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07016B1 - Connector having center aligning function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is - Google Patents
Connector having center aligning function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i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07016B1 KR102707016B1 KR1020190177162A KR20190177162A KR102707016B1 KR 102707016 B1 KR102707016 B1 KR 102707016B1 KR 1020190177162 A KR1020190177162 A KR 1020190177162A KR 20190177162 A KR20190177162 A KR 20190177162A KR 102707016 B1 KR102707016 B1 KR 1027070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ssembly
- housing
- connector
- assembly hole
- mounting tr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렬기능을 갖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설치장소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제1조립홀(15)이 관통되는 제1장착트레이(10)와, 상기 제1장착트레이(10)의 상기 제1조립홀(15)에 삽입되고 상기 제1조립홀(15)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제1거치편(28)이 돌출되며 상기 제1거치편(28)에는 상기 제1조립홀(15)의 가장자리 표면(11')을 향해 제1조정돌기(29)가 돌출되어 상기 제1조립홀(15)의 가장자리에 점접촉 또는 선접촉되는 조립하우징(20)과, 상기 조립하우징(20)에 조립되고 상기 조립하우징(20)과 함께 상기 제1장착트레이(10)의 상기 제1조립홀(15)에 조립되는 커넥터하우징(30)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having an alignment function and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unting tray (10) which is mounted at an installation location and has a first assembly hole (15) penetrating therein, an assembly housing (20)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rst assembly hole (15) of the first mounting tray (10) and has a first fixing piece (28) which is supported on an edge of the first assembly hole (15) and protrudes, and a first adjusting protrusion (29) which protrudes from the first mounting piece (28) toward an edge surface (11') of the first assembly hole (15) and comes into point contact or lin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first assembly hole (15), and a connector housing (30) which is assembled into the assembly housing (20) and is assembled together with the assembly housing (20) into the first assembly hole (15) of the first mounting tray (10).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렬기능을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커넥터와의 조립과정에서 유동을 통해 조립각도가 맞추어지는 커넥터 및 커넥터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having an alignment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 which an assembly angle is aligned through flow during an assembly process with a mating connector.
최근에는 자동차 등의 여러 기술분야에서는 전기를 이용하는 전장부품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다수의 전선을 한번에 연결할 수 있도록 고전압 커넥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Recently, in various technical fields such as automobiles, the number of electrical components that use electricity is increasing, and high-voltage connectors are being widely used to connect multiple wires at once.
이러한 커넥터에는 매우 높은 전압이 인가되므로, 상대물인 상대커넥터와의 조립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정확하게 조립되지 못하면, 전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을 뿐 아니라 동작 중에 스파크가 발생하는 등 화재의 위험도 있다. Since these connectors are subject to very high voltages, they must be assembled accurately with their counterpart connectors. If the connector is not assembled accurately with its counterpart connector, not only will the current flow not be smooth, but there is also a risk of fire, such as sparks being generated during operation.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커넥터와 상대커넥터에는 서로의 결합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돌기가 길게 연장되어 두 커넥터 사이의 조립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즉, 가이드돌기가 상대편의 홈에 먼저 끼워져 조립방향을 정확하게 설정한 후에 두 커넥터가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have guide protrusions that are extended long enough to guide their mating, thereby guiding the assembly direction between the two connectors. That is, the guide protrusions are first inserted into the grooves of the mating connectors to accurately set the assembly direction, and then the two connectors can be assembled.
하지만, 이러한 가이드돌기를 두더라도, 커넥터와 상대커넥터를 조립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는 커넥터의 조립이 여전히 어렵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범퍼 등 특정 부품에 커넥터를 먼저 고정한 상태에서 범퍼를 차체에 조립하는 경우를 보면, 두 커넥터만 직접 조립할 때에 비해서 커넥터를 상대커넥터에 정확하게 조립하기 어려운 것이다. However, even with these guide projections, in environments where it is difficult to assemble the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assembling the connector is still difficult. For example, when a connector is first fixed to a specific part such as a car bumper and then the bumper is assembled to the car body, it is more difficult to accurately assemble the connector to the mating connector than when only the two connectors are assembled directly.
특히, 두 커넥터 사이가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넥터가 고정된 부품(범퍼 등)을 차체에 강하게 조립하게 되면, 자칫 커넥터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커넥터가 먼저 장착된 부품을 차체에 조립하는 작업은 자동화가 어려운 면도 있다. In particular, if a part (such as a bumper) with a connector fixed to it is forcibly assembled to the car body while the two connectors are not precisely aligned, there is a risk that the connector may be damaged. For this reason, the task of assembling a part with a connector attached first to the car body is also difficult to automat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가 상대물과의 조립과정에서 어느 정도 유동하면서 결합방향이 자동으로 정렬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coupling direction to be automatically aligned while allowing a certain degree of movement of the connector during the assembly process with the counterpar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가 상대물과 조립될 때 조립방향 뿐 아니라 다양한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결합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connector to adjust the mating direction by moving in various directions as well as the assembly direction when assembled with the counterpar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설치장소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제1조립홀이 관통되는 제1장착트레이와, 상기 제1장착트레이의 상기 제1조립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조립홀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제1거치편이 돌출되며 상기 제1거치편에는 상기 제1조립홀의 가장자리 표면을 향해 제1조정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제1조립홀의 가장자리에 점접촉 또는 선접촉되는 조립하우징과, 상기 조립하우징에 조립되고 상기 조립하우징과 함께 상기 제1장착트레이의 상기 제1조립홀에 조립되는 커넥터하우징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unting tray which is mounted at an installation location and has a first assembly hole penetrating therein, an assembly housing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rst assembly hole of the first mounting tray and has a first fixing piece which is supported on an edge of the first assembly hole and protrudes, and a first adjusting protrusion which protrudes toward an edge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hole and comes into point contact or lin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first assembly hole, and a connector housing which is assembled to the assembly housing and is assembled to the first assembly hole of the first mounting tray together with the assembly housing.
상기 조립하우징에는 상기 조립하우징의 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상기 제1거치편이 돌출되고, 상기 제1거치편에는 다수개의 제1조정돌기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In the above assembly housing, the first fixing piece protrudes in a direction that widens the width of the above assembly housing, and a plurality of first adjusting projections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irst fixing piece.
상기 제1조정돌기는 상기 제1거치편에서 상기 제1조립홀의 가장자리 표면을 향해 돌출되어 점접촉되고, 상기 제1조정돌기가 상기 제1조립홀의 가장자리 표면에 닿아 상기 조립하우징이 상기 제1조립홀에 삽입되는 정도가 제한되되 상기 제1조정돌기를 제외한 상기 제1거치편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1조립홀의 가장자리 표면과 직접 밀착되지 않는다. The first adjusting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first mounting piece toward the edge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hole and makes point contact, and the extent to which the assembly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first assembly hole is limited by the first adjusting protrusion touching the edge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hole, but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irst mounting piece excluding the first adjusting protrusion does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edge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hole.
상기 조립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 사이에는 서로 걸어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1걸이부 및 제2걸이부가 있고, 상기 제1걸이부와 상기 제2걸이부는 서로 유격거리를 두고 걸려 상기 조립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상대이동할 수 있다. Between the above assembly housing and the connector housing, there are a first hook portion and a second hook portion to prevent separation by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hook portion and the second hook portion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with a clearance distance, so that the assembly housing and the connector housing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in a direction toward or away from each other.
