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03994B1 -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3994B1
KR102703994B1 KR1020240019661A KR20240019661A KR102703994B1 KR 102703994 B1 KR102703994 B1 KR 102703994B1 KR 1020240019661 A KR1020240019661 A KR 1020240019661A KR 20240019661 A KR20240019661 A KR 20240019661A KR 102703994 B1 KR102703994 B1 KR 102703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metric drawing
file
isometric
memory unit
revi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19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환
최예일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주)씨에스토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스토탈 filed Critical (주)씨에스토탈
Priority to KR1020240019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3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3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399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2Geometric CAD characterised by design ent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AD, e.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8Network design, e.g. design based on topological or interconnect aspects of utility systems, piping,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HVAC] or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94Calculation of difference between 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9Recognition using electronic means
    • G06V30/19007Matching; Proximity measures
    • G06V30/19093Proximity measures, i.e. similarity or distance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9Recognition using electronic means
    • G06V30/191Design or setup of recognition systems or techniques; Extraction of features in feature space; Clustering techniques; Blind source separation
    • G06V30/19173Classific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2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based on the type of document
    • G06V30/422Technical drawings; Geographical ma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12Symbolic schema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시스템은 원본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이 저장되는 제1메모리부,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이 저장되는 제2메모리부, 제1메모리부와 제2메모리부에 저장된 파일명을 비교하여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수정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 모듈, 비교 모듈에 의하여 수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아이소메트릭 도면 쌍의 파일 데이터를 읽어 문자형 객체를 분류하고, 이중에서 속성 정보가 상호 불일치하는 문자형 객체를 선별하여,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불일치 문자형 객체의 속성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개정 내용 식별 모듈, 개정 내용 식별 모듈에서 도출된 불일치 문자형 객체의 속성 정보 리스트 내의 속성 값을 기반으로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에 해당 불일치 문자형 객체를 둘러싸는 도형의 객체를 부가함으로써 마킹 표시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을 생성하는 마킹 표시 생성 모듈 및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을 읽어 이를 화면에 표출하는 도면 표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 개정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도면 개정 내용 표시 인적 오류를 획기적으로 저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marking revised contents in isometric drawings}
본 발명은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아이소메트릭 도면에 수정이 이루어졌을 경우, 도면 파일에서 문자형 객체의 속성 차이를 추출하여 그 속성 기반으로 문자형 객체를 둘러싸는 도형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개정된 마킹 표시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관 입체도면(Isometric Drawing)은 플랜트 배관시스템을 2차원 평면도면에 3차원(3D) 형식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배관 입체 도면 또는 등각투영 도면으로도 불리며, 이하에서는 이를 아이소메트릭 도면이라 지칭한다. 이하 설명에서 특별한 한정이 없는 도면은 아이소메트릭 도면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아이소메트릭 도면은 배관 형상, 배관 치수, 배관 자재 등을 표현하는 배관 설계 결과물이며 플랜트 배관 자재산출, 시공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된다.
최근 배관설계 시에는 플랜트 기기배치, P&ID(Pipe and Instrumentation Diagram), 배관 설계기준, 배관 재질, 관련 Code 등을 참조하여 배관경로를 설정하고,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배관형상(piping configuration)과 배관 정보를 입력하고 있다. 실무에서는 S3D, E3D, REVIT, PDS 등 여러 가지 3D 모델링 프로그램이 사용되고 있다. 3D 배관 모델링에서는 배관, 배관 피팅(Fitting), 밸브 등의 배관형상과 함께 입력되는 배관 정보는 라인 번호(Line No.), 배관 재질, 배관 크기, 배관 등급, 배관/피팅 접합 방식, 배관 설계 온도, 배관 운전 온도, 배관 설계 압력, 배관 시험 압력, 배관 청결도, 단열재 적용 여부, 재질 및 두께, 스풀 번호(Spool No.), 배관 표면 처리 및 도색 사양, 작동유체, 비파괴검사 유형 등이 포함된다.
