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02521B1 - 트레일러 히치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일러 히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2521B1
KR102702521B1 KR1020220137284A KR20220137284A KR102702521B1 KR 102702521 B1 KR102702521 B1 KR 102702521B1 KR 1020220137284 A KR1020220137284 A KR 1020220137284A KR 20220137284 A KR20220137284 A KR 20220137284A KR 102702521 B1 KR102702521 B1 KR 102702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outrigger
hitch device
frame
trailer hit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57039A (ko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대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호 (주) filed Critical 대호 (주)
Priority to KR1020220137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2521B1/ko
Publication of KR20240057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2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25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141Arrangements or frames adapted to allow the connection of trailers to tractor three point h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4Hook or hook-and-hasp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3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facilitating connection, e.g. hitch catchers, visual guide means, signalling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 B62D53/02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comprising a uniaxle tractor unit and a uniaxle trail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8Semi-trailers, articulat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일러 히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농용 차량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트레일러 히치장치로서, 트레일러 히치장치는 트레일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장착되는 아웃트리거가 구비되고, 아웃트리거는 농용 차량의 3점 링크와 연동되어 상하로 회전되는 상부후크 및 하부후크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트레일러 히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트레일러 히치장치{Hitch device for trailer}
본 발명은 트레일러 히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농용 차량에 트레일러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고 트레일러에 적재물의 상차 및 하차시 트레일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트레일러 히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용 차량으로 사용되는 트랙터는 농경지 등의 개간에 따른 필요한 여러 작업기를 설치하여 사용됨은 물론 그 후미에는 농경지 등에서 수확되는 곡물 등을 운반하거나 퇴비 및 농기계 등을 원하는 장소로 운반하기 위해 트레일러가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트랙터의 트레일러는 대부분이 덤프 기능을 가지지 아니하지만, 퇴비와 같은 적재물을 하차시킬 때에는 하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덤프 기능을 가지는 것도 있다.
이러한 트레일러는 통상적으로 그 전방에 트랙터의 후미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견인부 즉 견인로드가 트레일러의 하부 프레임 전방에 제공되고, 후방에는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비된다.
이로써, 트레일러는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트레일러의 하부 프레임에서 제공된 견인로드에 지지대를 이용하여 전방을 지지하고, 지지대는 스크류바를 이용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트레일러가 트랙터의 후미에 설치될 때에는 견인로드가 트랙터에 연결된 후에 지지대는 상부에 설치된 손잡이를 돌리는 것에 의하여 지지대의 하단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견인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하지만, 종래의 트레일러는 견인로드가 있는 선미가 후미보다 무겁기 때문에, 견인로드에서 지지대를 제거한 후에는 견인로드가 하방으로 쳐져 지면에 접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트레일러의 견인로드를 트랙터 후미의 히치봉에 연결할 시에는 하방으로 쳐져 있는 트레일러의 견인로드를 트랙터의 히치봉까지 들어올려 히치봉에 끼워 연결하며, 연결된 상태에서는 히치봉에 핀을 결합하여 견인로드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트레일러의 연결작업이 모두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울 뿐 아니라 트레일러의 견인로드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0992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트레일러의 전단부에 아웃트리거를 구비하고, 트레일러의 아웃트리거를 농용 차량 후미의 3점 링크로서 견인하여 간편하게 장착함으로써 농용 차량에 트레일러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고 트레일러에 적재물의 상차 및 하차시 트레일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트레일러 히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 히치장치는, 농용 차량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트레일러 히치장치로서, 트레일러 히치장치는 