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05006B1 - Device for diagnosis - Google Patents

Device for diagnos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5006B1
KR102705006B1 KR1020210004274A KR20210004274A KR102705006B1 KR 102705006 B1 KR102705006 B1 KR 102705006B1 KR 1020210004274 A KR1020210004274 A KR 1020210004274A KR 20210004274 A KR20210004274 A KR 20210004274A KR 102705006 B1 KR102705006 B1 KR 102705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hin film
diagnostic device
area
film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2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02062A (en
Inventor
조영준
오재훈
김세련
박창주
Original Assignee
인비트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비트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비트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4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5006B1/en
Publication of KR20220102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0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5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500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0Integrating sample preparation and analysis in single entity, e.g. lab-on-a-chip concep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4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pierceable, e.g. films, membra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박막부; 상기 박막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커버에 결합되는 제2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박막부의 상부에서 상기 박막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천공 영역; 을 포함하는 진단 장치가 개시된다.A diagnostic device is disclosed, comprising: a body part having a hollow space formed inside and an open upper portion; a thin film par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art; a first cov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hin film part; and a second cov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ver and coupled to the first cover; wherein the first cover includes a perforated area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hin film part to face the thin film part.

Description

진단 장치{DEVICE FOR DIAGNOSIS}DEVICE FOR DIAGNOSIS

본 발명은 진단 용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추출된 DNA 등의 샘플을 증폭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진단 용기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agnostic contain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diagnostic container that can be used to amplify a sample such as extracted DNA.

i) 검체에서 DNA 등의 샘플을 추출한 후, ii) 추출된 샘플을 별도의 튜브에 옮기고, iii) 샘플의 증폭을 위한 시약을 추가하여 샘플의 증폭을 수행하는 RT-PCR(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공정의 경우, 종래 기술에 다르면, 샘플의 추출이 이루어지는 용기와 샘플의 증폭이 이루어지는 용기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In the case of the RT-PCR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process, which i) extracts a sample such as DNA from a specimen, ii) transfers the extracted sample to a separate tube, and iii) performs sample amplification by adding a reagent for sample amplific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container in which the sample is extracted and a container in which the sample is amplified must be prepared separately.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RT-PCR 공정에서 많은 수의 용기가 필요하게 되므로 비용 및 공간 활용의 측면에서 불리하고, 샘플을 옮기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작업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샘플의 오염 가능성까지 있다는 점에서 여러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However, according to such conventional technology, a large number of containers are required in the RT-PCR process, which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nd space utilization, and additional work is required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sample, and there is also a possibility of sample contamination, which contains various problems.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용기 내에서 샘플의 추출 및 증폭 과정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is to provide a diagnostic devi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sample extraction and amplification processes within a single contain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박막부; 상기 박막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커버에 결합되는 제2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박막부의 상부에서 상기 박막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천공 영역; 을 포함하는 진단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diagnostic device is provided, including: a body part having a hollow space formed inside and an open upper portion; a thin film par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art; a first cov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hin film part; and a second cov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ver and coupled to the first cover; wherein the first cover includes a perforated area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hin film part to face the thin film part.

상기 천공 영역에서 상기 박막부와 마주보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는 뾰족한 형상이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facing the thin film portion in the above-mentioned perforated area may be provided with a pointed shape.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천공 영역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커버의 하면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가압 영역; 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ver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ized region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ed region and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외력에 대한 상기 제1 커버의 변형률(strain rate)는 상기 외력에 대한 상기 제2 커버의 변형률보다 클 수 있다.The strain rate of the first cover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force may be greater than the strain rate of the second cover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force.

상기 천공 영역은,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구간; 을 포함하고, 상기 뾰족한 형상은 상기 경사 구간의 경계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perforated region includes an inclined section extending upwardly; and the pointed shape can be formed in a boundary area of the inclined section.

