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05310B1 - 수납박스 - Google Patents

수납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5310B1
KR102705310B1 KR1020220081704A KR20220081704A KR102705310B1 KR 102705310 B1 KR102705310 B1 KR 102705310B1 KR 1020220081704 A KR1020220081704 A KR 1020220081704A KR 20220081704 A KR20220081704 A KR 20220081704A KR 102705310 B1 KR102705310 B1 KR 102705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ver part
storage box
support member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5254A (ko
Inventor
변진범
서영규
송창헌
우언주
Original Assignee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1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5310B1/ko
Publication of KR20240005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5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531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0Details of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2Reinforcing for strengthening parts of members
    • B65D11/26Local reinforcements, e.g. adjacent to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loosely interengaged by integral complementary sh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4Open-ended containers shaped to be nested when empty and to be superposed when fu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전후방향 양측 가장자리에서 서로 마주보게 상향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측면부와, 상기 바닥부의 좌우방향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측면부로 이루어지는 박스 본체;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부 중 상기 바닥부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박스 본체의 개방된 상부 일 영역을 덮는 좌측 덮개부와, 상기 바닥부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박스 본체의 상부 나머지 영역을 덮는 우측 덮개부로 이루어지는 본체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덮개부와 상기 우측 덮개부가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는 복수의 돌출단부와 복수의 받침홈부가 길이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된다.

Description

수납박스{STORAGE BOX}
본 발명은,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공간의 밀폐성이 강화되고 적층 효율이 향상된 수납박스에 관한 것이다.
의류는 일반적으로 커버가 설치된 수납박스에 보관되어 운반되고 있다.
종래의 커버가 설치된 수납박스는 바닥판과 사방의 측판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상되는 본체와,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된다.
종래의 수납박스는 커버를 연 상태나 닫은 상태에서 여러개의 상자를 상하방향으로 적층시켜 보관하기도 한다.
종래의 수납박스는 커버가 평평한 판 형상이기 때문에, 커버를 연 상태에서 수납박스를 상하로 여러개 적재시키면 상부에 위치하는 수납박스의 커버 중 하측 부분이 하부에 위치하는 수납박스의 커버 중 상측 부분에 얹혀지고, 이로 인해 얹혀진 커버가 연직으로 위치되지 않고 수납박스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되며, 이는 수납박스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운송 시 편의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수납박스는 커버를 연 상태에서 다른 수납박스의 상부에 적재시킬 때 적재시키려는 수납박스의 커버가 하부에 위치하는 수납박스의 커버에 걸려 적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1574호 "적재 시 커버간에 간섭이 없는 상자"에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에는 여러 개의 상자들을 상하방향으로 적재 시 상자들의 커버 간에 간섭이 없어 적재된 상자들의 부피가 종래보다 감소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선행기술은 상자를 다단으로 적재 시 커버간에 간섭이 적어 운송효율이 향상될 수는 있으나, 좌우로 분할된 한 쌍의 커버가 마주보는 단부 중앙에서의 처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1574호 "적재 시 커버간에 간섭이 없는 상자"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의 밀폐성이 강화되고 적층 효율이 향상된 수납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전후방향 양측 가장자리에서 서로 마주보게 상향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측면부와, 상기 바닥부의 좌우방향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측면부로 이루어지는 박스 본체;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부 중 상기 바닥부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박스 본체의 개방된 상부 일 영역을 덮는 좌측 덮개부와, 상기 바닥부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박스 본체의 상부 나머지 영역을 덮는 우측 덮개부로 이루어지는 본체 커버부를 포함하는 수납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덮개부와 상기 우측 덮개부가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는 복수의 돌출단부와 복수의 받침홈부가 길이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어, 상기 좌측 덮개부와 상기 우측 덮개부의 맞물림선이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단부의 저면에는 십자가 형태의 격자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홈부 상에는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는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 사이에 상기 격자리브가 삽입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덮개부와 상기 우측 덮개부 각각의 내면에 형성되는 결합 가이드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수납박스를 상하방향으로 다단 적층하는 경우, 상부에 위치하는 수납박스의 좌측 덮개부와 우측 덮개부 각각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단부와 받침홈부는, 하부에 위치하는 수납박스의 좌측 덮개부와 우측 덮개부 각각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 가이드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부에 위치하는 수납박스와 하부에 위치하는 수납박스 각각의 좌측 덮개부와 우측 덮개부는 상기 바닥부에 수직되는 가상의 수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덮개부 및 상기 우측 덮개부는 일단이 상기 제2 측면부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레이어부; 상기 제1 레이어부의 타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 레이어부에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 레이어부; 및 상기 제2 레이어부에서 상기 박스 본체의 상단 중앙을 향하도록 연장되되, 상기 제2 레이어부에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3 