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01374B1 -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playback device remotely, and compu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playback device remotely, and compu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01374B1 KR102701374B1 KR1020230001886A KR20230001886A KR102701374B1 KR 102701374 B1 KR102701374 B1 KR 102701374B1 KR 1020230001886 A KR1020230001886 A KR 1020230001886A KR 20230001886 A KR20230001886 A KR 20230001886A KR 102701374 B1 KR102701374 B1 KR 1027013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playback
- playback device
- command
- identification information
- user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6010041349 Somnol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84—Client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MAC address, socket I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콘텐츠 재생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호스트 장치가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들의 식별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 장치가 상기 수신한 식별정보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 및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 재생 장치에,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ntent playback device may include a step in which a host device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content playback devices, a step in which the host device displays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 screen, a step in which the host device receives an input from a user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and a step in which the host device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to a content playback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sele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scription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콘텐츠 재생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disclosed herein relate to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ntent playback device, and a computing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VR (Virtual Reality) 기술은 나날이 발전하여 최근에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고 VR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헤드 마운트 방식의 VR 기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VR (Virtual Reality) technology is developing day by day, and recently, head-mounted VR devices that users can wear on their heads and watch VR videos are being widely used.
학교 등에서 학습용으로도 VR 기기가 활용될 수 있는데, 다수의 학생들이 동시에 VR 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업이 진행될 경우, 보다 원활한 수업 진행을 위해서는 관리자(교사)가 VR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이 필요할 수 있다.VR devices can also be used for educational purposes in schools, etc., but when classes are conducted with multiple students wearing VR devices at the same time, administrators (teachers) may need to have a function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R devices to ensure smoother class progress.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Meanwhile, the background technology described above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considered as publicly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콘텐츠 재생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directed to providing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ntent playback device and a computing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재생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호스트 장치가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들의 식별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 장치가 상기 수신한 식별정보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 및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 재생 장치에,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tas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ntent playback device may include a step in which a host device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content playback devices, a step in which the host device displays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 screen, a step in which the host device receives an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and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and a step in which the host device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to a content playback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sele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재생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콘텐츠 재생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호스트 장치가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들의 식별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 장치가 상기 수신한 식별정보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 및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 재생 장치에,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ntent playback device may include a step of allowing a host device to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content playback devices, a step of allowing the host device to display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 screen, a step of allowing the host device to receive an input from a user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and a step of transmitting the control command to a content playback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sele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재생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콘텐츠 재생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호스트 장치가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들의 식별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 장치가 상기 수신한 식별정보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 및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 재생 장치에,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ntent playback device, the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ntent playback device may include a step in which a host device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content playback devices, a step in which the host device displays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 screen, a step in which the host device receives an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and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and a step in which the host device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to a content playback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sele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재생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컴퓨팅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출력부, 콘텐츠 재생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들의 식별정보들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식별정보들을 상기 입출력부에 표시하고,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 및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 재생 장치에,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computing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ntent playback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n input/output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receiving an input from a user,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program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content playback device, and a control unit including at least one processor, wherein the control unit executes the program to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content playback device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display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input/output unit, and, when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from a user through the input/output unit, transmit the control command to a content playback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sele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하나의 호스트 장치를 통해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들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이용자가 콘텐츠 재생 장치를 이용한 체험이나 학습을 할 때 진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for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since multiple content playback devices can be remotely controlled through a single host device, there is an effect of facilitating smooth progress when multiple users experience or learn using the content playback device.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disclosed embodiments belong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호스트 장치의 상세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VR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VR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ntent playback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2 is a drawing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host device illustrated in Figure 1.
FIGS. 3 to 6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multiple VR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FIGS. 7 and 8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multiple VR devic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various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n order to more clearly explain the features of the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s of matters that are wide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are omitted. In addi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n the drawings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assigned similar drawing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n between." Furthermore, when a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another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it excludes other components, but rather that it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Th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제어 서버(10), 호스트 장치(100), 그리고 복수의 VR (Virtual Reality) 기기들(200_1, 200_2, 200_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콘텐츠 재생 장치가 VR 기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 재생 장치들(e.g.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로 대체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ntent playback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 the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control server (10), a host device (100), and a plurality of VR (Virtual Reality) devices (200_1, 200_2, 200_3). In the present disclosu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and described that the content playback device is a VR device. 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replaced with various types of content playback devices (e.g., all types of devices capable of playing at least one of images and audio).
