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07386B1 - Cleaner st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leaner st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07386B1 KR102707386B1 KR1020220083884A KR20220083884A KR102707386B1 KR 102707386 B1 KR102707386 B1 KR 102707386B1 KR 1020220083884 A KR1020220083884 A KR 1020220083884A KR 20220083884 A KR20220083884 A KR 20220083884A KR 102707386 B1 KR102707386 B1 KR 1027073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 bag
- cleaner
- dust bag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7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31 harmfu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47L9/1436—Connecting plates, e.g. collars, end closures
- A47L9/1445—Connecting plates, e.g. collars, end closures with closure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47L9/1472—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combined with security means, e.g. for preventing use, e.g. in case of absence of the ba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81—Means for removing bags in suction cleaners, e.g. ejecting means; Means for exchanging ba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9—Means for monitoring filtering ope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1—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89—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systems, e.g. for prevention of motor over-heating or for protection of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청소기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결합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결합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 집진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먼지 집진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집진부는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 봉투, 상기 먼지 봉투를 수용하는 봉투 지지부 및 상기 봉투 지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 봉투를 감지하는 먼지 봉투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먼지 봉투에 포집된 먼지의 양이 소정 기준량 이상인 경우에는 접합기를 통하여 먼지 봉투를 접합시켜 청소기 스테이션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station, comprising: a housing; a coupling portion disposed in the housing and including a coupling surface 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a cleaner is coupled; a dust collecting portion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and disposed below the coupling portion for collecting dust inside a dust bin of the cleaner; and a dust collecting motor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and disposed below the dust collecting portion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for sucking up dust inside the dust bin; wherein the dust collecting portion includes a dust bag for storing dust, a bag support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dust bag, and a dust bag detection sensor disposed on the bag support portion for detecting the dust bag, such that when the amount of dust captured in the dust bag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unt, the dust bag can be joined through a jointer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st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분리하여 먼지 봉투에 포집하고, 먼지 봉투만을 비울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sta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vacuum cleaner sta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vacuum cleaner station capable of separating dust contained in the air, capturing it in a dust bag, and emptying only the dust bag,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vacuum cleaner station.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 청소기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n electrical appliance that sucks up small pieces of trash or dust by sucking in air and filling the dust bin inside the product. It is commonly called a vacuum cleaner.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및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se cleaners can be divided into manual cleaners that perform cleaning while the user moves the cleaner, and automatic cleaners that perform cleaning while driving on their own. Manual cleaners can be divided into canister-type cleaners, upright cleaners, handheld cleaners, and stick-type cleaners, depending on the type of cleaner.
가정용 청소기에서는 과거 캐니스터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먼지통과 청소기 본체를 일체로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In the past, canister-type vacuum cleaners were widely used for home vacuum cleaners, but recently, handheld vacuum cleaners and stick vacuum cleaners that provide the dust bin and vacuum cleaner body as one unit, which improves convenience, have been widely used.
캐니스티형 청소기는 본체와 흡입구가 고무호스나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흡입구에 솔을 끼어서 사용 가능하다.The canister-type vacuum cleaner has a main body and suction inlet connected by a rubber hose or pipe, and in some cases, a brush can be attached to the suction inlet for use.
핸디형 청소기(Hand Vacuum Cleaner)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앉아서 청소 영역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안과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Handheld vacuum cleaners are designed to maximize portability, and are light in weight but short in length, so the cleaning area can be limited when sitting down. Therefore, they are used to clean small areas such as desks, sofas, or inside cars.
스틱 청소기는 서서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넓은 영역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데 유리하다. 핸디형 청소기가 좁은 공간의 청소를 한다면, 스틱형은 그보다는 넓은 공간 청소를 할 수 있고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의 청소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틱 청소기를 모듈 타입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대상에 능동적으로 청소기 타입을 변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Stick vacuums can be used standing up, so you can clean without bending down. Therefore, they are advantageous for cleaning while moving around a wide area. While a handheld vacuum cleaner cleans narrow spaces, a stick vacuum cleaner can clean a wider space and can clean high places that are out of reach. Recently, stick vacuum cleaners are provided in a modular type, so you can actively change the vacuum cleaner type for various purposes.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가 사용되고 있다. 로봇 청소기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한다.In addition, robot vacuum cleaners that clean on their own without user intervention are being used recently. Robot vacuum cleaners automatically clean the area they want to clean by moving around the area on their own and sucking up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floor.
그러나, 종래의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와, 로봇 청소기는 집진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의 용량이 작아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handheld vacuum cleaners, stick vacuum cleaners, and robot vacuum cleaners have small dustbins that store collected dust, which is inconvenient for users to have to empty the dustbins every time.
또한, 먼지통을 비우게 되는 경우 먼지가 비산하여 사용자의 건강상 해로운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Additionally, there was a problem that when the dustbin was emptied, dust would fly around, which could have a harmful effect on the user's health.
또한, 먼지통의 잔존 먼지가 제거되지 않는 경우 청소기의 흡입력을 저하하는 문제가 있었다.Additionall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uction power of the vacuum cleaner was reduced if the remaining dust in the dustbin was not removed.
또한, 먼지통의 잔존 먼지가 제거되지 않는 경우 잔여물로 인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Additionally, there was a problem of bad odor caused by residue if the remaining dust in the dustbin was not removed.
선행특허문헌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KR10-2161708B1에는 먼지 봉투를 포함하는 스테이션을 개시하고 있다.As a prior art patent documen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KR10-2161708B1 discloses a station including a dust bag.
상기 선행특허문헌은, 청소기의 먼지통이 결합되는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스테이션에는 먼지 봉투가 배치된다. 이때, 먼지 봉투는 슬라이딩 홈을 따라 청소기의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고, 먼지 봉투의 외면은 공기가 투과되면서 필터링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된다.The above prior art patent document includes a station to which a dust bin of a vacuum cleaner is coupled, and a dust bag is arranged in the station. At this time, the dust bag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of the vacuum cleaner along a sliding groov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bag is composed of a material that allows air to pass through and be filtered.
그러나, 이와 같은 투과 또는 반투과성 먼지 봉투의 경우, 먼지 봉투 내부의 먼지가 먼지 봉투 밖으로 새어 나올 수 있고, 악취도 먼지 봉투 밖으로 새어 나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permeable or semi-permeable dust bags, there is a problem that dust inside the dust bag can leak out of the dust bag, and bad odors can also leak out of the dust bag.
또한, 선행특허문헌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KR10-2021-0019940A에는 청소기의 먼지통에 모인 먼지를 포집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개시하고 있다.In addition, as a prior art patent documen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KR10-2021-0019940A discloses a vacuum cleaner station that collects dust collected in the dust bin of a vacuum cleaner.
상기 선행특허문헌은, 공기 중의 먼지를 흡입하여 저장하는 청소기와 상기 먼지통에 저장된 먼지를 제거하도록 상기 먼지통과 결합되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는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기 먼지통 내의 이물질과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집진모터를 포함하며, 비닐봉투 타입의 먼지 집진부를 포함한다.The above prior art patent document includes a vacuum cleaner that sucks in dust from the air and stores it, and a vacuum cleaner station coupled with the dust bin to remove the dust stored in the dust bin, and the vacuum cleaner station includes a dust collector motor that sucks in foreign substances and internal air in the dust bin coupled to the vacuum cleaner station, and includes a dust collector of a vinyl bag type.
그러나, 상기의 청소기 스테이션은, 집진모터 작동 시 비닐봉투가 집진모터 쪽으로 당겨지면서 납작하게 찌그러질 수 있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vacuum cleaner station, when the dust collector motor is in operation, the plastic bag may be flattened as it is pulled toward the dust collector motor.
따라서, 상기의 청소기 스테이션은 집진모터 작동 시 비닐봉투의 내부 공간이 좁아지면서 먼지를 비닐봉투 내에 포집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Therefore, the above-mentioned vacuum cleaner station has difficulty in capturing dust inside the plastic bag as the internal space of the plastic bag becomes narrower when the dust collection motor is operating.
또한, 상기의 청소기 스테이션은 비닐봉투 내부의 먼지량을 측정하지 못한다.Additionally, the above vacuum station cannot measure the amount of dust inside the plastic bag.
따라서, 상기의 청소기 스테이션은 비닐봉투 내의 먼지량과 무관하게 비닐봉투를 접합하므로 미량의 먼지만 저장된 상태에서 비닐봉투를 낭비할 수 있다.Therefore, the above-mentioned vacuum cleaner station can waste plastic bags by attaching them regardless of the amount of dust inside the plastic bag, thereby storing only a small amount of dust.
또는, 비닐봉투에 먼지가 과다하게 포집된 상태에서 접합하여 비닐봉투가 터지거나 접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청소기 스테이션 내부에서 먼지가 비산하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lternatively, if the plastic bag is too full of dust and is joined, the plastic bag may burst or the joining may not be done properly, causing dust to fly inside the vacuum cleaner station.
또한, 비닐봉투가 접합되더라도 청소기 스테이션 내부에 잔존하는 한계가 있다.Additionally, even if the plastic bag is joined, there is a limit to how much it remains inside the cleaner station.
한편, 선행특허문헌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KR10-2021-0029583에는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는 청소기를 개시하고 있다.Meanwhile, as a prior art patent documen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KR10-2021-0029583 discloses a vacuum cleaner capable of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상기 청소기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포함하고, 발광 소자가 적외선을 먼지통에 조사하며 수광 소자가 출력한 전압 값을 통하여 먼지의 양을 판단할 수 있다.The above vacuum cleaner includes a light-emitting element and a light-receiving element, and the light-emitting element irradiates infrared rays into the dust bin, and the amount of dust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voltage value output by the light-receiving element.
그러나, 상기의 청소기는 먼지통 내의 먼지량만 판단할 수 있을 뿐, 이를 통하여 먼지통을 자동으로 비우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 above vacuum cleaner can only determine the amount of dust in the dustbin, and has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automatically empty the dustbin.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먼지가 집진되는 동안 먼지 봉투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station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vacuum cleaner sta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station capable of maintaining the shape of a dust bag while dust is collected.
또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집진모터 쪽으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먼지가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먼지 봉투에 포집될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leaner station in which dust can be separated from the air and captured in a dust bag during the process in which air containing dust flows toward a dust collecting motor.
또한, 사용자가 먼지 봉투를 직접 묶을 필요가 없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dditionally, it aim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station where the user does not need to tie the dust bag themselves.
또한, 사용자가 먼지 봉투만을 제거하여 먼지통을 비울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dditionally, it aims to provide a vacuuming station that allows the user to empty the dust bin by simply removing the dust bag.
또한, 먼지 봉투 내에 포집된 먼지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station capable of measuring the amount of dust captured within a dust bag.
또한, 먼지 봉투에 포집된 먼지의 양이 소정 기준량 이상인 경우에는 자동으로 먼지 봉투를 접합시켜 제거시킬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station that can automatically attach and remove a dust bag when the amount of dust captured in the dust bag exceeds a predetermined standard amount.
또한, 접합된 먼지 봉투가 청소기 스테이션 외부로 배출되지 않은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먼지 봉투를 배출시킬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leaner station that can notify the user when the joined dust bag is not discharged outside the cleaner station and cause the dust bag to be discharg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스테이션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청소기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결합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결합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 집진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먼지 집진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purpose,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a coupling portion disposed in the housing and including a coupling surface 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a cleaner is coupled; a dust collection portion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disposed below the coupling portion, and configured to capture dust inside a dust bin of the cleaner; and a dust collection motor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disposed below the dust collection portion,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suction force to suck up dust inside the dust bin.
이때, 상기 먼지 집진부는,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 봉투; 상기 먼지 봉투를 수용하는 봉투 지지부; 및 상기 봉투 지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 봉투를 감지하는 먼지 봉투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ust collection unit may include a dust bag for storing dust; a bag support for accommodating the dust bag; and a dust bag detection sensor disposed on the bag support and detecting the dust bag.
그리고, 상기 먼지 봉투 감지 센서는, 상기 먼지 봉투에 저장된 먼지의 양을 측정하는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dust bag detection sensor may include a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that measures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bag.
또한, 상기 먼지 봉투 감지 센서는, 상기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 봉투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2 먼지 봉투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ust bag detection sensor may include a second dust bag detection sensor, which is positioned below the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and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ust bag.
한편, 상기 봉투 지지부는, 지지부 본체; 상기 지지부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먼지 봉투를 운반하는 봉투 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envelope support may include a support body; an envelope extraction part that is movably accommodated in the support body and transports the dust bag;
또한, 상기 봉투 지지부는, 회전에 따라 상기 봉투 인출부와 접촉 지지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velope support part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that is supported by contact with the envelope withdrawal part according to rotation.
그리고, 상기 봉투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 본체 및 상기 봉투 인출부와 결합되고 상기 봉투 인출부를 직선 이동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velope support part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that is coupled to the support part body and the envelope extraction part and moves the envelope extraction part linearly.
한편, 상기 먼지 집진부는, 상기 먼지 봉투를 접합하는 접합기; 및 상기 스토퍼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봉투 배출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봉투 배출 액츄에이터는, 상기 접합기가 작동된 후 작동될 수 있다.Meanwhile, the dust collection unit further includes a jointer for jointing the dust bag; and a bag discharge actuator for apply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stopper; and the bag discharge actuator can be operated after the jointer is operat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지통 및 상기 먼지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출 커버를 포함하는 청소기와 결합하여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먼지 봉투로 집진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먼지 봉투에 저장된 먼지의 양을 감지하는 먼지량 감지 단계; 및 상기 먼지 봉투에 저장된 먼지의 양이 미리 설정된 기준 먼지량을 초과한 경우, 상기 먼지 봉투를 접합하는 봉투 접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a method for controlling a cleaner station that collects dust inside the dust bin into a dust bag, in combination with a cleaner including a dust bin and a discharge cover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dust bin, may include a dust amount detection step of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bag; and a bag joining step of joining the dust bag when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bag exceeds a preset reference dust amount.
한편,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은, 상기 봉투 접합 단계에서 접합된 상기 먼지 봉투를 배출하는 봉투 배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method of the vacuum cleaner 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ag discharge step for discharging the dust bag joined in the bag bonding step.
한편,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은, 상기 봉투 접합 단계에서 접합된 상기 먼지 봉투의 잔존 유무를 감지하는 봉투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method of the vacuum cleaner 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nvelope confirmation step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dust bag joined in the envelope joining step remains.
이때, 상기 봉투 확인 단계에서 접합된 상기 먼지 봉투가 제거된 것을 감지한 경우, 새로운 상기 먼지 봉투를 팽창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f it is detected that the dust bag joined in the envelope confirmation step has been removed, a new dust bag can be inflated.
또한, 상기 봉투 확인 단계에서 접합된 상기 먼지 봉투가 잔존하는 것을 감지한 경우, 상기 먼지 봉투의 제거가 필요하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Additionally, if it is detected that the attached dust bag remains in the envelope verification step, it may be indicated that the dust bag needs to be remov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 따르면, 먼지가 집진되는 동안 먼지 봉투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in which the shape of the dust bag can be maintained while dust is collected.
또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집진 모터 쪽으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먼지가 분리되어 먼지 봉투에 포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in which dust can be separated and captured in a dust bag as air containing dust flows toward the dust collection motor.
또한, 접합기에 의하여 먼지 봉투의 상측이 접합되어 사용자가 먼지 봉투를 직접 묶지 않고도 먼지 봉투를 밀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dust bag is joined by a jointer, which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seal the dust bag without having to tie the dust bag directly.
또한, 사용자가 밀봉된 먼지 봉투만을 제거하여 먼지통을 비울 수 있는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dditionally,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empty the dustbin by simply removing the sealed dust bag.
또한, 먼지 집진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먼지 봉투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먼지 봉투 내에 포집된 먼지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t least one dust bag detection sensor in the dust collection unit,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measure the amount of dust captured in the dust bag.
또한, 먼지 봉투에 포집된 먼지의 양이 소정 기준량 이상인 경우에는 접합기를 통하여 먼지 봉투를 접합시켜 청소기 스테이션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dust captured in the dust bag exceeds a predetermined standard amount, there is an effect in which the dust bag can be joined through a jointer and discharged outside the vacuum cleaner station.
또한, 접합된 먼지 봉투가 청소기 스테이션 외부로 배출되지 않은 경우, 먼지 봉투 감지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접합된 먼지 봉투를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f the joined dust bag is not discharged outside the cleaner station, the dust bag detection sensor detects this and notifies the user, which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joined dust bag to be discharg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청소기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에서 청소기의 먼지통 하측 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고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청소기와 도어 유닛의 관계를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청소기와 커버 개방 유닛의 관계를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먼지 집진부의 구체적인 배치 및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먼지 집진부 및 유로부를 통하여 먼지가 유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먼지 집진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먼지 분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봉투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유로부 및 프리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제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에서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가 먼지량을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에서 접합된 먼지 봉투가 봉투 인출부에 수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에서 접합된 먼지 봉투가 봉투 인출부의 이동을 통하여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에서 접합된 먼지 봉투가 봉투 인출부에 수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에서 접합된 먼지 봉투가 봉투 인출부의 이동을 통하여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에서 제2 먼지 봉투 감지 센서를 통하여 접합된 먼지 봉투의 잔존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 1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rawing of the vacuum cleaner of Figure 2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FIG.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lower side of a dust bin of a vacuum cleaner in a vacuum cleaner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leaning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coupling part in a cleaning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xed unit in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and 9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cleaner and a door unit in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cleaner and a cover opening unit in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specific arrangement and configuration of a dust collection unit in a cleaning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dust flows through a dust collection unit and a flow path unit in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dust collection unit in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ust separation unit in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velope support part in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euro section and a prefilter in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configuration in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a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measures the amount of dust in a control method of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joined dust bag is received in a bag extraction unit in a control method of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a joined dust bag is discharged through movement of a bag extraction part in a control method of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joined dust bag is received in a bag extraction unit in a control method of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a joined dust bag is discharged through movement of a bag extraction part in a control method of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cting whether a joined dust bag remains through a second dust bag detection sensor in a control method of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may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 drawing illustrating a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1)은 청소기(200)와 청소기 스테이션(10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cleaner system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include a cleaner (200) and a cleaner station (100).
청소기 시스템(1)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에는 청소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측면에는 청소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청소기(200)의 먼지통(220)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The cleaner system (1) may include a cleaner station (100). A cleaner (200) may be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00). A cleaner (200) may be coupled to a 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0). The cleaner station (100) may remove dust from a dust bin (220) of the cleaner (200).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구성에 대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청소기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에서 청소기의 먼지통 하측 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vacuum cleaner of FIG. 2 from a different angle, and FIG. 4 is a drawing illustrating a lower surface of a dust bin of a vacuum cleaner in a vacuum cleaner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청소기(20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as follows.
청소기(20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200)는 핸디형 청소기나, 스틱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200) may mean a vacuum cleaner that is manually operated by a user. For example, the vacuum cleaner (200) may mean a handheld vacuum cleaner or a stick vacuum cleaner.
청소기(20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거치될 수 있다. 청소기(20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청소기(20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cleaner (200) can be mounted on the cleaner station (100). The cleaner (200) can be supported by the cleaner station (100). The cleaner (200) can be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0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면 위에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의 바닥면(하측 면)을 놓았을 때를 기준으로 청소기(200)의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of the vacuum cleaner (200) can be defined based on the time when the bottom surface (lower surface) of the dust bin (220) and the battery housing (230) are placed on the ground.