트레일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장착되는 아웃트리거가 구비되고, 아웃트리거는 농용 차량의 3점 링크와 연동되어 상하로 회전되는 상부후크 및 하부후크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아웃트리거는 수직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수직프레임에는 상부후크가 장착되는 상부핀이 구비되는 한편 트레일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히치부가 구비되고, 수평프레임의 양측에는 하부후크가 각각 장착되는 하부핀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수평프레임의 양측에는 지면에 접하여 지지되도록 하향 경사진 지지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지지프레임에는 지면과의 접촉시 지면과 평행하게 접촉되는 지지발판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히치부는 수직프레임의 전,후 측에 각각 구비되어, 트레일러를 농용 차량과 근거리 또는 원거리로 이격시킨 상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일러에는 이에 적재되는 작업기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유니버셜 조인트가 구비되고, 유니버셜 조인트에는 아웃트리거의 수직프레임을 관통하여 농용 차량의 PTO 축에 연결되는 도그클러치가 구비되어, 농용 차량의 동력으로 트레일러에 적재되는 작업기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부핀 양측의 수직프레임에는 안내돌부가 각각 구비되고, 양 안내돌부의 마주하는 면은 상부후크가 상부핀에 정위치로 결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레일러 히치장치에 따르면, 트레일러의 전단부에 아웃트리거가 구비되어 트레일러를 일정 높이 이상으로 견고히 지지할 수 있고, 트레일러의 아웃트리거에 농용 차량 후미의 3점 링크가 연결되어 장착되므로 트레일러의 장착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농용 차량의 후미에 연결된 트레일러의 아웃트리거를 지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트레일의 적재함에 적재물의 상차 및 하차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트레일러의 유동이 방지되어 상,하차 작업이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의 아웃트리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의 아웃트리거에 구성된 제1,2 히치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a는 제1 히치부를 평면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제2 히치부를 저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의 아웃트리거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의 아웃트리거와 트랙터가 분리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의 아웃트리거와 트랙터가 연결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 후미에 구성되는 퀵어태치먼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A"부의 확대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 히치장치와 퀵어태치먼트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 히치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40)의 전방에 구비되는 아웃트리거(100)를 포함하고, 이러한 트레일러(40)를 견인하는 농용 차량은 트랙터(1)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아웃트리거(100)는 트레일러(40)의 선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되고, 이 상태에서 아웃트리거(100)는 트랙터(1)의 후방에 구비되는 3점 링크에 의해 상하로 회전되는 퀵어태치먼트(200)의 상부후크(211) 및 하부후크(221)에 연결되어, 지면으로부터 들린 상태로 견인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아웃트리거(100)는 트레일러(40)에 베일과 같은 적재물을 상차 또는 하차할 시는 지면에 접한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트레일러(40)에 적재물의 상,하차시 농지의 불규칙한 지면에서도 트레일러(40) 또는 트랙터(1)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하차 작업을 안전한 상태에서 신속히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아웃트리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되는 수직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10)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수평프레임(1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수직프레임(110)의 상면에는 퀵어태치먼트(200)의 상부후크(211)가 걸림되어 장착되는 상부핀(111)이 구비되고, 수평프레임(120)의 전면 양측에는 퀵어태치먼트(200)의 하부후크(221)가 각각 걸림되어 장착되는 하부핀(121)이 구비된다.
특히, 상부핀(111)은 수직프레임(110)의 상면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부후크(211)의 결합이 한 번에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후크(211)를 상부핀(111)에 정확히 한 번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부핀(111)이 구비된 수직프레임(110)의 상면 양측에는 안내돌부(118)가 각각 구비되고, 양 안내돌부(118)의 마주하는 면은 퀵어태치먼트(200)의 상부후크(211)를 상부핀(111)으로 안내하여 상부핀(111)에 정위치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상부후크(211)가 상부핀(111)에 정위치로 위치되지 못하고 일측으로 치우친 상태에서도 양 안내돌부(118)의 경사면에 의해 상부후크(211)가 상부핀(111)으로 가이드되어 정위치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110)의 후면에는 트레일러(40)의 전방으로 돌출된 견인로드(41)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히치부(113)(114)가 구성된다. 이러한 히치부(113)(114)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10)의 후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상하 브라켓과, 상하 브라켓을 차례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히치핀(115)을 포함한다.
