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07036B1 -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7036B1
KR102707036B1 KR1020240008577A KR20240008577A KR102707036B1 KR 102707036 B1 KR102707036 B1 KR 102707036B1 KR 1020240008577 A KR1020240008577 A KR 1020240008577A KR 20240008577 A KR20240008577 A KR 20240008577A KR 102707036 B1 KR102707036 B1 KR 102707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mbal
azimuth
angular velocity
elevation
disturba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8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헌
윤문영
정지인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40008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7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7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70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1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 F16M11/123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the axis of rotation intersecting in a single point, e.g. by using gimb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01C19/005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yr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발(Gimbal)의 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외란 회전력(Disturbance Torque)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김발의 운동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류 및 상기 운동 정보 및 외란 운동방정식을 이용하여 외란 상쇄 회전력을 산출하는 외란 상쇄 제어기를 포함하는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시스템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도하지 않은 외란 회전력을 제거하여 김발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REMOVAL SYSTEM AND METHOD OF GIMBAL DISTURBANCE TORQUE}
본 발명은 김발(Gimbal)의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되는 외란 회전력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김발은 여러 개의 회전축을 가지며 각 축에 대한 회전 운동을 수행하는 기계장치이다. 주로 2축 형태의 김발이 많이 사용되며, 카메라와 같은 센서 등이 김발에 장착되어 그 센서가 특정 각도를 지향할 수 있도록 움직인다.
도 1에서 참조되는 2축 김발은 방위각 모터, 고각 모터, 방위각 질량-스프링-댐퍼 시스템, 고각 질량-스프링-댐퍼 시스템을 포함한다.
각 모터의 작동에 의한 회전력 제어에 의해 각 질량-스프링-댐퍼 시스템이 김발의 방위각, 고각의 운동을 결정한다.
그런데, 2축 김발의 경우, 김발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외란 회전력(Disturbance Torque)이 발생한다. 도시와 같이 외란 회전력은 김발에 대한 각도 및 각속도, 김발 고정부에 대한 각속도 및 각가속도를 기반으로 하여 운동방정식에 의해 생성된다. 이러한 외란 회전력은 의도하지 않은 것으로 김발의 정밀 제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이러한 외란 회전력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2854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의도하지 않은 외란 회전력을 제거하여 김발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시스템은, 김발(Gimbal)의 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외란 회전력(Disturbance Torque)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김발의 운동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류 및 상기 운동 정보 및 외란 운동방정식을 이용하여 외란 상쇄 회전력을 산출하는 외란 상쇄 제어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란 상쇄 제어기는 상기 외란 상쇄 회전력을 상기 김발의 방위각을 조절하기 위한 방위각 모터 및 상기 김발의 고각을 조절하기 위한 고각 모터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류는, 상기 김발의 방위각의 각도를 측정하는 김발 방위각 각도 센서, 상기 김발의 방위각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김발 방위각 각속도 센서, 상기 김발의 고각의 각도를 측정하는 김발 고각 각도 센서 및 상기 김발의 고각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김발 고각 각속도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류는, 상기 김발을 고정시키는 김발 고정부의 방위각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속도 센서 및 상기 김발 고정부의 고각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김발 고정부 고각 각속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란 상쇄 제어기는 상기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속도 정보 및 상기 김발 고정부 고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 고정부 고각 각속도 정보를 미분하여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가속도 정보 및 김발 고정부 고각 각가속도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외란 상쇄 제어기는 상기 김발 방위각 각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의 방위각 각도 정보, 상기 김발 방위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의 방위각 각속도 정보, 상기 김발 고각 각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의 고각 각도 정보, 상기 김발 고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의 고각 각속도 정보, 