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04731B1 - 연근이 함유된 호떡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근이 함유된 호떡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4731B1
KR102704731B1 KR1020210108062A KR20210108062A KR102704731B1 KR 102704731 B1 KR102704731 B1 KR 102704731B1 KR 1020210108062 A KR1020210108062 A KR 1020210108062A KR 20210108062 A KR20210108062 A KR 20210108062A KR 102704731 B1 KR102704731 B1 KR 102704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tus root
hotteok
weight
parts
pow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6583A (ko
Inventor
서미화
Original Assignee
시흥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흥시 filed Critical 시흥시
Priority to KR1020210108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4731B1/ko
Publication of KR20230026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4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473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1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filled before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8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80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12Starch; Modified starch; Starch derivatives, e.g. esters or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23L3/36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1/10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연근이 함유된 호떡 제조방법은 연근분말, 연잎분말, 강력분으로 배합하여 호떡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호떡조성물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와, 상기 반죽을 원형으로 성형한 다음 중앙 상부면에 믹스조성물을 넣고 반죽을 납작하게 감싸는 호떡의 성형단계와, 성형한 호떡의 냉동 보관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연근이 함유된 호떡 제조방법{A LOTUS ROOT STUFFED PANCAKE FILLING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연근이 함유된 호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근에서 갈색화 반응 및 함유된 전분을 제거하여 연근 특유의 텁텁한 식감을 제거하는 동시에 씹힘성과 쫄깃함을 제공하도록 하는 연근이 함유된 호떡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호떡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오래전부터 간식으로 애용되어 온 서민음식중 하나이면서 각종 곡물 가루들로 구성되어 건강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상기에서의 호떡은 찹쌀가루나 밀가루에 미지근한 물을 조금씩 넣어가면서 반죽을 하고, 완두콩과 설탕으로 속을 만들거나 계피, 설탕, 땅콩으로 호떡소를 만들고, 반죽을 일정량씩 떼어 가운데를 우묵하게 파고 만들어 놓은 속을 넣고 아물린다음, 기름을 두른 팬에서 노릇하게 굽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밀가루와 찹쌀가루를 반죽함에 있어서, 쌍화탕의 재료가 되는 한약재, 오미자, 백문동 또는 매실을 달인 물로 반죽하고 속재료에도 이러한 생약재료 및 과실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한방 호떡이 공개되어 있고, 또한 호떡 제조시 시금치, 쑥갓, 깻잎, 부추, 대파, 양파, 마늘을 적당량 섞어서 반죽을 만들어 이것으로 호떡을 만드는 야채호떡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기도 하다.
상기한 한방 호떡은 한약재 및 생약에서 발산되는 특유의 향이 너무 진하고 오래 가기 때문에 건강식으로는 우대 받을수 있을지 모르나 한약재, 특히 생약고유의 향에 대한 거부 반응을 일으켜 소비를 촉진 시키지 못하였고, 재료수급에 대한 어려움과 가격이 비싸 실용화 되지 못하였다.
또한, 야채 호떡 또한 이를 구성하고 있는 야채들이 호떡 고유의 풍미를 잃게 함으로서 호떡으로서의 호평을 받지는 못하는 형편이었다.
또한, 일반적인 호떡의 경우에는 단순히 밀가루 혹은 밀가루와 찹쌀가루를 섞어 반죽하여 호떡을 만들기 때문에 식은후에는 빨리 굳고, 밀가루 냄새가 많이 나 음식으로서 호떡 고유의 풍미를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호떡 제조방법은 맛이나 식감에 있어서 비록 제품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획일화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도움이 되지 않는 설탕과 탄수화물이 주를 이루어 건강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고, 나아가 식은 후에는 빨리 굳고, 밀가루 냄새가 많이 나 음식으로서 호떡 고유의 풍미를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35096호(2017년12월08일)
