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03474B1 - 유화형 액상 흘림 방지 캡 - Google Patents

유화형 액상 흘림 방지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3474B1
KR102703474B1 KR1020240011250A KR20240011250A KR102703474B1 KR 102703474 B1 KR102703474 B1 KR 102703474B1 KR 1020240011250 A KR1020240011250 A KR 1020240011250A KR 20240011250 A KR20240011250 A KR 20240011250A KR 102703474 B1 KR102703474 B1 KR 102703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cap body
pin
tube
solu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11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윤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팬
Priority to KR1020240011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3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3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34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36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applying contents to surfaces
    • B65D35/38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유화형 액상 흘림 방지 캡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튜브(20)의 상단 개방부에 결합되는 캡바디(130)와, 상기 캡바디(130)에 일측의 회동 지지부(HG)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회동 지지부(HG)를 기준으로 상기 캡바디(130)의 위쪽으로 열리거나 상기 캡바디(130)를 닫아주는 뚜껑(140)과, 상기 캡바디(13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캡바디(130)의 일측으로 연통된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화형 액상 흘림 방지 캡{Flow type liquid leakage prevention cap}
본 발명은 유화형 액상 흘림 방지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를 눌러서 액체를 사용한 뒤에 통로에서 액체가 튜브 내부로 빨려들어가서 통로에 액체가 잔류하는 경우를 방지하고 액체가 흘러내는 경우를 방지하는 새로운 구성의 유화형 액상 흘림 방지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이나 주방세제와 같이 액상의 내용물을 장입시켜 사용하는 보통의 용기는, 유출구가 관통되어 있는 용기몸체의 넥크부에 용기캡이 일체구조로 스냅 경첩되어 있거나 별도의 분리구조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몸체에서 내용물을 유출시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용기몸체의 넥크부에 스냅 경첩된 일체구조의 용기캡을 잡아당겨 분리시켜서 용기몸체의 유출구를 개방시키거나, 또는 용기몸체의 넥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분리구조의 용기캡을 회전 또는 잡아 빼내어 용기몸체의 유출구를 개방시켜 내용물을 유출시켜 사용한다.
한편, 액상의 내용물, 다시 말해,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로는 누르는 힘을 가하면 눌려지고,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데로 복원되는 튜브형 용기가 있으며, 튜브형 용기의 상단 통로를 캡으로 막아놓았다가 캡을 열고 튜브형 용기(이하, 편의상 튜브라 칭함)를 사용자가 손으로 일정 압력으로 누르면 튜브 내부에 채워져 있는 액체가 통로를 통해서 나오게 되어서 튜브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를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튜브는 통로에 액체가 잔류하고 있어서, 뚜껑으로 튜브의 통로를 막아놓더라도 통로에 잔류하고 있는 액체가 누설되는 문제가 있다. 즉, 튜브 내부의 액체를 사용한 후 뚜껑을 닫아놓아도 액체가 흘러내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60918호(2019년12월23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983282호(2019년05월22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2089289호(2020년03월10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를 눌러서 액체를 사용한 뒤에 통로에서 액체가 튜브 내부로 빨려들어가서 통로에 액체가 잔류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액체가 흘러내리는 경우를 방지하는 새로운 구성의 유화형 액상 흘림 방지 캡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튜브(20)의 상단 개방부에 결합되는 캡바디(130)와, 상기 캡바디(130)에 일측의 회동 지지부(HG)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회동 지지부(HG)를 기준으로 상기 캡바디(130)의 위쪽으로 열리거나 상기 캡바디(130)를 닫아주는 뚜껑(140)과, 상기 캡바디(13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캡바디(130)의 일측으로 연통된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형 액상 흘림 방지 캡이 제공된다.