제어 서버(10), 호스트 장치(100) 및 VR 기기들(200_1, 200_2, 200_3)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이 가능하다.The control server (10), host device (100), and VR devices (200_1, 200_2, 200_3)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어 서버(10)는 관리자(1)가 호스트 장치(100)를 통해 VR 기기들(200_1, 200_2, 200_3)을 제어할 수 있도록, 명령이나 정보의 송수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10) can perform the role of relay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commands or information so that the manager (1) can control the VR devices (200_1, 200_2, 200_3) through the host device (100).
VR 기기들(200_1, 200_2, 200_3)은 헤드 마운트 방식으로 착용하는 기기로서, VR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들(2a, 2b, 2c)은 각각 VR 기기들(200_1, 200_2, 200_3)을 착용하고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들(2a, 2b, 2c)은 VR 기기들(200_1, 200_2. 200_3)을 통해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자신의 계정으로 제어 서버(10)에 로그인할 수 있다.VR devices (200_1, 200_2, 200_3) are devices worn in a head-mounted manner and can play VR content. A plurality of users (2a, 2b, 2c) can each wear the VR devices (200_1, 200_2, 200_3) and watch cont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sers (2a, 2b, 2c) can log in to the control server (10) with their own accounts to watch content through the VR devices (200_1, 200_2, 200_3).
호스트 장치(100)는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또는 태블릿 등과 같이 연산 및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다양한 형태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관리자(1)는 호스트 장치(100)를 통해 VR 기기들(200_1, 200_2, 200_3)의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VR 기기들(200_1, 200_2, 200_3)을 착용하는 사용자들(2a, 2b, 2c)은 학생이고, 관리자(1)는 교사인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The host device (100) may be a computing device of various types, such as a desktop, a laptop, or a tablet, equipped with computational and communication functions. The manager (1) may remot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R devices (200_1, 200_2, 200_3) through the host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users (2a, 2b, 2c) wearing the VR devices (200_1, 200_2, 200_3) are students, and the manager (1) is a teacher.
관리자(1)는 호스트 장치(100)의 UI를 통해 제어 서버(10)에 로그인된 복수의 VR 기기들(200_1, 200_2, 200_3)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관리자(1)가 호스트 장치(100)를 통해 VR 기기들(200_1, 200_2, 200_3)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The administrator (1)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VR devices (200_1, 200_2, 200_3) logged into the control server (10) through the UI of the host device (100). Hereinafter, a method for the administrator (1)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R devices (200_1, 200_2, 200_3) through the host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호스트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호스트 장치(100)의 상세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host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Fig. 2 is a drawing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host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 1.
도 2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출력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host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output unit (120), a storage unit (130), and a control unit (140).
통신부(110)는 호스트 장치(100)가 외부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 장치(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제어 서버(10) 및 복수의 VR 기기들(200_1, 200_2, 200_3)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 칩셋이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is a configuration for the host device (100) to communicate with external devices. As shown in FIG. 1, the host device (100) is connected to a network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server (10) and multiple VR devices (200_1, 200_2, 200_3).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be implemented as a communication chipset or module that supports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입출력부(120)는 관리자(1)로부터 제어 명령이나 정보 등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e.g. 터치 스크린, 하드 버튼, 마이크 등)와, 관리자(1)의 제어에 따른 동작의 실행 결과나 호스트 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e.g. 디스플레이 패널, 스피커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스트 장치(100)는 제어 서버(10)로부터 로그인된 VR 기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식별정보를 입출력부(1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1)가 입출력부(120)를 통해 어느 하나의 식별정보를 선택하고, VR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면, 호스트 장치(100)는 선택된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VR 기기에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호스트 장치(100)는 선택된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VR 기기에 제어 명령을 전송해달라는 요청을, 통신부(110)를 통해 제어 서버(10)에 전송하고, 제어 서버(10)는 요청에 따라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VR 기기에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unit (120) may include an input unit (e.g., a touch screen, a hard button, a microphone, etc.) for receiving control commands or information from the manager (1), and an output unit (e.g., a display panel, a speaker, etc.) for displaying the results of execution of operation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nager (1) or the status of the host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st device (100)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logged-in VR device from the control server (10) and display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output unit (120). In addition, when the manager (1) selects one piec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output unit (120) and input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R device, the host device (100) may transmit a control command to the VR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other words, the host device (100) transmits a request to the control server (10) via the communication unit (110) to transmit a control command to the VR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control server (10) can transmit the control command to the