이때, 전방이란 흡입 모터(214)를 기준으로 흡입부(212)가 배치되는 방향이고, 후방이란 흡입 모터(214)를 기준으로 핸들(216)이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흡입 모터(214)에서 흡입부(212)를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배치되는 방향을 우측이라 부를 수 있고, 왼쪽에 배치되는 방향을 좌측이라 부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면 위에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의 바닥면(하측 면)을 놓았을 때를 기준으로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측 및 하측을 정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ront may refe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unit (212) is arranged based on the suction motor (214), and the rear may refe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216) is arranged based on the suction motor (214). In addition, when looking at the suction unit (212) from the suction motor (214),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arranged on the right may be referred to as the right, and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arranged on the left may be referred to as the left.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sides may be defined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when the bottom surface (lower surface) of the dust bin (220) and the battery housing (230) are placed on the ground.
청소기(200)는 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0)는 본체 하우징(211), 흡입부(212), 먼지 분리부(213), 흡입 모터(214), 공기 배출 커버(215), 핸들(216) 및 조작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200) may include a main body (210). The main body (210) may include a main body housing (211), a suction unit (212), a dust separation unit (213), a suction motor (214), an air discharge cover (215), a handle (216), and an operating unit (218).
본체 하우징(211)은 청소기(20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본체 하우징(211)은 흡입 모터(214)와 필터(미도시)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211)은 원통에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housing (211) can form the exterior of the cleaner (200). The main body housing (211) can provide a space that can accommodate a suction motor (214) and a filter (not shown) inside. The main body housing (211) can be configured in a shape similar to a cylinder.
흡입부(212)는 본체 하우징(2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흡입부(212)는 내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212)는 연장관(250)과 결합될 수 있다. 흡입부(212)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이하, '흡입 유로'라고 부를 수 있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suction part (212) may protrude outwardly from the main body housing (211). For example, the suction part (21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interior. The suction part (212) may be combined with an extension pipe (250). The suction part (212) may provide a path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uction path')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may flow.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 흡입부(212)의 내부를 관통하는 가상의 선을 형성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a virtual line penetrating the interior of a suction part (212)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can be formed.
먼지 분리부(213)는 흡입부(212)와 연통될 수 있다. 먼지 분리부(213)는 흡입부(212)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다. 먼지 분리부(213) 내부의 공간은 먼지통(220) 내부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The dust separation unit (213) can be communicated with the suction unit (212).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can separate dust suck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suction unit (212). The space inside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can be communicated with the space inside the dust bin (220).
예를 들어, 먼지 분리부(213)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싸이클론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먼지 분리부(213) 내부의 공간은 상기 흡입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부(21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먼지 분리부(213)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먼지 분리부(213)의 내부 공간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cyclone unit capable of separating dust by cyclone flow. In addition, the space inside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ath. Accordingly, the air and dust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212) flow spirally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Accordingly, a cyclone flow may occur in the inner spac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먼지 분리부(213)는 흡입부(212)와 연통되며, 흡입부(212)를 통해 본체(210)의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분리하기 위해, 원심력을 이용하는 집진기의 원리를 적용한 구성이다.The dust separation unit (213) is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212) and is configured to apply the principle of a dust collector that utilizes centrifugal force to separate dust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210) through the suction unit (212).
먼지 분리부(213)는 싸이클론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재차 분리하는 2차 싸이클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먼지 분리부의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2차 싸이클론은 싸이클론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2차 싸이클론은 병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싸이클론에서 배출된 공기는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로 나뉘어 통과될 수 있다.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may further include a secondary cyclone that separates dust again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yclone. At this time, the secondary cyclone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cyclone so that the siz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is minimized. The secondary cyclone may include a plurality of cyclone bodies arranged in parallel.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yclone may be divided and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cyclone bodies.
이때, 2차 싸이클론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싸이클론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과 2차 싸이클론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하 방향으로 동축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먼지 분리부(213)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으로 통칭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xis of the cyclone flow of the secondary cyclone may als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axis of the cyclone flow of the cyclone and the axis of the cyclone flow of the secondary cyclone may form a coaxial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ch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axis of the cyclone flow of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흡입 모터(214)는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흡입 모터(214)는 본체 하우징(21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흡입 모터(214)는 회전에 의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흡입 모터(214)는 원통 형태와 유사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suction motor (214) can generate a suction force to suck in air. The suction motor (214) can be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housing (211). The suction motor (214) can generate a suction force by rotation. For example, the suction motor (214) can be provided in a similar cylindrical shap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 모터(214)의 회전축을 연장한 가상의 흡입 모터 축선을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in this embodiment, a virtual suction motor axis line can be formed by extending the rotation axis of the suction motor (214).
공기 배출 커버(215)는 본체 하우징(211)의 축 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 배출 커버(215)에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 배출 커버(215)에는 헤파(HEPA) 필터가 수용될 수 있다. The air exhaust cover (215) may be placed on one axial 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211). The air exhaust cover (215) may accommodate a filter for filtering air. For example, the air exhaust cover (215) may accommodate a HEPA filter.
공기 배출 커버(215)에는 흡입 모터(214)의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An air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air sucked in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214) may be formed in the air discharge cover (215).
공기 배출 커버(215)에는 유동 가이드가 배치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는 공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A flow guide may be arranged in the air discharge cover (215). The flow guide may guide the flow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핸들(216)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핸들(216)은 흡입 모터(21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핸들(216)은 원기둥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핸들(216)은 구부러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216)은 본체 하우징(211) 또는 흡입 모터(214) 또는 먼지 분리부(213)와 소정 각도를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The handle (216) can be gripped by the user. The handle (216) can b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uction motor (214). For example, the handle (216) can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cylinder. Alternatively, the handle (216) can be formed in a curved cylinder shape. The handle (216) can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housing (211), the suction motor (214), or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핸들(216)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기둥 형태로 형성된 파지부(216a), 파지부(216a)의 길이 방향(축 방향)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흡입 모터(214)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제1 연장부(216b) 및 파지부(216a)의 길이 방향(축 방향) 타측 단부에 연결되고, 먼지통(220)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제2 연장부(216c)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216) may include a grip portion (216a) formed in a pillar shape so that the user can hold it, a first extension portion (216b) connected to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xial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216a) and formed to extend toward the suction motor (214),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216c) connected to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xial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216a) and formed to extend toward the dust bin (220).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파지부(216a)의 길이 방향(기둥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파지부(216a)를 관통하는 가상의 파지부 관통선을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virtual gripping portion penetration line can be formed by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pping portion (axis direction of the column) and penetrating the gripping portion (216a).
일 예로, 파지부 관통선은 원기둥 형태의 핸들(216) 내부에 형성된 가상의 선일 수 있고, 파지부(216a)의 외측면(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와 평행하게 형성된 가상의 선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grip portion penetration line may be a virtual line formed inside a cylindrical handle (216), and may be a virtual line formed parallel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ut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216a).
핸들(216)의 상면은 청소기(200)의 상면의 일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핸들(216)을 파지하는 경우 청소기(200)의 일 구성이 사용자의 팔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216) may form a portion of the outer appearan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er (200). This may prevent a component of the cleaner (200)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user's arm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216).
제1 연장부는 파지부(216a)에서 본체 하우징(211) 또는 흡입 모터(214)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first extension portion may extend from the grip portion (216a) toward the main body housing (211) or the suction motor (214).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2 연장부는 파지부(216a)에서 먼지통(22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extension portion may extend from the phasing portion (216a) toward the dust bin (220).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조작부(218)는 핸들(216)에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218)는 핸들(216)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218)를 통하여 청소기(200)의 동작이나 정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The operating unit (218) may be placed on the handle (216). The operating unit (218) may be placed on an inclined surface formed in the upper area of the handle (216). The user may input an operation or stop command for the cleaner (200) through the operating unit (218).
청소기(200)는 먼지통(22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220)은 먼지 분리부(213)와 연통될 수 있다. 먼지통(220)은 먼지 분리부(213)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200) may include a dust bin (220). The dust bin (220) may be connected to a dust separation unit (213). The dust bin (220) may stor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먼지통(220)은 먼지통 본체(221), 배출 커버(222), 먼지통 압축 레버(223) 및 압축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bin (220) may include a dustbin body (221), a discharge cover (222), a dustbin compression lever (223), and a compressor (not shown).
먼지통 본체(221)는 먼지 분리부(213)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통 본체(221)는 원통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ustbin body (221) can provide a space for storing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For example, the dustbin body (221) can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cylinder.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먼지통 본체(221)의 내부(내부 공간)를 관통하고, 먼지통 본체(221)의 길이 방향(원통 형태의 먼지통 본체(221)에서 축 방향을 의미함)을 따라 연장 형성된 가상의 먼지통 관통선을 형성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virtual dustbin penetration line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the interior (internal space) of the dustbin body (221) an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stbin body (221) (meaning the axial direction in the cylindrical dustbin body (221)).
먼지통 본체(221)의 하측 면(바닥면)은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먼지통 본체(221)의 하측 면(바닥면)에는 하면 연장부(221a)가 형성될 수 있다. 하면 연장부(221a)는 먼지통 본체(221)의 하측 면 일부를 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bottom surface) of the dustbin body (221) may be partially open. In addition, a lower extension portion (221a)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bottom surface) of the dustbin body (221). The lower extension portion (221a) may be formed to block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bin body (221).
먼지통(220)은 배출 커버(22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커버(222)는 먼지통(220)의 하측 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ustbin (220) may include a discharge cover (222). The discharge cover (222) may be plac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bin (220).
배출 커버(222)는 먼지통 본체(22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 커버(222)는 하방으로 개구되는 먼지통(220)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The discharge cover (222)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one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stbin body (221). Specifically, the discharge cover (222) may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lower part of the dustbin (220) that opens downward.
배출 커버(222)는 커버 본체(222a) 및 힌지부(222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본체(222a)는 먼지통 본체(221)의 하측 면 일부를 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본체(222a)는 힌지부(222b)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힌지부(222b)는 배터리 하우징(23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힌지부(222b)에는 토션스프링(222d)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커버(222)가 먼지통 본체(221)에서 분리될 경우, 토션스프링(222d)의 탄성력에 의하여, 커버 본체(222a)는 먼지통 본체(221)에서 힌지부(222b)를 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The discharge cover (222) may include a cover body (222a) and a hinge part (222b). The cover body (222a) may be formed to block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bin body (221). The cover body (222a) may rotate downward based on the hinge part (222b). The hinge part (222b)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battery housing (230). A torsion spring (222d) may be provided in the hinge part (222b). Therefore, when the discharge cover (222) is separated from the dustbin body (221), the cover body (222a) may be supported in a state in which it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about the hinge part (222b) as an axis in the dustbin body (22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222d).
배출 커버(222)는 후크 결합을 통해 먼지통(220)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배출 커버(222)는 결합 레버(222c)를 통해 먼지통(2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결합 레버(222c)는 먼지통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레버(222c)는 먼지통(220)의 전방 측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외력 인가 시, 결합 레버(222c)는 커버 본체(222a)와 먼지통 본체(221)의 후크 결합을 해제시키도록 커버 본체(222a)에서 연장 형성된 후크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The discharge cover (222) can be coupled with the dust bin (220) through a hook connection. Meanwhile, the discharge cover (222) can be separated from the dust bin (220) through a coupling lever (222c). The coupling lever (222c) can be arranged at the front of the dust bin. Specifically, the coupling lever (222c) can be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dust bin (22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coupling lever (222c) can elastically deform a hook extended from the cover body (222a) to release the hook connection between the cover body (222a) and the dust bin body (221).
배출 커버(222)가 닫혀있는 경우, 먼지통(220)의 하측 면은 배출 커버(222) 및 하면 연장부(221a)에 의하여 막힐(실링될) 수 있다.When the discharge cover (222) is closed,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bin (220) can be blocked (sealed) by the discharge cover (222) and the lower extension (221a).
먼지통(220)은 먼지통 압축 레버(223)를 포함할 수 있다(도 8 참조). 먼지통 압축 레버(223)는 먼지통(220) 또는 먼지 분리부(213)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 압축 레버(223)는 먼지통(220) 또는 먼지 분리부(213)의 외부에 상하로 이동하게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 압축 레버(223)는 압축자(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외력에 의해 먼지통 압축 레버(223)가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압축자(미도시)도 같이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압축자(미도시)와 먼지통 압축 레버(223)는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통 압축 레버(223)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 부재는 먼지통 압축 레버(223)와 압축자(미도시)를 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dustbin (220) may include a dustbin compression lever (223) (see FIG. 8). The dustbin compression lever (223) may be arranged outside the dustbin (220) or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The dustbin compression lever (223) may be arranged to move up and down outside the dustbin (220) or the dust separation unit (213). The dustbin compression lever (223) may be connected to a compressor (not shown). When the dustbin compression lever (223) moves downward by an external force, the compressor (not shown) may also move downward. Through this, convenience for the user may be provided. The compressor (not shown) and the dustbin compression lever (223) may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an elastic member (not shown). Specifically, when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ustbin compression lever (223) is removed, the elastic member may move the dustbin compression lever (223) and the compressor (not shown) upward.
압축자(미도시)는 먼지통 본체(2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자는 먼지통 본체(221)의 내부 공간을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축자는 먼지통 본체(221)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압축자는 먼지통 본체(221) 내의 먼지를 하방으로 압축할 수 있다. 또한, 배출 커버(222)가 먼지통 본체(221)로부터 분리되어 먼지통(220)의 하부가 개방되는 경우, 압축자는 먼지통(22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먼지통(220) 내의 잔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먼지통(220)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청소기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먼지통(220)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잔여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A compressor (not shown) may be placed inside the dustbin body (221). The compressor may mov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dustbin body (221). Specifically, the compressor may move up and down inside the dustbin body (221). Through this, the compressor may compress dust inside the dustbin body (221) downward. In addition, when the discharge cover (222) is separated from the dustbin body (221) and the lower part of the dustbin (220) is opened, the compressor may move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of the dustbin (22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residual dust inside the dustbin (220). Through this, the suction power of the vacuum cleaner may be improved by preventing residual dust from remaining inside the dustbin (220). In addition, by preventing residual dust from remaining inside the dustbin (220), an unpleasant odor caused by residual substances may be eliminated.
청소기(200)는 배터리 하우징(23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30)에는 배터리(240)가 수용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30)은 핸들(21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 하우징(230)은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30)의 후면은 핸들(216)과 연결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200) may include a battery housing (230). The battery housing (230) may accommodate a battery (240). The battery housing (230) may be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of the handle (216). For example, the battery housing (23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with an open bottom. The rear side of the battery housing (230) may be connected to the handle (216).
배터리 하우징(230)은 하방으로 개방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230)의 수용부를 통하여 배터리(240)가 탈착될 수 있다.The battery housing (230)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that opens downward. The battery (240) may be removed through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battery housing (230).
청소기(200)는 배터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200) may include a battery (240).
예를 들어, 배터리(240)는 청소기(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240)는 배터리 하우징(2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240)는 배터리 하우징(230)의 하방에서 배터리 하우징(2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기(200)의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attery (2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leaner (200). The battery (24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attery housing (230). For example, the battery (240) may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battery housing (230)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housing (230). With this configuration, the portability of the cleaner (200) may be improved.
이와는 달리, 배터리(240)는 배터리 하우징(230) 내부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240)의 하면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Alternatively, the battery (240) may be integrally provided inside the battery housing (230). In this case,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24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배터리(240)는 청소기(200)의 흡입 모터(21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240)는 핸들(216)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40)는 먼지통(2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The battery (240) can supply power to the suction motor (214) of the vacuum cleaner (200). The battery (240) can b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handle (216). The battery (240) can be placed at the rear of the dust bin (220).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240)가 배터리 하우징(230)에 결합된 경우, 배터리(240)의 하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청소기(200)를 바닥에 내려 놓을 때 배터리(240)가 바닥에 놓일 수 있으므로, 배터리(240)를 배터리 하우징(230)에서 바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40)의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배터리(240)의 외부 공기와 직접 접촉하므로, 배터리(240)의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battery (240) is coupled to the battery housing (230),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24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Since the battery (240) may be placed on the floor when the vacuum cleaner (200) is placed on the floor, the battery (240) may be immediately separated from the battery housing (230). In addition,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24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external air of the battery (240),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battery (240) may be improved.
한편, 배터리(240)가 배터리 하우징(230)에 일체로 고정되는 경우에는, 배터리(240)와 배터리 하우징(230)의 착탈을 위한 구조를 줄일 수 있으므로, 청소기(200)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고, 경량화가 가능하다.Meanwhile, when the battery (240) is integrally fixed to the battery housing (230), the structur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battery (240) and the battery housing (230) can be reduced, so the overall size of the vacuum cleaner (200) can be reduced and its weight can be reduced.
청소기(200)는 연장관(25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250)은 청소 모듈(260)과 연통될 수 있다. 연장관(250)은 본체(210)와 연통될 수 있다. 연장관(250)은 본체(210)의 흡입부(212)와 연통될 수 있다. 연장관(250)은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leaner (200) may include an extension pipe (250). The extension pipe (250) may be communicated with a cleaning module (260). The extension pipe (250) may be communicated with a main body (210). The extension pipe (250) may be communicated with a suction portion (212) of the main body (210). The extension pipe (250) may be formed in a long cylindrical shape.
본체(210)는 연장관(250)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210)는 연장관(250)을 통해 청소 모듈(260)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210)는 흡입 모터(214)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연장관(250)을 통해 청소 모듈(260)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210)에는 청소 모듈(260)과, 연장관(250)을 통해 외부의 먼지가 유입될 수 있다. The main body (210) can be connected to an extension pipe (250). The main body (210) can be connected to a cleaning module (260) through the extension pipe (250). The main body (210) can generate suction force through a suction motor (214) and provide suction force to the cleaning module (260) through the extension pipe (250). External dust can be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210) through the cleaning module (260) and the extension pipe (250).
청소기(200)는 청소 모듈(260)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 모듈(260)은 연장관(250)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는 청소기(200)의 본체(210)에서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청소 모듈(260)과 연장관(250)을 지나 청소기(200)의 본체(210)로 유입될 수 있다. The cleaner (200) may include a cleaning module (260). The cleaning module (260) may be connected to an extension pipe (250). Accordingly, external air may be drawn into the main body (210) of the cleaner (200) through the cleaning module (260) and the extension pipe (250)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in the main body (210) of the cleaner (200).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내의 먼지는 중력 및 집진 모터(191)의 흡입력에 의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먼지 집진부(170)로 포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먼지통 안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먼지통을 비우게 되는 경우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Dust in the dust bin (220) of the vacuum cleaner (200) can be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on unit (170) of the vacuum cleaner station (100) by gravity and the suction power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191). Through this, dust in the dust bin can be removed without separate operation by the user, thereby providing user convenience. In addition,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having to empty the dust bin every time can be eliminated. In addition, when the dust bin is emptied, dust can be prevented from flying.
청소기(200)는 하우징(11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200)의 본체(210)는 결합부(120)에 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은 결합면(121)에 결합될 수 있고, 먼지통 본체(221)의 외주면은 먼지통 가이드면(122)에 결합될 수 있으며, 흡입부(212)는 결합부(120)의 흡입부 가이드면(126)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먼지통(220)의 중심축은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연장관(250)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cleaner (200) can 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housing (110). Specifically, the main body (210) of the cleaner (200) can be mounted on the coupling portion (120). More specifically, the dustbin (220) and the battery housing (230) of the cleaner (200) can be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121),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bin main body (221) can be coupled to the dustbin guide surface (122), and the suction portion (212) can be coupled to the suction portion guide surface (126) of the coupling portion (120). In this case, the central axis of the dustbin (220) can be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and the extension pipe (250) can be arranged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며,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고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고,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청소기와 도어 유닛의 관계를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며,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청소기와 커버 개방 유닛의 관계를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FIG. 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coupling part in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ixing unit in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and 9 are drawings for explain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leaner and a door unit in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leaner and a cover opening unit in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S. 5 to 10, the cleaning statio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follows.