상기 통로는, 상기 캡바디(13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튜브(20)의 내부와 연통된 1차 통로(134)와, 상기 1차 통로(134)와 내측단이 연통되고 외측단은 상기 캡바디(130)의 일측면으로 개방된 2차 통로(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통로(134)의 면적보다 상기 2차 통로(136)의 면적을 더 좁게 구성하여, 상기 튜브(20) 내부의 용액 사용 이후 튜브(20)의 압력으로 용액 재흡입 시, 상기 1차 통로(134)의 용액이 빠르게 튜브(20)로 흡입되며, 상기 2차 통로(136)의 용액이 따라 들어와서, 상기 튜브(20) 내부로 용액 재흡입시 공기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여 용액의 손실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튜브를 손으로 일정 압력으로 눌러주어서 튜브 내부의 액체를 상기 1차 통로와 2차 통로를 통해서 배출하여 사용한 이후에 사용자가 튜브를 손으로 눌러주는 힘을 해제하면, 1차 통로의 용액이 빠르게 튜브로 흡입되며, 2차 통로의 용액이 따라 들어오게 되면서 상기 1차 통로와 2차 통로에 액체가 잔류하는 경우가 방지되므로, 뚜껑으로 캡바디를 덮어준 상태에서 2차 통로에 잔류한 액체가 뚜껑과 캡바디 사이로 누설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화형 액상 흘림 방지 캡의 주요부인 뚜껑을 열어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유화형 액상 흘림 방지 캡이 튜브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뚜껑을 덮어 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뚜껑을 반절단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화형 액상 흘림 방지 캡의 확대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화형 액상 흘림 방지 캡의 확대된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보조 막음핀의 핀측 삽입 결합부에 보조 결합 핀캡이 결합되고 보조 결합 핀캡은 뚜껑의 막음부재 내부의 핀결합홀에 결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뚜껑의 내부에 구비된 이중 밀봉부재에 의해 캡바디의 상면을 밀봉적으로 닫아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화형 액상 흘림 방지 캡의 주요부인 뚜껑을 열어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유화형 액상 흘림 방지 캡이 튜브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뚜껑을 덮어 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뚜껑을 반절단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튜브(20)의 상단 개방부에 결합되는 캡바디(130)와, 상기 캡바디(130)에 일측의 회동 지지부(HG)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회동 지지부(HG)를 기준으로 상기 캡바디(130)의 위쪽으로 열리거나 상기 캡바디(130)를 닫아주는 뚜껑(140)과, 상기 캡바디(13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캡바디(130)의 일측으로 연통된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형 액상 흘림 방지 캡이다.
본 발명에서 회동 지지부(HG)는 양단부가 뚜껑(140)의 테두리부(142)와 캡바디(130)의 바디측 테두리부(132)의 외주면에 연결된 탄성 재질의 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회동 지지부(HG)는 뚜껑(140)이 캡바디(130)의 위쪽으로 열리거나 캡바디(130)의 상면을 덮어주도록 연결하는 힌지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바디(130)와 뚜껑(140)은 위에서 볼 때에 원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주요부인 1차 통로(134)와 2차 통로(136)는 타원형 통로 형상으로 구성된다. 2차 통로(136)는 상기 탭바디의 외주면에서 일부가 돌출된 2차 통로(136) 포밍 슬리브 