상기 조립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조립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An elastic member is installed between the assembly housing and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elastic member provides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ssembly housing and the connector housing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조립하우징에서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마주보는 면에 함몰된 제1삽입홈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에서 상기 제1삽입홈과 마주보는 면에 함몰된 제2삽입홈에 양단이 끼워진다. The above elastic member is fitted at both ends into a first insertion groove sunken into a surface of the assembly housing facing the connector housing, and a second insertion groove sunken into a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facing the first insertion groove.
상기 조립하우징에는 탄성변형가능한 제1체결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제1장착트레이의 상기 제1조립홀 안쪽에는 상기 제1체결레버가 걸려 고정되는 제1체결턱이 있다. The above assembly housing is provided with a first elastically deformable fastening lever, and inside the first assembly hole of the first mounting tray, there is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on which the first fastening lever is caught and fixed.
상기 제1체결레버는 상기 조립하우징의 외면을 둘러 다수개가 구비된다. The above first fastening lever is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assembly housing.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설치장소에 장착되고, 가이드돌기가 돌출되며 내부에는 제1조립홀이 관통되는 제1장착트레이와, 상기 제1장착트레이의 상기 제1조립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조립홀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제1거치편이 돌출되며 상기 제1거치편에는 상기 제1조립홀의 가장자리 표면을 향해 제1조정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제1조립홀의 가장자리에 점접촉 또는 선접촉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장착트레이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조립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있으며 내부에는 제2조립홀이 관통되는 제2장착트레이와, 상기 제2조립홀에 조립되고 상기 제2조립홀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제2거치편이 돌출되며 상기 제2거치편에는 상기 제2조립홀의 가장자리 표면을 향해 제2조정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제2조립홀의 가장자리에 점접촉 또는 선접촉되고 상기 제1장착트레이와 상기 제2장착트레이가 결합되면 상기 제1하우징과 조립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mounting tray which is mounted at an installation location, has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and has a first assembly hole penetrating therein; a first mounting memb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rst assembly hole of the first mounting tray and is supported by an edge of the first assembly hole, and a first adjusting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first mounting member toward an edge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hole and makes point contact or lin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first assembly hole; a second mounting tray which is assembled in a direction facing the first mounting tray and has a guide groove into which the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and has a second assembly hole penetrating therein; a second mounting member which is assembled into the second assembly hole and is supported by an edge of the second assembly hole and protrudes, and a second adjusting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second mounting member toward an edge surface of the second assembly hole and makes point contact or lin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second assembly hole, and the first mounting tray and the When the second mounting tray is combined, it includes a second housing that is assembled with the first housing.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정렬기능을 갖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어셈블리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connector having the align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이 장착트레이에 먼저 장착된 후에 함께 차체에 조립되는데, 하우징과 장착트레이의 사이는 점접촉 또는 선접촉하기 때문에 하우징이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을 상대커넥터와 조립할 때 초기 위치가 어느 정도 어긋나 있더라도 자동으로 정렬되면서 조립될 수 있어서, 조립성이 향상되고 조립과정에서 커넥터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housing constituting a connector is first mounted on a mounting tray and then assembled together with the body. Since the housing and the mounting tray are in point contact or line contact, the housing can move to some extent. Accordingly, when assembling the housing with a counterpart connector, even if the initial positions are misaligned to some extent, the housing can be automatically aligned and assembled, thereby improving the assembling efficiency and preventing damage to the connector during the assembly process.
특히, 하우징이 결합된 장착트레이를 크기가 큰 다른 부품(범퍼 등)과 함께 차체에 조립하는 경우와 같이, 작업자가 하우징만을 상대커넥터와 조립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하우징의 정렬기능을 통해서 두 커넥터를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의 자동화도 가능해질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alignment function of the housing enables accurate assembly of the two connectors even in situations where the worker cannot assemble only the housing with the corresponding connector, such as when assembling a mounting tray with a combined housing to a vehicle body together with other large parts (such as a bumper), automation of assembly can also be possible.
그리고, 본 발명에서 하우징을 구성하는 조립하우징과 커넥터하우징 사이는 서로 상대이동할 수 있고, 그 사이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설치된다. 따라서 하우징이 전체적으로 유동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우징을 구성하는 부품인 조립하우징-커넥터하우징 사이도 서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조립정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이는 설계공차나 조립공차를 보상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housing and the connector housing constituting the housing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and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m. Therefore, not only can the housing as a whole move, but also the assembly housing and the connector housing, which are parts constituting the housing,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Therefore, the assembly alignment of the connector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is has the effect of compensating for design tolerance or assembly tolerance.
또한, 본 발명에서 커넥터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는 각각 하우징-장착트레이로 구성되는데, 하우징과 장착트레이가 서로 유동할 수 있는 상태로 조립된다. 따라서, 제1커넥터 뿐 아니라 제2커넥터도 부품간의 유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커넥터어셈블리의 전체 조립 유동량이 증가할 수 있고, 이는 조립성을 더욱 개선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constituting the connector assembly are each composed of a housing-mounting tray, and the housing and the mounting tray are assembled in a state where they can flow with each other. Therefore, since not only the first connector but also the second connector can flow between parts, the overall assembly flow amount of the connector assembly can increase, which can result in further improving the assembling performan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정렬기능을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어셈블리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제1커넥터를 구성하는 조립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커넥터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제2커넥터를 구성하는 제2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서로 조립되기 전 후를 각각 보인 단면도.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connector having an align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ifferent direction than FIG.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xample of Figure 1 in an exploded manner.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irst connecto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Fig. 1.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ssembly housing constituting the first connector of Figure 4.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cond connecto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Fig. 1.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housing constituting the second connector of Fig. 6.
Figures 8(a) and 8(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before and after being assembled to each other, respectively.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structure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sequence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etween each component.
본 실시례에 의한 커넥터어셈블리는 크게 제1커넥터(10,20,30)와 제2커넥터(50,70)로 나뉜다. 상기 제1커넥터(10,20,30)와 제2커넥터(50,70)는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전기적인 연결을 담당하는 부분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커넥터(10,20,30)의 제1하우징(20,30) 내부에 설치되는 제1터미널(도시되지 않음)과, 제2커넥터(50,70)의 제2하우징(7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다.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이 서로 연결되어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largely divided into a first connector (10, 20, 30) and a second connector (50, 70). The first connector (10, 20, 30) and the second connector (50, 70)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being joined to each other, and the parts responsible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are a first terminal (not shown) installed inside the first housing (20, 30) of the first connector (10, 20, 30) and a second terminal (not shown) installed inside the second housing (70) of the second connector (50, 70).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실시례의 커넥터어셈블리는 고전압 커넥터이다. 즉, 아래의 실시례는 매우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커넥터를 예로 든 것이며, 도면부호 13과 57은 각각 고전압터미널(미도시)이 설치되는 설치홀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중심부에 설치되는 제1하우징(20,30)과 제2하우징(70)은 센싱신호나 제어신호의 인가를 위한 것일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is a high-voltage connector. That is, the embodiment below is an example of a connector to which a very high voltage is applied, and the
도 1을 보면, 커넥터어셈블리는 서로 결합된 상태인데, 상기 커넥터어셈블리는 제1커넥터(10,20,30)와 제2커넥터(50,7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커넥터(10,20,30)와 제2커넥터(50,70)는 서로 조립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제1커넥터(10,20,30)와 제2커넥터(50,70)는 각각 다른 부품에 장착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커넥터(10,20,30)는 자동차의 범퍼에 설치되고, 제2커넥터(50,70)는 범퍼와 마주보는 차체의 안쪽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1, the connector assembly is in a coupled state, and the connector assembly is composed of a first connector (10, 20, 30) and a second connector (50, 70). The first connector (10, 20, 30) and the second connector (50, 70) are assembled to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first connector (10, 20, 30) and the second connector (50, 70) can be assembled while being mounted on different parts.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or (10, 20, 30) can be installed on a bumper of a car, and the second connector (50, 70) can be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car body facing the bumper.