3D 배관 모델링에서 배관 형상과 배관 정보 입력이 마무리된 이후에는 배관설계 결과를 현장 배관 공사, 자재 발주 등 설계 이후의 공정에 사용할 수 있도록 평면화된 도면인 아이소메트릭 도면을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3D 배관 모델링 프로그램에 내장되거나 연계 작동되는 아이소메트릭 도면 생성 프로그램, 소위 ‘ISO Generator’가 이용된다. ISO Generator를 통하여 생성된 아이소메트릭 도면에는 지정된 회사별 도면 양식에 따라 3D 모델에 입력된 앞서 언급된 각종 정보와 함께 배관형상 그림, 기호와 문자로 기재된다. 또한 배관 자재, 수량 등을 나타내는 자재명세(Bill of Material)가 도면 상에 표와 문자로 기재된다.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형식은 .dwg, .dws, .dwt 등 여러 가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실무에서는 AutoCAD를 이용할 수 있는 .dwg 파일이 널리 사용되며, 본 발명에서도 이를 기준으로 설명된다.
위와 같이 작성된 아이소메트릭 도면은 설계변경으로 인한 배관 배치 변경, 자재 및 자재 특성 변경, 기기 변경에 따른 배관 내 유체변경, 온도, 압력 변경, 배관-배관, 배관 핏팅 접합방법 변경 등 다양한 원인들로 인하여 도면 내의 배관의 형상, 배관정보가 수정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도면 수정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먼저 3D 배관 모델링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3D 모델에서 배관의 형상과 배관 정보를 수정한 후에 ISO Generato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정된 아이소메트릭 도면을 생성시킨다. 수정된 아이소메트릭 도면을 시공이나 자재 발주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수정전의 아이소메트릭 도면과 비교해서 변경된 사항을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구름모양의 폐곡선으로 변경부분 주위를 둘러싸는 구름 마크(Cloud Mark)를 그려주고 삼각형 내부에 개정번호를 적어주는 개정 번호 표식을 기재한다. 이러한 표식을 통해 수정 후의 개정 아이소메트릭 도면에서 변경 내용을 용이하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개정된 도면의 변경사항을 도면에서 찾아내고 수정한 부분이 정확한지 확인하고 미비한 부분은 문자편집기를 이용하여 문자를 수정하고, 기호 수정 사항을 수작업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내용에 대하여 개정되었음을 표시하는 개정 표식과, 개정 범위를 나타내는 개정 영역표기를 해주는 작업은 배관 설계 작업에 참여한 작업자에 의하여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종래의 수정방법은 도면을 화면에 불러와서 작업자가 육안으로 직접 도면을 서로 비교하여 변경사항을 찾아내고 이를 작업자가 개정 영역표기를 직접 수작업으로 변경하는 방법이어서, 프로젝트 도면 수가 수백장 내지 수천장에 이르면 감당하기 어려운 작업시간이 소요될 뿐 만 아니라, 작업자의 부주의 또는 숙련도 부족 등으로 인하여 개정사항이 정확하게 표시되지 못할 우려가 있어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품질 및 신뢰성 저하의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불완전한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생산 및 납품으로 인하여 시공 현장에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치명적인 오시공의 우려가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제10-1999-0068619호
종래에는 아이소메트릭 도면에 대한 개정 사항 표시를 위하여 도면을 화면에 띄우고 육안 대조 확인 및 수작업 표시에 의존하였으므로, 그 과정에서 인적오류가 발생될 가능성이 상존하였고, 상당한 시간적 및 인적 비용 소요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해소를 위하여, 아이소메트릭 도면에 대한 개정 사항 표시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시스템은 원본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이 저장되는 제1메모리부,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이 저장되는 제2메모리부, 제1메모리부와 제2메모리부에 저장된 파일명을 비교하여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수정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 모듈, 비교 모듈에 의하여 수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아이소메트릭 도면 쌍의 파일 데이터를 읽어 문자형 객체를 분류하고, 이중에서 속성 정보가 상호 불일치하는 문자형 객체를 선별하여,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불일치 문자형 객체의 속성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개정 내용 식별 모듈, 개정 내용 식별 모듈에서 도출된 불일치 문자형 객체의 속성 정보 리스트 내의 속성 값을 기반으로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에 해당 불일치 문자형 객체를 둘러싸는 도형의 객체를 부가함으로써 마킹 표시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을 생성하는 마킹 표시 생성 모듈 및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을 읽어 이를 화면에 표출하는 도면 표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시스템은 마킹 표시 생성 모듈이 부가하는 도형의 객체가 사각형 객체 또는 구름 마크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시스템은 부가되는 사각형 객체 또는 구름 마크 객체를 정의하기 위하여 불일치 문자형 객체의 속성 중 적어도 문자 내용의 문자 개수, 회전 및 좌표 값을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시스템의 마킹 표시 생성 모듈은 생성된 마킹 표시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을 제3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시스템의 비교 모듈은 제1메모리부와 제2메모리부에 저장된 파일명이 동일하거나, 파일명의 식별부가 동일한 경우에 해당 아이소메트릭 도면이 개정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시스템의 비교 모듈은 제2메모리부에 저장된 파일명이 제1메모리부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해당 