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00823B1 - 파쇄장치 - Google Patents

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0823B1
KR102700823B1 KR1020220144547A KR20220144547A KR102700823B1 KR 102700823 B1 KR102700823 B1 KR 102700823B1 KR 1020220144547 A KR1020220144547 A KR 1020220144547A KR 20220144547 A KR20220144547 A KR 20220144547A KR 102700823 B1 KR102700823 B1 KR 102700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redding
unit
cutter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62719A (ko
Inventor
김상규
Original Assignee
김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규 filed Critical 김상규
Priority to KR1020220144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0823B1/ko
Publication of KR20240062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2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0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082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2018/162Shape or inner surface of shredder-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디부, 구동부, 기어부, 파쇄부, 투입 호퍼 및 배출구로 구성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동력이 기어부로 전달되고, 기어부의 회동에 의해 파쇄부의 동작이 이루어져, 파쇄부의 제1 커터부와 제2 커터부가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폐기물을 끌어당겨 파쇄하게 되는 것으로, 파쇄부의 제1 커터부와 제2 커터부의 회동 속도를 다르게 하고, 파쇄부의 하단에 다수개의 균일한 직경의 구멍이 형성된 스크린 망을 설치함으로써, 파쇄 성능을 향상시키고, 균일한 크기의 파쇄물의 배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쇄장치{The cru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맞물린 제1, 제2 커터부의 회전속도를 다르게 하고, 다수개의 균일한 직경의 구멍이 형성된 스크린 망을 포함함으로써, 파쇄 성능 및 파쇄물의 폐기 효율을 향상시킬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에 대한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폐기물 처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폐기물은 생활, 산업 등의 폐기물로 이러한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부피를 줄이기 위해 파쇄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분쇄기 또는 파쇄기가 사용되며,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후속처리 효율성이 높아지고, 운반비용이 줄어드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특허문헌 1,2,3,4에서는 이러한 폐기물을 파쇄하는 다양한 장치에 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은 폐기물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투입된 폐기물을 파봉, 파쇄 및 절단하는 것으로, 파쇄부와 타격분리부를 포함하여 폐기물을 파쇄 및 타격함으로써, 폐기물로부터 이물질과 수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허문헌 2는 파쇄장치 및 파쇄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커터부 또는 스페이서부를 2 이상의 커터부재 또는 2 이상의 스페이서부재가 인접하는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커터부의 두께 및 스페이서부의 두께를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특허문헌 3은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호퍼 내로 공급된 고형제품이나 연질제품의 분쇄물을 회전커터에 가압하여 줌으로써 분쇄작동을 신속 및 원활하게 한 것이다.
특허문헌 4는 폐기물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댐퍼를 이용하여 폐합성수지나 임목폐기물과 같은 폐기물들을 균일하게 파쇄하는 것이 가능하여, 재활용성을 높이고 연료로서의 효용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87666호 (공고일자: 2017.10.18)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69841호 (공개일자: 2022.05.27)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2000호 (공고일자: 2003.07.3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9232호 (공고일자: 2006.06.19)