VR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저장부(130)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소자들을 포함하며, 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30)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VR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30) includes volatile or non-volatile memory elements, and various types of programs and data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30) can store a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VR devic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제어부(140)는 CPU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호스트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VR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가 복수의 VR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The control unit (140)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at least one processor, such as a CPU, and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host device (100). The control unit (140) can perform a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VR devic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by executing a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A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VR devices by the control unit (140)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3 내지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VR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FIGS. 3 to 6 are drawings for explaining a situation in which multiple VR devices are remotely controlled according to embodiments.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VR 기기에서 자신의 계정을 통해 로그인하면, 관리자(1)가 호스트 장치(100)의 UI를 통해 VR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VR 기기가 사용자의 시선을 인식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여 그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한 시청 상태 정보를 호스트 장치(10)에 전송하면, 관리자(1)가 호스트 장치(10)를 통해 VR 기기에 피드백을 전달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3 and 4, when a user logs in to a VR device through his or her account, a process in which an administrator (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R device through the UI of the host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Next, referring to FIGS. 5 and 6, a process in which the administrator (1) transmits feedback to the VR device through the host device (10) when the VR device performs an operation such as recognizing the user's gaze and transmits viewing status information judged based on the result to the host device (10) will be described.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 A(2a)는 제1 VR 기기(200_1)를 통해 자신의 계정(“User_A”을 통해 제어 서버(10)에 로그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A(2a)는 제1 VR 기기(200_1)를 통해 로그인하는 과정에서, 제1 VR 기기(200_1)의 UI를 통해 제1 VR 기기(200_1)에 대응되는 '단말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A(2a)가 로그인 시 단말 번호를 부여하지 않을 경우, 제어 서버(10)가 제1 VR 기기(200_1)에 대응되는 단말 번호를 자동으로 부여할 수도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1)가 호스트 장치(100)를 통해 제1 VR 기기(200_1)에 대응되는 단말 번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VR 기기가 로그인되었다는 알림을 제어 서버(10)로부터 수신하면, 관리자(1)는 호스트 장치(100)의 UI 화면을 통해 해당 VR 기기에 대응되는 단말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user A (2a) can log in to the control server (10) through his/her account (“User_A”) via the first VR device (200_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user A (2a) can assign a ‘terminal numb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VR device (200_1) through the UI of the first VR device (200_1) during the process of logging in via the first VR device (200_1). 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f user A (2a) does not assign a terminal number upon logging in, the control server (10) can automatically assign a terminal numb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VR device (200_1). 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dministrator (1) can assign a terminal numb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VR device (200_1) through the host device (100). For example, when receiving a notification from the control server (10) that a new VR device has logged in, the administrator (1) can display the UI screen of the host device (100). You can enter the terminal number corresponding to the VR device.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A(2a), 관리자(1) 또는 제어 서버(10)에 의해 제1 VR 기기(200_1)에 대응되는 단말 번호가 “001”로 부여되었다고 가정한다.In the embodiment of Fig. 3,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 numb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VR device (200_1) is assigned as “001” by user A (2a), the administrator (1), or the control server (10).
제어 서버(10)는 제1 VR 기기(200_1)를 통해 사용자 A(2a)가 로그인하면, 제1 VR 기기(200_1)의 식별정보를 호스트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VR 기기(200_1)의 식별정보는 로그인 시 사용된 사용자 계정(“User_A”및 제1 VR 기기(200_1)에 부여된 단말 번호(“001”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When user A (2a) logs in through the first VR device (200_1), the control server (10) can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VR device (200_1) to the host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VR device (200_1) can include at least one of the user account (“User_A”) used at the time of logging in and the terminal number (“001”) assigned to the first VR device (200_1).
호스트 장치(100)는 제어 서버(10)로부터 수신한 제1 VR 기기(200_1)의 식별정보를 UI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스트 장치(100)의 UI 화면에는 현재 로그인 중인 모든 VR 기기들의 식별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VR 기기가 로그인되는 경우 UI 화면에 알림을 표시함으로써 관리자(1)가 새로운 기기의 로그인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host device (100) can displa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VR device (200_1)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10) on the UI scree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ll VR devices currently logged in can be displayed on the UI screen of the host device (100). In addition, when a new VR device is logged in, a notific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UI screen so that the administrator (1) can recognize the login of the new device.