상기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속도 정보, 상기 김발 고정부 고각 각속도 정보,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가속도 정보 및 상기 김발 고정부 고각 각가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란 상쇄 회전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방법은, 김발(Gimbal)의 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외란 회전력(Disturbance Torque)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센서류에 의해 상기 김발의 운동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외란 상쇄 제어기가 상기 센서류로부터 상기 운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동 정보 및 외란 운동방정식을 이용하여 외란 상쇄 회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외란 상쇄 회전력을 상기 김발의 방위각을 조절하기 위한 방위각 모터 및 상기 김발의 고각을 조절하기 위한 고각 모터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운동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는, 김발 방위각 각도 센서에 의해 상기 김발의 방위각의 각도를 측정하는 단계, 김발 방위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상기 김발의 방위각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김발 고각 각도 센서에 의해 상기 김발의 고각의 각도를 측정하는 단계, 김발 고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상기 김발의 고각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상기 김발을 고정시키는 김발 고정부의 방위각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김발 고정부 고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상기 김발 고정부의 고각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란 상쇄 회전력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속도 정보 및 상기 김발 고정부 고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 고정부 고각 각속도 정보를 미분하여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가속도 정보 및 김발 고정부 고각 각가속도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외란 상쇄 회전력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김발 방위각 각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의 방위각 각도 정보, 상기 김발 방위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의 방위각 각속도 정보, 상기 김발 고각 각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의 고각 각도 정보, 상기 김발 고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의 고각 각속도 정보, 상기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속도 정보, 상기 김발 고정부 고각 각속도 정보,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가속도 정보 및 상기 김발 고정부 고각 각가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란 상쇄 회전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김발에 의도치 않게 발생하는 외란 회전력을 미리 계산하여 상쇄시켜 제거할 수 있으므로 김발 정밀 제어에 도움이 된다.
도 1은 김발 시스템과 외란 회전력 발생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시스템이 적용된 김발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김발 시스템과 외란 회전력 발생 개념을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시스템이 적용된 김발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은 2축 김발에서 발생되는 외란 회전력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2 축 김발은 방위각을 조절하기 위한 방위각 모터, 고각을 조절하기 위한 고각 모터를 포함하고, 방위각 모터와 고각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서 방위각과 고각 각각의 운동을 발생시키는 질량-스프링-댐퍼 시스템을 가지며, 이 김발 시스템으로부터 발생하는 각도와 각속도, 그리고 김발 고정부의 방위각과 고각에서 발생하는 각속도와 각가속도에 의해 외란 회전력이 발생한다.
이 외란 회전력은 의도하지 않는 회전력이므로 김발 제어 성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외란 회전력을 상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김발 방위각 각도 센서, 김발 방위각 각속도 센서, 김발 고각 각도 센서, 김발 고각 각속도 센서,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속도 센서, 김발 고정부 고각 각속도 센서를 포함하며, 도 2, 도 3에서 참조되는 외란 상쇄 제어기에 의해 산출된 외란 상쇄 회전력에 의해 김발의 운동이 제어되도록 한다.
구체적인 제어 및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김발의 방위각과 고각에 설치된 각도 센서와 각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김발의 각도 정보와 각속도 정보를 외란 상쇄 제어기가 얻는다.
동시에 김발 고정부의 방위각과 고각에 설치된 각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각속도 정보를 얻고, 이 각속도 정보를 미분하여 각가속도 정보를 얻는다.
위에서 얻어진 정보와 외란 운동방정식을 활용하여 방위각과 고각에 대한 외란 상쇄 회전력을 산출한다.
이렇게 산출된 외란 상쇄 회전력을 김발의 방위각 모터와 고각 모터에 인가하고, 방위각 모터와 고각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서 질량-스프링-댐퍼 시스템에 의해 방위각과 고각 각각의 운동이 발생됨으로써, 최종적으로 김발의 운동에 있어 외란 회전력이 상쇄될 수 있다.
김발 내축에 대한 외란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김발 외축에 대한 외란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Ar, Ae, Ad 는 김발 내축에 대하여 r, e, d 축에 대한 관성 모멘트이다.
Bn, Be, Bk 는 김발 외축에 대하여 n, e, k 축에 대한 관성 모멘트이다.
ε, η 는 각각 내축과 외축에 대한 김발 각도이다.
ωAr, ωAe, ωAd 는 김발 내축에 대하여 r, e, d 축에 대한 각속도이다.
ωBn, ωBe, ωBk 는 김발 외축에 대하여 n, e, k 축에 대한 각속도이다.
