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09201B1 - Method of managing work in fulfillment center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of managing work in fulfillment center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9201B1
KR102709201B1 KR1020220189021A KR20220189021A KR102709201B1 KR 102709201 B1 KR102709201 B1 KR 102709201B1 KR 1020220189021 A KR1020220189021 A KR 1020220189021A KR 20220189021 A KR20220189021 A KR 20220189021A KR 102709201 B1 KR102709201 B1 KR 102709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container
packing
terminal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90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106287A (en
Inventor
안상희
백연희
정세환
이용희
조근희
김도영
김진광
하현아
성제현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89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9201B1/en
Priority to PCT/KR2023/001461 priority patent/WO2024143661A1/en
Priority to TW112149796A priority patent/TW202431171A/en
Publication of KR20240106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06287A/en
Priority to KR1020240126597A priority patent/KR1028249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9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9201B1/en
Priority to KR1020250081553A priority patent/KR20250097776A/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풀필먼트 센터에서의 아웃바운드 작업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풀필먼트 센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피킹 구역에서 제1 작업자에 의해 피킹된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포함하는 제1 컨테이너가 리빈 구역에 도착함을 확인하는 단계; 제1 컨테이너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물품이 제2 작업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할당됨을 확인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 중 하나인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물품이 패킹 구역으로 운반될 제2 컨테이너에 제3 작업자에 의해 할당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제2 컨테이너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대한 패킹 작업이 제4 작업자에 의해 완료됨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관리 장치가 제공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a method for managing an outbound operation in a fulfillment center in an electronic device may be provided, the method comprising: confirming that a first container including at least one article picked by a first worker in at least one picking area within the fulfillment center arrives at a rebin area; confirming that at least one article assigned to the first container is assigned to at least one rebin space by a second worker; confirming that at least one article assigned to the first rebin space, which is one of the at least one rebin spaces, is assigned to a second container to be transported to a packing area by a third worker; and confirming that a packing operation for at least one article assigned to the second container is completed by a fourth worker. In another embodiment, a work management device for performing the work management method may be provided.

Description

풀필먼트 센터에서의 작업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of managing work in fulfillment center and apparatus thereof}Method of managing work in fulfillment center and apparatus thereof {Method of managing work in fulfillment center and apparatus thereof}

본 개시는 풀필먼트 센터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풀필먼트 센터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 중 아웃바운드(outbound) 작업을 관리하기 위해 아웃바운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를 배치하고 작업자의 단말기를 통해 수행되는 아웃바운드 작업을 제어 및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work performed in a fulfillment center. Specifically,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arranging a worker performing outbound work and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outbound work performed through the worker's terminal in order to manage outbound work among various works performed in a fulfillment center for providing an e-commerce service.

전자상거래가 본격적으로 구현되고 수많은 소비자들이 물품을 인터넷을 통해 구입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터넷을 통해 구입되는 물품들을 소비자들에게 배송하기 위한 풀필먼트 센터가 운용되어 오고 있다.E-commerce is being implemented in earnest, and numerous consumers are purchasing products through the Internet. Fulfillment centers are being operated to deliver these products purchased through the Internet to consumers.

작업자들은 풀필먼트 센터에서 수행되는 인바운드(inbound) 작업 및 아웃바운드 작업에 포함되는 다양한 종류의 작업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인바운드 작업에는 입고(receiving) 작업 및 진열 작업 등 다양한 작업이 포함될 수 있고, 아웃바운드 작업에는 피킹(picking) 작업, 리빈(rebin) 작업, 패킹(packing) 작업, 패키징(packaging) 작업, 및 배송 작업 등 다양한 종류의 작업이 포함될 수 있다. Workers perform a variety of tasks that fall into the inbound and outbound tasks performed in fulfillment centers. For example, inbound tasks may include various tasks such as receiving and display tasks, and outbound tasks may include various tasks such as picking, rebinning, packing, packaging, and shipping.

이와 같이 풀필먼트 센터에서의 인바운드 작업 및 아웃바운드 작업 내에는 다양한 하위 작업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하위 작업들 간의 유기적이고 원활한 연결을 통해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풀필먼트 센터에서의 물류 관리의 작업 수행의 효율성을 늘리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바, 작업자들을 관리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한 기술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In this way, various sub-tasks are included within the inbound and outbound tasks at the fulfillment center, and by improving work efficiency through organic and smooth connections between these sub-tasks, the efficiency of performing logistics management tasks at the fulfillment center can be increased, and thus, technologies for various methods of managing workers are being developed.

본 개시는 풀필먼트 센터에서 아웃바운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들이 수행하게 되는 다양한 하위 작업들 간의 연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운 종류의 하위 작업을 아웃바운드 작업에 포함시키기 위한 발명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invention for including a new type of sub-task into an outbound task to improve the connectivity between various sub-tasks performed by workers performing outbound tasks in a fulfillment center.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도출될 수 있는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실시예들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실시예들을 통해 도출될 수 있는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examples are not limited to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and other purposes and advantages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In addition,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purposes and advantage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examples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patent claims.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풀필먼트 센터에서의 아웃바운드(outbound) 작업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풀필먼트 센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피킹 구역에서 제1 작업자에 의해 피킹된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을 포함하는 제1 컨테이너가 리빈 구역에 도착함을 확인하는 단계; 제1 컨테이너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이 제2 작업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할당됨을 확인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 중 하나인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이 패킹 구역으로 운반될 제2 컨테이너에 제3 작업자에 의해 할당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제2 컨테이너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에 대한 패킹 작업이 제4 작업자에 의해 완료됨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method for managing an outbound operation in a fulfillment center in an electronic device may be provided, the method comprising: confirming that a first container including at least one picked item picked by a first worker in at least one picking area in the fulfillment center arrives at a rebin area; confirming that at least one picked item assigned to the first container is assigned to at least one rebin space by a second worker; confirming that at least one packed item assigned to the first rebin space, which is one of the at least one rebin spaces, is assigned to a second container to be transported to the packing area by a third worker; and confirming that a packing operation for at least one packed item assigned to the second container is completed by a fourth worker.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할당됨을 확인하는 단계는, 제1 컨테이너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에 대응되는 라벨을 제2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라벨이 판독된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2 작업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ep of confirming that at least one living space is allocate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confirming that the terminal of the second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picked item stored in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living spac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picked item whose label has been read to the terminal of the second worker.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할당됨을 확인하는 단계는, 제1 컨테이너에 할당된 모든 피킹 물품에 대한 판독을 완료한 경우, 제1 컨테이너에 대한 리빈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2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ep of verifying that at least one rebin space is assigne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rebin operation for the first container is completed to the terminal of the second worker when reading for all picking items assigned to the first container is completed.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할당됨을 확인하는 단계는, 제1 컨테이너에 할당된 복수의 피킹 물품이 복수의 리빈 공간에 나눠져서 할당되어야 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복수의 리빈 공간 및 복수의 리빈 공간 각각에 할당되어야 하는 피킹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제2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과 구분되는 단일 리빈 공간으로 할당되어야 하는 피킹 물품의 경우, 단일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ep of verifying that at least one living space is allocated may further include: if it is verified that a plurality of picking items assigned to the first container should be divided and allocated to a plurality of living spaces,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plurality of living spaces and the picking items to be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iving spaces to the terminal of the second worker; and, in the case of a picking item to be allocated to a single living space distinct from at least one living space,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single living space to the terminal of the second worker.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컨테이너에 할당됨을 확인하는 단계는: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제3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ep of confirming assignment to the second container may include: the step of confirming that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living space; and the step of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필먼트 센터에서의 작업을 관리하는 방법에는,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 각각에 대하여 할당된 피킹 물품이 모두 각 리빈 공간에 수납 완료됨으로써 리빈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리빈 작업이 완료된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3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A method for managing work in a fulfillment cen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s of: checking whether a rebinding work is completed by completing the storage of all picked items assigned to each of at least one rebinding space in each rebinding space;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rebinding space in which the rebinding work is completed to a terminal of a third worker.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제3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확인하는 단계는, 제3 작업자의 단말기에 리빈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표시된 제1 리빈 공간에 수납된 물품을 운반할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제3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ep of confirming that the third worker's terminal has read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bin space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third worker's terminal for displaying a message to read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that will transport the goods stored in the first re-bin space, where the re-bin work is indicated to be completed.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제3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확인하는 단계는 제3 작업자의 단말기가 제1 리빈 공간에 대한 리빈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제1 리빈 공간에 대응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제3 작업자의 단말기에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ep of confirming that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has read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bin space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confirming that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has read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bin space for which the re-bin work for the first re-bin space has not been completed; and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laying an error message on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일 실시예에 따라 리빈 작업이 완료된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3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리빈 작업이 완료된 리빈 공간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제3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a living space where the living work has been completed to a terminal of a third worker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transmitting priority information about the living space where the living work has been completed to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일 실시예에 따라 리빈 작업이 완료된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3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한 리빈 공간의 분류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3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분류 결과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가 높은 것으로 분류된 리빈 공간에 우선하여 제3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루트에 대한 정보를 제3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a living space in which a living task has been completed to a terminal of a third worker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a classification result of a living space based on priority information to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and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a route along which the third worker can move with priority to a living space classified as having a high priorit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result to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일 실시예에 따라 풀필먼트 센터에서의 작업을 관리하는 방법에서의 제3 작업자의 단말기는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우선 순위에 포함된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2 우선 순위에 포함된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보다 우선하여 표시하고, 복수의 리빈 공간이 제2 우선 순위에 포함된 것으로 표시되는 경우, 제3 작업자의 단말기는 중 제3 작업자의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리빈 공간을 표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n a method for managing work in a fulfillment center, a terminal of a third worker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a living space included in a first priority based on priority information, with priority given to information about a living space included in a second priority, and when a plurality of living spaces are displayed as being included in the second priority,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may display a plurality of living spaces based on a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일 실시예에 따라 풀필먼트 센터에서의 작업을 관리하는 방법에는 제3 작업자에게 제1 리빈 공간을 포함하는 상위 리빈 공간을 할당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3 작업자에게 상위 리빈 공간을 할당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제3 작업자에게 상위 리빈 공간을 할당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은 리빈셀(rebin cell)이고, 상위 리빈 공간은 리빈월(rebin wall)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method of managing work in a fulfillment center may further include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o assign an upper rebin space including a first rebin space to a third worker; and, if it is determined to assign an upper rebin space to the third worker, assigning the upper rebin space to the third work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rebin spaces is a rebin cell, and the upper rebin space is a rebin wall.

일 실시예에 따라 풀필먼트 센터에서의 작업을 관리하는 방법에는 제3 작업자가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고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수행하는 피딩 작업을 풀필먼트 센터에서 수행 가능한지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제3 작업자에게 제1 리빈 공간을 포함하는 상위 리빈 공간을 할당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는, 피딩 작업을 풀필먼트 센터에서 수행 가능한 것으로 설정되어있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method for managing work in a fulfillment center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setting whether a third worker is capable of performing a feeding work in the fulfillment center, wherein the feeding work comprises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a first living space and performing a label corresponding to a second container, and the step of setting whether to allocate an upper living space including the first living space to the third worker may be performed if the feeding work is set to be capable of being performed in the fulfillment center.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작업자에게 제1 리빈 공간을 포함하는 상위 리빈 공간을 할당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3 작업자에게 복수의 상위 리빈 공간을 할당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allocate an upper living space including a first living space to a third worker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allocate multiple upper living spaces to the third worker.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이 완료됨을 확인하는 단계는, 제2 컨테이너가 운반된 패킹 구역의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확인하는 단계; 제2 컨테이너에 수납되어 운반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확인하는 단계; 운반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을 배송할 적어도 하나의 포장 용기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포장 용기에 부착할 적어도 하나의 운송장을 판독하였음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ep of confirming that the packing operation is completed may include the step of confirming that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in the packing area where the second container is transported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the step of confirming that the labe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packing article stored and transported in the second container has been read; the step of confirming that the labe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packaging container to which the at least one transported packing article is to be delivered has been read; and the step of confirming that at least one waybill to be attached to at least one packaging container has been read.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컨테이너에 할당됨을 확인하는 단계는 제2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 및 패킹 구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패킹 공간 각각에서의 패킹 업무 로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패킹 공간 중 제2 컨테이너가 운반될 패킹 공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패킹 공간으로 제2 컨테이너를 운반할 컨베이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second container is assigne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 packing space among the plurality of packing spaces in which the second container is to be transported, based on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second containers including the second container and information about a packing work loa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acking spaces included in the packing area; and determining a conveyor to transport the second container to the packing space.

일 실시예에 따라 풀필먼트 센터에서의 작업을 관리하는 방법에서, 리빈 구역에서 패킹 구역으로 제2 컨테이너가 반출되는 컨베이어의 개수는 복수이고, 패킹 구역으로 제2 컨테이너를 운반할 컨베이어를 결정하는 단계는 결정된 컨베이어에 대한 정보를 제3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패킹 구역에 대응되는 복수의 컨베이어 중 하나에 대한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3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method for managing work in a fulfillment center, wherein the number of conveyors for transporting a second container from a reclaim area to a packing area is plural, and the step of determining a conveyor to transport the second container to the packing area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determined conveyor to a terminal of a third worker; and the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label for one of the plural conveyors corresponding to the packing area has been read from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구역으로 제2 컨테이너를 운반할 컨베이어를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패킹 공간에서의 패킹 업무 로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베이어 중에서 패킹 구역으로 제2 컨테이너를 운반할 컨베이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determining a conveyor to transport the second container to the packing area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a conveyor among the plurality of conveyors to transport the second container to the packing area based on information about packing work loads in the plurality of packing spaces.

일 실시예에 따라 풀필먼트 센터에서의 작업을 관리하는 방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복수의 제2 작업자가 동시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method of managing work in a fulfillment center may include having multiple second workers simultaneously deployed to at least one living space.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필먼트 센터에서 작업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부;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송수신부를 통해 송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함으로써, 장치가 풀필먼트 센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피킹 구역에서 제1 작업자에 의해 피킹된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을 포함하는 제1 컨테이너가 리빈 구역에 도착함을 확인하는 것; 제1 컨테이너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이 제2 작업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할당됨을 확인하는 것;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 중 하나인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이 패킹 구역으로 운반될 제2 컨테이너에 제3 작업자에 의해 할당됨을 확인하는 것; 및 제2 컨테이너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에 대한 패킹 작업이 제4 작업자에 의해 완료됨을 확인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 device for managing work in a fulfillment center may be provided, comprising: a transceiver; a memory; and a processor, wherein the processor executes a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based on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so that the device performs the following operations: confirming that a first container including at least one picked article picked by a first worker in at least one picking area within the fulfillment center arrives at a rebin area; confirming that at least one picked article assigned to the first container is assigned to at least one rebin space by a second worker; confirming that at least one packed article assigned to the first rebin space, which is one of the at least one rebin spaces, is assigned to a second container to be transported to the packing area by a third worker; and confirming that a packing operation for at least one packed article assigned to the second container is completed by a fourth worker.