도 4를 참고하면, 관리자(1)는 호스트 장치(100)의 UI 화면을 통해 현재 어떤 VR 기기들이 로그인 중인지 확인하고, 동작을 제어할 VR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1)는 UI 화면에 표시된 VR 기기의 식별정보를 통해 어떤 사용자가 착용 중인 VR 기기인지 파악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administrator (1) can check which VR devices are currently logged in through the UI screen of the host device (100) and select a VR devic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At this time, the administrator (1) can identify which user is wearing the VR device throug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R device displayed on the UI screen.
도 4에서 관리자(1)는 식별정보가 “001”및 “User_A”인 제1 VR 기기(200_1)를 선택하고, 제1 VR 기기(200_1)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제어 명령은 제1 VR 기기(200_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명령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1)는 제1 VR 기기(200_1)에서 재생될 콘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호스트 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1)는 제1 VR 기기(200_1)에서 콘텐츠 재생을 일시적으로 정지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고, 또는 제1 VR 기기(200_1)의 전원을 온오프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1)는 제1 VR 기기(200_1)의 재생 모드를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관리자(1)는 이 밖에도 다양한 종류의 제어 명령을 호스트 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In FIG. 4, it is assumed that the manager (1) selects the first VR device (200_1) whos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001” and “User_A”, and inputs a control command for the first VR device (200_1). At this time, the control command may be various types of command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VR device (200_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anager (1) may select content to be played back on the first VR device (200_1) and input a control command to play the selected content to the host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anager (1) may input a control command to temporarily stop content playback on the first VR device (200_1), or may input a control command to turn the power of the first VR device (200_1) on and off. Alternative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anager (1) may input a control command to change the playback mode of the first VR device (200_1). In addition, the administrator (1) can input various types of control commands to the host device (100).
관리자(1)가 호스트 장치(100)를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호스트 장치(100)는 제어 명령을 제어 서버(10)에 전송하고, 제어 서버(10)는 이를 다시 제1 VR 기기(200_1)에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manager (1) inputs a control command through the host device (100), the host device (100)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server (10), and the control server (10) can then transmit it to the first VR device (200_1).
제어 서버(1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한 제1 VR 기기(200_1)는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VR device (200_1) that receives a control command from the control server (10) can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도 5를 참고하면, 제1 VR 기기(200_1)는 사용자 A(2a)의 시선을 인식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사용자 A(2a)가 제1 VR 기기(200_1)를 착용한 상태에서 제1 VR 기기(200_1)가 콘텐츠를 재생하고 있다면, 사용자 A(2a)가 재생되는 콘텐츠를 잘 시청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제1 VR 기기(200_1)는 내장된 카메라 등을 통해 사용자 A(2a)의 시선을 인식할 수 있다. 제1 VR 기기(200_1)는 시선 인식 결과를 제어 서버(10)에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first VR device (200_1) can recognize the gaze of user A (2a). Specifically, if user A (2a) is wearing the first VR device (200_1) and the first VR device (200_1) is playing content, the first VR device (200_1) can recognize the gaze of user A (2a) through a built-in camera, etc., to check whether user A (2a) is watching the playing content properly. The first VR device (200_1) can transmit the gaze recognition result to the control server (10).
제어 서버(10)는 수신한 시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A(2a)의 '시청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2a)의 시선이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의 중심부를 향하지 않고 있거나, 사용자 A(2a)가 눈을 감고 있다면, 제어 서버(10)는 사용자 A(2a)가 정상적으로 콘텐츠를 시청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 결과를 호스트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10) can determine the 'viewing status' of user A (2a) based on the received gaze recognition result. For example, if user A's (2a) gaze is not directed to the center of the screen where content is played, or user A (2a) has his eyes closed, the control server (10) can determine that user A (2a) is not normally viewing the content, and transmit the result to the host device (100).
호스트 장치(100)는 제어 서버(10)로부터 수신한 시청 상태 정보를 UI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식별정보가 “001”및 “User_A”인 제1 VR 기기(200_1)의 시청 상태는 “졸음 감지”인 것으로 표시하였다.The host device (100) can display the viewing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10) on the UI screen.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5, the viewing status of the first VR device (200_1) whos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001” and “User_A” is displayed as “drowsiness detection.”