레이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면부의 상단에는 상기 좌측 덮개부를 지지하기 위한 좌측 지지부와 상기 우측 덮개부를 지지하기 위한 우측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지지부는 상기 좌측 덮개부가 힌지 결합되는 상기 제2 측면부에 근접된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지지단; 상기 제1 지지단의 우측방향에서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 지지단; 및 상기 제2 지지단에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3 지지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측 지지부는 상기 우측 덮개부가 힌지 결합되는 상기 제2 측면부에 근접되게 위치하는 제4 지지단; 상기 제4 지지단의 좌측방향에서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5 지지단; 및 상기 제5 지지단에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3 지지단과 연결되는 제6 지지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덮개부와 상기 우측 덮개부를 상기 박스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커버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잠금부는 상기 좌측 덮개부와 상기 우측 덮개부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딩 본체; 및 상기 슬라이딩 본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부 상단 내면에 삽입되는 잠금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면부 상단에는 씰 부재가 관통 삽입되는 씰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 덮개부 및 상기 우측 덮개부 각각에는 상기 씰 관통구와 연통되는 씰 연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전후방향 양측 가장자리에서 서로 마주보게 상향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측면부와, 상기 바닥부의 좌우방향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측면부로 이루어지는 박스 본체;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부 중 상기 바닥부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박스 본체의 개방된 상부 일 영역을 덮는 좌측 덮개부와, 상기 바닥부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박스 본체의 상부 나머지 영역을 덮는 우측 덮개부로 이루어지는 본체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덮개부와 상기 우측 덮개부가 서로 마주보는 단부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단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홈부가 길이방향으로 교차 형성되되, 일측 덮개부의 돌출단부가 타측 덮개부의 받침홈부의 상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좌측 덮개부와 상기 우측 덮개부는 돌출단부들이 상호 맞물려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가 제공된다.
상기 돌출단부의 저면에는 십자가 형태의 격자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홈부 상에는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는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 사이에 상기 격자리브가 안착되어, 상기 좌측 덮개부와 상기 우측 덮개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납박스는, 상기 좌측 덮개부와 상기 우측 덮개부는 각각의 내면에 돌출단부들의 돌출방향을 따라 요철 형성되는 덮개 보강리브들과, 상기 덮개 보강리브들의 요철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 가이드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수납박스들을 상기 본체 커버부가 개방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다단 적층하는 경우, 상부에 위치하는 수납박스의 좌측 덮개부와 우측 덮개부 각각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단부와 받침홈부는, 하부에 위치하는 수납박스의 좌측 덮개부와 우측 덮개부 각각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수납박스의 일측 덮개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수납박스의 일측 덮개부가 동일 선상에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박스 본체의 측면부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하 적층되는 수납박스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쳐짐에 따라 네스팅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공간 효율성이 향상되고 보관 및 운송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좌측 덮개부와 우측 덮개부가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형성된 돌출단부와 받침홈부가 상호 결합되어, 본체 커버부의 중앙부 처짐을 개선할 수 있고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좌측 덮개부와 우측 덮개부 각각의 내면에 결합 가이드홈을 형성함으로써, 다단 적층 시 복수개의 수납박스 각각의 좌측 덮개부와 우측 덮개부는 가상의 수직선 상에 내면이 위치될 수 있으며,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적층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체 커버부의 길이방향 양단에 커버 잠금부를 구비하여, 단순한 슬라이딩 조작을 통해 박스 본체 상에 좌측 덮개부와 우측 덮개부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박스의 덮개부가 완전히 개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덮개부 상에 마련된 잠금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가 다단 적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에서 박스 본체 상에 덮개부가 닫혀지는 중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덮개부의 일부를 분리하여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에서 상하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박스의 덮개부가 완전히 개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덮개부 상에 마련된 잠금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의 (a)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의 (b)는 도 1의 'B'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가 다단 적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의 (a)는 박스 본체 상에 덮개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다단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의 (b)는 덮개부가 힌지 회전되어 박스 본체가 개방된 상태에서 다단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에서 박스 본체 상에 덮개부가 닫혀지는 중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덮개부의 일부를 분리하여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의 (a)는 도 5에 도시된 덮개부의 상면이 보이도록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에 도시된 덮개부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는, 박스 본체(100)와, 박스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 영역을 개폐시키는 본체 커버부(200)와, 박스 본체(100) 상에 본체 커버부(200)를 고정하기 위한 커버 잠금부(300)를 구비한다.