상기 제1커넥터(10,20,30)의 중심에는 제1하우징(20,30)이 위치한다. 상기 제1하우징(20,30)은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그 내부에 제1터미널이 설치될 수 있다. 반대로, 도 2를 보면, 제2커넥터(50,70)의 중심에는 제2하우징(70)이 위치하고, 제2하우징(70)의 내부에는 제2터미널이 설치되어 상기 제1터미널과 연결될 수 있다. At the center of the first connector (10, 20, 30) is a first housing (20, 30). The first housing (20, 30) is a part responsible for electrical connection, and a first terminal can be installed inside it. Conversely, as shown in Fig. 2, at the center of the second connector (50, 70), a second housing (70) is located, and a second terminal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housing (7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상기 제1커넥터(10,20,30)를 먼저 살펴보면, 상기 제1커넥터(10,20,30)는 제1장착트레이(10)와, 제1하우징(20,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20,30)은 다시 조립하우징(20)과 커넥터하우징(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20,30)은 상기 제1장착트레이(10)에 조립된 상태로 함께 차량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을 보면, 중심에 제1하우징(20,30)이 위치하고, 상기 제1하우징(20,30)의 좌우측에 해당하는 상기 제1장착트레이(10)의 바깥쪽에는 제1고전압부(13)가 있다. First, looking at the first connector (10, 20, 30) above, the first connector (10, 20, 30) is composed of a first mounting tray (10) and a first housing (20, 30). The first housing (20, 30) is again composed of an assembly housing (20) and a connector housing (30). The first housing (20, 30) can be installed inside a vehicle together with the first mounting tray (10) in a state of being assembled thereto. Referring to Fig. 1, the first housing (20, 30) is located in the center, and a first high-voltage section (13)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mounting tray (10)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housing (20, 30).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장착트레이(10)는 대략 판상의 제1장착몸체(11)가 있고, 상기 제1장착몸체(11)에는 제1장착트레이(10)를 차량 내부 등에 고정하기 위한 제1체결홀(12)이 있다. 상기 제1체결홀(12)에는 체결구가 삽입되어 제1장착트레이(10)를 차량의 내부에 고정해줄 수 있다. 상기 제1장착트레이(10)는 상기 제1장착몸체(11)의 전방으로 더 돌출되는데, 돌출된 부분이 제2장치트레이(50)와 조립되는 부분이다.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mounting tray (10) has a first mounting body (11) that is roughly plate-shaped, and the first mounting body (11) has a first fastening hole (12) for fastening the first mounting tray (10) to the interior of a vehicle, etc. A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12) to fasten the first mounting tray (10) to the interior of a vehicle. The first mounting tray (10) protrudes further forward from the first mounting body (11), and the protruding portion is a portion assembled with the second device tray (50).
상기 제1장착몸체(11)에는 제1고전압부(13)가 구비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고전압부(13)의 내부에는 제1고전압터미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전압부(13)는 상기 제1커넥터(10,20,30)와 제2커넥터(50,70)의 조립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고전압부(13)의 안쪽에 해당하는 상기 제1장착몸체(11)의 중심에는 제1조립홀(15)이 관통되는데, 상기 제1조립홀(15)에는 제1하우징(20,30)이 조립된다.The first mounting body (11) is provided with a first high-voltage section (13), and although not shown, a first high-voltage terminal may be installed inside the first high-voltage section (13). The first high-voltage section (13) extends in the assembly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 20, 30) and the second connector (50, 70). A first assembly hole (15)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mounting body (11)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first high-voltage section (13), and a first housing (20, 30) is assembled into the first assembly hole (15).
상기 제1조립홀(15)의 안쪽에는 제1체결턱(16,19)이 있다. 상기 제1체결턱(16,19)은 상기 제1조립홀(15)의 내면에서 상기 제1조립홀(15)의 폭을 좁히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조립하우징(20)의 제1체결레버(25)가 상기 제1체결턱(16,19)에 걸린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체결턱(16,19)은 상기 제1조립홀(15)의 가장자리에 가까운 부분에 있고, 상기 제1조립홀(15)의 내면을 둘러서 다수개가 있다. Inside the first assembly hole (15) above, there is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16, 19).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6, 19)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hole (15) in a direction that narrows the width of the first assembly hole (15), and the first fastening lever (25) of the assembly housing (20) to be described below is caught on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6, 19).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6, 19) is located near the edge of the first assembly hole (15), and there are multiple of them surround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hole (15).
도 3을 보면, 상기 제1체결턱(16,19)은 제1조립홀(15)의 아래쪽면에서 돌출된 체결턱(16)과, 좌우측에서 돌출된 체결턱(19)을 포함하고 있다. 이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제1체결턱(16,19)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는데, 탄성변형가능한 구조를 채용해서 제1장착트레이(10)에서 조립하우징(20)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fastening jaws (16, 19) include a fastening jaw (16)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hole (15) and fastening jaws (19)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At least some of the first fastening jaws (16, 19) among these may have an elastically deformable structure, and by employing an elastically deformable structure, the assembly housing (2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rst mounting tray (10).
상기 제1장착트레이(10)에는 가이드돌기(17)가 돌출된다. 상기 제1가이드돌기(17)는 제2커넥터(50,70)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커넥터(50,70)를 구성하는 제2장치트레이(50)의 가이드홈(57)에 끼워진다. 상기 가이드돌기(17)는 제1하우징(20,30)과 제2하우징(70)이 서로 만나기 전에 먼저 가이드홈(57)에 끼워져 조립방향을 설정해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이드돌기(17)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조립홀(15)을 기준으로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있다. A guide projection (17) protrudes from the first mounting tray (10). The first guide projection (17) protrudes toward the second connector (50, 70) and is fitted into the guide groove (57) of the second device tray (50) constituting the second connector (50, 70). The guide projection (17) can be fitted into the guide groove (57) before the first housing (20, 30) and the second housing (70) meet each other to set the assembly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projections (17) are configured as a pair, and are located above and below the first assembly hole (15), respectively.
상기 제1장착트레이(10)에는 제1하우징(20,30)이 조립된다. 상기 제1하우징(20,30)은 상기 제1조립홀(15)에 조립되는데, 조립하우징(20)과 커넥터하우징(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커넥터하우징(30)은 제1터미널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고, 조립하우징(20)은 커넥터하우징(30)과 조립되어 커넥터하우징(30)이 제1장착트레이(10)에 조립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제1장착트레이(10)에 실질적으로 고정되는 것은 커넥터하우징(30)이 아니라 조립하우징(20)이다. The first housing (20, 30) is assembled to the first mounting tray (10). The first housing (20, 30) is assembled to the first assembly hole (15) and is composed of an assembly housing (20) and a connector housing (30). Here, the connector housing (30) is a part into which the first terminal is inserted and is responsible for electrical connection, and the assembly housing (20) is assembled with the connector housing (30) so that the connector housing (30) can be assembled to the first mounting tray (10). That is, what is actually fixed to the first mounting tray (10) is the assembly housing (20), not the connector housing (30).