상기 가압 영역은, 상기 가압 영역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둘레 구간; 상기 둘레 구간으로부터 상기 가압 영역의 중심 방향 내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중앙 구간; 및 상기 둘레 구간과 상기 중앙 구간 사이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는 만입 구간; 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urized region may include a peripheral section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pressurized region and protruding upward; a central section provided spaced inwardly from the peripheral s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pressurized region and protruding upward; and a recessed section provided between the peripheral section and the central section and recessed downward.

상기 박막부와 상기 제1 커버 사이에 구비되는 시약; 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agent provided between the above thin film portion and the first cover may further be included.

상기 가압 영역과 상기 천공 영역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pressurized region and the above perforated region can be formed integral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부 내에 삽입되는 캡(cap)부; 상기 관통홀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관통홀을 덮도록 구비되는 박막부; 및 상기 박막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박막부의 상부에서 상기 박막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천공 영역; 을 포함하는 진단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diagnostic device is provided, including: a body part having a hollow space formed inside and an open upper portion; a cap par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art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body part; a thin film par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and provided to cover the through hole; and a cov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hin film part; wherein the cover includes a perforated area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hin film part to face the thin film part.

상기 박막부의 크기는 상기 관통홀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The size of the above thin film portion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상기 커버는, 상기 천공 영역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압 영역;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천공 영역과 상기 가압 영역은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cover further includes a pressurized region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ed region; and the perforated region and the pressurized region can be formed separately.

상기 커버는 상기 관통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캡부의 만입 공간 내에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 cover can be provided within the recessed space of the cap por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상기 가압 영역의 최상면은 상기 캡부의 최상면보다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most surface of the above pressurized area may be provided lower than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cap portion.

상기 천공 영역에서 상기 박막부와 마주보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는 뾰족한 형상이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facing the thin film portion in the above-mentioned perforated area may be provided with a pointed shape.

