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01215B1 -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charging paper mone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charging paper mone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01215B1 KR102701215B1 KR1020190132467A KR20190132467A KR102701215B1 KR 102701215 B1 KR102701215 B1 KR 102701215B1 KR 1020190132467 A KR1020190132467 A KR 1020190132467A KR 20190132467 A KR20190132467 A KR 20190132467A KR 102701215 B1 KR102701215 B1 KR 1027012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pe
- drum
- medium
- reel
- control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6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28 prem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10—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web ro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51—Encoders, e.g. lin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Abstract
매체 수납 방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체가 협지된 테이프를 감기 또는 풀기 하는 드럼; 상기 드럼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테이프를 감기 또는 풀기 하는 릴; 상기 드럼 및 상기 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되며, 상기 매체가 협지되는 상기 테이프의 특정 위치를 상대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 및 상기 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 정보를 검출하는 엔코더; 및 상기 엔코더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테이프의 특정 위치를 상대적으로 판단하고, 상기 매체를 수납하는 상기 테이프의 초기 위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 media storage release device is disclos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um receiving and releasing device may be provided, including: a drum for winding or unwinding a tape on which a medium is clamped; a reel spaced from the drum for winding or unwinding the tape; an encoder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drum and the reel and detecting rot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drum and the reel to relatively determine a specific position of the tape on which the medium is clamped;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encoder to relatively determine a specific position of the tape and changing an initial position of the tape that receives the medium.
Description
본 발명은 매체 수납 방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a storage and release device.
일반적으로, 금융 기관 등에서 사용되는 지폐 입출금기에는 지폐를 수납하고 방출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의 매체 수납 방출 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일례로 드럼에 테이프와 지폐를 감아서 수납하고, 릴을 감고 드럼을 되감아 지폐를 방출하고 테이프는 릴에 감는 방식으로 구성된 매체 수납 방출 장치가 있다.In general,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s used in financial institutions, etc. are equipped with media receiving and discharging devices of various structures for receiving and discharging banknotes. One example of this is a media receiving and discharging device configured to wind tape and banknotes onto a drum for storage, wind a reel, rewind the drum, discharge banknotes, and wind the tape onto a reel.
종래 매체 수납 방출 장치는, 이중의 테이프와 그 사이에 협지되는 지폐를 함께 감기/풀기하는 드럼과, 상기 테이프를 감기/풀기하는 릴을 포함한다. 상기 드럼에 일단이 감겨진 테이프 중 하측에 위치한 테이프는 반송롤러와 가이드롤러를 거쳐서 그 타단이 릴에 감겨지고, 상측에 위치한 테이프는 상기 반송롤러의 상측에 외주면이 접하도록 위치하는 반송롤러와 가이드롤러를 거쳐서 그 타단이 릴에 감겨진다.A conventional media receiving and releasing device includes a drum that winds/unwinds a double tape and a banknote sandwiched between them, and a reel that winds/unwinds the tape. Among the tapes wound at one end on the drum, the tape located at the lower end is wound at the other end on the reel via a return roller and a guide roller, and the tape located at the upper end is wound at the other end on the reel via a return roller and a guide roller, which are positioned so that their outer surfaces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return roller.
상기 반송롤러와 드럼 사이에는 테이프의 상면을 가압하여 적정한 텐션을 인가함과 동시에 지폐와 테이프 간에 협지력을 부여하기 위한 압박롤러가 구비된다.Between the above-mentioned return roller and the drum, a pressure roller is provided to apply pressur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pe to apply appropriate tension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gripping force between the banknote and the tape.
그리고, 지폐의 수납 또는 방출시에 상기 드럼에 감겨 수납되거나 드럼으로부터 되감겨 방출되는 지폐와 테이프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가이드가 상기 드럼의 하방과 후방을 따라 구비된다.In addition, a lower guide is provided along the lower and rear sides of the drum to guide the movement of banknotes and tape that are wound and stored on the drum or rewound and ejected from the drum when banknotes are stored or ejected.