박스 본체(100)는, 내부에 의류나 기타 물건 등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박스 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의 일방향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측면부(130)와, 바닥부(110)의 다른 방향(즉, 일방향에 수직되는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2 측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부(110)는 직사각형의 평면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한 쌍의 제1 측면부(130)는 한 쌍의 제2 측면부(150) 대비 상대적으로 폭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측면부(130)는, 바닥부(110)의 일방향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갈수록 일정 각도 경사지며, 높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단차부(130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1 측면부(130)는, 높이방향에서 세개의 단차부(130a)가 형성되어 계단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단 적층 시 부피 감소 등을 고려하여 하나 또는 두개의 단차부(130a)가 형성될 수도 있고, 네개 이상의 단차부(130a)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제1 측면부(130) 각각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라벨 포켓(131)이 마련되어 내부에 수용된 물건의 정보 또는 상표 로고 등을 포함하는 라벨(Label)을 라벨 포켓(131)에 편리하게 부착, 또는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 자세히 도시되진 않았으나, 라벨은 라벨 포켓(131)의 상단에서 하향 삽입될 수 있는데, 라벨 포켓(131)의 상단부는 후술하는 본체 커버부(200)에 의해 막혀져 라벨 포켓(131)에 수용된 라벨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측면부(150)는, 한 쌍의 제1 측면부(130)와 유사하게, 바닥부(110)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갈수록 일정 각도 경사질 수 있으며, 높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단차부(150a)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제2 측면부(150)는, 한 쌍의 제1 측면부(130) 대비 상대적으로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측면부(150) 상에 형성된 단차부(150a)는 제1 측면부(130) 상에 형성된 단차부(130a)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박스 본체(100)는, 한 쌍의 제1 측면부(130)와 한 쌍의 제2 측면부(150)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하부 면적에 비해 상부 면적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박스 본체(100)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복수개의 수납박스를 상하로 적층시키는 경우(도 4 참조), 상하 적층되는 수납박스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쳐짐에 따라 네스팅(Nesting) 부피를 줄이기 위함이며, 공간 효율성이 향상되고 보관 및 운송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체 커버부(200)는, 박스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로 분할되어(도 1 기준)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바닥부(110)를 기준으로 한 쌍의 제2 측면부(150)가 위치하는 방향을 좌우측 방향, 한 쌍의 제1 측면부(130)가 위치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본체 커버부(200)는, 구체적으로, 바닥부(110)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부(150)에 결합되어 박스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 일 영역을 덮는 좌측 덮개부(210)와, 바닥부(110) 우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부(150)에 결합되어 박스 본체(100)의 상부 나머지 영역을 덮는 우측 덮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덮개부(210)는 바닥부(110) 좌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부(15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박스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 영역의 일부를 덮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개방된 상부 영역의 절반을 덮을 수 있다. 우측 덮개부(230)는 바닥부(110) 우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부(150)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박스 본체(100)의 상부 나머지 영역을 덮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좌측 덮개부(210)와 우측 덮개부(230)는, 일단이 제2 측면부(150)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레이어부(211, 231)와, 제1 레이어부(211, 231)의 타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레이어부(211, 231)에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 레이어부(213, 233)와, 제2 레이어부(213, 233)의 타단에서 상기 박스 본체(100)의 상단 중앙을 향하도록 연장되되, 제2 레이어부(213, 233)에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3 레이어부(215, 2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좌측 덮개부(210)의 제1 내지 제3 레이어부(211, 213, 215)는 제1 내지 제3 좌측 레이어부(211, 213, 215)로 지칭하고, 우측 덮개부(230)의 제1 내지 제3 레이어부(231, 233, 235)는 제1 내지 제3 우측 레이어부(231, 233, 235)로 지칭하기로 한다.