이로써, 트레일러(40)의 견인로드(41)는 히치부(113)(114)의 상하 브라켓 사이로 삽입되어 구비되고, 이 상태에서 히치핀(115)이 히치부(113)(114)의 상부 브라켓과 견인로드(41) 및 하부 브라켓을 차례로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트레일러(40)의 견인로드(41)를 히치부(113)(11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히치부(113)(114)는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수직프레임(110)의 후면 중앙부와 하측에 각각 위치되는 제1,2 히치부(113)(114)로 구성되고, 하측의 제2 히치부(114)는 도 3에서와 같이 중앙부의 제1 히치부(113)보다 전방으로 위치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제1,2 히치부(113)(114)의 위치를 다르게 구비한 이유는, 트레일러(40)에 퇴비살포기와 같이 동력이 필요한 작업기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트레일러(40)의 견인로드(41)를 제1 히치부(113)에 연결함과 더불어 후술될 트레일러(40)의 조인트(140)를 트랙터(1)의 동력전달부(230)와 자동 연결하여 동력 전달을 하기 위함이고, 트레일러(40)에 동력 전달은 하지 않고 적재물만을 실을 경우에는 트레일러(40)에 많은 적재물이 실리게 되므로 트레일러(40)의 견인로드(41)를 제2 히치부(114)에 연결하여 트레일러(40)를 트랙터(1)와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킴으로써 적재물의 상,하차 및 운반 시 안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때, 트레일러(40)의 견인로드(41)를 전방의 제2 히치부(114)에 연결할 시에는 후술될 트레일러(40)의 조인트(140)와 도그클러치(141)는 아웃트리거(100)와 분리되어 이격됨으로써 아웃트리거(100)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 히치부(113)와 상부핀(111) 사이의 수직프레임(110)에는 트랙터(1)의 동력전달부(230)를 트레일러(40)의 조인트(14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112)가 형성되고, 이 연결구(112)는 후술될 조인트(140)의 도그클러치(141)가 관통될 수 있는 직경으로 천공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연결구(112)와 제1 히치부(113) 사이 및 제1 히치부(113)와 제2 히치부(114) 사이의 수직프레임(110)에는 도 1에서와 같이 각각 관통되어 제1,2 히치부(113)(114)를 노출시키는 관통구(116)(117)가 형성되고, 이 관통구(116)(117)를 통해 제1,2 히치부(113)(114)에 히치핀(115)을 간편하게 결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수평프레임(120)의 양측 단부에는 지면에 접하여 아웃트리거(100) 및 트레일러(4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30)이 구비되고, 양 지지프레임(130)은 수평프레임(120)의 양측 단부에서 지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양 지지프레임(130)의 하단부에는 지면과의 접촉시 지면과 평행하게 접촉되는 지지발판(131)이 구비된다.
이는, 트레일러(40)의 견인로드(41)가 제2 히치부(114)에 연결되어 견인될 시 트랙터(1)의 운전자가 퀵어태치먼트(200)의 상,하부후크(211)(221)로서 트레일러(40)의 아웃트리거(100)를 상방으로 들어올린 상태로 견인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운전 미숙이나 오조작으로 아웃트리거(10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지 않고 지면에 접한 상태 그대로 견인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는데, 이때 지면에 접한 지지발판(131)은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되어 접하게 됨으로써 지면과의 간섭이 최소화되어 원활한 견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지지발판(131)의 선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된 스키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접한 상태로 이동되는 지지발판(131)과 지면 간의 간섭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지지발판(131)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트랙터(1)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트레일러(40)에는 이에 적재되는 퇴비살포기 등과 같은 작업기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조인트(140)가 도 4 및 도 5와 같이 구비되고, 조인트(140)에는 아웃트리거(100)의 수직프레임(110)의 연결구(112)를 관통하여 농용 차량의 PTO 축에 연결되는 도그클러치(141)가 구비된다.
이때, 조인트(140)는 트레일러(40)의 전판을 관통하는 유니버셜 조인트로 구비될 수 있고, 조인트(140)의 전단부에는 조인트(140)와 같이 회전되는 도그클러치(141)가 결합되어 구비되며, 조인트(140)의 후축은 트레일러(40)의 적재함으로 돌출되어 트레일러(40)에 적재되는 퇴비살포기 등의 작업기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트랙터(1)의 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하여 작업기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트레일러(40)의 아웃트리거(100)를 견인하는 트랙터(1)의 후미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점 링크 즉 하나의 상부링크(10)와 복수의 하부링크(20)가 구비되고, 상,하부링크(10)(20)는 그 일단부 즉 선단부가 트랙터(1)의 후미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하부링크(10)(20)에는 각각의 링크를 작동시키는 상,하부 실린더가 각각 구비되고, 상,하부 실린더 역시도 그 일단부가 트랙터(1)의 후미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상부링크(10)는 타단부가 후술될 퀵어태치먼트(200)의 프레임(210)에 힌지 결합되어 연결되고, 하부링크(20)의 타단부는 퀵어태치먼트(200)의 양 슬라이더(220)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연결된다.
이와 같은 퀵어태치먼트(200)는 트랙터(1)의 후미에 구비되어 트레일러(40)의 아웃트리거(100)를 자동으로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퀵어태치먼트(2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1)의 3점 링크 중 상부링크(10)가 힌지 결합되는 프레임(210)과, 프레임(210)의 양측에서 지면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한편 3점 링크 중 하부링크(20)가 힌지 결합되는 슬라이더(220)를 포함한다.