상기 하부가이드의 상부에는 하부가이드가 드럼 측을 향하여 가압되도록 힘을 작용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하부가이드의 전방측단은 상기 반송롤러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의 직경 변화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되도록 구성된다.An elastic member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guide to apply force so that the lower guide is pressed toward the drum, and the front end of the lower guide is connected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return roller and is configured to rotate around the rotational axi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diameter of the drum.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매체 수납 방출 장치는 기기의 초기화 또는 지폐의 수납/방출 동작 전에 지폐의 위치 즉, 지폐가 테이프의 어느 부분에 수납되는지 인식할 수 있도록 기준점을 잡기 위해 테이프를 항상 초기 부분으로 감기 또는 푸는 동작을 매번 수행하게 된다. A conventional media receiving/discharging device configured in this manner always performs an operation of winding or unwinding the tape to the initial portion each time to establish a reference poin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anknote, i.e., which portion of the tape the banknote is received, can be recognized before the initialization of the device or the receiving/discharging operation of the banknote.
따라서, 종래의 매체 수납 방출 장치는 테이프의 초기 부분에 제공되는 인식 마크와, 이 인식 마크를 감지할 수 있도록 테이프의 이동 경로 상에 제공되는 센서부를 통해 테이프의 초기 위치가 인식될 수 있다.Accordingly, in a conventional media receiving and releasing device, the initial position of the tape can be recognized through a recognition mark provided at the initial part of the tape and a sensor unit provided on the tape's moving path to detect the recognition mark.
그러나, 종래의 매체 수납 방출 장치는 지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 마크가 테이프의 초기 부분에만 단독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기기의 초기화 또는 기기의 동작 전에 지폐의 위치 인식을 위한 테이프의 감기/풀기 동작이 매번 테이프의 초기 위치에서만 수행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media receiving and releasing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tape winding/unwinding operation for recognizing the position of a banknote is performed only a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tape each time before the initialization or operation of the device, because the recognition mark capable of recognizing the position of a banknote is provided only at the initial portion of the tape.
따라서, 오랜 시간 사용하게 되면, 테이프의 초기 부분이 드럼의 빈번한 감기/풀기 동작으로 다른 부분에 비해 심하게 마모되어 테이프의 다른 부분은 비교적 상태가 양호함에도 불구하고 테이프의 초기 부분만 손상되어 테이프의 전 부분을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if used for a long time, the initial part of the tape becomes more severely worn than the other parts due to the frequent winding/unwinding operations of the drum, and even though the other parts of the tape are in relatively good condition, only the initial part of the tape becomes damaged, resulting in the problem that the entire tape cannot be used and must be discard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폐가 협지되는 테이프가 전 구간에 걸쳐 균일하게 사용되도록 하여 테이프의 특정 부분이 국부적으로 과도하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매체 수납 방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a receiving and releasing device that allows a tape on which banknotes are held to be used uniformly over the entire section, thereby preventing a specific portion of the tape from being excessively worn local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체가 협지된 테이프를 감기 또는 풀기 하는 드럼; 상기 드럼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테이프를 감기 또는 풀기 하는 릴; 상기 드럼 및 상기 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되며, 상기 매체가 협지되는 상기 테이프의 특정 위치를 상대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 및 상기 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 정보를 검출하는 엔코더; 및 상기 엔코더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테이프의 특정 위치를 상대적으로 판단하고, 상기 매체를 수납하는 상기 테이프의 초기 위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um receiving and releasing device may be provided, including: a drum for winding or unwinding a tape on which a medium is clamped; a reel spaced from the drum for winding or unwinding the tape; an encoder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drum and the reel and detecting rot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drum and the reel to relatively determine a specific position of the tape on which the medium is clamped;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encoder to relatively determine a specific position of the tape and changing an initial position of the tape that receives the medium.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테이프가 소정 기간 이상 사용되면 상기 테이프의 초기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hange the initial position of the tape when the tape is u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코더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테이프의 전 구간 중 상기 매체가 협지되는 어느 특정 부분의 사용 빈도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프의 특정 부분의 사용빈도가 기 설정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테이프의 다른 위치에서 상기 매체가 협지되도록 상기 드럼의 감기 또는 풀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usage frequency of a specific portion of the entire section of the tape where the medium is clamp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encoder, and if the usage frequency of the specific portion of the tape exceeds a preset range based on the usage frequency,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winding or unwinding operation of the drum so that the medium is clamped at a different location on the tap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매체가 협지된 테이프를 감기 또는 풀기 하는 드럼; 상기 드럼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테이프를 감기 또는 풀기 하는 릴; 상기 드럼으로부터 상기 릴까지의 이어지는 상기 테이프의 경로 상의 일측에서 상기 테이프와 접촉되며, 상기 테이프의 특정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테이프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회전 정보를 전송하는 엔코딩 유닛; 및 상기 엔코딩 유닛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테이프의 특정 위치를 상대적으로 판단하고, 상기 매체를 수납하는 상기 테이프의 초기위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um receiving and releasing device may be provided, including: a drum for winding or unwinding a tape on which a medium is inserted; a reel spaced from the drum for winding or unwinding the tape; an encoding unit that contacts the tape at one side on a path of the tape extending from the drum to the reel and transmits rotation information while being rotated by the movement of the tape to determine a specific position of the tape; and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encoding unit to relatively determine a specific position of the tape and changes an initial position of the tape that receives the medium.
