로 2단으로 주행함으로써 눈길, 모래길 등의 저마찰로 노면에서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160) can monitor the speed of the driven pulley (72) and the driving pulley (74)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when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operates at a two-stage pulley gear ratio through the torque converted from the power of the engine (40). At this time, the vehicle can drive in second gear immediately from a stopped state, thereby enabling stable driving on low-friction roads such as snowy and sandy roads.
기어비 출력부(170)는, 일종의 기어비 맵 장치일 수 있다. 기어비 출력부(170)는 제어부(160)에 의해 계산된 2단 풀리 기어비에 따라 기어비 변경을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gear ratio output unit (170) may be a type of gear ratio map device. The gear ratio output unit (170) may output a signal for changing the gear ratio according to the two-stage pulley gear ratio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160).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방법의 제1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방법의 제2 순서도이다.Fig. 2 is a first flow chart of a control method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ond flow chart of a control method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방법은, S210 단계 내지 S420 단계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3, a control method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eps S210 to S420.
차속 검출 단계(S210)에서, 차량 속도 검출부(120)는, 차량의 휠 스피드 센서로부터 차량 속도 정보를 수신한다. 차량 속도 검출부(120)는 차량 속도 정보를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In the vehicle speed detection step (S210), the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120) receives vehicle speed information from the wheel speed sensor of the vehicle. The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120) can transmit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60).
제1 터레인 모드 판단 단계(S220)에서,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터레인 모드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차량 속도 검출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차량 속도가 0kph로서 차량의 정차가 확인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터레인 스위치(10)의 턴 온 동작이 감지되면 터레인 모드로 동작한다.In the first terrain mode judgment step (S220),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whether the terrain mode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speed received from the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120) is 0 kph and that the vehicle is stopped, and if the turn-on operation of the terrain switch (10)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the control unit (160) operates in the terrain mode.
제1 주차 잠금 단계(S230)에서, 제어부(160)는 터레인 모드 동작시, 주차용 기어의 잠금을 수행한다. 제어부(160)는 주차 액추에이터(30)를 제어하여 케이블(CB)을 당김으로써 주차용 기어(PG)의 잠금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트레인 모드 동작전 차량의 정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In the first parking lock step (S230), the control unit (160) performs locking of the parking gear when the terrain mode is operated.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parking actuator (30) to pull the cable (CB), thereby performing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parking gear (PG). Through this, the stationary state of the vehicle before the train mode operation can be maintained.
제1 클러치 해제 단계(S240)에서, 제어부(160)는 엔진(40)의 동력을 연속 가변 변속기(70)로 전달하는 클러치(60)를 디스인게이지(disengage) 제어하여 엔진(40)과 연속 가변 변속기(70)의 연결을 해제한다. 즉, 클러치(60)는 토크 컨버터(50)와 연속 가변 변속기(70)의 연결을 해제한다.In the first clutch disengagement step (S240), the control unit (160) disengages the clutch (60) that transmits the power of the engine (40) to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thereby disconnecting the engine (40)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That is, the clutch (60) disconnects the torque converter (50)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제1 기어비 변경 단계(S250)에서, 제어부(160)는 터레인 모드 동작에 따라 1단 타겟 풀리 기어비를 2단 풀리 기어비로 변경한다. 제어부(160)는 변경된 2단 풀리 기어비를 기어비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풀리 구동부(80)는 2단 풀리 기어비에 따라 연속 가변 변속기(70)의 종동 풀리(72)와 구동 풀리(74)의 반경을 적절히 가변할 수 있다.In the first gear ratio change step (S250), the control unit (160) changes the first-stage target pulley gear ratio to the second-stage pulley gear ratio according to the terrain mode operation. The control unit (160) outputs the changed second-stage pulley gear ratio through the gear ratio output unit (170). At this time, the pulley drive unit (80) can appropriately change the radius of the driven pulley (72) and the driving pulley (74)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according to the second-stage pulley gear ratio.
제1 클러치 연결 단계(S260)에서, 제어부(160)는 2단 풀리 기어비 변경이 완료되면, 클러치(60)를 인게이지(engage) 제어하여 엔진(40)과 연속 가변 변속기(70)의 연결을 수행한다.In the first clutch connection step (S260), when the two-stage pulley gear ratio change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60) engages the clutch (60) to connect the engine (40)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제1 잠금 해제 단계(S270)에서, 제어부(160)는 클러치(60)의 연결이 완료되면, 주차용 기어(PG)의 잠금 해제를 수행한다. 제어부(160)는 주차 액추에이터(30)를 제어하여 케이블(CB)을 풀어줌으로써 주차용 기어(PG)의 잠금 해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In the first unlocking step (S270), the control unit (160) performs unlocking of the parking gear (PG) when the connection of the clutch (60)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parking actuator (30) to release the cable (CB), thereby allowing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parking gear (PG) to be performed.
