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04763B1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4763B1
KR102704763B1 KR1020220100041A KR20220100041A KR102704763B1 KR 102704763 B1 KR102704763 B1 KR 102704763B1 KR 1020220100041 A KR1020220100041 A KR 1020220100041A KR 20220100041 A KR20220100041 A KR 20220100041A KR 102704763 B1 KR102704763 B1 KR 102704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base
boss
lens driving
bobb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0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15909A (en
Inventor
박상옥
민상준
유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0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4763B1/en
Publication of KR20220115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9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4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476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ns Barrel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제 1 코일이 배치되는 회로기판; 외주면에 제 2 코일이 권선되고, 광축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빈;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과 서로 다른 면에서 마주보도록 마그네트가 배치되는 홀더부재; 일단은 상기 보빈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홀더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보빈을 광축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 상기 상부 탄성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홀더부재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베이스에 상기 회로기판의 설치위치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이드 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 및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가이드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mprises: a base; a circuit board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base and having a first coil arranged on an upper surface; a bobbin having a second coil woun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rise and fall with respect to an optical axis; a holder member having magnets arranged on different surfaces to face the first and second coils;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obbi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holder memb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bobbin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to support movement of the holder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at least one first guide unit guiding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ircuit board on the base; wherein the first guide unit may include a guide protrusion formed protruding from the base; and a through hole formed penetrat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trusion of the circuit board.

Description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본 실시예는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lens driving device and a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빛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필터 및 상기 이미지 센서에 화상을 전달하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들로 구성되는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학계에는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렌즈 구동장치가 설치될 수도 있다.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an optical system comprising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n image sensor and an image sensor for transmitting electrical signals are mounted, an infrared blocking filter for blocking infrared light to the image sensor, and at least one lens for transmitting an image to the image sensor. At this time, a lens driving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n auto-focusing function and a shake correction function may be installed in the optical system.

렌즈 구동장치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보이스 코일유닛 모터를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보이스 코일유닛 모터는 하우징에 고정된 마그네트와 렌즈배럴이 결합된 보빈의 외주면에 권선된 코일유닛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동작하여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이스 코일 모터 방식의 액츄에이터 모듈은 상하 이동하는 보빈이 하부 및 상부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되면서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The lens driving device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but a voice coil unit motor is commonly used. The voice coil unit motor can perform an auto-focusing function by operating through the electromagnetic interaction of a coil unit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a bobbin to which a magnet fixed to a housing and a lens barrel are combined. An actuator module of this voice coil motor type can reciprocat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while the bobbin that moves up and down is elastically supported by lower and upper elastic members.

또한, 손떨림 보정을 위하여, 코일유닛을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마그네트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손떨림 보정을 위한 움직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for shake correction, a coil unit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to form a movement for shake correction through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magnet.

그런데, 충격 등이 있을 경우, 코일유닛과 마그네트 사이의 거리의 변화가 생겨 제품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However, in case of impact, etc., the distance between the coil unit and the magnet may change, which may reduce product reliability.

(특허문헌 1) US 2013-0050828 A1 (Patent Document 1) US 2013-0050828 A1

본 실시예는 외부 충격에도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조립성을 개선하여 항상 일정한 위치에 코일유닛이 설치된 회로기판이 베이스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렌즈 구동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lens driv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a circuit board with a coil unit installed in a constant position can always be installed on a base, while maintaining reliability even in the event of external impact, and improving assembling properties.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제 1 코일이 배치되는 회로기판; 외주면에 제 2 코일이 권선되고, 광축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빈;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과 서로 다른 면에서 마주보도록 마그네트가 배치되는 홀더부재; 일단은 상기 보빈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홀더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보빈을 광축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 상기 상부 탄성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홀더부재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베이스에 상기 회로기판의 설치위치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이드 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 및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가이드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mprises: a base; a circuit board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base and having a first coil arranged on an upper surface; a bobbin having a second coil woun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rise and fall with respect to an optical axis; a holder member having magnets arranged on different surfaces to face the first and second coils;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obbi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holder memb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bobbin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to support movement of the holder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at least one first guide unit guiding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ircuit board on the base; wherein the first guide unit may include a guide protrusion formed protruding from the base; and a through hole formed penetrat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trusion of the circuit board.

상기 제 1 가이드 유닛은 복수 개가 상기 베이스 및 회로기판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이 될 수 있다.The above first guide unit may b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ase and the circuit board.

상기 제 1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제 1 코일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above first guide unit can be position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irst coil.

상기 베이스와 회로기판의 둘레면의 위치를 가이드 하는 제 2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가이드 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에 근접한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보스; 및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 1 보스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1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guide unit that guides the position of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and the circuit board, wherein the second guide unit may include: a first boss that is protrudingly form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and a first groove portion that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ss of the circuit board.

상기 제 1 홈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둘레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first home portion can be formed concavely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상기 제 1 보스와 제 1 홈부는 상기 제 1 코일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above first boss and the first home portion can be position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irst coil.

상기 베이스와 회로기판의 안쪽면의 위치를 가이드 하는 제 3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가이드 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내주면에 근접한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보스; 및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 2 보스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hird guide unit that guides the posi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circuit board, wherein the third guide unit may include: a second boss formed to protrude at a position clos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and a second groov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oss of the circuit board.

상기 제 3 가이드 유닛은 한 쌍이 상기 베이스 및 회로기판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above third guide unit may be arranged in pairs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ase and the circuit board.

상기 지지부재는 와이어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회로기판 및 홀더부재의 각 모서리 부분에 2개씩 설치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support member is composed of a wire member, and two can be installed at each corner of the circuit board and holder member.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근접한 위치에 제 1 오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오목부에 회로기판 고정을 위한 접착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The above base includes a first concave portion at a position close to the guide protrusion, and an adhesive material for fixing a circuit board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can be applied.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 1 오목부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상기 제 1 코일과 마주하는 마그네트의 자기력의 변동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오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오목부는 상기 제 1 오목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bas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recessed portion, in which a posi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in magnetic force of a magnet facing the first coil is install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irst recessed portion; and the second recessed portion can be arrang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irst recessed portion.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 1 코일과 마주보는 위치에 도피부가 마련되어, 상기 도피부에 접착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The above circuit board has a shield portion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coil, and an adhesive material can be applied to the shield portion.