또한 상기 엔코딩 유닛은, 상기 테이프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테이프의 선 방향 이동에 의해 자유 회전되는 아이들 롤러; 및 상기 아이들 롤러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아이들 롤러의 회전 정보를 측정하는 엔코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coding unit may include an idle roller that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tape and freely rotates by linear movement of the tape; and an encoding unit that is installed on the rotational axis of the idle roller and measures rotation information of the idle roller.
또한 상기 엔코딩 유닛은, 상기 아이들 롤러를 상기 테이프의 일측면 쪽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ncod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idle roller toward one side of the tap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테이프가 소정 기간 이상 사용되면 상기 테이프의 초기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hange the initial position of the tape when the tape is u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코딩부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테이프의 전 구간 중 상기 매체가 협지되는 어느 특정 부분의 사용 빈도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프의 특정 위치의 사용빈도가 기 설정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테이프의 다른 위치에서 상기 매체가 협지되도록 상기 드럼의 감기 또는 풀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usage frequency of a specific portion of the entire section of the tape where the medium is clamped based on information from the encoding unit, and if the usage frequency of a specific position of the tape exceeds a preset range based on the usage frequency,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winding or unwinding operation of the drum so that the medium is clamped at a different position of the tap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지폐가 협지되는 테이프의 특정 부분이 기준치 이상 사용되고 나면 테이프의 다른 부분이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테이프가 국부적으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테이프가 전 구간에 걸쳐 균일하게 사용되도록 하여 테이프의 조기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ecific portion of a tape on which banknotes are held is used beyond a reference value, another portion of the tape is used, thereby preventing local wear of the tape and ensuring that the tape is used uniformly over the entire section, thereby preventing premature damage to the tap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의 제어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media storage and releas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relationship of a media storage and releas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media storage and releas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relationship of a media storage and releas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e of several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may be claimed as a patent,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form a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However, whe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descriptions of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may be omitted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may includ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that include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such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also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10)는 드럼(100), 릴(200), 엔코더(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media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um (100), a reel (200), and an encoder (3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위에서 나열된 구성들을 포함한다는 의미는 이들 구성으로만 이루어진다는 뜻이 아니라 이들 구성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는 뜻으로, 이외에도 다른 구성(예컨대, 매체 수납 방출 장치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는 의미이지만, 공지기술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200)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act tha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nfigurations listed above does not mean that it consists only of these configurations, but that it basically includes these configurations, and that it may include other configurations (e.g., a widely known technology in media storage and discharge devices), bu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is omitted because i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200).
드럼(100)은 예컨대 지폐와 같은 매체(1)가 협지된 테이프(20)를 필요에 따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제공된다. 드럼(100)은 이중의 테이프(20)와 그 테이프(20) 사이에 협지되는 매체(1)를 함께 감기/풀기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드럼(100)이 테이프(20)와 테이프(20) 사이에 협지된 매체(1)를 함께 감기/풀기함에 따라 매체(1)의 수납/방출이 수행될 수 있다.A drum (100) is provided so that a tape (20) on which a medium (1), such as a banknote, is sandwiched can be wound or unwound as needed. The drum (100)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so that the double tape (20) and the medium (1) sandwiched between the tapes (20) can be wound/unwound together. As the drum (100) winds/unwound the tapes (20) and the medium (1) sandwiched between the tapes (20) together, storage/discharge of the medium (1) can be performed.