청소기 스테이션(100)에는 청소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측면에는 청소기(200)의 본체가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청소기(200)의 먼지통(220)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A cleaner (200) can be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00). Specifically, a main body of the cleaner (200) can be coupled to a 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0). The cleaner station (100) can remove dust from a dust bin (220) of the cleaner (200).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벽면을 포함하는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10)은 사각 기둥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100) may include a housing (110). The housing (110) may form an exterior of the cleaner station (100). Specifically,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in a pillar shape including at least one outer wall surface. As an example,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square pillar.
하우징(110)은 내부에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 집진부(170) 및 먼지 집진부(170)로 먼지가 집진되는 유동력을 발생시키는 먼지 흡입 모듈(19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110) can be formed with a space that can accommodate a dust collection unit (170) that stores dust inside and a dust suction module (190) that generates a fluid force that collects dust by the dust collection unit (170).
하우징(110)은 바닥면(111), 외벽면(112) 및 상부면(11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110)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111), an outer wall surface (112), and an upper surface (113).
바닥면(111)은 먼지 흡입 모듈(190)의 중력 방향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바닥면(111)은 먼지 흡입 모듈(190)의 집진 모터(191)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111) can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dust suction module (190) in the gravity direction. That is, the bottom surface (111) can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191) of the dust suction module (190).
이때, 바닥면(111)은 지면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바닥면(111)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은 물론, 지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집진 모터(19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청소기(200)가 결합된 경우에도 전체적인 무게의 균형을 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111) can be placed toward the ground. The bottom surface (111) can be placed parallel to the ground, but can also be placed at a certain angle with the ground. With this configuration, the dust collection motor (191) can be stably supported, and even when the vacuum cleaner (200) is combin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verall weight can be balanced.
한편, 실시예에 따라 바닥면(111)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지면지지부(31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지면지지부(311a)는 바닥면(111)에서 연장 형성된 판 형태일 수 있고, 바닥면(111)에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지면 방향을 따라 돌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111) may further include a ground support member (311a) that increases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prevent the cleaner station (100) from falling over and maintain balance. For example, the ground support member (311a) may be in the form of a plate extended from the bottom surface (111), and one or more frames may be formed to protrude and extend along the ground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111).
외벽면(112)은 중력 방향을 따라 형성된 면을 의미할 수 있고, 바닥면(111)과 연결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벽면(112)은 바닥면(111)과 수직하게 연결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다른 실시예로, 외벽면(112)은 바닥면(111)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outer wall surface (112) may mean a surface formed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may mean a surface connected to the floor surface (111). For example, the outer wall surface (112) may mean a surfac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floor surface (111). In another embodiment, the outer wall surface (112)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111).
외벽면(112)은 적어도 하나의 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외벽면(112)은 제1 외벽면(112a), 제2 외벽면(112b), 제3 외벽면(112c) 및 제4 외벽면(112d)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uter wall surface (112)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surface. For example, the outer wall surface (112) may include a first outer wall surface (112a), a second outer wall surface (112b), a third outer wall surface (112c), and a fourth outer wall surface (112d).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1 외벽면(112a)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정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정면이라 함은,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청소기(200)가 노출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벽면(112a)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정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2a) may be placed on the front 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0). Here, the front side may mean the surface on which the cleaner (200) is exposed when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00). Therefore,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2a) may form the appearance of the front 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0).
한편, 본 실시예의 이해를 위하여 방향에 대하여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거치된 상태에서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understand this embodiment, the direction is defined as follows. In this embodiment, the direction can be defined while the cleaner (200) is placed on the cleaner station (100).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거치되었을 때,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부를 수 있다.When the cleaner (200) is mounted on the cleaner station (100), the direction in which the cleaner (2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0) can be called the front.
다른 관점에서,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거치되었을 때, 청소기(200)의 흡입 모터(214)가 배치된 방향을 전방이라고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 스테이션(100)에서 흡입 모터(214)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부를 수 있다.From another perspective, when the cleaner (200) is mounted on the cleaner station (100),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motor (214) of the cleaner (200) is positioned can be called the front.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motor (214) is positioned in the cleaner station (100) can be called the rear.
그리고,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기준으로 정면과 마주보는 방향의 면을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후면이라고 부를 수 있다. 따라서, 후면은 제2 외벽면(112b)이 형성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And, based on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10), the surface facing the front can be called the rear 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0). Accordingly, the rear side can mea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12b) is formed.
그리고,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정면을 바라보았을 때 좌측의 면을 좌면이라 부를 수 있고, 우측의 면을 우면이라 부를 수 있다. 따라서, 좌면은 제3 외벽면(112c)이 형성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우면은 제4 외벽면(112d)이 형성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And, when looking at the front based on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10), the left side may be called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may be called the right side. Accordingly, the left side may mea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hird outer wall surface (112c) is formed, and the right side may mea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urth outer wall surface (112d) is formed.
제1 외벽면(112a)은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물론, 전체적으로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부분에 곡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2a)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or may be formed in an entirely curved shape, or may be formed to include a curved surface in a portion.
제1 외벽면(112a)에는 결합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청소기(20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될 수 있고,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결합부(1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A coupling part (120) may be arranged on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2a).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leaner (200) may be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00) and supported by the cleaner station (100).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part (12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제1 외벽면(112a)에는 청소기(200)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청소 모듈(260)을 거치하는 구조가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t is also possible to add a structure for mounting various types of cleaning modules (260) used in a vacuum cleaner (200) to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2a).
본 실시예에서 제2 외벽면(112b)은 제1 외벽면(112a)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즉, 제2 외벽면(112b)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외벽면(112b)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후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12b) may be a surface facing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2a). That is,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12b) may be arranged at the rear of the cleaner station (100).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12b)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rear of the cleaner station (100).
본 실시예에서 제3 외벽면(112c) 및 제4 외벽면(112d)은 제1 외벽면(112a)과 제2 외벽면(112b)을 연결시키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3 외벽면(112c)이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좌면에 배치되고, 제4 외벽면(112d)이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3 외벽면(112c)이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우면에 배치되고, 제4 외벽면(112d)이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좌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third outer wall surface (112c) and the fourth outer wall surface (112d) may refer to surfaces connecting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2a) and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12b). At this time, the third outer wall surface (112c) may be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0), and the fourth outer wall surface (112d) may be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0). Alternatively, the third outer wall surface (112c) may be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0), and the fourth outer wall surface (112d) may be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0).
제3 외벽면(112c) 또는 제4 외벽면(112d)은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물론, 전체적으로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부분에 곡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third outer wall surface (112c) or the fourth outer wall surface (112d)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or may be formed in an entirely curved shape, or may be formed by including a curved surface in a portion.
한편, 제3 외벽면(112c) 또는 제4 외벽면(112d)에는 청소기(200)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청소 모듈(290)을 거치하는 구조가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t is also possible to add a structure for mounting various types of cleaning modules (290) used in a cleaner (200) to the third outer wall surface (112c) or the fourth outer wall surface (112d).
상부면(113)은 청소기 스테이션의 상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부면(113)은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중력 방향 가장 상측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113) may form the upper exterior of the cleaner station. That is, the upper surface (113) may mean a surface that is positioned at the uppermost sid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n the cleaner station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상측 및 하측이라 함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중력 방향(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의미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sides may mean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when the cleaner station (100) is installed on the ground.
이때, 상부면(113)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은 물론, 지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113)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ground, but may also be arranged at a certain angle with the ground.
상부면(113)에는 표시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표시부에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상태, 청소기(20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그 외에 청소 진행 상황, 청소 구역에 대한 지도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A display unit may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113).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status of the cleaner station (100) and the status of the cleaner (200), and may also display information such as the cleaning progress status and a map of the cleaning area.
한편, 실시예에 따라 상부면(113)은 외벽면(112)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부면(113)이 분리되면, 외벽면(112)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는 청소기(200)에서 분리된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고, 분리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단자(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113)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outer wall surface (112). At this time, when the upper surface (113) is detached, the internal space surrounded by the outer wall surface (112) may accommodate a battery detached from the cleaner (200), and a terminal (not shown) capable of charging the detached battery may be provided.
한편,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봉투 수용 공간(115)이 형성될 수 있다. 봉투 수용 공간(115)는 결합부(120)의 중력 방향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먼지 흡입 모듈(190)의 중력 방향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n envelope receiving space (115) may be formed inside the housing (110). The envelope receiving space (115) may be positioned below the gravity direction of the coupling part (120) and above the gravity direction of the dust suction module (190).
봉투 수용 공간(115)에는 먼지 집진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봉투 수용 공간(115)에는 후술할 봉투 지지부(173)가 출입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봉투 수용 공간(115)에는 후술할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봉투 수용 공간(115)에는 후술할 접합기(176)가 장착될 수 있다. 봉투 수용 공간(115)은 후술할 제1 유로(181), 제2 유로(182) 및 바이패스 유로(183)와 연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봉투 수용 공간(115)은 먼지통(220)에서 유입된 공기 및 먼지가 유동할 수 있고, 먼지 봉투(172)에 포집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A dust collection unit (170) may be provided in the bag receiving space (115). Specifically, an bag support unit (17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removably accommodated in the bag receiving space (115). In addition, a dust bag cartridge (17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removably coupled to the bag receiving space (115). In addition, a jointer (17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mounted in the bag receiving space (115). The bag receiving space (115) may be communicated with a first flow path (181), a second flow path (182), and a bypass flow path (18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this configuration, the bag receiving space (115)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air and dust introduced from the dust bin (220) may flow and be captured by the dust bag (172).
본 발명에서 청소기(20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벽면(112)에 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결합면(121)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청소기(200)는 제1 외벽면(112a)에 거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er (200) can be mounted on the outer wall surface (112) of the cleaner station (100). For example, the dust bin (220) and the battery housing (230) of the cleaner (200) can be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121) of the cleaner station (100). That is, the cleaner (200) can be mounted on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2a).
이때, 흡입 모터(214)의 축선은 제1 외벽면(112a)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흡입 모터(214)의 축선은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xis of the suction motor (214) can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2a). That is, the axis of the suction motor (214) can be formed parallel to the ground.
먼지통(220)을 관통하는 가상의 선은 제1 외벽면(112a)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A virtual line penetrating the dustbin (220) can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2a).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 축선(C)은 지면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 축선(C)은 제1 외벽면(112a), 제2 외벽면(112b), 제3 외벽면(112c), 제4 외벽면(112d)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longitudinal axis (C) of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longitudinal axis (C) of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parallel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2a),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12b), the third outer wall surface (112c), and the fourth outer wall surface (112d).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될 경우, 흡입 모터(214)의 축선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길이 방향 축과 교차할 수 있다. 즉, 흡입 모터(214)의 회전축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길이 방향 축과 교차할 수 있다. When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00), the axis of the suction motor (214) can intersect with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leaner station (100). That is, the rotation axis of the suction motor (214) can intersect with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leaner station (100).
또한,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될 경우, 흡입 모터(214)의 회전축보다 지면을 기준으로 더 먼 거리에는 배터리(2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00), the battery (240) may be placed at a distance further from the ground than the rotation axis of the suction motor (214).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leaner (200) may be stably supported on the cleaner station (100).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될 경우, 먼지통(220)을 관통하는 가상의 선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길이 방향 축과 교차할 수 있다. 즉, 먼지통(220)의 길이 방향 축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길이 방향 축과 교차할 수 있다. 이때, 먼지통(220)의 길이 방향 축과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길이 방향 축의 교차점은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유로부(18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00), a virtual line penetrating the dustbin (220) may intersect with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leaner station (100). That is,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dustbin (220) may intersect with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leaner station (100). At this time, the intersection of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dustbin (220)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leaner station (100) may be locat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located inside the flow path (180).
한편,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될 경우, 먼지통(220)을 관통하는 가상의 선보다 지면을 기준으로 더 먼 거리에는 핸들(216)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가 핸들(216)을 잡았을 때, 사용자가 청소기(200)를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간단한 동작 만으로 청소기(200)를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00), the handle (216) may be placed at a distance from the ground farther than the imaginary line penetrating the dust bin (220).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216), the convenience of coupling or detaching the cleaner (200) to or from the cleaner station (100) can be provided by simply moving the cleaner (20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결합부(12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6, the coupling part (120) of the cleaner statio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follows.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청소기(20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120)는 제1 외벽면(112a)에 배치되고, 청소기(200)의 본체(210),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이 결합될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100) may include a coupling part (120) for coupling the cleaner (200). Specifically, the coupling part (120) is arranged on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2a), and the main body (210), dust bin (220), and battery housing (230) of the cleaner (200) may be coupled.
결합부(120)는 결합면(121)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면(121)은 하우징(1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면(121)은 제1 외벽면(112a)에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홈 형태로 형성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결합면(121)은 제1 외벽면(112a)과 단을 이루어 형성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120) may include a coupling surface (121). The coupling surface (121) may be arrang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10). For example, the coupling surface (121) may refer to a surface formed in a concave groove shape toward the in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0) on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2a). That is, the coupling surface (121) may refer to a surface formed by forming a single unit with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2a).
결합면(121)에는 청소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면(121)은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의 하측 면과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하측 면은 사용자가 청소기(200)를 사용하거나 지면에 놓았을 때, 지면을 향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A vacuum cleaner (200)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121). For example, the coupling surface (121)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bin (220) and the battery housing (230) of the vacuum cleaner (200). Here, the lower surface may mean a surface facing the ground when a user uses the vacuum cleaner (200) or places it on the ground.
일 예로, 결합면(121)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가 결합면(121)에 결합될 경우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ngle formed by the joining surface (121) with the ground may be a right angle. Through this, the space of the cleaner station (100) can be minimized when the cleaner (200) is joined to the joining surface (121).
다른 예로, 결합면(121)은 지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가 결합면(121)에 결합될 경우 청소기 스테이션(1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joining surface (121)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rough this, when the cleaner (200) is joined to the joining surface (121), the cleaner station (100) may be stably supported.
결합면(121)에는 하우징(110)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 가능하도록 먼지 통과 홀(121a)이 형성될 수 있다. 먼지 통과 홀(121a)은 먼지통(220)의 먼지가 먼지 집진부(170)로 유입되도록 먼지통(220)의 형태에 대응하여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먼지 통과 홀(121a)은 먼지통(220)의 배출 커버(222)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지 통과 홀(121a)은 후술할 유로부(180)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 dust passage hole (121a)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surface (121) to allow air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to flow into the inside. The dust passage hole (121a) may be formed in a hol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ust bin (220) so that dust in the dust bin (220) may flow into the dust collection unit (170). The dust passage hole (121a)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scharge cover (222) of the dust bin (220). The dust passage hole (121a)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 (180) described later.
결합부(120)는 먼지통 가이드면(12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 가이드면(122)는 제1 외벽면(112a)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 가이드면(122)은 제1 외벽면(112a)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먼지통 가이드면(122)는 결합면(121)과 연결될 수 있다. The coupling portion (120) may include a dustbin guide surface (122). The dustbin guide surface (122) may be arranged on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2a). The dustbin guide surface (12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2a). In addition, the dustbin guide surface (122) may be connected to the coupling surface (121).
먼지통 가이드면(122)은 먼지통(220)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 가이드면(122)에는 먼지통(220)의 전방 외측면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가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dustbin guide surface (122) can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bin (220). The front outer surface of the dustbin (220) can be coupled to the dustbin guide surface (122). Through this, the convenience of coupling the vacuum cleaner (200) to the coupling surface (121) can be provided.
한편, 먼지통 가이드면(122)에는 돌기 이동 홀(122a)이 형성될 수 있고, 돌기 이동 홀(122a)을 따라 후술할 푸쉬 돌기(151)가 직선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먼지통 가이드면(122)의 중력 방향 하측에는 후술할 커버 개방 유닛(150)의 기어 등이 수용되는 기어 박스(15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먼지통 가이드면(122)과 하측 면과 기어 박스(155)의 상측 면 사이에는 푸쉬 돌기(151)가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공간(122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공간(122b)은 바이패스 홀(122c)을 통하여 제1 유로(181)와 연통될 수 있다. 즉, 돌기 이동 홀(122a), 가이드 공간(122b), 바이패스 홀(122c) 및 제1 유로(181)는 하나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먼지통(220)이 결합부(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집진 모터(191)가 작동되면, 상기 유로를 통하여 먼지통(220)과 먼지통 가이드면(122)에 잔존하는 먼지 등을 흡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Meanwhile, a projection moving hole (122a) may be formed in the dustbin guide surface (122), and a push projection (15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linearly moved along the projection moving hole (122a). In addition, a gear box (155) that accommodates a gear of a cover opening unit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dustbin guide surface (122) in the gravity direction. At this time, a guide space (122b), in which the push projection (151) may be moved, may be formed between the dustbin guide surface (122),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gear box (155). In addition, the guide space (122b) may be communicated with the first flow path (181) through the bypass hole (122c). That is, the protrusion movement hole (122a), the guide space (122b), the bypass hole (122c), and the first flow path (181) can form one flow path.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ust collector motor (191) is operated while the dust bin (2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2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ust remaining in the dust bin (220) and the dust bin guide surface (122) can be sucked in through the flow path.
결합부(120)는 가이드 돌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3)는 결합면(121)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3)는 결합면(121)에서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3)는 서로 이격되어 2개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되는 2개의 가이드 돌기(123) 사이의 거리는 청소기(200)의 배터리 하우징(230)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가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120) may include a guide protrusion (123). The guide protrusion (123) may be arranged on the coupling surface (121). The guide protrusion (123)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coupling surface (121). The guide protrusions (123) may be arranged in two nu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guide protrusions (12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battery housing (230) of the cleaner (200). Through this, the convenience of coupling the cleaner (200) to the coupling surface (121) may be provided.
결합부(120)는 결합부 측벽(124)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 측벽(124)은 결합면(121)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벽면을 의미할 수 있고, 결합면(121)과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결합부 측벽(124)은 제1 외벽면(112a)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 측벽(124)은 먼지통 가이드면(122)과 연결되는 면을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120) may include a coupling part side wall (124). The coupling part side wall (124) may refer to a wall surfac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surface (121) and may b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coupling surface (121). The coupling part side wall (124)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2a). In addition, the coupling part side wall (124) may form a surface connected to the dustbin guide surface (122). Through this, the vacuum cleaner (200) may be stably accommodated.
결합부(120)는 결합 센서(12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센서(125)는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coupling unit (120) may include a coupling sensor (125). The coupling sensor (125) may detect whether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120).
결합 센서(125)는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결합 센서(125)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 센서(125)는 가이드 돌기(123)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200)의 배터리 하우징(230) 또는 배터리(240)가 한 쌍의 가이드 돌기(123) 사이에 결합되면, 결합 센서(125)를 접촉하게 되고, 결합 센서(125)는 청소기(200)가 결합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The coupling sensor (125) may also include a contact sensor. For example, the coupling sensor (125) may include a micro switch. In this case, the coupling sensor (125) may be placed on the guide protrusion (123). Accordingly, when the battery housing (230) or the battery (240) of the cleaner (200) is coupled between a pair of guide protrusions (123),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upling sensor (125), and the coupling sensor (125) can detect that the cleaner (200) is coupled.
한편, 결합 센서(125)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결합 센서(125)는 적외선 센서부(IR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 센서(125)는 결합부 측벽(124)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또는 본체(210)가 결합부 측벽(124)을 지나 결합면(121)에 도달하면, 결합 센서(125)는 먼지통(220) 또는 본체(210)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upling sensor (125) may also include a non-contact sensor. For example, the coupling sensor (125)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IR sensor). At this time, the coupling sensor (125) may be placed on the coupling side wall (124). Accordingly, when the dust bin (220) or the main body (210) of the cleaner (200) passes the coupling side wall (124) and reaches the coupling surface (121), the coupling sensor (125) may detect the presence of the dust bin (220) or the main body (210).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 센서(125)는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또는 배터리 하우징(230)과 대향할 수 있다. When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00), the coupling sensor (125) may face the dust bin (220) or battery housing (230) of the cleaner (200).