2단 동작 단계(S280)에서, 제어부(160)는 엔진(40)의 동력이 변환된 토크를 통해 연속 가변 변속기(70)가 2단 풀리 기어비로 동작하면, 연속 가변 변속기(70)의 종동 풀리(72와 구동 풀리(74)의 속도를 모니터링한다. 이때 차량은 정차 상태에서 곧바로 2단으로 출발함으로써 눈길, 모래길 등의 저마찰로 노면에서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다.In the second operation step (S280), the control unit (160) monitors the speed of the driven pulley (72) and the driving pulley (74)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when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operates at a two-stage pulley gear ratio through the torque converted from the power of the engine (40). At this time, the vehicle starts from a stopped state immediately in second gear, thereby enabling stable driving on low-friction road surfaces such as snowy and sandy roads.
한편, 1단 동작 단계(S290)에서, 제어부(160)는 제1 터레인 모드 판단 단계(S220) 이후 터레인 모드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1단 풀리 기어비로 동작하는 연속 가변 변속기(70)의 속도를 모니터링한다. 이때 차량은 1단 풀리 기어비로 정차 상태에서 출발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first operation step (S290), if the control unit (160) does not operate in the terrain mode after the first terrain mode judgment step (S220), it monitors the speed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operating at the first pulley gear ratio. At this time, the vehicle can start from a stopped state at the first pulley gear ratio.
감속 판단 단계(S310)에서, 제어부(160)는 차량이 1단 풀리 기어비로 주행 중에 차량 속도를 이용하여 감속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차량 속도가 최대 기준 속도 미만 및 최소 기준 속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최대 기준 속도는 히스테리시스를 고려하여 대략 5kph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최저 기준 속도는 대략 2kph일 수 있다.In the deceleration judgment step (S310),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decelerating by using the vehicle speed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with a first-stage pulley gear ratio.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speed is less than the maximum reference speed and greater than the minimum reference speed. In one embodiment, the maximum reference speed may be approximately 5 kph considering hysteresis. In one embodiment, the minimum reference speed may be approximately 2 kph.
제2 터레인 모드 판단 단계(S320)에서, 제어부(160)는 차량의 감속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명령에 따른 터레인 스위치(10)의 동작을 기초로 터레인 모드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터레인 스위치(10)의 턴 온 동작이 감지되면 터레인 모드로 판단한다.In the second terrain mode judgment step (S320), if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a deceleration state, it determines whether the terrain mode is in effect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terrain switch (10)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If the turn-on operation of the terrain switch (10)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that it is in terrain mode.
액셀 페달 판단 단계(S330)에서, 제어부(160)는 액셀 페달값을 기초로 감속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액셀 페달값이 0으로 감지되면, 차량의 감속 상태로 판단한다.In the accelerator pedal judgment step (S330),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whether to decelerate based on the accelerator pedal value. If the accelerator pedal value is detected as 0,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a deceleration state.
제2 기어비 변경 단계(S340)에서, 제어부(160)는 차량 속도와 액셀 페달값을 기초로 차량이 감속 상태이고, 터레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1단 타겟 풀리 기어비를 2단 풀리 기어비로 변경한다. 제어부(160)는 변경된 2단 풀리 기어비를 기어비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풀리 구동부(80)는 2단 풀리 기어비에 따라 연속 가변 변속기(70)의 종동 풀리(72)와 구동 풀리(74)의 반경을 적절히 가변할 수 있다.In the second gear ratio change step (S340), the control unit (160) changes the first-stage target pulley gear ratio to the second-stage pulley gear ratio based on the vehicle speed and the accelerator pedal value when the vehicle is in a deceleration state and operates in terrain mode. The control unit (160) outputs the changed second-stage pulley gear ratio through the gear ratio output unit (170). At this time, the pulley drive unit (80) can appropriately vary the radius of the driven pulley (72) and the driving pulley (74)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according to the second-stage pulley gear ratio.
정차 판단 단계(S350)에서, 제어부(160)는 차량 속도가 0kph 인 경우 차량의 정차 상태로 판단한다.In the stop judgment step (S350),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a stopped state if the vehicle speed is 0 kph.
