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01286B1 - Wrist watch type live wire detection sensor device - Google Patents
Wrist watch type live wire detection sensor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01286B1 KR102701286B1 KR1020220158235A KR20220158235A KR102701286B1 KR 102701286 B1 KR102701286 B1 KR 102701286B1 KR 1020220158235 A KR1020220158235 A KR 1020220158235A KR 20220158235 A KR20220158235 A KR 20220158235A KR 102701286 B1 KR102701286 B1 KR 1027012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ve
- wire
- glove
- sensor
- work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4—Gloves with accessories
- A41D19/0027—Measuring instruments, e.g. watch, thermomete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로서, 전기 장비의 전류가 흐르는 전선 작업 시에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에 설치되어,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여부를 감지하는 활선 센서; 및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의 손목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활선 센서에서 감지하는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감지에 따른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에 따르면, 전기 장비의 전류가 흐르는 전선 작업 시에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과,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에 설치되어,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여부를 감지하는 활선 센서와,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의 손목 부위에 설치되어, 활선 센서에서 감지하는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감지에 따른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장갑에 있는 비접촉식 활선 센서로 작업 중인 전기 장비의 전선의 활선을 감지하고, 손목에 탈부착 되는 경고 장치부를 통해 활선을 경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에 따르면, 장갑에 있는 비접촉식 활선 센서로 작업 중인 전기 장비의 전선의 활선을 감지하고, 손목에 탈부착 되는 경고 장치부를 통해 활선을 경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 장비의 전선을 작업하는 작업자는 자신이 작업해야 할 전선을 접촉하지 않고도 전선이 활선인지의 여부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전기 장비의 전선 작업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에 따르면, 장갑에 있는 비접촉식 활선 센서로 작업 중인 전기 장비의 전선의 활선을 감지하고, 손목에 탈부착 되는 경고 장치부를 통해 활선을 경고하되, 실리콘 섬유질의 활선 센싱 섬유를 활선 센서로 이용하여 스트랩에 박음질 형태로 구성하고 장갑에 탈착 가능한 스트랩 형태 또는 장갑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경고 장치부를 장갑에 탈부착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선 감지를 위한 손목시계 타입으로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stwatch-type live-line detection sensor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wristwatch-type live-line detection sensor device, the device comprising: a glove worn on the hand of a worker when working on a current-carrying wire of electrical equipment; a live-line sensor installed on the glove worn on the hand of the worker to detect whether the wire being worked on is live; and a warning device section installed on the wrist portion of the glove worn on the hand of the worker to output a warning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a live wire in the wire being worked on, which is detected by the live-line sensor.
According to the wristwatch type live line detection sensor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comprises: a glove worn on the hand of a worker when working on a current-carrying wire of electrical equipment; a live line sensor installed on the glove worn on the hand of the worker to detect whether the wire being worked on is live; and a warning device unit installed on the wrist of the glove worn on the hand of the worker to output a warning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a live line in the wire being worked on detected by the live line sensor, thereby enabling the non-contact live line sensor in the glove to detect the live line in the wire of the electrical equipment being worked on and the warning device unit attachable and detachable to the wrist to warn of the live lin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ristwatch type live line detection sens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cting a live line of a wire of electrical equipment being worked on with a non-contact live line sensor in a glove and warning of a live line through a warning device portion attachable to the wrist, a worker working on the wires of the electrical equipment can immediately know whether the wire he or she is working on is live without touching the wire, and thus the safety of working on the wires of the electrical equipment can be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ristwatch type live line detection sens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n-contact live line sensor in a glove detects a live line of a wire of electrical equipment being worked on, and warns of a live line through a warning device portion attachable to a wrist, wherein a live line sensing fiber made of silicone fiber is used as a live line sensor and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titched part on a strap and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trap attachable to a glove or as an integral part of a glove, and the warning device portion can be used in the form of an attachable part to a glove, so that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use as a wristwatch type for live line detection can be further impro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갑에 있는 비접촉식 활선 센서로 작업 중인 전기 장비의 전선의 활선을 감지하고, 손목에 탈부착 되는 경고 장치부를 통해 활선을 경고할 수 있도록 하는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stwatch-type live-line detection sensor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wristwatch-type live-line detection sensor device that detects live lines of wires of electrical equipment being worked on with a non-contact live-line sensor on a glove, and issues a warning of a live line through a warning device part attachable to the wrist.