결합 센서(125)는 청소기(200)의 배터리(24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과 함께 청소기(200)가 결합되었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The coupling sensor (125) can be a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acuum cleaner (200) is coupled along with power being supplied to the battery (240) of the vacuum cleaner (200).
결합부(120)는 흡입부 가이드면(126)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 가이드면(126)는 제1 외벽면(112a)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부 가이드면(126)는 먼지통 가이드면(122)과 연결될 수 있다. 흡입부 가이드면(126)에는 흡입부(212)가 결합될 수 있다. 흡입부 가이드면(126)의 형상은 흡입부(21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upling portion (120) may include a suction portion guide surface (126). The suction portion guide surface (126) may be arranged on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2a). The suction portion guide surface (126) may be connected to the dustbin guide surface (122). A suction portion (212) may be coupled to the suction portion guide surface (126). The shape of the suction portion guide surface (126)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ction portion (212).
결합부(120)는 고정부재 출입홀(1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 출입홀(127)은 고정부재(131)가 출입 가능하도록 결합부 측벽(124)을 따라 장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joint (120) may further include a fixed member entry/exit hole (127). The fixed member entry/exit hole (127)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along the side wall (124) of the joint so that the fixed member (131) can enter/exit.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청소기(200)를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결합부(120)에 결합시키는 경우, 먼지통 가이드면(122), 가이드 돌기(123) 및 흡입부 가이드면(126)에 의해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안정적으로 결합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이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a user attaches the cleaner (200) to the attachment portion (120) of the cleaner station (100), the main body (210) of the cleaner (200) can be stably placed on the attachment portion (120) by the dustbin guide surface (122), the guide protrusion (123), and the suction portion guide surface (126). Through this, the convenience of attaching the dustbin (220) and the battery housing (230) of the cleaner (200) to the attachment portion (121) can be provided.
한편,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충전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128)는 결합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부(128)는 결합부(120)에 결합되는 청소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충전부(128)는 결합부(120)에 결합되는 청소기(200)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leaner station (100)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unit (128). The charging unit (128) may be placed in the coupling unit (120). The charging unit (128)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leaner (200)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120). The charging unit (128) may supply power to the battery of the cleaner (200)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120).
또한,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측면 도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도어는 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측면 도어는 먼지 집진부(170)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먼지 봉투(172)를 청소기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Additionally, the cleaner station (100) may further include a side door (not shown). The side door may be placed in the housing (110). The side door may selectively expose the dust collection unit (170) to the outside. This allows the user to easily remove the dust bag (172) from the cleaner station (100).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유닛(13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7, the fixed unit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고정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유닛(130)은 결합부 측벽(124)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유닛(130)은 결합면(121)의 이면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유닛(130)은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청소기(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유닛(130)은 결합면(121)에 결합되는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The cleaner statio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xed unit (130). The fixed unit (130) may be disposed on a side wall (124) of a coupling portion. In addition, the fixed unit (130) may be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of a coupling surface (121). The fixed unit (130) may fix a cleaner (200)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121). Specifically, the fixed unit (130) may fix a dust bin (220) and a battery housing (230) of the cleaner (200)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121).
고정 유닛(130)은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및 배터리 하우징(23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31)와, 고정부재(131)를 구동시키는 고정부 모터(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유닛(130)은 고정부 모터(133)의 동력을 고정부재(131)에 전달하는 고정부 링크(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xed unit (130) may include a fixed member (131) that fixes the dust bin (220) and the battery housing (230) of the vacuum cleaner (200), and a fixed member motor (133) that drives the fixed member (131). In addition, the fixed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fixed member link (135) that transmits the power of the fixed member motor (133) to the fixed member (131).
고정부재(131)는 결합부 측벽(124)에 배치되고, 먼지통(220)을 고정시키도록 결합부 측벽(124)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131)는 고정부재 출입홀(127)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The fixed member (131) is arranged on the side wall (124) of the joint portion and may be provided to reciprocate on the side wall (124) of the joint portion to fix the dust bin (220). Specifically, the fixed member (131)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xed member access hole (127).
고정부재(131)는 결합부(120)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재(131)는 결합면(121)을 중심으로 2개가 대칭적으로 쌍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The fixed members (131) can be arranged on each side of the joint (120). For example, two fixed members (131) can be arranged symmetrically in pairs around the joint surface (121).
고정부 모터(133)는 고정부재(131)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fixed member motor (133) can provide power to move the fixed member (131).
고정부 링크(135)는 고정부 모터(133)의 회전력을 고정부재(131)의 왕복 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The fixed link (135) can convert the rotational power of the fixed motor (133) into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fixed member (131).
고정 실러(136)는 청소기(200)가 결합될 경우, 먼지통(220)을 기밀하도록 먼지통 가이드면(122)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기(200)의 먼지통(220)이 결합되면, 청소기(200)의 자중에 의하여 고정 실러(136)를 가압할 수 있고, 먼지통(220)과 먼지통 가이드면(122)가 밀봉될 수 있다.The fixed sealer (136) can be placed on the dustbin guide surface (122) to seal the dustbin (220) when the cleaner (200) is combined.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ustbin (220) of the cleaner (200) is combined, the fixed sealer (136) can be pressurized by the weight of the cleaner (200), and the dustbin (220) and the dustbin guide surface (122) can be sealed.
고정 실러(136)는 고정부재(131)의 가상의 연장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고정부 모터(133)가 작동되어 고정부재(131)가 먼지통(220)을 가압하면, 먼지통(220)의 동일한 높이 상의 둘레를 밀봉할 수 있다. The fixed sealer (136) can be placed on an imaginary extension of the fixed member (131).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fixed member motor (133) is operated and the fixed member (131) pressurizes the dust bin (220), the circumference of the dust bin (220) at the same height can be sealed.
실시예에 따라, 고정 실러(136)는 후술할 커버 개방 유닛(150)의 배치에 대응하여 꺾인 선 형태로 먼지통 가이드면(1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xed sealer (136) may be placed on the dustbin guide surface (122) in a bent line shape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cover opening unit (150) described later.
따라서, 결합부(120)에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배치되는 경우, 고정 유닛(130)는 청소기(200)의 본체(2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센서(125)가 청소기(200)의 본체(21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결합부(120)에 결합됨을 감지하는 경우, 고정부 모터(133)는 고정부재(131)를 이동시켜 청소기(200)의 본체(2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main body (210) of the cleaner (200) is placed in the coupling portion (120), the fixing unit (130) can fix the main body (210) of the cleaner (200). Specifically, when the coupling sensor (125) detects that the main body (210) of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20) of the cleaner station (100), the fixing portion motor (133) can move the fixing member (131) to fix the main body (210) of the cleaner (200).
이를 통해, 먼지통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청소기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먼지통 내에 잔여 먼지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여 잔여물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This can improve the suction power of the vacuum cleaner by preventing residual dust from remaining in the dust bin. In addition, it can eliminate the unpleasant odor caused by residual dust by preventing residual dust from remaining in the dust bi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어 유닛(14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door unit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as follows.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도어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유닛(140)은 먼지 통과 홀(121a)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oor unit (140). The door unit (140)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 dust passage hole (121a).
도어 유닛(140)은 도어(141), 도어 모터(142) 및 도어 암(14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oor unit (140) may include a door (141), a door motor (142), and a door arm (143).
도어(141)는 결합면(121)에 힌지 결합되고, 먼지 통과 홀(121a)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141)는 도어 본체(141a)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141)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joining surface (121) and can open and close the dust passage hole (121a). The door (141) may include a door body (141a).
도어 본체(141a)는 먼지 통과 홀(121a)을 막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 본체(141a)는 원판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oor body (141a)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can block the dust passage hole (121a). For example, the door body (141a)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circular plate.
도어 본체(141a)가 먼지 통과 홀(121a)을 막고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도어 본체(141a)의 상측에는 힌지부가 배치되고, 도어 본체(141a)의 하측에는 암 결합부(141b)가 배치될 수 있다.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body (141a) blocks the dust passage hole (121a), a hinge part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body (141a), and a female coupling part (141b) may be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door body (141a).
도어 본체(141a)는 먼지 통과 홀(121a)을 기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 본체(141a)에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부에 노출되는 외측면은 먼지 통과 홀(121a)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내부에 배치된 내측면은 먼지 통과 홀(121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외측면와 내측면 사이에는 단차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내측면에는 힌지부와 암 결합부(141b)를 연결시키고, 도어 본체(141a)의 지지력 강화를 위한 보강 리브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door body (141a)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can seal the dust passage hole (121a). For example,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body (141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0)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dust passage hole (121a), and the inner surface disposed inside the cleaner station (100)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dust passage hole (121a). In addition, a step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Meanwhile, at least one reinforcing rib may be formed protruding on the inner surface to connect the hinge portion and the arm joint portion (141b) and to strengthen the supporting force of the door body (141a).
힌지부는 도어(141)를 결합면(121)에 힌지 결합시키는 수단일 수 있다. 힌지부는 도어 본체(141a)의 상측 단부에 배치되고, 결합면(121)과 결합될 수 있다.The hinge portion may be a means for hinge-connecting the door (141) to the joining surface (121). The hinge portion may be arranged at the upper end of the door body (141a) and may be connected to the joining surface (121).
암 결합부(141b)는 도어 암(14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단일 수 있다. 암 결합부(141b)는 도어 본체(141a)의 하측에 배치되고, 도어 본체(141a)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어 암(14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arm coupling part (141b) may be a means by which the door arm (143) is rotatably coupled. The arm coupling part (141b) is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door body (141a),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door body (141a), and the door arm (143) may be rotatably coupled.
이와 같은 구성으로, 도어(141)가 먼지 통과 홀(121a)을 닫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 암(143)이 도어 본체(141a)를 당기면, 힌지부를 축으로 도어 본체(141a)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내측을 향하여 회전 이동하고, 먼지 통과 홀(121a)이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먼지 통과 홀(121a)이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 암(143)이 도어 본체(141a)를 밀면, 힌지부(141b)를 축으로 도어 본체(141a)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측을 향하여 회전 이동하고, 먼지 통과 홀(121a)이 막힐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oor arm (143) pulls the door body (141a) while the door (141) is closing the dust passage hole (121a), the door body (141a) rotates about the hinge part to move toward the in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0), and the dust passage hole (121a) can be open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arm (143) pushes the door body (141a) while the dust passage hole (121a) is open, the door body (141a) rotates about the hinge part (141b) to move toward the out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0), and the dust passage hole (121a) can be blocked.
한편,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고 배출 커버(222)가 먼지통 본체(21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도어(141)는 배출 커버(222)와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141)의 회전에 따라 배출 커버(222)는 도어(141)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00) and the discharge cover (222) is separated from the dustbin body (210), the door (141)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discharge cover (222). And, as the door (141) rotates, the discharge cover (222) can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door (141).
도어 모터(142)는 도어(141)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모터(142)는 도어 암(143)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정방향이라 함은, 도어 암(143)이 도어(141)를 당기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암(143)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먼지 통과 홀(121a)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역방향이라 함은, 도어 암(143)이 도어(141)를 미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암(143)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먼지 통과 홀(121a)이 적어도 일부 폐쇄될 수 있다. 정방향은 역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The door motor (142) can provide power to rotate the door (141). Specifically, the door motor (142) can rotate the door arm (143)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Here, the forward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arm (143) pulls the door (141). Accordingly, when the door arm (143) rotates in a forward direction, the dust passage hole (121a) can be opened. In addition, the reverse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arm (143) pushes the door (141). Accordingly, when the door arm (143) rotates in a reverse direction, the dust passage hole (121a) can be at least partially closed. The forward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verse direction.
도어 암(143)은 도어(141)와 도어 모터(142)를 연결시키고, 도어 모터(142)에서 발생한 동력을 이용하여 도어(141)를 개폐시킬 수 있다. The door arm (143) connects the door (141) and the door motor (142), and can open and close the door (141) using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door motor (142).
일 예로, 도어 암(143)은 제1 도어 암(143a)과 제2 도어 암(14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 암(143a)의 일측 단부는 도어 모터(142)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도어 암(143a)은 도어 모터(142)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 도어 암(143a)의 타측 단부는 제2 도어 암(143b)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도어 암(143a)은 도어 모터(142)로부터 전달된 힘을 제2 도어 암(143b)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도어 암(143b)의 일측 단부는 제1 도어 암(143a)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도어 암(143b)의 타측 단부는 도어(141)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도어 암(143b)은 도어(141)를 밀거나 당겨 먼지 통과 홀(121a)을 개폐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door arm (143) may include a first door arm (143a) and a second door arm (143b). One end of the first door arm (143a) may be coupled with a door motor (142). The first door arm (143a) may be rotated by the power of the door motor (142). The other end of the first door arm (143a) may be rotatably coupled with a second door arm (143b). The first door arm (143a) may transmit power transmitted from the door motor (142) to the second door arm (143b). One end of the second door arm (143b) may be coupled with the first door arm (143a).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oor arm (143b) may be coupled with the door (141). The second door arm (143b) can open or close the dust passage hole (121a) by pushing or pulling the door (141).
도어 유닛(140)은 도어 개폐 감지부(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도어(141)가 개방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The door unit (140) may further include a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144). 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144)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may detect whether the door (141) is in an open state.
일 예로,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도어 암(143)의 회전 이동 영역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도어(141)의 이동 영역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s (144) may be placed at each end of the rotational movement area of the door arm (143). As another example, 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s (144) may be placed at each end of the movement area of the door (141).
따라서, 도어 암(143)이 미리 설정된 도어 개방 위치(DP1)까지 이동하거나, 도어(141)가 소정 위치까지 열리게되면, 도어 개폐 감지부(144)가 도어가 열렸음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암(143)이 미리 설정된 도어 폐쇄 위치(DP2)까지 이동하거나, 도어(141)가 소정 위치까지 열리게되면, 도어 개폐 감지부(144)가 도어가 열렸음을 감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door arm (143) moves to a preset door opening position (DP1) or the door (141) open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144) can detect that the door is opened. In addition, when the door arm (143) moves to a preset door closing position (DP2) or the door (141) open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144) can detect that the door is opened.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144) may include a contact sensor. For example, 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144) may include a micro switch.
한편,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적외선 센서부(IR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144) may also include a non-contact sensor. For example, 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144)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IR sensor).
이러한 구성으로, 도어 유닛(140)은 결합면(121)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제1 외벽면(112a)의 외측과 유로부(180) 및/또는 먼지 집진부(170)를 연통시킬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door unit (140) can selectively open and cl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joining surface (121) to connect the outer side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2a) with the flow path (180) and/or the dust collection unit (170).
도어 유닛(140)은 청소기(200)의 배출 커버(222)가 열리는 경우 같이 열릴 수 있다. 또한, 도어 유닛(140)이 닫히면, 청소기(200)의 배출 커버(222)가 이와 연동하여 같이 닫힐 수 있다.The door unit (140) can be opened together with the discharge cover (222) of the cleaner (200) when it is opened. Additionally, when the door unit (140) is closed, the discharge cover (222) of the cleaner (200) can be closed together with it.
청소기(200)의 먼지통(220)의 먼지가 제거되는 경우, 도어 모터(142)는 도어(141)를 회전시킴으로써 배출 커버(222)를 먼지통 본체(221)에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모터(142)는 도어(141)를 회전시킴으로써 도어(141)를 힌지부(141b)를 기준으로 회전시키고, 힌지부(141b)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도어(141)는 배출 커버(222)를 먼지통 본체(221)를 향하여 밀 수 있다. When the dust in the dust bin (220) of the vacuum cleaner (200) is removed, the door motor (142) can connect the discharge cover (222) to the dust bin body (221) by rotating the door (141). Specifically, the door motor (142) rotates the door (141) by rotating the door (141) relative to the hinge part (141b), and the door (141) that rotates relative to the hinge part (141b) can push the discharge cover (222) toward the dust bin body (221).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커버 개방 유닛(15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10, the cover opening uni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커버 개방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개방 유닛(150)은 결합부(120)에 배치되고, 청소기(200)의 배출 커버(222)를 개방시킬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ver opening unit (150). The cover opening unit (150) is arranged at the coupling portion (120) and may open the discharge cover (222) of the cleaner (200).
커버 개방 유닛(150)은 푸쉬 돌기(151), 커버 개방 모터(152), 커버 개방 기어(153), 지지판(154) 및 기어 박스(15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opening unit (150) may include a push projection (151), a cover opening motor (152), a cover opening gear (153), a support plate (154), and a gear box (155).
푸쉬 돌기(151)는 청소기(200) 결합 시, 결합 레버(222c)를 가압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The push lug (151) can be moved to pressurize the coupling lever (222c) when the vacuum cleaner (200) is coupled.
푸쉬 돌기(151)는 먼지통 가이드면(122)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통 가이드면(122)에는 돌기 이동 홀이 형성될 수 있고, 푸쉬 돌기(151)가 돌기 이동 홀을 통과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The push projection (151) can be placed on the dustbin guide surface (122). Specifically, a projection moving hole can be formed on the dustbin guide surface (122), and the push projection (151) can pass through the projection moving hole and be exposed to the outside.
푸쉬 돌기(151)는 청소기(200)가 결합될 경우, 결합 레버(222c)를 누를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결합 레버(222c)는 돌기 이동 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레버(222c)는 푸쉬 돌기(151)의 이동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push projection (151) can be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coupling lever (222c) can be pressed when the cleaner (200) is coupled. That is, the coupling lever (222c) can be positioned on the projection moving hole. In addition, the coupling lever (222c) can be positioned on the moving area of the push projection (151).
푸쉬 돌기(151)는 결합 레버(222c)를 가압하도록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푸쉬 돌기(151)는 기어 박스(155)에 결합되어 직선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푸쉬 돌기(151)는 커버 개방 기어(153)와 결합되어, 커버 개방 기어(153)의 이동에 의하여 함께 이동될 수 있다.The push projection (151) can move linearly back and forth to pressurize the coupling lever (222c). Specifically, the push projection (151) can be coupled to a gear box (155) so that the linear movement can be guided. The push projection (151) can be coupled to a cover opening gear (153) so that it can move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cover opening gear (153).
커버 개방 모터(152)는 푸쉬 돌기(151)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개방 모터(152)는 모터 샤프트(미도시)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정방향이라 함은, 푸쉬 돌기(151)가 결합 레버(222c)를 누르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역방향이라 함은, 결합 레버(222c)를 누른 푸쉬 돌기(15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정방향은 역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The cover opening motor (152) can provide power to move the push projection (151). Specifically, the cover opening motor (152) can rotate the motor shaft (not shown)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Here, the forward direction may mea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ush projection (151) presses the engaging lever (222c). In addition, the reverse direction may mea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ush projection (151) that has pressed the engaging lever (222c)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forward direction may be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everse direction.
커버 개방 기어(153)는 커버 개방 모터(152)와 결합되고, 커버 개방 모터(152)의 동력을 이용하여 푸쉬 돌기(151)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개방 기어(153)는 기어 박스(155)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커버 개방 기어(153)의 구동기어(153a)는 커버 개방 모터(152)의 모터 샤프트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커버 개방 기어(153)의 피동기어(153b)는 푸쉬 돌기(151)와 결합되어 푸쉬 돌기(15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피동기어(153b)는 렉 기어 형태로 구비되어 구동기어(153a)와 치합되고, 구동기어(153a)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The cover opening gear (153) is coupled with the cover opening motor (152) and can move the push projection (151) using the power of the cover opening motor (152). Specifically, the cover opening gear (153)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gear box (155). The driving gear (153a) of the cover opening gear (153) can be coupled with the motor shaft of the cover opening motor (152) to receive power. The driven gear (153b) of the cover opening gear (153) can be coupled with the push projection (151) to move the push projection (151). For example, the driven gear (153b)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ack gear to mesh with the driving gear (153a) and can receive power from the driving gear (153a).