도면을 새롭게 생성된 신규 도면으로 판단하고, 제1메모리부에 저장된 파일명이 제2메모리부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해당 도면은 개정 사항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시스템의 개정 내용 식별 모듈은 불일치 문자형 객체의 수를 해당 도면에 대한 개정 사항 개수 로그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방법은 원본 아이소메트릭 도면을 제1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1저장 단계,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을 제2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2저장 단계, 제1메모리부와 제2메모리부에 저장된 파일명을 비교하여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수정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 단계, 수정이 이루어진 아이소메트릭 도면 쌍의 파일 데이터를 읽어 문자형 객체를 분류하고, 이중에서 속성 정보가 상호 불일치되는 문자형 객체를 선별하여,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불일치 문자형 객체의 속성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개정 내용 식별 단계, 및 개정 내용 식별 단계에서 도출된 불일치 문자형 객체의 속성 값을 기반으로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에 해당 불일치 문자형 객체를 둘러싸는 도형의 객체를 부가함으로써 마킹 표시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을 생성하는 마킹 표시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마킹 표시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마킹 표시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을 제3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3저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비교 단계에서 제1메모리부와 제2메모리부에 저장된 파일명이 동일하거나, 파일명의 식별부가 동일한 경우에 해당 아이소메트릭 도면이 개정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마킹 표시 생성 단계에서 부가되는 도형의 객체는 사각형 객체 또는 구름 마크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부가되는 사각형 객체 또는 구름 마크 객체를 정의하기 위하여 불일치 문자형 객체의 속성 중 적어도 문자 내용의 문자 개수, 회전 및 좌표 값을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의 화면 표출 없이도 자동으로 수정된 부분이 마킹 표시된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을 생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면 개정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도면의 문자 변경 내용을 자동 식별함으로써 도면 개정 내용 표시에 있어서 인적 오류를 획기적으로 저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마킹 표시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별도의 제3메모리부에 저장함으로써 개정 도면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개정 도면의 개정 사항 개수를 로그에 자동으로 기록함으로써 수정 개소 발생량 관리의 효용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2는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문자 객체의 속성 값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3은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에 마킹 표시가 부가된 상황을 설명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부가 생성되는 사각형 객체의 꼭짓점 좌표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부가 생성되는 사각형 객체 속성창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방법의 단계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간략화 되었으며,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메모리부(110), 제2메모리부(120), 비교 모듈(200), 개정 내용 식별 모듈(300), 마킹 표시 생성 모듈(400) 및 도면 표출 모듈(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3메모리부(130)가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듈이라 함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기능 단위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모듈은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는 독립된 소프트웨어 단위로 존재하거나 복수의 소프트웨어 단위에 분산되어 존재할 수 있다. 도1에 표시된 화살표는 본 발명의 구성단위 사이의 정보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제1메모리부(110)에는 하나 이상의 원본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이 저장되는 저장소이며 제2메모리부(120)에는 하나 이상의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이 저장된다. 이들 메모리부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통상 디렉터리(directory)로 구현된다.
여기서 원본 아이소메트릭 도면이란 어느 한 프로젝트에 있어서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기존에 생산되어 있는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집합이며,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이란 특정 시점 이후에 수정이 이루어진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집합을 말한다.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에는 이후에 설명될 마킹 표시가 되지 않은 상태이다.
비교 모듈(200)은 제1메모리부(110)와 제2메모리부(120)에 저장된 파일명을 비교하여 메모리부에 저장된 도면의 수정 여부를 판단한다.