상기 조립하우징(20)의 구성을 먼저 살펴보면, 상기 조립하우징(20)은 대략 육면체 입체형상이고,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안착홀(22)이 있다. 상기 안착홀(22)은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홀(22)은 대략 사각형상이고,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설치되는 제1터미널에서 연장된 와이어가 상기 안착홀(22)을 통해 외부로 빠질 수 있다. First,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 assembly housing (20), the above assembly housing (20) is approximately a hexahedral three-dimensional shape and has a fixing hole (22) penetrat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fixing hole (22) is a part into which a part of the connector housing (30) is inserted and fixed. The fixing hole (22) is approximately a square shape, and a wire extended from the first terminal installed in the connector housing (30) can be pulled out through the fixing hole (22) to the outside.
상기 안착홀(22)의 내면에는 제1걸이부(23)가 있다. 상기 제1걸이부(23)는 상기 안착홀(22)의 내면에서 돌출된 일종의 턱구조로, 여기에는 커넥터하우징(30)의 제2걸이부(33)가 걸린다. 즉, 상기 제1걸이부(23)에 제2걸이부(33)가 걸리면, 상기 조립하우징(20)에서 커넥터하우징(30)이 분리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걸이부(23)는 안착홀(22)에 다수개가 있을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걸이부(23)는 안착홀(22)의 바닥과 천장에 각각 있다. The inner surface of the above-described fixing hole (22) has a first hook portion (23). The first hook portion (23) is a kind of protruding jaw structur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above-described fixing hole (22), and the second hook portion (33) of the connector housing (30) is hooked onto this. That is, when the second hook portion (33) is hooked onto the first hook portion (23), the connector housing (30)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assembly housing (20). There may be multiple first hook portions (23) in the fixing hole (22),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hook portions (23) are each located on the floor and ceiling of the fixing hole (22).
이때, 상기 제1걸이부(23)에 제2걸이부(33)가 걸리더라도, 상기 조립하우징(20)과 커넥터하우징(30)은 어느 정도 상대이동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제1걸이부(23)와 제2걸이부(33)가 서로 유격거리를 두고 걸리기 때문인데, 이에 따라 상기 조립하우징(20)과 커넥터하우징(30)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상대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유격거리를 통해서 커넥터어셈블리의 전후방향 조립공차나 제조공차가 보완될 수 있다. At this time, even if the second hook part (33) is caught on the first hook part (23), the assembly housing (20) and the connector housing (30)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to a certain extent. This is because the first hook part (23) and the second hook part (33) are caught with a clearance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accordingly, the assembly housing (20) and the connector housing (30)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in a direction of getting closer or further away from each other. Through this clearance distance, the assembly tolerance or manufacturing tolerance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onnector assembly can be supplemented.
상기 조립하우징(20)에는 제1체결레버(25)가 있다. 상기 제1체결레버(25)는 탄성변형가능한 형태로 상기 조립하우징(20)의 바깥쪽에 구비되는데, 상기 제1체결레버(25)는 앞서 설명한 상기 제1장착트레이(10)의 제1체결턱(16,19)에 걸린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체결레버(25)에는 상기 제1체결턱(16,19)에 걸리는 조립체결턱(26)이 돌출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체결레버(25)는 상기 조립하우징(20)의 바깥쪽을 둘러서 총 4개가 구비된다. The above assembly housing (20) has a first fastening lever (25). The first fastening lever (25)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assembly housing (20) in an elastically deformable form, and the first fastening lever (25) is caught on the first fastening jaw (16, 19) of the first mounting tray (10) described above. To this end, an assembly fastening jaw (26) that is caught on the first fastening jaw (16, 19) protrudes from the first fastening lever (25). In this embodiment, a total of four first fastening levers (25) are provided around the outside of the assembly housing (20).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조립하우징(20)에는 제1삽입홈(27')이 있다. 상기 제1삽입홈(27')은 상기 조립하우징(20)의 제1수납부(27)에 만들어지는 것으로, 여기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S)의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제1삽입홈(27')은 상기 조립하우징(20)에서 상기 커넥터하우징(30)과 마주보는 면에 함몰되어 있는데, 상기 제1수납부(27)의 안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S)는 상기 제1수납부(27)에 수납되되 끝부분이 상기 제1삽입홈(27')에 끼워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assembly housing (20) has a first insertion groove (27'). The first insertion groove (27') is formed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7) of the assembly housing (20), and a part of an elastic member (S), such as a spring, is inserted into it. The first insertion groove (27') is sunken into a surface of the assembly housing (20) that faces the connector housing (30), and is located inside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7). Accordingly, the elastic member (S) can be received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7), and its end can be fit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27').
상기 탄성부재(S)는 상기 조립하우징(20)과 상기 커넥터하우징(30)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기 조립하우징(20)과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해준다. 앞서 설명한 대로, 상기 제1걸이부(23)와 제2걸이부(33)가 서로 유격거리를 두고 걸리기 때문에, 상기 조립하우징(20)과 커넥터하우징(30)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상대이동할 수 있는데, 상기 탄성부재(S)가 조립하우징(20)과 커넥터하우징(30) 사이를 서로 밀어주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상기 제1걸이부(23)에 제2걸이부(33)가 걸린 상태가 된다. The above elastic member (S) is installed between the assembly housing (20) and the connector housing (30) to provide elasticit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ssembly housing (20) and the connector housing (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hook part (23) and the second hook part (33) are hooked with a clearance distance from each other, the assembly housing (20) and the connector housing (30)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in the direction of moving closer or farther away from each other. Since the elastic member (S) pushes the assembly housing (20) and the connector housing (30) together, the second hook part (33) is basically hooked to the first hook part (23).
상기 탄성부재(S)는 제1걸이부(23) 및 제2걸이부(33) 사이의 유격구조와 함께 기능을 하게 되는데, 상기 제1커넥터(10,20,30)와 제2커넥터(50,70)가 조립될 때 상기 탄성부재(S)의 탄성력을 통해 보다 부드럽게 결합방향 또는 결합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커넥터(10,20,30)와 제2커넥터(50,70)가 조립될 때 간섭이 발생하면, 상기 조립하우징(20)과 커넥터하우징(30)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대이동하여 제1걸이부(23) 및 제2걸이부(33) 사이의 유격거리가 줄어드는데, 이때 탄성부재(S)가 완충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The above elastic member (S) functions together with the clearance structure between the first hook part (23) and the second hook part (33), so that when the first connector (10, 20, 30) and the second connector (50, 70) are assembled, the coupling direction or coupling distance can be adjusted more smoothly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S). That is, when interference occurs when the first connector (10, 20, 30) and the second connector (50, 70) are assembled, the assembly housing (20) and the connector housing (30) move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approaching direction, so that the clearance distance between the first hook part (23) and the second hook part (33) is reduced, and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S) can perform a buffering function.