프레임(210)은 중공의 사각파이프로서, 트랙터(1)의 후미에서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비되고, 프레임(210)의 상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트레일러(40)의 아웃트리거(100)에 구비된 상부핀(111)과 결합되는 상부후크(211)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슬라이더(220) 역시도 프레임(210)에 대응한 사각파이프로 구비되어 프레임(210)의 양측에 형상 맞춤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양 슬라이더(220)를 프레임(210)의 양측에서 프레임(210)의 축 방향으로 출입시켜 양 슬라이더(220)의 폭을 아웃트리거(100)의 양 하부핀(121)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게 조절하여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220)의 하단부에는 트레일러(40)의 아웃트리거(100)에 구비된 하부핀(121)과 결합되는 하부후크(221)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러한 하부후크(221)와 상부후크(211)는 각각 트랙터(1)의 3점 링크 즉 하부링크(20)와 상부링크(10)에 의해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슬라이더(220)의 하면에는 사각파이프의 지지프레임(222)이 지면을 향해 출입되게 구비될 수 있고, 슬라이더(220)에서 출입되는 지지프레임(222)은 슬라이더(220)와 지지프레임(222)을 관통하는 고정핀(223)에 의해 위치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때, 슬라이더(220)에는 고정핀(223)이 관통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구멍이 상하로 나란히 구비될 수 있고, 이 고정구멍에 대응한 지지프레임(222)에는 하나의 고정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슬라이더(220)에서 인출되는 지지프레임(222)의 위치를 다양한 높이로 조절할 수 있고, 슬라이더(220)에서 인출된 지지프레임(222)이 지면에 접지되면, 퀵어태치먼트(200)가 지면에 견고히 지지되어 고정됨은 물론 트레일러(40)의 아웃트리거(100)에 구비된 지지프레임(130)과의 상호 작용으로 트랙터(1) 및 트레일러(40)가 지면에 견고히 지지되어 고정됨으로써 트레일러(40)의 적재함에 베일과 같은 적재물은 안정적인 상태에서 신속히 상,하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레임(210)의 하면에는 트랙터(1)의 동력을 트레일러(40)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230)가 구비되고, 이 동력전달부(230)에는 트레일러(40)의 조인트(140)가 결합되어 연결된다.
이러한 동력전달부(2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0)에 고정판(232)을 매개로 하여 하방으로 위치되게 구비되는 출력축(231)을 포함한다. 이러한 출력축(231)은 그 일단부가 트랙터(1)의 PTO 축과 유니버셜 조인트(30)로 연결되어 트랙터(1)의 동력이 출력축(231)으로 전달되어 출력되고, 출력축(231)의 타단부에는 트레일러(40)의 조인트(140)에 구비된 도그클러치(141)와 대응되는 도그클러치(235)가 구비되며, 양 도그클러치(141)(235)의 결합에 의해 트랙터(1)의 동력이 트레일러(40)로 원활히 전달되어 트레일러(40)의 적재함에 구비된 작업기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출력축(231)은 고정판(232)에 의해 프레임(210)의 하부에 위치되게 구비됨으로써 이에 연결되는 유니버셜 조인트(30)의 설치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판(232)은 그 상단부가 프레임(210)에 고정된 고정단으로 구비되는 한편 하단부는 자유단으로 구비되므로 텐션을 갖게 된다.
또한, 출력축(231) 상부의 고정판(232)에는 서포트핀(233)이 관통되게 구비되고, 서포트핀(233)과 고정판(232) 사이에는 유동된 출력축(231) 즉 고정판(232)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 즉 스프링(234)이 구비된다.