상기 회로기판은 내주면에 복수 개의 단자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단자부와 제 1 코일의 단부를 납땜으로 고정할 수 있다.The above circuit board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on the inner surface, so that the terminal portions and the end of the first coil can be fixed by soldering.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베이스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제 2 오목부에 삽입 결합되는 위치감지 센서가 실장되며,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상기 홀더부재의 X축 방향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 1 센서; 및 상기 홀더부재의 Y축 방향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 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it board may have a position detection sensor mounted on a surface facing the base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concave portion, and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may include a first sensor that detects movement of the holder member in the X-axis direction; and a second sensor that detects movement of the holder member in the Y-axis direc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 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렌즈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image sensor;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image sensor is mounted; and a lens driv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에 회로기판을 항상 정확한 위치에 고정 결합할 수 있는 가이드 수단과, 접착부재를 도포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므로, 회로기판의 위치와 위치감지센서의 위치를 항상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어 제품 조립성과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과 코일유닛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since a guide means capable of always fixing and connecting the circuit board to the base at an accurate position and a space for applying an adhesive are provided, the position of the circuit board and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can always be accurately fixed, thereby improving product assembly and operational reliability. In addi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ircuit board and the coil unit can be firmly established.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베이스 상측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베이스의 상부면을 도시한 평면도, 그리고,
도 4는 회로기판의 배면을 도시한 평면도 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circuit board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circuit board.

이하에서 '제 1 코일(21)'과 '제 2 코일' 중 어느 하나를 '제1코일'이라 하고 다른 하나를 '제2코일'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단자부(28)'와 '터미널(21a)' 중 어느 하나를 '제1단자'라 하고 다른 하나를 '제2단자'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 '통공(1200)'은 '홀'이라 할 수 있다. 나아가, '통공(1200)'은 다른 '홀'과의 구분을 위해 '제1홀' 또는 '제2홀'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 1 홈부(2200)'와 '제 2 홈부(3200)' 중 하나를 '제1홈'이라 하고 다른 하나를 '제2홈'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 1 보스(2100)'와 '제 2 보스(3100)' 중 하나를 '제1보스'라 하고 다른 하나를 '제2보스'라 할 수 있다.Hereinafter, either the 'first coil (21)' or the 'second coil'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il' and the other as the 'second coil'. Hereinafter, either the 'terminal portion (28)' or the 'terminal (21a)'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terminal' and the other as the 'second terminal'. Hereinafter, the 'through hole (1200)' may be referred to as a 'hole'. Furthermore, the 'through hole (1200)'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hole' or the 'second hole' to distinguish it from the other 'hole'. Hereinafter, either the 'first groove portion (2200)' or the 'second groove portion (3200)'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groove' and the other as the 'second groove'. Below, one of the 'First Boss (2100)' and 'Second Boss (3100)' can be called the 'First Boss' and the other can be called the 'Second Bos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베이스 상측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베이스의 상부면을 도시한 평면도, 그리고, 도 4는 회로기판의 배면을 도시한 평면도 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ircuit board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a base, FIG.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FIG.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back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제 1 및 제 2 렌즈 구동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렌즈 구동유닛은 오토 포커스용 렌즈 구동유닛이고, 제 2 렌즈 구동유닛은 손떨림 보정용 렌즈 구동유닛일 수 있다.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lens driving units, and the first lens driving unit may be a lens driving unit for autofocus, and the second lens driving unit may be a lens driving unit for image stabilization.

제 1 렌즈 구동유닛은 베이스(10), 보빈(30), 홀더부재(40) 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lens driving unit may include a base (10), a bobbin (30), and a holder member (40).

베이스(10)는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로기판(20)들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로기판(20)에는 제 2 렌즈 구동유닛을 작동하기 위한 제 1 코일(21)이 설치될 수 있다. 제 1 코일(21)은 회로기판(20)에 직접 코일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별도의 FP Coil 상에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20)에 적층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코일(21)은 패턴코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외곽을 형성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홀더부재(40)가 안쪽에 배치될 수 있도록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10)는 커버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The base (10) may have at least one circuit board (2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nd a first coil (21) for operating a second lens driving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circuit board (20). The first coil (21) may have a coil pattern formed directly on the circuit board (20), or may be formed on a separate FP Coil and laminated and arranged on the circuit board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il (21) may include a pattern coil, etc. In addition, a cover member may be further included so that a holder member (40) that forms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mera module and, as illustrated, supports a plurality of magnets may be arranged on the inside. In addition, the base (10) may be combined with the cover member.

보빈(30)은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 공간에 광축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빈(30)은 외주면에 형성된 코일 안착부에 제 2 코일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제 2 코일은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네트들과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보빈(30)을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 시킬 수 있다.The bobbin (30) can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member so as to be reciprocally movabl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The bobbin (30) can have a second coil installed in a coil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this second coil can raise and lower the bobbin (3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by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plurality of magnets.

상기 보빈(30)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기한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는 일단은 보빈(3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홀더부재(4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할 경우 커버부재에 결합될 수도 있다. 홀더부재(40)에 결합되는 경우 홀더부재(4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탄성부재는 일단은 보빈(3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면 또는 홀더부재(40)의 하부면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 하측에는 하부 탄성부재 결합을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탄성부재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홀(hole) 또는 홈(recess)이 형성되어 이들의 결합으로 하부 탄성부재가 고정될 수 있으며,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단단한 고정을 위해 접착부재 등이 추가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돌기와 탄성부재를 열융착 등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The bobbin (30) may have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The upper elastic member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bobbin (30)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holder member (40). However, this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upled to a cover member if necessary. When coupled to the holder member (40), it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member (40). The lower elastic member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bobbin (30)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or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member (40). In addition, a protrusion for joining a lower elastic member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10), and a hole or recess may be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lower elastic member so that the lower elastic member may be fixed by joining them, and rotation may be prevented. In addition, an adhesive member, etc. may be added for firm fixation, and the protrusion and the elastic member may be joined by heat fusion, etc.