일반적으로 전선(electric wire)은 전력 또는 전기신호를 보내기 위해 사용되는 선(line)류를 통칭하는 말이다. 이러한 전선은 나전선과 절연전선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중 나전선(bare wire)은 도체 위에 절연 피복이 되지 않은 전선으로, 특별고압 송전선 또는 트롤리 선 등에 사용되고, 절연전선(insulated wire)은 전기가 외부로 누전되지 않도록 도체 위에 절연 피복이 된 전선으로, 옥내 시설 등에 폭넓게 사용된다.In general, electric wire is a general term for lines used to transmit electricity or electric signals. These wires can be divided into bare wires and insulated wires. Among these, bare wires are wires that do not have insulation coverings on the conductors, and are used for special high-voltage transmission lines or trolley lines, while insulated wires are wires that have insulation coverings on the conductors to prevent electricity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d are widely used in indoor facilities, etc.
그리고 전선을 구성하는 도체(conductor)는 전기저항이 낮은 구리 또는 동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절연 피복(insulated coat)은 고무, 폴리에틸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And the conductor that makes up the wire can be made of copper or brass, which have low electrical resistance, and the insulated coat can be made of rubber, polyethylene, etc.
한편, 새로운 전기 장비를 설치하거나, 기존의 전기 장비를 보수 또는 제거하는 경우, 새로운 전기 장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새로운 전선을 설치하거나, 기존의 전기 장비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존의 전선을 교체 또는 제거하는 작업도 함께 수행되어야 한다. 이 경우, 전선의 설치나, 교체 또는 제거 작업을 수행하기에 앞서, 작업자 또는 전기 장비의 안전을 위하여 작업 대상에 해당되는 전선에 전기가 통하고 있는지, 즉 활선인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선행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Meanwhile, when installing new electrical equipment or repairing or removing existing electrical equipment, work must also be done to install new wires to supply power to the new electrical equipment or to replace or remove existing wires that supply power to the existing electrical equipment. In this case, before performing the work of installing, replacing, or removing wires, a preliminary inspection must be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wires to be worked on are energized, i.e., live, for the safety of the worker or the electrical equipment.
일반적으로, 작업 대상에 해당되는 전선이 활선인지에 대한 여부의 검사는 검전기(electro scope)를 이용하여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검전기는 전자기파에 의해 활선 주위에 형성되는 유도 기전력을 감지하여, 작업 대상에 해당되는 전선의 활선 여부를 판단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활선 전선과 비활선 전선이 일체로 고정된 전선 다발 중 일부 전선만이 작업 대상에 해당되는 경우, 작업 대상의 주위에 위치하는 다수의 활선 전선에 의해 형성된 유도 기전력에 의해 작업 대상에 해당되는 전선의 활선 여부가 정확하게 검사되지 않는 한계가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41042호가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되고 있다.In general, the inspection of whether or not the wire corresponding to the work target is live is performed using an electroscope. This conventional electroscope detects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formed around the live wire by electromagnetic waves, thereby disclosing the content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wire corresponding to the work target is live. However, there was a problem that, in the case where only some of the wires among the bundle of wires in which a number of live and non-live wires are fixed integrally are the work target, whether or not the wire corresponding to the work target is live cannot be accurately inspected due to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formed by the number of live wires located around the work target.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1-0041042 is disclosed as a prior art document.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전기 장비의 전류가 흐르는 전선 작업 시에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과,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에 설치되어,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여부를 감지하는 활선 센서와,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의 손목 부위에 설치되어, 활선 센서에서 감지하는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감지에 따른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장갑에 있는 비접촉식 활선 센서로 작업 중인 전기 장비의 전선의 활선을 감지하고, 손목에 탈부착 되는 경고 장치부를 통해 활선을 경고할 수 있도록 하는,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ly proposed method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ristwatch-type live-line detection sensor device, which comprises a glove worn by a worker on the hand when working on a current-carrying wire of electrical equipment, a live-line sensor installed on the glove worn by the worker's hand to detect whether the wire being worked on is live, and a warning device unit installed on the wrist of the glove worn by the worker's hand to output a warning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a live wire of the wire being worked on detected by the live-line sensor, thereby detecting a live wire of the wire of the electrical equipment being worked on with the non-contact live-line sensor in the glove and warning of a live wire through the warning device unit attachable to the wrist.