릴(200)은 드럼(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중의 테이프(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테이프(20)를 각각 감기 또는 풀 수 있도록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The reel (200)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rum (100), and a plurality of reels may be provided so that each of the tapes (20) among the double tapes can be wound or unwound.
이에 따라 릴(200)은 드럼(100)의 상방 및 하방에 각각 1개씩 제공될 수 있으며, 드럼(100)이 테이프(20)를 감으면 각각의 릴(200)은 테이프(20)를 풀기 하여 드럼(100)과 릴(200) 사이에서 테이프(20)가 감기 또는 풀기를 반복하며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ly, one reel (200) may be provided above and one reel (200) may be provided below the drum (100), and when the drum (100) winds the tape (20), each reel (200) unwinds the tape (20), so that the tape (20) may move between the drum (100) and the reel (200) while repeatedly winding or unwinding.
드럼(100)에 일단부가 감겨진 테이프(20) 중 하방에 위치한 테이프(20)는 하부 반송롤러(21)와 하부 가이드 롤러(22)를 거쳐 그 타단부가 하방 릴(200)에 감겨지고, 상방에 위치한 테이프(20)는 하부 반송 롤러(21)의 상측에 외주면이 접하도록 위치하는 상부 반송롤러(23)와 상부 가이드롤러(24)를 거쳐서 그 타단부가 상방 릴(200)에 감겨질 수 있다.Among the tapes (20) wound at one end on the drum (100), the tape (20) located at the lower end can have its other end wound on the lower reel (200) through the lower return roller (21) and the lower guide roller (22), and the tape (20) located at the upper end can have its other end wound on the upper reel (200) through the upper return roller (23) and the upper guide roller (24) positioned so that its out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lower return roller (21).
하부 반송롤러(21) 및 상부 반송롤러(23)와 드럼(100) 사이에는 테이프(20)의 일면을 가압하여 테이프(20)에 적정한 장력을 인가하고 매체와 테이프(20) 간에 협지력을 부여하기 위한 압박 롤러가 필요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A pressure roll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ower return roller (21) and the upper return roller (23) and the drum (100) as needed to apply an appropriate tension to the tape (20) by pressing one side of the tape (20) and to provide a gripping force between the medium and the tape (20).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엔코더(300)는 매체(1)가 협지되는 테이프(20)의 특정 위치를 상대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엔코더(300)는 드럼(100) 및 릴(20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될 수 있으며, 그 드럼(100) 및 릴(20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엔코더(300)가 드럼(100)과 릴(200)에 모두 설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드럼(100)에만 설치되거나 릴(200)에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Also, referring to FIG. 1, an encoder (300) may be provided to relatively identify a specific position of a tape (20) on which a medium (1) is inserted. The encoder (300)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a drum (100) and a reel (200), and may detect rot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drum (100) and the reel (200). FIG. 1 exemplarily illustrates that the encoder (300) is installed on both the drum (100) and the reel (2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stalled only on the drum (100) or only on the reel (200).
엔코더(300)는 드럼(100)/릴(200)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드럼(100)/릴(200)의 회전 정보(예컨대, 회전각 또는 회전량)를 검출함으로써 테이프(20)의 위치 정보(예컨대, 테이프(20)의 특정 위치의 이동 거리)를 상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엔코더(300)의 검출값을 통해 매체(1)가 협지되는 테이프(20)의 특정 위치를 상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테이프(20)의 어느 부분(위치)에 매체(1)가 수납되었는지 알 수 있다.The encoder (300) is installed on the rotation axis of the drum (100)/reel (200) and detects rotation information (e.g., rotation angle or rotation amount) of the drum (100)/reel (200) to relatively determine position information (e.g., movement distance of a specific position of the tape (20)). Accordingly, the specific position of the tape (20) where the medium (1) is held can be relatively determined through the detection value of the encoder (300), and ultimately, it can be known in which part (position) of the tape (20) the medium (1) is stored.