상기 천공 영역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 구간; 및 상기 평면 구간과 연결되고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구간; 을 포함하고, 상기 뾰족한 형상은 상기 평면 구간과 상기 경사 구간의 경계에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perforated region includes a flat sec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 inclined section connected to the flat section and extending upwardly in an inclined manner; and the pointed shape can be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flat section and the inclined s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용기 내에서 샘플의 추출 및 증폭 과정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진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agnostic devi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extraction and amplification processes of a sample within a single container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장치에서 커버에 의해 박막부가 파단되기 전의 구조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진단 장치에서 커버에 의해 박막부가 파단된 후의 구조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before the thin film portion is broken by the cover in a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after the thin film portion is broken by the cover in another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장치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진단 장치Diagnostic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장치(10)는 진단 장치(10)의 하부 영역에 구비되는 몸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부 영역 중 일부는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00) 내부의 빈 공간은 상부 영역에 의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은 샘플 및 시약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a diagnostic device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part (100) provided in a lower region of the diagnostic device (10).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body part (100), and a portion of an upper region may be open. Accordingly, the empty space inside the body part (100) may be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by the upper region. The empty space formed inside the body part (100) may be a space for accommodating a sample and a reagent.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장치(10)는 몸체부(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얇은 두께를 갖는 박막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박막부(200)는 몸체부(100)에서 상부 영역 중 개방된 영역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박막부(20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포일일 수 있으나, 재질은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diagnostic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hin film portion (20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0) and having a thin thickness. More specifically, the thin film portion (200) may be provided to cover an open area among the upper areas of the body portion (100). The thin film portion (200) may be, for example, aluminum foil, but the material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장치(10)는 박막부(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커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300)는 박막부(200)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300)는 몸체부(100)의 상부 영역에 고정 결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300)의 외측 둘레면에는 나선 형상의 제1 홈이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100)의 상부 영역의 내측 둘레면에는 제1 커버(300)에 형성된 상기 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나선 형상의 제2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제1 커버(300)는 하방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 힘이 가해지는 영역이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박막부(200)를 파단할 수 있다.The diagnostic device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ver (30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hin film portion (200). The first cover (300)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thin film portion (200). For example, the first cover (300) may be provided to be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body portion (100). For example, a first groove in a spiral shape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ver (300), and a second groove in a spiral shap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formed on the first cover (300)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region of the body portion (100). As described below, when a force is applied downward to the first cover (300), the region to which the force is applied moves downward, thereby breaking the thin film portion (200).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장치(10)는 제1 커버(300)의 상부에 구비되고, 제1 커버(300)에 결합되는 제2 커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버(400)는 제1 커버(3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커버(300)의 상부에 제2 커버(4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제1 커버(300)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박막부(200)가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력에 대한 제1 커버(300)의 변형률(strain rate)는 상기 외력에 대한 제2 커버(400)의 변형률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제1 커버(300)보다 제2 커버(400)가 더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지하게, 제2 커버(400)는 사람이 손가락 힘으로 변형을 줄 수 없을 정도의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고, 제1 커버(300)는 사람이 손가락 힘으로 쉽게 변형을 줄 수 있을 정도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Continuing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the diagnostic device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ver (40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ver (300) and coupled to the first cover (300). The second cover (400) may be configured to protect the first cover (300) from the outside. Therefo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cover (40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ver (300), the first cover (300) cannot be pressed downwar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thin film portion (2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against the user's will. To this e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in rate of the first cover (300) with respect to an external force may be greater than the strain rate of the second cover (400)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force. This may mean that the second cover (400) is made of a harder material than the first cover (300). More preferably, the second cover (400) may be made of a hard material that cannot be deformed by a person's finger force, and the first cover (30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easily deformed by a person's finger forc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커버(300)는 박막부(200)의 상부에서 박막부(200)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천공 영역(310)을 포함할 수 있다. 천공 영역(310)은 제1 커버(300)에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하방으로 이동하여 박막부(200)와 접촉하여 박막부(200)를 파단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ver (300) may include a perforation area (310) provided to face the thin film portion (200) at an upper portion of the thin film portion (200). The perforation area (310) may be configured to move downward when a downward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cover (300)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thin film portion (200) to break the thin film portion (200).