한편, 상부 탄성부재는 2분할 구조로 2개의 판 스프링으로 마련되고, 하부 탄성부재는 한 몸으로 구성되어, 전류를 인가 받을 수 있도록 단자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터미널(21a)을 통해 인가된 전류는 후술할 지지부재(50)를 통해 전달되어, 상부 탄성부재의 2개의 스프링을 통해 전달되고, 이 전류는 보빈(30)에 권선된 제 2 코일에 인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탄성부재와 제 2 코일은 솔더링 등으로 각각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탄성부재는 홀더부재(40)와 결합되는 외측부, 보빈과 결합되는 내측부, 내측부와 외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부가 상기 제1코일의 양 끝단과 솔더링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2개의 스프링과 제 2 코일의 양 끝단이 솔더링, Ag 에폭시, 용접, 전도성 에폭시 등으로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하부 탄성부재가 이분할 구조로 형성되고, 상부 탄성부재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부 탄성부재는 4분할 또는 그 이상으로 분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upper elastic member is provided with two plate springs in a two-part structure,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is configured as a single body and can serve as a terminal so as to receive current. That is, the current applied through the terminal (21a) is transmitted through the support member (50) described later and transmitted through the two springs of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is current can be applied to the second coil wound around the bobbin (30). To this end,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coil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respectively, by soldering or the like. Here, the upper elastic member includes an outer portion coupled with the holder member (40), an inner portion coupled with the bobbin,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inner portion and the outer portion, and the inner portion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oil by soldering or the like. That is, the two springs and the two ends of the second coil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respectively, by soldering, Ag epoxy, welding, conductive epoxy, etc. However, this is not limited thereto, and conversel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lower elastic member to be formed in a two-part structure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to be formed integrally. Alternatively, the upper elastic member can be formed by being separated into four or more parts.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보빈(30)은 광축 방향의 양방향 이동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즉, 보빈(30)은 홀더부재(40)와 일정 거리 이격 되어 있어 보빈(30)의 초기 위치를 중심으로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보빈(30)의 초기위치가 홀더부재(40)의 하부 또는 상부에서 접촉되어, 보빈(30)의 초기위치를 중심으로 상측으로만 이동 제어될 수도 있다.The bobbin (30)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in both direction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That is, the bobbin (30) is spaced apart from the holder member (40) by a certain distance, so that it can be controlled to move upward and downward around the initial position of the bobbin (30). In additio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bobbin (30) can be controlled to move only upward around the initial position of the bobbin (30) by contacting the lower or upper portion of the holder member (40).

한편, 상기 제 2 코일은 상기 보빈(3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코일블록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코일이 직접 보빈(30)의 외주면에 권선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코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30)의 하부면과 근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보빈(30)의 형상에 따라 직선면과 곡선면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coil may be provided as a ring-shaped coil block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30). However, this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il may be configured by being wound direct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30).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coil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30), and may include a straight surface and a curved surfac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obbin (30).

또는 코일블록으로 형성된 제 2 코일은 각 형상일수 있으며, 8각 형상 일수 있다. 즉, 곡선면 없이 모두 직선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대향 되게 배치되는 마그네트와의 전자기작용을 고려한 것인데, 마그네트의 대응되는 면이 평면이면 대면하는 제 2 코일의 면도 평면일 경우에 전자기력을 극대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사양에 따라 마그네트의 면과 제 2 코일의 면은 모두 곡면, 모두 평면, 또는 하나는 곡면 다른 하나는 평면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second coil formed by the coil block may be of an angular shape, and may be an octagonal shape. In other words, it may be formed with all straight surfaces without any curved surfaces. 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magnets that are arranged oppositely, because if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magnet is a plane, the electromagnetic force can be maximized when the surface of the facing second coil is also a plan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depending on the design specifications, the surface of the magnet and the surface of the second coil may be configured as both curved surfaces, both planes, or one curved and the other plane.

또한, 상기 보빈(30)은 상기 제 2 코일이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직선면과 대응되는 면에 평평하게 형성된 제 1 면과 상기 곡선면과 대응되는 면에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 2 면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제 2 면도 평평하게 형성된 면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bbin (30) may include a first surface formed flat on a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traigh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formed round on a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so that the second coil can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but the second surface may also be a surface formed flat.

홀더부재(4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홀더부재(4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각각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구조가 마련될 수 있으며, 네모서리 부분 또는 네개 측면에는 마그네트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마그네트가 설치되는 위치에는 미도시된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안착부 없이 홀더부재(40)의 내주면에 마그네트가 직접 접착 고정될 수도 있다. 이처럼 마그네트가 홀더부재(40)에 직접 고정될 경우, 마그네트는 홀더부재(40)의 측면 또는 모서리에 직접 본딩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와 다르게 손떨림 보정 유닛이 아닌 오토 포커싱 유닛일 경우, 별도의 홀더부재(40) 없이 커버부재만이 있을 수 있다. The holder member (40) may be configured as a frame having an approximately hexahedral shape. A joining structure for joining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lder member (40), respectively, and magnets may be installed on the four corners or four sides. At this time, a mounting portion (not shown) may be formed at the location where the magnet is installed. However, this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agnet may be directly bonded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member (40) without the mounting portion. In this way, when the magnet is directly fixed to the holder member (40), the magnet may be directly bonded and fixed to the side or corner of the holder member (40). In addition, unlike the embodiment, if it is an auto-focusing unit instead of a shake correction unit, only a cover member may be present without a separate holder member (40).

미도시된 커버부재는 철과 같은 강자성체인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는 보빈(30)을 모두 감쌀 수 있도록 상측에서 보았을 때 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일 수도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8각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측에서 보았을 때 커버부재가 8각형상일 경우, 홀더부재(40)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마그네트의 형상이 상측에서 보았을 때 사다리꼴 형상이라면 홀더부재(40)의 모서리에서 방출되는 자기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cover member, which is not shown,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at is a ferromagnetic body such as iron. In addition, the cover member may be provided in a square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so as to completely cover the bobbin (30). At this time, the cover member may be provided in a square shape as shown in FIG. 2, or may be provided in an octagonal shape, although not shown. In addition, when the cover member is in an octagonal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if the shape of the magnet arranged at the corner of the holder member (40) is a trapezoidal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the magnetic field emitted from the corner of the holder member (40) can be minimized.