본 개시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해 풀필먼트 센터에서 아웃바운드 작업에 포함되는 리빈 작업된 물품을 패킹 작업자가 운반하여 포장하는 대신 추가되는 피딩 작업을 통해 패킹 작업자가 리빈 구역으로 접근해야하는 경우를 줄임으로써 리빈 작업에서 패킹 작업으로의 작업 수행 전환의 효율성을 개선하여 풀필먼트 센터에서 수행되는 업무 수행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이를 통해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이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rough various embodiments provided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efficiency of the transition from rebinning work to packing work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a packing worker must approach the rebin area through an additional feeding operation instead of transporting and packing rebinned goods included in an outbound operation at a fulfillment center, thereby improving the speed of work performed at a fulfillment center and, further,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for consumers using e-commerce services.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도출 가능한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specific effects that can be derived ar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specific matter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필먼트 센터에서의 작업을 관리하는 장치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필먼트 센터에서의 작업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필먼트 센터에서 수행되는 아웃바운드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필먼트 센터에서 수행되는 리빈 작업과 패킹 작업 사이에 추가될 수 있는 피딩 작업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빈 공간을 기준으로 리빈 작업 및 피딩 작업을 작업자에게 할당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필먼트 센터의 피킹 구역에서 수행되는 피킹 작업 및 리빈 구역에서 수행되는 리빈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필먼트 센터의 피딩 구역에서 수행되는 피딩 작업 및 패킹 구역에서 수행되는 패킹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필먼트 센터의 피딩 구역에서 수행되는 피딩 작업 과정에서 제3 작업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필먼트 센터의 피딩 구역에서 수행되는 피딩 작업 과정에서, 리빈 작업이 완료된 리빈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3 작업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필먼트 센터의 패킹 구역에서 수행되는 패킹 작업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h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킹 작업의 종류 중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패킹 작업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f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킹 작업의 종류 중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패킹 작업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llustrates a block diagram of a device for managing operations in a fulfillment cen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 illustrate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naging work in a fulfillment cen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bound operation performed at a fulfillment cen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eeding operation that may be added between the rebinding operation and the packing operation performed in a fulfillment cen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method of assigning re-bin work and feeding work to workers based on re-bin sp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picking operation performed in a picking area and a reclaiming operation performed in a reclaiming area of a fulfillment cen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7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eeding operation performed in a feeding area and a packing operation performed in a packing area of a fulfillment cen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8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user interface displayed on a terminal of a third worker during a feeding operation performed in a feeding area of a fulfillment cen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9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user interface displayed on a terminal of a third worker when there is no re-bin space where re-bin work has been completed during a feeding operation performed in a feeding area of a fulfillment cen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10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types of packing work performed in a packing area of a fulfillment cen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S. 11A to 11H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flow of a packing operation performed by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a rebin space among the types of packing operatio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S. 12A to 12F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flow of a packing operation performed by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a container among the types of packing operatio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이하,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o that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related to the embodiments can easily implement the embodiments. The embodiments below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The suffix "부" used for compon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convenienc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es not have a distinct meaning or role in itself.

명확한 설명을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For the sake of clarity, irrelevant parts have been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som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임의의 구성요소 간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임의의 구성요소 간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고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sequence, or numb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ny components ar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y of the components can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and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or that each component can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본 개시에서, "포함한다",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disclosu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comprises,” “consists of,” or “has,” etc.,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개시를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implementing the present disclosure, components may be described in detail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es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one device or module, or one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by being divided into multiple devices or modules.

본 개시에서, "컨테이너"란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고 컨베이어, 지게차, 카트 등을 통해 운반될 수 있는 작업 공간 내에서, 또는 다른 종류의 작업 공간으로 운반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수납 용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테이너는 풀필먼트 센터 내에서 물품을 수납하여 운반할 수 있는 트레이(tray), 토트(tote), 카트(cart) 등을 의미할 수 있다. In this disclosure, a "container" may mean various types of storage containers that can store at least one item and can be transported within a workspace, or to another type of workspace, via a conveyor, forklift, cart, etc. For example, a container may mean a tray, a tote, a cart, etc. that can store and transport items within a fulfillment center.

본 개시에서, "피킹 물품"이란 피킹 구역에서 피킹 작업자에 의해 피킹된 물품으로서 피킹 구역에서 리빈 구역으로 운반되는 각 물품을 의미할 수 있다. In this disclosure, the term "picked item" may mean each item picked by a picking worker in a picking area and transported from the picking area to a rebin area.

본 개시에서, "리빈 물품"이란 피킹 구역으로부터 운반된 피킹 물품을 리빈 구역 내에서 리빈 공간으로 수납되어 리빈 작업이 완료된 각 물품을 의미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rm "living item" may mean each item that has been transported from a picking area and stored in a living space within the living area and for which the living work has been completed.

본 개시에서, "패킹 물품"이란 패킹을 위해 리빈 공간으로부터 반출되어 패킹 공간으로 운반된 후 패킹 작업되는 된 각 물품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rm "packed article" may mean each article that is taken out of a reclaimed space for packing, transported to a packing space, and then subjected to a packing operation.

본 개시에서, "피딩 작업"이란 피킹 구역에서 피킹되어 리빈 구역으로 운반된 물품이 패킹 구역으로 운반되기 전에 패킹 작업자가 패킹될 물품을 신속하게 패킹 구역으로 운반해갈 수 있도록 리빈 구역 내의 물품을 정리하는 작업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피딩 작업은 리빈 작업과 패킹 작업 간을 디커플링되도록 함으로써 리빈 작업과 패킹 작업의 독립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리빈 작업과 패킹 작업을 유기적으로 연결해줌으로써 아웃바운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신규한 종류의 작업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feeding operation" may be understood as an operation of organizing goods in a rebinding area so that a packing worker can quickly transport goods to be packed to the packing area before the goods picked in the picking area and transported to the rebinding area are transported to the packing area. In other words, the feeding operation may be understood as a novel type of operation that ensures the independence of the rebinding operation and the packing operation by decoupling the rebinding operation and the packing operation, while organically connecting the rebinding operation and the packing operation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outbound operation.

본 개시에서, "할당"한다는 것은 소정의 정보 간의 연관 관계가 수립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본 개시의 작업 관리 장치(100)가 소정의 정보를 다른 정보에 "할당"하는 것은 풀필먼트 센터 내의 작업자의 판독 작업을 통해 획득되는 다양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작업자의 입장에서 소정의 정보를 다른 정보에 "할당"한다는 것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 간 연결 관계를 입력하여 작업 관리 장치(100)로 전송하는 행위일 수 있다(예를 들면, 단말기를 이용한 판독 행위, 단말기에 대한 터치 입력 행위, PC 키보드를 이용한 입력 행위 등).In the present disclosure, "allocating" may be understood as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predetermined pieces of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ask management device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alloca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other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by receiving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a reading operation of a worker within a fulfillment center. Alternatively, from the perspective of a worker, "alloca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other information may be an act of inputting a relationship between pieces of information in various ways and transmitting it to the task management device (100) (for example, a reading operation using a terminal, a touch input operation on a terminal, an input operation using a PC keyboard, etc.).

본 개시에서, 작업자 또는 작업자의 단말기가 라벨을 "판독"한다는 것은, 물품, 컨테이너, 특정 수납 공간, 컨베이어 등의 라벨에 인쇄된 정보를 판독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에 포함된 다양한 이미지 정보로부터 라벨에 수록된 정보를 추출하는 것, 바코드 및 QR 코드와 같은 암호화되어 라벨에 인쇄된 코드를 단말기를 이용하여 스캔함으로써 라벨에 수록된 정보를 추출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기술이 본 개시에서 라벨을 "판독"하는 기술로서 활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reading" a label by a worker or a worker's terminal can be understood as reading information printed on a label of an item, a container, a specific storage space, a conveyor, etc. Specifically, various technologies can be utilized as technologies for "reading" a label in the present disclosure, such as extracting information contained in a label from various im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by taking an image, and extracting information contained in a label by scanning an encrypted code, such as a barcode and a QR code, using a terminal.

본 개시에서, "단말기"란 프로세서가 탑재된 다양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DA, 스마트폰, 랩탑, PC 등 데이터 처리 및 송수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가 본 개시에서의 "단말기"로서 통칭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rm "terminal" may include various electronic devices equipped with a processor. For example, electronic devices capable of processing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uch as PDAs, smart phones, laptops, and PCs,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erminals" in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관리 장치(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FIG. 1 illustrates a block diagram of a task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송수신부(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이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ask management device (100) is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transceiver (110), a memory (120), and a processor (130).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 및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송수신부(110)가 정보의 송수신함에 이용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ask management device (100) may include a transceiver (110) configured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and servers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ethod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used by the transceiver (110)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may include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5G,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Fidelity),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etc.

구체적으로, 송수신부(11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통신 칩, NFC 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각종 외부 기기와 작업 관리 장치(100) 사이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Specifically, the transceiver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Fi chip, a Bluetooth chip,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and an NFC chip. The processor (130) may control the transceiver (110) to perform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external devices and the task management device (100). The WiFi chip and the Bluetooth chip may perform communication in the WiFi mode and the Bluetooth mode, respectively. When a WiFi chip or a Bluetooth chip is used, various connection information such as an SSID and a session key may be first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then communication may be established using this, and then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refers to a chip that performs communication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IEEE, Zigbee, 3G (3rd Generation),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and LTE (Long Term Evoloution). NFC chips are chips that operate in th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mode, using the 13.56MHz band among various RF-ID frequency bands such as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and 2.45GHz.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송수신부(110)를 통해 작업자 단말기(150)와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작업 관리 장치(100)는 작업자 단말기(150)와 정보를 송수신하여 작업자 단말기(150)를 보유한 작업자에게 할당된 작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전송하고 작업자에 작업자 단말기(150)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작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자 단말기(150)는 제1 작업자(피킹 작업자), 제2 작업자(리빈 작업자)의 단말기, 제3 작업자(피딩 작업자)의 단말기 또는 제4 작업자(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communicate with the worker terminal (15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through the transceiver (110), and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with the worker terminal (150) to transmit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task assigned to a worker having the worker terminal (150) and receive information about a task performed by the worker using the worker terminal (1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er terminal (150) can include a terminal of a first worker (picking worker), a terminal of a second worker (living worker), a terminal of a third worker (feeding worker), or a terminal of a fourth worker (packing worker).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내장 메모리(Internal Memory)(미도시) 및 외장 메모리(External Memory)(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등),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보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ask management device (100) may include a memory (120)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to be processed. The memory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ternal memory (not shown) and an external memory (not shown). The internal memory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volatile memory (e.g., a DRAM (Dynamic RAM), a SRAM (Static RAM), an SDRAM (Synchronous Dynamic RAM), etc.), a nonvolatile memory (e.g., an OTPROM (One Time Programmable ROM), a PROM (Programmable ROM), an EPROM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an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a Mask ROM, a Flash ROM, etc.), a hard disk drive (HDD), or a solid state drive (SS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load and process commands or data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the nonvolatile memory or other components into the volatile memory. Additionally, the processor (130) may store data received or generated from other components in the nonvolatile memory.

외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memory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CF (Compact Flash), SD (Secure Digital), Micro-SD (Micro Secure Digital), Mini-SD (Mini Secure Digital), xD (extreme Digital), and Memory Stick.

메모리(120)는 작업 관리 장치(100)의 동작에 사용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에는 작업자 단말기(150)와 송수신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20) can store various programs and data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For example, the memory (120) can temporarily or semi-permanently store at least som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worker terminal (150).

프로세서(130)는 RAM, ROM, CPU,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 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RAM, ROM, CPU 및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processor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AM, a ROM, a CPU, a GPU (Graphic Processing Unit), and a bus. The RAM, ROM, CPU, and GPU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bus.

CPU는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The CPU accesses memory and performs booting using the O/S stored in the memory. Then, it performs various operations using various programs, contents, and data stored in the memory.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예로, 작업 관리 장치(100)는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가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킬 수 있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The ROM stores a set of commands for system booting, etc. For example, when a turn-on command is input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task management device (100), the CPU can copy the OS stored in the memory to the RAM according to the command stored in the ROM and execute the OS to boot the system. When booting is complete, the CPU copies various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to the RAM and executes the programs copied to the RAM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프로세서(13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작업 관리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하여 작업 관리 장치(100)에 포함된 송수신부(110) 및 메모리(12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30) can control the transceiver (110) and memory (120) included in the task management device (100) to perform various embodiments of the task management method described below.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FIG. 2 illustrates a flowchart of a work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라 S210단계에서 풀필먼트 센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피킹 구역 내에서 제1 작업자에 의해 피킹된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을 제1 컨테이너에 수납되고 리빈 구역으로 제1 컨테이너가 운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이러한 제1 컨테이너가 리빈 구역에 도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작업자는 피킹 구역에 배치된 피킹 작업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킹 구역 내에 포함된 다양한 피킹 영역 단위(예를 들면, 층(floor), 존(zone), 아일(aisle), 랙(rack), 베이(bay) 등)를 기준으로 결정된 피킹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피킹 위치에 대한 정보는 인바운드 구역을 통해 풀필먼트 센터로 입고되는 물품들이 인바운드 구역으로부터 피킹 구역으로 반입되고 피킹 작업자에 의해 각각의 피킹 위치에 배열하는 과정을 통해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즉, 피킹 작업자는 피킹 구역에 물품을 배열하고 해당 물품에 대한 정보 및 배열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작업자 단말기(150)를 이용하여 피킹 공간 단위를 기준으로 입력할 수 있고 작업 관리 장치(100)는 작업자 단말기(15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피킹 공간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물품의 피킹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소비자의 주문에 의해 배송되어야 할 물품이 다양한 피킹 공간으로부터 피킹되어 제1 컨테이너에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step S210, at least one picked item picked by a first worker in at least one picking zone within a fulfillment center may be stored in a first container, and the first container may be transported to a rebin zo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confirm that the first container has arrived at the rebin zo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worker may be a picking worker arranged in the picking zo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store information on picking positions determined based on various picking area units (e.g., floors, zones, aisles, racks, bays, etc.) included in the picking zo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formation on picking positions may be stored through a process in which items delivered to the fulfillment center through an inbound zone are brought from the inbound zone to the picking zone and arranged at each picking position by a picking worker. That is, a picking worker can arrange items in a picking area and input information about the items and the arranged locations based on a picking space unit using a worker terminal (150), and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store the picking locations of items by dividing them into various picking spaces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orker terminal (1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ems to be delivered according to a consumer's order can be picked from various picking spaces and included in a first container.

일 실시예에 따라 리빈 작업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1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할 수 있으며, 작업 관리 장치(100)의 송수신부(110)는 리빈 작업자의 단말기가 제1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프로세서(130)는 제1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컨테이너가 리빈 구역에 도착함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reclaim worker can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 first container using a terminal, a transceiver (110) of a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receiv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reclaim worker's terminal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ainer, and a processor (130) can confirm that the first container has arrived at the reclaim area based on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ainer has been read.