관리자(1)는 호스트 장치(100)의 UI 화면을 통해 복수의 VR 기기들의 시청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The administrator (1) can check the viewing status of multiple VR devices through the UI screen of the host device (100).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VR 기기(200_1)가 제어 서버(10)에 시선 인식 결과를 전송하면, 제어 서버(10)가 시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A(2a)의 시청 상태를 판단하고, 호스트 장치(100)에 시청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다르게 제어 서버(10)는 수신한 시선 인식 결과를 그대로 호스트 장치(100)에 전송하고, 호스트 장치(100)가 시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시청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VR 기기(200_1)가 직접 시선 인식 결과로부터 시청 상태를 판단하고, 시청 상태 정보를 제어 서버(10)를 통해 호스트 장치(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5, when the first VR device (200_1) transmits a gaze recognition result to the control server (10), the control server (10) determines the viewing status of the user A (2a) based on the gaze recognition result and transmits the viewing status information to the host device (100). However, differently from this, the control server (10) may transmit the received gaze recognition result as is to the host device (100), and the host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viewing status based on the gaze recognition result. Alternative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VR device (200_1) may directly determine the viewing status from the gaze recognition result and transmit the viewing status information to the host device (100) through the control server (10).
도 6을 참고하면, 관리자(1)는 시청 상태가 정상적이지 않다고 판단되는 VR 기기에 대해서는 피드백(e.g. 경고 알림)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1)는 호스트 장치(100)의 UI 화면을 통해 제1 VR 기기(200_1)를 착용한 사용자 A(2a)에게 졸음이 감지된 것을 확인하고, 제1 VR 기기(200_1)를 선택해 경고 알림을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manager (1) can deliver feedback (e.g., warning notification) to a VR device that is determined to be in an abnormal viewing st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anager (1) can confirm that drowsiness has been detected in user A (2a) wearing the first VR device (200_1) through the UI screen of the host device (100), and request that the first VR device (200_1) be selected to transmit a warning notification.
호스트 장치(100)가 제어 서버(10)에 경고 알림을 전송하면, 제어 서버(10)는 이를 제1 VR 기기(200_1)에 전송할 수 있다. 경고 알림을 수신한 제1 VR 기기(200_1)는 다양한 방식으로 경고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VR 기기(200_1)는 경고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A(User_A)에게 경고를 줄 수도 있고,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VR 기기(200_1)는 진동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A(User_A)에게 경고를 줄 수도 있다. 제1 VR 기기(200_1)는 이 밖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경고 알림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A(User_A)가 콘텐츠에 집중하도록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When the host device (100) transmits a warning notification to the control server (10), the control server (10) can transmit it to the first VR device (200_1). The first VR device (200_1) that receives the warning notification can output the warning notification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VR device (200_1) can output a warning sound to warn User A (User_A) or display a warning message on the screen where the content is played. 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VR device (200_1) can output a vibration to warn User A (User_A). In addition, the first VR device (200_1) can output a warning notification in various ways to draw User A's attention to focus on the content.
도 7 및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VR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FIGS. 7 and 8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multiple VR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도 7을 참고하면, 701 단계에서 호스트 장치는 제어 서버로부터 로그인된 VR 기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VR 기기의 식별정보는 VR 기기에 대응되는 단말 번호 및 로그인 시 사용된 사용자 계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 번호는 VR 기기를 착용한 사용자, 관리자 또는 제어 서버에 의해 부여된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t step 701, the host device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logged-in VR device from the control serv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R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erminal number corresponding to the VR device and a user account used at the time of logging in, and the terminal number may be assigned by a user wearing the VR device, an administrator, or the control server.
702 단계에서 호스트 장치는 수신한 식별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는 호스트 장치의 화면을 통해 현재 어떤 VR 기기들이 로그인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At step 702, the host device can display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screen. The administrator can check which VR devices are currently logged in through the screen of the host device.
703 단계에서 호스트 장치는 사용자(관리자)로부터 VR 기기의 식별정보를 선택하는 입력 및 VR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는 호스트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VR 기기들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에서, 자신이 제어하고자 하는 VR 기기에 대응되는 식별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는 호스트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VR 기기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객체(e.g. VR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 등)그리고 이어서 관리자는 선택된 VR 기기의 동작(e.g. 콘텐츠 재생, 전원의 온오프, 일시 정지, 재생 모드 변경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호스트 장치에 입력할 수 있다.At step 703, the host device can receive an input for sele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VR device from a user (administrator) and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VR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dministrator can sel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VR device that the administrator wants to control from a list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VR devices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host device. 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dministrator can select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R devic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host device (e.g., an icon representing a VR device, etc.), and then the administrator can input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selected VR device (e.g., content playback, power on/off, pause, playback mode change, etc.) to the host device.