ωPi, ωPj, ωPk 는 김발 고정부에 대하여 i, j, k 축에 대한 각속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김발(Gimbal)의 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외란 회전력(Disturbance Torque)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김발의 운동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류; 및
    상기 운동 정보 및 외란 운동방정식을 이용하여 상기 김발의 방위각과 고각에 대한 외란 상쇄 회전력을 산출하는 외란 상쇄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란 운동방정식 중 김발 내축에 대한 외란 방정식은 다음과 같으며,

    김발 외축에 대한 외란 방정식은 하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시스템.

    (Ar, Ae, Ad 는 김발 내축에 대하여 r, e, d 축에 대한 관성 모멘트, Bn, Be, Bk 는 김발 외축에 대하여 n, e, k 축에 대한 관성 모멘트, ε, η 는 각각 내축과 외축에 대한 김발 각도, ωAr, ωAe, ωAd 는 김발 내축에 대하여 r, e, d 축에 대한 각속도, ωBn, ωBe, ωBk 는 김발 외축에 대하여 n, e, k 축에 대한 각속도, ωPi, ωPj, ωPk 는 김발 고정부에 대하여 i, j, k 축에 대한 각속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란 상쇄 제어기는 상기 외란 상쇄 회전력을 상기 김발의 방위각을 조절하기 위한 방위각 모터 및 상기 김발의 고각을 조절하기 위한 고각 모터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서류는,
    상기 김발의 방위각의 각도를 측정하는 김발 방위각 각도 센서;
    상기 김발의 방위각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김발 방위각 각속도 센서;
    상기 김발의 고각의 각도를 측정하는 김발 고각 각도 센서; 및
    상기 김발의 고각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김발 고각 각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서류는,
    상기 김발을 고정시키는 김발 고정부의 방위각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속도 센서; 및
    상기 김발 고정부의 고각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김발 고정부 고각 각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란 상쇄 제어기는 상기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속도 정보 및 상기 김발 고정부 고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 고정부 고각 각속도 정보를 미분하여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가속도 정보 및 김발 고정부 고각 각가속도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란 상쇄 제어기는 상기 김발 방위각 각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의 방위각 각도 정보, 상기 김발 방위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의 방위각 각속도 정보, 상기 김발 고각 각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의 고각 각도 정보, 상기 김발 고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의 고각 각속도 정보, 상기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속도 정보, 상기 김발 고정부 고각 각속도 정보,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가속도 정보 및 상기 김발 고정부 고각 각가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란 상쇄 회전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시스템.
  7. 김발(Gimbal)의 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외란 회전력(Disturbance Torque)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센서류에 의해 상기 김발의 운동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외란 상쇄 제어기가 상기 센서류로부터 상기 운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동 정보 및 외란 운동방정식을 이용하여 상기 김발의 방위각과 고각에 대한 외란 상쇄 회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외란 상쇄 회전력을 상기 김발의 방위각을 조절하기 위한 방위각 모터 및 상기 김발의 고각을 조절하기 위한 고각 모터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란 운동방정식 중 김발 내축에 대한 외란 방정식은 다음과 같으며,

    김발 외축에 대한 외란 방정식은 하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방법.

    (Ar, Ae, Ad 는 김발 내축에 대하여 r, e, d 축에 대한 관성 모멘트, Bn, Be, Bk 는 김발 외축에 대하여 n, e, k 축에 대한 관성 모멘트, ε, η 는 각각 내축과 외축에 대한 김발 각도, ωAr, ωAe, ωAd 는 김발 내축에 대하여 r, e, d 축에 대한 각속도, ωBn, ωBe, ωBk 는 김발 외축에 대하여 n, e, k 축에 대한 각속도, ωPi, ωPj, ωPk 는 김발 고정부에 대하여 i, j, k 축에 대한 각속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운동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는,
    김발 방위각 각도 센서에 의해 상기 김발의 방위각의 각도를 측정하는 단계;
    김발 방위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상기 김발의 방위각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김발 고각 각도 센서에 의해 상기 김발의 고각의 각도를 측정하는 단계;
    김발 고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상기 김발의 고각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상기 김발을 고정시키는 김발 고정부의 방위각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김발 고정부 고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상기 김발 고정부의 고각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외란 상쇄 회전력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속도 정보 및 상기 김발 고정부 고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 고정부 고각 각속도 정보를 미분하여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가속도 정보 및 김발 고정부 고각 각가속도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외란 상쇄 회전력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김발 방위각 각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의 방위각 각도 정보, 상기 김발 방위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의 방위각 각속도 정보, 상기 김발 고각 각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의 고각 각도 정보, 상기 김발 고각 각속도 센서에 의해 수신한 김발의 고각 각속도 정보, 상기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속도 정보, 상기 김발 고정부 고각 각속도 정보, 김발 고정부 방위각 각가속도 정보 및 상기 김발 고정부 고각 각가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란 상쇄 회전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방법.