비교 모듈(200)은 제1메모리부(110)와 제2메모리부(120)에 저장된 파일명이 동일하거나, 파일명의 식별부가 동일한 경우에 해당 아이소메트릭 도면이 개정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파일명은 파일명 조합 체계에 의하여 명명되는데, 파일명 조합 체계란 아이소메트릭 도면 명칭에 적용되는 약속된 작명 규칙으로서 통상적으로 배관의 Line 정보, Sequence 번호, Sheet 번호를 조합하여 고유의 식별부를 구성하게 되고 여기에 구분 기호 등이 부가될 수 있다. 구분 기호는 ver1, v2, rev4, r5, new 등과 같이 원본 파일명과의 구분을 위하여 추가되는 부가부이다. 예를 들어 원본 파일이 “CS-100-P-001.dwg”인 경우, 대응되는 수정 도면 파일은 예를 들어 “CS-100-P-001-ver1.dwg”와 같이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메모리부(110)와 제2메모리부(120)는 통합된 하나의 메모리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원본 도면 파일명과 수정 도면 파일명은 동일한 식별부를 갖되 부가부를 다르게 지정함으로써 별개의 파일명으로 하나의 디렉터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파일 명명 방식은 아이소메트릭 도면 생성 프로그램에 세팅하여 파일명 조합 체계에 따라 파일명이 자동으로 부여되도록 한다.
비교 모듈(200)은 제2메모리부(120)에 저장된 파일명이 제1메모리부(110)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해당 도면을 새롭게 생성된 신규 도면(new drawing)으로 판단하고, 해당 도면에 대한 후속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제1메모리부(110)에 저장된 파일명이 제2메모리부(120)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해당 도면은 개정 사항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도면에 대한 후속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개정 내용 식별 모듈(300)은 비교 모듈(200)에 의하여 수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도면 쌍(pair)에 대하여 해당 파일의 데이터를 읽어, 문자(text)형 객체(object)를 분류해 내고, 이중에서 속성 정보가 상호 불일치하는 문자형 객체를 선별하여, 수정 도면의 불일치 문자형 객체들의 속성 정보 리스트를 생성한다.
아이소메트릭 도면에서 객체의 형태는 예를 들어 선(line), 원(circle), 타원(ellipse), 사각형(square), 삼각형(triangle), 문자(text) 등 다양하게 있으며, 이들 객체 형태의 특성에 따라 규정된 메타데이터 사양(specification)에 의하여 각각 다른 속성 체계가 적용된다. 도2는 아이소메트릭 도면에서 선택된 문자 객체에 대하여 속성 체계 및 속성 값을 보여주는 속성창 예시 화면이다. 도2에서 메인 창에 적색선으로 표시된 선택된 문자 객체에 대한 속성 값은 내용(content)이 “EL.29746”이고, 그 외에 자리맞추기(alignment), 높이(height), 회전(rotation), 폭비율(width ratio), 기울기(slant), X 위치(X-coordinate), Y 위치(Y-coordinate), Z 위치(Z-coordinate) 등의 값들을 확인할 수 있다.
속성 정보 리스트는, 예컨대, 순차적으로 출현하는 불일치 문자형 객체들에 대하여 속성 값을 구분가능하게 나열한 문자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원본 도면 및 수정 도면의 속성 정보 리스트를 비교함으로써 용이하게 불일치 문자형 객체들의 속성 정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마킹 표시 생성 모듈(400)은 개정 내용 식별 모듈(300)에서 도출된 불일치 문자형 객체의 속성 정보 리스트 내의 속성 값을 기반으로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에 해당 불일치 문자형 객체를 둘러싸는 도형의 객체를 부가함으로써 마킹 표시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을 생성한다.
도3은 앞서 도2의 문자형 객체“EL.29746”이 “EL.30000”으로 수정된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이것이 불일치 문자형 객체로 선별되어 이를 둘러싸는 사각형 객체인 보라색 박스(box)가 부가된 사례의 화면을 예시한다.