704 단계에서 호스트 장치는 제어 서버를 통해, 선택된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VR 기기에 수신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At step 704, the host device can transmit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to the VR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control server.
도 8의 순서도에 포함된 단계들은, 도 7의 704 단계 이후에 이어서 수행될 수도 있다.The steps included in the flowchart of FIG. 8 may be performed subsequently after step 704 of FIG. 7.
도 8을 참고하면, 801 단계에서 제어 서버 또는 호스트 장치는 VR 기기가 사용자의 시선을 인식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서버가 VR 기기로부터 시선 인식 결과를 수신하고, 시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청 상태를 판단한 후, 시청 상태 정보를 호스트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서버는 VR 기기로부터 수신한 시선 인식 결과를 호스트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t step 801, the control server or the host device may receive the result of the VR device recognizing the user's gaz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server may receive the gaze recognition result from the VR device, determine the user's viewing state based on the gaze recognition result, and then transmit the viewing state information to the host device. Alternative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server may transmit the gaze recogni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VR device to the host device.
802 단계에서 호스트 장치는 시선 인식 결과로부터 판단된 시청 상태 정보를 호스트 장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스트 장치는 제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시청 상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스트 장치는 제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시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청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시청 상태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In step 802, the host device can display the viewing status information determined from the gaze recognition result on the screen of the hos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st device can display the viewing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on the screen. 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st device can determine the viewing status of the user based on the gaze recogni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and display the determined viewing status on the screen.
호스트 장치는 803 단계에서 UI를 통해 사용자(관리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VR 기기에 대한 피드백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804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VR 기기에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스트 장치는 관리자로부터 피드백 전송 요청(e.g. 경고 알림을 출력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면, 이를 제어 서버를 통해 VR 기기에 전송하고, VR 기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R 기기는 메시지, 사운드 또는 진동 등의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host device receives a request for transmitting feedback to at least one VR device from a user (administrator) through the UI at step 803, the host device can transmit the feedback to at least one VR device at step 804.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host device receives a request for transmitting feedback (e.g., a request to output a warning notification) from the administrator, the host device transmits the request to the VR device through the control server, and the VR device can output the feedback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VR device can output a warning notification to the user in the form of a message, sound, or vibration.
이상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관리자가 호스트 장치를 통해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e.g. VR 기기)들을 원격으로 제어하고 관리함으로써, 콘텐츠 재생 장치를 이용한 학습 등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learning using the content playback devices can be smoothly performed by having the administrator remotely control and manage multiple content playback devices (e.g. VR devices) through the host device.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The term '~ unit' used in the above embodiments means a software or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n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or an ASIC, and the '~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the '~ uni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the '~ unit' include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attributes,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sub-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sub-components' o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sub-components'.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implemented to trigger one or more CPUs within the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도 3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저장매체,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The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ntent playback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through FIGS. 3 to 8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readable medium that stores computer-executable commands and data. At this time, the commands and data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s, and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may generate a predetermined program module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ny available medium that may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may include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 computer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by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ing information such as computer-readable command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For example, the computer recording medium may be a storage medium such as an HDD and an SSD, a magnetic storage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 a DVD, and a Blu-ray disc, or a memory included in a server that may be accessed through a network.
또한 도 3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content playback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through FIGS. 3 to 8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or a computer program product) including commands executable by a computer. The computer program includes programmable machine commands processed by a processor, and may be implemented in a 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an 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an assembly language, a machine language, etc. In addition, the computer program may be recorded on a tangibl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g., a memory, a hard disk, a magnetic/optical medium, or a solid-state drive (SSD)).