또한, 본 발명은, 장갑에 있는 비접촉식 활선 센서로 작업 중인 전기 장비의 전선의 활선을 감지하고, 손목에 탈부착 되는 경고 장치부를 통해 활선을 경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 장비의 전선을 작업하는 작업자는 자신이 작업해야 할 전선을 접촉하지 않고도 전선이 활선인지의 여부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전기 장비의 전선 작업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live lines in electrical equipment wires during work with a non-contact live line sensor in gloves, and warns of live lines through a warning device attachable to the wrist, thereby allowing a worker working on wires of electrical equipment to immediately know whether the wires he or she is working on are live without touching them,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safety of working on wires of electrical equipment, and thus provides a wristwatch-type live line detection sensor devic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장갑에 있는 비접촉식 활선 센서로 작업 중인 전기 장비의 전선의 활선을 감지하고, 손목에 탈부착 되는 경고 장치부를 통해 활선을 경고하되, 실리콘 섬유질의 활선 센싱 섬유를 활선 센서로 이용하여 스트랩에 박음질 형태로 구성하고 장갑에 탈착 가능한 스트랩 형태 또는 장갑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경고 장치부를 장갑에 탈부착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선 감지를 위한 손목시계 타입으로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live lines of electrical equipment wires being worked on with a non-contact live line sensor in a glove, warns of live lines through a warning device portion attachable to a wrist, uses a live line sensing fiber made of silicone fiber as a live line sensor, configures it in the form of a stitched part on a strap, configures it in the form of a strap attachable to a glove or as an integral part of a glove, and enables the warning device portion to be used in the form of an attachable part to a glove, thereby providing a wristwatch-type live line detection sensor device, whereby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use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a wristwatch type live wire detection sensor device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로서,As a wristwatch type live wire detection sensor device,
전기 장비의 전류가 흐르는 전선 작업 시에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Gloves worn by workers when working with live wires of electrical equipment;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에 설치되어,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여부를 감지하는 활선 센서; 및A live sensor installed on a glove worn by a worker to detect whether the wire being worked on is live; and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의 손목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활선 센서에서 감지하는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감지에 따른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warning device section installed on the wrist area of a glove worn by a worker, which outputs a warning according to detection of a live wire in a working wire detected by the live wire sensor.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갑은,Preferably, the glove comprises:
전기 장비의 전류가 흐르는 전선 작업 시에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절연 장갑으로 구성될 수 있다.It may consist of insulating gloves to protect workers when working with live wires of electrical equipm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선 센서는,Preferably, the active sensor is,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에 설치되어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여부를 감지하되, 작업 중인 전선에 직접 접촉되지 않은 비접촉 상태에서 전선의 활선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It is installed on a glove worn by a worker and detects whether the wire being worked on is live, but can detect the live state of the wire in a non-contact state without directl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wire being worked on.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선 센서는,More preferably, the active sensor,
작업 중인 전선에 직접 접촉되지 않은 비접촉 상태에서 전선의 활선 상태를 감지하되, 미세 정전기를 통해 전선에 전류가 흐르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It can detect the live state of a wire in a non-contact state without directly touching the wire being worked on, but can detect whether current is flowing through the wire through micro-static electricity.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선 센서는,Preferably, the active sensor is,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에 설치되어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여부를 감지하되, 실리콘 섬유질의 활선 센싱 섬유로 구성되어 스트랩에 박음질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t is installed on a glove worn by a worker to detect whether a wire being worked on is live, and can be configured with a live sensing fiber made of silicone fiber sewn onto a strap.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선 센서는,More preferably, the active sensor,
실리콘 섬유질의 활선 센싱 섬유로 구성되어 스트랩에 박음질된 형태로 구성하되, 상기 장갑을 감싸는 탈착 가능한 스트랩 형태로 실장 할 수 있다.It is composed of a silicon fiber-based active sensing fiber and is sewn onto a strap, but can be mounted in the form of a detachable strap that wraps around the glov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선 센서는,More preferably, the active sensor,
실리콘 섬유질의 활선 센싱 섬유로 구성되어 스트랩에 박음질된 형태로 구성하되, 상기 장갑에 일체형으로 박음질하여 센서를 실장 할 수 있다.It is composed of a silicon fiber-based active sensing fiber and is configured in a form sewn onto a strap, and the sensor can be mounted by being sewn integrally onto the glov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고 장치부는,More preferably, the warning device unit,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의 손목 부위에 탈부착이 가능한 센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t can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detachable sensor attached to the wrist area of a glove worn by a worker.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에 따르면, 전기 장비의 전류가 흐르는 전선 작업 시에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과,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에 설치되어,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여부를 감지하는 활선 센서와,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의 손목 부위에 설치되어, 활선 센서에서 감지하는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감지에 따른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장갑에 있는 비접촉식 활선 센서로 작업 중인 전기 장비의 전선의 활선을 감지하고, 손목에 탈부착 되는 경고 장치부를 통해 활선을 경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ristwatch type live line detection sensor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comprises: a glove worn on the hand of a worker when working on a current-carrying wire of electrical equipment; a live line sensor installed on the glove worn on the hand of the worker to detect whether the wire being worked on is live; and a warning device unit installed on the wrist of the glove worn on the hand of the worker to output a warning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a live line in the wire being worked on detected by the live line sensor, thereby enabling the non-contact live line sensor in the glove to detect the live line in the wire of the electrical equipment being worked on and the warning device unit attachable and detachable to the wrist to warn of the live line.