따라서, 본 발명의 연근이 함유된 호떡 제조방법은 연근 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유지되는 가운데 연근 성분이 함유된 호떡에 함유되도록 하여 연근의 천연 풍미와 취식감 및 영양가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호떡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근이 함유된 호떡 제조방법은 연근에서 갈색화 반응 및 함유된 전분을 제거하여 연근 특유의 텁텁한 식감을 제거하도록 하여 남녀노소 거부감 없는 호떡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근이 함유된 호떡 제조방법은 연근분말, 연잎분말, 강력분으로 배합하여 호떡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호떡조성물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와, 상기 반죽을 원형으로 성형한 다음 중앙 상부면에 믹스조성물을 넣고 반죽을 납작하게 감싸는 호떡의 성형단계와, 성형한 호떡의 냉동 보관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떡조성물은 강력분 40.6중량부, 변성전분 11.9중량부, 연근분말 8중량부, 연잎분말 4중량부, 설탕 3중량부,이스트 2중량부, 정제염 1중량부, 베이킹파우더 1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믹스조성물은 흑설탕 53.3중량부, 숙성연근분말 5.8중량부, 땅콩 7.2중량부, 해바라기씨 3.6중량부, 계피분말 1.1중ㄹ야부, 정제수 29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믹스조성물은 흑설탕 43.9중량부, 연근 17.9중량부, 숙성연근분말 3.6중량부, 땅콩 3.6중량부, 해바라기씨 1.4중량부, 정제수 28.6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근분말은 연근 세척단계, 연근 박피단계, 연근의 물과 설탕을 1:1 비율로 혼합한 설탕용액, 25℃에서 18시간~24시간 동안 당침단계, 당침한 연근을 80~85℃에서 96~120시간 동안 진행하는 숙성단계, 숙성 연근을 70~75℃에서 36시간 동안 행하는 건조단계, 건조단계를 통해 연근의 수분 4% 이내에서 100 mesh 이상으로 분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제수 40℃에 호떡조성물을 넣어 반죽하여 1시간 동안 실온에 보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동보관은 -20℃에서 호떡을 보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근이 함유된 호떡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호떡.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근이 함유된 호떡 제조방법은 연근분말, 연잎분말, 강력분으로 배합하여 호떡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호떡조성물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와, 상기 반죽을 원형으로 성형한 다음 중앙 상부면에 믹스조성물을 넣고 반죽을 납작하게 감싸는 호떡의 성형단계와, 성형한 호떡의 냉동 보관단계로 이루어진다.
연근 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유지되는 가운데 호떡소 성분에 함유되도록 하여 연근의 천연 풍미와 취식감 및 영양가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호떡을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연근에서 갈색화 반응 및 함유된 전분을 제거하여 연근 특유의 텁텁한 식감을 제거하도록 하여 남녀노소 거부감 없는 호떡을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 약 ",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이니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연(lotus)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여러해살이 수초로써 연못에서 자라거나 논밭에서 재배하며 뿌리줄기가 굵고 옆으로 뻗어나가며, 잎은 뿌리줄기에서 나와 잎자루 끝에 달리고, 꽃은 7~8월에 붉은색 또는 흰색으로 핀다.
꽃은 홍색 또는 백색이고 꽃줄기 끝에 1개씩 달리며 지름이 15 ~29cm이고 꽃줄기에 가시가 있다.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 특징이고 수술은 여러 개이다.
우리나라에는 인도에서 중국을 거쳐 도입되었으며, 옛날에는 불교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주로 관상용으로 연꽃을 이용하였으나, 근대에 이르러 비대경(연뿌리), 연꽃, 연잎 및 연자(연꽃씨앗)을 식용 또는 약용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먼저, 연근(Nelumbo nucifera Gaertn)은 연의 뿌리를 말하는 것으로써, 주성분은 탄수화물로 식물성 섬유가 풍부하게 들어 있으며, 이 식물성섬유는 장의 벽을 자극하여 장내의 활동을 활발하게 해주며 아스파라긴 약 2%를 비롯하여 알기닌, 티로신, 트리코네린 등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인지질인 레시틴이 풍부하다.
상기 레시틴은 물과 기름이 잘 섞이게 하는 유화력이 있기 때문에 혈관 벽에 콜레스트롤이 침착하는 것을 예방하며 혈관 벽을 강화시킨다.
특히, 연근에는 실과 같은 끈끈한 뮤신이라는 당단백질 물질이 있어 당질과 결합된 복합 단백질로 콜리스테롤 저하 작용과 위벽보호, 해독작용 등을 한다.
본 발명은 연근을 이용하여 절임 요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연 특유의 식감을 발휘하도록 하고, 연근에 첨가된 이로운 성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연근의 주성분은 탄수화물로 식물성 섬유가 풍부하게 들어 있으며, 이 식물성 섬유는 장벽을 더 자극하여 장내의 활동을 활발하게 해주며 아스파라긴 약 2%를 비롯하여 알기닌, 티로신, 트리코네린 등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인지질인 레시틴이 풍부하다.
상기 레시틴은 물과 기름이 잘 섞이게 하는 유화력이 있기 때문에 혈과 벽에 콜레스트롤이 침착하는 것을 예방하며 혈관 벽을 강화시킨다.
특히, 연근의 내부에는 실과 같은 끈끈한 뮤신이라는 물질이 있어 당질과 결합된 복합 단백질로 콜리스테롤 저하 작용과 위벽보호, 해독작용 등을 한다.
이와 같은 연근을 이용한 조리법으로는 조림류로 한국 식단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식품이다.
또한, 연근은 지혈효과, 니코틴 해독효과, 감기, 심장병 예방, 신경을 안정시켜 주는 진정작용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연근은 외피에 윤기가 있고 구멍이 작고 수가 적으며 살이 두꺼운 양질의 것을 채취하여 인체에 보다 이로운 기능성 성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아래 표는 연근 성분 분석표(가식부 100g 당)이다.