따라서 도 3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Therefore, the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content playback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through FIGS. 3 to 8 can be implemented by executing the computer program as described above by the computing device. The computing device can include at least some of a processor, a memory, a storage device, a high-speed interface connected to the memory and a high-speed expansion port, and a low-speed interface connected to a low-speed bus and the storage device. Each of these components is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various buses, and can be mounted on a common motherboard or mounted in another suitable manner.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processor may process instructions within the computing device, such as instructions stored in a memory or storage device for displaying graphical information for providing a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on an external input/output device, such as a display connected to a high-speed interface. In other embodiments, multiple processors and/or multiple buses may be utilized, as appropriate, together with multiple memories and memory types. Additionally,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chipset comprising multiple independent analog and/or digital processors.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Memory also stores information within a computing device. For example, memory may be comprised of volatile memory units or a collection thereof. For another example, memory may be comprised of nonvolatile memory units or a collection thereof. Memory may also be another form of computer-readable media, such as, for example, a magnetic or optical disk.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And the storage device can provide a large amount of storage space to the computing device. The storage device can be a computer-readable medium or a configuration including such a medium, and can include, for example, devices within a storage area network (SAN) or other configurations, and can be a floppy disk device, a hard disk device, an optical disk device, a tape device, flash memory, or other simila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r array of devices.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manner.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protection sought by this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10: 제어 서버 100: 호스트 장치
110: 통신부 120: 입출력부
130: 저장부 140: 제어부
200_1, 200_2, 200_3: VR 기기10: Control Server 100: Host Device
110: Communication section 120: Input/output section
130: Storage unit 140: Control unit
200_1, 200_2, 200_3: VR devices
Claims (12)
호스트 장치가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들의 식별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 장치가 상기 수신한 식별정보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 장치가 관리자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 및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 재생 장치에,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가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를 사용 중인 사용자의 시선을 인식한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된 사용자들의 시청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호스트 장치가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사용자들의 시청 상태를 기초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피드백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재생 장치에 피드백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하도록 하는 명령 및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재생 모드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장치들의 식별정보들은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들에 대해서 부여된 단말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번호는 상기 호스트 장치와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들을 연결하는 제어 서버에 의해 자동으로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ntent playback device,
A step in which a host device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multiple content playback devices;
A step for the host device to display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screen;
A step for the host device to receive an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administrator and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and
Including a step of transmitting the control command to a content playback devic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sele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step of displaying the viewing status of users judg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host device recognizing the gaze of a user using the content playback device on the screen; and
When the host device receives a request for transmitting feedback to at least one content playback device selected based on the viewing status of the users from the manager,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transmitting feedback to the at least one content playback device selected,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command is one of a command for turning the power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on and off and a command for changing the playback mode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content playback devices includes a terminal number assigned to the plurality of content playback devices, and the terminal number is automatically assigned by a control server connecting the host device and the plurality of content playback devices.
상기 사용자들의 시청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호스트 장치가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들을 사용 중인 사용자들의 시선을 인식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호스트 장치가 상기 수신한 결과로부터 상기 사용자들의 시청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n the first paragraph,
The step of displaying the viewing status of the above users on the screen is:
A step for receiving, from the content playback device, a result of the host device recognizing the gaze of users using the content playback devices; and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tep of the host device determining the viewing status of the users from the received result.
상기 사용자들의 시청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호스트 장치가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들을 사용 중인 사용자들의 시선을 인식한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사용자들의 시청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n the first paragraph,
The step of displaying the viewing status of the above users on the screen is: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tep of receiving a viewing status of users determined based on a result of the host device recognizing the gaze of users using the content playback devices.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에서 재생될 콘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에서의 콘텐츠 재생을 일시적으로 정지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재생 모드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ontrol commands are,
A method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y one of a command for selecting content to be played o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and playing the selected content, a command for temporarily stopping content playback o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a command for turning power on and of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and a command for changing the playback mode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정보를 표시하고 관리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출력부;