S220단계에서,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제1 컨테이너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이 제2 작업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할당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작업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할당된 것은 제2 작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작업자는 리빈 구역에서 작업하는 리빈 작업자일 수 있다. In step S220,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verify that at least one picking item assigned to the first container is assigned to at least one rebin space by the second wor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signing at least one rebin space by the second worker may include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rebin space by the terminal of the second worker, and the second worker may be a rebin worker working in the rebin area.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제1 컨테이너를 통해 리빈 구역으로 운반된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이 수납될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리빈 구역으로 운반된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은 리빈 구역 내의 서로 다른 리빈 공간에 수납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30)는 피킹 물품이 수납되어야 하는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를 리빈 작업자의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리빈 작업자는 단말기에 표시된 피킹 물품에 대응되는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리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determine at least one living space in which at least one picked item transported to the living area via the first container is to be stored. That is, at least one picked item transported to the living area can be stored in different living spaces within the living area, and the processor (130) can control the transceiver (110) to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living space in which the picked item should be stored to the terminal of the living wor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iving worker can check the information about the living space corresponding to the picked item displayed on the terminal and perform the living work.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의 송수신부(110)는 리빈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제1 컨테이너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에 대응되는 라벨을 리빈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컨테이너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에 대응되는 라벨 및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리빈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리빈 작업자는 리빈 작업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에 대응되는 라벨 및 라벨이 판독된 피킹 물품이 수납될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함으로써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프로세서(130)는 송수신부(110)를 통해 리빈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피킹 물품에 대응되는 라벨 및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컨테이너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이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할당됨을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ransceiver (110) of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of the rebin worker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of the rebin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picked item stored in the first container, and the processor (130) can confirm that the terminal of the rebin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picked item stored in the first container and a labe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rebin spac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That is, the rebin worker can perform a task by using the terminal of the rebin worker to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picked item and a label corresponding to a rebin space where the picked item, the label of which has been read, is to be stored, and the processor (130) can confirm that at least one picked item assigned to the first container is assigned to at least one rebin space based on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picked item and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rebin space have been read, received from the terminal of the rebin worker via the transceiver (110).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제1 컨테이너에 할당된 모든 피킹 물품에 대한 판독을 완료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제1 컨테이너에 대한 리빈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리빈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리빈 작업자는 제1 컨테이너에 대한 리빈 작업이 끝났음을 인지하고 즉시 다른 제1 컨테이너에 대한 리빈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reading of all picking items assigned to the first container has been completed, the transceiver (110) can be controlled to transmi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rebin work for the first container has been completed to the terminal of the rebin worker. Through this, the rebin worker can recognize that the rebin work for the first container has been completed and immediately start the rebin work for another first container.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제1 컨테이너에 할당되어 피킹 물품의 개수가 복수이고, 이러한 복수의 피킹 물품이 복수의 리빈 공간으로 나눠져서 할당되어야 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a plurality of picking items are allocated to a first container and that these plurality of picking items should be divided and allocated to a plurality of rebin spaces.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제1 컨테이너에 할당된 피킹 물품 중 단일 리빈 공간으로 수납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된 피킹 물품에 대한 정보를 리빈 작업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단일 리빈 공간이란 리빈 구역으로 운반된 피킹 물품 각각이 개별적으로 패키지에 독립적으로 수납되어야 하는 리빈 공간으로서 하나의 패키지에 복수의 물품이 패킹될 물품이 수납되는 리빈 공간과는 구분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a picking item that is determined to be stored in a single rebin space among the picking items assigned to the first container to the terminal of the rebin wor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ingle rebin space is a rebin space in which each of the picking items transported to the rebin area must be individually and independently stored in a package, and may be distinguished from a rebin space in which multiple items are stored in one package.

일 실시예에 따라 단일 리빈 공간은 특정 상위 리빈 공간의 일부로서 관리되는 공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단일 리빈 공간은 개별적인 상위 리빈 공간으로서 관리될 수도 있으며 작업 관리 장치(100)는 단일 리빈 공간만을 포함하는 리빈 구역을 풀필먼트 센터 내에서 별도로 배치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a single living space may be a space managed as part of a specific upper living space. In one embodiment, a single living space may be managed as a separate upper living space, and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separately place and manage a living area within the fulfillment center that includes only a single living space.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피킹 물품이 복수의 리빈 공간에 나눠져서 할당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리빈 공간 및 복수의 리빈 공간 각각에 할당되어야 하는 피킹 물품에 대한 정보를 리빈 작업자의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plurality of picking items should be divided and allocated to a plurality of living spaces, the processor (130) can control the transceiver (110) to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plurality of living spaces and the picking items to be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iving spaces to the terminal of the living worker.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피킹 물품이 할당되어야 하는 단일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를 리빈 작업자의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송수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or (130) may control the transceiver (110) to transmit information about a single reclaim space to which multiple picking items should be allocated to the reclaim worker's terminal.

S230단계에서 작업 관리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 중 하나인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이 패킹 구역으로 운반될 제2 컨테이너에 할당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S220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을 할당하는 리빈 작업자인 제2 작업자와 구분되는 제3 작업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S23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3 작업자는 "피딩 작업자"로 지칭하고 제3 작업자가 수행하는 작업은 "피딩 작업"인 것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제3 작업자를 리빈 구역 및 패킹 구역 사이에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피딩 작업을 할당할 수 있다. In step S230,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confirm that at least one packing item assigned to the first rebin space, which is one of at least one rebin space, is assigned to the second container to be transported to the packing are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step S230, the step may be performed using a terminal of a third worker who is distinct from the second worker, who is a rebin worker who assigns at least one picking item to the at least one rebin sp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Hereinafter, the third worker will be referred to as a “feeding worker” and the work performed by the third worker will be referred to as a “feeding work.” In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assign the feeding work to the third worker to perform the work between the rebin space and the packing area.

일 실시예에 따라 리빈 작업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수납된 물품들은 추후 패킹 작업을 위해 패킹 구역으로 운반되어야 하며, 피딩 작업자는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수납된 물품을 패킹 물품으로서 수집하여 패킹 구역으로 운반하기 위한 제2 컨테이너에 수납시키는 피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ems stored in at least one rebin space by the rebin operation must be transported to a packing area for a subsequent packing operation, and a feeding worker can perform a feeding operation to collect items stored in such at least one rebin space as packing items and place them in a second container for transport to the packing area.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 각각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물품들을 패킹 물품으로서 제2 컨테이너에 할당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 중 하나인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고, 제1 리빈 공간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을 수납할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할 수 있다.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 및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이 패킹 구역으로 운반될 제2 컨테이너에 할당됨을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confirm that at least one article stored in each of at least one living space has been assigned to a second container as a packing art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feeding worker can use a terminal to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 first living space, which is one of the at least one living space, and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 second container that will store at least one packing article stored in the first living space.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receive, from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living space has been read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has been read, and can confirm that at least one packing article assigned to the first living space has been assigned to the second container to be transported to a packing area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컨테이너는 토트, 트레이 및/또는 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피딩 작업자는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한 후 제1 리빈 공간에 수납된 패킹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토트, 트레이 및/또는 카트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카트는 적어도 하나의 토트나 트레이를 운반할 수 있다. 카트가 복수의 토트 및/또는 트레이를 운반하는 경우, 피딩 작업자는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을 수납한 복수의 토트 및/또는 트레이에 대응되는 라벨을 각각 판독한 후 카트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할 수 있고,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판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1 리빈 공간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이 제2 컨테이너인 토트, 트레이 및/또는 카트에 할당됨을 확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ontainer may include a tote, a tray, and/or a cart. That is, the feeding worker may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bin space and then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 tote, a tray, and/or a cart for transporting packed goods stored in the first rebin space. In one embodiment, the cart may transport at least one tote or tray. When the cart transports a plurality of totes and/or trays, the feeding worker may read label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otes and/or trays storing at least one picked goods and then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cart, and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reading from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and confirm that at least one packed goods stored in the first rebin space is assigned to the tote, the tray, and/or the cart, which is the second container.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 각각에 대하여 할당된 피킹 물품이 모두 각 리빈 공간에 수납 완료됨으로써 리빈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고, 리빈 작업이 완료된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를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피딩 작업자는 단말기를 통해 리빈 작업이 완료된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리빈 공간에 할당되어 수납 중인 리빈 물품의 이름, 식별자, 개수, 종류, 특성 등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작업 관리 장치(100)는 리빈 작업이 완료된 리빈 공간에 한하여 피딩 작업을 수행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아직 리빈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리빈 공간에 수납된 리빈 물품에 대해서는 패킹 공간으로 반출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물품이 오배송되거나 배송이 지연되는 등의 아웃바운드 작업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check whether the rebin work is completed by completing the storage of all the picked items assigned to each of at least one rebin space in each of the rebin spaces, and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rebin space where the rebin work is completed to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Since the feeding worker can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rebin space where the rebin work is completed (for exampl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name, identifier, number,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bin items assigned to and being stored in the rebin space) through the terminal,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induce the feeding work to be performed only for the rebin space where the rebin work is completed, thereby managing the rebin items stored in the rebin space where the rebin work is not yet completed so that they are not taken out to the packing space, and thereby problems that may occur during the outbound work process, such as misdelivery of items or delayed delivery,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리빈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표시된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여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receiv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bin space where the re-bin work is marked as completed, and can confirm that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bin space.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제1 리빈 공간에 수납된 패킹 물품을 운반할 제2 컨테이너에 대한 라벨을 판독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컨테이너에 대한 라벨을 판독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는 표시할 메시지에 포함될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제2 컨테이너에 대한 라벨을 판독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하라는 단순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for displaying a message to read a label for a second container that transports packing goods stored in the first living sp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formation for displaying a message to read a label for the second container may include content to be included in the message to be displayed, and/or may include simple instruction information for displaying a message to read a label for the second container.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함으로써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제2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가 작업 관리 장치(100)에서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로 이미 전송된 경우, 미리 결정된 것으로 경우 제2 컨테이너에 대한 라벨을 판독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if information about a second contain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generating space has already been transmitted from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to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by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generating space,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laying a message to read the label for the second container to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may be omitted.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제2 컨테이너에 대한 라벨을 판독하라는 메시지에 제2 컨테이너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등이 포함되지 않는다면, 제2 컨테이너에 대한 라벨을 판독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는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한 것에 응답하여 즉시 제2 컨테이너에 대한 라벨을 판독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f the message to read the label for the second container displayed on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does not include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second container,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message to read the label for the second container to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may be omitted. In this case,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may immediately display the message to read the label for the second container in response to reading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living space.

일 실시예에 따라 리빈 작업을 통해 리빈 공간에 할당되어 적어도 하나의 물품들은 동일한 주소로 배송될 물품들일 수 있다. 즉, 각 리빈 공간에 수납된 물품들은 피딩 작업자에 의해 제2 컨테이너에 수납되어 패킹 구역으로 운반되고 동일한 주소로 배송될 물품들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tems assigned to the rebin space through the rebin operation may be items to be delivered to the same address. That is, the items stored in each rebin space may be stored in a second container by the feeding worker and transported to the packing area and may be items to be delivered to the same address.

S240단계에서 작업 관리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컨테이너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에 대한 패킹 작업이 제4 작업자에 의해 완료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4 작업자는 작업 관리 장치(100)에 의해 패킹 구역에서 패킹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당된 패킹 작업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패킹 구역에서 작업하는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제2 컨테이너에 할당된 패킹 물품에 대한 패킹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In step S240,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confirm that the packing work for at least one packing item assigned to the second container is completed by the fourth wor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ourth worker may be a packing worker assigned by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to perform the packing work in the packing are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working in the packing area and, based on this, can confirm that the packing work for the packing item assigned to the second container is complet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acking wor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필먼트 센터에서 수행되는 아웃바운드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bound operation performed at a fulfillment cen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라 풀필먼트 센터 내의 피킹 구역으로부터 피킹된 적어도 하나의 물품은 소정의 방식을 통해 리빈 구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킹 물품은 제1 컨테이너인 토트를 운반하는 컨베이어(305)를 통해 피킹 구역으로부터 리빈 구역으로 운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item picked from a picking area within a fulfillment center may be moved to a rebin area in a predetermined manner. For example, the picked item may be moved from the picking area to the rebin area via a conveyor (305) that carries a first container, that is, a tote.