내부에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로는, 상기 캡바디(13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튜브(20)의 내부와 연통된 1차 통로(134)와, 상기 1차 통로(134)와 내측단이 연통되고 외측단은 상기 캡바디(130)의 일측면으로 개방된 2차 통로(136)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1차 통로(134)의 면적보다 상기 2차 통로(136)의 면적을 더 좁게 구성하여, 상기 튜브(20) 내부의 용액 사용 이후 튜브(20)의 압력으로 용액 재흡입 시, 상기 1차 통로(134)의 용액이 빠르게 튜브(20)로 흡입되며, 상기 2차 통로(136)의 용액이 따라 들어와서, 상기 튜브(20) 내부로 용액 재흡입시 공기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여 용액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1차 통로(134)의 면적보다 2차 통로(136)의 면적을 더 좁게 구성한다는 것의 의미는 상기 1차 통로(134)의 단면적보다 2차 통로(136)의 단면적을 더 좁게 구성한다는 것이다. 즉, 1차 통로(134)의 면적보다 2차 통로(136)의 면적을 더 좁게 구성한다는 것의 의미는 1차 통로(134)의 직경에 비하여 2차 통로(136)의 직경이 더 작도록 구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1차 통로(134)는 상기 캡바디(130)의 상하단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2차 통로(136)는 내측단에 비하여 외측단이 상기 캡바디(130)의 상단부 방향 쪽으로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2차 통로(136)가 상기 1차 통로(134)에서부터 상기 캡바디(130)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튜브(20)를 눌러주었다가 누르는 힘을 해제한 이후(즉, 사용 이후)에 상기 1차 통로(134)의 용액이 빠르게 튜브(20)로 흡입되며, 상기 2차 통로(136)에 잔류하고 있던 용액까지 따라 들어와서, 상기 튜브(20) 내부로 용액 재흡입시 공기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여 용액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 이후라 함은 상기 튜브(20)를 사용자가 일정 압력으로 눌러서 상기 튜브(20) 내부의 내용물을 상기 1차 통로(134)와 상기 2차 통로(136)를 통하여 배출하여 사용한 이후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튜브(20)를 손으로 일정 압력으로 눌러주는 힘을 해제하면, 튜브(20)가 원래의 상태로 펴질 때 작용하는 흡입 압력에 의해 용액 재흡입 시, 1차 통로(134)의 용액이 빠르게 튜브(20)로 흡입되며, 2차 통로(136)의 용액이 따라 들어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튜브(20)를 손으로 일정 압력으로 눌러주어서 튜브(20) 내부의 액체를 상기 1차 통로(134)와 2차 통로(136)를 통해서 배출하여 사용한 이후에 사용자가 튜브(20)를 손으로 눌러주는 힘을 해제하면, 1차 통로(134)의 용액이 빠르게 튜브(20)로 흡입되며, 2차 통로(136)의 용액이 따라 들어오게 되면서 상기 1차 통로(134)와 2차 통로(136)에 액체가 잔류하는 경우가 방지되므로, 뚜껑(140)으로 캡바디(130)를 덮어준 상태에서 2차 통로(136)에 잔류한 액체가 뚜껑(140)과 캡바디(130) 사이로 누설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1차 통로(134)에도 잔류한 액체도 뚜껑(140)과 캡바디(130) 사이로 누설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1차 통로(134)의 면적(즉, 1차 통로(134)의 직경)에 비하여 2차 통로(136)의 면적(즉, 2차 통로(136)의 직경)이 더 작도록 구성함으로써, 튜브(20)를 눌러서 액체 사용 이후에 튜브(20)를 누르는 힘이 해제될 때의 압력으로 원활하게 캡바디(130)의 통로에서 튜브(20) 내부에 원활하고 확실하게 액체가 빨려들어 가도록 하기 때문에, 뚜껑(140)으로 캡바디(130)를 덮어준 상태에서 액체가 뚜껑(140)과 캡바디(130) 사이로 누설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하겠다.
