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01883B1 -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광 보호 효과를 갖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광 보호 효과를 갖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1883B1
KR102701883B1 KR1020240051280A KR20240051280A KR102701883B1 KR 102701883 B1 KR102701883 B1 KR 102701883B1 KR 1020240051280 A KR1020240051280 A KR 1020240051280A KR 20240051280 A KR20240051280 A KR 20240051280A KR 102701883 B1 KR102701883 B1 KR 102701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bark
tree
uva
extrac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51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헌
이나영
김유아
하유빈
유혜영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51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1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1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18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보호 효과를 갖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가시칠엽수 및 물푸레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되는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UVA에 의한 세포 사멸을 방지하여 우수한 광 보호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UVA에 의한 MMP-1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어, 광에 의한 주름 형성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광 보호 효과를 갖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EXTRACTS AND HAVING A PHOTOPROTECTIVE EFFECT AND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광 보호 효과를 갖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가시칠엽수 및 물푸레나무 껍질을 최적으로 배합하고 추출함으로써 UVA에 대하여 우수한 광 보호 효과를 갖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UVA선은 320 내지 400 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으로 피부 그을음을 유발하고 특히 민감성 피부 또는 지속적으로 태양 방사선에 노출되는 피부의 손상을 쉽게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UVA선은 피부 탄력의 상실 및 주름을 유발하여, 피부의 조기 노화를 일으킨다. 특히, UVA선은 긴 파장으로 인하여 투과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지구 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최대 95%를 차지하고 1년 내내 모든 일광 시간동안 대체로 동일한 강도로 존재한다. 더하여, UVA선의 높은 투과력으로 인하여 구름이나 유리창 등을 통하여 침투할 수 있어, 실내에 있더라도 UVA에 언제나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UVA에 의한 피부 손상을 완벽히 차단할 수 없으므로, UVA로부터 손상된 피부를 회복하는 것은 UVA를 차단하기 위한 노력과 별개로 이루어져야 할 아주 중요한 과제에 해당한다. 그러나 시중에 출시된 제품들은 자외선을 차단하는 목적에 치중되어 있고, 자외선으로 인해 손상된 피부를 회복하기 위한 기능은 미흡한 실정이다. UVA에 의한 피부 손상은 그 속도가 느려 알아채기 힘들지만, 천천히 축적된 피부 손상은 피부암 등의 치명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어, 일상생활에서 피부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현대인들에게 접근성이 높은 화장품 등을 통하여 자외선으로부터 손상된 피부를 회복할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특정 천연물을 혼합하여 추출함으로써 UVA에 노출된 피부 세포의 사멸을 막고, 나아가 주름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조성물을 구현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1856374 B1
본 발명은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광 보호 효과를 갖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시칠엽수(Aesculus hippocastanum) 및 물푸레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되는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광 보호 효과를 갖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가시칠엽수 및 물푸레나무 껍질은 1.5 내지 2.5 : 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2 : 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시칠엽수는 가시칠엽수 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시칠엽수 및 물푸레나무 껍질은 정제수를 용매로 하여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복합 추출물은 230μg/ml 이하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광 보호 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UVA에 대한 광 보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가시칠엽수(Aesculus hippocastanum) 및 물푸레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되는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우수한 광 보호 효과를 가지며, 특히 UVA에 대한 광 보호 효과가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MMP-1의 발현을 억제하여 UVA에 의한 세포 사멸을 보호함과 동시에 피부 주름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천연 유래 성분을 포함하여 피부 자극이 없는 등 인체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어,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는 실험예 1에서 측정된 실시예와 비교예 1 내지 4의 세포 생존능력 측정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실험예 1에서 측정된 실시예와 비교예 5 내지 7의 세포 생존능력 측정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험예 2에서 측정된 실시예의 MMP-1 인자 발현량 측정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시칠엽수(Aesculus hippocastanum) 및 물푸레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되는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광 보호 효과를 갖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가시칠엽수(Aesculus hippocastanum)는 무환자나무과, 칠엽수아과 및 칠엽수속에 속하는 종으로서,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로 유럽 동남부 및 발칸반도 숲에 분포한다. 열매 겉에 가시가 있고 주름살이 많으며 약간 큰 크기의 꽃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스페인이나 프랑스 등 남부유럽의 여러 국가에서 가로수로 많이 사용한다. 