또한, 본 발명의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에 따르면, 장갑에 있는 비접촉식 활선 센서로 작업 중인 전기 장비의 전선의 활선을 감지하고, 손목에 탈부착 되는 경고 장치부를 통해 활선을 경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 장비의 전선을 작업하는 작업자는 자신이 작업해야 할 전선을 접촉하지 않고도 전선이 활선인지의 여부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전기 장비의 전선 작업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ristwatch type live line detection sens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cting a live line of a wire of electrical equipment being worked on with a non-contact live line sensor in a glove and warning of a live line through a warning device portion attachable to the wrist, a worker working on the wires of the electrical equipment can immediately know whether the wire he or she is working on is live without touching the wire, and thus the safety of working on the wires of the electrical equipment can be further improved.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에 따르면, 장갑에 있는 비접촉식 활선 센서로 작업 중인 전기 장비의 전선의 활선을 감지하고, 손목에 탈부착 되는 경고 장치부를 통해 활선을 경고하되, 실리콘 섬유질의 활선 센싱 섬유를 활선 센서로 이용하여 스트랩에 박음질 형태로 구성하고 장갑에 탈착 가능한 스트랩 형태 또는 장갑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경고 장치부를 장갑에 탈부착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선 감지를 위한 손목시계 타입으로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ristwatch type live line detection sens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n-contact live line sensor in a glove detects a live line of a wire of electrical equipment being worked on, and warns of a live line through a warning device portion attachable to a wrist, wherein a live line sensing fiber made of silicone fiber is used as a live line sensor and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titched part on a strap and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trap attachable to a glove or as an integral part of a glove, and the warning device portion can be used in the form of an attachable part to a glove, so that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use as a wristwatch type for live line detection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에서, 장갑에 활선 센서가 설치된 일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에서, 장갑의 손목 부위에 설치되는 경고 장치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의 전선 작업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의 활선 센서의 배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FIG. 1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wristwatch type live wire detection sensor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unctional block.
FIG. 2 is a drawing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configuration of a wristwatch type live wire detection sensor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live wire sensor is installed on a glove.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wristwatch type live wire detection sensor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warning device section installed on the wrist portion of a glove in a wristwatch type live wire detection sensor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rawing illustrating a wire work configuration of a wristwatch type live wire detection sensor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configuration of a live sensor of a wristwatch type live detection sensor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when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that perform similar functions and a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cases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other elements in between. Also, ‘including’ a componen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에서, 장갑에 활선 센서가 설치된 일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100)는, 전기 장비의 전류가 흐르는 전선 작업 시에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110),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110)에 설치되어,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여부를 감지하는 활선 센서(120), 및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110)의 손목 부위에 설치되어, 활선 센서(120)에서 감지하는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감지에 따른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장치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FIG. 1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wristwatch-type live wire detection sens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unctional block, FIG. 2 is a drawing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xample of a wristwatch-type live wire detection sens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live wire sensor is installed on a glove, and FIG. 3 is a drawing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erspective view configuration of a wristwatch-type live wire detection sens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S. 1 to 3, a wristwatch-type live wire detection sensor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love (110) worn on the hand of a worker when working on a wire through which current of an electrical equipment flows, a live wire sensor (120) installed on the glove (110) worn on the hand of the worker to detect whether the wire being worked on is live, and a warning device unit (130) installed on the wrist portion of the glove (110) worn on the hand of the worker to output a warning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a live wire of the wire being worked on by the live wire sensor (120). Hereinafter,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wristwatch-type live wire detection sensor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100)에서, 장갑(110)의 손목 부위에 설치되는 경고 장치부(13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100)의 전선 작업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100)의 활선 센서(120)의 배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drawing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rning device unit (130) installed on a wrist portion of a glove (110) in a wristwatch type live-line detection sensor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rawing showing the wire work configuration of a wristwatch type live-line detection sensor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drawing showing the arrangement configuration of a live sensor (120) of a wristwatch type live-line detection sensor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장갑(110)은, 전기 장비의 전류가 흐르는 전선 작업 시에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장갑(110)은 전기 장비의 전류가 흐르는 전선 작업 시에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절연 장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장갑(110)은 도 3 내지 도 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손목 부위까지 착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gloves (110) are configured to be worn on the hands of a worker when working on wires through which current flows in electrical equipment. These gloves (110) may be configured as insulating gloves to protect the worker when working on wires through which current flows in electrical equipment. Here, the gloves (110) may be configured in a form that is worn up to the wrist area of the worker, as shown in FIGS. 3 to 6, respectively.