2단 정지 단계(S360)에서, 제어부(160)는 차량이 정차 상태인 경우, 2단 풀리 기어비 상태를 유지한다.In the second stop stage (S360), the control unit (160) maintains the second pulley gear ratio state when the vehicle is stopped.
제3 터레인 모드 판단 단계(S370)에서, 제어부(160)는 2단 풀리 기어비 상태로 차량이 정차되면, 터레인 스위치(10)의 작동 여부에 따라 터레인 모드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터레인 스위치(10)의 턴 온 동작이 감지되면 터레인 모드로 동작한다. 제어부(160)는 터레인 스위치(10)의 턴 오프 동작이 감지되면, 터레인 모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In the third terrain mode judgment step (S370), when the vehicle is stopped in a two-stage pulley gear ratio state,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the terrain mode based on whether the terrain switch (10) is operated. When the turn-on operation of the terrain switch (10) is detected according to a user command, the control unit (160) operates in the terrain mode. When the turn-off operation of the terrain switch (10)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60) does not perform the terrain mode operation.
제2 주차 잠금 단계(S380)에서, 제어부(160)는 터레인 모드 미동작시, 주차용 기어의 잠금을 수행한다. 제어부(160)는 주차 액추에이터(30)를 제어하여 케이블(CB)을 당김으로써 주차용 기어(PG)의 잠금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트레인 모드 동작전 차량의 정지 상태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In the second parking lock step (S380), the control unit (160) performs locking of the parking gear when the terrain mode is not in operation. The control unit (160) can perform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parking gear (PG) by controlling the parking actuator (30) to pull the cable (CB). Through this, the vehicle's stationary state before the train mode operation can be made more solid.
제2 클러치 해제 단계(S390)에서, 제어부(160)는 엔진(40)의 동력을 연속 가변 변속기(70)로 전달하는 클러치(60)를 디스인게이지(disengage) 제어하여 엔진(40)과 연속 가변 변속기(70)의 연결을 해제한다. 즉, 클러치(60)는 토크 컨버터(50)와 연속 가변 변속기(70)의 연결을 해제한다.In the second clutch disengagement step (S390), the control unit (160) disengages the clutch (60) that transmits the power of the engine (40) to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thereby disconnecting the engine (40)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That is, the clutch (60) disconnects the torque converter (50)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제2 기어비 변경 단계(S400)에서, 제어부(160)는 터레인 모드 미동작에 따라 2단 풀리 기어비를 1단 풀리 기어비로 변경한다. 제어부(160)는 변경된 1단 풀리 기어비를 기어비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풀리 구동부(80)는 1단 풀리 기어비에 따라 연속 가변 변속기(70)의 종동 풀리(72)와 구동 풀리(74)의 반경을 적절히 가변할 수 있다.In the second gear ratio change step (S400), the control unit (160) changes the second pulley gear ratio to the first pulley gear ratio according to the terrain mode non-operation. The control unit (160) outputs the changed first pulley gear ratio through the gear ratio output unit (170). At this time, the pulley drive unit (80) can appropriately change the radius of the driven pulley (72) and the driving pulley (74)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according to the first pulley gear ratio.
제2 클러치 연결 단계(S410)에서, 제어부(160)는 1단 풀리 기어비 변경이 완료되면, 클러치(60)를 인게이지(engage) 제어하여 엔진(40)과 연속 가변 변속기(70)의 연결을 수행한다.In the second clutch connection step (S410), when the first pulley gear ratio change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60) engages the clutch (60) to connect the engine (40)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70).
제2 잠금 해제 단계(S420)에서, 제어부(160)는 클러치(60)의 연결이 완료되면, 주차용 기어(PG)의 잠금 해제를 수행한다. 제어부(160)는 주차 액추에이터(30)를 제어하여 케이블(CB)을 풀어줌으로써 주차용 기어(PG)의 잠금 해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차량은 1단 풀리 기어비로 주행한다.In the second unlocking step (S420), the control unit (160) performs unlocking of the parking gear (PG) when the connection of the clutch (60)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parking actuator (30) to release the cable (CB), thereby performing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parking gear (PG). Thereafter, the vehicle runs at a first pulley gear ratio.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것과 같이, 다른 순서로, 또는 병렬적으로, 또는 다른 에포크(epoch) 등을 위해 다른 실시 예들에서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The steps and/or oper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ccur in other embodiments simultaneously, in other orders, in parallel, for other epochs, etc., as would be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실시 예에 따라서는,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명령, 프로그램, 상호작용 데이터 구조(interactive data structure), 클라이언트 및/또는 서버를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일부가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예시적으로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그것들의 어떠한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모듈"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그것들의 어떠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some or all of the steps and/or operations may be implemented or performed at least in part using instructions, programs, interactive data structures, clients and/or servers stored on one or mor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a. The one or mor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a may be, for example, software, firmware, hardware, and/or any combination thereof. Furthermore, the functionality of a "module" discus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firmware, hardware, and/or any combination thereof.