일 실시예에 따라 리빈 작업자(310)는 단말기를 통해 제1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 및 리빈 공간(315)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함으로써 제1 컨테이너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을 리빈 구역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으로 할당할 수 있다. 리빈 작업자(310)는 라벨이 판독된 제1 컨테이너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을, 라벨이 판독된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으로 수납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rebin worker (310) can assign at least one picked item stored in a first container to at least one rebin space within a rebin area by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a first container and a label corresponding to a rebin space (315) through a terminal. The rebin worker (310) can store at least one picked item stored in a first container, the label of which has been read, into at least one rebin space, the label of which has been read.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320)는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 중 리빈 작업이 완료된 제1 리빈 공간에 수납된 패킹 물품을 패킹 구역으로 운반하기 위한 피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320)는 제1 리빈 공간에 수납된 패킹 물품을 제2 컨테이너로 할당시키기 위해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고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단말기를 이용하여 판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320)는 제1 리빈 공간에 수납된 패킹 물품을 모두 수납한 제2 컨테이너를 패킹 구역으로 운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딩 작업자(320)는 컨베이어(325)를 통해 제2 컨테이너를 패킹 구역으로 운반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eeding worker (320) may perform a feeding operation to transport the packing goods stored in a first rebin space, in which the rebin operation is completed, among at least one rebin space, to the packing are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eeding worker (320) may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bin space and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using a terminal to assign the packing goods stored in the first rebin space to the second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eeding worker (320) may transport the second container containing all the packing goods stored in the first rebin space to the packing area. For example, the feeding worker (320) may transport the second container to the packing area via the conveyor (325).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구역에서 작업하는 패킹 작업자(330)는 패킹 공간으로 운반되는 제2 컨테이너에 수납된 패킹 물품에 대한 패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packing worker (330) working in a packing area can perform packing work on packing items stored in a second container transported to a packing space.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필먼트 센터에서 수행되는 리빈 작업과 패킹 작업 사이에 추가될 수 있는 피딩 작업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FIG.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eeding operation that may be added between the rebinding operation and the packing operation performed in a fulfillment cen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라 컨베이어(405)를 포함하는 다양한 운송 수단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이 수납된 제1 컨테이너(400)이 피킹 구역으로부터 리빈 구역으로 운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리빈 구역의 리빈 작업자(410)는 제1 컨테이너(400) 각각에 수납된 피킹 물품을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415a, 415b, 415c)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리빈 작업자(410)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1 컨테이너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 각각에 대응되는 라발을 판독하고, 판독된 피킹 물품을 수납할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할 수 있고, 작업 관리 장치(100)는 판독 과정을 통해 획득되는 정보를 리빈 작업자(410)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피킹 물품이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415a, 415b, 415c)에 할당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415a, 415b, 415c)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이 할당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first container (400) having at least one picked item stored therein may be transported from a picking area to a rebin area via various transport means including a conveyor (405).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rebin operator (410) of the rebin area may assign the picked items stored in each of the first containers (400) to at least one rebin space (415a, 415b, 415c).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ebin operator (410) may use a terminal to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t least one picked item stored in the first container, and may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 rebin space in which the read picked item is to be stored, and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receiv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reading process from the terminal of the rebin operator (410) to confirm that the picked item is assigned to at least one rebin space (415a, 415b, 415c).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ach of at least one living space (415a, 415b, 415c) may be assigned at least one picking item.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415a, 415b, 415c)에 대하여 리빈 작업이 완료된 경우, 작업 관리 장치(100)는 리빈 작업이 완료된 리빈 공간이라는 점을 나타내는 정보를 피딩 작업자(420)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고, 피딩 작업자(420)는 단말기에 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리빈 작업이 완료된 리빈 공간에 수납된 물품을 제2 컨테이너(422)으로 할당함으로써 피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피딩 작업자(420)는 리빈 구역과 패킹 구역의 중간에서 피딩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패킹 작업자(430)가 리빈 공간으로 직접 이동하여 리빈 작업자(410)에 의한 리빈 작업의 결과에 대하여 직접 패킹 작업을 개시함에 따른 비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re-binning work is completed for at least one re-binning space (415a, 415b, 415c),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transmi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re-binning work is completed to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420), and the feeding worker (420) can perform the feeding work by allocating the goods stored in the re-binning space where the re-binning work is completed to the second container (422) based on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erminal. That is, the feeding worker (420) can improve the inefficiency caused by the packing worker (430) moving directly to the re-binning space and directly starting the packing work on the result of the re-binning work by the re-binning worker (410) by performing the feeding work in the middle of the re-binning area and the packing area.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420)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리빈 작업이 완료된 제1 리빈 공간(예를 들면, 리빈 공간(415a))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고, 제1 리빈 공간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을 수납할 제2 컨테이너(422)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함으로써 피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는 과정 및 제1 리빈 공간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을 수납할 제2 컨테이너(422)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는 과정 중간에 제1 리빈 공간에 수납되었던 패킹 물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딩 작업자(420)의 단말기로부터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는 과정 내지 제1 리빈 공간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을 수납할 제2 컨테이너(422)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는 과정에서 획득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이 패킹 구역으로 운반될 제2 컨테이너(422)에 할당됨을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feeding worker (420) may perform a feeding operation by using a terminal to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 first re-bin space (e.g., re-bin space (415a)) where re-bin work has been completed, and to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 second container (422) that will store at least one packing item stored in the first re-bin sp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process of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a packing item stored in the first re-bin space may be added between the process of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bin space and the process of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422) that will store at least one packing item stored in the first re-bin sp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receives information obtained during a process of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a first reclaim space from a terminal of a feeding worker (420) or a process of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a second container (422) to be stored at least one packing item stored in the first reclaim space, and can confirm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that at least one packing item assigned to the first reclaim space is assigned to the second container (422) to be transported to the packing area.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420)는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415a, 415b, 415c) 각각에 수납된 패킹 물품을 제2 컨테이너(422) 각각에 할당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eeding operator (420) can assign the packed items stored in each of at least one of the rebin spaces (415a, 415b, 415c) to each of the second containers (422).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420)는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415a, 415b, 415c)에 수납된 패킹 물품을 조합하여 하나의 제2 컨테이너(422)에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딩 작업자(420)는 복수의 리빈 공간(415b, 415c)에 수납되어있던 패킹 물품을 하나의 제2 컨테이너에 할당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eeding operator (420) can combine the packing items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re-bin spaces (415a, 415b, 415c) and allocate them to one second container (422). For example, the feeding operator (420) can allocate the packing items stored in a plurality of re-bin spaces (415b, 415c) to one second container.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420)는 하나의 리빈 공간(415a)에 수납된 복수의 패킹 물품을 복수의 제2 컨테이너에 분할하여 할당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eeding operator (420) may divide and allocate a plurality of packing items stored in one rebin space (415a) to a plurality of second containers.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이 할당된 제2 컨테이너(422)은 컨베이어(425)를 포함하는 다양한 운송 수단을 통해 패킹 구역으로 운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second container (422) having at least one packing article assigned thereto may be transported to a packing area via various transport means including a conveyor (425).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컨테이너(422)을 전달받은 패킹 작업자(430)는 제2 컨테이너(422)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에 대한 패킹 작업을 완료함으로써 포장 용기(435)(예를 들면, 박스, 비닐 등)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에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을 포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packing worker (430) who receives a second container (422) can pack at least one packing item in at least one package of various types including a packaging container (435) (e.g., box, vinyl, etc.) by completing a packing operation for at least one packing item stored in the second container (422).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430)는 전달된 제2 컨테이너 별로 하나의 패키지에 포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acking worker (430) may pack each delivered second container into one package.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430)는 전달된 제2 컨테이너에 포함된 복수의 패킹 물품을 복수의 패키지에 분할하여 포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acking worker (430) can divide and pack a plurality of packing items contained in the delivered second container into a plurality of packages.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430)는 전달된 복수의 제2 컨테이너에 포함된 패킹 물품들을 하나의 패키지에 합포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acking worker (430) can combine the packing items contained in the plurality of delivered second containers into one package.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빈 공간을 기준으로 리빈 작업 및 피딩 작업을 작업자에게 할당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method of assigning re-bin work and feeding work to workers based on re-bin sp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라 풀필먼트 센터에는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512a, 512b)을 포함하는 상위 리빈 공간(512)을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리빈 공간(512a, 512b) 및 상위 리빈 공간(512)은 서로 포함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저장할 수 있고 상위 리빈 공간(512) 및/또는 리빈 공간(512a, 512b)을 기준으로 리빈 작업자(510a, 510b) 및 피딩 작업자(520)를 배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ulfillment center may utilize an upper living space (512) including at least one living space (512a, 512b).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store that the living space (512a, 512b) and the upper living space (512) have an inclusiv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nd may place living workers (510a, 510b) and feeding workers (520) based on the upper living space (512) and/or the living space (512a, 512b).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상위 리빈 공간(512)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512a)에 대한 리빈 작업을 제1 리빈 작업자(510a)에게 할당하고, 상위 리빈 공간(512)에 포함된 다른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512b)에 대한 리빈 작업을 제2 리빈 작업자(510b)에게 할당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ask management device (100) can assign a reclaim task for at least one reclaim space (512a) included in the upper reclaim space (512) to a first reclaim worker (510a), and assign a reclaim task for at least another reclaim space (512b) included in the upper reclaim space (512) to a second reclaim worker (510b).

즉, 리빈 작업자(510a, 510b)가 리빈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할당받은 리빈 공간과 피딩 작업자(520)가 피딩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할당받은 리빈 공간은 상이할 수 있다.That is, the reclaim space allocated to the reclaim worker (510a, 510b) to perform reclaim work and the reclaim space allocated to the feeding worker (520) to perform feeding work may be different.

일 실시예에 따라 상위 리빈 공간(512)은 복수의 리빈 공간을 포함하는 리빈월(rebin wall)을 의미할 수 있고, 리빈월에 포함되는 각 리빈 공간은 리빈셀(rebin cell)을 의미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pper rebin space (512) may mean a rebin wall including a plurality of rebin spaces, and each rebin space included in the rebin wall may mean a rebin cell.

일 실시예에 따라 리빈월은 수납될 물품의 종류에 따라 카테고리가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빈월에는 물품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에 기초하여 구분되는 리빈월, 신선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리빈월, 냉동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리빈월 등이 포함할 수 있으며, 작업 관리 장치(100)는 이러한 상위 리빈 공간에 대한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작업자 단말기(150)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iving wall may be categorized based on the type of items to be stored. For example, the living wall may include a living wall categorized based on whether the size of the items falls within a predetermined size range, a living wall for storing fresh food, a living wall for storing frozen food, etc., and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stor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such upper living space and transmit it to the worker terminal (150).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동일한 리빈 공간에 대한 리빈 작업을 복수의 리빈 작업자(510a, 510b)에게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 관리 장치(100)는 상위 리빈 공간(512)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예를 들면, 512a, 512b)에 대한 리빈 작업을 제1 리빈 작업자(510a) 및 제2 리빈 작업자(510b)에게 할당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job management device (100) may assign a re-bin task for the same re-bin space to multiple re-bin workers (510a, 510b). For example, the job management device (100) may assign a re-bin task for at least one re-bin space (e.g., 512a, 512b) included in the upper re-bin space (512) to a first re-bin worker (510a) and a second re-bin worker (510b).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딩 작업을 피딩 작업자(520)에게 할당함에 있어서 상위 리빈 공간(512)을 기준으로 피딩 작업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딩 작업자(520)에게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512a, 512b)를 포함하는 상위 리빈 공간(512)에 대한 피딩 작업을 할당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job management device (100) may assign a feeding task to a feeding worker (520) based on an upper living space (512). For example, the job management device (100) may assign a feeding task for an upper living space (512) including at least one living space (512a, 512b) to the feeding worker (520).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딩 작업자(520)에게 복수의 상위 리빈 공간(512)에 대한 피딩 작업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제1 리빈 작업자(510a) 및 제2 리빈 작업자(510b)에게 리빈 작업이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512a, 512b)를 포함하는 제1 상위 리빈 공간(512) 및 제3 리빈 작업자(515a) 및 제4 리빈 작업자(515b)에게 리빈 작업이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517a, 517b)를 포함하는 제2 상위 리빈 공간(517)에 대한 피딩 작업을 할당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job management device (100) can assign feeding tasks for multiple upper reven spaces (512) to the feeding workers (520). For example, the job management device (100) can assign feeding tasks for a first upper reven space (512) including at least one reven space (512a, 512b) to which a first reven worker (510a) and a second reven worker (510b) are assigned reven tasks, and a second upper reven space (517) including at least one reven space (517a, 517b) to which a third reven worker (515a) and a fourth reven worker (515b) are assigned reven tasks.

일 실시예에 따라 컨베이어(525)는 적어도 하나의 상위 리빈 공간(512, 517)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피딩 작업자(520)는 적어도 하나의 상위 리빈 공간(512, 517)에 대한 피딩 작업을 통해 리빈 공간에 수납된 패킹 물품을 제2 컨테이너(522)에 할당한 후 컨베이어(525)를 통해 제2 컨테이너(522)을 패킹 구역으로 운반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onveyor (525) may be arranged along at least one upper rebin space (512, 517), and a feeding worker (520) may allocate packing items stored in the rebin space to a second container (522) through a feeding operation for at least one upper rebin space (512, 517), and then transport the second container (522) to a packing area through the conveyor (525).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딩 작업자가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고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수행하는 피딩 작업을 풀필먼트 센터에서 수행 가능한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즉, 풀필먼트 센터의 물리적인 요인에 기초하여 피딩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작업 관리 장치(100)는 이러한 풀필먼트 센터에 대해서는 피딩 작업이 불가능한 것으로 미리 설정해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웃바운드 작업을 작업자에게 할당할 때 피딩 작업이 불가능한 풀필먼트 센터임에도 피딩 작업이 작업자에게 할당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set whether a feeding worker can perform a feeding task of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living space and performing a label corresponding to a second container at a fulfillment center. That is, if it is impossible to perform the feeding task based on physical factors of the fulfillment center,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set in advance that the feeding task is impossible for such fulfillment center. Accordingly, when assigning an outbound task to a work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rror in which a feeding task is assigned to a worker even though the fulfillment center is incapable of performing the feeding task.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딩 작업을 수행 가능한 풀필먼트 센터인 것으로 설정된 것인지 결정하여, 피딩 작업자에게 피딩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1 리빈 공간을 포함하는 상위 리빈 공간을 할당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a fulfillment center is set to be capable of performing a feeding task, and may determine whether to allocate an upper living space including a first living space to a feeding worker to perform a feeding task.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딩 작업자에게 복수의 상위 리빈 공간을 할당할 수 있을지 여부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마다 설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위 리빈 공간을 할당하는 것을 허용할지 결정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상위 리빈 공간을 할당하지 못하도록 설정된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가 복수의 상위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작업 관리 장치(100)는 해당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로 복수의 상위 리빈 공간을 할당받을 수 없다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preset and store whether multiple upper living spaces can be allocated to a feeding wor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o allow allocation of multiple upper living spaces based on information set for each feeding worker. That is, if it is confirmed that a terminal of a feeding worker set not to allocate multiple upper living spaces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multiple upper living spaces,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transmit a message to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indicating that multiple upper living spaces cannot be allocated.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필먼트 센터의 피킹 구역에서 수행되는 피킹 작업 및 리빈 구역에서 수행되는 리빈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picking operation performed in a picking area and a reclaiming operation performed in a reclaiming area of a fulfillment cen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킹 구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피킹 공간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피킹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S610 단계).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은 제1 컨테이너에 수납되어 리빈 구역으로 운반될 수 있다(S612 단계).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confirm that at least one item has been picked from at least one picking space within the picking area (step S610). At least one picked item can be stored in a first container and transported to the rebin area (step S612).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을 포함하는 제1 컨테이너가 리빈 구역에 도착함을 확인할 수 있다(S614 단계). 작업 관리 장치(100)는 리빈 구역에서 작업하는 리빈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1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제1 컨테이너가 리빈 구역에 도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S614 단계에 대한 특징은 상술한 도 2의 S210 단계에 대한 특징에 대응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confirm that a first container including at least one picking item has arrived at the rebin area (step S614).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confirm that the first container has arrived at the rebin area based 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ainer has been read, which is received from a terminal of a rebin worker working in the rebin area. Since the features of step S614 correspond to the features of step S210 of FIG. 2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리빈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리빈 구역에서 제1 컨테이너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피킹 물품에 대응되는 라벨을 리빈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S616 단계).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confirm that the terminal of the rebin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picked item stored in the first container in the rebin area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of the rebin worker (step S616).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리빈 구역에서 리빈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한 라벨에 대응되는 피킹 물품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를 리빈 작업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S618 단계). 작업 관리 장치(100)는 이에 따라 리빈 작업자가 판독한 라벨에 대응되는 피킹 물품을 리빈 작업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리빈 공간으로 수납하도록 작업을 관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living space corresponding to a picked item corresponding to a label read by the terminal of the living worker in the living area to the terminal of the living worker (step S618). Accordingly,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manage the work so that the picked item corresponding to the label read by the living worker is stored in the living space displayed on the terminal of the living worker.