또한, 장갑(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 형태의 활선 센서(120)가 손을 감싸는 탈착 가능한 형태, 또는 장갑(110)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박음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장갑(110)의 외피는 절연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love (110) may be configured in a detachable form in which a strap-shaped active sensor (120) wraps around the hand, as shown in Fig. 2, or in a stitched form that is integrally fixed to the glove (110). In addition, the outer skin of the glove (110) may be formed with an insulating layer.
또한, 장갑(110)은 후술하게 될 활선 센서(120)가 탈착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110)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장갑(110)에 일체형으로 활선 센서(120)가 설치되는 경우, 장갑(110)의 내피에 일체형으로 박음질로 고정되고, 그 위에 절연층의 외피가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ive sensor (12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in a detachable form, the glove (110) can be fixed in a form that wraps around the glove (110), as shown in FIG. 2, and when the live sensor (120) is installed integrally in the glove (110), it can be configured to be integrally fixed by stitching to the inner skin of the glove (110) and have an outer skin of an insulating layer formed thereon.
활선 센서(120)는,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110)에 설치되어,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활선 센서(120)는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110)에 설치되어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여부를 감지하되, 작업 중인 전선에 직접 접촉되지 않은 비접촉 상태에서 전선의 활선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선 센서(120)는 작업 중인 전선에 직접 접촉되지 않은 비접촉 상태에서 전선의 활선 상태를 감지하되, 미세 정전기를 통해 전선에 전류가 흐르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live sensor (120) is installed on a glove (110) worn on the worker's hand and is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wire being worked on is live. This live sensor (120) is installed on a glove (110) worn on the worker's hand and detects whether the wire being worked on is live, but can detect the live state of the wire in a non-contact state without directly contacting the wire being worked on. Here, the live sensor (120) detects the live state of the wire in a non-contact state without directly contacting the wire being worked on, but can detect whether current flows through the wire through micro-static electricity.
또한, 활선 센서(120)는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110)에 설치되어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여부를 감지하되, 실리콘 섬유질의 활선 센싱 섬유로 구성되어 스트랩에 박음질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 형태로 활선 센서(120)를 박음질하여 스트랩과 일체화로 구성할 수 있으며, 활선 센서(120)는 실리콘 섬유질의 실로 되어 미싱기로 박음질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ive sensor (120) is installed on a glove (110) worn by a worker to detect whether the wire being worked on is live, and may be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it is sewn into a strap by being composed of a live sensing fiber made of silicone fiber.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live sensor (120) may be sewn into a strap shape to be configured as an integral part of the strap, and the live sensor (120) may be made of a silicone fiber thread so that it can be sewn with a sewing machine.
또한, 활선 센서(120)는 실리콘 섬유질의 활선 센싱 섬유로 구성되어 스트랩에 박음질된 형태로 구성하되, 상기 장갑(110)을 감싸는 탈착 가능한 스트랩 형태로 실장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ve sensor (120) is composed of a live sensing fiber made of silicone fiber and is sewn onto a strap, but can be mounted in the form of a detachable strap that wraps around the glove (110).
또한, 활선 센서(120)는 실리콘 섬유질의 활선 센싱 섬유로 구성되어 스트랩에 박음질된 형태로 구성하되, 상기 장갑(110)에 일체형으로 박음질하여 센서를 실장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ve sensor (120) is configured as a live sensing fiber made of silicone fiber and sewn into a strap, and the sensor can be mounted by sewing it as an integral part into the glove (110).
경고 장치부(130)는,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110)의 손목 부위에 설치되어, 활선 센서(120)에서 감지하는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감지에 따른 경고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경고 장치부(130)는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110)의 손목 부위에 탈부착이 가능한 센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고 장치부(130)는 활선 센서(120)에서 해당하는 전선의 전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전도성이 있는 철판이 신체에 접점되어 있으며, 미세 정전기를 이용해 해당 전선에 전류가 흐르는지 안 흐르는지를 컨텍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The warning device unit (130) is installed on the wrist area of a glove (110) worn on the worker's hand and is configured to output a warning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a live wire of a wire being worked on by a live wire sensor (120). This warning device unit (13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ensor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wrist area of a glove (110) worn on the worker's hand. Here, the warning device unit (130) has a conductive iron plate in contact with the body so that the live wire sensor (120) can detect the current of the corresponding wire, and can function to contact whether or not a current is flowing in the corresponding wire using micro-static electricity.