상기 조립하우징(20)에는 제1거치편(28)이 있다. 상기 제1거치편(28)은 상기 조립하우징(20)의 바깥쪽으로 더 돌출된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제2커넥터(50,70)를 향한 쪽의 반대편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상기 제1거치편(28)은 상기 조립하우징(20)의 폭이 커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거치편(28)은 조립하우징(20)의 각 모서리 부분에 구비된다. 상기 제1거치편(28)은 상기 제1장착트레이(10)의 제1조립홀(15)의 입구 가장자리 부분에 걸려, 상기 조립하우징(20)이 제1조립홀(15)의 안쪽으로 더 삽입되지 못하게 하는 스토퍼기능을 할 수 있다. The above assembly housing (20) has a first retaining piece (28). The first retaining piece (28) protrudes further outwardly from the assembly housing (20), and more precisely, it is provided on the opposite edge of the side facing the second connector (50, 70). The first retaining piece (28) protrud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dth of the assembly housing (20) increases,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retaining piece (28) is provided at each corner of the assembly housing (20). The first retaining piece (28) can be hung on the edge of the entrance of the first assembly hole (15) of the first mounting tray (10) to function as a stopper to prevent the assembly housing (20) from being inserted further into the first assembly hole (15).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조립하우징(20)의 상기 제1거치편(28)에는 제1조정돌기(29)가 돌출된다. 상기 제1조정돌기(29)는 상기 제1거치편(28)의 표면에서 상기 제1조립홀(15)의 가장자리 표면(11')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1조립홀(15)의 가장자리에 점접촉 또는 선접촉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조정돌기(29)는 대략 반구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조립홀(15)의 가장자리에 점접촉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조립하우징(20)과 상기 제1장착트레이(10)의 접촉면적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 and 5, a first adjusting projection (29) protrudes from the first mounting piece (28) of the assembly housing (20). The first adjusting projection (29)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piece (28) toward the edge surface (11') of the first assembly hole (15) and makes point contact or lin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first assembly hole (1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djusting projection (29) protrudes in an approximately hemispherical shape and makes point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first assembly hole (15), whereby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assembly housing (20) and the first mounting tray (10)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이와 같이, 상기 제1조정돌기(29)가 상기 제1장착트레이(10)에 점접촉됨으로써, 상기 조립하우징(20)은 상기 제1장착트레이(10)에 대해 어느 정도 유동할 수 있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①, ②방향으로 약간 회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조립하우징(20)의 제1거치편(28)이 상기 제1장착트레이(10)의 외면에 면접촉된다면 서로 밀착되어 회전될 여지가 없지만,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조정돌기(29)가 상기 제1장착트레이(10)에 점접촉됨으로써 어느 정도 틀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조립하우징(20)의 회전은 제1커넥터(10,20,30)와 제2커넥터(50,70)가 서로 조립될 때 조립방향을 자동으로 정렬해줄 수 있는 요인이 된다. In this way, since the first adjusting projection (29) comes into point contact with the first mounting tray (10), the assembly housing (20) can move to some ext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mounting tray (10), and more precisely, it can rotate slightly in the direction of
도 5를 보면, 상기 제1조정돌기(29)는 상기 조장의 각 제1거치편(28)에 구비되어 총 4개가 있다. 이처럼 다수개로 구성된 제1조정돌기(29)는 상기 조립하우징(20)과 상기 제1장착트레이(10) 사이의 점접촉을 유도하여, 생산공차 등에 의해 상기 조립하우징(20)이나 제1장착트레이(10)의 조립면이 틀어지더라도, 서로 이격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adjusting protrusion (29) is provided on each first holding piece (28) of the above-mentioned guide, and there are four of them in total. The first adjusting protrusion (29) configured in multiple pieces like this induces point contact between the assembly housing (20) and the first mounting tray (10), so that even if the assembly surfaces of the assembly housing (20) or the first mounting tray (10) are misaligned due to production tolerances, etc., the portion that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can be minimized.
결과적으로, 상기 제1조정돌기(29)가 상기 제1조립홀(15)의 가장자리 표면(11')에 닿아 상기 조립하우징(20)이 상기 제1조립홀(15)에 삽입되는 정도가 제한되고, 상기 제1조정돌기(29)를 제외한 상기 제1거치편(28)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1조립홀(15)의 가장자리 표면(11')과 직접 밀착되지 않게 된다. As a result, the extent to which the first adjusting protrusion (29)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dge surface (11') of the first assembly hole (15) and the assembly housing (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assembly hole (15) is limited,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irst holding piece (28) excluding the first adjusting protrusion (29) does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edge surface (11') of the first assembly hole (15).
다음으로, 커넥터하우징(30)을 보면,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은 상기 조립하우징(20)에 조립되고, 상기 조립하우징(20)과 함께 상기 제1장착트레이(10)의 상기 제1조립홀(15)에 조립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내부에는 제1터미널이 수납되는 제1터미널수납부(32)가 있고, 외면에는 상기 조립하우징(20)의 제1걸이부(23)에 걸리는 제2걸이부(33)가 돌출되어 있다. Next, looking at the connector housing (30), the connector housing (30) is assembled to the assembly housing (20) and, together with the assembly housing (20), is assembled to the first assembly hole (15) of the first mounting tray (10).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30), there is a first terminal receiving portion (32) in which the first terminal is received, and on the outer surface, a second hook portion (33) that is hooked to the first hook portion (23) of the assembly housing (20) protrudes.
상기 커넥터하우징(30)도 상기 조립하우징(20)과 마찬가지로 대략 육면체 형상이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조립하우징(20)의 안착홀(22)에 삽입된다. 그리고 안착홀(22)에 삽입된 부분의 반대편 쪽은 상기 제1장착트레이(10)의 제1조립홀(15)을 통과하여 반대쪽으로 돌출되고, 상대커넥터인 제2커넥터(50,70)의 제2하우징(70)과 접촉된다. The above connector housing (30) is also roughly hexahedral in shape, like the above assembly housing (20), and at least a portion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22) of the above assembly housing (20). Then,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22) passes through the first assembly hole (15) of the first mounting tray (10) and protrudes to the opposite side,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housing (70) of the second connector (50, 70), which is the counterpart connector.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바깥쪽에는 제2수납부(36)가 있다. 상기 제2수납부(36)는 안쪽에 제2삽입홈(36')이 함몰된다. 상기 제2삽입홈(36')은 앞서 설명한 조립하우징(20)의 제1삽입홈(27')에 마주보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S)의 일부가 끼워진다. 즉, 상기 탄성부재(S)의 한쪽은 상기 제1삽입홈(27')에 끼워지고, 반대쪽은 상기 제2삽입홈(36')에 끼워진 상태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수납부(27)는 상기 조립하우징(20)의 제1수납부(27) 안쪽에 안착될 수 있다. On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30), there is a second receiving portion (36).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36) has a second insertion groove (36') sunken into the inside. The second insertion groove (36') is positioned opposite the first insertion groove (27') of the assembly housing (20) described above, and a part of the elastic member (S) is inserted into it. That is,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S)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27'), and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36') to provide elasticity.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7) can be placed inside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7) of the assembly housing (20).
다음으로, 제2커넥터(50,70)를 살펴보면, 상기 제2커넥터(50,70)는 제2장치트레이(50)와 상기 제2장치트레이(50)에 설치되는 제2하우징(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장치트레이(50)는 제1장착트레이(10)와 마찬가지로 차량의 내부 또는 특정 부품에 설치되어 제2커넥터(50,7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제2하우징(70)은 전기적 연결을 담당한다. Next, looking at the second connector (50, 70), the second connector (50, 70) is composed of a second device tray (50) and a second housing (70) installed on the second device tray (50). The second device tray (50), like the first mounting tray (10), is installed inside a vehicle or on a specific part and serves to secure the second connector (50, 70), and the second housing (70) is responsible for electrical connection.