일 실시예에 따라 판독한 라벨에 대응되는 피킹 물품이 리빈 작업이 수행되어서는 안되는 물품인 경우(예를 들면, 주문취소된 물품이거나, 다른 리빈 구역, 다른 리빈 작업자에 의해 작업되는 리빈 공간으로 운반되었어야 하는 물품인 경우 등), 작업 관리 장치(100)는 다시 제1 컨테이너로 할당하라거나 또는 피킹 구역으로 다시 회수되는 물품들을 위한 미리 결정된 공간에 할당하라는 메시지를 리빈 작업자의 단말기가 표시하도록 명령 메시지를 리빈 작업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f the picked item corresponding to the read label is an item for which rebin work should not be performed (e.g., an item whose order has been cancelled, an item that should have been transported to another rebin area, a rebin space worked by another rebin worker, etc.),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transmit a command message to the rebin worker's terminal so that the terminal displays a message to reassign it to the first container or to reassign it to a predetermined space for items returned to the picking area.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제1 컨테이너에 할당된 모든 피킹 물품에 대한 판독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620 단계).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컨테이너에 할당된 모든 피킹 물품에 대한 판독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제1 컨테이너에 대한 리빈 작업이 완료됨을 확인하고 제1 컨테이너가 다른 작업에 활용되도록 제1 컨테이너에 대해서는 리빈 작업으로부터 릴리즈(release)시킬 수 있다(S622 단계).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컨테이너에 대한 리빈 작업이 완료된 경우, 리빈 작업자의 단말기가 제1 컨테이너에 대한 리빈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check whether reading for all picking items assigned to the first container is completed (step S620). If it is confirmed that reading for all picking items assigned to the first container is comple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check that the rebin operation for the first container is completed and can release the first container from the rebin operation so that the first container can be utilized for another operation (step S62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f the rebin operation for the first container is completed, a message can be transmitted so that the terminal of the rebin operator can display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rebin operation for the first container is completed.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컨테이너에 할당된 모든 피킹 물품에 대한 판독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다시 S616단계로 되돌아가 S616 단계 내지 S618 단계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reading of all picking items assigned to the first container is not complet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616 and steps S616 to S618 can be performed again.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필먼트 센터의 피딩 구역에서 수행되는 피딩 작업 및 패킹 구역에서 수행되는 패킹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eeding operation performed in a feeding area and a packing operation performed in a packing area of a fulfillment cen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피딩 작업을 개시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705 단계). 예를 들면 피딩 작업자는 상위 리빈 공간(리빈월)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위 리빈 공간에 대한 피딩 작업을 할당 받을 수 있고, 피딩 작업자는 단말기를 통해 피딩 작업자가 피딩 작업을 수행할 상위 리빈 공간을 판독함으로써 피딩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는 피딩 작업의 개시를 나타내는 판독 정보를 작업 관리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receive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rt of a feeding operation from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step S705). For example, the feeding worker may be assigned a feeding operation for at least one upper living space based on the upper living space (living wall), and the feeding worker may initiate the feeding operation by reading the upper living space where the feeding worker is to perform the feeding operation through the terminal.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may transmit the read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rt of the feeding operation to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딩 구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 중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피딩 작업자가 판독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S710 단계).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딩 작업자의 판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1 리빈 공간에 대한 피딩 작업을 수행함을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confirm that the feeding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 first living space among at least one living space in the feeding area (step S710).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reading by the feeding worker and confirm that the feeding work for the first living space is performed.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S710단계에서 피딩 작업자가 판독한 제1 리빈 공간이 리빈 작업이 완료된 리빈 공간인지 결정할 수 있다(S712 단계).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가 판독한 제1 리빈 공간이 리빈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제1 리빈 공간에 대한 라벨을 판독한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로 에러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714 단계).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determine whether the first re-bin space read by the feeding worker in step S710 is a re-bin space where the re-bin work has been completed (step S71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re-bin space read by the feeding worker is not a completed re-bin work, information for displaying an error message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who read the label for the first re-bin space (step S714).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가 판독한 제1 리빈 공간이 리빈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제1 리빈 공간에 수납된 물품을 운반할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딩 작업자가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고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을 운반할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함으로써 제1 리빈 공간 및 제2 컨테이너 간의 연관 관계를 수립함으로써 피딩 작업이 수행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first rebin space read by the feeding worker is determined to have completed the rebin operation,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for displaying a message to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 second container to transport the goods stored in the first rebin sp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the feeding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by establishing an association between the first rebin space and the second container by having the feeding worker read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bin space and read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to transport at least one packing goods.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을 제2 컨테이너에 수납하라는 메시지를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S718단계). 피딩 작업자는 제1 리빈 공간에 수납된 패킹 물품을 모두 제2 컨테이너에 수납함으로써 피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transmit a message to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to store at least one packing item assigned to the first living space in the second container (step S718). The feeding worker may perform the feeding task by storing all packing items stored in the first living space in the second container.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모든 패킹 물품을 제2 컨테이너에 수납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720 단계).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check whether all packing items allocated to the first living space have been stored in the second container (step S720).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모든 패킹 물품을 제2 컨테이너에 수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 작업 관리 장치(100)는 S718단계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not all of the packing items allocated to the first living space have been stored in the second container,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perform step S718 again.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모든 패킹 물품을 제2 컨테이너에 수납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작업 관리 장치(100)는 S722 단계에서 제2 컨테이너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에 대한 패킹 작업이 완료됨을 확인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f it is confirmed that all packing items assigned to the first living space have been stored in the second container,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confirm that the packing work for at least one packing item assigned to the second container is completed in step S722.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 및 패킹 구역으로 패킹 물품을 운반할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제1 리빈 공간에 수납된 모든 물품이 제2 컨테이너에 수납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S722 단계).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는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배치되어 패킹 물품을 이미 수납하고 있었던 토트, 트레이 등을 제2 컨테이너로서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receiv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label corresponding to a first rebin space has been read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label corresponding to a second container to transport packed goods to a packing area has been read from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it can confirm that all goods stored in the first rebin space have been stored in the second container (step S72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eeding worker can use a tote, tray, etc., which has been placed in at least one rebin space and has already stored packed goods, as the second container.

일 실시예에 따라 S720단계는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으며, 피딩 작업 시 제1 리빈 공간에 수납된 패킹 물품에 대응되는 라벨에 대한 판독하는 과정이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step S720 may be an optional step, and a process of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a packing item stored in the first rebin space during a feeding operation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제2 컨테이너가 패킹 구역으로 운반됨을 확인할 수 있다(S724 단계).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컨테이너는 풀필먼트 센터 내에서 리빈 구역으로부터 패킹 구역으로까지 연결된 컨베이어를 통해 운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가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한 후 컨베이어 벨드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패킹 작업자가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 및/또는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각각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컨테이너가 패킹 구역으로 운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confirm that the second container is transported to the packing area (step S724).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container can be transported through a conveyor connected from the rebin area to the packing area within the fulfillment cen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receiv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and then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conveyor belt and/or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acking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from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and/or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respectively, and can confirm that the second container has been transported to the packing area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received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패킹 구역으로 운반된 제2 컨테이너에 수납된 패킹 물품에 대한 패킹 작업이 수행됨을 확인할 수 있다(S726 단계).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제2 컨테이너가 운반된 패킹 구역의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확인한 후, 제2 컨테이너에 수납되어 운반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에 대응되는 라벨, 운반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을 배송할 적어도 하나의 포장 용기에 대응되는 라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장 용기에 부착할 적어도 하나의 운송장을 판독하였음을 확인함으로써 패킹 작업이 수행됨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confirm that the packing work is performed for the packing goods stored in the second container transported to the packing area (step S726).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confirm that the packing work is performed by confirming that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in the packing area where the second container is transported has read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and then confirming that the terminal has read the labe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packing goods stored and transported in the second container, the labe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packaging container to which the at least one transported packing goods is to be delivered, and at least one waybill to be attached to the at least one packaging container.

일 실시예에 따라 풀필먼트 센터의 패킹 구역에는 복수의 패킹 공간이 포함될 수 있고, 패킹 작업자는 복수의 패킹 공간 중 할당된 패킹 공간에서의 패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풀필먼트 센터는 리빈 구역으로부터 패킹 구역으로 제2 컨테이너를 운반할 수 있는 컨베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피딩 작업자에 의해 컨베이어를 통해 패킹 구역으로 운반되는 복수의 제2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 및 패킹 구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패킹 공간 각각에서의 패킹 업무 로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패킹 공간 중 상기 제2 컨테이너가 운반될 패킹 공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제2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란 복수의 제2 컨테이너의 개수, 각 제2 컨테이너에 수납된 물품의 특성(깨지기 쉬움, 냉동 식품 등), 및 각 제2 컨테이너에 수납된 SKU 수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작업 관리 장치(100)는 특정 패킹 구역으로 패킹 작업의 몰림을 방지함으로써 패킹 구역에서의 패킹 작업을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packing area of a fulfillment cent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cking spaces, and a packing worker may perform a packing work in an allocated packing space among the plurality of packing spac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ulfillment center may be equipped with a conveyor capable of transporting a second container from a rebin area to a packing are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determine a packing space among the plurality of packing spaces to which the second container is to be transported based on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second containers transported to the packing area via the conveyor by at least one feeding worker and information about a packing work loa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acking spaces included in the packing are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formation about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iners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in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ods stored in each of the second containers (fragility, frozen food, etc.), and the number of SKUs stored in each of the second containers. That is,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acking work in the packing area by preventing the packing work from being concentrated in a specific packing area.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제2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것으로 결정된 패킹 공간에 제2 컨테이너를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를 결정하여, 컨베이어에 대한 정보를 피딩 작업자 및/또는 패킹 작업자에게 전송하거나, 또는 컨베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로 전송함으로써 패킹 구역에서의 컨베이어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제2 컨테이너가 결정된 패킹 공간으로 운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determine a conveyor for transporting the second container to a packing space determined to transport the second container,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in the packing area by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conveyor to a feeding worker and/or a packing worker, or to a processor of an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thereby allowing the second container to be transported to the determined packing space.

일 실시예에 따라 풀필먼트 센터에서의 리빈 구역에서 패킹 구역으로 제2 컨테이너가 반출되는 컨베이어의 개수가 복수일 수 있고, 작업 관리 장치(100)는 패킹 구역으로 상기 제2 컨테이너를 운반할 컨베이어를 결정함에 있어서, 복수의 패킹 공간에서의 패킹 업무 로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베이어 중에서 패킹 구역으로 제2 컨테이너를 운반할 컨베이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제2 컨테이너를 리빈 구역으로 반출시킬 복수의 컨베이어 중 하나를 결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피딩 작업자가 표시된 컨베이어를 통해 제2 컨테이너를 반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패킹 공간 내에서의 패킹 작업자의 패킹 업무 로드뿐만 아니라 컨베이어 상에서의 컨테이너의 적체 상황도 함께 고려하여 패킹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number of conveyors through which the second container is transported from the rebin area to the packing area in the fulfillment center may be plural, and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determine a conveyor to transport the second container to the packing area based on information about packing work loads in a plurality of packing spaces when determining a conveyor to transport the second container to the packing area, among the plurality of conveyo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determine one of the plurality of conveyors to transport the second container to the rebin area and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one to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thereby allowing the feeding worker to transport the second container through the indicated conveyor. Through this, the packing work can be efficiently managed by considering not only the packing work load of the packing worker in the packing space but also the stacking situation of the containers on the conveyor.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패킹 구역으로 제2 컨테이너를 운반할 컨베이어를 결정하고, 결정된 컨베이어에 대한 정보를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를 운반할 컨베이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피딩 작업자는 결정된 컨베이어에 대응되는 컨베이어를 확인하고 컨베이어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할 수 있다.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판독 정보에 기초하여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가 패킹 구역으로 제2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것으로 결정된 컨베이어에 대응되는 라벨이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에 의해 판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determine a conveyor to transport the second container to the packing area and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determined conveyor to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The feeding worker who has confirmed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veyor to transport the second container can check the conveyor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onveyor and read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conveyor. Based on the rea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confirm that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conveyor determined to transport the second container to the packing area has been read by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필먼트 센터의 피딩 구역에서 수행되는 피딩 작업 과정에서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8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user interface displayed on a terminal of a feeding worker during a feeding operation performed in a feeding area of a fulfillment cen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가 피딩 작업에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가 단말기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피딩 작업을 수행함을 선택하면,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는 피딩 작업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을 포함하는 상위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라는 화면(810)을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a user interface required for a feeding task to a terminal of a feeding wor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a feeding worker selects to perform a feeding task through a user interface displayed on the terminal,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can display a screen (810) for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an upper living space including at least one living space where a feeding task is to be performed.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상위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응답하여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로 피딩 작업이 수행되어야 할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는 적어도 하나의 상위 리빈 공간에 대해 피딩 작업을 할당받을 수 있으며,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는 상위 리빈 공간 별로 피딩 작업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820)에는 피딩 작업이 수행될 상위 리빈 공간을 나타내는 정보(822) 및 상위 리빈 공간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 중 리빈 작업이 완료된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824, 826)가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ask management device (100) may receiv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label corresponding to an upper living space has been read from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and in response thereto,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living space on which a feeding task is to be performed to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eeding worker may be assigned a feeding task for at least one upper living space, and the user interface of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may display at least one living space on which the feeding task is to be performed for each upper living space. Referring to FIG. 8, the user interface (820) of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may include information (822) indicating an upper living space on which a feeding task is to be performed, and information (824, 826) about a living space on which a living task has been completed among at least one living space included in the upper living space.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피딩 작업자가 피딩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현재 할당된 상위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 및 피딩 작업을 수행할 상위 리빈 공간을 추가/변경/삭제하기 위한 오브젝트(828)가 포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user interface displayed on a feeding operator's terminal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upper living space currently assigned to the feeding operator to perform the feeding task, and objects (828) for adding/changing/deleting the upper living space to perform the feeding task.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로 리빈 공간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는 수신한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피딩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할당된 상위 리빈 공간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 중 리빈 작업이 완료된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824, 826)를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가 높은 리빈 공간을 우선하여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transmit priority information about a living space to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824, 826) about a living space in which a living task has been completed among at least one living space included in an upper living space allocated to perform a feeding task based on the received priority information, with priority given to a living space with a high priority.

일 실시예에 따라 리빈 공간 및/또는 상위 리빈 공간마다 설정되는 우선 순위 정보는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관리 장치(10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빈 완료된 후 지체된 시간이 오래된 리빈 공간일수록, 리빈 공간에 포함된 SKU 수가 많을수록, 리빈 공간에 포함된 패킹 물품의 목표 배송 시간까지 남은 시간이 적을수록 리빈 공간에 대한 피딩 작업의 우선 순위가 높을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priority information set for each living space and/or upper living space may be determined by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based on various information. For example, the longer the living space has been delayed after living completion, the more SKUs are included in the living space, and the shorter the time remaining until the target delivery time of the packed goods included in the living space, the higher the priority of the feeding task for the living space may be.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상위 리빈 공간에 포함된 복수의 리빈 공간 중 제1 우선 순위를 가지는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824)는 제1 우선 순위보다 낮은 제2 우선 순위를 가지는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826)보다 우선하여 표시되도록 표시 순서, 표시 크기, 표시 색상 등 다양한 표시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제1 우선 순위를 가지는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824)은 제2 우선 순위를 가지는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826)보다 앞서서(왼쪽에) 표시되고, 다른 색상을 가지도록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formation (824) about a living space having a first priority among a plurality of living spaces included in a first upper living space may be displayed with priority over information (826) about a living space having a second priority lower than the first priority, and various display methods such as display order, display size, and display color may be adopted.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8, information (824) about a living space having a first priority may be displayed before (on the left of) information (826) about a living space having a second priority, and may be displayed with a different color.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딩 작업자가 단말기에 표시된 리빈 공간 중 하나(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판독한 라벨에 대응되는 제1 리빈 공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 관리 장치(100)는 판독한 라벨에 대응되는 제1 리빈 공간의 식별자(832);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패킹 물품의 개수 및 종류(834); 제1 리빈 공간을 포함하는 상위 리빈 공간의 식별자(836) 등을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는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함에 대응하여 제1 리빈 공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30)를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indicating that the feeding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one of the re-bin spaces (the first re-bin space) displayed on th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transmit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first re-bin space corresponding to the read label to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For example,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transmit an identifier (832) of the first re-bin space corresponding to the read label; the number and type (834) of packing items allocated to the first re-bin space; an identifier (836) of an upper re-bin space including the first re-bin space, and the like to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830) includ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first re-bin space in response to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bin space.