또한, 경고 장치부(130)는 장갑(110)의 손목 부위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원형 타입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으로 파워(Power) 단자(131)와, USB-C type 단자(132)가 형성되고, 평면 일 측면으로 활선에 대한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홀(Speaker Hole)(133)이 형성되며,일 측면으로 온/오프를 위한 토글스위치(Toggle Switch)(134)가 설치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고 장치부(130)의 바닥 면에는 작업자의 팔목 피부에 접촉하는 전도성 철판이 배치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rning device part (130) is a circular type tha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wrist area of the glove (110), and as shown in FIG. 4, a power terminal (131) and a USB-C type terminal (132) are formed on one side, a speaker hole (133)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for a live line is formed on one flat side, and a toggle switch (134) for on/off can be installed and configured on one side. Here, a conductive iron plat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orker's wrist skin can be configured to be arrang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rning device part (130).
또한, 경고 장치부(130)는 활선 센서(120)에서 미세 정전기를 이용해 해당 전선에 전류가 흐르는 활선으로 컨텍되면, 경고음을 출력하여 작업이 불가함을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고, 활선으로 컨텍되지 않으면 경고음을 출력하지 않아 작업 가능한 상태임을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rning device unit (130) can function to output a warning sound when the live wire sensor (120) contacts the wire with a live current flowing through it, so that the worker can recognize that work is not possible, and not output a warning sound when the wire is not contacted with a live wire, so that the worker can recognize that work is possible.
이와 같이, 전기 장비의 전류가 흐르는 전선 작업 시에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110)과,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110)에 설치되어,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여부를 감지하는 활선 센서(120)와,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110)의 손목 부위에 설치되어, 활선 센서(120)에서 감지하는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감지에 따른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장치부(130)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100)는 전기 장비의 전선 교체 또는 제거 작업 시에 전선에 전류가 흐르는 활선 상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접촉 방식으로 활선을 감지하고, 활선 상태 시에는 경고음을 출력하여 작업 불가를 통보하고, 비활선 상태에서는 경고음을 출력하지 않아 작업 가능한 상태임을 작업자가 즉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a wristwatch-type live-line detection sensor device (100) including a glove (110) worn on the hand of a worker when working on a current-carrying wire of electrical equipment, a live-line sensor (120) installed on the glove (110) worn on the hand of the worker to detect whether the wire being worked on is live, and a warning device unit (130) installed on the wrist of the glove (110) worn on the hand of the worker to output a warning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a live wire of the wire being worked on detected by the live-line sensor (120), can detect a live wire in a non-contact manner to prevent the risk of a live wire state in which current is flowing in the wire when replacing or removing the wire of electrical equipment, output a warning sound when the wire is live to notify that work is not possible, and do not output a warning sound when the wire is not live so that the worker can immediately know that work is possible, thereby enabling safe work and preventing safety accidents resulting therefrom.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는, 전기 장비의 전류가 흐르는 전선 작업 시에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과,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에 설치되어,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여부를 감지하는 활선 센서와,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의 손목 부위에 설치되어, 활선 센서에서 감지하는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감지에 따른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장갑에 있는 비접촉식 활선 센서로 작업 중인 전기 장비의 전선의 활선을 감지하고, 손목에 탈부착 되는 경고 장치부를 통해 활선을 경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장갑에 있는 비접촉식 활선 센서로 작업 중인 전기 장비의 전선의 활선을 감지하고, 손목에 탈부착 되는 경고 장치부를 통해 활선을 경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 장비의 전선을 작업하는 작업자는 자신이 작업해야 할 전선을 접촉하지 않고도 전선이 활선인지의 여부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전기 장비의 전선 작업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장갑에 있는 비접촉식 활선 센서로 작업 중인 전기 장비의 전선의 활선을 감지하고, 손목에 탈부착 되는 경고 장치부를 통해 활선을 경고하되, 실리콘 섬유질의 활선 센싱 섬유를 활선 센서로 이용하여 스트랩에 박음질 형태로 구성하고 장갑에 탈착 가능한 스트랩 형태 또는 장갑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경고 장치부를 장갑에 탈부착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선 감지를 위한 손목시계 타입으로 사용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ristwatch-type live-line detection sensor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glove worn on the hand of a worker while working on a wire in which current of an electrical equipment is flowing, a live-line sensor installed on the glove worn on the hand of the worker to detect whether the wire being worked on is live, and a warning device unit installed on the wrist of the glove worn on the hand of the worker to output a warning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a live wire of the wire being worked on detected by the live-line sensor, thereby enabling the non-contact live-line sensor of the glove to detect the live wire of the wire of the electrical equipment being worked on and the warning device unit attachable and detachable