불일치 문자형 객체를 둘러싸는 도형의 객체는 사각형 형태 외에도 원, 타원 형태 등의 폐쇄형 도형을 사용할 수 있으나, 화면에서 수정된 문자형 객체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한, 반드시 폐쇄형 도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불일치 문자형 객체를 둘러싸는 도형의 객체는, 특히, 실무에서 수정 부분을 표시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구름 마크(cloud mark) 객체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부가되는 사각형 객체 또는 구름 마크 객체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불일치 문자형 객체의 속성 중 적어도 문자 내용의 문자 개수(number of characters in text content), 회전, 좌표 값을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사각형 객체를 화면에 정의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대각 방향의 두 꼭짓점의 좌표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도3에서 불일치 문자형 객체에 대해서 X 위치 334.432013, Y 위치 148.232298, 문자 내용(content)“EL.30000”, 높이 3.2, 폭비율 0.84375, 회전 30도, 기울기 30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된 불일치 문자형 객체에 대한 속성 정보 리스트로부터 용이하게 취득된다.
도4를 참조하여 기하학적으로 설명하면, X 위치 및 Y 위치에 의하여 주어지는 문자열의 좌하단 기준점의 좌표 (Xo,Yo)는 (334.432013, 148.232298)이며, 문자 내용(content)“EL.30000”로부터 문자 개수(N)는 8개, 개별 문자의 높이(H)는 3.2, 기울기(S)는 30도, 폭(W)은 R*H*cos(S)=0.84375*3.2*cos(30), 문자열 회전각(θ)이 30도로 주어질 때, 문자열의 우상단 대각점 좌표 (Xd,Yd)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Xd = Xo + [N*R*H*cos(S)]*cos(θ)
= 334.432013 + [8*3.2*0.84375*cos(30)]*cos(30)
= 350.6320132
Yd = Yo + [N*R*H*cos(S)]*sin(θ) + H
= 148.232298 + [8*3.2*0.84375*cos(30)]*sin(30) + 3.2
= 160.7853723
이제 X-방향 여백 마진(ΔX)과 Y-방향 여백 마진(ΔY)을 적용하여 사각형 객체의 보라색 박스(box)의 좌하단(lower-left) 꼭짓점 (Xll,Yll)과 우상단(upper-right) 꼭짓점 (Xur,Yur)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Xll = Xo - ΔX = 334.432013 - 2.539008 = 331.893005
Y11 = Yo - ΔY = 148.232298 - 2.539008 = 145.69329
Xur = Xd + ΔX = 350.6320132 + 2.539008 = 353.1710212
Yur = Yd + ΔY = 160.3566536 + 2.539008 = 163.3243803
이와 같이 2개의 대각 꼭짓점 좌표가 결정되면 아이소메트릭 도면에서 불일치 문자형 객체를 둘러싸는 사각형 도형의 위치와 크기가 규정될 수 있다.
도5는 도3에서 사각형 객체인 보라색 박스(box)가 선택되어 해당 객체의 속성창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위에서 예시한 X11 및 Y11의 값이 각각 사각형 객체의 정점 X 및 정점 Y의 속성 값으로 배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면적 및 길이 속성 값도 대각의 꼭짓점 좌표값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앞에 설명된 계산 방법은 불일치 문자형 객체를 둘러싸는 사각형 도형을 결정하는 한 예로서 제시된 것이며, 그 외에 다양한 변형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불일치 문자형 객체를 둘러싸는 구름 마크 객체를 정의하는 방법도 앞서와 유사한 방식으로서 불일치 문자형 객체의 속성 중 문자 내용의 문자 개수, 회전, 좌표 값 등을 활용하여 구름 마크 객체의 위치, 크기,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마킹 표시 생성 모듈(400)은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에 불일치 문자형 객체를 둘러싸는 도형의 객체를 부가함으로서 마킹 표시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별도의 제3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로써 개정 도면 관리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면 표출 모듈(500)은 도면 파일을 읽어 이를 화면에 표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면 표출 모듈(500)은 제3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마킹 표시 아이소메트릭 도면 뿐 아니라, 제1메모리부(110) 및 제2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원본 아이소메트릭 도면 및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을 화면에서 비교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개정 내용 식별 모듈(300)은 발견된 불일치 문자형 객체의 수를 해당 도면의 개정 사항 개수 로그에 자동으로 기록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수정 개소 발생량 관리에 효율을 기할 수 있다.