이때, 배출 커버(222)에는 토션스프링(222d)이 구비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222d)의 탄성력에 의하여 배출 커버(222)는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될 수 있고, 회전된 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커버(222)는 개방될 수 있고, 먼지 통과 홀(121a)과 먼지통(220)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cover (222) may be equipped with a torsion spring (222d). The discharge cover (222) may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222d), and may be supported at the rotated position. Accordingly, the discharge cover (222) may be opened, and may communicate the dust passage hole (121a) and the inside of the dust bin (220).
기어 박스(155)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고, 결합부(120)의 중력 방향 하측에 배치되며, 커버 개방 기어(153)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The gear box (155)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is positioned below the gravity direction of the coupling part (120), and the cover opening gear (153) can be accommodated inside.
기어 박스(155)에는 커버 개방 감지부(155f)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적외선 센서부(IR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ear box (155) may be equipped with a cover opening detection unit (155f). At this time, the cover opening detection unit (155f) may include a contact sensor. For example, the cover opening detection unit (155f) may include a micro switch. Meanwhile, the cover opening detection unit (155f) may also include a non-contact sensor. For example, the cover opening detection unit (155f)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IR sensor).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기어 박스(155)의 내측 면 또는 외측 면에 적어도 하나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기어 박스(155)의 내측면에 한 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푸쉬 돌기(151)가 초기 위치에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At least one cover opening detection unit (155f) may be arranged on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gear box (155). For example, one cover opening detection unit (155f) may be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ear box (155). At this time, the cover opening detection unit (155f) may detect that the push projection (151) is in the initial position.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 개방 유닛(150)에 의하여 사용자가 별도로 청소기의 배출 커버(222)를 열지 않고도 먼지통(220)을 개방시킬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open the dust bin (220) without separately opening the discharge cover (222) of the vacuum cleaner by the cover opening unit (150),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또한,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배출 커버(222)가 열리므로,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cover (222) is opened while the cleaner (200) is connected to the cleaner station (100),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dust from flying.
도 11 내지 도 1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먼지 집진부의 구성 및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FIGS. 11 to 16 are drawing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of a dust collection unit in a cleaning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5와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먼지 집진부(17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dust collection unit (17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with reference to FIG. 5 and FIG. 11 to FIG. 16.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먼지 집진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 집진부(17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 집진부(170)는 봉투 수용 공간(115)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먼지 집진부(170)는 집진 모터(191)의 중력 방향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station (100) may include a dust collection unit (170). The dust collection unit (170) may be placed inside the housing (110). The dust collection unit (170) may be placed in the bag receiving space (115). And the dust collection unit (170) may be placed above the gravity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191).
먼지 집진부(170)는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내부의 먼지를 포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고 먼지통(220) 내부와 유로부(180)가 연통된 상태에서, 집진 모터(191)가 작동되면 먼지통(220) 내부의 먼지가 유로부(180)를 따라 유동하여 먼지 집진부(170)에 포집될 수 있다.The dust collection unit (170) can collect dust inside the dust bin (220) of the vacuum cleaner (200). Specifically, when the vacuum cleaner (200) is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station (100) and the inside of the dust bin (220) and the flow path (180) are connected, when the dust collection motor (191) is operated, dust inside the dust bin (220) can flow along the flow path (180) and be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on unit (170).
한편, 일반적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는, 공기에서 먼지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먼지 봉투로 포집되므로 일부 먼지가 집진모터 쪽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집진모터로 유입된 먼지로 인하여 집진모터에 고장이 유발될 수 있다.Meanwhile, in a typical vacuum cleaner station, dust is captured in a dust bag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air, so some of the dust may flow into the dust collecting motor. Therefore, dust flowing into the dust collecting motor may cause the dust collecting motor to malfunction.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로 상에 프리필터 등을 배치시킬 수는 있으나, 프리필터만으로 먼지를 거를 경우 다수의 먼지에 의하여 프리필터가 막혀 집진모터의 흡입력이 저하되는 한계가 있다.To solve this problem, a pre-filter, etc. can be placed on the euro, but if the pre-filter alone is used to filter dust,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pre-filter can become clogged with a large amount of dust, reducing the suction power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먼지 집진부(170)는 유로부(18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여 포집하도록 먼지 분리부(171)를 포함한다. To solve this problem, the dust collection unit (170) of the vacuum cleaner statio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st separation unit (171) to separate and capture dust from the air flowing in through the duct unit (180).
구체적으로, 먼지 집진부(170)는 먼지 분리부(171), 먼지 봉투(172), 봉투 지지부(173),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 프리필터(175) 및 접합기(176)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ust collection unit (170) may include a dust separation unit (171), a dust bag (172), a bag support unit (173), a dust bag cartridge (174), a prefilter (175), and a jointer (176).
먼지 분리부(171)는 먼지통(220)에서 유입되는 공기 중에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다.The dust separation unit (171) can separate dust from the air flowing in from the dust bin (220).
먼지 분리부(171)는 먼지 봉투(172), 봉투 지지부(173),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 및 접합기(176)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먼지 분리부(171)의 하측에는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 봉투 지지부(173),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 및 접합기(176)가 배치될 수 있다. 먼지 분리부(171)는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와 접촉될 수 있다.The dust separation unit (171) may be arranged above the dust bag (172), the bag support unit (173), the dust bag cartridge (174), and the jointer (176). That is, the dust bag cartridge (174), the bag support unit (173), the dust bag cartridge (174), and the jointer (176) may be arranged below the dust separation unit (171). The dust separation unit (171) may be in contact with the dust bag cartridge (174).
먼지 분리부(171)는 청소기 스테이션(300)의 길이 방향 축선(C)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dust separation unit (171) can be placed on the longitudinal axis (C) of the cleaner station (300).
먼지 분리부(171)는 먼지 분리부 케이스(171a)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separation unit (171) may include a dust separation unit case (171a).
먼지 분리부 케이스(171a)는 먼지 분리부(17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The dust separation unit case (171a) can form the exterior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71).
먼지 분리부 케이스(171a)의 내부에는 싸이클론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먼지 분리부 케이스(171a)의 내부에는 싸이클론부(171b)가 배치될 수 있다.A cyclone may be provided inside the dust separation case (171a). That is, a cyclone unit (171b) may be placed inside the dust separation case (171a).
또한, 먼지 분리부 케이스(171a)에는 먼지 통과관(171c)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분리부 케이스(171a)의 하측 면에는 먼지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dust passage (171c) may be formed in the dust separation case (171a). For example, a passage through which dust can pass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case (171a).
먼지 분리부 케이스(171a)의 하측 면에는,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와 접촉되는 실러(sealer)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러는 먼지 통과관(171c)의 외곽을 둘러싸는 사각형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A sealer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a dust bag cartridge (174)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case (171a). For example, the sealer may be arranged in a square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passage tube (171c).
먼지 분리부(171)는 제1 유로(181)와 연통될 수 있다. 먼지 분리부(171)는 제1 유로(181)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다. 먼지 분리부(171) 내부의 공간은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먼지 분리부(171) 내부의 공간은 봉투 지지부(173) 내부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The dust separation unit (171) may be communicated with the first passage (181). The dust separation unit (171) may separate dust suck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first passage (181). The space inside the dust separation unit (171) may be communicated with the space inside the dust bag cartridge (174). The space inside the dust separation unit (171) may be communicated with the space inside the bag support unit (173).
예를 들어, 먼지 분리부(171)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싸이클론부(171b)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로(181)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먼지 분리부(171)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먼지 분리부(171)의 내부 공간에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ust separation unit (171) may be equipped with at least one cyclone unit (171b) capable of separating dust by cyclone flow. Accordingly, the air and dust flowing in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81) flow in a spiral manner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71). Accordingly, a cyclone flow may occur in the inner spac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71).
한편, 본 실시예에서 싸이클론부(171b)는 원통 형태의 메쉬(mesh) 망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메쉬 망의 축 방향은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측면에서 싸이클론부(171b)가 잡아당겨지면, 먼지 집진부(17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쉽게 싸이클론부(171b)를 분리시킬 수 있고, 메쉬 망을 세척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yclone part (171b) may be provided with a cylindrical mesh net. Here, the axial direction of the mesh net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ground.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cyclone part (171b) is pulled from the 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0),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on part (170).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cyclone part (171b) and wash the mesh net.
또한, 먼지 분리부(171)는 싸이클론부(171b)에서 분리된 먼지를 먼지 봉투(172)로 안내하는 먼지 통과관(171c)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 통과관(171c)은 싸이클론부(171b)의 축 방향 일측에서 하방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먼지 통과관(171c)은 먼지 분리부 케이스(171a)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먼지 통과관(171c)에 형성된 유로는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 및 봉투 지지부(173)의 내부 공간과 싸이클론부(171b)를 연통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dust separation unit (171) may include a dust passage (171c) that guides dust separated from the cyclone unit (171b) to the dust bag (172). The dust passage (171c) may be formed downward on one axial side of the cyclone unit (171b). That is, the dust passage (171c)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case (171a). Accordingly, the flow path formed in the dust passage (171c) may connect the internal space of the dust bag cartridge (174) and the bag support unit (173) with the cyclone unit (171b).
먼지 분리부(171)는 싸이클론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재차 분리하는 2차 싸이클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먼지 분리부(171)의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2차 싸이클론은 싸이클론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The dust separation unit (171) may further include a secondary cyclone that separates dust again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yclone. At this time, the secondary cyclone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cyclone so as to minimize the siz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71).
먼지 분리부(171)는 제1 유로(181)와 연통되며, 먼지 통과 홀(121a)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 먼지를 분리하기 위해, 원심력을 이용하는 집진기의 원리를 적용한 구성이다.The dust separation unit (171) is connected to the first duct (181) and is configured to apply the principle of a dust collector that utilizes centrifugal force to separate dust that has entered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through the dust passage hole (121a).
먼지 봉투(172)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 봉투(172)는 먼지 분리부(171)의 중력 방향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ust bag (172) can be placed inside the housing (110). The dust bag (172) can be placed on the lower side in the gravity direction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71).
먼지 봉투(172)는 비투과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봉투(172)는 롤 비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먼지 봉투(172)가 밀봉 또는 접합되면 먼지 봉투(172) 내부에 포집된 먼지 또는 악취가 먼지 봉투(172) 바깥으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ust bag (172) may be formed of an impermeable material. For example, the dust bag (172) may include a roll vinyl (not shown).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ust bag (172) is sealed or bonded, dust or odor captured inside the dust bag (172)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out of the dust bag (172).
먼지 봉투(172)는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를 통하여 하우징(110)에 장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먼지 봉투(172)는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를 통하여 교체될 수 있다. 즉, 먼지 집진부(170)는 소모성 부품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지 봉투(172)는 하우징(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집진 모터(191)의 작동 시 발생되는 흡입력(음압)에 의하여 부피가 커질 수 있다. The dust bag (172) can be mounted on the housing (110) through the dust bag cartridge (174). If necessary, the dust bag (172) can be replaced through the dust bag cartridge (174). That is, the dust collection unit (170) can be defined as a consumable part. The dust bag (172) can increase in volume due to the suction forc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dust collection motor (191) operates while mounted on the housing (110).
이때, 펼쳐진 상태의 먼지 봉투(172)는 봉투 지지부(173)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즉, 먼지 봉투(172)는 집진 모터(191)가 작동되면, 봉투 지지부(173) 내에서 팽창될 수 있다. 그리고, 펼쳐진 상태의 먼지 봉투(172)는 봉투 지지부(173)에 의하여 지지되어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ust bag (172) in the unfolded state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bag support member (173). That is, when the dust collection motor (191) is operated, the dust bag (172) can be expanded inside the bag support member (173). And, the dust bag (172) in the unfolded state can be supported by the bag support member (173) and its shape can be maintained.
먼지 봉투(172)는 먼지 분리부(171)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 먼지 봉투(172)는 접합기(176)에 의하여 상부 영역을 절단 및 접합될 수 있다. 먼지 봉투(172)는 상부 영역이 절단 및 접합된 상태에서 봉투 지지부(173)에서 분리될 수 있다.The dust bag (172) can stor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171). The dust bag (172) can have its upper region cut and joined by a jointer (176). The dust bag (172) can be separated from the bag support unit (173) in a state where its upper region is cut and joined.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먼지가 포집된 봉투 등을 별도로 묶을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This configuration can improve user convenience because the user does not need to separately bundle dust-collecting bags, etc.
한편, 일반적인 롤 비닐 타입의 먼지 봉투의 경우, 집진모터 작동 시 먼지 봉투가 집진모터 쪽으로 당겨지면서 납작하게 찌그러질 수 있다. 따라서, 집진모터 작동 시 먼지 봉투의 내부 공간이 좁아지면서 먼지를 먼지 봉투 내에 포집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Meanwhile, in the case of a general roll vinyl type dust bag, the dust bag may be flattened as it is pulled toward the dust collecting motor when the dust collecting motor is in operation. Therefore, when the dust collecting motor is in operation, the internal space of the dust bag becomes narrow, making it difficult to capture dust inside the dust bag.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먼지 집진부(170)는 봉투 지지부(173)를 추가하여 먼지 봉투가 안정적으로 펼쳐지도록 만들 수 있다.To solve this problem, the dust collection unit (170) of the cleaner station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to allow the dust bag to be stably spread by adding a bag support unit (173).
봉투 지지부(173)는 먼지 봉투(172)를 지지할 수 있다. 봉투 지지부(173)는 먼지 봉투(172)가 팽창될 경우, 먼지 봉투(172)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봉투 지지부(173)는 팽창된 먼지 봉투(172)의 외형을 지지할 수 있다.The bag support (173) can support the dust bag (172). The bag support (173) can accommodate the dust bag (172) inside when the dust bag (172) is inflated. The bag support (173) can support the outer shape of the inflated dust bag (172).
봉투 지지부(173)는 먼지 분리부(17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먼지 분리부(171)에서 분리된 먼지는 봉투 지지부(173)의 내부로 포집될 수 있다.The envelope support member (173) can be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dust separation member (171). With this configuration,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member (171) can be captured inside the envelope support member (173).
봉투 지지부(173)는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에서부터 먼지 봉투(172)가 하측으로 팽창되면, 먼지 봉투(172)의 적어도 일부는 봉투 지지부(173)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The bag support member (173) may be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dust bag cartridge (174).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ust bag (172) is expanded downward from the dust bag cartridge (174), at least a portion of the dust bag (172)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bag support member (173).
봉투 지지부(173)는 접합기(17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팽창된 먼지 봉투(172)가 접합기(176)에 의하여 접합되고 분리되며, 중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낙하하면서 봉투 지지부(173) 내에 수용될 수 있다.The bag support member (173) may be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jointer (176). With this configuration, the inflated dust bag (172) may be joined and separated by the jointer (176), and may be accommodated in the bag support member (173) while falling downward by gravity.
구체적으로, 봉투 지지부(173)는 지지부 본체(173a) 및 흡착홀(173b)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nvelope support (173) may include a support body (173a) and an adsorption hole (173b).
지지부 본체(173a)의 하측 면과 봉투 수용 공간(115)의 하측 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공간은 집진 모터(191)의 흡입력이 전달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A space can be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73a)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nvelope receiving space (115). The space can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suction power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191) is transmitted.
이와 같은 구성으로, 집진 모터(191)가 작동되면, 집진 모터(191)의 흡입력에 의하여 봉투 수용 공간(115)에 있던 공기는 집진 모터(191)로 흡입될 수 있고, 봉투 수용 공간(115)에는 먼지 봉투(172)를 팽창시키는 음압이 형성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ust collecting motor (191) is operated, the air in the bag receiving space (115) can be sucked into the dust collecting motor (191) by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191), and a negative pressure that expands the dust bag (172) can be formed in the bag receiving space (115).
먼지 봉투(172)가 팽창될 경우, 지지부 본체(173a)는 내부에 먼지 봉투(17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 본체(173a)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부 본체(173a)의 상측 면은 개방되며, 지지부 본체(173a)의 하측 면은 적어도 일부가 폐쇄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dust bag (172) is expanded, the support body (173a) may be formed so as to accommodate the dust bag (172) therein. For example, the support body (173a)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73a) may be ope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73a)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t least a portion is closed.
다른 예로, 지지부 본체(173a)는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부 본체(173a)의 상측 면은 개방되며, 지지부 본체(173a)에서 전방 면은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개방된 전방 면을 통하여 먼지 봉투(172)를 제거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upport body (173a)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73a) is open,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73a) can be opened. With this configuration, the dust bag (172) can be removed through the open front surface.
지지부 본체(173a)의 상측에는 먼지 봉투(172)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먼지 봉투(172)가 팽창될 경우, 먼지 봉투(172)가 하측으로 팽창되면서 지지부 본체(173a)의 내부 공간을 채울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a dust bag (172) may b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ody (173a). Then, when the dust bag (172) is expanded, the dust bag (172) may expand downward and fill the internal space of the support body (173a).
흡착홀(173b)은 지지부 본체(173a)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착홀(173b)은 지지부 본체(173a)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흡착홀(173b)은 지지부 본체(173a)의 하측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집진 모터(191)의 작동 시, 지지부 본체(173a) 내부의 공기가 흡착홀(173b)을 통하여 지지부 본체(173a)의 외부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 본체(173a) 내부에 먼지 봉투(172)가 팽창된 상태에서는, 먼지 봉투(172)에 대하여 지지부 본체(173a)의 외부를 향하여 음압이 인가될 수 있고, 먼지 봉투(172)는 지지부 본체(173a)의 내주면 및 하측 면과 밀착되도록 팽창될 수 있다. 즉, 먼지 봉투(172)는 봉투 지지부(173)의 내부 형태를 따라 팽창될 수 있다.The suction holes (173b) may be formed in multiple numbers in the support body (173a). For example, the suction holes (173b) may be formed in multiple number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73a). In addition, at least one suction hole (173b)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73a).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ust collecting motor (191) operates, air inside the support body (173a) may flow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body (173a) through the suction holes (173b). In addition, when the dust bag (172) is inflated inside the support body (173a), negative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dust bag (172) toward the outside of the support body (173a), and the dust bag (172) may be inflated so as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73a). That is, the dust bag (172) can be expanded along the internal shape of the bag support member (173).
특히, 복수 개의 흡착홀(173b)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는 경우, 먼지 봉투(172) 전체에 균일한 음압이 인가되면서 먼지 봉투(172)가 고르게 팽창될 수 있고, 팽창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a plurality of adsorption holes (173b) are formed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dust bag (172) can be evenly expanded and maintain the expanded shape while a uniform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entire dust bag (172).
한편, 종래의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는 청소기는, 먼지량이 소정 기준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만 있을 뿐, 먼지통을 자동으로 비우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vacuum cleaners that can detect the amount of dust can only notify the user when the amount of dust exceeds a certain standard, and have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automatically empty the dust bin.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먼지 봉투(172)를 자동으로 접합한 후,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attach a dust bag (172) and then discharge it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0).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봉투 지지부(173)는 하우징(110) 내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velope support member (173) may be provided so as to be withdrawable within the housing (110).
도 19 내지 도 2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봉투 지지부(173)가 인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Figures 19 to 24 are drawings illustrating a process of withdrawing an envelope support member (173) from a cleaning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19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봉투 지지부(173)는 봉투 인출부(173c)를 포함한다. 봉투 인출부(173c)는 지지부 본체(173a)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먼지 봉투(172)를 운반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19 to 24, the envelope support member (173) includes an envelope extraction member (173c). The envelope extraction member (173c) is movably accommodated in the support member body (173a) and can transport a dust bag (172).