to the wrist to warn of the live wire, and in particular, by enabling the non-contact live-line sensor of the glove to detect the live wire of the wire of the electrical equipment being worked on and the warning device unit attachable and detachable to the wrist to warn of the live wire, the worker working on the wire of the electrical equipment can immediately know whether the wire is live without touching the wire he or she is to work on,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safety of the wire work of the electrical equipment, and further, A non-contact live-line sensor in gloves detects live lines of electrical equipment being worked on, and warns of live lines through a warning device portion attachable to the wrist. A live-line sensing fiber made of silicone fiber is used as a live-line sensor and is sewn into a strap, and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trap that can be attached to the glove or as an integral part of the glove, and the warning device portion can be used in the form of an attachment or detachment to the glove, so that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use as a wristwatch type for live-line detection can be further improved.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variously modified or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patent claims.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활선 감지 센서 장치
110: 장갑
120: 활선 센서
130: 경고 장치부
131: 파워 단자
132: USB-C type 단자
133: 스피커 홀(Speaker Hole)
134: 토글스위치(Toggle Switch)100: Live wire detection sensor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Gloves
120: Live sensor
130: Warning device section
131: Power terminal
132: USB-C type terminal
133: Speaker Hole
134: Toggle Switch
Claims (8)
전기 장비의 전류가 흐르는 전선 작업 시에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110);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110)에 설치되어,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여부를 감지하는 활선 센서(120); 및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110)의 손목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활선 센서(120)에서 감지하는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감지에 따른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장치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활선 센서(120)는,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110)에 설치되어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여부를 감지하되, 작업 중인 전선에 직접 접촉되지 않은 비접촉 상태에서 전선의 활선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활선 센서(120)는,
작업 중인 전선에 직접 접촉되지 않은 비접촉 상태에서 전선의 활선 상태를 감지하되, 미세 정전기를 통해 전선에 전류가 흐르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활선 센서(120)는,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110)에 설치되어 작업 중인 전선의 활선 여부를 감지하되, 실리콘 섬유질의 활선 센싱 섬유로 구성되어 스트랩에 박음질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경고 장치부(130)는,
작업자의 손에 착용되는 장갑(110)의 손목 부위에 탈부착이 가능한 센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경고 장치부(130)는,
상기 장갑(110)의 손목 부위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원형 타입으로, 일 측으로 파워(Power) 단자(131)와, USB-C type 단자(132)가 형성되고, 평면 일 측면으로 활선에 대한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홀(Speaker Hole)(133)이 형성되며, 일 측면으로 온/오프를 위한 토글스위치(Toggle Switch)(134)가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
As a wristwatch type live wire detection sensor device (100),
Gloves (110) worn by workers when working on live wires of electrical equipment;
A live wire sensor (120) installed on a glove (110) worn by a worker and detecting whether the wire being worked on is live; and
A warning device (130) is installed on the wrist area of a glove (110) worn by a worker and outputs a warning according to detection of a live wire in a working wire detected by the live wire sensor (120).
The above live sensor (120) is
It is installed on a glove (110) worn by a worker to detect whether the wire being worked on is live, but detects the live state of the wire in a non-contact state without direct contact with the wire being worked on.
The above live sensor (120) is
Detects the live state of a wire in a non-contact state without direct contact with the wire being worked on, and detects whether current is flowing through the wire through micro-static electricity.
The above live sensor (120) is
It is installed on a glove (110) worn by a worker and detects whether a wire is live during work, and is composed of a live sensing fiber made of silicone fiber and sewn onto a strap.
The above warning device (130) is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detachable sensor on the wrist area of a glove (110) worn on the worker's hand.
The above warning device (130) is
A wristwatch type live wire detection sensor device characterized b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ower terminal (131) and a USB-C type terminal (132) are formed on one side, a speaker hole (133)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for a live wire is formed on one flat side, and a toggle switch (134) for on/off is installed on one side, in a circular type tha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wrist area of the above gloves (110).
전기 장비의 전류가 흐르는 전선 작업 시에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절연 장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glove (110)
A wristwatch type live wire detection sensor devic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insulating glove for protecting a worker when working on a live wire of electrical equipment.