가시칠엽수의 씨와 나무껍질은 약재로서 암 예방, 관절염, 동맥경화, 신경계 질환, 타박상 및 편도염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시칠엽수는 가시칠엽수의 가지, 꽃, 화수, 과피, 과일, 뇌, 경, 엽, 간, 수피, 뿌리와 줄기, 근피, 뿌리 및 전체풀 중 적어도 1종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가시칠엽수의 씨에는 인체에 대하여 독성이 강하고, 섭취할 시 복통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씨를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는 것은 부적절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시칠엽수는 가시칠엽수 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시칠엽수 가지를 추출하는 경우 더욱 우수한 광 보호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는 용담목, 물푸레나무과, 물푸레나무속에 속하고 한국이나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물푸레나무의 성분으로는 에스쿨린, 에스콜레틴, 탄닌 등이 있는데, 상기 성분들은 통증 완화 및/또는 항염 작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물푸레나무는 위장염이나 천식, 기관지염 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간이나 안구 건강에 효능이 있으며, 한의학에서는 진통, 소염 해열작용 등에 이용된다. 특히 본 발명의 물푸레나무 껍질은 한방에서는 목진피로 불리는 약재로 사용되며 호흡기, 비뇨기 및 순환계 질환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가시칠엽수 및 물푸레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되는 천연 복합 "추출물"은 가시칠엽수 및 물푸레나무 껍질 천연물로부터 그 안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지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물이나 유기 용매 등을 포함하는 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해 낸 것, 천연물의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 등 각각의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연 복합 추출물의 추출 방법은 열수 추출, 주정 추출, 침지 추출, 냉침 추출, 환류 추출, 초임계 추출, 아임계 추출, 용출법, 압착법, 고온 추출, 고압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수 추출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열수 추출은 60 내지 140 ℃의 열수를 사용하여 유효 물질을 추출한 것으로, 순수한 물을 추출 매체로 이용하기 때문에, 추출 시 사용한 유기용매의 독성에서 기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천연 복합 추출물에 사용되는 용매는, 물(또는 증류수나 정제수),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정제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당해 기술 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 용매로 물(또는 증류수나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프로판다이올, 부탄다이올, 헥산다이올, 메틸프로판다이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천연 복합 추출물은 액상의 제형일 수도 있고, 건조한 분말 형태일 수 있다. 이때, 건조 방식은 동결건조 뿐만 아니라,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천연 복합 추출물은 감압 증류하거나, 농축시키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 또는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가시칠엽수 및 물푸레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되는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광 보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UVA에 대한 우수한 광 보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가시칠엽수 또는 물푸레나무 껍질을 단독으로 추출한 경우에 비하여, 가시칠엽수 및 물푸레나무 껍질을 함께 추출하였을 때 더욱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가시칠엽수 및 물푸레나무 껍질을 1.5 내지 2.5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된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시칠엽수 및 물푸레나무 껍질이 상기 비율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경우 광 보호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가시칠엽수 및 물푸레나무 껍질을 2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된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시칠엽수 및 물푸레나무 껍질이 상기 비율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경우 광 보호 효과가 현저히 우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시칠엽수 및 물푸레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된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상기 천연 복합 추출물을 230μg/ml 이하의 농도로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00 μg/ml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150 μg/ml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 100 μg/ml 이하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 복합 추출물이 230 μg/ml를 초과하여 적용되는 경우 세포 독성으로 인하여, 광 보호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시칠엽수 및 물푸레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되는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광 보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 보호 효과는 UVA에 대한 광 보호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방부제 또는 기능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피부에 수분을 제공하거나 피부의 수분을 유지시키며 지속적인 보습감을 제공하는 것으로, 수용성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글리세린(Glycerin),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메틸프로판다이올(Methylpropanediol),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프로판디올(Propandiol), 솔비톨(Sorbitol), 다이글리세린(Diglycerin)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부제는 보존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에틸헥실글리세린,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능성 성분은 화장료 조성물의 목적에 따라 여러가지 성분이 혼합되어 추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름 개선제, 미백 기능성 성분, 색소침착 기능성 성분, 피부진정 기능성 성분 및 피지 또는 모공관리 기능성 성분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오일, 점증제, 피부 컨디셔닝제, 이온 봉쇄제, 살균제, pH 조절제, 산화방지제, 알코올, 향료, 냉감제,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성분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선케어를 위한 제품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선케어를 위한 제품의 예로서, 선크림, 선스틱, 선밀크, 선쿠션, 선스프레이, 선로션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상에 분산시킨 수분산 제형, 수중유(O/W), 수중유중수(W/O/W) 유형의 에멀젼 제형, 유중수(W/O), 유중수중유(O/W/O)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고체, 겔, 오일, 분말, 페이스트 또는 포말(foam) 에어로졸, 미스트 등의 다양한 제형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실시예의 제조
가시칠엽수 가지와 물푸레나무 껍질을 분쇄한 후, 가시칠엽수 가지 분쇄물 및 물푸레나무 껍질 분쇄물의 중량비가 2 : 1이고, 총 중량이 10g인 혼합물이 되도록 정량하였다. 상기 혼합물를 100g의 정제수에 투입하고, 80℃로 가온하여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후 제균 및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여 실시예를 완성하였다.