따라서, 출력축(231)의 도그클러치(235)와 트레일러(40)의 도그클러치(141)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양 도그클러치(141)(235) 간의 치형이 정위치에서 어긋난 상태로 접촉되는 경우는, 출력축(231)의 도그클러치(235)가 고정판(232)에 의해 탄성적으로 후방으로 밀렸다가 스프링(234)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양 도그클러치(141)(235)가 이의 치형에 의해 미세하게 회전되면서 정위치로 치합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도그클러치(141)(235)의 치형은 도그클러치(141)(235)의 표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수직면과, 수직면의 정점에서 다시 도그클러치(141)(235) 표면으로 경사지게 이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바, 양 도그클러치(141)(235)의 경사면은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되어 양 경사면의 접함에 의해 양 도그클러치(141)(235)가 원활히 치합되어 결합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서포트핀(233)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될 수 있고, 탄성부재는 압축 코일스프링(234)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 히치장치의 설치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트레일러(40)를 적재물 운반용으로만 사용할 시는 트레일러(40)의 전방으로 돌출돼 있는 견인로드(41)를 아웃트리거(100)의 전방에 위치된 제2 히치부(114)에 히치핀(115)으로 결합하여 트레일러(40)와 아웃트리거(100)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때, 트레일러(40)의 조인트(140)와 도그클러치(141)는 트레일러(40) 측으로 위치된 상태이므로 아웃트리거(100)와의 간섭은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트레일러(40)에 결합된 아웃트리거(100)의 상부핀(111)과 하부핀(121)에 트랙터(1) 후방에 구비된 퀵어태치먼트(200)의 상부후크(211)와 하부후크(221)를 각각 상,하측에서 걸어 결합한 후, 아웃트리거(100)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지면과 이격시킨 상태로 트레일러(40)를 견인하여 이동시킨다.
이후, 트레일러(40)에 적재물을 상차 또는 하차하기 위해서는 퀵어태치먼트(200)의 상부후크(211)와 하부후크(221)를 작동시켜 상방으로 들려있던 아웃트리거(100)를 하강시키고, 하강되는 아웃트리거(100)는 지지프레임(130)의 지지발판(131)이 지면에 접함에 따라 트레일러(40)를 지면과 수평한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퀵어태치먼트(200)의 프레임(210)에서 슬라이더(220)를 좌우로 인출시켜 확장한 후, 양 슬라이더(220)의 하면에서 지지프레임(222)을 인출시켜 지면에 접한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퀵어태치먼트(200)의 지지프레임(222)은 아웃트리거(100)의 지지프레임(130)과 함께 트랙터(1) 및 트레일러(40)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트레일러(40)에 적재물을 안정적인 상태에서 신속히 상차하거나 또는 하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트레일러(40)에 퇴비살포기와 같은 작업기를 실어 작동시키고자 할 시는 트레일러(40)의 견인로드(41)를 아웃트리거(100)의 중앙 후방에 위치된 제1 히치부(113)에 히치핀(115)으로 결합하여 트레일러(40)와 아웃트리거(100)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트레일러(40)와 아웃트리거(100)를 연결함과 동시에 트레일러(40)에 구비된 조인트(140)의 도그클러치(141)를 아웃트리거(100)의 연결구(112)를 통해 전방으로 인출시켜 돌출되게 구비한다.
이 상태에서 퀵어태치먼트(200)의 상부후크(211)와 하부후크(221)를 각각 아웃트리거(100)의 상부핀(111)과 하부핀(121)에 결합시키면, 퀵어태치먼트(200)에 구비된 동력전달부(230)의 도그클러치(235)가 트레일러(40)의 도그클러치(141)와 마주하여 면접촉됨으로써 양 도그클러치(141)(235)의 치형이 상호 결합되어 동력 전달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아웃트리거(100)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지면과 이격시킨 상태로 트레일러(40)를 견인하고, 견인 후 또는 견인 과정에서 트랙터(1)의 동력을 PTO 축, 동력전달부(230), 양 도그클러치(141)(235), 트레일러(40)의 조인트(140), 작업기로 전달하여 작업기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 : 트랙터 10 : 상부링크
20 : 하부링크 30 : 유니버셜 조인트
40 : 트레일러 41 : 견인로드
100 : 아웃트리거 110 : 수직프레임
111 : 상부핀 112 : 연결구
113,114 : 히치부 115 : 히치핀
116,117 : 관통구 118 : 안내돌부
118a : 경사면 120 : 수평프레임
121 : 하부핀 130 : 지지프레임
131 : 지지발판 140 : 조인트
141 : 도그클러치 200 : 퀵어태치먼트
210 : 프레임 211 : 상부후크
220 : 슬라이더 221 : 하부후크
222 : 지지프레임 223 : 고정핀
230 : 동력전달부 231 : 출력축
232 : 고정판 233 : 서포트핀
234 : 스프링 235 : 도그클러치

Claims (7)

  1. 농용 차량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트레일러 히치장치로서,
    트레일러 히치장치는 트레일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장착되는 아웃트리거가 구비되고,
    아웃트리거는 농용 차량의 3점 링크와 연동되어 상하로 회전되는 상부후크 및 하부후크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트레일러 히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아웃트리거는 수직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수직프레임에는 상부후크가 장착되는 상부핀이 구비되는 한편 트레일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히치부가 구비되고,