본 발명은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기어인 제1 기어와 종동기어인 제2 기어의 크기를 다르게 함으로써, 구동축 및 종동축과 연결 설치된 제1, 2 커터부의 속도를 다르게 하여 파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수개의 균일한 직경의 타공이 형성된 스크린 망을 포함함으로써, 균일한 입자로 폐기물의 배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파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장치에 있어, 상기 파쇄장치는 바디부, 구동부, 기어부, 파쇄부, 스크린 망, 투입호퍼 및 배출구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부는 파쇄장치의 몸통부분으로 하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휠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상부로는 구동부, 기어부, 파쇄부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는 동력장치 및 전달장치로 모터, 감속기, 이음축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는 구동축, 제1 기어, 제2 기어 및 종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파쇄부는 제1 커터부 및 제2 커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는 감속기의 하단에 설치되어 하부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이음축은 일측은 감속기, 타측은 기어부의 구동축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에는 구동기어인 제1 기어 및 제1 커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기어는 제2 기어와 맞물린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제2 기어의 중앙에는 종동축이 설치되고, 상기 종동축에는 제2 커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커터부 및 제2 커터부는 다수개의 파쇄 블레이드와 가이드 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터부와 제2 커터부의 파쇄 블레이드는 서로 날의 방향이 반대로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파쇄 블레이드와 가이드 링은 파쇄블레이드 사이에 가이드 링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커터부와 제2 커터부에 설치되는 파쇄 블레이드와 가이드 링은 서로 파쇄 블레이드의 배치가 지그재그가 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파쇄부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균일한 직경의 구멍이 형성된 스크린 망이 설치되고, 상기 기어부와 파쇄부는 외부에 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파쇄부의 상단에는 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 호퍼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측에는 폐기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본 발명은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커터부와 제2 커터부의 회동 속도를 다르게 함으로써, 파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균일한 직경의 구멍이 형성된 스크린 망을 구비함으로써, 폐기물을 균일한 입자로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기물을 파쇄함으로써, 폐기물의 부피를 줄여 후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운반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의 조립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의 구동부, 기어부, 파쇄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의 기어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의 파쇄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의 스크린 망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이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파쇄장치(1)는 폐기물을 분쇄, 파쇄하는 장치로, 바디부(10), 구동부(20), 기어부(30), 파쇄부(40), 스크린 망(60), 투입호퍼(70) 및 배출구(80)로 구성된다. 먼저, 바디부(10)는 본 발명의 몸통부분으로, 하부 하우징(12) 및 다수개의 휠(14)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12)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로, 일측면에는 배출구(80)가 형성된다. 휠(14)은 파쇄장치(10)의 이동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 하우징(12)의 하부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다. 하부 하우징(12)의 상부로는 구동부(20), 기어부(30) 및 파쇄부(40)가 설치되며, 기어부(30)와 파쇄부(40)는 케이스(50) 내부에 내장된다. 구동부(20)는 파쇄장치(1)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부분으로, 동력장치인 모터(22), 모터의 회동 속도를 줄여 다른 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24), 이음축(26)을 포함한다. 이음축(26)은 감속기(24)와 기어부(30)를 연결하는 축으로, 키 홈(32)이 형성된다.