이때, 상기 상기 2차 통로(136)가 상기 1차 통로(134)에서부터 상기 캡바디(130)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2차 통로(136)에 잔류하고 있던 용액이 상기 캡바디(130)의 외부로 흘러내리는 경우를 최소화하고, 상기 1차 통로(134)의 용액이 빠르게 튜브(20)로 흡입될 때에 상기 2차 통로(136)에 잔류하고 있는 용액이 보다 더 원활하게 빠르게 1차 통로(134)를 통해서 상기 튜브(20)의 내부로 흡입되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상기 2차 통로(136)가 1차 통로(134)에서부터 상기 캡바디(130)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뚜껑(140)의 테두리부(142) 안쪽면에 막음부재(144)가 더 구비되어, 상기 뚜껑(140)으로 캡바디(130)를 덮어준 상태에서 상기 막음부재(144)가 2차 통로(136)를 막아주게 되므로, 튜브(20)에서 액체가 흘러나오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화형 액상 흘림 방지 캡의 확대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화형 액상 흘림 방지 캡의 확대된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보조 막음핀의 핀측 삽입 결합부에 보조 결합 핀캡이 결합되고 보조 결합 핀캡은 뚜껑의 막음부재 내부의 핀결합홀에 결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뚜껑의 내부에 구비된 이중 밀봉부재에 의해 캡바디의 상면을 밀봉적으로 닫아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뚜껑(140)의 테두리부(142) 안쪽면에 구비된 막음부재(144)는 내부에 핀결합홀(144PH)이 구비되고, 상기 핀결합홀(144PH)에 보조 막음핀(150)이 결합되어, 상기 뚜껑(140)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보조 막음핀(150)이 상기 2차 통로(136)를 막아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막음핀(150)의 기단부에 구비된 핀측 삽입 결합부(151)가 상기 막음부재(144) 내부의 핀결합홀(144PH)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막음핀(150)이 이중으로 상기 2차 통로(136)를 막아주기 때문에 상기 튜브(20) 내부에서 상기 1차 통로(134)와 2차 통로(136)로 액체가 역배출되는 경우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상기 뚜껑(140)의 테두리부(142) 안쪽면의 막음부재(144) 내부의 핀결합홀(144PH)의 내주면에는 나선형 결합홈(144NG)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막음핀(150)은 우레탄이나 실리콘 재질과 같이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 막음핀(150)의 외주면에는 나선형 돌편(152)이 구비되도록 한다. 보조 막음핀(150)의 핀측 삽입 결합부(151) 외주면에 상기 나선형 돌편(152)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보조 막음핀(150) 외주면의 나선형 결합홈(144NG)이 상기 막음부재(144) 내부의 핀결합홀(144PH) 내주면의 나선형 결합홈(144NG)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 막음핀(150)을 상기 뚜껑(140)의 테두리부(142) 안쪽면에 쉽고 빠르게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시킨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상기 보조 막음핀(150)이 자체 탄성이 있는 재질이어서 상기 뚜껑(140)을 닫을 때에 상기 보조 막음핀(150)이 탄성적으로 상기 2차 통로(136)에 쉽게 삽입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뚜껑(140)을 캡바디(130) 위로 회동시켜서 열어줄 때에는 상기 보조 막음핀(150)이 탄성적으로 상기 2차 통로(136)에서 쉽고 원활하게 빠지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보조 막음핀(150)의 선단부에는 삽입 가이드 테이퍼부(154)가 더 구비되어, 상기 뚜껑(140)을 캡바디(130)를 덮어주도록 닫을 때에 상기 삽입 가이드 테이퍼부(154)로 인하여 상기 보조 막음핀(150)이 상기 2차 통로(136)의 선단부에서 2차 통로(136)의 내부로 보다 더 원활하게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막음핀(150)의 선단부(다시 말해, 보조 막음핀(150)의 핀측 삽입 결합부(151) 외주면)에는 상기 뚜껑(140)의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과 동일한 재질의 보조 결합 핀캡(156)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 결합 핀캡(156)의 외주면에 나선형 돌편(152)이 구비되어, 상기 보조 결합 핀캡(156) 외주면의 나선형 돌편(152)이 상기 막음부재(144) 내주면의 나선형 결합홈(144NG)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 막음핀(150)을 상기 뚜껑(140)의 안쪽면에 쉽고 빠르면서도 더 편리하게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뚜껑(140)을 닫을 때에 상기 보조 막음핀(150)이 탄성적으로 상기 2차 통로(136)에 쉽게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보조 막음핀(150)이 뚜껑(140)의 테두리부(142) 안쪽면에 결합되는 부분의 강도는 