일 실시에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후 제1 리빈 공간에 수납된 패킹 물품을 수납할 제2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indicating that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bin space has been read, and then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indicating that a label corresponding to a second container for storing packing goods stored in the first rebin space has been read.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는 제2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라벨을 판독한 후 제1 리빈 공간에 수납된 물품을 판독한 제2 컨테이너에 수납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842)를 표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may display a message (842) requesting that the items stored in the first living space be stored in the second container after reading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가 복수의 상위 리빈 공간에 대한 피딩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 피딩 작업자의 피딩 작업을 위한 이동 루트를 최적화 하여야 피딩 작업자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딩 작업을 수행할 리빈 공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를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을 수행할 순서는 리빈 공간 마다 할당된 우선 순위 정보 및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는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의 GPS 정보,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가 최근에 판독한 라벨에 대응되는 위치에 대한 정보,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의 통신 정보 등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a feeding worker must perform a feeding task for a plurality of upper living spac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lated information to the feeding worker in order to optimize the movement route for the feeding task of the feeding wor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ask management device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indicating the order of living spaces in which the feeding task is to be performed to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rder in which the feeding task is to be performed may be determined based on priority information assigned to each living space and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feeding worker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that can specify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such as GP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information abou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a label recently read by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예를 들면, 제1 리빈 공간이 제1 우선 순위를 가지고, 제2 리빈 공간 및 제3 리빈 공간이 제1 우선 순위보다 낮은 제2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경우, 제1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가 가장 우선하여 표시되고, 그 다음으로 제2 리빈 공간 및 제3 리빈 공간 중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더 가까운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가 상대적으로 우선하여 표시(예를 들면, 제1 리빈 공간에 가까운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first living space has the first priority, and the second living space and the third living space have second priorities lower than the first priority, information about the first living space may be displayed with the highest priority, and then information about the living space that is closer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feeding worker's terminal among the second living space and the third living space may be displayed with relatively higher priority (e.g., arranged at a location closer to the first living space).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는 리빈 작업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 중 우선 순위가 동일한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서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우선순위가 동일한 복수의 리빈 공간들은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가까운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a living space having the same priority among at least one living space where the living work has been completed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living spaces having the same priority may be displayed in order of proximity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로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피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최적의 이동 루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피딩 작업자가 단말기에 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루트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리빈 공간으로 우선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딩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feeding work b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n optimal movement route for performing the feeding work based on priority information to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thereby allowing the feeding worker to move to a living space with a high priority in accordance with the optimal route based on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erminal.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필먼트 센터의 피딩 구역에서 수행되는 피딩 작업 과정에서, 리빈 작업이 완료된 리빈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9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user interface displayed on a terminal of a feeding worker when there is no re-bin space where re-bin work has been completed during a feeding operation performed in a feeding area of a fulfillment cen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가 단말기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피딩 작업을 수행함을 선택하면,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는 피딩 작업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을 포함하는 상위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라는 화면(910)을 표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a feeder operator selects to perform a feeding operation via a user interface displayed on a terminal, the feeder operator's terminal may display a screen (910) prompting the operator to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n upper living space that includes at least one living space from which the feeding operation is to be performed.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한 라벨에 대응되는 상위 리빈 공간에 리빈 작업이 완료된 리빈 공간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에는 판독된 상위 리빈 공간에 리빈 작업이 완료된 리빈 공간이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화면(920)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에는 판독된 상위 리빈 공간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위 리빈 공간을 추가/변경/삭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922)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는 단말기에 표시된 상위 리빈 공간을 추가/변경/삭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다른 상위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함으로써 리빈 작업이 완료된 리빈 공간에 대한 피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f the upper living space corresponding to the label read by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does not include a living space for which the living work has been completed,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may display a screen (920) includ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read upper living space does not include a living space for which the living work has been comple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may be provided with an interface (922) includ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read upper living space and an object providing a function for adding/changing/deleting the upper living sp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eeding worker may perform a feeding task for a living space for which the living work has been completed by selecting the object providing the function for adding/changing/deleting the upper living space displayed on the terminal and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another upper living space.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리빈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가 리빈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작업 관리 장치(100)는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로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면, 표시될 에러메시지에 포함될 컨텐츠 및/또는 에러메시지를 표시하라는 단순 지시 정보 등)를 전송하여 피딩 작업자의 단말기에 판독한 라벨에 대응되는 리빈 공간이 아직 리빈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것임을 나타내는 메시지(932)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30)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아직 리빈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리빈 공간의 물품이 패킹 구역으로 운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풀필먼트 센터에서의 아웃바운드 작업의 오류를 줄이고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receiv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label corresponding to a rebin space received from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has been read, and may confirm whether a label corresponding to a rebin space in which rebin work has not been completed has been rea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 rebin space in which rebin work has not been completed,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for displaying an error message to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e.g., content to be included in an error message to be displayed and/or simple instruction information to display an error message, etc.) so as to cause the terminal of the feeding worker to display a user interface (930) including a message (932) indicating that a rebin space corresponding to the read label has not yet completed a rebin work.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goods in a rebin space in which rebin work has not yet been completed from being transported to a packing area, thereby reducing errors in outbound work at a fulfillment center and improving work efficiency.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필먼트 센터의 패킹 구역에서 수행되는 패킹 작업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0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types of packing work performed in a packing area of a fulfillment cen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S1000단계에서 패킹 구역 내의 복수의 패킹 공간 중 하나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S1000단계는 선택적인 단계로서 작업 관리 장치(100)가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소정의 패킹 공간에 고정하여 설치된 PC나 PDA와 같은 전자 장치인 경우이거나 또는 단말기의 사용자가 패킹 작업에 할당된 작업자인 것으로 단말기에서 자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경우(예를 들면, 단말기의 사용자가 패킹 작업을 수행할 것임을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 작업 관리 장치(100)가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없이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는 복수의 패킹 공간 중 하나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for displaying a message to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one of a plurality of packing spaces within the packing area to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in step S1000. Step S1000 is an optional step, and the process of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transmitting a message to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may be omitted as needed. For example, if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is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C or PDA that is fixedly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acking space, or if the user of the terminal can determine on its own that it is a worker assigned to the packing task (for example, the user of the terminal selects through a user interface of the terminal that he will perform the packing task),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may display information for displaying a message to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one of the plurality of packing spaces without the process of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transmitting a message to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indicating that various types of labels have been read from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일 실시예에 따라 S1002단계에서 작업 관리 장치(100)는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제2 컨테이너 또는 상위 리빈 공간 중 하나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컨테이너 또는 상위 리빈 공간 중 하나에 대응되는 라벨이 판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step S1002,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one of the second container or the upper living space, and can confirm that the label corresponding to one of the second container or the upper living space has been read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상위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S1005), 작업 관리 장치(100)는 상위 리빈 공간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 중 하나 또는 단일 리빈 공간에 수납된 제3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 중 하나 또는 단일 리빈 공간에 수납된 제3 컨테이너 중 어떤 라벨을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upper living space (S1005),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one of at least one living space included in the upper living space or a third container stored in a single living space, and can determine which label of one of the at least one living space or a third container stored in the single living space has been read by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컨테이너는 단일 리빈 공간에 할당되는 컨테이너이긴 하나, 제3 컨테이너에는 복수의 패킹 물품이 할당될 수도 있다. 즉, 리빈 작업자는 제3 컨테이너에 패킹 물품을 수납할 여분의 공간이 있다면 복수의 패킹 물품을 제3 컨테이너에 수납하여 단일 리빈 공간에 할당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3 컨테이너에 포함된 복수의 패킹 물품 각각은 추후 패킹 과정에서 개별적인 패키지에 나눠져서 포장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hird container is a container allocated to a single rebin space, but the third container may be allocated multiple packing items. That is, if the rebin operator has extra space in the third container to store packing items, the third container may be allocated to a single rebin space by storing multiple packing items in the third container, and each of the multiple packing items contained in the third container may be divided into individual packages and packed during a later packing process.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 중 하나의 리빈 공간을 판독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S1007), 작업 관리 장치(100)는 판독된 리빈 공간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에 대응하는 라벨을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에 대응하는 라벨을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it is confirmed that at least one of the living spaces has been read (S1007),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receiv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packing item stored in the read living space, and can confirm that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packing item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라 단일 리빈 공간에 수납된 제3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S1007),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제3 컨테이너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에 대응하는 라벨을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3 컨테이너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에 대응하는 라벨을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S1004 단계). In one embodiment, when it is confirmed that a label corresponding to a third container stored in a single living space has been read (S1007),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receiv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packing item stored in the third container, and can confirm that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packing item stored in the third container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step S1004).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S1003),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제2 컨테이너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패킹 물품에 대응하는 라벨을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S1004 단계). In another embodiment, if it is confirmed that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step S1003),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confirm that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packing item stored in the second container (step S1004).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컨테이너 및 제3 컨테이너는 특정 위치에 고정된 리빈 공간과는 달리 이동 가능한 수납 공간이라는 점에서 패킹 작업 시 서로 구분되게 취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ontainer and the third container need to be handl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during packing operations, as they are movable storage spaces, unlike living spaces that are fixed to a specific location.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컨테이너란 복수의 패킹 물품을 수납하고 있던 리빈 공간에 대한 피딩 작업을 통해 패킹 구역으로 운반된 컨테이너로 이해될 수 있고, 제3 컨테이너란 하나의 패키지에 단일의 패킹 물품만을 패킹하기 위하여 단일 리빈 공간에 할당된 것으로서 패킹 작업자가 직접 이동하여 패킹 구역으로 운반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로 이해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container may be understood as a container transported to the packing area through a feeding operation for a rebin space that was storing a plurality of packing items, and the third container may be understood as a container allocated to a single rebin space for packing only a single packing item in a single package and which can be directly moved by a packing worker and transported to the packing area.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제3 컨테이너는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위 리빈 공간에 할당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위 리빈 공간에 포함되는 개별적인 리빈 공간에는 할당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리빈 작업에 의해 패킹 물품 하나 당 하나의 패키지에 패킹하여야 하는 물품들끼리 수납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제3 컨테이너가 할당되는 상위 리빈 공간은 단일 리빈 공간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manage that the third container is allocated to at least one predetermined upper living space and is not allocated to an individual living space included in the upper living sp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pper living space to which the third container is allocated as a space for storing items that need to be packed into one package per packing item by the living work can be referred to as a single living space.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컨테이너는 제2 컨테이너보다 더 큰 수납 공간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컨테이너는 토트일 수 있고, 제2 컨테이너는 트레이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hird container may have a larger storage space than the second container. For example, the third container may be a tote and the second container may be a tray.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S1004 단계 및 S1008 단계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피딩 작업을 통해 패킹 구역으로 운반된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는지, 아니면 패킹 작업자가 상위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고, 상위 리빈 공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이나 제3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한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 관리 장치(100)는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판독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판독된 라벨에 대응되는 공간에 수납된 물품을 포장할 포장 용기에 대응되는 라벨을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확인하고(S1010단계), 포장 용기에 부착할 운송장에 대응되는 라벨을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확인(S1012 단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풀필먼트 센터에 패킹 구역에서 배송 구역으로 포장 용기를 운반할 수 있는 컨베이어가 구비된 경우, 작업 관리 장치(100)는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컨베이어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배송 구역에서 배송 작업자가 컨베이어를 통해 운반된 포장 용기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여, 운송장이 부착된 포장 용기를 컨베이어를 통해 운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check whether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has read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transported to the packing area through the feeding operation in steps S1004 and S1008, or whether the packing worker has read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upper rebin space and read the labe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rebin space or the third container included in the upper rebin space. Nex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check, based on the read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whether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has read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packaging container to be packed with the goods stored in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read label (step S1010), and whether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has read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waybill to be attached to the packaging container (step S1012). In one embodiment, if a fulfillment center is equipped with a conveyor capable of transporting a packaging container from a packing area to a delivery area,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confirm that a packaging container with a waybill attached has been transported via the conveyor by receiv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terminal of a packing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conveyor and/or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delivery worker in the delivery area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 packaging container transported via the conveyor.

도 11a 내지 도 11h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킹 작업의 종류 중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패킹 작업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1a 내지 도 11h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수행된 피딩 작업을 거쳐 패킹 구역으로 운반된 패킹 물품들을 포장하는 과정에서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를 통해 패킹 물품, 포장 용기, 운송장 등의 라벨을 판독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을 수행함에 따라 획득된 정보를 작업 관리 장치(100)가 수신하여 이들 간의 연관 관계를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작업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한 것이다.FIGS. 11A to 11H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low of a packing operation performed by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a rebin space among the types of packing operatio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s displayed in FIGS. 11A to 11H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re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a function of reading labels of packing goods, packing containers, waybills, etc. through a terminal of a packing worker during the process of packing packing goods transported to a packing area through a feeding operation performed through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obtained when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performs reading through the user interface displayed on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can be received by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them. At least some of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 interface displayed on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도 11a를 참조하면,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는 패킹 작업을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10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는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100)를 통해 상위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할 것인지 아니면 패킹 구역으로 운반되어온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100) 상에서 상위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할 것임을 선택(1102)하여 상위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한 경우,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에는 도 11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10)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1110)는 패킹 작업의 순서 및 현재 수행 중인 패킹 작업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1104)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는 정보(1104)에 포함되는 내용을 패킹 작업자가 패킹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수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패킹 작업자가 상위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a,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1100) for initiating a packing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acking worker may determine, through the user interface (1100)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whether to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upper rebin space or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transported to the packing are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packing worker selects (1102) to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upper rebin space on the user interface (1100) and reads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upper rebin space,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may display the user interface (1110) of FIG. 11b.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 (1110) may include information (1104) indicating the order of the packing operation and the order of the packing operation currently being performed, and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may modify and display the content included in the information (1104) as the packing worker performs the packing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indicating that the packing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upper rebin space.

도 11b가 도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10)는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가 도 11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위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한 경우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는 단말기에 표시된 도 11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10)를 통해,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한 상위 리빈 공간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거나 또는 판독한 상위 리빈 공간에 할당된 제3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가 상위 리빈 공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는 것을 선택(1112)하면, 패킹 작업자는 단말기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 중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한 상위 리빈 공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 중 리빈 작업이 완료된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 및/또는 리빈 공간의 우선 순위 정보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는 작업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패킹 작업자가 패킹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판독할 수 있는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1114)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판독할 수 있는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1114)는 우선 순위 정보가 반영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리빈 작업이 완료된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를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하는 방식은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식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패킹 작업자가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1110) illustrated in FIG. 11b may be display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a packing worker reads a label corresponding to an upper rebin space through the user interface of FIG. 11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acking worker may select, through the user interface (1110) of FIG. 11b displayed on the terminal, to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rebin space allocated to the upper rebin space read by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or to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 third container allocated to the read upper rebin sp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packing worker selects (1112) to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rebin space included in the upper rebin space, the packing worker may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 first rebin space among the at least one rebin space through th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a re-bin space in which re-bin work has been completed among at least one re-bin space included in the upper re-bin space read by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and/or priority information on the re-bin space to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may display information (1114) on a re-bin space that the packing worker can read to perform the packing 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formation (1114) on the re-bin space that can be read may be displayed by reflecting the priority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on a re-bin space in which re-bin work has been completed based on the priority information may be a method described in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receiv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acking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bin space from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도 11c가 도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20)는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가 도 11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한 경우 표시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1120) illustrated in FIG. 11c may be displayed when a packing worker reads a label corresponding to a first rebin space through the user interface of FIG. 11b,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는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물품에 대한 정보(1122)를 작업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패킹 물품에 대한 정보(1122)는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패킹 물품의 이름,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패킹 물품의 식별자,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패킹 물품의 수량,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패킹 물품의 특성을 나타내는 플래그(깨지기 쉬움, 신선 식품, 냉장 식품, 냉동 식품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1120)는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패킹 물품에 대한 정보(1122)와 함께, 제1 리빈 공간의 식별자,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패킹물품의 개수,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패킹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용기의 종류,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패킹 물품의 배송을 위한 운송장에 대한 식별자를 더 표시(1124)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1c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20)는 제1 리빈 공간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1126)를 도 11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10)에서 판독할 수 있는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1114)가 표시된 구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재 물품의 라벨을 판독할 리빈 공간이 제1 리빈 공간임을 강조하여 표시함으로써 패킹 작업에서 발생될 수 있는 휴먼 에러를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may receive and display information (1122) about items assigned to the first living space from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formation (1122) about the packing items assigned to the first living spac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name of the packing items assigned to the first living space, an identifier of the packing items assigned to the first living space, a quantity of the packing items assigned to the first living space, and a flag indicating a characteristic of the packing items assigned to the first living space (fragile, fresh food, refrigerated food, frozen food, etc.).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 (1120) may further display (1124) an identifier of the first living space, the number of packed items allocated to the first living space, a type of a packaging container for packing the packed items allocated to the first living space, and an identifier for a waybill for shipping the packed items allocated to the first living space, together with information (1122) about the packed items allocated to the first living sp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 (1120) of FIG. 11c may display information (1126) indicating the identifier of the first living space in a region where information (1114) about the living space that can be read in the user interface (1110) of FIG. 11b is displayed. This can reduce human errors that may occur in a packing operation by emphasizing that the living space where the label of the current item is to be read is the first living space.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는 단말기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120)를 통해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패킹 물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함으로써 패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의 패킹 물품의 라벨에 대한 판독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packing worker can perform a packing task by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a packing item assigned to a first living space through a user interface (1120) displayed on a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task management device (100) can receive information obtained by reading the label of the packing item on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도 11d가 도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30)는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가 도 11c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패킹 물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한 경우 표시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1130) illustrated in FIG. 11d may be display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a packing worker reads a label corresponding to a packing item assigned to a first rebin space through the user interface of FIG. 11c.