기어부(30)는 구동부(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하는 부분으로, 제1, 제2 기어(34,36) 및 구동축(31)과 종동축(38)을 포함한다. 구동축(31)은 구동부(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하는 축으로, 키 홈(32)이 형성된다. 또한, 구동축(31)의 일측으로는 제1 커터부(42)의 파쇄블레이드(46)가 끼워질 수 있도록 축의 형태가 육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키 홈(32)은 이음축(26)과 구동축(31) 사이, 제1 기어(34)와 구동축(31) 사이, 제2 기어(36)와 종동축(38) 사이의 상대적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홈으로, 키(33)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홈이다. 제1 기어(34)는 구동부(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하는 구동기어이다. 제1 기어(34)는 중앙에는 축 구멍(35) 및 키 홈(32)이 형성된다. 제2 기어(36)는 제1 기어(34)의 회동에 의해 맞물려 회동하는 종동기어로, 중앙에는 축 구멍(37) 및 키 홈(32)이 형성된다. 이때, 제1 기어(34)와 제2 기어(36)의 기어비는 2:1이다. 종동축(38)은 구동축(31)에 의해 회동하는 축으로, 키 홈(32)이 형성된다. 또한, 종동축(38)의 일측으로는 제2 커터부(44)의 파쇄블레이드(46)가 끼워질 수 있도록 축의 형태가 육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파쇄부(40)는 제1 커터부(42)와 제2 커터부(44)를 포함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파쇄 블레이드(46) 및 가이드 링(48)을 포함한다. 또한, 파쇄부(40)의 상부에는 투입 호퍼(70)가 설치되고, 하단에는 스크린 망(60)이 설치된다. 제1 커터부(42)는 폐기물을 파쇄하는 부분으로, 구동축(31)에 설치되는 파쇄 블레이드(46) 및 가이드 링(48)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2 커터부(44)는 폐기물을 파쇄하는 부분으로, 종동축(38)에 설치되는 파쇄 블레이드(46) 및 가이드 링(48)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제1, 2 커터부(42,44)에는 각각 구동축(31) 및 종동축(38)에 끼워지는 베어링 및 조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쇄 블레이드(46)는 폐기물을 파쇄 및 분쇄하기 위한 갈고리 형태의 날이 형성된 것이다. 파쇄 블레이드의 중앙의 축이 끼워지는 구멍은 육각형의 형태이며, 파쇄 블레이드(46)는 구동축(31) 및 종동축(38)에 각각 설치된다. 가이드 링(48)은 구동축(31)에 설치되는 파쇄블레이드(46)와 종동축(48)에 설치되는 파쇄 블레이드(46)의 사이의 간격을 맞추기 위한 것으로, 파쇄 블레이드(46)와 파쇄 블레이드(46) 사이에 각각 설치된다.
스크린 망(60)은 파쇄 및 분쇄되는 폐기물을 균일한 크기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망이다. 스크린 망(60)은 복수개의 하향 굴곡진 형상이 연결된 형태로, 스크린 망(60)에는 다수개의 균일한 직경의 구멍(62)이 형성되며, 파쇄부(40)의 하단에 설치된다. 투입 호퍼(70)는 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구로, 상, 하부가 개방된 상태이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배출구는 스크린 망(60)을 통과한 폐기물 조각들이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도 3은 파쇄장치의 구동부(20), 기어부(30), 파쇄부(40) 및 스크린 망(6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0), 기어부(30), 파쇄부(40)는 각각 연결 설치된다. 먼저, 구동부(20)의 모터(22)는 감속기(24)의 하단에 연결설치되어, 감속기(24)로 동력을 전달한다. 감속기(24)는 이음축(26)을 통해 기어부(30)와 연결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어부(30)의 구동축(31)과 연결설치 되며, 이때, 이음축(26)의 키 홈과, 이음축(26)과 연결되는 구동축(31)의 키 홈(32)에는 키(33)가 끼워진다. 다음, 구동축(31)에는 제1 기어(34)가 중앙에 형성된 축 구멍(35)을 통해 설치된다. 이후, 제 1기어(34)와 구동축(31)의 키 홈(32)에는 키(33)가 끼워진다. 이후, 제1 기어(34)는 제2 기어(36)와 맞물린 상태로 설치된다. 제2 기어(36)의 중앙에 형성된 축 구멍(37)으로는 종동축(38)이 끼워지고, 종동축(38)과 제2 기어(36)의 키 홈(32)으로는 키(33)가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구동부(20)에 의해 전달받은 회전 동력으로 구동축(31)이 회전함에 따라 제1 기어(34)가 회동하게 되며, 제1 기어(34)가 회전함에 따라 맞물린 상태의 제2 기어(36)가 회동하게 된다.