시험항목

단위

결과


(mg/100g)

75.53

마그네슘

(mg/100g)

23.49

비타민 B1

(mg/100g)

0.049

비타민 B2

(mg/100g)

0.014

비타민 B3(나이아신)

(mg/100g)

0.013

총식이섬유

(g/100g)

4.16

칼슘

(mg/100g)

19.36

칼륨

(mg/100g)

498.80


(mg/100g)

1.10

나트륨

(mg/100g)

17.38

열량

(kcal/100g)

77.41

탄수화물

(g/100g)

16.00

단백질

(g/100g)

2.97

지방

(g/100g)

0.17

회분

(%)

1.30

수분

(%)

79.56
아래 표는 연근 성분 중 구성 아미노산 분석표이다.

NO

아미노산명

약자

농도
(mg/100g)

아미노산
(g/100g)

총아미노산(%)

비고
(mg/100g)

1

Aspartic acid

ASP

765.059

0.765

















1.92

751.216

778.903

2

Threonine

THR

31.697

0.032

30 .397

32.997

3

Serine

SER

51.707

0.052

51.142

52.271

4

Glutam ic acid

GLU

224.068

0.224

223.473

224.664

5

Proline

PRO

37.174

0.037

38.167

36.180

6

Glycine

GLY

27.572

0.028

26.898

28.247

7

Alan ine

ALA

78.37

0.078

79.938

76.536

8

Cystine

CYS

11.819

0.012

11 .610

12.028

9

Valine

VAL

64.937

0.065

64.294

65.579

10

Methionine

MET

25.708

0.026

25.089

26.328

11

Isoleucine

ILE

49.461

0.049

48.250

50.672

12

Leucine

LEU

61.851

0.062

61.017

62.684

13

Tyrosine

TYR

43.717

0.044

43.817

43.618

14

Phenylalanine

PHE

46.349

0.046

44.825

47.873

15

Histid ine

HIS

38.611

0.039

36.403

40.819

16

Lysine

LYS

60.304

0.060

56.628

63.980

17

Arginine

ARG

278.594

0.279

275 .119

282.070

18

Tryptophan

TRY

20.369

0.020

19.877

20.861
[표 1]과 [표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근은 무기질과 비타민C 함유량이 높다. 특히, 비타민 B1,2와 철이 많이 들어 있어 소염작용이 있으며, 비티민 C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아스파라제닉산(asparagenic acid), 아르기닌(arginine), 티로신(tyrosine)같은 아미노산과 레스틴(lecithin)과 같은 인지질이 함유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성분을 통해 인체에 이로운 성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연근분말, 연잎분말, 강력분으로 배합하여 호떡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호떡조성물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와, 상기 반죽을 원형으로 성형한 다음 중앙 상부면에 믹스조성물을 넣고 반죽을 납작하게 감싸는 호떡의 성형단계와, 성형한 호떡의 냉동 보관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먼저 연근분말을 마련한다. 이를 위해, 연근 세척단계, 연근 박피단계, 연근의 물과 설탕을 1:1 비율로 혼합한 설탕용액, 25℃에서 18시간~24시간 동안 당침단계, 당침한 연근을 80~85℃에서 96~120시간 동안 진행하는 숙성단계, 숙성 연근을 70~75℃에서 36시간 동안 행하는 건조단계, 건조단계를 통해 연근의 수분 4% 이내에서 100 mesh 이상으로 분쇄한다.
구체적으로, 좋은 연근을 선별하여 이를 물이 포함된 용기에 넣어 수세하여 연근 껍질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 후 연근의 껍질을 박피시킨다.
수세 및 박피 후 세절한 연근슬라이스를 45~50℃의 온도를 갖는 열수에 식초 10g을 혼합한 다음 수침시켜 갈변을 억제시킨 다음 물기를 제거한다.
그리고, 연근의 물과 설탕을 1:1 비율로 혼합한 설탕용액, 25℃에서 18시간~24시간 동안 당침 단계를 거친 후 당침한 연근을 80~85℃에서 96~120시간 동안 진행하는 숙성한다.