비교예 1 내지 7의 제조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고, 가시칠엽수 가지 분쇄물 및 물푸레나무 껍질 분쇄물의 중량비만을 달리하여 비교예 1 내지 7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비교예 1 내지 7의 가시칠엽수 가지 및 물푸레나무 껍질의 중량비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실험예 1. 세포 생존능력 측정실험 - UVA Irradiation and Cytotoxicity Assay
가시칠엽수 및 물푸레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된 천연 복합 추출물의 광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 생존능력 측정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CCD-986sk 세포주를 96 well plate에 적정 농도로 200μL 분주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를 첨가한 후, UV irradiation system(VILBER LOURMAT, UV-irradiation BIO-SUN)을 이용하여 UVA 30J/cm2를 조사하였고, 대조군의 경우 UVA가 조사되는 시간 동안 25℃에서 인큐베이션 되었다.
UVA 조사 및 인큐베이션 종료 후 Serum Free 배지로 교체한 후, UVA가 조사된 세포에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7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음성 대조군의 경우 실시예 또는 비교예를 처리하지 않았고, 양성 대조군의 경우 실시예 또는 비교예 대신 비타민C를 처리하였다. 배양 완료 3시간 전 5mg/ml MTT 10μL 처리 후 3시간 동안 동일한 37℃, 5% CO2 인큐베이터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배양 완료 후 배양액을 버리고 DMSO(Dimethyl Sulfoxide) 150μL 분주 후 상온에서 10분 교반하였다.
그 후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7이 농도별로 처리된 샘플을 Microplate reader(Thermo, UV/Vis)를 이용하여 57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의 계산은 (실험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으로 계산하였고, 각 샘플에 대한 UVA 손상 개선율은 실험군의 음성대조군 대비 증가율로 계산하였으며, 높게 측정될수록 광 보호 효능이 높게 평가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상기 실험방법에 의하여 측정된 세포 생존능력을 계산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하기 표 2에 음성 대조군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7의 UVA 손상 개선율(%)를 나타내었다. 도 1a 및 도 1b의 *은 p<0.05 **은 p<0.01, ***은 p<0.001을 의미한다.
도 1a, 도 1b 및 표 2에 의하면 가시칠엽수만을 사용한 비교예 1은 음성대조군보다 낮은 세포 생존능력을 보였고, 과량의 가시칠엽수가 혼합된 비교예 5 내지 7 역시 음성대조군과 비슷하거나 더 낮은 세포 생존능력을 보여, 광 보호 효과가 거의 발휘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물푸레나무 껍질만이 사용된 비교예 2, 가시칠엽수 및 물푸레나무 껍질의 중량비가 1 : 1인 비교예 3 및 1 : 2인 비교예 4의 경우, 세포 생존능력이 증가하여 광 보호 효과가 어느정도 발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실시예가 50μg/ml의 농도로 적용된 경우 비교예 중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비교예 4의 최대농도(500μg/mL)인 경우의 측정결과와 비슷한 수치를 가지고, 실시예가 100μg/mL의 농도로 적용된 경우 모든 비교예보다 현저히 높은 세포 생존능력을 보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가시칠엽수 및 물푸레나무 껍질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는 천연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우수한 광 보호 효과를 발휘하는 것에 있어 필수적인 구성임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2. 주름 형성인자 발현정도 측정 - (RT-qPCR) - MMP-1
상기 실험예 1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광 보호 효과가 우수한 실시예가 자외선 조사로 인하여 증가된 MMP-1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qRT-PCR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CCD-986sk 세포주를 96 well plate에 적정 농도로 200μL 분주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를 첨가한 후, UV irradiation system(VILBER LOURMAT, UV-irradiation BIO-SUN)을 이용하여 UVA 30J/cm2를 조사하였고, 대조군의 경우 UVA가 조사되는 시간 동안 25℃에서 인큐베이션 되었다.