다음, 구동축(31)에는 파쇄부(40)의 제1 커터부(42)가 연결 설치되고, 종동축(38)에는 제2 커터부(44)가 연결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축(31) 및 종동축(38)에는 다수개의 파쇄 블레이드(46)와 가이드 링(48)이 설치되며, 베어링 및 조인트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축(31)에 설치되는 파쇄 블레이드(46)의 방향과 종동축(38)에 설치되는 파쇄 블레이드(46)는 날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31)에 설치된 파쇄 블레이드(46)와 가이드 링(48)의 순서와, 종동축(38)에 설치된 파쇄 블레이드(46)와 가이드 링(48)의 순서가 서로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즉, 구동축(31)에서는 파쇄블레이드(46)-가이드 링(48)-파쇄블레이드(46)-가이드 링(48)의 순서로 설치된다면, 종동축(38)에는 가이드 링(48)-파쇄블레이드(46)-가이드 링(48)-파쇄블레이드(46)의 순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면, 구동축(31)과 종동축(38)에 설치된 파쇄 블레이드(46)의 날은 지그재그로 설치된 상태로, 서로 충돌없이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음, 파쇄부(40)의 하단에는 스크린 망(60)이 설치된다. 스크린 망(60)에는 다수개의 균일한 직경의 구멍(62)이 형성되어, 파쇄된 폐기물을 균일한 크기의 입자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연결 설치된 구동부(20), 기어부(30), 파쇄부(40)의 하부에는 하부 하우징(12)이 설치되어, 모터(22)가 하부 하우징(12) 내에 내장된 상태가 되며, 하부 하우징(12)의 하단의 각 모서리에는 휠(14)이 설치된다. 또한, 기어부(30)와 파쇄부(40)의 외부로는 케이스(50)가 설치되며, 파쇄부(40)의 상부에는 투입호퍼(70)가 설치된다.
도 4는 기어부(30)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인 제1 기어(34)가 회동함에 따라 제2 기어(36)가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기어(34)의 회동 방향과 제2 기어(36)의 회동방향은 서로 반대가 된다. 즉, 제1 기어(3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2 기(36)어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이때, 제1 기어(34)와 제2 기어(36)의 기어비는 2:1로, 잇수가 큰 제1 기어(34)가 회동하게 되면서, 잇수가 작은 제2 기어(36)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어, 제2 기어(36)는 제1 기어(34)의 회전 속도의 2배로 회전하게 된다. 즉, 구동축(31) 및 종동축(38)에 연결된 제1 커터부(42)와 제2 커터부(44)의 회동 속도는 다르며, 제2 커터부(44)의 회동속도가 2배 빠른 속도로 회동하게 된다.
도 5는 파쇄부(40)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부(40)는 구동축(31) 및 종동축(38)이 회동함에 따라 제1 커터부(42) 및 제2 커터부(44)가 회동하면서 폐기물을 파쇄하게 된다. 구동부(20)에 의해 구동축(31)이 회전하고, 구동축(31)에 연결된 제1 기어(34)가 회동함에따라 제2 기어(36)가 회동하게 되면서, 파쇄부(40)가 회동하게 된다. 이후, 제1 커터부(42) 및 제2 커터부(44)의 파쇄 블레이드(46) 및 가이드 링(48)이 회동하게 된다. 이때, 제1 커터부(42)의 파쇄 블레이드(46)와 제2 커터부(44)의 파쇄 블레이드(46)는 날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된 상태이며, 제1 기어(34)와 제2 기어(36)의 회동 방향에 의해 제1 커터부(42)의 파쇄 블레이드(46)와 제2 커터부(44)의 파쇄블레이드(46) 또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1 기어(34)와 제2 기어(36)의 기어 크기 비에 따른 속도의 차이로 인해, 제2 커터부(44)는 제1 커터부(42)에 비해 2배 빠른 속도로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커터부(42) 및 제2 커터부(44)의 동작으로 폐기물은 파쇄 블레이드(46)에 의해 분쇄, 파쇄된다.