100: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장치
110: 액셀 페달 검출부
120: 차량 속도 검출부
130: 구동풀리 속도 검출부
140: 종동풀리 속도 검출부
150: 기어비 검출부
160: 제어부
170: 기어비 출력부100: Control unit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110: Accelerator pedal detection unit
120: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130: Drive pulley speed detection unit
140: Drive pulley speed detection unit
150: Gear ratio detection unit
160: Control Unit
170: Gear ratio output section
Claims (16)
상기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정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정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터레인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연속 가변 변속기의 풀리 기어비를 변경하여 차량의 2단 출발을 구현하는 터레인 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레인 모드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최대 기준 속도 미만 및 최소 기준 속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상기 최대 기준 속도 미만 및 상기 최소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의 감속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터레인 스위치의 동작에 따른 터레인 모드 동작 여부를 더욱 판단하며,
상기 터레인 모드 동작으로 더욱 판단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액셀 페달값을 기초로 감속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장치.A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that detects vehicle speed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stopped using the above speed information, and if the vehicle is determined to be stopped, operates in a terrain mode to change the pulley gear ratio of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terrain switch to implement a second-stage start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above control unit, if not operating in the terrain mode,
Determine whether the speed of the above vehicle is less than the preset maximum reference speed and more than the preset minimum reference speed,
If the speed of the above vehicle is less than the above maximum reference speed and greater than the above minimum reference speed, the vehicle is judged to be in a deceleration state,
Further determines whether the terrain mode is in operation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above terrain switch.
A control device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whether to decelerate based on the accelerator pedal value of the vehicle when further determining the terrain mode opera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레인 모드로 동작시, 상기 차량의 주차용 기어의 잠금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차량의 엔진과 상기 연속 가변 변속기의 연결 해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장치.In paragraph 1,
The above control unit,
A control device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when operating in the terrain mode, it performs lock control of the parking gear of the vehicle and disconnects the engine of the vehicle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용 기어의 잠금 상태 및 상기 엔진과 상기 연속 가변 변속기의 연결 해제 상태에서, 1단 풀리 기어비를 2단 풀리 기어비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장치.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control unit,
A control device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ulley gear ratio is changed to the second pulley gear ratio in a locked state of the parking gear and a disconnected state of the engine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2단 풀리 기어비로 변경이 완료되면, 상기 주차용 기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엔진과 상기 연속 가변 변속기의 연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장치.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control unit,
A control device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hange to the above two-stage pulley gear ratio is completed, the lock state of the parking gear is released and the connection of the engine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s controlled.
상기 차량의 액셀 페달값을 검출하는 액셀 페달 검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셀 페달값을 더욱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정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장치.In paragraph 1,
An accelerator pedal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 accelerator pedal value of the above vehicle;
Including more,
A control device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stopp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accelerator pedal value.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차량의 2단 출발을 구현하기 위해 풀리 기어비 변경 신호를 출력하는 기어비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장치.In paragraph 1,
A gear ratio output unit that outputs a pulley gear ratio change signal to implement a two-stage star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above control unit;
A control device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상기 차량의 2단 출발에 따라 발생하는 구동풀리 속도를 검출하는 구동풀리 속도 검출부; 및
상기 차량의 2단 출발에 따라 발생하는 종동풀리 속도를 검출하는 종동풀리 속도를 검출하는 종동풀리 속도 검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장치.In paragraph 1,
A drive pulley speed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drive pulley speed generated by the second-stage start of the above vehicle; and
A driven pulley speed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driven pulley speed generated by the second-stage start of the above vehicle;
A control device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상기 속도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정차가 확인되고, 터레인 스위치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차량의 2단 출발을 구현하는 터레인 모드로 동작하는 제1 터레인 모드 판단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터레인 모드 판단 단계 이후에, 상기 터레인 모드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설정된 최대 기준 속도 미만 및 최소 기준 속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감속 판단 단계;