앞에서 도2, 도3 및 도5와 같이 실제 화면을 예시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에서 마킹 표시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도면을 화면에 표출할 필요는 전혀 없으며, 이러한 점은 본 발명의 효과를 극대화 시켜주는 장점중의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처럼 원본 아이소메트릭 도면 및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을 화면상에 표출한 후 육안으로 그 차이점을 확인하여 수정 부분을 마킹 표시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은 도면의 화면 표출 없이 자동으로 수정된 부분이 마킹 표시된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을 생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면 개정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개정 내용 식별 시에 문자형 객체만을 대상으로 속성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여 불일치 여부를 비교하는 이유는 아이소메트릭 도면이 Non-scale 도면이며, 시공에 필수적인 배관의 형상 및 배관정보가 모두 문자형 객체로 도면에 표시되기 때문이다. 즉, Non-scale 도면에서는 예를 들어 설령 특정 부분의 선의 길이가 도면 상에서 변경되었더라도 반드시 해당 선의 설계 길이가 변경되었다고 단정할 수 없으며, 해당 선에 실제로 변경사항이 없어도 기타 다른 변수와의 관계에서 해당 선이 그려질 배치 공간에 비례하여 외견 표출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외견 표출 형상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신구 도면을 비교하여 실제적 개정 부분을 찾아내는 것이 한층 어렵게 될 수 있어 개정 내용 표시에 인적 오류 가능성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한편, 도면에서 치수, 좌표, Tag No., 자재명세서 정보, Line정보, Contractor정보 등 모든 의미 있는 정보는 문자로 표현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도면의 문자 변경 내용을 식별하면 실제의 변경 내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자동화함으로써 도면 개정 내용 표시에 있어서 인적 오류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시스템을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이에 상응하는 방법을 시계열적인 관점에서 설명한다. 방법에 대한 상세 기술 내용은 공통되는 경우 시스템에 대한 내용으로 갈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방법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 제1저장 단계, (S2) 제2저장 단계, (S3) 비교 단계, (S4) 개정 내용 식별 단계 및 (S5) 마킹 표시 생성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S1) 제1저장 단계에서는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으로 3차원 배관 모델을 작성하고 아이소메트릭 도면 생성 프로그램(ISO Generato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원본 아이소메트릭 도면을 생성하여 이를 제1메모리부(110)에 저장한다.
(S2) 제2저장 단계에서는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으로 수정된 3차원 배관 모델을 작성하고 ISO Generato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을 생성하여 이를 제2메모리부(120)에 저장한다.
(S3) 비교 단계에서는 제1메모리부와 제2메모리부에 저장된 파일명을 비교하여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수정 여부를 판단한다.
본 단계에서는 제1메모리부(110)와 제2메모리부(120)에 저장된 파일명이 동일하거나, 파일명 식별부가 동일한 경우에 해당 아이소메트릭 도면이 개정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제2메모리부(120)에 저장된 파일명이 제1메모리부(110)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해당 도면을 새롭게 생성된 신규 도면으로 판단하고 해당 도면에 대한 후속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제1메모리부(110)에 저장된 파일명이 제2메모리부(120)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해당 도면은 개정 사항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도면에 대한 후속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S4) 개정 내용 식별 단계에서는 수정이 이루어진 아이소메트릭 도면 쌍의 파일 데이터를 읽어 문자형 객체를 분류하고, 이중에서 속성 정보가 상호 불일치되는 문자형 객체를 선별하여,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불일치 문자형 객체의 속성 정보 리스트를 생성한다.
(S5) 마킹 표시 생성 단계에서는 단계(S4)에서 도출된 불일치 문자형 객체의 속성 값을 기반으로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에 해당 불일치 문자형 객체를 둘러싸는 도형의 객체를 부가함으로서 마킹 표시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을 생성한다.
(S6) 본 발명의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방법은 단계(S5)에서 생성된 마킹 표시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을 제3메모리부(130)에 저장하는 제3저장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방법은 단계(S6)에서 저장된 마킹 표시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을 읽어 화면에 도면을 표출하여 검토하는 도면 검토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S5)에서 부가되는 도형의 객체는 사각형 객체 또는 구름 마크 객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5)에서 부가되는 사각형 객체 또는 구름 마크 객체를 정의하기 위하여 불일치 문자형 객체의 속성 중 적어도 문자 내용의 문자 개수, 회전, 좌표 값을 반영할 수 있으며, 상세한 기술 내용은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방법의 기술적 효과는 앞서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한 것과 동일하다.