먼저 제2장치트레이(50)를 보면, 상기 제2장치트레이(50)에는 대략 사각판 형태의 제2장착몸체(51)가 있고, 상기 제2장착몸체(51)에는 제2장치트레이(50)를 차량 내부 등에 고정하기 위한 제2체결홀(52)이 있다. 상기 제2체결홀(52)에는 체결구가 삽입되어 제2장치트레이(50)를 차량의 내부에 고정해줄 수 있다. 상기 제2장치트레이(50)는 상기 제2장착몸체(51)의 전방으로 더 돌출되는데, 돌출된 부분이 제1장착트레이(10)와 조립되는 부분이다. First, looking at the second device tray (50), the second device tray (50) has a second mounting body (51) in the shape of a roughly square plate, and the second mounting body (51) has a second fastening hole (52) for fixing the second device tray (50) to the interior of a vehicle, etc. A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hole (52) to fix the second device tray (50) to the interior of a vehicle. The second device tray (50) protrudes further forward from the second mounting body (51), and the protruding portion is a portion assembled with the first mounting tray (10).
상기 제2장착몸체(51)에는 제2고전압부(53)가 구비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고전압부(53)의 내부에는 제2고전압터미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전압부(53)는 상기 제1커넥터(10,20,30)와 제2커넥터(50,70)의 조립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고전압부(53)의 안쪽에 해당하는 상기 제2장착몸체(51)의 중심에는 제2조립홀(55)이 관통되는데, 상기 제2조립홀(55)에는 제2하우징(70)이 조립된다.The second mounting body (51) is provided with a second high-voltage section (53), and although not shown, a second high-voltage terminal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econd high-voltage section (53). The second high-voltage section (53) extends in the assembly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 20, 30) and the second connector (50, 70). A second assembly hole (55)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mounting body (51)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second high-voltage section (53), and a second housing (70) is assembled into the second assembly hole (55).
상기 제2장치트레이(50)에는 가이드홈(57)이 관통된다. 상기 제2가이드홈(57)은 제1커넥터(10,20,30)를 향해 개방되어, 여기에 상기 제1장착트레이(10)의 가이드돌기(17)가 끼워진다. 상기 가이드홈(57)에는 제1하우징(20,30)과 제2하우징(70)이 서로 만나기 전에 먼저 가이드돌기(17)가 끼워져 조립방향을 설정해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이드홈(57)은 한 쌍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2조립홀(55)을 기준으로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있다. The second device tray (50) is penetrated with a guide groove (57). The second guide groove (57) is opened toward the first connector (10, 20, 30), and the guide projection (17) of the first mounting tray (10) is fitted into it. Before the first housing (20, 30) and the second housing (70) meet each other, the guide projection (17) is first fitted into the guide groove (57) to set the assembly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grooves (57) are configured as a pair, and are located above and below the second assembly hole (55), respectively.
상기 제2장치트레이(50)에는 제2하우징(70)이 설치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하우징(70)은 대략 육면체 형상이고, 중심에는 제2터미널이 수납되는 제2터미널수납부(72)가 있고, 외면에는 상기 제2장치트레이(50)의 안쪽에 걸기 위한 제2체결레버(75)가 있다. 상기 제2체결레버(75)는 탄성변형가능한 형태로 상기 제2하우징(70)의 바깥쪽에 구비되는데, 상기 제2체결레버(75)는 앞서 설명한 상기 제2장치트레이(50)의 제2조립홀(55)의 안쪽에 걸린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2체결레버(75)에는 상기 제2조립홀(55) 안쪽에 걸리는 걸림턱(76)이 돌출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체결레버(75)는 상기 제2하우징(7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A second housing (70) is installed in the second device tray (50). 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second housing (70) has an approximately hexahedral shape, has a second terminal storage portion (72) in the center where the second terminal is stored, and has a second fastening lever (75) on the outer surface for hanging on the inside of the second device tray (50). The second fastening lever (75)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70) in an elastically deformable form, and the second fastening lever (75) hangs on the inside of the second assembly hole (55) of the second device tray (50) described above. To this end, a hanging protrusion (76) that hangs on the inside of the second assembly hole (55) protrudes from the second fastening lever (75).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fastening lever (75) is provid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housing (70).
상기 제2하우징(70)에는 제2거치편(78)이 있다. 상기 제2거치편(78)은 상기 제2하우징(70)의 바깥쪽으로 더 돌출된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제1커넥터(10,20,30)를 향한 쪽의 반대편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상기 제2거치편(78)은 상기 제2하우징(70)의 폭이 커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거치편(78)은 제2하우징(7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2거치편(78)은 상기 제2장치트레이(50)의 제2조립홀(55)의 입구 가장자리 부분에 걸려, 상기 제2하우징(70)이 제2조립홀(55)의 안쪽으로 더 삽입되지 못하게 하는 스토퍼기능을 할 수 있다. The second housing (70) has a second retaining piece (78). The second retaining piece (78) protrudes further outwardly from the second housing (70), and more precisely, it is provided on the opposite edge of the side facing the first connector (10, 20, 30). The second retaining piece (78) protrud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dth of the second housing (70) increases,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retaining piece (78)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housing (70), respectively. The second retaining piece (78) can be caught on the edge of the entrance of the second assembly hole (55) of the second device tray (50), and can have a stopper function to prevent the second housing (70) from being inserted further into the second assembly hole (55).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제2하우징(70)의 상기 제2거치편(78)에는 제2조립돌기(79)가 돌출된다. 상기 제2조립돌기(79)는 상기 제2거치편(78)의 표면에서 상기 제2조립홀(55)의 가장자리 표면(51')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2조립홀(55)의 가장자리 표면(51')에 점접촉 또는 선접촉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조립돌기(79)는 대략 반구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조립홀(55)의 가장자리 표면(51')에 점접촉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제2하우징(70)과 상기 제2장치트레이(50)의 접촉면적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6 and 7, a second assembly protrusion (79) protrudes from the second mounting piece (78) of the second housing (70). The second assembly protrusion (79)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piece (78) toward the edge surface (51') of the second assembly hole (55) and makes point contact or line contact with the edge surface (51') of the second assembly hole (5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assembly protrusion (79) protrudes in an approximately hemispherical shape and makes point contact with the edge surface (51') of the second assembly hole (55), whereby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econd housing (70) and the second device tray (50)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이와 같이, 상기 제2조립돌기(79)가 상기 제2장치트레이(50)에 점접촉됨으로써, 상기 제2하우징(70)은 상기 제2장치트레이(50)에 대해 어느 정도 유동할 수 있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①, ②방향으로 약간 회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의 제2거치편(78)이 상기 제2장치트레이(50)의 외면에 면접촉된다면 서로 밀착되어 회전될 여지가 없지만,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조립돌기(79)가 상기 제2장치트레이(50)에 점접촉됨으로써 어느 정도 틀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2하우징(70)의 회전은 제1커넥터(10,20,30)와 제2커넥터(50,70)가 서로 조립될 때 조립방향을 자동으로 정렬해줄 수 있는 요인이 된다. In this way, since the second assembly protrusion (79) makes point contact with the second device tray (50), the second housing (70) can move to some extent with respect to the second device tray (50), and more precisely, it can rotate slightly in the direction of
도 7를 보면, 상기 제2조립돌기(79)는 상기 제2하우징(70)의 각 제2거치편(78)에 구비되는데, 총 3개가 있다. 적어도 3개 이상이 되어야 상기 제2하우징(70)이 한쪽으로 틀어지는 것이 방지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2개의 제2조립돌기(79)는 하부에 있고, 나머지 한개는 상부에 있다. 이처럼 다수개로 구성된 제2조립돌기(79)는 상기 제2하우징(70)과 상기 제2장치트레이(50) 사이의 점접촉을 유도하여, 생산공차 등에 의해 상기 제2하우징(70)이나 제2장치트레이(50)의 조립면이 틀어지더라도, 서로 이격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second assembly protrusions (79) are provided on each second fixing piece (78) of the second housing (70), and there are three in total. At least three or more are required to prevent the second housing (70) from being twisted to one side. In this embodiment, two of the second assembly protrusions (79) are located at the bottom, and the remaining one is located at the top. The second assembly protrusions (79) configured in multiple pieces induce point contact between the second housing (70) and the second device tray (50), so that even if the assembly surfaces of the second housing (70) or the second device tray (50) are twisted due to production tolerances, etc., the portion that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can be minimized.