박막부(200)를 효과적으로 파단하기 위해 천공 영역(310)에서 박막부(200)와 마주보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는 뾰족한 형상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 영역(310)은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구간(314)을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뾰족한 형상은 경사 구간(314)의 경계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뾰족한 형상이 경사 구간(314)의 좌측 하부 경계 영역에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1 커버(300)를 가압함으로써 천공 영역(310)이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천공 영역(310)의 뾰족한 영역이 박막부(200)를 파단할 수 있다.In order to effectively rupture the thin film portion (200),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facing the thin film portion (200) in the perforation area (310) may be provided with a sharp shape.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3, the perforation area (310) may include an inclined section (314)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and the aforementioned sharp shape may be formed in a boundary area of the inclined section (314). FIG. 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sharp shape is formed in a lower left boundary area of the inclined section (3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presses the first cover (300), the perforation area (310) may move downward, and accordingly, the sharp area of the perforation area (310) may rupture the thin film portion (200).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제1 커버(300)는 천공 영역(3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제2 커버(400)의 하면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가압 영역(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 영역(320)은 제1 커버(300)에서 외력이 직접 작용하는 영역으로서, 가압 영역(320)에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가압 영역(320)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천공 영역(310)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Continuing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the first cover (300)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izing region (32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ion region (310) and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400). The pressurizing region (320) is a region where an external force is directly applied to the first cover (300),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ressurizing region (320), the pressurizing region (320) may move downward and pressurize the perforation region (310) downward.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영역(320)은 가압 영역(3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둘레 구간(322), 둘레 구간(322)으로부터 가압 영역(320)의 중심 방향 내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중앙 구간(324) 및 둘레 구간(322)과 중앙 구간(324) 사이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는 만입 구간(32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천공 영역(310)은 중앙 구간(324)의 하면에 밀착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압 영역(320)의 중앙 구간(324)을 가압함으로써 천공 영역(310)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천공 영역(310)과 가압 영역(32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그에 제한되지 않고 천공 영역(310)과 가압 영역(320)의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the pressurized region (320) may include a peripheral section (322)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pressurized region (320) and protruding upward, a central section (324) provided spaced inwardly toward the center of the pressurized region (320) from the peripheral section (322) and protruding upward, and a recessed section (326) provided between the peripheral section (322) and the central section (324) and recessed downward. At this time, the perforated region (310) may be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section (324). Accordingly, a user can move the perforated region (310) downward by pressing the central section (324) of the pressurized region (320). 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forated region (310) and the pressurized region (320) may be formed integrally.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separate configurations of a perforation region (310) and a pressurized region (32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커버(300) 및 제2 커버(400)에는 각각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돌출 영역(330)과 제2 돌출 영역(41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진단 장치(10)의 사용 상태에 따라 제1 돌출 영역(330)과 제2 돌출 영역(410)을 통해 제1 커버(300)와 제2 커버(400)를 각각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장치(10)의 각 구성들이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 제1 돌출 영역(330)이 돌출되는 방향과 제2 돌출 영역(410)이 돌출되는 방향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돌출 영역(330)과 제2 돌출 영역(410)의 돌출 방향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ver (300) and the second cover (40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protruding region (330) and a second protruding region (410) that protru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Therefo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first cover (300) and the second cover (400) through the first protruding region (330) and the second protruding region (410) depending on the usage state of the diagnostic device (10). For example, when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diagnostic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letely assembl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protruding region (330) protrudes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protruding region (410) protrudes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as illustrated in FIGS. 1 to 3.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otruding directions of the first protruding region (330) and the second protruding region (41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장치(10)는 박막부(200)와 제1 커버(300) 사이에 구비되는 시약(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약(500)은 캡슐 형태의 덩어리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박막부(200)와 제1 커버(300) 사이의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시약(500)은 예를 들어, DNA와 같은 샘플을 증폭하기 위한 시약일 수 있다.Continuing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 diagnostic device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agent (500) provided between a thin film portion (200) and a first cover (300). The reagent (500) may have a capsule-shaped lump shape and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space between the thin film portion (200) and the first cover (300). The reagent (500) may be, for example, a reagent for amplifying a sample such as DNA.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장치에서 커버에 의해 박막부가 파단되기 전의 구조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진단 장치에서 커버에 의해 박막부가 파단된 후의 구조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 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a thin film portion is broken by a cover, and FIG. 7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 thin film portion is broken by a cover.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장치(10)는 진단 장치(10)의 하부 영역에 구비되는 몸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부 영역 중 일부는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00) 내부의 빈 공간은 상부 영역에 의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은 샘플 및 시약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일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to 7, a diagnostic device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part (100) provided in a lower region of the diagnostic device (10).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body part (100), and a portion of an upper region may be open. Accordingly, the empty space inside the body part (100) may be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by the upper region. The empty space formed inside the body part (100) may be a space for accommodating a sample and a reagent.

또한, 진단 장치(10)는 몸체부(10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을 갖는 관통홀(610)이 형성되는 캡(cap)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캡부(600)의 적어도 일부는 몸체부(100) 내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agnostic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cap portion (60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0) and having a through hole (610) formed therein having a shape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ap portion (600) may be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100).

또한, 진단 장치(10)는 관통홀(6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얇은 두께를 갖는 박막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박막부(200)는 몸체부(100)에서 상부 영역 중 개방된 영역, 그리고, 관통홀(610)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박막부(20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포일일 수 있으나, 재질은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박막부(200)가 관통홀(6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박막부(200)의 크기는 관통홀(61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In addition, the diagnostic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thin film portion (20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610) and having a thin thickness. More specifically, the thin film portion (200) may be provided to cover an open area among the upper areas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through hole (610). The thin film portion (200) may be, for example, aluminum foil, but the material is not limited thereto. Meanwhile, the size of the thin film portion (200)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610) so that the thin film portion (200) can be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610).