확실하게 높여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막음핀(150)을 상기 나선형 결합홈(144NG)와 나선형 돌편(152)에 의해 나사식으로 상기 막음부재(144) 내부의 핀결합홀(144PH)에서 쉽게 분리 교체 가능하므로, 상기 보조 막음핀(150)의 교체시에 보다 편리하고 위생적으로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뚜껑(140)의 안쪽면에는 탄성 재질의 이중 밀봉부재(162)가 더 구비되어, 상기 뚜껑(140)을 캡바디(130)의 상면 위로 열어놓은 상태에서는 탄성 재질의 이중 밀봉부재(162)가 원래의 디스크 형상으로 탄성 복원되어 있다가 상기 뚜껑(140)을 캡바디(130)의 상면를 덮어주도록 결합한 상태에서는 상기 이중 밀봉부재(162)의 안쪽면이 상기 캡바디(130)의 상면과 상기 2차 통로(136)를 형성하는 2차 통로 포밍 슬리브(136FS)의 외주면을 탄성적으로 막아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뚜껑(140)을 캡바디(130)의 상면을 막아준 상태에서 상기 이중 밀봉부재(162)이 뚜껑(140)과 캡바디(130)의 상면 사이를 이중으로 밀봉적으로 막아주기 때문에, 상기 뚜껑(140)과 상기 캡바디(130)의 닫힘 상태에서 튜브(20) 내부의 액체가 뚜껑(140)과 캡바디(130) 사이로 누수되는 경우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튜브(20) 내부의 액체를 사용하기 적절한 온도로 항시 유지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효과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0. 튜브 130. 캡바디
132. 바디측 테두리부 134. 1차 통로
136. 2차 통로 136FS. 2차 통로 포밍 슬리브
HG. 회동 지지부 140. 뚜껑
142. 테두리부 144. 막음부재
144PH. 핀결합홀 144NG. 나선형 결합홈
150. 보조 막음핀 151. 핀측 삽입 결합부
152. 나선형 돌편 154. 삽입 가이드 테이퍼부
156. 보조 결합 핀캡 162. 이중 밀봉부재

Claims (3)

  1. 튜브(20)의 상단 개방부에 결합되는 캡바디(130)와,
    상기 캡바디(130)에 일측의 회동 지지부(HG)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회동 지지부(HG)를 기준으로 상기 캡바디(130)의 위쪽으로 열리거나 상기 캡바디(130)를 닫아주는 뚜껑(140)과,
    상기 캡바디(13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캡바디(130)의 일측으로 연통된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는,
    상기 캡바디(13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튜브(20)의 내부와 연통된 1차 통로(134)와,
    상기 1차 통로(134)와 내측단이 연통되고 외측단은 상기 캡바디(130)의 일측면으로 개방된 2차 통로(136)를 포함하고,
    상기 1차 통로(134)의 면적보다 상기 2차 통로(136)의 면적을 더 좁게 구성하여, 상기 튜브(20) 내부의 용액 사용 이후 튜브(20)의 압력으로 용액 재흡입 시, 상기 1차 통로(134)의 용액이 빠르게 튜브(20)로 흡입되며, 상기 2차 통로(136)의 용액이 따라 들어와서, 상기 튜브(20) 내부로 용액 재흡입시 공기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여 용액의 손실을 방지하고,
    상기 1차 통로(134)는 상기 캡바디(130)의 상하단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2차 통로(136)는 내측단에 비하여 외측단이 상기 캡바디(130)의 상단부 방향 쪽으로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2차 통로(136)가 상기 1차 통로(134)에서부터 상기 캡바디(130)의 상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튜브(20)를 눌러주었다가 누르는 힘을 해제한 이후에 상기 1차 통로(134)의 용액이 빠르게 튜브(20)로 흡입되며, 상기 2차 통로(136)에 잔류하고 있던 용액까지 따라 들어와서, 상기 튜브(20) 내부로 용액 재흡입시 공기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여 용액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뚜껑(140)의 테두리부(142) 안쪽면에 구비된 막음부재(144)는 내부에 핀결합홀(144PH)이 구비되고, 상기 핀결합홀(144PH)에 보조 막음핀(150)이 결합되어, 상기 뚜껑(140)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보조 막음핀(150)의 기단부에 구비된 핀측 삽입 결합부(151)가 상기 막음부재(144) 내부의 핀결합홀(144PH)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보조 막음핀(150)이 상기 2차 통로(136)를 막아주도록 구성되고,
    상기 뚜껑(140)의 테두리부(142) 안쪽면의 막음부재(144) 내부의 핀결합홀(144PH)의 내주면에는 나선형 결합홈(144NG)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막음핀(150)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 막음핀(150)의핀측 삽입 결합부(151) 외주면에 나선형 돌편(152)이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 막음핀(150) 외주면의 나선형 결합홈(144NG)이 상기 막음부재(144) 내부의 핀결합홀(144PH) 내주면의 나선형 결합홈(144NG)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형 액상 흘림 방지 캡.