이를 통해, 연근의 뮤신이 당질과 결합된 복합단백질의 성분을 갖아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과 위벽보호 및 해독작용을 갖는 성분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근 슬라이스를 열수에 데침 과정이 이후 꺼낸 연근 슬라이스를 차가운 물에 급냉시켜 열에 의해 물러진 연근 외피가 아삭한 맛이 느껴지는 정도의 미감을 갖도록 하고, 연근의 점액인 뮤신를 젤 형태로 전환시켜 점도의 낮춤으로써, 연근의 수분 함유량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연근의 고유의 성분과 수분을 보호하여 연근 자체의 미감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연근은 함유된 효소적 갈변을 통해 산화 작용이 발생하여 점진적으로 갈색으로 변화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갈변 현상이 발생하면 연근의 가장자리부터 엷은 남색으로 변하면서 곰팡이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갈변 방지 처리된 연근 슬라이스에 함유된 전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거친다.
여기서, 연근 슬라이스 두께별로 전분 함유량이 다르다.
상기 전분의 함유량이 중요한 이유는, 전분에 의해 연근 특유의 텁텁한 식감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연근은 분말화한다.
이를 위해, 슬라이스된 연근을 70℃에서 4시간 열풍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150mesh 이하의 연근 분말을 제조한다.
이때, 연근을 분말화 시키는 방법들 중에서 동결건조방법에 의한 연근분말 제조는 생산성이 낮고 생산단가가 높으며, 갈변방지와 표백에 사용하는 성분인 아황산나트륨 전처리 방법은 인체 자극 및 소비자의 선호도 저하, 사용 효과의 미흡으로 인해 분말을 제조하기에 부적합하다.
따라서 제조단가가 낮고,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방법으로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을 제조하여 초산, 피틴산으로 처리하여 건조 중 갈변을 최소화하는 것이 적합하다.
기능성으로 보면, 연근 슬라이스에서 전분을 최대한 제거하여 연근 특유의 식감을 제거하여 절임 특유의 풍미감과 식감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연근 슬라이스는 적정 두께로 적용하여 차후 초 절임 이후 건조 및 분말화시켜 전분을 최소한으로 함유시켜 연근 특유의 잡내와 텁텁한 식감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연근분말, 연잎분말, 강력분으로 배합하여 호떡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호떡조성물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와, 상기 반죽을 원형으로 성형한 다음 중앙 상부면에 믹스조성물을 넣고 반죽을 납작하게 감싸는 호떡의 성형단계와, 성형한 호떡의 냉동 보관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연근분말 및 연잎분말을 제조한 후에는 강력분과 배합하여 호떡조성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이후, 상기 호떡조성물은, 강력분 40.6중량부, 변성전분 11.9중량부, 연근분말 8중량부, 연잎분말 4중량부, 설탕 3중량부,이스트 2중량부, 정제염 1중량부, 베이킹파우더 1중량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정제수 40℃에 호떡조성물을 넣어 반죽하여 1시간 동안 실온에 보관한다.
다음으로, 상기 반죽을 원형으로 성형한 다음 중앙 상부면에 믹스조성물을 넣고 반죽을 납작하게 감싸는 호떡의 성형단계를 거친다.
여기서, 상기 믹스조성물은 2가지 실시예로 마련된다.
제1실시예는 흑설탕 53.3중량부, 숙성연근분말 5.8중량부, 땅콩 7.2중량부, 해바라기씨 3.6중량부, 계피분말 1.1중량부, 정제수 29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는 상기 믹스조성물은 흑설탕 43.9중량부, 연근 17.9중량부, 숙성연근분말 3.6중량부, 땅콩 3.6중량부, 해바라기씨 1.4중량부, 정제수 28.6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실시예1>
연근의 가공방법 차이에 따른 호떡설탕믹스의 비교는 아래 표와 같다.
제품 숙성연근분말 첨가 호떡설탕믹스 생연근 첨가 호떡설탕믹스