계속해서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장치(10)는 박막부(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커버(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700)는 박막부(200)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Continuing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a diagnostic device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ver (70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hin film portion (200). The cover (700)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thin film portion (200).

한편, 캡부(600)에는 하방으로 만입된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캡부(600)에는 만입 공간(6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박막부(200)를 사이에 두고 만입 공간(620)은 관통홀(6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downwardly indented region may be formed in the cap portion (600), and thus a recessed space (620) may be formed in the cap portion (600). At this time, the recessed space (620) may be formed above the through hole (610) with the thin film portion (200) interposed therebetwe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장치(10)의 커버(700) 역시 박막부(200)의 상부에서 박막부(200)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천공 영역(710)을 포함할 수 있다. 천공 영역(710)은 커버(700)에 하방으로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하방으로 이동하여 박막부(200)와 접촉하여 박막부(200)를 파단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Similar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700) of the diagnostic device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include a perforated area (710) provided to face the thin film portion (200)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thin film portion (200). The perforated area (710) may be configured to move downward when a downward force is applied to the cover (700)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thin film portion (200) to rupture the thin film portion (200).

박막부(200)를 효과적으로 파단하기 위해 천공 영역(710)에서 박막부(200)와 마주보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는 뾰족한 형상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 영역(71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 구간(712) 및 평면 구간(712)과 연결되고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구간(7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뾰족한 형상은 평면 구간(712)과 경사 구간(714)의 경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는 뾰족한 형상이 천공 영역(710)의 중앙 또는 중앙에 인접하게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In order to effectively rupture the thin film portion (200),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facing the thin film portion (200) in the perforation area (710) may be provided with a pointed shape.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5 to 7, the perforation area (710) may include a flat section (712)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 inclined section (714) connected to the flat section (712) and extending upwardly in an inclined manner. At this time, the aforementioned pointed shape may be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lat section (712) and the inclined section (714). FIGS. 5 to 7 illustrate a case where the pointed shape is formed at the center or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perforation area (710).

계속해서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커버(700)는 천공 영역(7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압 영역(7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 영역(720)은 커버(700)에서 외력이 직접 작용하는 영역으로서, 가압 영역(720)에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가압 영역(720)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천공 영역(710)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Continuing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the cover (700)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ized area (720) provided above the perforated area (710). The pressurized area (720) is an area on which an external force is directly applied to the cover (700),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ressurized area (720), the pressurized area (720) may move downward and pressurize the perforated area (710) downwar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천공 영역(710)과 가압 영역(720)은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천공 영역(710)의 상면과 가압 영역(720)의 하면은 서로 밀착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 영역(720)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천공 영역(710)에 그 외력이 즉시 전달될 수 있어, 박막부(200)의 파단이 신속하게 일어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foration region (710) and the pressurization region (720) may be formed separately. More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perforation region (7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urization region (720) may be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ressurization region (720), the external force can be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perforation region (710), so that the fracture of the thin film portion (200) can occur quickly.

한편,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00)는 캡부(600)의 만입 공간(62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박막부(200)가 파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700)의 전 영역이 캡부(600)의 만입 공간(62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가압 영역(720)이 최상면은 캡부(600)의 최상면보다 하부에 구비됨으로써, 커버(700)의 전 영역이 캡부(600)의 만입 공간(620) 내에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4 to 7, the cover (700) may be provided within the recessed space (620) of the cap portion (600). More preferably, the entire area of the cover (700) may be provided within the recessed space (620) of the cap portion (600) to prevent the thin film portion (200) from being broken against the user's will. More specifically,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pressurized region (720) may be provided below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cap portion (600), so that the entire area of the cover (700) may be provided within the recessed space (620) of the cap portion (600).