본 실시예와 같은 매체 수납 방출 장치(10)는, 매체(1)의 수납/방출을 위한 작동 전 또는 기기의 초기화가 필요한 경우 테이프(20)에서 매체(1)가 수납되는 위치를 알기 위하여 테이프(20)의 기준 위치를 잡고, 이 기준 위치를 시작점으로 테이프(20)를 감거나 푸는 동작들이 필요한데, 이러한 동작들의 기준 위치를 잡기 위하여 엔코더(300)가 사용될 수 있다.A media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10) such as the present embodiment, before operation for storage/discharge of media (1) or when initialization of the device is required, requires operations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tape (20) where the media (1) is stored, and wind or unwind the tape (20) with this reference position as the starting point. An encoder (300)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se operations.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이외에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2,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400)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제어부(400)는 엔코더(30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매체(1)가 협지된 테이프(20)의 특정 위치를 상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드럼(100) 및 릴(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엔코더(300)가 드럼(100), 릴(200)의 회전 정보를 제어부(400)에 제공하면, 제어부(400)는 매체(1)가 협지되는 테이프(20)의 특정 위치를 상대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테이프(20)의 특정 위치에서 매체(1)의 수납 여부를 알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0) can relatively determine a specific position of the tape (20) on which the medium (1) is clamped by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encoder (300). That is, when the encoder (300)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drum (100) and the reel (200) provides rotation information of the drum (100) and the reel (200) to the control unit (400), the control unit (400) can relatively determine a specific position of the tape (20) on which the medium (1) is clamped, and accordingly, can determine whether the medium (1) is stor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tape (20).
또한, 제어부(400)는 매체를 수납하는 테이프(20)의 초기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소정 기간(예컨대, 2주 또는 한 달)이 경과하면 테이프(20)의 초기 위치를 변경하여 테이프의 다른 부분이 균일하게 사용되도록 하여 테이프(20)가 골고루 마모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can also change the initial position of the tape (20) that stores the medium.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400) can change the initial position of the tape (20)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e.g., two weeks or one month) has elapsed so that other parts of the tape are used evenly, thereby causing the tape (20) to wear out even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테이프(20)의 특정 부분이 국부적으로 반복해서 드럼(100)에 감기거나 풀리는 동작에 의하여 테이프(20)의 특정 부분만 과도하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궁극적으로 테이프(20)의 전체 구간이 균일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following control so that only a specific portion of the tape (20) is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worn by a specific portion of the tape (20) by a local, repeated operation of winding or unwinding the tape (20) on the drum (100), and ultimately so that the entire section of the tape (20) can be used uniformly.
제어부(400)는 엔코더(300)의 정보에 의하여 테이프(20)의 전 구간 중 매체(1)가 협지되는 어느 특정 부분의 사용 빈도를 산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00) can calculate the usage frequency of a specific portion of the entire section of the tape (20) where the medium (1) is clamped based on information from the encoder (300).
또한, 제어부는 이러한 테이프(20)의 특정 부분의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이 특정 부분의 사용 빈도가 기 설정 범위(예컨대, 300회)를 초과하면 제어부(400)는 테이프(20)의 해당 부분이 과도하게 사용된 것으로 판단하여 테이프(20)의 다른 위치에서 매체(1)가 협지되도록 드럼(100)의 감기 또는 풀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the portion of the tape (20) has been used excessively if the frequency of use of the portion exceeds a preset range (e.g., 300 times)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portion of the tape (20), and may control the winding or unwinding operation of the drum (100) so that the medium (1) is held at a different location on the tape (20).
이에 따라 매체(1)를 협지하는 테이프(20)의 주요 부분이 기존의 제1 부분에서 제2 부분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테이프(20)의 어느 특정 부분이 국부적으로 과도하게 마모되지 않고 테이프(20)의 전 구간에 걸쳐 사용량이 균일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main part of the tape (20) that holds the medium (1) is changed from the existing first part to the second part, the usage amount can be adjusted to be uniform over the entire section of the tape (20) without any specific part of the tape (20) being excessively worn locally.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10')는 드럼(100), 릴(200) 및 엔코딩 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3 and 4, a media storage and release device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um (100), a reel (200), and an encoding unit (500).
이때 드럼(100) 및 릴(200)은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1) 수납 방출 장치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적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the drum (100) and the reel (20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medium (1)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o the same drawing symbols are appli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엔코딩 유닛(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00)으로부터 릴(200)까지 이어지는 테이프(20)의 경로 상의 일측에서 테이프(20)와 접촉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The encoding unit (500) may be provided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tape (20) at one side of the path of the tape (20) extending from the drum (100) to the reel (200), as illustrated in FIG. 3.