KR1020240008577A 2024-01-19 2024-01-19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 Active KR102707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8577A KR102707036B1 (ko) 2024-01-19 2024-01-19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8577A KR102707036B1 (ko) 2024-01-19 2024-01-19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07036B1 true KR102707036B1 (ko) 2024-09-13

Family

ID=92759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8577A Active KR102707036B1 (ko) 2024-01-19 2024-01-19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70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7356A (ja) * 2005-01-12 2008-07-24 トリムブレ、アクチボラグ 角度変位の補償測定
KR20150106241A (ko) * 2014-03-11 2015-09-21 국방과학연구소 영상 처리를 이용한 김발장치의 지향오차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069801A (ko) * 2017-12-12 2019-06-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구동장치, 카메라 구동 방법 및 짐벌장치
KR102128548B1 (ko) 2018-11-07 2020-06-30 국방과학연구소 외란을 상쇄하는 시선 안정화 시스템
KR102420976B1 (ko) * 2021-12-27 2022-07-1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짐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7356A (ja) * 2005-01-12 2008-07-24 トリムブレ、アクチボラグ 角度変位の補償測定
KR20150106241A (ko) * 2014-03-11 2015-09-21 국방과학연구소 영상 처리를 이용한 김발장치의 지향오차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069801A (ko) * 2017-12-12 2019-06-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구동장치, 카메라 구동 방법 및 짐벌장치
KR102128548B1 (ko) 2018-11-07 2020-06-30 국방과학연구소 외란을 상쇄하는 시선 안정화 시스템
KR102420976B1 (ko) * 2021-12-27 2022-07-1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짐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11588B (zh) 一种基于陀螺仪的船载稳像控制方法
CN102267011B (zh) 反射镜角度定位装置和加工装置
JP2014046401A (ja) ロボット
CN105589468B (zh) 三轴卫星模拟器的双电机自动配平方法
JP2023550744A (ja) ラジアルベースニューラルネットワークに基づくオートパイロット及びそのデカップリング制御方法
CN112179340B (zh) 一种冗余配置惯性测量单元双轴旋转调制方法
CN107458630B (zh) 悬挂式主动重力补偿系统悬挂点跨尺度跟踪方法
CN108519103A (zh) 利用自准直仪的稳定平台多姿态精度同步评定装置及方法
CN108762283B (zh) 带有旋转载荷的卫星平台的姿态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6142050B (zh) 一种车轮高低差自适应的移动机器人
JP2006307932A (ja) 除振装置
CN107121151A (zh) 一种面向实验教学的稳定平台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112537463B (zh) 卫星姿态控制方法及系统
KR102707036B1 (ko) 김발의 외란 회전력 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
CN107102653A (zh) 一种控制无人机的挂载设备对地角度的装置和方法
CN110007599A (zh) 一种激光雷达扫描机构的自适应积分滑模控制方法及系统
KR19990063535A (ko) 이동 물체의 상태 제어 장치 및 방법
JP7310358B2 (ja) オーバーシュート量検出方法、オーバーシュート量検出システム、ロボットシステムおよびオーバーシュート量調整方法
CN106843293A (zh) 一种用于高速滚转载体的陀螺稳定平台漂移抑制方法
CN1554991A (zh) 交流电机驱动的模拟三轴摇摆装置
CN110006446A (zh) 一种基于棱镜的惯组输出标校方法
JP2009245030A (ja) ペイロード制御装置
JP2006306254A (ja) 自動飛行制御装置、自動飛行制御方法及び自動飛行制御プログラム
CN206029855U (zh) 一种车轮高低差自适应的移动机器人
CN110441755A (zh) 激光测风雷达指向自稳定双转镜扫描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1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