계속해서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장치(10)는 박막부(200)와 커버(700) 사이에 구비되는 시약(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약(500)은 캡슐 형태의 덩어리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박막부(200)와 커버(700) 사이의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시약(500)은 예를 들어, DNA와 같은 샘플을 증폭하기 위한 시약일 수 있다.Continuing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a diagnostic device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agent (500) provided between a thin film portion (200) and a cover (700). The reagent (500) may have a capsule-shaped lump shape and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space between the thin film portion (200) and the cover (700). The reagent (500) may be, for example, a reagent for amplifying a sample such as DNA.

이하, 전술한 내용 및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장치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a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진단 장치는 DNA 등의 샘플을 추출한 후 샘플을 증폭시키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The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device for extracting a sample, such as DNA, and then amplifying the sample.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장치(10)에 구비되는 제2 커버(400)가 몸체부(100)로부터 이격되고, 제1 커버(300), 박막부(200) 및 제1 커버(300)와 박막부(200) 사이에 구비되는 시약(500)이 몸체부(100)로부터 이격된다.Referring to FIGS. 1 to 3, a second cover (400) provided in a diagnostic device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from the body part (100), and a first cover (300), a thin film part (200), and a reagent (500)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ver (300) and the thin film part (200) are spaced from the body part (100).

이후에, 몸체부(100)의 내부 빈 공간에 DNA 등의 샘플을 포함하는 검체를 주입하고, 제1 커버(300), 박막부(200) 및 시약(500)을 다시 몸체부(100)의 상부에 배치한 후, 검체로부터 샘플을 추출한다.Afterwards, a specimen containing a sample such as DNA is injected into the internal empty space of the body part (100), and the first cover (300), the thin film part (200), and the reagent (500) are placed again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00), and then a sample is extracted from the specimen.

그 다음 제1 커버(30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천공 영역(310)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박막부(200)를 파단한다. 박막부(200)의 파단에 의해 시약(500)이 몸체부(100)의 내부 빈 공간에 유입되고, 시약(500)에 의해 샘플의 증폭을 수행한다.Next, the first cover (300) is pressed downward to move the perforation region (310) downward to rupture the thin film portion (200). By rupturing the thin film portion (200), the reagent (500) flows into the internal empty space of the body portion (100), and amplification of the sample is performed by the reagent (500).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장치(10)에 구비되는 커버(700), 박막부(200) 및 시약(500)이 몸체부(100)로부터 이격된다.Referring to FIGS. 4 to 7, a cover (700), a thin film portion (200), and a reagent (500) provided in a diagnostic device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100).

이후에, 몸체부(100) 내부 빈 공간에 DNA 등의 샘플을 포함하는 검체를 주입하고, 커버(700), 박막부(200) 및 시약(500)을 다시 몸체부(100)의 상부에 배치한 후, 검체로부터 샘플을 추출한다.Afterwards, a specimen containing a sample such as DNA is injected into the empty space inside the body part (100), and the cover (700), thin film part (200), and reagent (500) are placed again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00), and then a sample is extracted from the specimen.