제 1 렌즈 구동유닛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구성 이외에 다른 형태의 오토 포커싱 기능을 구현한 광학계로 대체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보이스 코일 모터 방식의 오토 포커싱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대신 단렌즈 무빙 액츄에이터 또는 굴절률 가변 방식의 액츄에이터를 이용하는 광학모듈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 1 렌즈 구동유닛은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광학 액츄에이터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The first lens driving unit can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replaced with an optical system that implements an auto-focusing function of a different type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at is, instead of using an auto-focusing actuator of the voice coil motor type, it may be configured with an optical module that uses a single-lens moving actuator or an actuator of a variable refractive index type. That is, the first lens driving unit may use any optical actuator that can perform an auto-focusing function.

한편, 제 2 렌즈 구동유닛은 손떨림 보정용 렌즈 구동유닛으로, 제 1 렌즈 구동유닛, 베이스(10), 지지부재(50), 회로기판(20)과, 제 1 및 제 2 센서(26)(27)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lens driving unit is a lens driving unit for image stabilization and may include a first lens driving unit, a base (10), a support member (50), a circuit board (20), and first and second sensors (26)(27).

베이스(10)의 구성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가이드 돌기(1100)와 제 1 오목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1100)는 제 1 오목부(11)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오목부(11)에는 회로기판(20)의 고정을 위한 접착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오목부(11)는 총 4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제 1 오목부(11)는 베이스(10)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코일(21)(도 2 참조)과는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10) is as described above, and as illustrated in FIG. 3, a guide protrusion (1100) and a first concave portion (11)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In addition, the guide protrusion (1100) may be positioned close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11). An adhesive material for fixing the circuit board (20) may be applied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total of four first concave portions (11) may be formed, and further, the first concave portions (11) may be install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ase (10). In addition, they may be form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irst coil (21) (see FIG. 2).

또한, 베이스(10)는 상기 제 1 오목부(11)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상기 제 1 코일(21)과 마주하는 마그네트의 자기력의 변동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오목부(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오목부(13)는 2개가 마련되어, 이곳에 제 1 및 제 2 센서(26)(27)가 배치 또는 삽입될 수 있으며, 여기에 에폭시 등으로 추가 고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ase (1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cond concave portion (13) in which a position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to detect a change in the magnetic force of a magnet facing the first coil (21) at a loca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irst concave portion (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wo second concave portions (13) are provided, and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26)(27) can be placed or inserted therein, and may be additionally fixed therein using epoxy or the like.

회로기판(20)은 위치감지센서가 설치되는 제 1 회로기판과, 제 1 코일(2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 1 회로기판과 제 1 코일(21)은 단일 회로기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호 분리된 제 1 회로기판과 제 1 코일(21)로 구성되어, 제 1 코일(21)은 패턴코일 또는 FP코일로 형성되어, 제 1 회로기판의 상부면에 제 1 코일이 적층되어, 상호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코일(21)의 양 단부가 회로기판의 단자부(28)에 납땜으로 통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코일(21)의 단자부(23)와 회로기판(20)의 단자부(28)는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며, 이들 각각의 단자부(23)(28)는 총 4개의 제 1 코일(21)이 마련될 경우, 적어도 8군데의 납땜을 위한 단자부(23)(28)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만일, 각각의 제 1 코일(21)들 중 동일한 신호가 인가될 수 있는 제 1 코일(21)의 단자를 공유할 수 있는 경우, 납땜을 위한 단자부(23)(28)의 개수는 8군데보다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단자부의 수는 4개가 될 수도 있으며, 6개가 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ircuit board (20) may include a first circuit board on which a position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and a first coil (21). However, this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circuit board and the first coil (21)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circuit board.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ircuit board and the first coil (21) are configured as separate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coil (21) is formed as a pattern coil or an FP coil, so that the first coil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ircuit board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electrically conductive. 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first coil (21) may be electrically conductively fixed to a terminal portion (28) of the circuit board by soldering.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4, the terminal portion (23) of the first coil (21) and the terminal portion (28) of the circuit board (20) ar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and when a total of four first coils (21) are provided, each of the terminal portions (23)(28) may require at least eight terminal portions (23)(28) for soldering. If the terminal of the first coil (21) to which the same signal can be applied among each of the first coils (21) can be shared, the number of terminal portions (23)(28) for soldering may be reduced from eight. In addition, the number of terminal portions may be four or six,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회로기판(20)은 FPCB로 마련될 수 있으며, 베이스(10)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코일(21)은, 마그네트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제 1 렌즈 구동유닛 전체를 광축에 수직한 평면 방향으로 쉬프트 및/또는 틸팅 및/또는 수평이동 시킬 수 있다. 제 1 코일(21)은 회로기판(20)에 패턴코일 방식으로 마그네트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데, 일 예로, 마그네트가 홀더부재(40)의 각 벽면 부분에 설치될 경우, 제 1 코일(21)은 회로기판(20)의 상호 대응되는 각 면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는 제 1 코일(21)이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게 4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가 마주보게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적어도 4개 이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제 1 코일은 1개가 아니라 2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ircuit board (20) may be provided with an FPCB and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The first coil (21) may shift and/or tilt and/or horizontally move the entire first lens driving unit in a plan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magnet. The first coil (21) is arranged on the circuit board (20) in a pattern coil mann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gnet. For example, when the magnet is installed on each wall surface of the holder member (40), the first coil (21) may be arranged on each corresponding surface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20). In the embodiment, four first coils (21) may be arranged facing the magne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wo may be arranged facing each other, or at least four or more may be arranged. Additionally, the first coil opposing the magnet may be composed of two instead of one.