엔코딩 유닛(500)은 매체(1)가 협지되는 테이프(20)의 특정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테이프(20)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그 회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encoding unit (500) is provided to identify a specific position of a tape (20) on which a medium (1) is inserted, and can transmit rotation information while rotating by movement of the tape (20).
즉, 엔코딩 유닛(500)은 테이프(20)의 선 방향 이동 정보(예컨대, 테이프(20)의 이동 거리)를 직접 측정하되 그 이동 정보를 회전 정보로 전환할 수 있다.That is, the encoding unit (500) can directly measure linear movement information of the tape (20) (e.g., movement distance of the tape (20)) but convert the movement information into rotation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엔코딩 유닛(500)은 아이들 롤러(510) 및 엔코딩부(520)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 더하여 탄성부재(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ncoding unit (500) may include an idle roller (510) and an encoding portion (520), and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530).
아이들 롤러(5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는 테이프(20)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테이프(20)의 선 방향 이동에 의해 자유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20)가 어느 일 방향으로 이송되면 아이들 롤러(510)는 테이프(20)에 의하여 회전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The idle roller (510) can freely rotate by contacting one side of the moving tape (20) as shown in Fig. 3 and by the linear movement of the tape (20). Therefore, when the tape (20) is conveyed in one direction, the idle roller (510) performs a rotational motion by the tape (20).
또한, 엔코딩부(520)는 아이들 롤러(510)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아이들 롤러(510)의 회전 정보(예컨대, 회전각 또는 회전량)를 측정할 수 있다. 엔코딩부(52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엔코더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coding unit (520) is installed on the rotation axis of the idle roller (510) and can measure rotation information (e.g., rotation angle or rotation amount) of the idle roller (510). The encoding unit (520) can be implemented with a generally widely used encoder.
한편, 탄성부재(530)는 아이들 롤러(510)와 테이프(20) 간의 밀착력이 유지되도록 하고, 테이프(20)의 직선 운동이 아이들 롤러(510)의 회전 운동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an elastic member (530) may be provided to maintain adhesion between the idle roller (510) and the tape (20) and to transmit the linear motion of the tape (20) 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idle roller (510).
탄성부재(530)는 아이들 롤러(510)를 테이프(20)의 일측면 쪽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이들 롤러(510)와 테이프(20)의 밀착력이 유지되며 테이프(20)의 직선 운동이 아이들 롤러(510)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테이프(20)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도 있다.The elastic member (530) may be provided to elastically press the idle roller (510) toward one side of the tape (20). Accordingly, the adhesion between the idle roller (510) and the tape (20) is maintained, the linear motion of the tape (20) can be converted in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idle roller (510), and the tension of the tape (20) can be maintained constant.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4,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400).
제어부(400)는 엔코딩부(52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매체(1)가 협지된 테이프(20)의 특정 위치를 상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테이프(20)의 일측면에 밀착된 아이들 롤러(510)에 설치된 엔코딩부(520)가 아이들 롤러(510)의 회전 정보를 제어부(400)에 제공하면, 제어부(400)는 매체(1)가 협지되는 테이프(20)의 특정 위치를 상대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테이프(20)의 특정 위치에서 매체(1)의 수납 여부를 알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0) can relatively determine a specific position of the tape (20) on which the medium (1) is clamped by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encoding unit (520). That is, when the encoding unit (520) installed on the idle roller (510)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tape (20) provides rotation information of the idle roller (510) to the control unit (400), the control unit (400) can relatively determine a specific position of the tape (20) on which the medium (1) is clamped, and accordingly, can determine whether the medium (1) is stor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tape (20).
제어부(400)는 엔코딩부(520)의 정보에 의하여 테이프(20)의 전 구간 중 매체(1)가 협지되는 어느 특정 부분의 사용 빈도를 산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00) can calculate the usage frequency of a specific portion of the entire section of the tape (20) where the medium (1) is inserted based on information from the encoding unit (520).
또한, 제어부(400)는 이러한 테이프(20)의 특정 부분의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이 특정 부분의 사용 빈도가 기 설정 범위(예컨대, 300회)를 초과하면 제어부(400)는 테이프(20)의 해당 부분이 과도하게 사용된 것으로 판단하여 테이프(20)의 다른 위치에서 매체(1)가 협지되도록 드럼(100)의 감기 또는 풀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determines that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tape (20) has been used excessively if the frequency of use of the specific portion exceeds a preset range (e.g., 300 times)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specific portion of the tape (20), and thus can control the winding or unwinding operation of the drum (100) so that the medium (1) is held at a different location on the tape (20).