사 진


배합비율

숙성연근분말 5.8%, 흑설탕 53.3%, 땅콩 7.2%, 해바라기씨 3.6%, 계피분말 1.1%, 정제수 29%

연근 17.9%, 숙성연근분말 3.6%, 흑설탕 43.9%, 땅콩 3.6%, 해바라기씨 1.4%, 정제수 28.6%

제조방법

배합 → 혼합 → 가열 → 냉각 → 성형(지름 3cm납작원형으로 성형)

배합 → 혼합 → 가열 → 냉각 → 성형(지름 3cm납작 원형으로 성형)

성상

진한갈색의 연근,견과류 등이 함유된 반원형태

진한갈색의 생연근,견과류 등이 함유된 농축액상 형태
상기 [표 1]과 같이, 숙성연근분말과 생연근의 첨가 형태에 따라 점도에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해, 숙성연근분말 첨가한 호떡설탕믹스는 연근분말의 점성이 높아 액상농축의 뭉쳐지는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여 호떡을 제조할 때 성형이 쉽고 숙성연근분말, 흑설탕, 견과류의 식감과 향이 조화로움 효과가 있다.
숙성연근분말을 첨가시 호떡설탕믹스의 단맛, 식감, 관능개선 효과가 있다.
또한, 생연근 첨가 호떡설탕믹스는 생연근의 아삭함과 견과류의 식감이 우수하고 단맛, 향미가 조화로움이 있고, 생연근을 첨가시 기존과 차별화된 제품개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2>
숙성연근분말 및 생연근 첨가에 따른 연근 호떡의 비교는 아래 표와 같다.
비 교 숙성연근분말 생연근
제품
설명
숙성연근분말을 첨가한 호떡 생연근을 첨가한 호떡





사 진




수분 41±1% 43±1%

관능
특징
원형의 반죽안에 단맛과 향미가 우수한 연근, 견과류의 씹힘성이 조화로운 연근호떡 원형의 반죽안에 연근의 아삭한 식감, 견과류의 씹힘성이 조화로운 연근호떡
실시예1의 숙성연근분말을 첨가한 호떡으로 연근을 첨가한 호떡반죽믹스에 숙성연근분말, 견과류, 설탕 등을 혼합한 설탕믹스를 반죽하여 호떡으로 제조가공하여 수분함량은 41%, 숙성연근의 단맛과 향미가 우수하고 식감은 쫀득하며 부드러워 관능적 특성이 우수하다.
실시예2의 생연근을 첨가한 호떡으로 연근을 첨가한 호떡반죽믹스에 생연근, 견과류, 설탕 등을 혼합한 설탕믹스를 반죽하여 호떡으로 제조가공하여 수분함량은 43%, 생연근의 아삭한 식감과 향미, 단맛이 우수하고, 반죽이 쫀득하고 부드러우며 관능적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연근 호떡의 영양성분 분석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시험항목 결과 단위
열량 228 kcal/100g
탄수화물 47.6 g/100g
당류 15 g/100g
단백질 6.1 g/100g
지방 1.5 g/100g
트랜스지방 0 g/100g
포화지방 2 g/100g
콜레스테롤 불검출 mg/100g
나트륨 241.2 mg/100g
결과적으로 연근분말, 밀가루, 변성전분의 배합비율에 따라 호떡반죽 믹스의 품질특성에 차이에 따라 개발하였고, 생연근을 첨가한 연근호떡이 기존의 호떡에 비해 식감, 찰진정도, 향미, 씹힘성이 우수하여 선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냉동생지로 보관하여 가정에서 간편하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연을 활용한 연근호떡의 개발은 시흥을 대표하는 간식거리의 부재 및 간편하고 건강한 식재료를 추구하는 소비트렌드에 맞춰 고급냉동식품으로 개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8)