구체적으로, 봉투 지지부(173)는 봉투 인출부(173c)를 포함한다. 봉투 인출부(173c)는 지지부 본체(173a)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먼지 봉투(172)를 운반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nvelope support member (173) includes an envelope extraction member (173c). The envelope extraction member (173c) is movably accommodated in the support member body (173a) and can transport a dust bag (172).
일 예로, 봉투 인출부(173c)는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하측 면에는 바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봉투 인출부(173c)는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되, 지지부 본체(173a)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envelope extraction part (173c)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open top, and wheels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As another example, the envelope extraction part (173c)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open top, and a rail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support body (173a) to enable sliding movement.
이와 같은 구성으로, 먼지 봉투(172)가 접합기(176)에 의하여 접합된 후, 중력에 의하여 낙하하여 봉투 인출부(173c)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봉투 인출부(173c)는 지지부 본체(173a)에 대하여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dust bag (172) can be joined by the jointer (176) and then dropped by gravity to be received in the bag extraction part (173c). In addition, the bag extraction part (173c) can be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ody (173a).
따라서, 봉투 인출부(173c)는 접합된 먼지 봉투(172)를 수용한 상태에서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ag extraction unit (173c) can move back and forth in a straight line while receiving the joined dust bag (172).
이와 같은 구성으로, 봉투 인출부(173c)는 접합된 먼지 봉투(172)를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bag extraction unit (173c) can discharge the joined dust bag (172)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0).
스토퍼(173d)는 이동에 따라 봉투 인출부(173c)와 접촉 지지될 수 있다. The stopper (173d) can be supported by contact with the envelope extraction part (173c) as it moves.
예를 들어, 스토퍼(173d)는 지지부 본체(173a)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에 따라 봉투 인출부(173c)와 접촉되어 봉투 인출부(173c)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스토퍼(173d)는 바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은 후술할 봉투 배출 액츄에이터(173e)와 연결되어 봉투 배출 액츄에이터(173e)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 이동되고, 타측은 회전 이동에 따라 봉투 인출부(173c)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topper (173d)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support body (173a) and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envelope extraction part (173c) as it rotates, thereb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envelope extraction part (173c). That is, the stopper (173d)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and one side may be connected to an envelope discharge actuator (173e) to be described later and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envelope discharge actuator (173e), and the other side may be provided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envelope extraction part (173c) as it rotates.
이때, 스토퍼(173d)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을 가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스토퍼(173d)는 봉투 인출부(173c)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a part of the stopper (173d) can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curved surface. With this configuration, the stopper (173d) can improve the supporting force for supporting the envelope extraction portion (173c).
다른 실시예로,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73d`)는 지지부 본체(173a)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직선 이동에 따라 봉투 인출부(173c)와 접촉되어 봉투 인출부(173c)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스토퍼(173d`)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은 후술할 봉투 배출 액츄에이터(173e`)와 연결되어 봉투 배출 액츄에이터(173e`)가 작동되면 직선 스트로크 이동되고, 타측은 직선 이동에 따라 봉투 인출부(173c)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2 and 23, the stopper (173d`) is provided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on the support body (173a), and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velope extraction portion (173c)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thereb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envelope extraction portion (173c). That is, the stopper (173d`)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one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envelope discharge actuator (173e`) described below, such that when the envelope discharge actuator (173e`) is operated, the linear stroke movement is performed, and the other side thereof may be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envelope extraction portion (173c)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토퍼(173d, 173d`)가 봉투 인출부(173c)와 접촉하여 봉투 인출부(173c)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고, 봉투 배출 액츄에이터(173e, 173e`)가 작동되면 스토퍼(173d, 173d`)가 이동되면서 봉투 인출부(173c)의 이동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173d, 173d`) can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envelope extraction part (173c)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envelope extraction part (173c), and when the envelope discharge actuator (173e, 173e`) is operated, the stopper (173d, 173d`) moves, thereby releasing the restriction on the movement of the envelope extraction part (173c).
봉투 배출 액츄에이터(173e)는 스토퍼(173d)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투 배출 액츄에이터(173e)는 모터일 수 있다. 이때, 봉투 배출 액츄에이터(173e)는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봉투 배출 액츄에이터(173e)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토퍼(173d)가 봉투 인출부(173c)와의 접촉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봉투 배출 액츄에이터(173e)가 일 방향과 다른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토퍼(173d)가 봉투 인출부(173c)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envelope discharge actuator (173e) can provide power to move the stopper (173d). For example, the envelope discharge actuator (173e) can be a motor. At this time, the envelope discharge actuator (173e) can be provided to be rotatable in both directions. Accordingly, when the envelope discharge actuator (173e)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stopper (173d) can move in a direction that releases contact with the envelope retrieval portion (173c). In addition, when the envelope discharge actuator (173e) rotates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one direction, the stopper (173d) can move in a direction that makes contact with the envelope retrieval portion (173c).
따라서, 봉투 배출 액츄에이터(173e)의 작동에 따라, 봉투 인출부(173c)의 이동은 제한되거나 제한이 해제될 수 있다.Accordingly,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envelope discharge actuator (173e), the movement of the envelope withdrawal portion (173c) can be restricted or released.
스프링(173f)은 봉투 인출부(173c)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스프링(173f)은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173f)은 일측이 지지부 본체(173a)에 결합되고, 타측이 봉투 인출부(173c)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봉투 인출부(173c)가 스토퍼(173d)와 접촉되어 있는 경우, 스프링(173f)은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봉투 인출부(173c)와 스토퍼(173d)의 접촉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스프링(173f)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봉투 인출부(173c)를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봉투 인출부(173c)는 스프링(173f)에 의하여 직선 이동될 수 있다.The spring (173f) can provide elasticity to the envelope extraction portion (173c). For example, the spring (173f) can be a coil spring. For example, one end of the spring (173f) can be coupled to the support body (173a), and the other end can be coupled to the envelope extraction portion (173c). At this time, when the envelope extraction portion (173c)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173d), the spring (173f) can be in a compressed state. Then, when the contact between the envelope extraction portion (173c) and the stopper (173d) is released, the compression of the spring (173f) can be released to push out the envelope extraction portion (173c). Therefore, the envelope extraction portion (173c) can be moved in a straight line by the spring (173f).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먼지 봉투(172) 내의 먼지량이 소정 기준 먼지량을 초과하는 경우, 봉투 배출 액츄에이터(173e)가 작동되고, 봉투 배출 액츄에이터(173e)의 작동에 의하여 봉투 인출부(173c)와 스토퍼(173d)의 접촉이 해제되며, 스프링(173f)의 탄성력에 의하여 봉투 인출부(173c)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부로 배출된 먼지 봉투(172)를 제거하기만 하면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mount of dust in the dust bag (172) exceeds a predetermined standard dust amount, the bag discharge actuator (173e) is operated, and the contact between the bag extraction part (173c) and the stopper (173d) is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bag discharge actuator (173e), and the bag extraction part (173c)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73f). Therefore, the user only needs to remove the dust bag (172)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0).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 173h)는 봉투 지지부(173)에 배치되고, 먼지 봉투(172)를 감지할 수 있다. A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173h) is placed on the bag support member (173) and can detect a dust bag (172).
일 예로,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 173h)는 지지부 본체(173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 173h)는 지지부 본체(173a)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 173h)는 지지부 본체(173a)의 내부에서 먼지 봉투(172)를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173h) may be placed inside the support body (173a). As another example, the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173h) may be placed through the support body (173a). With this configuration, the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173h) may be placed at a position where it can irradiate light toward the dust bag (172) from inside the support body (173a).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 173h)는 빛을 조사하여 먼지 봉투(172)의 존재 여부 또는 먼지 봉투(172) 내부의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 173h)는 레이져 센서일 수 있다.The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173h) can detect the presence of a dust bag (172) or the amount of dust inside the dust bag (172) by irradiating light. For example, the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173h) may be a laser sensor.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 173h)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발광 소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광 소자 사이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즉,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의 개수 및 위치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The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173h) may include a light-emitting element and a light-receiving element. At this time, the light-emitting element and the light-receiving element may b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ddition, one light-emitting element may be arranged in a row between at least two or more light-receiving elements. However,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at is, the number and positions of the light-emitting elements and the light-receiving elements may var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발광 소자(미도시)는 빛을 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 소자는 지지부 본체(173a)의 내부를 향하여 배치되어, 지지부 본체(173a)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빛을 발할 수 있다. 발광 소자에서 발한 빛은 먼지 봉투(172) 및 먼지 봉투(172) 내부의 먼지나 이물질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The light-emitting element (not shown) can emit light. Specifically, the light-emitting element is arranged toward the inside of the support body (173a), and can emit light in a direction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body (173a).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emitting element can be reflected by the dust bag (172) and dust or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dust bag (172).
수광 소자(미도시)는 빛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광 소자는 발광 소자에 의해 반사된 빛을 수신할 수 있다. 수광 소자 또한, 발광 소자와 마찬가지로, 지지부 본체(173a)의 내부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수광 소자는 먼지 봉투(172) 및 먼지 봉투(172) 내부의 먼지나 이물질에 의해 반사된 빛을 수신할 수 있다. The light-receiving element (not shown) can receive light. Specifically, the light-receiving element can receive light reflected by the light-emitting element. The light-receiving element, like the light-emitting element, can also be positioned toward the inside of the support body (173a). Accordingly, the light-receiving element can receive light reflected by the dust bag (172) and dust or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dust bag (172).
한편, 종래의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는 청소기는, 광학 센서를 통하여 먼지통 내의 먼지량을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을 뿐, 먼지가 포집된 먼지 봉투를 자동으로 배출하고, 먼지 봉투가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Meanwhile, conventional vacuum cleaners that can detect the amount of dust can only determine the amount of dust in the dust bin through an optical sensor and notify the user of this, but they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cannot automatically discharge the dust bag containing the collected dust and determine whether the dust bag has been discharged.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복수 개의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 173h)를 높이가 다르게 배치하여, 먼지 봉투(172)의 배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o solve this problem,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a dust bag (172) is discharg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dust bag detection sensors (173g, 173h) at different heights.
즉,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 173h)는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 및 제2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h)를 포함한다.That is, the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173h) includes a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and a second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h).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와 제2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h)는 지지부 본체(173a)에 배치된다. 이때,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은 제2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h)보다 지면에서 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h)는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and the second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h) are arranged on the support body (173a). At this time, the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may be arranged further from the ground than the second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h). That is, the second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h) may be arranged below the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이와 같은 구성으로, 먼지 봉투(172)가 팽창되어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에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는,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에서 조사된 빛이 먼지 봉투(172)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먼지 봉투(172)가 접합되어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로부터 분리된 후 낙하된 상태에서는, 제2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h)에서 조사된 빛이 먼지 봉투(172)에 도달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ust bag (172) is inflated and hung on the dust bag cartridge (174),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can reach the dust bag (172). In addition, when the dust bag (172) is joined and separated from the dust bag cartridge (174) and then dropped, light irradiated from the second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h) can reach the dust bag (172).
따라서,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는 먼지 봉투(172)가 팽창된 상태에서 먼지 봉투(172)를 감지할 수 있고, 제2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h)는 접합된 먼지 봉투(172)를 감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can detect the dust bag (172) in an inflated state, and the second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h) can detect the joined dust bag (172).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는 먼지 봉투(172)에 저장된 먼지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는 먼지 봉투(172)를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고, 먼지 봉투(172)에 저장된 먼지의 양에 따라 반사되는 빛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는 먼지 봉투(172) 및 먼지 봉투(172) 내에 저장된 먼지에 의하여 반사된 빛을 수신하여 먼지 봉투(172) 내에 저장된 먼지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The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can measure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bag (172). For example, the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can irradiate light toward the dust bag (172), and the amount of reflected light can vary depending on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bag (172). Accordingly, the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can measure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bag (172) by receiving light reflected by the dust bag (172) and the dust stored in the dust bag (172).
제2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h)는 먼지 봉투(172)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h)는 먼지 봉투(172)를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고, 먼지 봉투(172)에 의하여 빛이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h)는 먼지 봉투(172)에 의하여 반사된 빛을 수신하여 먼지 봉투(172)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cond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h) can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ust bag (172). For example, the second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h) can irradiate light toward the dust bag (172), and the light can be reflected by the dust bag (172). Accordingly, the second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h) can detect whether or not the dust bag (172) exists by receiving the light reflected by the dust bag (172).
따라서,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는 먼지 봉투(172)가 팽창된 상태에서 먼지 봉투(172) 내의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h)는 먼지 봉투(172)가 접합된 후에 먼지 봉투(172)가 낙하하여 봉투 지지부(173)의 하측에 잔존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can detect the amount of dust inside the dust bag (172) when the dust bag (172) is inflated. In addition, the second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h) can detect whether the dust bag (172) falls and remains on the lower side of the bag support member (173) after the dust bag (172) is attached.
한편, 롤 비닐 타입의 청소기 스테이션의 경우, 소모성인 먼지 봉투가 모두 소진되면 먼지 봉투를 교체할 필요가 있다. 이때,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 스테이션의 하우징 내부에 먼지 봉투를 끼워 장착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청소기 스테이션의 내부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고장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또한, 먼지 봉투가 오장착될 경우에는 먼지 봉투가 펼쳐지지 않은 상태로 집진이 이루어져 먼지가 비산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Meanwhile, in the case of a roll vinyl type vacuum cleaner station, when the consumable dust bag is completely used up, the dust bag needs to be replaced. At this time, the user can install the dust bag by inserting it directly into the housing of the vacuum cleaner station, but there is a risk of malfunction when the user opens the interior of the vacuum cleaner station, and also, if the dust bag is installed incorrectly, there is a problem that dust may be collected without the dust bag being opened, causing dust to fly.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를 통하여 사용자가 카트리지만 교체하는 방식으로 손쉽게 먼지 봉투를 공급할 수 있다.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easily supply a dust bag by simply replacing the cartridge through a dust bag cartridge (174).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는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먼지 봉투(172)를 공급할 수 있다. A dust bag cartridge (174)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110) and can supply a dust bag (172).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는 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는 먼지 분리부(171)와 접합기(176)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dust bag cartridge (174)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110). Specifically, the dust bag cartridge (174)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a space formed between the dust separation unit (171) and the joint (176).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가 하우징(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를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바깥 쪽으로 당기면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가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는 손쉽게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를 하우징에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다.When the dust bag cartridge (174) is coupled to the housing (110), the dust bag cartridge (174) can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110) when the user pulls the dust bag cartridge (174) toward the out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0). With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easily mount or detach the dust bag cartridge (174) to or from the housing.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에는 먼지 봉투(17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에는 롤 비닐 형태의 먼지 봉투(172)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될 수 있고, 집진 모터(191)의 작동에 따라 먼지 봉투(172)가 봉투 지지부(173)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접합기(176)의 작동에 따라 먼지 봉투(172)가 접합되면서 먼지 봉투(172)의 일부가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와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가 먼지가 포집된 봉투 등을 별도로 묶을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dust bag cartridge (174) may be equipped with a dust bag (172). For example, at least a part of a dust bag (172) in the form of a roll vinyl may be combined with the dust bag cartridge (174), and the dust bag (172) may be expanded toward the bag support member (173)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191). In addition, as the dust bag (172) is combin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jointer (176) described later, a part of the dust bag (172) may be separated from the dust bag cartridge (174). Wit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user does not need to separately bundle a bag containing dust, etc., the user convenience may be improved.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는 먼지 분리부(17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의 상측 면은 먼지 분리부(171)의 하측 면과 서로 접촉될 수 있다. The dust bag cartridge (174) may be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71). For example, the upper side of the dust bag cartridge (174)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71).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는 접합기(176)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의 하측 면은 접합기(176)의 상측 면과 서로 접촉될 수 있다. The dust bag cartridge (174) may b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jointer (176). For example, the lower side of the dust bag cartridge (174)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jointer (176).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는 내부에 먼지 봉투(172)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는 전체적으로 사각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는 내측(중앙)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공간을 통하여 먼지 봉투(172)의 적어도 일부가 팽창될 수 있다.The dust bag cartridge (174) can form a space in which a dust bag (172) is accommodated inside. At this time, the dust bag cartridge (174) can be formed in an overall square tube shape. That is, the dust bag cartridge (174) can have a space formed on the inside (center) through which air can flow. At least a portion of the dust bag (172) can be expanded through the space.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에는 먼지 봉투(172)가 인출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홀은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의 내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먼지 봉투(172)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은 먼지 봉투(172)에 의하여 막힐 수 있다. 따라서, 집진 모터(191)가 작동되면, 먼지 봉투(172)가 집진 모터(191) 방향으로 흡입되어 팽창될 수 있다.A hole may be formed in the dust bag cartridge (174) through which the dust bag (172) may be pulled out. For example, the hole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ust bag cartridge (174).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ust bag (172) is pulled out, the spac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ust bag cartridge (174) may be blocked by the dust bag (172). Accordingly, when the dust collecting motor (191) is operated, the dust bag (172) may be sucked in the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191) and expanded.
한편, 상기와 같이 먼지 봉투 카트리지와 주변 구조물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거나, 먼지 봉투 카트리지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경우에는, 먼지 봉투 카트리지가 결합되는 이격 공간을 통하여 공기 중 포함된 먼지가 비산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Meanwhile, if there is a space between the dust bag cartridge and the surround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or if the dust bag cartridge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here is a problem that dust contained in the air may fly out through the space where the dust bag cartridge is attached.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0)에서는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러를 구비하여 먼지가 비산될 수 있는 틈을 밀봉할 수 있다.To solve this problem, the cleaner station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sealer in the dust bag cartridge (174) to seal the gap through which dust may fly.
즉,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의 상측 면에는 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물질이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와 먼지 분리부(171)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a sealer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bag cartridge (174). With this configuration, foreign substances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between the dust bag cartridge (174) and the dust separation unit (171).
또한,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의 하측 면에는 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를 통과한 이물질이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와 접합기(176)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aler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bag cartridge (174). With this configuration, foreign substances passing through the dust bag cartridge (174)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between the dust bag cartridge (174) and the joint (176).
먼지 집진부(170)는 프리필터(1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리필터(175)는 제2 유로(182) 상에 배치되고, 제2 유로(182)를 유동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필터(175)는 제2 유로(182)의 유입구 측에 배치되어 먼지 분리부(171)를 통과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을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집진 모터(191)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dust collection unit (170) may further include a pre-filter (175). The pre-filter (175) is arranged on the second passage (182) and can separat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 passage (182). For example, the pre-filter (175) may be arranged on the inlet side of the second passage (182) and can separate dust, etc.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ust separation unit (171). With this configura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on motor (191).
프리필터(175)는 제2 유로(18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리필터(175)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전방에서 제2 유로(18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prefilter (175)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duct (182). The prefilter (175)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duct (182) at the front of the cleaner station (100).
먼지 집진부(170)는 접합기(1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ust collection unit (170) may further include a joint (176).
접합기(176)는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기(176)의 상측 면은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의 하측 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접합기(176)는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의 탈착을 가이드할 수 있다. The connector (176) may be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dust bag cartridge (174). For example,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or (176)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dust bag cartridge (174).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onnector (176) may guide the attachment/detachment of the dust bag cartridge (174).
접합기(176)는 봉투 지지부(17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기(176)의 하측 면은 봉투 지지부(173)의 상측 면과 접촉될 수 있다. The joint (176)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envelope support (173). For example, the lower side of the joint (176)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envelope support (173).