일 실시예에 따라 판독된 라벨에 대응되는 제1 패킹 물품이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물품인 경우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는 제1 패킹 물품에 대한 정보(1132)(예를 들면, 제1 패킹 물품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3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패킹 물품에 대한 정보(1132)는 도 11c의 제1 리빈 공간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1126)가 표시된 구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는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제1 패킹 물품의 개수에 따라 동일한 종류의 패킹 물품을 복수 회 판독할 수 있고,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는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제1 패킹 물품의 라벨이 판독된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30)를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f the first packing article corresponding to the read label is an article allocated to the first living space,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1130) including information (1132) about the first packing article (e.g., image information of the first packing art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formation (1132) about the first packing article may be displayed in a region where information (1126) indicating an identifier of the first living space of FIG. 11C is display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may read the same type of packing article multiple tim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first packing articles allocated to the first living space, and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1130)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labels of the first packing articles allocated to the first living space that have been read.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모든 패킹 물품을 판독한 경우,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는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모든 물품을 판독하였음 및 다음 패킹 작업을 나타내는 정보(1142)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4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는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모든 패킹 물품을 판독한 다음 포장할 포장 용기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1142)는 제1 리빈 공간에 핼당된 모든 패킹 물품이 판독되었으므로 다음 패킹 작업으로서 포장 용기의 라벨을 판독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has read all the packing items assigned to the first rebin space,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1140) including information (1142) indicating that all the items assigned to the first rebin space have been read and a next packing tas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may read all the packing items assigned to the first rebin space and then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 packing container to be pack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ed information (1142) may include a message instructing to read the label of the packing container as the next packing task since all the packing items assigned to the first rebin space have been read.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모든 물품을 판독하였음 및 다음 패킹 작업을 나타내는 정보(1142)가 표시된 후,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는 포장 용기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15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모든 패킹 물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확인한 후,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포장 용기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fter all items assigned to the first living space have been read and information (1142) indicating the next packing operation is displayed,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1150) for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packing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fter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onfirms that the labels corresponding to all packing items assigned to the first living space have been read,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may receiv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packing container from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는 포장 용기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한 후 포장 용기에 부착할 운송장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16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운송장은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모든 패킹 물품이 판독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인쇄될 수 있고,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는 인쇄된 운송장에 포함된 라벨을 판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운송장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확인한 후, 운송장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판독된 패킹 물품, 판독된 포장 용기 및 판독된 운송장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1160) for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a packing container and then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a waybill to be attached to the packing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waybill may be printed when it is confirmed that all packing items allocated to the first living space have been read, and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may read a label included in the printed waybi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receiv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waybill has been read from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after confirming that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waybill has been rea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may match and store the read packing items, the read packing container, and the read waybill.

일 실시예에 따라 풀필먼트 센터에 패킹 구역으로부터 배송 구역으로 포장 용기를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가 구비된 경우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는 라벨이 판독된 운송장이 부착된 포장 용기를 컨베이어에 올려놓으라는 메시지(1172)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70)를 표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f the fulfillment center is equipped with a conveyor for transporting packaging containers from a packing area to a shipping area,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1170) including a message (1172) to place a packaging container with a readable waybill attached on the conveyor.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는 포장 용기를 올려놓은 컨베이어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는 포장 용기를 올려놓은 컨베이어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포장 용기가 판독된 컨베이어를 통해 패킹 구역에서 배송 구역으로 반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can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conveyor on which the packaging container is plac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can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conveyor on which the packaging container is placed, and can confirm that the packaging container has been transported from the packing area to the delivery area through the conveyor on which the packaging container was read.

도 12a 내지 도 12f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킹 작업의 종류 중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패킹 작업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12A to 12F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flow of a packing operation performed by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a container among the types of packing operatio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2a를 참조하면,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는 패킹 작업을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21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는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210)를 통해 패킹 구역으로 운반되어온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210) 상에서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할 것임을 선택(1212)하여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한 경우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에는 도 12c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가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A,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1210) for initiating a packing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acking worker may determine whether to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 second container that has been transported to the packing area through the user interface (1210)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packing worker selects (1212) to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on the user interface (1210) and reads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1230) of FIG. 12C.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10) 상에서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할 것임을 선택(1212)하여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ask management device (100) may select (1212) to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 second container on the user interface (1210) and receiv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has been read.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가 도 12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10)를 통해 상위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한 경우 도 12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20)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는 단말기에 표시된 도 12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20)를 통해,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한 상위 리빈 공간에 할당된 제3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가 상위 리빈 공간에 포함된 제3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는 것을 선택(1222)한 경우,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에는 도 12c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가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a packing worker reads a label corresponding to an upper rebin space through the user interface (1210) of FIG. 12a, a user interface (1220) of FIG. 12b may be display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acking worker may select to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 third container allocated to the upper rebin space read by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1220) of FIG. 12b displayed on th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packing worker selects (1222) to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 third container included in the upper rebin space, a user interface (1230) of FIG. 12c may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20) 상에서 제3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할 것임을 선택(1222)하여 제3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ask management device (100) may select (1222) to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 third container on the user interface (1220) and receiv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third container has been read.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컨테이너는 단일의 패킹 물품을 수납하는 토트 등과 같은 수납 공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2a에서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210)를 통해 라벨이 판독된 상위 리빈 공간에는 하나의 패키지에 단일의 패킹 물품만을 패킹하도록 결정된 패킹 물품들이 수납되도록 미리 결정된 별도의 공간(즉, 단일 리빈 공간)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고, 제3 컨테이너는 판독된 상위 리빈 공간의 별도의 공간에 할당된 컨테이너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hird container may be a storage space, such as a tote, for storing a single packed item. In one embodiment, the upper living space, whose label is read through the user interface (1210) illustrated in FIG. 12a,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space (i.e., a single living space) predetermined for storing packed items determined to pack only a single packed item in one package, and the third container may be a container assigned to a separate space in the read upper living space.

도 12c는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제2 컨테이너 또는 제3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를 도시한다. FIG. 12c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1230) that may be displayed when a packing worker's terminal reads a label corresponding to a second container or a third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는 단말기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를 통해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패킹 물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함으로써 패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장치(100)는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의 패킹 물품의 라벨에 대한 판독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packing worker can perform a packing task by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a packing item assigned to a first living space through a user interface (1230) displayed on a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task management device (100) can receive information obtained by reading the label of the packing item on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는 제2 컨테이너 또는 제3 컨테이너에 할당된 물품에 대한 정보(1232)를 작업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컨테이너 또는 제3 컨테이너에 할당된 패킹 물품에 대한 정보(1232)에는 제2 컨테이너 또는 제3 컨테이너에 할당된 패킹 물품의 이름, 제2 컨테이너 또는 제3 컨테이너에 할당된 패킹 물품의 수량, 제2 컨테이너 또는 제3 컨테이너에 할당된 패킹 물품의 식별자, 제2 컨테이너 또는 제3 컨테이너에 할당된 패킹 물품의 특성을 나타내는 플래그(깨지기 쉬움, 신선 식품, 냉장 식품, 냉동 식품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컨테이너에는 단일의 패킹 물품만 포함되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에 포함된 패킹 물품에 대한 정보(1232)로서 패킹 물품의 수량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에는 제2 컨테이너 또는 제3 컨테이너에 할당된 패킹 물품에 대한 정보(1232)와 함께, 제2 컨테이너 또는 제3 컨테이너의 식별자, 제2 컨테이너 또는 제3 컨테이너에 할당된 패킹 물품의 개수, 제2 컨테이너 또는 제3 컨테이너에 할당된 패킹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용기의 종류, 제2 컨테이너 또는 제3 컨테이너에 할당된 패킹 물품의 배송을 위한 운송장에 대한 식별자를 더 표시(1234)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may receive and display information (1232) about items assigned to the second container or the third container from the work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formation (1232) about the packing items assigned to the second container or the third container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name of the packing items assigned to the second container or the third container, the quantity of the packing items assigned to the second container or the third container, the identifier of the packing items assigned to the second container or the third container, and a flag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cking items assigned to the second container or the third container (fragile, fresh food, refrigerated food, frozen food, etc.). According to one embodiment, since the third container includes only a single packing item, the quantity of the packing item may be omitted as the information (1232) about the packing items included in the user interface (12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 (1230) may further display (1234) information about packing goods assigned to the second container or the third container, along with an identifier of the second container or the third container, a number of packing goods assigned to the second container or the third container, a type of a packing container for packing the packing goods assigned to the second container or the third container, and an identifier for a waybill for delivery of the packing goods assigned to the second container or the third container.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는 제2 컨테이너 또는 제3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패킹 작업의 종류 및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1236)를 변경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2c를 살펴보면, 도 12a 또는 도 12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10, 1220)를 통해 제2 컨테이너 또는 제3 컨테이너를 판독한 경우 도 12a 또는 도 12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10, 1220)에 포함되어 있었던 패킹 작업의 종류 및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에서 상위 리빈 공간 및 리빈 공간에 대한 판독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거한 패킹 작업의 종류 및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1236)가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1230) that changes information (1236) indicating the type and order of packing operations in response to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or the third container. Referring to FIG. 12C, when the second container or the third container is read through the user interface (1210, 1220) of FIG. 12A or FIG. 12B, information (1236) indicating the type and order of packing operations may be displayed in which information regarding the reading process for the upper living space and the living space is removed from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and order of packing operations included in the user interface (1210, 1220) of FIG. 12A or FIG. 12B.

도 12d는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제2 컨테이너 또는 제3 컨테이너에 할당된 모든 패킹 물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한 경우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40)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는 도 12d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240)를 통해 제2 컨테이너 또는 제3 컨테이너에 할당된 패킹 물품을 포장할 포장 용기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할 수 있다. 도 12d에서 도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40)에 대한 특징은 상술한 도 11e 및/또는 도 11f에서 도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40 및/또는 1150)에 대한 특징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G. 12d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1240) displayed when a terminal of a packing worker reads a label corresponding to all packing items assigned to a second container or a third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can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 packing container to be packed with packing items assigned to a second container or a third contain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1240) illustrated in FIG. 12d. Since the features of the user interface (1240) illustrated in FIG. 12d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features of the user interface (1140 and/or 1150) illustrated in FIG. 11e and/or FIG. 11f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2e는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가 포장 용기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한 후 포장 용기에 부착할 운송장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250)를 도시한다. 도 12e에서 도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50)에 대한 특징은 상술한 도 11g에서 도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60)에 대한 특징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G. 12e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1250) for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a waybill to be attached to a packaging container after a terminal of a packing worker reads a label corresponding to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eatures of the user interface (1250) illustrated in FIG. 12e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features of the user interface (1160) illustrated in FIG. 11g described above,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2f는 일 실시예에 따라 풀필먼트 센터에 패킹 구역으로부터 배송 구역으로 포장 용기를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가 구비된 경우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는 라벨이 판독된 운송장이 부착된 포장 용기를 컨베이어에 올려놓으라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60)를 도시한다. 도 12f에서 도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60)에 대한 특징은 상술한 도 11h에서 도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70)에 대한 특징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G. 12f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1260) including a message for a terminal of a packing worker to place a packing container with a readable waybill attached on the conveyor when a fulfillment center is equipped with a conveyor for transporting a packing container from a packing area to a shipping are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eatures of the user interface (1260) illustrated in FIG. 12f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features of the user interface (1170) illustrated in FIG. 11h described above,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 과정에서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출고 오류 신고 기능을 제공하는 오브젝트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출고 오류 신고 기능은 도 11a 내지 도 11h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패킹 작업 과정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은 다양한 오류 동작에 대한 신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모든 패킹 물품의 라벨이 판독되었음을 만족하였음에도 운송장이 인쇄되지 않는 경우, 패킹 작업자는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40)에 포함된 출고 오류 신고 오브젝트(1144)를 선택함으로써 운송장을 재출력하기 위한 기능을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에서 실행할 수 있다. 피딩 작업이 제공되지 않았던 종래에는 패킹 작업자가 상위 리빈 공간으로 직접 이동하여 리빈 공간에 할당된 패킹 물품을 패킹 구역으로 운반하여야 했으나, 피딩 작업이 제공되는 풀필먼트 센터의 경우 패킹 작업자는 리빈 구역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종래에 운송장을 재출력하기 위해 패킹 작업자가 리빈 구역으로 이동하여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다시 판독해야 했으나,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패킹 작업자가 리빈 구역으로 이동하지 않고 패킹 구역 내에서 운송장을 재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피딩 작업이 추가된 풀필먼트 센터 내에서 패킹 작업자의 패킹 작업의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user interface displayed on a terminal of a packing worker during a packing operation may include an object that provides a shipping error reporting fun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hipping error reporting function may include a reporting function for various error operations that do not operate normally during the packing operation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FIGS. 11A to 11H. For example, if a waybill is not printed even though it is satisfied that the labels of all packing items assigned to a first rebin space have been read, the packing worker may execute a function for reprinting the waybill on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by selecting a shipping error reporting object (1144) included in a user interface (1140) displayed on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In the past, when a feeding operation was not provided, a packing worker had to move directly to an upper rebin space and transport packing items assigned to the rebin space to a packing area. However, in the case of a fulfillment center where a feeding operation is provided, the packing worker does not need to move to the rebin area. Therefore, while in the past, in order to reprint a waybill, a packing worker had to move to the rebin area and re-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rebin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providing a function for reprinting a waybill within the packing area without the packing worker moving to the rebin area, the efficiency of the packing work of the packing worker within a fulfillment center with an added feeding operation can be improved.

일 실시예에 따라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패킹 작업자가 현재 수행 중인 패킹 작업에 대한 전체 취소 기능을 제공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송장이 정상적으로 출력되었음에도 패킹 작업을 완료하지 못하는 오류가 발생한 경우,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에 포함된 패킹 작업에 대한 전체 취소 기능을 제공하는 오브젝트(1238)를 선택함으로써 특정 리빈 공간에 대한 패킹 작업을 재시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패킹 작업자가 제3 컨테이너에 대한 패킹 작업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대한 패킹 작업을 개시하길 원하는 경우 패킹 작업자의 단말기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에 포함된 패킹 작업에 대한 전체 취소 기능을 제공하는 오브젝트(1238)를 선택함으로써 제3 컨테이너에 대한 패킹 작업은 종료하고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대한 패킹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 displayed on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may include an object that provides a function for complete cancellation of the packing operation currently being performed by the packing worker. For example, if an error occurs that prevents the packing operation from being completed even though the waybill is normally printed, the packing operation for a specific rebin space may be restarted by selecting an object (1238) that provides a function for complete cancellation of the packing operation included in the user interface (1230) displayed on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In another example, if the packing worker wishes to initiate the packing operation for at least one rebin space during the packing operation for the third container, the packing operation for the third container may be terminated and the packing operation for at least one rebin space may be started by selecting an object (1238) that provides a function for complete cancellation of the packing operation included in the user interface (1230) displayed on the terminal of the packing worker.

상기에서 설명한 본 개시에 대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컴퓨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으로 실행될 때, 본 개시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for execution on a computer. That is,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that causes a computer to perform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of a computer. When executed as a program, the constituent mean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code segments that execute necessary tasks. The program or code segments can be stored in a processor-readable medium.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터 또는 컴퓨터에 포함된 프로세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or a processor included in a computer.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devices include ROM, RAM, CD-ROM, DVD±ROM, DVD-RAM, magnetic tape, floppy disk, hard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In addition, a computer- or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distributed to network-connected computer devices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전술한 개시 내용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above-described disclosure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ttached drawings, as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embodiments.