한편, 회로기판(2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코일(21)과 마주보는 위치에 도피부(25)가 마련되어, 상기 도피부(25)에 접착부재가 도포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회로기판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 2 회로기판(22)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 1 코일(21)은 상기 제 2 회로기판(22)에 형성되어, 제 1 회로기판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회로기판(22)에 형성되는 제 1 코일(21) 및 제 2 회로기판(22)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회로기판(20)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도피부(25)가 형성되어, 상기 도피부(25)에 제 2 회로기판(22)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부재가 스며드는 공간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피부(25)는 상기 제 1 코일(21)의 중심 또는 그 근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회로기판(22)과 회로기판(20) 사이의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접착부재가 상기 도피부(25)의 내부로 스며들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20)은 복수 개의 단자부(28)를 더 포함하여, 상기 단자부(28)와 제 1 코일(21)의 단부 또는 상기 제 2 회로기판(22)의 미도시된 단자부와 납땜으로 전기적연결 및/또는 고정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4, the circuit board (20) may be provided with a shield (25) facing the first coil (21), and an adhesive material may be applied to the shield (25).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econd circuit board (22) may be further lamin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ircuit board, and at this time, the first coil (21) may be formed on the second circuit board (22)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In order to fix the first coil (21)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22) formed on the second circuit board (22) in this way, the shield (25) may be formed on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circuit board (20), and a space may be provided in which an adhesive material for fixing the second circuit board (22) to the shield (25) seeps into. The escape portion (25) may be formed at or near the center of the first coil (21). At this time, the gap between the second circuit board (22) and the circuit board (20) may be configured so that it is not formed, so that the adhesive material can permeate into the inside of the escape portion (25). 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2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28), so that the terminal portions (28) and an end of the first coil (21) or an unillustrated terminal portion of the second circuit board (2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or fixed by soldering.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터미널(21a)이 형성된 부분이 도 1과 같이 밴딩하여 구성할 때, 도피부(25)에 도포되는 접착부재에 의해 회로기판(20)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 2 회로기판(22)이 회로기판(20)의 상측에 단단하게 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면 접촉 부분의 들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터미널(21a)이 형성된 부분을 밴딩 하는 과정 중에, 밴딩부 이외의 부분이 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보빈(30)과 같은 구동부와의 간접 및 접촉을 차단하고, 히스테리시스 등 성능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portion where the terminal (21a) is formed is configured by bending as shown in FIG. 1, the second circuit board (22) lamin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ircuit board (20) can be firmly adhered to the upper side of the circuit board (20) by the adhesive material applied to the escape portion (25), so that the occurrence of lifting of the surface contact portion thereof can be prevented, and during the process of bending the portion where the terminal (21a) is formed, the portion other than the bending portion can be suppressed from bending, thereby blocking indirect contact with a driving portion such as a bobbin (30) and minimizing performance defects such as hysteresis.

이와 같이 구성된 회로기판(20)에는 베이스(10)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제 2 오목부(13, 도 3 참조)에 삽입 결합되는 제 1 센서(26)와 제 2 센서(27)가 실장되며, 제 1 센서(26)는 홀더부재(40)의 제 1 방향 또는 X축 방향 움직임을 감지하고, 제 2 센서(27)는 홀더부재(40)의 제 2 방향 또는 Y축 방향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방향은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한 X, Y축 방향 움직임의 대각선 방향이다. 한편, 제 1 및 제 2 센서(26)(27)는 제 2 회로기판(22)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회로기판(20)의 제 1 및 제 2 센서(26)(27)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26)(27)가 제 2 오목부(13)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오목부(13)에 삽입되는 제 1 및 제 2 센서(26)(27)는 별도의 접착부재 없이 삽입 될 수도 있고, 해당 부분에 본드 등과 같은 접착부재를 통해 위치 고정할 수도 있다.On the circuit board (20) configured in this manner, a first sensor (26) and a second sensor (27) are mounted on a surface facing the base (10)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concave portion (13, see FIG. 3). The first sensor (26) can detect the movement of the holder member (40)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X-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sensor (27) can detect the movement of the holder member (40) in the second direction or the Y-axis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are mutually orthogonal directions, which are diagonal directions of the X- and Y-axis directions. 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26)(27) may also be installed on the second circuit board (22) side. In this case,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26)(27) of the circuit board (2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26)(27)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ncave portion (13).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26)(27) inserted into the second concave portion (13) can be inserted without a separate adhesive member, or can be fixed in position through an adhesive member such as a bond at the relevant portion.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위치감지센서는 회로기판(20)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베이스(10)에 직접 배치 및/또는 실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위치감지센서는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장을 검출하여, 마그네트가 설치된 홀더부재(40)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센서(26)(27)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다른 위치에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제 1 렌즈 구동유닛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인 X축 및 Y축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인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installed on the circuit board (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also be directly arranged and/or mounted on the base (10).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and can detect mov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f the holder member (40) on which the magnet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 4, it can be configured with first and second sensors (26)(27), and these are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at different positions, so as to detect movement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of the first lens driving unit, or i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diagonally.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갑작스러운 외부 충격의 발생 시, 지지부재(5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홀더부재(40)의 상부면에 제 1 스토퍼(100)가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first stopper (100) may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member (40) to minimize damage to the support member (50) when a sudden external impact occurs.

제 1 스토퍼(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부재(40)의 상부면에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스토퍼(100)는 홀더부재(40)의 각 면의 대략 중앙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할 경우 각 면당 2개씩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스토퍼(100)는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면은 평평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stopper (100) may be formed in multiple protruding porti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member (40) as shown in Fig.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topper (100) may be positioned approximately in the center of each surface of the holder member (40). However, this is not limited thereto, and two may be positioned per surface if necessary. The first stopper (100)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and the upper surface may be configured to be flat.

지지부재(50)는 와이어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회로기판(20) 및 홀더부재(40)의 각 모서리 부분에 2개씩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50)의 일단은 상부 탄성부재의 외측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제 2 회로기판(22) 또는 회로기판(20) 또는 베이스(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조합도 가능하다. 또한, 지지부재(50)의 타단이 제 2 회로기판(22)에 결합 또는 전기적 결합 또는 납땜되는 경우, 제 2 회로기판(22)에는 별도의 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29)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지지부재(50)가 연결되는 상부 탄성부재는 2분할 구조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재(50)를 통해 전원을 공급 받아, 오토 포커싱 구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50)는 회로기판(20) 및 제 2 회로기판(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미도시된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오토 포커싱 유닛 측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50) is composed of a wire member, and two can be installed at each corner of the circuit board (20) and the holder member (40).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50) is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other end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circuit board (22) or the circuit board (20) or the base (10), and a combination thereof is also possible depending on the case. In addition, when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50) is coupled or electrically coupled or soldered to the second circuit board (22), a separate hole may not be formed in the second circuit board (22). The embodiment illustrates that a hole (29) is formed as shown in FIG. 4. Meanwhile, the upper elastic member to which the support member (50) is connected is provided in a two-part structure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support member (50) to perform auto-focusing operation. At this time, the support member (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20)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22), 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to supply power to the auto focusing unit.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조립 작업 시에 베이스(10)와 회로기판(20)의 조립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제 1 가이드 유닛(1000)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 유닛(1000)은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가이드 돌기(1100)와 통공(120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guide unit (1000) so as to always guide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base (10) and the circuit board (20) at a constant level during the assembly process. At least one or more first guide units (1000) may be provided, and may include a guide protrusion (1100) and a through hole (1200).