좌측 덮개부(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면부(150)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좌측 레이어부(211)와, 제1 좌측 레이어부(211)에서 우측 덮개부(230)의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좌측 레이어부(211)의 우측 단부에서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 좌측 레이어부(213)와, 제2 좌측 레이어부(213)의에서 우측 덮개부(230)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좌측 레이어부(213)의 우측 단부에서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3 좌측 레이어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좌측 레이어부(211)의 가장자리에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곡면(211a)이 마련되고, 제1 절곡면(211a)은 좌측 덮개부(210)를 박스 본체(100)에 결합 시 박스 본체(100)에 마련된 라벨 포켓(131)의 상단 일부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좌측 레이어부(213)는, 제1 좌측 레이어부(211)와 유사하게, 가장자리에 제2 절곡면(213a)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절곡면(213a)은 좌측 덮개부(210)를 박스 본체(100)에 결합 시 박스 본체(100)에 마련된 라벨 포켓(131)의 상단 나머지를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좌측 레이어부(215)의 가장자리에는, 제3 절곡면(215a)이 마련되고, 제3 절곡면(215a)은 좌측 덮개부(210)를 박스 본체(100)에 결합시 한 쌍의 제1 측면부(130)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좌측 덮개부(210)는, 우측 덮개부(230)와 마주보는 단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좌측 돌출단부(217)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좌측 받침홈부(219)가 길이방향으로 교차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좌측 돌출단부(217)의 저면에는 대략 십자가 형태의 제1 격자리브(미도시)가 형성되고, 좌측 받침홈부(219) 상에는 복수개의 제1 결합돌기(219a)가 형성될 수 있는데, 제1 격자리브와 제1 결합돌기(219a)는 좌측 덮개부(210)가 우측 덮개부(230)가 마주보는 단부 중앙의 처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우측 덮개부(23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0) 우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부(150) 상단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제1 우측 레이어부(231)와, 제1 우측 레이어부(231)의 좌측 단부에서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 우측 레이어부(233)와, 제2 우측 레이어부(233)의 좌측 단부에서 좌측 덮개부(210)의 방향으로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3 우측 레이어부(235)를 포함한다.
제1 우측 레이어부(231)의 가장자리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절곡면(231a)이 마련되고, 제4 절곡면(231a)은 우측 덮개부(230)를 박스 본체(100)에 결합 시 박스 본체(100)에 마련된 라벨 포켓(131)의 상단 일부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우측 레이어부(233)의 가장자리에는, 제1 우측 레이어부(231)와 유사하게, 제5 절곡면(233a)이 마련되고, 제5 절곡면(233a)은 우측 덮개부(230)를 박스 본체(100)에 결합 시 박스 본체(100)에 마련된 라벨 포켓(131)의 상단 나머지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우측 레이어부(235)의 가장자리에는, 제6 절곡면(235a)이 마련되고, 제6 절곡면(235a)은 우측 덮개부(230)를 박스 본체(100)에 결합 시 제1 측면부(130)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우측 덮개부(230)는, 좌측 덮개부(210)와 마주보는 단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측 돌출단부(237)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측 받침홈부(239)가 길이방향으로 교차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복수의 좌측 돌출단부(217)는 우측 덮개부(230)에 마련된 복수의 우측 받침홈부(239)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좌측 받침홈부(219)에는 우측 덮개부(230)에 마련된 복수의 우측 돌출단부(237)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도 5 참조).