접합기(176)는 먼지가 포집된 먼지 봉투(172)의 상부 영역을 절단 및 접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합기(176)는 먼지 봉투(172)의 중앙 영역으로 모아 먼지 봉투(172)의 상부 영역을 열선 접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기(176)는 제1 접합 부재(미도시)와 제2 접합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합 부재(미도시)는 제1 접합 구동부를 통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접합 부재(미도시)는 제2 접합 구동부를 통해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jointer (176) can cut and join the upper region of the dust bag (172) where dust is collected. Specifically, the jointer (176) can gather the dust into the central region of the dust bag (172) and hot-wire join the upper region of the dust bag (172). For example, the jointer (176) can include a first joint member (not shown) and a second joint member (not shown). The first joint member (not shown) can move in a first direction through a first join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joint member (not shown) can move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rough a second joint driving unit.
이와 같은 구성으로, 외부로부터 포집한 먼지를 롤 비닐 내부에 모을 수 있고, 롤 비닐을 자동으로 접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먼지가 포집된 봉투 등을 별도로 묶을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dust collected from the outside can be collected inside the roll vinyl, and the roll vinyl can be automatically joined. Accordingly, since the user does not need to separately tie up bags containing dust, etc.,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접합기(176)의 상측 면에는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와 접촉되는 실러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러는 유로부(180)를 중심으로 하여 그 외곽을 둘러싸는 사각형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실러는 접합기(176)와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 사이로 이물질이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A sealer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ust bag cartridge (174) may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joint (176). For example, the sealer may be placed in a square shap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guiding portion (180). The sealer may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leaking between the joint (176) and the dust bag cartridge (174).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유로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부(180)는 청소기(200)와 먼지 집진부(170) 및 집진 모터(191)를 연결시킬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100) may include a euro section (180). The euro section (180) may connect the cleaner (200), a dust collection section (170), and a dust collection motor (191).
유로부(180)는 제1 유로(181)와 제2 유로(182) 및 바이패스 유로(183)를 포함할 수 있다.The euro section (180) may include a first euro section (181), a second euro section (182), and a bypass euro section (183).
제1 유로(181)는 청소기(200)의 먼지통(220)과 먼지 집진부(17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유로(181)는 결합면(121)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로(181)는 청소기(200)의 먼지통(220)과 먼지 집진부(170) 사이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유로(181)는 먼지 통과 홀(121a)에서 후측으로 형성된 공간일 수 있고, 먼지 통과 홀(121a)에서 하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먼지 및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일 수 있다. The first flow path (181) can connect the dust bin (220) and the dust collection unit (170) of the cleaner (200). The first flow path (181) can be arranged at the rear side of the joining surface (121). The first flow path (181) can mean a space between the dust bin (220) and the dust collection unit (170) of the cleaner (200). The first flow path (181) can be a space form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dust passage hole (121a), and can be a flow path formed downward from the dust passage hole (121a) through which dust and air can flow.
예를 들어, 제1 유로(181)는 청소기(2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되어 먼지 통과 홀(121a)이 개방되면, 먼지통(22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1 영역(181a) 및 상기 제1 영역(181a)과 봉투 수용 공간(115)(또는 먼지 집진부(170)의 내부 공간)를 연통시키는 제2 영역(38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181a)이 형성된 방향은 먼지통의 축 방향(길이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181b)이 형성된 방향은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 축선(C)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181a)은 제2 영역(181b)과 소정 각도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집진 모터(191)의 흡입력이 제1 영역(181a) 및 제2 영역(181b)에서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yuan (181) may include a first region (181a)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dust bin (220) when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00) and the dust passage hole (121a) is opened, and a second region (381b) that communicates the first region (181a) and the bag receiving space (115) (or the internal space of the dust collection unit (170)). At this time,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egion (181a) is formed may be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st bin. In addi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region (181b) is formed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C) of the housing (110). At this time, the first region (181a)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econd region (181b). With this configuration, the reduction in suction power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191) in the first region (181a) and the second region (181b) can be minimized.
따라서, 집진 모터(191)가 작동되면, 제1 유로(181)를 통해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내의 먼지가 먼지 집진부(170)로 유동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dust collecting motor (191) is operated, dust in the dust bin (220) of the vacuum cleaner (200) can flow to the dust collecting unit (170) through the first duct (181).
제2 유로(182)는 먼지 집진부(170)와 먼지 흡입 모듈(190)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유로(182)는 먼지 집진부(170)의 상측과 먼지 흡입 모듈(190)의 상측을 연결시키는 유로일 수 있다. The second flow path (182) can connect the dust collection unit (170) and the dust suction module (190). Specifically, the second flow path (182) can be a flow path that connects the upper side of the dust collection unit (170) and the upper side of the dust suction module (190).
이러한 구성으로, 제2 유로(182)를 통하여 먼지 집진부(170)를 통과한 공기를 집진 모터(191)로 안내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air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ion unit (170) through the second euro (182) can be guided to the dust collection motor (191).
바이패스 유로(183)는 봉투 지지부(173)와 집진 모터(191)를 유로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The bypass euro (183) can connect the envelope support (173) and the dust collection motor (191) in a euro manner.
바이패스 유로(183)는 봉투 수용 공간(115)과 먼지 흡입 모듈(190)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패스 유로(183)는 봉투 수용 공간(115)과 먼지 흡입 모듈(190)을 연결시키도록 중력 방향을 따라 형성된 유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바이패스 유로(183)는 봉투 수용 공간(115)에 존재하는 공기를 집진 모터(191)로 안내할 수 있다.The bypass path (183) can connect the bag receiving space (115)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dust suction module (190). For example, the bypass path (183) can be a path formed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to connect the bag receiving space (115) and the dust suction module (190). With this configuration, the bypass path (183) can guide air existing in the bag receiving space (115) to the dust collection motor (191).
제2 유로(182)와 바이패스 유로(183)는 서로 연통되어 먼지 흡입 모듈(19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바이패스 유로(183)에는 제2 유로(182)가 연결될 수 있고, 바이패스 유로(183)가 먼지 흡입 모듈(19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유로(182)에는 바이패스 유로(183)가 연결될 수 있고, 제2 유로(182)가 먼지 흡입 모듈(19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유로(182)와 바이패스 유로(183)는 각각 먼지 집진부(170) 및 집진 모터(191)에 유로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flow path (182) and the bypass flow path (18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onnected to the dust suction module (190). For example, the second flow path (182) may be connected to the bypass flow path (183), and the bypass flow path (183) may be connected to the dust suction module (190). 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flow path (182) may be connected to the bypass flow path (183), and the second flow path (182) may be connected to the dust suction module (190). Accordingly, the second flow path (182) and the bypass flow path (183) may be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on unit (170) and the dust collection motor (191), respectively.
이와 같은 구성으로, 집진 모터(191)를 작동시켜 먼지 봉투의 형태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외부의 공기를 흡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dust collecting motor (191) can be operated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dust bag while simultaneously sucking in outside air.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먼지 흡입 모듈(19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 흡입 모듈(190)은 집진 모터(191)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station (100) may include a dust suction module (190). The dust suction module (190) may include a dust collection motor (191).
집진 모터(191)는 먼지 집진부(17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집진 모터(191)는 유로부(180)에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 모터(191)는 청소기(200)의 먼지통(220) 내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motor (191) may b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70). The dust collecting motor (191) may generate suction force in the duct unit (180). Through this, the dust collecting motor (191) may provide suction force capable of sucking up dust in the dust bin (220) of the vacuum cleaner (200).
집진 모터(191)는 회전에 의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집진 모터(191)는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집진 모터(191)의 회전 축의 방향은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dust collecting motor (191) can generate suction force by rotation. For example, the dust collecting motor (191) can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cylinder and can generate suction force while rotating around a rotation axis.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191) can be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한편, 도 1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제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가 개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17 disclose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configuration in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제어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7, the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cleaner statio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결합부(120), 고정 유닛(130), 도어 유닛(140), 커버 개방 유닛(150), 먼지 집진부(170), 유로부(180) 및 먼지 흡입 모듈(190)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400) that controls a coupling unit (120), a fixing unit (130), a door unit (140), a cover opening unit (150), a dust collection unit (170), a flow path unit (180), and a dust suction module (190).
제어부(400)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0) may be composed of a printed circuit board and component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결합 센서(125)가 청소기(200)의 결합을 감지하면, 결합 센서(125)는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었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결합 센서(125)의 신호를 수신하여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coupling sensor (125) detects the coupling of the cleaner (200), the coupling sensor (125) can transmit a signal that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2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400) can receive the signal of the coupling sensor (125) and determine that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20).
또한, 충전부(128)에서 청소기(200)의 배터리(240)에 전원을 공급하면, 제어부(400)는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battery (240) of the vacuum cleaner (200) from the charging unit (128), the control unit (400) can determine that the vacuum cleaner (200)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unit (120).
제어부(400)는,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었다고 판단되면 고정부 모터(133)를 작동시켜, 청소기(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0) can operate the fixed unit motor (133) to fix the cleaner (2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leaner (2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120).
고정부재(131) 또는 고정부 링크(135)가 소정 고정 지점(FP1)까지 이동하면, 고정 감지부(137)가 청소기(200)가 고정되었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스테이션 제어부(400)는 고정 감지부(137)로부터 청소기(200)가 고정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여 청소기(200)가 고정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스테이션 제어부(400)는 청소기(200)가 고정되었다고 판단되면 고정부 모터(133)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When the fixed member (131) or the fixed link (135) moves to a predetermined fixed point (FP1), the fixed detection unit (137) can transmit a signal that the cleaner (200) is fixed. The station control unit (400) can receive the signal that the cleaner (200) is fixed from the fixed detection unit (137) and determine that the cleaner (200) is fixed. When the station control unit (400) determines that the cleaner (200) is fixed, it can stop the operation of the fixed motor (133).
한편, 제어부(400)는 먼지통(220)의 비움이 종료되면, 고정부 모터(13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청소기(200)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emptying of the dust bin (220)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400) can release the fixing of the vacuum cleaner (200) by rotating the fixed motor (133) in the reverse direction.
제어부(400)는, 청소기(200)가 결합부(120)에 고정되었다고 판단되면 도어 모터(142)를 작동시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도어(141)를 개방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0) can operate the door motor (142) to open the door (141) of the cleaner station (1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leaner (200) is fixed to the coupling unit (120).
도어 개폐 감지부(144)는 도어(141) 또는 도어 암(143)이 소정 개방 위치(DP1)에 도달하면 도어(141)가 열렸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도어 개폐 감지부(137)로부터 도어(141)가 열렸다는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141)가 열렸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도어(141)가 열렸다고 판단되면 도어 모터(142)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144) can transmit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door (141) is open when the door (141) or the door arm (143) reaches a predetermined opening position (DP1). The control unit (400) can receive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door (141) is open from 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137) and determine that the door (141) is open. If the control unit (400) determines that the door (141) is open, it can stop the operation of the door motor (142).
한편, 제어부(400)는 먼지통(220)의 비움이 종료되면, 도어 모터(14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어(141)를 폐쇄시킬 수 있다.Meanwhile, when emptying of the dustbin (220)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400) can close the door (141) by rotating the door motor (142) in the reverse direction.
제어부(400)는, 도어(141)가 열렸다고 판단되면 커버 개방 모터(152)를 작동시켜, 청소기(200)의 배출 커버(222)를 개방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0) can operate the cover opening motor (152) to open the discharge cover (222) of the vacuum cleaner (200) when it determines that the door (141) is open.
커버 개방 감지부(155f)는 가이드 프레임(351e)이 소정 개방 위치(CP1)에 도달하면 배출 커버(222)가 열렸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커버 개방 감지부(155f)로부터 배출 커버(222)가 열렸다는 신호를 수신하여 배출 커버(222)가 열렸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배출 커버(222)가 열렸다고 판단되면 커버 개방 모터(152)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The cover opening detection unit (155f) can transmit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discharge cover (222) is opened when the guide frame (351e) reaches a predetermined opening position (CP1). The control unit (400) can receive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discharge cover (222) is opened from the cover opening detection unit (155f) and determine that the discharge cover (222) is opened. When the control unit (400) determines that the discharge cover (222) is opened, the control unit (400) can stop the operation of the cover opening motor (152).
제어부(400)는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 173h)로부터 먼지 봉투(172)의 존재 여부 및/또는 먼지 봉투(172)에 저장된 먼지의 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0) can receive information on the presence of a dust bag (172) and/or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bag (172) from the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173h).
제어부(400)는 봉투 배출 모터(173e)를 구동시켜 스토퍼(173d)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173d)와 봉투 인출부(173c)가 접촉 지지된 상태에서, 제어부(400)는 봉투 배출 모터(173e)를 구동시켜 스토퍼(173d)가 봉투 인출부(173c)와의 접촉을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0) can drive the envelope discharge motor (173e) to move the stopper (173d).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 stopper (173d) and the envelope retrieval unit (173c) are in contact and supported, the control unit (400) can drive the envelope discharge motor (173e) to move the stopper (173d) in a direction that releases contact with the envelope retrieval unit (173c).
제어부(400)는 접합기(176)를 구동시켜 먼지 봉투(172)를 접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제1 접합 부재를 작동시켜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제어부(400)는 제2 접합 부재를 작동시켜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00) can drive the jointer (176) to joint the dust bag (172).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00) can drive the first joint member to move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control unit (400) can drive the second joint member to move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400)는 집진 모터(191)의 작동이 종료된 후 접합기(176)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400)는 집진 모터(191)의 작동이 종료된 후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접합기(176)를 작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400)는 집진 모터(191)가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작동된 다음,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접합기(176)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40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접합기(176)를 작동시키되, 집진 모터(191)가 작동 중일 경우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접합기(176)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 외에, 제어부(400)는 먼지량 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측정된 먼지의 양이 소정 기준을 초과할 경우 접합기(176)를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400) may operate the jointer (176) after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191) has ende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00) may operate the jointer (176) after a preset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191) has ended.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400) may operate the jointer (176) after the dust collecting motor (191) has been operated a preset number of times and after a preset period of time has elapsed.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400) may operate the jointer (176) at preset cycles, but may operate the jointer (176) after a preset period of time has elapsed while the dust collecting motor (191) is in operati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may also operate the jointer (176) when the amount of dust measured by the dust amount sensor (not shown) exceeds a preset standard.
이와 같은 구성으로, 먼지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내부에서 부유하지 않고 먼지 봉투(172) 내에 가라앉아 있는 상태에서 먼지 봉투(172)를 밀봉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dust bag (172) can be sealed so that the dust does not float inside the cleaner station (100) but settles inside the dust bag (172), thereby improving hygiene.
제어부(400)는 집진 모터(191)를 구동시켜 먼지통(220) 내부의 먼지를 흡입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0) can drive the dust collection motor (191) to suck up dust inside the dust bin (220).
제어부(400)는 표시부(410)를 작동시켜 청소기(200)에 대한 먼지통 비움 상황 및 충전 상황에 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먼지량 센서가 측정한 먼지의 양이 소정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400)는 먼지 봉투(172)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것을 표시부(410)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0) can operate the display unit (410) to display the dustbin emptying status and charging status for the vacuum cleaner (200).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if the amount of dust measured by the dust amount sensor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400) can display on the display unit (410) that the dust bag (172) needs to be replaced.
한편,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표시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leaning statio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play unit (410).
표시부(410)는 하우징(110)에 배치되는 것은 물론, 별도의 표시 장치에 배치될 수 있고, 휴대 전화를 포함한 단말기에 구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410) may be placed in the housing (110), or may be placed in a separate display device and may be provided in a terminal including a mobile phone.
표시부(410)는 문자 및/또는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해서 출력되는 정보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행정의 상황, 잔여 시간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4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panel capable of outputting characters and/or figures, and a speaker capable of outputting voice signals and sounds.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status of the current administration, the remaining time, etc.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메모리(4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30)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구동 및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leaner station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emory (430). The memory (430) may include various data for driving and operating the cleaner station (10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0)은 입력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40)는 사용자가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입력부(44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표시부(41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Meanwhile, the cleaner station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put unit (440). The input unit (440) generates key input data that a user input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station (100). To this end, the input unit (440) may be composed of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electrostatic), etc. In particular, when the touch pad form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410), it may be called a touch screen.
한편, 도 1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에서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가 먼지량을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에서 접합된 먼지 봉투가 봉투 인출부에 수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에서 접합된 먼지 봉투가 봉투 인출부의 이동을 통하여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에서 제2 먼지 봉투 감지 센서를 통하여 접합된 먼지 봉투의 잔존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measuring the amount of dust by a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in a control method of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joined dust bag is received in a bag extraction unit in a control method of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joined dust bag is discharged through movement of a bag extraction unit in a control method of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cting whether a joined dust bag remains through a second dust bag detection sensor in a control method of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S. 18 to 24, a method for controlling a cleaning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은 먼지량 감지 단계(S10)를 포함한다. 먼지량 감지 단계(S10)에서는 먼지 봉투(172)에 저장된 먼지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First, the control method of the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st amount detection step (S10). In the dust amount detection step (S10),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bag (172) can be detected.
즉, 먼지량 감지 단계(S10)에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제어부(400)는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를 통하여 먼지 봉투(172) 내부에 저장된 먼지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That is, in the dust amount detection step (S10), the control unit (400) of the cleaner station (100) can detect the amount of dust stored inside the dust bag (172) through the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이때, 먼지 봉투(172)는 집진 모터(191)의 작동에 의하여 팽창된 상태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dust bag (172) may be inflated by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191).
구체적으로,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는 빛을 먼지 봉투(172)에 조사할 수 있고, 먼지 봉투(172) 또는 먼지 봉투(172)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에 의하여 반사된 빛을 감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can irradiate light to the dust bag (172) and detect light reflected by the dust bag (172) or foreign substances stored inside the dust bag (172).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는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가 조사한 빛의 양 및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가 감지한 빛의 양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400)에 송신할 수 있다.The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light irradiated by the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and the amount of light detected by the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to the control unit (400).
제어부(400)는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먼지 봉투(172)에 저장된 먼지량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430)에는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가 감지한 빛에 따른 먼지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g)가 감지한 빛을 기초로 먼지 봉투(172)에 저장된 먼지의 양을 연산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0) can derive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bag (172)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For exampl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dust according to the light detected by the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can be stored in the memory (430).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400) can calculate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bag (172) based on the light detected by the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g).
한편, 제어부(400)는 먼지 봉투(172)에 저장된 먼지량(Q)이 미리 설정된 기준 먼지량(Qr)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Meanwhile, the control unit (400) determines whether the amount of dust (Q) stored in the dust bag (172) exceeds a preset standard amount of dust (Qr) (S20).
여기에서, 상기 먼지량(Q)이 기준 먼지량(Qr) 이하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을 종료할 수 있다.Here, if the amount of dust (Q)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amount of dust (Qr), the control method of the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ermina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은 봉투 접합 단계(S30)를 포함한다. 봉투 접합 단계(S30)에서는 먼지 봉투(172)에 저장된 먼지의 양이 미리 설정된 기준 먼지량을 초과한 경우, 먼지 봉투(172)를 접합한다.Meanwhile, a control method of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g bonding step (S30). In the bag bonding step (S30), if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bag (172) exceeds a preset standard dust amount, the dust bag (172) is bonded.
상기 먼지량(Q)이 기준 먼지량(Qr)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400)는 접합기(176)를 작동시킬 수 있다(S30).If the above dust amount (Q) exceeds the standard dust amount (Qr), the control unit (400) can operate the jointer (176) (S30).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제1 접합 구동부(미도시) 및 제2 접합 구동부(미도시)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합 부재(미도시) 및 제2 접합 부재(미도시)가 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00) can operate the first joint driving unit (not shown) and the second joint driving unit (not shown). Accordingly, the first joint member (not shown) and the second joint member (not shown) can move.