  2. 삭제
  3. 삭제
KR1020240011250A 2024-01-24 2024-01-24 유화형 액상 흘림 방지 캡 Active KR102703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1250A KR102703474B1 (ko) 2024-01-24 2024-01-24 유화형 액상 흘림 방지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1250A KR102703474B1 (ko) 2024-01-24 2024-01-24 유화형 액상 흘림 방지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03474B1 true KR102703474B1 (ko) 2024-09-06

Family

ID=9276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1250A Active KR102703474B1 (ko) 2024-01-24 2024-01-24 유화형 액상 흘림 방지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34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136A (ko) * 2001-09-04 2003-03-12 로레알 유체를 포장 및 분배하는 장치
KR101983282B1 (ko) 2018-11-06 2019-09-03 최재찬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
KR102060918B1 (ko) 2019-05-23 2019-12-30 이영주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
KR102089289B1 (ko) 2015-07-08 2020-03-16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캡 및 캡 부착 용기
KR102500557B1 (ko) * 2022-05-31 2023-02-16 정준원 액상물 포장용기용 뚜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136A (ko) * 2001-09-04 2003-03-12 로레알 유체를 포장 및 분배하는 장치
KR102089289B1 (ko) 2015-07-08 2020-03-16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캡 및 캡 부착 용기
KR101983282B1 (ko) 2018-11-06 2019-09-03 최재찬 음료용기용 캡 제조장치
KR102060918B1 (ko) 2019-05-23 2019-12-30 이영주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
KR102500557B1 (ko) * 2022-05-31 2023-02-16 정준원 액상물 포장용기용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7429B2 (ja) 複数の飲料流出通路を備える容器蓋体
US8757452B2 (en) Dispenser assembly
US20200148430A1 (en) Cap for a Drinking Vessel
US20020166864A1 (en) Drink spout system
US20020121525A1 (en) Drink spout system
US20040140314A1 (en) Non-spillable beverage container and straw
KR20200000153U (ko) 유아용 빨대 컵
KR102125080B1 (ko) 이중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703474B1 (ko) 유화형 액상 흘림 방지 캡
JP2006347580A (ja) 飲料容器及び飲み口付蓋体
KR100870696B1 (ko) 밀봉 지퍼 빨대를 구비한 용기
KR920001805B1 (ko) 유동액 용기 및 용액의 배출방법
KR10197886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JPH0939990A (ja) セルフシールキャップ
CN216059533U (zh) 化妆品容器
WO2021032311A1 (en) Lid assembly for a drinking container
KR20240001492U (ko) 2액형 액체 배출용기
RU2672608C2 (ru) Крыш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ейнера с напитком
JPS6160457A (ja) トグルタイプの圧搾式デイスペンサ−
KR20110000821U (ko) 빨대가 구비된 용기
KR20220168474A (ko) 분리 배출이 가능한 용기용 원터치 캡
KR102048769B1 (ko) 컵의 체결캡
KR20210006770A (ko)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
KR200446474Y1 (ko) 액상 포장 용기
KR20210000545U (ko) 주출구 주변의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1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9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