가이드 돌기(1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상부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핀 부재 등을 삽입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이드 돌기(1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중심과 모서리 부분을 잇는 가상의 선 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총 4개의 가이드 돌기(1100)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가이드 돌기(1100)들은 상기 베이스(10)의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가이드 돌기(1100)들은 베이스(10)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guide protrusion (1100) may be integrally formed by protrus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it by inserting a pin member, etc. As illustrated, the guide protrusion (1100) may be positioned on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center and the corner portion of the base (10), but the posi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also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total of four guide protrusions (1100) may be formed by protrusion, and these guide protrusions (1100) may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base (10). Therefore,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1100) may be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ase (10).

통공(120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돌기(1100)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11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통공(1200)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으며, 만일 가이드 돌기(1100)가 삼각형,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일 경우, 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통공(1200)은 제 2 회로기판(22) 및 회로기판(2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회로기판(20)에만 형성도 가능하다.The through hole (1200) is formed through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trusion (1100), as shown in FIGS. 2 and 4, and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guide protrusion (1100).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1200) may be circular, and if the guide protrusion (1100) is a polygon including a triangle or a square, it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hereto. The through hole (120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ircuit board (22) and the circuit board (20), or may be formed only in the circuit board (20).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 1 가이드 유닛(1000)은 제 1 코일(21)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코일(21)이 베이스(10) 및 회로기판(20)의 각 면 부분에 배치될 경우, 제 1 가이드 유닛(1000)은 모서리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unit (10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plac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irst coil (21).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il (21) is placed on each surface portion of the base (10) and the circuit board (20), the first guide unit (1000) can be placed near the corner.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10)와 회로기판(20)의 둘레면의 위치 가이드를 위한 제 2 가이드 유닛(20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 1 가이드 유닛(1000) 없이 제 2 가이드 유닛(2000)만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가이드 유닛(2000)은 제 1 보스(2100), 제 1 홈부(220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econd guide unit (2000) for positioning guide of the periphery of the base (10) and the circuit board (20) may be further included. Alternatively, only the second guide unit (2000) may be included without the first guide unit (1000). The second guide unit (2000) may include a first boss (2100) and a first groove (2200).

제 1 보스(2100)는 베이스(10)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10)의 외주면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보스(2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만이 일측 단부에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회로기판(20)이 베이스(10)에 조립 결합될 수 있다. 이는 회로기판(20)에 실장되는 제 1 및 제 2 센서(26)(27)가 정확한 위치에 조립되는 것을 가이드 하기 위함이다.The first boss (2100)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and may be positioned clos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10). At this time, only one first boss (2100) may be positioned eccentrically on one end as shown in FIG. 3.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circuit board (20) may be assembled and connected to the base (10) with a certain directionality. This is to guide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26) (27)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0) to be assembled at the correct position.

제 1 홈부(2200)는 상기 회로기판(20)의 상기 제 1 보스(21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홈부(2200)는 회로기판(20)의 둘레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보스(2100)의 형상과 대응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보스(2100)가 원통형일 경우, 제 1 홈부(2200)는 반원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보스(2100)와 제 1 홈부(2200)는 상기 제 1 코일(21)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홈부(2200)는 제 2 회로기판(22) 및 회로기판(2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회로기판(20)에만 형성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10)와 회로기판(20)의 안쪽면의 위치를 가이드 하는 제 3 가이드 유닛(300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 1 및 제 2 가이드 유닛(1000)(2000) 없이 제 3 가이드 유닛(300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들 각각의 가이드 유닛들(1000)(2000)(3000)은 독립적인 구성으로 어느 조합도 가능하다. 제 3 가이드 유닛(3000)은 상기 베이스(10)의 내주면에 근접한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보스(3100)와, 회로기판(20)의 제 2 보스(31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 홈부(3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3 가이드 유닛(3000)은 베이스(10) 및 회로기판(20)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위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베이스(10) 및 회로기판(20)의 중심과 양 모서리 부분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홈부(3200)는 제 2 회로기판(22) 및 회로기판(2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회로기판(20)에만 형성도 가능하다.The first groove (220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ss (2100) of the circuit board (20). The first groove (2200) may be formed concavely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20) and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irst boss (2100). For example, when the first boss (2100) is cylindrical, the first groove (2200) may be provided in a semicircular shape. In addition, the first boss (2100) and the first groove (2200) may be position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irst coil (21). The first groove (2200) may be formed on the second circuit board (22) and the circuit board (20), or may be formed only on the circuit board (20). Meanwhile, a third guide unit (3000) that guides the posi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10) and the circuit board (20) may be further includ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may be configured with only the third guide unit (3000) without the first and second guide units (1000)(2000), and each of these guide units (1000)(2000)(3000) is configured independently and any combination is possible. The third guide unit (3000) may include a second boss (3100) that is formed to protrude at a position clos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10) and a second groove portion (3200) that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oss (3100) of the circuit board (20). At this time, the third guide unit (3000) may be arrang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ase (10) and the circuit board (20), but the posi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it can be placed on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center and both corners of the base (10) and the circuit board (20). The second groove (3200) can be formed on the second circuit board (22) and the circuit board (20), or can be formed only on the circuit board (20).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1 렌즈 구동장치는 베이스(10)와 보빈(30)이 초기 위치에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 및 하부 탄성부재는 예압이 걸리지 않은 플랫(flat)한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또는 일정 예압이 걸린 상태로 형성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보빈(30)이 베이스(10)와 일정 거리 이격 된 초기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인가된 전류의 방향에 따라, 예를 들면 정전류가 인가되면 초기위치를 기준으로 상승할 수도 있고, 역전류가 인가되면 초기위치를 기준으로 하강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rst lens driv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have the base (10) and the bobbin (30) spaced apart from the initial position by a certain distance. In this case,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may be formed in a flat state without preload, or may be formed in a state with a certain preload. In this case, when power is applied in the initial state where the bobbin (30)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10) by a certain distance,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applied current, for example, when a constant current is applied, it may rise based on the initial position, or when a reverse current is applied, it may descend based on the initial position.