즉, 좌측 돌출단부(217)가 우측 받침홈부(239)의 상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좌측 덮개부(210)와 우측 덮개부(230)는 돌출단부들(217, 237)이 상호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좌측 돌출단부(217)와 복수의 우측 받침홈부(239) 및 복수의 우측 돌출단부(237)와 복수의 좌측 받침홈부(219)의 결합에 의해 좌측 덮개부(210)와 우측 덮개부(230)의 맞물림선이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는, 좌측 덮개부(210)와 우측 덮개부(230)가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상호 결합되어, 본체 커버부(200)의 중앙부 처짐을 개선할 수 있고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복수의 좌측 받침홈부(219)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결합돌기(219a)가 마련될 수 있고, 여기에는 우측 돌출단부(237)의 저면에 형성된 제2 격자리브(237a)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복수의 제1 결합돌기(219a)는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4개가 마련될 수 있고, 우측 돌출단부(237)에 마련된 제2 격자리브(237a)는 4개의 제1 결합돌기(219a)의 사이 틈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 결합돌기(219a) 사이에 제2 격자리브(237a)가 안착되어, 좌측 덮개부(210)와 우측 덮개부(2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제2 결합돌기(239a)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이때 복수의 제2 결합돌기(239a)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2 격자리브(237a)는 좌측 돌출단부(217)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복수의 우측 돌출단부(237)는 좌측 덮개부(210)에 마련된 복수의 좌측 받침홈부(219)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우측 받침홈부(239)에는 좌측 덮개부(210)에 마련된 복수의 좌측 돌출단부(217)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즉, 우측 돌출단부(237)가 좌측 받침홈부(219)의 상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좌측 덮개부(210)와 우측 덮개부(230)는 돌출단부들(217, 237)이 상호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복수의 우측 받침홈부(239)에는, 복수의 제2 결합돌기(239a)가 이격 마련될 수 있고, 여기에는 좌측 돌출단부(217)에 마련된 제1 격자리브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2 결합돌기(239a) 사이에 제1 격자리브가 안착되어, 좌측 덮개부(210)와 우측 덮개부(230)가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1 측면부(130)의 상단에는, 좌측 덮개부(210)를 지지하기 위한 좌측 지지부(170)와, 우측 덮개부(230)를 지지하는 우측 지지부(190)가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지지부(170)는, 좌측 덮개부(210)의 회전축과 가장 근접된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지지단(171)과, 제1 지지단(171)의 우측방향에서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 지지단(173)과, 제2 지지단(173)에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3 지지단(175)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단(171)에는 좌측 덮개부(210)의 제1 좌측 레이어부(211)가 지지될 수 있고, 제2 지지단(173)에는 좌측 덮개부(210)의 제2 좌측 레이어부(213)가 지지될 수 있으며, 제3 지지단(175)에는 좌측 덮개부(210)의 제3 좌측 레이어부(215)가 지지될 수 있다.
우측 지지부(190)는, 좌측 지지부(170)와 유사하게, 우측 덮개부(230)의 회전축과 가장 근접된 영역에 위치하는 제4 지지단(191)과, 제4 지지단(191)의 좌측방향에서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5 지지단(193)과, 제5 지지단(193)에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어 좌측 지지부(170)의 제3 지지단(175)과 연결되는 제6 지지단(195)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지지단(191)에는 우측 덮개부(230)의 제1 우측 레이어부(231)가 지지될 수 있고, 제5 지지단(193)에는 제2 우측 레이어부(233)가 지지되며, 제6 지지부(195)에는 제3 우측 레이어부(235)가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좌측 레이어부(213), 제3 좌측 레이어부(215), 제2 우측 레이어부(233), 제3 우측 레이어부(235)가 단차지게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게 제2 지지단(173), 제3 지지단(175), 제5 지지단(193), 제6 지지단(195)도 단차지게 마련되어 서로 걸림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좌측 지지부(170)와 우측 지지부(190)는, 한 쌍의 제1 측면부(13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제1 측면부(130)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본체 커버부(200)는, 좌측 덮개부(210)와 상기 우측 덮개부(230)의 상면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부에 적층되는 박스 본체(100)를 전후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250)와, 복수의 스토퍼(250)와 이격되어 좌측 덮개부(210)와 우측 덮개부(230)의 상면부에 각각 마련되고 상부에 적층되는 박스 본체(100)를 좌우방향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복수의 서브돌기(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토퍼(2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덮개부(210)와 우측 덮개부(230)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상부에 적층되는 박스 본체(100)의 전후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토퍼(2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좌측 레이어부(211)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에 2개가 마련될 수 있고, 제1 우측 레이어부(231)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에 2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돌기(270)는, 