실리콘 섬유질의 활선 센싱 섬유로 구성되어 스트랩에 박음질된 형태로 구성하되, 상기 장갑(110)을 감싸는 탈착 가능한 스트랩 형태로 실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ctive sensor (120)
A wristwatch type live sensing sens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trap sewn with a live sensing fiber of silicone fiber, and is mounted in the form of a detachable strap that wraps around the glove (110).
실리콘 섬유질의 활선 센싱 섬유로 구성되어 스트랩에 박음질된 형태로 구성하되, 상기 장갑(110)에 일체형으로 박음질하여 센서를 실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타입 활선 감지 센서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ctive sensor (120)
A wristwatch type live sensing sensor device comprising a live sensing fiber made of silicone fiber and sewn into a strap,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is mounted by being sewn integrally into the glove (1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8235A KR102701286B1 (en) | 2022-11-23 | 2022-11-23 | Wrist watch type live wire detection sensor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8235A KR102701286B1 (en) | 2022-11-23 | 2022-11-23 | Wrist watch type live wire detection sensor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76098A KR20240076098A (en) | 2024-05-30 |
KR102701286B1 true KR102701286B1 (en) | 2024-09-02 |
Family
ID=91275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58235A Active KR102701286B1 (en) | 2022-11-23 | 2022-11-23 | Wrist watch type live wire detection sensor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01286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71490A (en) * | 1998-12-07 | 2000-06-23 | Sony Corp | Compact measuring device |
KR102159505B1 (en) * | 2020-03-03 | 2020-09-24 | 대명지이씨(주) | Smart glove for detecting live-wire |
JP6986667B2 (en) * | 2016-08-25 | 2021-12-22 | グンゼ株式会社 | Wearing device for detecting human body movement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0670B1 (en) * | 2012-02-06 | 2013-10-23 | 박성훈 | LED Lighting charge system and power failure sensor |
KR101949535B1 (en) * | 2012-11-19 | 2019-02-20 | 한국전력공사 | Hot-line approaching warning device using amorphous core |
-
2022
- 2022-11-23 KR KR1020220158235A patent/KR10270128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71490A (en) * | 1998-12-07 | 2000-06-23 | Sony Corp | Compact measuring device |
JP6986667B2 (en) * | 2016-08-25 | 2021-12-22 | グンゼ株式会社 | Wearing device for detecting human body movement |
KR102159505B1 (en) * | 2020-03-03 | 2020-09-24 | 대명지이씨(주) | Smart glove for detecting live-wi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76098A (en) | 2024-05-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32913B1 (en) | voltage detection gloves | |
US10835736B2 (en) | EMS exercise device, EMS electrode, EMS garment, EMS stimulus generating unit, EMS signal cable, and EMS undergarment for an EMS exercis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EMS exercise device | |
JP2019151954A (en) | Glove type detector | |
JP2017518607A (en) | Smart clothing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 |
KR101818988B1 (en) | Insulating glove having current and voltage meter function | |
JP2012110134A (en) | Indirect live-line working tool | |
KR102701286B1 (en) | Wrist watch type live wire detection sensor device | |
JP2007305478A (en) | Electrical cable disconnection detection device and disconnection detection method | |
KR102823350B1 (en) | Wearable live wire sensing glove using conductive thread | |
CN210353220U (en) | Device for supporting an electrical connector, loom subassembly and garment | |
KR101953070B1 (en) | Detachable Electrode | |
RU2770750C1 (en) | Device for checking the absence of voltage in the electrical circuit | |
ES2344889T3 (en) | MANUAL TOOLS WITH NON-CONTACT VOLTAGE DETECTOR AS A WARNING DEVICE. | |
KR101889268B1 (en) | Gloves device for testing disconnection | |
KR102584723B1 (en) | Live-wire detection wearable device | |
KR102695002B1 (en) | Tactile Sense Stimulus Wrist Alarm | |
JP4940073B2 (en) | Voltage alarm embedded work clothes | |
JP3003927B2 (en) | Live line approach warning device | |
CN105067982B (en) | The verifying attachment of solder joint between lead and device | |
JP2000178810A (en) | Dustproof working wear | |
KR200398620Y1 (en) | A portable device for the prevention of an electric shock and the display | |
JP2010176877A (en) | Protection sheet and electric shock prevention method using the protection sheet | |
CN108738221B (en) | Anti-static wristband and grounding detection device to improve detection stability | |
JP4885800B2 (en) | Measuring device, measuring probe and operating device | |
CN222751510U (en) | Insulated induction glov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