위에서 개시된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위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기술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해진다. 첨부된 청구항의 균등물로의 치환은 첨부된 청구항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제1메모리부
120: 제2메모리부
130: 제3메모리부
200: 비교 모듈
300: 개정 내용 식별 모듈
400: 마킹 표시 생성 모듈
500: 도면 표출 모듈

Claims (12)

  1. 객체의 형태별로 속성 체계 및 속성 값을 갖는 도면 파일인 원본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이 저장되는 제1메모리부;
    객체의 형태별로 속성 체계 및 속성 값을 갖는 도면 파일인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이 저장되는 제2메모리부;
    상기 제1메모리부와 상기 제2메모리부에 저장된 파일명을 비교하여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수정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 모듈;
    상기 비교 모듈에 의하여 수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아이소메트릭 도면 쌍의 파일 데이터를 읽어 문자형 객체를 분류하고, 이중에서 속성 정보의 내용이 상호 불일치하는 문자형 객체를 선별하여,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불일치 문자형 객체의 속성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개정 내용 식별 모듈;
    상기 개정 내용 식별 모듈에서 도출된 불일치 문자형 객체의 속성 정보 리스트 내의 속성 값을 기반으로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에 해당 불일치 문자형 객체를 둘러싸는 도형의 객체를 부가함으로써 마킹 표시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을 생성하는 마킹 표시 생성 모듈; 및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을 읽어 이를 화면에 표출하는 도면 표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킹 표시 생성 모듈이 부가하는 도형의 객체는 문자열의 좌하단 기준점 좌표와 문자열의 우상단 대각점 좌표에 의한 대각방향의 두 꼭지점 좌표 및 X 방향 여백 마진과 Y방향 여백 마진을 적용한 2개의 대각 꼭지점 좌표인 좌하단 꼭지점과 우상단 꼭지점 좌표에 의해 정의되는 사각형 객체 이고
    상기 사각형 객체는 불일치 문자형 객체의 속성 중 적어도 문자 내용의 문자 개수, 회전 및 좌표 값을 반영한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표시 생성 모듈은 생성된 마킹 표시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을 제3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모듈은 상기 제1메모리부와 상기 제2메모리부에 저장된 파일명이 동일하거나, 파일명의 식별부가 동일한 경우에 해당 아이소메트릭 도면이 개정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모듈은 상기 제2메모리부에 저장된 파일명이 상기 제1메모리부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해당 도면을 새롭게 생성된 신규 도면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메모리부에 저장된 파일명이 상기 제2메모리부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해당 도면은 개정 사항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정 내용 식별 모듈은 불일치 문자형 객체의 수를 해당 도면에 대한 개정 사항 개수 로그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시스템.
  8. 객체의 형태별로 속성 체계 및 속성 값을 갖는 도면 파일인 원본 아이소메트릭 도면을 제1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1저장 단계;
    객체의 형태별로 속성 체계 및 속성 값을 갖는 도면 파일인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을 제2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2저장 단계;
    상기 제1메모리부와 상기 제2메모리부에 저장된 파일명을 비교하여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수정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 단계;
    수정이 이루어진 아이소메트릭 도면 쌍의 파일 데이터를 읽어 문자형 객체를 분류하고, 이중에서 속성 정보의 내용이 상호 불일치되는 문자형 객체를 선별하여,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불일치 문자형 객체의 속성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개정 내용 식별 단계; 및
    상기 개정 내용 식별 단계에서 도출된 불일치 문자형 객체의 속성 값을 기반으로 수정 아이소메트릭 도면에 해당 불일치 문자형 객체를 둘러싸는 도형의 객체를 부가함으로써 마킹 표시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을 생성하는 마킹 표시 생성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킹 표시 생성 단계에서 부가하는 도형의 객체는 문자열의 좌하단 기준점 좌표와 문자열의 우상단 대각점 좌표에 의한 대각방향의 두 꼭지점 좌표 및 X 방향 여백 마진과 Y방향 여백 마진을 적용한 2개의 대각 꼭지점 좌표인 좌하단 꼭지점과 우상단 꼭지점 좌표에 의해 정의되는 사각형 객체이고