  1. 연근분말, 연잎분말, 강력분으로 배합하여 호떡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호떡조성물에 정제수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와,
    상기 반죽을 원형으로 성형한 다음 중앙 상부면에 믹스조성물을 넣고 반죽을 납작하게 감싸는 호떡의 성형단계와,
    성형한 호떡의 냉동 보관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근분말은,
    연근 세척단계,
    연근 박피단계,
    연근의 물과 설탕을 1:1 비율로 혼합한 설탕용액, 25℃에서 18시간~24시간 동안 당침단계,
    당침한 연근을 80~85℃에서 96~120시간 동안 진행하는 숙성단계,
    숙성 연근을 70~75℃에서 36시간 동안 행하는 건조단계,
    건조단계를 통해 연근의 수분 4% 이내에서 100 mesh 이상으로 분쇄하는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이 함유된 호떡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떡조성물은,
    강력분 40.6중량부, 변성전분 11.9중량부, 연근분말 8중량부, 연잎분말 4중량부, 설탕 3중량부,이스트 2중량부, 정제염 1중량부, 베이킹파우더 1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이 함유된 호떡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믹스조성물은,
    흑설탕 53.3중량부, 숙성연근분말 5.8중량부, 땅콩 7.2중량부, 해바라기씨 3.6중량부, 계피분말 1.1중ㄹ야부, 정제수 29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이 함유된 호떡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믹스조성물은,
    흑설탕 43.9중량부, 연근 17.9중량부, 숙성연근분말 3.6중량부, 땅콩 3.6중량부, 해바라기씨 1.4중량부, 정제수 28.6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이 함유된 호떡 제조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 40℃에 호떡조성물을 넣어 반죽하여 1시간 동안 실온에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이 함유된 호떡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냉동보관은 -20℃에서 호떡을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이 함유된 호떡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연근이 함유된 호떡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호떡.











KR1020210108062A 2021-08-17 2021-08-17 연근이 함유된 호떡 제조방법 Active KR102704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062A KR102704731B1 (ko) 2021-08-17 2021-08-17 연근이 함유된 호떡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062A KR102704731B1 (ko) 2021-08-17 2021-08-17 연근이 함유된 호떡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583A KR20230026583A (ko) 2023-02-27
KR102704731B1 true KR102704731B1 (ko) 2024-09-11

Family

ID=85329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062A Active KR102704731B1 (ko) 2021-08-17 2021-08-17 연근이 함유된 호떡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47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71713A (ko) 2023-11-15 2025-05-22 마성호 연근 외피부 분말 및 사과껍질 분말 함유 식품 첨가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595B1 (ko) * 2007-02-07 2009-08-19 주식회사 복소문 호떡 반죽물
KR101066728B1 (ko) * 2009-01-12 2011-09-21 탁형훈 야채 카레 호떡
KR20170135096A (ko) 2016-05-30 2017-12-08 황성태 호떡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583A (ko) 202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093B1 (ko) 즉석죽용 식품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5188B1 (ko) 홍시를 함유한 곶감 떡의 제조방법
KR102704731B1 (ko) 연근이 함유된 호떡 제조방법
CN105768058A (zh) 一种鸡枞菌香菇菜肴的全素制作方法及该方法得到的菜肴
CN107183119A (zh) 一种抹茶面包及其制作方法
KR20170019396A (ko) 즉석 연근 떡국 및 그 제조방법
KR102829367B1 (ko) 매운 김치가 들어간 만두소를 이용한 만두의 제조 방법
KR102709951B1 (ko) 홍시찹쌀떡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23558B1 (ko) 흑미영양찰약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흑미영양찰약밥
KR101295682B1 (ko) 잡곡을 이용한 삼계죽의 제조방법
KR20230026095A (ko) 연근이 함유된 만두 제조방법
KR20150043660A (ko) 명태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명태찜
KR20170089793A (ko) 현미 및 연근 이용한 돈가스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82974A (ko) 인조육을 제조하는 방법
KR101895267B1 (ko) 연잎 부각 제조방법
KR101711334B1 (ko) 발효 양파의 제조방법
KR102613704B1 (ko) 새우를 이용한 즉석식품의 제조방법
KR102398679B1 (ko) 가래떡 핫도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가래떡 핫도그
KR102525203B1 (ko) 표고버섯과 능이버섯을 이용한 뻥튀기 쌀의 제조방법
KR102793788B1 (ko) 빵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60696B1 (ko) 한방장각치킨 수제비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해 제조된 한방장각치킨 수제비
KR102633322B1 (ko) 한우사골 떡국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한우사골 떡국
KR102823744B1 (ko) 당근 잎을 포함한 채소전의 제조 방법
KR102763357B1 (ko) 쌀가루를 이용한 곡물 크래커 제조방법
KR102820778B1 (ko) 양념 돼지껍데기 가공식품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양념 돼지껍데기 가공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