따라서, 접합기(176)가 작동되면 먼지 봉투(172)의 상부 영역을 절단 및 접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합기(176)는 먼지 봉투(172)의 중앙 영역으로 모아 먼지 봉투(172)의 상부 영역을 열선 접합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jointer (176) is operated, the upper region of the dust bag (172) can be cut and joined. Specifically, the jointer (176) can gather the dust bag (172) into the central region and hot-wire join the upper region of the dust bag (172).
상기와 같이 열선 접합된 먼지 봉투(172)는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에서 분리되어 봉투 인출부(173c)의 내부로 낙하될 수 있다. 따라서, 봉투 인출부(173c)에는 열선 접합된 먼지 봉투(172)가 수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eat-bonded dust bag (172) can be separated from the dust bag cartridge (174) and dropped into the interior of the bag extraction portion (173c). Accordingly, the heat-bonded dust bag (172) can be accommodated in the bag extraction portion (173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은 봉투 배출 단계(S40)를 포함한다. 봉투 배출 단계(S40)에서는 봉투 접합 단계(S30)에서 접합된 먼지 봉투(172)를 배출할 수 있다.A control method of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g discharge step (S40). In the bag discharge step (S40), a dust bag (172) bonded in the bag bonding step (S30) can be discharged.
봉투 배출 단계(S40)에서, 제어부(400)는 봉투 배출 모터(173e)를 구동시켜 스토퍼(173d)를 이동시킬 수 있다. In the envelope discharge step (S40), the control unit (400) can drive the envelope discharge motor (173e) to move the stopper (173d).
봉투 접합 단계(S30)에서는 스토퍼(173d)와 봉투 인출부(173c)가 서로 접촉되어 지지된다. 이후, 봉투 배출 단계(S40)에서는 스토퍼(173d)의 이동에 의하여 봉투 인출부(173c)와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스토퍼(173d)와 봉투 인출부(173c)의 접촉이 해제되면, 스프링(173f)이 팽창되면서 봉투 인출부(173c)를 이동시킬 수 있다.In the envelope joining step (S30), the stopper (173d) and the envelope extraction part (173c) are supported by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after, in the envelope discharge step (S40), the contact with the envelope extraction part (173c) can be released by the movement of the stopper (173d). When the contact between the stopper (173d) and the envelope extraction part (173c) is released, the spring (173f) expands to move the envelope extraction part (173c).
따라서, 봉투 인출부(173c)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부 본체(173a)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먼지 봉투(172)의 적어도 일부가 봉투 인출부(173c)와 함께 지지부 본체(173a)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at least a part of the bag extraction portion (173c)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body (173a). At this time, at least a part of the dust bag (172)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body (173a) together with the bag extraction portion (173c).
한편, 봉투 배출 단계(S40)에서, 제어부(400)는 표시부(410)를 통하여 먼지 봉투(172)가 배출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일 예로, 봉투 배출 단계(S40)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하여 문자로 먼지 봉투(172)가 배출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신호 및 음향으로 먼지 봉투(172)가 배출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bag discharge step (S40), the control unit (400) can inform the user that the dust bag (172) has been discharged through the display unit (410). For example, in the bag discharge step (S40), the display panel can display text that the dust bag (172) has been discharged. As another example, the speaker can display a voice signal and sound that the dust bag (172) has been discharged.
봉투 배출 단계(S40) 후, 사용자는 지지부 본체(173a)에 수용되어 있는 먼지 봉투(172)를 제거할 수 있다(S50). 예를 들어, 사용자는 지지부 본체(173a)을 잡아당긴 후 지지부 본체(173a)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먼지 봉투(172)를 들어 올려 제거할 수 있다.After the bag discharge step (S40), the user can remove the dust bag (172) accommodated in the support body (173a) (S50). For example, the user can pull the support body (173a) and then lift and remove the dust bag (172) accommodated inside the support body (173a).
따라서, 접합된 먼지 봉투(172)는 청소기 스테이션(100)에서부터 제거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joined dust bag (172) can be removed from the cleaner station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은 봉투 확인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봉투 확인 단계(S60)는 봉투 접합 단계(S40)에서 접합된 먼지 봉투(172)의 잔존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A method for controlling a vacuum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nvelope confirmation step (S60). The envelope confirmation step (S60) may detect whether a dust bag (172) joined in the envelope joining step (S40) remains.
즉, 봉투 확인 단계(S60)에서,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제어부(400)는 제2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h)를 통하여 지지부 본체(173a)의 하측에 먼지 봉투(172)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at is, in the bag confirmation step (S60), the control unit (400) of the cleaner station (100) can detect whether a dust bag (172) exists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body (173a) through the second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h).
여기서, 먼지 봉투(172)는 접합기(176)에 의하여 접합된 후 낙하하여 지지부 본체(173a)의 하측에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먼지 봉투(172)는 봉투 인출부(173c)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인 것은 물론, 봉투 인출부(173c)에 수용되지 않고 지지부 본체(173a)의 바닥면(미도시) 위에 놓인 상태일 수도 있다.Here, the dust bag (172) may be dropped after being joined by the jointer (176) and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body (173a). At this time, the dust bag (172)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bag extraction part (173c), or may be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not shown) of the support body (173a) without being accommodated in the bag extraction part (173c).
구체적으로, 제2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h)는 빛을 먼지 봉투(172)에 조사할 수 있고, 먼지 봉투(172)의 표면 또는 먼지 봉투(172)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먼지)에 의하여 반사된 빛을 감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h) can irradiate light to the dust bag (172) and detect light reflected by foreign substances (dust) stored on the surface of the dust bag (172) or inside the dust bag (172).
그리고, 제2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h)는 제2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h)가 조사한 빛의 양 및 제2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h)가 감지한 빛의 양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400)에 송신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h)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light irradiated by the second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h) and the amount of light detected by the second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h) to the control unit (400).
제어부(400)는 제2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h)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먼지 봉투(172)가 봉투 인출부(173c)의 하측에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430)에는 먼지 봉투(172)가 존재할 경우에 제2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h)에 감지되는 빛의 양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제2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h)가 감지한 빛을 기초로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에서 분리되어 낙하된 먼지 봉투(172)가 봉투 지지부(173)의 하측에 잔존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0) can determine whether the dust bag (172) exists at the lower side of the bag extraction unit (173c)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h). For example, the memory (430) can stor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light detected by the second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h) when the dust bag (172) exists.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400) can determine whether the dust bag (172) that has been separated from the dust bag cartridge (174) and dropped remains at the lower side of the bag support unit (173) based on the light detected by the second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h).
여기에서, 접합되어 낙하된 먼지 봉투(172)가 봉투 지지부(173)에 잔존하는 경우에는, 제어부(400)는 사용자에게 먼지 봉투(172)를 제거할 것을 알릴 수 있다(S65). Here, if the joined and dropped dust bag (172) remains on the bag support member (173), the control unit (400) can notify the user to remove the dust bag (172) (S65).
이때, 제어부(400)는 표시부(410)를 통하여 먼지 봉투(172)의 제거가 필요하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400)는 표시부(410)를 통하여 미리 녹음된 음성 또는 미리 설정된 소리를 표시하여 청각적으로 먼지 봉투(172)의 제거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400)는 표시부(410)를 통하여 미리 저장된 문자 또는 기호 또는 도형 등을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먼지 봉투(172)의 제거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단말(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는 단말에서 알리는 화면 또는 소리 또는 진동을 통하여 먼지 봉투(172)의 제거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400) may indicate through the display unit (410) that the dust bag (172) needs to be remove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00) may display a pre-recorded voice or a pre-set sound through the display unit (410) to audibly indicate that the dust bag (172) needs to be removed.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400) may display a pre-stored character, symbol, or shape through the display unit (410) to visually indicate that the dust bag (172) needs to be removed.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400) may transmit a signal to a user's terminal (e.g., a smartphone), and the user may be notified that the dust bag (172) needs to be removed through a screen, sound, or vibration notifying on the terminal.
사용자에게 먼지 봉투(172)를 제거할 것을 알린 후, 제어부(400)는 봉투 배출 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다.After notifying the user to remove the dust bag (172), the control unit (400) can perform the bag ejection step (S40).
한편, 봉투 지지부(173)의 하측에 먼지 봉투(172)가 잔존하지 않는 경우(즉, 제2 먼지 봉투 감지 센서(173h)를 통하여 먼지 봉투(172)가 제거된 것을 감지한 경우)에는, 제어부(400)는 집진 모터(191)를 작동시킬 수 있다(S70).Meanwhile, if there is no dust bag (172) remaining on the lower side of the bag support member (173) (i.e., if the dust bag (172) is detected to have been removed through the second dust bag detection sensor (173h), the control unit (400) can operate the dust collection motor (191) (S70).
봉투 접합 단계(S30) 이전까지는 먼지가 포집된 먼지 봉투(172)가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에 지지되어 있다. 이후, 봉투 접합 단계(S30)에서 먼지가 포집된 먼지 봉투(172)가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로부터 분리되면, 먼지 봉투 카트리지(174)에는 당겨진 상태의 먼지 봉투가 남아있다.Until the bag bonding step (S30), the dust bag (172) containing the collected dust is supported on the dust bag cartridge (174). Thereafter, when the dust bag (172) containing the collected dust is separated from the dust bag cartridge (174) in the bag bonding step (S30), the dust bag remains in a pulled state on the dust bag cartridge (174).
이때, 집진 모터(191)가 작동되면, 먼지 봉투(172)는 집진 모터(191)의 흡입력(음압)에 의하여 팽창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dust collecting motor (191) is operated, the dust bag (172) can be expanded by the suction force (negative pressure)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191).
따라서, 집진 모터(191)의 작동에 의하여 새로운 먼지 봉투(172)가 팽창되면서, 먼지 봉투(172)는 먼지를 포집할 수 있는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new dust bag (172) expands by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191), the dust bag (172) can be formed into a shape capable of capturing dust.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only for the purpose of specifically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or improv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relevant fiel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 청소기 시스템 100 : 청소기 스테이션
110 : 하우징 120 : 결합부
130 : 고정 유닛 140 : 도어 유닛
150 : 커버 개방 유닛 170 : 먼지 집진부
171 : 먼지 분리부 172 : 먼지 봉투
173 : 봉투 지지부 173a : 지지부 본체
173b : 흡착홀 173c : 봉투 인출부
173d : 스토퍼 173e : 봉투 배출 모터
173f : 스프링 173g, 173h : 먼지 봉투 감지 센서
174 : 먼지 봉투 카트리지 175 : 프리필터
176 : 접합기 180 : 유로부
191: 집진 모터 200 : 청소기
400: 제어부1: Vacuum cleaner system 100: Vacuum cleaner station
110 : Housing 120 : Joint
130 : Fixed unit 140 : Door unit
150: Cover opening unit 170: Dust collection unit
171: Dust separation section 172: Dust bag
173:
173b:
173d:
173f:
174: Dust bag cartridge 175: Pre-filter
176 : Connector 180 : Euro part
191: Dust collector motor 200: Vacuum cleaner
400: Control Unit
Claims (12)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청소기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결합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결합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 집진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먼지 집진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집진부는,
싸이클론부를 포함하여 상기 먼지통에서 유입되는 공기 중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부;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 봉투;
상기 먼지 봉투를 수용하는 봉투 지지부; 및
상기 봉투 지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 봉투를 감지하는 먼지 봉투 감지 센서;
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housing;
A coupling portion disposed in the housing and including a coupling surface 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cleaner is coupled;
A dust collection unit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and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upling unit, for capturing dust inside the dust bin of the vacuum cleaner; and
A dust collecting motor which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and is positioned below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generates a suction force to suck up dust inside the dust bin;
Including,
The above dust collection unit,
A dust separation unit that separates dust from the air flowing in from the dust bin, including a cyclone unit;
A dust bag for storing dust separated from the above dust separation unit;
A bag support for accommodating the above dust bag; and
A dust bag detection sensor disposed on the above-mentioned bag support and detecting the dust bag;
A cleaning station including:
상기 먼지 봉투 감지 센서는,
상기 먼지 봉투에 저장된 먼지의 양을 측정하는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
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dust bag detection sensor,
A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bag;
A cleaning station including:
상기 먼지 봉투 감지 센서는,
상기 제1 먼지 봉투 감지 센서보다 지면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먼지 봉투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2 먼지 봉투 감지 센서;
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dust bag detection sensor,
A second dust bag detection sensor positioned closer to the ground than the first dust bag detection sensor and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ust bag;
A cleaning station including:
상기 봉투 지지부는,
지지부 본체;
상기 지지부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먼지 봉투를 운반하는 봉투 인출부;
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envelope support part,
Support body;
A bag extraction unit that is movably accommodated in the above support body and transports the dust bag;
A cleaning station including:
상기 봉투 지지부는,
회전에 따라 상기 봉투 인출부와 접촉 지지되는 스토퍼;
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paragraph 4,
The above envelope support part,
A stopper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envelope withdrawal portion according to rotation;
A cleaner station that includes more.
상기 봉투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 본체 및 상기 봉투 인출부와 결합되고 상기 봉투 인출부를 직선 이동시키는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paragraph 4,
The above envelope support part,
A spring coupled to the above support body and the envelope extraction part and moving the envelope extraction part linearly;
A cleaner station that includes more.
상기 먼지 집진부는,
상기 먼지 봉투를 접합하는 접합기; 및
상기 스토퍼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봉투 배출 액츄에이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봉투 배출 액츄에이터는,
상기 접합기가 작동된 후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paragraph 5,
The above dust collection unit,
A jointer for joining the above dust bags; and
An envelope discharge actuator that applies rotational force to the above stopper;
Including more,
The above envelope discharge actuator,
A cleaner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after the above joint is operated.
상기 먼지 봉투에 저장된 먼지의 양을 감지하는 먼지량 감지 단계; 및
상기 먼지 봉투에 저장된 먼지의 양이 미리 설정된 기준 먼지량을 초과한 경우, 상기 먼지 봉투를 접합하는 봉투 접합 단계;
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 cleaner station that is combined with a cleaner including a dust bin and a discharge cover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dust bin and passes dust inside the dust bin through a cyclone section to collect it into a dust bag,
A dust amount detection step for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bag; and
A bag bonding step for bonding the dust bag when the amount of dust stored in the dust bag exceeds a preset standard dust amount;
A method for controlling a vacuum cleaner station including a .
상기 봉투 접합 단계에서 접합된 상기 먼지 봉투를 배출하는 봉투 배출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In Article 8,
A bag discharge step for discharging the dust bag bonded in the above bag bonding step;
A method for controlling a cleaner station further comprising:
상기 봉투 접합 단계에서 접합된 상기 먼지 봉투의 잔존 유무를 감지하는 봉투 확인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In Article 8,
An envelope confirmation step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dust bag bonded in the envelope bonding step remains;
A method for controlling a cleaner station further comprising:
상기 봉투 확인 단계에서 접합된 상기 먼지 봉투가 제거된 것을 감지한 경우, 새로운 상기 먼지 봉투를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In Article 10,
A control method for a vacuum cleaner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ust bag joined in the above-mentioned bag verification step has been removed, a new dust bag is inflated.
상기 봉투 확인 단계에서 접합된 상기 먼지 봉투가 잔존하는 것을 감지한 경우, 상기 먼지 봉투의 제거가 필요하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의 제어방법.
In Article 10,
A control method for a cleaner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attached dust bag remains in the above-mentioned bag confirmation step, it indicates that the dust bag needs to be removed.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3884A KR102707386B1 (en) | 2022-07-07 | 2022-07-07 | Cleaner st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EP23835697.6A EP4537725A1 (en) | 2022-07-07 | 2023-06-05 | Vacuum cleaner station and vacuum cleaner station control method |
CN202380052371.1A CN119546214A (en) | 2022-07-07 | 2023-06-05 | Vacuum cleaner 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of vacuum cleaner base station |
PCT/KR2023/007696 WO2024010228A1 (en) | 2022-07-07 | 2023-06-05 | Vacuum cleaner station and vacuum cleaner station control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3884A KR102707386B1 (en) | 2022-07-07 | 2022-07-07 | Cleaner st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6957A KR20240006957A (en) | 2024-01-16 |
KR102707386B1 true KR102707386B1 (en) | 2024-09-20 |
Family
ID=8945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3884A Active KR102707386B1 (en) | 2022-07-07 | 2022-07-07 | Cleaner st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4537725A1 (en) |
KR (1) | KR102707386B1 (en) |
CN (1) | CN119546214A (en) |
WO (1) | WO2024010228A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530919A (en) | 2014-09-11 | 2017-10-19 | パウベル・エルエルシーPoubelle Llc | Trash system and related usage |
KR102063063B1 (en) * | 2019-03-07 | 2020-01-07 | (주)테바 | Dust bin with odor blocking function |
JP2020036899A (en) | 2018-09-05 | 2020-03-12 | アイロボ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 Discharge interface of robot cleaner |
JP6845849B2 (en) * | 2016-06-02 | 2021-03-24 | ナカバヤシ株式会社 | A bag closing device and a shredder equipped with this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9583A (en) | 2019-09-06 | 2021-03-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2161708B1 (en) | 2020-01-09 | 2020-10-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Station |
KR20210019940A (en) | 2020-06-22 | 2021-02-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tation for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KR20220057764A (en) * | 2020-10-30 | 2022-05-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tation for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KR20220092057A (en) * | 2020-12-24 | 2022-07-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ntrolling method of station for cleaner |
-
2022
- 2022-07-07 KR KR1020220083884A patent/KR102707386B1/en active Active
-
2023
- 2023-06-05 CN CN202380052371.1A patent/CN119546214A/en active Pending
- 2023-06-05 EP EP23835697.6A patent/EP4537725A1/en active Pending
- 2023-06-05 WO PCT/KR2023/007696 patent/WO202401022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530919A (en) | 2014-09-11 | 2017-10-19 | パウベル・エルエルシーPoubelle Llc | Trash system and related usage |
JP6845849B2 (en) * | 2016-06-02 | 2021-03-24 | ナカバヤシ株式会社 | A bag closing device and a shredder equipped with this device |
JP2020036899A (en) | 2018-09-05 | 2020-03-12 | アイロボ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 Discharge interface of robot cleaner |
KR102063063B1 (en) * | 2019-03-07 | 2020-01-07 | (주)테바 | Dust bin with odor blocking fun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010228A1 (en) | 2024-01-11 |
EP4537725A1 (en) | 2025-04-16 |
CN119546214A (en) | 2025-02-28 |
KR20240006957A (en) | 2024-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752501B1 (en) | Station for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2744669B1 (en) | Dust collecting apparatus, cleaner and cleaner station | |
CN116261415A (en) | Vacuum cleaner base | |
KR102707386B1 (en) | Cleaner st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2739143B1 (en) | Cleaner and cleaner system | |
KR20240124091A (en) | Cleaner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2733149B1 (en) | Cleaner station | |
KR20230082593A (en) |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240149388A (en) | Vacuum cleaner station | |
KR102745038B1 (en) | Cleaner station | |
KR102787917B1 (en) | Cleaner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2807626B1 (en) | Cleaner station | |
KR20250046721A (en) | Cleaner station | |
KR20240126659A (en) | Cleaner station | |
KR102736640B1 (en) | Cleaner and cleaner system | |
KR20240138847A (en) | Cleaner station | |
KR102744658B1 (en) | Cleaner station | |
KR20250017652A (en) | Cleaner system | |
KR20240126680A (en) | Cleaner station | |
KR20250078059A (en) | Cleaner station | |
KR20230120355A (en) | Cleaner station and controlling method of cleaner station | |
CN117794431A (en) | Dust collecting device, dust collector and dust collector base station | |
KR20230133655A (en) | Cleaner station | |
KR20250044642A (en) | Cleaner station | |
CN120344181A (en) | Vacuum cleaner base st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9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