상기 차량의 속도가 상기 최대 기준 속도 미만 및 상기 최소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의 감속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터레인 스위치의 동작에 따른 터레인 모드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터레인 모드 판단 단계; 및
상기 제2 터레인 모드 판단 단계 이후에 상기 터레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액셀 페달값을 기초로 감속 여부를 판단하는 액셀 페달 판단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방법.A vehicle speed detection step for detecting vehicle speed information; and
A first terrain mode determination step in which the vehicle is stopped based on the above speed information and operates in a terrain mode that implements a two-stage start of the vehicle depending on whether the terrain switch is operated;
Including,
After the first terrain mode determination step, if the vehicle is not operating in the terrain mode, a deceleration determination step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peed of the vehicle is less than a preset maximum reference speed and greater than a preset minimum reference speed;
A second terrain mode determination step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in a deceleration state and whether the terrain mode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errain switch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less than the maximum reference speed and greater than the minimum reference speed; and
An accelerator pedal determination step for determining whether to decelerate based on the accelerator pedal value of the vehicle when operating in the terrain mode after the second terrain mode determination step;
A control method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상기 터레인 모드 동작시, 상기 차량의 주차용 기어의 잠금을 수행하는 제1 주차 잠금 단계;
상기 주차용 기어의 잠금 상태에서 클러치 제어를 통해 상기 차량의 엔진과 연속 가변 변속기의 연결을 해제하는 제1 클러치 해제 단계; 및
상기 연속 가변 변속기의 풀리 기어비를 2단 풀리 기어비로 변경하는 제1 기어비 변경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방법.In Article 8,
A first parking lock step for locking the parking gear of the vehicle when the terrain mode is in operation;
A first clutch release step for disengaging the engine of the vehicle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rough clutch control in the locked state of the parking gear; and
A first gear ratio changing step for changing the pulley gear ratio of the abov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o a two-stage pulley gear ratio;
A control method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상기 제1 기어비 변경 단계 이후에, 상기 클러치 제어를 통해 상기 엔진과 상기 연속 가변 변속기를 연결하는 제1 클러치 연결 단계;
상기 클러치의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주차용 기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제1 잠금 해제 단계; 및
상기 제1 잠금 해제 단계 이후에, 상기 차량이 상기 2단 풀리 기어비로 출발하면, 상기 연속 가변 변속기의 종동풀리와 구동풀리의 속도를 모니터링하는 2단 동작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방법.In Article 9,
After the first gear ratio change step, a first clutch connection step for connecting the engine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rough the clutch control;
When the connection of the above clutch is completed, a first unlocking step is performed to unlock the parking gear; and
After the first unlocking step, if the vehicle starts with the second pulley gear ratio, a second operation step of monitoring the speeds of the driven pulley and the driving pulley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 control method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상기 제1 터레인 모드 판단 단계 이후에, 상기 터레인 모드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이 1단 풀리 기어비로 출발하면, 상기 차량에 상기 1단 풀리 기어비를 제공하는 연속 가변 변속기의 종동풀리와 구동풀리의 속도를 모니터링하는 1단 동작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방법.In Article 10,
After the first terrain mode determination step, if the vehicle is not operating in the terrain mode, a first operation step of monitoring the speeds of the driven pulley and the driving pulley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at provides the first pulley gear ratio to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starts at a first pulley gear ratio;
A control method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액셀 페달값을 기초로 차량의 감속 상태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터레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연속 가변 변속기의 풀리 기어비를 2단 풀리 기어비로 변경하는 제2 기어비 변경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방법.In Article 8,
A second gear ratio changing step of changing the pulley gear ratio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o a two-stage pulley gear ratio when the vehicle is operating in the terrain mode in a state determined to be a deceleration stat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accelerator pedal value;
A control method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상기 차량의 속도를 기초로 정차 여부를 판단하는 정차 판단 단계;
상기 정차 판단 단계 이후에 상기 차량이 정차 상태인 경우, 2단 풀리 기어비 상태를 유지하는 2단 정지 단계; 및
상기 2단 정지 단계 이후에, 상기 터레인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터레인 모드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터레인 모드 판단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방법.In Article 13,
A stop determination step for determining whether to stop based on the speed of the vehicle;
If the vehicle is in a stopped state after the above-mentioned stop determination step, a second-stage stop step for maintaining a second-stage pulley gear ratio state; and