콘텐츠 재생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들의 식별정보들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식별정보들을 상기 입출력부에 표시하고,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관리자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 및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 재생 장치에,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들을 사용 중인 사용자들의 시선을 인식한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된 시청 상태를 상기 입출력부에 표시하고,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사용자들의 시청 상태를 기초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피드백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재생 장치에 피드백을 전송하고,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하도록 하는 명령 및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재생 모드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장치들의 식별정보들은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들에 대해서 부여된 단말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번호는 상기 컴퓨팅 장치와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장치들을 연결하는 제어 서버에 의해 자동으로 부여되는, 컴퓨팅 장치.In a computing device that remotely controls a content playback devic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Input/output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receiving input from administrator;
A storage unit storing a program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ntent playback device; and
A control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processor,
The above control unit executes the above program,
When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content playback device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displaying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input/output unit, and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from a manager through the input/output unit, transmitting the control command to the content playback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sele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determined viewing status on the input/output unit based on the result of recognizing the gaze of users using the content playback devices, and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feedback transmission for at least one content playback device selected based on the viewing status of the users from the manager, transmits feedback to at least one content playback device selected,
A computing device wherein the control command is one of a command for turning the power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on and off and a command for changing the playback mode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content playback devices includes terminal numbers assigned to the plurality of content playback devices, and the terminal numbers are automatically assigned by a control server connecting the computing device and the plurality of content playback devic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들을 사용 중인 사용자들의 시선을 인식한 결과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결과로부터 상기 사용자들의 시청 상태를 판단하는 컴퓨팅 장치.In Article 8,
The above control unit,
A computing device that receives a result of recognizing the gaze of users using the content playback devices from the content playback devices and determines the viewing status of the users from the received resul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들을 사용 중인 사용자들의 시선을 인식한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사용자들의 시청 상태를 수신하는 컴퓨팅 장치.In Article 8,
The above control unit,
A computing device that receives the viewing status of users determined based on the results of recognizing the gaze of users using the above content playback devices.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에서 재생될 콘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에서의 콘텐츠 재생을 일시적으로 정지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재생 모드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In Article 8,
The above control commands are,
A computing device characterized by one of the following commands: a command for selecting content to be played o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a command for playing the selected content, a command for temporarily stopping content playback o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a command for turning power on and of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and a command for changing the playback mode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1886A KR102701374B1 (en) | 2023-01-05 | 2023-01-05 |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playback device remotely, and compu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1886A KR102701374B1 (en) | 2023-01-05 | 2023-01-05 |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playback device remotely, and compu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09838A KR20240109838A (en) | 2024-07-12 |
KR102701374B1 true KR102701374B1 (en) | 2024-09-02 |
Family
ID=91950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01886A Active KR102701374B1 (en) | 2023-01-05 | 2023-01-05 |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playback device remotely, and compu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01374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519322A (en) * | 2009-02-27 | 2012-08-23 | スカニマジェム−コメルシオ インターナシオナル エー テクノロジアス デジテス,ソシエダッド アノニマ | School content management and storage system, and school content management and storage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87378A (en) * | 2020-01-02 | 2021-07-12 | 주식회사 싸이큐어 | Active type vr device, vr content providing system, vr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
KR20220101342A (en) * | 2021-01-11 | 2022-07-19 | 주식회사 빌리버 | Platform for providing on-line class based on virtual reality |
-
2023
- 2023-01-05 KR KR1020230001886A patent/KR10270137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519322A (en) * | 2009-02-27 | 2012-08-23 | スカニマジェム−コメルシオ インターナシオナル エー テクノロジアス デジテス,ソシエダッド アノニマ | School content management and storage system, and school content management and storage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09838A (en) | 2024-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35686B2 (en) | Enhanced content consumption | |
US20190026075A1 (en) |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8462997B2 (en) | User-specific attribute customization | |
US11057549B2 (en) | Techniques for presenting video stream next to camera | |
JP6956334B2 (en) | Playback device and output device | |
US20190251961A1 (en) | Transcription of audio communication to identify command to device | |
EP3864854B1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1209902B2 (en) | Controlling input focus based on eye gaze | |
US20130031477A1 (en) | Mode notifications | |
KR20210047112A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0469603B2 (en) | Using a historical record of actions taken by a group of users to identify responsive actions in a computing system | |
US20100250478A1 (en) | Demo Verification Provisioning | |
KR102701374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playback device remotely, and compu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 |
US11330029B2 (en) | Sharing content with a detected device | |
US20240272596A1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US20200066237A1 (en) | Presentation of content on left and right eye portions of headset | |
US10241584B2 (en) | Gesture detection | |
US12108013B2 (en) | Method and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viewpoint of attendees in an immersive environment | |
US12353702B2 (en) | Projecting interfaces on a surface | |
KR2019012484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ame | |
US10866654B1 (en) | Presentation of indication of location of mouse cursor based on jiggling of mouse cursor | |
US11212578B2 (en) | Visible indicator for importance of audio | |
KR20230082489A (en) | Method for monitoring application usage status, and compu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 |
KR20190096240A (en) | System for interactive media production based on user motion recognition and method for the same | |
US20240069703A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1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