좌측 덮개부(210)와 우측 덮개부(230)의 각각의 상면에 형성되어, 다단 적층 시 상부에 적층되는 박스 본체(100)의 좌우방향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서브돌기(270)는, 제1 좌측 레이어부(21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우측 레이어부(231)의 길이 방향에서도 동일하게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서브돌기(270)는, 박스 본체(100)의 전후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스토퍼(270)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브돌기(270)의 크기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는, 좌측 덮개부(210)와 우측 덮개부(230) 각각의 내면에 돌출단부들(217, 237)의 돌출방향을 따라 요철 형성되는 덮개 보강리브들(233b) 및 덮개 보강리브들(233b)의 요철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 가이드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 가이드홈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덮개부(230)를 회전시켜 본체 커버부(200)가 개방된 상태로 박스 본체(100)를 다단으로 적층 시, 상부에 배치되는 수납박스의 우측 덮개부(230)에 형성된 우측 돌출단부(237)와 우측 받침홈부(239)가 하부에 배치되는 수납박스의 우측 덮개부(230) 내면에 형성된 결합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수납박스의 우측 덮개부(230)와 하부에 위치하는 수납박스의 우측 덮개부(230)가 동일 선상에 정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결합 가이드홈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좌측 덮개부(210)의 내면에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좌측 덮개부(210)를 회전시켜 본체 커버부(200)가 개방된 상태로 박스 본체(100)를 다단으로 적층 시 상부에 배치되는 좌측 덮개부(210)에 형성된 좌측 돌출단부(217)와 좌측 받침홈부(219)는 하부에 배치되는 좌측 덮개부(210)에 마련된 결합 가이드홈에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수납박스의 좌측 덮개부(210)와 하부에 위치하는 수납박스의 좌측 덮개부(210)가 동일 선상에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상하 적층된 수납박스 각각의 좌측 덮개부(210)와 우측 덮개부(230)는 내면이 가상의 수직선 상에 위치하게 될 수 있으며,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적층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커버 잠금부(300)는, 좌측 덮개부(210)와 우측 덮개부(230)를 박스 본체(100) 고정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커버 잠금부(300)는, 좌측 덮개부(210)의 제3 좌측 레이어부(215)와 우측 덮개부(230)의 제3 우측 레이어부(235)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커버 잠금부(300)는,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덮개부(210)와 우측 덮개부(230)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 본체(310)와, 슬라이딩 본체(310)에 돌출 형성되어 제1 측면부(130) 상단 내면에 삽입되는 잠금편(3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본체(310)는 좌측 덮개부(210)와 우측 덮개부(230) 각각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 수용홈(미부호)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본체(310) 상에는 슬라이딩 본체(310)의 슬라이딩 조작을 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커버 잠금부(300)는, 도 3의 (b)에 도시된 우측 덮개부(230)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본체(310)를 우측 덮개부(230)의 길이방향 일단부측으로 슬라이딩 시키게 되면, 슬라이딩 본체(310)에 돌출 형성된 잠금편(330)의 제1 측면부(130) 상단 내면에 삽입되게 되어 우측 덮개부(23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제1 측면부(130) 상단에는, 씰(Seal) 부재(R)가 관통 삽입되는 씰 관통구(130b)가 형성되고, 좌측 덮개부(210) 및 우측 덮개부(230) 각각에는 씰 관통구(130b)에 연통되는 씰 연통구(210a, 230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씰 연통구(210a, 230a) 중 어느 하나와 씰 관통구(130b)에 와이어나 로프 등의 씰 부재(R)를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박스 본체(100)를 밀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는, 박스 본체(100)의 한 쌍의 제1 측면부(130) 및 한 쌍의 제2 측면부(150)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하 적층되는 수납박스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쳐짐에 따라 네스팅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공간 효율성이 향상되고 보관 및 운송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좌측 덮개부(210)와 우측 덮개부(230)가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형성된 돌출단부(217, 237)와 받침홈부(219, 239)가 상호 결합되어, 본체 커버부(200)의 중앙부 처짐을 개선할 수 있고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좌측 덮개부(210)와 우측 덮개부(230) 각각의 내면에 결합 가이드홈을 형성함으로써, 다단 적층 시 복수개의 수납박스 각각의 좌측 덮개부(210)와 우측 덮개부(230)는 가상의 수직선 상에 내면이 위치될 수 있으며,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적층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체 커버부(200)의 길이방향 양단에 커버 잠금부(300)를 구비하여, 단순한 슬라이딩 조작을 통해 박스 본체(100) 상에 좌측 덮개부(210)와 우측 덮개부(230)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박스 본체
110: 바닥부
130: 제1 측면부 130a: 단차부
130b : 씰 관통구
131: 라벨 포켓
150: 제2 측면부 150a: 단차부
170: 좌측 지지부
171: 제1 지지단
173: 제2 지지단
175: 제3 지지단
190: 우측 지지부
191: 제4 지지단
193: 제5 지지단
195: 제6 지지단
200: 본체 커버부
210: 좌측 덮개부 210a: 씰 연통구
211: 제1 좌측 레이어부 211a: 제1 절곡면
213: 제2 좌측 레이어부 213a: 제2 절곡면