    상기 사각형 객체는 불일치 문자형 객체의 속성 중 적어도 문자 내용의 문자 개수, 회전 및 좌표 값을 반영한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표시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마킹 표시 아이소메트릭 도면 파일을 제3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3저장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단계에서 상기 제1메모리부와 상기 제2메모리부에 저장된 파일명이 동일하거나, 파일명의 식별부가 동일한 경우에 해당 아이소메트릭 도면이 개정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240019661A 2024-02-08 2024-02-08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시스템 및 방법 Active KR102703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9661A KR102703994B1 (ko) 2024-02-08 2024-02-08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9661A KR102703994B1 (ko) 2024-02-08 2024-02-08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03994B1 true KR102703994B1 (ko) 2024-09-09

Family

ID=9275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9661A Active KR102703994B1 (ko) 2024-02-08 2024-02-08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39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3125A (ja) * 1993-01-22 1994-08-12 Toshiba Corp Cad図面変更箇所表示方法および装置
KR19990068619A (ko) 1999-06-07 1999-09-06 최두희 배관설계에사용되는아이소메트릭및스풀도면,및자재명세서자동작성장치및방법
JP2004192576A (ja) * 2002-12-13 2004-07-08 Nec Corp 図面管理装置、図面管理システム、視覚的な設計変更情報管理方法および図面変更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20130037581A (ko) * 2011-10-06 2013-04-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라인 iso 도면 출력방법
KR20190079997A (ko) * 2017-12-28 2019-07-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면 번호 인식을 통한 연결 도면 연계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3125A (ja) * 1993-01-22 1994-08-12 Toshiba Corp Cad図面変更箇所表示方法および装置
KR19990068619A (ko) 1999-06-07 1999-09-06 최두희 배관설계에사용되는아이소메트릭및스풀도면,및자재명세서자동작성장치및방법
JP2004192576A (ja) * 2002-12-13 2004-07-08 Nec Corp 図面管理装置、図面管理システム、視覚的な設計変更情報管理方法および図面変更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20130037581A (ko) * 2011-10-06 2013-04-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라인 iso 도면 출력방법
KR20190079997A (ko) * 2017-12-28 2019-07-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면 번호 인식을 통한 연결 도면 연계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996B1 (ko) Bim 기반의 건축 공사수량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045526A (zh) 一种电子建筑施工图的图形识别方法
US201500191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hanges In Building Information Models
US8160841B2 (en) Bridge information modeling
Noardo et al. Reference study of IFC software support: The GeoBIM benchmark 2019—Part I
US20140343911A1 (en) Method for Monitoring a Process and/or Production Plant
JP2002083017A (ja) 構造物変状調査支援システム
CN117392269B (zh) 一种管网图纸数据提取方法及装置
CN113888729A (zh) 船舶结构安装信息标注方法、系统、介质及电子设备
JPH11338909A (ja) 薄板金属製作設備全体にわたって設計製作情報を分配する装置と方法
Asghari et al. Developing an integrated approach to validate 3D ownership spaces in complex multistorey buildings
Pishdad et al. ANALYSIS OF 5D BIM FOR COST ESTIMATION, COST CONTROL, AND PAYMENTS.
KR102703994B1 (ko) 아이소메트릭 도면의 개정 내용 식별 및 표시 시스템 및 방법
Siejka et al. Verification technology for topological errors in official databases with case study in Poland
KR20000011770A (ko) 유체제어시스템설계장치및설계방법
US200402367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linking data across multiple files
Drozd et al. Use of BIM tools for organiza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in the aspect of work safety
CN110853016A (zh) 一种地形图出版质量自动检查方法及装置
Shih A study of 2D-and 3D-oriented architectural drawing production methods
KR100941390B1 (ko)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CN110390170B (zh) 一种燃气管网连通检查方法及管网在线编辑系统
Adamski Adjustment and implementation of CAD/CAM systems being used in Polish aviation industry
US7551180B2 (en) Graphical end conditions for roadway design
CN119169145B (zh) 结合图层属性分析的多层次图纸清理方法
JP2019105708A (ja) 入力パターンと標準パターンとの差異ごとの減点幅に基づき正誤の判定を行う文字の自動採点システムにおける減点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