이에 따라 매체(1)를 협지하는 테이프(20)의 주요 부분이 기존의 제1 부분에서 제2 부분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테이프(20)의 어느 특정 부분이 국부적으로 과도하게 마모되지 않고 테이프(20)의 전 구간에 걸쳐 사용량이 균일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main part of the tape (20) that holds the medium (1) is changed from the existing first part to the second part, the usage amount can be adjusted to be uniform over the entire section of the tape (20) without any specific part of the tape (20) being excessively worn locally.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preferr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substitute or change any componen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also falls within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매체(1) 10 : 매체(1) 수납 방출 장치
20 : 테이프(20)
100 : 드럼(100) 20 : 릴(200)
300 : 엔코더 400 : 제어부
500 : 엔코딩 유닛 510 : 아이들 롤러
520 : 엔코딩부 530 : 탄성부재1: Medium (1) 10: Medium (1) Storage and release device
20 : Tape (20)
100 : Drum (100) 20 : Reel (200)
300 : Encoder 400 : Control Unit
500: Encoding unit 510: Idle roller
520: Encoding section 530: Elastic member
Claims (8)
상기 드럼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테이프를 감기 또는 풀기 하는 릴;
상기 드럼 및 상기 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되며, 상기 매체가 협지되는 상기 테이프의 특정 위치를 상대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 및 상기 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 정보를 검출하는 엔코더; 및
상기 엔코더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테이프의 특정 위치를 상대적으로 판단하고, 상기 매체를 수납하는 상기 테이프의 초기 위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A drum that winds or unwinds a tape on which media is attached;
A reel spaced from the drum for winding or unwinding the tape;
An encoder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drum and the reel, wherein the encoder detects rot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drum and the reel to relatively determine a specific position of the tape on which the medium is held; and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encoder, relatively determines a specific position of the tape, and changes the initial position of the tape storing the medium;
Media storage release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테이프가 소정 기간 이상 사용되면 상기 테이프의 초기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hange the initial position of the tape when the tape is u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Media storage release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코더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테이프의 전 구간 중 상기 매체가 협지되는 어느 특정 부분의 사용 빈도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프의 특정 부분의 사용빈도가 기 설정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테이프의 다른 위치에서 상기 매체가 협지되도록 상기 드럼의 감기 또는 풀기 동작을 제어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ontrol unit,
By the information of the encoder, the frequency of use of a specific portion of the entire section of the tape where the medium is inserted is calculated,
Based on the above usage frequency, if the usage frequency of a specific portion of the tape exceeds a preset range, controlling the winding or unwinding operation of the drum so that the medium is pinched at a different location of the tape.
Media storage release device.
상기 드럼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테이프를 감기 또는 풀기 하는 릴;
상기 드럼으로부터 상기 릴까지의 이어지는 상기 테이프의 경로 상의 일측에서 상기 테이프와 접촉되며, 상기 테이프의 특정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테이프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회전 정보를 전송하는 엔코딩 유닛; 및
상기 엔코딩 유닛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테이프의 특정 위치를 상대적으로 판단하고, 상기 매체를 수납하는 상기 테이프의 초기위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A drum that winds or unwinds a tape on which media is attached;
A reel spaced from the drum for winding or unwinding the tape;
An encoding unit that contacts the tape at one side of the tape path extending from the drum to the reel and transmits rotation information while rotating by the movement of the tape to determine a specific position of the tape; and
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encoding unit, relatively determines a specific position of the tape, and changes the initial position of the tape storing the medium;
Media storage release device.
상기 엔코딩 유닛은,
상기 테이프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테이프의 선 방향 이동에 의해 자유 회전되는 아이들 롤러; 및
상기 아이들 롤러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아이들 롤러의 회전 정보를 측정하는 엔코딩부;를 포함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In paragraph 4,
The above encoding unit,
An idle roller that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tape and rotates freely by the linear movement of the tape; and
An encoding unit installed on the rotational axis of the above idle roller and measuring rotational information of the above idle roller;
Media storage release device.