215: 제3 좌측 레이어부 215a: 제3 절곡면
217: 좌측 돌출단부
219: 좌측 받침홈부 219a: 제1 결합돌기
230: 우측 덮개부
231: 제1 우측 레이어부 231a: 제4 절곡면
233: 제2 우측 레이어부 233a: 제5 절곡면
233b: 덮개 보강리브
235: 제3 우측 레이어부 235a: 제6 절곡면
237: 우측 돌출단부 237a: 제2 격자리브
239: 우측 받침홈부 239a: 제2 결합돌기
250: 스토퍼
270: 서브돌기
300: 커버 잠금부
310: 슬라이딩 본체
311: 손가락 삽입홈
330: 잠금편
R: 씰(Seal) 부재

Claims (7)

  1.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전후방향 양측 가장자리에서 서로 마주보게 상향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측면부와, 상기 바닥부의 좌우방향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향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측면부로 이루어지는 박스 본체;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부 중 상기 바닥부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박스 본체의 개방된 상부 일 영역을 덮는 좌측 덮개부와, 상기 바닥부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박스 본체의 상부 나머지 영역을 덮는 우측 덮개부로 이루어지는 본체 커버부;
    상기 좌측 덮개부와 상기 우측 덮개부에 각각 형성되는 커버 잠금부;
    상기 좌측 덮개부와 상기 우측 덮개부에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부에 적층되는 박스 본체의 전후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
    상기 좌측 덮개부와 상기 우측 덮개부에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부에 적층되는 박스 본체의 좌우방향 흔들림을 억제하는 서브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덮개부와 상기 우측 덮개부가 서로 마주보는 단부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단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받침홈부가 길이방향으로 교차 형성되되, 일측 덮개부의 돌출단부가 타측 덮개부의 받침홈부의 상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좌측 덮개부와 상기 우측 덮개부는 돌출단부들이 상호 맞물려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좌측 덮개부와 상기 우측 덮개부는 상기 커버 잠금부에 의해 상기 박스 본체에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되고,
    상기 좌측 덮개부와 상기 우측 덮개부는 각각, 중심축을 향해 2단 이상 하향 단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부의 저면에는 십자가 형태의 격자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홈부 상에는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는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 사이에 상기 격자리브가 안착되어, 상기 좌측 덮개부와 상기 우측 덮개부가 결합될 수 있는, 수납박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덮개부와 상기 우측 덮개부는 각각의 내면에 돌출단부들의 돌출방향을 따라 요철 형성되는 덮개 보강리브들과, 상기 덮개 보강리브들의 요철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고,
    복수개의 수납박스들을 상기 본체 커버부가 개방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다단 적층하는 경우, 상부에 위치하는 수납박스의 좌측 덮개부와 우측 덮개부 각각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단부와 받침홈부는, 하부에 위치하는 수납박스의 좌측 덮개부와 우측 덮개부 각각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수납박스의 일측 덮개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수납박스의 일측 덮개부가 동일 선상에 정렬될 수 있는, 수납박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덮개부 및 상기 우측 덮개부는,
    일단이 상기 제2 측면부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레이어부;
    상기 제1 레이어부의 타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 레이어부에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 레이어부; 및
    상기 제2 레이어부에서 상기 박스 본체의 상단 중앙을 향하도록 연장되되, 상기 제2 레이어부에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3 레이어부를 포함하는, 수납박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의 상단에는 상기 좌측 덮개부를 지지하기 위한 좌측 지지부와 상기 우측 덮개부를 지지하기 위한 우측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 지지부는,
    상기 좌측 덮개부가 힌지 결합되는 상기 제2 측면부에 근접된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지지단;
    상기 제1 지지단의 우측방향에서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 지지단; 및
    상기 제2 지지단에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3 지지단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 지지부는,
    상기 우측 덮개부가 힌지 결합되는 상기 제2 측면부에 근접되게 위치하는 제4 지지단;
    상기 제4 지지단의 좌측방향에서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5 지지단; 및
    상기 제5 지지단에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3 지지단과 연결되는 제6 지지단을 포함하는, 수납박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잠금부는,
    상기 좌측 덮개부와 상기 우측 덮개부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딩 본체; 및
    상기 슬라이딩 본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부 상단 내면에 삽입되는 잠금편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덮개부와 상기 우측 덮개부는 상기 커버 잠금부에 의해 상기 제1 측면부에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되는, 수납박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 상단에는 씰 부재가 관통 삽입되는 씰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 덮개부 및 상기 우측 덮개부 각각에는 상기 씰 관통구와 연통되는 씰 연통구가 형성되는, 수납박스.