Claims (20)

전자 장치에서 풀필먼트 센터에서의 작업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풀필먼트 센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피킹(picking) 구역에서 제1 작업자에 의해 피킹된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포함하는 제1 컨테이너가 리빈(rebin) 구역에 도착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테이너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물품이 제2 작업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할당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 중 하나인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물품이 패킹(packing) 구역으로 운반될 제2 컨테이너에 제3 작업자에 의해 할당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컨테이너에 할당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대한 패킹 작업이 제4 작업자에 의해 완료됨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컨테이너에 할당됨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상기 제3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상기 제3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3 작업자에게 상기 제1 리빈 공간을 포함하는 상위 리빈 공간을 할당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작업자에게 상위 리빈 공간을 할당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3 작업자에게 상기 상위 리빈 공간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은 리빈셀(rebin cell)이고,
상기 상위 리빈 공간은 리빈월(rebin wall)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3 작업자가 상기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고 상기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는 피딩 작업을 상기 풀필먼트 센터에서 수행 가능한지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작업자에게 상기 제1 리빈 공간을 포함하는 상기 상위 리빈 공간을 할당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딩 작업을 상기 풀필먼트 센터에서 수행 가능한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수행되는, 방법.
In a method of managing work in a fulfillment center from an electronic device,
A step of confirming that a first container containing at least one item picked by a first worker in at least one picking area within the fulfillment center arrives at a rebin area;
A step of verifying that at least one item assigned to the first container is assigned to at least one rebin space by a second worker;
A step of verifying that at least one article assigned to a first living space, which is one of the at least one living space, is assigned by a third worker to a second container to be transported to a packing area; and
Including a step of confirming that the packing work for at least one article assigned to the second container is completed by the fourth worker;
The steps to confirm that it is assigned to the second container are:
A step of confirming that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has read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living space; and
Including a step of confirming that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has read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The above method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allocate the upper living space including the first living space to the third worker; and
If it is determined to allocate the upper living space to the third worker, the step of allocating the upper living space to the third worker is further included.
wherein at least one of the rebin spaces is a rebin cell,
The above upper rebin space is a rebin wall,
The above method,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setting whether the third worker can perform a feeding operation of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living space and reading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at the fulfillment center;
A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allocate the upper living space including the first living space to the third worker is performed when the feeding operation is set to be performable at the fulfillment cen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할당됨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테이너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대응되는 라벨을 상기 제2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라벨이 판독된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작업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the step of confirming that at least one living space is allocated is:
A step of confirming that the terminal of the second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item stored in the first container; and
A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living spac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article whose label has been read to the terminal of the second worker.
A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할당됨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테이너에 할당된 모든 물품에 대한 판독을 완료한 경우, 상기 제1 컨테이너에 대한 리빈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2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In the second paragraph, the step of confirming that at least one living space is allocated is:
A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rebinding work for the first container is completed to the terminal of the second worker when the reading of all items assigned to the first container is complet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할당됨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테이너에 할당된 복수의 물품이 복수의 리빈 공간에 나눠져서 할당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리빈 공간 및 상기 복수의 리빈 공간 각각에 할당되어야 하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과 구분되는 단일 리빈 공간으로 할당되어야 하는 물품의 경우, 상기 단일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In the second paragraph, the step of confirming that at least one living space is allocated is:
In a case where a plurality of items assigned to the first container are to be divided and assigned to a plurality of living spaces, a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plurality of living spaces and items to be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iving spaces to the terminal of the second worker; and
In the case of an item that must be allocated to a single living space that is distinct from at least one of the above living spaces, a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single living space to the terminal of the second worker
A method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할당됨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 각각에 대하여 할당된 물품이 모두 각 리빈 공간에 수납 완료됨으로써 리빈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리빈 작업이 완료된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3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the step of confirming that at least one living space is allocated is:
A step for confirming that the re-binding work is completed by completing the storage of all assigned items in each of the above at least one re-binding space; and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living space where the living work has been completed to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A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상기 제3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작업자의 단말기에 리빈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표시된 상기 제1 리빈 공간에 수납된 물품을 운반할 상기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제3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In the sixth paragraph, the step of confirming that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has read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living space is as follows:
A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for displaying a message to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to be transported with the goods stored in the first re-bin space, where the re-bin work is indicated to be completed on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A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상기 제3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작업자의 단말기가 상기 제1 리빈 공간에 대한 리빈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상기 제1 리빈 공간에 대응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작업자의 단말기에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In the 6th paragraph, the step of confirming that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has read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living space is:
A step of confirming that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has read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bin space for which the re-bin work for the first re-bin space has not been completed; and
Step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display an error message on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A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빈 작업이 완료된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3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리빈 작업이 완료된 리빈 공간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상기 제3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In the 6th paragraph,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living space where the living work is completed to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is,
A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priority information about the living space where the living work has been completed to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빈 작업이 완료된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3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결정된 리빈 공간보다 제1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결정된 리빈 공간으로 상기 제3 작업자가 우선하여 이동할 수 있는 루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3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우선 순위는 상기 제2 우선 순위보다 높은 우선 순위인, 방법.
In the 9th paragraph,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living space where the living work is completed to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is,
Based on the above priority information, the step of further including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a route by which the third worker can move to a living space determined to have a first priority rather than a living space determined to have a second priority to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A method wherein the first priority has a higher priority than the second priority.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작업자의 단말기는 상기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결정된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결정된 리빈 공간에 대한 정보보다 우선하여 표시하고,
복수의 리빈 공간이 상기 제2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3 작업자의 단말기는 중 상기 제3 작업자의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리빈 공간을 표시하는, 방법.
In Article 10,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living space determined to have the first priority based on the priority information, with priority over information about the living space determined to have the second priority.
A method wherein, when multiple living spaces are indicated as having the second priority,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indicates the multiple living spaces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작업자에게 상기 제1 리빈 공간을 포함하는 상기 상위 리빈 공간을 할당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작업자에게 복수의 상위 리빈 공간을 할당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allocate the upper living space including the first living space to the third worker is,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allocate multiple upper living spaces to the third work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작업이 완료됨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컨테이너가 운반된 패킹 구역의 상기 제4 작업자의 단말기가 상기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컨테이너에 수납되어 운반된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운반된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배송할 적어도 하나의 포장 용기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장 용기에 부착할 적어도 하나의 운송장을 판독하였음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the step of confirming that the packing work is completed is:
A step of confirming that the terminal of the fourth worker in the packing area where the second container was transported has read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A step of confirming that a labe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item stored and transported in the second container has been read;
A step of confirming that a labe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packaging container to be shipped with at least one of the above-mentioned transported goods has been read; and
A step of confirming that at least one waybill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above packaging containers has been read.
A method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테이너에 할당됨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패킹 구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패킹 공간 각각에서의 패킹 업무 로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패킹 공간 중 상기 제2 컨테이너가 운반될 패킹 공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킹 공간으로 상기 제2 컨테이너를 운반할 컨베이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the step of confirming that it is allocated to the second container is:
A step of determining a packing space in which the second container is to be transported among the plurality of packing spaces based on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second containers including the second container and information about a packing work loa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acking spaces included in the packing area; and
A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a conveyor to transport the second container to the packing spac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리빈 구역에서 상기 패킹 구역으로 상기 제2 컨테이너가 반출되는 컨베이어의 개수는 복수이고,
상기 패킹 구역으로 상기 제2 컨테이너를 운반할 컨베이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컨베이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3 작업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컨베이어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3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In Article 16,
The number of conveyors through which the second container is transported from the above-mentioned rebin area to the above-mentioned packing area is plural,
The step of determining a conveyor to transport the second container to the above packing area is:
A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above-determined conveyor to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and
A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indicating that a label corresponding to the conveyor determined above has been read.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구역으로 상기 제2 컨테이너를 운반할 컨베이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패킹 공간에서의 패킹 업무 로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 중에서 상기 패킹 구역으로 상기 제2 컨테이너를 운반할 컨베이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In the 17th paragraph, the step of determining a conveyor to transport the second container to the packing area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a conveyor to transport the second container to the packing area among the plurality of conveyors based on information about packing work loads in the plurality of packing spac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복수의 제2 작업자가 동시에 배치되는, 방법.
In paragraph 1,
A method wherein a plurality of second workers are simultaneously positioned in at least one of the above living spaces.
풀필먼트 센터에서의 작업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부;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송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장치가:
상기 풀필먼트 센터 내의 적어도 하나의 피킹 구역에서 제1 작업자에 의해 피킹된 적어도 하나의 물품을 포함하는 제1 컨테이너가 리빈 구역에 도착함을 확인하는 것;
상기 제1 컨테이너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물품이 제2 작업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에 할당됨을 확인하는 것;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 중 하나인 제1 리빈 공간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물품이 패킹 구역으로 운반될 제2 컨테이너에 제3 작업자에 의해 할당됨을 확인하는 것; 및
상기 제2 컨테이너에 할당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대한 패킹 작업이 제4 작업자에 의해 완료됨을 확인하는 것
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컨테이너에 할당됨을 확인하는 것은,
상기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상기 제3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확인하는 것, 및
상기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상기 제3 작업자의 단말기가 판독하였음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장치가:
상기 제3 작업자에게 상기 제1 리빈 공간을 포함하는 상위 리빈 공간을 할당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제3 작업자에게 상위 리빈 공간을 할당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3 작업자에게 상기 상위 리빈 공간을 할당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빈 공간은 리빈셀(rebin cell)이고,
상기 상위 리빈 공간은 리빈월(rebin wall)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장치가:
상기 제3 작업자가 상기 제1 리빈 공간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고 상기 제2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라벨을 판독하는 피딩 작업을 상기 풀필먼트 센터에서 수행 가능한지 여부를 설정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제3 작업자에게 상기 제1 리빈 공간을 포함하는 상기 상위 리빈 공간을 할당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피딩 작업을 상기 풀필먼트 센터에서 수행 가능한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수행되는, 장치.
For devices that manage work in fulfillment centers,
Transmitter and receiver;
memory; and
A device comprising a processor, wherein the processor performs a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based on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thereby:
Verifying that a first container containing at least one item picked by a first worker from at least one picking area within the fulfillment center arrives at the rebin area;
Ensuring that at least one item assigned to said first container is assigned to at least one rebin space by a second worker;
Verifying that at least one item assigned to a first living space, which is one of the at least one living space, is assigned by a third worker to a second container to be transported to the packing area; and
Confirming that the packing work for at least one item assigned to the second container is completed by the fourth worker.
To perform,
Confirming that it is assigned to the above second container,
Confirming that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has read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living space, and
Including confirming that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has been read by the terminal of the third worker;
The above processor causes the device to:
determining whether to allocate the upper living space including the first living space to the third worker; and
If it is decided to allocate the upper living space to the third worker, the upper living space is allocated to the third work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rebin spaces is a rebin cell,
The above upper rebin space is a rebin wall,
The above processor causes the device to:
To set whether the third worker can perform the feeding operation of reading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living space and reading the lab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ainer at the fulfillment center;
A device in which determining whether to allocate the upper living space including the first living space to the third worker is performed when the feeding operation is set to be performable at the fulfillment center.
KR1020220189021A 2022-12-29 2022-12-29 Method of managing work in fulfillment center and apparatus thereof Active KR1027092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9021A KR102709201B1 (en) 2022-12-29 2022-12-29 Method of managing work in fulfillment center and apparatus thereof
PCT/KR2023/001461 WO2024143661A1 (en) 2022-12-29 2023-02-01 Method for managing work at fulfillment center, and apparatus therefor
TW112149796A TW202431171A (en) 2022-12-29 2023-12-20 Method of managing work in fulfillment center and apparatus thereof
KR1020240126597A KR102824997B1 (en) 2022-12-29 2024-09-19 Method of managing work in fulfillment center and apparatus thereof
KR1020250081553A KR20250097776A (en) 2022-12-29 2025-06-20 Method of managing work in fulfillment center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9021A KR102709201B1 (en) 2022-12-29 2022-12-29 Method of managing work in fulfillment center and apparatus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26597A Division KR102824997B1 (en) 2022-12-29 2024-09-19 Method of managing work in fulfillment center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6287A KR20240106287A (en) 2024-07-08
KR102709201B1 true KR102709201B1 (en) 2024-09-25

Family

ID=9171825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9021A Active KR102709201B1 (en) 2022-12-29 2022-12-29 Method of managing work in fulfillment center and apparatus thereof
KR1020240126597A Active KR102824997B1 (en) 2022-12-29 2024-09-19 Method of managing work in fulfillment center and apparatus thereof
KR1020250081553A Pending KR20250097776A (en) 2022-12-29 2025-06-20 Method of managing work in fulfillment center and apparatus thereof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26597A Active KR102824997B1 (en) 2022-12-29 2024-09-19 Method of managing work in fulfillment center and apparatus thereof
KR1020250081553A Pending KR20250097776A (en) 2022-12-29 2025-06-20 Method of managing work in fulfillment center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3) KR102709201B1 (en)
TW (1) TW202431171A (en)
WO (1) WO2024143661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897B1 (en) * 2022-04-04 2022-08-10 쿠팡 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item picking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0151A (en) * 2007-05-11 2008-11-20 Sumitomo Heavy Ind Ltd Back-face picking system for automated warehouse
JP5380913B2 (en) * 2008-06-11 2014-01-08 株式会社寺岡精工 Picking system, picking system management device
AU2015287602B2 (en) * 2014-07-11 2019-07-25 Dematic Corp. Picking station with automated warehouse
US10997648B2 (en) * 2019-02-15 2021-05-04 Coupang Corp. System and method of sorting apparatus cell allocation for fast e-commerce order fulfill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897B1 (en) * 2022-04-04 2022-08-10 쿠팡 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item picking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6287A (en) 2024-07-08
KR102824997B1 (en) 2025-06-26
KR20240144031A (en) 2024-10-02
KR20250097776A (en) 2025-06-30
TW202431171A (en) 2024-08-01
WO2024143661A1 (en) 202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05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lling an order
US93466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order fulfillment
KR102390916B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managing transproting item on fulfillment center and information managing method thereof
US9613335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utomatic reorganization of pick slot assignments in a warehouse
KR102569843B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f logistic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logistics processing
KR102791817B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processing outbound information in fulfillment center and method thereof
WO2022057824A1 (en) Order processing and warehouse dispatch method, de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TWI857188B (en) Electronic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and its operation method
WO2021111806A1 (e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cceptance and delivery of products
KR102709201B1 (en) Method of managing work in fulfillment center and apparatus thereof
KR102687351B1 (en) Server for allocating robot to picking zone in precess of managing plurality of orders simultaneously, and system thereof
KR102559162B1 (en) Method for sorting goods in boxes in distribution centers and apparatus thereof
WO202219102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ystem
US12365542B2 (en) Server for allocating robot to picking zone in process of managing plurality of orders simultaneously, and system thereof
KR102830946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assigning items method thereof
KR20230166566A (en) Method of managing worker in fulfillment center and apparatus thereof
CN111861110A (en) Warehouse oper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computer equipment
KR1027134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llocation information
KR102807018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assigning items method thereof
KR102652830B1 (en) Method for guiding picking opera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KR20200020527A (en) Dynamic picking based ordered products packaging system and method
US20250209419A1 (en) Server and system for performing multi-order picking to allocate grouped orders to each loading box included in one robot
KR20250008834A (en) Electronic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 packing information and the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212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