카메라 모듈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렌즈 구동장치, 보빈(30)에 결합되는 렌즈배럴, 이미지 센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쇄회로기판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 되며, 카메라 모듈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a lens driv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lens barrel coupled to a bobbin (30), an image sensor, and a printed circuit board. At this time, 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have the image sensor mounted thereon and may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mera module.

상기 보빈(3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배럴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보빈(30)의 내부에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렌즈배럴이 상기 보빈(30)의 안쪽에 나사결합 이외의 방법으로 직접 고정되거나, 렌즈배럴 없이 상기 한 장 이상의 렌즈가 보빈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렌즈는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bobbin (30) may include a lens barrel having at least one lens installed inside, and the lens barrel may be formed to be screw-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bbin (30). However, this is not limited thereto, and although not illustrated, the lens barrel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bobbin (30) by a method other than screw-coupled, or one or more lenses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bbin without the lens barrel. The lens may be composed of one piece, or two or more lenses may be configured to form an optical system.

베이스(10)는 상기 이미지 센서(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홀더부재(4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재(4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과의 통전을 위해 별도의 터미널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고, 표면 전극 등을 이용하여 터미널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이미지 센서를 보호하는 센서홀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베이스(10)의 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센서홀더가 베이스(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base (10) may additionally have an infrared blocking filter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11)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holder member (40). In addition, the lower side of the holder member (40) may be supported. A separate terminal member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10)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10), an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terminal integrally using a surface electrode, etc. Meanwhile, the base (10) may function as a sensor holder for protecting the image sensor, and in this case, a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along the side of the base (10). However, this is not an essential configuration, and although not illustrated, a separate sensor holder may be configured to be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10) to perform that role.

이상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y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relevant field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s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patent claims.

10; 베이스 20; 회로기판
21; 제 1 코일 25; 도피부
26; 제 1 센서 27; 제 2 센서
28; 단자부 30; 보빈
40; 홀더부재 50; 지지부재
1000; 제 1 가이드 유닛 1100; 가이드 돌기
1200; 통공 2000; 제 2 가이드 유닛
2100; 제 1 보스 2200; 제 1 홈부
3000; 제 3 가이드 유닛 3100; 제 2 보스
3200; 제 2 홈부
10; Base 20; Circuit Board
21; 1st coil 25; escape part
26; 1st sensor 27; 2nd sensor
28; terminal 30; bobbin
40; Holder member 50; Support member
1000; 1st guide unit 1100; Guide projection
1200; 2000 gauge; 2nd guide unit
2100; 1st Boss 2200; 1st Home
3000; 3rd Guide Unit 3100; 2nd Boss
3200; 2nd home section