그 다음 커버(70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천공 영역(710)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박막부(200)를 파단한다. 박막부(200)의 파단에 의해 시약(500)이 몸체부(100)의 내부 빈 공간에 유입되고, 시약(500)에 의해 샘플의 증폭을 수행한다.Next, the cover (700) is pressed downward to move the perforation region (710) downward to rupture the thin film portion (200). By rupturing the thin film portion (200), the reagent (500) flows into the internal empty space of the body portion (100), and amplification of the sample is performed by the reagent (50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과 달리 하나의 공간 내에서 샘플의 추출 및 샘플의 증폭 과정을 함께 수행할 수 있어, 진단에 필요한 공간, 장비, 시간 등이 현저하게 감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the process of extracting a sample and amplifying the sample can be performed together in one space, so that the space, equipment, time, etc. required for diagnosi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y means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10 : 진단 장치
100 : 몸체부
200 : 박막부
300 : 제1 커버
310 : 천공 영역
314, 714 : 경사 구간
320 : 가압 영역
322 : 둘레 구간
324 : 중앙 구간
326 : 만입 구간
330 : 제1 돌출 영역
400 : 제2 커버
410 : 제2 돌출 영역
500 : 시약
600 : 캡부
610 : 관통홀
620 : 만입 공간
700 : 커버
710 : 천공 영역
712 : 평면 구간
720 : 가압 영역
10 : Diagnostic Device
100 : Body
200 : Thin film section
300 : 1st cover
310 : Sky Area
314, 714: Slope section
320 : Pressurized area
322 : Perimeter section
324 : Central section
326 : Indentation section
330: First protrusion area
400 : 2nd cover
410: Second protrusion area
500 : Reagent
600 : Capbu
610 : Through hole
620 : Indented space
700 : Cover
710 : Sky Area
712 : Flat section
720 : Pressurized area

Claims (15)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박막부;
상기 박막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커버에 결합되는 제2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박막부의 상부에서 상기 박막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천공 영역; 및
상기 천공 영역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커버의 하면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가압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 영역은,
상기 가압 영역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둘레 구간;
상기 둘레 구간으로부터 상기 가압 영역의 중심 방향 내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중앙 구간; 및
상기 둘레 구간과 상기 중앙 구간 사이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만입되어 있는 만입 구간; 을 포함하는 진단 장치.
A body part having a hollow space formed inside and an open top;
A thin film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above body portion;
A first cover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above thin film portion; and
A second cover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over and coupled to the first cover;
The above first cover,
A perforated region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thin film portion so as to face the thin film portion; and
A pressurized area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perforated area and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The above pressurized area is,
A peripheral section form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above pressurized area and protruding upward;
A central section provided inwardly and spaced apart from the circumferential s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pressurized area and protruding upward; and
A diagnostic device comprising: an indented section provided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ection and the central section and recessed downward;
청구항 1에서,
상기 천공 영역에서 상기 박막부와 마주보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는 뾰족한 형상이 구비되는 진단 장치.
In claim 1,
A diagnostic devic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an area facing the thin film portion in the perforated area is provided with a pointed shape.
삭제delete 청구항 1에서,
외력에 대한 상기 제1 커버의 변형률(strain rate)는 상기 외력에 대한 상기 제2 커버의 변형률보다 큰 진단 장치.
In claim 1,
A diagnostic device wherein the strain rate of the first cover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force is greater than the strain rate of the second cover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force.
청구항 2에서,
상기 천공 영역은,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구간; 을 포함하고,
상기 뾰족한 형상은 상기 경사 구간의 경계 영역에 형성되는 진단 장치.
In claim 2,
The above perforated area is,
Including a sloped section extending upwardly;
The above pointed shape is a diagnostic device formed in the boundary area of the above inclined sect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서,
상기 박막부와 상기 제1 커버 사이에 구비되는 시약; 을 더 포함하는 진단 장치.
In claim 1,
A diagnostic device further comprising a reagent provided between the thin film portion and the first cover.
청구항 1에서,
상기 가압 영역과 상기 천공 영역은 일체로 형성되는 진단 장치.
In claim 1,
A diagnostic device in which the above pressurized area and the above perforated area are formed integrally.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부 내에 삽입되는 캡(cap)부;
상기 관통홀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관통홀을 덮도록 구비되는 박막부; 및
상기 박막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박막부의 상부에서 상기 박막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천공 영역; 및
상기 천공 영역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압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관통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캡부의 만입 공간 내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 영역의 최상면은 상기 캡부의 최상면보다 하부에 구비되는 진단 장치.
A body part having a hollow space formed inside and an open top;
A cap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A thin film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bove through hole and provided to cover the above through hole; and
A cover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above thin film portion; Including;
The above cover,
A perforated region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thin film portion so as to face the thin film portion; and
A pressurized area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ed area;
The above cover is provided within the recessed space of the cap por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bove through hole,
A diagnostic device in which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above pressurized area is provided lower than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cap portion.
청구항 9에서,
상기 박막부의 크기는 상기 관통홀의 크기보다 큰 진단 장치.
In claim 9,
A diagnostic device in which the size of the above-mentioned thin film portion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above-mentioned through hole.
청구항 9에서,
상기 천공 영역과 상기 가압 영역은 별개로 형성되는 진단 장치.
In claim 9,
A diagnostic device in which the perforation region and the pressurized region are formed separate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9에서,
상기 천공 영역에서 상기 박막부와 마주보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는 뾰족한 형상이 구비되는 진단 장치.
In claim 9,
A diagnostic devic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an area facing the thin film portion in the perforated area is provided with a pointed shape.
청구항 14에서,
상기 천공 영역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 구간; 및
상기 평면 구간과 연결되고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구간; 을 포함하고,
상기 뾰족한 형상은 상기 평면 구간과 상기 경사 구간의 경계에 형성되는 진단 장치.
In claim 14,
The above perforated area is,
a plane sec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ncluding an inclined section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flat section and extending upwardly in an inclined manner;
The above pointed shape is a diagnostic device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above flat section and the above inclined section.
KR1020210004274A 2021-01-12 2021-01-12 Device for diagnosis Active KR1027050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274A KR102705006B1 (en) 2021-01-12 2021-01-12 Device for diagno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274A KR102705006B1 (en) 2021-01-12 2021-01-12 Device for diagnos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062A KR20220102062A (en) 2022-07-19
KR102705006B1 true KR102705006B1 (en) 2024-09-10