UVA 조사 및 인큐베이션 종료 후 Serum Free 배지로 교체한 후, UVA가 조사된 세포에 실시예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음성 대조군의 경우 실시예를 처리하지 않았고, 양성 대조군의 경우 EGCG(Epigallocathechin Gallate)를 처리하였다. 배양 완료 후 각 well에 Trizol(Invitrogen) 1mL를 처리하여 RNA를 추출하고 클로로포름, 2-프로판올, 75wt% EtOH 및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RNA 응축 및 워싱을 진행하였다. RNA 건조 후 Nuclease free water를 적정량 첨가하여 Nano drop(ALLSHENG)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각 RNA를 동일 농도가 되도록 제조한 후 cDNA Synthesis Kit(PhileKorea)를 이용하여 역전사하였다. 합성된 cDNA 및 Primer(MMP-1 Oligonucleotide), SYBR green, Nuclease free water를 적정 비율로 혼합한 후 Real Time PCR 장비(Applied Biosystem, Quantstudio 5)를 사용하여 RT-PCR을 진행하였다. PCR 결과분석은 ΔΔCt 값을 산출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비교하였으며, 샘플의 mRNA 발현양이 낮게 측정될수록 MMP-1의 발현을 억제하여 광에 의한 콜라겐 분해량이 적어 주름 형성 억제 효능이 높게 평가된다. 각 샘플에 대한 주름 형성 억제율(%)은 실험군의 음성대조군 대비 감소율로 계산하였다.
도 2 및 표 3에 상기 실험방법에 의하여 측정된 실시예의 MMP-1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량과 주름 형성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도 2 및 상기 표 3에 의하면, 실시예가 25μg/mL 이상의 농도로 적용된 경우 MMP-1의 발현을 현저히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가시칠엽수 및 물푸레나무 껍질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천연 복합 추출물은 우수한 광에 의한 주름 형성 억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UVA에 대한 광 보호 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천연 복합 추출물은, 가시칠엽수(Aesculus hippocastanum) 및 물푸레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가시칠엽수 및 물푸레나무 껍질은, 1.5 내지 2.5 : 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칠엽수 및 물푸레나무 껍질은, 2 : 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칠엽수는, 가시칠엽수 가지를 포함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칠엽수 및 물푸레나무 껍질은, 정제수를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천연 복합 추출물을 230μg/ml 이하의 농도로 포함하는, 조성물.
  7.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KR1020240051280A 2024-04-17 2024-04-17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광 보호 효과를 갖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701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51280A KR102701883B1 (ko) 2024-04-17 2024-04-17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광 보호 효과를 갖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51280A KR102701883B1 (ko) 2024-04-17 2024-04-17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광 보호 효과를 갖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01883B1 true KR102701883B1 (ko) 2024-09-04

Family

ID=92760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51280A Active KR102701883B1 (ko) 2024-04-17 2024-04-17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광 보호 효과를 갖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18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2651A (ja) * 2007-11-30 2009-06-18 Club Cosmetics Co Ltd 紫外線防御剤
KR101856374B1 (ko) 2016-10-26 2018-05-11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증숙 가시오가피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광손상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0415A (ko) * 2017-11-03 2019-05-13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0160A (ko) * 2019-07-19 2021-01-27 주식회사 케미랜드 물푸레나무 유래 신규 쿠마린계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2651A (ja) * 2007-11-30 2009-06-18 Club Cosmetics Co Ltd 紫外線防御剤
KR101856374B1 (ko) 2016-10-26 2018-05-11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증숙 가시오가피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광손상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0415A (ko) * 2017-11-03 2019-05-13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0160A (ko) * 2019-07-19 2021-01-27 주식회사 케미랜드 물푸레나무 유래 신규 쿠마린계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sam et al. The importance of natural products in cosmetics
KR101632916B1 (ko) 보리수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1928386B1 (ko)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128974B1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1886B1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FI20205713A1 (e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Nordic plant derived ingredients and a mild neutralizing agent
WO2005034894A1 (ja) 育毛剤組成物
KR102164246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17465B1 (ko) 아토피 피부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JP2006069954A (ja) 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剤、美白剤及び皮膚化粧料
KR102087976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7999B1 (ko) 티트리잎, 페퍼민트잎, 약모밀, 녹차, 노니 및 파슬리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8167B1 (ko) 지질산화 방지, 자외선에 의한 손상 피부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701883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광 보호 효과를 갖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41078A (ko) 노인 악취 제거 조성물
EP4389136A1 (fr) Composition neurocosmetique pour prevenir les effets du stress
KR101969475B1 (ko) 엉겅퀴를 포함하는 복합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6052198A (ja) デオドラント剤、デオドラント製剤、および繊維デオドラント処理方法
KR20170122315A (ko) 미선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34570A (ko) 구취제거용 조성물
JP2006052198A5 (ko)
KR101617730B1 (ko) 인삼열매,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JP2015086168A (ja) リパーゼ阻害剤および皮脂コントロール用皮膚化粧料
KR102246846B1 (ko)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2714334B1 (ko) 꽃송이버섯 추출물, 방사무늬돌김 추출물 및 해바라기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보조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4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