    수평프레임의 양측에는 하부후크가 각각 장착되는 하부핀이 구비되는 트레일러 히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수평프레임의 양측에는 지면에 접하여 지지되도록 하향 경사진 지지프레임이 구비되는 트레일러 히치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지지프레임에는 지면과의 접촉시 지면과 평행하게 접촉되는 지지발판이 구비되는 트레일러 히치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히치부는 수직프레임의 전,후 측에 각각 구비되어, 트레일러를 농용 차량과 근거리 또는 원거리로 이격시킨 상태로 연결할 수 있는 트레일러 히치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트레일러에는 이에 적재되는 작업기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유니버셜 조인트가 구비되고, 유니버셜 조인트에는 아웃트리거의 수직프레임을 관통하여 농용 차량의 PTO 축에 연결되는 도그클러치가 구비되어,
    농용 차량의 동력으로 트레일러에 적재되는 작업기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트레일러 히치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부핀 양측의 수직프레임에는 안내돌부가 각각 구비되고, 양 안내돌부의 마주하는 면은 상부후크가 상부핀에 정위치로 결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사면으로 구비되는 트레일러 히치장치.
KR1020220137284A 2022-10-24 2022-10-24 트레일러 히치장치 Active KR102702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284A KR102702521B1 (ko) 2022-10-24 2022-10-24 트레일러 히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284A KR102702521B1 (ko) 2022-10-24 2022-10-24 트레일러 히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039A KR20240057039A (ko) 2024-05-02
KR102702521B1 true KR102702521B1 (ko) 2024-09-04

Family

ID=91071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284A Active KR102702521B1 (ko) 2022-10-24 2022-10-24 트레일러 히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25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6339A (en) 1997-06-27 1998-10-06 Deere & Company Implement swivel hitch for use with a quick-coupler
US20020047248A1 (en) 2000-10-20 2002-04-25 Gerd Bernhardt Vehicle/implement coupling device
JP3523770B2 (ja) 1997-04-15 2004-04-26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の作業機連結装置
KR200442248Y1 (ko) 2007-08-28 2008-10-23 김종언 트랙터의 히치멤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3823C1 (de) * 2001-11-05 2003-01-23 Walterscheid Gmbh Gkn Kuppelhilfe zum Ankuppeln von gezogenen Geräten oder Anhängern, die eine Deichsel aufweisen, an einen Traktor
KR20090109924A (ko) 2008-04-17 2009-10-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트레일러 히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3770B2 (ja) 1997-04-15 2004-04-26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の作業機連結装置
US5816339A (en) 1997-06-27 1998-10-06 Deere & Company Implement swivel hitch for use with a quick-coupler
US20020047248A1 (en) 2000-10-20 2002-04-25 Gerd Bernhardt Vehicle/implement coupling device
KR200442248Y1 (ko) 2007-08-28 2008-10-23 김종언 트랙터의 히치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039A (ko) 202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3530A (en) Quick mounting snow plow assembly
US4176727A (en) Devices for automatically coupling implements to self-propelled articles
US5984019A (en) Hitching device for attachment to a tractor
US5692573A (en) Towing Arrangement
US3827724A (en) Coupling device
US6776432B2 (en) Drawbar adapter for pull-through swivel hitch
US6224082B1 (en) Cam action detachable gooseneck trailer
US5303790A (en) Quick attaching power take off
US6726237B1 (en) Vertically operable hitch
US4484760A (en) Remote control hitch
US3724874A (en) Vehicle drawbar assembly
US4482166A (en) Hitching guide
US6193259B1 (en) Mounting frame for use with three point hitch
US3826517A (en) Coupling device
KR102702521B1 (ko) 트레일러 히치장치
EP0138519A2 (en) Towing hitches
US7686720B2 (en) Portable power take-off unit
US3266817A (en) Tractor coupling means
KR102759772B1 (ko) 동력 전달이 가능한 트레일러 연결장치
US7029019B1 (en) Attachment for a host vehicle for moving a selected item
US7264260B2 (en) Adjustable hitch
US5730227A (en) Hitching device for attachment to a tractor
US3974880A (en) Drawbar assembly
US2256310A (en) Hitch for trailer vehicles or implements
US4413836A (en) Tractor-trailer coupl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