도 6은 스크린 망(6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망(60)에는 다수개의 균일한 직경의 구멍(62)이 형성된다. 파쇄부(40)에 의해 파쇄된 폐기물은 입자의 크기가 제각각인 상태가 된다. 따라서 배출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망(60)을 파쇄부(40)에 설치해줌으로써, 파쇄물의 입자가 스크린 망(60)의 구멍(62)을 통과하여 배출되므로, 균일한 입자 크기의 파쇄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파쇄장치(1)의 투입 호퍼(70)에 폐기물을 넣으면, 파쇄장치(1)의 파쇄부(40)에서 폐기물이 분쇄된다. 상세하게는 구동부(2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축(31)이 회동하면서, 구동기어인 제1 기어(34)가 회동하게 된다. 이후, 제1 기어(34)와 맞물린 상태인 종동기어인 제2 기어(36)와 종동축(38)이 회동하게 된다. 이후, 구동축(31) 및 종동축(38)과 연결된 파쇄부(40)의 제1 커터부(42)와 제2 커터부(44)가 회동하게 된다. 이때 제1 커터부(42)와 제2 커터부(44)의 파쇄 블레이드(46) 날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되고, 가이드 링(48)에 의해 서로 지그재그 방식으로 설치되므로, 파쇄물은 제1, 2 커터부(42,44)의 각 파쇄 블레이드(46)에 의해 내측으로 끌어당겨지면서 파쇄되므로, 파쇄 효율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 커터부(44)는 제1 커터부(42)보다 2배 빠른 속도로 회동하게 되어, 파쇄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파쇄물들은 파쇄부(40) 하단에 설치된 스크린 망(60)의 구멍(62)을 통과하여 배출구(80)를 통해 균일한 입자의 크기로 배출된다.
1: 파쇄장치 10: 바디부
12: 하부 하우징 14: 휠
20: 구동부 22: 모터
24: 감속기 26: 이음축
30: 기어부 31: 구동축
32: 키 홈 33: 키
34: 제1기어 35: 축 구멍
36: 제2기어 37: 축 구멍
38: 종동축 40: 파쇄부
42: 제1커터부 44: 제2커터부
46: 파쇄블레이드 48: 가이드 링
50: 케이스 60: 스크린 망
62: 구멍 70: 호퍼
80: 배출구

Claims (2)

  1. 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장치(1)에 있어서,
    상기 파쇄장치(1)는 바디부(10), 구동부(20), 기어부(30), 파쇄부(40), 스크린 망(60), 투입호퍼(70) 및 배출구(80)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부(10)는 파쇄장치(1)의 몸통부분으로 하부 하우징(12)과 하부 하우징(12)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휠(14)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10)의 상부로는 구동부(20), 기어부(30), 파쇄부(40)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20)는 동력장치 및 전달장치로 모터(22), 감속기(24), 이음축(26)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30)는 구동축(31), 제1 기어(34), 제2 기어(36) 및 종동축(38)을 포함하고,
    상기 파쇄부(40)는 제1 커터부(42) 및 제2 커터부(44)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22)는 감속기(24)의 하단에 설치되어 하부 하우징(12)의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이음축(26)은 일측은 감속기(24), 타측은 기어부(30)의 구동축(31)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31)에는 구동기어인 제1 기어(34) 및 제1 커터부(42)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기어(34)는 제2 기어(36)와 맞물린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제1 기어(34)와 제2 기어(36)의 기어비가 2:1이며,
    상기 제2 기어(36)의 중앙에는 종동축(38)이 설치되고,
    상기 이음축(26), 구동축(31), 제1 기어(34), 제2 기어(36), 종동축(38)에는 이음축(26)과 구동축(31) 사이, 제1 기어(34)와 구동축(31) 사이, 제2 기어(36)와 종동축(38) 사이의 상대적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키 홈(32)이 형성되며,
    상기 이음축(26)의 키 홈(32)과 이음축(26)과 연결되는 구동축(31)의 키 홈(32), 제1 기어(34)와 구동축(31)의 키 홈(32), 제2 기어(36)와 종동축(38)의 키홈(32)으로는 각각 키(33)가 끼워지고,