After the above two-stage stop step, a third terrain mode judgment step for judging whether the terrain mode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errain switch;
A control method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상기 제3 터레인 모드 판단 단계 이후에, 상기 터레인 모드 미동작시, 상기 차량의 주차용 기어의 잠금을 수행하는 제2 주차 잠금 단계;
상기 주차용 기어의 잠금 상태에서 클러치 제어를 통해 상기 차량의 엔진과 연속 가변 변속기의 연결을 해제하는 제2 클러치 해제 단계; 및
상기 연속 가변 변속기의 풀리 기어비를 1단 풀리 기어비로 변경하는 제2 기어비 변경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방법.In Article 14,
After the third terrain mode determination step, a second parking lock step for locking the parking gear of the vehicle when the terrain mode is not in operation;
A second clutch release step for disengaging the engine of the vehicle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rough clutch control in the locked state of the parking gear; and
A second gear ratio changing step for changing the pulley gear ratio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o a first-stage pulley gear ratio;
A control method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상기 제2 기어비 변경 단계 이후에, 상기 클러치 제어를 통해 상기 엔진과 상기 연속 가변 변속기를 연결하는 제2 클러치 연결 단계; 및
상기 클러치의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주차용 기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제2 잠금 해제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변속기의 제어 방법.In Article 15,
After the second gear ratio change step, a second clutch connection step for connecting the engine and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rough the clutch control; and
When the connection of the above clutch is completed, a second unlocking step is performed to unlock the parking gear;
A control method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7560A KR102709278B1 (en) | 2021-12-24 | 2021-12-24 |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7560A KR102709278B1 (en) | 2021-12-24 | 2021-12-24 |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8436A KR20230098436A (en) | 2023-07-04 |
KR102709278B1 true KR102709278B1 (en) | 2024-09-24 |
Family
ID=87156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87560A Active KR102709278B1 (en) | 2021-12-24 | 2021-12-24 |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09278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06813A (en) * | 2006-10-24 | 2008-05-08 | Jatco Ltd | Hydraulic control device of bel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vehicle |
JP2012515313A (en) * | 2009-01-19 | 2012-07-05 | ルノー・エス・アー・エス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hen starting in a low grip state |
JP2013148154A (en) * | 2012-01-19 | 2013-08-01 | Honda Motor Co Ltd | Transmission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28422B2 (en) | 2012-03-28 | 2015-06-03 | ジヤトコ株式会社 | Shift control device for 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
2021
- 2021-12-24 KR KR1020210187560A patent/KR10270927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06813A (en) * | 2006-10-24 | 2008-05-08 | Jatco Ltd | Hydraulic control device of bel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vehicle |
JP2012515313A (en) * | 2009-01-19 | 2012-07-05 | ルノー・エス・アー・エス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hen starting in a low grip state |
JP2013148154A (en) * | 2012-01-19 | 2013-08-01 | Honda Motor Co Ltd | Transmiss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8436A (en) | 2023-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98757B2 (en) | Control device for a hybrid electric vehicle | |
JP4371381B2 (en) | Hybrid drive device and travel control method for hybrid drive device | |
US8649924B2 (en) | Torque control map to initiate engine startup processing in a hybrid vehicle | |
US9540004B2 (en) | Vehicle control system | |
CN103935355B (en) | For the method that motor vehicles are maintained on inclined-plane | |
US20150191168A1 (en) | Vehicle control system | |
JP4792519B2 (en) | Hybrid drive device and travel control method for hybrid drive device | |
SE520271C2 (en) | Procedure for reversing driving direction | |
KR102621250B1 (en) | Hybrid vehicle and transmission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04504574A (en) | Automatic selection of starting gear | |
KR102585753B1 (en) | Driv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200117113A (en) | Active shift control method for power-off downshift of hybrid electric vehicle | |
US8460157B2 (en) | Torque dow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otive vehicle | |
KR102497026B1 (en) | Creep driving control method for vehicle with dct | |
KR102709278B1 (en) |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
JP2005207327A (en) | Vehicular automatic stopping/starting control apparatus | |
JP3807369B2 (en) | Hybrid vehicle | |
JP2016114191A (en) | Vehicular transmission system | |
KR20140010319A (en) |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backward moving of hybrid electric vehicle | |
KR10214263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gine idle speed of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 |
JP3031431B2 (en) | Bulldozer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 |
JP2017121921A (en) | Vehicle control device | |
JP4254428B2 (en) | Driving force distribution control device for four-wheel drive vehicles | |
JP4543622B2 (en) | Driving force distribution control device for four-wheel drive vehicles | |
KR200171470Y1 (en) | Anti-rolling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9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