KR1020220081704A 2022-07-04 2022-07-04 수납박스 Active KR102705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704A KR102705310B1 (ko) 2022-07-04 2022-07-04 수납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704A KR102705310B1 (ko) 2022-07-04 2022-07-04 수납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254A KR20240005254A (ko) 2024-01-12
KR102705310B1 true KR102705310B1 (ko) 2024-09-13

Family

ID=89541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704A Active KR102705310B1 (ko) 2022-07-04 2022-07-04 수납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53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3881A (ja) * 2007-03-03 2008-09-18 Sanko Co Ltd 蓋付きコンテナ
KR101325664B1 (ko) * 2012-06-12 2013-11-06 엔피씨(주) 측면 개방형 수납박스
KR101981574B1 (ko) * 2017-12-22 2019-08-30 엔피씨(주) 적재 시 커버간에 간섭이 없는 상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23Y1 (ko) * 2008-11-28 2011-02-14 주식회사골드라인 접이형 상자
KR101698127B1 (ko) * 2012-02-09 2017-01-19 엔피씨(주) 절첩식 상자의 커버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3881A (ja) * 2007-03-03 2008-09-18 Sanko Co Ltd 蓋付きコンテナ
KR101325664B1 (ko) * 2012-06-12 2013-11-06 엔피씨(주) 측면 개방형 수납박스
KR101981574B1 (ko) * 2017-12-22 2019-08-30 엔피씨(주) 적재 시 커버간에 간섭이 없는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254A (ko) 2024-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9518B2 (en) Stackable system container and transport system
US9540138B2 (en) Collapsible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
KR102705310B1 (ko) 수납박스
US11787594B2 (en) Food receptacle
JP6258153B2 (ja) 折畳み容器
US11459141B1 (en) Ammunition container including stacking foot and recess arrangement
JP4178174B1 (ja) ダンボール箱
JP5727889B2 (ja) 蓋部材
CN106697489A (zh) 折叠式保冷箱
JP6333641B2 (ja) コンテナ段積み係合構造
US20040173629A1 (en) Reusable hinged-lid shipping/storage box
JP6258152B2 (ja) 折畳み容器
JP6266470B2 (ja) 折畳み容器
JP7660880B2 (ja) Snコンテナ及びコンテナセット
KR200444006Y1 (ko) 접이식 컨테이너 팔레트 시스템
KR200455187Y1 (ko) 이탈방지형 내부케이스를 갖는 포장 박스조립체
JP4309959B1 (ja) 収納ケース
JP5797520B2 (ja) 蓋付き容器
US20240043166A1 (en) Food Receptacle
JP7636779B2 (ja) 扉付き運搬用容器
KR100581650B1 (ko) 컨테이너용 포장 운반상자
JP4394365B2 (ja) 運搬用容器
KR20120104053A (ko) 슬라이드 적층형 수납용기
JP7134482B2 (ja) 折畳み容器
KR101989590B1 (ko) 접이식 컨테이너용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