결과적으로, 상기 제2조립돌기(79)가 상기 제2조립홀(55)의 가장자리 표면(51')에 닿아 상기 제2하우징(70)이 상기 제2조립홀(55)에 삽입되는 정도가 제한되고, 상기 제2조립돌기(79)를 제외한 상기 제2거치편(78)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2조립홀(55)의 가장자리 표면(51')과 직접 밀착되지 않게 된다. As a result, the degree to which the second assembly protrusion (79)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dge surface (51') of the second assembly hole (55) and the second housing (7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assembly hole (55) is limited,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econd holding piece (78) excluding the second assembly protrusion (79) does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edge surface (51') of the second assembly hole (55).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제1커넥터(10,20,30)와 제2커넥터(50,70) 사이의 조립과정을 보면, 먼저 도 8(a)는 제1커넥터(10,20,30)와 제2커넥터(50,70)의 조립 전 상태이고, 도 8(b)는 제1커넥터(10,20,30)와 제2커넥터(50,70)가 서로 조립된 상태이다. Next, referring to FIG. 8, the assembly process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0, 20, 30) and the second connector (50, 70) is shown. First, FIG. 8(a) shows the state before assembly of the first connector (10, 20, 30) and the second connector (50, 70), and FIG. 8(b)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10, 20, 30) and the second connector (50, 70) are assembled to each other.
상기 제1커넥터(10,20,30)와 상기 제2커넥터(50,70)는 직접 조립되지 않고, 각각 서로 다른 부품(위치)에 조립되어 다른 부품 사이의 조립시에 함께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커넥터(10,20,30)와 제2커넥터(50,70)의 조립방향이 정확하게 잘 설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먼저 상기 제1커넥터(10,20,30)의 제1장착트레이(10)에 있는 가이드돌기(17)가 제2커넥터(50,70)의 제2장치트레이(50)에 있는 가이드홈(57)에 끼워져 초기 방향이 조정될 수 있다. The above first connector (10, 20, 30) and the second connector (50, 70) are not directly assembled, but are assembled to different parts (positions) respectively so that they can be assembled together when assembling other parts. Therefore, the assembly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 20, 30) and the second connector (50, 70) needs to be set accurately.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projection (17) on the first mounting tray (10) of the first connector (10, 20, 30) is first fitted into the guide groove (57) on the second device tray (50) of the second connector (50, 70) so that the initial direction can be adjusted.
물론, 상기 가이드돌기(17)와 상기 가이드홈(57)의 안내구조가 있어도, 부품간의 유격이나 공차가 있을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이러한 공차를 보상하기 위한 구조가 있다. 도 8(b)를 보면, 상기 조립하우징(20)에는 제1조정돌기(29)가 돌출되어 상기 제1장착트레이(10)와 어느 정도 유동할 수 있는 구조이고, 제2하우징(70)에는 제2조립돌기(79)가 돌출되어 상기 제2장치트레이(50)와 어느 정도 유동할 수 있다. Of course, even if there is a guide structure of the above guide projection (17) and the above guide groove (57), there may be a clearance or tolerance between parts, and in this embodiment, there is a structure for compensating for such tolerance. As shown in Fig. 8(b), the assembly housing (20) has a first adjustment projection (29) that protrudes and can move to some extent with the first mounting tray (10), and the second housing (70) has a second assembly projection (79) that protrudes and can move to some extent with the second device tray (50).
즉, 도 1의 화살표 ①,② 방향으로 상기 조립하우징(20)과 제1장착트레이(10) 사이의 유동이 가능하고, 도 2의 화살표 ①,② 방향으로는 상기 제2하우징(70)과 제2장치트레이(50) 사이의 유동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제1커넥터(10,20,30) 뿐 아니라 제2커넥터(50,70)도 부품간의 유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커넥터어셈블리의 전체 조립 유동량이 증가할 수 있고, 이는 조립성을 더욱 개선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That is, flow between the assembly housing (20) and the first mounting tray (10) is possible in the direction of
한편, 이러한 조립과정에서, 상기 제1커넥터(10,20,30)에는 탄성부재(S)가 있어서 완충기능도 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S)는 제1걸이부(23) 및 제2걸이부(33) 사이의 유격구조와 함께 기능을 하게 되는데, 상기 제1커넥터(10,20,30)와 제2커넥터(50,70)가 조립될 때 상기 탄성부재(S)의 탄성력을 통해 보다 부드럽게 결합방향 또는 결합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커넥터(10,20,30)와 제2커넥터(50,70)가 조립될 때 간섭이 발생하면, 상기 조립하우징(20)과 커넥터하우징(30)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대이동하여 제1걸이부(23) 및 제2걸이부(33) 사이의 유격거리가 줄어드는데, 이때 탄성부재(S)가 완충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Meanwhile, during this assembly process, the first connector (10, 20, 30) has an elastic member (S) that also functions as a buffer. The elastic member (S) functions together with the clearance structure between the first hook part (23) and the second hook part (33), and when the first connector (10, 20, 30) and the second connector (50, 70) are assembled, the coupling direction or coupling distance can be adjusted more smoothly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S). That is, when interference occurs when the first connector (10, 20, 30) and the second connector (50, 70) are assembled, the assembly housing (20) and the connector housing (30) move relative to each other in a closer direction, so that the clearance between the first hook part (23) and the second hook part (33) is reduced.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S) can perform a buffering function.
작업자가 제1커넥터(10,20,30)와 제2커넥터(50,70)를 직접 조립하지는 못하고, 두 커넥터가 다른 부품 사이의 조립과정에서 간접적으로 조립되더라도,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조립방향이 자동으로 정렬될 수 있고, 정확한 조립이 가능하다. Even if the worker cannot directly assemble the first connector (10, 20, 30) and the second connector (50, 70) and the two connectors are indirectly assembled during the assembly process between other parts, the assembly direction can be automatically aligned through this structure and accurate assembly is possibl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combined to operate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operated as one or more. In addition, the terms "include," "compose," or "have" described above,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and therefore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evant technology,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제1장착트레이 20: 제1장착하우징
30: 조립하우징 50: 제2장착트레이
70: 제2하우징 S: 탄성부재10: 1st mounting tray 20: 1st mounting housing
30: Assembly housing 50: Second mounting tray
70: Second housing S: Elastic member
Claims (10)
상기 제1장착트레이의 상기 제1조립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조립홀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제1거치편이 돌출되며, 상기 제1거치편에는 상기 제1조립홀의 가장자리 표면을 향해 제1조정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제1조립홀의 가장자리에 점접촉 또는 선접촉되는 조립하우징;
상기 조립하우징에 조립되고, 상기 조립하우징과 함께 상기 제1장착트레이의 상기 제1조립홀에 조립되는 커넥터하우징;을 포함하는 정렬기능을 갖는 커넥터.