Family

ID=8260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274A Active KR102705006B1 (en) 2021-01-12 2021-01-12 Device for diagnos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5006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98938A1 (en) * 2005-01-26 2006-08-03 Enigma Diagnostics Ltd Method for carrying out a multi-step reaction, breakable container for storing reagent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solid reagent using an electrostatically charged wand
CN111164410B (en) * 2017-07-27 2024-03-29 生物梅里埃有限公司 Separator tube
KR20200081996A (en) * 2018-12-28 2020-07-08 (주)케이제이테크놀로지 A separable and acceptable container c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062A (en)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37948B1 (en) Method for supplying a liquid to a fluidic assembly
JP6403349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deformable fluid container
KR101632886B1 (en) Microfluidic chip with sealed on-board reagent
WO2012147545A1 (en) Elastic sealing body for prefilled syringe
US20060183216A1 (en) Containers for liquid storage and delivery with application to microfluidic devices
EP1850959A2 (en) Containers for liquid storage and delivery with application to microfluidic devices
KR102705006B1 (en) Device for diagnosis
EP2074044B1 (en) Container
EP1060024B1 (en) Closure plug array with blind bores
CN104023524A (en) System for labeling and taking samples of non-human biological objects
EP2703308A1 (en) Test reagent container
EA034295B1 (en) Blister strip
CN208234890U (en) A kind of nuclease assay reaction pipe combined suitable for isothermal duplication with test strips
JP2005521845A (en) Compressed gas cylinder
US20020093147A1 (en) Well plate seal
CN117987252A (en) Real-time nucleic acid detection device and method
EP4000730B1 (en) Sample collection device
JP4195482B2 (en) Degassing tool for aerosol container and cap with degassing tool
JP2001019067A (en) Aerosol container with cap
KR100677922B1 (en) Container
JPH1017040A (en) Container cover for fixing to aerosol container
JP3609786B2 (en) cap
KR101796267B1 (en) Can opener
JPH0335392Y2 (en)
JP5105324B2 (en) Degassing mechanism of aerosol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2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01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