    상기 종동축(38)에는 제2 커터부(44)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커터부(42) 및 제2 커터부(44)는 다수개의 파쇄 블레이드(46)와 가이드 링(48)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터부(42)와 제2 커터부(44)의 파쇄 블레이드(46)는 서로 날의 방향이 반대로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파쇄 블레이드(46)와 가이드 링(48)은 파쇄블레이드(46) 사이에 가이드 링(48)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커터부(42)와 제2 커터부(44)에 설치되는 파쇄 블레이드(46)와 가이드 링(48)은 서로 파쇄 블레이드(46)의 배치가 지그재그가 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파쇄부(40)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균일한 직경의 구멍(62)이 형성된 스크린 망(60)이 설치되고,
    상기 기어부(30)와 파쇄부(40)는 외부에 케이스(50)가 설치되고,
    상기 파쇄부(40)의 상단에는 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 호퍼(70)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12)의 일측에는 폐기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8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
  2. 삭제
KR1020220144547A 2022-11-02 2022-11-02 파쇄장치 Active KR102700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547A KR102700823B1 (ko) 2022-11-02 2022-11-02 파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547A KR102700823B1 (ko) 2022-11-02 2022-11-02 파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2719A KR20240062719A (ko) 2024-05-09
KR102700823B1 true KR102700823B1 (ko) 2024-08-29

Family

ID=91075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547A Active KR102700823B1 (ko) 2022-11-02 2022-11-02 파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08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633Y1 (ko) * 2004-05-08 2004-07-30 김동선 압착력 증대장치를 구비한 문서세단기의 세절된 파지처리장치
KR102310521B1 (ko) * 2021-06-21 2021-10-07 강재영 암반조사용 시추 샘플을 활용한 친환경 골재의 제조 장치 및 그 골재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000Y1 (ko) 2003-04-15 2003-07-31 홍선기 파쇄장치
KR200419232Y1 (ko) 2006-03-30 2006-06-19 이용쾌 폐기물 파쇄장치
KR101787666B1 (ko) 2015-03-04 2017-10-18 주식회사 씨아이에코텍 폐기물 파쇄장치
KR20170006471A (ko) * 2015-07-08 2017-01-18 김철환 생활폐기물 처리시스템의 파쇄 탈분기
JP7608128B2 (ja) 2020-11-20 2025-01-06 住友重機械エンバイロメント株式会社 破砕装置及び破砕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633Y1 (ko) * 2004-05-08 2004-07-30 김동선 압착력 증대장치를 구비한 문서세단기의 세절된 파지처리장치
KR102310521B1 (ko) * 2021-06-21 2021-10-07 강재영 암반조사용 시추 샘플을 활용한 친환경 골재의 제조 장치 및 그 골재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2719A (ko) 202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692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inuting solid materials
KR101530509B1 (ko) 폐비닐 파쇄장치
CN113695050A (zh) 一种环保型工业固废搅碎回收装置及其操作方法
CN117900004A (zh) 一种废旧电池拆解粉碎设备
CN214076907U (zh) 一种建筑木料垃圾粉碎装置
KR20200087586A (ko) 폐지류 파쇄장치
CN105032905A (zh) 一种固体垃圾粉碎一体机
KR102700823B1 (ko) 파쇄장치
KR100686324B1 (ko) 4축 파쇄장치
CN105344438A (zh) 垃圾撕切破碎机
CN206526906U (zh) 垃圾处理用的输送、粉碎机构
CN2744410Y (zh) 剪切式破碎机
CN219129499U (zh) 一种硅晶充分破碎机
KR102653925B1 (ko) 폐목재 파쇄분쇄기
CN2882790Y (zh) 纤维垃圾粉碎机
CN213825216U (zh) 一种纸箱包装加工用废料回收装置
CN211246882U (zh) 纸品清洁生产用废纸分级式粉碎装置
CN221245481U (zh) 一种可对废物进行多级破碎的固体废物破碎机
CN105728138A (zh) 一种栅格筛旋刀粉碎装置
CN216419654U (zh) 一种钞票粉碎机
CN206899582U (zh) 一种大型管材撕碎机
JP2003260378A5 (ko)
JP2540723B2 (ja) 破砕機
CN219273278U (zh) 一种粉碎效果好的干酥粉碎机
CN220677970U (zh) 一种垃圾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8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