A first mounting tray having a first assembly hole through the inside;
An assembly housing that is inserted into the first assembly hole of the first mounting tray and has a first fixing piece that is supported on the edge of the first assembly hole and protrudes, and a first adjusting projection protrudes from the first fixing piece toward the edge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hole and makes point contact or lin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first assembly hole;
A connector having an alignment function, comprising: a connector housing assembled into the assembly housing and assembled together with the assembly housing into the first assembly hole of the first mounting tray.
In claim 1, a connector having an alignment function in which the first fixing piece protrudes in a direction that widens the width of the assembly housing, and a plurality of first adjusting protrusions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irst fixing piece.
In claim 1, the first adjusting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first holding piece toward the edge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hole and makes point contact, and the extent to which the assembly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first assembly hole is limited by the first adjusting protrusion touching the edge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hole, but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irst holding piece excluding the first adjusting protrusion does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edge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hole. A connector having an alignment function.
In claim 1, a connector having an alignment function in which a first hook portion and a second hook portion are provided between the assembly housing and the connector housing to prevent them from coming off each other, and the first hook portion and the second hook portion are hooked to each other with a clearance distance so that the assembly housing and the connector housing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of coming closer or farther away from each other.
A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elastic member is installed between the assembly housing and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elastic member has an alignment function that provides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ssembly housing and the connector housing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claim 5, the elastic member has an alignment function in which both ends are fitted into a first insertion groove sunken into a surface of the assembly housing facing the connector housing, and a second insertion groove sunken into a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facing the first insertion groove.
A connector having an alignment func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ssembly housing is provided with a first elastically deformable fastening lever, and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on which the first fastening lever is caught and fixed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assembly hole of the first mounting tray.
In claim 7, the first fastening lever is a connector having an alignment fun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he first fastening levers are provid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assembly housing.
상기 제1장착트레이의 상기 제1조립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조립홀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제1거치편이 돌출되며, 상기 제1거치편에는 상기 제1조립홀의 가장자리 표면을 향해 제1조정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제1조립홀의 가장자리에 점접촉 또는 선접촉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장착트레이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조립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있으며, 내부에는 제2조립홀이 관통되는 제2장착트레이;
상기 제2조립홀에 조립되고, 상기 제2조립홀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제2거치편이 돌출되며, 상기 제2거치편에는 상기 제2조립홀의 가장자리 표면을 향해 제2조정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제2조립홀의 가장자리에 점접촉 또는 선접촉되고, 상기 제1장착트레이와 상기 제2장착트레이가 결합되면 상기 제1하우징과 조립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어셈블리.
A first mounting tray having a guide projection and a first assembly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inside;
A first housing inserted into the first assembly hole of the first mounting tray, having a first fixing piece protruding and supported on an edge of the first assembly hole, and having a first adjusting projection protruding toward an edge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hole to make point contact or lin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first assembly hole;
A second mounting tray, which is assembled in a direction facing the first mounting tray, has a guide groove into which the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and has a second assembly hole penetrating therein;
A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second housing, which is assembled into the second assembly hole and has a second mounting member that protrudes and is supported on the edge of the second assembly hole, and a second adjusting projection protrudes from the second mounting member toward the edge surface of the second assembly hole to make point contact or lin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second assembly hole, and is assembled with the first housing when the first mounting tray and the second mounting tray are combined.
상기 제1장착트레이의 상기 제1조립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조립홀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제1거치편이 돌출되며, 상기 제1거치편에는 상기 제1조립홀의 가장자리 표면을 향해 제1조정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제1조립홀의 가장자리에 점접촉 또는 선접촉되는 조립하우징;
상기 조립하우징에 조립되고, 상기 조립하우징과 함께 상기 제1장착트레이의 상기 제1조립홀에 조립되는 커넥터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어셈블리.In claim 9, the first housing,
An assembly housing that is inserted into the first assembly hole of the first mounting tray and has a first fixing piece that is supported on the edge of the first assembly hole and protrudes, and a first adjusting projection protrudes from the first fixing piece toward the edge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hole and makes point contact or lin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first assembly hole;
A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connector housing assembled into the assembly housing and assembled into the first assembly hole of the first mounting tray together with the assembly hous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7162A KR102707016B1 (en) | 2019-12-27 | 2019-12-27 | Connector having center aligning function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i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7162A KR102707016B1 (en) | 2019-12-27 | 2019-12-27 | Connector having center aligning function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i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4145A KR20210084145A (en) | 2021-07-07 |
KR102707016B1 true KR102707016B1 (en) | 2024-09-19 |
Family
ID=76862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7162A Active KR102707016B1 (en) | 2019-12-27 | 2019-12-27 | Connector having center aligning function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i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0701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487087B (en) * | 2024-07-09 | 2024-09-13 | 广东连捷精密技术有限公司 | A communication equipment connector with adjustable docking angl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87682A (en) | 2005-09-21 | 2007-04-05 | Smk Corp | Coaxial connector with floating |
JP2011034825A (en) | 2009-08-03 | 2011-02-17 | Yazaki Corp | Connecto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86183B2 (en) * | 1996-09-30 | 2002-05-27 | アジレント・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Coaxial connector floating mount device |
JP6183626B2 (en) * | 2015-08-04 | 2017-08-23 | Smk株式会社 | Coaxial connector with floating mechanism |
KR20180059246A (en) | 2016-11-25 | 2018-06-04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High voltage connector having waterproofing part |
KR102001083B1 (en) * | 2019-03-19 | 2019-07-18 | 주식회사 경신 | Connector for vehicle |
-
2019
- 2019-12-27 KR KR1020190177162A patent/KR10270701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87682A (en) | 2005-09-21 | 2007-04-05 | Smk Corp | Coaxial connector with floating |
JP2011034825A (en) | 2009-08-03 | 2011-02-17 | Yazaki Corp |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4145A (en) | 2021-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24892B2 (en) | Holding frame for a plug-type connector | |
US9748677B2 (en) | Wire-to-board connector | |
US20200350722A1 (en) | Plug-and-socket connector for an electrical plug-and-socket connection, and electrical plug-and-socket connection created therewith | |
JP2009541919A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20190214762A1 (en) | Connector | |
CA2803099A1 (en) | High-current insertion-connected connector | |
CN111613931B (en) | Holding frame for a plug connector | |
EP3329559B1 (en) | Electric plug connector with vibration-resistant short-circuiting bridge and electric plug connection | |
US11038289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11095056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reduce distance between electrical terminals | |
US12046856B2 (en) | Electrical plug device with a blocking mechanism for a position assurance element which can be released by a mating housing | |
US11228139B2 (en) | Plug connector of an electrical plug connection and set comprising a plug connector and functional element | |
US11942715B2 (en) |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corresponding connector assembly | |
CN105703175B (en) | Panel Mount Plug Connectors | |
KR102707016B1 (en) | Connector having center aligning function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is | |
CN108352656B (en) | connector device | |
US20210006011A1 (en) | Contact Device, Contact System Having Such A Contact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Contact System | |
KR102234243B1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 |
KR101412322B1 (en) | Connector | |
US9627869B2 (en) | Block for vehicle | |
JP6505547B2 (en) | Connector structure | |
JP6084107B2 (en) | connector | |
CN103430393B (en) | Adapter with clamping face and fixing device, opposition adapter and connector assembly | |
KR19990037663A (en) | Device with two plug halves for fixing to the wall | |
JP2010118150A (en) |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9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