상기 엔코딩 유닛은,
상기 아이들 롤러를 상기 테이프의 일측면 쪽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In paragraph 5,
The above encoding unit,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above-mentioned children roller toward one side of the above-mentioned tape.
Media storage release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코딩부의 정보에 의하여 상기 테이프의 전 구간 중 상기 매체가 협지되는 어느 특정 부분의 사용 빈도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프의 특정 위치의 사용빈도가 기 설정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테이프의 다른 위치에서 상기 매체가 협지되도록 상기 드럼의 감기 또는 풀기 동작을 제어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
In paragraph 5,
The above control unit,
By the information of the encoding section, the frequency of use of a specific section of the entire section of the tape where the medium is inserted is calculated,
Based on the above usage frequency, if the usage frequency of a specific position of the tape exceeds a preset range, the winding or unwinding operation of the drum is controlled so that the medium is pinched at another position of the tape.
Media storage release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2467A KR102701215B1 (en) | 2019-10-23 | 2019-10-23 |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charging paper mone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2467A KR102701215B1 (en) | 2019-10-23 | 2019-10-23 |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charging paper mone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8322A KR20210048322A (en) | 2021-05-03 |
KR102701215B1 true KR102701215B1 (en) | 2024-08-29 |
Family
ID=75910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2467A Active KR102701215B1 (en) | 2019-10-23 | 2019-10-23 |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charging paper mone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0121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52756B (en) * | 2022-05-31 | 2024-07-16 | 广东利元亨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 Rubberizing positioning control method, rubberizing positioning control device, rubberizing positioning control controller and storage mediu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0648B1 (en) | 1998-06-26 | 2003-04-18 |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 Automated teller machine |
WO2010052795A1 (en) | 2008-11-10 | 2010-05-14 | グローリー株式会社 | Paper sheet let-in/let-out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34966B2 (en) * | 1996-12-25 | 2004-06-07 |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 Tape speed control device for tape-type bill storage and feeding device |
KR101471675B1 (en) * | 2008-11-25 | 2014-12-10 |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 Media separating apparatus and separation roller control method thereof, and automatic teller machine with the same |
KR20160021348A (en) | 2014-08-14 | 2016-02-25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charging paper money |
-
2019
- 2019-10-23 KR KR1020190132467A patent/KR10270121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0648B1 (en) | 1998-06-26 | 2003-04-18 |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 Automated teller machine |
WO2010052795A1 (en) | 2008-11-10 | 2010-05-14 | グローリー株式会社 | Paper sheet let-in/let-out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8322A (en) | 2021-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69419B1 (en) | Paper money receiv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auto-teller machine with said device | |
JP3173406U (en) | Web tension profile measuring device and roll | |
EP2224403B1 (en) | Paper money containing/feeding device | |
JP5242681B2 (en) |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 |
US7654485B2 (en) | Banknote store | |
CN108674039A (en) | Printing device | |
ATE216975T1 (en) | REWINDING DEVICE WITH DOUBLE SECONDARY UNITS FOR REWINDING A RUNNING WEB IN A PAPER MACHINE | |
KR102701215B1 (en) |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charging paper money | |
US8421833B2 (en) | Thermal paper roll, image forming device, image forming method, and program | |
CA1087585A (en) | Means and method for providing indication of end portion of web material | |
CA2295314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winding paper | |
US10266356B2 (en) | Paper sheet storage device and paper sheet storage method | |
WO2016076048A1 (en) |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medium trading device | |
KR102083765B1 (en) | Labelling device | |
JP5176528B2 (en) | Medium storage and feeding device | |
US20170291781A1 (en) | Paper sheet storage device and paper sheet storage method | |
EP0143256B1 (en) | Web feed mechanism | |
US4505605A (en) | Ribbon cartridge | |
US4079827A (en) | Web tension control | |
US5670880A (en) | Apparatus for testing magnetic properties of sheet material such as bank notes or papers of value | |
KR20210037091A (en) |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charging paper money | |
EP0950629B1 (en) | Apparatus for unwinding wire material under constant tension | |
JP2019199321A (en) | Filament unwinding device | |
CN210001245U (en) | automatic roll changing device and coating machine | |
KR101710786B1 (en) | Printing paper residual quantity measur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9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0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8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