Claims (20)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홀더부재;
상기 홀더부재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홀더부재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2코일을 포함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베이스를 고정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와 제1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홀과, 상기 회로기판의 내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제1보스가 배치되는 제1홈과, 상기 회로기판의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1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보스와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홀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1홈 사이의 최단거리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홀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2홈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짧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1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오목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오목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돌기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보스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base;
A holder member arranged on the above base;
A bobbin placed within the above holder member;
A first coil placed on the above bobbin;
A magnet placed on the above holder member;
A circuit boar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including a second coil; and
Including an adhesive member that fixes the circuit board and the base,
The above base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protru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a first boss,
The circuit board includes a hol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a first groove formed on an inner edge of the circuit board and in which the first boss is arranged, and a second groove formed on an outer edge of the circuit boar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groove of the circuit board include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ss of the base,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hole of the circuit board and the first groove of the circuit board is short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hole of the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groove of the circuit board,
The above base includes a first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above base,
At least a portion of the adhesive member is disposed in the first recessed portion of the base,
A lens driving device, wherein the first concave portion of the base includes a region disposed between the protrusion of the base and the first boss of the 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보스는 서로 이격되는 2개의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1홈은 상기 2개의 보스와 대응하는 2개의 홈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first boss of the above base includes two boss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lens driving device, wherein the first groove of the above circuit board includes two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two bosses.
제2항에 있어서,
위에서 볼 때, 상기 베이스의 상기 2개의 보스는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인 렌즈 구동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When viewed from above, the two bosses of the above base are lens actuators symmetrical around the optical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2홈에는 상기 제2보스가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2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2보스와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base includes a second boss formed protru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bove base,
The second boss is arranged in the second groove of the above circuit board,
A lens driving device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groove of the circuit board include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oss of the bas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마그네트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2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2오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오목부는 상기 제2오목부와 이격되는 렌즈 구동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A sensor is included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and detects the magnet.
The above base includes a second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above base,
The above sensor is placed in the second concave portion of the above base,
A lens driving device in which the first concave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oncave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오목부는 상기 제1오목부와 상기 베이스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장치.
In Article 7,
A lens driving device in which the second concave portion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ncave portion and the outer edge of the 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에 배치되는 제1회로기판과, 상기 제1회로기판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코일을 포함하는 제2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로기판과 상기 제2회로기판 각각은 상기 홀과 상기 제1홈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ircuit board includes a first circuit board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a second circuit board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ircuit board and including the second coil,
A lens driving device, wherein each of the first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includes the hole and the first groov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기판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과 상기 제2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터미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로기판의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회로기판의 내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로기판의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제2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로기판의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제2회로기판과 납땜에 의해 결합되는 렌즈 구동장치.
In Article 9,
The first circuit board includes a body portion arrang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and a terminal portion extending from an outer edge of the body portion.
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circuit board includes a first terminal formed on an inner edge of the first circuit board,
The terminal portion of the first circuit board is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and includes a second terminal,
A lens driving device in which the first terminal of the first circuit board is connected to the second circuit board by solder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오목부는 상기 제1회로기판의 상기 제1단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장치.
In Article 10,
A lens driving device in which the first concave portion of the above base is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first circuit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오목부는 4개의 제1오목부를 포함하고,
위에서 볼 때, 상기 4개의 제1오목부는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인 렌즈 구동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first concave portion of the above base includes four first concave portions,
When viewed from above, the four first concave portions are lens driving devices symmetrical around the optical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보빈을 광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보빈의 상기 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중공을 포함하고,
위에서 볼 때,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1홈의 곡률은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중공의 곡률과 상이한 렌즈 구동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bobbin includes a hole penetrating the bobbi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above circuit board includes a hollow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of the above bobbin,
A lens driving device in which, when viewed from above, the curvature of the first groove of the circuit board is different from the curvature of the hollow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부와 상기 홀더부재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탄성부재; 및
상기 보빈의 하부와 상기 홀더부재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An upper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upper part of the bobbin and the upper part of the holder member; and
A lens driving device including a lower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lower part of the bobbin and the lower part of the holder memb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탄성부재와 상기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In Article 14,
A lens driving device including a wire connecting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circuit board.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홀더부재;
상기 홀더부재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홀더부재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회로기판;
상기 제1회로기판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2코일을 포함하는 제2회로기판;
상기 홀더부재와 상기 보빈을 연결하는 상부 탄성부재;
상기 상부 탄성부재와 상기 제1회로기판 또는 상기 상부 탄성부재와 상기 제2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제1회로기판과 상기 베이스를 고정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와 제1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로기판과 상기 제2회로기판 각각은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홀과, 상기 제1회로기판과 상기 제2회로기판 각각의 내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제1보스가 배치되는 제1홈과, 상기 제1회로기판과 상기 제2회로기판 각각의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회로기판과 상기 제2회로기판의 상기 제1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보스와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하고,
위에서 볼 때, 상기 제2회로기판의 상기 홀과 상기 제2회로기판의 상기 제1홈 사이의 최단거리는 상기 제2회로기판의 상기 홀과 상기 제2회로기판의 상기 제2홈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짧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1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오목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오목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돌기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보스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base;
A holder member arranged on the above base;
A bobbin placed within the above holder member;
A first coil placed on the above bobbin;
A magnet placed on the above holder member;
A first circuit board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bove base;
A second circuit boar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ircuit board and including a second coil;
An upper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holder member and the bobbin;
A wire connecting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first circuit board or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and
Including an adhesive member that fixes the first circuit board and the base,
The above base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protru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a first boss,
The first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each include a hol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a first groove formed on an inner edge of each of the first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and in which the first boss is arranged, and a second groove formed on an outer edge of each of the first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groove of the first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include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ss of the base,
When viewed from above,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hole of the second circuit board and the first groove of the second circuit board is short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hole of the second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groove of the second circuit board.
The above base includes a first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above base,
At least a portion of the adhesive member is disposed in the first recessed portion of the base,
A lens driving device, wherein the first concave portion of the base includes a region disposed between the protrusion of the base and the first boss of the bas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돌기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보스와 이격되는 렌즈구동장치.
In Article 16,
A lens actuator in which the projection of the above base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ss of the above bas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보스와 이격되는 제2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로기판과 상기 제2회로기판의 상기 제2홈에는 상기 제2보스가 배치되고,
상기 제1회로기판과 상기 제2회로기판의 상기 제2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2보스와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In Article 16,
The above base includes a second boss that is protru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bove bas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ss,
The second boss is arranged in the second groove of the first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A lens driving device,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groove of the first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include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oss of the base.
삭제delete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7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렌즈 구동장치; 및
상기 렌즈 구동장치의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rinted circuit board;
An image sensor arranged on the above printed circuit board;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claims 7 to 18, arrang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 lens coupled to the bobbin of the lens driving device.
KR1020220100041A 2015-01-29 2022-08-10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Active KR1027047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041A KR102704763B1 (en) 2015-01-29 2022-08-10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078A KR102432907B1 (en) 2015-01-29 2015-01-29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20220100041A KR102704763B1 (en) 2015-01-29 2022-08-10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078A Division KR102432907B1 (en) 2015-01-28 2015-01-29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909A KR20220115909A (en) 2022-08-19
KR102704763B1 true KR102704763B1 (en) 2024-09-11

Family

ID=567117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078A Active KR102432907B1 (en) 2015-01-28 2015-01-29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20220100041A Active KR102704763B1 (en) 2015-01-29 2022-08-10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078A Active KR102432907B1 (en) 2015-01-28 2015-01-29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3290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93888B1 (en) * 2017-02-10 2025-04-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JP6993567B2 (en) * 2017-09-29 2022-02-0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Lens drive, camera module, and camera-mounted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4957A (en) * 2003-10-07 2005-04-28 Konica Minolta Opto Inc Imag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imaging device
US20130050828A1 (en) * 2011-08-24 2013-02-28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holder driving device including damper compound suppressing undesired resonan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142A (en) * 1996-07-16 1998-02-03 Nikon Corp Optical parts having extremely thin planar optical element, and method for joining extremely thin planar optical element
KR101130268B1 (en) * 2010-09-13 2012-03-26 주식회사 하이소닉 Compact camera device
JP2014126668A (en) 2012-12-26 2014-07-07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drive device,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KR102128937B1 (en) * 2013-05-29 2020-07-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4957A (en) * 2003-10-07 2005-04-28 Konica Minolta Opto Inc Imag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imaging device
US20130050828A1 (en) * 2011-08-24 2013-02-28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holder driving device including damper compound suppressing undesired reson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909A (en) 2022-08-19
KR102432907B1 (en) 2022-08-16
KR20160093280A (en) 201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21842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US12298532B2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698169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2232029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2626951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10579924A (en) lens shifter
KR102559023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CN112198618A (en) Lens moving device
KR102704763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20240168261A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2775840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20240037916A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2477308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2417672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2376814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20160091578A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20210148989A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81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50129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5001407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9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220810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4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405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4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10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